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64242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242B1
KR102464242B1 KR1020160005417A KR20160005417A KR102464242B1 KR 102464242 B1 KR102464242 B1 KR 102464242B1 KR 1020160005417 A KR1020160005417 A KR 1020160005417A KR 20160005417 A KR20160005417 A KR 20160005417A KR 102464242 B1 KR102464242 B1 KR 102464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seat
deep mode
seat controller
controll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0246A (ko
Inventor
최의현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6/00051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17894A1/ko
Priority to US15/544,734 priority patent/US10688848B2/en
Priority to CN201680002986.3A priority patent/CN106794742B/zh
Publication of KR20160090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2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64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ir streams of different temperatures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6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acoustic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60S1/58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rear windows
    • B60S1/58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rear window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front and rear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석부분을 독립적으로 냉, 난방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프 모드" 진입 시에 후석부분의 냉,난방이 중단된다는 점을 후석부분의 탑승객에게 인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디프 모드" 진입 시에 후석부분의 냉,난방 중단으로 인한 후석부분 탑승객의 오해와 혼동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실내의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와 풍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후석 콘트롤러를 포함하며, 디프 모드의 진입 시에 창유리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디프 모드의 진입 시에, 후석부분의 냉,난방을 오프(OFF)시킴과 아울러, 디프 모드의 진입에 의해 후석부분의 냉,난방이 오프된다는 점을 후석 콘트롤러에 특정 심볼(Symbol)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후석부분을 독립적으로 냉, 난방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프 모드" 진입 시에 후석부분의 냉,난방이 중단된다는 점을 후석부분의 탑승객에게 인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디프 모드" 진입 시에 후석부분의 냉,난방 중단으로 인한 후석부분 탑승객의 오해와 혼동을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실내의 후석부분은, 공조장치가 설치되는 전석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냉,난방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후석부분의 냉,난방효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후석부분의 냉,난방효율을 높이는 방법으로서, 차실내의 후석부분을 독립적으로 냉,난방하는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석 콘트롤러(10)의 리어콘트롤 스위치(Rear Control Switch)(12)를 온(ON)시킨 다음, 전석 콘트롤러(10)의 후석 온도조절스위치(14)와 후석 풍량조절스위치(16) 또는 후석 콘트롤러(20)의 후석 온도조절스위치(22)와 후석 풍량조절스위치(24)를 각각 조작하여 "후석 설정온도"와 "후석 풍량단수"를 입력시키면, 입력된 "후석 설정온도"와 "후석 풍량단수"에 따라 후석부분(30)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와 풍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한다.
따라서, 차실내의 후석부분(30)을 독립적으로 냉,난방한다. 이로써, 후석부분(30)의 냉,난방효율을 높여 후석부분(30)의 쾌적성을 개선시킨다.
여기서, 후석부분(30)을 독립적으로 냉,난방하는 과정에서, 공조장치의 공기토출모드가 수동 또는 자동에 의해 "디프 모드(Def. Mode)"로 제어될 경우, 후석부분(30)의 냉,난방이 오프(OFF)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후석용 보조 블로어(도시하지 않음)를 오프(OFF)시켜, 후석부분(30)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후석부분(30)으로 공급되던 공기를 "전석부분(도시하지 않음)"의 창유리측으로 공급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창유리측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켜 창유림의 김서림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디프 모드"로 제어되고 있는 도중에는, 후석 콘트롤러(20)를 조작해도 후석부분(30)의 냉,난방은 계속해서 오프(OFF)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후석부분(30)의 냉,난방보다 창유리의 김서림 제거를 우선시 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디프 