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44918B1 -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918B1
KR102444918B1 KR1020220090547A KR20220090547A KR102444918B1 KR 102444918 B1 KR102444918 B1 KR 102444918B1 KR 1020220090547 A KR1020220090547 A KR 1020220090547A KR 20220090547 A KR20220090547 A KR 20220090547A KR 102444918 B1 KR102444918 B1 KR 102444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knife
backward
interlocking
unit
gas supp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기복
김윤자
강법성
백경철
허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우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우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우에코
Priority to KR1020220090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918B1/ko
Priority to PCT/KR2022/019296 priority patent/WO2024019238A1/ko
Priority to EP22211912.5A priority patent/EP4310218A1/en
Priority to CN202211567667.0A priority patent/CN117431490A/zh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 C23C2/20Strips;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20) 또는 기체 공급관(3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아연도금강판의 표면과 에어나이프(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전후진유닛(110); 상기 전후진유닛(11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동유닛(120); 상기 기체 공급관(30)과 연결하여 상기 에어나이프(20)의 전후방향 이동에 따라서 회전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동유닛(130);을 포함하는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아연도금강판의 표면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전후방향 이동거리를 정확하게 측정 및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에어나이프에 쉽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Air knife forward and backward device}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나이프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아연도금강판의 표면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나이프는 아연도금강판의 전면 및 후면으로 고압기체를 분사하여 도금량(도금두께)을 제어하기 위한 에어 와이핑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에어나이프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부피가 크고 넓은 설치공간이 필요한 포지셔너를 이용해야 하므로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에어나이프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된 기체 공급관의 간섭 등으로 인해 에어나이프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구조상의 문제를 갖게 되었다.
아울러 아연도금강판의 규격변화 및 조업조건에 따라서 에어나이프를 전후방향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없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또한, 에어나이프의 전후방향 이동위치를 정확하게 측정 및 확인할 수 없으므로 생산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2-0012105호(1992.07.25.)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2429호(2000.11.15.)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31724호(2001.05.15.)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17111호(2003.03.03.)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2147호(2005.04.18.)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12-0032283호(2012.04.05.)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4970호(2013.05.03.)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46549호(2017.06.14.)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66313호(2018.06.1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전후방향 이동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100)는,
에어나이프(20) 또는 기체 공급관(3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아연도금강판의 표면과 에어나이프(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전후진유닛(110); 상기 전후진유닛(11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동유닛(120); 상기 기체 공급관(30)과 연결하여 상기 에어나이프(20)의 전후방향 이동에 따라서 회전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동유닛(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후진유닛(110)은 에어나이프(20)의 양측 또는 기체 공급관(30)의 일측에 형성하는 다수개의 조절몸체(111); 상기 조절몸체(111)의 상부에 형성하는 받침부(112); 상기 본체(10)의 하부 일측에 상기 받침부(112)의 상부에 안착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유도부(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120)은 상기 전후진유닛(110)의 조절몸체(111)와 나사 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나사축(121); 상기 나사축(121)의 후방에 연결하는 기어박스(122); 