[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13308B1 - 수납 용기 - Google Patents

수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308B1
KR102513308B1 KR1020187001838A KR20187001838A KR102513308B1 KR 102513308 B1 KR102513308 B1 KR 102513308B1 KR 1020187001838 A KR1020187001838 A KR 1020187001838A KR 20187001838 A KR20187001838 A KR 20187001838A KR 102513308 B1 KR102513308 B1 KR 102513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hole
opening
storage container
end s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1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225A (ko
Inventor
마사노리 우에마츠
Original Assignee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2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30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46024Straps used as handles with anchoring elements fixed in s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2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heat-sealing, by applying adhesive to the flaps or by sta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1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one or more closur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용기 본체(4)와, 파지부재(5)를 구비한다. 용기 본체(4)는, 중공 통형의 몸통부(1), 몸통부(1)의 일단 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밑부분(2), 및 몸통부(1)의 타단 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천정부(3)를 가지고 있다. 천정부(3)는, 타단 측 개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재부(17d) 및 제2 연재부(17b)를 가지고 있다. 제1 연재부(17d) 또는 제2 연재부(17b)의 어느 쪽인가 한 쪽에 선단부분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25)가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재(5)는, 장착부(31) 및 손으로 파지 가능한 파지부(30)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31)는, 제1 연재부(17d) 및 제2 연재부(17b)를 타단 측 개구부로부터 개방 불가능으로 한다. 장착부(31)는, 분리부(25)가 형성된 연재부 17b 또는 17d에서는 분리부(25)보다도 선단측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수납 용기
본 발명은,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자체의 개구 가장자리의 대향변의 한 쪽에 연접되는 안쪽 덮개와, 다른 쪽에 연접되는 윗쪽 덮개를 가지고, 윗쪽 덮개의 질러넣는 부분을 안쪽 덮개의 삽입 구멍에 꽂아 변형시켜 닫힌 상태로 하여, 윗쪽 덮개에 형성한 개봉 수단을 분리하지 않고는 개봉할 수 없도록 한 포장 상자가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상기 종래의 포장 상자에서는 휴대하기 편한 점을 전제로 해서는 제작되고 있지 않아, 단순히 포장 시에 접착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개봉한 흔적을 명확하게 시인할 수 있을 뿐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13-177152호 공보
본 발명은, 간단히 포장을 할 수 있고, 개봉한 흔적을 남길 뿐만 아니라, 휴대하기 편한 수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중공 통형의 몸통부(몸체), 상기 몸통부의 일단 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밑부분 및 상기 몸통부의 타단 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천정부를 가지며, 상기 천정부는, 상기 타단 측 개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재부 및 제2 연재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연재부 또는 상기 제2 연재부의 어느 쪽인가 한 쪽에 선단부분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제1 연재부 및 상기 제2 연재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연재부 및 상기 제2 연재부를 상기 타단 측 개구부로부터 개방 불가능으로 하고, 또한 상기 분리부가 형성된 연재부에서는 상기 분리부보다도 선단측에 장착되는 장착부, 및 손으로 파지 가능한 파지부를 가지는 파지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해, 용기 본체의 타단 측 개구부를 제1 연재부와 제2 연재부로 폐쇄하고, 거기에 파지부재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분리부에서 분리되지 않는 한, 개봉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즉 개봉의 흔적을 확실하게 남길 수 있다. 또한 파지부재는 제1 연재부와 제2 연재부에도 장착되어 있는바, 장착 상태를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파지부를 파지함으로써 안정한 상태로 용기 본체를 간단하게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재부에는 제1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연재부에는, 상기 제1 연재부에 대하여 외면측에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2 관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1 관통구멍에 삽통(삽입 관통)하여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각 연재부에 관통구멍을 각각 형성한 것뿐인 간단한 구성으로, 이들 관통구멍에 파지부재의 장착부를 삽통하여 빠지지 않게 함으로써, 용기 본체의 타단 측 개구부를 폐쇄 상태로 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의 타단 측 개구부는 직사각형 모양이고,