모드" 시에는, 창유리측으로 토출되는 공기량이 저감되지 않게 하여 창유리의 김서림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후석부분(30)을 냉,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디프 모드(Def. Mode)"로 제어될 시에 후석부분(30)의 냉,난방이 갑작스럽게 중단되는데, 이러한 경우, 후석부분(30)의 탑승객이 후석부분(30)의 냉,난방이 오작동되거나 고장난 것으로 오인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후석부분(30)의 탑승객이 후석 콘트롤러(20)를 조작해도, 여전히 후석부분(30)의 냉,난방이 중단된 상태이므로, 후석부분(30)의 탑승객은 공조장치의 고장이 심각한 것으로 오인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공조장치가 "디프 모드(Def. Mode)"로 제어될 시에, 후석 콘트롤러(20)의 디스플레이부(26)와 각 스위치(22, 24)의 인디케이터(22a, 24a)를 오프(OFF)시키고, 이를 통해, 후석부분(30)의 냉,난방이 정지되어 있음을 알려주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디프 모드(Def. Mode)" 제어 시에, 후석 콘트롤러(20)의 디스플레이부(26)와 인디케이터(22a, 24a)들을 아예 오프(OFF)시키는 구조이므로, 후석부분(30)의 냉,난방에 대한 고장의 오해를 오히려 더 가중시킨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디프 모드" 진입 시에, "디프 모드"에 의해 후석부분의 냉,난방이 중단된다는 점을 후석부분의 탑승객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프 모드" 진입 시에 후석부분의 냉,난방이 중단된다는 점을 후석부분의 탑승객에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디프 모드" 진입 시에 후석부분의 냉,난방 중단으로 인한 후석부분 탑승객의 오해와 혼동을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실내의 후석부분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와 풍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후석 콘트롤러를 포함하며, 디프 모드의 진입 시에 창유리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프 모드의 진입 시에, 상기 후석부분의 냉,난방을 오프(OFF)시킴과 아울러, 상기 디프 모드의 진입에 의해 상기 후석부분의 냉,난방이 오프된다는 점을 상기 후석 콘트롤러에 특정 심볼(Symbol)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프 모드의 진입 시에, 상기 후석 콘트롤러의 디스플레이부상에 디프 모드 심볼을 표시하여, 상기 디프 모드의 진입에 따라 상기 후석부분의 냉,난방이 오프된다는 점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프 모드의 진입 시에, 상기 후석 콘트롤러의 디스플레이부상에 디프 모드 심볼을 표시하되, 상기 디프 모드 심볼 이외의 이미지(Image)들은 모두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프 모드의 제어 중에, 탑승객이 상기 후석 콘트롤러의 스위치를 조작할 시에, 상기 후석 콘트롤러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디프 모드 심볼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횟수로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프 모드의 제어 중에, 탑승객이 상기 후석 콘트롤러의 스위치를 조작할 시에, 차실내의 전석부분에 설치된 특정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후석 콘트롤러의 스위치 조작을 의미하는 특정 심볼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프 모드의 제어 중, 탑승객이 상기 후석 콘트롤러의 스위치를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적으로 조작할 경우, 상기 전석부분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특정 심볼을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디프 모드" 진입 시에, 후석 콘트롤러에 디프 모드 심볼을 표시하는 구조이므로, 후석부분의 탑승객에게 현재 "디프 모드" 상태로 제어되고 있음을 인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현재 "디프 모드" 제어 중이므로 후석부분의 냉,난방이 중단된다는 점을 명확하게 인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프 모드" 진입 시에 후석부분의 냉,난방이 중단된다는 점을 후석부분의 탑승객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디프 모드" 진입 시에 후석부분의 냉,난방 중단으로 인한 후석부분 탑승객의 오해와 혼동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프 모드" 진입에 의한 후석부분의 냉,난방 중단 상태에서, 후석부분의 탑승객이 후석 콘트롤러를 조작할 경우, 이러한 후석 탑승객의 후석 콘트롤러 조작을 전석부분의 탑승객에게 특정 심볼로 알리는 구조이므로, 후석 콘트롤러의 조작을 원하는 후석 탑승객의 의사를 전석부분의 탑승객이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석 콘트롤러의 조작을 원하는 후석 탑승객의 의사를 전석부분의 탑승객이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후석부분 탑승객의 의사와 요구에 맞춰 후석부분의 공조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디프 모드 진입 시에 후석 콘트롤러의 디스플레이부 모습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디프 모드 진입 중, 탑승객이 후석 콘트롤러를 조작할 시에 전석 콘트롤러의 디스플레이부 모습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후석부분의 "냉,난방 제어"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후석부분의 "냉,난방 제어"는, 사용자가 전석 콘트롤러(10)의 리어콘트롤 스위치(12)를 온(ON)시킨 다음, 전석 콘트롤러(10)의 후석 온도조절스위치(14)와 후석 풍량조절스위치(16) 또는 후석 콘트롤러(20)의 후석 온도조절스위치(22)와 후석 풍량조절스위치(24)를 각각 조작하여 "후석 설정온도"와 "후석 풍량단수"를 입력시킨다.
