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1911B1 - truss - Google Patents

tru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911B1
KR101931911B1 KR1020180067314A KR20180067314A KR101931911B1 KR 101931911 B1 KR101931911 B1 KR 101931911B1 KR 1020180067314 A KR1020180067314 A KR 1020180067314A KR 20180067314 A KR20180067314 A KR 20180067314A KR 101931911 B1 KR101931911 B1 KR 101931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tent
trusses
wal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3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방윤성
Original Assignee
방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윤성 filed Critical 방윤성
Priority to KR1020180067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9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91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18Tents having plural sectional covers, e.g. pavilions, vaulted tents, marquees, circus tents; Plural tents, e.g. mod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04H15/642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with covers held by elongated fixing members locking in longitudinal recesses of a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86Truss like structures composed of separate truss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 트러스 간의 연결설치가 용이하고, 그 단위 트러스가 결합 된 트러스 구조물에 천막의 설치가 용이한 트러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는 단위 트러스(A) 간의 결합시 트러스의 지주빔(10) 사이에 단관빔(20)을 삽입하고, 그 지주빔(10)과 단관빔(20)을 체결하여 트러스를 연결결합하며, 단위 트러스(A)가 결합 된 트러스 구조물에 천막(30)을 결합시 트러스의 지주빔(10)을 따라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천막(30)을 삽입하여 트러스 구조물에 천막(30)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ss which facilitates connection between unit trusses and facilitates installation of a tent in a truss structure in which unit trusses are combined.
The tru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uss is inserted between the truss beams 10 when the unit trusses A are connected and the truss is connected by fastening the truss beams 10 and the single- A groove is formed along the truss beam 10 when the tent 30 is joined to the truss structure having the unit truss A joined thereto and the tent 3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3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Description

트러스{truss}Truss {truss}

본 발명은 빔을 결합한 골조구조물로 이루어져 무대, 대형천막, 간이시설물 등에 주로 적용되는 트러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ss which is mainly composed of a frame structure combining beams and is mainly applied to a stage, a large tent, and a simple facility.

트러스는 통상 평면상 네 모서리에 지주빔을 배치하고, 그 지주빔의 단부 사이에 연결빔을 용접하여 결합한 다음, 지주빔 사이에 지지빔을 용접하여 육면체 형태의 단위 트러스를 제작한 다음 그 단위 트러스의 연결결합으로 트러스 구조물을 만든다. The truss is usually constructed by arranging a strut beam at four corners on a plane, welding a connecting beam between the ends of the strut beam, welding a supporting beam between the strut beams to produce a unit truss in the form of a hexahedron, To form a truss structure.

종래 단위 트러스 간의 연결결합은 지주빔 사이에 판재 또는 앵글을 덧대어 볼트 결합하거나, 지주빔의 단부에 판재를 용접한 다음 판재 간에 플랜지 형태로 볼트 결합하거나, 맞닫는 연결빔 사이를 볼트로 관통결합하거나, 지주빔 또는 연결빔 사이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조임결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Conventional unit trusses are connected by bolts connecting plate members or angles between the support beams, welding plate members to ends of the support beams, and then bolting the plate members in a flange shape, Or a clamping coupling is used between the holding beams or connecting beams by clamping.

그러나 상술한 방식들은 모두 이미 설치된 단위 트러스로부터 연결 설치할 단위 트러스를 동일선상에 위치시킨 다음 그 위치에 단위 트러스가 고정되도록 파지한 상태에서 상호 간에 연결하여야 하므로, 조립이 난해함은 물론 시간과 인력, 장비가 많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ll of the above-mentioned methods require that the unit trusses to be connected are placed on the same line from the already installed unit trusses, and then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unit trusses are fixed to the same position.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it is necessary.

한편, 완성된 트러스 구조물에는 천막이 씌워질 수 있는데, 종래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트러스 구조물에 천막을 씌운 다음, 그 천막의 외면에 와이어를 긴장시켜 천막을 고정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On the other hand, the completed truss structure can be covered with a tent. Conventionally, a method of covering a tent with a truss structure using a crane or the like, and then fixing the tent by tightening the wir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ent is common.

그러나 상술한 방식은 천막과 트러스 구조물이 일체화가 되지 않아 천막의 견고한 고정을 어려움은 물론 천막을 트러스 구조물의 외면에 씌우는 과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tent and truss structures are not integrated with each other, it is difficult to firmly fix the tent, and it is difficult to cover the ten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russ structure.

참고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특허정보넷 키프리스를 통해 "트러스"를 키워드로 하여 검색된 최근의 선행기술문헌 5건을 등재한 것으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관한 기술분야와 배경기술 및 그 발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For reference,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are those listed in the latest prior art documents searched with the keyword "truss" through the Patent Information Net keyphrase, and are described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ground technology and its development status can be grasped.

