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42756B1 -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 Google Patents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756B1
KR102442756B1 KR1020177025602A KR20177025602A KR102442756B1 KR 102442756 B1 KR102442756 B1 KR 102442756B1 KR 1020177025602 A KR1020177025602 A KR 1020177025602A KR 20177025602 A KR20177025602 A KR 20177025602A KR 102442756 B1 KR102442756 B1 KR 102442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insulator layer
coil conductor
conductor
common m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5835A (ko
Inventor
요시하루 오모리
겐이치 마츠시마
마사카츠 나와테
료헤이 하라다
겐지 우에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5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7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42Networks for transforming balanced signals into unbalanced signals and vice versa, e.g. baluns
    • H03H7/425Balance-balance networks
    • H03H7/427Common-mo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6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with special arrangement or spacing of turns of the winding(s), e.g. to produce desired self-reson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9Filters comprising mutual induc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2017/0093Common mode choke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09Printed windings on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21Constructional details
    • H03H2001/0085Multilayer, e.g. LTCC, HTCC, green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적층된 제 1 내지 제 4 절연체층과, 제 1 내지 제 4 절연체층에 형성되고 서로 독립된 제 1 내지 제 3 코일을 구비한다. 제 1 코일은 제 1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1 코일 도체와, 제 1 코일 도체에 접속되고 제 4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2 코일 도체를 가진다. 제 2 코일은 제 2 절연체층에 형성되어 있다. 제 3 코일은 제 3 절연체층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코일 도체는 제 2 코일과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코일의 적어도 일부와 제 3 코일의 적어도 일부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코일 도체는 제 3 코일과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본 발명은 디지털 기기나 AV 기기, 정보 통신 단말 등의 각종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소형이고 박형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바일 기기에서 메인 IC와 디스플레이나 카메라를 접속하는 디지털 데이터 전송 규격으로서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D-PHY 규격이 채용되고 있으며, 2개의 전송 라인을 이용한 차동 신호로 전송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카메라의 해상도가 비약적으로 높아지고, 보다 고속인 전송 방식으로서, 3개의 전송 라인을 이용하여, 송신측으로부터 각 전송 라인으로 상이한 전압을 보내고, 수신측에서 각 라인간의 차분을 취함으로써 차동 출력을 하는 방식이 mipiC-PHY 규격으로서 제정되고 실용화되고 있다.
도 14는 종래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5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500)는 복수의 절연체층(1)과, 3개의 독립된 코일(2~4)을 가진다. 코일(2~4)은 각각 코일 도체(2a, 2b), 코일 도체(3a, 3b), 코일 도체(4a, 4b)끼리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3개의 코일(2~4)은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적층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커먼 모드 노이즈가 입력된 경우에는, 코일(2~4)에서 발생하는 자계는 서로 강하게 하고, 코일(2~4)은 인덕턴스로서 동작하는 것에 의해 노이즈를 억제한다.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500)와 유사한 종래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77727호 공보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적층된 제 1 내지 제 4 절연체층과, 제 1 내지 제 4 절연체층에 형성되고 서로 독립된 제 1 내지 제 3 코일을 구비한다. 제 1 코일은 제 1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1 코일 도체와, 제 1 코일 도체에 접속되고 제 4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2 코일 도체를 가진다. 제 2 코일은 제 2 절연체층에 형성되어 있다. 제 3 코일은 제 3 절연체층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코일 도체는 제 2 코일과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코일의 적어도 일부와 제 3 코일의 적어도 일부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코일 도체는 제 3 코일과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는 3개의 코일간에서 밸런스 좋게 자기 결합시킬 수 있어, 차동 신호를 열화시키지 않는다.
도 1a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주요부의 상면도이다.
도 2a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주요부의 상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다른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다른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6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6에 있어서의 다른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비교예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의 설명에 앞서, 도 14에 나타내는 종래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500)에서의 과제를 설명한다.
종래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500)에서는, 코일(2)과 코일(4)의 사이에 코일(3)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코일(2)과 코일(4)의 거리가 멀어, 이것에 의해, 코일(2)과 코일(4)은 거의 자기 결합하지 않는다.
이러한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500)를, 전술한 3선식의 차동 신호 선로에 적용하여 차동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면, 서로 자기 결합되어 있지 않은 코일(2)과 코일(4)에서는 각각에 발생하는 자속이 캔슬되지 않아, 자기 결합할 수 없는 성분으로 큰 잔류 인덕턴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차동 데이터 신호에는 손실이 발생해서, 차동 신호 품질이 크게 열화되어 버린다.
도 15는 비교예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50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501)에서는, 코일(2)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2a)와, 코일(3)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3a)와, 코일(4)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4a)와, 코일(2)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2b)와, 코일(3)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3b)와, 코일(4)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4b)를 이 순서로 적층하고, 코일(2)과 코일(3)이 2개소에서 서로 이웃하도록 하고, 코일(3)과 코일(4)이 2개소에서 서로 이웃하도록 하여, 자기 결합을 높인다.
그러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501)에서는, 코일(2)과 코일(4)의 사이에는 코일(3)이 개재되어 있고, 또 코일(2)과 코일(4)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자기 결합이 작아, 각 코일간의 자기 결합은 밸런스가 나빠진다.
이러한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501)에 차동 신호가 입력된 경우, 코일(3)은 근접하는 코일(2)과 코일(4)이 양호한 자기 결합을 하고 있기 때문에, 차동 신호의 열화가 적다. 그러나, 본 구성에서도, 코일 도체(2b)와 코일 도체(4b)의 거리, 및 코일 도체(4a)와 코일 도체(2a)의 거리가 떨어져 버려 결합이 약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코일(2)과 코일(4)을 흐르는 차동 신호가 열화되어 버린다.
이하, 3개의 코일간에서 밸런스 좋게 자기 결합시킬 수 있고, 또 차동 신호를 열화시키지 않는, 실시 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a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의 주요부의 상면도이다. 실시 형태 1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는, 도 1a와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에서부터 차례로 아래 방향의 적층 방향(1001a)으로 적층된 절연체층(11), 절연체층(12), 절연체층(13), 절연체층(14)과, 절연체층(11)에 형성된 소용돌이 형상의 코일 도체(15a)과, 절연체층(12)에 형성된 2개의 소용돌이 형상의 코일 도체(16a, 16b)과, 절연체층(13)에 형성된 2개의 소용돌이 형상의 코일 도체(17a, 17b)과, 절연체층(14)에 형성된 소용돌이 형상의 코일 도체(15b)을 구비한다.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코일 도체(15a)와 코일 도체(15b)는 코일(15)을 구성한다.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코일 도체(16a, 16b)는 코일(16)을 구성한다.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코일 도체(17a, 17b)는 코일(17)을 구성한다. 코일(15), 코일(16), 코일(17)은 서로 독립되어 있다.
