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69315B1 -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315B1
KR102469315B1 KR1020200129488A KR20200129488A KR102469315B1 KR 102469315 B1 KR102469315 B1 KR 102469315B1 KR 1020200129488 A KR1020200129488 A KR 1020200129488A KR 20200129488 A KR20200129488 A KR 20200129488A KR 102469315 B1 KR102469315 B1 KR 102469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pc
cypress
extract
solution
aqueous solu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6273A (ko
Inventor
박화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메디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메디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메디솔
Priority to KR1020200129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315B1/ko
Priority to PCT/KR2021/011643 priority patent/WO2022075594A1/ko
Publication of KR20220046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3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제수 및 메틸아크릴로일옥시에틸 포스포릴콜린(MPC)을 포함하며, 천연물질을 함유하여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Hand sanitizer based on biocompatible MPC polym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천연추출물을 함유한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에는 존재하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인체에 다양한 면역질환의 문제를 일으킨다. 보통 세균은 상재성세균(resident bacteria)과 비상재성세균(transientbacteria)이 존재하며, 상재성미생물의 90% 정도가 그람 음성(Staphylococci)로서 식중독을 일으킨다.
또한 바이러스의 경우, 손을 거쳐 비강을 통해 감염되며 남녀노소 가릴 것없이 면역성이 결핍된 사람에게 발열, 구토, 설사 및 기침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피부표면에서 오랜 시간 동안 살아남으며, 손에서는 최대 4시간까지도 생존하므로 접촉 등에 의하여 바이러스 감염이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손에 상재하여 전파되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여 세균성 또는 바이러스성 질환을 막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손소독제가 중요하다. 현재는 전세계적인 전염병의 유행으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개인 손소독제들이 판매되고 있다.
손소독제는 일반적으로 알코올이 60% 이상 함유되어 제조되며, 이는 자극적인 향으로 인해 소비자의 기호도를 저하시키는 원인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소방법에 저촉되므로 알콜농도를 60% 이하로 조정하여 손소독제를 제조할 필요성이 있으나 알콜농도 저하에 따른 항균력의 저하로, 이를 보완 및 증진시키기 위한 손소독제의 대체물질이나 제조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선행기술은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활성 및 알코올소취용 손소독제 조성물(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0992호)로서, 상기 선행기술은 가시오가피, 황백, 정향 및 황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천연물질 추출물은 각 천연물질을, 천연물질 부피의 5~10배 알코올에 첨가하고 20~28시간 정치한 후, 여과및 감압농축하여 얻어지며, 사용자에게 항균활성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구체적인 구성과 그 제조방법이 본 발명과 다르며, 일 실시예로 제조하여 종래의 손세정제에 따라 제조된 세정제들과 비교하면, 여전히 향이 자극적이며, 항균활성 효과가 우수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0992호: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활성 및 알코올소취용 손소독제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천연물질을 함유하여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는 정제수 및 메틸아크릴로일옥시에틸 포스포릴콜린(MPC) 을 포함한다.
상기 MPC는 용매에 MPC가 혼합된 MPC수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MPC수용액을 상기 정제수에 혼합하여 첨가하되, 상기 MPC수용액은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편백추출오일상의 용액과 MPC 및 수용성가교제가 용해된 정제수가 혼합되며, 상기 MPC수용액은 세균의 증식을 방지하는 천연항균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천연항균제는 상기 편백추출오일의 제조과정에서 생성된 편백추출수에 우엉을 침지 및 가열하여 우엉추출물을 추출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천연항균제는 상기 편백추출오일의 제조과정에서 생성된 편백추출수에 남천(Nandina domestica Thunb)을 더해 침지 및 가열하여 남천추출물을 추출함으로써 제조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제조방법은 편백나무에서 편백추출수와 편백추출오일을 추출하는 편백나무 추출물 추출단계,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 추출단계후, MPC수용액을 제조하는 MPC수용액 제조단계, 상기 MPC 수용액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혼합용액 제조단계, 상기 제조된 혼합용액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첨가제 첨가단계 및 상기 첨가제가 첨가된 혼합용액을 여과하는 여과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 추출단계는 상기 편백나무에 용매를 가하여 가열하고, 상기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를 냉각하여 각각 편백추출수와 편백추출오일로 분리한다.
