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661B1 - A nozzle device for component mounter - Google Patents
A nozzle device for component moun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6661B1 KR102436661B1 KR1020170145373A KR20170145373A KR102436661B1 KR 102436661 B1 KR102436661 B1 KR 102436661B1 KR 1020170145373 A KR1020170145373 A KR 1020170145373A KR 20170145373 A KR20170145373 A KR 20170145373A KR 102436661 B1 KR102436661 B1 KR 1024366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nent
- pneumatic control
- porous member
- nozzle device
- control co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36 sorption--de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19 bra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81 foam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05K13/0409—Suck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제1 연결통로가 형성된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 연결 통로와 연결된 제2 연결 통로가 형성된 슬리브부와, 상기 슬리브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다공성 부재와, 상기 설치된 다공성 부재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부의 외주에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공압 조절 커버부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용 노즐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stallation portion having a first connection passage formed therein, a sleeve portion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portion and having a second connection passag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therein, and the sleeve portion It provides a nozzle device for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comprising a porous member installed at the end, and a pneumatic control cover part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leev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so as to cover at least a part of a side surface of the installed porous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IC 칩 등의 전자 부품이나 기계 부품을 실장하는 부품 실장기에 사용되는 노즐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zzle device used in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IC chips or mechanical components.
부품 실장기는, 실장 헤드를 이용하여 부품을 부품 공급부로부터 실장 대상 기판으로 이송하고, 실장 대상 기판 상의 소정 위치에 이송된 부품을 실장하는 장치이다.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is a device that transfers components from a component supply unit to a mounting target board using a mounting head, and mounts the transferred component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mounting target board.
일반적으로 실장 헤드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복수개의 스핀들을 구비하고 있는데, 스핀들의 단부에는 부품을 흡착하는 노즐이 설치된다. In general, a mounting hea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indles capable of vertical movement, and a nozzle for adsorbing components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spindle.
노즐의 내부에는 부압 또는 정압이 작용하는 통로가 설치되어 있는데, 부품을 흡착하는 경우 통로에 부압이 작용하며, 흡착된 부품을 내려놓는 경우에는 통로에 정압이 작용함으로써, 부품의 실장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A passage through which negative or positive pressure acts is installed inside the nozzle. When a component is adsorbed, negative pressure acts on the passage, and when the adsorbed component is put down, positive pressure acts on the passage, so that the component is mounted. do.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157635호에는 실장 헤드의 본체에 복수의 스핀들이 각각 축선 둘레의 T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선 방향에 따른 Z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스핀들의 끝단(하단)에 노즐 등의 부품 지지구가 장착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157635, a plurality of spindles are mounted on the main body of the mounting head to be rotatable in the T-direction around the axis, and to be movable in the Z-direc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the end (lower end) of the spindle. A configuration in which a component support such as a nozzle is mounted is disclos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공성 부재를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부품을 흡착하거나 흡착 해제할 수 있는 노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object is to provide a nozzle device capable of stably adsorbing or desorbing a component using a porous memb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제1 연결통로가 형성된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 연결 통로와 연결된 제2 연결 통로가 형성된 슬리브부;와, 상기 슬리브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다공성 부재;와, 상기 설치된 다공성 부재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부의 외주에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공압 조절 커버부;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용 노즐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stallation portion having a first connection passage formed therein; and a sleeve portion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portion and having a second connection passag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therein; A porous member installed at an end of the sleeve part; and a pneumatic control cover part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leeve part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so as to cover at least a part of a side surface of the installed porous member; provide the device.
여기서, 상기 슬리브부의 외주와 상기 공압 조절 커버부는 나사 결합으로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outer periphery of the sleeve part and the pneumatic control cover part may be installed by screw coupling.
여기서, 상기 다공성 부재는 세라믹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orous member may include a ceramic material.
여기서, 상기 공압 조절 커버부는 고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pneumatic control cover part may have a ring shape.
여기서, 상기 공압 조절 커버부의 외주에는 동력전달부가 설치될 수 있다.Here, a power transmission part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neumatic control cover part.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랙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include a rack gear unit.
여기서, 상기 설치부에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커버 구동부가 설치될 수 있다.Here, a cover driving unit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unit.
여기서, 부품 실장기용 노즐 장치는, 상기 커버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nozzle device for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ver driving unit.
