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88461B1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461B1
KR102488461B1 KR1020150165072A KR20150165072A KR102488461B1 KR 102488461 B1 KR102488461 B1 KR 102488461B1 KR 1020150165072 A KR1020150165072 A KR 1020150165072A KR 20150165072 A KR20150165072 A KR 20150165072A KR 102488461 B1 KR102488461 B1 KR 102488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older
expanded
displayed
display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519A (ko
Inventor
유은정
전현주
김영준
박원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5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461B1/ko
Priority to PCT/KR2016/007856 priority patent/WO2017090863A1/en
Priority to US15/246,341 priority patent/US10379720B2/en
Publication of KR20170060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46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3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odifying the size of the graphic patter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802D [Two Dimensional] animation, e.g. using spri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화면의 크기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확장 전 화면 상에 홈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상기 홈 화면에 포함된 폴더 및 상기 폴더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을 확장된 영역에 확대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FLEXIBL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접거나 롤(Roll) 형상으로 말거나 적어도 한 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는 등, 사용 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이들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 단계에서의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요구와 휴대를 위한 디스플레이의 소형화의 요구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리 설정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에 상응하여 또는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상황의 필요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이 고정된 경우 사용에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2280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3650호(20150518),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6329호(20130214)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간단한 동작만으로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확장 전 화면 상에 포함된 정보를 확장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화면의 크기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확장 전 화면 상에 홈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상기 홈 화면에 포함된 폴더 및 상기 폴더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을 확장된 영역에 확대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홈 화면에 배치된 상기 폴더의 위치 및 상기 폴더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폴더 및 상기 대응하는 앱 아이콘을 확장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홈 화면은 복수의 폴더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폴더들 중 일정 기간 동안, 각 폴더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가장 실행 횟수가 많은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폴더 및 상기 가장 실행 횟수가 많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을 상기 확장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홈 화면은 제1 행에 배치된 제1 폴더, 제2 폴더 및 제2 행에 배치된 제3 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폴더 및 제2 폴더 중 일정 기간 동안 가장 실행 횟수가 많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을 포함하는 폴더 및 해당 앱 아이콘을 상기 확장된 영역의 제1 행에 표시하고, 상기 제3 폴더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일정 기간 동안 가장 실행 횟수가 많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 및 상기 제3 폴더를 상기 확장된 영역의 제2 행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 및 상기 앱 아이콘을 확장된 영역에 표시하면서, 상기 홈 화면 상에 상기 폴더 및 상기 앱 아이콘을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상기 폴더를 확대시키면서, 상기 확장된 영역으로, 상기 폴더를 이동시키는 애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홈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폴더들이 상기 확장된 영역에 모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이 더 확장된 경우, 상기 복수의 폴더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홈 화면 상의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확장된 화면 상에 상기 복수의 폴더들 중 어느 하나의 폴더만이 남아 있는 경우, 상기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남아 있는 폴더에 포함된 앱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홈 화면 상에 표시된 폴더 상에는 해당 폴더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알림을 수신했음을 나타내는 뱃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장된 영역에 표시된 앱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알림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확대된 폴더 상에 상기 뱃지를 표시하고, 상기 확장된 영역에 표시된 앱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알림을 수신한 경우, 확대된 앱 아이콘 상에 상기 뱃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이 더 확장된 경우, 확장된 영역에 상기 가장 최근에 알림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이 최대로 확장된 경우, 알림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을 확장된 화면의 일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홈 화면 상에는 키 입력 영역이 더 표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입력 영역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상기 홈 화면에 포함된 폴더 및 상기 폴더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을 확장된 영역에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상기 확장된 영역의 하단에 최근에 실행했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홈 화면 상에는 정보를 포함하는 위젯이 더 표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상기 위젯을 통해 제공되는 추가 정보를 상기 확장된 영역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홈 화면 상의 상단에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상기 상태 바를 통해 제공되는 추가 정보를 확장된 화면 상에 표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확장되는 정도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홈 화면에 포함된 정보를 확장된 영역에 가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홈 화면에 포함된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b는 센싱부를 구성하는 압력 센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c는 센싱부가 복수의 가속도 센서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인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3f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변형되기 전, 표시되는 홈 화면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확장됨에 따라 홈 화면에 포함된 정보가 확장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확장됨에 따라 홈 화면에 포함된 정보가 확장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확장됨에 따라 홈 화면에 포함된 정보가 확장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g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확장됨에 따라 홈 화면에 포함된 정보가 확장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최대로 확장된 상태에서, 화면의 확장시키는 입력이 감지되면, 알림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홈 화면을 구성하는 페이지가 복수 개 있는 경우,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홈 화면에 포함된 정보를 확장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홈 화면에 포함된 폴더내의 앱 아이콘들이 확장된 화면 상에 모두 표시되고, 화면이 추가적으로 확장된 경우, 추가적으로 확장된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b는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홈 화면에 포함된 위젯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가 추가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홈 화면에 포함된 위젯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가 추가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e는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홈 화면에 포함된 상태 바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가 추가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1b는 센싱부(210)를 구성하는 압력 센서(211)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c는 센싱부(210)가 복수의 가속도 센서들(213-1 내지 213-4)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250)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deformable display device, 200)는 유리나 실리콘 등의 딱딱한 물질에서만 구현되던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와는 달리, 휘어질 뿐만 아니라 신축이 가능하여 다양하고 새로운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잡아당기면, 늘어나고, 놓으면 다시 원래 상태로 줄어들 수 있는 신축성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stretchable display device)일 수 있다. 신축성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잡아당기면 늘어나고, 늘어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늘어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신축성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축소시키는 힘이 가해지면, 원래의 상태로 줄어들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종이처럼 롤(roll) 형상으로 말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변경 가능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Rollable display device)일 수도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센싱부(210), 디스플레이부(250), 저장부(27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210)는 디스플레이부(250)에 가해지는 힘의 세기 및 힘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부(210)는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50)에 배치될 수 있다. 센싱부(210)가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각 압력 센서(211)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힘)이 인가되는 영역의 양 끝단 사이의 커패시턴스의 변화 또는 저항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압력 센서(211)는 검출된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커패시턴스 변화 신호 또는 저항의 변화를 나타내는 저항 변화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제어부(290)로 전달할 수 있다. 커패시턴스 변화 신호 또는 저항 변화 신호는 압력 센서(211)에 가해지는 힘의 세기 및 힘의 방향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압력 센서(211)로부터 수신된 커패시턴스 변화 신호 또는 저항의 변화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5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힘의 세기 중 하나 이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센싱부(21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속도 센서들(213-1 내지 213-4)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가속도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50)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진 경우, 직사각형의 각 꼭지점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가 후술할 플렉서블 기판 및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가속도 센서들(213-1 내지 213-4)은 플렉서블 기판의 하단에 배치되고, 영상 표시부는 플렉서블 기판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플렉서블 기판 또는 영상 표시부에 내장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물체가 이동할 때의 가속도나 충격의 세기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면, 디스플레이부(250)의 운동 상태가 상세히 감지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서로 수직하는 3축(x축, y축, z축) 각각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250)의 가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3축 방향의 가속도를 이용하여 이동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획득된 이동 속도를 이용하여 3축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250)가 확장된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된 이동 속도 및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5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힘의 세기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획득된 힘의 방향 및 힘의 세기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0)를 확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센싱부(210)는 복수의 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홀 센서들은 디스플레이부(250) 내측 또는 디스플레이부(2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센싱부(210)가 복수의 홀 센서들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홀 센서에서 감지되는 전압을 통해 디스플레이부(250)를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플렉서블 기판 및 영상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은 신축성이 좋은 PDMS(polydimethylsiloxane)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잡아당기는 힘에 따라 확장될 수 있다. 영상 표시부는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되고, 플렉서블 기판이 확장됨에 따라 함께 확장될 수 있다. 영상 표시부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디스플레이부(250)에 가해지는 힘의 세기 및 힘의 세기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확장 정도 또는 축소 정도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의 확장 정도는 디스플레이부(250)가 확장되는 길이를 나타낼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50)의 축소 정도는 디스플레이부(250)가 축소되는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290)는 센싱부(210)를 통해 감지된 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0)를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가 확장됨은 디스플레이부(250)가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의 크기가 확대됨을 나타낼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50)가 축소됨은 디스플레이부(250)가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의 크기가 축소됨을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 크기가 확대 또는 축소됨에 따라 화면 상에 표시되는 그래픽 또는 영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29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9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은 이하의 도면에서 후술한다.
