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46338B1 - Improved Table Frame Assembly - Google Patents

Improved Table Frame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338B1
KR102146338B1 KR1020200019143A KR20200019143A KR102146338B1 KR 102146338 B1 KR102146338 B1 KR 102146338B1 KR 1020200019143 A KR1020200019143 A KR 1020200019143A KR 20200019143 A KR20200019143 A KR 20200019143A KR 102146338 B1 KR102146338 B1 KR 102146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joint
frame
joint
coupled
expan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1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연순
전지환
Original Assignee
유연순
전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연순, 전지환 filed Critical 유연순
Priority to KR1020200019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3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33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47B2013/022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with detachable connection of a tubular le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2013/028Underframes held together by screw-threaded tie rod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판 하부에 결합되는 포스트와 크로스바에 의한 프레임 조립체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방으로 수직 배치된 포스트에 대하여 평면상 사각 형태로 횡방향의 크로스바를 상호 연결 고정하되, 상기 각 포스트의 선단에는 별도 구비의 프레임조인트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조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크로스바의 단부가 결합되게 하되, 상기 프레임조인트의 하부 내측에는 확장블록을 삽입하여 수직조임볼트와 결합되게 하고, 상기 프레임조인트의 측부로 돌출 형성되는 바결합부의 단부 내측으로는 확장웨지를 결합 형성하여 수평조임볼트와 결합되게 구성함에 따라, 렌치볼트 등으로 이루어진 조임볼트를 단순히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프레임조인트에 대한 포스트 및 크로스바의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 및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프레임조인트에 대하여 크로스바의 결합 후 포스트에 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포스트바의 선단에 의해 프레임조인트 및 상기 크로스바 결합부가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외관이 매우 간결하면서도 미려한 것이고, 프레임조인트의 확장 및 바결합부의 확장 작용을 통해 각기 포스트와 크로스바가 결합되게 하므로 상호 체결구조가 매우 단순한 동시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뛰어난 것이며, 상호 견고한 가압 밀착구조 인해 테이블의 구조적 안정성이 매우 탁월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assembly using a pos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an upper plate and a crossbar, and more specifically, a crossbar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interconnected and fixed in a rectangular shape on a plane with respect to the posts vertically arranged in all directions. A separate frame joint is coupled to the front end, and the end of the crossbar is coupled using the frame joint, but an extension block is inserted into the lower inner side of the frame joint to be coupled with the vertical tightening bolt, and the frame joint As the end of the bar coupling part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bar joint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horizontal tightening bolt, the post and the crossbar for the frame joint are simply rotated by simply rotating the tightening bolt made of a wrench bolt. The frame joint and the crossbar coupling part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at all by the frame joint and the crossbar coupling part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by allowing the frame joint to be connected to the post after coupling the crossbar to the frame joint. It is very simple and beautiful, and because each post and crossbar are connecte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frame joint and the bar joint, the mutual fastening structure is very simple and the convenience of use is excellent. This is very excellent.

Description

비노출형 체결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 {Improved Table Frame Assembly}Table frame assembly with non-exposed fastening structure {Improved Table Frame Assembly}

본 발명은 상판 하부에 결합되는 포스트와 크로스바에 의한 프레임 조립체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 구비의 프레임조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포스트와 크로스바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상호 연결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체결수단의 비노출 구조로 인해 외관의 개선 효과가 뚜렷한 것이고, 포스트 선단과 크로스바 상면 및 프레임조인트의 상면이 동시에 상판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테이블의 구조적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assembly using a post and a crossbar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More specifically, the post and the crossbar can be quickly and efficiently interconnected and fixed using a separate frame joint. It relates to a table frame assembly in which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table is greatly improved by allowing the front end of the post, the upper surface of the crossba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joint to simultaneously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due to the non-exposed structure of the means.

일반적으로 테이블이라 함은 평면상 사각 형태로 된 평평한 상판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의 상판은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이루어진 하부 프레임 구조체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과거에는 하부 프레임 구조체를 상판의 하부에 영구히 고정하는 제작 방식이 주를 이루었으나, 근자에 들어서는 하부 프레임 구조체를 개별적으로 제작한 후 상기의 하부 프레임 구조체에 대하여 다양한 디자인 형태로 된 상판을 조립하는 구조의 조립식 테이블이 주로 제작 및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In general, a table is provided with a flat top plate in a rectangular shape on a plane, and the top plate is fixed by a lower frame structure made of various shapes and materials.In the past, the lower frame structure was permanently placed under the upper plat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ixing was the main one, but in recent years, an assembly type tab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lower frame structure is individually manufactured and then a top plate in various design forms is assembled with respect to the lower frame structure is mainly manufactured and used.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경량화는 물론 제작 편리성 및 경제성과 함께 심플하면서도 인테리어 효과가 우수한 형태의 테이블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인데, 이와 같은 책상은 "ㄷ"자 혹은 사각 형태의 포스트를 양측으로 이격 배치한 상태에서 이들 포스트의 상부를 크로스바에 의해 서로 연결 고정한 후, 상기 포스트 및 크로스바를 이용하여 상판을 결합 고정하는 형태로 만들어지는 추세이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a table with a simple yet excellent interior effect along with manufacturing convenience and economy as well as light weight is mainly used. Such a desk is a state in which "C" or square-shaped posts are spaced apart on both sides. In this trend, the upper portions of these posts are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by a crossbar, and then the upper plate is coupled and fixed using the post and the crossbar.

이와 같은 조립식 테이블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69577호와 같이, 테이블 상판을 프레임에 별도의 고정 부품 없이 편리하고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하여 조립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고, 테이블 상판의 상부면을 사용하다가 하부면을 상부면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뒤집어서 결합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에게 새로운 테이블을 사용케 하는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테이블 상판 고정부재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Such an assembly table can provide convenience to assembly workers by allowing the table top plate to be conveniently, quickly and reliably coupled to the frame without separate fixing parts, as in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69577, and the table top plate A table top fixing member has been devised and registered to provide an atmosphere that allows users to use a new table by allowing them to be conveniently and quickly turned over and combined even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is used as the upper surface. There is a bar.

또한, 등록특허 제10-1417479호와 같이 알루미늄으로 압출성형되어 상부에 프레임 고정구가 고정되는 수직기둥프레임과 상기 수직기둥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4개의 프레임 고정구에 의해 책상이 분리된 상태에서 현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부피가 줄게 되어 운반이 용이하고, 프레임 고정구에 의해 프레임들의 조립이 간편하게 되므로 조립과 해체가 간편하여 이동과 보관이 용이하고, 용접에 의한 조립이 필요 없어지게 되어 조립시간이 단축되게 되어 인력소모와 비용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상기 프레임 고정구에 의해 상판 고정프레임과 지지기둥프레임이 동시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흔들림없이 고정되게 되어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한 조립식 책상 구조체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In addition, as in Patent No. 10-1417479, the vertical pillar frame is extruded out of aluminum and the frame fixture is fixed thereon, and the four frame fixtures ar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pillar frame and formed in a "L" shape. Since the desk can be moved to the site while the desk is separated, the volume is reduced so that it is easy to transport, and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frames are simple, so that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are easy, so it is easy to move and store, and assembly by welding is required. As the assembly time is shortened, it is possible to reduce manpower consumption and cost consumption, and since the upper plate fixing frame and the support column frame are simultaneously stably fixed by the frame fixing tool, they are fixed without shaking so that it can be used stably for a long time. A prefabricated desk structure has been devised and registered.