상기 제1 연재부는, 상기 타단 측 개구부의 대향하는 한 조의 한 변으로부터 연재하여 상기 타단 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안쪽 덮개이며,
상기 제2 연재부는, 상기 타단 측 개구부의 대향하는 한 조의 다른 변으로부터 연재하여 적어도 상기 제1 연재부의 일부를 덮는 윗쪽 덮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안쪽 덮개로 되는 제1 연재부로 용기 본체의 타단 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윗쪽 덮개로 되는 제2 연재부로 그 일부를 덮고, 파지부재의 장착부를 장착함으로써, 폐쇄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구멍은,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제1 직선부와, 상기 제1 직선부에 각각 교차하여 형성된 제2 직선부로 구성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파지부의 양단부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1 관통구멍의 제1 직선부를 삽통하여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직선부에 파지부의 장착부를 삽입하려고 하면, 제2 직선부가 제1 직선부를 구성하는 주변 부위를 변형하기 쉽게 한다. 이에 따라, 제1 관통구멍에 장착부를 삽입시키기 쉬워지고, 파지부재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제1 연재부는 제2 연재부에 의해 덮여지기 때문에, 제1 관통구멍으로의 삽입의 용이성은 중요하다.
상기 용기 본체는 골판지(상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연재부는, 상기 제1 관통구멍을 포함한 소정 영역이 다른 부분보다도 얇은 박육부(薄肉部)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박육부에 의해 골판지를 구성하는 표면·이면의 라이너 사이에 거의 간극(틈새)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파지부재의 장착부를 제1 관통구멍에 삽입할 때에, 라이너 사이에 장착부가 진입하는 일이 없어, 장착 불량을 발생시킬 우려가 없다.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타단 측 개구부의 대향하는 나머지 한 조의 각 변으로부터 연재하는 보조 연재부를 각각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용기 본체의 타단 측 개구부를 제1 연재부로 폐쇄했을 때에, 보조 연재부가 제1 연재부의 용기 본체 내로의 침입을 억제하고, 제1 연재부에 의한 양호한 폐쇄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보조 연재부는, 용기의 본체 내로 통하는 제1 연재부와의 간극을 폐쇄한다.
상기 보조 연재부는, 상기 용기 본체와는 절선부를 통하여 연접되어, 안쪽으로 절곡력(절곡해 넣는 힘)이 작용하면, 상기 절선부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와 소정 각도를 이루어 절곡되고, 상기 제1 연재부로 용기 본체의 타단 측 개구부를 폐쇄할 때에, 폐쇄 위치까지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절선부를 이용하여, 미리 보조 연재부를 안쪽으로 소정 각도 절곡해 놓으면, 제1 연재부로 용기 본체의 타단 측 개구부를 폐쇄해 가는 것만으로, 보조 연재부도 동시에 안쪽으로 절곡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성이 좋고 연재부에 의한 폐쇄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본체의 타단 측 개구부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별도로 설치한 파지부재의 장착부를 제1 연재부와 제2 연재부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좋다. 제1 연재부 뿐만 아니라 제2 연재부에도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상태를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파지부재의 파지부를 파지함으로써, 안정한 상태로 용기 본체를 쉽게 운반할 수 있다. 개봉하는 경우에는, 분리부를 분리할 필요가 있어, 개봉의 흔적을 남기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납 용기의 용기 본체를 형성하기 위한 골판지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골판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밑면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양쪽 측면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파지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측면부를 직사각형 통모양으로 하여 몸통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상면부를 절곡하여, 몸통부의 윗쪽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수납 용기를 4개의 대형 용기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특정의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어, 「위」, 「아래」, 「측면」, 「끝부분(끝)」을 포함한 용어)를 사용하지만, 그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그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위하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이 수납 용기는, 몸통부(1), 몸통부의 일단 측 개구부(밑면)를 폐쇄하는 밑부분(2), 및 몸통부의 타단 측 개구부(상면)를 폐쇄하는 천정부(3)로 이루어진 용기 본체(4)와, 천정부(3)에 장착되는 별체의 파지부재(5)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4)는, 골판지 종이를 주지의 지기(紙器) 펀칭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 2에 나타낸 1매의 블랭크(blank, 공백)로서 펀칭하고, 소정 부위를 접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골판지 종이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표면) 라이너(6) 및 뒷(이면) 라이너(7) 사이에, 파상(波狀, 물결 모양)으로 연속하는 중심(8)을 배치한 주지의 것이다. 앞 라이너(6)는, 용기 본체(4)의 외면을 구성하고, 수납물에 관한 내용 등이 인쇄되어 있다. 뒷 라이너(7)는, 용기 본체(4)의 내면을 구성한다.