여기서, 상기 설치부는 지지부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installation part may be installed with an elastic member interposed in the support par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노즐 장치에 따르면, 다공성 부재와 공압 조절 커버부를 이용하여 최적의 흡착력으로 부품을 안정적으로 흡착하거나 흡착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adsorbing or desorbing a component with an optimal adsorption force using the porous member and the pneumatic control cover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부품 실장기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품 실장기의 실장 헤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에 있어서 Y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노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노즐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노즐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노즐 장치가 비교적 큰 부품을 흡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노즐 장치가 비교적 작은 부품을 흡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노즐 장치가 부품의 흡착 작용을 시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노즐 장치가 부품의 흡착 작용을 완료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노즐 장치에서 부품을 분리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대한 노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노즐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unting head of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shown in FIG. 1 , and is a front view viewed from the Y direction in FIG. 1 .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zzle arrangement of Fig. 3;
5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sorbs a relatively large component.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sorbs a relatively small component.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an adsorption action of a component.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ompleted the adsorption action of the component.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parts are separated from a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ozzle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zzle arrangement of Fig. 1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d drawing, about the component which has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duplicate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by using the same code|symbo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부품 실장기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품 실장기의 실장 헤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에 있어서 Y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unting head of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shown in FIG. 1, in the Y direction in FIG. This is the front view.
부품 실장기(1)는, 실장 헤드(10), X 방향 빔(20), Y 방향 빔(30), 백업 테이블(40)을 포함하며, 기판 등의 실장 대상 기판(P)에 부품(전자 부품, 기계 부품 등)을 실장하기 위한 장치이다.The
실장 헤드(10)는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이며, 실장 헤드(1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스핀들(12)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mounting
도 1의 부품 실장기(1)는 2개의 실장 헤드(10)를 구비하고, 이들 실장 헤드(10)는 각각 Y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2개)의 X 방향 빔(20)에 설치되어 있다. 실장 헤드(10)는 X 방향 빔(20)에 X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The
또한, X 방향 빔(20)은 이와 직교하여 X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2개)의 Y 방향 빔(30) 사이에 걸쳐짐과 동시에, Y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Y 방향 빔(30)에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이상과 같이, X 방향 빔(20)과 Y 방향 빔(30)의 조합에 의해, 실장 헤드(10)는 수평면 내에서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실장 헤드(10)는 X 방향 및 Y 방향의 이동의 조합에 의해 부품 공급부(미도시)로 이동하여 부품을 흡착하고, 또 실장 위치에 반송되어 온 실장 대상 기판(P) 상의 소정 위치로 이동하여 그 실장 대상 기판(P) 상의 소정 위치에 부품을 실장한다.As described above, by the combination of the
백업 테이블(40)에는 복수개의 지지핀(41)들이 배치되며, 지지핀(41)들은 실장 작업 중에 실장 대상 기판(P)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 plurality of
지지핀(41)의 하부에는 지지핀(41)을 지지하는 베이스부(41a)가 배치되는데, 베이스부(41a)에는 자석 등이 배치될 수 있다. A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장 헤드(10)는 X 방향과 평행한 일면을 갖는 지지 플레이트(11)를 구비하고, 8개의 스핀들(12)이 지지 플레이트(11)의 상기 일면을 따라 X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 ,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실장 헤드(10)에는 스핀들(12)들이 X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장 헤드는 로터리식 실장 헤드를 가지고, 복수개의 스핀들(12)들이 실장 헤드에 원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In the
한편, 스핀들(12)의 각각의 단부에는 부압으로 부품을 직접 흡착하기 위한 부품 흡착용 노즐(12a)이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each end of the
부품 흡착용 노즐(12a)은 노즐 장치(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노즐 장치(100)는 노즐 홀더(미도시)로 스핀들(12)에 설치되게 된다.The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실시예에 대한 노즐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노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노즐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노즐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zzle device of FIG. 3 . 5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장치(100)는, 설치부(110), 슬리브부(120), 다공성 부재(130), 공압 조절 커버부(140)를 포함한다.3 to 5 , the
