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89153B1 -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153B1
KR102489153B1 KR1020220092481A KR20220092481A KR102489153B1 KR 102489153 B1 KR102489153 B1 KR 102489153B1 KR 1020220092481 A KR1020220092481 A KR 1020220092481A KR 20220092481 A KR20220092481 A KR 20220092481A KR 102489153 B1 KR102489153 B1 KR 102489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ir
filtering
filtering panel
outer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베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베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베큠
Priority to KR1020220092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1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nsportable use
    • B01D2259/4558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nsportable use for being employed as mobile cleaners for ambient air, i.e. the earth's atmosphe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에 있는 악취나 오염물질을 흡수, 저장 및 분해하여 저감시키거나 정화시키는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망상 구조(net-shaped structure)로 이루어진 제1 외부층 및 제2 외부층과, 상기 제1 외부층과 상기 제2 외부층 사이에 설치되어서 유입된 오염공기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되어서 배출되게 하는 필터링 부재로 이루어진 필터링 패널; 상기 필터링 패널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필터링 패널의 타측에 장착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의 양측면 테두리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필터링 패널이 유동하거나 이탈하지 못하도록 지지해주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서로 결합시켜서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에 결합되어서 피장착물에 설치되게 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Device for purifying pollutant in air}
본 발명은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기에 있는 악취나 오염물질을 흡수, 저장 및 분해하여 저감시키거나 정화시키는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내에서, 그리고 자동차, 난방시스템 또는 산업시설인 발전소, 공장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시설물로부터 오염물질이 배출된다.
상기의 오염물질은 각종 분진이나 황산화물 등 해로운 입자상의 오염물질을 과량 포함하고 있어 대기 중으로 방출되면 위험하며, 환경오염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된 유해 오염물질이 대기중에 포함되어 있다가 안개, 구름, 비와 화학반응 및 물리적 변화하여 황산, 질산, 염산등 산성물질이 됨으로서 산성비가 되어 내리게 되는데, 이러한 산성비는 인간이 통제할 수 없으므로 넓은 지역과 많은 동. 식물과 인간에게 피해를 주게 된다.
따라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장치가 구비되고 있다.
특히, 오염물질 정화장치는 필터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배출가스의 오염물질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였다.
즉, 기중에 분포하는 입자상 물질을 필터 표면에 흡착, 축적, 퇴적시켜 분리 집진하는 방식으로 용이한 처리가 가능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18535호 및 제10-2003-0034121호 등에는 상기와 같이 필터를 포함하는 오염물질 정화장치들이 다수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정화장치의 필터가 배출가스가 유동하는 유동로 내부로 노출되어 배출가스와 접촉하고 배출가스를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정화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염물질 정화장치들은 장치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에너지원이 필요하게 되어 대부분 부피가 커서 산업시설 등의 특정한 곳에만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고, 일반적인 생활시설 등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여전히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대기 중에 잔존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18535호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34121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기에 있는 악취나 오염물질을 흡수, 저장 및 분해하여 저감시키거나 정화시키는 필터링 패드를 일반적인 생활시설물인 차량, 도로의 가드레일, 광고판 또는 액자 등의 피장착물에 설치하여 사용하되 추가적인 에너지원 없이 자연적인 공기의 흐름방식만을 활용하므로 온전히 무동력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간편하게 피장착물에 탈부착하여 사용가능하게 하는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는, 망상 구조(net-shaped structure)로 이루어진 제1 외부층 및 제2 외부층과, 상기 제1 외부층과 상기 제2 외부층 사이에 설치되어서 유입된 오염공기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되어서 배출되게 하는 필터링 부재로 이루어진 필터링 패널; 상기 필터링 패널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필터링 패널의 타측에 장착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의 양측면 테두리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필터링 패널이 유동하거나 이탈하지 못하도록 지지해주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서로 결합시켜서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에 결합되어서 피장착물에 설치되게 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외부층 및 상기 제2 외부층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링 부재는 기공 크기가 300 미크론 내지 500 미크론인 다공성 활성탄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링 패널,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결합체는 오염공기가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필터링 패널을 통해 정화된 후 정화 공기가 상부 또는 하부로 배출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각각과 상기 필터링 패널 사이에는 오염물질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공기유도공간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오염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다수 개의 오염공기 유입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게 하는 정화공기 배출공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링 패널은 다수 개의 제2 고정부재를 통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부재는 자석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피장착물의 금속재 슬리브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홈 또는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필터링 패널이 상기 고정홈 또는 상기 관통공에 삽설하여 고정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는,
대기에 있는 악취나 오염물질을 흡수, 저장 및 분해하여 저감시키거나 정화시키는 정화장치인 필터링 패드의 크기를 피장착물의 크기에 대응하여 다양화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그리고 오염공기의 유입 및 배출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일반적인 생활시설물인 차량, 도로의 가드레일, 광고판 또는 액자 등의 다양한 피장착물에 간편하게 탈부착하여 사용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추가적인 에너지원 없이 자연적인 공기의 흐름방식만을 활용하므로 온전히 무동력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하여 장치 구성에서 있어서 간편하게 하고 에너지 이용면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일례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일례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일례에 대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일례의 필터링 패널을 보인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일례에 대한 공기 유입 및 배출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일례에 대한 실시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다른 일례를 보인 도면.