코일 도체(15a, 16a)는 적층 방향(1001a)으로 연장되는 중심축(1001b)을 중심으로 하는 소용돌이 형상을 가진다. 코일 도체(16b, 17a)는 중심축(1001b)으로부터 떨어져 적층 방향(1001a)으로 연장되는 중심축(1001c)을 중심으로 하는 소용돌이 형상을 가진다. 코일 도체(16b)의 소용돌이 형상의 중심축(1001c)은 코일 도체(16a)의 소용돌이 형상의 밖에 위치하고, 코일 도체(16a)의 소용돌이 형상의 중심축(1001b)은 코일 도체(16b)의 소용돌이 형상의 밖에 위치한다. 코일 도체(15b, 17b)는 중심축(1001b, 1001c)으로부터 떨어져 적층 방향(1001a)으로 연장되는 중심축(1001d)을 중심으로 하는 소용돌이 형상을 가진다. 코일 도체(17b)의 소용돌이 형상의 중심축(1001d)은 코일 도체(17a)의 소용돌이 형상의 밖에 위치하고, 코일 도체(17a)의 소용돌이 형상의 중심축(1001c)은 코일 도체(17b)의 소용돌이 형상의 밖에 위치한다. 코일 도체(15b)의 소용돌이 형상의 중심축(1001d)은 코일 도체(15a)의 소용돌이 형상의 밖에 위치하고, 코일 도체(15a)의 소용돌이 형상의 중심축(1001b)은 코일 도체(15b)의 소용돌이 형상의 밖에 위치한다. 코일(15)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5a, 15b)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코일(16)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6a, 16b)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코일(17)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7a, 17b)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11)은 상면(11a)과 하면(11b)을 가진다. 절연체층(12)은 상면(12a)과 하면(12b)을 가진다. 절연체층(13)은 상면(13a)과 하면(13b)을 가진다. 절연체층(14)은 상면(14a)과 하면(14b)을 가진다. 절연체층(11)의 하면(11b)에 절연체층(12)의 상면(12a)이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12)의 하면(12b)에 절연체층(13)의 상면(13a)이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13)의 하면(13b)에 절연체층(14)의 상면(14a)이 배치되어 있다.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는 절연체층(18)을 더 구비한다. 절연체층(18)은 상면(18a)과 하면(18b)을 가진다. 절연체층(14)의 하면(14b)에 절연체층(18)의 상면(18a)이 배치되어 있다. 코일 도체(15a)는 절연체층(11)의 상면(11a)에 형성되어 있다. 코일 도체(16a, 16b)는 절연체층(12)의 상면(12a), 즉 절연체층(11)의 하면(11b)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체층(12)의 상면(12a)과 절연체층(11)의 하면(11b)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코일 도체(17a, 17b)는 절연체층(13)의 상면(13a), 즉 절연체층(12)의 하면(12b)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체층(13)의 상면(13a)과 절연체층(12)의 하면(12b)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코일 도체(15b)는 절연체층(14)의 상면(14a), 즉 절연체층(13)의 하면(13b)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체층(14)의 상면(14a)과 절연체층(13)의 하면(13b)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 도 1b는 코일 도체가 형성된 절연체층(11~14)의 상면(11a~14a)을 나타낸다.
절연체층(11~14)은, 그 두께가 대략 동일하고, 시트 형상으로 구성된 Cu-Zn 페라이트, 유리 세라믹 등의 비자성 재료 또는 Ni-Cu-Zn 페라이트 등의 자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체층(11)의 아래쪽에 절연체층(12)이 위치하고, 절연체층(12)의 아래쪽에 절연체층(13)이 위치하고, 절연체층(13)의 아래쪽에 절연체층(14)이 위치하도록, 절연체층(11~14)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코일 도체(15a)는 절연체층(11)에 형성되어 있다. 코일 도체(16a, 16b)는 절연체층(12)에 형성되어 있다. 코일 도체(17a, 17b)는 절연체층(13)에 형성되어 있다. 코일 도체(15b)는 절연체층(14)에 형성되어 있다. 절연체층(11~14)에 은 등의 도전 재료를 소용돌이 형상으로 도금 또는 인쇄하는 것에 의해 코일 도체(15a, 15b, 16a, 16b, 17a, 17b)가 구성되어 있다. 이들 코일 도체의 소용돌이 형상의 턴수는 1 미만이어도 좋고, 1 이상이어도 좋다.
절연체층(11)에 형성된 코일 도체(15a)와, 절연체층(12)에 형성된 코일 도체(16a, 16b) 중 한쪽의 코일 도체(16a)가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절연체층(11)을 거쳐서 서로 대향하고 있고, 서로 자기 결합한다. 절연체층(12)에 형성된 2개의 코일 도체(16a, 16b) 중 다른쪽의 코일 도체(16b)와, 절연체층(13)에 형성된 2개의 코일 도체(17a, 17b) 중 한쪽의 코일 도체(17a)가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절연체층(12)을 거쳐서 서로 대향하고 있고, 서로 자기 결합한다. 절연체층(13)에 형성된 2개의 코일 도체(17a, 17b) 중 다른쪽의 코일 도체(17b)와, 절연체층(14)에 형성된 코일 도체(15b)가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절연체층(13)을 거쳐서 서로 대향하고 있고, 서로 자기 결합한다. 코일 도체(15a)와 코일 도체(16b)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지 않고 서로 자기 결합하고 있지 않다. 코일 도체(16a)는 코일 도체(17a)와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지 않고 서로 자기 결합하고 있지 않다. 코일 도체(16b)는 코일 도체(17b)와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지 않고 서로 자기 결합하고 있지 않다. 코일 도체(17a)와 코일 도체(15b)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지 않고 서로 자기 결합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코일 도체(15a)는 코일(16)과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16)의 적어도 일부와 코일(17)의 적어도 일부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 도체(15b)는 코일(17)과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15)는 코일 도체(15a)와 코일 도체(15b)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16)은 1개의 절연체층(12)에 형성된 코일 도체(16a, 16b)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17)은 1개의 절연체층(13)에 형성된 코일 도체(17a, 17b)로 구성되어 있다.
절연체층(18)은 절연체층(14)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코일(15)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5a)와 코일 도체(15b)는 절연체층(11~14)에 형성된 비아 전극(19a)과, 절연체층(18)의 상면(18a)에 형성된 가설용의 배선용 도체(15c)를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코일(16)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6a, 16b)는 절연체층(12~14)에 형성된 비아 전극(19b)과, 절연체층(18)에 형성된 배선용 도체(16c)를 거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코일(17)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7a, 17b)는 절연체층(13, 14)에 형성된 비아 전극(19c)과, 절연체층(18)의 상면(18a)에 형성된 배선용 도체(17c)를 거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3개의 독립한 코일(15), 코일(16), 코일(17)이 마련된다. 코일(15)과 코일(16)이 1개소에서 서로 자기 결합한다. 코일(16)과 코일(17)이 1개소에서 서로 자기 결합한다. 코일(17)과 코일(15)가 1개소에서 서로 자기 결합한다.
배선용 도체(15c, 16c, 17c)는 코일(15, 16, 17)의 일부를 각각 구성한다.
또,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이한 절연체층(59)을 절연체층(11~14, 18)의 상면(11a~14a, 18a) 혹은 하면(11b~14b, 18b)에 적층하고, 이들의 구성에 의해, 적층체가 형성된다. 또한, 이 적층체의 양 단면에는, 코일 도체(15a, 15b, 16a, 16b, 17a, 17b)의 단부와 각각 접속된 6개의 외부 전극이 마련된다.
절연체층(59)과 절연체층(11~14, 18)은 모두 비자성 재료로 구성해도 좋고, 자성 재료로 구성해도 좋다. 혹은, 절연체층(59)과 절연체층(11~14, 18) 중 적어도 하나는 비자성 재료로 구성하고, 나머지는 자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에서는, 코일(15)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5a)와 코일(16)을 구성하는 한쪽의 코일 도체(16a)가 1개소에서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코일(16)을 구성하는 다른쪽의 코일 도체(16b)와 코일(17)을 구성하는 한쪽의 코일 도체(17a)가 1개소에서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코일(17)을 구성하는 다른쪽의 코일 도체(17b)와 코일(15)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5b)가 1개소에서 상면에서 보아 겹치게 되기 때문에, 3개의 코일(15~17)간에서 각각 서로 동일하게 자기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절연체층(12)의 동일 평면(상면(12a))에는 코일(16)을 구성하는 2개의 코일 도체(16a, 16b)만이 마련되고, 절연체층(13)의 동일 평면(상면(13a))에는 코일(17)을 구성하는 2개의 코일 도체(17a, 17b)만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평면에 평행한 가로 방향의 자기 결합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코일(15), 코일(16), 코일(17)의 각각은 2개의 코일 도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3개의 코일(15, 16, 17)의 길이를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배선용 도체(15c, 16c, 17c)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3개의 코일(15, 16, 17)의 길이를 동일하게 근접시킬 수 있다.
