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29727B1 - 압박 테이핑 양말 - Google Patents

압박 테이핑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727B1
KR102429727B1 KR1020210003094A KR20210003094A KR102429727B1 KR 102429727 B1 KR102429727 B1 KR 102429727B1 KR 1020210003094 A KR1020210003094 A KR 1020210003094A KR 20210003094 A KR20210003094 A KR 20210003094A KR 102429727 B1 KR102429727 B1 KR 102429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yarn
denier
user
spande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1263A (ko
Inventor
이지수
Original Assignee
이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수 filed Critical 이지수
Priority to KR1020210003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727B1/ko
Priority to PCT/KR2021/020166 priority patent/WO2022149791A1/ko
Publication of KR20220101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7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3Hosiery with intermediate sections of different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8Hosiery with an anti-slip c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압박 테이핑 기능성 양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운동 수행능력을 증진시키는 기능성 양말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은 키네시오 테이핑 공법이 적용되어 사용자의 혈액순환을 개선하며, 강화된 지지력을 제공하여 안정적이고 정확한 운동을 수행하게 한다.

Description

압박 테이핑 양말{COMPRESSION TAPING SOCKS}
본 명세서는 양말 자체적으로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운동수행 능력을 증진시키는 압박 테이핑 효과를 낼 수 있는 기능성 양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말은 맨발에 신도록 실이나 섬유로 짠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양말은 사용자의 신체 중 다리를 덮어 착용됨으로써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고, 체온을 유지시키며, 땀과 습기를 흡수하여 신체를 쾌적하게 한다. 최근 이러한 양말과 관련하여 발을 감싸 보호하는 고전적인 기능을 넘어서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성 양말들이 각 기능별로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기능성 양말 중 압박 양말은 사용자의 착용 부위에 압력을 제공하여 혈액순환을 개선하거나 운동 중 적절한 지지력을 주어 운동 수행능력을 높인다. 이러한 압박 양말은 전체 또는 일 영역을 탄성사로 제직하여 착용시 사용자에게 압력을 제공한다.
적절하지 못한 탄성사를 이용한 종래의 압박 양말의 경우는 장시간 활동 및 운동시 과도한 탄성력으로 인해 다리저림 증상을 발생시키거나 혈액순환을 방해하며 양말을 벗은 후에도 자국이 남는 등 착용감이 불량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탄성력이 미미한 경우 압력을 제공하지 못하여 지지력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99790호
일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양말은 사용자의 혈액순환을 개선하며, 하체의 지지력을 강화하여 안정적이고 정확한 운동을 수행하게 하는 기능성 양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바닥부터 발목까지 감쌀 수 있는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에 연결되어 적어도 사용자의 종아리를 감쌀 수 있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부는 제1 압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부는 제2 압박 영역을 포함하는 기능성 양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압박 영역 및 제2 압박 영역은 키네시오 테이핑 공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압박 영역은 제2 압박 영역 보다 높은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압박 영역은 사용자의 발등 부분과 발아치 부분을 감싸는 바닥 압박부; 및 사용자의 발목 부분을 감싸는 발목 압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목 압박부는 바닥 압박부 보다 낮은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압박 영역은 사용자의 비복근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상측 압박부; 및 상기 상측 압박부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사용자의 아킬레스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하측 압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측 압박부는 상측 압박부 보다 