도 2a 및 2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인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부(200_1)가 신축되기 전 상태의 디스플레이부(250_1)를 보여준다.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50_1)에 +x축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어부(29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0_1)를 +x축 방향으로 확장 거리 d1만큼 확장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_1)가 확장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0)는 확장 거리(d1)에 대응하는 확장 영역(251_1)만큼 확장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 크기는 확장 영역(251_1)만큼 확대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x 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반대로, 디스플레이부(250_1)에 ??x축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_1)를 원래의 크기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 3a 내지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동작 상태에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동작 상태에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d는 도 3a에서 A1-A2를 기준으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e 및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홀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진 길이, 감겨진 길이 및 디스플레이부의 회전량을 센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는 상측 케이스(240), 중간 케이스(220), 하측 케이스(260), 디스플레이부(250), 제1 홀더(223) 및 제2 홀더(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케이스(240), 하측 케이스(260) 및 중간 케이스(22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_2)의 외관을 형성한다. 중간 케이스(22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육면체 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간 케이스(220)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개방되어, 디스플레이부(250)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상측 케이스(240) 및 하측 케이스(260)는 중간 케이스(220)를 상측 및 하측에서 덮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측 케이스(240) 및 하측 케이스(260)는 중간 케이스(220)의 내부에 구비된 다양한 부품들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측 케이스(240)에는 평면으로 형성되도록 상측 케이스(240)의 내부를 향하여 리세스된(recessed) 리세스부(246)가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246)에는 카메라(241) 및 음향 출력부(242)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더(223, 도 3d에 도시)는 디스플레이부(25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고, 제2 홀더(224)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홀더(223)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최대로 확장된 경우, 디스플레이부(250)가 중간 케이스(220)의 내 측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제2 홀더(224)는 디스플레이부(250)가 중간 케이스(220)의 내측으로 말려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홀더(224)를 특정 방향으로 잡아당겨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을 확장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중간 케이스(220) 내 측으로 말려들어가거나(roll-in), 중간 케이스 외 측으로 펼쳐질 수 있다(roll-out). 즉, 디스플레이부(250)는 중간 케이스(220) 내 측으로 권취(wind, roll, coil)되거나, 중간 케이스(220) 외 측으로 권출 (unwind, unroll, uncoil)될 수 있다.
도 3b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가 제1 동작 상태에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c는 제2 동작 상태에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250)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 동작 상태라 한다)에서, 디스플레이부(250)가 표시하는 영역은 평면일 수 있다. 제1 동작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 동작 상태라 한다)에서 디스플레이부(250)가 표시하는 영역은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동작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제1 동작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50)에 외력이 가해지면, 디스플레이부(250)는 평평한 상태(혹은 보다 덜 휘어진 상태) 또는 보다 많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50)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290)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제1 동작 상태뿐만 아니라 제2 동작 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는 디스플레이부(250)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210, 도 1a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변형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250) 또는 중간 케이스(220)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250)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디스플레이부(250)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디스플레이부(250)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디스플레이부(250)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디스플레이부(250)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250)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의 제1 동작 상태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기본적인 정보만을 표시하도록 최소한의 디스플레이 영역만 외부에 노출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의 제2 동작 상태는 활성화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부(250)가 확장된 상태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부(250)가 확장됨은 디스플레이부(250)가 표시하는 화면이 확장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의 확장은 단계적인 확장을 포함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디스플레이부(250)를 롤링시킴으로써 확장 또는 축소되는데 확장 또는 축소시에 1회에 걸쳐 구현할 수도 있으나, 디스플레이 영역의 변화를 단계적으로 점차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동작 상태를 제외한 모든 상태는 제2 동작 상태라고 할 수 있으며, 제2 동작 상태는 확장의 정도에 따라 복수의 단계들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작 상태에서는 메세지창(225), 아이콘(226) 또는 시간 표시부(227) 등과 같은 영역만이 표시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50)의 노출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동작 상태에서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0)의 노출 영역을 최대화하여 보다 큰 화면에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3c는 디스플레이부(250)가 최대로 확장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음을 가정한다.
제어부(290, 도 1a에 도시)는 디스플레이부(250)가 권출되는 길이를 감지할 수 있고, 권출된 길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50)의 일부를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가 중간 케이스(220)의 개방된 영역 외측으로 권출된 길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중간 케이스(220)의 내측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250)를 오프 시키고, 중간 케이스(220)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권출된 디스플레이부(250)를 온 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의 일부가 온 됨은 디스플레이부(250)의 일부가 정보를 표시하도록 전원이 인가됨을 의미하고, 디스플레이부(250)의 일부가 오프됨은 디스플레이부(250)의 일부가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전원이 인가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 케이스(220)의 외부로 권출되지 않은 일부의 디스플레이부(250)는 오프 상태로 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발열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38)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될 때, 분리되는 부분을 온 시키고, 분리되지 않은 부분을 오프시킬 수 있다. 제어부(290)는 내부 케이스(238)의 내주면에 배치된 길이 센싱부(211) 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38)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됨을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분리되는 부분을 온 시키고, 분리되지 않은 부분을 오프시킬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중간 케이스(220)의 내부에는 샤프트(281), 내부 케이스(238), 길이 센싱부(211), 회전량 센싱부(213), 복수의 회로기판들(280), 연성회로기판(283), 지지 프레임(262)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281)는 내부 케이스(238)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238)는 롤러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회전 가능하며,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0)를 권출 또는 권취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내부 케이스(238)는 중간 케이스(220)와 축방향으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다.
길이 센싱부(211)는 디스플레이부(250)가 권취된 길이 또는 권출된 길이를 센싱할 수 있다. 길이 센싱부(211)는 자기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길이 센싱부(211)는 하나 이상의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 센싱부(211)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회전량 센싱부(213)는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38) 상에서 권취되는 횟수를 센싱할 수 있다. 즉, 회전량 센싱부(213)는 내부 케이스(238) 상에서 디스플레이부(250)가 말려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0)가 몇 번 권취되었는지를 센싱할 수 있다. 회전량 센싱부(213)는 자기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량 센싱부(213)는 하나 이상의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복수의 회로기판(280)들 각각은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의 동작을 위한 다수의 전자 회로 부품들을 실장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283)은 내부 케이스(238)에 실장된 전자회로 부품들과 디스플레이부(250)를 연결할 수 있다. 전자회로 부품은 도 1a에 도시된, 센싱부(210), 저장부(270) 및 제어부(29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62)은 회로 기판(280)을 지지하고, 내부 케이스(238)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238)는 길이 센싱부(211)와 디스플레이부(250)의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된 롤링 센싱부(234) 간의 자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롤링 센싱부(234) 또한, 자기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상기 자력에 의해 내부 케이스(238) 상에 말리면서, 내부 케이스(238)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50)는 롤링 센싱부(234)와 길이 센싱부(211) 간의 인력에 의해 롤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길이 센싱부(211) N극의 자기부재로 구성되고, 롤링 센싱부(234)가 S극의 자기부재로 구성된 경우, 서로의 인력에 의해 서로 이끌리게 된다. 길이 센싱부(211)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롤링 센싱부(234)가 길이 센싱부(211)를 향하여 직선 운동을 하면서 이끌려지게 되고, 연속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롤링 센싱부(234)가 계속하여 중간 케이스(22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미 유입된 롤링 센싱부(234)는 계속하여 길이 센싱부(211)와 인력이 작용하므로, 새로 유입되는 롤링 센싱부(234)와 길이 센싱부(211)와의 인력과 균형을 이루면서 롤링 센싱부(234)가 길이 센싱부(21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메커니즘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50)가 롤링하면서 감겨지게 된다.
