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94443B1 - 벽 구조 - Google Patents

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443B1
KR102494443B1 KR1020160088671A KR20160088671A KR102494443B1 KR 102494443 B1 KR102494443 B1 KR 102494443B1 KR 1020160088671 A KR1020160088671 A KR 1020160088671A KR 20160088671 A KR20160088671 A KR 20160088671A KR 102494443 B1 KR102494443 B1 KR 102494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s
surface plate
wall element
wall
be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8692A (ko
Inventor
쥬시 삐에틸라
까리 헨투넨
Original Assignee
픽키오 웍스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픽키오 웍스 오이 filed Critical 픽키오 웍스 오이
Publication of KR20170008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44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04B2/740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with special measures for sound or thermal insulation including fir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68Panellings; Lin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e.g.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with adapt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transport; for making impervious or hermetic, e.g.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0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
    • F16B5/0012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 a tongue on the edge of one sheet, plate or panel co-operating with a groove in the edge of another sheet, plate o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02/001Mechanical features of panels
    • E04C2002/004Panels with profiled edges, e.g. stepped, ser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화 벽 구조(1)에 관한 것으로, 제1 벽 요소(2)와 제2 벽 요소(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양 벽 요소들은 표면판(4)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판은 제1 가장자리부(41)와 상기 제1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제2 가장자리부(42)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가장자리부는 상기 벽 요소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굴곡부들을 구비한다. 가볍고 튼튼한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 상기 제1 벽 요소는 제1 가장자리부(41)에 제1 굴곡부 세트(1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굴곡부 세트(10')는, 상기 표면판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1 굴곡부(51')와,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 이어지며 상기 표면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굴곡부(52')와, 상기 제2 굴곡부로부터 직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표면판에 기대어 지지되어 닫혀진 박스형 구조를 형성하는 제3 굴곡부(5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벽 요소(3)는 제2 가장자리부(42)를 가지며, 상기 제2 가장자리부는 상기 표면판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1 굴곡부(61')와,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 이어지며 상기 표면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벽 요소의 가장자리부에 개방된 리세스를 형성하는 제2 굴곡부(62')를 포함한다. 상기 벽 요소를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닫혀진 박스형 구조를 가지는 제1 굴곡부 세트가 개방된 리세스가 형성된 제2 굴곡부 세트에 끼워진다.

Description

벽 구조{WALL STRUCTURE}
본 발명은, 내화재료로 이루어진 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벽 구조는 소정두께의 재료로 각각 구성되는 적어도 제1 벽 요소와 제2 벽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벽 요소와 제2 벽 요소는 제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1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제2 가장자리부를 가지는 표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장자리부는 상기 벽 요소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굴곡부들을 구비하는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조선산업에서는 한편으로 선박, 연안 구조물과 같은 실질적인 주된 구조물의 무게를 줄이는 것, 또 한편으로는 데크 구성, 선실 조립체 등과 같은 내부 구조물의 무게를 줄이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구조물의 무게를 줄이는 경우에도, 예컨대 적절한 강도, 화재 안전성과 방음성능은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선실, 선실에 관련된 공간 및 복도구조에 있어서, 평탄 및 주름진 금속 시트 또는 스틸판의 부품들이 벽 요소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벽 요소들은 대개 양쪽이 코팅되고 필요에 따라 절연층이 사용목적에 맞추어 제공된다.
핀란드 특허공보 FI 119652 B는 내화재료로 이루어진 벽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벽 구조는 벽 요소들을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가장자리부에 굴곡부를 가지는 벽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굴곡부와 관련하여 구조를 보강하기 위한 별개의 수직 보강재가 부착된다. 상기 구조는 복잡하고 무겁다.
