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08065B1 - 압착 설비를 위한 계측 장치 - Google Patents

압착 설비를 위한 계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065B1
KR102508065B1 KR1020180097866A KR20180097866A KR102508065B1 KR 102508065 B1 KR102508065 B1 KR 102508065B1 KR 1020180097866 A KR1020180097866 A KR 1020180097866A KR 20180097866 A KR20180097866 A KR 20180097866A KR 102508065 B1 KR102508065 B1 KR 102508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measurement
pressure
various embodiments
measu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128A (ko
Inventor
박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7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06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06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61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industrial machines or actuators
    • G01L5/0076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manufacturing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01B7/34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for measuring even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 G01L19/083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electr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계측 장치는, 제1면, 제1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면 및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내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압력 측정 센서와, 상기 하우징의 공간내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평탄도 측정 센서 및 상기 복수의 평탄도 측정 센서 및/또는 상기 압력 측정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측정값을 출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압착 설비를 위한 계측 장치{MEASURING DEVICE FOR PRESS EQUIPMEN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압착 설비를 위한 계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를 제조하는 제조 장비는 두 전자 부품을 물리적 가압력에 의해 결합시키는 압착 장치(예: 합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압착 장치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를 하우징에 결합하거나, 하우징간의 조립을 수행하거나, 방수를 목적으로 실링 부재를 사이에 두고 하우징과 하우징 또는 하우징과 디스플레이의 열 압착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압착 장치는 허용 오차 범위 이내의 압착력 및 압착 시, 이동 스테이지의 우수한 평탄도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압착 설비는 하부 스테이지 및 하부 스테이지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하부 스테이지에는 조립용 지그(jig)가 배치될 수 있으며, 해당 지그에 결합을 위한 부분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부 스테이지가 하강하여 일정 가압력을 압착력을 제공함으로써 전자 부품들간의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압착 장치는 허용 오차 범위내의 가압력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오랜 사용, 결합 부품들에 대한 가압력 변경 설정 등을 이유로 주기적인 압력 측정이 요구되며, 상부 스테이지의 영역별 고른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평탄도 측정 역시 필수적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 압착 설비를 위한 압력 측정 장치는 예컨대, 별도로 마련되는 로드셀을 스테이지 사이에 개재시켜 측정함으로써 측정하기 번거롭고, 복수의 전기선이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더욱이, 압착 설비를 위하여 평탄도를 측정하는 전문 장비가 존재하지 않으며, 스테이지의 행정 거리에 대한 측정을 위하여 GO/NO 지그(jig)를 사용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압착 설비를 위한 계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측정 및 평탄도 측정을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압착 설비를 위한 계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측정 및 평탄도 측정을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하면서 휴대성이 강화된 압착 설비를 위한 계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계측 장치는, 제1면, 제1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면 및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내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압력 측정 센서와, 상기 하우징의 공간내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평탄도 측정 센서 및 상기 복수의 평탄도 측정 센서 및/또는 상기 압력 측정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측정값을 출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착 설비를 위한 압력 및 평탄도 측정이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되고, 측정 결과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휴대성이 용이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계측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압착 설비에 계측 장치가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의 보조 누름판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계측 장치(1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계측 장치(100)는 적어도 일면에 적어도 일부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압력 측정 센서(111) 