또한, 등록특허 제10-1503689호와 같이 지지프레임과 다리가 서로 체결되어 다리측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지지프레임과 다리의 분리/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운반 및 설치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책상 결합구조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In addition, as in Registration Patent No. 10-1503689, the support frame and the leg are fastened to each other to effectively distribute the load transmitted to the leg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d to facilitate the separation/assembly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leg for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The assembly structure for easy work has been devised and registered.

또한, 등록특허 제10-1865581호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외측면에 복수개의 홀들이 형성된 복수의 수직프레임들; 상기 수직프레임들 사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들을 연결하기 위해 수평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 외측으로 홀이 타공된 복수의 브라켓들; 및 일자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수직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수직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수평 배치되어 설치되고, 외측면에 복수개의 홀들이 형성되며, 복수개의 책상 프레임을 연결하여 확장하기 위해 수평프레임을 설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확장프레임;을 포함하여 된 조립식 책상 프레임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ground at regular intervals as in Patent No. 10-1865581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t least one horizontal frame installed above the vertical frames and horizontally installed to connect the vertical frames; A plurality of brackets having holes perforated outwardly to connect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And it is formed in a straight structure and is horizontally disposed on one side of an upper por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a horizontal frame is provided to connect and expand a plurality of desk frames. At least one expansion frame for installation; including a prefabricated desk frame has been devised and register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립식 테이블의 경우 상판과 포스트 및 크로스바 간의 체결 고정력이 약화되거나 상실되는 경우, 상판 또는 포스트가 전,후 및 좌,우로 흔들리는 등 구조적 안정성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이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fabricated tab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astening fixing for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post and the crossbar is weakened or lost,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upper plate or the post shakes forward, backward, and left, right, and so on.

또한, 포스트와 크로스바를 상호 체결하는 과정에서도 다양한 구조의 체결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 이들 체결수단을 통해 포스트와 크로스바를 견고하게 결합하여야 하는 것은 물론 상기의 체결수단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는 것이며, 단일의 포스트에 직각 형태로 배치 결합되는 크로스바에 대하여 각각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결합하게 되므로 상호 체결부가 매우 복잡한 체결 상태를 연출하여 작업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mutually fastening the post and the crossbar, fastening means of various structures are separately provided, so that the post and the crossbar must be firmly coupled through these fastening means, as well as the above fastening means are exposed to the outside as it is, thereby damaging the aesthetics. In addition, since the crossbars arranged at right angles to a single post are coupled by using separate fastening means, the mutual fastening portions produce a very complex fastening state,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work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또한, 상기와 같은 상호 체결부에서의 느슨함이나 고정력의 약화 또는 상실 등이 발생하는 경우 상판 및 포스트와 크로스바가 서로 흔들리는 과정에서 이들의 체결 부품 및 체결지점이 국소부에서의 강력한 부하 또는 하중을 받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부하 또는 하중으로 인해 체결부의 파손이나 변형 또는 체결부품의 절단이나 절곡 등이 발생하는 것이고, 상호 체결부에서의 느슨함은 테이블의 사용 과정에서 불필요한 소음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므로 학습이나 업무 효율을 떨어트리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loosening or weakening or loss of the fixing force in the mutually fastening parts as described above, the fastening parts and fastening points of the top plate, posts and crossbars shake each other, and the strong load or load at the local part is applied. Due to such loads or loads, damage or deformation of the fastening part or cutting or bending of the fastening part occurs. Therefore, it has a problem that reduces learning and work efficiency.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469577 (2013.10.15. 등록)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20-0469577 (Registered on October 15, 2013) 대한민국등록특허 10-1417479 (2014.07.02. 등록)Korean Patent Registration 10-1417479 (2014.07.02.registered)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03689 (2015.03.12. 등록)Korean Patent Registration 10-1503689 (registered on March 12, 2015) 대한민국등록특허 10-1865581 (2018.06.01. 등록)Korean Patent Registration 10-1865581 (Registered on June 1, 2018)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사방으로 수직 배치된 포스트에 대하여 평면상 사각 형태로 횡방향의 크로스바를 상호 연결 고정하되, 상기 각 포스트의 선단에는 별도 구비의 프레임조인트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조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크로스바의 단부가 결합되게 하되, 상기 프레임조인트의 하부 내측에는 확장블록을 삽입하여 수직조임볼트와 결합되게 하고, 상기 프레임조인트의 측부로 돌출 형성되는 바결합부의 단부 내측으로는 확장웨지를 결합 형성하여 수평조임볼트와 결합되게 구성함에 따라,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connects and fixes the crossbars in the lateral direction in a rectangular shape on a plane with respect to the posts vertically arranged in all directions, but a separate frame joint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each post. And, the end of the crossbar is coupled using the frame joint, but an extension block is inserted into the lower inner side of the frame joint to be coupled with the vertical tightening bolt, and the end of the bar coupl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side of the frame joint Inwardly, as the expansion wedge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horizontal tightening bolt,

각 조임볼트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확장블록 및 확장웨지을 통해 상기 프레임조인트의 하부 확장 및 바결합부의 단부 확장이 일어나면서 포스트 및 크로스바와의 견고한 가압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상기 프레임조인트 및 바결합부가 포스트 및 크로스바의 내측으로 함몰 삽입되므로 각각의 상호 체결수단 및 체결부가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는 특징의 비노출형 체결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As the lower extension of the frame joint and the extension of the end of the bar coupling part occur through the expansion block and the expansion wedge that are moved by the rotation of each tightening bolt, the frame joint and the bar coupling part are securely pressed and fixed with the post and the crossba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 non-exposed fasten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mutual fastening means and the fastening portion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at all because it is recessed into the inside of the crossba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의 포스트 선단 내측으로 별도 구비의 프레임조인트가 결합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조인트로부터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바결합부에는 횡방향의 크로스바 단부를 각기 결합 형성하되,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eparate frame joint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vertical post end, and the crossbar end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bar joints protruding from the frame joint to both sides. But,

상기 프레임조인트의 하측에는 분할확장부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분할확장부의 내부에는 별도 구비의 확장블록이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조인트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확장블록에 나사 결합되는 수직조임볼트의 회전에 의한 확장블록의 상승에 의해 상기 분할확장부가 프레임조인트의 외측으로 삽입된 포스트의 내면을 향해 외향 확장되면서 상호 결합 고정되게 하고,A divided expansion part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rame joint, and a separate expansion block is inserted inside the divided expansion part to vertically penetrate the frame joint and expand by rotation of a vertical tightening bolt screwed to the expansion block. When the block is raised, the divided expansion part is extended outward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post insert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joint to be mutually coupled and fixed,

상기 바결합부의 외측단에는 분할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돌출부의 사이로는 별도 구비의 확장웨지가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조인트 및 바결합부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확장웨지에 나사 결합되는 수평조임볼트의 회전에 의한 확장웨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분할돌출부가 바결합부의 외측으로 삽입된 크로스바의 내면을 향해 외향 확장되면서 상호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A divided protrusion is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bar coupling part, and a separate expansion wedge is inserted between the divided protrusions to penetrate the frame joint and the bar coupling par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rotate the horizontal tightening bolt screwed to the expansion wedge By the movement of the expansion wedge by the divided protrusions are configured to be mutually coupled and fixed while extending outward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crossbar inserted outside the bar coupling portion.

