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66268B1 - 커넥터, 전자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전자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268B1
KR102466268B1 KR1020200059972A KR20200059972A KR102466268B1 KR 102466268 B1 KR102466268 B1 KR 102466268B1 KR 1020200059972 A KR1020200059972 A KR 1020200059972A KR 20200059972 A KR20200059972 A KR 20200059972A KR 102466268 B1 KR102466268 B1 KR 102466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ounting groove
mating
mating member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9074A (ko
Inventor
유에거 쑤에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1469740.4U external-priority patent/CN211608393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060196.9A external-priority patent/CN112438467B/zh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29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2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Landscapes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전자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조립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에 연결되는 정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합 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멀어지게 경사면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경사면과 상기 메인 바디 사이에 리세스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정합 부재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정합 부위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정합 부위 내로 삽입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경사면 상에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정합 부위 내로 삽입되어 미리 정의된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도록 상기 리세스 내에 복원 및 수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전자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조립 방법 {CONNECTOR, ELECTRONIC APPARATUS, WEARABLE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wearable apparatus)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connector), 전자 장치(electronic apparatus), 상기 커넥터 및 상기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apparatus)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조립 방법(assembly method)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19년 9월 4일에 출원된 "웨어러블 기기, 전자 기기 및 밴드(WEARABLE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BAND)" 라는 제목의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1910831886.7,
2019년 9월 4일에 출원된 "웨어러블 기기, 전자 기기 및 밴드(WEARABLE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BAND)" 라는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1921469740.4,
2020년 1월 19일에 출원된 "하우징 조립체 및 커넥터 조립 방법 및 하우징 조립체 및 커넥터 분해 방법(METHOD FOR ASSEMBLING HOUSING ASSEMBLY AND CONNECTOR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HOUSING ASSEMBLY AND CONNECTOR)" 이라는 제목의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2010060196.9,
2020년 1월 19일에 출원된 “하우징 조립체, 전자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HOUSING ASSEMBLY, ELECTRONIC APPARATUS AND WEARABLE APPARATUS)” 라는 제목의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2020136064.5, 및
2020년 1월 19일에 출원된 "커넥터, 스트랩 및 웨어러블 장치(CONNECTOR, STRAP AND WEARABLE APPARATUS)" 라는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2020136095.0을 우선권 주장하며, 그 내용은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웨어러블 장치(wearable apparatus)는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electronic apparatus) 및 전자 장치를 인체에 바인딩하기 위한 스트랩(strap)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랩을 상기 전자 장치와 함께 조립(assemble)하고 분해(disassemble)하기가 쉬운지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커넥터(connector)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전자 장치(electronic apparatus)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메인 바디(main body) 및 상기 메인 바디에 연결되는 정합 부재(mating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합 부재의 일단부 상에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경사면(inclined face)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경사면과 상기 메인 바디 사이에 리세스(recess)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정합 부재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정합 부위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정합 부위 내로 삽입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결합 부재가 경사면 상에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정합 부위 내로 삽입되어 사전 정의된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정합 부재는 상기 리세스 내에 복원 및 수용되어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전자 장치를 스냅-핏(snap-fit)에 의해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자 장치는 하우징 조립체 및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조립체는 커넥터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조립체는, 장착 그루브를 정의하는 하우징; 및 상기 장착 그루브에 배열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이동하여 상기 커넥터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거나 제거되는 회피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상기 이동하는 동안, 상기 결합 부재는 제한된 위치 내로 이동하고 복원하여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고, 상기 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전자 장치, 커넥터 및 스트랩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장착 그루브를 정의하는 하우징, 및 장착 그루브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에 연결되는 정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합 부재의 일단부 상에 메인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경사면이 제공될 수 있고, 리세스는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경사면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정합 부재는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는 동안 상기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경사면 상에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정합 부위 내로 삽입되어 사전 정의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결합 부재는 스냅-핏에 의해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리세스 내에 복원 및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랩 바디는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랩 바디는 상기 커넥터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조립 방법은: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제1위치로 삽입하는 동작으로서,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결합 부재에 맞닿는 동작; 상기 정합 부재를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제2위치를 향해 삽입하고,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 상에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는 회피 공간을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상기 제2위치로 삽입될 때,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결합 부재를 복원하고, 상기 결합 부재 및 상기 정합 부재 사이의 결합을 통해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동작;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술적 해결 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분명하게도, 다음 설명에서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만을 나타낸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다른 도면들이 창의성없이 이들 도면들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스트랩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하나의 관점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기 커넥터를 다른 관점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상기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하나의 관점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상기 커넥터를 다른 관점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상기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하나의 관점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상기 커넥터를 다른 관점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상기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1의 상기 커넥터의 상기 단부면 및 상기 측면의 상기 제2연결면 상으로의 돌출부들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도 8의 상기 커넥터의 상기 단부면 및 상기 측면의 상기 제2연결면 상으로의 돌출부들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상기 커넥터의 상기 단부면 및 상기 측면의 상기 제2연결면 상으로의 돌출부들의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1의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기 중간 프레임의 개략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상기 중간 프레임의 상기 장착 그루브의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상기 장착 그루브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9는 도 25의 상기 중간 프레임, 상기 결합 부재, 상기 복원 부재 및 상기 배플의 분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중간 프레임, 결합 부재, 복원 부재 및 배플의 조립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장착 그루브의 위치에서 단면의 부분 확대도이고, 정합 부재는 제1위치에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장착 그루브의 상기 위치에서의 단면의 부분 확대도이고, 상기 정합 부재는 제2위치에 있고 상기 결합 부재는 복원되지 않는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장착 그루브의 상기 위치에서의 단면의 부분 확대도이고, 상기 정합 부재는 제2위치에 있고 상기 결합 부재는 복원된다.
도 34는 도 30의 실시 예의 상기 결합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35는 도 30의 실시 예의 상기 결합 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36은 도 30의 실시 예의 다른 관점에서의 상기 결합 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조립된 후 장착 그루브의 위치에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수용 홀의 위치에서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9는 도 29의 실시 예에 따른 배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29의 실시 예의 상기 배플의 정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결합 부재 및 복원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결합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결합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중간 프레임 및 배플의 분해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하우징 조립체 및 커넥터의 조립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하우징 조립체 및 커넥터의 분해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일부일 뿐이며 모두는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기초하여, 창조적인 노력 없이도 당업자에 의해 만들어진 다른 모든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1', '제2' 및 '제3'의 용어들은 여기서는 설명의 목적들로 사용되며, 상대적 중요성 또는 중대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거나 또는 표시된 기술적 특징의 수를 암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제2" 등으로 정의된 특징은 그러한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다수의"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둘 이상을 의미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다수의"의 용어는 적어도 2, 예를 들어 2, 3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 내용의 실시 예들에서의 모든 방향 지시들(위, 아래, 왼쪽, 오른쪽, 앞, 뒤 등)은 단지 상대 자세 관계, 특정 자세(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에서 구성 요소들 사이의 이동 상황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정한 자세가 변하면, 방향 지시들은 그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또한, 용어 '포함하다' 및 '구성하다' 및 그 변형들은 비 배타적인 포함을 다루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들 또는 유닛들을 포함하는 공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치는 나열된 단계들 또는 유닛들로 제한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열거되지 않은 단계들 또는 유닛들을 추가로 포함하거나, 선택적으로 이들 공정, 방법, 제품 또는 장치에 고유한 다른 단계들 또는 유닛들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실시 예"는 본 실시 예에서 설명된 특정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을 결합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부분에서 발생된 "실시 예"는 동일한 실시 예를 참조하지 않을 수 있고, 다른 실시 예에서 배타적인 독립적 또는 백업 실시 예를 참조하지 않을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이 다른 실시 예들과 연관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시적으로 그리고 암시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커넥터(connector)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전자 장치(electronic apparatus)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메인 바디(main body) 및 상기 메인 바디에 연결되는 정합 부재(mating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합 부재의 일단부 상에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경사면(inclined face)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경사면 및 상기 메인 바디 사이에 리세스(recess)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정합 부재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정합 부위(mating site)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정합 부위 내로 삽입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경사면 상에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정합 부위 내로 삽입되어 미리 정의된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리세스에 복원 및 수용되어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전자 장치를 스냅-핏(snap-fit)에 의해 연결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경사면은 평면(planar face)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전자 장치로 삽입되는 방향 사이의 각도는 30° 내지 45°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각도는 45°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경사면은 곡면(curved face)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정합 부재는 측면(side face)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측면은 상기 메인 바디에 연결된 제1단부(first end) 및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제2단부(second end)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단부는 상기 경사면과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메인 바디 상의 상기 측면의 수직 돌출부(vertical projection)는 원형 형상, 레이스트랙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의 외부 윤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정합 부재는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단부면(end face)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부면은 상기 측면의 상기 제2단부 및 상기 경사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단부면은 평면 또는 곡면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메인 바디 상의 상기 측면의 수직 돌출부는 제1외부 윤곽(first outer contour)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메인 바디 상의 상기 단부면의 수직 돌출부는 제2외부 윤곽(second outer contour)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외부 윤곽은 상기 제1외부 윤곽 내에 완전히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외부 윤곽 및 상기 제1외부 윤곽은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정합 부재는 연결면(connection face)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부면은 상기 연결면에 의해 상기 측면의 상기 제2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면은 상기 측면 및 상기 단부면 사이의 부드러운 전이를 형성하기 위해 곡면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연결면은 평면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리세스는 그루브(groove)일 수 있고, 상기 그루브와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정합 부재의 동일한 측부(same side)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전자 장치로 삽입되는 방향은 제1방향(first direction)일 수 있고, 상기 결합 부재의 이동 방향은 제2방향(second direction)일 수 있으며,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수직인 방향은 제3방향(third direction)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3방향에서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측면을 관통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그루브는 제1내벽, 제2내벽 및 제3내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내벽은 상기 제1내벽 및 상기 제3내벽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3내벽은 상기 제1내벽보다 상기 경사면에 더 가까울 수 있고; 상기 제2내벽 및 상기 제3내벽 사이의 각도는 90° 이하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리세스는 관통 홀(through hole)일 수 있고, 상기 관통 홀의 개구 및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정합 부재의 동일한 측부 상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리세스와 상기 경사면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리세스와 상기 경사면은 그 사이의 평면 또는 곡면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리세스 및 상기 메인 바디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커넥터는 제1방향에서 상기 전자 장치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 제2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은 서로 수직일 수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메인 바디는 긴 플레이트 형상(elongated plate shape)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정합 부재의 수는 2개일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정합 부재들은 상기 메인 바디의 동일한 측부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정합 부재의 상기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2개의 정합 부재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트랩이 제공된다. 상기 스트랩은 전술한 상기 커넥터 및 트랩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은 상기 커넥터의 상기 메인 바디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wearable apparatus)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전자 장치, 커넥터 및 스트랩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장착 그루브를 정의하는 하우징, 및 상기 장착 그루브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상기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에 연결된 정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정합 부재의 단부 상에 경사면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메인 바디 및 상기 경사면 사이에 리세스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정합 부재는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는 동안 상기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경사면 상에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결합 부위 내로 삽입되어 사전 정의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결합 부재는 스냅-핏에 의해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리세스에 복원 및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랩 바디는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랩 바디는 상기 커넥터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 조립체(housing assembly)가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 조립체는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조립체는: 장착 그루브를 정의하는 하우징; 및 상기 장착 그루브에 배열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결합 부재로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커넥터가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 회피 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결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그루브에서 상기 커넥터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결합 부재는 제한된 위치 내에서 이동하고 상기 커넥터를 상기 하우징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도록 복원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는 가압(pressing) 또는 당김(pulling)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 조립체는 복원 부재(restoration member)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원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복원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가 이동한 후 복원하도록 상기 결합 부재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이동은 선형 이동(linear movement)일 수 있고,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이동 방향은 상기 커넥터의 삽입 방향 또는 제거 방향과 상이(different)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이동 방향은 상기 커넥터의 상기 삽입 방향 또는 제거 방향에 수직(perpendicular)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커넥터가 장착 그루브에 삽입되면,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경사면에 의해 발생된 상기 가압력(pushing force)으로 인해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 상에 경사면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결합 부재 상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커넥터 상의 상기 경사면과 정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장착 그루브는 서로 연결되는 제1장착 그루브 및 제2장착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장착 그루브는 제1개구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장착 그루브는 제2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측면들(side faces)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측면들 중 하나에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2개구는 상기 하우징의 인접한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장착 그루브는 상기 제1개구와 대향하는 하부 벽 및 상기 제1개구로부터 상기 하부 벽까지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루브 벽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커넥터는 그루브 벽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는 서로 연결되는 결합부 및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2장착 그루브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개구에 