및 복수의 평탄도 측정 센서(1121, 1122, 1123, 112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계측 장치는 제1면(110)(예: 상면), 제1면(110)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면(120)(예: 저면) 및 제1면(110)과 제2면(120)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130)갖는 하우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계측 장치(100)는 압착 설비에 적용되어 일정값 이상의 압력을 인가받기 때문에 이를 견딜 수 있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면(110)에는 복수의 장치 정렬용 홈(114)이 배치되어 계측 장치(100)가 압착 설비의 정확한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유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측정 센서(111)는 계측 장치의 내부 공간에서 적어도 일부가 제1면(110)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측정 센서(111)는 상부에서 이동하는 압착 설비의 상부 스테이지의 압력을 원활히 측정하기 위하여 대체적으로 제1면(1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측정 센서(111)는 로드셀(load cell)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평탄도 측정 센서(1121, 1122, 1123, 1124)는 계측 장치(100)의 내부 공간에서 적어도 일부가 제1면(110)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평탄도 측정 센서(1121, 1122, 1123, 1124)는 제1면(110)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평탄도 측정 센서(1121, 1122, 1123, 1124)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계측 장치(100)의 제1면(110)에서 4개소의 평탄도 측정 센서(1121, 1122, 1123, 1124)가 각 모서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평탄도 측정 센서(1121, 1122, 1123, 1124)는 제1면의 상부에서 이동하는 압착 설비의 상부 스테이지의 각 영역별 실제 행정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3개소 또는 5개소 이상이 고르게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평탄도 측정 센서(1121, 1122, 1123, 1124)는 계측 장치(100)의 크기 또는 제1면(1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개 수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평탄도 측정 센서(1121, 1122, 1123, 1124)는 물리적 접촉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계측 장치(100)는 제1면(110)에 노출된 압력 측정 센서(111)의 주변에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조 누름판(1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누름판(113)은 압력 측정 센서(111)의 상부로 회동되어 압착 설비의 상부 스테이지를 수용함으로써 압력 측정 센서(111)의 측정 높이를 보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계측 장치(100)는 측면(130) 중 제1측면(1301)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311, 1312), 디스플레이(1311, 1312)의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장치(132) 및 인디케이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311, 1312)는 압력 측정 센서(111)로부터 측정된 압력 측정값 및/또는 평탄도 측정 센서(1121, 1122, 1123, 1124)로부터 측정된 평탄도 측정값을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키 입력 장치(132)는 복수의 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키 입력 장치(132)는 압력 및 평탄도 측정을 위한 초기 설정값을 결정하기 위한 설정 버튼, 교정(calibration) 버튼, 방향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디케이터(133)는 계측 장치(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디케이터(133)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충전량에 따라 다른 색상이 발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계측 장치(100)는 측면(130) 중 제1측면(1301)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측면(1302)에 배치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 포트(134), 전원 버튼(135), 인디케이터(136) 및 손잡이(137)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커넥터 포트(134)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계측 장치(100)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포트로 사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커넥터 포트(134)는 외부 전자 장치(예: 측정용 모니터링 장치)와 데이터(예: 압력 및 평탄도 측정값)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포트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커넥터 포트(134)는 데이터(예: 압력 및 평탄도 측정값)를 제공받는 외부 메모리 장치(예: USB 메모리)의 접속 포트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버튼(135)은 계측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계측 장치(100)는 별도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로써,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원 버튼(135)을 이용하여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137)는 계측 장치(100)의 휴대가 용이하도록 제2측면(1302)에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또 다른 손잡이가 제1측면(1301) 또는 다른 측면에 배치되어, 두 손잡이를 마주 잡고 계측 장치(100)를 이동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디케이터(136)는 계측 장치(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량 알림 상태를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디케이터(136)는 인터페이스 커넥터 포트(134)와 접속되는 다양한 접속 방식에 대응하는 알림을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3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의 계측 