공개/등록공보: 1018533560000, 1018538630000, 1018338630000, 1018400220000, 1018202670000.Public / Registration Bulletins: 1018533560000, 1018538630000, 1018338630000, 1018400220000, 1018202670000.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특히 단위 트러스 간의 연결설치가 용이하고, 그 단위 트러스가 결합 된 트러스 구조물에 천막의 설치가 용이하게 하려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acilitate connection of unit trusses and facilitate installation of a tent in a truss structure having unit trusses.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단위 트러스 간의 결합시 트러스의 지주빔 사이에 단관빔을 삽입하고, 그 지주빔과 단관빔을 체결하여 단위 트러스를 연결결합하는 수단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ans for inserting a single beam between the strut beams of a truss when joining unit trusses and connecting the unit truss by joining the strut beam and the single beam.

또한, 상기 단위 트러스가 결합 된 트러스 구조물에 천막을 결합시 트러스의 지주빔을 따라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천막을 삽입하여 트러스 구조물에 천막을 결합하는 수단을 제안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ans for forming a groove along a truss strut beam when a tent is joined to a truss structure having the unit truss coupled thereto, and inserting a tent in the groove to join the tent to the truss structure.

본 발명의 수단에 따르면, 단관빔에 의해 지주빔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형태로 결합되고, 이러한 결합방식은 이미 설치된 단위 트러스로부터 다음에 이어질 단위 트러스를 단관빔에 삽입하면 그 단위 트러스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종래에 비해 단위 트러스를 동일선상에 배치하는 것이 쉽고, 그 단위 트러스를 파지하고 있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단위 트러스 간의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시간과 인력 및 장비의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nit truss is inserted into the single beam from the already installed unit truss, the unit truss is fixed in a state where the unit truss is fixed It is easy to arrange the unit trusses on the same lin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hold the unit trusses,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unit trusses more easily than before and to reduce the time, manpower and equipment consumption .

또한, 지주빔의 홈을 따라 천막을 삽입시켜 트러스에 천막이 결합되고, 이러한 결합방식은 종래에 비해 트러스 구조물로부터 천막의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천막과 트러스 구조물의 일체화로 천막의 고정이 견고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tent is inserted into the truss by inserting the tent along the groove of the support beam, and the tent is attached to the truss. The tent installation is easy to install from the truss structure and the tent construction is integrated with the tent structure.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a) 및 그 결합단면도(b) 및 그 결합평면도(c)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천막의 사시도(a) 및 그 천막을 도 1에 결합한 사시도(b) 및 그 결합단면도(c)
도 3은 도 1을 적용하여 결합한 단위 트러스의 사시도(a) 및 그 정면도(b) 및 그 측면도(c)
도 4는 도 3의 단위 트러스 사이에 도2의 천막을 결합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단위 트러스에 연결트러스를 결합한 사시도(a)(b)
도 6은 도 3, 도 5를 적용하여 결합한 사각형 트러스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a) 및 그 측면도(b)
도 8은 도 1을 적용하여 결합한 아치형 단위 트러스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을 적용하여 결합한 아치형 트러스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정면도(a) 및 그 측면도(b)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ross-sectional view (b)
Fig. 2 is a perspective view (a) of a tent as applied to Fig. 1, a perspective view (b)
Fig. 3 is a perspective view (a) and a front view (b) and a side view (c) of the unit truss combined by applying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it trough of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it truss of Fig. 3,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tangular truss structure coupled by applying Figs. 3 and 5. Fig.
Fig. 7 is a front view (a) and a side view (b) of Fig. 6,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ched unit truss coupled by applying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ched truss structure coupled by applying Fig. 8. Fig.
Fig. 10 is a front view (a) and a side view (b) of Fig. 9,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최초로 제시된 도면으로부터 최초로 제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도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트, 용접부위, 구멍,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으며, 구성의 모양을 특별하게 특정하지 않은 이상 그 평면의 모양은 원형 또는 사각형이고, 이럴 경우 평면도는 생략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terms and names used in the description are intended to be implicitly constru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the description of the direc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direction originally presented from the first drawing present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posi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center of each structure or the center of the circle. And specific descriptions of well-known and commonly-used techniques may be omitted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r to be omitted or replaced with a simple code or name. In addition, detailed structures, shapes, shapes, arrangements, sizes, etc. of structures that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drawings, operation of structures that can be inferred through the drawings, and operation and effect of the structures can be omitted. And the bolts, welded parts, holes, etc. applied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s may be blurred and may be omitted from the drawings, and the shape of the plane may be circular or rectangular unless otherwise specified , In which case the plan view may be omitted.