노출될 수 있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장착 그루브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장착 그루브에 상기 체결부를 구속하고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는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가압부,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압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장착 그루브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2개구에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장착 그루브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 사이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장착 그루브의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를 구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장착 그루브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제1결합부의 폭은 상기 제1장착 그루브 내의 상기 제1결합부를 구속하기 위해 제2장착 그루브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커넥터에 리세스가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2결합부는 바(bar)일 수 있으며, 상기 바는 상기 제1결합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바는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도록 상기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커넥터 상의 경사면과 정합하는 경사면이 상기 바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바 상의 상기 경사면이 상기 제1개구를 향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일체형 구조일 수 있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제1결합부는 버클(buckle)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가압부의 단부 상에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멀어지는 가압 캡(pressing cap)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가압 캡의 폭은 상기 가압부의 폭보다 클 수 있고, 상기 가압 캡의 각 측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를 향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러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조립체는 상기 결합 부재를 구동하여 복원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들(elastic members)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각 상기 탄성 부재들은 대응하는 필러 상에 슬리브될 수 있고, 각 상기 탄성 부재들의 일단부는 상기 결합 부재에 연결될 수 있고, 각 상기 탄성 부재들의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가압 캡의 외부면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과 플러시(flush)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 조립체는 상기 결합 부재가 복원하도록 상기 결합 부재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제2결합부의 측부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제1장착 그루브의 상기 그루브 벽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싱크를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싱크의 하부 벽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조립체는 형상이 상기 싱크의 상기 형상과 정합할 수 있는 배플(baffle)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플은 상기 싱크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배플은 상기 커넥터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 홀을 정의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배플의 두께는 상기 싱크의 깊이보다 작을 수 있고, 수용 공간은 상기 싱크의 상기 하부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배플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커넥터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전술한 하우징 조립체 및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전자 장치, 커넥터 및 스트랩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장착 그루브를 정의하는 하우징; 및 상기 장착 그루브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거나 분리될 때,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커넥터를 위한 회피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상기 이동하는 동안, 상기 결합 부재는 제한된 위치 내에서 이동하고 상기 커넥터를 상기 하우징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도록 복원될 수 있고; 및 스트랩 바디(strap body)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 바디는 상기 커넥터를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wearable apparatus)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전자 장치, 커넥터 및 스트랩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장착 그루브를 정의하는 하우징, 및 상기 장착 그루브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에 연결되는 정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정합 부재의 단부 상에 경사면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메인 바디 및 상기 경사면 사이에 리세스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정합 부재는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는 동안 상기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경사면 상에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정합 부위 내로 삽입되어 사전 정의된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리세스 내에 복원 및 수용되어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전자 장치를 스냅-핏(snap-fit)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 바디는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랩 바디는 상기 커넥터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웨어러블 장치의 조립 방법은,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제1위치로 삽입하는 동작으로서,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결합 부재에 맞닿는 동작; 상기 정합 부재를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제2위치를 향해 삽입하고,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 상에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는 회피 공간을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상기 제2위치로 삽입될 때,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결합 부재를 복원하고, 상기 결합 부재 및 상기 정합 부재 사이의 결합을 통해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를 연결하는 동작;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 조립체 및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 조립체 및 상기 커넥터는 웨어러블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조립체는 하우징 및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는 장착 그루브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장착 그루브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는 정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경사면은 상기 정합 부재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커넥터의 단부 상에 제공될 수 있고, 리세스는 상기 정합 부재 상에 그리고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정합 부재의 타단부 사이에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상기 장착 그루브에서 제1위치에 상기 정합 부재를 삽입하는 동작으로서, 정합 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결합 부재에 맞닿을 수 있는 동작; 상기 정합 부재를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제2위치를 향해 삽입하고,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 상에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는 회피 공간을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상기 제2위치로 삽입될 때,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결합 부재를 복원하고, 스냅-핏(snap-fit)에 의해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를 연결하는 동작; 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 상에 경사면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커넥터의 상기 경사면과 정합할 수 있고;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제1위치로 삽입하는 상기 동작에서,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결합 부재에 맞닿을 수 있다; 및 상기 정합 부재를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제2위치를 향해 삽입하고,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 상에서 이동되도록 하는 상기 동작에서,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정합 부재를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제2위치를 향해 삽입하고,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 상에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는 회피 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동작에서,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이동은 선형 이동일 수 있고, 상기 결합 부재의 이동 방향은 상기 커넥터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는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이동 방향은 상기 커넥터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상기 방향에 수직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제1위치에 상기 정합 부재를 삽입하는 동작, 및 상기 장착 그루브에서 제2위치를 향해 상기 정합 부재를 삽입하는 동작, 상기 제1그루브 벽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제1위치 및 제2위치에 상기 커넥터를 삽입하는 상기 동작에서, 상기 장착 그루브는 서로 연결되는 제1장착 그루브 및 제 2장착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장착 그루브는 제1개구, 상기 제1개구와 대향하는 하부 벽 및 상기 제1개구로부터 상기 하부 벽으로의 방향에서 연장되는 제1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장착 그루브는 제2개구 및 상기 제2개구로부터 상기 제1장착 그루브 내로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측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합 부재를 상기 장착 그루브의 제2위치를 향해 삽입하고,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이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 상에서 이동시키도록 가압하는 상기 동작에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2측벽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 조립체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장착 그루브의 상기 제2위치로 삽입될 때 상기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상기 결합 부재를 복원하고, 스냅-핏에 의해 상기 커넥터와 상기 하우징 조립체를 연결하는 상기 동작에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복원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는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가압 캡,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가압 캡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정합 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제1위치 로 삽입하고,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결합 부재에 맞닿는 상기 동작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하우징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1장착 그루브 내의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를 구속하는 동작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합 부재를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제2위치를 향해 삽입하고,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 상에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는 회피 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동작에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정합 부재의 경사면 상에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하우징쪽으로 압착하여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및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상기 제2위치로 삽입될 때,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결합 부재를 복원하고, 스냅-핏에 의해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상기 동작에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리세스에 의해 상기 제2결합부를 수용하도록 복원될 상기 결합 부재를 구동하도록 복원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는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가압부 및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결합부 사이에 탄성 부재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정합 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제1위치로 삽입하는 상기 동작 이전에,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결합 부재에 맞닿을 수 있고, 상기 방법은 다음을 상기 하우징의 정합을 통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1장착 그루브 내에 상기 결합부를 구속하는 동작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합 부재를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제2위치를 향해 삽입하고,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 상에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는 회피 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동작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 상에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하우징쪽으로 압착하여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및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상기 제2위치로 삽입될 때,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결합 부재를 복원하고, 스냅-핏에 의해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상기 동작에서, 상기 탄성 부재는 복원을 위해 상기 결합 부재를 구동하도록 복원될 수 있어,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리세스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리세스 및 상기 경사면은 전이면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정합 부재를 상기 장착 그루브에서 제2위치를 향해 삽입하고,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이 상기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 상에서 이동하는 상기 동작 후,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는 회피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전이면에 의해 상기 결합 부재에 맞닿는 동작.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 조립체 및 커넥터를 분해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 조립체 및 상기 커넥터는 웨어러블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조립체는 하우징 및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에는 장착 그루브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장착 그루브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는 정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경사면이 상기 정합 부재의 일단부 상에 제공될 수 있고, 리세스가 상기 정합 부재 상에 그리고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정합 부재의 타단부 사이에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정합 부재는 상기 장착 그루브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리세스에 수용될 수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스냅-핏(snap-fit)에 의해 상기 하우징 조립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리세스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정합 부재를 위한 회피 공간을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정합 부재를 상기 장착 그루브에서 빼내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리세스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정합 부재를 위한 회피 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동작에서, 상기 결합 부재를 가압하거나 당겨서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리세스로부터 제거한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장치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팔찌(bracelet), 헤드 밴드(headband) 등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워치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로서 들어진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wearable apparatus)(10)는 전자 장치(electronic apparatus)(30) 및 상기 전자 장치(30)에 연결된 스트랩(strap)(5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스트랩(50)은 스트랩 바디(strap body)(60) 및 커넥터(connector)(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 바디(60)는 상기 커넥터(8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80)는 상기 스트랩 바디(60)를 상기 전자 장치(30)에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전자 장치(3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트랩 바디(60)는 상기 전자 장치(30)를 사람의 손목, 팔, 허리 등에 바인딩하기(binding) 위한 스트랩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사람의 목 등에 매달기(hanging) 위한 스트랩일 수 있다. 상기 스트랩 바디(60)의 상기 재료는 천연 천(natural cloth), 화학 섬유(chemical fiber), 가죽(leather), 금속(metal) 등일 수 있다. 상기 스트랩 바디(60)에는 상기 스트랩 바디(60)의 상기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스트랩 바디(60)는 일체형 구조(integrated structure)일 수 있고, 상기 스트랩 바디(60)의 양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2개의 커넥터들(connectors)(80)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랩 바디(60)는 세그먼트된 구조(segmented structure)를 가질 수 있는데, 즉, 상기 스트랩 바디(60)는 제1스트랩 바디(first strap body)(62) 및 제2스트랩 바디(second strap body)(6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트랩 바디(62)의 일단부와 상기 제2스트랩 바디(64)의 일단부는 각각 2개의 커넥터들(80)에 연결되고, 상기 제1스트랩 바디(62) 및 상기 제2스트랩 바디(64)의 타단부들은 분리 가능한 메커니즘(detachable mechanism)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0)는 상기 전자 장치(3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양 커넥터들(80)은 상기 스트랩 바디(60)에 연결되고, 상기 전자 장치(30)에 각각 연결되며, 예를 들어, 상기 스트랩 바디(60)와 상기 전자 장치(30)를 함께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전자 장치(30)의 상기 대향하는 단부들(opposite ends)에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80)는 금속,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80)는 메인 바디(main body)(82) 및 상기 메인 바디(82)에 연결된 정합 부재(mating member)(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82) 및 상기 정합 부재(84)는 동일한 재료들로 만들어지거나 다른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메인 바디(82) 및 상기 정합 부재(84)는 일체형 구조(integrated structure)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메인 바디(82) 및 상기 정합 부재(84)는 별도의 부품들(separate components)일 수 있고, 용접(welding), 접합(bonding), 스냅-핏(snap-fit)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바디(82)는 실질적으로 긴 플레이트 형상(elongated plate shape)을 가진다. 물론,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메인 바디(82)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스트랩 바디(60)는 상기 메인 바디(82)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바디(82)는 서로 연결되는 제1연결부(first connection portion)(81) 및 제2연결부(second connection portion)(83)를 포함한다. 상기 정합 부재(84)는 상기 제1연결부(81)에 연결되고, 상기 스트랩 바디(60)는 상기 제2연결부(83)에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부(81)는 일반적으로 얇은 플레이트(thin plat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연결부(81)의 외곽 윤곽은 레이스트랙 형상(racetrack shape), 직사각형 형상(rectangular shape) 등일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81)는 대향 배치되는(oppositely disposed) 제1연결면(first connection face)(812) 및 제2연결면(second connection face)(814)을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면(812) 및 제2연결면(814)은 모두 평면(planar)일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면(812) 상에는 제2연결부(83)가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연결부(83)는 실질적으로 플레이트 형상(plate shape), 프레임 형상(frame shape) 또는 다른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제2연결부(83)(가령, 83a, 83b 및 83c)는 3개의 예들을 통해 예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연결부(83)는 이하의 3 개의 구조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연결부(83a)는 연결 시트(connection seat)(832) 및 연장부(extending portion)(834)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시트(832)는 상기 제1연결면(812)에 연결되고, 상기 연장부(834)는 상기 연결 시트의 상기 측부로부터 상기 제1연결면(812)으로부터 상기 제1연결면(8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장부(834)는 상기 연결 시트(832)의 일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832)는 상기 제1연결면(812)에 대해 경사져서(inclined),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0)를 착용할 때, 상기 연장부(834)에 연결된 상기 스트랩 바디(6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쪽으로 안내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83b)는 일반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이며, 상기 제1연결면(812)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되어(disposed obliquely),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10)를 착용할 때, 상기 연장부(834)에 연결된 상기 스트랩 바디(6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쪽으로 안내된다. 상기 제1연결면(8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 상기 플레이트형(plate-like)의 제2연결부(83b)의 상기 두께는 상기 제1연결면(812)으로부터 점차 감소한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83c)는 전체적으로 상기 프레임(frame) 형상이며, 상기 프레임은 제1연결면(812)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들이 상기 웨어러블 장치(10)를 착용할 때, 상기 연장부(834)에 연결된 상기 스트랩 바디(6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쪽으로 안내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연결부(83)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10)를 착용할 때 상기 스트랩 바디(60)를 상기 사용자의 신체쪽으로 안내할 수 있어, 상기 스트랩 바디(6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목)의 윤곽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스트랩 바디(60) 및 상기 상기 인체 사이의 과도한 간격(gap)을 피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상기 착용 웨어러블 장치(10)는 상기 인체에 밀착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10)를 상기 인체에 단단히 결합하는 것을 보조한다. 주목할 점은,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연결부(83b)는 또한 상기 제1연결면(812)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트랩 바디(60)의 상기 연장 방향은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면(812)에 수직이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제1연결면(812)으로부터 이격된 제2연결부(83, 83a, 83b, 83c)의 단부면은 부드럽운 곡면들(curved faces)이며, 이는 스트랩 바디(60)가 예리한 단부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날카로운 단부로 인체들이 다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83)(83a, 83b, 83c) 사이의 상기 연결은 상기 제1연결부(81)로 부드럽게 전이(transition)될 수 있으며, 이로써 응력 집중(stress concentration)을 줄이고 상기 구조들을 더 내구성 있게(durable) 하며, 인체들에 대한 피해를 방지한다.