상기 기어박스(122)와 연결하는 연동축(123); 상기 연동축(123)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동축(123)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에어나이프(20)의 전후방향 이동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거리 측정유닛(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거리 측정유닛(140)은 상기 연동축(123)의 일측에 장착하는 측정수단(141); 상기 측정수단(141)의 타측에 연결하는 기어박스(142); 상기 기어박스(142)의 타측에 형성하는 나사축(143); 상기 나사축(143)과 나사 결합하는 이동몸체(144); 상기 이동몸체(144)의 일측에 형성하는 지시부(145); 상기 지시부(145)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에어나이프(20)의 전후방향 정지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감지센서(1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연동유닛(130)은 기체 공급관(30)의 외측에 형성하는 회전 유도관(41); 상기 회전 유도관(41)의 상부에 고압기체를 상기 기체 공급관(30)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연동관(40); 상기 본체(10)의 하부 일측에 형성하는 연동몸체(131); 상기 연동몸체(131)의 내측에 형성하는 받침구(132); 상기 받침구(132)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동구(133); 상기 연동관(40)의 상부에 상기 회동구(133)의 중앙을 관통하여 에어나이프(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회전반경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에어나이프(20)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위치조절부(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아연도금강판의 표면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전후방향 이동거리를 정확하게 측정 및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에어나이프에 쉽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전후진유닛 및 연동유닛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거리 측정유닛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전후진유닛 및 연동유닛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거리 측정유닛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20) 또는 기체 공급관(3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아연도금강판의 표면과 에어나이프(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전후진유닛(110); 상기 전후진유닛(11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동유닛(120); 상기 기체 공급관(30)과 연결하여 상기 에어나이프(20)의 전후방향 이동에 따라서 회전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동유닛(13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에어나이프(20) 및 기체 공급관(30)은 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고압기체를 공급받아 상기 에어나이프(20)를 통해서 아연도금강판의 표면으로 고압기체를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나이프(20) 및 기체 공급관(30)의 구성 및 작동원리는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하는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전후진유닛(110)은 에어나이프(20) 또는 기체 공급관(3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아연도금강판의 표면과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도금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후진유닛(1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나이프(20)의 양측 또는 기체 공급관(30)의 일측에 형성하는 다수개의 조절몸체(111); 상기 조절몸체(111)의 상부에 형성하는 받침부(112); 상기 본체(10)의 하부 일측에 상기 받침부(112)의 상부에 안착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유도부(1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조절몸체(111)는 에어나이프(20)의 양측에 형성하거나 또는 기체 공급관(30)의 일측에 각각 형성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결과적으로 에어나이프(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받침부(112) 및 유도부(113)는 상기 조절몸체(111)가 아연도금강판의 표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과 롤러 등과 같이 가공물을 제작하거나 또는 LM 가이드 및 LM 블록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 및 규격을 갖는 이동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120)은 상기 전후진유닛(110)을 작동시켜 에어나이프(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구동유닛(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유닛(110)의 조절몸체(111)와 나사 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나사축(121); 상기 나사축(121)의 후방에 연결하는 기어박스(122); 상기 기어박스(122)와 연결하는 연동축(123); 상기 연동축(123)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나사축(121)은 아연도금강판의 표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조절몸체(11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기어박스(122)는 다수개의 조절몸체(111)와 나사 결합한 상기 나사축(121)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때 상기 기어박스(122)는 마이티 기어박스 등과 같이 구동력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와 규격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동축(123)은 