용기 본체(4)의 몸통부(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4매의 측면부(9a, 9b, 9c, 9d)를 직렬로 연접한 것으로, 각 측면부 9a와 9b, 9b와 9c, 9c와 9d의 경계 부분이 각각 절선부(10a, 10b, 10c)로 되어 있다. 절선부(10a, 10b, 10c)에는 절곡하는 안쪽에 홈 모양의 괘선이 형성되어 있다(이하, 절선부라고 기재되어 있으면, 이러한 괘선이 형성된 접기 쉬운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일단 측의 측면부(9a)의 측변에는 절선부(10d)를 통하여 풀칠되는 접착제 부착부분(11)이 연접되어 있다. 이 접착제 부착부분(11)을 절선부(10d)에서 절곡하여 타단 측의 측면부(9d)에 풀칠하고, 절선부(10a, 10, 10c)에서 절곡함으로써 측면부(9a, 9b, 9c, 9d)는 직사각형 통모양으로 된다.
용기 본체(4)의 밑부분(2)은, 각 측면부(9a, 9b, 9c, 9d)의 아랫변에 절선부(10e, 10f, 10g, 10h)를 통해 연접되는 밑면부(12a, 12b, 12c, 12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밑면부(12a)와 밑면부(12c)는 같은 형상으로, 거의 삼각형의 바닥 형성부(13)와, 그 한 변으로부터 연장되는 접착부(14)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 형성부(13)와 접착부(14)의 경계는 절선부(10i, 10j)로 되어 있으며, 도 2에서는 밖으로 접힌다. 밑면부(12b)는 거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절선부(10k)에 의해 삼각형부(15)가 구획되어 있다. 삼각형부(15)의 측변에는 반원 형상의 노치(notch; 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16)에 손가락을 걸어 당김으로써, 밑면부(12b)를 절선부(10k)에서 절곡하고, 삼각형부(15)를 일으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밑면부(12d)는 거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측면부(9d)의 아랫변으로부터의 돌출 치수는 밑면부(12b)의 거의 절반이다. 밑면부(12a)의 접착부(14)는, 밑면부(12b)의 삼각형부(15)를 제외한 부분에 접착된다. 밑면부(12c)의 접착부(14)는 밑면부(12d)에 접착된다.