상기 제2연결부(83)에는 상기 스트랩 바디(6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가 제공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구조들은 도 9,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83)에 형성된 관통 홀들(836)일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들(83a, 83b)은 다수의 관통 홀들(836)을 정의한다. 이들 관통 홀들은 상기 성형(molding) 또는 프레스(pressing) 제조 공정들 동안 상기 스트랩 바디(6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구조는 상기 제2연결부(83c)에 정의된 관통 그루브(838)일 수 있고, 상기 스트랩 바디(60)는 상기 관통 그루브(838)를 통과하여 상기 제2연결부(83c) 주위를 감을(wind around)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스트랩 바디(60)는 상기 제2연결부(83c)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합 부재(84)는 상기 제1연결부(81)의 상기 제2연결면(814)에 고정된다. 상기 정합 부재(84)는 상기 전자 장치(30)의 정합 부위(mating site)와 협력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방향에서 상기 전자 장치(30)로 삽입되어, 상기 스트랩 바디(60)를 상기 전자 장치(30)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도 8,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상기 커넥터(80)는 2개의 정합 부재들(84)을 가진다. 다른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정합 부재(들)(84)이 존재할 수 있다. 정합 부재들(84)이 다수인 경우, 상기 정합 부재들(84)은 모두 상기 제2연결면(814)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연결면(814)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상기 다수의 정합 부재들(84)의 상기 방향들은 동일하다. 그 중 상기 다수의 정합 부재들(84) 사이의 상기 간격들(spacings)은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합 부재(84)는 측면(840) 및 상기 메인 바디(82)로부터 멀어지는 단부에 배치된 경사면(inclined face)(842)(제1경사면이라고도 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경사면(842) 및 상기 메인 바디(82) 사이에 리세스(recess)(85)가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840)은 상기 제2연결면(814)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면(840)은 제1단부(first end)(8401) 및 제2단부(second end)(84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부(8401)는 상기 제2연결면(814)에 연결되고, 상기 제2단부(8402)는 상기 제1경사면(842)에 연결된다. 도 18 및 19을 참조하면, 제2연결면(814) 상의 상기 측면(840)의 수직 돌출부(vertical projection)는 제1외부 윤곽(first outer contour)(845)을 가지며, 상기 제1외부 윤곽(845)은 원형, 타원형, 레이스트랙, 정사각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레이스트랙(racetrack)은 일반적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호들(arcs)과 2개의 평행선 세그먼트들(parallel line segments)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평행선 세그먼트들은 상기 2개의 호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2개의 호들을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 돌출부는 상기 제2연결면(814)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돌출부이다. 도 11, 도 12,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정합 부재(84)가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cylindrical shape)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1외부 윤곽(845)은 원형 형상(circular shape)을 갖는다. 도 8, 도 9, 및 도 19을 참조하면, 상기 정합 부재(84)가 실질적으로 평평한 컬럼(flat column)이면, 상기 제1외부 윤곽(845)은 레이스트랙 형상(racetrack shape)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측면(840)은 또한 상기 제2연결면(814)에 대해 경사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단부(8401)에서 상기 제2단부(8402)로의 방향에서, 상기 정합 부재(84)는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원뿔 형상(cone-shaped)이다.
상기 제1경사면(842)은 평면(planar face) 또는 곡면(curved face)일 수 있고, 상기 제1경사면(842)과 상기 제1방향 사이의 각도는 30° 내지 45°, 예를 들어 30°, 35°, 40° 또는 45°일 수 있다. 상기 각도가 작을수록 상기 정합 부재(84)를 상기 전자 장치(30)에 삽입하는 데 필요한 상기 힘이 작아진다. 상기 각도가 너무 작으면, 상기 제1방향에서 상기 제1경사면(842)의 상기 길이는 더 길어질 것이고, 상기 제1경사면(842)의 상기 위치에서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두께가 더 작아지며, 이는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강도를 감소시키며; 한편, 각도가 너무 작으면, 상기 정합 부재(84)는 더 날카로울(sharper) 것이고, 이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10)의 다른 부분들을 더 쉽게 손상시키거나 상기 사용자를 다치게 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각도가 너무 크면, 상기 정합 부재(84)를 상기 전자 장치(30)에 삽입하는 데 필요한 상기 힘이 더 크다. 전술한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정합 부재(84)를 삽입하는 데 필요한 상기 힘,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구조적 강도, 상기 웨어러블 장치(10)의 상기 유지 및 사용자의 사용 안전성 사이의 관계는 균형이 잘 맞을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도 8 내지 도 16 및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정합 부재(84)는 상기 제2연결면(814)으로부터 멀어지는 단부면(end face)(844)을 추가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부면(844)은 상기 제2연결면(814)과 대향하고, 상기 단부면(844)은 상기 측면(840)의 상기 제2단부(8402) 및 상기 제1경사면(842)에 연결된다. 상기 단부면(844)은 도 11 내지 16 및 도 20을 참조하면, 평면(planar face)일 수 있다. 물론, 상기 단부면(844)은 또한 곡면(curved face)일 수 있어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면(844) 및 상기 측면(840) 사이에 부드러운 전이(smooth transition)가 존재하며, 상기 결합 부재(94)를 상기 전자 장치(30)의 상기 정합 부위(mating site) 내로 삽입하는 동작이 더 부드럽고 편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연결면(814) 상의 상기 단부면(844)의 수직 돌출부는 제2외부 윤곽(second outer contour)(847)을 가지며, 상기 제2외부 윤곽(847)은 도 11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섹터 형상(sector shape)을 가질 수 있거나 혹은 도 8, 도 9,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스트랙 형상(racetrack shape)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외부 윤곽(847)은 또한 원형(circular), 타원형(oval) 또는 다른 형상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외부 윤곽(847)은 상기 제1외부 윤곽(845) 내에 완전히 존재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메인 바디(82)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단부는 일반적으로 경사지고(tapered), 즉, 상기 메인 바디(82)에서 멀어지는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단부의 상기 단면적은 상기 메인 바디(82)에서 멀어지는 상기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이로써 상기 정합 부재(84)를 상기 전자 장치(30)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단부면은 연결면(connection face)(846)을 통해 상기 측면(840)의 상기 제2단부(8402)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제2외부 윤곽(847) 및 상기 제1외부 윤곽(845)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다. 상기 연결면(846)은 곡면일 수 있어, 상기 측면(840) 및 상기 단부면(844)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드럽게 전이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정합 부재(84)는 상기 장착 그루브(232) 내로 삽입될 때 더욱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결합 부재(24) 및 상기 정합 부재(84) 사이의 충돌 마모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연결면(846)은 또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일 수 있음에 주의할 것이다.
일부 실시 예에서,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외부 윤곽(847)의 일부는 상기 제1외부 윤곽(845)의 일부와 중첩되고, 상기 제2외부 윤곽(847) 및 상기 제1외부 윤곽(845)의 다른 부분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30)와 협력하기 위해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측면 상에 리세스(85)가 정의된다. 상기 리세스(85)의 상기 개구는 상기 제1경사면(842)과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동일한 측부(same side)에 위치된다.
상기 리세스(85)는 그루브(groove)일 수 있어서, 상기 리세스(85)를 기계 가공하기 쉽고 상기 정합 부재(84)는 비교적 높은 강도를 가진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연결면(814)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측면(840)을 관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그루브는 서로 대향하는 제1내벽(first inner wall)(852) 및 제3내벽(third inner wall)(856), 그리고 상기 제1내벽(852) 및 상기 제3내벽(856) 사이에 연결된 제2내벽(second inner wall)(854)을 가진다. 상기 제3내벽(856)은 상기 제1내벽(852)보다 상기 제1경사면(842)에 더 가깝다. 상기 제2내벽(854)과 상기 제3내벽(856) 사이의 각도는 90° 이하, 예를 들어 70° 내지 90°, 85° 내지 90° 일 수 있어서, 상기 그루브 및 상기 전자 장치(30) 사이의 상기 협력이 보다 신뢰할 수 있고, 상기 커넥터(80) 및 상기 전자 장치(30) 사이의 상기 연결이 보다 안정적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리세스(85)는 상기 제1경사면(84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는데, 즉 상기 리세스(85)의 상기 제3내벽(856)은 상기 제1경사면(842)에 직접 연결된다. 도 12, 도 13 및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리세스(85) 및 상기 제1경사면(842)은 또한 서로 이격될 수 있는데, 즉 상기 리세스(85) 및 상기 제1경사면(842)은 그들 사이의 전이면(transition face)(848)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전이면(848)은 평면 또는 곡면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리세스(85)는 상기 메인 바디(82)로부터 이격되는데, 즉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측면(840)은 도 8 내지 도 17, 도 20,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세스(85)의 상기 제1내벽(852) 및 상기 제2연결면(814) 사이의 위치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리세스(85)는 상기 측면(840)의 상기 제1단부(8401)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제2연결면(814)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세스(85)의 상기 제1내벽(852)으로서 기능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세스(85)는 또한 관통 홀일 수 있고, 상기 관통 홀의 하나의 개구는 상기 제1경사면(842)과 정합 부재(84)의 동일한 측부(same side) 상에 위치된다.