상기 MPC수용액 제조단계는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편백추출오일에 계면활성제를 용해시켜 편백추출오일상의 용액을 제조하는 편백추출오일상 용액 제조단계, 상기 MPC와 수용성 가교제를 정제수에 용해시켜 MPC용액을 제조하는 MPC용액 제조단계 및 상기 MPC수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편백추출오일상 용액과 MPC용액을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MPC용액 제조단계는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편백추출수에 혼합용매를 가하고 우엉을 침지 및 가열하여 우엉추출물을 추출함으로써 제조된 천연항균제를 혼합하는 천연항균제 혼합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천연항균제 혼합단계에서는 상기 우엉이 침지된 편백추출수에 남천을 더해 침지 및 가열함으로서 남천추출물을 추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은
천연물질인 편백나무 추출물, 우엉 추출물 및 남천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제조방법의 MPC용액 제조단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제조방법의 천연항균제 혼합단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는 정제수, 메틸아크릴로일옥시에틸 포스포릴콜린(Methacryloyl phosphoryl choline, MPC)을 포함한다.
상기 정제수는 본 발명의 부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용제로서 최종 제품에서의 멸균이나 항균 상태 유지에 효과적인 멸균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PC는 메틸아크릴로일옥시에틸 포스포릴콜린(Methacryloyl phosphoryl choline)로서, 메타크릴레이트기(Methacrylate)와 포스포릴콜린기(Phosphorylcholine)가 결합된 물질로서, 인체세포막과 동일구조식을 가지며 신체 신체적합성, 친수성을 가지는 물질이다. 본 발명에서는 보습제로서, 피부표면 에 윤활성을 제공한다.
상기 MPC는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7 내지 1.2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0.7 이하로 혼합될 경우 피부 보습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1.2 이상으로 혼합될 경우 하기에서 설명한 MPC수용액의 점도가 높아질 우려가 있다.
상기 MPC는 용매에 MPC가 혼합된 수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MPC수용액을 상기 정제수에 혼합하여 첨가하며, 이때 상기 MPC수용액은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편백추출오일상의 용액과, MPC 및 수용성가교제가 용해된 정제수가 혼합된다.
따라서, MPC수용액내에서 수용성가교제와 MPC에 의해 구형의 MPC 하이드로겔 입자가 분산 형성되어 종래의 기술로서 단순히 MPC를 첨가하는 것과 달리 수분감이 증대되어 윤활성이 향상된다.
상기 MPC수용액은 세균의 증식을 방지하는 천연항균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천연항균제는 상기 편백추출오일의 제조과정에서 생성된 편백추출수에 우엉을 침지 및 가열하여 우엉추출물을 추출함으로서 제조된다.
상기 편백추출수는 항생내성 균주의 생장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우엉추출물은 박테리아로서 그람 양성세균인 포도상규균을 억제하고, pH의 산성조건에서도 항세균 활성이 유지되는 천연물질로서 각각 종래의 화학성 화합물로서 독성을 지니며 인체의 안전을 장담할 수 없었던 항균제들을 대체한다.
또한, 상기 천연항균제는 우엉이 침지된 편백추출수에 남천(Nandina domestica Thunb)을 더해 침지 및 가열함으로서 남천추출물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남천은 남천죽엽이라고 하며, 백일해, 혈뇨, 타박상을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겨울철에는 푸른색 잎은 빨간색으로 변하고 봄에 되며 다시 푸른색으로 변한다. 남천의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050~100cm 정도로 10월 달에 익으며홍색으로 바뀐다. 남천 열매는 민간에서 남천실(南天實) 또는 남천(南天), 남천죽자(南天竹子)이라고 하며 약재로서 사용되며, 명목, 지해, 청간의 효능을 가지고 있고, 진해약으로 염폐, 해수, 일본에서 만성 기침, 매독, 자궁출혈, 천식, 백일해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항알레르기 활성을 갖으므로 알레르기균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제조방법은 편백나무 추출물 추출단계(S100), MPC수용액 제조단계(S200), 혼합용액 제조단계(S300), 첨가제 첨가단계(S400) 및 여과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 추출단계(S100)에서는 편백나무와 편백오일을 추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편백나무에 용매를 가하여 가열하고, 상기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를 냉각하여 각각 편백추출수와 편백추출오일로 분리한다.
상기 MPC수용액 제조단계(S200)에서는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 추출단계(S100)후 MPC 수용액을 제조하는 것으로 편백추출오일상 용액 제조단계(S210), MPC용액 제조단계(S220), 혼합단계(S230) 및 살균제 첨가단계(S240)를 포함한다.