장치(300)는 도 1의 계측 장치(10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계측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계측 장치(300)(예: 도 1의 계측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 압력 측정 센서(311)(예: 도 1의 압력 측정 센서(111)), 복수의 평탄도 측정 센서(3211, 3212, 3213, 3214)(예: 도 1의 평탄도 측정 센서(1121, 1122, 1123, 1124)), 디스플레이(330)(예: 도 1의 디스플레이(1311, 1312), 인디케이터(340)(예: 도 1 및 도 2의 인디케이터(133, 136)), 키 버튼(350)(예: 도 1의 키 입력 장치(132)), 배터리(360), 인터페이스 커넥터 포트(370)(예: 도 2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포트(134)), 무선 통신 모듈(380) 및 메모리(39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압력 측정 센서(311) 및 복수의 평탄도 측정 센서(3211, 3212, 3213, 3214)를 통해 제공 받은 측정값을 분석하고, 분석된 측정값을 디스플레이(330)를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분석된 측정값을 계측 장치(300)에 포함된 음향 출력 장치(예: 스피커 장치)(미도시 됨)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키 버튼(350)을 통해 입력된 입력값을 기반으로 압력 측정 센서(311) 및 평탄도 측정 센서(3211, 3212, 3213, 3214)의 초기 설정값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계측 장치(300)에 포함된 배터리(360)의 잔량 및/또는 충전량을 검출하고, 이를 인디케이터(340)를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인터페이스 커넥터 포트(370)에 접속된 접속 장치(예: 충전 장치, 메모리 또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검출하고, 접속 장치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무선 통신 모듈(380)을 제어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330)는 압력 측정 센서(311)로부터 측정된 압력 측정값 및/또는 평탄도 측정 센서(3211, 3212, 3213, 3214)로부터 측정된 평탄도 측정값을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3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의 제어하에, 인터페이스 커넥터 포트(370)에 접속된 접속 장치에 관련된 기능을 표시하거나, 키 버튼(350)으로부터 입력된 입력 데이터, 배터리(360)의 잔량 또는 충전량을 표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디케이터(3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로부터 배터리(360)의 잔량 또는 충전량을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360)는 계측 장치(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전원 공급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360)는 충전 가능한 리튬 이온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360)는 인터페이스 커넥터 포트(3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충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커넥터 포트(370)는 외부 전자 장치와 데이터(예: 압력 및 평탄도 측정값)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용 포트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커넥터 포트(370)는 데이터(예: 압력 및 평탄도 측정값)를 제공받는 외부 메모리 장치(예: USB 메모리)의 접속 포트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인터페이스 커넥터 포트(370)에 접속되는 접속 장치를 인식하고, 디스플레이(330)를 통해 접속 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38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는 무선 통신 모듈(380)을 통하여 주변 외부 전자 장치(예: 모니터링 장치 등)에 압력 측정 센서(311) 및/또는 평탄도 측정 센서(3211, 3212, 3213, 3214)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380)은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또는 지그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390)는 계측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센서들(311, 3211, 3212, 3213, 3214)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90)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압착 설비(400)에 계측 장치(100)가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100)는 다양한 압착 설비에 효율적으로 적용되도록 이동 및 휴대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계측 장치(100)는 작업자를 통해 빠르고 신속하게 복수의 압착 설비의 압력값 및 평탄도를 동시에 측정함으로서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계측 장치(100)는 압착 설비(400)에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착 설비(400)는 일정 압착 공간을 갖는 지지 부재(410)와, 지지 부재(410)의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 스테이지(420) 및 하부 스테이지(420)의 상부에서 수직 방향으로(예: ① 방향으로) 왕복 이동을 수행하도록 배치되는 상부 스테이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미도시되었으나, 상부 스테이지(430) 또는 하부 스테이지(420)에는 적용되는 전자 부품들의 압착 또는 합착을 위하여 배치되는 지그(jig)(미도시 됨)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 하부 스테이지(430, 420)의 압력 및 평탄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지그들이 제거된 상태에서 하부 스테이지(420)에 본 발명에 따른 계측 장치(100)가 놓여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계측 장치(100)가 하부 스테이지(420)에 놓이면 제1면(예: 도 1의 제1면(110))은 상부 스테이지(43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부 스테이지(430)는 계측 장치(10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스테이지(430)가 계측 장치(100)의 제1면(110)에 접촉된 후, 일정 가압력으로 가압될 경우, 계측 장치(100)는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10))의 제어를 받아 압력 측정 센서(예: 도 1의 압력 측정 센서(111))에 의해 가압력을 