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39068B1 - Connection member for furniture frame and frame assembly using same - Google Patents

Connection member for furniture frame and frame assembly u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068B1
KR102439068B1 KR1020200177521A KR20200177521A KR102439068B1 KR 102439068 B1 KR102439068 B1 KR 102439068B1 KR 1020200177521 A KR1020200177521 A KR 1020200177521A KR 20200177521 A KR20200177521 A KR 20200177521A KR 102439068 B1 KR102439068 B1 KR 102439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vertical bar
coupled
furniture frame
vert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5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7126A (en
Inventor
임성대
최정남
서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브
Priority to KR1020200177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068B1/en
Publication of KR20220087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1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06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5Linkable 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e.g. cabinets linked together, with a common separation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28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 F16B12/3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using threaded bo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로봉과 가로봉을 쉽게 연결하여 사각틀 형상의 조립체를 쉽게 완성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고, 세로봉, 가로봉 및 수직봉을 하나의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연결부재에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조립 및 설치가 간단하고 쉽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가구 프레임 조립체를 쉽게 완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가구 프레임 조립체로 쉽게 확장할 수 있는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which can easily complete a rectangular frame-shaped assembly by easily connecting at least one vertical bar and a horizontal bar, has a simple structure, and includes a vertical bar, a horizontal bar and a vertical bar with one fastening bolt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using A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is provided.

Description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Connecting apparatus for furniture frame and frame assembly using the same}Connecting apparatus for furniture frame and frame assembl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로봉, 가로봉 및 수직봉의 가구 프레임을 간단하고 쉽게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가구 프레임 조립체를 쉽게 완성할 수 있는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that can easily and easily complete a furniture frame assembly of various shapes and sizes by simply and easily connecting a furniture frame of vertical bars, horizontal bars and vertical bars.

책상이나 걸상 또는 그 이외 진열장 등의 철제 가구들의 골격을 구성하는 프레임은 주로 각형 또는 원형의 형강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형강을 이용한 프레임들은 세로대 또는 가로대를 상호 교차방향으로 배치하여 하중 또는 외력 등의 작용에 대해 저항하면서 원래의 형상을 유지한다.The frame constituting the frame of the steel furniture such as desks, benches, or other display cases is mainly made of square or circular sections. Frames using these sections are constructed by arranging vertical bars or cross bars in mutually intersecting directions to reduce loads or external forces. It resists action and retains its original shape.

이러한 프레임에서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세로대와 가로대 사이의 결합을 위해 필수적으로 연결구조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결구조는 통상 용접방식, 예를 들어 책상의 경우를 보면 다리를 구성하는 세로대와 그 세로대에 교차방향으로 연결되는 가로대의 접속부분을 용접하였다.In such a frame, a connection structure is required for coupling between the vertical bars and the cross bars arranged in the cross direction, and such a connection structure is usually weld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esk, the vertical bars constituting the legs and the vertical bars The connecting parts of the cross bars connected in the cross direction were welded.

그런데 이렇게 접속부분을 용접하면, 그 용접 부분이 거칠어서 외관상 미려하지 못해 후 가공, 즉 그라이딩 작업을 통해 마무리하여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connection part is welded in this way, the welding part is rough and not beautiful in appearance, so it has to be finished through post-processing, that is, a grinding operation.

그리하여 특허등록 제10-1101395호에서는 철제 사무용 책상의 프레임을 용접 등으로 연결고정시키지 않고, 연결구를 사용하여 고정볼트로 고정연결시킬 수 있는 사무용 책상의 프레임 연결구를 소개하였다.Therefore, Patent Registration No. 10-1101395 introduced a frame connector for an office desk that can be fixedly connected with a fixing bolt using a connector without connecting and fixing the frame of the iron office desk by welding or the like.

그러나 상기 프레임 연결구는 연결구 제조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frame connecto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connector and it is difficult to deform into various shapes.

특허등록 제10-1101395호Patent Registration No. 10-110139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로봉, 가로봉 및 수직봉을 쉽게 연결할 수 있고, 구조가 단순하며, 조립이 간편하여 제작, 설치 및 유지 비용이 상당히 감소할 뿐 아니라 다양한 실시예로 확장할 수 있는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 및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at least one vertical bar, a horizontal bar and a vertical bar using a single connecting member, and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assembly is easy to manufacture, install and maintai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ing member and frame assembly for a furniture frame which is not only significantly reduced in cost but also expandable to various embodimen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는, 세로봉과 가로봉을 연결하는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에 있어서,A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connecting a vertical bar and a horizontal bar,

상기 세로봉 및 가로봉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너트;a fixing nut fixed to the inside of the vertical rod and the horizontal rod;

상기 고정너트에 체결되는 제2 체결볼트에 의해 세로봉의 양단부와 가로봉의 양단부에 결합하고, 제2 체결공을 갖는 돌기부가 세로봉과 가로봉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지지체;a first support bod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vertical bar and both ends of the transverse bar by a second fastening bolt fastened to the fixing nut, the protrusion having a second fastening hol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longitudinal bar and the transverse bar;

상기 제1 지지체의 돌기부가 안착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연결구가 교차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구에 제1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제1 연결체;a first connector in which at least two first connectors on which the protrusions of the first support are seated are formed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a first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or, and an upper portion is opened;

상기 제1 연결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구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제2 연결구가 상기 돌기부의 상부를 감싸며, 상기 제2 연결구의 내주연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체의 상부를 차단하는 제2 연결체; 및A second connector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or and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nnector surrounds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and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on an inner periphery of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first connector a second connector blocking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or; and

상기 제1 체결공에 체결되고, 선단부가 상기 제1 지지체의 제2 체결공을 통과하여 제2 연결체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제1 체결볼트;를 포함한다.and a first fastening bolt that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front end passes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 of the first support body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of the second connecto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연결체에서 상기 제1 연결구 사이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3 연결구;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in the first connector, the third connector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일단부에 형성되는 돌기부가 상기 제3 연결구에 결합하는 제2 지지체; 및a second support having a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coupled to the third connector; and

상기 제2 지지체의 타단부에 결합하는 수직봉;을 포함한다.and a vertical ba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연결체에서 상기 제1 연결구 사이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3 연결구;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connecto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in the first connector and penet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2 연결체에서 상기 제2 연결구 사이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4 연결구;a fourth connector formed between the second connector in the second connector and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일단부에는 상기 제3 연결구와 제4 연결구에 각각 결합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고정너트가 내부에 구비되는 수직봉이 결합하며, 중공부를 갖는 제2 지지체;a second support body having a vertical bar having a fixing nut mounted therein and having a protrusion coupled to the third connector and the fourth connector at one end, the other end having a hollow portion;

선단부가, 상기 제1 연결체의 내부에서, 상기 제3 연결구에 결합하는 제2 지지체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지지체와 결합하는 수직봉의 고정너트에 체결되는 제3 체결볼트; 및a third fastening bolt having a tip portion inside the first connector, passing through a hollow portion of a second support coupled to the third connector, and fastened to a fixing nut of a vertical bar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and

선단부가, 상기 제2 연결체의 내부에서, 상기 제4 연결구에 결합하는 제2 지지체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지지체와 결합하는 수직봉의 고정너트에 체결되는 제4 체결볼트;를 포함한다.and a fourth fastening bolt that is fastened to a fixing nut of a vertical bar that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through a hollow portion of a second support that is coupled to the fourth connector in the inside of the second connector.

또한, 본 발명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완성되는 가구 프레임 조립체는, 세로봉과 가로봉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틀 형태의 조립체가 상하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각틀 형태의 조립체가 수직봉으로 연결되는 육면체 형태의 가구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In addition, in the furniture frame assembly completed using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tangular frame-shaped assembly formed by vertical rods and horizontal rods is disposed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rectangular frame-shaped assembly is connected by vertical rods. In the furniture frame assembly of

상기 세로봉과 가로봉의 양단부가 본 발명의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의 제1 지지체에 결합하여 사각틀 형태의 가구 프레임 조립체가 형성되고, 상기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의 제2 지지체에 수직봉의 양단부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oth ends of the vertical bar and the horizontal bar ar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of the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rectangular frame-shaped furniture frame assembly, and both ends of the vertical bar are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of the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characterized.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하나의 연결부재에 하나의 적어도 2개의 세로봉, 가로봉 및 수직봉이 쉽게 연결되고, 세로봉 및 가로봉을 단단히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t least two vertical bars, horizontal bars and vertical bars are easily connected to one connecting member,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irmly support the vertical bars and horizontal bars.