또, 3개의 코일(15, 16, 17) 중 2개의 코일은 한 곳에서만 상면에서 보아 겹치므로, 코일(15, 16, 17)간의 부유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적층 방향(1001a)으로 적층된 절연체층(11, 12, 13, 14)과, 절연체층(11, 12, 13, 14)에 형성되고 서로 독립된 코일(15, 16, 17)을 구비한다. 코일(15)은 절연체층(11)에 형성된 코일 도체(15a)와, 코일 도체(15a)에 접속되고 절연체층(14)에 형성된 코일 도체(15b)를 가진다. 코일(16)은 절연체층(12)에 형성되어 있다. 코일(17)은 절연체층(13)에 형성되어 있다. 코일 도체(15a)는 코일(16)과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16)의 적어도 일부와 코일(17)의 적어도 일부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 도체(15b)는 코일(17)과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16)은 절연체층(12)에 형성된 코일 도체(16a)과, 코일 도체(16a)에 접속되고 또한 절연체층(12)에 형성된 코일 도체(16b)를 가진다. 코일(17)은 절연체층(13)에 형성된 코일 도체(17a)와, 코일 도체(17a)에 접속되고 또한 절연체층(13)에 형성된 코일 도체(17b)를 가진다. 코일 도체(15a)는 코일(16)의 코일 도체(16a)와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 도체(17a)와 코일 도체(16b)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 도체(17b)와 코일 도체(15b)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실시 형태 2)
도 2a는 실시 형태 2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2)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2)의 주요부의 상면도이다. 도 3은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2)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3에서, 도 1a와 도 1b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2)는, 도 1a와 도 1b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의 절연체층(18)의 아래쪽에 마련된 절연체층(28)과, 절연체층(28)의 아래쪽에 마련된 절연체층(38)을 더 구비한다. 절연체층(28)은 상면(28a)과 하면(28b)을 갖고, 절연체층(38)은 상면(38a)과 하면(38b)을 가진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절연체층(28)의 상면(28a)은 절연체층(18)의 하면(18b)에 마련되고, 절연체층(38)의 상면(38a)은 절연체층(28)의 하면(28b)에 마련되어 있다.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2)에서는, 도 2b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15)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5a, 15b)가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외부 전극(20a, 20b)에 접속되어 있고, 코일(16)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6a, 16b)가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외부 전극(22a, 22b)에 접속되어 있고, 코일(17)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7a, 17b)가 서로 병렬로 배선되어 외부 전극(21a, 21b)에 접속되어 있다.
코일(15)을 구성하는 한쪽의 코일 도체(15a)와 코일(16)을 구성하는 한쪽의 코일 도체(16a)가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코일(16)을 구성하는 다른쪽의 코일 도체(16b)와 코일(17)을 구성하는 한쪽의 코일 도체(17a)가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코일(17)을 구성하는 다른쪽의 코일 도체(17b)와 코일(15)을 구성하는 다른쪽의 코일 도체(15b)가 상면에서 보아 겹치게 되기 때문에, 3개의 코일(15~17)간에서 밸런스 좋게 자기 결합시킬 수 있다.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2)를 3선식의 차동 신호 선로에 적용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코일(15)과 코일(16)에 서로 반대의 위상을 가지는 1쌍의 차동 신호가 들어온 경우(외부 전극(20a, 22a)으로부터 차동 신호가 들어온 경우), 코일 도체(15a)와 코일 도체(16a)는 자기 결합하고 있어, 차동 신호에 의해 코일 도체(15a, 16a)에 발생하는 자속이 서로 캔슬되어, 코일 도체(15a, 16a)는 차동 신호에 대해 낮은 임피던스를 가져 차동 신호를 통과시키기 쉬워진다. 한편, 코일 도체(15a)와 병렬 접속된 코일 도체(15b)에 상면에서 보아 겹쳐 대향하여 자기 결합하고 있는 코일 도체(17b)에는, 차동 신호에 의해 코일 도체(15b)에서 발생하는 자속을 캔슬하는 신호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코일 도체(15b)는 인덕터로서 동작하여, 신호의 주파수의 증가와 함께 큰 임피던스를 가져, 코일 도체(15b)에는 차동 신호가 흐르기 어려워진다.
또한, 코일(15)과 코일(17)에 서로 반대의 위상을 가지는 1쌍의 차동 신호가 들어온 경우(외부 전극(20a, 21a)으로부터 차동 신호가 들어온 경우), 코일 도체(15b)와 코일 도체(17b)는 자기 결합하고 있어, 차동 신호에 의해 코일 도체(15b, 17b)에서 발생하는 자속이 서로 캔슬되어 코일 도체(15b, 17b)는 차동 신호에 대해 낮은 임피던스를 가져, 차동 신호를 통과시키기 쉬워진다. 한편, 코일 도체(15b)와 병렬 접속된 코일 도체(15a)에 상면에서 보아 겹쳐서 대향하여 자기 결합하고 있는 코일 도체(16a)에는, 차동 신호에 의해 코일 도체(15a)에 발생하는 자속을 캔슬하는 신호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코일 도체(15a)는 인덕터로서 동작하여, 신호의 주파수가 높아짐과 아울러 큰 임피던스를 가져, 코일 도체(15a)에는 신호가 흐르기 어려워진다.
즉, 차동 신호의 한쪽이 흐르는 코일(15)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5a)와 코일 도체(15b)는 병렬 접속되어 있어도, 차동 신호의 다른쪽이 흐르는 다른 하나의 선로가, 코일(16)과 코일(17) 중 어디로 되는지에 의해, 차동 신호가 흐르는 주요 경로가 코일 도체(15a)로 될지, 코일 도체(15b)로 될지 정해지게 되어, 차동 신호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코일(15~17)을 각각 밸런스 좋게 자기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2)를 3선식의 차동 신호 선로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도, 차동 신호의 손실이 적고, 신호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코일(15)을 구성하는 2개의 코일 도체(15a, 15b)가 서로 병렬로 배선되어 있고, 코일(16)을 구성하는 2개의 코일 도체(16a, 16b)가 서로 병렬로 배선되어 있고, 코일(17)을 구성하는 2개의 코일 도체(17a, 17b)가 서로 병렬로 배선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15~17)의 직류 저항값(주파수 제로의 성분)을 낮출 수 있어, 코일(15~17)을 흐르는 신호의 손실을 막을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4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3)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4와 도 5에서, 도 1a와 도 1b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1)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는 절연체층(11~14, 18)과 소용돌이 형상의 코일 도체(15a, 15b, 16a, 17a)를 구비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체층(11~18)은 위에서부터 차례로 아래 방향의 적층 방향(1001a)으로 적층되어 있다. 절연체층(11) 상에 코일 도체(15a)가 형성되어 있다. 절연체층(12) 상에 코일 도체(16a)가 형성되어 있다. 절연체층(13) 상에 코일 도체(17a)가 형성되어 있다. 절연체층(14) 상에 코일 도체(15b)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 도체(16a)에 의해 코일(16)이 구성되고, 코일 도체(17a)에 의해 코일(17)이 구성되고, 코일 도체(15a)와 코일 도체(15b)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에 의해 코일(15)이 구성된다. 코일(15), 코일(16), 코일(17)은 서로 독립되어 있다.
