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99584B1 -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584B1
KR102499584B1 KR1020220071499A KR20220071499A KR102499584B1 KR 102499584 B1 KR102499584 B1 KR 102499584B1 KR 1020220071499 A KR1020220071499 A KR 1020220071499A KR 20220071499 A KR20220071499 A KR 20220071499A KR 102499584 B1 KR102499584 B1 KR 102499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urea
insulation
eco
he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희
Original Assignee
김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희 filed Critical 김종희
Priority to KR1020220071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5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25Polyamines
    • C08G18/3237Polyamines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6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prepar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and/or lactones
    • C08G18/4269Lactones
    • C08G18/4277Caprolactone and/or substituted caprolact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50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5021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bound to another nitrogen atom
    • C08K5/24Derivatives of hydraz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기(NCO) 함유율이 15 ~ 20%인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Isocyanate Prepolymer) 30 ~ 60 중량%와, 1,6-다이소시아나토헥산 및 1,6-헥산디올을 갖는 2-옥세파논 중합체(2-Oxepanone polymer with 1,6-diisocyanatohexane and 1,6-hexanediol) 10 ~ 30 중량%, 산화티타늄 10 ~ 20 중량%, 산화아연(ZnO) 1 ~ 10 중량%, 가소제 1 ~ 5 중량%로 조성된 주제와; 분자량 1,000 ~ 5,000 g/mol의 폴리에테르아민(Polyetheramine) 60 ~ 80 중량%와, 폴리디에틸톨루엔디아민 (Diethytoluenediamine) 10 ~ 20 중량%과, 페닐하이드라진 접착증진제 1 ~ 5 중량%와, 소포제 0.5 ~ 5 중량%와, 알루미늄 페이스트(Aluminium paste) 5 ~ 15 중량%로 조성된 경화제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조물 표면에 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주제와 경화제가 각각 별도의 노즐을 통해 동일 영역에동시 분사되어 경화되는 2액형 형태로서, 차열소재가 포함되고 각 고분자 원료가 최적으로 배합되어 내수성, 내구성, 차열 성능, 단열성능이 우수하여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수분에 의한 수증기 기화현상을 억제시켜 주어 건축물의 수명 연장시키는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ENVIRONMENT-FRIENDLY POLYUREA AND WATERPROOF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열소재가 포함되고 각 고분자 원료가 최적으로 배합되어 내수성, 내구성, 차열 성능, 단열성능이 우수하여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수분에 의한 수증기 기화현상을 억제시켜 주어 건축물의 수명 연장시키는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출 방수는 우레탄 방수나 탄성 도막 방수 등으로 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확보하여 방수성능을 유지시키고 있으나, 전면 접착을 함으로서 구조체의 거동 반응에 따른 방수층의 파단이나 절단이 발생되며 탄성 제품의 특성으로 인한 통기성의 확보가 어려워 콘크리트, 몰탈 등의 수분 함유에 따른 증기발생이나 실내 생활에 의에 발생되는 수증기가 증발되지 못하며, 도막방수층의 하부에 잔류함으로써 콘크리트나 몰탈의 부식이 진행되어 부식된 콘크리트나 몰탈의 상부와 도막층이 함께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 종류의 방수 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몰탈 액체방수, 수용성 또는 유용성의 도막방수, 아스팔트 방수 및 시트 방수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시트방수는 신축성이 우수한 합성 고무나 합성수지 또는 고무화 아스팔트 등을 주원료로 하여 일정 규격의 방수시트를 제작하고 이러한 시트 형상의 방수재를 바탕면에 펼쳐 설치함으로써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공법으로서 시공이 비교적 간편하고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어 오늘날 널리 이용되는 방수공법 중 하나이다.