또한, 본 발명의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는 구조가 단순하고, 세로봉과 가로봉이 연결되는 제1 연결체와 제2 연결체를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조립 및 설치가 간단하고 쉽게 이루어지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and by combining the first connecting body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to which the vertical bar and the horizontal bar are connected using a fastening bolt, assembly and installation are simple and easy.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가구 프레임 조립체를 쉽게 완성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가구 프레임 조립체로 쉽게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urniture frame assembly can be easily completed by using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expand the furniture frame assembly to various shapes and siz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가 사용된 가구 프레임의 개략도
도 2 내지 도 4은 본 발명의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분해도 및 단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를 이용한 가구 프레임 조립체
1 is a schematic view of a furniture frame using a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exploded views of a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schematic views, exploded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are a furniture frame assembly using the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explain in detail enough to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by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n't mean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In addition,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It should be noted that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100)는, 세로봉(A)과 가로봉(B)을 연결하는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에 있어서, 세로봉(A)의 양단부와 가로봉(B)의 양단부에 결합하고, 제2 체결공(1b)을 갖는 돌기부(1a)가 세로봉(A)과 가로봉(B)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지지체(1); 상기 제1 지지체(1)의 돌기부(1a)가 안착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연결구(11)가 교차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구(11)에 제1 체결공(14)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제1 연결체(10); 상기 제1 연결체(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구(11)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제2 연결구(21)가 상기 돌기부(1a)의 상부를 감싸며, 상기 제2 연결구(21)의 내주연에는 체결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체(10)의 상부를 차단하는 제2 연결체(20); 및The connecting member 100 for a furnitur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connecting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and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vertical bar A and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B and a first support body (1) having a protrusion (1a) having a second fastening hole (1b)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At least two first couplers 11 on which the protrusions 1a of the first support 1 are seated are formed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and a first fastening hole 14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or 11, a first connecting body 10 having an open top; A second connector 21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or 10 and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nnector 11 surrounds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a, and the second connector ( a second connector 20 having a fastening groove 25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21 , and blocking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 and

상기 제1 체결공(14)에 체결되고, 선단부가 상기 제1 지지체(1)의 제2 체결공(1b)을 통과하여 제2 연결체(20)의 체결홈(25)에 체결되는 제1 체결볼트(31);를 포함한다.The first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14 and the front end passes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 1b of the first support body 1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25 of the second connector 20 . Fastening bolt 31; includes.

또한, 상기 세로봉(B) 및 가로봉(B)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너트(N); 상기 제1 지지체(1)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부(1d); 및 선단부가 상기 중공부(1e)를 통과하여 상기 고정너트(N)에 체결되는 제2 체결볼트(3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xing nut (N) fixed to the inside of the vertical bar (B) and the horizontal bar (B); A hollow portion (1d)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1); and a second fastening bolt 32 fastened to the fixing nut (N) through the front end of the hollow portion (1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연결체(10)에서 상기 제1 연결구(11) 사이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3 연결구(13); 일단부에 형성되는 돌기부(2a)가 상기 제3 연결구(13)에 결합하는 제2 지지체(2); 및 상기 제2 지지체(2)의 타단부에 결합하는 수직봉(C);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1 in the first connector 10, the third connector 13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support (2) having a protrusion (2a) formed at one end coupled to the third connector (13); and a vertical bar (C)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2).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연결체(10)에서 상기 제1 연결구(11) 사이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3 연결구(13); 상기 제2 연결체(20)에서 상기 제2 연결구(21) 사이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4 연결구(24); 일단부에는 상기 제3 연결구(13)와 제4 연결구(24)에 각각 결합하는 돌기부(2a)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고정너트(N)가 내부에 구비되는 수직봉(C)이 결합하며, 중공부를 갖는 제2 지지체(2); 선단부가, 상기 제1 연결체(10)의 내부에서, 상기 제3 연결구(13)에 결합하는 제2 지지체(2)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지지체(2)와 결합하는 수직봉(C)의 고정너트(N)에 체결되는 제3 체결볼트(33); 및 선단부가, 상기 제2 연결체(20)의 내부에서, 상기 제4 연결구(24)에 결합하는 제2 지지체(2)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지지체(2)와 결합하는 수직봉(C)의 고정너트(N)에 체결되는 제4 체결볼트(34);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1 in the first connector 10, the third connector 13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ourth connector 24 formed between the second connector 21 in the second connector 20 and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rotrusion (2a) coupled to the third connector (13) and the fourth connector (24) is formed at one end, and a vertical bar (C) having a fixing nut (N) therein is coupled to the other end. , a second support having a hollow portion (2); A vertical bar (C) having a tip end inside the first connector 10, passing through the hollow of the second support body 2 coupled to the third connector 13, and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body 2 ) a third fastening bolt 33 fastened to the fixing nut (N); and a vertical bar ( C) a fourth fastening bolt 34 fastened to the fixing nut (N); includes.

또한, 본 발명은, 세로봉(A)과 가로봉(B) 및 수직봉(C)을 연결하는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에 있어서, 세로봉(A)의 양단부와 가로봉(B)의 양단부에 결합하고, 링 형태의 요홈(1c)을 갖는 돌기부(1a)가 세로봉(A)과 가로봉(B)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지지체(1); 상기 제1 지지체(1)의 돌기부(1a)가 안착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연결구(11)가 교차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연결구(11)의 내주연에는 상기 요홈(1c)에 삽입되는 제1 걸림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구(11)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3 연결구(13)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제1 연결체(10); 상기 제1 연결체(10)의 상부를 차단하고, 상기 제1 연결구(11)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제2 연결구(21)가 상기 돌기부(1a)의 상부를 감싸는며, 상기 제2 연결구(21)의 내주연에는 상기 요홈(1c)에 삽입되는 제2 걸림부(22)가 형성되고, 제2 연결구(21) 사이에 제3 체결공(23)이 형성되는 제2 연결체(20); 일단부에는 제3 연결구(13)에 결합하는 돌기부(2a)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고정너트(N)가 내부에 구비되는 수직봉(C)이 결합하며, 중공부를 갖는 제2 지지체(2); 및 상기 제3 체결공(23)에 체결되고, 선단부가 상기 제2 지지체(2)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수직봉(C) 내부의 고정너트(N)에 체결되는 제3 체결볼트(33);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connecting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and the vertical bar (C), coupled to both ends of the vertical bar (A) and the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B), , A first support body (1) in which the protrusion (1a) having a ring-shaped recess (1c)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At least two first couplers 11 on which the protrusions 1a of the first support 1 are seated are formed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an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rst couplers 11, the first connector 11 is inserted into the recess 1c. a first connector 10 having a first locking part 12 formed therebetween, a third connector 13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1, and having an open upper part; A second connector 21 that blocks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nnector 11 surrounds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a, and the second connector 21 )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2 inserted into the groove (1c), the second connector 20 is formed with a third fastening hole 23 between the second connector 21; A protrusion (2a) coupled to the third connector (13) is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vertical bar (C) having a fixing nut (N) therein is coupled to the other end, and a second support body (2) having a hollow portion (2). ); and a third fastening bolt 33 fastened to the third fastening hole 23 and fastened to the fixing nut (N) inside the vertical bar (C) through the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body (2); includes

그리고 상기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를 이용한 본 발명의 가구 프레임 조립체는, 세로봉(A)과, 상기 세로봉(A)에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봉(B)에 의해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는 가구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가구 프레임 조립체의 모서리부에는 본 발명의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세로봉(A)의 양단부와 가로봉(B)의 양단부가 상기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의 제1 지지체(1)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urniture fram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connecting member for the furniture frame is a furniture frame assembly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by a vertical bar (A) and a horizontal bar (B) disposed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on the vertical bar (A).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a corner of the furniture frame assembly, and both ends of the vertical bar (A) and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B) are the first support body (1) of the connecting member for the furniture frame ) is characterized by binding to

