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48892B1 - 회전체 검출 센서 및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 - Google Patents

회전체 검출 센서 및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892B1
KR102448892B1 KR1020200137501A KR20200137501A KR102448892B1 KR 102448892 B1 KR102448892 B1 KR 102448892B1 KR 1020200137501 A KR1020200137501 A KR 1020200137501A KR 20200137501 A KR20200137501 A KR 20200137501A KR 102448892 B1 KR102448892 B1 KR 102448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signal
detection sensor
voltage signal
integrated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262A (ko
Inventor
황진태
권우영
사공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200137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892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8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G01D5/24471Error correction
    • G01D5/2448Correction of gain, threshold, offset or phas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9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using means for generating position or synchronisation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sensors or parameter dete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8/00Testing or calibra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provided for in groups G01D1/00 - G01D15/00
    • G01D18/001Calibrating enco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G01D5/24471Error correction
    • G01D5/24476Signal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날로그 전압 신호와 디지털 전압 신호를 모두 출력하되, 상기 아날로그 전압 신호와 상기 디지털 전압 신호 간의 정밀한 비교 분석이 가능한 회전체 검출 센서 및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회전체 검출 센서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 신호를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집적회로 유닛 및 상기 자기 신호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아날로그 출력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집적회로 유닛은, 상기 자기 신호를 피드백 받아 상기 공급 전류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체 검출 센서 및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ROTATION DETECTING SENSOR OF ROTATOR AND ROTATION DETECTING SENSOR ASSEMBLY OF ROTATOR}
본 발명은 회전체 검출 센서 및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날로그 전압 신호와 디지털 전압 신호를 모두 출력하되, 상기 아날로그 전압 신호와 상기 디지털 전압 신호 간의 정밀한 비교 분석이 가능한 회전체 검출 센서 및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기장을 활용한 회전체 검출 센서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자기 신호를 전기 신호인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형태에서부터 발전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 신호(아날로그 전압)로부터 원하는 정보(회전체의 회전 속도, 방향 등)를 얻기 위해서는 부가적인 신호 가공 및 보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회전체 검출 센서는 이러한 신호 가공 및 보정을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따라서 회전체 검출 센서에서는 이후의 제어 단계에서 요구되는 정보를 간단한 형태의 전기 신호(디지털 전압)로 출력하게 되었다. 이는, 이후의 제어 단계에서의 처리 효율을 높이게 된다.
그러나, 회전체 검출 센서로부터 가공 및 보정된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이후 단계에서의 제어 효율은 높일 수 있으나, 회전체로부터 기인하는 오류(예를 들어, 회전체의 기구적인 위치와 회전체 검출 센서의 출력의 위상이 같지 않은 문제 등)와 같이 예측 불가능한 현상이 발생하여 검출 신호에 오류가 발생하여도 그 원인을 파악하기 힘들게 만든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가공된 신호가 아닌, 회전체에 의해 발생한 자기 신호로부터 변환된 전기 신호(아날로그 전압) 자체를 출력으로 갖는 별도의 집적회로(IC) 소자를 기존의 집적회로 소자와 별도로 마련하고, 각각의 소자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비교하여 불량 또는 오류의 분석을 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로 마련된 두 집적회로 소자를 회전체 검출 센서에 배치하는 경우, 각 소자의 위치 편차 등에 기인하여, 각 소자에 입력되는 자기 신호로부터 변환된 전기 신호의 진폭, 위상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정밀한 비교 분석에 오류가 생기게 만들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9302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날로그 전압 신호와 디지털 전압 신호를 모두 출력하되, 상기 아날로그 전압 신호와 상기 디지털 전압 신호 간의 정밀한 비교 분석이 가능한 회전체 검출 센서 및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체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 신호를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집적회로 유닛 및 상기 자기 신호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아날로그 출력 유닛을 구비하므로 하나의 자기 신호로부터 디지털 전압 신호와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모두 출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하나의 자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아날로그 전압 신호와 상기 디지털 전압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양 신호간의 진폭, 위상에 편차없이 정밀한 비교 분석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검출 센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검출 센서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회전체 검출 센서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검출 센서(10)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검출 센서(10)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검출 센서(10)는, 집적회로 유닛(100) 및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을 포함한다.
