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82847B1 -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847B1
KR102482847B1 KR1020210011507A KR20210011507A KR102482847B1 KR 102482847 B1 KR102482847 B1 KR 102482847B1 KR 1020210011507 A KR1020210011507 A KR 1020210011507A KR 20210011507 A KR20210011507 A KR 20210011507A KR 102482847 B1 KR102482847 B1 KR 102482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pair
climbing
wire
hanging par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8473A (ko
Inventor
강신필
조붕구
Original Assignee
코리아머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머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머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1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847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84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27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on a static support, e.g. cra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45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with booms
    • E04G21/0463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with booms with boom control mechanisms, e.g. to automate concrete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는, 건축공사의 슬래브 구조물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어, 층간의 상부층 및 하부층으로 승강하면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을 이송하는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에 있어서,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이고, 상기 사각 기둥의 서로 마주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의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마주하며 중심축이 상기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평행하고 사각 기둥의 제3 측면 방향에 근접한 한 쌍의 제1 와이어지지롤러 및 상기 사각 기둥의 하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지지롤러와 대칭되게 배치되고 사각 기둥의 제4 측면 방향에 근접한 한 쌍의 제2 와이어지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 각각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승강마스트; 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사각틀 형상의 내면 중 서로 마주하는 제1 내면 및 제2 내면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 및 상기 제1 내면 및 상기 제2 내면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와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와이어걸이부, 및 상기 사각틀 형상의 제3 내면 및 제4 내면에 수직하고 서로 평행하는 2개의 상면에 형성되는 핀 지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와이어걸이부가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 각각의 슬래브의 개구부 둘레에 설치되는 마스트 고정프레임;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의 내면에 상기 승강마스트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클라이밍 실린더 각각의 상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의 내면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 상기 각각의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 상에 안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 각각의 피스톤 로드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 상에서 승강되는 제1 및 제2 이동블록; 양측 끝단이 상기 상층부 상에 설치된 마스트 고정프레임의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 또는 한 쌍의 제2 와이어걸이부에 고정되고 상기 양측 끝단 사이의 가운데 지점은 상기 제1 이동블록 또는 상기 제2 이동블록에 지지되고 상기 가운데 지점 및 상기 양측 끝단 사이의 길이는 상기 하층부에 설치되는 마스트 고정프레임의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 또는 한 쌍의 제2 와이어걸이부에 삽입된 후 상기 제1 와이어지지롤러 또는 상기 제2 와이어지지롤러에 지지되어, W 형상으로 제1 또는 제2 와이어걸이부, 제1 또는 제2 이동블록 및 제1 또는 제2 와이어지지롤러에 엮인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 각각의 피스톤 로드가 상승하면 상기 제1 및 제2 이동블록이 상승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의 가운데 지점을 밀면 상기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가 상기 마스트의 내부로 당겨지면서 상기 마스트가 상승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CLIMBING DEVICE OF CONCRETE PLACING BOOM}
본 발명은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트의 상승 높이가 증가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고층건물 건설공사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Concrete placing Boom)을 사용하여 골조공사를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플레이싱 붐 설치 및 운영은 현장 여건에 따라 코어벽 내부에 클라이밍 장치를 설치 운영하거나, 바닥 슬래브에 개구부 설치 후 운영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방법 중 바닥슬래브의 시공시 사각형상의 개구부를 양생하여 클라이밍 장치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방법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클라이밍 장치를 적용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설치 및 운영은 먼저, 해당 층에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및 클라이밍 장치를 설치하고, 해당 층의 작업이 완료되면 상부층으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을 이송하는 과정이 반복해서 진행되면서 운영될 수 있다.
상기 클라이밍 장치는 마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트의 상단에는 플레이싱 붐이 장착된다.
상기 클라이밍 장치가 상승하는 과정은 마스트의 외부에 설치되는 실린더의 작용으로 상부층으로 상승하고, 고정핀을 이용하여 상승된 외부마스트를 상부층에 고정한다.