코일 도체(15a, 15b, 16a, 17a)는 적층 방향(1001a)으로 연장되는 중심축(1001b)을 중심으로 하는 소용돌이 형상을 가진다. 코일(15)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5a, 15b)는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11~14)은, 그 두께가 대략 동일하고, 시트 형상으로 구성된 Cu-Zn 페라이트, 유리 세라믹 등의 비자성 재료 또는 Ni-Cu-Zn 페라이트 등의 자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절연체층(11)의 아래쪽에 절연체층(12)이 위치하고, 절연체층(12)의 아래쪽에 절연체층(13)이 위치하고, 절연체층(13)의 아래쪽에 절연체층(14)이 위치하도록, 절연체층(11~14)가 적층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코일 도체(15a)가 절연체층(11)에 형성되고, 하나의 코일 도체(16a)가 절연체층(12)에 형성되고, 하나의 코일 도체(17a)가 절연체층(13)에 형성되고, 하나의 코일 도체(15b)가 절연체층(14)에 형성되어 있다.
즉, 코일(15~17) 중 코일(15)만이 서로 병렬 접속된 코일 도체(15a)와 코일 도체(15b)로 분할되어 있다. 한쪽의 코일 도체(15a)가 코일(16)(코일 도체(16a))의 위쪽에 배치되고, 다른쪽의 코일 도체(15b)가 코일(17)(코일 도체(17a))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15)(코일 도체(15a))과, 코일(16)(코일 도체(16a))과, 코일(17)(코일 도체(17a))과, 코일(15)(코일 도체(15b))이 위에서부터 이 순서로 위치한다.
상하 방향(적층 방향(1001a))에서 절연체층(11)을 거쳐서 서로 이웃하는 코일 도체(15a)와 코일 도체(16a)가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절연체층(1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서로 자기 결합한다.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적층 방향(1001a))에서 절연체층(12)을 거쳐서 서로 이웃하는 코일 도체(16a)와 코일 도체(17a)가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절연체층(12)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서로 자기 결합한다. 상하 방향(적층 방향(1001a))에서 절연체층(13)을 거쳐서 서로 이웃하는 코일 도체(17a)와 코일 도체(15b)가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절연체층(13)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서로 자기 결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3개의 독립한 코일(15), 코일(16), 코일(17)이 마련되고, 코일(15)과 코일(16)이 대향하여 자기 결합하고, 코일(16)과 코일(17)이 대향하여 자기 결합하고, 코일(17)과 코일(15)이 대향하여 자기 결합한다.
또, 절연체층(11~14)에 은 등의 도전 재료를 소용돌이 형상으로 도금 또는 인쇄하는 것에 의해 코일 도체(15a, 16a, 17a, 15b)가 구성된다. 이들 코일 도체의 소용돌이 형상의 턴수는 1 미만이어도 좋고, 1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절연체층(14)의 하면(14b)에는, 코일(15)(코일 도체(15a), 코일 도체(15b)), 코일(16)(코일 도체(16a)), 코일(17)(코일 도체(17a))과 각각 접속되는 인출용(가설용)으로서 이용되는 배선용 도체(15c, 16c, 17c)가 형성되고, 배선용 도체(15c, 16c, 17c)의 하면에는 절연체층(18)이 마련되어 있다. 배선용 도체(15c, 16c, 17c)는 절연체층(18)의 상면(18a)에 위치한다.
또, 절연체층(11~14, 18)은 모두 비자성 재료로 구성해도 좋고, 자성 재료로 구성해도 좋다. 혹은, 절연체층(59)과 절연체층(11~14, 18) 중 적어도 하나는 비자성 재료로 구성하고, 나머지는 자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코일 도체(16a)와 배선용 도체(16c)는 비아 전극(19b)을 거쳐서 접속되고, 코일 도체(17a)와 배선용 도체(17c)는 비아 전극(19c)을 거쳐서 접속되고, 코일 도체(15a) 및 코일 도체(15b)와 배선용 도체(15c)는 비아 전극(19a)을 거쳐서 접속된다. 또한, 코일 도체(15a)와 코일 도체(15b) 모두 비아 전극(19a)을 거쳐서 접속된다.
또, 필요에 따라 다른 절연체층을 절연체층(11~14, 18)의 상면(11a~14a, 18a) 혹은 하면(11b~14b, 18b)에 적층하고, 이들 구성에 의해, 적층체가 형성된다. 또한, 이 적층체의 양 단면에는, 코일 도체(15a, 16a, 17a, 15b)의 일단부와, 배선용 도체(15c, 16c, 17c)의 일단부와 접속하는 6개의 외부 전극이 마련된다. 코일 도체(15a)의 일단부와 코일 도체(15b)의 일단부는 동일한 외부 전극에 접속되어 있고, 병렬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3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3)는 실시 형태 2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2)와 달리, 코일(15~17)이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고, 코일(15)의 코일 도체(15a, 15b)가 서로 병렬 접속되고, 코일 도체(15a)와 코일 도체(15b)의 사이에 코일(16, 17)이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시 형태 2의 코일(16)을 2개의 코일 도체(16a, 16b)로 나누어 병렬 접속시키고, 코일(17)을 2개의 코일 도체(17a, 17b)로 나누어 병렬 접속시킬 필요가 없다.
즉,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3)가 3선식의 차동 신호 선로로서 동작하는 경우, 상기의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코일(16)은 코일(17)과 자기 결합하고, 코일(15)의 코일 도체(15a)와도 자기 결합한다. 코일(17)은 코일(16)과 자기 결합하고, 코일(15)의 코일 도체(15b)와도 자기 결합하기 때문에, 차동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저손실의 차동 전송로로서 동작하여, 차동 신호를 열화시키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3)에서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2)보다 절연체층의 수를 줄일 수 있어, 1층의 절연체층당 하나의 코일 도체를 배치함으로써 소형화도 가능하다. 또한, 어떻게 보면,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2)와 동일한 면적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3)에서는, 코일의 권수를 많이 감을 수 있기 때문에, 커먼 모드 노이즈가 입력된 경우에는, 큰 인덕턴스로 높은 임피던스가 되어 커먼 모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3)에서는, 코일 도체를 4층으로 배치하고 있지만, 이러한 4층의 코일 도체를 각각 가지는 복수개의 유닛을 적층 방향(1001a)으로 배치하여 종속 접속해서 필터를 다단화해도 좋다.
(실시 형태 4)
도 6은 실시 형태 4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도 4와 도 5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3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3)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실시 형태 4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4)는 실시 형태 3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3)의 배선용 도체(15c, 16c, 17c)를 구비하지 않고, 배선용 도체(15c, 16c, 17c)의 형성 개소에, 실시 형태 3의 코일(15), 코일(16), 코일(17)이 마련되어 있다. 즉, 실시 형태 3의 코일 도체(15a, 16a, 17a, 15b)와 각각 동일한 구성의 코일 도체(코일 도체(15d, 16d, 17d, 15e))가 코일 도체(15a, 16a, 17a, 15b)의 아래쪽에도 형성되어 적층되어 있다.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4)는 절연체층(18)의 아래쪽에 적층된 절연체층(28, 38, 48)을 더 구비한다. 절연체층(28, 38, 48)은 상면(28a, 38a, 48a)과 하면(28b, 38b, 48b)을 각각 가진다. 절연체층(28)은 절연체층(18)의 하면(18b)에 적층되어 있다. 절연체층(38)은 절연체층(28)의 하면(28b)에 적층되어 있다. 절연체층(48)은 절연체층(38)의 하면(38b)에 적층되어 있다. 절연체층(28)의 상면(28a)은 절연체층(18)의 하면(18b)에 위치한다. 절연체층(38)의 상면(38a)은 절연체층(28)의 하면(28b)에 위치한다. 절연체층(48)의 상면(48a)은 절연체층(38)의 하면(38b)에 위치한다.