핀란드 특허공보 FI 118019 B는 다른 내화재료의 벽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벽 구조는 상기 벽 구조는 벽 요소들을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가장자리부에 굴곡부를 가지는 벽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종래 채용되었던 수직의 스틸 보강재가 제거되었기에 표면판의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었다. 또한, 상기 표면판은 아코디언 모양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는 무게와 소요 공간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핀란드 특허공보 FI 119652 B 핀란드 특허공보 FI 118019 B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제거하고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한 튼튼한 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한정된 본 발명의 벽 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은 벽 요소들을 서로 결합하고 벽 요소들로 구성되는 벽 구조의 견고함과 안정성을 얻기 위하여 양 표면판에 형성된 굴곡부들을 활용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제1 벽 요소 또는 제2 벽 요소의 표면판을 가지고, 상기 표면판의 제1 가장자리부 또는 상기 제1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제2 가장자리부에 제1 굴곡부 세트(a first set of bends)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굴곡부 세트가, 상기 표면판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1 굴곡부(a first bend)와,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 이어지며 상기 표면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굴곡부와, 상기 제2 굴곡부로부터 직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표면판의 가장자리부에 닫혀진 박스형 구조(closed box type structure)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표면판에 기대어 지지되는 제3 굴곡부를 포함하는 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제1 벽 요소 또는 제2 벽 요소의 표면판은 각각 제1 가장자리부 또는 상기 제1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제2 가장자리부에 제2 굴곡부 세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굴곡부 세트는, 상기 표면판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1 굴곡부와,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 이어지며 상기 표면판의 가장자리부에 개방된 리세스(open recess)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표면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굴곡부를 포함한다. 벽 구조를 구성하기 위하여, 닫혀진 박스형 구조를 형성하는 상기 제1 굴곡부 세트는 개방된 리세스를 형성하는 상기 제2 굴곡부 세트에 끼워져 상기 제1 벽 요소의 표면판과 제2 벽 요소의 표면판 사이에 조인트가 형성된다.
표면판의 굴곡부 세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조인트에 의하여, 정방형 또는 장방형 튜브형상의 별도의 수직 스틸 보강재 없이도 벽 구조를 위한 높은 구조적 강성을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재료 절감 및 무게 감소, 그리고 제조 및 설치작업 저감도 달성된다.
본 발명 벽 구조의 조인트에 의하여 구조물이 차지하는 공간도 작아지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표면판용 재료가 0.7mm의 소정두께를 가질 때, 개방된 리세스와 이에 끼워지는 박스형 구조는 약 25mm의 높이와 표면판 방향으로 약 55mm의 전체 길이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벽 구조의 벽 두께도 크게 저감되게 된다.
상기 제1 벽 요소의 표면판의 제1 굴곡부와 제2 벽 요소의 표면판의 제1 굴곡부에서, 또는 제1 벽 요소의 표면판의 제2 굴곡부와 제2 벽 요소의 표면판의 제2 굴곡부에서, 상기 제1 벽 요소와 제2 벽 요소가 서로 기계적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굴곡부 세트의 제3 굴곡부로부터 직각으로 이어지고, 또한 상기 표면판에 제3 굴곡부가 확실히 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표면판을 따라 연장되는 제4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굴곡부는 박스형 구조를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표면판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굴곡부 세트의 제2 굴곡부로부터 180도의 각도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굴곡부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되는 제3 굴곡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3 굴곡부는 제2 굴곡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굴곡부에 기대어 지지된다.
상기 제1 굴곡부 세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닫혀진 박스형 구조에 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굴곡부 세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방된 리세스에 그루브형상(groove-like)의 추가적인 리세스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닫혀진 박스형 구조와 개방된 리세스 사이 조인트를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그루브형상의 추가적인 리세스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굴곡부의 방향을 "직각"의 개념으로 정의한 바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직각이란 정확하게 90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그로부터 ±5도 정도 변동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이하에서도 동일하다. 바람직한 직각의 정의로서 90도±5도가 된다. 이에 의하여 결합 안정성 및 견고함이 강화된다.