그런데, 종래 클라이밍 장치는 마스트를 상승시키는 실린더의 스트로크 길이가 길지 못하고, 이에 따라 마스트의 상승 높이가 짧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646166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스트의 상승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마스트의 좌굴력이 향상되며, 슬래브 구조물의 강도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는, 건축공사의 슬래브 구조물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어, 층간의 상부층 및 하부층으로 승강하면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을 이송하는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에 있어서,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이고, 상기 사각 기둥의 서로 마주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의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마주하며 중심축이 상기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평행하고 사각 기둥의 제3 측면 방향에 근접한 한 쌍의 제1 와이어지지롤러 및 상기 사각 기둥의 하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지지롤러와 대칭되게 배치되고 사각 기둥의 제4 측면 방향에 근접한 한 쌍의 제2 와이어지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 각각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승강마스트; 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사각틀 형상의 내면 중 서로 마주하는 제1 내면 및 제2 내면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 및 상기 제1 내면 및 상기 제2 내면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와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와이어걸이부, 및 상기 사각틀 형상의 제3 내면 및 제4 내면에 수직하고 서로 평행하는 2개의 상면에 형성되는 핀 지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와이어걸이부가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 각각의 슬래브의 개구부 둘레에 설치되는 마스트 고정프레임;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의 내면에 상기 승강마스트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클라이밍 실린더 각각의 상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의 내면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 상기 각각의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 상에 안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 각각의 피스톤 로드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 상에서 승강되는 제1 및 제2 이동블록; 양측 끝단이 상기 상층부 상에 설치된 마스트 고정프레임의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 또는 한 쌍의 제2 와이어걸이부에 고정되고 상기 양측 끝단 사이의 가운데 지점은 상기 제1 이동블록 또는 상기 제2 이동블록에 지지되고 상기 가운데 지점 및 상기 양측 끝단 사이의 길이는 상기 하층부에 설치되는 마스트 고정프레임의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 또는 한 쌍의 제2 와이어걸이부에 삽입된 후 상기 제1 와이어지지롤러 또는 상기 제2 와이어지지롤러에 지지되어, W 형상으로 제1 또는 제2 와이어걸이부, 제1 또는 제2 이동블록 및 제1 또는 제2 와이어지지롤러에 엮인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 각각의 피스톤 로드가 상승하면 상기 제1 및 제2 이동블록이 상승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의 가운데 지점을 밀면 상기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가 상기 마스트의 내부로 당겨지면서 상기 마스트가 상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마스트는 상기 제3 측면 및 제4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오목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콘크리트이송파이프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이송파이프 안착홈의 내측에는 상기 마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콘크리트이송파이프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 각각의 양측 단부에 근접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 각각에 장착되는 T자형 안전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의 상승 길이가 길어서 승강마스트의 상승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승강마스트의 상승 길이가 증가되더라도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가 승강마스트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있고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 각각의 신장되는 제1 및 제2 피스톤 로드 각각이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및 제2 이동블록 각각에 연결된 상태로 신장되는 구조에 의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승강마스터가 높이 상승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승강마스트는 내측으로 오목한 콘크리트이송파이프 안착홈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승강마스트의 일측이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에 의해 승강마스트의 좌굴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이송파이프 안착홈이 