상기한 시트방수에 사용되는 방수시트는 현장에서의 시공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미리 공장에서 일정한 폭 및 길이를 가지는 롤(roll)형의 시트형태로 제작되며 이를 바탕면에 일정 간격으로 펼쳐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시트방수공법으로 시공하게 되면, 규격화된 다수 개의 시트를 사용하게 되므로 필연적으로 시트간의 연결부위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연결부위는 시트방수에 있어 방수 성능상 가장 취약한 부위로서 이의 처리가 적절하지 못하게 될 경우에는 이 부위를 통한 누수가 발생하여 방수상의 하자로 이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방수시트간의 연결 부위를 시공하는 종래의 방법은, 바탕면에 설치된 방수시트에 또 다른 방수시트를 일정 폭 이상 겹쳐 시공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와 같은 겹침 부위(overlap joint)가 수밀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방수시트의 재질에 따라 여러 가지의 접합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즉,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경우에는 겹침 부위를 토오치 등의 열 기구를 사용하여 가열 용융시켜 열융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고, 합성수지 또는 합성 고무 방수시트의 경우에는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접착하거나(EPDM시트, PVC시트, TPO시트 등) 용제를 사용하여 용착한다든지(PVC 시트) 혹은 열풍 융착기를 사용하여 열풍 융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PVC시트, TPO시트, ECV시트, HDPE시트 등)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따른 겹침 이음구조를 적용할 경우, 화기, 열 또는 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에 위험이 따르며 화재의 위험이 있으며, 시트 방수재의 겹침이음은 시트 방수재가 2장 또는 3장 이상이 겹쳐설치되는 부분이 발생하며, 이러한 겹침 이음부위의 내측에는 틈(dead space)이 발생하여 수밀성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음 부위가 확실하게 시공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시트 방수재의 접착시 열 또는 용제 등에 의하여 녹은 시트 방수재가 경화되면서 시트 방수재 자체에 수축력(응력)이 발생하게 되어 장기적인 내구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좌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후 및 계절변화로 인하여 바탕면이 거동할 때에는 콘크리트 구조체가 어느 한 방향으로도 거동할 수도 있지만, 좌우사방 제각각 거동할 수도 있으며, 이때, 바탕면의 거동방향이 어느 하나의 지점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거동할 경우 바탕면 상부에 형성되는 방수층이 바탕면의 거동력에 대하여 순응하기 힘겨우므로, 방수시트와 방수시트를 접합한 조인트 부분이 가장 먼저 파괴됨으로써, 하자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한편, 인장, 인열, 내충격성, 내마모성, 접착력, 내약품성, 내산성, 내열성,내한성이 우수하며, 혹한기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고, 경사면이나 수직면에서도 흘러내리지 않으며, 도막의 두께 조절이 자유로운 폴리우레아를 방수시공에 이용할 경우, 경화과정에서 폴리우레아가 수축하면서 어느 일 방향으로 편중되게 수축될 경우 자칫 바탕면과의 들뜸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들뜸현상에 의한 부풀음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한 부풀음 현상은 시공 후 식별되지 않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이므로, 시공 후 들뜸현상에 의한 하자로 인하여 재시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폴리우레아의 물성 상 폴리우레아를 채택하여 방수하는 것은 매우 조심스러운 일이다.
본 발명은 위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우레아의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바탕면과의 들뜸현상은 물론 여름철 태양열에 의한 도막의 부풀음 현상을 보완하여 우수한 방수 효과를 얻게 하고, 내수성, 내구성, 차열 성능, 단열성능이 우수하도록 각 고분자 원료가 최적으로 배합되게 하여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게 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수분에 의한 수증기 기화현상을 억제시켜 주어 건축물의 수명 연장시키는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소시아네이트기(NCO) 함유율이 15 ~ 20%인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Isocyanate Prepolymer) 30 ~ 60 중량%와, 1,6-다이소시아나토헥산 및 1,6-헥산디올을 갖는 2-옥세파논 중합체(2-Oxepanone polymer with 1,6-diisocyanatohexane and 1,6-hexanediol) 10 ~ 30 중량%, 산화티타늄 10 ~ 20 중량%, 산화아연(ZnO) 1 ~ 10 중량%, 가소제 1 ~ 5 중량%로 조성된 주제와; 폴리에테르아민(Polyetheramine) 60 ~ 80 중량%와, 폴리디에틸톨루엔디아민 (Diethytoluenediamine) 10 ~ 20 중량%과, 페닐하이드라진 접착증진제 1 ~ 5 중량%와, 소포제 0.5 ~ 5 중량%와, 알루미늄 페이스트(Aluminium paste) 5 ~ 15 중량%로 조성된 경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테르아민(Polyetheramine)은 1,000 ~ 5,000 g/mol의 분자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주제는 아민 당량이 100 내지 200 g/eq인 벤젠아민계 화합물 1 ~ 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 바탕면의 불순물 및 열화 부위를 제거하는 바탕면 정리단계(S1)와; 상기 바탕면 정리단계(S1)가 실시된 후 콘크리트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S2)와;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S2)에 