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83893B1 - 플렉서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893B1
KR102483893B1 KR1020180016462A KR20180016462A KR102483893B1 KR 102483893 B1 KR102483893 B1 KR 102483893B1 KR 1020180016462 A KR1020180016462 A KR 1020180016462A KR 20180016462 A KR20180016462 A KR 20180016462A KR 102483893 B1 KR102483893 B1 KR 102483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electrodes
operation unit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339A (ko
Inventor
박동진
김동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6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893B1/ko
Priority to CN201910106442.7A priority patent/CN110136579B/zh
Priority to US16/270,737 priority patent/US11074835B2/en
Priority to EP19156204.0A priority patent/EP3525063B1/en
Publication of KR20190097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8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0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7/323
    • H01L51/0097
    • H01L51/5246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에 위치하며, 전기 활성 폴리머층과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전기 동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기 동작부는 상기 전기 활성 폴리머층과 상기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단위 구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는 전기 동작부가 압축력을 가져 플렉서블 표시 장치내에서 발생하는 인장 스트레스를 줄인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 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본 개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flexible)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표시 패널은 기판 위에 여러 층과 소자들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종래에는 표시 패널의 기판으로 유리(glass)가 사용되고 있었다. 하지만, 유리 기판은 리지드(rigid) 하기 때문에 표시 장치를 휘거나 변형시키기가 어렵다. 최근에는 가볍고 변형이 쉬운 플라스틱 등의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을 사용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그 용도나 형태에 따라 벤더블(bendable) 표시 장치,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 롤러블(rollable) 표시 장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층은 수 차례 접히게 되면 일 부분이 들뜨는 버클링(buckling)이 발생하거나 층간 분리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를 접으면 내측에 위치하는 층은 상대적으로 끝 단이 길게 밀리게 되는 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끝 쪽의 층이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모두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신뢰성을 떨어트린다.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 밀림이나 일 부분이 들뜨는 버클링(buckling) 또는 층간 분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신뢰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에 위치하며, 전기 활성 폴리머층과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전기 동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기 동작부는 상기 전기 활성 폴리머층과 상기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단위 구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위 구조는 상기 단위 구조를 나누는 실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전극은 상기 실 부재의 위에 위치하는 상부 전극과 상기 실 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 부재는 상기 전기 활성 폴리머층을 구획하며, 상기 실 부재는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을 지지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로부터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의 표면을 따라서 각각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 부재의 상기 수평부 각각은 인접하는 상기 기둥부와 접촉하지 않으며, 해당 부분에는 오프닝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전극의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상기 수평부와 상기 상부 전극의 표면을 따라서 위치하는 상기 수평부는 단면도상 연장되는 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전기 동작부는 상기 단위 구조의 폭이 다른 제1 내지 제3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역의 상기 단위 구조의 폭이 가장 넓고, 상기 제2 구역의 상기 단위 구조의 폭은 중간 폭을 가지며, 상기 제3 구역의 상기 단위 구조의 폭은 가장 좁을 수 있다.
상기 제3 구역은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제3 구역의 외측에 상기 제2 구역이 위치하고, 상기 제2 구역의 외측에 상기 제1 구역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 구역이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에서 벗어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 구역의 외측에 상기 제2 구역이 위치하고,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에만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나머지 일측에는 상기 제2 구역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기 동작부는 상기 단위 구조가 하나의 폭을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반복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타측에는 전기 활성 폴리머층과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전기 동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기 동작부는 상기 전기 활성 폴리머층과 상기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제2 단위 구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전기 동작부는 상기 제1 전기 동작부와 동일한 폭의 상기 단위 구조가 동일하게 반복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극은 복수의 상부 전극과 하나의 하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전극은 하나의 판상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상부 전극은 서로 절연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부 전극은 각각 세로부 및 상기 세로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가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면의 스트레스를 감지하는 제1 스트레인 게이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트레인 게이지층은 상기 제1 전기 동작부와 상기 표시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타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타측면의 스트레스를 감지하는 제2 스트레인 게이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트레인 게이지층에서 감지한 스트레스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제1 전기 동작부의 상기 한 쌍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 전기 동작부가 압축력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트레인 게이지층 및 상기 제1 전기 동작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성 회로 기판; 및 상기 연성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드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 또는 상기 보드 회로 기판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기 활성 폴리머층에는 전기 EAP 물질 또는 이온 EAP 물질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에 위치하는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의 배명에 위치하는 베이스 필름; 및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를 포함하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점착층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전기 동작부도 상기 점착층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기 동작부의 외측에 상기 베이스 필름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터치 감지가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 밀림 현상이나 일 부분이 들뜨는 버클링(buckling) 현상 또는 층간 분리가 발생하지 않아 신뢰성을 가지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동작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접힌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 특성 및 표시 장치가 받는 스트레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를 또 다른 방식으로 접은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표시 패널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동작부의 배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전기 동작부의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동작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12는 도 11의 전기 동작부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를 접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3은 도 11의 전기 동작부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를 또 다른 방식으로 접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동작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전기 동작부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가 말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19는 도 18의 실시예에서 동작이 제어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윈도우(window; 120), 베이스 필름(base film; 130) 및 전기 동작부(200)을 포함하며, 표시 패널(100)의 양측에는 점착층(130)이 위치하고 있다.
먼저, 표시 패널(100)은 화상을 표시하는 패널로 휘거나 접는 경우에도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패널이다. 이러한 패널로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있다.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소자에 전류를 흘려 빛을 방출하도록 하는 표시 패널이며, 표시 패널을 휘거나 접어도 표시되는 휘도가 변하지 않아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표시 패널(100)에는 터치 감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사용하며, 터치 감지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패널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는 윈도우(window; 120)가 위치하고 있다. 윈도우(120)는 표시 패널(100)의 전면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일정 두께를 가져 표시 패널(100)의 전면이 힘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뿐만 아니라, 날카로운 것에 의한 긁힘으로부터도 표시 패널(100)의 전면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는 배면도 보호하기 위하여 베이스 필름(base film; 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10)은 배면으로부터의 충격에서 표시 패널(1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표시 장치가 어떠한 전자 기기(예를 들어 휴대폰)의 일부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해당 전자 기기의 구성품과 서로 부딪힘에 의한 파손을 방지해주는 역할도 한다.
표시 패널(100)의 양측에는 점착층(130)이 위치한다. 점착층(130)은 표시 패널(100)과 다른 층이 서로 부착되도록 한다. 점착층(130)으로는 다양한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패널(100), 윈도우(120) 및 베이스 필름(110)이 휨에 의하여 서로 다른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에 이를 완화시켜주기 위하여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가 사용될 수 있다. PSA는 연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과 다른 층이 휘는 경우 표시 패널(100)의 일측면은 인장 스트레스를 받고 이러한 인장 스트레스가 완화되지 않고 일정 수준 이상으로 커지면 박막 분리나 버클링(buckling)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기 동작부(200)을 포함한다. 전기 동작부(200)은 표시 패널(100)의 배면과 하부 점착층(130)에 의하여 부착되며, 베이스 필름(110)의 내측에 위치한다. 베이스 필름(110)과 전기 동작부(200)도 실시예에 따라서는 PSA 등의 점착층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전기 동작부(200)의 구조는 도 2에서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동작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동작부(200)은 크게 3개의 구역(200-1, 200-2, 200-3)으로 구분된다. 3개의 구역(200-1, 200-2, 200-3)은 각각 동일한 모양을 가지는 하나의 단위 구조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3개의 구역(200-1, 200-2, 200-3)의 차이는 단위 구조의 크기에 있으며, 구조적으로는 그 차이가 없다.