콘크리트이송파이프를 수용하므로 콘크리트이송파이프가 승강마스트로부터 돌출되는 거리를 감소시키며, 상기 콘크리트이송파이프를 수용하기 위해 슬래브 구조물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형성되는 파이프수용구멍의 크기가 감소되어서 슬래브 구조물의 강도가 개선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승강마스트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승강마스트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는 건축공사의 슬래브 구조물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어, 층간의 상부층 및 하부층으로 승강하면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을 이송하는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승강마스트(110), 마스트 고정프레임(120),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131, 132),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141, 142), 제1 및 제2 이동블록(151, 152),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마스트(110)는 상기 상부층(10) 및 상기 하부층(20) 각각의 개구부(30)에 삽입된다. 승강마스트(110)는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일 수 있고, 중공의 사각 기둥의 제1 측면(110a) 및 제2 측면(110b)에 수직한 제3 측면(110c) 및 제4 측면(110d)에는 핀 결합구멍(110e)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핀 결합구멍(110e)은 승강마스트(1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 구비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승강마스트(110)의 일면에는 콘크리트이송파이프(40)가 승강마스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슬래브 구조물의 개구부(30)는 콘크리트이송파이프(40)를 수용하는 파이프수용구멍(31)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마스트(110)는 한 쌍의 제1 와이어지지롤러(111) 및 한 쌍의 제2 와이어지지롤러(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와이어지지롤러(111)는 승강마스트(110)의 사각 기둥의 서로 마주하는 제1 측면(110a) 및 제2 측면(110b)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중심축이 제1 측면(110a) 및 제2 측면(110b)의 폭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1 측면(110a) 및 제2 측면(110b)에 수직한 제3 측면(110c) 방향에 근접하게 위치한다.
한 쌍의 제2 와이어지지롤러(112)는 승강마스트(110)의 사각 기둥의 하단부에서 한 쌍의 제1 와이어지지롤러(111)와 대칭되게 배치되고, 사각 기둥의 제4 측면(110d) 방향에 근접하게 위치하며, 설치 구조는 한 쌍의 제1 와이어지지롤러(111)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마스트 고정프레임(120)은 상기 상부층(10) 및 상기 하부층(20) 각각의 슬래브의 개구부(30)에서 사각틀 형상을 이루어서 상기 승강마스트(110)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마스트 고정프레임(120)은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121) 및 한 쌍의 제2 와이어걸이부(122), 및 핀 지지홈(12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121)는 사각틀 형상의 내면 중 서로 마주하는 제1 내면(120a) 및 제2 내면(120b)으로부터 돌출되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3 내면(120c) 방향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와이어걸이부(122)는 사각틀 형상의 내면 중 서로 마주하는 제1 내면(120a) 및 제2 내면(120b)으로부터 돌출되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4 내면(120d) 방향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걸이부(121, 122)는 원형 고리 형상일 수 있고, 마스트 고정프레임(120)이 상부층(10) 및 하부층(20) 각각의 슬래브의 개구부(30) 둘레에 승강마스트(110)를 감싸도록 설치될 때 상기 제1 내면(120a)은 상기 승강마스트(110)의 제1 측면(110a)에 마주하고 상기 제2 내면(120b)은 상기 승강마스트(110)의 제2 측면(110b)에 마주하며,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121) 및 상기 한 쌍의 제2 와이어걸이부(122)는 상기 승강마스트(110)의 제1 측면(110a) 및 제2 측면(110b)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핀 지지홈(123)은 상기 사각틀 형상에서 서로 평행하고 상기 핀 결합구멍(110e)이 형성된 상기 승강마스트(110)의 제3 측면(110c) 및 제4 측면(110d)에 평행한 2개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트 고정프레임(120)은 평면 형상이 ㄷ자형인 2개의 프레임으로 분할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각각의 ㄷ자형 프레임이 서로 조립되어 사각틀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클라이밍 실린더(131)는 상기 승강마스트(110)의 제3 측면(110c) 및 제4 측면(110d)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상기 제3 측면(110c)의 내면에 상기 승강마스트(11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클라이밍 실린더(131)는 제1 피스톤 로드(1311)를 포함한다.
제2 클라이밍 실린더(132)는 상기 승강마스트(110)의 제3 측면(110c) 및 제4 측면(110d)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상기 제4 측면(110d)의 내면에 상기 승강마스트(11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클라이밍 실린더(132)는 제2 피스톤 로드(1321)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131, 132)는 제1 및 제2 피스톤 로드(1321)가 신장되는 길이가 3100mm일 수 있다.
