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83566B1 -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566B1
KR102483566B1 KR1020150150834A KR20150150834A KR102483566B1 KR 102483566 B1 KR102483566 B1 KR 102483566B1 KR 1020150150834 A KR1020150150834 A KR 1020150150834A KR 20150150834 A KR20150150834 A KR 20150150834A KR 102483566 B1 KR102483566 B1 KR 102483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ireless power
wireless
wired
power supp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9918A (ko
Inventor
조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츠
Priority to KR1020150150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566B1/ko
Publication of KR20170049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5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0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3/31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는 입력 전력을 서로 전력 레벨이 다른 제1 전력 및 제2 전력 또는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된 제1 전력 및 제2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와, 상기 제1 전력에 기초하여 제1 출력 전력을 유선 출력하는 유선 전력 공급부와, 상기 제2 전력을 무선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 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WIRE TYPE AND WIRELESS TYPE POWER SUPPL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장치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작동되는 장치를 말한다.
전기·전자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장치를 가동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원인 전력의 공급이 반드시 필요하며, 상기 전력의 공급은 장치가 스스로 자체 발전하여 조달하지 않는 한 외부로부터 공급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전자장치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외부의 전력 공급 설비로부터 상기 전기·전자장치로 전력을 전달해 주기 위한 전력 공급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전력 공급 장치로는 일반적으로 커넥터 등으로 전자 장치에 직접 연결되어 전자 장치의 내부 회로 또는 내장된 충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유선 방식의 전력 공급 장치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유선 방식의 전력 공급 장치는 전력 공급을 위한 케이블에 의해 이동성, 휴대성 등의 여러 가지 제약이 뒤따른다.
이에 따라, 하기의 선행 기술 문헌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자기 유도 효과 또는 자기 공진 효과에 의해 비접촉 방식으로 전자 장치에 내장된 충전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력 공급 장치는 유선 방식 또는, 자기 유도 효과 또는 자기 공진 효과 중 하나의 자기 효과에 의한 무선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다양한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복수의 디바이스에 동시에 전력을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특허공개공보 제2013-005489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선 방식과 무선 방식으로 각각 전력 공급이 가능한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는 입력 전력을 서로 전력 레벨이 다른 제1 전력 및 제2 전력 또는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된 제1 전력 및 제2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와, 상기 제1 전력에 기초하여 제1 출력 전력을 유선 출력하는 유선 전력 공급부와, 상기 제2 전력을 무선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 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선 방식과 무선 방식으로 복수의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의 개략적이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장치(100)는 입력 전력 또는 교류 전력을 제1 전력(V1) 및 제2 전력(V2)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110), 전력 변환부(110)로부터의 제1 전력(V1)에 기초하여 제1 출력 전력을 유선으로 출력하는 유선 전력 공급부(120) 및 전력 변환부(110)로부터의 제2 전력(V2)을 스위칭하여 무선 전송하는 무선 전력 공급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력(V1)과 제2 전력(V2)은 서로 전압 레벨이 다르거나 또는 전기적으로 서로 독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200)은 전력 변환부(210), 유선 전력 공급부(220) 및 무선 전력 공급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210)는 입력부(211), 전력 스위칭부(212), 트랜스포머(21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1)는 입력된 교류 전력(AC)을 정류하거나 전자기 간섭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정류된 전력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갖는 전력 스위칭부(212)에 의해 스위칭 될 수 있으며, 트랜스포머(213)는 일차 권선(Np)과 제1 이차 권선(Ns1) 및 제2 이차 권선(Ns2)를 포함할 수 있다. 일차 권선(Np)과 제1 이차 권선(Ns1) 및 제2 이차 권선(Ns2)은 서로 절연되고 자기 결합될 수 있으며, 일차 권선(Np)은 전력 스위칭부(212)에 의해 스위칭된 전력을 입력받으며, 제1 이차 권선(Ns1) 및 제2 이차 권선(Ns2)은 일차 권선(Np)과의 권선비에 따라 상기 일차 권선에 입력된 스위칭된 전력을 변압하여 제1 전력(V1) 및 제2 전력(V2)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이차 권선(Ns2)는 제1 이차 권선(Ns1)과 센터탭(ct) 연결되어 제2 전력(V2)의 전압 레벨은 제1 전력(V1)의 전압 레벨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차 권선(Ns1)과 제2 이차 권선(Ns2)의 권선수가 동일할 경우, 제2 전력(V2)의 전압 레벨은 제1 전력(V1)의 전압 레벨 보다 2배 높을 수 있다.