측정하고, 복수의 평탄도 측정 센서(예: 도 1의 평탄도 측정 센서(1121, 1122, 1123, 1124))에 의해 상부 스테이지(430)의 영역별 행정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계측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10))는 상부 스테이지(430)가 기 설정된 압력 범위 이내에서 가압되는지, 각 영역별 행정 거리의 오차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에 따라 압착 설비(400)의 양불 판정을 하고, 이러한 결과 값을 계측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1311))를 통해 출력함으로서, 압착 설비(400)의 올바른 보정을 유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100)의 보조 누름판(113)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계측 장치(100)는 제1면(예: 도 1의 제1면(110))에 노출된 압력 측정 센서(예: 도 1의 압력 측정 센서(111)) 주변에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조 누름판(1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누름판(113)은 사용되지 않을 경우, 계측 장치(100)의 제1면(예: 도 1의 제1면(110))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누름판(113)은 제1면(예: 도 1의 제1면(110))에 형성된 누름판 리세스(recess)(1101)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누름판(113)은, 사용될 경우, 계측 장치(110)의 제1면(예: 도 1의 제1면(110))에서 수직 방향으로(예: 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압력 측정 센서 방향으로(예: ③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조 누름판(113)의 저면과 압력 측정 센서(예: 도 1의 압력 측정 센서(111))는 미세하게 이격될 수 있으며, 상부 스테이지(530)(예: 도 4a의 상부 스테이지(430))가 보조 누름판(113)을 가압할 경우에만 압력 측정 센서(예: 도 1의 압력 측정 센서(111))와 접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계측 장치(100)는 누름판 리세스(1101)에서 좌우로 각각 연장되는 누름판 파지홈(1102, 110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누름판 파지홈(1102, 1103)을 이용하여 제1면(예: 도 1의 제1면(110))과 일치하도록 배치된 보조 누름판(113)의 양측을 잡고 상방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누름판(113)은 압력 측정 센서(예: 도 1의 압력 측정 센서(111))의 상부로 회동되어 압착 설비(500)(예: 도 4a의 압착 설비(400))의 상부 스테이지(530)(예: 도 4의 상부 스테이지(430))를 수용함으로써 압력 측정 센서(예: 도 1의 압력 측정 센서(111))의 측정 높이를 보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계측 장치(예: 도 1의 계측 장치(100))는, 제1면(예: 도 1의 제1면(110)), 제1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면(예: 도 1의 제2면(120)) 및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측면(예: 도 1의 측면(130))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내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압력 측정 센서(예: 도 1의 압력 측정 센서(111))와, 상기 하우징의 공간내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평탄도 측정 센서(예: 도 1의 평탄도 측정 센서(1121, 1122, 1123, 1124)) 및 상기 복수의 평탄도 측정 센서 및/또는 상기 압력 측정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측정값을 출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3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 측정 센서는 상기 제1면의 대체적으로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로드셀(load cell)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탄도 측정 센서는 상기 제1면의 대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된 물리적 접촉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받은 측정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1311, 1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장치(예: 도 1의 키 입력 장치(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예: 도 1의 인디케이터(133) 및 도 2의 인디케이터(136))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계측 장치 내부의 배터리의 잔량 또는 충전량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포트(예: 도 2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포트(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 포트는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포트, 외부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포트 또는 외부 메모리 장치의 접속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계측 장치에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예: 도 3의 배터리(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받은 측정값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예: 도 3의 메모리(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계측 장치의 이동을 위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예: 도 2의 손잡이(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압력 측정 센서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일정 두께를 갖는 보조 누름판(예: 도 1의 보조 누름판(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면에 형성되는 누름판 리세스(예: 도 5의 누름판 리세스(1101))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누름판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면과 일치하도록 상기 누름판 리세스에 안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누름판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누름판 리세스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누름판 파지부(예: 도 5의 누름판 파지부(1102, 1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면 및/또는 제2면에 형성되는 정렬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 정렬홈(예: 도 1의 장치 정렬홈(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측 장치는 압착 설비(예: 도 4a의 압착 설비(400))의 의 압력 및/또는 평탄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착 설비는 하부 스테이지(예: 도 4a의 하부 스테이지(420)) 및 상기 하부 스테이지와 마주보며 하부 스테이지 방향으로 왕복 이동을 하는 상부 스테이지(예: 도 4a의 상부 스테이지(430))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 장치는 상기 하부 스테이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스테이지에 대한 상부 스테이지의 압력 및 평탄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계측 장치 110: 제1면