이때, 회전체 검출 센서(10)는 전원(1)으로부터 공급 전류를 전달받아 회전체(2)의 회전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여기서의 전원(1)은 배터리,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이 될 수 있다. 회전체(2)가 회전하면 치형 또는 극성에 따라 자속 밀도가 변화하여 자기 신호가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자기 신호에 따라 홀 효과(hall effect)가 발생하는 것을 이용하여 회전체(2)의 회전 속도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홀 효과는 전류와 자기장에 의해 모든 전도체 물질에 나타나는 효과로서, 전원(1)에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는 전기 전도체에 수직하게 자기장이 걸릴 때, 전류와 자기장의 방향에 수직하게 전압이 걸리며, 이 전압을 홀전압이라 한다.
집적회로 유닛(100)은, 회전체(2)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 신호를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성이다.
집적회로 유닛(100)은 상기 자기 신호를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부(110)와 상기 자기 신호를 피드백 받아 상기 디지털 변환부(110)에 공급되는 상기 공급 전류(I공급)를 변환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변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집적회로 유닛(100)은 전원(1)에 연결되어, 전원(1)이 공급하는 공급 전류를 전달받아 구동하며, 회전체(2)의 회전이 발생시키는 자기 신호는 디지털 변환부(110)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자기 신호는 디지털 변환부(110)에서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변환부(110)는 신호 입력부(111), 신호 연산부(112) 및 신호 출력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입력부(111)에서는 자기 신호에 의해 전기 신호인 홀 전압이 생성되고 상기 홀 전압은 신호 연산부(112)로 전달되어 가공, 보정된다. 이때, 보정은 종래의 오프셋 보정 및/또는 온도 보상 보정 등일 수 있다. 가공, 보정된 홀 전압은 신호 출력부(113)로 전달되어 디지털 전압으로 변환된다. 이때, 홀 전압은 기 설정된 기준 전압값과의 비교를 통해 하이(high) 또는 로우(low) 신호를 갖는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변환부(110)는 출력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의 노이즈를 제어하기 위한 필터(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디지털 변환부(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전달되어 연료 분사시기 및 점화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로써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집적회로 유닛(100)에 포함된 전류 변환부(120)는 자기 신호를 피드백 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류 변환부(120)는 자기 신호에 의해 생성된 전기 신호를 피드백 받을 수 있다. 또한, 전류 변환부(120)는 피드백 받은 상기 자기 신호를 이용하여 집적회로 유닛(100)에 공급되는 공급 전류를 변환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공급 전류의 변환이란, 자기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홀전압과 동일한 형태의 아날로그 전류를 공급하도록 변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집적회로 유닛(100)은 전원(1)에 의해 공급되는 공급 전류를 변환하는 레귤레이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 전류 변환의 일 예로, 자기 신호로부터 홀 전압이 생성되면 전류 변환부(120)가 이를 전달받아 대응하는 전류를 계산할 수 있다. 전류 변환부(120)는 상기 전류와 동일한 전류를 발생시키는 구동 듀티비를 연산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제어 신호는 레귤레이터(140)에 전송될 수 있다. 레귤레이터(140)는 제어 신호의 구동 듀티비에 따라 직류로 공급되는 공급 전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집적회로 유닛(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전류 변환부(120)는 일 예로, 레귤레이터(140)에 공급 전류를 변환하기 위한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은 회전체(2)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자기 신호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구성이다.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은 집적회로 유닛(10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은 집적회로 유닛(100)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집적회로 유닛(100)과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에는 동일한 공급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집적회로 유닛(100)은 자기 신호를 피드백 받아 자기 신호가 만들어내는 아날로그 전류와 동일하게 되도록 공급 전류를 변환하며,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은 이렇게 변환된 공급 전류를 전달받아 아날로그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은 션트(shunt) 저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이 션트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집적회로 유닛(100)에서 변환된 공급 전류(I변환)가 상기 션트 저항을 통해 흐르도록 상기 션트 저항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션트 저항에 변환된 공급 전류가 흐르면 션트 저항의 양단에는 상기 변환된 공급 전류에 대응하는 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은 상기 션트 저항 양단에 인가된 전압을 아날로그 전압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1000)는 하우징(300), 집적회로 유닛(100), 터미널(400) 및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을 포함한다.