더하여, 전력 변환부(210)는 비교부(214) 및 컨트롤러(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교부(214)는 상기 제1 전력의 전력 상태를 기준 전압(Vref)과 비교하고, 컨트롤러(215)는 비교부(214)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전력 스위칭부(212)의 전력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유선 전력 공급부(220)는 전력 변환부(210)의 트랜스포머(213)의 제1 이차 권선(Ns1)으로부터의 제1 전력(V1)을 안정화시켜 제1 출력 전력을 유선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선 전력 공급부(220)는 제1 다이오드(D1)과 제1 캐패시터(C1)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공급부(230)는 무선 전력 스위칭부(231), 무선 전력 출력부(232), 디모듈레이터(233) 및 무선 전력 컨트롤러(234)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스위칭부(231)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갖는 하나의 하프 브리지(half bridge)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전력(V2)의 전압 레벨은 제1 전력(V1)의 전압 레벨보다 높으므로, 무선 전력 스위칭부(231)는 하프 브리지 스위치를 포함하면서도 풀 브리지 스위치가 출력할 수 있는 출력 전력과 동일한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유선 전력 공급부(220)의 제1 출력 전력은 다음과 같은 수식1과 같을 수 있다.
(수식1)
Figure 112015105197991-pat00001
여기에서 Vo는 유선 전력 공급부(220)의 제1 출력 전력의 전압 레벨, D는 전력 스위칭부(212)의 구동 시비율, Np는 트랜스포머 일차 권선의 권선 수, Ns는 트랜스포머 제1 이차 권선의 권선 수, Vin은 트랜스포머 일차 권선의 입력 전압을 의미한다.
즉 수식 1에서 알 수 있듯이 유선 전력 공급부(220)의 제1 출력 전력의 전압 레벨(Vo)는 시비율 D와 일차 권선과 제1 이차 권선의 권선수 Np, Ns, 입력전압 Vin에 의해 결정되는데, 시비율 D와 1일차 권선의 권선수 Np, 입력전압 Vin이 동일할 경우 출력 전압은 2차측 권선수 Ns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권선수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5V가 출력되는 제1 이차 권선(Ns1)에 동일한 권선수를 갖는 제2 이차 권선(Ns2)를 추가하여 센터탭 연결될 경우 제1 이차 권선과 제2 이차 권선의 출력의 합인 제2 전력(V2)의 전압 레벨은 10V가 출력된다.
한편, 제2 전력(V2)을 입력 전력으로 이용하는 무선 전력 스위칭부(231)의 경우 인버터의 구성에 따라 캐패시터와 코일로 구성된 무선 전력 출력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기본파 성분 Vfun이 달라지는데 기존 방식의 풀-브리지 스위치의 경우는 다음의 수식2, 본 발명의 하프-브리지 스위치의 경우는 수식3에 나타내었다.
(수식2)
Figure 112015105197991-pat00002
(수식3)
Figure 112015105197991-pat00003
여기서, Vo2는 제2 전력(V2)의 전압 레벨를 의미한다.
