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7700B1 -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700B1
KR101037700B1 KR1020100099408A KR20100099408A KR101037700B1 KR 101037700 B1 KR101037700 B1 KR 101037700B1 KR 1020100099408 A KR1020100099408 A KR 1020100099408A KR 20100099408 A KR20100099408 A KR 20100099408A KR 101037700 B1 KR101037700 B1 KR 101037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dice
hydraulic
wire
pist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규
주규수
Original Assignee
(주)금호전력
주식회사 금화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호전력, 주식회사 금화전기 filed Critical (주)금호전력
Priority to KR1020100099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70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 H01R43/0421Hand tools for crimping combined with other functions, e.g.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 H01R43/0427Hand tools for crimping fluid actuated hand crim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일측에 유압력에 의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피스톤(11)이 설치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몸체(20)와; 상기 몸체(10)의 전방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11)의 작동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동몸체(30)와; 상기 고정몸체(20)와 이동몸체(30)의 내측에 탈착할 수 있도록 각각 설치되는 압축다이스(21,31)로 이루어지는 유압식 전선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20)와 압축다이스(21) 및 상기 이동몸체(30)와 압축다이스(31)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압축다이스 식별부재(11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다이스(21,31)의 규격에 따라서 상기 피스톤(11)을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력을 측정 또는 조절할 수 있도록 유압력 제어부재(130)가 설치되며, 상기 압축다이스 식별부재(110) 및 유압력 제어부재(1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로 이루어지는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선 및 슬리브의 규격에 맞는 압축다이스를 사용함은 물론 유압의 압축력을 조절하여 압축작업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 및 슬리브의 규격에 따라서 적정의 압축다이스와 압축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부실시공은 물론 안전사고의 원인을 사전에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압축된 전선 및 슬리브를 촬영하여 현재 사용된 압축다이스와 압축력은 물론 촬영된 이미지를 데이터화 함으로써 시각적인 검증수단을 확보하여 압축작업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Compression tool for electric wires hydraulic with verify means compress work}
본 발명은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의 규격에 맞는 압축다이스와 압축력을 적용하여 압축작업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부실시공의 원인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식 전선압축기는 분리된 전선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슬리브를 압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유압식 전선압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일측에 유압력에 의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피스톤(11)이 설치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몸체(20)와; 상기 몸체(10)의 전방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11)의 작동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동몸체(30)와; 상기 고정몸체(20)와 이동몸체(30)의 내측에 탈착할 수 있도록 각각 설치되는 압축다이스(21,31)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슬리브를 상기 압축다이스(21,31)의 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기 압축다이스(31)를 전진시켜 압축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압축다이스(21,31)는 전선 또는 슬리브의 규격(지름)에 맞도록 교체한 후 압축작업을 진행해야 하는데, 이는 압축다이스(21,31)를 일일이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으로 작업자가 압축다이스(21,31)를 교체하지 않고 그냥 압축작업을 진행하므로 부실시공의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상기 피스톤(11)은 항상 동일한 유압의 압축력으로 슬리브를 압축하게 되므로 전선 및 슬리브의 규격에 따라서 균일하고 정확한 압축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전선이 쉽게 단락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슬리브의 압축작업에 대한 시각적인 검증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못하므로 발주처 또는 감리회사에서 정확한 압축작업에 대한 신뢰성 또는 의구심을 배제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선 및 슬리브의 규격에 알맞은 압축다이스 및 압축력을 적용하여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된 전선 및 슬리브를 촬영하여 압축작업에 대한 시각적인 검증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 일측에 유압력에 의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피스톤(11)이 