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51919B1 -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919B1
KR102451919B1 KR1020180079842A KR20180079842A KR102451919B1 KR 102451919 B1 KR102451919 B1 KR 102451919B1 KR 1020180079842 A KR1020180079842 A KR 1020180079842A KR 20180079842 A KR20180079842 A KR 20180079842A KR 102451919 B1 KR102451919 B1 KR 102451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oling water
coolant
integrated control
flow pa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6288A (ko
Inventor
이효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9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919B1/ko
Publication of KR20200006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9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6Controlling lubricant pressure or quant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01M5/005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08Temperature
    • F01P2025/40Oil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04Lubricant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18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는 엔진 오일이 유입되는 오일 유입부와 엔진 오일이 유출되는 오일 유출부가 형성되며,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부와 냉각수가 유출되는 냉각수 유출부가 형성된 오일 열 교환기, 그 이동에 따라 상기 오일 유입부와 상기 냉각수 유입부가 선택적으로 동시에 개폐되도록 구비된 유로 전환기, 상기 유로 전환기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엔진 오일 온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오일온 센서, 상기 오일온 센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INTEGRATED CONTROL DEVICE FOR OIL AND COOLANT}
본 발명은 운전 조건에 따라서 공급되는 오일과 냉각수를 동시에 제어하여 오일 온도 상승 시간을 단축하고, 오일 냉각을 수행하는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은 연료의 연소에 의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면서 열에너지를 외부로 배출한다. 특히, 냉각수는 엔진 등을 순환하면서 열에너지를 흡수하고, 이를 라디에이터 등을 통해서 외부로 방출한다.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낮으면, 오일의 점성이 높아져서 마찰력이 증가하고, 연료소모가 늘어나며, 배기가스의 온도가 천천히 상승하여 촉매가 활성화되는 시간이 길어진다. 또한, 배기가스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으며 히터의 기능이 정상화되는 시간이 길어져 승객 및 운전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과열되면, 노킹이 발생하고,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점화시기를 조절해야 하므로 엔진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윤활유의 온도가 과도하면 윤활작용이 저하될 수 있다.
연비 향상을 목적으로 오일 쿨러로 가는 냉각수 유량 또는 오일 유량을 써모스탯이나 유량 제어 밸브를 적용하여 제어하는데 연비의 최적화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한다. 즉, 연비는 기본적으로 냉각수 유량과 오일 유량 모두를 제어하여야 연비 향상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 조건에 따라서 공급되는 오일과 냉각수를 동시에 제어하여 오일 온도 상승 시간을 단축하고, 오일 냉각을 수행하는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는 엔진 오일이 유입되는 오일 유입부와 엔진 오일이 유출되는 오일 유출부가 형성되며,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부와 냉각수가 유출되는 냉각수 유출부가 형성된 오일 열 교환기, 그 이동에 따라 상기 오일 유입부와 상기 냉각수 유입부가 선택적으로 동시에 개폐되도록 구비된 유로 전환기, 상기 유로 전환기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엔진 오일 온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오일온 센서, 상기 오일온 센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오일온 센서 출력 온도가 설정된 저온 조건이거나, 설정된 고온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는 오일이 유입되는 오일 공급부, 상기 오일 유입부와 연결된 배출 홀 및 오일을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 전환기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구동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유로 전환기에는 제1 오일 홀과 제2 오일 홀이 형성되며, 상기 유로 전환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오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오일이 상기 제1 오일 홀 및 상기 오일 유입부를 통해 상기 오일 열 교환기로 공급되거나, 상기 오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오일이 상기 제2 오일 홀을 통해 바이패스 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는 상기 구동부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유로 전환기를 미는 구동부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는 상기 오일 유입부에 구비되는 오일 밸브, 상기 냉각수 유입부에 구비되는 냉각수 밸브 및 상기 오일 밸브와 상기 냉각수 밸브를 연결하는 밸브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유입부로 흐르는 엔진 오일 압력에 따라 상기 오일 밸브와 상기 냉각수 밸브가 동시에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는 상기 오일 밸브와 상기 냉각수 밸브가 각각 상기 오일 유입부와 상기 냉각수 유입부를 차단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는 상기 오일 밸브와 상기 냉각수 밸브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비된 스타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유로 전환기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전기 써모스탯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왁스가 충진된 써모스탯 하우징, 상기 왁스에 선택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전기 히터 및 상기 써모스탯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유로 전환기에 연결되며, 상기 왁스의 팽창에 따라 상기 유로 전환기를 미는 작동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는 오일이 유입되는 오일 공급부, 상기 오일 유입부와 연결된 오일 배출 홀,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공급부 및 상기 냉각수 유입부와 연결된 냉각수 배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 전환기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구동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유로 전환기에는 상기 오일 배출 홀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 랜드 및 상기 냉각수 배출 홀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 랜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랜드 및 상기 제2 랜드는 상기 오일 배출 홀 및 상기 냉각수 배출 홀을 동시에 열거나 동시에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랜드 및 상기 제2 랜드 사이에 상기 오일 및 상기 냉각수가 혼합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3 랜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유로 전환기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행하는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는 운전 조건에 따라서 공급되는 오일과 냉각수를 동시에 제어하여 오일 온도 상승 시간을 단축하고, 오일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은 차량 작동 상태 신호부(10)의 출력 신호에 따라 냉각수 제어 밸브(30) 및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2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신호부(10)는 냉각 수온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수온 센서(12), 엔진 오일 온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오일온 센서(14), 흡기 온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흡기온 센서(16) 및 엑셀 페달의 위치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엑셀 개도 센서(18)를 포함한다.