디스플레이부(250)의 하면에는 롤링 센싱부(234)들이 구비되는 시트(222)가 구비될 수 있다. 시트(222)는 디스플레이부(250)에 포함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250)와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다. 시트(222)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222)는 실리콘 또는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일 수 있다. 시트(222)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하면에 시트 프레임(sheet frame)의 형태로 붙여지고, 시트(222)는 롤링 센싱부(234)를 순차적으로 고정하게 되며, 본딩(bonding), 테이프(tape) 또는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트(222)는 얇은 두께를 유지하면서, 플렉서블한 성질을 가져야 하고, 탄성 및 연신율이 우수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롤링 센싱부(234)들이 동일한 자극을 갖도록 하여 척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50)가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동일 자극을 갖는 롤링 센싱부(234)들은 척력이 작용하여 인접하여 형성되는 롤링 센싱부(234)를 밀어내게 되어 디스플레이부(250)가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한다.
길이 센싱부(211)는 롤링 센싱부(234)와의 자력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250)가 권취되는 길이 또는 권출되는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회전량 센싱부(213)는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38)의 외주면에 권취된 횟수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e 및 도 3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e를 참조하면, 길이 센싱부(211)는 4 개의 홀 센서 (H1, H2, H3, H4)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홀 센서들은 내부 케이스(238)의 내주면 또는 내부 공간에 내부 케이스(238)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때, 제1 내지 제4 홀 센서(H1, H2, H3, H4)는 롤링 센싱부(234)가 내부 케이스(238)의 원주 방향으로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여 롤링 센싱부(234)의 이동을 감지하게 된다.
도 3e 및 도 3f에서의 화살표는 내부 케이스(238)의 회전 방향을 의미한다. 제1 내지 제4 홀 센서(H1, H2, H3, H4)는 내부 케이스(238)가 회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0)가 최대로 노출된 제2 동작 상태에서는 제1 홀 센서(H1)만 롤링 센싱부(234)를 감지한다. 이후, 내부 케이스(23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38) 상에서 권취되고, 제2 홀 센서(H2), 제3 홀 센서(H3) 및 제4 홀 센서(H4)가 순차적으로 롤링 센싱부(234)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홀 센서(H1, H2, H3, H4)는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38)의 외주면을 따라 감기는 디스플레이부(250)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가 권취되거나 권출시에 마지막으로 롤링 센싱부(234)를 감지한 센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가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길이를 산정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38) 상에서 다수 회 권취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38)의 외주면에 2층 이상으로 권취되는 경우에는 내부 케이스(238)의 반경 방향으로의 자력의 변화가 발생되므로 이를 감지하는 홀 센서를 구비하면 보다 정확하게 디스플레이부(250)의 권취되는 길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3f에 도시된 것처럼, 두 개 이상의 홀 센서들이 내부 케이스(238)의 반경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면, 내부 케이스(238)의 외주면 상에서 2회 이상 적층되는 롤링 센싱부(234)의 자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디스플레이부(250)의 권취 길이를 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f에서는 제5 내지 제7 홀 센서(H5, H6, H7)의 세 개의 센서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즉, 제5 내지 제7 홀 센서(H5, H6, H7)는 롤링 센싱부(234)에 의한 내부 케이스(238)의 반경 방향으로의 자력 변화를 감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290)는 제2 동작 상태(즉, 도 3d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38) 상에서 1층으로 권취되는 동안에는 제1 내지 제4 홀 센서(H1, H2, H3, H4)에 의해 권취되는 길이를 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38) 상에서 2층으로 적층되는 상태로 권취되는 경우, 제5 내지 제7 홀 센서(H5, H6, H7)는 반경 방향으로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290)는 제5 내지 제7 홀 센서(H5, H6, H7)를 통해 감지된 자력 변화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50)가 권취되는 횟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의 권취되는 길이는 다시 제1 내지 제4 홀 센서(H1, H2, H3, H4)에 의해 산정될 수 있으며, 제5 내지 제7 홀 센서(H5, H6, H7)가 형성되는 반경 방향에 3층으로 적층되면 제5 내지 제7 홀 센서(H5, H6, H7)에 의해 자력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290)는 제1 내지 제4 홀 센서(H1, H2, H3, H4)를 통해 내부 케이스(238)의 외주면 상에서 권취되는 디스플레이부(250)의 길이를 계산할 수 있고, 제5 내지 제7 홀 센서(H5, H6, H7)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50)가 내부 케이스(283)의 외주면 상에 권취되는 횟수를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타측 단부에 상측 케이스(240), 중간 케이스(220), 하측 케이스(26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중간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도 3d에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를 양손으로 잡아, 디스플레이부(250)를 확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4에서 후술할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센싱부(210)는 이동 단말기(100)의 센싱부(14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5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저장부(2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7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 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36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3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ㅇ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 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송신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 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 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송신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송신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실시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뿐만 아니라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0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 (Node B 혹은 Evolved Node B로 명칭 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를 포함할 수 있다. MSC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및 BSCs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BS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은 각각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는,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BSC 및 적어도 하나의 BS를 합하여 "기지국"이라고 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 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36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에 의해 송신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이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위성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송신을 담당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탐지, 연산 또는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및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실내와 같이 위성 신호의 음영 지대에서는 GPS 모듈을 이용하여 정확히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따라, GPS 방식의 측위를 보상하기 위해, WPS (WiFi Positioning System)이 활용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 Positioning System)은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WiFi모듈 및 상기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로서, WiFi를 이용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은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 이동 단말기(100),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AP와 접속 중인 이동 단말기(100)는 와이파이 위치 측위 서버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신호)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의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로 송신되거나, 무선 AP에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추출되는 무선 AP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신호세기(Signal Strength) 및 노이즈 세기(Noise Strength)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위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동 단말기가 접속 중인 무선 AP와 대응되는 무선 AP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임의의 무선 AP 들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무선 AP의 위경도 좌표, 무선 AP가 위치한 건물명, 층수, 실내 상세 위치정보(GPS 좌표 이용가능), AP소유자의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측위 과정에서 이동형 AP나 불법 MAC 주소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무선 AP를 측위 과정에서 제거하기 위해,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RSSI 가 높은 순서대로 소정 개수의 무선 AP 정보만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이후,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할 수 있다. 포함된 정보와 상기 수신된 무선 AP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Cell-ID 방식, 핑거 프린트 방식, 삼각 측량 방식 및 랜드마크 방식 등이 활용될 수 있다.