설치부(110)는 지지부(S)에 설치되는데, 부품이나 기판으로부터 오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탄성부재(K)를 개재하여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S)의 외면에는 노즐 홀더(미도시)가 끼워지는 설치홈(G)이 형성되어 있다. The
설치부(110)는, 기둥부(111)와 플레이트부(112)를 포함한다.The
기둥부(111)는 지지부(S)에 설치되는데, 외부로 보아서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기둥부(111)의 내부에는 제1 연결 통로(111a)가 형성되어 있다.The
플레이트부(112)는 대략적으로 원판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기둥부(111)에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한편, 슬리브부(120)는 설치부(110)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는 제1 연결 통로(111a)와 연결된 제2 연결 통로(120a)가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the
슬리브부(120)의 외주(121)에는 슬리브 나사(121a)가 형성되어 있는데, 슬리브 나사(121a)는 공압 조절 커버부(140)의 내주(141)에 형성된 커버 나사(141a)와 나사 결합한다.A
본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110)와 슬리브부(120)는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조 과정에서 한번에 일체로 형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부와 슬리브부는 별개로 형성된 후, 제조과정에서 용접, 납땜, 브레이징, 접착제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접합될 수도 있다. The
다공성 부재(130)는 그 단면이 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슬리브부(120)의 단부에 설치되며, 그 크기는 슬리브부(120)의 외주(121)의 형상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부재(130)는 그 단면이 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부재의 구체적인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부재는 그 단면이 다각형, 타원형 등의 형상이 될 수 있다. The
다공성 부재(130)는 슬리브부(120)의 단부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되도록 설치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부재는 다양한 방식으로 슬리브부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사 결합, 접착 테이프, 납땜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다공성 부재(130)는 그 내부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공 구조를 가지고, 부품을 흡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부압이 작용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면 되고, 그 외의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다공성 부재(130)로서 발포 플라스틱, 발포 콘크리트, 다공성 세라믹, 다공성 금속 등의 다양한 구조와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공성 부재는 부품을 흡착하거나 흡착 해제가 가능해야 하므로, 가급적 정전기의 발생이 적은 구조와 소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공압 조절 커버부(140)는 중공형 고리의 형상을 가지고 슬리브부(120)의 외주(121)에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pneumatic
공압 조절 커버부(140)는 다공성 부재(13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슬리브부(120)의 외주(121)에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공압 조절 커버부(140)는 슬리브부(120)를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필요한 경우에 작업자는 공압 조절 커버부(140)를 상하로 이동시켜 다공성 부재(13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공압 조절 커버부(140)의 내주(141)에는 커버 나사(141a)가 형성되어 슬리브부(120)의 슬리브 나사(121a)와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공압 조절 커버부(140)를 회전시키면 공압 조절 커버부(140)는 슬리브부(120)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부(120)의 외주(121)와 공압 조절 커버부(140)의 내주(141)는 나사 결합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공압 조절 커버부가 슬리브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면 되고, 그 외의 공압 조절 커버부와 슬리브부의 구체적인 결합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공압 조절 커버부의 내주와 슬리브부의 외주는 나사 결합이 없이 단순히 미끄럼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노즐 장치(100)를 이용하여 부품 실장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자는 부품 실장 작업을 수행할 부품의 종류, 형태를 파악한 후, 부품 실장 작업 전에 미리 수동으로 공압 조절 커버부(140)를 회전시켜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공압 조절 커버부(140)로 다공성 부재(130)의 측면을 원하는 정도로 덮도록 세팅한 다음에, 부품 실장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When a component mounting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부품 실장 작업 전에 미리 수동으로 공압 조절 커버부(140)를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공압 조절 커버부(140)로 다공성 부재(130)의 측면을 원하는 정도로 덮도록 세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실장할 부품의 종류 별로 미리 다공성 부재(130)의 측면의 노출 정도를 결정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 후, 부품 실장 시에 별도의 촬상 장치로 픽업할 부품을 촬상하고 부품 인식 장치로 부품의 종류를 인식하여 그에 따라 자동으로 공압 조절 커버부(140)의 상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는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operator sets to cover the side of the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부품의 형태 중의 하나인 '크기'에 따라 공압 조절 커버부(140)를 조절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method of adjusting the pneumatic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노즐 장치가, 비교적 큰 부품을 흡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노즐 장치가, 비교적 작은 부품을 흡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sorbing a relatively large part, and FIG. 7 is a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sorbing a relatively small part. It is a schematic drawing showing the state of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장치가 비교적 큰 부품을 흡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First, as shown in FIG. 6, the case where the nozzle apparatus adsorb|sucks a comparatively large component is demonstrated.