표면판의 굴곡부 세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조인트에 의하여, 정방형 또는 장방형 튜브형상의 별도의 수직 스틸 보강재 없이도 벽 구조를 위한 높은 구조적 강성을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재료 절감 및 무게 감소, 그리고 제조 및 설치작업 저감도 달성된다.
본 발명 벽 구조의 조인트에 의하여 구조물이 차지하는 공간도 작아지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표면판용 재료가 0.7mm의 소정두께를 가질 때, 개방된 리세스와 이에 끼워지는 박스형 구조는 약 25mm의 높이와 표면판 방향으로 약 55mm의 전체 길이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벽 구조의 벽 두께도 크게 저감되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서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벽 구조(1)는 제1 벽 요소(2)와 제2 벽 요소(3)를 포함한다. 상기 벽 요소들은 예컨대 금속 시트 또는 스틸판(steel plate)과 같은 내화재료(fire resistant material)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필요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코팅될 수 있다. 소정의 재료두께는 예컨대 0.7mm이다.
양 벽 요소들은 표면판(surface plate: 4)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판(4)은 제1 굴곡부 세트(a first set of bends:10)를 구비한 제1 가장자리부(first edge:41)와 상기 제1 가장자리부와 대향하며 제2 굴곡부 세트(11)를 구비한 제2 가장자리부(42)를 구비한다. 도 1에서, 상기 제1 벽 요소(2)의 표면판(4)의 제1 가장자리부(41)와 제2 벽 요소(3)의 표면판(4)의 제2 가장자리부(42)가 서로 부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표면판들은 면을 공유하여 벽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벽 요소(2)가 구비한 표면판(4)의 제1 가장자리부(41)에는 제1 굴곡부 세트(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굴곡부 세트(10)는 상기 표면판(4)에 대하여 직각으로 또한 그 표면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굴곡부(a first bend:51)와,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 직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표면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굴곡부(52)와, 상기 표면판(4)에 기대어 지지되는 제3 굴곡부(53)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굴곡부(53)로부터 직각으로 다시 제4 굴곡부(54)가 연장될 수 있으며 이 제4 굴곡부(54)는 표면판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표면판(4)에 대하여 상기 제3 굴곡부(53)가 확실히 지지될 수 있게 한다. 본 예에서, 상기 제4 굴곡부(54)는 박스형(box type) 구조의 내측 쪽, 즉 상기 제1 굴곡부 쪽으로 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조를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4 굴곡부(54)는 예컨대 접착제 또는 나사에 의하여 상기 표면판(4)에 기계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참조부호 12는 기계적인 부착을 나타냄). 상기 제1 굴곡부 세트(10)에 의하여 제1 벽 요소(2)의 표면판(4)의 제1 가장자리부(41)에 닫힌 박스형 구조(closed box type structure)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벽 요소(3)가 구비한 표면판(4)의 제2 가장자리부(42)에는 제2 굴곡부 세트(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굴곡부 세트(11)는 상기 표면판(4)에 대하여 직각으로 또한 그 표면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굴곡부(61)와, 상기 제1 굴곡부(61)로부터 직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표면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굴곡부(62)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굴곡부(62)로부터 180도의 각도로 상기 제2 굴곡부(62) 길이의 일부 상으로 연장되어 다시 제3 굴곡부(63)가 형성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제3 굴곡부(63)는 제2 굴곡부(62)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강고하게 지지되게 된다. 본 예에서는, 상기 제3 굴곡부(63)가 상기 제2 굴곡부(62)의 대략 중간부분까지 연장된다. 