또한, 세로봉(A)과 가로봉(B)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틀 형태의 조립체가 상하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각틀 형태의 조립체가 수직봉(C)으로 연결되는 육면체 형태의 가구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세로봉(A)과 가로봉(B)의 양단부가 상기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의 제1 지지체(1)에 결합하여 사각틀 형태의 가구 프레임 조립체가 형성되고, 상기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의 제2 지지체(2)에 수직봉(C)의 양단부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한다.In addition, a rectangular frame-shaped assembly formed by a vertical bar (A) and a horizontal bar (B) is disposed vertically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rectangular frame-shaped assembly is connected by a vertical bar (C) to a hexahedral furniture frame assembly. In the following, both ends of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ar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ody (1) of the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to form a furniture frame assembly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vertical bar (C) is coupled to the support (2).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부재(100)는, 상호 교차방향으로 연결되는 세로봉(A), 가로봉(B) 및 수직봉(C)의 가구 프레임을 연결하는 것으로, 세로봉(A)가 가로봉(B)의 양단부에 제1 지지체(1)가 결합하고, 상기 제1 지지체(1)의 일단부가 제1 연결체(10)에 결합하며, 제2 연결체(20)가 제1 연결체(10)의 상부에 제1 체결볼트(31)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세로봉(A)과 가로봉(B)이 본 발명의 연결부재(100)에 의해 쉽고 간단히 결합한다.1 to 5, the connect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a furniture frame of vertical bars (A), horizontal bars (B) and vertical bars (C) connected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 the vertical bar (A)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B) the first support (1),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1)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10), the second connector ( 20) is coupled by the first fastening bolt 31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10, so that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easily and simply combined by

상기 제1 지지체(1)는, 상기 세로봉(A)과 가로봉(B)의 일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재(100)에 세로봉(A) 및 가로봉(B)을 결합하는 것으로, 말단부는 세로봉(A)과 가로봉(B)에 삽입 또는 억지끼움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연결부의 전방에는 세로봉(A)과 가로봉(B)의 외부에서 세로봉(A)과 가로봉(B)의 단부에 걸리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전방에는 돌기부(1a)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소정반경의 중공부가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의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1)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vertical rod (A) and the horizontal rod (B), and by coupling the vertical rod (A) and the horizontal rod (B) to the connecting member 100, the distal end is formed with a connection part that is inserted or pressed into the vertical rod (A) and the horizontal rod (B), and in the front of the connection part, the vertical rod (A) and the horizontal rod (B) from the outside of the vertical rod (A) and the horizontal rod (B) A flange portion hanging from the end is formed, a protrusion 1a is formed in front of the flange portion, and a hollow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 thread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hollow part.

또한, 상기 제1 지지체(1)는, 상기 돌기부(1a)에 링 형상의 요홈(1c)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c)에는 제2 체결공(1b)이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first support body 1, a ring-shaped groove 1c is formed in the protrusion 1a, and a second fastening hole 1b is formed in the groove 1c.

또한, 세로봉(A), 가로봉(B)과 상기 제1 지지체(1)는 제2 체결볼트(32)에 의해 결합된다.In addition, the vertical bar (A), the horizontal bar (B) and the first support (1) are coupled by a second fastening bolt (32).

즉, 상기 세로봉(A)과 가로봉(B)의 내부에는 고정너트(N)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지지체(1)는 길이방향의 중공부(1d)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체(1)의 타단부에는 상기 세로봉(A)과 가로봉(B)에 삽입되는 연결부(1e)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e)에는 상기 중공부(1d)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의 관통공(1f)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체(1)의 중공부(1d)에 제2 체결볼트(32)가 삽입되고, 제2 체결볼트(32)의 일단부가 상기 관통공(1f)을 통과하여 세로봉(A) 및 가로봉(B)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너트(N)에 체결된다.That is, a fixing nut (N) is provided inside the vertical rod (A) and the horizontal rod (B), and the first support body (1) has a longitudinal hollow part (1d) formed therein, and the first support body ( At the other end of 1), a connecting portion 1e inserted into the vertical rod A and the horizontal rod B is formed, and the connecting portion 1e has a through hole 1f having a smaller radius than the radius of the hollow portion 1d. ) is formed. And a second fastening bolt 32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1d of the first support 1, and one end of the second fastening bolt 32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f to form a vertical bar (A) And it is fastened to the fixing nut (N) provided inside the horizontal bar (B).

상기 고정너트(N)는, 나사산을 갖는 링 형태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펼쳐져 가로봉(B)과 세로봉(A)의 내주연을 가압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몸체가 가로봉(B) 및 세로봉(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다리부가 펼쳐지면서 세로봉(A) 및 가로봉(B)의 내부를 가압하여 가로봉(B) 및 세로봉(A)의 내부에 단단히 고정된다.The fixing nut (N), a ring-shaped body having a thread; and a leg portion that spreads outwardly of the body and presses the inner periphery of the horizontal rod (B) and the vertical rod (A); By pressing the inside of the vertical rod (A) and the horizontal rod (B) as the part unfolds, it is firm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rod (B) and the vertical rod (A).

상기 제1 연결체(10)는, 상부가 개방된 "L"자 또는 엘보우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체(1)의 돌기부(1a)가 안착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연결구(11)가 교차방향 또는 소정 각 벌어져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구(11)에는 제1 체결공(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구(11)는 90도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2개 또는 4개 등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10 is formed in an "L" shape or an elbow tube shape with an open top, and at least two first connectors 11 on which the protrusion 1a of the first support body 1 is seated. is formed in a cross direction or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first fastening hole 14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or 11 . The first connector 11 may be formed at an interval of 90 degrees,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numbers such as at least two or four.

상기 제1 연결체(10)는, 세로봉(A)과 가로봉(B)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제1 연결구(11)가 형성되고, 세로봉(A)과 가로봉(B)에 결합한 상기 제1 지지체(1)의 돌기부(1a)가 상기 제1 연결구(11)에 안착한다.The first connector 10 has at least two first connectors 11 form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coupled to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The protrusion 1a of the first support 1 is seated on the first connector 11 .

또한, 상기 제1 연결구(11)는, 내주연에 반원 형상의 제1 걸림부(1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부(22)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체결공(14)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or 11 has a semicircular first locking part 12 protruding from the inner periphery, and the first locking part 22 has a first fastening hole 14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is formed.

상기 제1 연결구(11)에 세로봉(A)과 가로봉(B)에 결합한 제1 지지체(A)의 돌기부(1a)가 안착하면, 제1 연결체(10)의 상부에 제2 연결체(20)를 결합한다.When the protrusion (1a) of the first support (A) coupled to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is seated in the first connector (11), the second connector ( 20) is combined.

상기 제2 연결체(20)는, 상기 제1 연결체(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구(11)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제1 지지체(1)의 돌기부(1a)의 상부를 감싸는 적어도 2개의 제2 연결구(21)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구(21)의 내주연에는 제1 걸림부(12)에 대응하는 제2 걸림부(22)가 형성되고, 제2 걸림부(22)에는 제1 체결공(14)에 대응하는 체결홈(25) 또는 체결공이 형성된다.The second connector 2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connector 10 ,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nnector 11 , and is above the protrusion 1a of the first support body 1 . At least two second connectors 21 are formed to surround the A fastening groove 25 or a fasten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hole 14 is formed in the part 22 .

상기 제1 연결구(11)에 세로봉(A)과 가로봉(B)에 각각 결합한 제1 지지체(A)의 돌기부(1a)가 안착하고, 상기 제1 연결체(10)의 상부에 제2 연결체(10)가 안착하며, 제1 연결체(10)와 제2 연결체(20)를 제1 체결볼트(31)로 결합 및 고정한다.The protrusion 1a of the first support body A coupled to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respectively, is seated in the first connector 11, and a second connection is mad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The sieve 10 is seated, and the first connecting body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20 are coupled and fixed with the first fastening bolt 31 .

상기 제1 체결볼트(31)는 제1 체결공(14)에 체결되고, 선단부가 제1 지지체(1)의 제2 체결공(1b)을 통과하여 제2 연결체(20)의 체결홈(25)에 체결된다.The first fastening bolt 31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14, and the front end passes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 1b of the first support body 1 to the fastening groove of the second connector 20 ( 25) is concluded.