Cell-ID 방식은 이동 단말기가 수집한 주변의 무선 AP 정보 중 신호 세기가 가장 강한 무선 AP의 위치를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구현이 단순하고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위치 정보를 신속히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무선 AP의 설치 밀도가 낮으면 측위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핑거프린트 방식은 서비스 지역에서 참조위치를 선정하여 신호 세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신호 세기 정보를 통해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핑거프린트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미리 전파 특성을 데이터베이스화할 필요가 있다.
삼각 측량 방식은 적어도 세 개의 무선 AP의 좌표와 이동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연산하는 방법이다. 이동 단말기와 무선 AP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신호 세기를 거리 정보로 변환하거나, 무선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Time of Arrival, ToA),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 차이(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신호가 전달되는 각도(Angle of Arrival, AoA)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랜드마크 방식은 위치를 알고 있는 랜드마크 발신기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열거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알고리즘이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 에 접속됨으로써,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요구되는 무선 AP의 개수는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무선 통신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2a 내지 2b에서 설명된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 장치(200_1) 및 도 3a 내지 3f에서 설명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_2)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홈 화면을 표시한다(S501). 단계 S501에서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은 변형 전 상태의 화면일 수 있다. 변형 전 상태의 화면은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확장되거나, 축소되지 않은 상태의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290)는 홈 버튼(미도시)을 선택하는 입력에 따라 변형 전 상태의 화면 상에 홈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홈 버튼(미도시)는 중간 케이스(220)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홈 화면 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홈 화면 상에 표시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변형되기 전, 표시되는 홈 화면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 장치(200-1) 또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을 1회 이상 접을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2)인 경우, 디스플레이부(250)는 a1의 거리만큼 화면이 확장된 상태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홈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도 6의 상태가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에 변형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낼 수도 있다. 즉, a1의 거리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초기 화면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0)는 홈 화면 표시하고 있다. 홈 화면은 상태 바 영역(610), 위젯 영역(620), 어플리케이션 영역(630), 페이지 알림 영역(640), 즐겨 찾기 영역(650) 및 키 입력 영역(6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태 바 영역(6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바 영역(6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작은 크기의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태 바 영역(610)은 홈 화면 상의 가장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위젯 영역(620)은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위젯을 포함할 수 있다. 위젯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없이, 날씨, 달력, 일정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미니 응용프로그램일 수 있다. 위젯 영역(620)의 가장 자리에는 위젯을 통해 제공될 정보가 더 남아 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621)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영역(630)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앱 아이콘들 및 복수의 앱 아이콘들을 폴더화한 복수의 폴더들(631, 633, 635)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들에서는 제1 폴더(631)는 3개의 앱 아이콘을 포함하고, 제2 폴더(633는 2개의 앱 아이콘을 포함하고, 제3 폴더(635)는 4개 이상의 앱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가정한다.
페이지 알림 영역(640)은 홈 화면이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될 경우, 디스플레이부(250)의 현재 화면 상에 어느 페이지가 표시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영역일 수 있다.
즐겨 찾기 영역(650)은 즐겨 찾기로 등록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앱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즐겨 찾기 영역(650)에는 홈 화면 상에서 표시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들을 더 제공하기 위한 더 보기 아이콘(6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키 입력 영역(670)은 터치 입력에 따라 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키 입력 영역(670)에는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홈 버튼,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한 백 버튼, 화면 상에 표시되는 페이지를 편집하기 위한 메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설명한다.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확장됨을 감지하고(S503), 확장된 화면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홈 화면에 포함된 정보를 확장시켜 표시한다(S505). 제어부(290)는 센싱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확장되거나, 축소됨을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210)는 화면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a 내지 도 3f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90)는 홈 화면에 포함된 키 입력 영역(670)이 선택된 상태에서, 화면이 확장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90)는 확장된 상태의 화면 크기에 대응되도록 홈 화면에 포함된 정보를 확장시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폴더 확장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90)는 키 입력 영역(670)이 선택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확장된 상태의 화면 크기에 대응되도록 홈 화면에 포함된 정보를 확장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홈 화면에 포함된 정보가 확장됨은 홈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들 중 특정 영역에 포함된 정보가 확대되어 표시됨을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홈 화면에 포함된 정보가 확장됨은 홈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들 중 특정 영역에 포함된 정보가 확대되어 표시되면서, 다른 영역에 추가적인 정보가 표시됨을 나타낼 수 있다. 단계 S503 내지 S505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확장됨에 따라 홈 화면에 포함된 정보가 확장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7a 내지 도 7d는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폴더의 위치 및 폴더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에 기초하여 폴더 및 폴더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에서 도 6과 비교하여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a의 어플리케이션 영역(630)은 제1 폴더(631), 제2 폴더(633) 및 제3 폴더(635)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폴더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앱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폴더(631) 및 제2 폴더(633)는 제1 행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폴더(635)는 제1 폴더(631) 및 제2 폴더(633)와 다른 행인 제2 행에 배치될 수 있다.
키 입력 영역(670)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을 a2의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710)만큼 확장시킬 수 있다. a2는 a1과 동일한 거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즉, a2는 a1보다 작을 수 있다. 제어부(290)는 영역(710)만큼 확장된 화면 상에 확대된 제2 폴더(633) 및 확대된 제3 폴더(635)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화면을 확장시키면서, 제2 폴더(633) 및 제3 폴더(635)를 서서히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90)는 확장 전 화면 상에 표시된 제1 행에 배치된 제1 폴더(631) 및 제2 폴더(633) 중 더 많이 이용(또는 접근)된 폴더를 확장된 영역(710)에 표시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일정 기간 동안 제1 폴더(631)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된 총 횟수와 제2 폴더(633)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된 총 횟수를 비교하여 확장된 영역(710)에 표시될 폴더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기간 동안, 제2 폴더(633)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총 실행 횟수가 제1 폴더(631)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총 실행 횟수보다 더 큰 경우, 제어부(290)는 확장된 영역(710)에 제2 폴더(633)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폴더(633) 상에는 앱 아이콘(633a)이 표시될 수 있다. 앱 아이콘(633a)은 제1 폴더(631)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 및 제2 폴더(633)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일정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일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앱 아이콘(633a)은 도 7a에 표시된 앱 아이콘(633a)보다 더 크게 표시될 수 있다. 제2 폴더(633) 상에는 제2 폴더(633)에 포함된 앱 아이콘이 더 남아 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711)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711) 상에는 표시되지 않고, 남아 있는 앱 아이콘의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290)는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제2 행에 배치된 제3 폴더(635)를 확장된 영역(710) 상에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3 폴더(635) 상에는 제3 폴더(635)에 포함된 앱 아이콘들 중 일정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635a)이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앱 아이콘(635a)은 도 7a에 표시된 앱 아이콘(635a)보다 더 크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확장된 영역(710)에 제2 폴더(633) 및 제3 폴더(635)를 표시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영역(630) 상에 제2 폴더(633) 및 제3 폴더(635)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확장된 영역(710) 상에 제2 폴더(633) 및 제3 폴더(635)가 표시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영역(630) 상에 표시된 제2 폴더(633) 및 제3 폴더(635)는 사라지게 된다. 다만, 확장된 영역(710)에 표시되지 않은 제1 폴더(631)는 원래의 위치에 있게 된다.
또한, 확장된 영역에 표시되는 앱 아이콘의 개수는 확장된 영역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확장된 영역의 크기가 클수록 앱 아이콘의 개수는 증가할 수 있고, 확장된 영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앱 아이콘의 개수는 감소할 수 있다.
