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61728B1 -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728B1
KR102461728B1 KR1020210078769A KR20210078769A KR102461728B1 KR 102461728 B1 KR102461728 B1 KR 102461728B1 KR 1020210078769 A KR1020210078769 A KR 1020210078769A KR 20210078769 A KR20210078769 A KR 20210078769A KR 102461728 B1 KR102461728 B1 KR 102461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button
base
inside handle
door
dep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아이티더블유오토모티브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아이티더블유오토모티브코리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아이티더블유오토모티브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78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72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 공간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작 버튼;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는 전동 액츄에이터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 버튼이 제1 깊이로 누름 조작됨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전동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작동 스위치; 상기 조작 버튼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 버튼이 제2 깊이로 눌려짐에 따라 하강 스트로크를 발생시키는 베이스; 및 상기 하강 스트로크에 연동 작동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강 스트로크에 따라 상기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는 래치 케이블을 당기는 견인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INSIDE HANDLE FOR DOOR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조작하는 인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일반적으로, 겉 구조물을 이루는 차체(Body)와, 각종 장치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섀시(Chassis)로 구분될 수 있다.
차체는 크게 엔진실, 승객실, 그리고 트렁크로 구성된다. 자동차의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섀시라 한다. 섀시는 주행의 원동력이 되는 자동차 엔진을 비롯하여 동력전달 장치, 조향 장치, 현가 장치, 제동 장치 등 주요 장치를 갖추고 있다.
차체의 엔진실, 승객실, 트렁크에는 각 실내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이 중에서, 주로 승객실 도어에는 외측 뿐만 아니라 내측에도 도어 개폐를 위한 핸들이 설치된다. 후자는 인사이드 핸들이라 칭해져서, 전자인 아웃사이드 핸들과 구분될 수 있다.
인사이드 핸들은 종래 기계식으로 작동하던 것이 주류였으나, 최근에는 전기식으로 작동하는 것도 도어에 적용되고 있다. 전기식 인사이드 핸들이 있다하더라도, 그의 고장 시를 대비하여 기계식 인사이드 핸들이 또한 갖추어진다. 이 경우, 주로 사용되는 전기식 인사이드 핸들은 사용자가 찾기 쉬운 곳에 위치하나, 그렇지 않은 기계식 인사이드 핸들은 사용자가 쉽게 찾기 어려운 곳이 위치하는 경우가 보통이다.
따라서, 사고 발생시 전원 공급 불가 등의 원인에 의해 전기식 인사이드 핸들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당황한 사용자가 기계식 인사이드 핸들을 찾지 못해 승객실을 탈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사용자는 평상시에 기계식 인사이드 핸들에 대해 관심이 없기에, 그 위치를 파악해 두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또한, 기계식 인사이드 핸들에 대해 위치를 파악해 두었다고 하더라도, 위기 상황에서 당황한 사용자는 평소 거의 사용하지 않는 해당 핸들을 찾는데 여전히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전기식 작동 메커니즘과 기계식 작동 메커니즘을 하나의 핸들에 통합하여, 사용자가 비상시에도 쉽게 기계식 작동 메커니즘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전기식 작동 메커니즘과 기계식 작동 메커니즘을 하나의 핸들로 통합하여, 전체적인 제조 비용을 낮추고 설치 공간도 줄일 수 있게 하는,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은,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 공간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작 버튼;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는 전동 액츄에이터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 버튼이 제1 깊이로 누름 조작됨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전동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작동 스위치; 상기 조작 버튼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 버튼이 제2 깊이로 눌려짐에 따라 하강 스트로크를 발생시키는 베이스; 및 상기 하강 스트로크에 연동 작동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강 스트로크에 따라 상기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는 래치 케이블을 당기는 견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 스위치는,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 버튼은,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버튼 몸체; 상기 버튼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 스위치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작용부; 및 상기 버튼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작동 스위치가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상기 조작 버튼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체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 내로 삽입되는 포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 버튼이 상기 제1 깊이로 누름 조작되는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조작 버튼이 상기 제1 깊이를 넘어서 상기 제2 깊이로 누름 조작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베이스에 대한 지지 위치에서 벗어나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가변 