도 2에서는 제1 구역(200-1)내에 위치하는 단위 구조가 확대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단위 구조는 상하에 위치하는 두 전극(210, 220)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전기 활성 폴리머층(Electro-Active Polymer; 230)을 포함한다. 하부 전극(210)과 상부 전극(220)에 의하여 발생한 전계에 의하여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은 특성이 변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압축력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전기 동작부(200)은 인접하는 층(도 1에 의하면 표시 패널(100) 또는 베이스 필름(110))휘면서 발생하는 좌우 방향의 인장 스트레스를 직접적으로 줄여준다. 또한, 전기 동작부(200)와 떨어져 있는 층(도 1에 의하면 윈도우(120))에는 그 사이에 위치하는 층(표시 패널(100))의 인장 스트레스를 줄이면서 간접적으로 떨어져 있는 층(윈도우(120)에도 인장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또한, 전기 동작부(200)에는 각 단위 구조를 나누는 실(seal) 부재(240)를 더 포함한다. 실 부재(240)는 비도전성의 실리콘 등의 절연 물질(SiO2, SiNx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실 부재(240)는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을 구획하며, 이를 위하여 실 부재(240)는 기둥부 및 그로부터 하부 전극(210) 및 상부 전극(220)의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한다. 하부 전극(210)상에 위치하는 수평부와 상부 전극(220)하에 위치하는 수평부는 단면도상 연장되는 방향이 서로 다르다. 하나의 단위 구조는 실 부재(240)의 기둥부를 기준으로 구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 부재(240)에서 수평부의 끝단은 인접하는 기둥부와 접촉하지 않으며, 해당 부분에는 오프닝(241, 242)이 위치하고 있다. 오프닝(241, 242)의 크기는 표시 장치가 휘면서 그 크기가 변하는데, 전계에 의하여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이 가지는 압축력으로 인하여 그 변하는 정도를 줄어들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 발생하는 밀림 현상을 잡을 수 있고, 또한, 그에 따른 층간 분리가 발생하지 않아 신뢰성이 향상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오프닝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각 층이 휘는 정도 및 각 층을 구성하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서 정해진다.
도 2의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하나의 실 부재(240)는 단면에 수직한 방향(표시 장치 전면 중 일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실 부재(240)의 기둥부 중 일 부분에 인접하는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을 서로 연결하는 추가 오프닝(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각 구역(200-1, 200-2, 200-3)간을 나누는 실 부재(240)에 의하여 두 전극(210, 220)도 분리되어 있다. 즉, 각 구역(200-1, 200-2, 200-3)간에는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지만, 서로 다른 구역(200-1, 200-2, 200-3)간에는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실 부재(240)가 두 전극(210, 220) 중 적어도 하나를 나누지 않아 공통으로 전압이 인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후술하는 도 8 실시예의 하부 전극(210) 참조)
전기 동작부(200)은 비도전 점착층(250, 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도전 점착층(250, 260)은 두 전극(210, 220)의 외측에 위치하며, 전기 동작부(200)를 인접하는 층에 부착되는데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은 단위 구조의 구조는 3개의 구역(200-1, 200-2, 200-3)에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다만, 3개의 구역(200-1, 200-2, 200-3)에 포함되어 있는 단위 구조의 폭은 서로 다르다.
즉, 도 2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구역(200-1)의 단위 구조는 그 폭이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제2 구역(200-2)의 단위 구조가 두 번째로 크다. 마지막으로 제3 구역(200-3)의 단위 구조 폭이 가장 좁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구역의 개수가 2이상으로 다양할 수 있으며, 하나의 구역 내에서도 다양한 단위 구조의 폭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구역(200-1)은 가장 외측에 위치하며, 그 내측에는 제2 구역(200-2)이 위치하고, 가운데에는 제3 구역(200-3)이 위치한다. 이와 같은 배치는 표시 장치를 어떠한 방식으로 접는지에 따라 정한 것이며,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가운데를 중심으로 접는 구조이다.
도 3에서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를 인폴딩 방식으로 접은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접힌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장 좁은 폭의 단위 구조를 가지는 제3 구역(200-3)을 중심으로 표시 장치가 접힌다. 이는 단위 구조의 폭이 좁을수록 면적당 단위 구조의 개수가 많아 해당 위치에서 발생하는 인장 스트레스를 더 많이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제3 구역(200-3)의 양측에는 제2 구역(200-2)가 위치하며, 제2 구역(200-2)은 표시 장치의 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적어 인장 스트레스도 상대적으로 적은 부분에 위치한다. 그리고 나머지 영역에는 제1 구역(200-1)이 위치한다. 도 3과 같이 접는 경우에는 제1 구역(200-1)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인장 스트레스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구역(200-1)에 단위 구조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표시 장치가 접히는 경우에 두 전극(210, 220)에 전압이 인가되며, 그에 따라 전계가 발생하여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에 압축력이 발생한다. 도 3과 같이 접히는 경우에는 제3 구역(200-3)에서 가장 많은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전압이 인가되고, 제2 구역(200-2)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구역(200-1)에서는 제2 구역(200-2)보다 더 적은 압축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표시 장치가 접히는 경우 내측에 위치하는 층이 밀려 나오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점착층(130)으로 사용되는 PSA 물질이 연성을 가져 점착층(130)에 인접하는 층이 일부 밀릴 수도 있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밀림이 시인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밀림의 정도는 점착층(130)의 특성, 점착층(130)에 인접하는 층의 특성 및 전기 동작부(200)에 인가되는 압축력 등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층의 밀림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도 4를 통하여 전기 동작부(200)에서 발생하는 압축력에 따른 스트레스 특성을 살펴본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 특성 및 표시 장치가 받는 스트레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도 3과 같이 인폴딩(in-folding)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며, 그래프에서 점선은 전기 동작부(200)에서 압축력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이고, 실선은 전기 동작부(200)에서 압축력이 제공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그래프에서 제일 위의 선(A)는 윈도우(120)에서의 스트레스를 나타내며, 그 아래의 선(B)는 표시 패널(100)에서의 스트레스를 나타내고, 맨 아래의 선(C)는 베이스 필름(110)에서의 스트레스를 나타낸다. 도 4의 그래프에서 x 축 방향으로 우측에 위치할수록 인장 스트레스가 큰 것을 의미하며, y 축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은 단순히 표시 패널상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4의 그래프에 의하면 인폴딩되는 경우에 내측에 위치하는 윈도우(120)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베이스 필름(110)에 더 많은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표시 패널(100)은 중간에 위치하고 있어 윈도우(120)와 베이스 필름(110)의 중간에 해당하는 스트레스를 받는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기 동작부(200)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에 압축력이 발생하므로 인장 스트레스가 감소하게 된다. (도 4의 ① 및 ② 참조) 그 결과 표시 장치가 접히더라도 변하는 정도가 줄고, 인장 스트레스도 적게 받게 된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는 도3 과 같이 인폴딩되는 경우 외측, 즉, 베이스 필름(110)쪽에 인장 스트레스가 더 크므로 표시 패널(100)과 베이스 필름(110)의 사이에 전기 동작부(200)을 위치시켰다. 하지만, 전기 동작부(200)이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120)의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는 전기 동작부(200)을 구비하지 않은 표시 장치에 비하여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윈도우(120)가 밀리는 현상을 잡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도 5를 통하여 아웃폴딩(out-folding)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를 또 다른 방식으로 접은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서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를 아웃 폴딩(out-folding)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아웃 폴딩되었으므로 표시 패널(100)이 표시하는 화상을 접은 상태에서도 볼 수 있다.