따라서 본 발명의 연결부재(100)를 이용하여 세로봉(A)과 가로봉(B)을 연결할 때, 세로봉(A)과 가로봉(B)의 양단부에 제1 지지체(1)를 결합하고, 상기 제1 지지체(1)를 제1 연결체(10)의 제1 연결구(11)에 안착시키며, 제2 연결체(20)로 제1 연결체(10)의 상부를 덮고, 제1 체결볼트(31)를 제1 체결공(14)과 체결홈(25)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체결볼트(31)가 제2 연결체(2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세로봉(A)과 가로봉(B)을 깔끔하면서도 쉽게 연결할 수 있고,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 조립체를 쉽게 완성할 수 있다.Therefore, when connecting the vertical rod (A) and the horizontal rod (B) using the connect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body (1)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vertical rod (A) and the horizontal rod (B), and the The first support body 1 is seated on the first connector 11 of the first connector 10, the second connector 20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a first fastening bolt ( 31)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14 and the fastening groove 25, and the first fastening bolt 31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20, so the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are external. It is possible to neatly and easily connect the vertical bars (A) and the horizontal bars (B) without being exposed as a result,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complete the frame assembly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한편, 세로봉(A) 및 가로봉(B)은 본 발명의 연결부재(100)에 의해 수직봉(C)과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may be connected to the vertical bar (C) by the connect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 연결체(1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3 연결구(13)가 바닥면에서 상기 제1 연결구(11) 사이에 형성된다.In the first connector 10 , a third connector 13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1 on the bottom surface.

그리고 상기 제3 연결구(13)에는 제2 지지체(2)가 결합하며, 제2 지지체(2)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봉(C)이 결합한다.And a second supporter 2 is coupled to the third connector 13 , and at least one vertical bar C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er 2 .

즉, 하나의 연결부재(100)에 적어도 하나의 세로봉(A) 및 가로봉(B)이 연결되고, 여기에 적어도 하나의 수직봉(C)이 연결된다.That is, at least one vertical bar (A) and a horizontal bar (B) are connected to one connecting member (100), and at least one vertical bar (C) is connected here.

상기 제3 연결구(13)는, 제1 연결체(10)의 바닥면에서 하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연에는 내부로 돌출되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단턱부의 상부에는 오링(R)이 구비된다.The third connector 13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10, an inner periphery is formed with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inward, and an O-ring (O-ring) ( R) is provided.

상기 오링(R)은 제3 연결구(13)의 단턱부 상부에 안착되고, 후술할 제3 체결볼트(33)가 체결되며, 상기 제3 체결볼트(33)의 머리부가 걸려 지지되게 하는 것이다.The O-ring (R) is seated on the top of the stepped portion of the third connector 13, a third fastening bolt 33 to be described later is fastened, and the head of the third fastening bolt 33 is hung and supported.

또한, 상기 오링(R)은 상부가 테이퍼지고, 상기 제1 지지체(1)의 돌기부(1a)의 선단부도 테이퍼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오링(R)과 상기 돌기부(1a)가 상기 제1 연결체(10)의 내부에서 상하로 접촉하여 맞닿음으로써,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서로 간의 강한 연결이 이루어지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O-ring (R) has a tapered top, and the tip of the protrusion 1a of the first support body 1 is also tapered, so that the O-ring R and the protrusion 1a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0) by contacting up and down inside of the abutment, there is a remarkable effect that is mutually stably connected and at the same time a strong connection between each other is made.

상기 제2 지지체(2)는, 일단부에 돌기부(2a)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2a)가 상기 제3 연결구(13)에 삽입 또는 억지끼움되며, 타단부는 상기 수직봉(C)에 결합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의 중공부가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2 has a protrusion 2a formed at one end, the protrusion 2a is inserted or press-fitted into the third connector 13, and the other end is on the vertical bar C. coupled, and a longitudinal hollow part is formed therein.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in the hollow part.

즉, 제1 연결체(10)에 상항방향의 제3 연결구(13)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연결구(13)에 제2 지지체(2)의 돌기부(2a)가 결합하며, 상기 제2 지지체(2)의 타단부에 수직봉(C)이 결합한다.That is, a third connector 13 in an upward direction is formed on the first connector 10 , and the protrusion 2a of the second support 2 is coupled to the third connector 13 , and the second support body The vertical bar (C)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2).

따라서 본 발명의 연결부재에 세로봉(A)과 가로봉(B)이 결합하여 사각틀 형태의 조립체가 형성되고, 여기에 수직봉(C)이 더 결합하여 사각특 형태의 조립체가 책상과 같이 지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are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n assembly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and the vertical bar (C) is further coupled to this to form an assembly in the shape of a square frame on the ground like a desk. It may be supported by being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heigh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연결체(20)에 제3 체결공(2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체(2)는 나사산을 갖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 체결공(23)과 상기 중공부에는 제3 체결볼트(33)가 체결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fastening hole 23 is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ng body 20 , and the second support body 2 is formed with a hollow part having a screw thread, and the third fastening hole 23 is formed. And a third fastening bolt 33 is fastened to the hollow part.

즉, 상기 세로봉(A)과 가로봉(B)에 연결된 제1 지지체(1)가 제1 연결체(10)의 제1 연결구(11)에 안착하고, 상기 제2 연결체(20)를 제1 연결체(10)의 상부에 연결하며, 제3 연결구(13)에는 수직봉(C)에 결합한 제2 지지체(2)를 연결하며, 제3 체결볼트(33)를 제2 연결체(20)의 상측에서 제3 체결공(23)에 체결하고, 제3 체결볼트(33)의 선단부가 제3 연결체(10)에 결합한 제2 지지체(2)에 체결된다.That is, the first support body 1 connected to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is seated on the first connector 11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is removed. 1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or 10, the third connector 13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body 2 coupled to the vertical bar C, and the third fastening bolt 33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20 ) is fastened to the third fastening hole 23 from the upper side, and the tip of the third fastening bolt 33 is fastened to the second support body 2 coupled to the third connecting body 10 .

따라서 세로봉(A), 가로봉(B) 및 수직봉(C)이, 제1 체결공(23)과 체결홈(25)에 체결되는 제1 체결볼트(31) 없이도, 제3 체결볼트(33) 하나에 의해 상호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vertical bar (A), the horizontal bar (B) and the vertical bar (C), without the first fastening bolt 31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23 and the fastening groove 25, the third fastening bolt 33 ) has the effect that it can be mutually coupled and fixed by one.

즉, 세로봉(A) 및 가로봉(B)과 결합한 제1 지지체(1)가 상기 제1 연결구(11)의 내부에 안착하고, 제1 걸림부(12)가 요홈(1c)에 삽입되며, 제2 연결체(20)를 제1 연결체(10)의 상부에 구비하고, 제3 연결구(13)에 수직봉(C)이 제2 지지체(2)에 의해 결합하며, 제3 체결볼트(33)를 제3 체결공(23)과 제2 지지체(2)의 중공부에 체결함으로써, 제1 체결볼트(31) 없이 세로봉(A), 가로봉(B) 및 수직봉(C)을 연결부재(100)로 연결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support body (1) coupled to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is seated inside the first connector (11), and the first locking part (12) is inserted into the recess (1c), A second connector 2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vertical bar C is coupled to the third connector 13 by the second support 2, and a third fastening bolt ( 33) by fastening the third fastening hole 23 and the hollow part of the second support body 2 to the vertical bar (A), the horizontal bar (B) and the vertical bar (C) without the first fastening bolt 31 It may be connected to the member 100 .

또한, 상기 수직봉(C)의 내부에는 고정너트(N)가 고정되고, 상기 제3 체결볼트(33)의 선단부가 상기 제2 지지체(2)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고정너트(N)에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nut (N) is fixed inside the vertical bar (C), and the tip of the third fastening bolt (33) passes through the hollow of the second support (2) to the fixing nut (N). can be contracted.

또한, 상기 세로봉(A), 가로봉(B) 및 수직봉(C)이 제1 체결볼트(31)와 제3 체결볼트(33)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호 간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제1 체결볼트(31)와 제3 체결볼트(3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세로봉(A), 가로봉(B) 및 수직봉(C)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00)의 외관이 깔끔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bar (A), the horizontal bar (B) and the vertical bar (C) can be fixed by the first fastening bolt 31 and the third fastening bolt 33, whereby the mutual coupling is more firm. A connection that connects the vertical bar (A), the horizontal bar (B) and the vertical bar (C) because the first fastening bolt 31 and the third fastening bolt 33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ppearance of the member 100 can be maintained neatly.