유니버설 조인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124)의 회전력을 상기 기어박스(122)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24)는 양축형을 이용하여 일축에는 상기 연동축(123)을 연결하고, 타축에는 핸들을 장착하여 정전 또는 유지보수 과정에서 작업자가 상기 핸들을 회전시켜 구동모터(124)를 수동으로 작동시켜 에어나이프(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동유닛(130)은 상기 본체(110)와 연결하여 고압기체를 에어나이프(20)로 공급하며 에어나이프(2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연동유닛(13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공급관(30)의 외측에 형성하는 회전 유도관(41); 상기 회전 유도관(41)의 상부에 고압기체를 상기 기체 공급관(30)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연동관(40); 상기 본체(10)의 하부 일측에 형성하는 연동몸체(131); 상기 연동몸체(131)의 내측에 형성하는 받침구(132); 상기 받침구(132)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동구(133); 상기 연동관(40)의 상부에 상기 회동구(133)의 중앙을 관통하여 에어나이프(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회전반경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에어나이프(20)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위치조절부(134);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회전 유도관(41)은 에어나이프(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기체 공급관(30)이 헛돌수 있도록 형성하여 에어나이프(2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회전 유도관(41)과 기체 공급관(30)이 서로 맞닿는 부분에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 및 규격을 갖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구(132)와 회동구(133)는 에어나이프(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동관(40)이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구(133)의 외측면은 구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연동관(40)과 기체 공급관(30) 및 에어나이프(20)가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받침구(132)는 상기 회동구(133)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하여 상기 회동구(133)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아울러 상기 받침구(132)와 회동구(133)는 다양한 형상 및 구성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부(134)는 상기 연동관(40) 및 에어나이프(20)가 상기 회동구(133)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에어나이프(20)가 상하방향으로 각도가 변경되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상기 연동관(40)과 에어나이프(20)가 상기 회동구(133)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반경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각도가 변경될 경우 상기 위치조절부(134)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에어나이프(20)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구(133)와 위치조절부(134)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 및 규격을 갖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동몸체(131)와 연동관(40)의 사이를 감싸도록 형성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연동관(40)의 회전 및 위치에 따라서 신축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신축관(13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조절부(134)는 파이프 형태로 상기 본체(10)를 통해서 공급받는 고압기체를 상기 연동관(40)과 기체 공급관(30)을 통해서 에어나이프(20)로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동축(123)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에어나이프(20)의 전후방향 이동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거리 측정유닛(140);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거리 측정유닛(14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동축(123)의 일측에 장착하는 측정수단(141); 상기 측정수단(141)의 타측에 연결하는 기어박스(142); 상기 기어박스(142)의 타측에 형성하는 나사축(143); 상기 나사축(143)과 나사 결합하는 이동몸체(144); 상기 이동몸체(144)의 일측에 형성하는 지시부(145); 상기 지시부(145)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에어나이프(20)의 전후방향 정지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감지센서(146);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측정수단(141)은 엔코더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측정된 각도를 운전실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정수단(141)은 양축형으로 형성하여 일축은 상기 연동축(123)과 연결하고, 타축은 상기 기어박스(142)와 연결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142)는 마이티 기어박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사축(143)은 상기 연동축(123)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이동몸체(144)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이동몸체(144)는 상기 나사축(143)과 나사 결합하여 상기 지시부(145)를 이동시켜 상기 감지센서(146)를 통해서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감지센서(146)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형성하여 