용기 본체(4)의 천정부(3)는, 각 측면부(9a, 9b, 9c, 9d)의 윗쪽 변에 절선부(10l, 10m, 10n, 10o)를 통해서 연접한 상면부(17a, 17b, 17c, 17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면부(17a, 17c)는, 측면부(9a, 9c)와의 경계인 절선부(10l, 10n)에 따른 같은 형상의 내부 플랩(보조 연재부)이다. 절선부(10l, 10n)의 약간 위쪽(상면부(17a, 17c)의 기초부 측) 중앙부에는 슬릿(slit; 1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슬릿(18)의 양단부는 굴곡해서 절선부(10l, 10n)의 위치까지 뻗어 있다. 이에 의해, 절선부(10l, 10n)에서 상면부(17a, 17c)를 안쪽으로 절곡하면, 슬릿(18)에 의해 형성된 측면부(9a, 9c) 측의 위쪽 가장자리가 상면부(17a, 17c)를 경사 상태로 유지한다(이하, 슬릿(18)이라고 기재된 부분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면부(17a, 17c)의 일단 측(상면부(17d) 측)에는 비스듬하게 잘린 경사부(1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면부(17d)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 거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절선부(10p)를 끼고 선단측이 절곡부(20)로 되어 있다. 절곡부(20)의 양단 각부(角部, 구석부)는 R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20)는, 거의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몸통부(1)의 측면부(9b)의 상단 부분으로 삽입되어, 몸통부(1)의 윗쪽 개구부를 폐쇄하는 안쪽 덮개로서 기능한다. 상면부(17d)의 중앙부에는 소정 간격으로 제1 관통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관통구멍(21)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 I자형으로, 제1 직선부(22)와, 그 양단에서 직교하는 제2 직선부(23)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직선부(23)는, 제1 직선부(22)에 비해 충분히 짧고, 제1 직선부(22)에 후술하는 파지부재(5)의 장착부(31)를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직선부(22)에 장착부(31)를 삽입하면, 제1 직선부(22)의 양측 부분이 휘어, 그 개구의 면적을 증대시킨다. 제1 직선부(22)는, 파지부재(5)의 장착부(31)의 폭 치수보다도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1 관통구멍(21)의 주변 영역(도 2 중에서, 사선으로 나타낸 직사각형 영역)은 프레스되어 두께가 얇아진 박육부(24)로 되어 있다. 제1 관통구멍(21) 및 박육부(24)는, 골판지를 블랭크로 하여 펀칭할 때에 동시에 형성하거나, 후에 형성하거나 할 수 있다. 제1 관통구멍(21)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 I자형의 좌우 균등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밸런스 좋게 펀칭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관통구멍(21)은, 박육부(24)를 프레스한 상태에서 펀칭함으로써, 펀칭 상태를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면부(17b)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 거의 직사각형으로, 용기 본체(4)의 윗쪽 개구부의 절반이 넘는 약 2/3를 덮도록 형성되어 윗쪽 덮개로서 기능한다. 상면부(17b)의 선단 양측은 R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면부(17b)는 분리부(25)에 의해 선단측 절반을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분리부(25)는, 2열로 절취선을 형성한 것으로, 그 일단 측은 상면부(17b)의 측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탭(tab; 26)으로 되어 있다. 이 탭(26)을 잡아 당기면, 절취선을 따라 분리부(25)를 분리하고, 표면부(17b)를 선단 측과 기초부 측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면부(17b)에는, 분리부(25)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제1 관통구멍(2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관통구멍(2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제2 관통구멍(27)의 구성은, 상기 제1 관통구멍(21)과 거의 같지만, 그 제1 직선부(28)의 길이는 제1 관통구멍(21)보다도 짧고, 파지부재(5)의 장착부(31)가 삽통 가능한 필요 최소한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직선부(29)의 길이는 제2 직선부(23)와 동일하다.
파지부재(5)는, 합성수지의 재료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얻어지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부(30)와 그 양단부에 설치되는 장착부(31)로 구성되어 있다.
파지부(30)는, 일정한 폭으로 띠 모양으로 연장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손으로 파지한 경우에는 원호 형상(활모양)으로 만곡하도록 되어 있다.
장착부(31)는, 파지부(30)의 양단에 그 중앙부가 일체화되는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31)는, 파지부(30)와 폭 치수가 거의 동일하며, 보통 상태에 있어서는 파지부(30)에 따르고 있다. 장착부(31)는, 상기 상면부(17d)의 제1 관통구멍(21)에 삽통됨으로써, 그 양단부가 제1 관통구멍(21)을 구성하는 양측 부분에 맞닿아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납 용기는, 다음과 같이 해서 조립된다.