따라서, 본 발명의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100)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로봉(A) 및 가로봉(B)과 수직봉(C)을 쉽고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at least one vertical bar (A) and a horizontal bar (B) and the vertical bar (C) can be easily and simply connected by using the connecting member 100 for a furnitur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제1 지지체(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중공부(1d)가 형성되고, 말단부에는 상기 중공부(1d)를 차단하면서 상기 가로봉(B)에 삽입 또는 억지끼움되는 연결부(1e)가 연장되며, 연결부(1e)의 중앙부에는 상기 중공부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의 관통공(1f)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1, as shown in Figure 5, a hollow portion (1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distal end, while blocking the hollow portion (1d) is inserted into the transverse rod (B) or The connection portion 1e to be press-fitted extends, and a through hole 1f having a smaller radius than the radius of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1e.

따라서 상기 제1 지지체(1)는, 연결부(1e)가 가로봉(B)에 삽입되고, 제2 체결볼트(32)의 선단부가 중공부(1d)와 관통공(1f)을 통과하여 가로봉(B) 내부의 고정너트(N)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가로봉(B)과 쉽고 간단하게 결합한다.Therefore, in the first support body 1, the connecting part 1e is inserted into the transverse bar B,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fastening bolt 32 passes through the hollow part 1d and the through hole 1f, and the transverse bar B ) By being fastened to the internal fixing nut (N), it is easily and simply coupled with the transverse rod (B).

상기 제1 지지체(1)와 세로봉(A)도 상기 제1 지지체(1)와 가로봉(B)의 결합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결합한다.The first support body (1) and the vertical bar (A) are also coupled by the same method as the coupling of the first support body (1) and the horizontal bar (B).

다음 도 6 내지 도 8은 각각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수직봉(C)이 상하로 2개 이상 연속되고, 상기 세로봉(A) 및 가로봉(B)과 함께 연결부재(100)에 연결되는 상태도, 분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Next, FIGS. 6 to 8 are diagrams in which two or more vertical bars (C) disposed at respective corners are continuous up and down, and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100 together with the vertical bars (A) and the horizontal bars (B). , an exploded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are shown.

본 발명의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100)는, 상기 제1 연결체(10)에서 상기 제1 연결구(11) 사이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3 연결구(13); 상기 제2 연결체(10)에서 상기 제2 연결구(11) 사이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4 연결구(13); 일단부에는 상기 제3 연결구(13)와 제4 연결구(24)에 각각 결합하는 돌기부(2a)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고정너트(N)가 내부에 구비되는 수직봉(C)이 결합하며, 중공부를 갖는 제2 지지체(2); 선단부가, 상기 제1 연결체(10)의 내부에서, 상기 제3 연결구(13)에 결합하는 제2 지지체(2)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지지체(2)와 결합하는 수직봉(C)의 고정너트(N)에 체결되는 제3 체결볼트(33); 및 선단부가, 상기 제2 연결체(20)의 내부에서, 상기 제4 연결구(24)에 결합하는 제2 지지체(2)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지지체(2)와 결합하는 수직봉(C)의 고정너트(N)에 체결되는 제4 체결볼트(34);를 포함한다.The connecting member 100 for a furnitur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rd connector 13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1 in the first connector 10 and penetrat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fourth connector (13) formed between the second connector (11) in the second connector (10) and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rotrusion (2a) coupled to the third connector (13) and the fourth connector (24) is formed at one end, and a vertical bar (C) having a fixing nut (N) therein is coupled to the other end. , a second support having a hollow portion (2); A vertical bar (C) having a tip end inside the first connector 10, passing through the hollow of the second support body 2 coupled to the third connector 13, and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body 2 ) a third fastening bolt 33 fastened to the fixing nut (N); and a vertical bar ( C) a fourth fastening bolt 34 fastened to the fixing nut (N); includes.

상기 제1 연결체(10)에는 제3 연결구(13)가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연결체(20)에는 상기 제3 연결구(13)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상기 제4 연결구(24)가 상측으로 돌출된다.The first connector 10 has a third connector 13 protruding downward, and the second connector 20 has the fourth connector 24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rd connector 13 . protruding upwards.

그리고 상기 제3 연결구(13) 및 제4 연결구(24)에는 수직봉(C)에 결합된 제2 지지체(2)가 각각 연결되고, 제3 체결볼트(33)의 선단부가 상기 제1 연결체(10)의 내부에서 상기 제3 연결구(13)에 결합하는 제2 지지체(2)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지지체(2)와 결합한 수직봉(C)의 고정너트(N)에 체결되며, 제4 체결볼트(34)는 상기 제2 연결체(20)의 내부에서, 제2 지지체(2)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지지체(2)와 결합한 수직봉(C)의 고정너트(N)에 체결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body 2 coupled to the vertical bar C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or 13 and the fourth connector 24, and the tip of the third fastening bolt 33 is the first connector. (10) is fastened to the fixing nut (N) of the vertical bar (C)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2) through the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2) coupled to the third connector (13) inside the , the fourth fastening bolt 34 is a fixing nut of the vertical rod C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2 through the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2 in the inside of the second connector 20 ( N) will be connected.

즉, 적어도 2개의 수직봉(C)이 상하로 배치되는 경우, 하측의 수직봉(C)은 제2 지지체(2)에 의해 제3 연결구(13)에 연결되고 제3 체결볼트(33)에 의해 제1 연결체(10)의 하측에 고정되며, 상측의 수직봉(C)은 제2 지지체(2)에 의해 제4 연결구(24)에 연결되고 제4 체결볼트(34)에 의해 제2 연결체(20)의 상측에 고정된다.That is, when at least two vertical rods (C) are arranged vertically, the lower vertical rod (C) is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or 13 by the second supporter 2 and is connected to the third fastening bolt 33 .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onnector 10 by means of which the upper vertical bar C is connected to the fourth connector 24 by the second support 2 and the second by the fourth fastening bolt 34 It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or (20).

그리고 제1 연결체(10)와 제2 연결체(20)는 제1 체결공(14), 제2 체결공(1b) 및 체결홈(25)에 체결되는 제1 체결볼트(31)에 의해 결합하고, 제1 연결구(11)와 제2 연결구(21)에는 세로봉(A)과 가로봉(B)에 결합한 제1 지지체(1)가 상기 제1 체결볼트(31)에 의해 결합 또는 고정된다. And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connected by the first fastening hole 14 , the second fastening hole 1b and the first fastening bolt 31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25 .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11 and the second connector 21, the first support body 1 coupled to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is coupled or fixed by the first fastening bolt 31. .

따라서 본 발명은, 세로봉(A)과 가로봉(B)은 제1 연결구(11)와 제2 연결구(21)에 의해 상호 교차방향으로 연결되고, 수직봉(C)은 제3 연결구(13)에 연결되며, 상하로 연속되는 적어도 2개의 수직봉(C)은 제3 연결구(13)와 제4 연결구(24)에 의해 상호 상하방향으로 연결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are connected in a cross direction by the first connector (11) and the second connector (21), and the vertical bar (C) is the third connector (13) At least two vertical rods (C) connected to each other are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each other by the third connector (13) and the fourth connector (24).

상기 제3 연결구(13) 및 제4 연결구(24)의 내주연에는 내부로 돌출되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에는 제3 체결볼트(33)와 제4 체결볼트(34)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오링(R)이 구비되며, 상기 제3 체결볼트(33) 및 제4 체결볼트(34)는 오링(R)에 체결된 후 상기 제2 지지체(2)를 통과하여 수직봉(C)의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너트(N)에 각각 체결된다.A stepped portion protruding inward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third connector 13 and the fourth connector 24 , and the third and fourth fastening bolts 33 and 34 support the heads of the stepped portions. An O-ring (R) is provided, and the third fastening bolt 33 and the fourth fastening bolt 34 are fastened to the O-ring (R) and then pass through the second support body (2) of the vertical bar (C). Each is fastened to the fixing nut (N) provided therein.

