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10130B1 -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130B1
KR102510130B1 KR1020220063848A KR20220063848A KR102510130B1 KR 102510130 B1 KR102510130 B1 KR 102510130B1 KR 1020220063848 A KR1020220063848 A KR 1020220063848A KR 20220063848 A KR20220063848 A KR 20220063848A KR 102510130 B1 KR102510130 B1 KR 102510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ed
coupling
groove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동익
Original Assignee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20063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13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7Supporting consoles, e.g. adjustable on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ing elements, not extending through the covering
    • E04F13/0844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ing elements, not extending through the covering with means piercing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 전면에 마감재인 석재판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며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석재판의 두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설치가 이루어진 석재판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판 형상으로,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의 연결홈이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과 인접한 전면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의 내측 중심부에는 결합나사산이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구비된 고정판과,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고정홈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장형의 가이드공이 형성된 연결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볼트를 통하여 고정판의 전면에 설치 위치가 조절되게 결합되는 연결브라켓과, 상기 연결판이 삽입되는 지지홈이 후면 중심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과 대응되는 상면에는 상기 지지홈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에는 상기 연결판이 지지홈에 삽입될 시, 상기 연결판과 지지홈의 설치 위치를 고정 시키는 체결수단이 결합되고, 전면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상, 하면에는 석재판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핀이 마주보게 구비된 석재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과 연결브라켓이 결합을 이룰 시,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의 결합 위치 조절에 따라, 연결브라켓의 설치 위치가 조절되고,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볼트가 결합나사산에 결합되어 고정판과 연결브라켓의 결합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브라켓과 석재지지판이 결합을 이룰 시, 상기 지지홈에 연결판의 삽입 위치가 조절되어 삽입된 후,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수단을 통하여 연결브라켓과 석재지지판의 결합 위치가 고정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A fixing device of slate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의 벽체 전면에 마감재인 석재판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며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석재판의 두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설치가 이루어진 석재판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외벽에는 건축물의 외벽을 보호하거나, 건축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하여 석재판이 설치된다.
상기 석재판은 건축물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경우, 건축물에 부착되게 설치되는 경우도 있으나, 석재판 고정장치 등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에서 일정 간격 이격 되도록 설치된다.
이는 즉, 건축물의 외벽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직접 부착하는 방법과, 설명한 석재판 고정장치 등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석재판이 위치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건축물의 외벽에 석재판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석재판의 설치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석재판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쉽게 교체하며 사용을 이루기는 어려워 최근에는 석재판 고정장치 등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에 복수개의 설치판을 설치할 수 있는 석재판 고정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석재판 고정구는,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 석재판의 위치를 조절하며 설치를 이루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어, 석재판의 설치 과정이 손쉽게 이루어지기 힘이든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석재판의 설치 과정에서 석재판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설치를 이루기 힘이 들어 석재판 설치작업의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등록실용 제20-0358585호(2004.08.0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의 외벽에 석재판의 설치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하며 안정적인 설치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복잡한 구성 없이도 고정판의 전면에 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여 석재판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석재판 설치 작업의 전체적인 작업 효율성을 확보하고, 석재판 설치 과정에서의 전체적인 작업비용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석재판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며 설치를 이룰 수 있어 건축물의 외벽 형상이 변화되는 경우에도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설치와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석재지지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석재판의 두께가 변화되는 경우에도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석재판의 설치와, 설치 위치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결합, 분리 가능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쉽게 교체하며 사용을 이룰 수 있고, 이에 따른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판 형상으로,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의 연결홈이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과 인접한 전면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의 내측 중심부에는 결합나사산이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구비된 고정판과,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고정홈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장형의 가이드공이 형성된 연결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볼트를 통하여 고정판의 전면에 설치 위치가 조절되게 결합되는 연결브라켓과, 상기 연결판이 삽입되는 지지홈이 후면 중심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과 대응되는 상면에는 상기 지지홈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에는 상기 연결판이 지지홈에 삽입될 시, 상기 연결판과 지지홈의 설치 위치를 고정 시키는 체결수단이 결합되고, 전면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상, 하면에는 석재판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핀이 마주보게 구비된 석재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과 연결브라켓이 결합을 이룰 시,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의 결합 위치 조절에 따라, 연결브라켓의 설치 위치가 조절되고,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볼트가 결합나사산에 결합되어 고정판과 연결브라켓의 결합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브라켓과 석재지지판이 결합을 이룰 시, 상기 지지홈에 연결판의 삽입 위치가 조절되어 삽입된 후,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수단을 통하여 연결브라켓과 석재지지판의 결합 위치가 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석재지지판은 상기 지지홈을 중심으로 한 양측 상면에 장형을 이루는 한 쌍의 안내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에는 상기 고정핀에 결합된 석재판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구가 더 결합되며, 상기 지지구는 하단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의 상면에 위치되는 박스 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안내공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공에 결합되는 가이드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공에 지지구가 결합 될 시, 상기 안내공에 삽입되는 가이드볼트의 조절에 따라, 상기 지지판의 설치 위치가 조절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건축물의 외벽에 석재판의 설치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하며 안정적인 설치를 이룰 수 있다.