상기 제3 굴곡부(63)의 목적은 제2 굴곡부(62)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굴곡부 세트(11)에 의하여 제2 벽 요소(3)의 표면판(4)의 제2 가장자리부(42)에 개방된 리세스(open recess)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벽요소의 표면판의 제1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닫힌 박스형 구조는 상기 제2 벽 요소의 표면판의 제2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개방된 리세스 내에 장착되어 제1 벽 요소의 표면판과 제2 벽 요소의 표면판 사이에 조인트(joint)를 형성한다. 상기 조인트는 표면판들이 면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굴곡부 세트와 제2 굴곡부 세트의 서로에 대한 타이트한 결합은 조인트의 내구성을 강화시킨다. 상기 닫힌 박스형 구조는 그 자체로 강화 요소(stiffening element)를 구성하여, 이에 의하여 형성된 조인트에 필요한 견고함과 안정성이 부여된다. 도 1에서는 제2 굴곡부 세트(11)의 제2 굴곡부(62) 및 제3 굴곡부(63)가 닫힌 박스형 구조를 약간 지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구성요소가 조립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이는 조인트를 확실히 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굴곡부의 방향을 "직각"의 개념으로 한정한 바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직각이란 정확하게 90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그로부터 ±5도 정도 변동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이하에서도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제2 굴곡부 세트(11)의 제2 굴곡부(62) 및 이를 따라 연장되는 제3 굴곡부(63)와 상기 제1 굴곡부(61) 사이 각도 α는 90도보다 약간 작은 예컨대 87도일 수 있다. 이러한 각도는 제2 굴곡부 세트(11)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방된 리세스에 제1 굴곡부 세트(10)에 의하여 형성되는 닫힌 박스형 구조가 더 단단하게 끼워지게 하여 그 사이의 조인트를 확고하게 한다.
제1 벽 요소(2)의 표면판(4)의 제1 굴곡부(51)와 제2 벽 요소(3)의 표면판의 제1 굴곡부(61)에, 또는 제1 벽 요소(2)의 표면판(4)의 제2 굴곡부(52)와 제2 벽 요소(3)의 표면판의 제2 굴곡부(62)에, 예컨대 접착제 또는 나사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필요하다면 상기 제1 벽 요소(2)와 제2 벽 요소(3)를 기계적으로 고정할 수있으며, 이에 의하여 벽 요소들 사이의 미끄러짐이 방지된다(기계적인 부착은 참조부호 13 및 14로 표시된다). 제2 굴곡부(62)에 대해서는, 물론 제3 굴곡부(63)의 연장 길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절연재와 같은 벽 구조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벽 요소에 또는 상기 벽 요소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에 의하여 충분히 잘 상기 벽 요소들이 서로에 대하여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벽 구조(1)는 제1 벽 요소(2)와 제2 벽 요소(3)를 포함한다. 상기 벽 요소들은 예컨대 금속 시트 또는 스틸판과 같은 내화재료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필요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코팅될 수 있다. 소정의 재료두께는 예컨대 0.7mm이다.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일치, 즉 제2 벽 요소의 제2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개방된 리세스 내에 제1 벽 요소의 제1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닫힌 박스형 구조가 장착되어 조인트가 형성되는 점은 일치한다. 제1 실시예와의 주된 차이점은, 제1 굴곡부 세트와 제2 굴곡부 세트 상에 서로 부합하는 조인트 부착 보장 및 조인트 보강을 위한 추가적인 특징이 형성된다는 점이다. 이는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양 벽 요소들은 표면판(4)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판(4)은 제1 굴곡부 세트(10')를 구비한 제1 가장자리부(41)와 상기 제1 가장자리부와 대향하며 제2 굴곡부 세트(11')를 구비한 제2 가장자리부(42)를 구비한다. 도 2에서, 상기 제1 벽 요소(2)의 표면판(4)의 제1 가장자리부(41)와 제2 벽 요소(3)의 표면판(4)의 제2 가장자리부(42)가 서로 부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표면판들은 면을 공유하여 벽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벽 요소(2)가 구비한 표면판(4)의 제1 가장자리부(41)에는 제1 굴곡부 세트(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굴곡부 세트(10')는 상기 표면판(4)에 대하여 직각으로 또한 그 표면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굴곡부(51')와, 상기 제1 굴곡부(51')로부터 직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표면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굴곡부(52')와, 상기 제2 굴곡부(52')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면판(4)에 기대어 지지되는 제3 굴곡부(53')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굴곡부(53')로부터 직각으로 다시 제4 굴곡부(54')가 연장될 수 있으며 이 제4 굴곡부(54)는 표면판(4)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표면판(4)에 대하여 상기 제3 굴곡부(53')가 확실히 지지될 수 있게 한다. 