설치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몸체(20)와; 상기 몸체(10)의 전방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11)의 작동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동몸체(30)와; 상기 고정몸체(20)와 이동몸체(30)의 내측에 탈착할 수 있도록 각각 설치되는 압축다이스(21,31)로 이루어지는 유압식 전선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20)와 압축다이스(21) 및 상기 이동몸체(30)와 압축다이스(31)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압축다이스 식별부재(11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다이스(21,31)의 규격에 따라서 상기 피스톤(11)을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력을 측정 또는 조절할 수 있도록 유압력 제어부재(130)가 설치되며, 상기 압축다이스 식별부재(110) 및 유압력 제어부재(1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다이스(21,31)의 작동으로 압축된 전선을 촬영할 수 있도록 촬영부재(12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압축다이스 식별부재(110)는 상기 고정몸체(20) 및 이동몸체(30)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감지센서(111)와; 상기 감지센서(111)와 맞닿아 규격을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압축다이스(21,31)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식별부(1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축다이스 식별부재(110)는 상기 고정몸체(20) 및 이동몸체(30)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근접스위치(111a)와; 상기 근접스위치(111a)가 돌출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압축다이스(21,31)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삽입홈(112a)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압축다이스 식별부재(110)에 연결되어 압축다이스(21,31)의 규격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변환기(141)와, 상기 A/D변환기(141) 및 유압력 제어부재(130)를 통해서 전달받은 신호를 연산처리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142)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42)에서 연산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재(1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선 및 슬리브의 규격에 맞는 압축다이스를 사용함은 물론 유압의 압축력을 조절하여 압축작업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 및 슬리브의 규격에 따라서 적정의 압축다이스와 압축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부실시공은 물론 안전사고의 원인을 사전에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압축된 전선 및 슬리브를 촬영하여 현재 사용된 압축다이스와 압축력은 물론 촬영된 이미지를 데이터화 함으로써 시각적인 검증수단을 확보하여 압축작업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유압식 전선압축기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에서 제어부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에서 제어부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 일측에 유압력에 의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피스톤(11)이 설치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몸체(20)와; 상기 몸체(10)의 전방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11)의 작동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동몸체(30)와; 상기 고정몸체(20)와 이동몸체(30)의 내측에 탈착할 수 있도록 각각 설치되는 압축다이스(21,31)로 이루어지는 유압식 전선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20)와 압축다이스(21) 및 상기 이동몸체(30)와 압축다이스(31)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압축다이스 식별부재(11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다이스(21,31)의 규격에 따라서 상기 피스톤(11)을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력을 측정 또는 조절할 수 있도록 유압력 제어부재(130)가 설치되며, 상기 압축다이스 식별부재(110) 및 유압력 제어부재(1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압축다이스 식별부재(110)는 전선 및 슬리브의 규격에 따라서 알맞은 압축다이스(21,31)를 사용하고 동시에 상기 유압력 제어부재(130)를 작동시켜 적정의 압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전선 및 슬리브의 규격에 관계없이 한 종류의 압축다이스와 압축력을 사용하여 압축작업을 진행할 경우 슬리브의 단락현상은 물론 안전사고의 원인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여 압축작업의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압축다이스 식별부재(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20)와 이동몸체(30)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감지센서(111)와; 상기 감지센서(111)와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압축다이스(21,31)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식별부(1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식별부(112)는 전선 및 슬리브의 규격에 따라서 사용하는 여러 규격의 압축다이스(21,31)를 식별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감지센서(111)가 식별부(112)를 감지하여 현재 장착된 압축다이스(21,31)의 규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식별부(112)는 규격별로 서로 다르게 제작된 자성체 등을 사용하여 상기 감지센서(111)가 이를 감지하여 압축다이스(21,31)의 규격을 