의해 프라이머층이 형성되면, 이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바탕조정제를 도포하는 바탕조정제 도포단계(S3)와; 상기 바탕조정제 도포단계(S3)에 의해 바탕조정제가 도포된 후 그 상부에 제1항에 의한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를 스프레이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폴리우레아 도포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는 주제와 경화제가 1 : 0.7 ~ : 1.3 부피비로 혼합반응하여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아에 의한 방수층에서 태양열에 의한 부풀음 현상을 방지하고, 열의 차단, 단열, 효과를 가지게 하고, 내습성, 내구성, 내후성, 내충격성, 내약품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자외선으로부터 도막을 보호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수분에 의한 수증기 기화현상을 억제시켜 주어 건축물의 수명 연장을 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이용한 열차단 효과는 여름철의 고온의 열차단 효과는 주택이나 건물 옥상방수재로써 시공시 태양열로 1차적인 열차단막을 형성되어 건물내부의 온도상승을 억제시켜 전기가동 및 유류 절감의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도시한 순서도.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는, 이소시아네이트기(NCO) 함유율이 15 ~ 20%인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Isocyanate Prepolymer) 30 ~ 60 중량%와, 1,6-다이소시아나토헥산 및 1,6-헥산디올을 갖는 2-옥세파논 중합체(2-Oxepanone polymer with 1,6-diisocyanatohexane and 1,6-hexanediol) 10 ~ 30 중량%, 산화티타늄 10 ~ 20 중량%, 산화아연(ZnO) 1 ~ 10 중량%, 가소제 1 ~ 5 중량%로 조성된 주제와; 분자량 1,000 ~ 5,000 g/mol의 폴리에테르아민(Polyetheramine) 60 ~ 80 중량%와, 폴리디에틸톨루엔디아민 (Diethytoluenediamine) 10 ~ 20 중량%과, 페닐하이드라진 접착증진제 1 ~ 5 중량%와, 소포제 0.5 ~ 5 중량%와, 알루미늄 페이스트(Aluminium paste) 5 ~ 15 중량%로 조성된 경화제로 조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의 주제 중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Isocyanate Prepolymer)는 이소시아네이트기(NCO) 함유율이 15 ~ 20%이며, NCO % 즉 -NCO- 기 함유량이 많을수록 도막 경도와 인장강도, 반응성(속도)가 높아지고, -NCO- 기 함유량이 적을수록 도막의 신장율이 높아지고 경도는 낮아지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15 ~ 20% NCO % 로 구성된 프리폴리머 용액을 사용하며, 이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를 프리폴리머화 시킨 용액과 후술하게 될 반응성이 매우 빠른 아민기들을 가진 폴리에테르아민과 열차단 효과가 우수한 알루미늄 페이스트가 함유된 경화제와 반응하여 단열과 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의 주제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는 30 ~ 60 중량%를 첨가하는 바, 30 중량% 미만 첨가 시 후술하게 될 폴리에트레아민과의 반응성이 떨어져 단열과 차열효과가 저감되며, 60 중량% 초과 첨가 시 폴리에테르아민과의 반응성은 좋아지나 첨가한 만큼의 탁월한 단열과 차열성능의 향상은 기대치도 낮고, 아민과 이소시아네이트의 급속한 반응성 때문에 일반적인 상온 혼합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30 ~ 60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의 주제 중 상기 1,6-다이소시아나토헥산 및 1,6-헥산디올을 갖는 2-옥세파논 중합체[2-Oxepanone polymer with 1,6-diisocyanatohexane and 1,6-hexanediol]는 본 발명에 따른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의 높은 인열강도와 고탄성 및 높은 인장력을 가지게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주제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10 ~ 30 중량%를 첨가하며, 10 중량% 미만 첨가 시 인열강도와 탄성 및 인장력이 저하되며, 발포 시 경화속도가 저하되어 흐름성이 높아지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며, 30 중량% 초과 첨가 시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작업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의 주제 중 산화티타늄은 조성물에 포함되어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조성물의 건조 중에 도막의 표면으로 부상하여 치밀하고 경도가 높은 도막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수증기와 기타 기체, 액체의 투과를 방지함은 물론, 내습성, 내구성, 내후성, 내충격성, 내약품성이 뛰어나고 도장면은 빛을 반사하여 자외선으로부터 도막을 보호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에 의해 형성된 방수층(도막)의 중성화/염화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마이크로미터, 나노미터 크기의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구체적으로 이산화티타늄의 평균 입경은 100 내지 300nm인 것이 바람직하며, 산화티타늄은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주제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10 중량 미만 첨가 시 내습성, 내구성, 내후성, 내충격성 및 빛 반사율이 저조하며, 20 중량% 초과 첨가 시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반면, 조성물들과의 반응속도가 너무 느려지게 하여 작업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의 주제 중 산화아연(ZnO)은 자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한 금속산화물로서, 입자 형상 또는 중공(hollow) 형상일 수 있으며, 평균입경은 2 내지 