즉, 도 2에 나타낸 1매의 블랭크로서 펀칭된 상태로부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선부(10e, 10f, 10g, 10h)에서 밑면부(12a, 12b, 12c, 12d)를 안쪽으로 각각 절곡한다. 이 때, 밑면부(12a, 12c)의 접착부(14)를 각각 절곡하여 둔다. 그리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부(9a, 9d)를 안쪽으로 절곡한다. 이 때, 밑면부(12a)의 접착부(14)를 밑면부(12b)에, 밑면부(12c)의 접착부(14)를 밑면부(12d)에 각각 접착한다(도면 중, 접착하는 부분을, 사선으로 처리된 원형으로 표시한다). 또한 측면부(9a)의 접착제 부착부분(11)을 측면부(9d)에 접착한다. 또한 상면부(17b)의 제2 관통구멍(27)에 파지부재(5)의 장착부(31)를 각각 삽입하고, 파지부재(5)를 장착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조립된 수납 용기에서는, 절선부(10a, 10b, 10c)를 절곡하여 측면부(9a, 9b, 9c, 9d)를 직사각형 통모양의 몸통부(1)로 하고, 밑면부(12)를 안쪽으로 되접어 평탄한 밑부분(2)으로 함으로써,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쪽이 개구된 상자체 형상으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각 측면부(9)로부터 위쪽으로 향해 동일 평면내에서 상면부(17a, 17b, 17c, 17d)가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수납 용기를 간극 없이 나란히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납 용기의 윗쪽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대형의 상자에 복수개를 모아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납 용기에는, 위쪽으로부터 헝겊, 식품 등을 수납할 수가 있다. 수납 작업이 완료되면, 상면부(17a, 17c)를 안쪽으로 절곡한다. 상면부(17a, 17c)는, 형성된 괘선과 슬릿(18)에 의해 안쪽으로 밀어넣는 것만으로도, 도 7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면부(17d)를 안쪽으로 절곡해 가면, 상면부(17a, 17c)는 일단 측의 경사부(19)를 압압하면서, 더 안쪽으로 구부려진다. 상면부(17d)의 선단의 굴곡부를 절곡하여 몸통부(1)의 윗쪽 개구부 내에 삽입한다(측면부(9b)의 내면에 부합시킨다). 상면부(17a, 17c)는 미리 경사지게 되어 있고, 그 일단 측에 경사부(19)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면부(17d)를 절곡함으로써 상면부(17a, 17c)를 절곡하면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부(1)의 윗쪽 개구부를 원활하게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는, 상면부(17a, 17c)가 상면부(17d)의 몸통부(1) 안으로의 침입을 방지하고, 옆쪽으로부터 내부로의 접근을 제한한다.
상면부(17d)에 의해 몸통부(1)의 윗쪽 개구부가 폐쇄되면, 상면부(17b)를 절곡한다. 이 때, 미리 상면부(17b)에 장착되어 있는 파지부재(5)의 장착부(31)를, 상면부(17b)의 제1 관통구멍(21)에 삽입시킨다. 제1 관통구멍(21)은, 제1 직선부(22)와 그 양단의 제2 직선부(23)로 이루어지며, 제1 직선부(22)의 길이는 삽입하는 장착부(31)의 폭 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제1 관통구멍(21)의 주위가 박육부(24)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면부(17d)에 대해 상면부(17b)를 거듭하여 접어, 제1 관통구멍(21)이 시인하기 어려운 상태라고 하더라도, 장착부(31)를 골판지의 앞 라이너(6)와 뒷 라이너(7) 사이에 진입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제1 관통구멍(21) 안으로 삽입할 수가 있다. 그리고, 장착부(31)가 제1 관통구멍(21)을 구성하는 양측 내면에 맞닿아 빠지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하여 조립된 수납 용기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부(1)의 윗쪽 개구부가 상면부(17d)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부(17d)는 상면부(17b)와 더불어 파지부재(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부(25)를 분리하지 않는 한, 수용물을 꺼내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파지부재(5)의 파지부(30)를 잡으면, 수납 용기를 한 손으로 간단하게 휴대할 수 있다. 이 때, 파지부재(5)는, 상면부(17d, 17b)의 양쪽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면부(17b)에 분리부(25)가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수납 용기 내의 수납물이 무거운 것이라 하더라도 안심하고 가지고 다닐 수 있다.