이하, Below, 도1을1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면 양측에 형성되는 천막삽입용 레일홈(10);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단관빔(20) 삽입용 삽입공간(12);을 포함하는 단면이 일정길이 연장형성되고, 그렇게 연장된 전후 단부에 연장된 길이를 따라 삽입공간(1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공(13);을 포함하는 지주빔(10);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빔(10)의 삽입공간(12)과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외면(21);을 포함하는 단면이 일정길이 연장형성되고, 그렇게 연장된 전후 단부에 연장된 길이를 따라 지주빔(10)의 체결공(13)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공(22);을 포함하는 단관빔(20);을 포함하며, 상기 지주빔(10)은 일측 단부의 삽입공간(12)에 단관빔(20)의 일측이 삽입되어 지주빔(10)의 체결공(13)과 단관빔(20)의 체결공(22) 사이에 체결구(14)를 채워 결합되고, 그 단관빔(20)의 타측에 또 다른 지주빔(10')의 삽입공간(12)이 삽입되어 지주빔(10)의 체결공(13)과 단관빔(20)의 체결공(22) 사이에 체결구(14)를 채워서 연결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트러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nt insert rail groove 1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And an insertion space 12 for insertion of a single-ended beam 2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insertion space 12. The cross-section is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insertion space 12, Wherein the holding beam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nd an insert outer surface formed to be inserted with the insertion space of the strut beam;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2 formed to extend along the length of the elongated front and rear ends and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astening holes 13 of the holding beams 10; One end of the short tube beam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2 at one end of the strut beam 10 and the fastening hole 13 of the strut beam 10 and the fastener And the insertion space 12 of another strut beam 10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single beam 20 so that the fastening holes 1 of the strut beam 10 3) and a fastening hole (22) of the single-ended beam (20) by fastening a fastener (14).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빔(10)의 삽입공간(12) 및 단관빔(20)의 삽입외면(21)은 보강력을 갖도록 내부로부터 양측의 레일홈(10) 사이로 돌출되는 돌출부(23) 및 이와 대응되는 돌출홈(15)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관빔(20)은 내부는 빈공간(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the insertion space 12 of the support beam 10 and the insertion outer surface 21 of the short tube beam 20 are provided with protrusions 23 protruding from the inside between the rail grooves 10 on both sides so as to have resilience, And a corresponding protruding groove 15, and the single-pipe beam 20 can be formed as an empty space 24 insid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빔(10)의 단면은 다른 구성물과의 결합에 대한 용이성을 감안하여 사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자제의 공수효율을 감안하여 원형 또는 다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체결공(13)에 채워지는 체결구(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의 견고성을 감안하여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편의성에 따라 핀으로 대체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cross section of the strut beam 1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consideration of easiness of engagement with other components, and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ai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astening hole 14 filled in the fastening hole 13 may be formed of a bolt and a nut in consideration of the rigidity of the fastening hole, and may be replaced with a pin according to convenience.

이렇게 하면, 압출에 의해 지주빔(10)과 단관빔(20)을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고, 무게는 가볍고, 내구적이며, 견고하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며,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continuously produce the strut beam 10 and the single-beam beam 20 by extrusion, and thus has an easy manufacturing effect and is lightweight, durable, rigid,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Is improved.

이하, Below, 도2를2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지주빔(10)의 천막삽입용 레일홈(10)에 삽입되는 심재(31); 그 심재(31)에 양단에 결합된 천막(30);을 포함하고, 상기 천막(30)은 지주빔(10)의 천막삽입용 레일홈(10)을 따라 심재(31)를 삽입하여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트러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e 31 inserted into a rail groove 10 for inserting an awning of the strut beam 10; And a tent 30 that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re 31. The tent 30 is inserted and inserted along the tent insertion rail groove 10 of the piercing beam 10 The truss may include a truss.

상기에서 심재(31)는 유연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천막(30)의 양단에 봉재하거나, 열접착으로 일체화하여 결합될 수 있다. The core 31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may be bonded to both ends of the tent 30 by thermal bonding.

이렇게 하면, 지주빔(10) 사이에 천막(30)의 결합이 용이함은 물론 천막(30)과 지주빔(10)의 일체화로 천막(30)의 고정이 견고한 효과가 있다. This makes it easy to assemble the awning 30 between the pillar beams 10 and to securely fix the awning 30 by integrating the awning 30 and the pillar beam 10.