하우징(300)은, 내부의 부품을 고정하고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내부에 부품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00)은 부품을 수용하는 컵과 컵의 외부를 둘러싸며 장착부를 형성하는 오버몰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집적회로 유닛(100)은 하우징(300)에 수용되며, 회전체(2)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 신호를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성이다.
집적회로 유닛(100)은 상기 자기 신호를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부(110)와 상기 자기 신호를 피드백 받아 상기 디지털 변환부(110)에 공급되는 공급 전류를 변환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변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집적회로 유닛(100)에 대해서는 회전체 검출 센서(10)를 설명하면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터미널(400)은, 하우징(300)에 수용되며, 집적회로 유닛(100)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터미널(400)의 일단은 집적회로 유닛(100)과 결합되고 타단은 ECU에 연결된 케이블에 결합되어, 집적회로 유닛(100)이 출력하는 디지털 전압 신호를 ECU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터미널(400)은 집적회로 유닛(100)과 후술할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을 연결할 수 있다.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은, 회전체(2)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자기 신호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구성이다.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은 터미널(400)을 통해 집적회로 유닛(10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은 집적회로 유닛(100)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집적회로 유닛(100)과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에는 동일한 공급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회전체 검출 센서(1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은 션트 저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션트 저항은 터미널(400)에 용접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용접은 레이저 용접일 수 있고, 이외에도 프레스핏, 압착 또는 납땜의 방법으로 션트 저항과 터미널(400)이 연결될 수 있다.
이외에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에 대해서는 회전체 검출 센서(10)를 설명하면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렇게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이 션트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간단하게 1개의 전기, 전자 소자(션트 저항)를 추가하는 것만으로도 아날로그 신호를 별도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집적회로 소자를 2개 사용하는 것보다 회전체 검출 센서(10) 또는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1000)의 제조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집적회로 유닛(100)이 회전체(2)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 신호를 피드백 받아 공급 전류를 변환하고 변환된 공급 전류에 의해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에서 아날로그 신호가 출력됨으로써 하나의 자기 신호를 소스(source)로 하여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를 모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양 신호간의 진폭, 위상의 편차없이 정밀한 비교 분석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검출 센서(10)를 이용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 설명되는 회전체 검출 센서(10)를 이용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3를 참고하여 설명한 회전체 검출 센서(10) 또는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10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집적회로 유닛(100)은 S100, S210 및 S220 단계를 거쳐 회전체(2)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 신호를 디지털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집적회로 유닛(100)은 디지털 변환부(110)를 포함할 수 있고, 디지털 변환부(110)는 신호 입력부(111), 신호 연산부(112) 및 신호 출력부(1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 입력부(111)에서는 자기 신호에 의해 전기 신호인 홀 전압이 생성되고(S100) 홀 전압은 신호 연산부(112)로 전달되어 가공, 보정된다.(S210) 이때, 보정은 종래의 오프셋 보정 및/또는 온도 보상 보정 등일 수 있다. 가공, 보정된 홀 전압은 신호 출력부(113)로 전달되어 디지털 전압으로 변환된 후 출력된다.(S220) 이때, 홀 전압은 기 설정된 기준 전압값과의 비교를 통해 하이(high) 또는 로우(low) 신호를 갖는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된다.