수납 용기에서 수납물을 취출하는 경우, 분리부(25)를 분리함으로써 상면부(17d)를 개방하면 된다. 분리부(25)가 분리되지 않으면 개봉할 수 없기 때문에, 제3자에 의한 개봉을 흔적으로서 남길 수 있다. 또한 분리부(25)에서 분리한 후에도, 상면부(17d)에 의하여 몸통부(1)의 윗쪽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다.
수용물을 모두 꺼낸 후에는, 밑면부(12b)를 구성하는 삼각형부(15)를 노치(16)에 손가락을 걸어 들어올린다. 그리고, 밑면부(12a, 12b, 12c, 12d)를 굽혀 세운다. 이에 의해, 사용 후에는 간단하게 측면부 9a, 9d와 9b, 9c가 겹쳐진 상태로 접어 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본체(4)를 골판지로 형성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두꺼운 종이나 플라스틱제의 얇은 판 등, 다른 재질이나 다른 구조의 것으로 구성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본체(4)는 조립 상태에서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또는 원형의 통모양 등, 다른 형태로 해도 좋다. 또한 천정면이 평면 모양으로 되도록 구성했지만, 산 모양 등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파지부재(5)의 장착부(31)를 파지부(30)의 양단부에 연속하는 판 모양의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우산 모양으로 퍼지는 듯한 구성으로도 할 수 있다. 요지는, 파지부재(5)의 장착부(31)를 용기 본체(4)의 상면부(17b, 17d) 쌍방에 대하여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면, 어떠한 구성이라고 하더라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관통구멍(21)에 장착부(31)를 장착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제 등으로 고정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관통구멍(21) 및 제2 관통구멍(27)을 2개소씩 설치하도록 했지만, 1개소씩 또는 3개소씩 이상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들 관통구멍(21, 27)은, 제1 직선부(22)의 양단부에 제2 직선부(23)가 직교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직선부(22)에 대하여 적어도 1개소에서 교차하는 제2 직선부(23)가 형성됨으로써, 관통구멍 21 또는 27로의 파지부재(5)의 장착부(31)의 삽입이 용이하게 되는 구성이면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부(25)를 2열의 절취선을 가지는 구성으로 했지만, 단순히 1열의 절취선을 갖춘 것일 뿐이어도 좋다. 설치하는 위치도 자유이며, 절선부 10m에 따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도 2에 나타낸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파지부재(5)를 들고 운반할 때 등이라도, 간단하게는 분리하기 어렵다. 또한 분리부(25)는 상면부(17d)에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 용기에 수납물을 수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나아가 이 수납 용기를 복수개를 모아서 다른 대형 용기에 수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수납 용기(32)를 대형 용기(33)의 안쪽에 2행 2열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각 수납 용기(32)에 파지부(30)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인접하는 수납 용기(32)와의 사이 및 수납 용기(32)와 대형 용기(33)의 사이에 손가락을 질러 넣어, 수납 용기(32)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들어올려야 할 필요가 있지만, 이 취출 작업은 매우 곤란하다. 이에 대해, 상기 수납 용기(32)에서는 파지부(30)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이 파지부(30)를 잡아 끌어올리는 것만으로, 수납 용기(32)를 대형 용기(33)로부터 쉽게 꺼낼 수 있다. 또한, 대형 용기(33)로부터 수납 용기(32)를 꺼낼 때에, 간극 없이 수용되어 있으므로, 수납 용기(32)끼리나 수납 용기(32)와 대형 용기(33)와의 사이의 마찰력이 크다. 또한, 수용 용기(32)에 수납하고 있는 수납물의 중량의 영향도 있다. 이 때문에, 파지부(30)에는 큰 하중이 작용한다. 그러나, 파지부(30)는 상면부 17b 및 17d의 양쪽에 장착되어 있고,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수납 용기(32)에 대한 파지부(30)의 연결 부분이 한 쪽의 상면부만의 경우와 같이, 하중이 집중하여 파손되기 어렵다.