이하, Below, 도3을3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지주빔(10)이 단면상 네 모서리에 배치되고, 네 모서리에 배치된 양측 상부의 지주빔(10)은 레일홈(10)이 상부, 양측 하부의 지주빔(10)은 레일홈(10)은 하부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그렇게 배치된 지주빔(10)의 단부 사이에 연결빔(10b)이 결합되고, 지주빔(10) 사이에 지지빔(10c)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육면체 형태를 이루는 단위 트러스(A)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m 10 is disposed at four corners of a cross section, and the beam beams 10 on both sides disposed at four corners of the beam 10 are directed to the upper, 10 are arranged such that the rail groove 10 faces downward and a connecting beam 10b is coupled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landing beams 10 so arranged and a supporting beam 10c is interposed between the landing beams 10 And may include a unit truss (A) selectively coupled to form a hexahedron.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빔(10) 및 단관빔(20)에 형성되는 체결공(13)은 연결빔(10b)을 회피하도록 단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빔의 결합은 용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the fastening holes 13 formed in the support beam 10 and the single-ended beam 20 are preferably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end to avoid the connecting beam 10b, Lt; / RTI >

이렇게 하면, 본 발명에 단위 트러스(A)의 제조가 용이할 뿐 아니라, 단관빔(20)의 연결결합에 의해 단위 트러스(A) 간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며, 그 단위 트러스(A)의 연결로 트러스 구조물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그 트러스 구조물 사이에 천막(30)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며, 내구적이고, 견고하며, 튼튼한 트러스 구조물을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is way,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unit truss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the unit trusses A by connection of the single-beam beams 20,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the truss structure, and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the tents 30 between the truss structures, and it is possible to make a durable, rigid and durable truss structure.

이하, Below, 도4를4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단위 트러스(A) 사이의 지주빔(10) 천막삽입용 레일홈(10)을 따라 천막(30)의 심재(31)를 삽입하여 천막(30)이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The core 30 of the tent 30 is inserted along the rail groove 10 for inserting the tent bar 10 between the unit trusses A so that the tent 30 is coupled .

이렇게 하면, 단위 트러스(A) 사이에 천막(30)의 결합이 용이함은 물론 천막(30)과 지주빔(10)의 일체화로 천막(30)의 고정이 견고한 효과가 있다. In this way, the tent 30 can be easily assembled between the unit trusses A, and the tent 30 can be firmly fixed by integrating the tent 30 and the beam 10.

이하, Below, 도5를5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단위 트러스(A)의 좌우에 일측 또는 양측의 측면에 결합되는 연결트러스(B);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트러스(B)는 트러스의 단부가 일정길이 절단된 형태로 되며, 그렇게 절단된 트러스의 단부를 트러스의 측면에 결합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truss B connect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unit truss A on the right and left sides thereof,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end of the truss thus cut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truss.

상기 연결트러스(B)와 단위 트러스(A)의 결합은 단위 트러스(A)의 측면에 연결트러스(B)의 단부를 용접하여 결합할 수 있고,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단위 트러스(A)의 측면과 연결트러스(B) 단부에 별도의 판재를 부착하고, 양 판재 간에 볼트 결합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The connection truss B and the unit truss A can be joined by welding the end of the connection truss B to the side of the unit truss A, A separate plate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truss B and may be detachable by bolt joining between the plate members.

이렇게 하면, 마주보는 단위 트러스(A) 사이에 수평 트러스(E)를 연결설치하여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미 설치된 트러스 구조물로부터 필요에 따라 트러스 구조물을 더 연장하여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is case, the horizontal truss E can be connected and supported between the facing unit trusses A, and the truss structure can be further extended and extended as required from the installed truss structure.

이하, Below, 도66 내지  To 도7을7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단위 트러스(A)를 수직으로 연결결합하여 기둥 트러스(C)를 양측에 만들고, 그 기둥 트러스(C)의 상단에 단위 트러스(A)의 원리를 이용하여 코너 트러스(D)를 제작 및 결합한 다음, 그 코너 트러스(D) 사이에 단위 트러스(A)가 수평으로 결합 된 수평 트러스(E)를 결합하여 벽체 트러스(F)를 만든 후, 그 벽체 트러스(F)을 횡 방향으로 배치한 다음, 그 벽체 트러스(F)의 기둥 트러스(C)와 수평 트러스(E)의 단위 트러스(A) 사이에 연결트러스(B)를 배치 또는 결합한 후, 그 벽체 트러스(F)의 연결트러스(B) 사이에 횡 방향으로 수평 트러스(E)를 연결결합하여 구축되는 사각형 트러스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trusses A are ver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trusses C on both sides, and the unit trusses A are arranged at the upper ends of the trusses C, A truss D is manufactured and joined and a horizontal truss E joined horizontally with a unit truss A is joined between the corner trusses D to form a wall truss F and the wall truss F And then a connecting truss B is disposed or joined between the pillar truss C of the wall truss F and the unit truss A of the horizontal truss E, And a horizontal truss (E)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trusses (B) of the rectangular trusses (F).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벽체 트러스(F) 사이의 지주빔(10)에 형성된 천막삽입용 레일홈(10)을 따라 천막(30)의 심재(31)를 삽입하면 천막(30)을 갖는 사각형태의 트러스 구조물을 만들 수 있고, 또한, 끝단의 벽체 트러스(F)에 연결트러스(B)를 배치 또는 결합하면, 사각형 트러스 구조물을 연장하여 확장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when the core 31 of the tent 30 is inserted along the tent insertion rail groove 10 formed in the piercing beam 10 between the wall trusses F, And by arranging or connecting the connecting truss B to the wall truss F at the end, the rectangular truss structure can be extended and extended.