"상기 다수의 정합 부재들(84)의 상기 방향이 동일하다"는 위 설명은 상기 다수의 정합 부재(84)의 상기 리세스(85)의 상기 개방 방향이 동일할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상기 전자 장치(30)는 타이밍(timing), GPS 포지셔닝(positioning), 모션 모니터링(motion monitoring) 및 헬스 모니터링(health monitoring) 등과 같은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모션 모니터링 기능들에는 예를 들어 높이 측정, 이동 단계 측정, 이동 속도 측정 및 이동 가속도 측정이 포함된다. 헬스 모니터링 기능들은 예를 들어 심박수 모니터링, 혈액 산소 함량 모니터링 및 근전도 모니터링 등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30)는 하우징 조립체(housing assembly)(20)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20) 내에 배치된 전자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 부품들은 전술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하우징 조립체(20)는 하우징(housing)(22) 및 상기 하우징(22) 상에 배치된 결합 부재(engaging member)(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 조립체(20)의 일 실시 예가 아래에 설명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조립체(20)는 상기 하우징(22), 상기 결합 부재(24), 복원 부재(restoration member)(26) 및 배플(baffle)(28)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부재(24), 상기 복원 부재(26) 및 상기 배플(28)은 모두 상기 하우징(22)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22)은 필렛들(fillets) 또는 다른 형상들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직사각형, 타원형, 직사각형 형상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2)은 전술한 커넥터(8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그루브(232)를 정의하고, 여기서, 상기 장착 그루브(232)는 전술한 정합 부위(mating site)이다.
도 25, 및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2)은 하부 리드(bottom lid)(25), 중간 프레임(middle frame)(23) 및 상부 리드(top lid)(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리드(25) 및 상기 상부 리드(21)는 각각 상기 중간 프레임(23)의 대향하는 측부들에 연결된다. 상기 상부 리드(21)는 일반적으로 상기 웨어러블 장치(1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상부 리드(21)는 예를 들어 사파이어, 글라스 또는 투명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리드(25)는 상기 중간 프레임(23)에 대해 별개일 수 있거나, 상기 중간 프레임(2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리드(25)는 상기 하부 리드(25)를 관통하는 채널(channel)(252)을 정의한다. 상기 중간 프레임(23)은 플라스틱, 수지, Perspex, 고무, 실리콘, 목재, 세라믹, 세라믹 합금 또는 글라스 등과 같은 비금속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 중간 프레임(23)은 또한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합금 또는 마그네슘 합금 등과 같은 금속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리드(25)의 상기 재료는 상기 중간 프레임(23)의 재료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프레임(23)은 상기 측벽들(side walls)(230)을 가지고, 상기 측벽들(230)은 장착 공간(mounting space)(230s)을 둘러싸며, 상기 장착 공간(230s)은 상기 전자 부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벽들(230)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프레임(rectangular frame)을 둘러싸고, 상기 프레임은 다수의 상호 연결된 측면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측벽들(230)은 상부 측면(2302), 하부 측면(2304), 및 엔드-투-엔드(end-to-end)로 연결된 4개의 주변 측면들(2306)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리드(21)는 상기 상부 측면(2302)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리드(25)는 상기 하부 측면(2304)에 연결된다. 상기 중간 프레임(23)의 상기 4개의 주변 측면들(2306)의 상기 조인트들에 형성된 상기 코너들은 필렛되어(filleted) 있어, 상기 중간 프레임(23)의 상기 4개의 주변 측면들(2306)이 부드럽게 전이되도록 한다. 상기 중간 프레임(23)의 상기 4개의 주변 측면들(2306) 및 상기 상부 리드(21)의 상기 외부면 사이의 상기 조인트들, 그리고 상기 4개의 주변 측면들(2306) 및 상기 하부 리드(25)의 상기 외부면 사이의 상기 조인트들은 부드럽게 전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응력 집중이 감소될 수 있고, 상기 구조물의 상기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장착 그루브(mounting groove)(232)는 상기 중간 프레임(23) 상에 정의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장착 그루브(232)는 서로 연결되는 제1장착 그루브(first mounting groove)(231) 및 제2장착 그루브(second mounting groove)(233)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의 상기 연장 방향 및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의 상기 연장 방향은 서로 수직이다(perpendicular).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는 제1개구(first opening)(2310), 상기 제1개구(2310)와 대향하는 하부 벽(bottom wall)(2312), 및 상기 제1개구(2310)로부터 상기 하부 벽(2312)으로의 방향에서 연장되는 그루브 벽(groove wall)(제1그루브 벽(2314)이라고도 함)을 가진다.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는 제2개구(2330) 및 제2개구(2330)로부터 제1장착 그루브(231)로의 방향에서 연장되는 그루브 벽(제2그루브 벽(2334)이라고도 함)을 가진다.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의 상기 연장 방향은 상기 하부 리드(25)의 상기 채널(252)의 상기 연장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하부 리드(25)의 상기 채널(252) 및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는 상기 제2개구(2330)에서 연결된다.
상기 제1개구(2310) 및 상기 제2개구(2330)는 상기 중간 프레임(23)의 2개의 인접한 측면들에 각각 정의된다. 상기 제1개구(2310)는 상기 주변 측면(2306)에 정의되고, 상기 제2개구(2330)는 상기 하부 측면(2304)에 정의된다. 또는, 상기 제2개구(2330)는 또한 상기 중간 프레임(23)의 상기 상부 측면(2302) 상에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 및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의 상기 배열 방식에 따라, 상기 제1개구(2310) 및 상기 제2개구(2330)는 다른 측면들로 연장되지 않고 2개의 인접한 측면들에 각각 정의되어, 상기 하우징면들의 상기 무결성에 대한 상기 손상이 감소될 수 있다. 전술한 배열 방식으로, 상기 커넥터(80)가 상기 하우징 조립체(20)에 연결될 때, 상기 커넥터(80)의 상기 정합 부재(84)는 상기 제1측벽(2314)의 연장 방향에서 상기 제1개구(2310)로부터 상기 하부 벽(2312)을 향해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 내로 삽입된다. 즉, 상기 정합 부재(84)는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의 상기 깊이 방향에서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 내로 삽입된다.
싱크(sink)(234)는 또한 상기 중간 프레임(23)의 측벽(230) 상에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싱크(234)의 개구는 상기 주변 측면(2306) 상에 있으며,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의 상기 제1개구(2310)는 상기 싱크(234)의 그루브 하부에 있고, 상기 싱크(234)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제1개구(2310)의 단면 프로파일보다 크다. 도 26에 도시된 상기 싱크(234)는 일반적으로 레이스트랙 형상이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싱크(234)는 또한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등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24)는 상기 장착 그루브(232)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22)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0)의 상기 정합 부재(84)가 상기 장착 그루브(232)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제1경사면(842)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합 부재(84)에 맞닿는다(abut). 상기 커넥터(80)의 상기 정합 부재(84)가 상기 장착 그루브(232) 내로 추가로 삽입될 때,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제1경사면(842)은 상기 결합 부재(24)가 상기 제1경사면(842) 상에서 이동하도록 가압하여 상기 결합 부재(24)가 변위된다. 상기 결합 부재(24)는 상기 회피 공간(avoidance space)을 제공하도록 이동하고, 상기 회피 공간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합 부재(84)가 상기 장착 그루브(232) 내로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커넥터(80)가 상기 장착 그루브(232) 내로 사전 결정된 위치로 삽입되면,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80)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20)가 스냅-핏(snap-fit)에 의해 연결되도록 상기 결합 부재(24)는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리세스(85)에 복원되고(restored) 수용된다(accommodated). 상기 정합 부재(84)가 상기 장착 그루브(23) 내로 삽입되고 상기 결합 부재(24)에 맞닿기 시작하는 위치는 상기 제1위치(first position)로 정의되며, 상기 결합 부재(24)가 상기 리세스(85)에 복원 및 수용되는 위치는 제2위치(second position)로 정의된다. 상기 장착 그루브(232)의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장착 그루브(232)의 상기 제2위치로 상기 정합 부재(84)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결합 부재(24)는 제한된 위치 내에서 이동하고 상기 하우징(22)과 상기 커넥터(80)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80)와 결합하도록 복원된다.
상기 커넥터(80)의 상기 정합 부재(84)가 제1방향으로 상기 장착 그루브(232)의 상기 제2위치로 삽입된 후, 상기 결합 부재(24)의 일부는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리세스(85)에 수용되어, 상기 정합 부재(84)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리세스(85)의 상기 내벽이 상기 결합 부재(24)에 맞닿고, 따라서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이동은 상기 결합 부재(24)에 의해 차단되며, 이로써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이동은 상기 결합 부재(24)에 의해 제한된다. 반대로, 상기 결합 부재(24)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면, 상기 결합 부재(24)는 상기 정합 부재(84)의 내벽에 맞닿을 수 있으므로, 상기 결합 부재(24)의 상기 이동은 또한 상기 정합 부재(84)에 의해 차단되고, 이로써 상기 결합 부재(24)의 상기 이동은 또한 상기 정합 부재(84)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 부재(24)가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리세스(85)에 수용될 때, 상기 정합 부재(84) 및 상기 결합 부재(24)는 상기 제1방향에서 서로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상기 정합 부재(84) 및 상기 결합 부재(24)는 상기 연결 상태로 유지되어 그들 사이의 상기 결합을 달성한다. 상기 결합 부재(24) 및 상기 정합 부재(84) 사이의 상기 결합으로 인해, 상기 커넥터(80)의 상기 정합 부재(84)는 상기 결합 부재(24)에 의해 상기 하우징 조립체(20)의 상기 장착 그루브(232)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 부재(24) 및 상기 정합 부재(84) 사이의 상기 결합 상태를 변경하지 않으면, 상기 커넥터(80)는 상기 장착 그루브(232)로부터 제거될 수 없는데, 즉 상기 커넥터(80)는 상기 하우징 조립체(20)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로써 상기 커넥터(80)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20) 사이의 스냅-핏(snap-fit)을 달성한다.
상기 커넥터(80)의 상기 정합 부재(84)가 장착 그루브(232)로부터 빠져나올 때, 상기 결합 부재(24)는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리세스(85)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동하고, 이로써 상기 정합 부재(84)가 상기 장착 그루브(232)를 빠져나가는 회피 공간을 제공하고, 이 시점에서 상기 결합 부재(24)는 도 32에 도시된 상태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조립체(20)의 상기 장착 그루브(232)에 결합 부재(24)를 제공하고, 상기 결합 부재(24)는 상기 커넥터(80)가 상기 장착 그루브(232) 내로 삽입되거나 제거될 때 회피 공간을 제공하도록 이동하고, 상기 커넥터(80)가 미리 정의된 위치, 즉 상기 제2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결합 부재(24)는 상기 커넥터(80)와 결합하도록 복원되며, 이로써 상기 하우징 조립체(20) 및 상기 커넥터(80)의 상기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장착 그루브(232)에 상기 커넥터(80)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30)의 상기 구조가 간단(simple)할 수 있고, 상기 커넥터(80)와 상기 전자 장치(30) 사이의 상기 연결이 보다 확실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커넥터(80) 및 상기 전자 장치(30)를 조립할 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커넥터(80)를 상기 전자 장치(30)에 삽입하기만 하면된다. 따라서, 상기 조립 및 분해 과정은 간단하고 수고가 절약되며 신속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상기 결합 부재(24)는 상기 복원 부재(26)로 구동시키거나 수동으로 누르거나 당겨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24)의 상기 복원은 상기 결합 부재(24)가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지칭할 수 있고, 물론, 상기 결합 부재(24)가 원래 위치로 완전히 복원되지 않고 중간 위치(intermediate position)로 복원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 부재(24)를 움직이게 하는 상기 구동력은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결합 부재(24)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적용하는 힘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커넥터(80)가 상기 장착 그루브(232) 내로 삽입될 때, 상기 결합 부재(24)는 상기 커넥터(80)의 상기 제1경사면(842)에 의해 발생된 상기 힘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결합 부재(24)는 상기 제1경사면(842)과 정합하는 경사면(제2경사면(248)으로도 지칭됨)이 제공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물론,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24)에는 경사면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24)의 상기 이동은 선형 이동일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24)의 상기 이동 방향은 제2방향으로 정의되며,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커넥터(80)가 상기 장착 그루브(232) 내로 삽입되거나 제거되는 방향과 상이하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커넥터(80)가 상기 장착 그루브(132) 내로 삽입되거나 제거되는 방향에 수직이다.