스톱퍼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변 스톱퍼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 버튼에 대한 누름 조작에 따른 상기 베이스의 하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스톱핑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견인 부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견인 몸체; 상기 견인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래치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견인 몸체에 상기 베이스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의 하강에 연동되어 상기 견인 몸체 및 상기 연결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는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견인 몸체는, 링 형상 및 바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은,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기 위한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로서, 상기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대해 제1 조작 모드와 제2 조작 모드로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버튼이 상기 제1 조작 모드로 누름 조작됨에 따라 제1 방식으로 상기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며, 상기 조작 버튼이 상기 제2 조작 모드로 누름 조작됨에 따라서는 제2 방식으로 상기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도록 형성되는 해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방식은, 상기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는 전동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것이고,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도어 래치에 연결되는 래치 케이블을 견인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 버튼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제1 깊이 및 제2 깊이로 누름 조작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해제 모듈은, 상기 전동 액츄에이터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 버튼이 상기 제1 깊이로 누름 조작되는 상기 제1 조작 모드에서 상기 제1 방식에 따라 상기 전동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작동 스위치; 및 상기 조작 버튼의 하강에 연동 작동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작 버튼이 상기 제2 깊이로 누름 조작되는 상기 제2 조작 모드에서 상기 제2 방식에 따라 상기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는 견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은, 하우징에 제1 깊이 및 제2 깊이로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조작 버튼이 제1 깊이로 누름 조작됨에 따라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는 전동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작동 스위치를 구비하며, 또한 조작 버튼이 제2 깊이로 누름 조작됨에 대응해서 베이스가 하강 스트로크를 발생시킴에 따라서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는 래치 케이블을 견인하는 견인 부재를 포함하여, 도어 래치에 대한 해제를 위해 작동 스위치를 이용하는 전기식 메커니즘과 래치 케이블을 이용하는 기계식 메커니즘을 하나의 인사이드 핸들에서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사용자는 평상시 뿐 아니라 비상시에도 하나의 인사이드 핸들을 조작하면 되기에, 비상시에도 혼란 없이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통합적인 인사이드 핸들로 인하여 그를 제작하는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도어의 내면이 보다 깔끔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100)이 적용된 자동차의 일 상태를 개념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100)의 기본 상태를 보인 개념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100)이 제1 조작 모드로 누름 조작된 상태를 보인 개념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100)이 제2 조작 모드로 누름 조작된 상태를 보인 개념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200)의 기본 상태를 보인 개념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200)이 제1 조작 모드로 누름 조작된 상태를 보인 개념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200)이 제2 조작 모드로 누름 조작된 상태를 보인 개념적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100)이 적용된 자동차의 일 상태를 개념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자동차(C)의 승객실에는 도어(D)가 설치된다. 도어(D)는 도어 래치(DL)에 의해 차체에 대해 잠겨진다. 그 상태에서 도어(D)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어 래치(DL)를 해제 상태로 전환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는 인사이드 핸들(100)을 조작해야 한다.
인사이드 핸들(100)은 도어(D)의 내면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그는 구체적으로, 하우징(110), 조작 버튼(130), 작동 스위치(150), 베이스(170), 그리고 견인 부재(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도어(D)의 내측에 설치되고, 조작 버튼(130) 등이 설치되는 기본 구조물이 된다. 하우징(110)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 가능하도록, 승객룸의 내부를 향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조작 버튼(130)은 하우징(110)에 대해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조작 버튼(130)은 하우징(110)에 두 단계의 깊이(제1 깊이 및 제2 깊이)로 누름 조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작동 스위치(150)는 조작 버튼(130)이 가볍게 누름 조작됨에 대응하여, 전동 액츄에이터(EA)를 작동하게 하는 구성이다. 전동 액츄에이터(EA)는 작동 스위치(150)의 작동에 따라 전원 또는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 구동되어 도어 래치(DL)를 해제하는 구성이다.