본 발명은, 렌치볼트 등으로 이루어진 조임볼트를 단순히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프레임조인트에 대한 포스트 및 크로스바의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 및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프레임조인트에 대하여 크로스바의 결합 후 포스트에 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포스트바의 선단에 의해 프레임조인트 및 상기 크로스바 결합부가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외관이 매우 간결하면서도 미려한 것이고, 프레임조인트의 확장 및 바결합부의 확장 작용을 통해 각기 포스트와 크로스바가 결합되게 하므로 상호 체결구조가 매우 단순한 동시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뛰어난 것이며, 상호 견고한 가압 밀착구조 인해 테이블의 구조적 안정성이 매우 탁월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y rotating a tightening bolt made of a wrench bolt, a strong and stable coupling and fixing of the post and the crossbar to the frame joint is achieved, as well as the coupling to the post after the crossbar is coupled to the frame joint. Because the frame joint and the crossbar coupling part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front end of the post bar, the appearance is very simple and beautiful, and each post and the crossbar are couple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frame joint and the bar coupling part. Therefore, the mutual fastening structure is very simple, and at the same time, the convenience of use is excellent, and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table is very excellent due to the mutually strong pressure-contact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의 조인트에 대한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의 조인트에 대한 다른 방향의 전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의 조인트에 대한 저면 방향의 전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의 조인트 전체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의 조인트 및 크로스바 결합 설명도
도 8은 도 7에 따른 결합부 전체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따른 결합부 확대 단면 작용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의 조인트에 대한 크로스바의 다른 방향 결합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의 조인트 및 포스트 결합 설명도
도 12는 도 11에 따른 결합부 전체 단면도
도 13은 도 11에 따른 결합부 확대 단면 작용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에 대한 상판 결합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에 대한 상판 결합부 확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의 조인트 및 크로스바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의 조인트 및 크로스바 결합부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의 조인트 및 포스트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도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s of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joint of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joint of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direction
5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joint of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bottom direc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joint of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joint and crossbar coupling of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FIG. 7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FIG. 7
10 is an explanatory view of coupling in another direction of the crossbar to the joint of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anatory view of joint and post coupling of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FIG. 11
1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FIG. 11
14 is an explanatory view of a combination of a top plate for a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plate coupling part for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joint and crossbar coupling portion of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joint and crossbar coupling portion of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joint and post coupling portion of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Additional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shown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ubsequently,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unit", and "...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software, or hardware and It can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software.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의 조인트에 대한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의 조인트에 대한 다른 방향의 전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의 조인트에 대한 저면 방향의 전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의 조인트 전체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joint of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joint of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direction, Figure 5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direction of the joint of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the joint of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hole.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는 사방으로 세워 설치된 사각각관 형태로 된 포스트(10)(10')와, 상기 각 포스트(10)(10')의 선단에 각기 결합된 프레임조인트(100)와, 상기 프레임조인트(100)의 측면에 평면상 직각 형태로 배치된 돌출의 바결합부(200)(200')와, 상호 대응하는 각 프레임조인트(100)의 바결합부(200)(200')를 이용하여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사각각관 형태로 된 크로스바(20)(2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의 크로스바(20)(20')는 모두 조립된 상태에서 사방의 포스트(10)(10')를 연결하는 평면상 사각틀체의 테이블 프레임 구조를 갖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osts 10 and 10 ′ in the shape of a square tube installed upright in all directions, and frame joints 100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ront ends of the posts 10 and 10 ′. And,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200 ′) of protrusions arrange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side of the frame joint 100, and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200 of each frame joint 100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t is made by crossbars 20 and 20' in the shape of a square tube that are coup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using'), and the crossbars 20 and 20' are all assembled and post 10 in all directions. It has a table frame structure of a rectangular frame body on a plane connecting (10').

여기서, 상기의 포스트(10)(10')는 삼각 또는 다각형의 각관으로도 적용 가능한 것이고, 원형 관체 혹은 봉체 등으로도 대체 가능할 것이며, 사방 배치가 아닌 삼각 또는 오각이나 육각 형태의 배치도 가능한 것이고, 상기 크로스바(20)(20') 역시 삼각 등의 다각형 각관 또는 원형 각관이나 봉체 등으로 대체 가능할 것이다.Here, the posts 10 and 10 ′ are applicable to a triangular or polygonal square tube, and may be replaced with a circular tube or rod body, and a triangular or pentagonal or hexagonal arrangement is possible instead of a four-way arrangement, The crossbars 20 and 20' may also be replaced with polygonal square pipes such as triangular or circular square pipes or rods.

또한, 상기 프레임조인트(100)는 사각각관으로 된 포스트(10)(10')의 내부 형상에 따라 평면상 사각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프레임조인트(100)의 하측에는 사방으로 분할확장부(101)(101')가 하향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분할확장부(101)(101') 사이의 내부에는 별도 구비의 확장블록(110)이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rame joint 100 has a rectangular shape in a plane accor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posts 10 and 10 ′ made of a rectangular tube, and the lower side of the frame joint 100 is divided into four directions ( 101) (101 ′)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and a separate expansion block 110 is inserted in the interior between the divided expansion units 101 and 101 ′.

이어, 상기 프레임조인트(100)의 상측으로부터 수직으로 관통하여 삽입되는 수직조임볼트(120)는 상기 확장블록(110)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조임볼트(120)의 회전에 의해 사각 형태로 된 확장블록(110)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는 것이고, 분할확장부(101)(101') 내부에서의 확장블록(110)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분할확장부(101)(101')와 간섭을 일으키면서 상기 분할확장부(101)(101')에 대한 외향 확장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고, 상기 분할확장부(101)(101')의 외향 확장으로 인해 프레임조인트(100)의 외측으로 결합된 포스트(10)(10')의 내면을 외측 방향으로 강력하게 압박하면서 상호간의 견고한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Subsequently, the vertical fastening bolt 120 inserted vertical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frame joint 100 is screwed to the expansion block 110, and has a rectangular shape by rotation of the vertical fastening bolt 120. The expanded block 110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en the expansion block 110 in the divided expansion unit 101 and 101 ′ rises, the divided expansion unit 101 and 101 ′ ) And the outward expansion of the divided and expanded parts 101 and 101 ′, and the outward expansion of the divided and expanded parts 101 and 101 ′ to the outside of the frame joint 100 While strongly pressing the inner surfaces of the combined posts 10 and 10 ′ in an outward direction, a strong connection and fixation are achieved with each other.

즉, 상기 프레임조인트(100)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분할확장부(101)(101')의 내면은 상측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조인트경사면(102)으로 구성하고, 상기 확장블록(110)의 외면은 상기 조인트경사면(102)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블록경사면(111)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divided and extended portions 101 and 101 ′ protruding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frame joint 100 is composed of a joint inclined surface 102 that gradually narrows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expansion block 110 The outer surface is formed of a block inclined surface 11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joint inclined surface 102 and gradually narrowing toward the upper side.