둘째, 복잡한 구성 없이도 고정판의 전면에 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여 석재판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석재판 설치 작업의 전체적인 작업 효율성을 확보하고, 석재판 설치 과정에서의 전체적인 작업비용 절감을 이룰 수 있다.
셋째,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석재판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며 설치를 이룰 수 있어 건축물의 외벽 형상이 변화되는 경우에도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설치와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넷째, 석재지지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석재판의 두께가 변화되는 경우에도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석재판의 설치와, 설치 위치 고정을 이룰 수 있다.
다섯째, 결합, 분리 가능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쉽게 교체하며 사용을 이룰 수 있고, 이에 따른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다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의 연결브라켓과 석재지지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의 고정판과 연결브라켓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에 석재판이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고정판의 방향에서 석재지지판의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전면이라 하고, 석재지지판에서 고정판의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후면이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판 형상으로,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의 연결홈(11)이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11)과 인접한 전면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홈(12)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11)의 내측 중심부에는 결합나사산(13a)이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돌기(13)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구비된 고정판(10)과, 상기 결합돌기(13)가 결합되는 고정홈(21a)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홈(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판(21)과, 상기 결합판(21)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장형의 가이드공(22a)이 형성된 연결판(22)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홈(21a)에 결합되는 볼트(P)를 통하여 고정판(10)의 전면에 설치 위치가 조절되게 결합되는 연결브라켓(20)과, 상기 연결판(22)이 삽입되는 지지홈(31)이 후면 중심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22a)과 대응되는 상면에는 상기 지지홈(31)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체결공(32)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32)에는 상기 연결판(22)이 지지홈(31)에 삽입될 시, 상기 연결판(22)과 지지홈(31)의 설치 위치를 고정 시키는 체결수단(33)이 결합되고, 전면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상, 하면에는 석재판(1)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핀(34)이 마주보게 구비된 석재지지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1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전면에 형성된 결합홈(12)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건축물의 외벽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10)은 도 1에서와 같이, 전면에 수직 방향을 이루는 복수개의 연결홈(11)이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이격되게 형성되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연결브라켓(20)이 상기 연결홈(11)에 삽입되어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홈(11)의 내측 중심 부위에는 결합나사산(13a)이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돌기(13)가 연결홈(11)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3)는 상기 연결홈(11)에 연결브라켓(20)이 밀착되게 설치를 이루는 경우, 상기 연결브라켓(20)의 설치 위치를 고정 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브라켓(20)은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0)의 전면에 결합되는 위치가 조절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돌기(13)가 결합을 이루는 고정홈(21a)이 대응되게 형성된 결합판(21)과, 상기 결합판(21)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장형의 가이드공(22a)이 형성된 연결판(22)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판(21)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홈(21a)으로 고정판(10)의 결합돌기(13)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결합판(21)이 연결홈(11)의 전면에 설치를 이루는 경우, 상기 고정홈(21a)에 결합되는 결합돌기(13)의 위치 조절에 따라, 상기 고정판(10)의 연결홈(11)에 설치되는 연결브라켓(2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며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21a)에 결합돌기(13)가 결합을 이룬 후에는 고정홈(21a)에 삽입되는 볼트(P)가 결합돌기(13)의 결합나사산(13a)에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도 2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고정판(10)의 연결홈(11)에 연결브라켓(20)의 결합판(21)이 결합을 이룬 후에는 