이렇게 하면, 트러스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가 쉽고 편리함은 물론 신속하게 신축할 수 있고, 내구적이고 튼튼하며 천막(30)이 견고하게 결합 된 트러스 구조물을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필요에 따라 그 트러스 구조물의 크기를 연장하여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is way, the truss structure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installed and disassembled as well as can be quickly expanded and shrunk. The truss structure can be made durable, durable, and firmly coupled with the tent 30, It is possible to extend and extend the size of the light source.

이하, Below, 도88 내지  To 도10을10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지주빔(10)을 아치형태로 형성한 다음, 그 아치형 지주빔(10)을 이용하여 아치형 단위 트러스(A)를 제작한 후, 그 아치형 단위 트러스(A)를 이용하여 아치형 벽체 트러스(F)를 만든 다음, 그 아치형 벽체 트러스(F)을 횡 방향으로 배치한 후, 그 아치형 벽체 트러스(F)에 연결트러스(B)를 배치 또는 결합한 다음, 그 아치형 벽체 트러스(F)의 연결트러스(B) 사이에 횡 방향으로 수평 트러스(E)를 연결결합하여 구축되는 아치형 트러스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ch beam 10 is formed in an arch shape, an arched unit truss A is manufactured by using the arch beam 10, After the arcuate wall truss F has been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n the connecting truss B has been placed or joined to the arcuate wall truss F, And an arcuate truss structure constructed by connecting horizontal trusses E in a lateral dir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trusses B of the truss F. [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아치형 벽체 트러스(F) 사이의 지주빔(10) 천막삽입용 레일홈(10)을 따라 천막(30)의 심재(31)를 삽입하면 천막(30)을 갖는 아치형 구조물을 만들 수 있고, 또한, 끝단의 아치형 벽체 트러스(F)에 연결트러스(B)를 배치 또는 결합하면, 아치형 트러스 구조물을 연장하여 확장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core 31 of the tent 30 is inserted along the rail groove 10 for inserting the tent beam 10 between the arcuate wall trusses F, the arched structure having the tent 30 And by arranging or connecting the connecting truss B to the arcuate wall truss F at the end, the arched truss structure can be extended and extended.

이렇게 하면, 튼튼하고 견고하면서도 천막(30)이 일체로 되는 아치형 트러스 구조물을 쉽고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신축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트러스 구조물의 크기를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conveniently expand and contract the arched truss structure, which is strong and rigid and in which the tents 30 are integrated, as well as to extend the size of the truss structure if necessary.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아치형 벽체 트러스(F)를 반분하여 평면상 동심원상으로 다수 배치한 다음, 그 아치형 단위 트러스(A)에 아치형 지주빔(10)이 결합된 아치형 연결트러스(B)를 배치 또는 결합한 후, 그 아치형 연결트러스(B) 사이에 아치형 단위 트러스(A)를 수평으로 연결결합하면 돔 형태의 트러스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arcuate wall trusses F are arranged in a plane concentric circle, and an arcuate connecting truss B having an arcuate strut beam 10 coupled to the arcuate unit truss A is disposed Or after joining, connecting the arcuate unit truss (A) horizontally between the arcuate connecting trusses (B), a dome-shaped truss structure can be made.

이하, 본 발명에서 제안한 구성의 응용을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application of the configuration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의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한 것이며,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추구하고자 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 형태, 모양, 배치, 방향, 수량이 결정되며 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본 발명은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일부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다른 구성과 병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효과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을 가능한 포괄하는 범위로 특정하여 넓은 권리를 갖는 청구항부터 순서를 정하여 청구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and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specific elements included in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stitution, The structure, form, shape, arrangement, direction, and quantity a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rinciple to be pursued,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to as need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and desired or desirable. It i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most preferably comple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leted by selecting or excluding some of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cost reduction, manufacturing convenience, , One or a part of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separated and combined with other constituent elements. In addition, each of the constituent ele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ndependently applied to a technical field other than the technical field in consideration of the principle, purpose, function, role, operation, effect, and the lik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으로, 본 발명의 설명을 모두 마치며,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술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도시는 되어 있지만 설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작용효과는 도면을 통해 충분히 유추 가능할 것이다. 이에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서 언급한 내용을 기반으로 이 기술분야의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해 이 기술분야의 발전은 물론 사용상의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The action effect on the part will be sufficiently inferable through the drawings.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Claims (1)