식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압축다이스 식별부재(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20)와 이동몸체(30)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근접스위치(111a)와; 상기 근접스위치(111a)가 돌출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압축다이스(21,31)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삽입홈(112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홈(112a)은 압축다이스(21,31)의 규격에 따라서 위치가 각각 상이하게 형성되어 상기 근접스위치(111a)가 삽입홈(112a)의 위치에 따라서 돌출되면서 압축다이스(21,31)의 규격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촬영부재(120)는 압축된 전선 및 슬리브 촬영하여 압축작업에 대한 시각적인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촬영부재(120)는 작업자가 상기 압축다이스(21,31)는 물론 주변환경이 보일 수 있도록 확대 및 축소는 물론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촬영된 이미지를 용이하게 표시 및 저장할 수 있도록 디지털 카메라 또는 디지털 캠코더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촬영부재(120)는 상기 제어부(140)와 연결되어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유압력 제어부재(130)는 상기 압축다이스 식별부재(110)를 통해서 식별된 압축다이스(21,31)의 규격에 따라서 유압의 압축력을 측정 또는 조절하여 정확한 압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압력 제어부재(130)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제어밸브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유압력 제어부재(130)는 외부에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 공급부재(144)와 연결되어 상기 압축다이스(21,31)의 규격에 따라서 유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다이스 식별부재(110)에 연결되어 현재 설치된 압축다이스(21,31)의 규격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변환기(141)와, 상기 A/D변환기(131) 및 유압력 제어부재(130)를 통해서 전달받은 신호를 연산처리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142)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42)에서 연산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재(14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A/D변환기(141)는 상기 압축다이스 식별부재(110)를 통해서 전달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특히 상기 중앙처리장치(142)는 상기 A/D변환기(131)와 촬영부재(120) 및 유압력 제어부재(130)를 통해서 전달받은 신호를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중앙처리장치(142)는 상기 압축다이스 식별부재(110)를 통해서 전달받은 압축다이스(21,31)의 규격을 기준으로 상기 유압력 제어부재(130)를 조절하여 정확한 압축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부재(143)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42)에서 연산처리된 압축다이스(21,31)의 규격과 압축력 및 상기 촬영부재(120)를 통해서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탈부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USB메모리 또는 메모리카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선 및 슬리브의 규격에 알맞은 압축다이스(21,31)를 사용함과 동시에 압축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압축작업을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촬영부재(130)를 통해서 전선 및 슬리브를 촬영하여 압축작업에 대한 시각적인 신뢰성 및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작동하는 유압식 전선압축기에 쉽게 적용하여 활용범위 및 사용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1: 유압식 전선압축기
10: 몸체 11: 피스톤
20: 고정몸체 21: 압축다이스
30: 이동몸체 31: 압축다이스
40: 연결소켓 41: 손잡이
100: 본 발명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
110: 압축다이스 식별부재 111: 감지센서
111a: 근접스위치 112: 식별부
112a: 삽입홈
120: 촬영부재 130: 유압력 제어부재
140: 제어부 141: A/D변환기
142: 중앙처리장치 143: 저장부재
144: 유압 공급부재

Claims (5)

  1. 내부 일측에 유압력에 의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피스톤(11)이 설치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몸체(20)와; 상기 몸체(10)의 전방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11)의 작동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동몸체(30)와; 상기 고정몸체(20)와 이동몸체(30)의 내측에 탈착할 수 있도록 각각 설치되는 압축다이스(21,31)로 이루어지는 유압식 전선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20)와 압축다이스(21) 및 상기 이동몸체(30)와 압축다이스(31)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압축다이스 식별부재(11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다이스(21,31)의 규격에 따라서 상기 피스톤(11)을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력을 측정 또는 조절할 수 있도록 유압력 제어부재(130)가 설치되며, 상기 압축다이스 식별부재(110) 및 유압력 제어부재(1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가 포함되되, 상기 압축다이스 식별부재(110)는 상기 고정몸체(20) 및 이동몸체(30)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감지센서(111)와; 상기 감지센서(111)와 맞닿아 규격을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압축다이스(21,31)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식별부(112)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몸체(20) 