도 5에서도 도 3과 같이 제3 구역(200-3)을 중심으로 표시 장치를 접고 있다. 또한, 제3 구역(200-3)의 양측에는 제2 구역(200-2)이 위치하며, 제2 구역(200-2)은 표시 장치의 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적어 스트레스가 적은 부분에 위치한다. 그리고 나머지 영역에는 제1 구역(200-1)이 위치한다.
도 5와 같이 아웃 폴딩되는 경우에도 두 전극(210, 220)에 전압이 인가되며, 그에 따라 전계가 발생하여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에 압축력이 발생한다. 아웃 폴딩시에도 제3 구역(200-3)에서 가장 많은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전압이 인가되고, 제2 구역(200-2)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구역(200-1)에서는 제2 구역(200-2)보다 더 적은 압축력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아웃폴딩되는 경우에는 전기 동작부(200)이 스트레스가 큰 윈도우(120)의 인장 스트레스를 직접적으로 감소시키지는 않지만, 표시 패널(100)을 통하여 윈도우(120)의 스트레스를 간접적으로 감소시킨다. 뿐만 아니라, 전기 동작부(200)은 베이스 필름(110)이 내측에 위치하면서 공간이 좁아 끝단이 밀릴 수 있는데, 이를 압축력에 의하여 잡아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기 동작부(200)이 표시 패널(100)의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16에서 후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표적인 층상 구조는 도 6을 통하여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표시 패널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표시 장치에서 사용되는 표시 패널(100)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도 6에서는 터치 감지 기능을 포함하는 두 가지 표시 패널(100)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6(A)에서는 터치 감지 기능과 화상 표시 기능을 하나의 패널에 형성한 일체형 표시 패널(105)을 도시하고 있다. 즉, 유기 발광 표시 소자의 공통 전극의 상부에 터치 감지 전극 패턴을 함께 형성하여 하나의 패널내에 터치 감지 및 화상 표시 기능을 모두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체형으로 터치 패널과 표시 패널을 형성한 경우에는 형성되는 층의 수가 적어 층 간에 발생하는 인장 스트레스를 고려할 대상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6(B)에서는 화상을 표시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101)의 상부에 편광판(103) 및 터치 패널(102)을 형성한 표시 패널(100)을 도시하고 있다. 표시 패널(101)과 편광판(103)의 사이 및 편광판(103)과 터치 패널(102)의 사이에는 점착층(130)이 위치한다. 점착층(130)으로는 다양한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 휨에 의하여 서로 다른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에 이를 완화시켜주기 위하여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B)의 구조는 도 6(A)에 비하여 휘는 경우 층 간의 인장 스트레스를 고려할 대상이 많은 단점이 있지만, 제조 비용이나 패널 제조 공정이 단순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상황에 맞추어 어느 표시 패널(100)을 사용할지 정하여 사용한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액정 표시 패널도 상황에 따라서는 사용될 수 있다. 즉, 액정 표시 패널이 플렉서블 표시 패널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액정층을 각 화소 별로 마이크로 캐비티내에 위치시켜 휘더라도 위상차가 변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등 특수 구조가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도 7내지 도 10을 통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동작부(200)의 전극 구조를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동작부의 배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전기 동작부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동작부(200)의 상부 전극(220)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제1상부 전극(221), 제2상부 전극(222) 및 제3상부 전극(223)을 포함한다. 한편, 하부 전극(2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판상 전극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7에 의하면, 제1 상부 전극(221)은 하나의 세로부와 복수의 가로부를 포함하며, 가로부는 세로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2 상부 전극(222) 및 제3 상부 전극(223)도 하나의 세로부와 복수의 가로부를 가지며, 가로부는 세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제1 내지 제3 상부 전극(221, 222, 223)의 가로부는 서로 중첩하지 않으며, 평행하게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의하면, 제1 상부 전극(221)의 가로부는 제2 상부 전극(222)의 세로부 및 제3 상부 전극(223)의 세로부와 절연되어 교차하고, 제2 상부 전극(222)의 가로부는 제3 상부 전극(223)의 세로부와 절연되어 교차한다. 세로부와 가로부가 교차하는 구조에서 절연되기 위하여 실 부재(240) 중 상부 수평부(245)가 사용되며, 이하에서는 도8 내지 도 10을 통하여 각 단위 구조의 구조를 상세하게 살펴본다.
하나의 단위 구조는 상하에 위치하는 두 전극(210, 220)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전기 활성 폴리머층(Electro-Active Polymer; 230)을 포함한다. 상부 전극(220)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제1 내지 제3 상부 전극(221, 222, 223)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부 전극은 4개 이상의 전기적으로 분리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210)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판상 구조를 가진다. 하부 전극(210)과 상부 전극(220)에 의하여 발생한 전계에 의하여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은 특성이 변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압축력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전기 동작부(200)은 표시 장치가 휘면서 발생하는 좌우 방향의 인장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또한, 전기 동작부(200)에는 각 단위 구조를 나누는 실(seal) 부재(240)를 더 포함한다. 실 부재(240)는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을 구획하며, 이를 위하여 실 부재(240)는 기둥부(244) 및 그로부터 하부 전극(210) 및 상부 전극(220)의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평부(243, 245)를 포함한다. 하부 전극(210)상에 위치하는 하부 수평부(243)와 상부 전극(220)하에 위치하는 상부 수평부(245)는 기둥부(244)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하부 수평부(243)의 끝에는 하부 오프닝(241)이 위치하고 있으며, 상부 수평부(245)의 끝에는 상부 오프닝(242)이 위치하고 있다. 즉, 실 부재(240)에서 수평부(243, 245)의 끝단은 인접하는 기둥부(244)와 접촉하지 않으며, 해당 부분에는 오프닝(241, 242)이 위치하고 있다.
도7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상부 오프닝(242)에 제1 내지 제3 상부 전극(221, 222, 223)중 하나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오프닝(242)에 제1 내지 제3 상부 전극(221, 222, 223)을 형성하는 것은 제1 내지 제3 상부 전극(221, 222, 223)이 서로 절연되어 교차하기 위하여 상부 오프닝(242)내에 세로부를 위치시키며, 그 위로 상부 수평부(245)가 위치하고, 그 위에 교차하는 제1 내지 제3 상부 전극(221, 222, 223)의 가로부가 지나가는 구조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즉, 도 9에서는 제2 상부 전극(222)의 가로부와 제3 상부 전극(223)의 세로부가 교차되는 것이 가장 우측의 상부 오프닝(242)부분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의하면, 상부 오프닝(242)에 위치하는 제3 상부 전극(223)의 세로부는 그 위에 상부 수평부(245)가 위치하고 그 위를 제2 상부 전극(222)의 가로부가 지나가는 구조로 형성되어 제2 상부 전극(222)과 제3 상부 전극(223)이 서로 절연 교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제1 상부 전극(221)이 제2 상부 전극(222) 및 제3 상부 전극(223)과 절연 교차하는 것이 중앙 및 가장 우측의 상부 오프닝(242)부분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의하면, 서로 다른 상부 오프닝(242)에 위치하는 제2 상부 전극(222)의 세로부와 제3 상부 전극(223)의 세로부 위에는 상부 수평부(245)가 위치하고, 그 위를 제1 상부 전극(221)의 가로부가 지나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상부 전극(221)은 제2 상부 전극(222) 및 제3 상부 전극(223)과 서로 절연 교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부 오프닝(242)에 전극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전극이 절연 교차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에도 상부 수평부(245)가 교차하는 두 전극을 절연시킬 수 있다.