도 8은 도 7의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다른 일례에 대한 평면도.
도 9는 도 7의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다른 일례에 대한 분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다른 일례에 대한 공기 유입 및 배출상태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다른 일례의 필터링 패널을 관통하는 공기의 흐름상태를 보인 분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다른 일례가 피장착물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다른 일례에 대한 실시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일례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일례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일례에 대한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일례의 필터링 패널을 보인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일례에 대한 공기 유입 및 배출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일례에 대한 실시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다른 일례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다른 일례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다른 일례에 대한 분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다른 일례에 대한 공기 유입 및 배출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다른 일례의 필터링 패널을 관통하는 공기의 흐름상태를 보인 분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다른 일례가 피장착물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다른 일례에 대한 실시상태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대기에 있는 악취나 오염물질, 즉 포름알데히드(CH2O), 벤젠(C6H6),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다환 방향족탄화수소(PAH), 질소산화물(NOx), 이산화황(SO2), 오존(Ox) 등을 흡수, 저장 및 분해하여 저감시키거나 정화시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링 패널(10), 제1 플레이트(20), 제2 플레이트(30), 지지플레이트(40), 제1 고정부재(50) 및 장착부재(60)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링 패널(10)은 오염공기 내의 오염물질을 흡수, 저장 및 분해하는 정화작용을 통해 배출되게 하는 주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상 구조(net-shaped structure)로 이루어진 제1 외부층(11) 및 제2 외부층(12)과, 상기 제1 외부층(11)과 제2 외부층(12) 사이에 설치된 필터링 부재(1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 부재(13)는 제1 외부층(11)과 제2 외부층(12) 사이에 스티칭 또는 열용접을 통해서 영구적 또는 비영구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링 부재(13)는 기공 크기가 300 미크론 내지 500 미크론인 다공성 활성탄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링 부재(13)인 활성탄소의 기공의 크기를 300 미크론 내지 500 미크론으로 한정한 이유는, 필터링의 효율성을 고려한 것으로서 오염물질을 필터링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즉, 기공의 크기가 작을수록 필터링 효율은 우수하지만, 맛, 냄새성분 등 미세한 오염물질의 흡착율 및 통기성을 고려하여, 300 미크론 이하에서는 공기의 통기성이 약하게 되는 일이 발생하게 되고, 500 미크론 이상에서는 오염물질의 흡착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제1 외부층(11)과 제2 외부층(12)에 있어서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게 하였고, 이는 단순히 필터링 부재(13)를 지지해주는 역할과 공기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넘어서, 공기 내의 오염물질을 사전에 미리 필터링할 수 있게 하며 항균성을 가지면서 공기의 투과를 촉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외부층(11)과 제2 외부층(12)은 공기내 휘발성 미세 입자와 수분을 가두어 놓을 수 있도록 미세 직물로 이루어지되 망상 구조를 이루도록 하였다.