100 ㎚일 수 있고, 보다 좋게는 5 내지 50 ㎚일 수도 있는 것으로, 산화아연은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주제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중량% 미만 첨가 시 차열효과가 미미하며, 10 중량% 초과 첨가 시 차열효과가 크게 상승하지 않고, 제조단가만 상승하며, 다른 조성물과의 혼합 및 반응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의 주제 중 가소제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프리폴리머에 적정한 유연성 및 유동성을 부여하고, 도막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친환경 가소제인 비프탈레이트계의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디옥틸 프탈레이트,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또는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일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주제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가소제는 1 ~ 5 중량%를 첨가하는 바, 1 중량% 미만 첨가 시 도막의 경도 및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고, 5 중량% 초과 첨가 시 도막의 경도가 저하되거나 도막의 외관이 불량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의 주제 조성물에는 아민 당량이 100 내지 200 g/eq인 벤젠아민계 화합물 1 ~ 10 중량%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벤젠아민계 화합물은 경화 반응을 지연시켜 가사시간을 확보하고 도막의 물리적 특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벤젠아민계 화합물의 아민 당량이 100 g/eq 미만일 경우에는 경화속도가 빨라 가사시간의 확보가 어렵거나 신율이 저하될 수 있고, 200 g/eq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화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상기 벤젠아민계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아닐린, 4,4'-메틸렌-비스(3-클로로-2,6-디에틸아닐린), 또는 디메틸티오-톨루엔디아민(DMTDA)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주제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 10 중량%를 첨가하는 바, 1 중량% 미만 첨가 시 가사시간을 확보하기 어렵거나 도막의 물리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 중량% 초과 첨가 시 도막의 경도 및 신장율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의 경화제 중 폴리에테르아민(Polyetheramine)은 분자량 1,000 ~ 5,000 g/mol로서, 폴리우레아 도막의 인장강도, 반응속도와 인열걍도를 결정하며,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경화제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60 중량% 미만 첨가 시 도막의 인장강도가 떨어지고, 도막이 쉽게 찢어지며, 80 중량% 초과 첨가 시 인장강도는 증가하지만 저온(0℃ 이하)일때 크랙 현상이 발생하고, 반응속도가 빨라져 소지면과의 부착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평활화(levelling)되기 전에 도막이 형성이 되므로, 부착력이 급격하게 저하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의 경화제 중 폴리디에틸톨루엔디아민 (Diethytoluenediamine)은 도막의 망상구조를 이루게 하여 인장강도, 반응성, 경도를 결정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경화제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10 중량% 미만 첨가 시 반응성이 느려 인장강도 및 경도가 감소하게 되고 20 중량% 초과 첨가 시 급격한 반응성으로 소지면과의 부착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의 경화제 중 페닐하이드라진 접착증진제는 도막 방수 시공시 주제와 경화제의 조성물들이 신속하게 경화되도록 하는 물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경화제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 5 중량%가 첨가되는데, 상기 1 중량% 미만 첨가 시 경화제의 주요 성분인 폴리머가 주제와 혼합되기도 전에 조성물과 반응되어 경화되고, 상기 5 중량% 초과 첨가 시 주제와 혼합될 때 교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의 경화제 중 소포제는 폴리우레아 도막 표면의 기포들을 제거하여 도막 외관 및 내마모성을 향상 시키는데, 실리콘계와 비실리콘계로써 하나를 선택 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경화제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0.5 ~ 5 중량%를 ㅊ첨가하는 바, 0.5 중량% 미만 첨가 시 용액 내의 기포들을 제거하기가 힘들어 외관에 기포 자국들이 다수 발생하여 외관이 불량이며 5 중량% 초과 첨가 시 과첨가로 도막표면에 부상을 하여 층간 부착력이 불량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의 경화제 중 알루미늄 페이스트(Aluminium paste) 폴리우레아 도막의 열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무기 필러(filler)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경화제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5 ~ 15 중량%를 첨가하는 바, 중량이 5 중량% 미만 첨가 시 폴리우레아 코팅재 도막내에 알루미늄 페이스트 입자 분포도가 적어 열차단 효과가 떨어지며, 15 중량% 초과 첨가 시 필러(filler)의 흡유량 때문에 경화제의 점도가 상승을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진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지(철재, 콘크리트)에 도막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소지면의 오염물이나 기존의 녹들을 제거하기 위해 블라스팅 전처리 작업을 진행을 하거나, 콘크리트 구조물 바탕면의 불순물 및 열화 부위를 제거하는 바탕면 정리단계(S1)를 실시한다.