1 ... 몸통부
2 ... 밑부분
3 ... 천정부
4 ... 용기 본체
5 ... 파지부재
6 ... 앞(표면) 라이너
7 ... 뒷(이면) 라이너
8 ... 중심
9a ~ 9d ... 측면부
10a ~ 10p ... 절선부
11 ... 접착제 부착 부분
12a ~ 12d ... 밑면부
13 ... 바닥 형성부
14 ... 접착부
15 ... 삼각형부
16 ... 노치(notch)
17a, 17c ... 상면부(보조 연재부)
17b ... 상면부(제2 연재부)
17d ... 상면부(제1 연재부)
18 ... 슬릿(slit)
19 ... 경사부
20 ... 절곡부
21 ... 제1 관통구멍
22 ... 제1 직선부
23 ... 제2 직선부
24 ... 박육부
25 ... 분리부
26 ... 탭(tab)
27 ... 제2 관통구멍
28 ... 제1 직선부
29 ... 제2 직선부
30 ... 파지부
31 ... 장착부
32 ... 수납 용기
33 ... 대형 용기

Claims (7)

  1. (a) 중공 통형의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일단 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밑부분, 및
    상기 몸통부의 타단 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천정부를 가지며,
    상기 천정부는, 상기 타단 측 개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재부 및 제2 연재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연재부 또는 상기 제2 연재부 중 어느 쪽인가 한 쪽에 선단부분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b) 상기 제1 연재부 및 상기 제2 연재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연재부 및 상기 제2 연재부를 상기 타단 측 개구부로부터 개방 불가능으로 하고, 또한 상기 분리부가 형성된 연재부에서는 상기 분리부보다도 선단측에 장착되는 장착부, 및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를 가지는 파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재부에는 제1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연재부에는, 상기 제1 연재부에 대하여 외면측에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2 관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1 관통구멍에 삽입, 관통하여 빠지지 않게 되고,
    상기 용기 본체는 골판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연재부는, 상기 제1 관통구멍을 포함한 소정 영역이 다른 부분보다도 얇은 박육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타단 측 개구부는 직사각형 모양이고,
    상기 제1 연재부는, 상기 타단 측 개구부의 대향하는 한 조의 한 변으로부터 연재하여 상기 타단 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안쪽 덮개이며,
    상기 제2 연재부는, 상기 타단 측 개구부의 대향하는 한 조의 다른 변으로부터 연재하여 적어도 상기 제1 연재부의 일부를 덮는 윗쪽 덮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구멍은,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제1 직선부와, 상기 제1 직선부에 각각 교차하여 형성된 제2 직선부로 구성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파지부의 양단부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1 관통구멍의 제1 직선부를 삽입, 관통하여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타단 측 개구부의 대향하는 나머지 한 조의 각 변으로부터 연재하는 보조 연재부를 각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연재부는, 상기 용기 본체와는 절선부를 통하여 연접되어, 안쪽으로 절곡력이 작용하면, 상기 절선부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와 소정 각도를 이루어 절곡되고, 상기 제1 연재부로 용기 본체의 타단 측 개구부를 폐쇄할 때에, 폐쇄 위치까지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KR1020187001838A 2015-08-19 2016-06-22 수납 용기 Active KR102513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61721A JP6894183B2 (ja) 2015-08-19 2015-08-19 収納容器
JPJP-P-2015-161721 2015-08-19
PCT/JP2016/068482 WO2017029879A1 (ja) 2015-08-19 2016-06-22 収納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225A KR20180042225A (ko) 2018-04-25
KR102513308B1 true KR102513308B1 (ko) 2023-03-22

Family

ID=5805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1838A Active KR102513308B1 (ko) 2015-08-19 2016-06-22 수납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435196B2 (ko)
EP (1) EP3339203A4 (ko)
JP (1) JP6894183B2 (ko)
KR (1) KR102513308B1 (ko)
CN (1) CN107922082B (ko)
HK (1) HK1249490A1 (ko)
TW (1) TWI675784B (ko)
WO (1) WO20170298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4639S1 (en) * 2019-02-28 2022-03-01 Persephone Biosciences, Inc. Collection contai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563Y1 (ko) * 2003-12-03 2004-03-12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의료용품 종이상자