제1 가이드레일(141)은 제1 클라이밍 실린더(131)의 상부에서 제1 클라이밍 실린더(131)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마스트(110)의 제3 측면(110c)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레일(142)은 제2 클라이밍 실린더(132)의 상부에서 제2 클라이밍 실린더(132)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마스트(110)의 제4 측면(110d)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이동블록(151)은 제1 가이드레일(141) 상에 안착되고, 제1 클라이밍 실린더(131)의 제1 피스톤 로드(1311)의 단부와 연결되어 제1 클라이밍 실린더(131)의 신축에 의해 제1 가이드레일(141) 상에서 승강될 수 있다.
제2 이동블록(152)은 제2 가이드레일(142) 상에 안착되고, 제2 클라이밍 실린더(132)의 제2 피스톤 로드(1321)의 단부와 연결되어 제2 클라이밍 실린더(132)의 신축에 의해 제2 가이드레일(142) 상에서 승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는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131, 132)와 함께 승강마스트(11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제1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는, 양측 끝단이 상기 상부층(10) 상에 설치된 마스트 고정프레임(120)의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121)에 고정되고 상기 양측 끝단 사이의 가운데 지점은 상기 제1 이동블록(151)에 지지되고 상기 가운데 지점 및 상기 양측 끝단 사이의 길이는 상기 하부층(20)에 설치되는 마스트 고정프레임(120)의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121)에 삽입된 후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지지롤러(111)에 지지되어, W 형상으로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121), 제1 이동블록(151) 및 한 쌍의 제1 와이어지지롤러(111)에 엮인다.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2)는 제1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와 같이 W 형상으로 한 쌍의 제2 와이어걸이부(122), 제2 이동블록(152) 및 한 쌍의 제2 와이어지지롤러(112)에 엮인다.
한편, 상기 마스트(110)는 제1 측면(110a) 및 제2 측면(110b)에 수직한 제3 측면(110c) 및 제4 측면(110d) 중 어느 하나의 측면, 예를 들어, 제3 측면(110c)에 오목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콘크리트이송파이프 안착홈(113)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콘크리트이송파이프 안착홈(113)의 내측에는 상기 승강마스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콘크리이송파이프(40)가 수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가 승강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승강마스트(110)는 상부층(10) 및 하부층(20) 각각의 개구부(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마스트(110)의 제3 측면(110c) 및 제4 측면(110d)에 형성된 핀 결합구멍(110e)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고정핀(50)이 하부층(20)에 위치한 마스트 고정프레임(120) 상의 핀 지지홈(123) 상에 지지되어 승강마스트(110)가 하부층(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층(20)에서의 콘크리트 공급이 필요한 작업이 완료되면 승강마스트(110)를 상부층(10)에 고정하기 위해 상승시킨다.
승강마스트(110)가 상승되기 위해, 상기 고정핀(50)을 분리한 후,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131, 132) 각각의 제1 피스톤 로드(1311) 및 제2 피스톤 로드(1321)를 상승시킨다. 이때, 각각의 제1 피스톤 로드(1311) 및 제2 피스톤 로드(1321)에 연결된 제1 이동블록(151) 및 제2 이동블록(152)은 각각 제1 가이드레일(141) 및 제2 가이드레일(142)을 따라 이동한다.
제1 이동블록(151) 및 제2 이동블록(152)이 상승하면서 제1 이동블록(151) 및 제2 이동블록(152) 각각에 연결된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의 가운데 지점을 밀게되고, 이에 의해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가 승강마스트(110)의 내부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 각각의 양측 끝단과 가운데 지점 사이의 길이는 승강마스트(110)의 하단부에 구비된 제1 및 제2 와이어걸이부(121, 122) 각각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의 가운데 지점이 상승하여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가 승강마스트(110)의 내부로 당겨지면 승강마스트(110)의 하단부를 끌어 올리게 되고, 이에 의해 도 3과 같이 승강마스트(110)는 상승하게 된다.