노즐 장치(100)가 비교적 큰 부품(C1)을 흡착하는 경우에, 부품(C1)이 다공성 부재(130)에 접촉하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부품(C1)에 작용하는 흡착력도 그만큼 크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공압 조절 커버부(140)가 다공성 부재(130)의 측면의 일부만을 덮도록 하거나 다공성 부재(130)의 측면을 아예 덮지 않도록 세팅할 수 있다. 만약 이 경우 공압 조절 커버부(140)가 다공성 부재(130)의 측면의 전부를 덮도록 한다면 흡착력이 부품(C1)에 지나치게 크게 작용하게 될 우려가 있는데, 만일 부품(C1)이 충분히 얇은 박막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면 부품(C1)에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게 된다.In the case where the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장치가 비교적 작은 부품을 흡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Next, as shown in FIG. 7, the case where the nozzle apparatus adsorb|sucks a comparatively small component is demonstrated.
노즐 장치(100)가 비교적 작은 부품(C2)을 흡착하는 경우에는 부품(C2)이 다공성 부재(130)에 접촉하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부품(C2)에 작용하는 흡착력이 그만큼 작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공압 조절 커버부(140)가 다공성 부재(130)의 측면의 거의 전부를 덮도록 세팅한다. 만약 이 경우 공압 조절 커버부(140)가 다공성 부재(130)의 측면의 일부만을 덮거나 아예 덮지 않는다면 흡착력이 부품(C2)에 지나치게 작게 작용하여 부품(C2)의 픽업이 되지 않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When the
이상과 같이, 흡착할 부품의 크기에 따라 공압 조절 커버부(14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였지만, 흡착할 부품의 무게, 부품의 두께 등에 따라 공압 조절 커버부(14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공압 조절 커버부(140)의 상하 위치의 조절은 다양한 기준과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n example of a method of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pneumatic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 장치(100)가 부품(C3)을 흡착/흡착 해제하는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 an operation in which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노즐 장치가 부품의 흡착 작용을 시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노즐 장치가 부품의 흡착 작용을 완료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노즐 장치에서 흡착을 해제하여 부품을 분리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the adsorption action of the part, and FIG. 9 is the nozz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s the adsorption action of the part It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state, and FIG.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rts are separated by releasing the suction in the nozz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작업자는 부품(C3)을 흡착하기 전에 부품(C3)의 종류, 형태 등에 따라 공압 조절 커버부(140)를 회전시켜 공압 조절 커버부(140)의 상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흡착력을 적절히 조정하는 세팅 공정을 수행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부품(C3)의 종류, 형태 등에 따라 최적의 흡착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각 부품(C3)의 종류, 형태 등에 따라 공압 조절 커버부(14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작업이 필요하다.First, before adsorbing the component (C3), the operator rotates the pneumatic
이어, 도 8을 참조하여, 노즐 장치(100)의 다공성 부재(130)의 하면에 부품(C3)이 닿은 후, 부압에 기인한 흡착력에 의해 부품(C3)이 다공성 부재(130)의 하면에 흡착되는 작동을 설명한다.Next, referring to FIG. 8 , after the component C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부품(C)을 흡착하라는 명령이 내려지면, 제어 프로그램 또는 작업자는 스핀들(12)을 적절히 이동시킨 후 하강시켜, 부품 적재 장치(U)의 상면에 놓여진 부품(C3)의 상면에 다공성 부재(130)의 하면이 닿도록 한다.When a command to suck the part C is given, the control program or the operator moves the
그 다음, 해당 스핀들(12)에 진공(부압)을 작용시키면, 스핀들(12)의 공기 통로에 연통된 기둥부(111)의 제1 연결 통로(111a)와 슬리브부(120)의 제2 연결 통로(120a)에도 부압이 작용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제2 연결 통로(120a)에 연통된 다공성 부재(130)에도 부압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부품(C3)은 다공성 부재(130)의 하면에 흡착된다.Then, when a vacuum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노즐 장치(100)가 부품(C3)을 흡착한 후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프로그램 또는 작업자는 스핀들(12)을 적절히 움직여, 부품(C3)을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킨다. 이 때에도 제1 연결 통로(111a), 제2 연결 통로(120a), 다공성 부재(130)에는 부압이 계속 유지됨으로써, 부품(C3)이 다공성 부재(130)에 흡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After the
노즐 장치(100)가 부품(C3)을 흡착한 후 실장 대상 기판(P)에 도달하여 부품(C3)을 내려놓은 다음에 흡착 상태를 해제하는 작동을 도 10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An operation in which the