워터 펌프(50)에서 공급된 냉각수는 엔진(1)의 블록(3) 및 실린더 헤드(5)를 통해 상기 냉각수 제어 밸브(30)로 공급되며, 상기 냉각수 제어 밸브(30)는 상기 제어기(20)의 제어에 따라 복수 개의 열교환 요소로 냉각수를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열교환 요소는 예를 들어, LP-EGR 쿨러(44), 히터(46), 라디에이터(40), 리저버 탱크(42), HP-EGR 쿨러(48)와 오일 열 교환기(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는 상기 냉각 시스템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오일 및 냉각수간 열교환을 하는 냉각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60)는 엔진 오일이 유입되는 오일 유입부(72)와 엔진 오일이 유출되는 오일 유출부(73)가 형성되며,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부(74)와 냉각수가 유출되는 냉각수 유출부(75)가 형성된 오일 열 교환기(70), 그 이동에 따라 상기 오일 유입부(72)와 상기 냉각수 유입부(74)가 선택적으로 동시에 개폐되도록 구비된 유로 전환기(80), 상기 유로 전환기(8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90), 상기 오일온 센서(14) 및 상기 제어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20)는 상기 오일온 센서(14)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9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60)는 오일이 유입되는 오일 공급부(102), 상기 오일 유입부(72)와 연결된 배출 홀(104) 및 오일을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홀(106)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 전환기(80)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구동부 하우징(1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유로 전환기(80)에는 제1 오일 홀(82)과 제2 오일 홀(84)이 형성되며, 상기 유로 전환기(8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오일 공급부(102)로부터 공급된 오일이 상기 제1 오일 홀(82) 및 상기 오일 유입부(72)를 통해 상기 오일 열 교환기(70)로 공급되거나, 상기 오일 공급부(102)로부터 공급된 오일이 상기 제2 오일 홀(84)을 통해 바이패스 홀(106)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60)의 상기 유로 전환기(80)는, 예를 들어 슬리브(81; sleeve)로, 그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오일을 선택적으로 상기 오일 열 교환기(70)로 전달하거나, 상기 바이패스 홀(106)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오일 공급부(102)는 상기 엔진(1), 예를 들어 상기 엔진(1)에 장착된 오일 펌프로부터 오일을 공급받으며, 상기 바이패스 홀(106)을 통과한 오일과 상기 오일 유출부(73)로 배출된 오일은 상기 엔진(1), 예를 들어 오일 필터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60)는 상기 구동부 하우징(100)에 장착되어, 상기 유로 전환기(80)를 미는 구동부 스프링(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60)는 상기 오일 유입부(72)에 구비되는 오일 밸브(110), 상기 냉각수 유입부(74)에 구비되는 냉각수 밸브(112) 및 상기 오일 밸브(110)와 상기 냉각수 밸브(112)를 연결하는 밸브 샤프트(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유입부(72)로 흐르는 엔진 오일 압력에 따라 상기 오일 밸브(110)와 상기 냉각수 밸브(112)가 동시에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60)는 상기 오일 밸브(110)와 상기 냉각수 밸브(112)가 각각 상기 오일 유입부(72)와 상기 냉각수 유입부(74)를 차단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60)는 상기 오일 밸브(110)와 상기 냉각수 밸브(112)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비된 스타퍼(118)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타퍼(118)에 의해 상기 오일 밸브(110)와 상기 냉각수 밸브(112)가 설정된 범위 내로 그 회전이 제한된다.