한편,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영역(630)에 포함된 정보는 화면의 확장된 크기에 대응되도록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7b에 도시된 제1 폴더(631) 및 이메일 아이콘(637)은 도 7a에 도시된 것보다 더 크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확장된 영역(710)의 하단에는 최근에 실행했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680)이 표시될 수 있다.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즐겨 찾기 영역(650)에 포함된 더 보기 아이콘(655)은 확장된 영역(710)의 하단 맨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어부(290)는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위젯 영역(620) 또한, 확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확장된 영역(710)에 대응하는 크기로 위젯 영역(620)의 크기를 확대시킬 수 있다. 제어부(290)는 확대된 위젯 영역(620)에 화면이 확장 전 표시되지 않았던 추가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290)는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상태 바 영역(610) 또한, 확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화면의 확장 전, 상태 바 영역(610)에 표시되지 않았던 정보나 표시되었던 정보를 상세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도 7c를 참조하면, 제어부(290)는 제2 폴더(633)가 확장된 영역(710)으로 이동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제2 폴더(633)의 크기는 점차 커지면서, 확장된 영역(710)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c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행에 배치된 제3 폴더(635) 또한, 디스플레부(250)의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크기가 점차 커지면서, 애니매이션 효과를 갖도록 확장된 영역(710)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영역(710)만큼 확장된 상태에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a3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730)만큼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1 행에 배치된 제1 폴더(631)를 기존에 확장된 영역(710), 제2 폴더(633)를 확장된 영역(730)에 각각 표시할 수 있다. a3 거리는 a2 거리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확장된 영역(710)에 표시된 앱 아이콘(631a)은 제1 폴더(631) 및 제2 폴더(633)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앱 아이콘(633a)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 다음으로, 많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될 수 있다. 이 경우, 앱 아이콘(631a)을 포함하는 제1 폴더(631)는 제2 폴더(633)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었으므로(도 7a참조), 제2 폴더(633)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화면이 추가적으로 영역(730)만큼 확장됨에 따라 제2 행에 배치된 제3 폴더(635)는 확대됨과 동시에, 해당 폴더(635)에 포함된 다른 앱 아이콘(635b)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행에는 제3 폴더(650) 이외에 다른 폴더가 없기 때문이다. 앱 아이콘(635b)은 제3 폴더(635)에 포함된 앱 아이콘들 중 앱 아이콘(635a) 다음으로, 많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확장된 영역들(720, 730)의 하단에는 앱 아이콘(680)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보다 이전에 실행되었던 앱 아이콘들(681, 682)가 표시될 수 있다. 더 보기 아이콘(655)은 화면이 영역(730)만큼 확장됨에 따라 확장된 영역(730)의 하단 맨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90)는 폴더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에 기초하여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폴더 및 폴더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b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확장됨에 따라 홈 화면에 포함된 정보가 확장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8a 내지 도 8b는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폴더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에 기초하여 폴더 및 폴더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에서 제1 폴더(631), 제2 폴더(633) 및 제3 폴더(635) 각각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앱 아이콘(631a)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일정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실행되었고, 앱 아이콘(631b)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앱 아이콘(635a)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앱 아이콘(633a)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그 뒤를 따름을 가정한다.
도 7a의 상태에서 키 입력 영역(670)이 선택된 후, 화면이 영역(710)만큼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된 영역(710)에 확대된 제1 폴더(631), 확대된 제3 폴더(635) 및 확대된 제2 폴더(633)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폴더(631) 상에는 일정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631a)이 확대되어 표시되고, 그 다음으로 많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631b)이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1 폴더(631)의 하단에는 앱 아이콘(631b)보다 차 순위의 앱 아이콘(635a)을 포함하는 제2 폴더(635)가 확대되어 표시되고, 그 우측에는 앱 아이콘(635a)보다 차 순위의 앱 아이콘(633a)을 포함하는 제3 폴더(633)가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제3 폴더(635)에 포함된 다른 앱 아이콘이 표시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에 기초하여 제2 폴더(633) 및 제2 폴더(633)에 포함된 앱 아이콘(633)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90)는 가장 실행 횟수가 많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631a) 및 앱 아이콘(631a)을 포함하는 제1 폴더(631)만을 확장된 영역(71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홈 화면에 표시되었던 제1 폴더(631)는 사라지게 된다.
도 8a의 상태에서, 화면이 영역(730)만큼 더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확장된 영역(730)에 제1 폴더(631)에 포함된 다른 앱 아이콘(631c)를 표시할 수 있다. 홈 화면 상에는 제1 폴더(631), 제2 폴더(633) 및 제3 폴더(635) 이외에 다른 폴더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확장된 영역(730)에는 제1 폴더(631)에 포함된 앱 아이콘들 중 표시되지 않은 앱 아이콘(631c)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앱 아이콘(631c)은 제1 폴더(631)에 포함된 앱 아이콘들 중 앱 아이콘(631b)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 다음으로, 많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확장된 영역(710)에 제3 폴더(635)에 포함된 다른 앱 아이콘(635b)를 표시하고, 제2 폴더(633)를 확장된 영역(73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앱 아이콘(635b)는 앱 아이콘(633a)보다 차 순위 실행 횟수를 갖는 아이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폴더에 포함된 앱 아이콘들이 확장된 영역 상에 모두 표시된 상태에서, 화면이 추가적으로 확장된 경우, 해당 폴더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다른 폴더에 포함된 앱 아이콘들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확장됨에 따라 홈 화면에 포함된 정보가 확장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어부(290)는 a4 거리에 대응하는 확장된 영역(910) 상에 기존의 홈 화면에 표시된 폴더들(631, 633, 635)을 우선 순위에 따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기간 동안 제2 폴더(633)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총 실행 횟수가 가장 많고, 제1 폴더(631) 및 제3 폴더(635)가 그 뒤를 따를 경우, 제어부(290)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폴더(633), 제1 폴더(631) 및 제3 폴더(635) 순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배열할 수 있다.
도 9a에서 키 입력 영역(670)이 선택된 상태에서, a5 거리에 화면이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된 제2 폴더(633)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290)는 확대된 제2 폴더(633)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제2 폴더(633)가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폴더(633)는 원래의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확대된 제2 폴더(633)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됨과 동시에, 차 순위 폴더들(631, 635)는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제어부(290)는 제1 폴더(631)를 제2 폴더(633)의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제1 폴더(631)를 더 크게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290)는 제3 폴더(635)를 기존의 제1 폴더(631)의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제3 폴더(635)를 더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제1 폴더(631) 및 제3 폴더(635)가 이동되는 과정 또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화면을 더 확장시키고자 함은 현재 찾고자 하는 앱 아이콘이 표시되지 않은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화면이 확장되어, 특정 폴더에 포함된 앱 아이콘들이 모두 표시된 경우, 특정 폴더를 원래의 위치 및 크기로 이동시키고, 차 순위 폴더는 특정 폴더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a5 거리만큼 확장된 영역(940) 상에 확대된 제1 폴더(631), 확대된 제3 폴더(635) 및 각 폴더에 포함된 앱 아이콘들이 도 9a에 도시된 것보다 더 크게 표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제어부(290)는 제3 폴더(635)에 포함되어 표시되지 않았던 앱 아이콘들(930)을 확장된 영역(9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1 폴더(631)에 포함된 앱 아이콘들이 모두 표시된 상태임을 가정한다.