승강마스트(110)가 상승하면 승강마스트(110)의 서로 마주하는 핀 결합구멍(110e)들에 고정핀(50)을 삽입하여 결합한 후 상기 고정핀(50)을 상부층(10)에 상부층(10)에 위치한 마스트 고정프레임(120)에 형성된 핀 지지홈(123)에 지지하여 승강마스트(110)를 상부층(10)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상부층(10)에서의 작업이 완료되어 승강마스트(110)를 더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승된 제1 피스톤 로드(1311) 및 제2 피스톤 로드(1321)를 하강시킨 후, 상기 상부층(10)에 위치한 마스트 고정프레임(120)의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121) 및 한 쌍의 제2 와이어걸이부(122) 각각에 고정된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 각각의 양측 단부를 분리한 후 상기 상부층(10)보다 높은 층에 위치한 마스트 고정프레임의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 및 한 쌍의 제2 와이어걸이부에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 각각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승강마스트(11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는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131, 132)의 상승 길이가 길어서 승강마스트(110)의 상승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승강마스트(110)의 상승 길이가 증가되더라도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가 승강마스트(110)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있고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131, 132) 각각의 신장되는 제1 및 제2 피스톤 로드(1321) 각각이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141, 142)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및 제2 이동블록(151, 152) 각각에 연결된 상태로 신장되는 구조에 의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승강마스트(110)가 높이 상승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승강마스트(110)는 내측으로 오목한 콘크리트이송파이프 안착홈(113)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승강마스트(110)의 일측이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에 의해 승강마스트(110)의 좌굴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이송파이프 안착홈(113)이 콘크리트이송파이프(40)를 수용하므로 콘크리트이송파이프(40)가 승강마스트(110)로부터 돌출되는 거리를 감소시키며, 상기 콘크리트이송파이프(40)를 수용하기 위해 슬래브 구조물에 형성되는 개구부(30)에 형성되는 파이프수용구멍(31)의 크기가 감소되어서 슬래브 구조물의 강도가 개선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 각각의 양측 단부에 근접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 각각에 장착되는 T자형 안전스토퍼(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자형 안전스토퍼(170)는 T자형 관 형태로 구비되어 T자 형상의 수직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 각각이 관통되는 형태로 각각의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에 고정될 수 있고, T자 형상의 수평방향의 길이는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121) 및 한 쌍의 제2 와이어걸이부(122)의 직경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T자형 안전스토퍼(170)는 승강마스트(110)를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 각각의 양측 단부가 상부층(10)에 위치하는 마스트 고정프레임(120)의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121) 및 한 쌍의 제2 와이어걸이부(122)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 각각의 양측 단부가 하부층(20) 방향으로 낙하할 때 하부층(20)에 위치하는 마스트 고정프레임(120)의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121) 및 한 쌍의 제2 와이어걸이부(122)에 T자형 안전스토퍼(170)의 수평방향이 지지되어,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 각각의 양측 단부의 분리에 의한 승강마스트(110)의 낙하가 멈추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의 마스트 고정프레임(120)의 외면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프로파놀아민 10중량%, 인디아졸 20중량%, 하프늄 25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티타늄(TiO2) 15중량%, 프로피온아미드 20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10㎛로 형성할 수 있다.