그러면, 입력된 "후석 설정온도"와 "후석 풍량단수"에 따라 후석부분(30)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와 풍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한다. 따라서, 차실내의 후석부분(30)을 독립적으로 냉,난방한다.
한편, 후석부분(30)을 독립적으로 냉,난방하는 과정에서, 공기토출모드가 수동 또는 자동에 의해 "디프 모드"로 제어될 경우, 후석부분(30)의 냉,난방이 오프(OFF)된다. 따라서, 후석부분(30)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차단한다.
아울러, "디프 모드"로 제어되고 있는 도중에는, 후석 콘트롤러(20)를 조작해도 후석부분(30)의 냉,난방은 계속해서 오프(OFF)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제어부(40)를 구비한다.
제어부(4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공조장치의 공기토출모드가, 수동 또는 자동에 의해 "디프 모드"로 진입할 시에 후석 콘트롤러(20)의 디스플레이부(26)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콘트롤러(10)의 모드선택스위치(18)를 조작하여 "디프 모드"를 수동으로 선택하였거나, 또는 "오토모드" 시에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에 의해 공기토출모드가 "디프 모드"로 자동 진입하였거나, 또는 "오토모드" 시에 낮은 "외기온도"와 "엔진 냉각수 온도"로 인해 공조장치가 "난방기동제어"되면서 공기토출모드가 "디프 모드"로 자동 진입되었을 경우, 제어부(40)는, 후석 콘트롤러(20)의 디스플레이부(26)를 제어한다.
특히, 후석 콘트롤러(20)의 디스플레이부(26) 중 공기토출모드 표시부(28)를 제어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프 모드 심볼(28a)이 표시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디프 모드"로 제어될 시에, 후석부분(30)의 탑승객에게 현재 공조장치가 "디프 모드"로 제어되고 있음을 알려주고, 이를 통해, "디프 모드"의 제어 시에는 후석부분(30)의 냉,난방이 정지된 상태임을 인식시켜 준다.
참고로, "난방기동제어"는, "외기온도"와 "엔진 냉각수" 온도가 낮은 조건이면, 최소한의 공기만 차실내의 창유리 측으로 제어하는 기술로서, 겨울철 시동초기 시에, 낮은 온도의 공기가 탑승객에게 직접적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어부(40)는, "디프 모드" 제어 시에, 후석 콘트롤러(20)의 디스플레이부(26)에 디프 모드 심볼(28a)을 표시하되, 디프 모드 심볼(28a) 이외의 이미지(Image)들은 모두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디프 모드 심볼(28a)를 제외한 "온도표시부", "풍량표시부" 등의 이미지들을 모두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디프 모드 심볼(28a)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들은 모두 제거함으로써, 현재 공조장치가 "디프 모드"로 제어되고 있음을 강력하게 부각시키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현재 "디프 모드"로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후석부분(30)의 냉,난방이 정지되고 있음을 강력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는, "디프 모드" 제어 도중에 후석부분(30)의 탑승객이 후석 콘트롤러(20)의 스위치, 예를 들면, 후석 온도조절스위치(22), 후석 풍량조절스위치(24), 온,오프 스위치(25) 등을 임의로 눌러서 조작하면, 디스플레이부(26)에 표시된 디프 모드 심볼(28a)을 점멸(點滅)시키도록 제어한다.