베이스(170) 및 견인 부재(190)는 조작 버튼(130)이 깊숙히 누름 조작됨에 대응해 이동하여, 견인 부재(190)에 연결된 래치 케이블(LC)을 당겨서 도어 래치(DL)를 해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 버튼(130)은 제1 조작 모드에서 제1 깊이로 누름 조작되고, 제2 조작 모드에서 제2 깊이로 누름 조작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깊이는 제1 깊이 보다 깊은 깊이를 말한다. 제1 조작 모드 및 제2 조작 모드에서 조작 버튼(130)에 대한 누름 방향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나아가, 조작 버튼(130)은 위 두 가지 조작 모드에서 동일한 라인을 따라 누름 조작될 있다. 조작 버튼(130)의 두 가지 조작 모드에 대응하여, 도어 래치(DL)는 제1 방식{전기적 메커니즘} 혹은 제2 방식{기계적 메커니즘}에 의해 해제된다.
구체적으로, 조작 버튼(130)이 제1 깊이로 눌려지면, 그에 대응하여 작동 스위치(150)가 활성화되어 전동 액츄에이터(EA)를 작동시키고 전동 액츄에이터(EA)가 최종적으로 도어 래치(DL)를 해제시킨다. 그와 달리, 조작 버튼(130)이 제1 깊이를 넘어서 제2 깊이까지 눌려지면, 베이스(170)는 하강 스트로크를 발생시키고 견인 부재(190)는 그 하강 스트로크에 연동 작동하면서 래치 케이블(LC)이 당겨지면서 도어 래치(DL)가 해제된다.
이상에서, 조작 버튼(130), 작동 스위치(150), 베이스(170), 그리고 견인 부재(190)는 두 가지 모드로 도어 래치(DL)를 해제하기 위한 주요 구성으로서, 해제 모듈이라고 통칭될 수도 있다.
이상의 인사이드 핸들(10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100)의 기본 상태를 보인 개념적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인사이드 핸들(100)은, 앞서 언급한 하우징(110), 조작 버튼(130), 작동 스위치(150), 베이스(170), 및 견인 부재(190)에 더하여, 가변 스톱퍼(180)를 더 가질 수 있다. 가변 스톱퍼(180)도 앞서 언급된 해제 모듈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하우징(110)은 하우징 몸체(111)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 몸체(111)는 대체로 중공체의 형태를 가진다. 하우징 몸체(111)에는 승객룸을 향하는 면이 개방된 수용 공간(112)이 형성된다. 수용 공간(112)에는 조작 버튼(130)이 배치되고, 사용자는 조작 버튼(130)을 누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 몸체(111)의 하부에는 바닥(115)이 형성되고, 그의 중앙에는 관통홀(116)이 개구될 수 있다.
조작 버튼(130)은 버튼 몸체(131)와 몸체 지지체(135)를 가질 수 있다. 버튼 몸체(131)는 조작부(132)와 작용부(133), 그리고 가압부(134)를 가진다. 조작부(132)는 수용 공간(112)의 외부로 사용자를 향해 노출되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는 대상이 되는 부분이다. 작용부(133)는 버튼 몸체(131)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작동 스위치(150)를 지향하도록 배치된다. 가압부(134) 역시 버튼 몸체(131)에 연결되며, 버튼 몸체(131)의 하강 시에 베이스(170)를 가압하도록 배치된다. 몸체 지지체(135)는 베이스(170)에 대해 버튼 몸체(13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이다. 몸체 지지체(135)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작동 스위치(150)는 작용부(133)의 하강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 스위치(150)는 작용부(133)와 상호 작용하여 활성화되는 구성으로서, 그 상호 작용을 위해 작용부(133)의 하강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작동 스위치(150)는 베이스(170)상에 설치될 수 있다. 작동 스위치(150)는 작용부(133)에 의해 가압되거나 접촉되거나 혹은 그에 근접됨에 의해 활성화되어, 전동 액츄에이터(EA)에 공급된 전원 회로가 연결되게 하거나, 전동 액츄에이터(EA)의 작동이 필요하다는 신호를 그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작동 스위치(150)는 돔 스위치와 같은 기계식 스위치일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전기식 스위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170)는 수용 공간(112)에서 조작 버튼(130)의 하측에 배치된다. 베이스(170)는 수용 공간(112)에 주로 배치되면서, 관통홀(116)을 통해 일부가 바닥(115)의 하측에도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70)는 안착 플레이트(171), 플레이트 지지체(173), 포스트(175)를 가질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171)는 작동 스위치(150)가 안착되는 부재이다. 