US20070175970A1 (en) * 2006-01-27 2007-08-02 Benq Corporation Handle structure for carton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8620A (en) * 1982-08-13 1985-02-12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Carton with carrying handle
JPS6386014A (ja) 1986-09-30 1988-04-16 Hitachi Ltd キ−ボ−ド装置
JPS6386014U (ko) * 1986-11-26 1988-06-04
JPS6476408A (en) 1987-09-17 1989-03-22 Canon Denshi Kk Production of magnetic head
JPH0176408U (ko) * 1987-11-10 1989-05-23
DE4037000A1 (de) 1990-11-21 1992-05-27 Wolfensberger Ag Tragfaltschachtel
US5106015A (en) 1991-07-15 1992-04-21 American Colloid Company Container
JP3030947B2 (ja) 1991-08-02 2000-04-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オイルレベルセンサ
JPH0534186U (ja) * 1991-10-02 1993-05-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鉛蓄電池の梱包体
AT399701B (de) * 1992-07-03 1995-07-25 Neupack Gmbh Faltschachtelverschluss
JP2540437B2 (ja) 1993-06-25 1996-10-02 隆文 浦野 海苔エキス食品
JPH078213U (ja) * 1993-07-12 1995-02-03 石崎産業株式会社 段ボール箱組立て用の包装資材
US20050139626A1 (en) * 2003-04-04 2005-06-30 Owens John R. Newsprint dispensing device
KR20080004893U (ko) * 2007-04-20 2008-10-23 손영길 물품 포장용 상자
JP5690762B2 (ja) 2012-02-28 2015-03-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包装箱
US10358254B2 (en) * 2015-03-09 2019-07-23 Fisher Clinical Services, Inc. Zipper carton assemblies for blinded clinical trials and methods of assembly and use
JP1556682S (ko) * 2015-10-06 2016-08-22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563Y1 (ko) * 2003-12-03 2004-03-12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의료용품 종이상자
US20070175970A1 (en) * 2006-01-27 2007-08-02 Benq Corporation Handle structure for cart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94183B2 (ja) 2021-06-30
CN107922082A (zh) 2018-04-17
KR20180042225A (ko) 2018-04-25
JP2017039508A (ja) 2017-02-23
US20190009945A1 (en) 2019-01-10
TWI675784B (zh) 2019-11-01
CN107922082B (zh) 2022-08-12
EP3339203A4 (en) 2019-01-16
US10435196B2 (en) 2019-10-08
EP3339203A1 (en) 2018-06-27
WO2017029879A1 (ja) 2017-02-23
HK1249490A1 (zh) 2018-11-02
TW201718352A (zh)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68940A1 (en) Packaging For Medical Devices
EP3015389A1 (en) Packaging
WO2014022764A1 (en) Carton and carton blank for forming a carton
JP2016098027A (ja) ラップアラウンドケース
KR102513308B1 (ko) 수납 용기
US4133427A (en) Arrow package
US5366083A (en) Packing and storing receptacle, particularly for knitting machine needles
JP3206118U (ja) 包装容器
JP2017095136A (ja) 包装箱
ES3004483T3 (en) Holding device for containers, more particularly cans, blank for same and multipack having same
EP3015386B1 (en) Child resistant packaging for blister card
JP3215759U (ja) フラップ付包装箱
JP3190696U (ja) 包装箱
JP7215914B2 (ja) 包装箱
JP5149642B2 (ja) 書類収納箱
JP2018162096A (ja) 袋体収納カートン
US20140346083A1 (en) Container for packaging paper sheets, and paper sheet package body
US8141771B2 (en) Packaging carton box structure
JP6507766B2 (ja) 包装箱
JP5567609B2 (ja) 段ボール製包装箱の封緘構造
JP6507765B2 (ja) 包装箱
KR200339435Y1 (ko) 포장용 상자
JP4708225B2 (ja) 把手孔構造および該把手孔構造を用いた包装箱
JP7463770B2 (ja) 包装箱
JP2005289490A (ja) 段ボール製梱包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3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