이 때, 코일(15)에서는 코일 도체(15d)와 코일 도체(15e)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코일 도체(15d)와 코일 도체(15e)의 사이에, 코일(16)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6d)와, 코일(17)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7d)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 도체(15d)와 코일 도체(15b)가 서로 이웃하고 있다. 그리고, 코일(16)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6d)는 코일(17)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7d)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또, 코일 도체(15e)는 비아 전극(19a)을 거쳐서 코일 도체(15a)와 접속되어 있다. 코일 도체(16d)는 비아 전극(19b)을 거쳐서 코일 도체(16a)와 접속되어 있다. 코일 도체(17d)는 비아 전극(19c)을 거쳐서 코일 도체(17a)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코일 도체(15d)와 코일 도체(15b)는 비아 전극(19d)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즉, 실시 형태 4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4)는 2개의 실시 형태 3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3)가 적층된 구성을 가진다. 도 7은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4)의 회로 구성도이다.
코일 도체(16a, 16d)는 외부 전극(22a, 22b) 사이에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코일(16)을 구성한다. 코일 도체(17a, 17d)는 외부 전극(21a, 21b) 사이에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코일(17)을 구성한다. 코일 도체(15a, 15b, 15d, 15e)는 외부 전극(20a, 20b) 사이에 접속되어 코일(15)을 구성한다. 코일 도체(15a, 15e)는 외부 전극(20a, 20b)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코일 도체(15b, 15d)는 외부 전극(20a, 20b)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코일 도체(15a, 15b, 15d, 15e, 16a, 16d, 17a, 17d)는 중심축(1001b)을 중심으로 하는 소용돌이 형상을 가진다.
적층된 절연체층(11, 12, 13, 14, 18, 28, 38)의 적층 방향(1001a)에서의 중심에 위치하여 코일 도체(15b)와 코일 도체(15d)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14)의 상면(14a)과 하면(14b)에 평행하고 상면(14a)과 하면(14b)의 사이를 지나는 직선 L14에 대해, 코일(15)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5a, 15e)는 서로 선대칭으로 위치하고, 코일(15)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5b, 15d)는 직선 L14에 대해 서로 선대칭으로 위치한다. 또한, 코일(16)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6a, 16d)도 직선 L14에 대해 서로 선대칭으로 위치한다. 또, 코일(17)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7a, 17d)도 직선 L14에 대해 서로 선대칭으로 위치한다. 즉, 코일(16)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6a, 16d)의 사이에는 코일(17)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7a) 및 코일 도체(17d)가 끼워져 있다. 코일(17)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17a, 17d)의 사이에는, 코일(15)을 구성하고 적층 방향(1001a)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코일 도체(15b) 및 코일 도체(15d)가 끼워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코일 도체(15b)와 코일 도체(15d)가 동전위를 가지기 때문에, 코일 도체(15b, 15d) 사이에서의 부유 용량의 발생이 억제되고, 코일(15)을 통과하는 차동 신호의 열화가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또, 3선식의 차동 신호의 선로로서 서로 반대의 위상을 가지는 차동 신호가 코일(15)과 코일(17)에 입력된 경우, 차동 신호의 한쪽은 코일 도체(15a, 15d)를 통과하고, 차동 신호의 다른쪽은 코일 도체(17a, 17d)를 통과한다. 그 때, 차동 신호에 의해 코일 도체(17a)와 코일 도체(15b)에 발생하는 자계는 서로 캔슬되고, 코일 도체(17d)와 코일 도체(15d)의 발생하는 자속은 서로 캔슬된다. 따라서,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4)는 차동 신호에 대해 낮은 임피던스를 갖고, 코일 도체(17a)와 코일 도체(15b)의 1쌍의 페어 도체와, 코일 도체(17d)와 코일 도체(15d)의 1쌍의 페어 도체의 사이에 전위차가 생기기 어렵다. 또한, 각각의 1쌍의 페어 도체의 한쪽과 다른쪽의 사이에 부유 용량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들에 의해,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4)에서는 차동 신호의 열화가 억제된다. 예를 들면, 코일 도체(16d)와 코일 도체(17d)가 바뀐 경우에, 3선식의 차동 신호 선로로서 차동 신호가 코일(15)과 코일(17)에 입력되면, 코일 도체(15d)와 대향하게 되는 코일 도체(16d)에는 코일 도체(15d)에서 발생하는 자속을 캔슬하는 차동 신호의 성분이 흐르지 않기 때문에, 코일 도체(15d)와 코일 도체(16d)는 차동 신호에 대해 임피던스가 높아져 주파수의 증가와 함께 전위차가 발생해서, 부유 용량의 발생이 생겨, 차동 신호의 열화가 발생해 버린다.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4)에서도, 3선식의 차동 신호 선로로서 동작하는 경우, 상기의 실시 형태 2, 3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2, 1003)와 동일한 작용에 의해, 차동 신호의 손실이 적어, 신호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4)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적층 방향(1001a)으로 절연체층(14)으로부터 적층된 절연체층(18, 28, 38, 48)을 더 구비한다. 코일(16)은 절연체층(12)에 형성된 코일 도체(16a)와, 코일 도체(16a)에 접속되어 절연체층(38)에 형성된 코일 도체(16d)를 가진다. 코일(17)은 절연체층(13)에 형성된 코일 도체(17a)와, 코일 도체(17a)에 접속되어 절연체층(28)에 형성된 코일 도체(17d)를 가진다. 코일(15)은 코일 도체(15a)에 접속되어 절연체층(48)에 형성된 코일 도체(15e)와, 코일 도체(15b)에 접속되어 절연체층(18)에 형성된 코일 도체(15d)를 더 가진다. 코일(15)의 코일 도체(15a)와 코일(16)의 코일 도체(16a)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절연체층(1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16)의 코일 도체(16a)와 코일(17)의 코일 도체(17a)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절연체층(1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15)의 코일 도체(15b)와 코일(17)의 코일 도체(17a)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절연체층(13)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15)의 코일 도체(15e)와 코일(16)의 코일 도체(16d)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절연체층(38)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16)의 코일 도체(16d)와 코일(17)의 코일 도체(17d)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절연체층(28)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15)의 코일 도체(15d)와 코일(17)의 코일 도체(17d)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고 절연체층(18)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적층 방향(1001a)에서 코일(16)의 코일 도체(16a, 16d)의 사이에는 코일(17)의 코일 도체(17a, 17d)가 위치한다.
코일(16)의 코일 도체(16a, 16d)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코일(17)의 코일 도체(17a, 17d)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코일(15)의 코일 도체(15a, 15e)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코일(15)의 코일 도체(15b, 15d)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도 8은 실시 형태 4에서의 다른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서, 도 6과 도 7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4)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5)에서는, 코일 도체(15a)와 코일 도체(15b)는 비아 전극(19a)을 거쳐서 서로 병렬로 접속되고, 코일 도체(15d)와 코일 도체(15e)는 비아 전극(19a)을 거쳐서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4)에 비해 비아 전극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 9는 실시 형태 5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6)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9와 도 10에서, 도 4와 도 5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3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3)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실시 형태 5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6)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도체(15a)의 위쪽에 마련된 코일 도체(16d)와, 코일 도체(15a, 16d)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절연체층(26)과, 절연체층(23~25, 27, 29)을 더 구비한다. 절연체층(26, 27, 29)은 자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 도체(16d)는 코일 도체(16a)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26, 23, 24, 11, 27, 25, 12, 13, 14, 18, 29)은 위에서부터 이 순서대로 적층 방향(1001a)으로 적층되어 있다. 절연체층(23~27, 29)은 상면(23a~27a, 29a)과 하면(23b~27b, 29b)을 각각 가진다. 절연체층(29)의 상면(29a)은 절연체층(18)의 하면(18b)에 위치한다. 절연체층(25)의 하면(25b)은 절연체층(12)의 상면(12a)에 위치한다. 절연체층(25)의 상면(25a)은 절연체층(27)의 하면(27b)에 위치한다. 절연체층(27)의 상면(27a)은 절연체층(11)의 하면(11b)에 위치한다. 절연체층(24)의 하면(24b)은 절연체층(11)의 상면(11a)에 위치한다. 절연체층(24)의 상면(24a)은 절연체층(23)의 하면(23b)에 위치한다. 절연체층(23)의 상면(23a)은 절연체층(26)의 하면(26b)에 위치한다. 코일 도체(16d)는 절연체층(24)의 상면(24a)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체층(24)의 상면(24a)과 절연체층(23)의 하면(23b)의 사이에 위치한다.