오프닝(241, 242)의 크기는 표시 장치가 휘면서 그 크기가 변하는데, 전계에 의하여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이 가지는 압축력으로 인하여 그 변하는 정도를 줄어들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 발생하는 밀림 현상을 잡을 수 있고, 또한, 그에 따른 층간 분리가 발생하지 않아 신뢰성이 향상된다.
전기 동작부(200)은 비도전 점착층(250, 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도전 점착층(250, 260)은 두 전극(210, 220)의 외측에 위치하며, 전기 동작부(200)이 인접하는 층에 부착되는데 도움을 준다.
도 7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전기 동작부(200)의 상부 전극(220)이 3개로 구분되어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고, 도 2의 전기 동작부(200)도 3개의 구역(200-1, 200-2, 200-3)을 가지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3개의 상부 전극(221, 222, 223)이 3개의 구역(200-1, 200-2, 200-3)과 일대일 대응하는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상부 전극(221)은 제1구역(200-1)의 상부 전극이며, 제2상부 전극(222)은 제2구역(200-2)의 상부 전극이고, 제3상부 전극(223)은 제3구역(200-3)의 상부 전극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3개의 상부 전극(221, 222, 223)이 제1 내지 제3 구역(200-1, 200-2, 200-3) 중 어느 하나의 구역 내에서 상부 전극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통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11을 통하여 전기 동작부(2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동작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의 전기 동작부(200)은 도 2의 전기 동작부와 같이 3개의 구역(200-1, 200-2, 200-3)을 포함한다. 하지만, 도 11의 전기 동작부(200)은 도 2의 전기 동작부와 달리 3개의 구역(200-1, 200-2, 200-3)이 배치된 위치가 다르다.
도 11의 전기 동작부(200)도 크게 3개의 구역(200-1, 200-2, 200-3)으로 구분된다. 3개의 구역(200-1, 200-2, 200-3)은 각각 동일한 모양을 가지는 하나의 단위 구조가 반복적으로 구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3개의 구역(200-1, 200-2, 200-3)의 차이는 단위 구조의 크기에 있으며, 구조적으로는 그 차이가 없다.
도 11에서는 제1구역(200-1)의 단위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며, 3개의 구역(200-1, 200-2, 200-3)에 위치하는 각 단위 구조는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하나의 단위 구조는 상하에 위치하는 두 전극(210, 220)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전기 활성 폴리머층(Electro-Active Polymer; 230)을 포함한다. 하부 전극(210)과 상부 전극(220)에 의하여 발생한 전계에 의하여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은 특성이 변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압축력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전기 동작부(200)은 표시 장치가 휘면서 발생하는 좌우 방향의 인장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또한, 전기 동작부(200)에는 각 단위 구조를 나누는 실(seal) 부재(240)를 더 포함한다. 실 부재(240)는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을 구획하며, 이를 위하여 실 부재(240)는 기둥부 및 그로부터 하부 전극(210) 및 상부 전극(220)의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 부재(240)에서 수평부의 끝단은 인접하는 기둥부와 접촉하지 않으며, 해당 부분에는 오프닝(241, 242)이 위치하고 있다.
오프닝(241, 242)의 크기는 표시 장치가 휘면서 그 크기가 변하는데, 전계에 의하여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이 가지는 압축력으로 인하여 그 변하는 정도를 줄어들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 발생하는 밀림 현상을 잡을 수 있고, 또한, 그에 따른 층간 분리가 발생하지 않아 신뢰성이 향상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오프닝(241, 242)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나의 실 부재(240)는 단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실 부재(240)의 기둥부 중 일 부분에 인접하는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을 서로 연결하는 추가 오프닝(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할 수도 있다.
전기 동작부(200)은 비도전 점착층(250, 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도전 점착층(250, 260)은 두 전극(210, 220)의 외측에 위치하며, 전기 동작부(200)이 인접하는 층에 부착되는데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은 단위 구조의 구조는 3개의 구역(200-1, 200-2, 200-3)에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다만, 3개의 구역(200-1, 200-2, 200-3)에 포함되어 있는 단위 구조의 폭은 서로 다르다.
즉, 제1 구역(200-1)의 단위 구조는 그 폭이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제2 구역(200-2)의 단위 구조가 두 번째로 크다. 마지막으로 제3 구역(200-3)의 단위 구조 폭이 가장 좁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구역의 개수가 2이상으로 다양한 개수를 가질 수 있으며, 하나의 구역 내에서도 다양한 단위 구조의 폭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구역(200-1)은 가장 좌측에 위치하며, 그 우측에는 제2 구역(200-2)이 위치하고, 그 우측에는 제3 구역(200-3)이 위치한다. 그리고 제3구역(200-3)의 우측에는 다시 제2구역(200-2)이 위치한다. 이와 같은 배치는 표시 장치를 어떠한 방식으로 접는지에 따라 정한 것이며, 도 11에 의한 전기 동작부(200)은 표시 장치의 우측이 접히는 표시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의 전기 동작부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가 인폴딩 방식으로 접히는 구조는 도 12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도 11의 전기 동작부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를 접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장 좁은 폭의 단위 구조를 가지는 제3 구역(200-3)을 중심으로 표시 장치가 접힌다. 이는 단위 구조의 폭이 좁을수록 면적당 단위 구조의 개수가 많아 해당 위치에서 발생하는 인장 스트레스를 더 많이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제3 구역(200-3)의 양측에는 제2 구역(200-2)가 위치하며, 제2 구역(200-2)은 표시 장치의 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적어 스트레스가 적은 부분에 위치한다. 그리고 나머지 영역에는 제1 구역(200-1)이 위치하며, 제1 구역(200-1)은 전기 동작부(200)의 일측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도 12와 같이 접는 경우에는 제1 구역(200-1)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인장 스트레스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위 구조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표시 장치가 접히는 경우에 두 전극(210, 220)에 전압이 인가되며, 그에 따라 전계가 발생하여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에 압축력이 발생한다. 도 12와 같이 접히는 경우에는 제3 구역(200-3)에서 가장 많은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전압이 인가되고, 제2 구역(200-2)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구역(200-1)에서는 제2 구역(200-2)보다 더 적은 압축력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인폴딩되는 경우에 내측에 위치하는 윈도우(120)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베이스 필름(110)에 더 많은 인장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표시 패널(100)은 중간에 위치하고 있어 윈도우(120)와 베이스 필름(110)의 중간에 해당하는 스트레스를 받는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기 동작부(200)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에 압축력이 발생하므로 인장 스트레스가 감소하게 된다. 그 결과 표시 장치가 접히더라도 변하는 정도가 줄고, 인장 스트레스도 적게 받게 된다.