상기 제3 체결볼트(33) 및 제4 체결볼트(34)는 제1 연결구(11)와 제2 연결구(21) 내부에서 수직봉(C) 내부로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연결부재(100)의 미관이 깔끔해지는 효과가 있다.The third fastening bolt 33 and the fourth fastening bolt 34 are disposed inside the vertical rod C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connector 11 and the second connector 21, and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 100) has the effect of clearing the aesthetics.

또한, 상기 오링(R)은 상부가 테이퍼지고, 상기 제1 지지체(1)의 돌기부(1a)의 선단부도 테이퍼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3 체결볼트(33) 및 제4 체결볼트(34)가 체결된 후, 상기 돌기부(1a)의 상하부에 상기 오링(R)이 접촉하면서 맞닿음으로써, 상호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서로 간의 강한 연결이 이루어지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O-ring (R) has a tapered top, and the tip of the protrusion 1a of the first support 1 is also tapered, so that the third fastening bolt 33 and the fourth fastening bolt 34 are After being fastened, the O-ring (R)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rotrusion (1a), thereby st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a strong connection to each other is achieved.

상기 제2 연결체(20)와 상기 제1 연결체(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홈(25)은 제1 체결공(14)에 대응하는 체결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or 20 and the first connector 1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the fastening groove 25 may be formed as a fasten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hole 14 .

또한, 상기 제2 연결체(20) 대신 2개의 제1 연결체(10)를 상하 반전된 상태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stead of the second connector 20 , the two first connectors 10 may be combined and used in a vertically inverted state.

다음의 도 9는 본 발명의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에 의해 조립된 사각틀 형태의 가구 프레임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다.Next, FIG. 9 shows a furniture frame assembly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assembled by the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세로봉(A)과 상기 세로봉(A)에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봉(B)을 상기 연결부재(100)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사각틀 형태의 가구 프레임 조립체를 완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connecting member 100 to interconnect the vertical bars (A) and the horizontal bars (B) disposed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on the vertical bars (A), a rectangular frame-shaped furniture frame assembly can be completed. .

즉, 본 발명의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100)가 사각틀 형대의 조립체의 모서리부에 구비되고, 상기 세로봉(A)의 양단부와 가로봉(B)의 양단부는 상기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의 제1 지지체(1)에 제2 체결볼트(32)에 의해 결합하며, 제1 지지체(1)가 제1 연결구(11)와 제2 연결구(21)의 내부에 수용된 후 제1 체결볼트(31)에 의해 제1 연결체(10) 및 제2 연결체(20)에 결합된다.That is, the connecting member 100 for a furnitur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corner of the assembly of the rectangular frame, and both ends of the vertical bar (A) and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B) are the first of the connecting member for the furniture frame. It is coupled to the support body 1 by a second fastening bolt 32 , and after the first support body 1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nector 11 and the second connector 21 , it is attached to the first fastening bolt 31 . It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by the

따라서 4개의 연결부재(100)와 2개의 세로바(A) 및 가로바(B)를 이용하여 사각틀 형태의 조립체를 쉽고 간단하게 완성할 수 있다.Therefore, by using the four connecting members 100 and two vertical bars (A) and horizontal bars (B),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simply complete the assembly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다음, 도 10은 4개의 세로봉(A)과 4개의 가로봉(B)이 본 발명의 연결부재(100)에 의해 연결되어, 2개의 사각틀 형태의 조립체가 완성되고, 상하로 이격된 2개의 사각틀 형태의 조립체가 4개의 수직봉과 연결되어 육면체 형태의 프레임 조립체를 완성한 것이다. Next, Figure 10 shows four vertical bars (A) and four horizontal bars (B)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in the form of two square frames is completed, and two square frames spaced up and down The assembly of the form is connected to four vertical bars to complete the frame assembly in the form of a hexahedron.

육면체 형태의 가구 프레임 조립체를 조립할 경우, 4개의 수직봉(C)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세워지고, 4개의 수직봉(A)의 상,하부는 제2 지지체(2) 및 제3 연결구(13)에 의해 본 발명의 연결부재(100)에 연결되며, 4개의 세로봉(A)과 4개의 가로봉(B)의 양단부는 본 발명의 제1 지지체(1)에 결함함으로써 육면체 형태의 조립체가 쉽고 간단하게 완성되는 것이다.When assembling a furniture frame assembly in the form of a hexahedron, four vertical bars (C) are erect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ur vertical bars (A) are the second support body (2) and the third connector (13). )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oth ends of the four vertical rods (A) and the four horizontal rods (B) are defective in the first support body (1)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assembly of the hexahedron shape is easy and easy. It will be completed simply.

상기 수직봉(A)은, 상기 제2 연결체(20)의 제3 체결공(23) 및 수직봉(C)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너트(N)에 체결되는 제3 체결볼트(33)에 의해 본 발명의 연결부재(100)에 연결 및 고정되고, 세로봉(A) 및 가로봉(B)은 제2 체결볼트(32)에 의해 본 발명의 연결부재(100)에 결합한다. 그리고 제1 연결체와 제2 연결체는 제1 체결볼트(31) 또는/및 상기 제3 체결볼트(33)에 의해 결합한다.The vertical bar (A), the third fastening hole (23) of the second connector (20) and the third fastening bolt (33) fastened to the fixing nut (N) provided inside the vertical bar (C) It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second fastening bolt (32). And the first connecting body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are coupled by the first fastening bolt 31 or/and the third fastening bolt 33 .

따라서 하나의 연결부재(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세로봉(A), 가로봉(B) 및 세로봉이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ly, at least one vertical bar (A), a horizontal bar (B) and a vertical bar may be connected to one connecting member 100 .

다음, 도 11은 적어도 2개의 수직봉(C)이 상하로 연속되는 육면체 형태의 가구 프레임 조립체를 나타낸 것이다.Next, Figure 11 shows a furniture frame assembly in the form of a hexahedron in which at least two vertical bars (C) are continuous vertically.

세로봉(A)과 가로봉(B)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틀 형태의 조립체가 상하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각틀 형태의 조립체가 수직봉(C)으로 연결되어 육면체 형태의 가구 프레임 조립체가 완성된다.A rectangular frame-shaped assembly formed by a vertical bar (A) and a horizontal bar (B) is disposed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up and down, and the rectangular frame-shaped assembly is connected with a vertical bar (C) to complete a hexahedral furniture frame assembly. .

이때, 각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수직봉(C)이 적어도 2개 이상 상하로 연결될 경우, 제3 연결구(13)와 제4 연결구(24)를 갖는 연결부재(100)를 이용하여 상하로 연속되는 수직봉(C)을 연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육면체 형태의 조립체의 높이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at least two or more vertical rods (C) disposed at each corner are connected up and down, using the connecting member 100 having the third connector 13 and the fourth connector 24 is used to continue up and down.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vertical bar (C), which makes it possible to simply adjust the height of the hexahedron-shaped assembly.

상기 육면체 형태의 조립체에서, 최상단과 최하단에는 제3 연결구(13)를 갖는 연결부재(100)가 사용되고, 세로봉(A)과 가로봉(B)은 제1 지지체(1)에 제2 체결볼트로 결합하며, 수직봉(C)은 제3 체결볼트(33)에 의해 제3 연결구(13)에 연결된다. 그리고 적어도 2개의 수직봉(C)이 상하로 연결될 경우, 제3 연결구(13)와 제4 연결구(24)를 갖는 연결부재(100)를 이용하여 상하로 연속되는 수직봉(C)을 간단히 연결할 수 있다. In the six-sided assembly, the connecting member 100 having the third connector 13 is used at the uppermost and lower ends, and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are attached to the first support body 1 as a second fastening bolt. Coupled, the vertical bar (C) is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or (13) by the third fastening bolt (33). And when at least two vertical bars (C) are connected up and down, using the connecting member 100 having a third connector (13) and a fourth connector (24) to simply connect the vertical bars (C) continuous up and down can

또한, 적어도 2개의 수직봉(C)을 상하로 연결할 경우, 제3 연결구(13)를 갖는 제1 연결체(10)를 상하로 반전된 상태로 밀착시켜 상기 제3 연결구(13)가 상측 수직봉(C)과 하측 수직봉(C)을 향하도록 하고, 상하 2개의 상기 제3 연결구(13)에 제2 지지체(2)를 각각 결합하며, 2개의 제3 체결볼트(33)를 상,하측 수직봉(C) 내부의 고정너트(N)에 체결한다.In addition, when connecting at least two vertical bars (C) up and down, the first connector 10 having the third connector 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side-down inverted state so that the third connector 13 is vertical to the upper side. To face the rod (C) and the lower vertical rod (C), the second support body (2)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two upper and lower third connectors (13), and the two third fastening bolts (33) are mounted on the upper, Fasten the fixing nut (N) inside the lower vertical bar (C).