외면 양측에 형성되는 천막삽입용 레일홈(10);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단관빔(20) 삽입용 삽입공간(12);을 포함하는 단면이 일정길이 연장형성되고, 그렇게 연장된 전후 단부에 연장된 길이를 따라 삽입공간(1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공(13);을 포함하는 지주빔(10);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빔(10)의 삽입공간(12)과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외면(21);을 포함하는 단면이 일정길이 연장형성되고, 그렇게 연장된 전후 단부에 연장된 길이를 따라 지주빔(10)의 체결공(13)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공(22);을 포함하는 단관빔(20);을 포함하며,
상기 지주빔(10)은 일측 단부의 삽입공간(12)에 단관빔(20)의 일측이 삽입되어 지주빔(10)의 체결공(13)과 단관빔(20)의 체결공(22) 사이에 체결구(14)를 채워 결합되고, 그 단관빔(20)의 타측에 또 다른 지주빔(10')의 삽입공간(12)이 삽입되어 지주빔(10)의 체결공(13)과 단관빔(20)의 체결공(22) 사이에 체결구(14)를 채워서 연결결합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빔(10)의 삽입공간(12) 및 단관빔(20)의 삽입외면(21)은 보강력을 갖도록 내부로부터 양측의 레일홈(10) 사이로 돌출되는 돌출부(23) 및 이와 대응되는 돌출홈(15)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단관빔(20)은 내부는 빈공간(2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지주빔(10)의 천막삽입용 레일홈(10)에 삽입되는 심재(31); 그 심재(31)에 양단에 결합된 천막(30);을 포함하고,
상기 천막(30)은 지주빔(10)의 천막삽입용 레일홈(10)을 따라 심재(31)를 삽입하여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지주빔(10)이 단면상 네 모서리에 배치되고, 네 모서리에 배치된 양측 상부의 지주빔(10)은 레일홈(10)이 상부, 양측 하부의 지주빔(10)은 레일홈(10)은 하부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그렇게 배치된 지주빔(10)의 단부 사이에 연결빔(10b)이 결합되고, 지주빔(10) 사이에 지지빔(10c)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육면체 형태를 이루는 단위 트러스(A)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트러스(A) 사이의 지주빔(10) 천막삽입용 레일홈(10)을 따라 천막(30)의 심재(31)를 삽입하여 천막(30)이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트러스(A)의 좌우에 일측 또는 양측의 측면에 결합되는 연결트러스(B);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트러스(B)는 트러스의 단부가 일정길이 절단된 형태로 되며, 그렇게 절단된 트러스의 단부를 트러스의 측면에 결합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트러스(A)를 수직으로 연결결합하여 기둥 트러스(C)를 양측에 만들고, 그 기둥 트러스(C)의 상단에 단위 트러스(A)의 원리를 이용하여 코너 트러스(D)를 제작 및 결합한 다음, 그 코너 트러스(D) 사이에 단위 트러스(A)가 수평으로 결합 된 수평 트러스(E)를 결합하여 벽체 트러스(F)를 만든 후, 그 벽체 트러스(F)을 횡 방향으로 배치한 다음, 그 벽체 트러스(F)의 기둥 트러스(C)와 수평 트러스(E)의 단위 트러스(A) 사이에 연결트러스(B)를 배치 또는 결합한 후, 그 벽체 트러스(F)의 연결트러스(B) 사이에 횡 방향으로 수평 트러스(E)를 연결결합하여 구축되는 사각형 트러스 구조물;
또는, 상기 사각형 트러스 구조물의 벽체 트러스(F) 사이의 지주빔(10)에 형성된 천막삽입용 레일홈(10)을 따라 천막(30)의 심재(31)를 삽입하여 천막(30)을 결합하는 것;
또는, 상기 사각형 트러스 구조물의 끝단의 벽체 트러스(F)에 연결트러스(B)를 배치 또는 결합하여 사각형 트러스 구조물을 연장하여 확장하는 것;
또는, 상기 연장된 사각형 트러스 구조물의 벽체 트러스(F) 사이의 지주빔(10)에 형성된 천막삽입용 레일홈(10)을 따라 천막(30)의 심재(31)를 삽입하여 천막(30)을 결합하는 것;
또는, 상기 지주빔(10)을 아치형태로 형성한 다음, 그 아치형 지주빔(10)을 이용하여 아치형 단위 트러스(A)를 제작한 후, 그 아치형 단위 트러스(A)를 이용하여 아치형 벽체 트러스(F)를 만든 다음, 그 아치형 벽체 트러스(F)을 횡 방향으로 배치한 후, 그 아치형 벽체 트러스(F)에 연결트러스(B)를 배치 또는 결합한 다음, 그 아치형 벽체 트러스(F)의 연결트러스(B) 사이에 횡 방향으로 수평 트러스(E)를 연결결합하여 구축되는 아치형 트러스 구조물;
또는, 상기 아치형 트러스 구조물의 벽체 트러스(F) 사이의 지주빔(10)에 형성된 천막삽입용 레일홈(10)을 따라 천막(30)의 심재(31)를 삽입하여 천막(30)을 결합하는 것;
또는, 상기 아치형 트러스 구조물의 끝단의 벽체 트러스(F)에 연결트러스(B)를 배치 또는 결합하여 아치형 트러스 구조물을 연장하여 확장하는 것;
또는, 상기 연장된 아치형 트러스 구조물의 벽체 트러스(F) 사이의 지주빔(10)에 형성된 천막삽입용 레일홈(10)을 따라 천막(30)의 심재(31)를 삽입하여 천막(30)을 결합하는 것;
또는, 상기 아치형 벽체 트러스(F)를 반분하여 평면상 동심원상으로 다수 배치한 다음, 그 아치형 단위 트러스(A)에 아치형 지주빔(10)이 결합된 아치형 연결트러스(B)를 배치 또는 결합한 후, 그 아치형 연결트러스(B) 사이에 아치형 단위 트러스(A)를 수평으로 연결결합하여 구축되는 돔 형태의 트러스 구조물;
또는, 상기 돔 형태의 트러스 구조물의 벽체 트러스(F) 사이의 지주빔(10)에 형성된 천막삽입용 레일홈(10)을 따라 천막(30)의 심재(31)를 삽입하여 천막(30)을 결합하는 것;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트러스.
A trough insertion rail groove 1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And an insertion space 12 for insertion of a single-ended beam 2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insertion space 12. The cross-section is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insertion space 12, (10) includ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3)
And an insert outer surface 21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2 of the strut beam 10. The length of the strut beam 10 along the extended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ends,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2)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astening holes (13) of the short tube (13)
One end of the short tube beam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2 at one end of the strut beam 10 and inserted between the fastening hole 13 of the strut beam 10 and the fastening hole 22 of the single tube beam 20 And the insertion space 12 of another strut beam 10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single beam 20 so that the fastening hole 13 of the strut beam 10, And a fastener (14) filled between the fastening holes (22) of the beam (20)
The insertion space 12 of the holding beam 10 and the insertion outer surface 21 of the short tube beam 20 are provided with projections 23 protruding from the inside between the rail grooves 10 on both sides so as to have resilience, And a groove (15), wherein the single-beam beam (20) comprises an empty space (24)