상기 구동부(90)는 상기 유로 전환기(80)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전기 써모스탯(91)일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90)는 왁스(93)가 충진된 써모스탯 하우징(92), 상기 왁스(93)에 선택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전기 히터(94) 및 상기 써모스탯 하우징(100)에 장착되고, 상기 유로 전환기(80)에 연결되며, 상기 왁스(93)의 팽창에 따라 상기 유로 전환기(80)를 미는 작동 로드(9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20)는 상기 오일온 센서(14) 출력 온도가 설정된 저온 조건이거나, 설정된 고온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9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오일 열 교환기(70)는 냉각수 유입부(74)를 통해 상기 냉각수 제어 밸브(30)로부터 냉각수를 전달 받는다.
이하,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엔진 초기 냉간 조건에서 웜업을 빠르게 하여야 오일 온도 상승으로 마찰이 저감되어 연비가 향상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냉간 조건에서는 상기 유로 전환기(80), 즉 상기 슬리브(81)의 위치에 의해 상기 제1 오일 홀(82)과 상기 배출 홀(104)이 연통된다.
그러면, 상기 오일 공급부(102)로부터 전달된 오일이 상기 오일 유입부(72)로 흐르고. 상기 오일 밸브(110)가 열려 상기 오일 열 교환기(70)로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냉각수 밸브(112)가 상기 밸브 샤프트(114)를 통해 상기 오일 밸브(110)와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 밸브(112)도 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오일 열 교환기(70)로 상기 냉각수와 상기 오일이 동시에 흐르게 되며, 상기 냉각수의 열이 상기 오일로 전달되어 오일 온도가 빠르게 상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온 조건은 예를 들어 상기 오일 온도가 약 60도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오일 온도가, 예를 들어 60도 이상이 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기(20)는 상기 구동부(9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유로 전환기(80)의 위치를 상기 제2 오일 홀(84)과 상기 바이패스 홀(106)이 연통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전기 써모스탯(91)의 상기 전기 히터(94)가 발열하여 상기 왁스(93)가 팽창하고, 상기 작동 로드(96)가 상기 슬리브(81)를 민다.
그러면, 상기 오일 공급부(102)로부터 전달된 오일이 상기 바이패스 홀(106)을 통해 상기 엔진(1), 즉 오일 필터로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냉각수 밸브(112)와 상기 오일 밸브(110)는 상기 리턴 스프링(116)에 의해 닫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오일 열 교환기(70)로 오일 및 냉각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상기 오일 열 교환기(70)의 차압이 저감되어 연비가 개선될 수 있다.
다시, 상기 엔진(1)이 계속 작동되면, 상기 오일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오일 온도가 100도 이상의 설정된 고온 조건이 되면, 상기히터(94)의 작동을 멈춰 상기 슬리브(81)가 도3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오일 열 교환기(70)로 상기 냉각수와 상기 오일이 동시에 흐르게 되며, 상기 오일의 열이 상기 냉각수로 전달되어 상기 오일의 냉각이 진행 된다.
도3 및 도4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 저온 조건 또는 상기 고온 조건에서, 상기 전기 히터(94)가 작동하지 않고, 상기 저온 조건과 상기 고온 조건이 아닌 경우, 상기 전기 히터(94)가 작동하는 것으로 설명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반대로, 상기 제1 오일 홀(82), 상기 제2 오일 홀(84), 상기 배출 홀(104) 및 상기 바이패스 홀(106)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저온 조건 또는 상기 고온 조건에서, 상기 전기 히터(94)가 작동하여 상기 유로 전환기(80)를 밀어 상기 제1 오일 홀(82)과 상기 배출 홀(104)이 연통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그 구성의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도3 및 도4에 도시된 예와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61)는 오일이 유입되는 오일 공급부(132), 상기 오일 유입부(72)와 연결된 오일 배출 홀(134),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공급부(136) 및 상기 냉각수 유입부(74)와 연결된 냉각수 배출 홀(138)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 전환기(80)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구동부 하우징(131)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유로 전환기(80)에는 상기 오일 배출 홀(134)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 랜드(142) 및 상기 냉각수 배출 홀(138)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 랜드(144)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랜드(142) 및 상기 제2 랜드(144)는 상기 오일 배출 홀(134) 및 상기 냉각수 배출 홀(138)을 동시에 열거나 동시에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 전환기(80)는 예를 들어, 스풀(130)일 수 있다.