고정판(10)과 연결브라켓(20)의 결합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판(22)은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판(21)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가이드공(22a)이 형성되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석재지지판(30)의 후면에 상기 연결판(22)이 견고하게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석재지지판(30)은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브라켓(20)을 이루는 연결판(22)에 결합되는 것으로, 후면 중심 부위에 형성된 지지홈(31)으로 연결판(2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도 4에서와 같이, 연결판(22)과 지지홈(31)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며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홈(31)에 연결판(22)이 결합을 이룬 후에는 상기 지지홈(31)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체결공(32)으로 체결수단(33)을 결합하고, 상기 체결공(32)에 결합을 이룬 체결수단(33)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지지홈(31)과 연결판(22)의 결합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33)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체결공(32)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홈(31)에 결합을 이루는 연결판(22)의 결합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공(32)에 결합을 이루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결합을 이루는 너트로 도시하여 설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석재지지판(30)은 전면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상, 하면으로 한 쌍의 고정핀(34)이 마주보게 구비됨으로써,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석재지지판(30)의 상, 하 부위로 석재판(2)의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석재지지판(30)은 상기 지지홈(31)을 중심으로 한 양측 상면에 장형을 이루는 한 쌍의 안내공(35)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안내공(35)에는 상기 고정핀(34)에 결합된 석재판(1)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구(4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지지구(40)는 하단에 삽입공(41a)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35)의 상면에 위치되는 박스 형상의 지지판(41)과, 상기 안내공(35)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공(41a)에 결합되는 가이드볼트(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안내공(35)에 지지구(40)가 결합을 이루는 경우, 상기 안내공(35)에 삽입되는 가이드볼트(42)의 조절에 따라, 상기 지지판(41)의 설치 위치가 조절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석재고정판(30)의 상, 하 부위로 석재판(2)이 결합 될 시, 상기 안내공(35)에 결합되는 지지구(4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여 지지구(40)를 이루는 지지판(41)의 전면이 석재판(3)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석재지지판(30)의 고정핀(34)에 결합된 석재판(2)이 외부 환경에 의하여 그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즉, 상기 안내공(35)에 지지구(40)가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는 상기 석재지지판(30)의 고정핀(34)에 결합되는 석재판(2)의 두께 변화에 따라, 상기 지지구(40)의 설치 위치를 사용자가 조절함으로써, 석재판(2)의 후면에 지지판(41)의 전면이 견고하게 밀착되어 석재판(2)의 설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벽체 2: 석재판
10: 고정판 11: 연결홈
12: 결합홈 13: 결합돌기
13a: 결합나사산 20: 연결브라켓
21: 결합판 21a: 고정홈
22: 연결판 22a: 가이드공
30: 석재지지판 31: 지지홈
32: 체결공 33: 체결수단
34: 고정핀 35: 안내공
40: 지지구 41: 지지판
41a: 삽입공 42: 가이드볼트
P: 볼트

Claims (2)

  1. 판 형상으로,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의 연결홈(11)이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11)과 인접한 전면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홈(12)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11)의 내측 중심부에는 결합나사산(13a)이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돌기(13)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구비된 고정판(10)과,
    상기 결합돌기(13)가 결합되는 고정홈(21a)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홈(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판(21)과, 상기 결합판(21)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장형의 가이드공(22a)이 형성된 연결판(22)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홈(21a)에 결합되는 볼트(P)를 통하여 고정판(10)의 전면에 설치 위치가 조절되게 결합되는 연결브라켓(20)과,