본 예에서, 상기 제4 굴곡부(54')는 박스형 구조로부터 멀어지는 쪽, 즉 제1 굴곡부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한다. 또한, 구조를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4 굴곡부(54')는 예컨대 접착제 또는 나사에 의하여 상기 표면판(4)에 기계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참조부호 12'는 기계적인 부착을 나타냄). 상기 제1 굴곡부 세트(10')에 의하여 제1 벽 요소(2)의 제1 가장자리부(41)에 닫힌 박스형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벽 요소(3)가 구비한 표면판(4)의 제2 가장자리부(42)에는 제2 굴곡부 세트(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굴곡부 세트(11')는 상기 표면판(4)에 대하여 직각으로 또한 그 표면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굴곡부(61')와, 상기 제1 굴곡부(61')로부터 직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표면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굴곡부(62')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굴곡부(62')로부터 180도의 각도로 상기 제2 굴곡부(62) 길이의 일부 상으로 연장되어 다시 제3 굴곡부(63')가 형성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제3 굴곡부(63')는 제2 굴곡부(62')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강고하게 지지되게 된다. 본 예에서는, 상기 제3 굴곡부(63')가 상기 제2 굴곡부(62')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상기 제3 굴곡부(63')의 목적은 제2 굴곡부(62')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굴곡부 세트(11')에 의하여 제2 벽 요소(3)의 표면판(4)의 제2 가장자리부(42)에 개방된 리세스가 형성된다.
이 제2 실시예는 또한 제2 굴곡부 세트(11')에 그루브 형상(groove-like)의 추가적인 리세스(7)와, 제1 굴곡부 세트(10')에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 형상에 장착될 수 있는 돌출부(8)를 더 포함하여 조인트 부착을 확고하게 하고 있다.
제2 굴곡부 세트(11')의 그루브 형상의 추가 리세스(7)는 상기 제1 굴곡부(61')에 제1 추가 굴곡부(611')를 형성함에 의하여 상기 제2 굴곡부 세트(11')의 제1 굴곡부(61')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추가 굴곡부(611')는 제2 굴곡부 세트(11')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방된 리세스의 높이 및 상기 제1 굴곡부(61')의 높이의 일부 지점 상에서 상기 제2 굴곡부 세트(11')에 의하여 형성되는 리세스를 계속 이어지게 한다.
상기 제2 굴곡부 세트(11')의 그루브형상 추가 리세스(7) 내에 타이트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제1 굴곡부 세트(10')의 돌출부(8)가, 제1 굴곡부 (51')에 제1 추가 굴곡부(511')를 형성시킴에 의하여 제1 굴곡부 세트(10')의 제1 굴곡부(51')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추가 굴곡부(511')는 상기 제1 굴곡부 세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닫힌 박스형 구조의 높이 및 상기 제1 굴곡부(51')의 높이의 일부 지점에서 돌출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벽요소의 표면판의 제1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닫힌 박스형 구조는 상기 제2 벽 요소의 표면판의 제2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개방된 리세스 내에 장착되어 제1 벽 요소의 표면판과 제2 벽 요소의 표면판 사이에 조인트를 형성한다. 상기 조인트는 표면판들이 면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굴곡부 세트와 제2 굴곡부 세트의 서로에 대한 타이트한 결합은 조인트의 내구성을 강화시킨다. 상기 닫힌 박스형 구조는 그 자체로 강화 요소를 구성하여, 이에 의하여 형성된 조인트에 필요한 견고함과 안정성이 부여된다. 도 2에서는 제2 굴곡부 세트(11')의 제2 굴곡부(62') 및 제3 굴곡부(63')가 닫힌 박스형 구조를 약간 지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구성요소가 조립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이는 조인트를 확실히 하는데 유리하다.