따라서, 상기 분할확장부(101)(101')의 내측으로 삽입된 확장블록(110)이 수직조임볼트(120)의 회전에 따라 비회전 상태로 상승됨에 따라 조인트경사면(102)에 대한 블록경사면(111)의 간섭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확장블록(110)이 계속하여 상승되면 상기 확장블록(110)에 의해 상기 분할확장부(101)(101')를 강제로 외향 확장시키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분할확장부(101)(101')의 외향 확장으로 인해 상기 포스트(10)(10')의 내면에는 강력한 밀착 고정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s the expansion block 110 inserted into the divided expansion unit 101, 101 ′ is raised to a non-rotating s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tightening bolt 120, the block inclin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joint inclined surface 102 Interference of (111) occurs, and when the expansion block 110 continues to rise, the division and expansion units 101 and 101 ′ are forcibly expanded outward by the expansion block 110, Due to the outward expansion of the divided and extended portions 101 and 101 ′, a strong tight fixing force is generat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posts 10 and 10 ′.

또한, 상기 프레임조인트(100)의 바결합부(200)(200') 외측단에는 상,하로 이격되어 돌출된 분할돌출부(201)(201')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돌출부(201)(201')의 이격된 사이로는 별도 구비의 확장웨지(210)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조인트(100)의 측부로부터 바결합부(200)(200')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확장웨지(210)에 별도 구비의 수평조임볼트(220)가 나사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 are formed at the outer ends of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and 200 ′ of the frame joint 100 to protrude upward and downward, and the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 are formed. ), a separate expansion wedge 210 is inserted through the spaced between, and the expansion wedge 210 passes through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and 200 ′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the side of the frame joint 100 A separate horizontal tightening bolt 220 is screwed.

따라서, 상기 수평조임볼트(220)를 회전시키면 상기 확장웨지(210)가 분할돌출부(201)(201')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고, 상기 확장웨지(210)가 프레임조인트(1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확장웨지(210)와 분할돌출부(201)(201') 간의 간섭 저항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호 간섭으로 인해 상기의 분할돌출부(201)(201')가 상,하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며, 상기 분할돌출부(201)(201')의 상,하 방향 확장으로 인해 바결합부(200)(200')의 외측으로 삽입된 크로스바(20)(20')의 내면을 향해 분할돌출부(201)(201')가 강력한 힘으로 외향 확장되면서 상호간의 견고한 결합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horizontal tightening bolt 220 is rotated, the expansion wedge 210 flow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and the expansion wedge 210 is the frame joint 100 When moving in the direction, interference resistance between the expansion wedge 210 and the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 occurs, and due to this mutual interference, the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 are moved up and down. It expands in the direc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rossbars 20 and 20 ′ inserted to the outside of the bar coupling parts 200 and 200 ′ due to the vertical expansion of the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 As the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 are expanded outward with a strong force, a strong coupling and fixation between them can be made.

즉, 상기 프레임조인트(100)의 바결합부(200)(200')에 형성된 분할돌출부(201)(201')는 상,하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이들 분할돌출부(201)(201')의 사이로 상기 확장웨지(210)가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분할돌출부(201)(201')의 사이 상호 대향 내면은 프레임조인트(100)를 향하여 점차 축소되는 형태의 슬립경사면(20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장웨지(210)의 상,하면은 역시 프레임조인트(100)를 향하여 점차 축소되는 형태의 웨지경사면(211)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That is, the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 formed on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and 200 ′ of the frame joint 100 are spaced upward and downward, and these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 The expansion wedge 210 is inserted between the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 and the mutually opposite inner surfaces of the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 are formed of a slip inclined surface 202 in a form that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frame joint 100. ,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xpansion wedge 210 are also made of a wedge inclined surface 211 in a shape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frame joint 100.

따라서, 상기 분할돌출부(201)(201')의 사이로 삽입된 확장웨지(210)가 수평조임볼트(220)의 회전에 의해 비회전 상태에서 프레임조인트(100)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슬립경사면(202)에 대한 웨지경사면(211)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분할돌출부(201)(201')가 상,하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고, 이러한 분할돌출부(201)(201')의 외향 확장력으로 인해 바결합부(200)(200')에 결합된 크로스바(20)(20')의 내면을 강력하게 상,하로 가압하면서 상호 간의 강력하고 견고한 결합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s the expansion wedge 210 inserted between the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rame joint 100 in a non-rotating state by the rotation of the horizontal tightening bolt 220, the slip inclined surface 202 )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wedge inclined surface 211, the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 expan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the bar coupling part due to the outward expansion force of the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 The inner surfaces of the crossbars 20 and 20 ′ coupled to the 200 and 200 ′ are strongly pressed up and down, while a strong and robust coupling and fixation between them can be made.

또한, 상기 프레임조인트(100)의 바결합부(200)(200')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된 상판고정부(300)를 형성하고, 상기 상판고정부(300)에는 수직 관통의 체결공(301)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301)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체결볼트(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에 의해 상기 상판고정부(300)의 상면이 상판(30) 저면에 밀착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조인트(100) 및 프레임조인트(100)와 결합된 포스트(10)(10')와 크로스바(20)(20')가 상판(30) 저면에 강력하게 밀착되는 것이다.In addition, an upper plate fixing part 300 protru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formed between the bar coupling parts 200 and 200 ′ of the frame joint 100, and a fastening hole having a vertical penetration in the upper plate fixing part 300 (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fixing part 300 is tightly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0 by means of a fastening bolt (not shown in the drawing)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astening hole 301 by forming 301 The frame joint 100 and the posts 10, 10' and the crossbars 20, 20' coupled to the frame joint 100 are strongly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30.

이어, 상기 프레임조인트(100)의 상부에는 함몰홈부(103)를 형성하여, 상기 함몰홈부(103)의 바닥부를 통해 수직조임볼트(120)가 관통 삽입되어 상기 확장블록(110)에 나사 결합되게 하고, 상기 함몰홈부(103)의 내측면을 통해 수평조임볼트(220)가 바결합부(200)(200')를 관통 삽입되어 확장웨지(210)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Subsequently, a recessed groove portion 103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joint 100 so that a vertical tightening bolt 120 is inserted through the bottom portion of the recessed groove portion 103 to be screwed to the expansion block 110. And,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103, the horizontal tightening bolt 220 is inserted through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200', and is configured to be screwed to the expansion wedge 210.

따라서, 상기 수직조임볼트(120) 및 수평조임볼트(220)의 머리부(120a)(220a)가 함몰홈부(103) 내에 은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조임볼트(120)의 경우 프레임조인트(100)의 상부를 통해 하향 삽입하여 머리부(120a)가 함몰홈부(103)의 바닥면 상에 위치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vertical tightening bolts 120 and the heads 120a and 220a of the horizontal tightening bolts 220 are concealed in the recessed groove 103, and in the case of the vertical tightening bolts 120, the frame joint 100 ) Is inserted downwar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120a)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103).

또한, 상기 수평조임볼트(220)의 경우에는 프레임조인트(100)의 측부를 관통하는 볼트삽입공(104)(104')을 통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볼트삽입공(104)(104')은 수평조임볼트(220)의 머리부(220a)가 통과될 정도의 내경을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볼트삽입공(104)(104')을 통해 삽입된 수평조임볼트(220)의 머리부(220a)는 상기 함몰홈부(103)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확장웨지(210)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horizontal tightening bolt 220, it is inserted through the bolt insertion holes 104 and 104 ′ penetrating the side of the frame joint 100, and the bolt insertion holes 104 and 104 ′ are horizontal The head 220a of the tightening bolt 220 has an inner diameter such that the head 220a passes through, and the head 220a of the horizontal tightening bolt 220 inserted through the bolt insertion holes 104 and 104' It is to be screwed to the expansion wedge 210 while maintaining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103).