상기 편백추출오일상 용액 제조단계(S210)에서는 편백추출오일에 계면활성제를 용해시켜 편백추출오일상의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세틸 PEG/PPG-10/1 디메치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ABIL EM-90)),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Sorbitan sesquioleate (ARLACEL 83)),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폴리하이드록시 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polyhydroxy stearate (ARLACEL P135))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MPC용액 제조단계(S220)에서는 MPC와 수용성 가교제를 정제수에 용해시켜 MPC용액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MPC와 수용성 가교제는 1:9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가교제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propylene glycol diacrylate, PPG-DA)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MPC용액 제조단계(S220)는 천연항균제 혼합단계(S22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천연항균제 혼합단계(221)는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 추출단계(S100)에서 추출된 편백추출수에 혼합용매를 가하고 우엉을 침지 및 가열하여 우엉추출물을 추출함으로서 제조된 천연항균제를 상기 MPC용액에 혼합한다.
상기 천연항균제 혼합단계(S221)는 우엉 세척 및 절단단계(S222), 우엉 건조단계(S223), 우엉 덖음단계(S224), 침지단계(S225), 염기 첨가단계(S226), 혼합용매 첨가단계(S227), 가열단계(S228) 및 MPC용액 혼합단계(S229)를 포함한다.
상기 우엉 세척 및 절단단계(S222)에서는 우엉의 잎과 줄기를 1:3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세척하여 0.1mm ~ 20.0mm 범위 내의 크기로 절단한다. 상기 우엉 건조단계(S223)에서는 70 ~ 80℃의 범위 내의 온도를 가진 열풍으로 건조한다.
상기 우엉 덖음단계(S224)에서는 상기 건조된 우엉을 진공상태에서 20 ~ 30분동안 연기가 나도록 덖음한다. 상기 침지단계(S225)에서는 상기 편백나무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편백추출수에 덖음된 우엉을 침지시킨다. 이때, 상기 편백추출수에 남천을 더해 침지시킬 수 있다. 상기 남천은 여러 부위를 침지시킬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남천의 잎, 줄기 및 열매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부위를 침지시킨다.
상기 염기 첨가단계(S226)에서는 상기 편백추출수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염기 0.1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한다. 상기 염기는 수산화나트륨(NaOH) 또는 수산화칼륨(KOH)일 수 있다.
상기 염기는 우엉에서 항균물질인 플라보노이드의 추출 수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범위 미만이면 추출 수율이 증가되는 정도가 미미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며, 항균에 유효한 물질이 가수분해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혼합용매 첨가단계(S227)에서는 우엉 또는 우엉과 남천이 침지된 편백나무 추출수에 혼합용매를 첨가한다. 상기 혼합용매는 정제수, 탄소수, 및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을 혼합한 것이다.
상기 가열단계(S228)에서는 혼합용매 첨가단계(S227)에서 우엉 또는 우엉과 남천이 침지된 편백나무 추출수를 가열하며, 100 ~ 150℃ 범위 내의 온도로 가열하여 최종적으로 천연항균제가 제조된다.
상기 MPC용액 혼합단계(S229)에서는 상기 가열단계(S228)에서 가열하여 제조된 천연항균제를 상기 MPC용액에 혼합한다.
상기 혼합단계(S230)에서는 상기 편백추출오일상 용액과 상기 MPC용액을 혼합하여 MPC수용액을 제조하며, 이때, 상기 편백추출오일상 용액과 상기 MPC용액은 중량기준 1:1 ~ 8:3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균제 첨가단계(S240)에서는 상기 MPC수용액에 미생물, 박테리아 및 유기물들을 살균하는 살균제를 첨가한다. 상기 살균제는 이산화규소, 이산화티탄 및 나노은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혼합용액 제조단계(S300)에서는 상기 MPC 수용액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부피의 다수를 차지하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MPC가 0.7 내지 1.2중량이 되도록 상기 MPC 수용액을 소량 첨가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첨가제 첨가단계(S400)에서는 상기 혼합용액에 첨가제를 첨가한다. 상기 첨가제는 등장화제, 부형제, 안정화제, 완충제, 용제, 점도조절제 및 pH조절제중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여과단계(S500)에서는 혼합용액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여과하며, 최종적으로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가 제조된다.