제2 실시예에서 제시되어 제2 굴곡부 세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방된 리세스에 마련되는 상기 그루브 형상의 추가적인 리세스와, 제1 굴곡부 세트에 형성되어 상기 추가적인 리세스에 타이트하게 장착될 수 있는 돌출부는 공히 부착성 및 내구성의 면에서 조인트를 향상시키고 조인트를 보강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굴곡부의 방향을 "직각"의 개념으로 한정한 바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직각이란 정확하게 90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그로부터 ±5도 정도 변동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이하에서도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제2 굴곡부 세트(11')의 제2 굴곡부(62') 및 이를 따라 연장되는 제3 굴곡부(63')와 상기 제1 굴곡부(61') 사이 각도 α는 90도보다 약간 작은 예컨대 87도일 수 있다. 이러한 각도는 제2 굴곡부 세트(11')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방된 리세스에 제1 굴곡부 세트(10')에 의하여 형성되는 닫힌 박스형 구조가 더 단단하게 끼워지게 하여 그 사이의 조인트를 확고하게 한다.
제1 벽 요소(2)의 표면판(4)의 제1 굴곡부(51')에 형성된 제1 추가 굴곡부(511')와 제2 벽 요소(3)의 표면판의 제1 굴곡부(61')에 형성된 제2 추가 굴곡부(611')를 이용하여, 또는 제1 벽 요소(2)의 표면판(4)의 제2 굴곡부(52')와 제2 벽 요소(3)의 표면판의 제2 굴곡부(62')에, 예컨대 접착제 또는 나사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필요하다면 상기 제1 벽 요소(2)와 제2 벽 요소(3)를 기계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벽 요소들 사이의 미끄러짐이 방지된다(기계적인 부착은 참조부호 13' 및 14'로 표시된다). 제2 굴곡부(62')에 대해서는, 물론 제3 굴곡부(63')의 연장 길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벽 구조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벽 요소에 또는 상기 벽 요소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로 충분히 잘 상기 벽 요소들이 서로에 대하여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8)와 추가적인 리세스(7)에 따른 조인트를 테이퍼형상 조인트로서 구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먼저 제1 굴곡부 세트(10')의 표면판(4)과 이로부터 접혀지는 제1 굴곡부(51') 사이 각도 β를 90도보다 다소 작은 각도 예컨대 87도로 하는 것에 의하여 얻어진다. 또한, 제2 굴곡부 세트(11')의 제1 굴곡부(61')와 이로부터 이어져 추가적인 리세스를 형성하는 추가 굴곡부(611') 사이 각도 γ를 90도보다 큰 각도 예컨대 93도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추가적인 리세스(7)와 돌출부(8) 사이가 테이퍼 형상으로 타이트하게 끼워맞춰질 수 있어 이 사이에 더욱 강고한 조인트를 만들 수 있다. 테이퍼 구조는 다른 굴곡부 배치로도 또한 달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와 관련하여 언급된 각도 값들은 단순한 예시이다. 재료 및 표면판의 재료 두께, 또는 예컨대 벽 구조의 사용 용도에 의하여 결정되는 요구조건에 따라 상기 각도 값들을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 및 그에 관련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굴곡부의 각도 위치, 기계적인 부착, 그루브형상의 추가적인 리세스와 돌출부 사이의 결합 등과 같은 상세한 부분의 면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Claims (9)

  1. 내화재료로 이루어지고, 소정두께의 재료로 각각 구성되는 적어도 제1 벽 요소(2)와 제2 벽 요소(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벽 요소(2)와 제2 벽 요소(3)는 제1 가장자리부(41)와 상기 제1 가장자리부(41)에 대향하는 제2 가장자리부(42)를 가지는 표면판(4)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1, 2 벽 요소(2,3)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굴곡부들을 구비한 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벽 요소(2) 또는 제2 벽 요소(3)의 표면판(4)은 제1 가장자리부(41) 또는 상기 제1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제2 가장자리부(42)에 제1 굴곡부 세트(10;1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굴곡부 세트(10;10')는, 상기 표면판(4)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1 굴곡부(a first bend:51;51')와,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 이어지며 상기 표면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굴곡부(52;52')와, 상기 제2 굴곡부로부터 직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표면판에 기대어 지지되는 제3 굴곡부(53;53')을 포함하여 상기 표면판의 가장자리부에 닫혀진 박스형 구조(closed box type structure)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벽 요소(2) 또는 제2 벽 요소(3)의 표면판(4)은 제1 가장자리부(41) 또는 상기 제1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제2 가장자리부(42)에 제2 굴곡부 세트(11;11')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굴곡부 