특히, 스위치(22, 24, 25)를 조작할 때마다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횟수로 점멸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후석부분(30)의 탑승객에게 현재 공조장치가 "디프 모드"로 제어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후석 콘트롤러(20)의 스위치(22, 24, 25)들을 조작해도 후석부분(30)의 냉,난방이 온(ON)되거나 제어되지 않는다는 것을 강력하게 인식시킨다.
한편, 제어부(40)는, "디프 모드" 제어 도중에 후석부분(30)의 탑승객이 후석 콘트롤러(20)의 스위치, 예를 들면, 후석 온도조절스위치(22), 후석 풍량조절스위치(24), 온,오프 스위치(25) 등을 임의로 눌러서 조작하면, 전석 콘트롤러(10)의 디스플레이부(19)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석 콘트롤러(10)의 디스플레이부(19)상에 "후석 콘트롤러 조작"을 의미하는 특정 심볼(19a), 예를 들면, 후석 콘트롤러(20)의 조작을 의미하는 문자, 그림, 기호 등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표시하여, 현재 후석부분(30)의 탑승객이 후석 콘트롤러(20)를 조작하고 있음을 전석부분의 운전자와 탑승객에게 알려준다.
따라서, 전석부분의 운전자와 탑승객이, "디프 모드"를 해제할 수 있게 유도한다. 이로써, 후석 콘트롤러(20)를 조작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줄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어부(40)는, 공조장치가 "디프 모드"로부터 해제되면, 전,후석 콘트롤러(10, 20)의 디스플레이부(19, 26)에 표시된 특정 심볼(19a)과 디프 모드 심볼(28a)을 제거하고,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과 도면에서는, 후석 탑승객의 후석 콘트롤러(20) 조작 시에, 전석 콘트롤러(10)의 디스플레이부(19)에 특정 심볼(19a)을 표시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석부분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라면 어느 것이라도 "후석 콘트롤러 조작"을 의미하는 특정 심볼(19a)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비게이터의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에도 "후석 콘트롤러 조작"을 의미하는 특정 심볼(19a)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후석 탑승객의 후석 콘트롤러(20) 조작 시에, 전석 콘트롤러(10)의 디스플레이부(19)에 "후석 콘트롤러 조작"을 의미하는 특정 심볼(19a)을 표시하되, 상기 특정 심볼(19a)은, 후석 콘트롤러 조작을 의미하는 "문자메시지(Message)"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후석 콘트롤러 조작" 등의 문자메시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문자메시지를 통해 후석 탑승객의 후석 콘트롤러(20) 조작을 알리는 방법이, 전석부분의 운전자와 탑승객에게 보다 쉽고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는, 후석 탑승객의 후석 콘트롤러(20) 조작 시에, 전석부분의 디스플레이부(19)상에 특정 심볼(19a)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표시하여 후석 탑승객의 후석 콘트롤러(20) 조작을 알려주되, 후석 탑승객이 후석 콘트롤러(20)의 스위치(22, 24, 25)를 미리 설정된 횟수(이하, "설정횟수"라 약칭함) 이상 반복적으로 눌러서 조작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5회 이상 반복적으로 눌러서 조작할 경우에는, 전석부분의 디스플레이부(19)상에 표시된 특정 심볼(19a)을 점멸(點滅)시킨다.
따라서, 전석부분의 탑승객에게 현재 후석부분(30)의 탑승객이 후석 콘트롤러(20)를 반복적으로 조작하고 있음을 강력하게 인식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음향출력부(50)를 더 포함한다. 음향출력부(50)는 일종의 스피커로서, 특정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40)는, "디프 모드" 제어 상태에서, 후석 탑승객이 후석 콘트롤러(20)의 스위치(22, 24, 25)를 "설정횟수" 이상 반복적으로 눌러서 조작할 경우, 예를 들면, 5회 이상 반복적으로 눌러서 조작할 경우, 상기 음향출력부(50)를 제어한다.
특히, 음향출력부(50)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전석부분의 탑승객에게 현재 후석부분(30)의 탑승객이 후석 콘트롤러(20)를 반복적으로 조작하고 있음을 보다 강력하게 인식시킨다.