부품(C)의 흡착을 해제하라는 명령이 내려지면, 제어 프로그램 또는 작업자는 해당 스핀들(12)에 약간의 정압을 작용시킨다. 그렇게 되면, 스핀들(12)의 공기 통로에 연통된 기둥부(111)의 제1 연결 통로(111a)와 슬리브부(120)의 제2 연결 통로(120a)에도 정압이 작용하게 되고, 이어 제2 연결 통로(120a)에 연통된 다공성부재(130)에도 정압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C3)에 작용하는 흡착력이 사라져 부품(C3)은 다공성부재(130)의 하면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When the command to release the suction of the component C is issued, the control program or operator applies a small amount of positive pressure to the corresponding
노즐 장치(100)가 부품(C)의 흡착 작용을 해제하게 되면, 제어 프로그램 또는 작업자는 스핀들(12)을 적절히 움직여 다음번의 부품의 흡착을 위해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 장치(100)가 부품(C3)의 흡착 상태를 해제하는 과정에서, 제어 프로그램 또는 작업자는 해당 스핀들(12)에 약간의 정압을 작용시키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노즐 장치(100)가 부품(C3)의 흡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능동적으로 정압을 가하지 않고, 노즐 장치(100)의 부압 상태만을 해제하여도 흡착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그 경우, 빠른 응답성을 위해 정전기력의 발생이 적은 소재의 다공성부재(1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ile the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 장치(100)는, 스핀들(12)에 작용하는 공압(정압 또는 부압)과 다공성부재(130)를 이용하여 부품의 흡착/흡착 해제를 수행하므로, 부품의 이송, 실장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 장치(100)는, 부품의 흡착/흡착 해제를 위한 부압/정압이 다공성부재(130)를 통하여 작용하고, 공압 조절 커버부(140)의 상하 위치로 흡착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부품을 안전하고 빠르게 흡착/흡착 해제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대한 노즐 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노즐 장치(2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부(210), 슬리브부(220), 다공성 부재(230), 공압 조절 커버부(240), 커버 구동부(250), 제어부(2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1 and 12 , the
설치부(210)는 지지부(S)에 설치되는데, 부품이나 기판으로부터 오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탄성부재(K)를 개재하여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S)의 외면에는 노즐 홀더(미도시)가 끼워지는 설치홈(G)이 형성되어 있다. The
설치부(210)는, 내부에 제1 연결 통로(211a)가 형성된 기둥부(211)와 플레이트부(212)를 포함한다.The
한편 슬리브부(220)는 설치부(210)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는 제1 연결 통로(211a)와 연결된 제2 연결 통로(220a)가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the
슬리브부(220)의 외주(221)와 공압 조절 커버부(240)의 내주(241)는 서로 매끄럽게 구성되어 공압 조절 커버부(240)가 슬리브부(220)를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된다. The
다공성 부재(230)는 슬리브부(220)의 단부에 설치되며, 그 크기는 슬리브부(220)의 외주의 형상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하면 되는데, 그 구체적인 소재, 형태 등의 구성은 전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부재(13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한편, 공압 조절 커버부(240)는 전체적으로 중공형의 고리 형상을 가지고 슬리브부(220)의 외주에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pneumatic
공압 조절 커버부(240)는 다공성 부재(23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슬리브부(220)의 외주에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공압 조절 커버부(240)는 슬리브부(220)를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필요한 경우에 작업자는 공압 조절 커버부(240)를 상하로 이동시켜 다공성 부재(230)의 측면을 덮도록 함으로써 흡착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The
이를 위해, 공압 조절 커버부(240)의 외주(242)에는 동력전달부인 랙 기어부(243)가 설치되어 있고, 랙 기어부(243)는 커버 구동부(2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므로, 커버 구동부(250)가 구동하게 되면 공압 조절 커버부(240)가 슬리브부(22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To this end, the
커버 구동부(250)는 설치부(210)에 설치되는데, 랙 기어부(243)에 동력을 전달하여 공압 조절 커버부(240)를 상하로 움직이게 한다. The
커버 구동부(250)는 모터(251)를 포함하며, 커버 구동부(250)의 축에는 랙 기어부(243)와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252)가 동력전달부로 설치되어 있다. 모터(251)가 작동하게 되면 피니언 기어(252)가 회전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피니언 기어(252)에 치합된 랙 기어부(243)가 상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공압 조절 커버부(240)가 슬리브부(220)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모터(251)에서 발생된 동력은 피니언 기어(252)로 전달되는데, 모터(251)와 피니언 기어(252) 사이에는 감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구동부(250)의 동력을 공압 조절 커버부(24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는, 랙 기어부(243)와 피니언 기어(252)로 구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 구동부(250)의 동력을 공압 조절 커버부(240)에 전달하여 공압 조절 커버부(240)를 상하로 움직일 수만 있으면 되고, 그 외의 동력전달부의 구체적인 구조, 형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동력전달부의 구조로서 마찰차, 캠, 체인, 로프 등의 다양한 동력전달기구가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한편, 제어부(260)는 설치부(210)에 배치된다. 