도 12와 같이 인폴딩되는 경우 외측, 즉, 베이스 필름(110)쪽에 인장 스트레스가 더 크므로 표시 패널(100)과 베이스 필름(110)의 사이에 전기 동작부(200)을 위치시켰다. 하지만, 전기 동작부(200)이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120)의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는 전기 동작부(200)을 구비하지 않은 표시 장치에 비하여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윈도우(120)가 밀리는 현상을 잡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2의 접는 방식은 인폴딩 방식으로 표시 장치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부분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접는 방식을 도시하였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아웃 폴딩 방식으로도 접을 수 있으며, 이는 도 13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도 11의 전기 동작부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를 또 다른 방식으로 접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아웃 폴딩(out-folding)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아웃 폴딩되었으므로 표시 패널(100)이 표시하는 화상을 접은 상태에서도 볼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13에서도 도 12와 같이 제3 구역(200-3)을 중심으로 표시 장치를 접고 있다. 또한, 제3 구역(200-3)의 양측에는 제2 구역(200-2)가 위치하며, 제2 구역(200-2)은 표시 장치의 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적어 스트레스가 적은 부분에 위치한다. 그리고 나머지 영역에는 제1 구역(200-1)이 위치하며, 제1 구역(200-1)은 전기 동작부(200)의 일측에만 위치한다.
도 13과 같이 아웃 폴딩되는 경우에도 두 전극(210, 220)에 전압이 인가되며, 그에 따라 전계가 발생하여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에 압축력이 발생한다. 아웃 폴딩시에도 제3 구역(200-3)에서 가장 많은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전압이 인가되고, 제2 구역(200-2)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구역(200-1)에서는 제2 구역(200-2)보다 더 적은 압축력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3과 같이 아웃 폴딩되는 경우에는 전기 동작부(200)이 스트레스가 큰 외측의 윈도우(120)에 직접적으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지는 않지만, 표시 패널(100)을 통하여 윈도우(120)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뿐만 아니라, 전기 동작부(200)은 베이스 필름(110)이 내측에 위치하면서 공간이 좁아 끝단이 밀릴 수 있는데, 이를 압축력에 의하여 잡아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기 동작부(200)이 표시 패널(100)의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16에서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14및 도 15를 통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14를 통하여 전기 동작부(2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동작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의 전기 동작부(200)은 도 2 또는 도 11의 전기 동작부와 달리 하나의 구역(200-3)만을 포함한다. 이는 전기 동작부(200) 전체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인장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4의 전기 동작부(200)은 하나의 구역(200-3)만을 포함하며, 동일한 모양을 가지고, 동일한 폭을 가지는 하나의 단위 구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4의 전기 동작부(100)에서 사용되는 단위 구조는 확대 도시되어 있으며,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하나의 단위 구조는 상하에 위치하는 두 전극(210, 220)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전기 활성 폴리머층(EAP; 230)을 포함한다. 하부 전극(210)과 상부 전극(220)에 의하여 발생한 전계에 의하여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은 특성이 변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압축력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전기 동작부(200)은 표시 장치가 휘면서 발생하는 좌우 방향의 인장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또한, 전기 동작부(200)에는 각 단위 구조를 나누는 실(seal) 부재(240)를 더 포함한다. 실 부재(240)는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을 구획하며, 이를 위하여 실 부재(240)는 기둥부 및 그로부터 하부 전극(210) 및 상부 전극(220)의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 부재(240)에서 수평부의 끝단은 인접하는 기둥부와 접촉하지 않으며, 해당 부분에는 오프닝(241, 242)이 위치하고 있다.
오프닝(241, 242)의 크기는 표시 장치가 휘면서 그 크기가 변하는데, 전계에 의하여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이 가지는 압축력으로 인하여 그 변하는 정도를 줄어들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 발생하는 밀림 현상을 잡을 수 있고, 또한, 그에 따른 층간 분리가 발생하지 않아 신뢰성이 향상된다.
하나의 실 부재(240)는 단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실 부재(240)의 기둥부 중 일 부분에 인접하는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을 서로 연결하는 추가 오프닝(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할 수도 있다.
전기 동작부(200)은 비도전 점착층(250, 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도전 점착층(250, 260)은 두 전극(210, 220)의 외측에 위치하며, 전기 동작부(200)이 인접하는 층에 부착되는데 도움을 준다.
도 14의 전기 동작부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가 인폴딩 방식으로 접히는 구조는 도 15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도 14의 전기 동작부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가 말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전기 동작부(200)은 동일한 폭의 단위 구조만을 포함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인장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로도 표시 장치를 휠 수 있으며, 그 예가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를 둘둘 마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를 롤러블(rollable) 표시 장치라고도 한다.
도 15에서는 인폴딩 방식으로 만 경우이며, 그 결과 표시 패널(100)의 화상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아웃 폴딩 방식으로 마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14의 전기 동작부(200)은 가장 좁은 폭을 가지는 단위 구조로만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 3 또는 도 5와 같이 표시 장치의 중앙을 기준으로 접는 경우나 도 12나 도 13과 같이 표시 장치의 일측을 기준으로 접는 경우 모두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접거나 휠 수 있다.
도 14의 전기 동작부(200)을 가지는 표시 장치가 접히는 경우에 두 전극(210, 220)에 전압이 인가되며, 그에 따라 전계가 발생하여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에 압축력이 발생한다. 도 15와 같이 접히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압축력이 제공되도록 전압이 인가된다.
표시 장치를 마는 경우에는 인폴딩되는 경우(도15의 경우) 내측에 위치하는 윈도우(120)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베이스 필름(110)에 더 많은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표시 패널(100)은 중간에 위치하고 있어 윈도우(120)와 베이스 필름(110)의 중간에 해당하는 스트레스를 받는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기 동작부(200)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에 압축력이 발생하므로 인장 스트레스가 감소하게 된다. 그 결과 표시 장치가 접히더라도 변하는 정도가 줄고, 인장 스트레스도 적게 받게 된다.
도 15와 같이 인폴딩되는 경우 외측, 즉, 베이스 필름(110)쪽에 인장 스트레스가 더 크므로 표시 패널(100)과 베이스 필름(110)의 사이에 전기 동작부(200)을 위치시켰다. 하지만, 전기 동작부(200)이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120)의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는 전기 동작부(200)을 구비하지 않은 표시 장치에 비하여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윈도우(120)가 밀리는 현상을 잡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아웃 폴딩 방식으로도 접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기 동작부(200)이 표시 패널(100)의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6을 이용하여 전기 동작부(200)이 표시 패널(100)의 양측에 위치하는 구조를 살펴본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한 전기 동작부(200)을 사용하는 구조이며, 도 1과 달리 전기 동작부(200)이 표시 패널(100)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달리 전기 동작부(200)으로는 도 11 또는 도 14의 전기 동작부(200)이 사용되면서 표시 패널(100)의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두 전기 동작부(200)내의 단위 구조의 구조가 서로 다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전기 동작부와 도 14의 전기 동작부가 하나의 표시 장치에 함께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동일한 전기 동작부를 사용하더라도 단위 구조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한 전기 동작부 두 개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두 전기 동작부(200)내에 위치하는 두 전극(210, 220)에는 다양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두 전기 동작부(200)의 구조가 동일한 경우에도 접는 방향에 따라서 내측과 외측의 전기 동작부(200)의 두 전극(210, 220)에 서로 다른 전압을 인가하여 위치에 따른 압축력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표시 패널(100)의 일측에만 전기 동작부(200)이 위치하여, 표시 패널(100)의 타측에 위치하는 윈도우(120)에서는 전기 동작부(200)의 압축력을 직접적으로 인가받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도16의 실시예에서는 윈도우(120)도 직접 전기 동작부(200)의 압축력을 인가받아 보다 향상된 인장 스트레스의 감소 효과 및 향상된 밀림 감소 효과를 가지며, 그에 따라 층간 분리가 감소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7을 통하여 효과를 그래프로 살펴본다.