따라서, 상기 함몰홈부(103)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수직조임볼트(120)의 머리부에 형성된 육각렌치홈을 렌치공구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회전시켜 확장블록(110)이 승강되게 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볼트삽입공(104)(104')으로 렌치공구를 삽입하여 함몰홈부(103) 내측면의 수평조임볼트(220)의 머리부(220a)에 형성된 육각렌치홈과 계지되게 한 후 역시 상기 수평조임볼트(220)를 간편하게 회전시켜 상기 확장웨지(210)가 횡방향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hexagonal wrench groove formed on the head of the vertical tightening bolt 120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recessed groove 103 can be simply rotated using a wrench tool so that the expansion block 110 can be raised and lowered, After inserting a wrench tool into the bolt insertion holes 104 and 104 ′, the hexagonal wrench groove formed in the head 220a of the horizontal tightening bolt 220 on the inner side of the recessed groove 103 is engaged with the horizontal By simply rotating the tightening bolt 220, the expansion wedge 210 can be mov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이에, 전기한 포스트(10)(10') 및 크로스바(20)(20')를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상기 수직조임볼트(120)와 수평조임볼트(220)는 모두 프레임조인트(100)의 외측으로 전혀 돌출되거나 노출되지 않는 것이고, 상기 프레임조인트(100) 및 바결합부(200)(200') 역시 포스트(10)(10')의 선단 및 크로스바(20)(20')의 단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므로 이들 역시 외부로 전혀 돌출되거나 노출되지 않아, 각 구성품에 대한 상호 결합 및 고정수단이 은폐되어 간결하고 미려한 외관 상태를 지속적으로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vertical tightening bolts 120 and horizontal tightening bolts 220 for coupling and fixing the post 10, 10' and the crossbars 20 and 20' are all outwardly of the frame joint 100. It is not protruding or exposed at all, and the frame joint 100 and the bar coupling part 200 and 200 ′ are also inserted into the front ends of the posts 10 and 10 ′ and the ends of the cross bars 20 and 20 ′. Since they are combined in a form, they are not protruded or exposed to the outside at all, and the mutual coupling and fixing means for each component are concealed, so that a concise and beautiful appearance can be continuously produced.

특히, 상기와 같은 포스트(10)(10')의 선단 일측에는 프레임조인트(100)의 바결합부(200)(200') 하단부가 안치되게 한 절취부(11)를 형성한 것으로, 상기의 프레임조인트(100)는 포스트(10)(10')의 선단 내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프레임조인트(100)의 측부에 돌출된 바결합부(200)(200')가 상기 포스트(10)(10')와 간섭을 일으킬 것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결합부(200)(200')의 형성 폭과 높이에 해당하는 절취부(11)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프레임조인트(100) 전체가 상기 포스트(10)(10')의 상단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particular, at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post 10 and 10 ′ as described above, a cutout 11 is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bar coupling portion 200 and 200 ′ of the frame joint 100 is placed. In the frame joint 100,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and 200 ′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frame joint 100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front end of the post 10 and 10 ′ '), so the frame joint 100 as a whole is formed by forming a cutout 11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height of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and 200' to prevent this. 10) It is designed to be inserted into the top of (10').

또한, 상기 포스트(10)(10')에 대한 프레임조인트(100)의 삽입 과정에서 상기 바결합부(200)(200')의 하단은 절취부(11)의 하부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프레임조인트(100)가 관체 형상으로 된 포스트(10)(10')의 내측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포스트(10)(10')의 상부에 프레임조인트(1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포스트(10)(10')의 상단과 프레임조인트(100)의 상부면이 서로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판(30) 저면이 포스트(10)(10')의 상단 및 프레임조인트(100)의 상부면이 동시에 밀착되면서 상호 밀착에 의한 견고한 고정력은 물론 상판(30)에 작용하는 하중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frame joint 100 into the post 10, 10', the lower end of the bar coupling portion 200, 200' is caught under the cutout 11, so the frame joint ( 1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inserted into the tubular post 10, 10', and the frame joint 100 is inserted on the top of the post 10, 10' As the upper surface of the post 10 and 10 ′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joint 100 are configured to form the same plane with each other,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0 is the upper and frame joints of the posts 10 and 10 ′. It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load acting on the upper plate 30 more stably as well as a solid fixing force due to mutual close contact 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100 is in close contact at the same time.

이어, 상기 프레임조인트(100)의 측부에 형성되는 바결합부(200)(200')는, 상기 바결합부(200)(200')의 상면이 크로스바(20)(20')의 단면 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갖고 프레임조인트(100)의 상면으로부터 하강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바결합부(200)(200')에 크로스바(20)(20')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 크로스바(20)(20')의 상면과 프레임조인트(100)의 상면이 서로 동일 평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상판(30)의 저면은 크로스바(20)(20')의 상면 및 프레임조인트(100)의 상면에 밀착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Then, the bar coupling portion 200 (200') formed on the side of the frame joint 100, the upper surface of the bar coupling portion 200, 200' is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crossbars 20, 20' By having the same height as and forming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joint 100, when the crossbars 20 and 20' are coupled to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200', the crossbars 20, 20 The upper surface of')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joint 100 form the same plane, and accordingly,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30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ossbars 20 and 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joint 100. It can be fixed in close contact.

따라서, 상판(30)의 저면에는 포스트(10)(10')의 상단면 및 크로스바(20)(20')의 상면 전체 그리고 프레임조인트(100)의 상면, 상판고정부(300)의 상면이 모두 동시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상판고정부(300)의 체결공(301)을 통해 볼트 고정되는 상판(30)에 대한 밀착 고정력이 가일층 향상되는 것은 물론 상기의 상판(30)에 작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하중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 및 분산시켜 구조적 강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30, the upper surface of the post 10, 10',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crossbar 20, 20',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joint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fixing part 300 are Since all are kep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same time, the adhesion and fixing force to the upper plate 30 to be bolt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301 of the upper plate fixing part 300 is further improved, as well as acting on the upper plate 30. The structural rigidity can be greatly increased by supporting and dispersing various types of loads more stably.

이에, 본 발명의 프레임 조립체를 연결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도 7 및 도 8의 도시와 같이 프레임조인트(100)의 일측 바결합부(200)(200')에 크로스바(20)(20')의 일단을 결합한 후, 프레임조인트(100)의 일측부로부터 렌치공구를 볼트삽입공(104)(104')으로 끼워넣어 함몰홈부(103) 내 수평조임볼트(220)의 머리부(220a)를 회전시켜 상기 확장웨지(210)를 끌어당기는 형태로 회전시키면 되는 것이다.Accordingly, in order to connect and fix the fram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crossbars 20 and 20 ′ is attached to the bar coupling portion 200 and 200 ′ of the frame joint 100 as shown in FIGS. 7 and 8. After coupling, the wrench tool is inserted from one side of the frame joint 100 into the bolt insertion holes 104 and 104 ′ to rotate the head 220a of the horizontal tightening bolt 220 in the recessed groove 103. The expansion wedge 210 can be rotated in a pulling manner.