A core 31 inserted into the tear-inserting rail groove 10 of the strut beam 10; And a tent (30) coupled to the core (31) at both ends,
The tent (30) includes a core (31) inserted through a rail groove (10) for insertion of a tentering beam (10)
The beam 10 is positioned at four corners of the cross section and the beam 10 on both sides of the beam located on the four corners has the rail groove 10 at the top and the beam 10 at the bottom of both sides, A connecting beam 10b is coupled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landing beams 10 so arranged and a supporting beam 10c is selectively coupled between the landing beams 10 to form a hexahedron A unit truss (A)
Wherein the tent (30) is inserted by inserting the core (31) of the tent (30) along the rail groove (10) for inserting the tent beam between the unit trusses (A)
And a connection truss (B) connect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unit truss (A)
The connecting truss (B)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nd portion of a truss is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end portion of the truss thus cut is connected to a side surface of the truss.
The column trusses C are formed on both sides by connecting vertically the unit trusses A and the corner trusses D are manufactured and joined to the upper ends of the trusses C using the principle of the unit trusses A Next, a wall truss F is formed by joining the horizontal trusses E in which the unit trusses A are joined horizontally between the corner trusses D, and then the wall trusses F are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A connecting truss B is disposed or joined between the pillar truss C of the wall truss F and the unit truss A of the horizontal truss E and then the connecting truss B of the wall truss F is disposed, A rectangular truss structure constructed by connecting horizontal trusses E in a transverse direction;
The core 30 of the tent 30 is inserted along the tent insertion rail groove 10 formed in the piercing beam 10 between the wall trusses F of the rectangular truss structure to join the tent 30 that;
Or extending or extending the rectangular truss structure by arranging or engaging a connecting truss (B) to a wall truss (F) at the end of the rectangular truss structure;
Alternatively, the core material 31 of the tent 30 may be inserted along the tent insertion rail groove 10 formed in the landing beam 10 between the wall trusses F of the extended rectangular truss structure to form the tent 30 Combining;
Alternatively, the arch beam 10 may be formed in an arch shape, and then an arcuate unit truss A may be manufactured using the arch beam 10, and then the arch truss A may be used to form an arcuate wall truss The truss F of the arcuate wall truss F is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truss B is arranged or connected to the truss F of the arcuate wall, An arcuate truss structure constructed by connecting horizontal trusses (E) in a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russes (B);
Alternatively, the core 30 of the tent 30 may be inserted along the tent insertion rail groove 10 formed in the piercing beam 10 between the wall trusses F of the arched truss structure to join the tent 30 that;
Or extending or extending the arched truss structure by arranging or engaging a connecting truss (B) to the wall truss (F) at the end of the arched truss structure;
Alternatively, the core 31 of the tent 30 may be inserted along the tent insertion rail groove 10 formed in the piercing beam 10 between the wall trusses F of the elongated arcuate truss structure to form the tent 30 Combining;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the arcuate wall trusses F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concentric circles, and then the arcuate connecting trusses B may be arranged or joined to the arcuate unit trusses A A truss structure in the form of a dome constructed by horizontally joining an arcuate unit truss A between the arcuate connecting trusses B;
Alternatively, the core material 31 of the tent 30 may be inserted along the tent insertion rail groove 10 formed in the pillar beam 10 between the wall trusses F of the dome-shaped truss structure to form the tent 30 Combining;
A truss optionally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KR1020180067314A 2018-06-12 2018-06-12 truss Active KR1019319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314A KR101931911B1 (en) 2018-06-12 2018-06-12 tru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314A KR101931911B1 (en) 2018-06-12 2018-06-12 tru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911B1 true KR101931911B1 (en) 2018-12-21