및 이동몸체(30)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근접스위치(111a)와; 상기 근접스위치(111a)가 돌출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압축다이스(21,31)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삽입홈(112a)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다이스(21,31)의 작동으로 압축된 전선을 촬영할 수 있도록 촬영부재(12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압축다이스 식별부재(110)에 연결되어 압축다이스(21,31)의 규격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변환기(141)와, 상기 A/D변환기(141) 및 유압력 제어부재(130)를 통해서 전달받은 신호를 연산처리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142)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42)에서 연산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재(1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
KR1020100099408A 2010-10-12 2010-10-12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037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408A KR101037700B1 (ko) 2010-10-12 2010-10-12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408A KR101037700B1 (ko) 2010-10-12 2010-10-12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7700B1 true KR101037700B1 (ko) 2011-05-30

Family

ID=44366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4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7700B1 (ko) 2010-10-12 2010-10-12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7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593B1 (ko) 2018-06-18 2019-01-17 대원산업 주식회사 홀딩 가능 유압 압축기 및 이를 이용한 슬리브 압축 시공 방법
EP3572187A2 (de) * 2018-05-23 2019-11-27 Wezag GmbH Werkzeugfabrik Crimpzange, crimpzangen-netzwerk, verfahren zum vercrimpen
KR20230012262A (ko) 2021-07-15 2023-01-26 한국전력공사 전선압축기의 각인 압축다이스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1363A (ja) * 2002-12-16 2004-07-15 Seiko Epson Corp 電線切断装置
JP2008113513A (ja) * 2006-10-31 2008-05-15 Chudenko Corp 遠隔操作油圧工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1363A (ja) * 2002-12-16 2004-07-15 Seiko Epson Corp 電線切断装置
JP2008113513A (ja) * 2006-10-31 2008-05-15 Chudenko Corp 遠隔操作油圧工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72187A2 (de) * 2018-05-23 2019-11-27 Wezag GmbH Werkzeugfabrik Crimpzange, crimpzangen-netzwerk, verfahren zum vercrimpen
KR101939593B1 (ko) 2018-06-18 2019-01-17 대원산업 주식회사 홀딩 가능 유압 압축기 및 이를 이용한 슬리브 압축 시공 방법
WO2019245174A1 (ko) * 2018-06-18 2019-12-26 대원전기 주식회사 홀딩 가능 유압 압축기 및 이를 이용한 슬리브 압축 시공 방법
KR20230012262A (ko) 2021-07-15 2023-01-26 한국전력공사 전선압축기의 각인 압축다이스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9167B (zh) 手壓鉗
US10513015B2 (en) Crimp tool force monitoring device
JP7097054B2 (ja) プレス工具、圧着工具または切断工具ならびに工具群
US11346732B2 (en) Crimping pliers, group of crimping pliers and use of a die half
US9331447B2 (en) Crimping apparatus having a crimp quality monitoring system
KR101037700B1 (ko) 압축작업의 검증수단을 구비한 유압식 전선압축기
US20080276678A1 (en) To crimping system with integrated monitoring
EP3717175A1 (en) Force adjusting power tool with interchangeable head
TW202025578A (zh) 擠壓工具網絡及用於擠壓工件的方法
WO2014091913A1 (ja) 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CN100595001C (zh) 安装工具及其头盖以及用于检验安装过程的方法
CN110730708A (zh) 压缩或切割工具和用于操作压缩或切割工具的方法
CN116349098A (zh) 用于切割、去绝缘和/或压接电导体的工具套件
US11517959B2 (en) Portable hydraulic power tool
KR102142626B1 (ko)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
CN110561767B (zh) 一种扣压机控制系统及扣压机
CN101625272A (zh) 一种汽车仪表指针安装状态检测方法和装置
CN112904839A (zh) 一种机器人充电对接检测方法、装置、自主充电机器人
CN107681410B (zh) 一种免换模压接工具
US11597065B2 (en) Pressure measuring device for crimping tool
US9353823B2 (en)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the state of charge of a gas spring
JP2009056470A (ja) プレス方法および該方法を用いるプレス装置
CN209117481U (zh) 测试工装
US10801631B2 (en) Pressure-limiting unit for a pressure booster as well as a pressure booster for driving hydraulic tools
CN106439130B (zh) 一种先导式安全阀的检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8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05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