상기 제1 랜드(142) 및 상기 제2 랜드(144) 사이에 상기 오일 및 상기 냉각수가 혼합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3 랜드(14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90)는 상기 유로 전환기(80)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150)일 수 있다.
이하,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61)의 작동을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상기 저온 조건 또는 고온 조건에서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150)가 상기 스풀(130)을 밀어 상기 오일 배출 홀(134) 및 상기 냉각수 배출 홀(138)이 열리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오일 공급부(132)로부터 전달된 오일이 상기 오일 열 교환기(70)로 흐르며, 상기 냉각수 공급부(136)로부터 전달된 냉각수도 상기 오일 열 교환기(70)로 흐르게 되며, 상기 상기 냉각수와 상기 오일간 열교환이 일어난다.
상기 저온 조건 또는 고온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기(20)의 작동에 의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솔레노이드(150)가 상기 스풀(130)을 당겨 상기 오일 배출 홀(134) 및 상기 냉각수 배출 홀(138)이 닫히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오일 열 교환기(70)로 냉각수와 오일이 흐르지 않아 냉각수와 오일간 열교환은 발생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행하는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에 의하면, 운전 조건에 따라서 공급되는 오일과 냉각수를 동시에 제어하여 오일 온도 상승 시간을 단축하고, 오일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오일이 저온일 때는 냉각수로부터 수열하여 오일 온도를 상승시켜 연비를 향상하고 오일이 고온일 때는 냉각수로 방열하여 오일을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오일이 오일 열 교환기로 흐르지 않고 바이패스 되는 경우에는 오일 열 교환기의 차압이 저감되어 연비가 개선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엔진 3: 엔진 블록
5: 실린더 헤드 10: 차량 작동 상태 신호부
12: 수온 센서 14: 오일온 센서
16: 흡기온 센서 18: 엑셀 개도 센서
20: 제어기 30: 냉각수 제어 밸브
40: 라디에이터 42: 리저버 탱크
44: LP-EGR 쿨러 46: 히터
48: HP-EGR 쿨러 50: 워터 펌프
60: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 70: 오일 열 교환기
72: 오일 유입부 73: 오일 유출부
74: 냉각수 유입부 75: 냉각수 유출부
80: 유로 전환기 81: 슬리브
82: 제1 오일 홀 84: 제2 오일 홀
90: 구동부 92: 써모스탯 하우징
93: 왁스 94: 전기 히터
96: 작동 로드 100: 구동부 하우징
102: 오일 공급부 104: 배출 홀
106: 바이패스 홀 108: 구동부 스프링
110: 오일 밸브 112: 냉각수 밸브
114: 밸브 샤프트 116: 리턴 스프링
118: 스타퍼 130: 스풀
132: 오일 공급부 134: 오일 배출 홀
136: 냉각수 공급부 138: 냉각수 배출 홀
142: 제1 랜드 144: 제2 랜드
146: 제3 랜드 150: 솔레노이드

Claims (13)

  1. 엔진 오일이 유입되는 오일 유입부와 엔진 오일이 유출되는 오일 유출부가 형성되며,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부와 냉각수가 유출되는 냉각수 유출부가 형성된 오일 열 교환기;
    그 이동에 따라 상기 오일 유입부와 상기 냉각수 유입부가 선택적으로 동시에 개폐되도록 구비된 유로 전환기;
    상기 유로 전환기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엔진 오일 온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오일온 센서; 및
    상기 오일온 센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오일온 센서 출력 온도가 설정된 저온 조건이거나, 설정된 고온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
  3. 제1항에서,
    오일이 유입되는 오일 공급부, 상기 오일 유입부와 연결된 배출 홀 및 오일을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 전환기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구동부 하우징;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유로 전환기에는 제1 오일 홀과 제2 오일 홀이 형성되며, 상기 유로 전환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오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오일이 상기 제1 오일 홀 및 상기 오일 유입부를 통해 상기 오일 열 교환기로 공급되거나, 상기 오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오일이 상기 제2 오일 홀을 통해 바이패스 홀을 통해 배출되는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구동부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유로 전환기를 미는 구동부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오일 유입부에 구비되는 오일 밸브;
    상기 냉각수 유입부에 구비되는 냉각수 밸브; 및
    상기 오일 밸브와 상기 냉각수 밸브를 연결하는 밸브 샤프트;
    를 더 포함하는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오일 유입부로 흐르는 엔진 오일 압력에 따라 상기 오일 밸브와 상기 냉각수 밸브가 동시에 개폐되는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오일 밸브와 상기 냉각수 밸브가 각각 상기 오일 유입부와 상기 냉각수 유입부를 차단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
  8. 제5항에서,
    상기 오일 밸브와 상기 냉각수 밸브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비된 스타퍼;
    를 더 포함하는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
  9. 제3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유로 전환기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전기 써모스탯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왁스가 충진된 써모스탯 하우징;
    상기 왁스에 선택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전기 히터; 및
    상기 써모스탯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유로 전환기에 연결되며, 상기 왁스의 팽창에 따라 상기 유로 전환기를 미는 작동 로드;
    를 포함하는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