상기 결합 부재(24)는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합금 또는 마그네슘 합금 등과 같은 금속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24)는 또한 플라스틱, 세라믹 합금 등과 같은 비금속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도 34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 부재(24)는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가압부(pressing portion)(240), 제1결합부(first engaging portion)(244) 및 제2결합부(second engaging portion)(246)를 포함한다.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부(2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개구(2330)에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2개구(2330)를 통해 상기 가압부(240)를 누르거나(press) 당길(pull) 수 있다. 상기 가압부(240)의 일단부에는 도브테일 조인트(dovetail joint)(2400)가 구비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가압 캡(pressing cap)(242)은 상기 가압부(240)의 단부에 상기 제1결합부(244)로부터 멀어지게 배치된다. 상기 가압 캡(242)은 상기 하부 리드(25)의 상기 채널(252)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리드(25)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압 캡(242)의 상기 폭은 상기 가압부(240)의 상기 폭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 캡(242)의 상기 폭은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의 상기 폭보다 커서, 상기 가압 캡(242)이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를 향해 이동할 때, 상기 가압 캡(242)이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 내로 진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가압 캡(242)의 상기 양측에는 상기 제1결합부(244)를 향해 연장되는 필러들(pillars)(2420)이 제공된다. 도 34에 도시된 상기 필러들(2420)의 수는 2개이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필러들(2420)의 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결합부(244)는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에 배치되고,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에 상기 제1결합부(244) 및 상기 제2결합부(246)를 구속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에 수직인 연장 방향에서, 상기 제1결합부(244)의 상기 폭은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의 상기 폭보다 크다. 상기 제1결합부(244)가 제2장착 그루브(233) 및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의 조인트 섹션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결합부(244)는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의 주변에서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의 상기 그루브 벽(2314)에 맞닿고, 이로써, 상기 제1결합부(244)가 제2장착 그루브(233)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상기 제1결합부(244)는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에 구속된다(confined).
상기 제1결합부(244)는 정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결합부(244)의 일단부에는 도브테일 슬롯(dovetail slot)(2440)이 제공되고, 상기 도브테일 슬롯(2440)은 상기 가압부(240) 상의 상기 도브테일 조인트(dovetail joint)(2400)와 협동한다. 상기 도브테일 조인트(2400) 및 상기 도브테일 슬롯(2440)의 상기 협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240) 및 상기 제1결합부(244) 사이의 상기 스냅-핏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브테일 조인트(2400)와 상기 도브테일 슬롯(2440)을 정의하는 상기 제1결합부(244) 사이의 상기 맞춤은 억지 끼워 맞춤(interference fit)일 수 있다.
도 31 내지 도 33 및 도 34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상기 제2결합부(246)는 상기 정합 부재(84)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246)는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240)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제1결합부(244)의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1결합부(244)가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 내로 진입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제2결합부(246)는 또한 상기 제1결합부(244)에 의해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에 구속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244)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제2결합부(246)의 상기 단부는 상기 제1개구로부터 멀어지는 면에서 연장되어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제2결합부(246)는 상기 정합 부재(84)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accommodation space)을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결합부(246)는 바(bar)일 수 있다. 상기 바의 상기 폭은 상기 제1결합부(244)의 폭보다 크고, 상기 바는 상기 커넥터(80)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경사면(248)은 상기 바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제1개구(2310)와 마주하는 상기 바의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는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수직인 제3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3방향에서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측면(840)을 관통한다. 상기 바의 양단부는 상기 제1결합부(244)를 넘어 연장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상기 정합 부재(84)의 수가 2인 경우, 각 상기 2개의 정합 부재들(84)은 상기 바의 대응하는 단부와 정합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바의 다른 측부는 제2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평한 면(flat face)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개구에서 멀어지는 상기 바의 면 및 상기 제2방향 사이의 상기 각도는 0° 내지 5° 이어서, 상기 바 및 상기 정합 부재(84)는 상기 바가 상기 리세스(85)에 수용된 후에 더 나은 방식으로 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80)는 상기 하우징 조립체(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정합 부재(84)가 상기 제1방향, 즉 상기 제1그루브 벽(2314)의 상기 연장 방향으로 제1장착 그루브(231)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제1경사면(842)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경사면(248)에 맞닿는다. 상기 정합 부재(84)가 상기 제1방향에서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 내로 계속해서 삽입되면, 상기 제1경사면(842)은 상기 제2경사면(248)에 작용하여 상기 결합 부재(24)가 상기 제2방향으로, 즉 상기 제2그루브 벽(2334)의 상기 연장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합 부재(84)를 위한 회피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정합 부재(84)가 상기 제2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결합 부재(24)가 복원되고 상기 바는 상기 결합 부재(84)의 상기 리세스(85)로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바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합 부재(84)가 제1장착 그루브(231)를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 부재(24)를 장착할 때, 상기 가압부(240)는 상기 제2개구(2330)를 통해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가압부(240)의 상기 도브테일 조인트(2400)는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 캡(242)은 상기 제2개구(2330)의 외부에 남겨진다. 상기 제2결합부(246) 및 상기 제1결합부(244)는 상기 제1개구(2310)로부터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 내로 장착되고, 상기 제1결합부(244) 상의 상기 도브테일 슬롯(2440)은 상기 도브테일 조인트(2400)와 정합하여, 상기 제1결합부(244)는 상기 가압부(240)에 연결된다. 이어서, 상기 하부 리드(25)는 상기 중간 프레임(23)에 장착되고, 상기 가압 캡(242)은 상기 하부 리드(25)의 상기 채널(252)에 배치된다. 자연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 캡(242)의 상기 외부면 및 상기 하부 리드(25)의 상기 외부면은 서로 플러시(flush)되고 협력하여, 부드러운 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1결합부(244) 및 상기 제2결합부(246)는 일체형 구조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제1결합부(244) 및 상기 제2결합부(246)는 테논, 접합, 용접, 스크류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원 부재(26)는 상기 결합 부재(24) 및 상기 하우징(2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 부재(24)가 이동한 후 복원하도록 상기 결합 부재(24)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복원 부재(26)는 스프링, 고무 등과 같은 탄성 부재(elastic member)(26a)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26a)의 일단부는 상기 결합 부재(24)에 연결되도록 상기 가압 캡(242)의 상기 필러(2420) 상에 슬리브되고, 상기 가압 캡(242)의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22)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중간 프레임(23)의 상기 하부 측면(2304)은 상기 필러(242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용 홀(receiving hole)(236)을 정의하고, 상기 수용 홀(236)은 막힌(blind) 홀이고 하부 벽을 가진다. 상기 필러들(2420)은 상기 필러(2420) 상에 슬리브된 상기 탄성 부재(26a)와 함께 상기 수용 홀(236)에 수용되어, 상기 탄성 부재(26a)의 일단부는 상기 수용 홀(236)의 상기 하부 벽에 맞닿는다.
상기 정합 부재(84)가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 내로 계속해서 삽입될 때, 상기 제1경사면(842)은 상기 결합 부재(24)를 구동시켜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로부터 멀어지도록 하고, 상기 가압 캡(242)은 이에 따라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를 향해 이동하고, 이로써 상기 탄성 부재(26a)를 압착시킨다. 상기 정합 부재(84)가 상기 제2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바 및 상기 정합 부재(84)는 맞닿는 상태(abutting state)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변형된 탄성 부재(26a)는 원래 형태로 복원될 수 없어서 압축된 상태(compressed state)로 유지된다. 상기 정합 부재(84)가 상기 제2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바는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리세스(85)와 정렬되고, 상기 바 및 상기 정합 부재(84)는 더 이상 서로 맞닿지 않으며, 이 시점에서 상기 탄성 부재(26a)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이로써 상기 바가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가압 캡(242)을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하도록 구동시키는데, 즉 상기 바는 복원하도록 구동되어 상기 바는 상기 리세스(85)로 떨어진다.
상기 전자 장치(30)로부터 상기 커넥터(80)를 제거할 때, 상기 제1가압 캡(242)를 먼저 감압하여 상기 바가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로부터 멀어져서 상기 리세스(85)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함으로써, 상기 정합 부재(84)를 위한 회피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압 캡(242)은 충분히 큰 터치 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압 캡(242)을 손가락들로 누르는 것이 편리하다. 다음에, 상기 정합 부재(84)는 상기 제1방향에서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로부터 인출된다. 상기 가압 캡(242)이 해제된 후, 상기 탄성 부재(26a)는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고 상기 결합 부재(24)는 복원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프레임(23)의 상기 하부 측면(2304)은 수용 홀(236)을 한정할 필요가 없고, 상기 탄성 부재(26a)는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26a)의 일단부는 상기 제1결합부(244)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제2결합부(246)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탄성 부재(26a)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의 제1그루브 벽(2314)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원 부재(26)는 또한 자석 세트(magnet set)(26b)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석 세트(26b)는 제1자석(first magnet)(262) 및 제2자석(second magnet)(264)을 포함한다. 상기 제1자석(262)은 상기 결합 부재(24)에 연결되고, 상기 제2자석(264)은 상기 하우징(22)에 연결된다. 서로 마주하는(facing) 상기 제1자석(262) 및 상기 제2자석(264)의 면들은 동일한 자성을 가지고 서로 밀어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자석(262)은 상기 필러(242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자석(264)은 상기 수용 홀(236)의 상기 하부 벽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서로 대면하는 상기 제1자석(262) 및 상기 제2자석(264)의 상기 면들은 동일한 자성을 가지고 밀어내기 때문에 상기 제2자석(264)은 상기 제1자석(262)을 상기 제2자석(264)에서 멀어지게 구동시켜 상기 가압 캡(242)이 제2장착 그루브(23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상기 제2결합부(246)는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로써 상기 제2결합부(246)를 구동시켜 복원시킨다.
상기 제1자석(262) 및 상기 제2자석(264)은 다른 위치들에 장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자석(262) 및 상기 제2자석(264)의 상기 유사점들과 차이점들은 상기 제1자석(262) 및 상기 제2자석(264)의 특정 장착 위치들에 의존하며, 상기 결합 부재(24)가 복원될 수 있는 한, 본 발명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플(28)은 상기 싱크(234)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22)에 연결된다. 상기 배플(28)의 상기 형상은 상기 싱크(234)의 상기 형상과 정합할 수 있다. 도 39 및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플(28)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disposed opposite) 제1면(first face)(280) 및 제2면(second face)(282)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280)은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와 대면한다(face). 상기 배플(28)은 상기 제1면(280) 및 상기 제2면(282)을 관통하는 관통 홀(284)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 홀(284)은 상기 제1개구(2310)와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80)의 상기 정합 부재(84)는 상기 관통 홀(284)을 통과하여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 내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제1면(280)의 상기 양단부에는 각각 돌출부들이 제공되고, 각 돌출부들은 스크류 홀(screw hole)을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싱크(234)의 하부 벽은 상기 돌출부들 내의 상기 스크류 홀들에 대응하는 스크류 홀들을 정의한다. 상기 배플(28)은 상기 돌출부들 상의 각 스크류 홀 및 상기 중간 프레임(23)의 상기 측벽(230) 상의 상기 스크류 홀을 통과하여 고정되는 스크류를 통해 상기 중간 프레임(23)에 연결된다.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배플(28)의 상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나사산 파스너(threaded fastener)를 통한 상기 배플(28)과 상기 미들 프레임(23) 사이의 상기 연결의 상기 견고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배플(28)의 양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배플(28)의 상기 중간부는 상대적으로 얇아서, 상기 배플(28)의 상기 중간부의 상기 두께가 감소될 수 있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10)는 가볍고 얇게 설계될 수 있어서, 상기 부품들이 컴팩트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방향으로의 상기 리세스(85)의 상기 폭(width)은 상기 배플(28)의 상기 중간부의 상기 두께(thickness)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80)가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 내로 이동하거나 상기 관통 홀(284)을 따라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 밖으로 이동할 때, 상기 리세스(85)가 상기 배플(28)에 끼이는(stuck)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상기 커넥터(80)의 분해 및 조립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관통 홀들(284)의 상기 개수(number) 및 분포(distribution)는 정합 부재(84)의 상기 개수 및 분포에 각각 대응한다. 예를 들어, 상기 커넥터(80)가 서로 이격되는 2개의 정합 부재(84)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배플(28)은 서로 이격되는 2개의 관통 홀들(284)을 포함할 것이다.