도 17은 도 16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 특성 및 표시 장치가 받는 스트레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에서는 인폴딩(in-folding) 또는 아웃 폴딩(out-folding)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에서 일점 쇄선은 EAP가 미적용된 경우, 즉, 전기 동작부(200)이 없는 경우를 나타낸다. 그래프에서 점선은 도1과 같이 일측에만 전기 동작부(200)을 형성한 경우이며, 실선은 도16과 같이 표시 패널(100)의 양측에 전기 동작부(200)을 형성한 경우이다. 또한, 그래프에서 제일 위의 선은 윈도우(120)에서의 스트레스를 나타내며, 그 아래의 선은 표시 패널(100)에서의 스트레스를 나타내고, 맨 아래의 선은 베이스 필름(110)에서의 스트레스를 나타낸다. 도 17의 그래프에서 x축으로 우측에 위치하면 인장 스트레스가 큰 것을 의미하며, y축으로 위에 위치하는 것은 표시 장치 내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17의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전기 동작부(200)이 제공하는 압축력으로 인하여 보다 향상된 스트레스 감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동작부(200)이 표시 패널(100)의 양측에 위치하므로 인 폴딩이나 아웃 폴딩 모두의 경우에서 향상된 스트레스 감소 효과가 있다.
그 결과 표시 장치가 접히더라도 변하는 정도가 줄고, 인장 스트레스도 적게 받게 되므로 밀림 현상을 잡을 수 있고, 그에 따른 층간 분리가 감소한다.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달리 도 11 또는 도 14의 전기 동작부(200)이 한 쌍으로 표시 패널(100)의 양측에 위치하는 실시예도 적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보다 향상된 인장 스트레스 감소 효과를 가져 향상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8 내지 도 20을 통하여 표시 장치가 스트레인 게이지층(150)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18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8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에 추가적으로 한 쌍의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층(150)을 표시 패널(100)의 양측에 더 포함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에서는 스트레인 게이지층(150)이 표시 패널(100)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각 스트레인 게이지층(150)의 외측에는 점착층(130)이 위치하고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층(150)은 인접하는 층이 받는 인장 스트레스를 감지하는 층으로 도 18에서는 표시 패널(1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이 받는 인장 스트레스를 감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스트레인 게이지층(150)에서 감지된 인장 스트레스 수치는 프로세서로 제공된다. 프로세서에서는 인장 스트레스 수치를 계산하여 필요한 압축력에 대응하는 전압을 전기 동작부(200)의 전극에 인가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9에서 블록도로 표시 장치의 제어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도 18의 실시예에서 동작이 제어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표시 장치가 폴딩(folding)되면 표시 장치 내의 스트레인 게이지층(150)에서는 이에 인접하는 층이 받는 인장 스트레스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고 프로세서로 전송한다.
프로세서에서 수신된 신호는 위치 정보 및 스트레스 크기에 기초하여 해당 위치에 어느 정도의 압축력을 가지도록 하여야 하는지 계산한다. 그 후 전기 동작부(200)의 두 전극(210, 220)에 해당 압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전기 동작부(EAP)에 인가한다.
그 결과 표시 장치의 전기 동작부(200)은 적정한 압축력이 발생하고 전기 동작부(EAP)에 인접한 층이 인장 스트레스가 감소하게 된다. 그 결과 표시 장치의 휨에 의하여 특정 층이 밀리는 현상을 잡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층간 분리도 감소한다.
그 후, 스트레인 게이지층(150)에서는 인접하는 층의 인장 스트레스가 감소됨에 따라서 감소된 스트레스에 대한 정보를 프로세서로 전송하게 되며, 그에 따라서 전기 동작부(EAP)에 인가되는 전압도 조절된다. 이러한 동작은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자동적으로 표시 장치가 제어되는 장점이 있다.
도 19에서는 프로세서의 위치에 대해서 별다른 한정을 하고 있지 않은데, 이는 다양한 곳에서 처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표시 장치내에서 표시 패널의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예, 타이밍 컨트롤러)에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프로세서가 표시 장치가 사용되는 전자 기기(예를 들면, 휴대폰)의 전자 기기용 프로세서(예, 모바일 프로세서 유닛(MPU))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실시예에 따라서는 프로세서가 신호 제어부나 메인 제어부의 외측에 별도로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8에서는 스트레인 게이지층(150)이 표시 패널(100)의 양측에 부착된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18과 달리 스트레인 게이지층(!50)이 점착층(130)의 외측에 부착될 수 있다. 해당 경우에는 표시 패널(100)의 양측면에 점착층이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그 외측에 각 스트레인 게이지층(150)이 위치하는 구조를 가진다.
스트레인 게이지층(150)의 위치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비용의 문제로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층(15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장 인장 스트레스가 큰 층에 부착하여 위치시킬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층에 스트레인 게이지층(150)을 위치시켜 정밀하게 각 층이 받는 인장 스트레스를 모니터링하고 그에 따라 압축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0을 통하여 표시 장치에 인쇄 회로 기판이 어떠한 방식으로 연결되는지 살펴본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괄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표시 장치와 달리 한 쌍의 전기 동작부(200)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윈도우(120), 베이스 필름(130) 및 한 쌍의 전기 동작부(200)을 포함하며, 표시 패널(10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스트레인 게이지층(150)이 위치하며, 각각의 스트레인 게이지층(150) 외측에는 각각 점착층(130)이 위치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장치의 각 층이 휨에 의하여 서로 다른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므로 이를 완화시켜주기 위하여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가 점착제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전면이며, 상부 점착층(130)의 외측에는 전기 동작부(200)이 위치하며, 전기 동작부(200)의 외측에는 윈도우(120)가 위치하고 있다. 윈도우(120)는 표시 패널(100)의 전면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일정 두께를 가져 표시 패널(100)의 전면이 힘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뿐만 아니라, 날카로운 것에 의한 긁힘으로부터도 표시 패널(100)의 전면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의 배면이며, 하부 점착층(130)의 아래에는 전기 동작부(200)이 위치하며, 그 아래에는 표시 장치의 배면을 보호하기 위한 베이스 필름(110)이 위치하고 있다. 베이스 필름(110)은 표시 장치의 배면으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1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표시 장치가 어떠한 전자기기(예를 들어 휴대폰)의 일부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휴대폰의 본체와 표시 장치간에 서로 부딪힘에 의한 파손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20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동작부(200)의 구조는 도 2의 전기 동작부 구조와 동일하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 도 11 및 도 14의 구조를 가지는 전기 동작부도 사용될 수 있고, 본 출원서에서 도시하지 않은 전기 동작부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여러 실시예의 전기 동작부를 하나의 표시 장치에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층상 구조를 가지는 표시 장치에는 이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제어부가 필요하다. 표시 장치의 신호 제어부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표시 패널(100)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신호 제어부이며, 또 다른 하나는 표시 장치가 포함된 전자 기기에서 전자 기기 전체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이다. 표시 장치가 휴대폰에 사용되는 경우 메인 제어부는 모바일 프로세서 유닛(mobile processor unit; MPC)일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용 신호 제어부는 타이밍 컨트롤러라고도 불린다.
이와 같은 신호 제어부와 메인 제어부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도 20에서는 한 쌍의 연성 회로 기판(320)과 이들과 연결된 하나의 보드 회로 기판(310)이 도시되어 있다. 신호 제어부와 메인 제어부는 한 쌍의 연성 회로 기판(320)이나 보드 회로 기판(310) 중 어느 곳에도 위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메인 제어부는 보드 회로 기판(310)상에 위치한다.