플레이트 지지체(173)는 안착 플레이트(171)를 조작 버튼(130)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이다. 플레이트 지지체(173)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바닥(115)에 지지될 수 있다. 포스트(175)는 안착 플레이트(171)에 연결되는 막대로서, 코일 스프링 내에 삽입된 채로 관통홀(116)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변 스톱퍼(180)는 베이스(170)를 선택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시 말해서, 조작 버튼(130)이 제1 깊이로 누름 조작되는 과정에서 가변 스톱퍼(180)는 베이스(170)를 지지하나, 조작 버튼(130)이 제1 깊이를 넘어서 제2 깊으로 누름 조작되는 과정에서는 베이스(170)에 대한 지지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변 스톱퍼(180)는, 스톱핑 헤드(181)를 가질 수 있다. 스톱핑 헤드(181)는 하우징 몸체(111)의 측벽에 형성된 설치홀(117)에 삽입 설치되는 것이다. 스톱핑 헤드(181)는 조작 버튼(130)에 대한 누름 조작시 베이스(170)가 하강하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 예를 들어 도면상 수평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를 위해, 스톱핑 헤드(181)는 설치홀(117) 내에서 스프링(18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스프링(183)은 또한 설치홀(117)에 결합되는 마개(18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견인 부재(190)는 베이스(170)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조작 버튼(130)이 제2 깊이로 누름 조작됨에 따라 베이스(170)가 스트로크(S, 도 4 참조)를 발생시킬 때, 그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견인 부재(190)는 견인 몸체(191), 연결부(193), 및 연동부(195)를 구비할 수 있다. 견인 몸체(191)는 대체로 링 형상을 가진 부재일 수 있다. 그는 중앙 영역은 회전축(A)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견인 몸체(191)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연동부(195)가 포스트(175)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되게 구성될 수 있다. 회전축(A)은 도어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견인 몸체(191)의 일 부분에는 래치 케이블(LC)이 연결되는 연결부(193)가 형성된다. 연결부(193)는 래치 케이블(LC)을 수용하는 홀을 가질 수 있다. 견인 몸체(191)의 다른 부분에는 포스트(175)와 상호 작용하는 연동부(195)가 형성된다. 연동부(195)는 견인 몸체(191)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 부재로서, 포스트(175)의 하단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견인 부재(190)는, 베이스(170)와 함께 래치 케이블(LC)을 당기는 것이라면, 다른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견인 부재(190)는 베이스(170)의 스트로크(S)에 연동되어 이동하는 것으로서, 그 이동(회전, 병진 등)에 의해 래치 케이블(LC)을 당기는 구성이라면 어떤 것이든 가능하다.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100)의 구체적 작동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100)이 제1 조작 모드로 누름 조작된 상태를 보인 개념적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어 래치(DL, 도 1)를 전기적 메커니즘에 의해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 조작 버튼(130)을 제1 깊이(D1)로 제1 모드로 누름 조작(P1)하면 된다. 그 경우, 조작 버튼(130)은 제1 깊이(D1)까지 하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베이스(170)의 안착 플레이트(171)는 가변 스톱퍼(180)의 스톱핑 헤드(181)에 의해 지지되므로, 조작 버튼(130)에 대한 조작 시에 일정 수준으로 견고한 지지판의 역할을 하여 사용자의 누름 조작력이 작동 스위치(150)에 정확하게 전달되게 한다.
이러한 조작 버튼(130)의 하강에 의해, 그의 작용부(133)에 의해 가압된 작동 스위치(150)가 활성화되면서, 작동 스위치(150)와 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전동 액츄에이터(EA, 도 1)가 작동하게 된다. 전동 액츄에이터(EA)가 작동함에 의해, 도어 래치(DL)는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이는 전기적 메커니즘에 의해 도어 래치(DL)를 해제하는 것으로서, 주로 평상시에 사용될 수 있다.