높은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본체부는 바닥 부분에 하나 이상의 미끄럼 방지 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은 장시간 착용하여도 다리붓기 및 다리절임이 감소되어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은 사용자의 하체에 강화된 지지력을 제공하여 안정적이고 정확한 운동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은 키네시오 테이핑 공법이 적용되어 사용자의 종아리 근육(비복근)을 튼튼히 지탱해 주어 무릎으로 전해지는 진동을 줄이며 근지구력 향상과 피로도를 감소시킨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은 사용자의 아킬레스건을 보호하고 근육으로 전해지는 진동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은 압박 영역을 통해 사용자의 발 아치를 지원하여 발바닥 근막의 긴장을 완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방향성과 관련된 언급은 일반적으로 의류의 전형적인 착용시의 표준 해부학 용어와 관련된다. 따라서, "상측", "상측의", "근위" 및 "근위의"와 같은 용어는 일반적으로 사람의 머리 또는 신체 중심의 일반적인 방향(예를 들어, 사람이 서있을 때 일반적으로 위쪽으로)과 관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유사하게, "하측", "하측의" "원위" 및 "원위의"와 같은 용어는 일반적으로 사람의 머리 또는 신체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예를 들어, 사람이 서 있을 때 일반적으로 아래쪽으로)에 관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방의"와 같은 용어는 인체의 전방을 향한 일반적인 방향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후방" 또는 "후방의"와 같은 용어는 인체의 후방을 향한 일반적인 방향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종 방향"과 같은 용어는 사지를 따르는 일반적인 방향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횡단 방향"과 같은 용어는 사지를 따르는 것과 반대되게 가로지르는 일반적인 방향과 관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개개인의 개인적인 해부학적 특성은 다를 수 있으므로, 위에서 언급된 용어는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엄격하게 직교 방향으로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은 사용자의 발바닥부터 발목까지 감쌀 수 있는 제1 본체부(110); 및 상기 제1 본체부(110)에 연결되어 적어도 사용자의 종아리를 감쌀 수 있는 제2 본체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부(110)는 제1 압박 영역(210)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본체부(130)는 제2 압박 영역(230)을 포함한다.
제1 본체부(110)는 사용자의 발 및 발목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본체부(110)의 임의의 영역에서 제1 압박 영역(210)이 형성된다. 제1 압박 영역(210)은 제1 본체부(110) 보다 높은 탄성계수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을 압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압박 영역(210)은 제1 본체부(110) 보다 탄성력이 강한 원사로 형성되거나, 제1 본체부(110)와 동일한 원사로 형성되되 제1 본체부(110)의 밀도에 비해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본체부(110)의 원사로는, 예를 들어, 100 내지 200 데니어의 면사, 폴리에스테르사, 레이온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압박 영역(210)의 원사로는 커버링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링사는 중심사가 스판덱스이고 상기 중심사를 감싸는 꼬임사가 폴리에스테르사, 나일론사, 아크릴사, 레이온사, 폴리프로필렌사, 폴리에스터사, 폴리에틸렌사, 폴리비닐알코올사, 폴리염화비닐사, 폴리염화비닐리덴사 및 아라미드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압박 영역(210)의 원사로는 15 데니어 스판덱스/ 75 데니어 폴리에스테르의 커버링사, 20 데니어 스판덱스/ 75 데니어 폴리에스테르의 커버링사, 30 데니어 스판덱스/ 75 데니어 폴리에스테르의 커버링사, 40 데니어 스판덱스/ 75 데니어 폴리에스테르의 커버링사, 30 데니어 스판덱스/ 15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의 커버링사, 40 데니어 스판덱스/ 15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의 커버링사, 15 데니어 스판덱스/ 75 데니어 나일론의 커버링사, 20 데니어 스판덱스/ 75 데니어 나일론의 커버링사, 30 데니어 스판덱스/ 75 데니어 나일론의 커버링사, 40 데니어 스판덱스/ 75 데니어 나일론의 커버링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본체부(130)는 제1 본체부(110)에 연결되어 적어도 사용자의 종아리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제2 본체부(130)의 임의의 영역에서 제2 압박 영역(230)이 형성된다. 