이에 상기 확장웨지(210)가 프레임조인트(100) 방향으로 당겨오면서 확장웨지(210)의 웨지경사면(211)과 바결합부(200)(200')의 분할돌출부(201)(201')의 슬립경사면(202)이 간섭을 일으키는 동시에 도 9의 도시와 같이 상기 분할돌출부(201)(201')는 각기 상,하 방향으로 확장 외력을 받게 되는 것이고, 상기 분할돌출부(201)(201')의 확장력으로 인해 바결합부(200)(200')에 결합된 상태의 크로스바(20)(20')는 분할돌출부(201)(201')와 서로 강력한 밀착 고정 상태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ile the expansion wedge 210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frame joint 100, the wedge inclined surface 211 of the expansion wedge 210 and the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 of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and 200 ′ At the same time as the slip inclined surface 202 causes interference, as shown in FIG. 9, the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 receive an external force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respectively, and the divided protrusions 201, 201 ′ The crossbars 20 and 20 ′ in the state coupled to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and 200 ′ due to the expansion force of the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 produce a strong tight and fixed state with each other,

이어, 프레임조인트(100)의 바결합부(200)(200') 중 일측의 바결합부(200)(200')에 크로스바(20)(20')를 결합한 후 도 10의 도시와 같이 또 다른 바결합부(200)(200')에 직각 형태로 배치되도록 크로스바(20)(20')를 연결하여 사방의 프레임조인트(100)를 이용한 평면상 사각틀체 형태의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조립하면 되는 것이다.Subsequently, after coupling the crossbars 20 and 20' to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and 200' on one side of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and 200' of the frame joint 100, as shown in FIG. When the crossbars 20 and 20' are connected to be disposed at right angles to the other bar coupling portions 200 and 200', and assembled so that the combination and fixation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frame body on a plane using the frame joints 100 in all directions is achieved. It becomes.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11 및 도 12의 도시와 같이 포스트(10)(10')의 선단에 상기 프레임조인트(100)의 하단을 내측으로 삽입한 후, 역시 프레임조인트(100)의 함몰홈부(103) 내 수직조임볼트(120)의 머리부(120a)에 렌치공구를 결합한 후 상기 수직조임볼트(120)를 회전시키게 되면 확장블록(110)이 상측으로 당겨 올라가는 동시에 확장블록(110)의 블록경사면(111)과 분할확장부(101)(101')의 조인트경사면(102)이 상호 간섭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after inserting the lower end of the frame joint 100 into the front end of the post 10, 10'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recessed groove 103 of the frame joint 100 is also ) When the vertical tightening bolt 120 is rotated after connecting the wrench tool to the head 120a of the vertical tightening bolt 120, the expansion block 110 is pulled upward and at the same time the block slope of the expansion block 110 (111) and the joint inclined surface 102 of the division and expansion unit 101, 101' causes mutual interference.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호 간섭으로 인해 분할확장부(101)(101')는 도 13의 도시와 같이 사방으로 외향 확장되는 것이고, 이러한 확장력으로 인해 상기의 포스트(10)(10')와 프레임조인트(100)는 강력한 상호 밀착력에 의한 결합 상태를 연출하게 된다.Therefore, due to the mutual interference as described above, the division and expansion units 101 and 101 ′ expand outwardly in all directions as shown in FIG. 13, and due to this expansion force, the post 10 and 10 ′ and the frame joint (100) creates a bonded state by strong mutual adhesion.

이에, 각각의 프레임조인트(100)에 대하여 각각의 포스트(10)(10')를 모두 조립 고정하게 되면 도 14의 도시와 같이 테이블의 프레임 조립체가 완성되는 것이고, 별도 구비의 상판(30)을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상측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각 프레임조인트(100)의 상판고정부(300) 하측으로부터 체결볼트를 체결공(301)으로 삽입하여 상기의 상판(30)에 나사 고정되도록 하면 도 15의 도시와 같이 상판(30)에 대한 견고한 밀착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when all of the posts 10 and 10 ′ are assembled and fixed with respect to each frame joint 100, the frame assembly of the table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4, and a separate upper plate 30 is provided. 15. When the fastening bolts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s 301 from the lower side of the top plate fixing part 300 of each frame joint 100 while being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assembly, as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figure, a solid tight fixation is made to the upper plate 30.

이때, 상기와 같은 상판(30)의 저면에는 포스트(10)(10')의 선단 및 프레임조인트(100)의 상면과 크로스바(20)(20')의 상면 및 상판고정부(300)의 상면 전체가 동시에 밀착된 상태를 연출하므로, 상판(30)에 작용하는 하중은 포스트(10)(10')와 프레임조인트(100) 및 크로스바(20)(20')와 상판고정부(300)를 통해 지지되는 것은 물론 이들을 통해 하중이 분산되는 효과를 연출하므로 더욱 안정적인 설치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각 결합부의 집중부하를 피하여 궁극적으로는 사용 수명의 연장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at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30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ends of the posts 10 and 10 ′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frame joint 100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crossbars 20 and 20 ′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fixing part 300 Since the whole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same time, the load acting on the top plate 30 is the post 10, 10', the frame joint 100, the crossbars 20, 20', and the top plate fixing part 300. As well as being supported through, as well as creating the effect of distributing the load through them,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more stable installation fixing force, as well as avoid the concentrated load of each coupling part, and ultimately obtain an effect of extending the service life.

이어, 본 발명에서는 도 16의 도시와 같이 바결합부(200)(200')가 형성된 방향의 프레임조인트(100) 측면에는 상기 바결합부(200)(200')의 양측에 위치하는 끼움홈(105)을 형성하고, 상기 바결합부(200)(200')에 결합되는 크로스바(20)(20')의 끝단에는 상기 끼움홈(105)으로 삽입되게 한 결합돌부(21)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끼움홈(105)으로 삽입되는 결합돌부(21)에 의해 크로스바(20)(20')의 결합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Subsequent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6, the side of the frame joint 10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and 200 ′ are formed has fitting groove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and 200 ′. Forming 105, and protruding a coupling protrusion 21 to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05 at the end of the crossbar 20, 20' coupled to the bar coupling portion 200, 200' Thus, it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the coupling fixing force of the crossbars 20 and 20 ′ by the coupling protrusion 21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05.

따라서, 상기 바결합부(200)(200')에 대하여 크로스바(20)(2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돌부(21)가 끼움홈(105)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크로스바(20)(20')의 불필요한 유동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임시 결합 상태에서 수평조임볼트(220)를 회전시켜 확장웨지(210)의 이동 및 분할돌출부(201)(201')의 확장이 일어나도록 하여 상호 간의 강력하고 견고한 고정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crossbars 20 and 20' with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and 200', the coupling protrusions 21 ar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s 105, and the crossbars 20 and 20 It is possible to suppress unnecessary flow of'), and by rotating the horizontal tightening bolt 220 in the temporary coupling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movement of the expansion wedge 210 and the expansion of the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occur. Thus, a strong and solid fixed state can be achieved.