여기서, 음향출력부(50)에서 출력되는 "특정 음향"은, 일정한 톤(Tone)의 "경고음"이 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특정 뜻을 포함한 음성메시지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후석 탑승객이 후석 콘트롤러 조작하였습니다"라는 음성메시지일 수도 있다.
음향출력부(50)에서 출력되는 "특정 음향"이, 일정한 톤의 "경고음"일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음성메시지일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횟수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5와 도 6과 도 2를 참조하면, 후석부분의 냉,난방이 온(ON)된 상태에서(S101), 공조장치가 "디프 모드"로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03).
판단 결과, "디프 모드"로 진입하였으면, 제어부(40)는, 후석부분(30)의 냉,난방을 오프(OFF)시킴과 동시에, 후석 콘트롤러(20)의 디스플레이부(26)에 디프 모드 심볼(28a)을 표시한다(S105)(도 3참조).
그러면, 후석부분(30)의 탑승객은, 후석 콘트롤러(20)에 표시된 디프 모드 심볼(28a)을 통해 현재 공조장치가 "디프 모드"로 제어되고 있고, 이로써, "디프 모드" 제어로 인해 후석부분(30)의 냉,난방이 정지된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40)는, 후석 콘트롤러(20)의 디스플레이부(26)에 디프 모드 심볼(28a)을 표시하되, 디프 모드 심볼(28a) 이외의 이미지들은 모두 제거한다. 따라서, 후석부분(30)의 탑승객에게 현재 "디프 모드"로 제어되고 있다는 점을 보다 강력하게 각인시킨다.
다시, 도 5와 도 6과 도 2를 참조하면, "디프 모드" 제어 상태에서, 제어부(40)는, 후석부분(30)의 탑승객이 후석 콘트롤러(20)의 스위치들을 조작하였는지를 다시 판단한다(S107).
판단 결과, 후석부분(30)의 탑승객이 후석 콘트롤러(20)의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였으면, 제어부(40)는, 후석 콘트롤러(20)에 표시된 디프 모드 심볼(28a)을 점멸시킨다(S109).
그러면, 후석부분(30)의 탑승객은, 점멸되는 디프 모드 심볼(28a)을 통해서 현재 "디프 모드" 진입 상태이므로, 후석 콘트롤러(20)의 스위치(22, 24, 25)들을 조작해도 후석부분(30)의 냉,난방이 온(ON)되거나 제어되지 않는다는 점을 인식한다.
한편, 제어부(40)는, 후석 탑승객의 후석 콘트롤러(20) 조작 시에, 후석 콘트롤러(20)의 디프 모드 심볼(28a)을 점멸시킴과 동시에, 전석 콘트롤러(10)의 디스플레이부(19)상에도 "후석 콘트롤러 조작"을 의미하는 특정 심볼(19a)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표시한다(S109)(도 4참조). 예를 들면, "후석 콘트롤러 조작"이라는 문자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표시한다.
그러면, 전석부분의 탑승객은, 전석 콘트롤러(10)에 표시된 특정 심볼(19a)을 통해, 현재 후석부분(30)의 탑승객이 후석 콘트롤러(20)를 조작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을 통해, "디프 모드"를 해제여부를 결정한다.
한편, 제어부(40)는, 후석 탑승객의 후석 콘트롤러(20) 조작에 따라 후석 콘트롤러(20)의 디프 모드 심볼(28a)을 점멸시키는 과정에서, 후석 탑승객에 의한 후석 콘트롤러(20) 스위치 조작 횟수가 "설정횟수" 이상인지를 다시 판단한다(S111). 예를 들면, 5회 이상 반복적으로 눌러서 조작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5회 이상이면, 제어부(40)는, 전석 콘트롤러(10)의 디스플레이부(19)상에 표시된 특정 심볼(19a)을 점멸시킨다(S113).