제2 압박 영역(230)은 제2 본체부(130) 보다 높은 탄성계수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을 압박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압박 영역(230)은 제2 본체부(130) 보다 탄성력이 강한 원사로 형성되거나, 제2 본체부(130)와 동일한 원사로 형성되되 제2 본체부(130)의 밀도에 비해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본체부(130)의 원사로는, 예를 들어, 100 내지 200 데니어의 면사, 폴리에스테르사, 레이온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압박 영역(230)의 원사로는 커버링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링사는 중심사가 스판덱스이고 상기 중심사를 감싸는 꼬임사가 폴리에스테르사, 나일론사, 아크릴사, 레이온사, 폴리프로필렌사, 폴리에스터사, 폴리에틸렌사, 폴리비닐알코올사, 폴리염화비닐사, 폴리염화비닐리덴사 및 아라미드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압박 영역(230)의 원사로는 15 데니어 스판덱스/ 75 데니어 폴리에스테르의 커버링사, 20 데니어 스판덱스/ 75 데니어 폴리에스테르의 커버링사, 30 데니어 스판덱스/ 75 데니어 폴리에스테르의 커버링사, 40 데니어 스판덱스/ 75 데니어 폴리에스테르의 커버링사, 30 데니어 스판덱스/ 15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의 커버링사, 40 데니어 스판덱스/ 15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의 커버링사, 15 데니어 스판덱스/ 75 데니어 나일론의 커버링사, 20 데니어 스판덱스/ 75 데니어 나일론의 커버링사, 30 데니어 스판덱스/ 75 데니어 나일론의 커버링사, 40 데니어 스판덱스/ 75 데니어 나일론의 커버링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압박 영역(210) 및 제2 압박 영역(230)은 키네시오 테이핑 공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키네시오 테이핑 공법은 관절을 움직이는 주동근의 작용을 정상화하기 위해 해당 근육 부위에 압박 영역을 배치하여 근육의 긴장도를 억제 또는 촉진시켜 국소적인 통증 완화와 근육 기능을 증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키네시오 테이핑 공법을 적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의 압박 영역을 사용자의 비복근 부위에 배치하여 종아리 근육을 튼튼히 지탱해 주어 부상을 방지하고 근지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압박 영역(210)은 제2 압박 영역(230) 보다 높은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제1 압박 영역(210)의 보다 높은 탄성계수로 인해 제2 압박 영역(230) 보다 강하게 압박하여 사용자의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며 사용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압박 영역(210)의 탄성계수와 상기 제2 압박 영역(230)의 탄성계수의 비는 1.2 내지 5 : 1,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4 :1,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 : 1,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3 : 1,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 : 1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압박 영역(210)은, 사용자의 발등 부분과 발아치 부분을 감싸는 바닥 압박부(211); 및 사용자의 발목 부분을 감싸는 발목 압박부(2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뒷꿈치를 감싸는 뒷꿈치 압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목 압박부(213)는 상기 바닥 압박부(211) 및 뒷꿈치 압박부 보다 낮은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목 압박부(213)의 탄성계수와 상기 바닥 압박부(211) 및 뒷꿈치 압박부의 탄성계수의 비는 1 : 1.1 내지 3, 바람직하게는 1 : 1.2 내지 3, 바람직하게는 1 : 1.2 내지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3 내지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3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압박 영역(230)은, 사용자의 비복근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상측 압박부(231); 및 상기 상측 압박부(231)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사용자의 아킬레스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하측 압박부(23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측 압박부(233)는 상측 압박부(231) 보다 높은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측 압박부(233)의 탄성계수와 상기 상측 압박부(231)의 탄성계수의 비는 1.3 내지 4 : 1,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 : 1,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 : 1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본체부(210)는 바닥 부분에 하나 이상의 미끄럼 방지 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패드는 사용자가 기능성 양말을 착용하였을 시, 사용자가 딛고 있는 바닥면과 마찰을 향상시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바닥 부분은 사용자가 기능성 양말을 착용하였을 시 발바닥이 위치한 부분을 지칭하며, 바닥면은 사용자가 딛고 있는 바닥을 지칭한다.