실시예 1: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실시예 1은 정제수에 메틸아크릴로일옥시에틸 포스포릴콜린(MPC)을 혼합시킨다. 이때, 상기 MPC는 용매에 MPC가 혼합된 MPC수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MPC수용액을 상기 정제수에 혼합시켜 첨가하되, 상기 MPC수용액은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편백추출오일상의 용액과 MPC 및 수용성가교제가 용해된 정제수가 혼합된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를 제조했다.
실시예 2: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2
실시예 2는 상기 실시예 1의 MPC수용액에 세균의 증식을 방지하는 천연항균제를 더 포함시키고, 상기 천연항균제는 상기 편백추출오일의 제조과정에서 생성된 편백추출수에 우엉과 남천을 침지 및 가열하여 우엉추출물과 남천추출물이 추출된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를 제조했다.
비교예 1: 손소독제-1
비교예 1은 종래기술의 손소독제로서 연잎추출물, 정제수, 알코올 및 첨가제가 혼합된 손소독제를 제조했다.
비교예 2: 손소독제-2
비교예 2는 종래기술의 손소독제로서 에탄올, 시트러스 추출물, 매실 추출물, 탱자 추출물 및 첨가제가 혼합된 손소독제를 제조했다.
비교예 3: 손소독제-3
비교예 3은 종래기술의 손소독제로서 가시오가피, 정향, 황련, 에탄올 및 첨가제가 혼합된 손소독제를 제조했다.
시험예 1: 항미생물 활성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3의 항미생물 활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샘플에 유기체를 접종하여 기간 경과에 따른 항미생물 활성을 시험하였다. 시험결과는 하기 표 1 내지 5에 나타내었다.
사용 유기체: Escherichia coli(에셔리키아 콜리), 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황색포도상규균), Pseudomonas aeruginosa(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Candida Albicans(칸디다 알비칸스), Aspergillus niger(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
실시예 1
유기체(미생물) 생존능력(cfu/ml)
1 day 7 day 14 day 28 day
Escherichia coli 0 0 0 0
Staphylococcus aureus  0 0 0 0
Pseudomonas aeruginosa 0.2 x 102 0 0 0
Candida Albicans 0.2 x 102 0 0 0
Aspergillus niger 0.2 x 102 0.2 x 102 0 0
실시예 2
유기체(미생물) 생존능력(cfu/ml)
1 day 7 day 14 day 28 day
Escherichia coli 0 0 0 0
Staphylococcus aureus  0 0 0 0
Pseudomonas aeruginosa 0 0 0 0
Candida Albicans 0 0 0 0
Aspergillus niger 0.1 x 102 0.2 x 102 0 0
비교예 1
유기체(미생물) 생존능력(cfu/ml)
1 day 7 day 14 day 28 day
Escherichia coli 0 0 0 0
Staphylococcus aureus  0.5 x 102 0 0 0
Pseudomonas aeruginosa 0.8 x 102 0 0 0
Candida Albicans 0.4 x 102 0.8 x 102 0 0
Aspergillus niger 0.2 x 102 0.2 x 102 0 0
비교예 2
유기체(미생물) 생존능력(cfu/ml)
1 day 7 day 14 day 28 day
Escherichia coli 0 0 0 0
Staphylococcus aureus  0.2 x 102 0 0 0
Pseudomonas aeruginosa 0.4 x 102 0.2 x 102 0 0
Candida Albicans 0.4 x 102 0.1 x 102 0 0
Aspergillus niger 0.6 x 102 0.2 x 102 0 0
비교예 3
유기체(미생물) 생존능력(cfu/ml)
1 day 7 day 14 day 28 day
Escherichia coli 0 0 0 0
Staphylococcus aureus  0.4 x 102 0 0 0
Pseudomonas aeruginosa 0.4 x 102 0.8 x 102 0 0
Candida Albicans 0.2 x 102 0.7 x 102 0 0
Aspergillus niger 0.2 x 102 0.2 x 102 0 0
상기 표 1 내지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는 비교예 1 내지 3보다 우수한 항미생물 활성을 나타낸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천연물질들이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항미생물 활성이 우수한 것을 입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시험예 2: 저장 안정성 시험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3을 HDPE 재질의 병에 넣고 밀봉시킨 후 온도 40℃ 상대습도 75%의 항온항습기에 보관하면서 8주 동안 불순물의 생성정도를 비교하였다. 이때 불순물의 함량 측정은 각 소독제에 메탄올 0.0375mol/L 1-데칸설폰산나트륨용액·과염소산 (600 : 400 : 1) 혼합액에 넣고 초음파 처리를 통해 충분히 녹인 후 0.45㎛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액제 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불순물의 함량을 표 6에 나타내었다.