세트(11;11')는, 상기 표면판(4)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1 굴곡부(61;61')와,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 이어지며 상기 표면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굴곡부(62;62')를 포함하여 상기 표면판의 가장자리부에 개방된 리세스(open recess)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굴곡부 세트(11;11')의 제2 굴곡부(62;62')로부터 180도의 각도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굴곡부(62;62')에 지지되어 위치하는 제3 굴곡부(63;63')가 마련되며, 상기 제3 굴곡부(63;63')는 상기 제2 굴곡부(62;62')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닫혀진 박스형 구조를 형성하는 상기 제1 굴곡부 세트(10;10')가 개방된 리세스를 형성하는 상기 제2 굴곡부 세트(11;11')에 끼워져 상기 제1 벽 요소의 표면판과 제2 벽 요소의 표면판 사이에 조인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 요소(2)의 표면판(4)의 제1 굴곡부(51;51')와 제2 벽 요소(3)의 표면판의 제1 굴곡부(61;61')에서, 또는 제1 벽 요소(2)의 표면판(4)의 제2 굴곡부(52;52')와 제2 벽 요소(3)의 표면판의 제2 굴곡부(62;62')에서, 상기 제1 벽 요소(2)와 제2 벽 요소(3)가 서로 기계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부 세트(10;10')의 제3 굴곡부(53;53')로부터 직각으로 이어지고 또한 상기 표면판(4)를 따라 연장되는 제4 굴곡부(54;5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굴곡부(54;54')가 상기 표면판(4)에 기계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닫혀진 박스형 구조가 상기 제1 굴곡부 세트(10')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굴곡부 세트(10')에는 돌출부(8)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된 리세스가 상기 제2 굴곡부 세트(11')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굴곡부 세트(11')에는 추가적인 리세스(7)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8)가 추가적인 리세스(7)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각의 굴곡 각도는 90도±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
KR1020160088671A 2015-07-14 2016-07-13 벽 구조 Active KR102494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55555A FI126953B (fi) 2015-07-14 2015-07-14 Seinärakenne
FI20155555 2015-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692A KR20170008692A (ko) 2017-01-24
KR102494443B1 true KR102494443B1 (ko) 2023-01-31

Family

ID=5632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671A Active KR102494443B1 (ko) 2015-07-14 2016-07-13 벽 구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3118100B1 (ko)
JP (1) JP6856984B2 (ko)
KR (1) KR102494443B1 (ko)
CN (1) CN106476982A (ko)
ES (1) ES2705098T3 (ko)
FI (1) FI126953B (ko)
HR (1) HRP20190067T1 (ko)
LT (1) LT3118100T (ko)
PL (1) PL311810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9273B (zh) * 2018-11-07 2024-06-11 企力(大连)海事科技有限公司 舰艇用防护隔热绝缘组件及其敷设方法
FR3122444B1 (fr) * 2021-04-28 2023-08-11 Anna Gevaert Panneau composite à bordures
IT202100014723A1 (it) * 2021-06-07 2022-12-07 Marinoni S P A Pannello per la realizzazione di cabine a bordo di imbarcazioni
CN113715958A (zh) * 2021-09-30 2021-11-30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客舱甲板结构及船舶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83084A1 (de) * 1966-05-14 1969-09-18 Kimmich Frankfurter Rolladen J Feuersicheres Stahl-Rolltor
JPS53151125U (ko) * 1977-04-30 1978-11-28
FR2613404B1 (fr) * 1987-03-31 1992-04-24 Hutchinson Sa Elements de construction de batiments, notamment elements de couverture et/ou de veture et leurs dispositifs de fixation sur un support sous-jacent
SU1747305A1 (ru) * 1989-04-05 1992-07-15 Николаевский филиал Центральног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го института технологии судостроения Узел креплени панелей зашивки судового помещени
FR2701978B1 (fr) * 1993-02-23 1995-07-07 Lorraine Laminage Paroi intérieure de bardage ou de couverture métallique de bâtiment et profil de renfort pour une telle paroi.