따라서 본 발명은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100)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 또는 크기의 가구 프레임 조립체를 쉽고 간단하게 완성할 수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simply complete a furniture frame assembly of various shapes or sizes using the connecting member 100 for a furniture frame.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readi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all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attached to the appended claims. It is evident that the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 : 제1 지지체 2 : 제2 지지체
10 : 제1 연결체 11 : 제1 연결구
12 : 제1 걸림부 13 : 제3 연결구
14 : 제1 체결공 20 : 제2 연결체
21 : 제2 연결구 22 : 제2 걸림부
23 : 제3 체결공 24 : 제4 연결구
25 : 체결홈 31 : 제1 체결볼트
32 : 제2 체결볼트 33 : 제3 체결볼트
34 : 제4 체결볼트 100 : 연결부재
A : 세로봉 B : 가로봉
C : 수직봉 N : 고정너트
1: first support 2: second support
10: first connector 11: first connector
12: first locking part 13: third connector
14: first fastening hole 20: second connecting body
21: second connector 22: second locking part
23: third fastening hole 24: fourth connector
25: fastening groove 31: first fastening bolt
32: second fastening bolt 33: third fastening bolt
34: fourth fastening bolt 100: connecting member
A : vertical bar B : horizontal bar
C : Vertical bar N : Fixing nut

Claims (12)

세로봉(A)과 가로봉(B)을 연결하는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세로봉(A) 및 가로봉(B)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너트(N);
상기 고정너트(N)에 체결되는 제2 체결볼트(32)에 의해 세로봉(A)의 양단부와 가로봉(B)의 양단부에 결합하고, 제2 체결공(1b)을 갖는 돌기부(1a)가 세로봉(A)과 가로봉(B)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지지체(1);
상기 돌기부(1a)가 안착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연결구(11)가 소정 각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구(11)에 제1 체결공(14)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제1 연결체(10);
상기 제1 연결체(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구(11)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제2 연결구(21)가 상기 돌기부(1a)의 상부를 감싸며, 상기 제2 연결구(21)의 내주연에는 체결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체(10)의 상부를 차단하는 제2 연결체(20); 및
상기 제1 체결공(14)에 체결되고, 선단부가 상기 제2 체결공(1b)을 통과하여 제2 연결체(20)의 체결홈(25)에 체결되는 제1 체결볼트(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
In the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connecting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a fixing nut (N) fixed to the inside of the vertical rod (A) and the horizontal rod (B);
The second fastening bolts 32 fastened to the fixing nut (N)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vertical bar (A) and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B), and the protrusion (1a) having a second fastening hole (1b) is a first support body (1)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At least two first couplers 11 on which the protrusions 1a are seated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a first fastening hole 14 is formed in the first coupler 11, and the upper part is opened. connector 10;
A second connector 21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or 10 and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nnector 11 surrounds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a, and the second connector ( a second connector 20 having a fastening groove 25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21 , and blocking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 and
A first fastening bolt 31 that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14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25 of the second connector 20 through the front end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1b; A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체(10)에서 상기 제1 연결구(11) 사이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3 연결구(13);
일단부에 형성되는 돌기부(2a)가 상기 제3 연결구(13)에 결합하는 제2 지지체(2); 및
상기 제2 지지체(2)의 타단부에 결합하는 수직봉(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connector (13)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1) in the first connector (10) and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support (2) having a protrusion (2a) formed at one end coupled to the third connector (13); and
A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comprising a; a vertical bar (C)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2).
제2항에 있어서,
제2 연결체(20)에 형성되는 제3 체결공(23);
제2 지지체(2)에 형성되고, 나사산을 갖는 중공부;
제3 체결공(23)에 체결되고, 선단부가 상기 제2 지지체(2)의 중공부에 체결되는 제3 체결볼트(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
3. The method of claim 2,
a third fastening hole 23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ng body 20;
a hollow part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2 and having a thread;
and a third fastening bolt (33) fastened to the third fastening hole (23) and fastened to the hollow part of the second support body (2) at the tip end thereof.
제2항에 있어서,
제2 연결체(20)에 형성되는 제3 체결공(23);
제2 지지체(2)에 형성되는 중공부;
수직봉(C)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너트(N); 및
상기 제3 체결공(23)에 체결되고, 선단부가 제2 지지체(2)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고정너트(N)에 체결되는 제3 체결볼트(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
3. The method of claim 2,
a third fastening hole 23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ng body 20;
A hollow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2);
A fixing nut (N) fixed to the inside of the vertical bar (C); and
Furniture comprising a; Connection member for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1)의 돌기부(1a)에 형성되는 링 형상의 요홈(1c); 및
상기 제1 연결구(11)의 내주연에서 돌출되고, 상기 요홈(1c)에 삽입되는 제1 걸림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
According to claim 1,
a ring-shaped groove (1c) formed in the protrusion (1a) of the first support body (1); and
and a first locking part (12) protruding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rst connector (11) and inserted into the recess (1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체(10)에서 상기 제1 연결구(11) 사이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3 연결구(13);
상기 제2 연결체(20)에서 상기 제2 연결구(21) 사이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4 연결구(24);
일단부에는 상기 제3 연결구(13)와 제4 연결구(24)에 각각 결합하는 돌기부(2a)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고정너트(N)가 내부에 구비되는 수직봉(C)이 결합하며, 중공부를 갖는 제2 지지체(2);
선단부가, 상기 제1 연결체(10)의 내부에서, 상기 제3 연결구(13)에 결합하는 제2 지지체(2)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지지체(2)와 결합하는 수직봉(C)의 고정너트(N)에 체결되는 제3 체결볼트(33); 및
선단부가, 상기 제2 연결체(20)의 내부에서, 상기 제4 연결구(24)에 결합하는 제2 지지체(2)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지지체(2)와 결합하는 수직봉(C)의 고정너트(N)에 체결되는 제4 체결볼트(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
The method of claim 1,
a third connector (13)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1) in the first connector (10) and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ourth connector 24 formed between the second connector 21 in the second connector 20 and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rotrusion (2a) coupled to the third connector (13) and the fourth connector (24) is formed at one end, and a vertical bar (C) having a fixing nut (N) therein is coupled to the other end. , a second support having a hollow portion (2);
A vertical bar (C) having a tip end inside the first connector 10, passing through the hollow of the second support body 2 coupled to the third connector 13, and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body 2 ) a third fastening bolt 33 fastened to the fixing nut (N); and
A vertical bar (C) having a tip portion inside the second connector 20, passing through the hollow of the second support body 2 coupled to the fourth connector 24, and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body 2 ) of a fourth fastening bolt (34) fastened to the fixing nut (N); a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comprising a.
세로봉(A)과 가로봉(B) 및 수직봉(C)을 연결하는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에 있어서,
세로봉(A)의 양단부와 가로봉(B)의 양단부에 결합하고, 링 형태의 요홈(1c)을 갖는 돌기부(1a)가 세로봉(A)과 가로봉(B)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지지체(1);
상기 제1 지지체(1)의 돌기부(1a)가 안착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연결구(11)가 교차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연결구(11)의 내주연에는 상기 요홈(1c)에 삽입되는 제1 걸림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구(11)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3 연결구(13)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제1 연결체(10);
상기 제1 연결체(10)의 상부를 차단하고, 상기 제1 연결구(11)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제2 연결구(21)가 상기 돌기부(1a)의 상부를 감싸며, 상기 제2 연결구(21)의 내주연에는 상기 요홈(1c)에 삽입되는 제2 걸림부(22)가 형성되고, 제2 연결구(21) 사이에 제3 체결공(23)이 형성되는 제2 연결체(20);
일단부에는 제3 연결구(13)에 결합하는 돌기부(2a)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고정너트(N)가 내부에 구비되는 수직봉(C)이 결합하며, 중공부를 갖는 제2 지지체(2); 및
상기 제3 체결공(23)에 체결되고, 선단부가 상기 제2 지지체(2)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수직봉(C) 내부의 고정너트(N)에 체결되는 제3 체결볼트(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
In the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connecting the vertical bar (A), the horizontal bar (B) and the vertical bar (C),
A first support that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vertical bar (A) and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B),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the protrusion (1a) having a ring-shaped groove (1c) (One);
At least two first couplers 11 on which the protrusions 1a of the first support 1 are seated are formed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an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rst couplers 11, the first connector 11 is inserted into the recess 1c. a first connector 10 having a first locking part 12 formed therebetween, a third connector 13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1, and having an open upper part;
A second connector 21 that blocks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nnector 11 surrounds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a, and the second connector 21 a second connector 20 having a second locking part 22 inserted into the recess 1c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groove and having a third fastening hole 23 formed between the second connector 21;
A protrusion (2a) coupled to the third connector (13) is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vertical bar (C) having a fixing nut (N) therein is coupled to the other end, and a second support body (2) having a hollow portion (2). ); and
A third fastening bolt 33 fastened to the third fastening hole 23 and fastened to the fixing nut (N) inside the vertical bar (C) through the hollow part of the second support body (2); A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compri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구(11)에 형성되는 제1 체결공(14);
상기 제1 지지체(1)의 돌기부(1a)에 형성되는 제2 체결공(1b); 및
상기 제1 체결공(14)과 상기 제2 체결공(1b)에 체결되는 제1 체결볼트(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
8. The method of claim 7,
a first fastening hole 14 formed in the first connector 11;
a second fastening hole (1b) formed in the protrusion (1a) of the first support body (1); and
and a first fastening bolt (31)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14)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1b).
세로봉(A)과, 상기 세로봉(A)에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봉(B)에 의해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는 가구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가구 프레임 조립체의 모서리부에는 제1항의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세로봉(A)의 양단부와 가로봉(B)의 양단부가 상기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의 제1 지지체(1)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 조립체.
A furniture frame assembly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by a vertical bar (A) and a horizontal bar (B) disposed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on the vertical bar (A),
The furniture fram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is provided at the corner of the furniture frame assembly, and both ends of the vertical bar (A) and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B) ar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ody (1) of the furniture frame connecting member Furniture fram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세로봉(A)과, 상기 세로봉(A)에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봉(B)에 의해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는 가구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가구 프레임 조립체의 모서리부에는 제2항, 제3항, 제4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세로봉(A)의 양단부와 가로봉(B)의 양단부가 상기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의 제1 지지체(1)에 결합하며, 상기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의 제2 지지체(2)에는 수직봉(C)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 조립체.
A furniture frame assembly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by a vertical bar (A) and a horizontal bar (B) disposed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on the vertical bar (A),
The furniture fram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3, 4, 7 and 8 is provided at the corner of the furniture frame assembly, and both ends of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 The furnitur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B) ar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1) of the connecting member for furniture frame, and the vertical bar (C)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2) of the connecting member for the furniture frame. assembly.
세로봉(A)과 가로봉(B)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틀 형태의 조립체가 상하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각틀 형태의 조립체가 수직봉(C)으로 연결되는 육면체 형태의 가구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세로봉(A)과 가로봉(B)의 양단부가 제2항, 제3항, 제4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의 제1 지지체(1)에 결합하여 사각틀 형태의 가구 프레임 조립체가 형성되고, 상기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의 제2 지지체(2)에 수직봉(C)의 양단부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 조립체.
In a hexahedral furniture frame assembly in which a rectangular frame-shaped assembly formed by a vertical bar (A) and a horizontal bar (B) is vertically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rectangular frame-shaped assembly is connected by a vertical bar (C),
Both ends of the vertical bar (A) and the horizontal bar (B) are attached to the first support (1) of the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3, 4, 7 and 8. A furniture frame assembly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is formed by combining the furniture frame assembly, wherein both ends of the vertical bar (C) are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body (2) of the connecting member for the furniture fram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봉(C)은 상하방향으로 적어도 2개가 연속되고, 적어도 2개의 상기 수직봉(C)은 제6항의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의 제2 지지체(2)에 결합하며, 상기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의 제1 지지체(1)에는 세로봉(A)과 가로봉(B)이 각각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 조립체.
12. The method of claim 11,
At least two vertical bars (C) are continuou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least two vertical bars (C) are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body (2) of the connecting member for a furniture frame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furniture frame connection member A furniture fram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vertical bars (A) and horizontal bars (B)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1) of the member.
KR1020200177521A 2020-12-17 2020-12-17 Connection member for furniture frame and frame assembly using same Active KR1024390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521A KR102439068B1 (en) 2020-12-17 2020-12-17 Connection member for furniture frame and frame assembly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521A KR102439068B1 (en) 2020-12-17 2020-12-17 Connection member for furniture frame and frame assembly us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126A KR20220087126A (en) 2022-06-24
KR102439068B1 true KR102439068B1 (en) 2022-09-01