즉, 코일 도체(15a, 16a)의 사이에 자성 재료로 구성된 절연체층(27)이 형성되고, 최상층에 자성 재료로 구성된 절연체층(26)이 형성되고, 최하층에 자성 재료로 구성된 절연체층(29)이 형성된다.
코일 도체(16d)는 비자성 재료로 형성된 절연체층(24)의 상면(24a)에 형성되어 있다. 코일 도체(15a, 15b, 16a, 16d, 17a)와 배선용 도체(15c, 16c, 17c)가, 각각 자성 재료로 구성된 절연체층(26, 27, 29)과 절연체층(25)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절연체층(11~14, 18, 23~25)은 비자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자성체(절연체층(27, 29))와 코일(15)(코일 도체(15a, 15b))의 거리, 자성체(절연체층(26, 27))와 코일(16)(코일 도체(16a, 16d))의 거리가 가깝게 되고, 자성체(절연체층(27, 29))와 코일(17)(코일 도체(17a))의 거리도 비교적 가깝기 때문에, 코일(15, 16, 17)의 임피던스값이 서로 가까워진다. 이것에 의해, 3선식의 차동 신호 선로로서 차동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코일 도체(16d)와 코일 도체(15a)가 자기 결합하여 구성되는 커먼 모드 필터부와, 코일 도체(16a)와 코일 도체(17a)가 자기 결합하여 구성되는 커먼 모드 필터부와, 코일 도체(17a)와 코일 도체(15b)가 자기 결합하여 구성되는 커먼 모드 필터부가 동작한 경우에, 차동 신호에 의한 코일의 인덕턴스의 차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자기 결합할 수 없는 성분에 의한 손실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의 커먼 모드 필터부를 통과하는 차동 신호의 편차가 저감된다.
도 11은 실시 형태 5에서의 다른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7)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11에서, 도 9와 도 10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6)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7)에서는, 코일 도체(15a)와 코일 도체(16d)의 위치가 바뀌어 있다. 즉, 코일 도체(15a)는 절연체층(24)의 상면(24a)에 형성되고, 코일 도체(16d)는 절연체층(11)의 상면(11a)에 형성되어 있다.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7)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코일 도체(16a)와 코일 도체(16d)가 동전위이기 때문에, 코일 도체(16a, 16d)간에서의 부유 용량의 영향이 억제되어, 코일(16)을 하나의 선으로 하는 경우에 통과하는 차동 신호의 열화가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실시 형태 6)
도 12는 실시 형태 6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8)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에서, 도 2a와 도 2b와 도 3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2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2)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실시 형태 6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8)는 절연체층(23, 26, 29, 31~37, 39, 40)을 더 구비한다. 절연체층(23, 26, 29, 31~37, 39, 40)은 상면(23a, 26a, 29a, 31a~37a, 39a, 40a)과 하면(23b, 26b, 29b, 31b~37b, 39b, 40b)을 각각 가진다. 절연체층(23)의 하면(23b)은 절연체층(11)의 상면(11a)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26)의 하면(26b)은 절연체층(23)의 상면(23a)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31)의 상면(31a)은 절연체층(12)의 하면(12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32)의 상면(32a)은 절연체층(31)의 하면(31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33)의 상면(33a)은 절연체층(32)의 하면(32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34)의 상면(34a)은 절연체층(33)의 하면(33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13)의 상면(13a)은 절연체층(34)의 하면(34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35)의 상면(35a)은 절연체층(13)의 하면(13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36)의 상면(36a)은 절연체층(35)의 하면(35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37)의 상면(37a)은 절연체층(36)의 하면(36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39)의 상면(39a)은 절연체층(37)의 하면(37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14)의 상면(14a)은 절연체층(39)의 하면(39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40)의 상면(40a)은 절연체층(14)의 하면(14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29)의 상면(29a)은 절연체층(40)의 하면(40b)에 배치되어 있다.
배선용 도체(15c, 16c)는 절연체층(31)의 상면(31a), 즉 절연체층(12)의 하면(12b)에 마련되고, 절연체층(31)의 상면(31a)과 절연체층(12)의 하면(12b)의 사이에 위치한다. 코일 도체(16b)는 절연체층(34)의 상면(34a), 즉 절연체층(33)의 하면(33b)에 마련되고, 절연체층(34)의 상면(34a)과 절연체층(33)의 하면(33b)의 사이에 위치한다. 배선용 도체(16c, 17c)는 절연체층(35)의 상면(35a), 즉 절연체층(13)의 하면(13b)에 마련되고, 절연체층(35)의 상면(35a)과 절연체층(13)의 하면(13b)의 사이에 위치한다. 코일 도체(17b)는 절연체층(39)의 상면(39a), 즉 절연체층(37)의 하면(37b)에 마련되고, 절연체층(39)의 상면(39a)과 절연체층(37)의 하면(37b)의 사이에 위치한다. 배선용 도체(15c, 17c)는 절연체층(40)의 상면(40a), 즉 절연체층(14)의 하면(14b)에 마련되고, 절연체층(40)의 상면(40a)과 절연체층(14)의 하면(14b)의 사이에 위치한다.
실시 형태 6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8)에서는, 코일 도체(16a, 16b)가 적층 방향(1001a)으로 배치되고, 코일 도체(17a, 17b)가 적층 방향(1001a)으로 배치되어 있다. 코일 도체(16a, 16b)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32)과, 코일 도체(17a, 17b)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36)과, 코일 도체(15a)의 위쪽의 절연체층(26)과, 코일 도체(15b)의 아래쪽의 절연체층(29)은 자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 도체(15a, 15b, 16a, 16b, 17a, 17b)와 배선용 도체(15c, 16c, 17c)와, 자성 재료로 구성된 절연체층(26, 29, 32, 36)의 사이에 절연체층(23, 31, 33, 35, 37, 40)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체층(23, 31, 33, 35, 37, 40)은 비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절연체층(11~14)은 비자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 형태 6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8)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2)와 마찬가지로, 코일 도체(16a, 16b)는 외부 전극(22a, 22b)(도 3 참조)을 거쳐서 서로 접속되어 있고, 코일 도체(17a, 17b)는 외부 전극(21a, 21b)(도 3 참조)을 거쳐서 서로 접속되어 있고, 코일 도체(15a, 15b)는 외부 전극(20a, 20b)(도 3 참조)을 거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 이들 접속을 비아 전극(19a, 19b, 19c)으로 행해도 좋다. 비아 전극(19a, 19b, 19c)이, 자성체인 절연체층(32, 35)를 관통하기 때문에, 저주파 영역에서 자성체 특성에 기인하는 임피던스가 비아 전극(19a, 19b, 19c)에 발생하므로, 저주파 영역의 노이즈를 감쇠시킬 수 있다.
코일 도체(16a, 16b)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32)과, 코일 도체(17a, 17b)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36)과, 절연체층(26)과, 절연체층(29)의 각각은 코일 도체(15a~17a, 15b~17b)의 어디에도 접촉하고 있지 않다.
상술한 구성에서는, 코일 도체(15a, 16a)와 배선용 도체(15c)로 구성되는 커먼 모드 필터부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절연체층(26, 32)에 끼워져 있다. 코일 도체(16b, 17a)와 배선용 도체(16c)로 구성되는 커먼 모드 필터부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절연체층(32, 35)에 끼워진다. 코일 도체(17b, 15b)와 배선용 도체(17c)로 구성되는 커먼 모드 필터부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절연체층(29, 36)에 끼워진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3개의 커먼 모드 필터부의 특성이 대략 동일해지고, 이것에 의해, 각 코일(15, 16, 17) 사이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제거 특성, 및 3선식의 차동 신호 선로로서 차동 신호가 입력된 경우의 각 커먼 모드 필터부를 통과할 때의 각각의 차동 신호의 통과 특성간의 편차가 저감된다.