상기 제1 플레이트(20)는 필터링 패널(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방에 장착되어서 필터링 패널(10)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광고판으로도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제2 플레이트(30)는 필터링 패널(10)의 타측, 바람직하게는 후방에 장착되는 필터링 패널(10)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40)는, 도 2 및 도 3의 일례와 도 8 및 도 9의 다른 일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플레이트(20)와 제2 플레이트(30) 사이의 양측면 테두리부(41)에 설치되어서 필터링 패널(10)이 유동하거나 이탈하지 못하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40)의 측면에 고정홈(45)을 구비하여, 필터링 패널(10)이 고정홈(45)에 삽설하여 고정되게 하는 일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일례에서는, 상기 지지플레이트(40)가 제1 플레이트(20)와 제2 플레이트(30) 사이의 양측면 테두리부(41)에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설치되는 일도 가능하며 이때는 필터링 패널(10)을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관통공(47)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고정부재(50)는 도 2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 개로 구비되어서 제1 플레이트(20), 제2 플레이트(30) 및 지지플레이트(40)를 서로 결합시켜서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제1 고정부재(50)는 제1 플레이트(20), 제2 플레이트(30) 및 필터링 패널(10)을 서로 연결하여 결합시켜준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부재(50)는 제1 플레이트(20), 제2 플레이트(30) 및 지지플레이트(40) 또는 필터링 패널(10)을 관통하는 볼트와 그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너트는 외부물질의 접촉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부재로 이루지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 패널(10)은 도 7 및 도 12에 나타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다른 일례와 같이, 다수 개의 제2 고정부재(70)를 통해서 제1 플레이트(20)와 제2 플레이트(30)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장착부재(60)는 제1 고정부재(50)에 결합되어서 슬리브(2)에 설치되게 함으로써,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물질 정화장치(100)가 피장착물(1)에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재(60)는 자석으로 이루어져서, 피장착물(1)의 금속재 슬리브(2)에 결합되게 하는 일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장착부재(60)는 제1 고정부재(50)와 일체로 구성되는 일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오염물질 정화장치(100)에 대한 실시예에서는 그 장치에 대한 오염공기의 유입 및 정화공기의 배출 방향에 따라서, 즉 용도에 대응하여 다양한 일례들을 가진다.
상기의 오염물질 정화장치(100)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레일과 같은 고정체의 피장착물(1)에 설치되는 일례에서는, 장치의 아래로 오염공기가 유입되게 한 다음 정화되어서 그 정화된 공기가 장치의 상부로 배출되게 하였다.
즉, 상기 필터링 패널(10), 제1 플레이트(20) 및 제2 플레이트(30)의 결합체는 오염공기가 하부로부터 유입되어 필터링 패널(10)을 통해 정화된 후 정화 공기가 상부로 배출되게 하였으며, 바람이 부는 방향이 변화되는 상황에 따라서는 유입 및 배출 부분이 다를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플레이트(20) 및 제2 플레이트(30) 각각과 필터링 패널(10) 사이에는 오염물질 공기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는 공기유도공간(26)을 구비하는 일도 가능하다.
상기의 오염물질 정화장치(100)가 도 10,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와 같은 이동체의 피장착물(1)에 설치되는 다른 일례에서는, 장치의 전방으로 오염공기가 유입되게 한 다음 정화되어서 그 정화된 공기가 장치의 후방으로 배출되게 하였다.
즉, 상기 필터링 패널(10)의 전방에 설치된 제1 플레이트(20)에는 다수 개의 오염공기 유입공(25)이 구비되게 하여서 오염공기가 유입되게 하고, 그 유입된 오염공기는 필터링 패널(10)에서 정화된 후, 상기 필터링 패널(10)의 후방에 설치된 제2 플레이트(30)에 구비된 다수 개의 정화공기 배출공(35)을 통해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게 하였다.
따라서, 오염공기의 유입 및 배출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일반적인 생활시설물인 차량, 도로의 가드레일, 광고판 또는 액자 등의 다양한 피장착물에 간편하게 탈부착하여 사용 가능하게 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물질 정화장치(100)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서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 현상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빨라지게 되고, 그 빠른 유속을 통해서 필터링 패널(10)에 의한 정화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하는 일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 피장착물 2: 슬리브
10: 필터링 패널 11: 제1 외부층
12: 제2 외부층 13: 필터링 부재
20: 제1 플레이트 25: 오염공기 유입공
30: 제2 플레이트 35: 정화공기 배출공
40: 지지 플레이트 41: 테두리부
45: 고정홈
50: 제1 고정부재 60: 장착부재
70: 제2 고정부재

Claims (8)

  1. 망상 구조(net-shaped structure)로 이루어진 제1 외부층(11) 및 제2 외부층(12)과, 상기 제1 외부층(11)과 상기 제2 외부층(12) 사이에 설치되어서 유입된 오염공기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되어서 배출되게 하는 필터링 부재(13)로 이루어진 필터링 패널(10);
    상기 필터링 패널(10)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 플레이트(20);
    상기 필터링 패널(10)의 타측에 장착되는 제2 플레이트(30);
    상기 제1 플레이트(20)와 상기 제2 플레이트(30) 사이의 양측면 테두리부(41)에 설치되어서 상기 필터링 패널(10)이 유동하거나 이탈하지 못하도록 지지해주는 지지플레이트(40);
    상기 제1 플레이트(20), 상기 제2 플레이트(30)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40)를 서로 결합시켜서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재(50); 및