NL1002839C2 (nl) * 1996-04-10 1997-10-14 Rockwool Lapinus Bv Geïsoleerde metalen wandconstructie.
FI972025L (fi) * 1997-05-13 1998-11-14 Kvaerner Masa Yards Oy Seinärakenne
FR2831573B1 (fr) * 2001-10-25 2004-04-23 Usinor Plateau de bardage, et paroi formee de tels plateaux
FI119652B (fi) 2003-11-24 2009-01-30 Stx Finland Cruise Oy Seinärakenne
FI118019B (fi) * 2005-11-18 2007-05-31 Aker Yards Cabins Oy Seinärakenne
FI20075189A7 (fi) * 2007-03-22 2008-09-23 Aker Yards Cabins Oy Seinäpaneeliyksikkö ja siitä aikaansaatu seinärakenne
KR20150058645A (ko) * 2013-11-19 2015-05-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692A (ko) 2017-01-24
PL3118100T3 (pl) 2019-04-30
EP3118100B1 (en) 2018-10-17
EP3118100A3 (en) 2017-02-22
HRP20190067T1 (hr) 2019-02-22
LT3118100T (lt) 2019-01-25
EP3118100A2 (en) 2017-01-18
CN106476982A (zh) 2017-03-08
ES2705098T3 (es) 2019-03-21
JP2017020333A (ja) 2017-01-26
JP6856984B2 (ja) 2021-04-14
FI20155555A7 (fi) 2017-01-15
FI126953B (fi)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4443B1 (ko) 벽 구조
US3950910A (en) Shelter panel
KR100538079B1 (ko) 벽구조
US11598089B2 (en) Partition wall
JP2017179960A (ja) 耐火部材取付金物及び梁の耐火構造
US11814844B2 (en) Building stud, wall structure comprising such a building stud and a method for forming a wall structure
JP4690083B2 (ja) 壁の耐火構造
KR101368011B1 (ko) 벽 구조물
CN212271678U (zh) 轻钢龙骨石膏板隔墙门洞加固装置
JP5238217B2 (ja) 壁パネル
JP6067992B2 (ja) 天井構造
CN205637319U (zh) 一种复合墙板件
CN223086220U (zh) 船舱用可拼接墙板
KR20210054167A (ko) 저중량 고강도 기능성 프로파일
JP5811082B2 (ja) 航空機用内装パネルの結合構造
CN219931375U (zh) 一种扣板单元
CN2926367Y (zh) 隐耳封边蜂窝板
CN109665061B (zh) 一种船用夹层板t型接口处连接装置及安装方法
JP4927635B2 (ja) 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取付部材
JPS643756Y2 (ko)
KR20140069977A (ko) 덕트 조립장치
EP3441540B1 (en) Corner profile for fastening cladding structures
JP2006161405A (ja) 間仕切壁の耐火構造
JP2019196653A (ja) 壁面構造
JP2010059780A (ja) 湿式耐火被覆用軽量金属下地金物、この下地金物を使用した鉄骨柱または鉄骨梁の耐火被覆工法、および湿式耐火被覆材の被覆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4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7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