도 13은 실시 형태 6에 있어서의 다른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에서, 도 12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8)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실시 형태 6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9)는, 도 12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8)에 대해, 코일 도체와 배선용 도체와 절연체층의 배치가 상이하다.
도 13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9)에서는, 절연체층(31)의 상면(31a)은 절연체층(11)의 하면(11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12)의 상면(12a)은 절연체층(31)의 하면(31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32)의 상면(32a)은 절연체층(12)의 하면(12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33)의 상면(33a)은 절연체층(32)의 하면(32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34)의 상면(34a)은 절연체층(33)의 하면(33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35)의 상면(35a)은 절연체층(34)의 하면(34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13)의 상면(13a)은 절연체층(35)의 하면(35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36)의 상면(36a)은 절연체층(13)의 하면(13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37)의 상면(37a)은 절연체층(36)의 하면(36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39)의 상면(39a)은 절연체층(37)의 하면(37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40)의 상면(40a)은 절연체층(39)의 하면(39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14)의 상면(14a)은 절연체층(40)의 하면(40b)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체층(29)의 상면(29a)은 절연체층(14)의 하면(14b)에 배치되어 있다.
배선용 도체(15c, 16c)는 절연체층(31)의 상면(31a), 즉 절연체층(11)의 하면(11b)에 마련되고, 절연체층(31)의 상면(31a)과 절연체층(11)의 하면(11b)의 사이에 위치한다. 코일 도체(16b)는 절연체층(34)의 상면(34a), 즉 절연체층(33)의 하면(33b)에 마련되고, 절연체층(34)의 상면(34a)과 절연체층(33)의 하면(33b)의 사이에 위치한다. 배선용 도체(16c, 17c)는 절연체층(35)의 상면(35a), 즉 절연체층(34)의 하면(34b)에 마련되고, 절연체층(35)의 상면(35a)과 절연체층(34)의 하면(34b)의 사이에 위치한다. 코일 도체(17b)는 절연체층(39)의 상면(39a), 즉 절연체층(37)의 하면(37b)에 마련되고, 절연체층(39)의 상면(39a)과 절연체층(37)의 하면(37b)의 사이에 위치한다. 배선용 도체(15c, 17c)는 절연체층(40)의 상면(40a), 즉 절연체층(39)의 하면(39b)에 마련되고, 절연체층(40)의 상면(40a)과 절연체층(39)의 하면(39b)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9)에서는, 배선용 도체(15c)가 코일 도체(15a, 16a)의 사이에 배치되고, 배선용 도체(15c)와 코일 도체(15a, 16a)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절연체층(26, 32)의 사이에 끼워진 커먼 모드 필터부를 형성한다. 배선용 도체(16c)는 코일 도체(16b, 17a)의 사이에 배치되고, 배선용 도체(16c)와 코일 도체(16b, 17a)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절연체층(32, 36)의 사이에 끼워진 커먼 모드 필터부를 형성한다. 배선용 도체(17c)는 코일 도체(17b, 15b)의 사이에 배치되고, 배선용 도체(17c)와 코일 도체(17b, 15b)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절연체층(29, 36)의 사이에 끼워진 커먼 모드 필터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이들 3개의 커먼 모드 필터부는 각각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절연체층(26, 29, 32, 36)의 사이에 끼워진다. 자성체인 절연체층(26, 29, 32, 36)의 사이에 끼워진 커먼 모드 필터부는 적층 방향(1001a)으로 대칭성을 가진다. 즉, 1개의 커먼 모드 필터부를 구성하는 코일 도체(15a, 16a)는 적층 방향(1001a)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른 커먼 모드 필터부를 구성하는 코일 도체(16b, 17a)는 적층 방향(1001a)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다른 커먼 모드 필터부를 구성하는 코일 도체(15b, 17b)는 적층 방향(1001a)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일 도체(15a, 16a)는 적층 방향(1001a)에 직각으로 코일 도체(15a, 16a)의 사이에 위치하는 직선 L31에 대해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코일 도체(16b, 17a)는 적층 방향(1001a)에 직각으로 코일 도체(16b, 17a)의 사이에 위치하는 직선 L35에 대해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코일 도체(15b, 17b)는 적층 방향(1001a)에 직각으로 코일 도체(15b, 17b)의 사이에 위치하는 직선 L40에 대해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또 코일(15, 16, 17)의 임피던스를 보다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 코일(15, 16, 17) 사이에서의 커먼 모드 노이즈 제거 특성, 및 3선식의 차동 신호 선로로서 차동 신호가 상기 3개의 각 커먼 모드 필터부 사이에 각각 입력된 경우의 각 커먼 모드 필터부를 통과할 때의 각각의 차동 신호의 통과 특성간의 편차를 더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실시 형태에서 「상면」, 「하면」, 「위쪽」, 「아래쪽」, 「아래 방향」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절연체층이나 코일 도체 등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의 구성 부품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서만 정해지는 상대적인 방향을 나타내며, 연직 방향 등의 절대적인 방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는, 특히 디지털 기기나 AV 기기, 정보 통신 단말 등에 사용되는 소형이고 박형의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등에서 유용하게 되는 것이다.
11: 절연체층(제 1 절연체층)
12: 절연체층(제 2 절연체층)
13: 절연체층(제 3 절연체층)
14: 절연체층(제 4 절연체층)
15: 코일(제 1 코일)
15a: 코일 도체(제 1 코일 도체)
15b: 코일 도체(제 2 코일 도체)
15d: 코일 도체(제 8 코일 도체)
15e: 코일 도체(제 7 코일 도체)
16: 코일(제 2 코일)
16a: 코일 도체(제 3 코일 도체)
16b: 코일 도체(제 4 코일 도체)
16d: 코일 도체(제 4 코일 도체)
17: 코일(제 3 코일)
17a: 코일 도체(제 5 코일 도체)
17b: 코일 도체(제 6 코일 도체)
17d: 코일 도체(제 6 코일 도체)
18: 절연체층(제 5 절연체층)
26: 절연체층(제 5 절연체층)
28: 절연체층(제 6 절연체층)
29: 절연체층(제 6 절연체층)
38: 절연체층(제 7 절연체층)
48: 절연체층(제 8 절연체층)

Claims (11)

  1. 삭제
  2. 위에서부터 차례로 배치된 제 1 내지 제 4 절연체층을 포함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절연체층에 형성되고 서로 독립된 제 1 내지 제 3 코일
    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제 1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1 코일 도체와, 상기 제 1 코일 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 4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2 코일 도체를 갖고,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제 2 절연체층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코일은 상기 제 3 절연체층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코일 도체는 상기 제 3 코일과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제 2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3 코일 도체와, 상기 제 3 코일 도체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 2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4 코일 도체를 갖고,
    상기 제 3 코일은 상기 제 3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5 코일 도체와, 상기 제 5 코일 도체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 3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6 코일 도체를 갖고,
    상기 제 1 코일 도체는 상기 제 2 코일의 상기 제 3 코일 도체와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5 코일 도체와 상기 제 4 코일 도체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6 코일 도체와 상기 제 2 코일 도체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의 상기 제 1 코일 도체와 상기 제 2 코일 도체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코일의 상기 제 3 코일 도체와 상기 제 4 코일 도체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3 코일의 상기 제 5 코일 도체와 상기 제 6 코일 도체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4. 삭제
  5. 위에서부터 차례로 배치된 제 1 내지 제 4 절연체층을 포함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절연체층에 형성되고 서로 독립된 제 1 내지 제 3 코일
    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제 1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1 코일 도체와, 상기 제 1 코일 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 4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2 코일 도체를 갖고,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제 2 절연체층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코일은 상기 제 3 절연체층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코일 도체는 상기 제 2 코일과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코일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3 코일의 적어도 일부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코일 도체는 상기 제 3 코일과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코일 도체와 상기 제 2 코일 도체는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은, 위에서부터 차례로 상기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 4 절연체층으로부터 적층된 제 5 내지 제 8 절연체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제 2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3 코일 도체와, 상기 제 3 코일 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 7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4 코일 도체를 갖고,
    상기 제 3 코일은 상기 제 3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5 코일 도체와, 상기 제 5 코일 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 6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6 코일 도체를 갖고,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제 1 코일 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 8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7 코일 도체와, 상기 제 2 코일 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 5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8 코일 도체를 더 가지며,