Family

ID=64959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314A Active KR101931911B1 (en) 2018-06-12 2018-06-12 tru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911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449B1 (en) 2019-01-18 2019-09-02 방윤성 Lifting truss
CN110469130A (en) * 2019-09-26 2019-11-19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Tubular truss beam and tubular truss column ring flange installation mold and installation method
WO2020185937A1 (en) * 2019-03-11 2020-09-17 Radiant Images Inc. Versatile volumetric video camera rig
EP3862502A1 (en) * 2020-02-06 2021-08-11 Bematrix BVBA Modular truss structure
KR20230002159U (en) * 2022-05-04 2023-11-13 김찬종 Lightweight hybrid truss module and lightweight truss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757149B1 (en) 2024-11-15 2025-01-21 방윤성 Connecting Bracket of Integrated Trus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449B1 (en) 2019-01-18 2019-09-02 방윤성 Lifting truss
WO2020185937A1 (en) * 2019-03-11 2020-09-17 Radiant Images Inc. Versatile volumetric video camera rig
CN110469130A (en) * 2019-09-26 2019-11-19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Tubular truss beam and tubular truss column ring flange installation mold and installation method
CN110469130B (en) * 2019-09-26 2024-02-09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Pipe truss girder and pipe truss column flange plate mounting die and mounting method
EP3862502A1 (en) * 2020-02-06 2021-08-11 Bematrix BVBA Modular truss structure
KR20230002159U (en) * 2022-05-04 2023-11-13 김찬종 Lightweight hybrid truss module and lightweight truss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0498382Y1 (en) * 2022-05-04 2024-09-30 김명곤 Lightweight hybrid truss module and lightweight truss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757149B1 (en) 2024-11-15 2025-01-21 방윤성 Connecting Bracket of Integrated Tru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911B1 (en) truss
KR101751698B1 (en) Structure Of Connecting Steel Colum And PC beam
KR101233559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modular unit
KR101278983B1 (en) Modular unit and modular construction using the same
KR102146338B1 (en) Improved Table Frame Assembly
US20190063057A1 (en) Stiffener for Connecting Beams and Columns
JP6427120B2 (en) Bonding structure of wooden frame
JP3764020B2 (en) Steel frame structure
JP2009221748A (en) Column-beam joint structure and outdoor structure
KR101554093B1 (en) Reinforcing structure using hinged brace
JP5095502B2 (en) Fence or handrail structure
KR102351435B1 (en) Permanent Beam For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0485565B (en) A standardized light steel frame beam-column connection nod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JPH06185122A (en) Building unit, and unit building using the same
JPH08113982A (en) Device for joining column and beam of steel framed building
KR20170007194A (en) Wooden Bridge Structure for Biosphere Preservation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H05214770A (en) Connecting structure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JP2006241938A (en) Interconnecting metal fitting of column of balloon framing and beam and framework structural body of wooden building
KR20130036487A (en) A corner joint of modular building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3032191U (en) Housing joint hardware
JP3516768B2 (en) Building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669477B2 (en) Hut structure
JP4676609B2 (en) Unit building
JPH07229209A (en) Node fixed joint of skeleton construction constituted of steel frame, etc.
JP2519727Y2 (en) Column-beam joint structur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