도 9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은 a6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950)만큼 확장될 수 있다. 도 9d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최대로 확장된 경우임을 가정한다. 제어부(290)는 화면이 영역(950)만큼 확장됨에 따라 제1 폴더(631)를 확장 전 화면 상으로 이동시키고, 원래의 크기로 변경할 수 있다. 동시에 제어부(290)는 도 9c의 어플리케이션 영역(630)에 포함된 앱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임시 폴더(639)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제3 폴더(635)를 확대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제3 폴더(635)에 포함되어 기존에 표시되지 않았던 앱 아이콘들을 확장된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3 폴더(635)에 포함되어 표시되지 않은 앱 아이콘이 더 있는 경우, 제어부(290)는 제3 폴더(635)의 일 측에 스크롤 바(951)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롤 바(951)를 통해 제3 폴더(635)에 포함되고, 표시되지 않은 앱 아이콘들을 더 검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화면을 더 확장시키고자 함은 현재 찾고자 하는 앱 아이콘이 표시되지 않은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제1 폴더(631) 및 제2 폴더(633) 각각에 포함된 앱 아이콘들이 모두 표시된 상태에서, 화면이 더 확장되면, 제어부(290)는 제1 폴더(631) 및 제2 폴더(633)를 원래의 위치 및 크기로 이동시키고, 제3 폴더(625)에 포함된 앱 아이콘들을 더 많이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홈 화면 상에 표시된 폴더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알림이 오면, 알림이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폴더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홈 화면에 포함된 폴더가 열리면서, 폴더 내에 어떤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알림이 수신되었는지 뱃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g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확장됨에 따라 홈 화면에 포함된 정보가 확장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은 도 6에서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한다. 다른 점은 홈 화면 상에 제1 폴더(631)가 존재하지 않고, 위젯 영역(620)이 표시되지 않았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제2 폴더(633) 상에는 제2 폴더(633) 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알림이 1개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뱃지(1010)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3 폴더(635) 상에는 제3 폴더(635) 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알림이 3개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뱃지(1030)가 표시될 수 있다.
키 입력 영역(670)이 선택되고,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a2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710)만큼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홈 화면 상에 배치된 폴더의 위치 및 폴더 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에 기초하여 확장된 영역(710)에 폴더를 확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a 내지 도 7d에서 상세히 설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제2 폴더(633) 및 제3 폴더(635)는 확장된 영역(710)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그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제2 폴더(633) 상에는 제2 폴더(633)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일정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실행되었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633a)이 표시될 수 있다. 제3 폴더(635) 상에는 제3 폴더(635)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일정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실행되었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635a)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확대된 크기의 제2 폴더(633) 상에는 제1 뱃지(1010)가 표시되어 있고, 제3 폴더(635) 상에는 제2 뱃지(1030)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뱃지(1010) 및 제2 뱃지(1030) 각각은 표시되지 않은 앱 아이콘이 더 남아 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71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뱃지(1010) 및 제2 뱃지(1030)는 확장된 영역(710) 상에 표시된 앱 아이콘들(633a, 633b)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알림이 아니므로, 사라지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뱃지(1010) 및 제2 뱃지(1030) 각각은 해당 폴더에 포함되어 확장된 영역에 표시되지 않은 앱 아이콘의 개수를 나타낼 수도 있다.
키 입력 영역(670)이 선택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a3거리에 대응하는 영역(730)만큼 더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된 영역(730)에 제2 폴더(633)에 포함된 앱 아이콘(633b) 및 제3 폴더(635)에 포함된 앱 아이콘(635b)를 표시할 수 있다. 앱 아이콘(633b)은 앱 아이콘(633a) 다음으로 많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고, 앱 아이콘(635b)는 앱 아이콘(635a) 다음으로 많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뱃지(1010)가 앱 아이콘(633b)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알림을 수신한 것임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290)는 인디케이터(711) 상에 표시된 제1 뱃지(1010)를 앱 아이콘(633b) 상으로 이동시키고, 인디케이터(711)를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제2 뱃지(1030)가 나타내는 3개의 알림 중 앱 아이콘(635b)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알림이 1개인 경우, 제어부(290)는 앱 아이콘(635b) 상에 알림이 1개 있음을 나타내는 뱃지(1051)를 표시함과 동시에, 인디케이터(713) 상에 표시된 제2 뱃지(1030)를 1개의 알림을 줄어든 상태인 2개의 알림이 남아있음을 나타내도록 변경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에서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확장된 경우, 홈 화면에 포함된 폴더의 위치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에 기초하여 확장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이 표시됨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즉,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확장된 경우, 알림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이 확장된 영역에 먼저 표시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가장 최근에 알람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이 먼저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한편, 가장 최근에 알림을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뱃지(1051)는 색상, 형태 등을 통해 다른 뱃지(1010)과 구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d를 설명한다.
키 입력 영역(670)이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b1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1070)만큼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가장 최근에 알림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071)을 확장된 영역(107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최근에 수신된 알림이 메일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확장된 영역(1070)에는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071)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290)는 메일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635b) 상에 표시된 뱃지(1051)를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이 때는, 사용자가 알림을 확인한 경우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0d에서는 가장 최근에 알림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071)이 확장된 영역(1070) 상에 표시됨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즉, 제2 폴더(633)에 포함된 앱 아이콘(633b)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확장된 영역(1071)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b1 거리는 기준 거리 이상일 수 있다. 제어부(290)는 기준 거리 이상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확장된 경우, 앱 아이콘(635b)에 표시된 뱃지(1051)를 사라지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290)는 기준 거리 미만으로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확장된 경우, 앱 아이콘(635b)에 표시된 뱃지(1051)의 표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d에서 화면이 기준 거리 이상 확장된 경우, 확장된 영역에는 앱 아이콘(633b)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폴더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알림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0e는 키 입력 영역(670)이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면이 기준 거리 미만 확장된 경우, 인터페이스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e를 참조하면, 키 입력 영역(670)이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면이 기준 거리 미만만큼(b2거리)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확장된 영역(1080)에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일부(1073)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90)는 앱 아이콘(635b) 상에 표시된 뱃지(1051)를 계속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알림이 아닌 경우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0e에서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b2 거리만큼 축소된 후, 다시 b2 거리만큼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 아이콘(633b)에 대응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일부(1090)를 확장된 영역(108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홀더(224)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을 기준 거리 미만만큼 축소 후, 확장시켜, 자신이 확인하고자 하는 알림을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기준 거리 이상(b1 거리)만큼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0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 아이콘(633b)에 대응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091)을 확장된 영역(107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290)는 앱 아이콘(633b) 상에 표시된 제1 뱃지(1010)를 사라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최대로 확장된 상태에서, 화면의 확장시키는 입력이 감지되면, 알림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최대로 확장된 상태에서, 화면의 확장시키는 입력이 감지되면, 알림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는 도 10d의 도면과 동일한 도면이다. 다만, 도 11a에서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은 최대로 확장된 상태임을 가정한다.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의 확장시키는 입력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된 영역(1070)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071)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아직 미확인된 알림이 수신된 앱 아이콘(633b)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091)을 영역(107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290)는 기존의 확장 영역들(710, 730)에 표시된 제2 폴더(633) 및 제3 폴더(635)를 원래의 위치인 어플리케이션 영역(63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폴더(633)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알림은 모두 확인되었으므로, 제1 뱃지(1010)는 사라지고, 제3 폴더(635)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알림은 아직 2개가 남아 있으므로, 이를 나타내는 뱃지(1101)를 제3 폴더(635)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a 내지 도 12d를 설명한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홈 화면을 구성하는 페이지가 복수 개 있는 경우,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홈 화면에 포함된 정보를 확장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2a는 도 6과 동일한 도면이다. 먼저, 홈 화면이 2개의 페이지로 구성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2a의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 상에 도시된 홈 화면은 제1 페이지임을 가정한다.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c1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1210)만큼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된 화면 상에 홈 화면을 구성하는 제2 페이지(1200)를 표시할 수 있다. c1은 확장 전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에 대응하는 거리일 수 있다. 제어부(290)는 확장된 화면상에 폴더의 위치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에 기초하여 제2 폴더(633) 및 제3 폴더(635)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홈 화면을 구성하는 제1 페이지에 포함된 앱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임시 폴더(1222)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페이지 알림 영역(640)은 디스플레이부(250)의 확장된 화면 상에 제2 페이지를 표시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홈 화면이 3개의 페이지로 구성된 경우를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c1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1210)만큼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된 화면 상에 홈 화면을 구성하는 제2 페이지(120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2b와 다른 점은 제2 폴더(633) 및 제3 폴더(635)가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제2 페이지(1200)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다. 도 12c에서 c1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1230)만큼 화면이 더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된 화면 상에 제3 페이지(125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제2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임시 폴더(1223)를 생성하여 어플리케이션 영역(630)에 표시할 수 있다. 임시 폴더(1223) 는 제2 페이지를 구성하는 앱 아이콘 및 위젯 중 하나 이상을 축소시킨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확장된 화면 상에 제1 페이지에 포함된 폴더들(631, 633, 635)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a 및 도 13b를 설명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홈 화면에 포함된 폴더내의 앱 아이콘들이 확장된 화면 상에 모두 표시되고, 화면이 추가적으로 확장된 경우, 추가적으로 확장된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확장된 영역(1310)에는 확장 전 홈 화면 상에 표시된 폴더들(631, 633, 635)들이 확장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3a에서는 각 폴더에 포함된 앱 아이콘들이 모두 표시된 경우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화면이 추가적으로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된 영역(1330)에 어플리케이션들(1350)을 표시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들(1350) 각각은 홈 화면이 아닌 더 보기 아이콘(655)을 선택하는 명령에 따라 접근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확장된 영역(1310) 및 영역(1330) 각각에 대응하는 거리 f1은 확장 전 홈 화면에 대응하는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홈 화면, 확장된 영역들(1310, 1330) 각각은 서로 독립적인 화면처럼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된 영역(1330)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제어부(290)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영역(1330)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a 내지 도 14d를 설명한다.