제1 깊이(D1)까지 하강한 조작 버튼(130)은, 사용자의 누르는 힘이 제거됨에 따라, 몸체 지지체(135)에 의해 원래 높이로 복원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100)이 제2 조작 모드로 누름 조작된 상태를 보인 개념적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어 래치(DL, 도 1)를 기계적 메커니즘에 의해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 조작 버튼(130)을 제2 깊이(D2)로 제2 모드로 누름 조작(P2)하면 된다. 그 경우, 조작 버튼(130)은 제2 깊이(D2)까지 하강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안착 플레이트(171)를 지지하던 스톱핑 헤드(181)는 안착 플레이트(171)와의 쐐기 작용에 의해 후퇴하면서 안착 플레이트(171)를 지지하던 위치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러한 조작 버튼(130)의 하강에 의해, 베이스(170)도 하강하면서 스트로크(S)를 발생시킨다. 이 스트로크(S)에 대응하여, 포스트(175)는 하강하면서 연동부(195)를 하방으로 밀어서 견인 몸체(191)에 회전축(A)을 중심으로 한 회전 모멘트를 부여한다. 그에 따라, 견인 부재(190), 구체적으로 연결부(193)가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하면서 래치 케이블(LC)을 당기게 된다. 래치 케이블(LC)이 당겨짐에 의해, 도어 래치(DL)는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이는 기계적 메커니즘에 의해 도어 래치(DL)를 해제하는 것으로서, 주로 비상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제2 깊이(D2)까지 하강한 조작 버튼(130)은, 사용자의 누르는 힘이 제거됨에 따라, 몸체 지지체(135) 및 플레이트 지지체(173)에 의해 원래 높이로 복원될 수 있다. 베이스(170) 및 그에 안착된 작동 스위치(150) 역시 플레이트 지지체(173)에 의해 원래의 높이로 복원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200)에 대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200)의 기본 상태를 보인 개념적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200)의 하우징(210), 조작 버튼(230), 작동 스위치(250), 베이스(270), 및 가변 스톱퍼(280) 등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의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100)의 대응하는 구성과 대체로 동일하다. 다만,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200)의 견인 부재(290)는 앞선 실시예의 견인 부재(190)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견인 부재(290)의 견인 몸체(291)는 대체로 바(bar)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견인 몸체(291)의 일 단부 측 영역(291a)은 회전축(A)을 통해 도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견인 몸체(291)의 타 단부 측 영역(291b)에는 래치 케이블(C)이 결합되는 연결부(293)가 형성된다. 연결부(293)는 래치 케이블(C)의 일 부분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 홀일 수 있다.
견인 몸체(291)의 일 단부 측 영역(291a)에서 돌출된 형태로서는, 연동부(295)가 형성될 수 있다. 연동부(295)는 베이스(270)의 포스트(275)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인사이드 핸들(200)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앞선 실시예의 인사이드 핸들(100)과 대체로 동일하게 작동한다. 여기서, 도 6은 도 5의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200)이 제1 조작 모드로 누름 조작된 상태를 보인 개념적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200)이 제2 조작 모드로 누름 조작된 상태를 보인 개념적 단면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어 래치(DL, 도 1)를 전기적 메커니즘에 의해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 조작 버튼(230)을 제1 모드로 누름 조작(P1)하면 된다. 그 경우, 조작 버튼(230)은 제1 깊이(D1)까지 하강하여 작동 스위치(250)를 작동시키고, 그에 의해 전동 액츄에이터(EA)가 작동함에 따라, 도어 래치(DL)는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어 래치(DL, 도 1)를 기계적 메커니즘에 의해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 조작 버튼(230)을 제2 모드로 누름 조작(P2)하면 된다. 그 경우, 조작 버튼(230)은 제2 깊이(D2)까지 하강하며, 그에 베이스(270)가 하강함에 연동되어 연동부(295)는 견인 몸체(291)를 회전 방향(R2)으로 회전되게 한다. 견인 몸체(291)의 회전은 그에 연결된 래치 케이블(LC)을 당겨서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200: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110,210: 하우징 111,211: 하우징 몸체
115,215: 바닥 130,230: 조작 버튼
131,231: 버튼 몸체 135,235: 몸체 지지체
150,250: 작동 스위치 170,270: 베이스
171,271: 안착 플레이트 173,273: 플레이트 지지체
175,275: 포스트 190,290: 견인 부재 191,291: 견인 몸체 193,293: 연결부
195,295: 연동부

Claims (12)