111: 압력 측정 센서 113: 보조 누름판
120: 제2면 130: 측면
134: 인터페이스 커넥터 포트 1311, 1312 : 디스플레이
1121, 1122, 1123, 1124 : 평탄도 측정 센서

Claims (17)

  1. 계측 장치에 있어서,
    제1면, 제1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면 및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공간내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압력 측정 센서;
    상기 하우징의 공간내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평탄도 측정 센서; 및
    상기 복수의 평탄도 측정 센서 및/또는 상기 압력 측정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측정값을 출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계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 센서는 상기 제1면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로드셀(load cell)을 포함하는 계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도 측정 센서는 상기 제1면에 고르게 분포된 물리적 접촉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를 포함하는 계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받은 측정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계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하는 계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계측 장치 내부의 배터리의 잔량 또는 충전량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를 통해 출력하는 계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포트를 더 포함하는 계측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 포트는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포트, 외부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포트 또는 외부 메모리 장치의 접속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측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계측 장치에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계측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받은 측정값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계측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80097866A 2018-08-22 2018-08-22 압착 설비를 위한 계측 장치 Active KR102508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866A KR102508065B1 (ko) 2018-08-22 2018-08-22 압착 설비를 위한 계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866A KR102508065B1 (ko) 2018-08-22 2018-08-22 압착 설비를 위한 계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128A KR20200022128A (ko) 2020-03-03
KR102508065B1 true KR102508065B1 (ko) 2023-03-09

Family

ID=6993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866A Active KR102508065B1 (ko) 2018-08-22 2018-08-22 압착 설비를 위한 계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0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213B1 (ko) 2016-07-18 2017-02-01 원종우 평탄도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8819B2 (ja) * 1998-01-13 2003-06-23 東芝セラミックス株式会社 プレート平坦度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213B1 (ko) 2016-07-18 2017-02-01 원종우 평탄도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128A (ko)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8030B2 (en) Jaw tool and jaw tool group
US9080851B2 (en) Size inspection device
CN203758659U (zh) 夹紧力测试仪
JP2021074878A (ja) 圧着工具、圧着工具群およびダイ半部分の使用
KR102508065B1 (ko) 압착 설비를 위한 계측 장치
KR20170141254A (ko) 인식 시스템을 포함하는 측정 조립체 및 인식 방법
CN110296782A (zh) 一种涨紧测力仪
CN218865324U (zh) 测力装置
JP6396868B2 (ja) 物理量測定装置
JP2014109468A (ja) 電子秤の防水構造
CN212409670U (zh) 一种汽车双离合器分离间隙检测装置
KR101037700B1 (ko)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
CN211866957U (zh) 治具
CN210533914U (zh) 一种便携式里氏硬度计
TW201500719A (zh) 平面度測試機
CN210664200U (zh) 千分表水平尺寸量测仪
US20230314243A1 (en) Crimping pliers force sensor and crimping pliers
CN213632054U (zh) 数位角度测量仪
KR20150106586A (ko) 전지팩용 굴곡 깊이 측정장치
CN206378235U (zh) 一种蓄电池极群装配压力自动测试机
CN217005611U (zh) 一种机罩壳用异形板结构检测装置
CN212536322U (zh) 一种活塞杆下沉探头检测装置
CN215985507U (zh) 环压边压测试装置
CN219265562U (zh) 夹紧机构的试压装置
CN219475261U (zh) 硬度测试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8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