상기 관통 홀(284)의 상기 형상(shape)은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형상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 홀(284)의 상기 형상은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단면 형상과 정합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단면이 레이스트랙 형상(racetrack-shaped)인 경우, 상기 관통 홀(284)은 레이스트랙 형상이다.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단면이 원형(circular)인 경우, 상기 관통 홀(284)은 원형이다.
상기 관통 홀(284)의 상기 크기(size)는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외부 윤곽의 크기와 대략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 홀(284)의 상기 크기는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외부 윤곽의 크기보다 약간 클 수 있으므로, 상기 정합 부재(84)는 상기 관통 홀(284)을 쉽게 통과할 수 있고, 상기 관통 홀(284)과 상기 정합 부재(84)가 서로 밀착되어(tightly fit) 상기 웨어러블 장치(10)의 상기 방수(waterproof) 및 방진(dustproof)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배플(28)의 상기 두께는 상기 싱크(234)의 상기 깊이보다 작고, 상기 싱크(234)의 벽들 및 상기 배플(28)의 상기 제2면(282)은 반-개방(semi-open) 수용 공간(286)을 정의한다. 상기 수용 공간(286)은 상기 커넥터(80)가 장착된 후 상기 커넥터(80)의 상기 메인 바디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수용 공간(286)은 또한 상기 스트랩 바디(6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커넥터(80)가 은폐될 수 있어서, 상기 주변 환경으로부터 상기 커넥터(80)에 대한 간섭이 감소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22) 및 상기 스트랩 바디(60) 사이의 상기 연결 신뢰성(connection reliability)이 개선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부재(24)는 서로 연결된 결합부(engaging portion)(244a) 및 가압부(pressing portion)(24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244a) 및 상기 가압부(240)는 일체형 구조(integrated structure)일 수 있거나 테논, 용접, 접합, 스크류 등으로 서로 연결된 분리된 부품들(separated components)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상기 결합 부재(24)의 상기 구조는 적어도 제2결합부(246)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전술한 결합 부재(24)와 상이하다. 즉, 본 실시 예의 상기 결합부(244a)는 전술한 실시 예의 제1결합부(244)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경사면(248)은 상기 결합부(244a)의 단부에 상기 가압부(240)로부터 멀어지게(away from) 배치된다. 또는,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가압부(240)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결합부(244b)의 단부는 피팅 홀(fitting hole)(2402)을 정의한다. 상기 제1방향에서, 상기 피팅 홀(2402)은 상기 결합부(244b)를 관통하고, 상기 제2경사면(248)은 상기 피팅 홀(2402)의 내벽 상에 제공된다. 상기 정합 부재(84)는 상기 피팅 홀(4422)을 통과하여, 상기 결합부(244b)와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244b)는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에 상기 결합부를 구속하기(confine) 위해 전술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244)의 상기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상기 커넥터(80)를 상기 하우징 조립체(20)와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커넥터(80)의 상기 정합 부재(84)와 결합하도록 전술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결합부의 상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상황에서, 상기 복원 부재(26)는 상기 결합부(244a, 244b) 및 상기 하우징(2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원 부재(26)가 탄성 부재(26a)인 경우, 상기 탄성 부재(26a)의 일단부는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240)와 연결된 상기 결합부(244a, 244b)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탄성 부재(26a)의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22)에 연결되고, 예를 들어 제2장착 그루브(233)에 인접한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의 상기 제1그루브 벽(2314)에 연결된다. 또는, 상기 탄성 부재(26a)의 일단부는 상기 가압부(240)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결합부(244a, 244b)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부재(26a)의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22)에 연결되고, 예를 들어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의 상기 제1그루브 벽(2314)에 연결된다.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리세스(85)가 관통 홀인 상황에서,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부재(24)는 서로 연결되는 결합부(240) 및 가압부(244c)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와 달리, 상기 결합부(244c)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부(240)로부터 멀어지게 컬럼(column)(244d)이 제공되고, 상기 제2경사면(248)은 상기 컬럼(244d)의 단부에 제공된다. 상기 정합 부재(24)가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에서 상기 제2위치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컬럼(244d)은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리세스(85)(즉, 상기 관통 홀)로 삽입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개구(third opening)(2336)는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의 상기 제2그루브 벽(2334)에 정의되고, 상기 제3개구(2336)는 상기 제1개구(2310) 및 상기 제2개구(2330)에 연결된다. 상기 결합 부재(24)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결합 부재(24)는 상기 제3개구(2336) 및 상기 제1개구(2310)를 통해 상기 장착 그루브(23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결합부(244) 및 제2결합부(246)는 제1개구(2310)를 통해 제1장착 그루브(231)에 장착되고, 상기 가압부(240)는 상기 제3개구(2336)를 통해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에 장착되며, 상기 가압 캡(242)은 상기 제2개구(2330) 외부에 유지되며, 이어서, 상기 제3개구(2336) 및 상기 제1개구(2310)에 상기 배플(28)이 배치되고, 상기 배플(28)은 상기 제3개구(2336)를 커버하는 한편, 상기 배플(28)의 상기 관통 홀(284)은 상기 제1개구(2310)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술한 실시 예 중 임의의 실시 예의 상기 결합 부재(24), 예를 들어 상기 가압부(240), 상기 가압 캡(242), 상기 제1결합부(244), 상기 제2결합부(246) 등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 부재(24)는 일체형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넥터, 스트랩, 하우징 조립체 및 전자 장치를 추가로 제공하며, 이는 전술한 실시 예들 중 임의의 상기 커넥터(80), 상기 스트랩(50), 상기 하우징 조립체(20) 및 상기 전자 장치(30)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정합 부재 상에 제1경사면을 제공하고,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하우징 조립체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정합 부재에 리세스를 정의하고,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하우징 조립체와 결합하고 상기 하우징 조립체를 가압하여 상기 회피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하여,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미리 정의된 위치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리세스 내에 복원(restored) 및 수용되는 상기 결합 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 조립체에 고정(locked)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구조가 간단(simple)할 수 있고,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상기 연결이 보다 안정적(reliable)일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하우징 조립체를 조립할 때 상기 커넥터를 하우징 조립체로 삽입하기만 하면된다.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상기 장착 그루브에 결합 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거나 제거될 때 이동함으로써 회피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커넥터가 미리 정의된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도록 복원되며, 이로써 상기 커넥터를 상기 하우징 조립체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를 상기 장착 그루브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구조가 간단할 수 있고,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상기 연결이 보다 안정적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커넥터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조립할 때 상기 커넥터를 상기 전자 장치로 삽입하기만 하면된다. 상기 조립 및 분해 과정은 간단하고 노력이 절약되며 신속하므로 상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상에 더 큰 그루브들 또는 홀들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부품들이 컴팩트하게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 조립체 및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며, 상기 하우징 조립체 및 상기 커넥터는 전술한 웨어러블 장치에 적용되며, 상기 하우징 조립체는 전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하우징 조립체(20)일 수 있고, 상기 커넥터는 전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커넥터(80)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도 45를 참조한다. 상기 조립 방법의 동작들은 다음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M101)에서: 정합 부재는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장착 그루브 내로 제1위치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은 결합 부재에 맞닿는다.
블록(M102)에서: 상기 정합 부재는 상기 장착 그루브의 상기 제2위치를 향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경사면 상에 이동시켜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는 상기 회피 공간을 제공한다.
블록(M103)에서: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장착 그루브의 상기 제2위치로 삽입되면,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리세스 내에 복원되고 동시에 수용되어, 스냅-핏에 의해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를 연결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24)에는 제2경사면(248)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블록(M101)에서, 상기 커넥터(84)의 상기 제1경사면(842)은 상기 결합 부재(24)의 상기 제2경사면(248)에 맞닿는다. 상기 블록(M102)에서, 상기 제2경사면(248)은 상기 제1경사면(842) 상에 이동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24)는 선형으로 이동하고, 상기 결합 부재(24)의 상기 이동 방향은 상기 커넥터(80)가 상기 장착 그루브(132) 내로 삽입되는 방향과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 부재(24)의 상기 이동 방향은 상기 커넥터(80)가 상기 장착 그루브(232) 내로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장착 그루브(232)는 서로 연결되는 제1장착 그루브(231) 및 제2장착 그루브(233)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들(M101, M102)에서, 상기 정합 부재(24)는 상기 제1그루브 벽(2314)의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 부재(24)는 상기 제2그루브 벽(2334)의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 조립체(22)는 상기 복원 부재(26), 예를 들어 탄성 부재(26a)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24)는 상기 탄성 부재(26a)에 의해 복원되도록 구동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24)는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가압부(240), 제1결합부(244) 및 제2결합부(246)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부재(26a)는 상기 가압부(244)와 상기 하우징(22)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블록(M101) 이전에, 상기 제1결합부(244)는 상기 하우징(22)에 맞닿아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에서 상기 제1결합부(244) 및 상기 제2결합부(246)를 구속한다. 상기 블록(M102)에서, 상기 제2결합부(246)는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제1경사면(842) 상에 이동하고; 상기 가압부(240)는 상기 탄성 부재(26a)를 상기 하우징(22)쪽으로 압착하여(squeeze) 상기 탄성 부재(26a)가 압축되도록(compressed) 한다. 상기 블록(M103)에서, 상기 탄성 변형된 탄성 부재(26a)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이런 과정에서, 상기 결합 부재(24)를 복원하여 상기 제2결합부(246)가 상기 리세스(8)로 진입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24)는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가압부(240) 및 결합부(244a)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M101) 이전에, 상기 결합부(244a)는 상기 하우징(22)과 협력하여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 내에 상기 결합부(244a)를 구속한다. 상기 블록(M102)에서, 상기 결합 부재(24)는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제1경사면(842) 상에 이동하고 상기 탄성 부재(26a)를 상기 하우징(22) 방향으로 압착하여 상기 탄성 부재(26a)가 압축되도록 한다. 상기 블록(M103)에서, 상기 탄성 부재(26a)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이런 과정에서 상기 결합 부재(24)는 상기 탄성 부재(26a)의 구동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결합부(244a)는 상기 리세스(85)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리세스(85) 및 상기 제1경사면(842)은 전이면(848)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블록(M102) 이후, 즉, 상기 제1경사면(842) 상에 상기 결합 부재(24)의 이동이 완료된 후, 상기 결합 부재(24)는 상기 리세스(85)에 즉시 들어가지 않지만, 상기 리세스(85)와 상기 제1경사면(842) 사이에서 상기 전이면(848)을 통과해야 한다. 이런 과정에서, 상기 결합 부재(24)는 상기 정합 부재(84)가 상기 리세스와 정렬되는 지점, 즉 상기 결합 부재(84)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는 지점으로 이동할 때까지 전이면(848)에 맞닿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하우징 조립체 및 커넥터를 분해하기 위한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전술한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84)는 상기 장착 그루브(232) 내로 삽입되고 상기 결합 부재(24)는 상기 리세스(85)에 수용되어 상기 커넥터(80)와 상기 하우징 조립체(20)를 스냅-핏으로 연결한다.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냅-핏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기 하우징 조립체(22) 및 상기 커넥터(80)를 분해하는 상기 방법은 다음의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M201)에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정합 부재를 위한 회피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리세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 부재(24)는 상기 결합 부재(24)를 누르거나 당겨서 상기 리세스(85)로부터 당겨질(pulled away from) 수 있다.
블록 M202에서: 상기 정합 부재는 상기 장착 그루브로부터 인출될(pulled out from)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1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 예들 통해 본 발명의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를 조립 및 분해하는 상기 방법들을 설명한다.
상기 커넥터(80)의 상기 정합 부재(84)가 상기 제1방향, 즉 상기 제1그루브 벽(2314)의 상기 연장 방향에서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제1경사면(842)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경사면(248)에 맞닿는다.