보관기관
제조직후 2주 4주 8주
실시예 1 0.05 0.09 0.06 0.12
실시예 2 ND ND 0.08 0.15
비교예 1 0.12 0.14 0.20 0.31
비교예 2 0.14 0.19 0.26 0.40
비교예 3 0.21 0.26 0.36 0.45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시료의 경우 8주간 경시변화 이후의 불순물의 함량은 0.16 중량% 이하였다. 따라서 저장 안정성이 개선된 소독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8주간 경시변화 이후의 불순물의 함량은 실시예보다 낮은 저장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실시예 2는 편백추출오일의 제조과정에서 생성된 편백추출수에 우엉과 남천을 침지 및 가열하여 우엉추출물과 남천추출물이 포함된 것으로서, 저장 안정성 시험에서 더 나은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우엉추출물에 함유된 클로로겐산에 의해 pH변화와 화학적 변화에 따른 안정성을 유지시키는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사용감 만족도 평가
건강한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3까지의 각각의 샘플을 손으로 만지고 문질렀을 때의 사용감과 사용 후의 느낌을 1점(불량)에서 5점(우수)로 평가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으며 결과를 다음 표 7에 나타내었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사용감 만족도 5 5 3 2 2
제형상태 4 5 2 3 2
사용감 만족도와 제형상태에서는 실시예 1 및 2가 가장 종래의 비교예보다 더 나은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윤활의 역활과 함께 보습효과를 가지는 메틸에틸아크릴로일옥시에틸 포스포릴콜린의 함유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4: 관능성 평가
알코올 소취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알코올을 함유하는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3의 관능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평가를 위해 건강상 문제가 없는 평가단 100인을 임의적으로 선정하였으며 본 실험의 목적을 설명하고, 실험방법을 숙지 시킨 후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평가 점수는 불쾌취가 가장 감소된 경우(소취 효과가 우수한 경우) 5로 설정하고(알코올 냄새가 없는 경우), 소취 효과가 가장 미흡한 경우 1로 설정하였으며, 평과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구분 평가결과
실시예 1 4.88
실시예 2 4.79
비교예 1 4.15
비교예 2 4.23
비교예 3 4.33
평가 결과 실시예 1 및 2는 비교예보다 평가결과 점수가 우수하며, 이를 통해 편백나무 추출물, 우엉 추출물 및 남천 추출물에 의해 에탄올의 자극적인 향이 현저히 저감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0: 편백나무 추출물 추출단계
S200: MPC수용액 제조단계
S210: 편백추출오일상 용액 제조단계
S220: MPC용액 제조단계
S221: 천연항균제 혼합단계
S222: 우엉 세척 및 절단단계
S223: 우엉 건조단계
S224: 우엉 덖음단계
S225: 침지단계
S226: 염기 첨가단계
S227: 혼합용매 첨가단계
S228: 가열단계
S229: MPC용액 혼합단계
S230: 혼합단계
S240: 살균제 첨가단계
S300: 혼합용액 제조단계
S400: 첨가제 첨가단계

Claims (7)

  1. 정제수 및 메틸아크릴로일옥시에틸 포스포릴콜린(MPC)을 포함하며,
    상기 MPC는 용매에 MPC가 혼합된 MPC수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MPC수용액을 상기 정제수에 혼합하여 첨가하되,
    상기 MPC수용액은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편백추출오일상의 용액과 MPC 및 수용성가교제가 용해된 정제수가 혼합된 것이며,
    상기 MPC수용액은 세균의 증식을 방지하는 천연항균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천연항균제는 상기 편백추출오일의 제조과정에서 생성된 편백추출수에 우엉을 침지 및 가열하여 우엉추출물을 추출함으로써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조성물.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항균제는 상기 편백추출오일의 제조과정에서 생성된 편백추출수에 남천(Nandina domestica Thunb)을 더해 침지 및 가열하여 남천추출물을 추출함으로써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조성물.