  11. 제1항에서,
    오일이 유입되는 오일 공급부, 상기 오일 유입부와 연결된 오일 배출 홀,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공급부 및 상기 냉각수 유입부와 연결된 냉각수 배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 전환기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구동부 하우징;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유로 전환기에는 상기 오일 배출 홀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 랜드 및 상기 냉각수 배출 홀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 랜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랜드 및 상기 제2 랜드는 상기 오일 배출 홀 및 상기 냉각수 배출 홀을 동시에 열거나 동시에 차단하도록 형성된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제1 랜드 및 상기 제2 랜드 사이에 상기 오일 및 상기 냉각수가 혼합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3 랜드가 형성된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
  13. 제11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유로 전환기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인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
KR1020180079842A 2018-07-10 2018-07-10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 Active KR102451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842A KR102451919B1 (ko) 2018-07-10 2018-07-10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842A KR102451919B1 (ko) 2018-07-10 2018-07-10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288A KR20200006288A (ko) 2020-01-20
KR102451919B1 true KR102451919B1 (ko) 2022-10-06

Family

ID=69367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842A Active KR102451919B1 (ko) 2018-07-10 2018-07-10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9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0238A (ja) 2005-08-04 2007-02-15 Toyota Motor Corp 電磁駆動弁
JP2009275708A (ja) 2009-07-15 2009-11-26 Toyota Motor Corp 電磁駆動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6489B2 (ja) * 1995-10-27 2006-05-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式空気調和機
JP2007333068A (ja) * 2006-06-14 2007-12-27 Toyota Motor Corp サーモバルブ
KR101255917B1 (ko) * 2010-12-16 2013-04-17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감온형 멀티밸브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파워트레인용 항온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0238A (ja) 2005-08-04 2007-02-15 Toyota Motor Corp 電磁駆動弁
JP2009275708A (ja) 2009-07-15 2009-11-26 Toyota Motor Corp 電磁駆動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288A (ko) 202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40842B (zh) 自动变速器的热交换器结构
US8434432B2 (en) Cool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10023025B2 (en) Heat management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179971U (ja) 燃焼機関の冷却システム
CN102650232B (zh) 用于内燃机的冷却系统
CN109915249A (zh) 汽车发动机冷却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50080660A (ko) 엔진의 냉각시스템
US20140352636A1 (en) Powertrain cooling system with cooling and heating modes for heat exchangers
RU2688123C2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с жидкостным охлаждением с переключающим средством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ключающим средством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такого типа
CA2900119A1 (en) Valve system configurations for warming and cooling transmission fluid
US20210239030A1 (en) Cooling system of engine
US10060326B2 (en) Cool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11206981A (zh) 用于冷却散热器布置的控制阀
EP3194810B1 (en) Transmission heat exchange system
RU2578253C1 (ru) Система охлажд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такую систему охлаждения
KR20200016081A (ko) 냉각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451919B1 (ko) 오일-냉각수 통합 제어 장치
KR102451920B1 (ko) 유량 제어 밸브, 이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451921B1 (ko) 유량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5341986B (zh) 发动机的冷却系统
KR102451877B1 (ko)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시스템
JP3292217B2 (ja) 車両用油温制御装置
US10641157B2 (en) Thermostat and cooling system having the same
JP7488134B2 (ja) 冷却システム
JP2014070501A (ja) オイル冷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6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7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