상기 지시부(145)의 위치를 감지하여 에어나이프(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정지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146)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유닛(120)의 작동으로 상기 조절몸체(11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에어나이프(20)와 아연도금강판의 표면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몸체(111)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상기 연동관(40)과 에어나이프(20)가 상기 회동구(133)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여기서 상기 위치조절부(134)가 상기 조절몸체(111)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위치를 조절하므로 에어나이프(20)가 상하방향으로 각도가 바뀌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에어나이프(20)는 기체 공급관(30)이 상기 회전 유도관(41)의 중앙에 헛돌 수 있도록 결합한 상태이므로 상기 조절몸체(111)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본체 20: 에어나이프
30: 기체 공급관 40: 연동관
41: 회전 유도관
100: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
110: 전후진유닛 111: 조절몸체
112: 받침부 113: 유도부
120: 구동유닛 121: 나사축
122: 기어박스 123: 연동축
124: 구동모터 130: 연동유닛
131: 연동몸체 132: 받침구
133: 회동구 134: 위치조절부
135: 신축관
140: 거리 측정유닛 141: 측정수단
142: 기어박스 143: 나사축
144: 이동몸체 145: 지시부
146: 감지센서

Claims (6)

  1. 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에어나이프(20) 또는 기체 공급관(3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아연도금강판의 표면과 에어나이프(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전후진유닛(110); 상기 전후진유닛(11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동유닛(120); 상기 기체 공급관(30)과 연결하여 상기 에어나이프(20)의 전후방향 이동에 따라서 회전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동유닛(130);을 포함하되, 상기 연동유닛(130)은 기체 공급관(30)의 외측에 형성하는 회전 유도관(41); 상기 회전 유도관(41)의 상부에 고압기체를 상기 기체 공급관(30)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연동관(40); 상기 본체(10)의 하부 일측에 형성하는 연동몸체(131); 상기 연동몸체(131)의 내측에 형성하는 받침구(132); 상기 받침구(132)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동구(133); 상기 연동관(40)의 상부에 상기 회동구(133)의 중앙을 관통하여 에어나이프(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회전반경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에어나이프(20)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위치조절부(134);를 포함하는 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유닛(110)은 에어나이프(20)의 양측 또는 기체 공급관(30)의 일측에 형성하는 다수개의 조절몸체(111); 상기 조절몸체(111)의 상부에 형성하는 받침부(112); 상기 본체(10)의 하부 일측에 상기 받침부(112)의 상부에 안착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유도부(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120)은 상기 전후진유닛(110)의 조절몸체(111)와 나사 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나사축(121); 상기 나사축(121)의 후방에 연결하는 기어박스(122); 상기 기어박스(122)와 연결하는 연동축(123); 상기 연동축(123)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동축(123)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에어나이프(20)의 전후방향 이동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거리 측정유닛(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거리 측정유닛(140)은 상기 연동축(123)의 일측에 장착하는 측정수단(141); 상기 측정수단(141)의 타측에 연결하는 기어박스(142); 상기 기어박스(142)의 타측에 형성하는 나사축(143); 상기 나사축(143)과 나사 결합하는 이동몸체(144); 상기 이동몸체(144)의 일측에 형성하는 지시부(145); 상기 지시부(145)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에어나이프(20)의 전후방향 정지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감지센서(1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
  6. 삭제
KR1020220090547A 2022-07-21 2022-07-21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 Active KR102444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547A KR102444918B1 (ko) 2022-07-21 2022-07-21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
PCT/KR2022/019296 WO2024019238A1 (ko) 2022-07-21 2022-11-30 전후 이동 장치를 가지는 에어 나이프 시스템
EP22211912.5A EP4310218A1 (en) 2022-07-21 2022-12-07 Air knife system having front and rear moving apparatus
CN202211567667.0A CN117431490A (zh) 2022-07-21 2022-12-07 具有前后移动装置的气刀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547A KR102444918B1 (ko) 2022-07-21 2022-07-21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918B1 true KR102444918B1 (ko) 2022-09-22

Family

ID=8344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547A Active KR102444918B1 (ko) 2022-07-21 2022-07-21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10218A1 (ko)