    상기 연결판(22)이 삽입되는 지지홈(31)이 후면 중심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22a)과 대응되는 상면에는 상기 지지홈(31)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체결공(32)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32)에는 상기 연결판(22)이 지지홈(31)에 삽입될 시, 상기 연결판(22)과 지지홈(31)의 설치 위치를 고정 시키는 체결수단(33)이 결합되고, 전면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상, 하면에는 석재판(1)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핀(34)이 마주보게 구비된 석재지지판(3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10)과 연결브라켓(20)이 결합을 이룰 시, 상기 고정홈(21a)에 결합되는 결합돌기(13)의 결합 위치 조절에 따라, 연결브라켓(20)의 설치 위치가 조절되고, 상기 고정홈(21a)에 결합되는 볼트(P)가 결합나사산(13a)에 결합되어 고정판(10)과 연결브라켓(20)의 결합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브라켓(20)과 석재지지판(30)이 결합을 이룰 시, 상기 지지홈(31)에 연결판(22)의 삽입 위치가 조절되어 삽입된 후, 상기 체결공(32)에 결합되는 체결수단(33)을 통하여 연결브라켓(20)과 석재지지판(30)의 결합 위치가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지지판(30)은 상기 지지홈(31)을 중심으로 한 양측 상면에 장형을 이루는 한 쌍의 안내공(35)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35)에는 상기 고정핀(34)에 결합된 석재판(1)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구(40)가 더 결합되며,
    상기 지지구(40)는 하단에 삽입공(41a)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35)의 상면에 위치되는 박스 형상의 지지판(41)과,
    상기 안내공(35)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공(41a)에 결합되는 가이드볼트(42)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공(35)에 지지구(40)가 결합 될 시, 상기 안내공(35)에 삽입되는 가이드볼트(42)의 조절에 따라, 상기 지지판(41)의 설치 위치가 조절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KR1020220063848A 2022-05-25 2022-05-25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Active KR102510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848A KR102510130B1 (ko) 2022-05-25 2022-05-25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848A KR102510130B1 (ko) 2022-05-25 2022-05-25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130B1 true KR102510130B1 (ko) 2023-03-15

Family

ID=8551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848A Active KR102510130B1 (ko) 2022-05-25 2022-05-25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1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392B1 (ko) * 2023-03-14 2024-01-15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KR102666793B1 (ko) 2023-10-11 2024-05-20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722A (ko) * 2000-05-17 2001-11-29 김안수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KR200358585Y1 (ko) 2004-05-17 2004-08-09 오태훈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KR101869695B1 (ko) * 2018-01-29 2018-06-21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102221243B1 (ko) * 2020-08-11 2021-03-02 주식회사 푸름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722A (ko) * 2000-05-17 2001-11-29 김안수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KR200358585Y1 (ko) 2004-05-17 2004-08-09 오태훈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KR101869695B1 (ko) * 2018-01-29 2018-06-21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102221243B1 (ko) * 2020-08-11 2021-03-02 주식회사 푸름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392B1 (ko) * 2023-03-14 2024-01-15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KR102666793B1 (ko) 2023-10-11 2024-05-20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0130B1 (ko)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CA3091347A1 (en) Fast fit bracket assembly
KR102811829B1 (ko) 내진 기능을 가지는 건축용 마감패널
KR102221243B1 (ko)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KR101862992B1 (ko) 벽면 및 천장형 조명장치
KR102559389B1 (ko)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US202000411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kitchen cooktop units
KR102491454B1 (ko)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
KR20120099309A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CN215888734U (zh) 一种用于装配式墙板的安装装置
KR101888561B1 (ko) 픽셀 월
CN209874339U (zh) 一种墙面可调节安装扣
CN213626412U (zh) 板件连接组件及板件连接结构
JPS6234831A (ja) コンビネ−シヨンランプの取付構造
KR20090013136U (ko) 스파이더 브라켓에 설치되는 유리 고정구
CN210713425U (zh) 一种便于整体安装的建筑幕墙用铝板组件
KR101702064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GB2374614A (en) Wall cladding fitting
KR102624392B1 (ko) 건축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KR102689729B1 (ko)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JPH1122145A (ja) 表面装飾用重量物化粧板の壁面施工法
KR100470679B1 (ko) 욕실용 천장 패널과 그 시공방법
CN220184382U (zh) 一种石材幕墙安装结构
JP2534434Y2 (ja) 無機発泡板の取り付け構造
KR102841340B1 (ko)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