그러면, 전석부분의 탑승객은, 점멸되는 전석 콘트롤러(10)의 특정 심볼(19a)을 통해서, 현재 후석부분(30)의 탑승객이 후석 콘트롤러(20)의 조작을 강력하게 원하고 있고, 이로써, 후석부분(30)의 탑승객이 후석부분(30)의 냉,난방을 강력하게 원한다는 점을 인식한다.
한편, 제어부(40)는, 후석 탑승객의 후석 콘트롤러(20) 조작이 "설정횟수" 이상인 경우, 음향출력부(50)도 제어하여 후석 콘트롤러(20)의 "반복적인 조작"을 의미하는 "특정 음향"을 출력한다(S113). 예를 들면, 일정 톤의 "경고음" 또는 "후석 탑승객이 후석 콘트롤러 조작하였습니다"라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러면, 전석부분의 탑승객은, 음향출력부(50)로부터 출력되는 "특정 음향"을 통해, 후석 콘트롤러(20)의 조작을 원하는 후석부분(30) 탑승객의 의사를 강력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5와 도 6과 도 2를 참조하면, "디프 모드" 제어 상태에서, 제어부(40)는, 공조장치가 "디프 모드"로부터 해제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115).
판단 결과, "디프 모드"로부터 해제되었으면, 제어부(40)는, 전, 후석 콘트롤러(10, 20)의 디스플레이부(19, 26)에 각각 표시된 특정 심볼(19a)과 디프 모드 심볼(28a)을 제거하고,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S117). 이때, 음향출력부(50)로부터 "특정 음향"이 출력될 경우에는, 출력되는 "특정 음향"을 중단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디프 모드" 진입 시에, 후석 콘트롤러(20)에 디프 모드 심볼(28a)을 표시하는 구조이므로, 후석부분(30)의 탑승객에게 현재 "디프 모드" 상태로 제어되고 있음을 인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현재 "디프 모드" 제어 중이므로 후석부분(30)의 냉,난방이 중단된다는 점을 명확하게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디프 모드" 진입 시에 후석부분(30)의 냉,난방이 중단된다는 점을 후석부분(30)의 탑승객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디프 모드" 진입 시에 후석부분(30)의 냉,난방 중단으로 인한 후석부분(30) 탑승객의 오해와 혼동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디프 모드" 진입에 의한 후석부분(30)의 냉,난방 중단 상태에서, 후석부분(30)의 탑승객이 후석 콘트롤러(20)를 조작할 경우, 이러한 후석 탑승객의 후석 콘트롤러(20) 조작을 전석부분의 탑승객에게 특정 심볼(19a)로 알리는 구조이므로, 후석 콘트롤러(20)의 조작을 원하는 후석 탑승객의 의사를 전석부분의 탑승객이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후석 콘트롤러(20)의 조작을 원하는 후석 탑승객의 의사를 전석부분의 탑승객이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후석부분(30) 탑승객의 의사와 요구에 맞춰 후석부분(30)의 공조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전석 콘트롤러(Controller)
12: 리어콘트롤 스위치(Rear Control Switch)
14: 후석 온도조절스위치(Switch) 16: 후석 풍량조절스위치
19: 디스플레이부 19a: 심볼(Symbol)
20: 후석 콘트롤러(Controller) 22: 후석 온도조절스위치
24: 후석 풍량조절스위치 25: 온,오프 스위치
26: 디스플레이부 28: 공기토출모드 표시부
28a: 디프 모드 심볼(Def. Mode Symbol) 30: 후석부분
40: 제어부 50: 음향출력부

Claims (18)

  1. 차실내의 후석부분(30)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와 풍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후석 콘트롤러(20)를 포함하며, 디프 모드의 진입 시에 창유리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프 모드의 진입 시에, 상기 후석부분(30)의 냉,난방을 오프(OFF)시킴과 아울러, 상기 디프 모드의 진입에 의해 상기 후석부분(30)의 냉,난방이 오프된다는 점을 상기 후석 콘트롤러(20)에 특정 심볼(Symbol)로 표시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디프 모드의 진입 시에, 상기 후석 콘트롤러(20)의 디스플레이부(26)상에 디프 모드 심볼(28a)을 표시하여, 상기 디프 모드의 진입에 따라 상기 후석부분(30)의 냉,난방이 오프된다는 점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디프 모드의 진입 시에, 상기 후석 콘트롤러(20)의 디스플레이부(26)상에 디프 모드 심볼(28a)을 표시하되, 상기 디프 모드 심볼(28a) 이외의 이미지(Image)들은 모두 제거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디프 모드의 제어 중에, 탑승객이 상기 후석 콘트롤러(20)의 스위치를 조작할 시에, 상기 후석 콘트롤러(20)의 디스플레이부(26)에 표시된 디프 모드 심볼(28a)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횟수로 점멸시키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디프 모드의 제어 중에, 탑승객이 상기 후석 콘트롤러(20)의 스위치를 조작할 시에, 차실내의 전석부분에 설치된 특정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후석 콘트롤러(20)의 스위치 조작을 의미하는 특정 심볼(19a)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디프 모드의 제어 중, 탑승객이 상기 후석 콘트롤러(20)의 스위치를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적으로 조작할 경우, 상기 전석부분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특정 심볼(19a)을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디프 모드의 제어 중에, 탑승객이 상기 후석 콘트롤러(20)의 스위치를 조작할 시에, 상기 후석 콘트롤러(20)의 스위치 조작을 의미하는 특정 심볼(19a)을 전석 콘트롤러(10)의 디스플레이부(19)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디프 모드의 제어 중에, 