    상기 제1 고정부재(50)에 결합되어서 피장착물(1)에 설치되게 하는 장착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층(11) 및 상기 제2 외부층(12)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링 부재(13)는 기공 크기가 300 미크론 내지 500 미크론인 다공성 활성탄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패널(10), 상기 제1 플레이트(2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30)의 결합체는 오염공기가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필터링 패널(10)을 통해 정화된 후 정화 공기가 상부 또는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20) 및 제2 플레이트(30) 각각과 상기 필터링 패널(10) 사이에는 오염물질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공기유도공간(2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20)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30)에는 오염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다수 개의 오염공기 유입공(25)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20)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30)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게 하는 정화공기 배출공(3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패널(10)은 다수 개의 제2 고정부재(70)를 통해서 상기 제1 플레이트(20)와 상기 제2 플레이트(3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60)는 자석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피장착물(1)의 금속재 슬리브(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40)에 고정홈(45) 또는 관통공(47)을 구비하여, 상기 필터링 패널(10)이 상기 고정홈(45) 또는 상기 관통공(47)에 삽설하여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20220092481A 2022-07-26 2022-07-26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Active KR102489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481A KR102489153B1 (ko) 2022-07-26 2022-07-26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481A KR102489153B1 (ko) 2022-07-26 2022-07-26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153B1 true KR102489153B1 (ko) 2023-01-18

Family

ID=8510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481A Active KR102489153B1 (ko) 2022-07-26 2022-07-26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52695A (ko) 2023-10-12 2025-04-21 주식회사 조은환경 악취 및 유해물질 제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0619A (ja) * 2001-06-29 2003-01-14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スフィルタ装置
KR20110014076A (ko) * 2009-08-03 2011-02-10 주식회사 에이앤이 재생형 공기집진필터
JP2013033197A (ja) * 2011-07-04 2013-02-14 Japan Vilene Co Ltd 超微粒子発生抑制フィルタ
KR20180080065A (ko) * 2017-01-03 2018-07-11 김명원 차량 후부 범퍼에 장착되는 미세 먼지 수집 장치
KR20220077057A (ko) * 2020-12-01 2022-06-08 김중섭 활성탄소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를 이용한 휘발성유기물질을 배출하는 대상체의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0619A (ja) * 2001-06-29 2003-01-14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スフィルタ装置
KR20110014076A (ko) * 2009-08-03 2011-02-10 주식회사 에이앤이 재생형 공기집진필터
JP2013033197A (ja) * 2011-07-04 2013-02-14 Japan Vilene Co Ltd 超微粒子発生抑制フィルタ
KR20180080065A (ko) * 2017-01-03 2018-07-11 김명원 차량 후부 범퍼에 장착되는 미세 먼지 수집 장치
KR20220077057A (ko) * 2020-12-01 2022-06-08 김중섭 활성탄소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를 이용한 휘발성유기물질을 배출하는 대상체의 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52695A (ko) 2023-10-12 2025-04-21 주식회사 조은환경 악취 및 유해물질 제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76661T3 (es) Sistemas para la eliminación de contaminantes de flujos de fluido.
CN104848443B (zh) 一种再生型空气净化系统
KR100807813B1 (ko) 차량 장착용 대기정화장치
EP1280605A1 (en) Portable motor vehicle cabin air purifier
CZ290853B6 (cs) Násobná filtrační jednotka na čiątění vzduchu
RU2005131189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фильтрации и очистки от орган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способ ее производств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оснащенное такой установкой
RU2008120658A (ru)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489153B1 (ko)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ATE327116T1 (de) Reinigung der luft in einer fahrgastzelle eines fahrzeugs durch adsorption und photokatalyse
JP2005297720A (ja) 空気浄化装置
JP4257471B2 (ja) 車載空気清浄機のフィルタ構造
KR200373141Y1 (ko) 자동차용 실내 정화용 캐빈 에어필터
JP7560976B2 (ja) 空気浄化フィルタユニット及び空気浄化フェンス構造体
US20230190983A1 (en) Device for air purification, incorporated into a vehicle
KR101431673B1 (ko) 악취 제거 탈취기
CN218805118U (zh) 空气净化器
JP2001187122A (ja) 空気浄化フィルター及び空気浄化装置
KR0145808B1 (ko) 차량용 공기 정화 장치 및 방법
CN217944851U (zh) 一种空气净化装置及包括其的车辆及包括其的空调
CN211995101U (zh) 一种车载消毒杀菌净化器
CN208635306U (zh) 具有抑菌作用的空调滤芯过滤网
JP3017276U (ja) 空気清浄化装置
Liao et al. A new type of manganese dioxide car air conditioner filter element
KR900000124Y1 (ko) 산업용 오염공기 정화기
CN205668567U (zh) 一种轨道车厢用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