상기 정합 부재(84)가 상기 제1방향에서 상기 제2위치를 향해 제1장착 그루브(231) 내로 계속 삽입될 때, 상기 제1경사면(842)은 상기 제2경사면(248)에 작용하여, 상기 결합 부재(24)는 전체적으로 제2방향에서, 즉 상기 제2그루브 벽의 상기 연장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 캡(242)은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를 향한 방향, 즉 상기 수용 홀(236)의 상기 하부 벽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가압 캡(242)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압 캡(242)은 상기 탄성 부재(26a)를 계속 압축한다. 상기 제2결합부(246)는 상기 제1경사면(842) 상에 이동하고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로써 상기 정합 부재(84)를 위한 회피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2결합부(246)가 상기 제1경사면(842)을 통과한 후, 상기 제2결합부(246)는 상기 전이면(848)에 맞닿고, 상기 정합 부재(84)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하부 벽(2312)을 향해 계속 이동한다. 상기 제2결합부(246)가 상기 전이면(848)에 맞닿은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결합부(24)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을 멈추는데, 즉 상기 가압 캡(242)은 상기 수용 홀(236)의 상기 하부 벽을 향한 상기 방향으로 상기 탄성 부재(26a)를 더 이상 압축하지 않는다. 대신에, 상기 가압 캡(242)은 상기 현재 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탄성 부재(26a)는 상기 현재 압축 상태에 유지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상기 정합 부재(84)는 상기 제2결합부(246)에 대해 맞닿은 상태로 이동하고 유지되며, 상기 변형된 탄성 부재(26a)가 원래 형태로 복원될 수 없도록 하였다.
상기 정합 부재(84)가 상기 제2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리세스(85)는 상기 제2결합부(246)와 정렬된다. 이런 시점에서, 상기 정합 부재(84)는 더 이상 상기 제2결합부(246)에 맞닿지 않는다. 이때, 상기 탄성 부재(26a)는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26a)의 구동에 의해 상기 결합 부재(24)가 복원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부재(26a)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때, 상기 결합 부재(24)가 복원되도록 구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 캡(242)은 상기 탄성 부재(26a)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결합부(246)는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결합부(246)는 상기 정합 부재(84)의 상기 리세스(85)로 떨어지고, 상기 정합 부재(84)를 제한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정합 부재(84)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에 고정된다. 상기 제2결합부(246)는 상기 정합 부재(84)가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커넥터(80)와 상기 하우징 조립체(20) 사이의 상기 스냅-핏을 달성할 수 있다.
스냅-핏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기 커넥터(80)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20)가 분해될 때, 먼저 상기 가압 캡(242)은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를 향한 상기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탄성 부재(26a)를 압착하여 상기 탄성 부재(26a)를 압축하고, 상기 가압 캡(242)의 상기 이동은 상기 결합 부재(24)를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결합부(246)는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리세스(85)를 빠져나가고, 이에 따라 상기 결합 부재(84)를 위한 상기 회피 공간을 제공하고 더 이상 상기 결합 부재(84)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 정합 부재(84)는 상기 제1장착 그루브(231)로부터 인출된다.
상기 가압 캡(242)이 해제된 후, 상기 탄성 부재(26a)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상기 결합 부재(24)가 복원되도록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 캡(242)은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결합부(246)는 상기 제2장착 그루브(233)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합 부재(24)가 초기 상태로 복원되게 한다. 이런 상황에서, 상기 가압 캡(242)의 상기 외부면은 상기 하부 리드(25)의 상기 외부면과 플러시(flush)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에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기 하우징 조립체 및 상기 커넥터를 조립할 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커넥터를 상기 하우징 조립체로 삽입하기만 하면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정합 부재 상에 제공된 경사면으로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상기 결합 부재를 가압하면, 회피 공간이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미리 정의된 위치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리세스 내에 복원 및 수용되는 상기 결합 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 조립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조립체와 상기 커넥터를 분해할 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결합 부재를 위한 회피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리세스로부터 상기 결합 부재를 제거하기만 하면되고;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에서 상기 결합 부재를 인출한다. 상기 조립 및 분해 과정은 간단하며, 수고가 적고, 신속하여 상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상기 연결을 보다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케이스(하우징이라고도 함), 밴드(스트랩이라고도 함) 및 록킹 구조(결합 부재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드는 상기 케이스 상에 부착되고,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밴드는 스트랩-형 바디 및 스트랩-형 바디에 연결된 커넥터를 포함하고; 및 상기 커넥터는 제1정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구조는 상기 케이스 상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록킹 구조는 제2정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를 상기 케이스에 설치하는 공정에서, 상기 록킹 구조는 상기 커넥터에 의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커넥터가 상기 케이스로 삽입되도록 구동되고; 상기 록킹 구조가 상기 제2위치에 도달한 후, 상기 록킹 구조는 상기 제2위치에서 제3위치로 이동하도록 추가로 구동되고; 상기 록킹 구조가 상기 제3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2결합부와 정합되어 상기 밴드가 상기 케이스 상에 고정되며; 및 상기 제3위치는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 사이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제3위치는 상기 제1위치와 동일하며;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제2결합부와 정합된 후에, 상기 록킹 구조는 상기 제3위치에서 제4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되고; 상기 록킹 구조가 상기 제4위치에 도달한 후,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 사이의 정합이 해제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고; 및 상기 제4위치는 상기 제2위치와 동일하거나, 상기 제4위치는 상기 제2위치보다 상기 제1위치로부터 더 멀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커넥터를 상기 케이스에 설치하는 공정에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케이스로 삽입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록킹 구조를 가압하여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제1자석 및 제2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자석은 상기 록킹 구조에 연결되고, 상기 제2자석은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록킹 구조가 상기 제2위치에 도달한 후, 상기 제1자석 및 상기 제2자석 사이에 자기 반발력(magnetic repulsion)이 발생되고, 상기 자기 반발력은 상기 록킹 구조를 구동하여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3위치로 이동시킨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커넥터를 상기 케이스에 설치하는 공정에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케이스로 삽입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록킹 구조를 가압하여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탄성 유닛(elastic unit)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유닛의 일단부는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유닛의 타단부는 상기 록킹 구조에 연결되며; 상기 록킹 구조가 상기 제2위치에 도달한 후, 상기 탄성 유닛은 상기 록킹 구조를 구동하여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3위치로 이동시킨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표면 상에 제1장착 슬롯 및 제2장착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장착 슬롯 및 상기 제2장착 슬롯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서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록킹 구조는 키(key) 및 상기 키에 연결된 연결 섹션(connecting section)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섹션은 상기 제2정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를 누르면, 상기 키가 상기 제2장착 슬롯에서 이동하고 상기 연결 섹션이 상기 제1장착 슬롯에서 이동하도록 구동되어 상기 밴드가 상기 제1장착 슬롯으로부터 상기 케이스로 삽입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키는 키 캡(key cap) 및 상기 키 캡에 연결된 연장 섹션(extension section)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 섹션은 상기 연결 섹션에 단단히 연결되고; 상기 탄성 유닛의 일단부는 상기 키 캡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유닛의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록킹 구조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탄성 유닛은 최초 해제 상태로부터 압축 상태로 변환되거나 또는 제1압축 상태로부터 상기 제1압축 상태보다 큰 압축도를 가지는 제2압축 상태로 변환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키는 상기 연결 섹션을 마주하는(facing) 상기 키 캡의 일측에 위치된 2개의 필러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필러들은 상기 연장 섹션의 대향하는(opposite) 2개 측부들에 위치되며; 상기 케이스는 수용 홀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유닛은 스프링이며; 상기 필러들 중 하나는 상기 탄성 유닛의 일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 유닛의 타단부는 상기 수용 홀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스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연장 섹션 및 상기 연결 섹션 중 하나는 고정 블록(fixing block)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 섹션 및 상기 연결 섹션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고정 블록과 정합된 그루브(groove)를 포함하고; 및 상기 고정 블록은 상기 그루브에 끼어서(stuck) 상기 연결 섹션에 대한 상기 키의 위치가 일정하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연결 섹션 상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 블록은 상기 연장 섹션에 연결되며; 상기 키는 상기 제2장착 슬롯으로부터 상기 케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블록이 상기 제1장착 슬롯에 수용되고; 및 상기 연결 섹션은 상기 제1장착 슬롯으로부터 상기 케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블록이 상기 그루브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그루브는 도브테일 그루브이고, 상기 고정 블록은 억지 끼워 맞춤(interference fit) 또는 과도 정합(over matching) 하에서 상기 그루브와 정합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탄성 유닛의 일단부는 상기 키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연결 섹션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유닛의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록킹 구조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탄성 유닛은 최초 해제 상태로부터 압축 상태로 변환되거나 또는 제1압축 상태로부터 상기 제1압축 상태보다 큰 압축도를 가지는 제2압축 상태로 변환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스트랩-형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제1정합부의 단부는 제1연결 표면(first connecting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스트랩-형 바디 및 상기 제1연결 표면 사이에 위치된 제1함몰 영역(first depression region)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를 상기 케이스에 설치하는 공정에서, 상기 제1연결 표면은 상기 록킹 구조와 접촉하고 상기 록킹 구조를 가압하여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록킹 구조가 상기 제3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함몰 영역에 수용되고 상기 제1정합부에 의해 상기 제1함몰 영역에서 제한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연결 표면은 평평한 표면(flat surface)이고 상기 스트랩-형 바디와 대향하는 상기 제1함몰 영역의 일측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연결 표면의 각도 및 상기 록킹 구조의 이동 방향은 예각(acute angle)이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함몰 영역과 상기 제1연결 표면 사이에 위치된 제1전이 표면(first transition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이 표면은 평평한 표면이고 상기 록킹 구조의 상기 이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상기 록킹 구조가 상기 제2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케이스쪽으로 계속 이동하여, 상기 제1전이 표면이 상기 제2정합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1전이 표면이 상기 제2정합부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계속 이동하고; 상기 제2정합부가 상기 제1전이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상기 제2정합부는 상기 제3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정합부는 상기 제1함몰 영역 및 상기 제1연결 표면 사이에 위치된 제1전이 표면(first transition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이 표면은 아치 표면(arc surface)이고; 상기 록킹 구조가 상기 제2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케이스쪽으로 계속 이동하여, 상기 제1전이 표면이 상기 제2정합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1전이 표면이 상기 제2정합부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계속 이동하며; 상기 제2정합부가 상기 제1전이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상기 제2정합부는 상기 제3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정합부는 상기 커넥터의 삽입 방향을 마주하는 제2연결 표면(second connecting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를 상기 케이스에 설치하는 공정에서, 상기 제1연결 표면은 상기 제2연결 표면과 접촉하고 상기 록킹 구조를 가압하여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킨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연결 표면은 평평한 표면이고, 상기 제2연결 표면의 각도 및 상기 록킹 구조의 상기 이동 방향은 예각이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정합부는 상기 커넥터의 삽입 방향과 마주하는 제2 연결 표면(second connecting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정합부는 상기 제2연결 표면에 대향하는 상기 제2정합부의 일측부 상에 제2함몰 영역(second depression region)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를 상기 케이스에 설치하는 공정에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2연결 표면에 접촉하고 상기 록킹 구조를 가압하여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고; 및 상기 록킹 구조가 상기 제3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1정합부는 상기 제2함몰 영역에 수용되고 상기 제2정합부에 의해 상기 제2함몰 영역에서 제한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연결 표면은 평평한 표면이고, 상기 제2연결 표면의 각도와 상기 록킹 구조의 상기 이동 방향은 예각이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정합부는 제2함몰 영역 및 제2연결 표면 사이에 위치된 제2전이 표면(second transitional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이 표면은 평평한 표면이고 상기 록킹 구조의 상기 이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상기 록킹 구조가 상기 제3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케이스를 향해 계속 이동하고, 상기 제1정합부는 상기 제2전이 표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1정합부가 상기 제2전이 표면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계속 이동하며;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제2전이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3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정합부는 상기 제2함몰 영역 및 상기 제2연결 표면 사이에 위치된 제2전이 표면(second transitional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이 표면은 아치 표면이며; 상기 록킹 구조가 제2위치에 도달한 후, 상기 커넥터는 상기 케이스를 향해 계속 이동하고, 상기 제1정합부는 상기 제2전이 표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1정합부가 상기 제2전이 표면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계속 이동하며; 상기 제1정합부가 상기 제2전이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상기 제2정합부는 상기 제3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일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내용에 기초한 동등한 구조 및 공정 변환, 및 다른 관련 기술에서 본 발명의 임의의 직접 또는 간접 적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Claims (22)