집적회로 유닛(100)은 회전체(2)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 신호를 디지털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동시에, S100, S310 및 S320 단계를 거쳐 상기 자기 신호를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변환을 통해, 집적회로 유닛(100)은 자기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홀 전압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전압과 동일한 형태의 공급 전류가 직접회로 유닛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집적회로 유닛(100)은 전류 변환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전류 변환부(120)는 신호 입력부(111)에서 자기 신호에 의해 생성(S100)된 전기 신호를 피드백 받을 수 있다.(S310) 또한, 전류 변환부(120)는 피드백 받은 자기 신호를 이용하여 집적회로 유닛(100)에 공급되는 공급 전류를 변환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공급 전류의 변환이란, 자기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홀전압과 동일한 형태의 아날로그 전류를 공급하도록 변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렇게 변환된 공급 전류는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에 의해 아날로그 전압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S320) 보다 구체적으로,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은 집적회로 유닛(100)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집적회로 유닛(100)과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에는 동일한 공급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일 예로,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은 션트 저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이 션트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집적회로 유닛(100)에서 변환된 공급 전류가 상기 션트 저항을 통해 흐르도록 상기 션트 저항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션트 저항에 변환된 공급 전류가 흐르면 션트 저항의 양단에는 상기 변환된 공급 전류에 대응하는 전압이 인가된다. 아날로그 출력 유닛(200)은 상기 전압을 아날로그 전압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S100, S210 및 S220 단계를 거쳐 수행되는 디지털 전압 신호의 출력과 S100, S310 및 S320 단계를 거쳐 수행되는 아날로그 전압 신호의 출력은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 즉, S100 단계 이후 S210 및 S220 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S310 및 S320 단계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체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 신호를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집적회로 유닛 및 상기 자기 신호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아날로그 출력 유닛을 구비하므로 하나의 자기 신호로부터 디지털 전압 신호와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모두 출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하나의 자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아날로그 전압 신호와 상기 디지털 전압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양 신호간의 진폭, 위상에 편차없이 정밀한 비교 분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전원
2: 회전체
10: 회전체 검출 센서
100: 집적회로 유닛
110: 디지털 변환부
111: 신호 입력부
112: 신호 연산부
113: 신호 출력부
114,130: 필터
120: 전류 변환부
140: 레귤레이터
200: 아날로그 출력 유닛
1000: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
300: 하우징
400: 터미널

Claims (9)

  1. 전원으로부터 공급 전류를 전달받아 회전체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체 검출 센서로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 신호를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집적회로 유닛; 및
    상기 자기 신호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아날로그 출력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집적회로 유닛은, 상기 자기 신호를 피드백 받아 상기 공급 전류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검출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회로 유닛은,
    상기 자기 신호를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부; 및
    상기 자기 신호를 피드백 받아 상기 디지털 변환부에 공급되는 상기 공급 전류를 변환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변환부;를 포함하는 회전체 검출 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출력 유닛은,
    상기 집적회로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변환된 공급 전류를 전달받으며,
    상기 변환된 공급 전류를 상기 아날로그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검출 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출력 유닛은,
    션트 저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환된 공급 전류가 상기 션트 저항을 통해 흐르도록 상기 션트 저항이 배치되며, 상기 션트 저항의 양단에 인가되는 상기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검출 센서.