  1.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 공간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작 버튼;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는 전동 액츄에이터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 버튼이 제1 깊이로 누름 조작됨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전동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작동 스위치; 상기 조작 버튼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 버튼이 제2 깊이로 눌려짐에 따라 하강 스트로크를 발생시키는 베이스; 상기 하강 스트로크에 연동 작동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강 스트로크에 따라 상기 도어 래치를 해제시키는 래치 케이블을 당기는 견인 부재; 및 상기 조작 버튼이 상기 제1 깊이로 누름 조작되는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조작 버튼이 상기 제1 깊이를 넘어서 상기 제2 깊이로 누름 조작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베이스에 대한 지지 위치에서 벗어나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가변 스톱퍼를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스위치는,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은,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버튼 몸체;
    상기 버튼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 스위치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작용부; 및
    상기 버튼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작동 스위치가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상기 조작 버튼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체를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체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 내로 삽입되는 포스트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스톱퍼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 버튼에 대한 누름 조작에 따른 상기 베이스의 하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스톱핑 헤드를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부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견인 몸체;
    상기 견인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래치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견인 몸체에 상기 베이스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의 하강에 연동되어 상기 견인 몸체 및 상기 연결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몸체는,
    링 형상 및 바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10078769A 2021-06-17 2021-06-17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Active KR102461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769A KR102461728B1 (ko) 2021-06-17 2021-06-17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769A KR102461728B1 (ko) 2021-06-17 2021-06-17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728B1 true KR102461728B1 (ko) 2022-11-01

Family

ID=84042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769A Active KR102461728B1 (ko) 2021-06-17 2021-06-17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81668A1 (zh) * 2023-10-20 2025-04-24 深圳引望智能技术有限公司 按压开关、车门和汽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091Y2 (ja) * 1988-03-23 1994-09-14 愛三工業株式会社 車輌用ドアの閉状態解除装置
JP2013163896A (ja) * 2012-02-09 2013-08-22 Honda Lock Mfg Co Ltd 車両用ドアのラッチ解除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091Y2 (ja) * 1988-03-23 1994-09-14 愛三工業株式会社 車輌用ドアの閉状態解除装置
JP2013163896A (ja) * 2012-02-09 2013-08-22 Honda Lock Mfg Co Ltd 車両用ドアのラッチ解除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81668A1 (zh) * 2023-10-20 2025-04-24 深圳引望智能技术有限公司 按压开关、车门和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6075B1 (en) Latch handle assembly
US11499348B2 (en) Power child lock device
JP4928807B2 (ja) パーキングロックの解除装置
KR102461728B1 (ko)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CN110454010A (zh) 车辆用门闩的解除装置
KR102391242B1 (ko)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JP2008248630A (ja) 自動車用ドア
JP2003257274A (ja) スイッチ装着部材における押しボタンスイッチ部の構造
JP5426602B2 (ja) 車両用ドアのラッチ解除装置
KR102590992B1 (ko) 플러쉬 핸들 조립체
JP2020001510A (ja) リッドロック機構およ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24049987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解除装置
JP4774133B2 (ja) 自動車用ドア
JP3364566B2 (ja) 車両用スライド扉の中継機構
JP2008248635A (ja) ハンドル装置
TWI730873B (zh) 旋轉式主開關鎖
KR20200025511A (ko) 관성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200247113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잠금장치
CN212224951U (zh) 紧急解锁装置、公共汽车驾驶座包围门用锁具及公共汽车
KR200150172Y1 (ko) 자동차용 도어 장치
KR100372413B1 (ko) 안전 노브 기능을 겸한 차량용 도어의 오픈핸들
CN212249592U (zh) 紧急解锁组件及公共汽车驾驶座包围门用锁具
JPS5847180Y2 (ja) ドアロツク装置
JP2888070B2 (ja) シフトロック装置
KR20040039724A (ko) 전기식과 기계식이 일체화된 트렁크 리드 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