Family

ID=8221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521A Active KR102439068B1 (en) 2020-12-17 2020-12-17 Connection member for furniture frame and frame assembly us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06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4308B1 (en) * 2023-10-31 2024-07-11 주식회사 펀잇쳐스 Modular furniture fr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509Y1 (en) 2000-11-02 2001-04-02 김소형 Connecting pipe for fabricated display stand
US6701548B2 (en) 2001-11-14 2004-03-09 Wesco Stackable cot and corner element for such a cot
US7241072B2 (en) 2002-01-31 2007-07-10 Cean Company S.P.A. Connecting device for tubular elements
JP2010038345A (en) 2008-08-08 2010-02-18 Katanaya Co Ltd Square pipe coupling device
US9261122B2 (en) 2013-07-05 2016-02-16 Laudex Company Limited Tube connector for facilitating a covered connection between two or more tub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4404B2 (en) * 1992-08-25 1999-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Pipe fittings
KR101232026B1 (en) * 2010-08-16 2013-02-12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The joint unit of the load frame
KR101101395B1 (en) 2011-01-26 2012-01-02 주식회사 애니퍼스 Frame connector on office desk
KR101891136B1 (en) * 2016-04-21 2018-08-24 김용래 Pipe connec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509Y1 (en) 2000-11-02 2001-04-02 김소형 Connecting pipe for fabricated display stand
US6701548B2 (en) 2001-11-14 2004-03-09 Wesco Stackable cot and corner element for such a cot
US7241072B2 (en) 2002-01-31 2007-07-10 Cean Company S.P.A. Connecting device for tubular elements
JP2010038345A (en) 2008-08-08 2010-02-18 Katanaya Co Ltd Square pipe coupling device
US9261122B2 (en) 2013-07-05 2016-02-16 Laudex Company Limited Tube connector for facilitating a covered connection between two or more tub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126A (en)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07935A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post and beam of bunk bed and bunk bed using the structure
KR102146338B1 (en) Improved Table Frame Assembly
KR102439068B1 (en) Connection member for furniture frame and frame assembly using same
US20160206110A1 (en) Foldable bed framework structure
KR20170003349U (en) Furniture assembly frame structure
KR101997755B1 (en) Desk with reinforced fastening structure
US5906014A (en) Bed frame assembly
KR20160133080A (en) Prefabricated table frame
KR101816016B1 (en) Frame assembley
KR101631927B1 (en) Frame joint device for furniture
CN205885131U (en) Improvement structure of bedstead
KR101817673B1 (en) Assembly table
KR102059723B1 (en) Steel frame for furniture and frame assembley
US20200355210A1 (en) Frame for steel furniture and frame assembly
KR101503689B1 (en) Structure of linking with desk
KR200494494Y1 (en) Assembly structurure of table leg
KR101440045B1 (en) Furniture underframe
US20250221541A1 (en) Bed frame structure
KR101440043B1 (en) Furniture underframe
KR101284518B1 (en) Coupler of multilayered furniture leg
KR102343106B1 (en) Metal frame fastening structure for furniture
KR102349998B1 (en) Furniture frame
KR101440041B1 (en) Furniture underframe
JP2006068073A (en) Positioning device for multiple assembling and positioning metal rack
JP3241959U (en) Combined figurine shel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