프로파놀아민, 인디아졸, 프로피온아미드는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티타늅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의 제1 가이드레일(141) 및 제2 가이드레일(142)의 표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소듐설페이트 및 알킬 글리콜에테르가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소듐설페이트와 알킬 글리콜에테르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소듐설페이트와 알킬 글리콜에테르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1 가이드레일(141) 및 제2 가이드레일(142) 상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 후에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소듐설페이트 및 알킬 글리콜에테르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제1 가이드레일(141) 및 제2 가이드레일(142) 상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제1 가이드레일(141) 및 제2 가이드레일(142)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동핸들(140)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5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 ~ 19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5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소듐설페이트 0.1 몰 및 알킬 글리콜에테르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의 하면에는 고무재질의 진동흡수부(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흡수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진동흡수부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50중량%, 유기산 코발트염 5중량%, 나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 8중량%, 디부틸프탈레이트 20중량%, 3C(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11중량%, 유황 6중량%를 혼합한다.
디부티프탈레이트는 내마모성, 열전도성 등을 증대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유기산 코발트염과 나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는 접착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는 산화방지제로 첨가되며, 유항은 촉진제 등의 역할을 위해 첨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동흡수부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진동흡수부의 수명이 증대된다.
고무재질 구성 물질 및 구성 성분을 한정하고 혼합 비율의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 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구성 성분 및 수치 한정 비율에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승강마스트 120 : 마스트 고정프레임
131 : 제1 클라이밍 실린더 132 : 제2 클라이밍 실린더
141 : 제1 가이드레일 142 : 제2 가이드레일
151 : 제1 이동블록 152 : 제2 이동블록
161 : 제1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
162 :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

Claims (3)

  1. 건축공사의 슬래브 구조물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어, 층간의 상부층 및 하부층으로 승강하면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을 이송하는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에 있어서,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이고, 상기 사각 기둥의 서로 마주하는 제1 측면(110a) 및 제2 측면(110b)의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마주하며 중심축이 상기 제1 측면(110a) 및 제2 측면(110b)과 평행하고 사각 기둥의 제3 측면(110c) 방향에 근접한 한 쌍의 제1 와이어지지롤러(111) 및 상기 사각 기둥의 하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지지롤러(111)와 대칭되게 배치되고 사각 기둥의 제4 측면(110d) 방향에 근접한 한 쌍의 제2 와이어지지롤러(112)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층(10) 및 상기 하부층(20) 각각의 개구부(30)에 삽입되는 승강마스트(110);
    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사각틀 형상의 내면 중 서로 마주하는 제1 내면 및 제2 내면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121) 및 상기 제1 내면(120a) 및 상기 제2 내면(120b)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121)와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와이어걸이부(122), 및 상기 사각틀 형상의 제3 내면(120c) 및 제4 내면(120d)에 수직하고 서로 평행하는 2개의 상면에 형성되는 핀 지지홈(123)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121) 및 상기 한 쌍의 제2 와이어걸이부(122)가 상기 제1 측면(110a) 및 상기 제2 측면(110b)을 향하도록 상기 상부층(10) 및 상기 하부층(20) 각각의 슬래브의 개구부(30) 둘레에 설치되는 마스트 고정프레임(120);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의 내면에 상기 승강마스트(11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131, 132);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클라이밍 실린더(132) 각각의 상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131, 132)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3 측면(110c) 및 상기 제4 측면(110d)의 내면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141, 142);