[실시예 1] 기능성 양말의 제조
하기 표 1 및 2의 구성으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양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양말은 발바닥부터 종아리를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제조하였으며 압박 영역은 키네시오 테이핑 공법을 적용하였다. 각 원사는 1500TM을 준 상태 연사하여 제직하였다. 실시예 3의 기능성 양말의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본체부 제1 본체부 15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분섬사
15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분섬사
15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분섬사
제2 본체부 15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분섬사
15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분섬사
15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분섬사
제1 압박 영역 바닥 압박부 3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4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4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뒷꿈치 밥박부 3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4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4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발목 압박부 3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3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3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제2 압박 영역 상측 압박부 2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2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15/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하측 압박부 2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2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2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본체부 제1 본체부 15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분섬사
15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분섬사
15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분섬사
제2 본체부 15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분섬사
15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분섬사
15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분섬사
제1 압박 영역 바닥 압박부 15/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4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2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뒷꿈치 밥박부 15/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4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2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발목 압박부 15/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4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2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제2 압박 영역 상측 압박부 15/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4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4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하측 압박부 15/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4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40/75 스판덱스/폴리에스테르
[실시예 2] 혈액순환 개선 효과 평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혈액순환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20 내지 40대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을 6시간 동안 착용하게 한 후 혈액순환 개선에 대한 설문을 수행하였다. 혈액순환 개선 효과는 다리붓기 및 다리절임 정도를 5점 만점 척도로 하여 평균을 내어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다리붓기 및 다리절임 항목의 점수가 낮을수록 하지 혈액순환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다리붓기 2.5 1.5 1 4 3 4.5
다리절임 2 1 1.5 4 4.5 4
표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각각의 압박 영역의 탄성계수를 달리하여 단계적인 압박을 제공하는 실시예 1 내지 3이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다리붓기 및 다리절임이 낮게 나타나 하지 혈액순환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사용감 개선 효과 평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사용감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20 내지 30대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을 착용하여 하고 1시간 동안 풋살을 하게 한 후 사용감 및 지지력에 대해 설문을 수행하였다. 사용감 및 지지되는 정도를 5점 만점 척도로 하여 평균을 내어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사용감 4 3.5 4.5 3 1.5 1
지지력 3.5 4.5 4 2 4 3
표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각각의 압박 영역의 탄성계수를 달리하여 단계적인 압박을 제공하는 실시예 1 내지 3이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운동시 사용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보다 높은 지지력을 제공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0: 제1 본체부
130: 제2 본체부
210: 제1 압박 영역
211: 바닥 압박부
213: 발목 압박부
230: 제2 압박 영역
231: 상측 압박부
233: 하측 압박부

Claims (8)

  1. 사용자의 발바닥부터 발목까지 감쌀 수 있는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에 연결되어 적어도 사용자의 종아리를 감쌀 수 있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부는 제1 압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압박 영역은, 사용자의 발등 부분과 발아치 부분을 감싸는 바닥 압박부, 사용자의 발목을 감싸는 발목 압박부 및 사용자의 뒷꿈치를 감싸는 뒷꿈치 압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본체부는 제2 압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압박 영역은, 사용자의 비복근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상측 압박부 및 상기 상측 압박부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사용자의 아킬레스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하측 압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압박 영역의 탄성계수와 제2 압박 영역의 탄성계수의 비는 2 : 1이고,
    상기 제1 본체부 빛 상기 제2 본체부는 150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분섬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 압박부 및 상기 뒷꿈치 압박부는 40 데니어 스판덱스/75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커버링사를 원사로 포함하고,
    상기 발목 압박부는 30 데니어 스판덱스/75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커버링사를 원사로 포함하며,
    상기 상측 압박부는 15 데니어 스판덱스/75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커버링사를 원사로 포함하고,
    상기 하측 압박부는 20 데니어 스판덱스/75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커버링사를 원사로 포함하는, 기능성 양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박 영역 및 제2 압박 영역은 키네시오 테이핑 공법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말.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압박부는 바닥 압박부 보다 낮은 탄성계수를 갖는, 기능성 양말.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압박부는 상측 압박부 보다 높은 탄성계수를 갖는, 기능성 양말.
  8. 제1항, 제2항,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는 바닥 부분에 하나 이상의 미끄럼 방지 패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말.