제어부(260)는 소프트웨어가 내장거나 로딩이 가능한 집적회로칩, 전기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60)는 설치부(210)에 배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커버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으면 되고, 그 구체적인 형식, 형태, 설치 위치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범용 하드웨어에 설치되는 펌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부품 실장기(1)의 메인 제어부(미도시)의 일부분이 제어부(26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그 경우 유/무선으로 커버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제어부(260)는 커버 구동부(250)를 제어하여 공압 조절 커버부(240)의 상하 움직임을 조절하게 된다. 즉 제어부(260)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 또는 작업자의 지시를 받아 각 부품에 따른 최적의 흡착력을 계산하고, 그 최적의 흡착력에 따라 공압 조절 커버부(240)의 상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흡착력으로 부품의 흡착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촬상 장치(미도시)와 부품 인식 장치(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된다면, 픽업할 부품을 촬상하여 그 종류를 인식하고, 그에 따라 자동으로 공압 조절 커버부(240)의 상하 위치를 적절히 조정할 수도 있다. The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노즐 장치(200)는, 스핀들(12)에 작용하는 공압(정압 또는 부압)과 다공성부재(230)를 이용하여 부품의 흡착/흡착 해제를 수행하므로, 부품의 이송, 실장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노즐 장치(200)는, 부품의 흡착/흡착 해제를 위한 부압/정압이 다공성부재(230)를 통하여 작용하고, 제어부(260)로 커버 구동부(250)를 제어함으로써 공압 조절 커버부(240)의 상하 위치의 조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 흡착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부품을 안전하고 빠르게 흡착/흡착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일 변형예에 따른 노즐 장치(200)는 커버 구동부(250)와 제어부(260)의 구성에 의해 자동으로 공압 조절 커버부(240)의 상하 위치를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부품 별로 더욱 정확하고 빠르게 흡착/흡착 해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의 일 측면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point can be understood. Accordingly, the tru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품 실장기의 관련 사업에 이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sed in the related business of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100, 200: 노즐 장치 110, 210: 설치부
120, 220: 슬리브부 130, 230: 다공성 부재
140, 240: 공압 조절 커버부 250: 커버 구동부
260: 제어부100, 200:
120, 220:
140, 240: pneumatic control cover unit 250: cover driving unit
260: control unit
Claims (9)
상기 설치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 연결 통로와 연결된 제2 연결 통로가 형성된 슬리브부;
상기 슬리브부의 단부에 설치되며 부품에 접촉하는 다공성 부재; 및
상기 설치된 다공성 부재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부의 외주에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공압 조절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압 조절 커버부의 상하 이동으로 상기 다공성 부재의 측면을 덮는 정도를 변화시켜 상기 부품에 작용하는 흡착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부품 실장기용 노즐 장치.an installation part having a first connection passage formed therein;
a sleeve portion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portion and having a second connection passag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therein;
a porous member installed at an end of the sleeve and in contact with the component; and
It includes a pneumatic control cover part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leeve part so as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installed porous member,
By changing the degree of covering the side surface of the porous member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neumatic control cover part, the size of the adsorption force acting on the part is adjusted, a nozzle device for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상기 다공성 부재는 세라믹 소재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용 노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orous member is a nozzle device for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comprising a ceramic material.