KR (1) KR102444918B1 (ko)
CN (1) CN117431490A (ko)
WO (1) WO20240192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238A1 (ko) * 2022-07-21 2024-01-25 주식회사 삼우에코 전후 이동 장치를 가지는 에어 나이프 시스템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105A (ko) 1990-12-03 1992-07-25 알폰소 지암브로코노 파트리신 유도체
KR200202429Y1 (ko) 2000-06-27 2000-1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강판 도금용 에어나이프 장치
JP2001131724A (ja) 1999-11-04 2001-05-15 Hitachi Ltd 連続溶融金属めっき設備及び連続溶融金属めっき手段の位置調整装置並びに連続溶融金属めっき手段の位置調整方法
KR20030017111A (ko) 2001-08-24 2003-03-03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 도금공정에서의 에어나이프 간격 제어장치
KR20030093586A (ko) * 2002-06-03 2003-12-11 주식회사 포스코 취입능이 향상된 아연도금 강판의 에어나이프 장치
JP2004010987A (ja) * 2002-06-07 2004-01-15 Nisshin Steel Co Ltd 連続式溶融メッキラインにおけるシールボックス
KR200382147Y1 (ko) 2005-01-31 2005-04-18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각도조절이 가능한 용융아연도금 시뮬레이터의 에어나이프
KR20120032283A (ko) 2010-09-28 2012-04-05 주식회사 포스코 포지셔너 횡형 이동 동조장치
KR20130044970A (ko) 2011-10-25 2013-05-03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 나이프 센터링 보정 장치
KR101746549B1 (ko) 2016-03-28 2017-06-14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의 위치조절장치
KR101866313B1 (ko) 2017-03-16 2018-06-14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 노즐의 각도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524A (ko) * 2000-06-12 2001-12-19 서경석 볼스크류를 이용한 높이측정장치 및 그 방법
CN106702300A (zh) * 2015-07-29 2017-05-24 宝钢新日铁汽车板有限公司 一种气刀角度调整装置
CN110804720A (zh) * 2019-12-11 2020-02-18 天津市宝来利镀锌钢管有限公司 一种气吹镀铝装置
KR102444918B1 (ko) * 2022-07-21 2022-09-22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105A (ko) 1990-12-03 1992-07-25 알폰소 지암브로코노 파트리신 유도체
JP2001131724A (ja) 1999-11-04 2001-05-15 Hitachi Ltd 連続溶融金属めっき設備及び連続溶融金属めっき手段の位置調整装置並びに連続溶融金属めっき手段の位置調整方法
KR200202429Y1 (ko) 2000-06-27 2000-1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강판 도금용 에어나이프 장치
KR20030017111A (ko) 2001-08-24 2003-03-03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 도금공정에서의 에어나이프 간격 제어장치
KR20030093586A (ko) * 2002-06-03 2003-12-11 주식회사 포스코 취입능이 향상된 아연도금 강판의 에어나이프 장치
JP2004010987A (ja) * 2002-06-07 2004-01-15 Nisshin Steel Co Ltd 連続式溶融メッキラインにおけるシールボックス
KR200382147Y1 (ko) 2005-01-31 2005-04-18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각도조절이 가능한 용융아연도금 시뮬레이터의 에어나이프
KR20120032283A (ko) 2010-09-28 2012-04-05 주식회사 포스코 포지셔너 횡형 이동 동조장치
KR20130044970A (ko) 2011-10-25 2013-05-03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 나이프 센터링 보정 장치
KR101746549B1 (ko) 2016-03-28 2017-06-14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의 위치조절장치
KR101866313B1 (ko) 2017-03-16 2018-06-14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 노즐의 각도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238A1 (ko) * 2022-07-21 2024-01-25 주식회사 삼우에코 전후 이동 장치를 가지는 에어 나이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431490A (zh) 2024-01-23
EP4310218A1 (en) 2024-01-24
WO2024019238A1 (ko)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98467B (zh) 一种恒力浮动系统
US10688619B2 (en) Abrasion arrangement for sanding head
JP6153545B2 (ja) センサプローブを配向するための配向装置
KR102444918B1 (ko) 에어나이프의 전후진 장치
CN106965051A (zh) 螺旋焊管管端智能修磨设备
JPH03228511A (ja) 機械加工装置
KR100777049B1 (ko) 멤브레인 시공용 판재를 용접하기 위한 로봇
CN115371619B (zh) 一种巷道形状测量装置
CN206435880U (zh) 一种激光测距连续式瓦楞板仿形焊接机
KR102444541B1 (ko)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
CN118882586B (zh) 一种不锈工字钢多方位检测设备
CN104260798B (zh) 适用于不同直径管道的检测机器人系统
CN201497494U (zh) 全管水浸式球墨铸铁管超声波自动检测装置
CN213927354U (zh) 抹灰装置和抹灰机器人
CN105215564A (zh) 用于l型角钢的自动焊接机
CN110814631B (zh) 一种管道弯头组对固定装置及组焊方法
CN104368470B (zh) 一种铁路货车油漆标记位置自动定位装置
CN216227456U (zh) 一套自动测量下料组对装置
CN107756598B (zh) 用于水泥管片圆弧面自动收水抹平系统的收水机头
CN114163108B (zh) 一种智能玻璃挡边装置
CN201906803U (zh) 一种结晶器仿弧振动装置
CN116141510A (zh) 一种多自由度联动式凿毛机
CN110319742B (zh) 一种螺牙检测机
CN212470036U (zh) 一种可调节钢结构切割位置的切割装置
KR102119501B1 (ko) 배관두께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1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9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