KR1020210003094A 2021-01-11 2021-01-11 압박 테이핑 양말 Active KR102429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094A KR102429727B1 (ko) 2021-01-11 2021-01-11 압박 테이핑 양말
PCT/KR2021/020166 WO2022149791A1 (ko) 2021-01-11 2021-12-29 압박 테이핑 양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094A KR102429727B1 (ko) 2021-01-11 2021-01-11 압박 테이핑 양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263A KR20220101263A (ko) 2022-07-19
KR102429727B1 true KR102429727B1 (ko) 2022-08-05

Family

ID=8235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094A Active KR102429727B1 (ko) 2021-01-11 2021-01-11 압박 테이핑 양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9727B1 (ko)
WO (1) WO20221497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9383B1 (ko) * 2024-05-27 2024-09-23 주식회사 아이엠스포츠 기능성 스포츠 양말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3005A (ja) 1999-04-12 2002-01-18 Romu:Kk ハイソックス
JP2005256252A (ja) 2004-03-15 2005-09-22 Wacoal Corp 脚部サポート用衣類
JP2006009216A (ja) * 2004-06-29 2006-01-12 Alcare Co Ltd 弾力性靴下
JP2007332470A (ja) * 2006-06-12 2007-12-27 Alcare Co Ltd 靴下又は筒状の下肢用サポーター
US20100005568A1 (en) 2008-07-08 2010-01-14 Knit-Rite, Inc. Gradient compression hosiery knitted using corespun yarns
JP2011140732A (ja) 2010-01-08 2011-07-21 Gunze Ltd レッグウェア
KR101809416B1 (ko) * 2017-07-08 2017-12-14 주식회사 미전 키네시오 테이핑 양말
KR102105795B1 (ko) * 2019-10-11 2020-04-28 제동욱 압박 레깅스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1468B2 (ja) * 1994-10-07 1998-06-04 株式会社ワコール 下腿部保護用衣料
KR200199790Y1 (ko) 2000-04-17 2000-10-16 김순정 압박 양말
KR200271214Y1 (ko) * 2001-12-28 2002-04-10 정창민 기능성 압박 양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3005A (ja) 1999-04-12 2002-01-18 Romu:Kk ハイソックス
JP2005256252A (ja) 2004-03-15 2005-09-22 Wacoal Corp 脚部サポート用衣類
JP2006009216A (ja) * 2004-06-29 2006-01-12 Alcare Co Ltd 弾力性靴下
JP2007332470A (ja) * 2006-06-12 2007-12-27 Alcare Co Ltd 靴下又は筒状の下肢用サポーター
US20100005568A1 (en) 2008-07-08 2010-01-14 Knit-Rite, Inc. Gradient compression hosiery knitted using corespun yarns
JP2011140732A (ja) 2010-01-08 2011-07-21 Gunze Ltd レッグウェア
KR101809416B1 (ko) * 2017-07-08 2017-12-14 주식회사 미전 키네시오 테이핑 양말
KR102105795B1 (ko) * 2019-10-11 2020-04-28 제동욱 압박 레깅스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9383B1 (ko) * 2024-05-27 2024-09-23 주식회사 아이엠스포츠 기능성 스포츠 양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49791A1 (ko) 2022-07-14
KR20220101263A (ko)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8948A (en) Support/sport sock
US6012177A (en) Therapeutic sock with different knitted parts due to yarn and elasticity
US5617745A (en) Support sock
KR100588070B1 (ko) 탄력 스타킹 또는 탄력 타이츠와 같은 압축성 하지 보조기
JP4825119B2 (ja) 靴下及びその製造方法
Basford et al. Shoe insoles in the workplace
US6173452B1 (en) Support/sport sock and method of use
KR20120139662A (ko) 풋 웨어
EP2543267A1 (en) Legwear
WO1992019187A1 (en) Ankle sleeve
JP2007517145A (ja) 機能性の圧迫靴下
KR101770617B1 (ko) 뒤틀림 방지용 기능성 양말
JP6754898B2 (ja) 着圧ストッキング
EP3001991A1 (en) Health care sock
KR102402222B1 (ko) 압박스타킹
KR101581305B1 (ko) 발과 다리 보호용 압박 타이츠
KR102429727B1 (ko) 압박 테이핑 양말
US20210015178A1 (en) Performance Enhancing & Feet Protecting Athletic Sock
JP2009518554A (ja) 糖尿病患者用靴下
TWM446508U (zh) 壓力襪
KR200360699Y1 (ko) 압박 양말
JP2006104599A (ja) 靴下
JP2021014661A (ja) 下肢用着圧サポーター
KR20170090068A (ko) 양말
TWM660646U (zh) 足踝支撐機能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3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8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03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11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8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8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