여기서, 콘크리트 소지면에 있어서는, 수화반응으로 콘크리트가 경화가 되는데 그에 따른 수분이 표면에 상승이 되어 레이턴스층이 발생을 한다. 이는 거의 얇은 층이고 매우 약한 층이어서 부착력이 불량으로 나타나므로 전처리 과정에서 레이턴스층을 완전히 제거한 후 핀홀(Pin Hole)층이 나타나면, 퍼티(Putty) 로 핀홀을 메꿀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소지면에 대한 바탕면 정리단계(S1)가 실시된 후, 후속으로 도포될 폴리우레와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S2)를 실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라이머 도포단계(S2)에 의하여 프라이머가 도포된 후 형성된 프라이머층 상부에는 바탕조정제를 도포하는 바탕조정제 도포단계(S3)를 실시하며, 이때, 상기 바탕조정제는 차열기능을 가지는 통상의 바탕조정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탕조정제 도포단계(S3)가 완료된 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를 스프레이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폴리우레아 도포단계(S4)를 실시함으로써,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방수공법이 완료된다.
즉, 폴리우레아 전용 장비인 2액형 고온ㆍ고압 혼합충돌형인 특수 장비를 이용하여 압력 2,000 ~ 2,500 psi, 온도 65 ~ 7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를 도포한다.
겨울철에는 온도 저하로 주제, 경화제의 점도가 상승하므로, 도포시 이상적인 혼합비(부피비 1 : 0.7 ~ 1 : 1.3)가 맞지 않아 도막 물성의 구현이 힘드므로, 겨울철에는 히팅밴드(Heating Band)를 제품 주위에 감아 간접적으로 온도를 높여 제품의 점도를 떨어 뜨려 이상적인 혼합 충돌로 최상의 도막물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5)

  1. 이소시아네이트기(NCO) 함유율이 15 ~ 20%인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Isocyanate Prepolymer) 30 ~ 60 중량%와, 1,6-다이소시아나토헥산 및 1,6-헥산디올을 갖는 2-옥세파논 중합체(2-Oxepanone polymer with 1,6-diisocyanatohexane and 1,6-hexanediol) 10 ~ 30 중량%, 산화티타늄 10 ~ 20 중량%, 산화아연(ZnO) 1 ~ 10 중량%, 가소제 1 ~ 5 중량%로 조성된 주제와;
    폴리에테르아민(Polyetheramine) 60 ~ 80 중량%와, 폴리디에틸톨루엔디아민 (Diethytoluenediamine) 10 ~ 20 중량%과, 페닐하이드라진 접착증진제 1 ~ 5 중량%와, 소포제 0.5 ~ 5 중량%와, 알루미늄 페이스트(Aluminium paste) 5 ~ 15 중량%로 조성된 경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아민(Polyetheramine)은 1,000 ~ 5,000 g/mol의 분자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는 아민 당량이 100 내지 200 g/eq인 벤젠아민계 화합물 1 ~ 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4. 콘크리트 구조물 바탕면의 불순물 및 열화 부위를 제거하는 바탕면 정리단계(S1)와;
    상기 바탕면 정리단계(S1)가 실시된 후 콘크리트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S2)와;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S2)에 의해 프라이머층이 형성되면, 이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바탕조정제를 도포하는 바탕조정제 도포단계(S3)와;
    상기 바탕조정제 도포단계(S3)에 의해 바탕조정제가 도포된 후 그 상부에 제1항에 의한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를 스프레이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폴리우레아 도포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방수공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는 주제와 경화제가 1 : 0.7 ~ : 1.3 부피비로 혼합반응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0220071499A 2022-06-13 2022-06-13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Active KR102499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499A KR102499584B1 (ko) 2022-06-13 2022-06-13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499A KR102499584B1 (ko) 2022-06-13 2022-06-13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584B1 true KR102499584B1 (ko) 2023-02-14

Family

ID=8522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499A Active KR102499584B1 (ko) 2022-06-13 2022-06-13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5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33347B1 (ko) 2024-08-26 2024-11-26 노아건설 주식회사 단열과 차열 기능이 우수한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2770378B1 (ko) 2024-11-04 2025-02-21 권혁봉 차열 성능이 우수한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의 제조방법 및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 시공 공법