탑승객이 상기 후석 콘트롤러(20)의 스위치를 조작할 시에, 상기 후석 콘트롤러(20)의 스위치 조작을 의미하는 특정 심볼(19a)을 전석부분에 설치되는 네비게이터(Navigator)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 모드의 제어 중에, 탑승객이 상기 후석 콘트롤러(20)의 스위치를 조작할 시에, 상기 전석부분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특정 심볼(19a)은, 상기 후석 콘트롤러(20)의 스위치 조작을 의미하는 문자메시지(Messa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음향출력부(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디프 모드의 제어 중, 탑승객이 상기 후석 콘트롤러(20)의 스위치를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적으로 조작할 경우, 상기 음향출력부(50)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 모드의 제어 중, 탑승객이 상기 후석 콘트롤러(20)의 스위치를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적으로 조작할 경우, 상기 음향출력부(50)에서 출력되는 특정 음향은, 일정한 톤(Tone)의 경고음이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경고음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출력하여, 상기 후석 콘트롤러(20)의 반복적인 조작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 모드의 제어 중, 탑승객이 상기 후석 콘트롤러(20)의 스위치를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적으로 조작할 경우, 상기 음향출력부(50)에서 출력되는 특정 음향은, 상기 후석 콘트롤러(20) 스위치의 반복적인 조작을 의미하는 음성메시지(Message)이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음성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횟수로 출력하여, 상기 후석 콘트롤러(20)의 반복적인 조작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사용자가 상기 디프 모드를 수동으로 선택했을 시에, 상기 후석부분(30)의 냉,난방과 상기 후석 콘트롤러(2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에 의해 공기토출모드가 상기 디프 모드로 자동 진입했을 시에, 상기 후석부분(30)의 냉,난방과 상기 후석 콘트롤러(2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낮은 외기온도와 엔진 냉각수 온도로 인해 공조장치가 난방기동제어되면서 공기토출모드가 디프 모드로 자동 진입했을 시에, 상기 후석부분(30)의 냉,난방과 상기 후석 콘트롤러(2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6. 제 1항, 제 6항 내지 제 8항, 제 10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디프 모드로부터 해제되면, 상기 후석 콘트롤러(20)의 디스플레이부(26)에 표시된 디프 모드 심볼(28a)을 제거하고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7.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디프 모드로부터 해제되면, 상기 전석부분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특정 심볼(19a)을 제거하고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8.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디프 모드로부터 해제되면, 상기 음향출력부(50)로부터 출력되는 특정 음향을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60005417A 2015-01-20 2016-01-15 차량용 공조장치 Active KR102464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0517 WO2016117894A1 (ko) 2015-01-20 2016-01-19 차량용 공조장치
US15/544,734 US10688848B2 (en) 2015-01-20 2016-01-19 Air condition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CN201680002986.3A CN106794742B (zh) 2015-01-20 2016-01-19 车辆空调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9181 2015-01-20
KR1020150009181 2015-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246A KR20160090246A (ko) 2016-07-29
KR102464242B1 true KR102464242B1 (ko) 2022-11-09

Family

ID=56617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417A Active KR102464242B1 (ko) 2015-01-20 2016-01-15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88848B2 (ko)
KR (1) KR102464242B1 (ko)
CN (1) CN1067947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14354A1 (de) * 2016-08-03 2018-02-08 Volkswagen Ag Verfahren und Bedienvorrichtung zum Bedienen einer Klimatisierungsvorrichtung eines Fahrzeugs
CN107160971B (zh) * 2017-06-08 2020-05-12 芜湖艾卡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去除汽车窗雾气装置
US10518602B2 (en) * 2017-12-08 2019-12-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atic control of heating and cooling of a vehicle seating assembly pursuant to predictive modeling that recalibrates based on occupant manual control