  1. 커넥터(connect)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장착 그루브(mounting groove)를 정의하는 하우징(housing); 및
    상기 장착 그루브 내에 배열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결합 부재(engaging member) - 상기 결합 부재는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장착 그루브로 삽입되거나 상기 장착 그루브에서 제거될 수 있는 회피 공간(avoidance space)을 제공하고; 상기 장착 그루브에서 상기 커넥터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결합 부재는 제한된 위치 내에서 이동하고,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해 복원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하우징 조립체(housing assembly),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전자 부품(electronic component),
    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싱크(sink)를 정의하고,
    상기 하우징 조립체는 상기 싱크 내에 장착되는 배플(baffle)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배플에는 상기 커넥터가 통과하는 관통 홀(through hole)이 장착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및 상기 배플은 반-개방(semi-open) 수용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커넥터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원 부재(restoration member)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복원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복원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가 이동한 후 상기 결합 부재를 구동하여 복원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이동은 선형 이동(linear movement)이고,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이동 방향은 상기 커넥터의 상기 삽입 방향 또는 제거 방향과 상이한(different),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장착 그루브에 삽입될 때,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커넥터 상의 경사면(inclined face)에 의해 발생된 가압력(pushing force)으로 인해 이동하는, 전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 상에 경사면(inclined face)이 제공되며,
    상기 결합 부재 상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커넥터 상의 상기 경사면과 정합되는,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그루브는 서로 연결되는 제1장착 그루브(first mounting groove) 및 제2장착 그루브(second mounting groove)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장착 그루브는 제1개구를 가지고, 상기 제2장착 그루브는 제2개구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서로 연결된 다수의 측면들(side faces)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측면들 중 하나에 정의되고, 상기 제2개구는 상기 하우징의 인접한 측면에 정의되는, 전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 그루브는 상기 제1개구와 대향하는 하부 벽(bottom wall) 및 상기 제1개구에서 상기 하부 벽으로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루브 벽(groove wall)을 가지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그루브 벽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장착 그루브로 삽입되는, 전자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가압부(pressing portion), 제1결합부(first engaging portion) 및 제2결합부(second engaging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장착 그루브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2개구에 노출되며;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장착 그루브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 사이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장착 그루브 내의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를 구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가압부의 단부 상에 가압 캡(pressing cap)이 제공되며,
    상기 가압 캡의 폭은 상기 가압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가압 캡의 각 측부(side)에 상기 제1결합부를 향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러(pillar)가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 조립체는 상기 결합 부재를 구동하여 복원되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들(elastic members)을 추가로 포함하고,
    각 상기 탄성 부재들은 대응하는 필러 상에 슬리브되어 있고, 각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가압 캡에 연결되고, 각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전자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싱크의 하부 벽(bottom wall)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배플의 형상은 상기 싱크의 형상과 일치하고;
    상기 배플의 두께는 상기 싱크의 깊이보다 작고,
    상기 싱크의 상기 하부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배플의 측부(side)에 수용 공간(accommodating space)이 형성되는, 전자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apparatus)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connector)로서,
    메인 바디(main body), 및
    상기 메인 바디에 연결되는 정합 부재(mating member) -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정합 부재의 일단부 상에 경사면(inclined face)이 제공되고, 상기 경사면 및 상기 메인 바디 사이에 리세스(recess)가 정의됨 -;
    를 포함하고,
    상기 정합 부재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정합 부위(mating site)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정합 부위 내로 삽입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전자 장치의 결합 부재(engaging member)를 가압하여(push), 상기 경사면 상에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정합 부위 내로 삽입되어 사전 정의된 위치(predefined location)에 도달하면,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리세스 내에 복원되고(restored) 수용되어(accommodated),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는, 커넥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평면(planar face)이고,
    상기 경사면 및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전자 장치로 삽입되는 방향 사이의 각도는 30° 내지 45°의 범위에 있는, 커넥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부재는 측면(side face)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은 상기 메인 바디에 연결되는(connected) 제1단부(first end) 및 상기 메인 바디에서 멀어지는 제2단부(second end)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부는 상기 경사면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 바디 상의 상기 측면의 수직 돌출부(vertical projection)는 원형(circular shape), 레이스트랙 형상(racetrack shape) 또는 다각형(polygonal shape)의 외부 윤곽(outer contour)을 가지는, 커넥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부재는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단부면(end face)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단부면은 상기 측면의 상기 제2단부 및 상기 경사면에 연결되는, 커넥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그루브(groove)이고, 상기 그루브와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정합 부재의 동일한 측부(same side)에 제공되는, 커넥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전자 장치로 삽입되는 방향은 제1방향(first direction)이고,
    상기 결합 부재의 이동 방향은 제2방향(second direction)이며,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수직인 방향은 제3방향(third direction)으로 정의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3방향에서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측면을 관통하는(penetrates through), 커넥터.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와 상기 경사면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리세스와 상기 경사면은 그 사이의 평면(planar face) 또는 곡면(curved face)에 의해 연결되는, 커넥터.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그루브(groove)이고,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전자 장치로 삽입되는 방향은 제1방향(first direction)이고,
    상기 결합 부재의 이동 방향은 제2방향(second direction)이며,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수직인 방향은 제3방향(third direction)으로 정의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3방향에서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측면을 관통하는(penetrates through),
    커넥터.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그루브(groove)이고,
    상기 메인 바디는 연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정합 부재는 상기 연결면에 고정되고, 상기 정합 부재는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면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측면을 관통하는, 커넥터.
  21.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 장치, 커넥터, 및 스트랩 바디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로서,
    상기 커넥터는,
    메인 바디(main body), 및
    상기 메인 바디에 연결되는 정합 부재(mating member) -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정합 부재의 단부 상에 경사면(inclined face)이 제공되고,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경사면 사이에 리세스(recess)가 정의됨 -; 을 포함하고,
    상기 정합 부재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push), 상기 경사면 상에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합 부재가 사전 정의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리세스 내에 복원 및 수용되어,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며; 및
    상기 스트랩 바디는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랩 바디가 상기 커넥터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웨어러블 장치.
  22. 제 21 항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정합 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제1위치(first position)로 삽입하는 동작 -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결합 부재에 맞닿음 -;
    상기 정합 부재를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제2위치(second position)를 향해 삽입하고,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정합 부재의 상기 경사면 상에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로 삽입되는 회피 공간을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정합 부재가 상기 장착 그루브 내의 상기 제2위치로 삽입될 때,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상기 결합 부재를 복원하고, 상기 결합 부재 및 상기 정합 부재 사이의 결합을 통해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조립 방법.

KR1020200059972A 2019-09-04 2020-05-19 커넥터, 전자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조립 방법 Active KR102466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1469740.4 2019-09-04
CN201921469740.4U CN211608393U (zh) 2019-09-04 2019-09-04 可穿戴设备、电子设备及绑带
CN201910831886.7 2019-09-04
CN201910831886 2019-09-04
CN202010060196.9A CN112438467B (zh) 2019-09-04 2020-01-19 壳体组件与连接头的组装方法和拆卸方法
CN202020136064.5 2020-01-19
CN202010060196.9 2020-01-19
CN202020136095.0U CN211407845U (zh) 2019-09-04 2020-01-19 连接头、系带及穿戴设备
CN202020136064.5U CN211407844U (zh) 2019-09-04 2020-01-19 壳体组件、电子设备及穿戴设备
CN202020136095.0 2020-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074A KR20210029074A (ko) 2021-03-15
KR102466268B1 true KR102466268B1 (ko) 2022-11-10

Family

ID=74848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972A Active KR102466268B1 (ko) 2019-09-04 2020-05-19 커넥터, 전자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048669B2 (ko)
KR (1) KR1024662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675A (ko) * 2021-04-15 2022-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13425049B (zh) * 2021-07-29 2023-02-24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表带快拆结构及可穿戴设备
CN113803620A (zh) * 2021-08-27 2021-12-17 郑俭明 一种建筑施工用振动棒的支撑装置
CN113995207B (zh) * 2021-11-16 2024-03-08 歌尔科技有限公司 可穿戴设备
CN114468498B (zh) * 2022-02-15 2024-02-23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快拆结构及穿戴设备
CN114916178B (zh) * 2022-06-29 2023-06-20 惠州市天恩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塑料制品的充电柜面壳
WO2024075992A1 (ko) * 2022-10-06 2024-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33543A (ja) * 2011-11-22 2014-12-15 ウブロ ソシエテ アノニム, ジュネーブHublot S.A., Geneve 取外し自在のブレスレット連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6627A (ja) * 1984-05-31 1985-12-18 Iseki & Co Ltd ボ−ルクラツチ
JPS6246242U (ko) * 1985-09-10 1987-03-20
CA1331032C (en) * 1988-01-25 1994-07-26 Thony, Franz Apparatus for detachably connecting two parts
JPH0738889Y2 (ja) * 1989-06-09 1995-09-06 旭精密株式会社 光学機械用レンズ鏡胴のレンズ枠保持装置
JPH08159166A (ja) * 1994-12-02 1996-06-18 Nippon Columbia Co Ltd 回転部品
JP4059405B2 (ja) * 1997-07-23 2008-03-12 株式会社アイ・エイチ・アイ・エアロスペース ラッチ機構
JP2001077545A (ja) * 1999-08-31 2001-03-23 Sony Corp 連結器具
EP2319349B1 (fr) * 2009-11-05 2012-05-02 Richemont International S.A. Dispositif de fixation d'un bracelet sur une boîte de montre
JP3161658U (ja) * 2010-05-25 2010-08-05 竣揚實業有限公司 キャスターの構造
CN105310198B (zh) * 2015-11-10 2017-05-31 深圳市倍轻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手表
JP6125065B1 (ja) * 2016-03-03 2017-05-10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アクセサリ取付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33543A (ja) * 2011-11-22 2014-12-15 ウブロ ソシエテ アノニム, ジュネーブHublot S.A., Geneve 取外し自在のブレスレット連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38843A (ja) 2021-03-11
JP7048669B2 (ja) 2022-04-05
KR20210029074A (ko) 202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6268B1 (ko) 커넥터, 전자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조립 방법
US12232582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wearable apparatus
US10667584B2 (en) Wearable device and main body of wearable device
US11419396B2 (en) Wearable device
US8230528B2 (en) Swimming goggles
CN109393668B (zh) 可穿戴设备的连接装置及具有该装置的可穿戴设备
CN113229578A (zh) 一种可拆卸的连接件及可穿戴设备
TWI723891B (zh) 殼體元件、電子設備及穿戴設備
CN213405108U (zh) 一种腕戴设备及其连接组件
CN109043752B (zh) 腕戴设备及其表带
CN212117323U (zh) 穿戴设备
CN110101172B (zh) 一种带体可拆卸的可穿戴设备
CN211045295U (zh) 开关
KR20150084569A (ko) 브라켓 어셈블리
CN106606010B (zh) 带扣
CN113876087A (zh) 可穿戴设备
CN114145549A (zh) 可穿戴设备
CN220557531U (zh) 表带和佩戴设备
CN113995207B (zh) 可穿戴设备
CN216382115U (zh) 一种卡扣结构及定时器
JP5841501B2 (ja) 配線器具用取付枠及びそれを用いた配線装置
CN214156410U (zh) 一种连接组件及穿戴设备
CN112293886B (zh) 一种穿戴设备及其连接组件
CN116114980A (zh) 卡扣结构及穿戴设备
WO2023017566A1 (ja) コードストッ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