  4. 편백나무에서 편백추출수와 편백추출오일을 추출하는 편백나무 추출물 추출단계;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 추출단계후, MPC수용액을 제조하는 MPC수용액 제조단계;
    상기 MPC 수용액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혼합용액 제조단계;
    상기 제조된 혼합용액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첨가제 첨가단계; 및
    상기 첨가제가 첨가된 혼합용액을 여과하는 여과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 추출단계는 상기 편백나무에 용매를 가하여 가열하고, 상기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를 냉각하여 각각 편백추출수와 편백추출오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조성물 제조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MPC수용액 제조단계는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편백추출오일에 계면활성제를 용해시켜 편백추출오일상의 용액을 제조하는 편백추출오일상 용액 제조단계;
    MPC와 수용성 가교제를 정제수에 용해시켜 MPC용액을 제조하는 MPC용액 제조단계; 및
    상기 MPC수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편백추출오일상 용액과 MPC용액을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조성물 제조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MPC용액 제조단계는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편백추출수에 혼합용매를 가하고 우엉을 침지 및 가열하여 우엉추출물을 추출함으로써 제조된 천연항균제를 혼합하는 천연항균제 혼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조성물 제조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항균제 혼합단계에서는 상기 우엉이 침지된 편백추출수에 남천을 더해 침지 및 가열함으로서 남천추출물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200129488A 2020-10-07 2020-10-07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2469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488A KR102469315B1 (ko) 2020-10-07 2020-10-07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21/011643 WO2022075594A1 (ko) 2020-10-07 2021-08-31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488A KR102469315B1 (ko) 2020-10-07 2020-10-07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273A KR20220046273A (ko) 2022-04-14
KR102469315B1 true KR102469315B1 (ko) 2022-11-22

Family

ID=81126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488A Active KR102469315B1 (ko) 2020-10-07 2020-10-07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9315B1 (ko)
WO (1) WO2022075594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0401A (ja) * 2000-06-21 2002-03-19 Nof Corp ゲル状外用剤組成物
JP4876500B2 (ja) * 2005-09-22 2012-02-15 日油株式会社 ゲル状手指消毒剤
KR101130690B1 (ko) 2009-09-18 2012-04-02 한국식품연구원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활성 및 알코올소취용 손소독제 조성물
KR102163884B1 (ko) * 2013-10-31 2020-10-12 (주)아모레퍼시픽 Mpc와 수용성 가교제를 이용한 구형 하이드로겔 입자
KR20170021573A (ko) * 2015-08-18 2017-02-28 허진희 편백잎 추출물 및 레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용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1847B1 (ko) * 2017-03-14 2018-10-2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엉 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JP7167624B2 (ja) * 2017-12-14 2022-11-09 日油株式会社 消毒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273A (ko) 2022-04-14
WO2022075594A1 (ko)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879B1 (ko) 녹차 추출물 함유 알코올성 살균소독제
JP2008534675A (ja) 天然抽出物、ナノシルバー、および天然エッセンシャルオイルを含有する抗菌剤組成物
CN109260927A (zh) 一种含桧木精油的除臭除味浓缩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10000216A (ko) 솔잎 추출물, 쑥 추출물, 녹차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방향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215532A (zh) 一种植物精油水溶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80029345A (ko) 화산석 추출물의 미네랄 복합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탈취제 조성물
CN112999128B (zh) 一种具有驱蚊、止痒的天然植物制剂组合物
KR102469315B1 (ko)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손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1385B1 (ko) 도라지 추출물을 함유한 항균 물티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402969B (zh) 一种绿色环保型植物源消毒液
CN112999202A (zh) 抗菌除臭的成膜喷液及其制备方法
KR101130690B1 (ko)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활성 및 알코올소취용 손소독제 조성물
CN107028834A (zh) 一种艾草抗菌组合物及其在沐浴露中的应用
CN111481567A (zh) 一种复方臭氧油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70130714A (ko)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KR101869269B1 (ko) 월계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102540377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식물 추출 항균 조성물
KR20050034271A (ko) 천연 추출물, 나노실버 및 천연 에센셜오일을 함유한항균제 조성물
KR20170109889A (ko) 녹차 추출물 함유 알코올성 살균소독제
KR102518838B1 (ko) 어린이용품 전용 살균제 조성물
KR20170103390A (ko) 미네랄이온활성수를 포함하는 무독성 방부 조성물
KR102479119B1 (ko) 생체적합성 mpc 고분자 기반의 콘택트렌즈 다기능 용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728835B1 (ko)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점착성창상피복제 조성물
KR102378438B1 (ko) 천연효소를 이용하여 제조된 차량용 클리너
KR102725638B1 (ko) 손 소독제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