도 20에서 연성 회로 기판(320)은 표시 장치의 스트레인 게이지층(150) 및 전기 동작부(200)와 연결되어 있다. 상부의 연성 회로 기판(320)은 상부의 스트레인 게이지층(150) 및 상부의 전기 동작부(200)와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의 연성 회로 기판(320)은 하부의 스트레인 게이지층(150) 및 하부의 전기 동작부(200)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결 관계로 인하여 스트레인 게이지층(150)으로부터 감지된 스트레스 정보는 연성 회로 기판(320)을 통하여 프로세서로 제공되며, 프로세서에서 전기 동작부(200)에 제공하는 전압도 연성 회로 기판(320)을 통하여 제공된다.
프로세서는 표시 패널(100)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신호 제어부나 메인 제어부의 외측에 별도로 위치하여 연성 회로 기판(320)이나 보드 회로 기판(31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보드 회로 기판(310)은 한 쌍의 연성 회로 기판(320)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더하여 표시 패널(100)과도 직접 연결되어 있다. 이는 표시 패널(100)을 제어하는데 있어서 보다 향상된 특성을 가지기 위함이며, 표시 패널(100)과 보드 회로 기판(310)은 연성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는 보드 회로 기판(310)과 표시 패널(100)을 직접 연결하는 연성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20에서 도시하고 있는 연성 회로 기판 및 보드 회로 기판의 연결 관계는 도 1 등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연성 회로 기판에 의하여 전기 동작부(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스트레인 게이지가 포함된 구조에서는 연성 회로 기판에 의하여 스트레인 게이지가 연결될 수 있다.
도 20에서는 2개의 스트레인 게이지(150)과 2개의 전기 동작부(200)를 가지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지만, 스트레인 게이지(150)가 하나만 포함되거나 둘 다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스트레인 게이지(150)는 윈도우(120)나 베이스 필름(110)의 내측에 추가적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기 동작부(200)도 둘 중 하나만 포함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전기 동작부(200)에서는 전계에 의하여 특성이 변하는 전기 활성 폴리머층(Electro-Active Polymer; 230)으로 무엇을 사용하는지도 중요하며, 이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 및 그 특성에 대하여 아래에서 표 1 내지 표 3을 통하여 살펴본다.
EAP 타입 EAP 물질
Electronic EAP Dielectric EAP Electrostrictive Graft Elastomers
Electrostrictive Paper
Electro-Viscoelastic Elastomers
Ferroelectric Polymers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Ionic EAP Carbon Nanotubes (CNT)
Conductive Polymers (CP)
ElectroRheological Fluids (ERF)
Ionic Polymer Gels (IPG)
Ionic Polymer Metallic Composite (IPMC)
표 1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전기 활성 폴리머층(230)에 사용될 수 있는 Electro-Active Polymer(EAP) 물질은 크게 전기 EAP(electronic EAP)와 이온 EAP(Ionic EAP)로 구분된다. 표 1에서는 사용 가능한 EAP 물질을 기술하고 있는데, 이러한 물질로 한정되지 않는다.
각 타입의 EAP는 장단점을 가지며, 이를 각각 요약하면 표 2 및 표 3과 같다. 표 2에서는 전기 EAP의 장단점을 보여주며, 표 3에서는 이온 EAP의 장단점을 보여준다.
EAP 타입 Electronic EAP
장점 빠른 응답속도(milliseconds 수준)
DC 전압으로도 스트레인(strain)을 유지할 수 있음
상대적으로 큰 힘(actuation force)을 야기할 수 있음.
높은 기계적인 에너지 밀도(mechanical energy density)를 가짐
룸 컨디션(room condition)에서 장시간 동작 가능함
단점 약 100MV/meter 수준의 높은 전압이 요구되며, ferroelectric EAP의 경우에는 20MV/meter의 전압이 필요함
전기 변형(electrostriction)현상으로 인하여 전압의 극성에 무관하게 단극성 동작(monopolar actuation)이 이루어짐.
EAP 타입 Ionic EAP
장점 전압의 극성에 따른 양극성 동작(bi-directional actuation)이 이루어짐
낮은 전압으로 동작함
도전성 폴리머(conductive polymer)와 같은 일부 이온 EAP에서는 쌍안정(bi-stability) 특성을 가짐
단점 전해질(electrolyte)가 필요함
전해질(electrolysis)는 1.23V 이상에서 수분(aqueous)을 함유하게 됨
오픈된 공간에서 동작하기 위해서는 인캡(encapsulation)되거나 보호층이 필요함
낮은 전기기계적인 커플링 효율(electromechanical coupling efficiency)을 가짐
도전성 폴리머(conductive polymer)나 나노튜브 계열을 제외한 이온 EAP는 DC 전압으로는 스트레인(strain)을 유지하지 못함
상대적으로 늦은 반응 속도(0.x 초 수준)
EAP가 휠 때 낮은 힘(actuation force)가 발생됨
표 2 및 표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서 사용될 때 추가적으로 필요한 내용 및 장단점을 확인할 수 있다. 표 2 및 표 3의 내용을 종합하면, 전기 EAP의 경우에는 DC 컨버터를 사용하여 DC 전압을 인가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하는 실시예에서 도 19와 같이 실시간으로 제어를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반응 속도가 빠른 것이 바람직하므로 전기 EAP가 적합할 수 있다.