또한, 도 17의 도시와 같이 상기 프레임조인트(100)의 바결합부(200)(200') 끝단 저면에는 하향 돌출의 계지턱(203)을 형성하고, 상기 계지턱(203)과 대응하는 크로스바(20)(20')의 하부에는 관통의 계지공(22)을 형성하여, 상기 계지공(22)으로 삽입되는 계지턱(203)에 의해 바결합부(200)(200')에 대한 크로스바(20)(20')의 결합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7, a downwardly protruding locking jaw 203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and 200 ′ of the frame joint 100, and a crossbar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jaw 203 (20) A through locking hole 22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20'), and the crossbar for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and 200' is formed by the locking jaws 203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s 22. (20) It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the coupling fixing force of (20').

즉, 상기의 바결합부(200)(200')는 크로스바(20)(20')와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크로스바(20)(20')의 상,하 방향 내폭에 비해 분할돌출부(10)(10')의 상,하 방향 높이가 작게 제작될 것이므로 이와 같은 상호 단차로 인해 상기 바결합부(200)(200')의 저면 또는 분할돌출부(210)(210')의 끝단 저면에 형성되는 계지턱(203)은 크로스바(20)(20')의 결합 과정에는 방해가 되지 않을 것이다.That is,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and 200 ′ are divided protrusions 10 compared to the inner width of the cross bars 20 and 20 ′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for easy coupling with the cross bars 20 and 20 ′. Since the height of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10') will be made small, the bottom surface of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and 200' or the bottom of the ends of the divided protrusions 210 and 210' due to the mutual step The locking jaw 203 will not interfere with the coupling process of the crossbars 20 and 20'.

따라서, 바결합부(200)(200')에 크로스바(20)(20')의 끝단이 완전히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의 확장웨지(210)를 움직여 분할돌출부(201)(201')가 외향 확장되게 하면 상기 계지턱(203)은 상기 크로스바(20)(20')의 계지공(22)으로 삽입될 것이므로, 결국 상기 계지턱(203)과 계지공(22)의 결합에 의해 상호 간의 결합력이 증대되는 것은 물론 상기 크로스바(20)(20')와 바결합부(200)(200')가 충격이나 불필요한 외력에 의해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ends of the crossbars 20 and 20' are completely tightly fixed to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200', the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are moved outward by moving the expansion wedge 210 inside. When extended, the locking jaws 203 will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s 22 of the crossbars 20 and 20 ′, so that the locking force between the locking jaws 203 and the locking holes 22 In addition to this increase,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crossbars 20 and 20' and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and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n impact or unnecessary external force.

이어, 본 발명에서는 도 18의 도시와 같이 상기 프레임조인트(100)의 측면 선단에는 외향 돌출의 걸림턱(106)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106)과 대응하는 포스트(10)(10')의 선단에는 계지홈(12)을 형성하여, 상기 계지홈(12)으로 삽입되는 걸림턱(106)에 의해 포스트(10)(10')에 대한 프레임조인트(100)의 결합 고정력이 더욱 증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Subsequent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8, a locking protrusion 106 is formed at a side end of the frame joint 100, and posts 10 and 10 ′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trusions 106 are formed. A locking groove 12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rame joint 100 so that the coupling fixing force of the frame joint 100 to the posts 10 and 10 ′ is further increased by the locking projection 106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2. It can also be configured.

이에,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는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사방의 포스트(10)(10')와 이들 포스트(10)(10')를 연결하는 크로스바(20)(20')의 상호 결합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강력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상호 결합부 및 결합수단이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외관이 간결하면서도 미려한 것이다.Accordingly, in the table fram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 posts 10 and 10 ′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and the crossbars 20 and 20 ′ connecting the posts 10 and 10 ′ are very mutually coupled. It is simple and quick,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rong coupling force, and since the mutual coupling part and coupling means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at all, the appearance is simple and beautiful.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as described above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xamples.

10,10' : 포스트 11 : 절취부
12 : 계지홈
20,20' : 크로스바 21 : 결합돌부
22 : 계지공
30 : 상판
100 : 프레임조인트 101,101' : 분할확장부
102 : 조인트경사면 103 : 함몰홈부
104,104' : 볼트삽입공 105 : 끼움홈
106 : 걸림턱
110 : 확장블록 111 : 블록경사면
120 : 수직조임볼트
200,200' : 바결합부 201,201' : 분할돌출부
202 : 슬립경사면 203 : 계지턱
210 : 확장웨지 211 : 웨지경사면
220 : 수평조임볼트
300 : 상판고정부 301 : 체결공
10,10': post 11: cutout
12: Gage home
20,20': crossbar 21: coupling protrusion
22: locksmith
30: top plate
100: frame joint 101,101': division and expansion unit
102: joint slope 103: recessed groove
104,104': bolt insertion hole 105: fitting groove
106: locking jaw
110: expansion block 111: block slope
120: Vertical tightening bolt
200,200': bar coupling portion 201,201': split protrusion
202: slip slope 203: locking jaw
210: extended wedge 211: wedge slope
220: horizontal tightening bolt
300: upper plate fixing unit 301: conclusion work

Claims (10)

수직의 포스트(10)(10') 선단 내측으로 별도 구비의 프레임조인트(100)가 결합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조인트(100)로부터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바결합부(200)(200')에는 횡방향의 크로스바(20)(20') 단부를 각기 결합 형성하되, 상기 프레임조인트(100)의 하측에는 분할확장부(101)(101')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분할확장부(101)(101')의 내부에는 별도 구비의 확장블록(110)이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조인트(100)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확장블록(110)에 나사 결합되는 수직조임볼트(120)의 회전에 의한 확장블록(110)의 상승에 의해 상기 분할확장부(101)(101')가 프레임조인트(100)의 외측으로 결합된 포스트(10)(10')의 내면을 향해 외향 확장되면서 상호 결합 고정되게 하고, 상기 바결합부(200)(200')의 외측단에는 분할돌출부(201)(201')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돌출부(201)(201')의 사이로는 별도 구비의 확장웨지(210)가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조인트(100) 및 바결합부(200)(200')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확장웨지(210)에 나사 결합되는 수평조임볼트(220)의 회전에 의한 확장웨지(21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분할돌출부(201)(201')가 바결합부(200)(200')의 외측으로 결합된 크로스바(20)(20')의 내면을 향해 외향 확장되면서 상호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된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0)(10')의 선단 일측에는 프레임조인트(100)의 바결합부(200)(200') 하단부가 안치되게 한 절취부(11)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조인트(10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포스트(10)(10')의 절취부(11) 상에 바결합부(200)(200')가 안치된 상태에서 포스트(10)(10')의 상단과 프레임조인트(100)의 상부면이 서로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바결합부(200)(200')가 형성된 방향의 프레임조인트(100) 측면에는 상기 바결합부(200)(200')의 양측에 위치하는 끼움홈(105)을 형성하고, 상기 바결합부(200)(200')에 결합되는 크로스바(20)(20')의 끝단에는 상기 끼움홈(105)으로 삽입되게 한 결합돌부(21)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끼움홈(105)으로 삽입되는 결합돌부(21)에 의해 크로스바(20)(20')의 결합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노출형 체결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
A separate frame joint 10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end of the vertical post 10 and 10 ′, and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and 200 ′ protruding from the frame joint 100 to both sides have a transverse direction. The ends of the crossbars 20 and 20 ′ of the crossbars 20 and 20 ′ are respectively coupled to each other, but the divided expansion portions 101 and 101 ′ ar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rame joint 100, and the divided expansion units 101 and 101 ′ ), a separate expansion block 110 is inserted into the frame joint 100 by vertically penetrating the frame joint 100 and rotating the vertical tightening bolt 120 screwed to the expansion block 110. ) By the rise of the divided and extended portions 101, 101 ′, they expand outward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post 10, 10 ′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joint 100, and are mutually coupled and fixed, and the bar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 are formed at the outer ends of the coupling parts 200 and 200 ′, and a separate expansion wedge 210 is inserted between the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 The movement of the expansion wedge 210 by rotation of the horizontal tightening bolt 220 screwed to the expansion wedge 210 by passing through the frame joint 100 and the bar coupling portion 200, 200 ′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divided protrusions 201 and 201 ′ extend outward toward the inner surfaces of the crossbars 20 and 20 ′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ar coupling units 200 and 200 ′, and are mutually coupled and fixed. In the frame assembly,
At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post 10, 10', a cutout 11 is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bar coupling portion 200, 200' of the frame joint 100 is placed, and the frame joint 100 The top of the posts 10 and 10 ′ and the frame joint 100 in the state where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and 200 ′ are placed on the cutout 11 of the posts 10 and 10 ′ coupled to the outside ) Are configured to form the same plane with each other, and on the side of the frame joint 10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20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200' A coupling protrusion 21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105 to be positioned and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05 at the ends of the crossbars 20 and 20 ′ coupled to the bar coupling portions 200 and 200 ′. A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 non-exposed fasten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fixing force of the crossbars 20 and 20' is increased by the coupling protrusion 21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05 by protruding)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19143A 2020-02-17 2020-02-17 Improved Table Frame Assembly Expired - Fee Related KR1021463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143A KR102146338B1 (en) 2020-02-17 2020-02-17 Improved Table Fram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143A KR102146338B1 (en) 2020-02-17 2020-02-17 Improved Table Frame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338B1 true KR102146338B1 (en) 2020-08-20