    상기 각각의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141, 142) 상에 안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131, 132) 각각의 피스톤 로드(1311, 1321)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131, 132)의 신축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141, 142) 상에서 승강되는 제1 및 제2 이동블록(151, 152); 및
    양측 끝단이 상기 상부층(10) 상에 설치된 마스트 고정프레임(120)의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121) 또는 한 쌍의 제2 와이어걸이부(122)에 고정되고 상기 양측 끝단 사이의 가운데 지점은 상기 제1 이동블록(151) 또는 상기 제2 이동블록(152)에 지지되고 상기 가운데 지점 및 상기 양측 끝단 사이의 길이는 상기 하부층(20)에 설치되는 마스트 고정프레임(120)의 한 쌍의 제1 와이어걸이부(121) 또는 한 쌍의 제2 와이어걸이부(122)에 삽입된 후 상기 제1 와이어지지롤러(111) 또는 상기 제2 와이어지지롤러(112)에 지지되어, W 형상으로 제1 또는 제2 와이어걸이부(122), 제1 또는 제2 이동블록(152) 및 제1 또는 제2 와이어지지롤러(112)에 엮인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밍 실린더(131, 132) 각각의 피스톤 로드(1311, 1321)가 상승하면 상기 제1 및 제2 이동블록(151, 152)이 상승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의 가운데 지점을 밀면 상기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가 상기 승강 마스트(110)의 내부로 당겨지면서 상기 승강 마스트(110)가 상승하고;
    상기 승강마스트(110)는 상기 제3 측면 및 제4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오목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콘크리트이송파이프 안착홈(113)을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이송파이프 안착홈(113)의 내측에는 상기 승강 마스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콘크리트이송파이프(40)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 각각의 양측 단부에 근접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마스트 클라이밍 와이어(161, 162) 각각에 장착되는 T자형 안전스토퍼(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
KR1020210011507A 2021-01-27 2021-01-27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 Active KR102482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507A KR102482847B1 (ko) 2021-01-27 2021-01-27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507A KR102482847B1 (ko) 2021-01-27 2021-01-27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473A KR20220108473A (ko) 2022-08-03
KR102482847B1 true KR102482847B1 (ko) 2022-12-29

Family

ID=82847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507A Active KR102482847B1 (ko) 2021-01-27 2021-01-27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8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187456B (zh) * 2024-05-15 2024-08-20 山西八建集团有限公司 一种高空狭小空间内混凝土浇筑输送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918B1 (ko) * 2005-04-12 2006-10-12 이병렬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
CN101566009A (zh) * 2009-05-11 2009-10-28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壁挂式布料杆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166B1 (ko) 2005-03-11 2006-11-14 강봉조 건축공사용 플레이싱 붐의 크라이밍 장치
DE102006040092A1 (de) * 2006-08-28 2008-03-06 Putzmeister Ag Anordnung zum Fördern von Beton mit höhenverstellbarem Betonverteilermas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918B1 (ko) * 2005-04-12 2006-10-12 이병렬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
CN101566009A (zh) * 2009-05-11 2009-10-28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壁挂式布料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473A (ko)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929056Y (zh) 液压驱动自动爬升模板
KR102482847B1 (ko)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
CN106672821B (zh) 具有爬带自提功能的塔机爬升系统
CN101462672A (zh) 大起重量及大起升高度吊装起重机
CN108118620B (zh) 用于桥塔施工的整体自爬式集成平台及其施工方法
CN107090968A (zh) 集成式附着升降脚手架及其升降方法
CN109835826B (zh) 一种自爬式重型提升机
CN114803882A (zh) 自爬升起重机
CN213654185U (zh) 电梯井操作平台结构
CN202380721U (zh) 液压自升爬模系统
CN106121213B (zh) 超高层全钢爬升外架多次变截面提升装置和施工方法
CN203767802U (zh) 电梯安装专用设备
CN206255738U (zh) 平步楼梯及楼房建筑
CN106193586A (zh) 电梯井可伸缩折叠式整体提升筒模
CN211871228U (zh) 一种塔机内爬机
CN216108092U (zh) 一种建筑墩柱钢筋模板安装的施工系统
CN217627175U (zh) 钢筋笼吊装工装
CN103879860A (zh) 电梯安装专用设备
CN214941062U (zh) 一种空腹钢连廊分层逆序提升的结构
CN204850435U (zh) 应用顶模体系的箱梁提升防坠装置
CN109057319A (zh) 一种圆筒式结构内部满堂落地式脚手架
CN211621249U (zh) 一种箱型梁波腹板的吊装装置
CN211173125U (zh) 一种造楼机的空中悬臂装置
CN207633735U (zh) 采光顶塔式软平台
CN110980549A (zh) 一种塔机内爬机及其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