한편, 이온 EAP는 밀봉하거나 인캡하여야 하는 절차가 필요하므로 실링용 실리콘 등으로 구조(도 2등 참고)를 형성할 필요가 있을 수 있고, 동작 속도가 0.x 초 정도의 수준으로 빠른 응답속도를 내는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대신, 초기에 세팅해 둔 값으로 수축/팽창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적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위의 특징을 고려하여 실제 사용되는 표시 장치에 적합한 EAP 물질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기 EAP나 이온 EAP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101, 105: 표시 패널 102: 터치 패널
103: 편광판 110: 베이스 필름
120: 윈도우 130: 점착층
150: 스트레인 게이지 200: 전기 동작부
200-1, 200-2, 200-3: 제1 내지 제3 구역
210: 하부 전극 220, 221, 222, 223: 상부 전극
230: 전기 활성 폴리머층 240: 실 부재
241, 242: 오프닝 243, 245: 수평부
244: 기둥부 250, 260: 비도전 점착층
310: 보드 회로 기판 320: 연성 회로 기판

Claims (20)

  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에 위치하며, 전기 활성 폴리머층과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전기 동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기 동작부는 상기 전기 활성 폴리머층과 상기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단위 구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 구조는 상기 단위 구조를 나누는 실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전극은 상기 실 부재의 위에 위치하는 상부 전극과 상기 실 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전극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실 부재는 상기 전기 활성 폴리머층을 구획하며,
    상기 실 부재는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을 지지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로부터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의 표면을 따라서 각각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실 부재의 상기 수평부 각각은 인접하는 상기 기둥부와 접촉하지 않으며, 해당 부분에는 오프닝이 위치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하부 전극의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상기 수평부와 상기 상부 전극의 표면을 따라서 위치하는 상기 수평부는 단면도상 연장되는 방향이 서로 다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
  6.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에 위치하며, 전기 활성 폴리머층과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전기 동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기 동작부는 상기 전기 활성 폴리머층과 상기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단위 구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기 동작부는 상기 단위 구조의 폭이 다른 제1 내지 제3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역의 상기 단위 구조의 폭이 가장 넓고, 상기 제2 구역의 상기 단위 구조의 폭은 중간 폭을 가지며, 상기 제3 구역의 상기 단위 구조의 폭은 가장 좁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제3 구역은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제3 구역의 외측에 상기 제2 구역이 위치하고, 상기 제2 구역의 외측에 상기 제1 구역이 위치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8. 제6항에서,
    상기 제3 구역이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에서 벗어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 구역의 외측에 상기 제2 구역이 위치하고,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에만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나머지 일측에는 상기 제2 구역이 위치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제1 전기 동작부는 상기 단위 구조가 하나의 폭을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반복 형성되어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타측에는 전기 활성 폴리머층과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전기 동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기 동작부는 상기 전기 활성 폴리머층과 상기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제2 단위 구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제2 전기 동작부는 상기 제1 전기 동작부와 동일한 폭의 상기 단위 구조가 동일하게 반복 배열되어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한 쌍의 전극은 복수의 상부 전극과 하나의 하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전극은 하나의 판상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상부 전극은 서로 절연 형성되어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복수의 상부 전극은 각각 세로부 및 상기 세로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가로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4. 제1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면의 스트레스를 감지하는 제1 스트레인 게이지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제1 스트레인 게이지층은 상기 제1 전기 동작부와 상기 표시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타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타측면의 스트레스를 감지하는 제2 스트레인 게이지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6.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에 위치하며, 전기 활성 폴리머층과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전기 동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기 동작부는 상기 전기 활성 폴리머층과 상기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단위 구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면의 스트레스를 감지하는 제1 스트레인 게이지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트레인 게이지층에서 감지한 스트레스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제1 전기 동작부의 상기 한 쌍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 전기 동작부가 압축력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제1 스트레인 게이지층 및 상기 제1 전기 동작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성 회로 기판; 및
    상기 연성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드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 또는 상기 보드 회로 기판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8. 제1항에서,
    상기 전기 활성 폴리머층에는 전기 EAP 물질 또는 이온 EAP 물질 중 하나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9.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에 위치하며, 전기 활성 폴리머층과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전기 동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기 동작부는 상기 전기 활성 폴리머층과 상기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단위 구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에 위치하는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의 배명에 위치하는 베이스 필름; 및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를 포함하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점착층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전기 동작부도 상기 점착층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기 동작부의 외측에 상기 베이스 필름이 위치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터치 감지가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0180016462A 2018-02-09 2018-02-09 플렉서블 표시 장치 Active KR102483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462A KR102483893B1 (ko) 2018-02-09 2018-02-09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201910106442.7A CN110136579B (zh) 2018-02-09 2019-02-02 柔性显示设备
US16/270,737 US11074835B2 (en) 2018-02-09 2019-02-08 Flexible display device
EP19156204.0A EP3525063B1 (en) 2018-02-09 2019-02-08 Flexi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462A KR102483893B1 (ko) 2018-02-09 2018-02-09 플렉서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339A KR20190097339A (ko) 2019-08-21
KR102483893B1 true KR102483893B1 (ko) 2023-01-02

Family

ID=6541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462A Active KR102483893B1 (ko) 2018-02-09 2018-02-09 플렉서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74835B2 (ko)
EP (1) EP3525063B1 (ko)
KR (1) KR102483893B1 (ko)
CN (1) CN1101365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5804B (zh) * 2020-11-26 2022-11-2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组件和显示装置
US20240120852A1 (en) * 2021-02-15 2024-04-11 Sharp Kabushiki Kaisha Support system and flexi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support system
NL2028249B1 (en) * 2021-05-19 2022-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ctive slack management in a layered article
NL2028250B1 (en) * 2021-05-19 2022-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ctive strain management in a layered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3100B1 (en) * 2000-03-27 2002-09-17 Ngk Insulators,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3280546A (ja) * 2002-03-27 2003-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己変形型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処理端末
GB0515175D0 (en) * 2005-07-25 2005-08-31 Plastic Logic Ltd Flexible resistive touch screen
KR100863571B1 (ko) 2007-05-23 2008-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활성 고분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화소 및 이를 채용한디스플레이 장치
US9823833B2 (en) * 2007-06-05 2017-11-21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enabled flexible touch sensitive surface
JP2012520516A (ja) * 2009-03-10 2012-09-06 バイヤー・マテリアルサイエンス・アーゲー 触覚フィードバックデバイスのための電気活性ポリマトランスデューサ
US20110241998A1 (en) 2010-03-30 2011-10-06 Mckinney Susan Flexib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5893625B2 (ja) * 2010-09-09 2016-03-2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電気活性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
KR101809191B1 (ko) * 2010-10-11 2018-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1878251B1 (ko) * 2011-04-08 2018-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굽힘 감지 센서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US8929085B2 (en) * 2011-09-30 2015-01-06 Apple Inc. Flexible electronic devices
KR101903053B1 (ko) * 2012-07-10 2018-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15080B1 (ko) 2012-09-17 202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35005B1 (ko) * 2012-12-24 2019-10-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표시장치
WO2014124173A1 (en) * 2013-02-08 2014-08-14 Changello Enterprise Llc Force determination based on capacitive sensing
KR102048922B1 (ko) * 2013-02-13 2020-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14318B1 (ko) * 2013-10-01 2020-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TWI676880B (zh) * 2013-12-24 2019-11-11 美商飛利斯有限公司 動態可撓物品
KR102138036B1 (ko) * 2014-01-07 2020-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0582612B2 (en) * 2014-06-30 2020-03-03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reduced bend stress wire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2366270B1 (ko) * 2015-01-16 2022-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KR20160089164A (ko) 2015-01-19 2016-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US9857832B2 (en) 2015-06-23 2018-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display panel with variable curvature
KR102489956B1 (ko) * 2015-12-30 202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455040B1 (ko) * 2016-01-29 2022-10-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78314A (ko) 2016-06-21 2016-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660537B1 (ko) * 2016-07-19 2024-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170374A (zh) * 2017-06-29 2017-09-1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339A (ko) 2019-08-21
US20190251875A1 (en) 2019-08-15
US11074835B2 (en) 2021-07-27
CN110136579B (zh) 2023-06-27
EP3525063B1 (en) 2021-11-24
CN110136579A (zh) 2019-08-16
EP3525063A1 (en)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3893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181236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
CN110537154B (zh) 利用薄的高模量层的可折叠显示器中性轴管理
US9383849B2 (en)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KR102342846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138036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5810103B (zh) 柔性显示装置、显示装置和设备
KR101809191B1 (ko) 터치 패널
KR102082425B1 (ko) 평판표시장치
KR102425824B1 (ko) 가요성 디스플레이의 햅틱 구동 방법 및 장치
KR20210155384A (ko) 플렉서블 터치 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WO2018120693A1 (zh) 柔性触摸屏及制作方法、显示屏及制作方法以及显示设备
EP3296847A1 (en)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tilizing same
US10713978B2 (en) Bend limit film
US9823141B2 (en) Sensing device
KR102446214B1 (ko) 표시 장치
CN105824481A (zh) 触摸传感器装置
KR20150078764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
KR20220093958A (ko) 표시 장치
KR101377604B1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409993B1 (ko) 접촉 감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09181200A (ja) 凹凸形成装置および情報入力装置
CN115708146A (zh) 显示设备
JP2018106407A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及びタッチ位置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2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2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