도 14a 내지 도 14b는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홈 화면에 포함된 위젯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가 추가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d에서 위젯은 날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날씨 위젯(1400)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날씨 위젯(1400)은 도 6에 도시된 위젯 영역(62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날씨 위젯은 현재 시간, 날씨, 현재 온도, 현재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날씨 위젯(1400)은 제공될 정보가 더 남아 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401)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1401)는 화면의 확장 시, 날씨 위젯(140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정보가 더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화면이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확장된 영역에 시간별 날씨 예보 정보(14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4c를 참조하면, 화면이 더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확장된 영역에 시간별 날씨 예보 정보(1410)를 더 구체화한 정보(1420) 및 다른 지역의 현재 온도 정보(143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4d를 참조하면, 화면이 더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정보(1420) 및 다른 지역의 날씨 정보(1450)를 표시할 수 있다. 날씨 위젯(1400)을 통해 제공 가능한 정보가 확장된 화면 상에 모두 표시된 경우, 인디케이터(1401)는 사라질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홈 화면에 포함된 위젯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가 추가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0)의 확장 전 화면 상에는 카드 위젯(1510)이 표시될 수 있다. 카드 위젯(1510)은 상품 결제 시 이용되는 위젯일 수 있다. 화면이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확장된 영역에 카드 위젯(1510)에 대응하는 바코드(153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바코드(1530)를 통해 상품 결제나 포인트 적립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a 내지 도 16e를 설명한다.
도 16a 내지 도 16e는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홈 화면에 포함된 상태 바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가 추가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도 6의 상태 바 영역(610)에 표시된 상태 바(1600)가 도시되어 있다. 상태 바(1600)는 기기 정보 및 알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정보는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확장된 화면 상에 추가 알림 정보(16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6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더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확장된 화면 상에 알림 정보에 포함된 각 아이콘에 대응하는 알림 개수(162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6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더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확장된 화면 상에 기기의 구체화된 정보(1631, 1633)를 표시할 수 있다. 와이파이 정보(1631)는 기기와 연결된 공유기의 명칭을 포함하고, 배터리 정보(1633)는 현재 남아있는 충전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e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0)의 화면이 더 확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의 밝기, 음성 출력의 레벨에 대한 정보(1650)를 추가적으로 더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송신)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화면의 확장 또는 축소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확장 전 화면 상에 홈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상기 홈 화면에 포함된 폴더 및 상기 폴더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을 확장된 영역에 확대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홈 화면 상에 제1 폴더 및 제2 폴더가 표시된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제2 폴더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총 실행 횟수가 상기 제1 폴더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총 실행 횟수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제2 폴더를 상기 확장된 영역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 폴더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폴더 및 상기 앱 아이콘을 확장된 영역에 표시하면서, 상기 홈 화면 상에 상기 제2 폴더 및 상기 앱 아이콘을 사라지게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상기 제2 폴더를 확대시키면서, 상기 확장된 영역으로, 상기 제2 폴더를 이동시키는 애니메이션을 제공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제2 폴더 상에는 상기 제2 폴더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알림을 수신했음을 나타내는 뱃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장된 영역에 표시된 앱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알림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확대된 상기 제2 폴더 상에 상기 뱃지를 표시하고,
    상기 확장된 영역에 표시된 앱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알림을 수신한 경우, 확대된 앱 아이콘 상에 상기 뱃지를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이 더 확장된 경우, 확장된 영역에 가장 최근에 알림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이 최대로 확장된 경우, 알림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을 확장된 화면의 일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상기 확장된 영역의 하단에 최근에 실행했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을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화면 상에는 정보를 포함하는 위젯이 더 표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상기 위젯을 통해 제공되는 추가 정보를 상기확장된 영역 상에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화면 상의 상단에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이 확장됨에 따라 상기 상태 바를 통해 제공되는 추가 정보를 확장된 화면 상에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65072A 2015-11-24 2015-11-2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ctive KR102488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072A KR102488461B1 (ko) 2015-11-24 2015-11-2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CT/KR2016/007856 WO2017090863A1 (en) 2015-11-24 2016-07-19 Flexibl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5/246,341 US10379720B2 (en) 2015-11-24 2016-08-24 Flexibl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072A KR102488461B1 (ko) 2015-11-24 2015-11-2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519A KR20170060519A (ko) 2017-06-01
KR102488461B1 true KR102488461B1 (ko) 2023-01-13

Family

ID=5871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072A Active KR102488461B1 (ko) 2015-11-24 2015-11-2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79720B2 (ko)
KR (1) KR102488461B1 (ko)
WO (1) WO20170908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2841B2 (en) * 2015-03-24 2017-02-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Location based emergency management plans
US9824515B2 (en) 2015-03-24 2017-11-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tomatic calendric physical access
US10296851B2 (en) 2015-04-11 2019-05-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tomatic allocation of physical facilities for maximum collaboration
US9972144B2 (en) 2015-03-24 2018-05-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tomatic physical access
US10606362B2 (en) * 2015-12-01 2020-03-31 Lg Electronics Inc.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WO2017134890A1 (ja) * 2016-02-05 2017-08-10 株式会社Nttドコモ 表示装置
CN107704147A (zh) * 2017-06-24 2018-02-16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功能控件的响应终端、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491238B (zh) * 2017-08-08 2020-02-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推送信息的显示方法和装置
US11132101B2 (en) * 2017-09-08 2021-09-2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Icon moving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2129440B1 (ko) * 2017-11-29 2020-07-08 주식회사 후본 연성회로기판에 기반한 통신 장치
KR102469194B1 (ko) * 2017-12-27 2022-1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 방법
CN108364647A (zh) * 2018-02-09 2018-08-03 智慧海派科技有限公司 基于语音识别的应用程序显示方法及移动终端
KR102255469B1 (ko) * 2018-03-06 202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90332249A1 (en) * 2018-04-25 2019-10-31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Rolling interface object
CN108829306B (zh) * 2018-05-31 2021-11-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102255793B1 (ko) * 2018-06-14 202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변경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88619B1 (ko) * 2018-07-13 2023-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8068B1 (ko) * 2018-07-13 2022-1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1326068B (zh) * 2018-12-13 2022-04-26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可拉伸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656439B (zh) * 2018-12-17 2025-05-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快捷操作面板的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0769755B1 (en) * 2019-04-03 2020-09-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contextual display of key images
KR102681664B1 (ko) * 2019-06-12 2024-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 방법
EP3989208B1 (en) * 2019-06-19 2024-12-04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CN110381282B (zh) 2019-07-30 2021-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于电子设备的视频通话的显示方法及相关装置
CN112445386A (zh) * 2019-08-31 2021-03-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图标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11252274B2 (en) * 2019-09-30 2022-02-15 Snap Inc. Messaging application sticker extensions
KR102671119B1 (ko) * 2019-12-31 2024-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1240789B (zh) * 2020-01-17 2022-07-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微件处理方法以及相关装置
CN111459374B (zh) * 2020-03-30 2022-03-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交互方法及电子设备
CN111220161B (zh) * 2020-04-08 2020-09-11 武义圣理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便携式旅游导航仪
CN111462630B (zh) * 2020-04-17 2021-12-14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可卷曲显示装置