수식2와 수식3을 통해 풀-브리지 스위치를 이용하는 경우 하프-브리지 스위치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해 무선 전력 출력부에 전달되는 전압의 기본파 성분 Vfun이 두 배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하프-브리지 스위치의 입력 전압을 풀-브리지 스위치의 입력 전압보다 두 배 높게 해줄 경우 동일한 기본파 성분 Vfun 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기존 방식과 같이 5V의 출력 전압을 이용해 풀-브리지 스위치를 구동하는 방식과 본 발명과 같이 10V의 출력 전압을 이용해 하프-브리지 스위치를 구동하는 방식을 각각 수식4와 수식5에 나타내면 아래와 같으며 이는 동일한 결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수식4)
Figure 112015105197991-pat00004
(수식5)
Figure 112015105197991-pat00005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스위칭부(231)의 입력 전압을 두 배로 증가시키고 하프-브리지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는 풀-브리지 스위치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서로 동일한 무선 전력 출력부를 사용할 경우 동일한 동작을 보장함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 제2 이차 권선(Ns2) 및 다이오드(D2) 같은 간단한 소자의 추가를 통해 무선 전력 스위칭부(231)의 입력 전압을 종래에 대비하여 두 배로 증가시켜 기존의 풀-브리지 스위치 대신 하프-브리지 스위치를 사용하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는 2개의 FET 및 FET 구동 드라이버의 제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재료비 및 시스템의 구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할 뿐 아니라 기존에 사용되었던 코일 및 캐패시터와 같은 무선 전력 출력부의 구성을 그대로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부품 간의 호환성 측면에서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무선 전력 출력부(232)는 무선 전력 스위칭부(231)에 의해 스위칭된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L)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LC(inductor-Capacitor) 공진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Cr)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스위칭부(231)의 하프 브리지 스위치의 제1 및 제2 스위치는 전력 변환부(210)로부터의 상기 제2 전력을 상보적인 온/오프 스위칭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출력부(232)는 상기 하프 브리지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공진할 수 있으며, 여기서, 공진 주파수는 상기 하프 브리지 스위칭의 스위칭 주파수에 연동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출력부(232)의 캐패시터(Cr)의 일단은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의 연결점에 연결될 수 있고, 캐패시터(Cr)의 타단은 코일(L)에 연결될 수 있다. 코일(L)은 캐패시터(Cr)의 타단과 접지간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전력 공급부(230)는 디모듈레이터(233) 및 무선 전력 컨트롤러(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모듈레이터(233)는 상술한 주파수로 출력되는 무선 전력을 복조하여 전력 상태를 검출할 수 있고, 무선 전력 컨트롤러(234)는 디모듈레이터(233)에 의해 검출된 전력 상태에 따라 무선 전력 스위칭부(231)의 전력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의 개략적이 회로도이다.
도 3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300)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200)에 대비하여 트랜스포머(313)의 제1 및 제2 이차 권선(Ns1,Ns2)의 연결 관계가 상이하다.
이에 따라, 도 3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300)의 전력 변환부(310)의 입력부(311), 전력 스위칭부(312), 트랜스포머(313)의 일차 권선(Np)과, 유선 전력 공급부(320) 및 무선 전력 공급부(330)의 무선 전력 스위칭부(331), 무선 전력 출력부(332), 디모듈레이터(333), 무선 전력 컨트롤러(334)의 구성 및 기능은 도 2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트랜스포머(313)의 제1 이차 권선(Ns1)과 제2 이차 권선(Ns2)은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될 수 있다.
더하여, 도 2에서의 설명과 같이 무선 전력 공급부(330)의 하프 브리지 스위치의 구성으로 풀 브리지 스위치와 동일한 전력을 무선 전력하기 위해, 제2 이차 권선(Ns2)의 권선수는 제1 이차 권선(Ns1)의 권선수보다 2배 많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전력(V2)의 전압 레벨은 제1 전력(V1)의 전압 레벨보다 2배 높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선 방식과 무선 방식으로 복수의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기존의 풀-브리지 스위치 대신 하프-브리지 스위치를 사용하는 구조를 제안하여 2개의 FET 및 FET 구동 드라이버의 제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재료비 및 시스템의 구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할 뿐 아니라 기존에 사용되었던 코일 및 캐패시터와 같은 무선 전력 출력부의 구성을 그대로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부품 간의 호환성 측면에서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200,300: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
110,210,310: 전력 변환부
211,311: 입력부
212,312: 전력 스위칭부
213,313: 트랜스포머
Np: 일차 권선
Ns1: 제1 이차 권선
Ns2: 제2 이차 권선
120,220,320: 유선 전력 공급부
130,230,330: 무선 전력 공급부
231,331: 무선 전력 스위칭부
232,332: 무선 전력 출력부
233,333: 디모듈레이터
234,334: 무선 전력 컨트롤러

Claims (12)

  1. 입력 전력을 서로 전력 레벨이 다른 제1 전력 및 제2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
    상기 제1 전력에 기초하여 제1 출력 전력을 유선 출력하는 유선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제2 전력을 무선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 전력 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변환부는
    정류된 입력 전력을 스위칭하는 전력 스위칭부; 및
    상기 전력 스위칭부로부터 스위칭된 전력을 입력받는 일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과 자기 결합되어 상기 제1전력을 출력하는 제1 이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과 자기 결합하고 상기 제1 이차 권선과 센터탭 연결되어 상기 제1 이차 권선과 함께 상기 제2 전력을 출력하는 제2 이차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
    를 포함하는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공급부는
    상기 제2 전력을 스위칭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갖는 무선 전력 스위칭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LC(inductor-Capacitor) 공진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를 갖는 무선 전력 출력부