US10717339B2 (en) 2018-03-21 2020-07-2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tart and stop blower map based on sunload to improve fuel economy
US10974570B2 (en) 2018-04-19 2021-04-1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Limit for compressor speed based on inverter temperature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US10744847B2 (en) 2018-07-26 2020-08-1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ariable rear HVAC blower maps for improved defroster performance
KR102666917B1 (ko) * 2019-07-23 2024-05-2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N112060858B (zh) * 2020-09-08 2022-05-24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空调温区转换控制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1887A (ja) * 2003-09-05 2005-03-31 Keihin Corp 車両用空調装置
US20110183596A1 (en) * 2010-01-26 2011-07-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demist function in a manual climate control mod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7133A (ja) 1999-02-25 2000-09-12 Zexel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8298541A (ja) * 2007-05-30 2008-12-11 Nippon Seiki Co Ltd 計器装置
JP4424409B2 (ja) * 2007-11-02 2010-03-0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KR101625868B1 (ko) * 2010-05-27 2016-05-3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JP5477329B2 (ja) 2011-04-19 2014-04-2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KR20130021907A (ko) * 2011-08-24 2013-03-06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US9694652B2 (en) * 2013-01-08 2017-07-04 Doowon Climate Control Co., Ltd Vehicle rear console duct air flow
KR102341221B1 (ko) * 2014-09-12 2021-12-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날짜에 따른 특화 모드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KR20160054817A (ko) * 2014-11-07 2016-05-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듀얼 타입 공조장치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1887A (ja) * 2003-09-05 2005-03-31 Keihin Corp 車両用空調装置
US20110183596A1 (en) * 2010-01-26 2011-07-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demist function in a manual climate control m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794742B (zh) 2020-11-06
CN106794742A (zh) 2017-05-31
US20170368909A1 (en) 2017-12-28
KR20160090246A (ko) 2016-07-29
US10688848B2 (en)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424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6384451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1105839A (ja) 自動車のhvac制御システム
JP7533693B2 (ja) 防曇システム
JP2017114154A (ja) ヒータ制御装置
KR10220920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8307182A (ja) 自動車のシート冷却装置
KR20210077047A (ko) 자율주행차량의 공조기를 제어하는 탈부착 가능한 원격제어기 및 원격제어방법
JP6702166B2 (ja) 車両用インターフェイス
CN114728559A (zh) 具有各种通风情况的自动空气出口系统
CN100443320C (zh) 用于加热和空调系统的操纵元件
KR20140110535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21579A (ko) 차량용 제어장치
JP5076988B2 (ja) 車載エアコンの状態表示装置
WO2016117894A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8184155A (ja) 眠気抑制システム
JP6835009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3013621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6744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805705B1 (ko) 차량용 제어장치
JP2005047454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50055701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KR20140142954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KR20170087795A (ko) 차량의 프리쿨링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069631A (ja) 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1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