CN111562874B (zh) * 2020-04-30 2021-07-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736259B1 (ko) * 2020-05-13 202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기능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809518B1 (ko) 2020-05-26 2025-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WO2021241774A1 (ko) * 2020-05-27 2021-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2015009A1 (ko) * 2020-07-14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2025320A1 (ko) * 2020-07-30 2022-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4181115A4 (en) 2020-10-12 2023-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SCREEN CONTROL METHOD
KR102801272B1 (ko) * 2020-10-12 2025-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KR20220048749A (ko) 2020-10-13 2022-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54597B1 (ko) 2020-10-15 2021-05-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운영 방법
KR20220053354A (ko) * 2020-10-22 2022-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EP4148543B1 (en) 2020-10-23 2024-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providing execution screen of application, operating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11997803B2 (en) 2020-11-06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ll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WO2022098171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전자 장치
KR20220061741A (ko) * 2020-11-06 2022-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20064024A (ko) * 2020-11-11 2022-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영역이 가변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앱 아이콘을 이용하여 화면 비율을 가변적으로 운용하는 방법
KR20220067336A (ko) * 2020-11-17 202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멀티윈도우 제어방법
KR20220074165A (ko) * 2020-11-27 2022-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20076165A (ko) * 2020-11-30 202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확장에 따라 변경된 가시도를 가지는 화면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119355A1 (ko) * 2020-12-03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19118A1 (ko) 2020-12-03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화면 제어 방법
WO2022119084A1 (ko) * 2020-12-03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20078184A (ko) 2020-12-03 2022-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확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79189A (ko) * 2020-12-04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119409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54420A (ko) * 2021-05-13 2022-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4270165A4 (en) 2021-05-13 2024-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 ELECTRONIC APPARATUS AND ITS OPERATING METHOD
US12045449B2 (en) * 2021-06-04 2024-07-23 Apple Inc. Activity stream foundations
AU2022322501A1 (en) 2021-08-05 2023-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variable display area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12229392B2 (en) * 2021-08-10 2025-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figuring screen of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WO2023018182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US12169659B2 (en) 2021-08-10 2024-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screen of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KR20230050768A (ko) * 2021-10-08 2023-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전자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CN115966135A (zh) * 2021-10-09 2023-04-14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操作电子装置的方法
WO2023063713A1 (ko) * 2021-10-12 2023-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KR20230052056A (ko) * 2021-10-12 2023-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2190763B2 (en) 2021-10-12 2025-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3191303A1 (ko) * 2022-03-28 2023-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6954768A (zh) * 2022-04-12 2023-10-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调整窗口尺寸的方法和装置、电子设备、可读存储介质
US11907516B2 (en) 2022-04-16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identifying set of information according to change in size of display area of flexible display
WO2023204518A1 (ko) * 2022-04-19 2023-10-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배경 화면 표시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40003374A (ko) * 2022-06-30 2024-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EP4557045A1 (en) * 2022-09-01 2025-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reducing image quality deviation in flexible display
KR20240047686A (ko) * 2022-10-05 2024-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25431A1 (en) 2013-04-30 2014-10-30 Microsoft Corporation Auto-grouping of application window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5687B2 (en) * 1997-01-09 2003-04-08 Canon Kabushiki Kaisha Thumbnail manipulation using fast and aspect ratio zooming, compressing and scaling
US7992103B2 (en) * 2004-04-26 2011-08-02 Microsoft Corporation Scaling icons for representing files
US7552399B2 (en) * 2005-12-27 2009-06-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tensible icons with multiple drop zones
US8279174B2 (en) * 2008-08-27 2012-10-0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US8803816B2 (en) * 2008-09-08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Multi-fold mobile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KR101521219B1 (ko) *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260969B1 (en) * 2009-09-22 2021-03-0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8698762B2 (en) * 2010-01-06 2014-04-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nd displaying content in context
US8458615B2 (en) * 2010-04-07 2013-06-0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KR101889838B1 (ko) * 2011-02-10 201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9022575B2 (en) * 2011-03-23 2015-05-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mobile display
KR20130056674A (ko) *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WO2013147333A1 (en) * 2012-03-27 2013-10-03 Lg Electronics Inc. Optimiz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based on length of pulled out flexible display screen
KR102042556B1 (ko) * 2012-09-05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044237A (ko) * 2012-10-04 2014-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044227A (ko) * 2012-10-04 2014-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FI20120340L (fi) * 2012-10-08 2014-04-09 Canatu Oy Kosketusrajapintalaite ja rakenne
KR102107134B1 (ko) * 2012-11-14 2020-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목록을 배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47692B1 (ko) * 2013-02-05 2019-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90964B1 (ko) * 2013-02-22 2020-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20140116672A (ko) * 2013-03-25 2014-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CN103399616A (zh) * 2013-07-02 2013-11-2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能改变显示区域的屏幕、移动终端、及其屏幕显示方法
KR20150006235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결합된 ui 구성 요소를 제공하는 휴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6948B1 (ko) * 2013-11-08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EP3872599A1 (en) * 2014-05-23 2021-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960750B1 (en) * 2014-06-27 2019-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20160041610A (ko) * 2014-10-08 2016-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864410B2 (en) * 2014-12-29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08645B1 (ko) * 2014-12-29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113872A (ko) * 2015-03-23 2016-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축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59550B1 (ko) * 2015-08-26 2022-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25431A1 (en) 2013-04-30 2014-10-30 Microsoft Corporation Auto-grouping of application window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90863A1 (en) 2017-06-01
KR20170060519A (ko) 2017-06-01
US20170147189A1 (en) 2017-05-25
US10379720B2 (en)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846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5955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4880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150742B2 (en) Deformabl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7016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6340247B (zh) 柔性显示单元及其操作方法
US9609225B2 (en) Deformabl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098802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911586B2 (en) Mobile termina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US20170091340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7004800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509561B2 (en) Transformable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160113872A (ko) 신축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142172A (ko)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1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