  5. 전원으로부터 공급 전류를 전달받아 회전체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 신호를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집적회로 유닛;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기 집적회로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 및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터미널을 통해 상기 집적회로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자기 신호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아날로그 출력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집적회로 유닛은, 상기 자기 신호를 피드백 받아 상기 공급 전류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회로 유닛은,
    상기 자기 신호를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부; 및
    상기 자기 신호를 피드백 받아 상기 디지털 변환부에 공급되는 상기 공급 전류를 변환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변환부;를 포함하는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출력 유닛은,
    상기 집적회로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변환된 공급 전류를 전달받으며,
    상기 변환된 공급 전류를 상기 아날로그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출력 유닛은,
    션트 저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환된 공급 전류가 상기 션트 저항을 통해 흐르도록 상기 션트 저항이 배치되며, 상기 션트 저항의 양단에 인가되는 상기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 저항은 상기 터미널에 용접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
KR1020200137501A 2020-10-22 2020-10-22 회전체 검출 센서 및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 Active KR102448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501A KR102448892B1 (ko) 2020-10-22 2020-10-22 회전체 검출 센서 및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501A KR102448892B1 (ko) 2020-10-22 2020-10-22 회전체 검출 센서 및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262A KR20220053262A (ko) 2022-04-29
KR102448892B1 true KR102448892B1 (ko) 2022-09-28

Family

ID=8142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501A Active KR102448892B1 (ko) 2020-10-22 2020-10-22 회전체 검출 센서 및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89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5517A (ja) * 2007-05-01 2008-11-13 Alps Electric Co Ltd 多回転絶対角検出装置
JP2010160020A (ja) * 2009-01-07 2010-07-22 Tamagawa Seiki Co Ltd 回転角度検出システム
JP2011038828A (ja) * 2009-08-07 2011-02-24 Alps Electric Co Ltd 多回転絶対角検出装置
JP2015099088A (ja) * 2013-11-19 2015-05-2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回転角センサ及び回転角検出装置
JP2017095953A (ja) * 2015-11-24 2017-06-01 株式会社メタコ 電動スクリーン装置
JP2020016452A (ja) * 2018-07-23 2020-01-30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回転角センサの信号処理回路および回転角センサの信号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827B1 (ko) 2002-07-23 2004-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크랭크 각 신호 변조시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5517A (ja) * 2007-05-01 2008-11-13 Alps Electric Co Ltd 多回転絶対角検出装置
JP2010160020A (ja) * 2009-01-07 2010-07-22 Tamagawa Seiki Co Ltd 回転角度検出システム
JP2011038828A (ja) * 2009-08-07 2011-02-24 Alps Electric Co Ltd 多回転絶対角検出装置
JP2015099088A (ja) * 2013-11-19 2015-05-2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回転角センサ及び回転角検出装置
JP2017095953A (ja) * 2015-11-24 2017-06-01 株式会社メタコ 電動スクリーン装置
JP2020016452A (ja) * 2018-07-23 2020-01-30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回転角センサの信号処理回路および回転角センサの信号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262A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3403B2 (en) Motor control system
US5012169A (en) Motor drive system
US7928617B2 (en) Resolver fixing structure
KR960004262B1 (ko) 무정류자직류모터
US7183761B2 (en) Rotation sensor
JP2013046488A (ja) ブロアモータ駆動装置
JP2013046488A5 (ko)
CN103688464B (zh) 电流控制用半导体元件和使用它的控制装置
JP2005212722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WO2012153402A1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7365506B2 (en) Motor driving device, motor driving method, and motor apparatus
CN1719718B (zh) 电机转子位置检测方法和装置
JP5067574B2 (ja) 電流センサ
KR20050043630A (ko) 센서리스 브러시리스 모터
US20210408866A1 (en) Electric driving device
JP6417544B2 (ja)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ドラム式洗濯機またはドラム式洗濯乾燥機
US10355628B2 (en) Starting power generation apparatus and starting power generation method
KR102448892B1 (ko) 회전체 검출 센서 및 회전체 검출 센서 조립체
US20140368145A1 (en) Electric power conversion circuit
JPH0287075A (ja) 電流センサ回路
US20010035688A1 (en) Motor coil-shorting detecting unit
JP2015046989A (ja) モータ駆動装置
JP4811674B2 (ja) 単相用出力インバータ装置とその出力電流検出方法
JP3733986B2 (ja) 出力電流方向判別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インバータ
JP2012103242A (ja) トルク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