Family

ID=7224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143A Expired - Fee Related KR102146338B1 (en) 2020-02-17 2020-02-17 Improved Table Frame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338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870B1 (en) * 2021-03-08 2021-08-09 엄옥순 Prefab pipe connecting apparatus of table frame
KR20220057105A (en) 2020-10-29 2022-05-09 임대용 Apparatus for assembling table frame
KR102422942B1 (en) * 2022-02-08 2022-07-21 주식회사 이노프 A Table
KR102432702B1 (en) * 2022-02-08 2022-08-16 주식회사 크로바가구 A Table
CN115444209A (en) * 2022-09-23 2022-12-09 乐歌人体工学科技股份有限公司 Buckle type lifting table fast-assembly componen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2744888B1 (en) * 2024-09-04 2024-12-20 (주)스피드랙 Assembled shelf
KR20240176616A (en) * 2023-06-16 2024-12-24 (주)토파스 table fastening device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50244A2 (en) * 1999-02-23 2000-11-08 Angelo Odorico Assembly joint for furniture frames
JP2006105180A (en) * 2004-09-30 2006-04-20 Kokuyo Co Ltd Member connecting structure
KR200469577Y1 (en) 2011-09-23 2013-10-23 최영미 Assembling material for table plate
KR101417479B1 (en) 2012-12-17 2014-07-08 이준구 A self assembly desk
KR101503689B1 (en) 2013-03-28 2015-03-19 이창환 Structure of linking with desk
KR20180056465A (en) * 2016-11-18 2018-05-29 박종길 A mounting structure of fabricated frame
KR101865581B1 (en) 2016-07-01 2018-06-08 주식회사 펀잇쳐스 Assembled Desk frame
KR20190000653U (en) * 2017-09-04 2019-03-13 김유경 An assembly structure of table
KR20190058140A (en)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 중앙산업 Furniture frame connector structure
KR102015949B1 (en) * 2019-02-08 2019-08-28 주식회사 가구앤하우스 Frame unit and Tabl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50244A2 (en) * 1999-02-23 2000-11-08 Angelo Odorico Assembly joint for furniture frames
JP2006105180A (en) * 2004-09-30 2006-04-20 Kokuyo Co Ltd Member connecting structure
KR200469577Y1 (en) 2011-09-23 2013-10-23 최영미 Assembling material for table plate
KR101417479B1 (en) 2012-12-17 2014-07-08 이준구 A self assembly desk
KR101503689B1 (en) 2013-03-28 2015-03-19 이창환 Structure of linking with desk
KR101865581B1 (en) 2016-07-01 2018-06-08 주식회사 펀잇쳐스 Assembled Desk frame
KR20180056465A (en) * 2016-11-18 2018-05-29 박종길 A mounting structure of fabricated frame
KR20190000653U (en) * 2017-09-04 2019-03-13 김유경 An assembly structure of table
KR20190058140A (en)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 중앙산업 Furniture frame connector structure
KR102015949B1 (en) * 2019-02-08 2019-08-28 주식회사 가구앤하우스 Frame unit and Tabl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105A (en) 2020-10-29 2022-05-09 임대용 Apparatus for assembling table frame
KR102286870B1 (en) * 2021-03-08 2021-08-09 엄옥순 Prefab pipe connecting apparatus of table frame
KR102422942B1 (en) * 2022-02-08 2022-07-21 주식회사 이노프 A Table
KR102432702B1 (en) * 2022-02-08 2022-08-16 주식회사 크로바가구 A Table
CN115444209A (en) * 2022-09-23 2022-12-09 乐歌人体工学科技股份有限公司 Buckle type lifting table fast-assembly componen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CN115444209B (en) * 2022-09-23 2023-11-24 乐歌人体工学科技股份有限公司 Buckle type lifting table fast-assembling assembly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20240176616A (en) * 2023-06-16 2024-12-24 (주)토파스 table fastening device
KR102788424B1 (en) 2023-06-16 2025-03-31 (주)토파스 table fastening device
KR102744888B1 (en) * 2024-09-04 2024-12-20 (주)스피드랙 Assembled shel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338B1 (en) Improved Table Frame Assembly
KR101931911B1 (en) truss
JP6846098B2 (en) Beam frame mounting structure, beam frame receiving member and beam frame passing member used for this
KR101997755B1 (en) Desk with reinforced fastening structure
US20240218682A1 (en) Floor structure system and method of use
JP6150640B2 (en) Solar panel mount
KR20090050778A (en) Steel beam assembly structure without welding
JP6698331B2 (en) Solar panel mount
KR101808460B1 (en) Assemble fence structure for deck load
KR200473592Y1 (en) Stand for white board
JP2006143136A (en) Flexible top frame
JP3756276B2 (en) Synthetic resin bamboo fence
KR20110011382A (en) Pillar fixture
JP30329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orary enclosure
JP7369599B2 (en) fence structure
CN112900625A (en) Assembled building main body frame construction
JP6613160B2 (en) Base support structure
JP3797959B2 (en) Assembly tent framework
KR20070103528A (en) Joining structure of head frame for joining ceiling formwork panel frame
JP2725174B2 (en) Column and column joint structure of wooden building and its tools
JP5968391B2 (en) Temporary scaffold
JP7424694B1 (en) temporary stage
US20250221541A1 (en) Bed frame structure
JP3021612U (en) Ladder cross rail and column joint structure
JP2021080679A (en) Fence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