    상기 제 1 코일의 상기 제 1 코일 도체와 상기 제 2 코일의 상기 제 3 코일 도체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코일의 상기 제 3 코일 도체와 상기 제 3 코일의 상기 제 5 코일 도체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코일의 상기 제 2 코일 도체와 상기 제 3 코일의 상기 제 5 코일 도체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코일의 상기 제 7 코일 도체와 상기 제 2 코일의 상기 제 4 코일 도체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코일의 상기 제 4 코일 도체와 상기 제 3 코일의 상기 제 6 코일 도체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코일의 상기 제 8 코일 도체와 상기 제 3 코일의 상기 제 6 코일 도체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제 2 코일의 상기 제 3 코일 도체와 상기 제 4 코일 도체의 사이에 상기 제 3 코일의 상기 제 5 코일 도체와 상기 제 6 코일 도체가 위치하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7. 위에서부터 차례로 배치된 제 1 내지 제 4 절연체층을 포함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절연체층에 형성되고 서로 독립된 제 1 내지 제 3 코일
    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제 1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1 코일 도체와, 상기 제 1 코일 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 4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2 코일 도체를 갖고,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제 2 절연체층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코일은 상기 제 3 절연체층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코일 도체는 상기 제 2 코일과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코일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3 코일의 적어도 일부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코일 도체는 상기 제 3 코일과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제 2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3 코일 도체와 상기 제 3 코일 도체와 병렬 접속된 제 4 코일 도체를 갖고,
    상기 제 4 코일 도체는 상기 제 1 코일 도체의 위쪽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은,
    상기 제 1 코일 도체와 상기 제 4 코일 도체보다 위쪽에 마련된 제 5 절연체층과,
    상기 제 1 코일 도체와 상기 제 3 코일 도체 사이에 배치된 제 6 절연체층과,
    상기 제 2 코일 도체보다 아래쪽의 제 7 절연체층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코일 도체와 상기 제 2 코일 도체는 서로 병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6 절연체층과, 상기 제 7 절연체층과, 상기 제 5 절연체층은 자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코일 도체는 상기 제 1 코일 도체보다 아래쪽에 마련되어 있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9. 위에서부터 차례로 배치된 제 1 내지 제 4 절연체층을 포함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절연체층에 형성되고 서로 독립된 제 1 내지 제 3 코일
    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제 1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1 코일 도체와, 상기 제 1 코일 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 4 절연체층에 형성된 제 2 코일 도체를 갖고,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제 2 절연체층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코일은 상기 제 3 절연체층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코일 도체는 상기 제 2 코일과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코일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3 코일의 적어도 일부는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코일 도체는 상기 제 3 코일과 상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은 상기 제 1 코일 도체의 위쪽에 마련된 제 5 절연체층과, 상기 제 2 코일 도체의 아래쪽에 마련된 제 6 절연체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일 도체와 상기 제 2 코일 도체는 서로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코일은 서로 병렬로 접속된 제 3 및 제 4 코일 도체를 갖고,
    상기 제 3 코일은 서로 병렬로 접속된 제 5 및 제 6 코일 도체를 갖고,
    상기 제 3 및 제 4 코일 도체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5 및 제 6 코일 도체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상기 제 3 및 제 4 코일 도체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과,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상기 제 5 및 제 6 코일 도체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과, 상기 제 5 절연체층과, 상기 제 6 절연체층은 자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상기 제 3 및 제 4 코일 도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절연체층과,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상기 제 5 및 제 6 코일 도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절연체층과, 상기 제 5 절연체층과, 상기 제 6 절연체층의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 도체와 상기 제 3 및 제 4 코일 도체와 상기 제 5 및 제 6 코일 도체의 어디에도 접촉하고 있지 않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 도체와 상기 제 3 코일 도체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4 코일 도체와 상기 제 5 코일 도체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코일 도체와 상기 제 6 코일 도체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KR1020177025602A 2015-04-07 2015-12-07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Active KR102442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78183 2015-04-07
JPJP-P-2015-078183 2015-04-07
PCT/JP2015/006063 WO2016162909A1 (ja) 2015-04-07 2015-12-07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835A KR20170135835A (ko) 2017-12-08
KR102442756B1 true KR102442756B1 (ko) 2022-09-13

Family

ID=57073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602A Active KR102442756B1 (ko) 2015-04-07 2015-12-07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05441B2 (ko)
KR (1) KR102442756B1 (ko)
CN (1) CN107408442B (ko)
WO (1) WO20161629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14927B2 (ja) * 2015-07-22 2018-04-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ノイズフィルタ実装構造
US10742390B2 (en) * 2016-07-13 2020-08-1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of improving clock recovery and related device
JP6597542B2 (ja) * 2016-09-26 2019-10-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電子部品
JP6848592B2 (ja) * 2017-03-29 2021-03-24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CN112640013B (zh) * 2018-11-30 2023-06-13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共模噪声滤波器
CN115443580B (zh) * 2020-05-13 2024-10-2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平衡转换器
JP7306579B2 (ja) * 2020-05-13 2023-07-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バラン
JP7318592B2 (ja) * 2020-06-16 2023-08-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0945A (ja) * 1998-07-10 2000-01-28 Murata Mfg Co Ltd 同相型インダクタ
JP2003217932A (ja) 2002-01-22 2003-07-31 Murata Mfg Co Ltd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アレイ
JP2007150209A (ja) * 2005-11-30 2007-06-14 Tdk Corp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2014123643A (ja) 2012-12-21 2014-07-03 Panasonic Corp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7437B2 (ja) 2001-09-05 2006-04-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4028884B1 (ja) * 2006-11-01 2007-12-26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2011129996A (ja) * 2009-12-15 2011-06-30 Murata Mfg Co Ltd ノイズフィルタ部品,ノイズフィルタ構造及びノイズフィルタ部品の使用方法
KR20130077400A (ko) 2011-12-29 2013-07-09 삼성전기주식회사 박막형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0945A (ja) * 1998-07-10 2000-01-28 Murata Mfg Co Ltd 同相型インダクタ
JP2003217932A (ja) 2002-01-22 2003-07-31 Murata Mfg Co Ltd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アレイ
JP2007150209A (ja) * 2005-11-30 2007-06-14 Tdk Corp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2014123643A (ja) 2012-12-21 2014-07-03 Panasonic Corp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05441B2 (en) 2019-05-28
KR20170135835A (ko) 2017-12-08
WO2016162909A1 (ja) 2016-10-13
US20180041185A1 (en) 2018-02-08
CN107408442B (zh) 2020-10-30
CN107408442A (zh)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2756B1 (ko)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US10636561B2 (en) Common mode noise filter
US10147534B2 (en) Common mode noise filter
US10778177B2 (en) Common mode noise filter
KR102460765B1 (ko)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US10366821B2 (en) Common mode noise filter
JP2017188704A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2017092434A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US10937584B2 (en) Common mode noise filter
JP2018061103A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7182037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6007399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7378015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2014212189A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2016201502A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2020184571A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