    를 포함하는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스위칭부는 하프 브리지(half bridge) 스위치를 갖는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공급부는
    출력되는 무선 전력을 복조하여 전력 상태를 검출하는 디모듈레이터; 및
    상기 디모듈레이터에 의해 검출된 전력 상태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스위칭부의 전력 스위칭을 제어하는 무선 전력 컨트롤러
    를 더 포함하는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제1 전력보다 전압 레벨이 높은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
  7. 입력 전력을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된 제1 전력 및 제2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
    상기 제1 전력에 기초하여 제1 출력 전력을 유선 출력하는 유선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제2 전력을 무선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 전력 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변환부는 정류된 입력 전력을 스위칭하는 전력 스위칭부; 및
    상기 전력 스위칭부로부터 스위칭된 전력을 입력받는 일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과 자기 결합되어 상기 제1전력을 출력하는 제1 이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과 자기 결합하고 상기 제1 이차 권선과 전기적으로 독립되어 상기 제2 전력을 출력하는 제2 이차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
    를 포함하는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공급부는
    상기 제2 전력을 스위칭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갖는 무선 전력 스위칭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LC(inductor-Capacitor) 공진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를 갖는 무선 전력 출력부
    를 포함하는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스위칭부는 하프 브리지(half bridge)를 갖는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공급부는
    출력되는 무선 전력을 복조하여 전력 상태를 검출하는 디모듈레이터; 및
    상기 디모듈레이터에 의해 검출된 전력 상태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스위칭부의 전력 스위칭을 제어하는 무선 전력 컨트롤러
    를 더 포함하는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제1 전력보다 전압 레벨이 높은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
KR1020150150834A 2015-10-29 2015-10-29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 Active KR102483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834A KR102483566B1 (ko) 2015-10-29 2015-10-29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834A KR102483566B1 (ko) 2015-10-29 2015-10-29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918A KR20170049918A (ko) 2017-05-11
KR102483566B1 true KR102483566B1 (ko) 2023-01-02

Family

ID=5874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834A Active KR102483566B1 (ko) 2015-10-29 2015-10-29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5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8179B2 (ja) 2014-04-16 2016-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充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441B1 (ko) * 2011-03-18 2013-02-06 주식회사 만도 배터리 충전 장치
US20130127405A1 (en) 2011-11-17 2013-05-23 Helmut Scherer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48551A (ko) * 2013-10-28 2015-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 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8179B2 (ja) 2014-04-16 2016-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充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918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3061B2 (ja) 給電装置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4135299B2 (ja) 非接触電力伝達装置
US10122212B2 (en) Power supply device
JP6079878B2 (ja) 給電装置、およ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KR102497624B1 (ko) 무선 전력 제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US10938244B2 (en) Bidirectio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9312778B2 (en) Power supply device
KR20140037895A (ko) 무선 수전 장치, 무선 급전 장치 및 무선 급전 시스템, 자동 튜닝 보조 회로
DE60110660D1 (de) Kontaktloses elektrische Leistung übertragendes System mit Konstanthaltefunktion für die Lastspannung
KR20170049510A (ko) 공진 결합형 전력 전송 시스템, 공진형 전력 송신 장치 및 공진형 전력 수신 장치
US20130334893A1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US9876363B2 (en) 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contact/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contact/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CN104953682A (zh) 具有无线充电发射功能与无线充电接收功能的电路及其装置
JP2013198260A (ja) 電力伝送システム
JP6604352B2 (ja) ワイヤレス送電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CN105340154B (zh) 电力传输系统
JP6102242B2 (ja) ワイヤレス給電装置及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
US10069342B2 (en) Power supply apparatus
KR101771793B1 (ko) 전원 공급 장치
KR102483566B1 (ko)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
JP2008104319A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KR101394018B1 (ko) 전력 공급 장치 및 무선전력 송신장치
JP2016092959A (ja) 送電機器及び非接触電力伝送装置
WO2019176358A1 (ja) 受電装置
KR20170125101A (ko) 유도식 전력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07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9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0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