KR102837002B1 (ko) 2024-12-30 2025-07-22 이영한 폴리우레탄계 크랙 보수재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시트복합 방수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143A (ko) * 2014-03-13 2015-09-23 조광페인트주식회사 난연 폴리우레아 코팅 조성물
KR20170076338A (ko) * 2015-12-24 2017-07-04 조광페인트주식회사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방수 코팅재 조성물
KR102043961B1 (ko) * 2018-05-11 2019-11-12 이재훈 경화 반응 시간 조절이 가능한 건축물 방수용 폴리우레아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143A (ko) * 2014-03-13 2015-09-23 조광페인트주식회사 난연 폴리우레아 코팅 조성물
KR20170076338A (ko) * 2015-12-24 2017-07-04 조광페인트주식회사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방수 코팅재 조성물
KR102043961B1 (ko) * 2018-05-11 2019-11-12 이재훈 경화 반응 시간 조절이 가능한 건축물 방수용 폴리우레아 수지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33347B1 (ko) 2024-08-26 2024-11-26 노아건설 주식회사 단열과 차열 기능이 우수한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2770378B1 (ko) 2024-11-04 2025-02-21 권혁봉 차열 성능이 우수한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의 제조방법 및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 시공 공법
KR102837002B1 (ko) 2024-12-30 2025-07-22 이영한 폴리우레탄계 크랙 보수재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시트복합 방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3457B1 (ko) 건축물 내구성 강화를 위한 차열 폴리우레아 방수 공법
KR102499584B1 (ko) 친환경 차열과 단열 폴리우레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200896B1 (ko) 수용성 아크릴 우레탄 방수제를 이용한 중성화방지 복합시트 시공방법
US20110086174A1 (en) Paint composition including nano-ceramic and polymer resin against neutralization and salt damage of concrete and method for waterproof and anticorrosion using the same
KR102525769B1 (ko) 콘크리트 외벽의 중성화 및 미세균열 방지 도장방법
KR101573298B1 (ko) 폴리우레아 바탕조정제 및 그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US7829149B2 (en) Method of waterproof and floor construction by using thixotropic urethane and fabric sheet
KR20090119008A (ko) 복합방수시공방법 및 그로 인해 형성된 복합방수층 구조
KR102287902B1 (ko) 차열층을 포함하는 방수·방근 점착복합시트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6799390B2 (ja) 高抗張積2液型環境対応手塗り用ウレタン防水材組成物およびウレタン防水工法
KR102092905B1 (ko) 폴리우레아 복합방수공법
KR102505082B1 (ko) 고내구성 유지성능이 탁월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방수용 폴리우레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방수 시공방법
KR20190043409A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
KR102600755B1 (ko) 슁글지붕 및 옥상 방수제를 이용하여 방수 시공하는 방법
KR101422442B1 (ko)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일체형 복합 방수 공법
KR101643520B1 (ko) 슈퍼마이크로섬유 바탕조정재를 이용한 폴리우레아방수 코팅공법
JP3553693B2 (ja) 遮水シート工法
KR102315914B1 (ko) 폴리우레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 공법 및 구조물 보강층
KR101058777B1 (ko) 폴리머 일액형 수용성 우레탄 방수제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20170076338A (ko)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방수 코팅재 조성물
US20130227909A1 (en) Roofing repair system and method
KR101905417B1 (ko) 고점도 접착제 및 신재 무연신 pet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KR102696617B1 (ko) 우레탄 아스팔트 일체형 복합 방수 시공방법
KR102726708B1 (ko) 불소계 계면활성제가 코팅된 메조포러스 실리카를 함유한 친환경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차열 또는 축열 상도도막재 적층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102481757B1 (ko) 중성화 방지 및 염해방지가 우수한 친환경 유무기복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수도료층 및 이의 도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