상기 공압 조절 커버부는 고리의 형상을 가지는 부품 실장기용 노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neumatic control cover part is a nozzle device for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having a ring shape.
상기 공압 조절 커버부의 외주에는 동력전달부가 설치되는 부품 실장기용 노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nozzle device for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in which a power transmission part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neumatic control cover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5373A KR102436661B1 (en) | 2017-11-02 | 2017-11-02 | A nozzle device for component moun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5373A KR102436661B1 (en) | 2017-11-02 | 2017-11-02 | A nozzle device for component moun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0140A KR20190050140A (en) | 2019-05-10 |
KR102436661B1 true KR102436661B1 (en) | 2022-08-26 |
Family
ID=6658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5373A Active KR102436661B1 (en) | 2017-11-02 | 2017-11-02 | A nozzle device for component moun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6661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31283B2 (en) * | 1994-11-29 | 2002-10-07 |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 Vacuum suction device and static pressure bearing of mounting machine |
JP2006165315A (en) | 2004-12-08 | 2006-06-22 | Juki Corp | Suction nozzle |
JP2011151173A (en) * | 2010-01-21 | 2011-08-04 | Fujitsu Ltd | Component mounter and method for mounting component |
JP2012238791A (en) * | 2011-05-13 | 2012-12-06 | Fuji Mach Mfg Co Ltd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achine |
WO2014132292A1 (en) | 2013-02-28 | 2014-09-04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Suction nozzle and surface mount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9886U (en) * | 1991-11-01 | 1993-05-28 |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 Suction device with variable caliber |
JPH10135694A (en) * | 1996-11-05 | 1998-05-22 | Sony Corp | Hand-mounting apparatus for microcomponents |
JP3005505B2 (en) * | 1997-09-01 | 2000-01-31 | 山形日本電気株式会社 | Vacuum suction device for resin molded lead frame |
-
2017
- 2017-11-02 KR KR1020170145373A patent/KR10243666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31283B2 (en) * | 1994-11-29 | 2002-10-07 |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 Vacuum suction device and static pressure bearing of mounting machine |
JP2006165315A (en) | 2004-12-08 | 2006-06-22 | Juki Corp | Suction nozzle |
JP2011151173A (en) * | 2010-01-21 | 2011-08-04 | Fujitsu Ltd | Component mounter and method for mounting component |
JP2012238791A (en) * | 2011-05-13 | 2012-12-06 | Fuji Mach Mfg Co Ltd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achine |
WO2014132292A1 (en) | 2013-02-28 | 2014-09-04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Suction nozzle and surface mount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0140A (en) | 2019-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37994B2 (en) | Robot hand for holding object, robot, robot system, and method of holding object | |
KR101377015B1 (en) | Display glass substrate centering device | |
JP6609293B2 (en) | Holding nozzle, holding head, and transfer device | |
CN107637190B (en) |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component mounting machine | |
WO2018121069A1 (en) | Lamination apparatus | |
JP6499768B2 (en) | Component mounter, component holding member imaging method | |
KR102436661B1 (en) | A nozzle device for component mounter | |
CN107529332B (en) | Nozzle assembly for component placement machines | |
JP5507775B1 (en) | Bonding apparatus and bonding method | |
KR100988229B1 (en) | Printed Circuit Board Supply System | |
JP7049146B2 (en) | Parts holding head | |
KR20090018430A (en) | A transfer machine for panel movement | |
TW201919831A (en) | Robot hand, robo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apparatus | |
JP6047239B2 (en) | Component suction nozzle and component mounting device | |
JP6147928B2 (en) | Component suction nozzle, component transport device, and component mounting device | |
KR101528607B1 (en) | trans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panel | |
JP2011177874A (en) |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position of rotary plate | |
KR102340087B1 (en) | Mounting device and mounting method | |
JP4230740B2 (en) | Alignment device | |
WO2017081809A1 (en) | Component-mounting device, component-mounting method, and surface-mounting device | |
CN220290779U (en) | Transfer table, calibration device and die bonder | |
CN213976067U (en) | Material loading aligning device | |
JP3901279B2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equipment | |
JP2549832B2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system that can change the attitude of electronic components | |
JPWO2024218832A5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1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