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910B1 - Storage shelf - Google Patents
Storage shel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6910B1 KR102416910B1 KR1020200124103A KR20200124103A KR102416910B1 KR 102416910 B1 KR102416910 B1 KR 102416910B1 KR 1020200124103 A KR1020200124103 A KR 1020200124103A KR 20200124103 A KR20200124103 A KR 20200124103A KR 102416910 B1 KR102416910 B1 KR 1024169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lf
- main
- rotary arm
- auxiliary
- stor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9/00—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1—Structural features of shelf ba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 선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선반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보조선반을 구비하여 수납의 편의성을 높인 수납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벽면에 고정되는 주선반; 상기 주선반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는 회전암; 상기 회전암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는 보조선반;으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선반이 상기 주선반의 상측과 하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shelf,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orage shelf having an auxiliary shelf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shelf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storag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helf fixed to the wall; a rotary arm having one side rotatably linked to the main shelf; and an auxiliary shelf rotatably link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ry arm, so that the auxiliary shelf is rotatable in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main shelf.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납 선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선반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보조선반을 구비하여 수납의 편의성을 높인 수납 선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shelf,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orage shelf having an auxiliary shelf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shelf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storage.
공개특허 제10-2014-0112233호(벽면에 장착되는 수납선반장치)에서는, 벽면에 고정되며 결합부가 형성된 고정구; 상기 고정구의 결합부에 결합되며 레일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착대; 상기 장착대의 레일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위치가 변경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함;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거치대는 2개의 걸이봉이 돌출되어 수평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납함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양측벽의 외면에 상기 걸이봉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선반 장치를 제안하였다.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4-0112233 (a storage shelf device mounted on a wall), a fixture fixed to the wall and formed with a coupling part; a mount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xture and having a rail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radle detachably coupled to the rail of the mount, the cradle being moved along the rail to change a position; It will include a; the hold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lder, the holder is formed horizontally with two hanging rods protrude, the storage box has an upper opening and a space is formed therein, the hanger on the outer surface of both walls A storage shelf device is proposed, characterized in that a handle is formed so as to be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rod.
이러한 수납 선반 장치는 벽면에 상하방향으로 다단 설치된 경우에 수납 선반 장치의 상하방향 설치 간격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물건을 수납하고자 한다면, 상측의 수납 선반 장치를 걸이봉으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한 후 하측의 수납 선반 장치에 수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When the storage shelf device is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wall, if it is desired to store items having a height higher than the vertical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storage shelf device, the upper storage shelf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hanging rod and removed, and then the lower storage shelf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be stored in the device.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12233호-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12233
(벽면에 장착되는 수납선반) (Storage shelf mounted on the wall)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면에 고정된 주선반으로부터 보조선반이 주선반의 상측과 하측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높이가 높은 물건을 수납할 때 보조선반을 상측에 위치한 주선반의 상측으로 회전시켜 하측에 위치한 또다른 주선반의 수납 공간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보조선반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성을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한 수납 선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conventional problem is that the auxiliary shelf is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shelf from the main shelf fixed to the wall, so that the auxiliary shelf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when storing high objects. To provide a storage shelf that can be rota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helf to secure a wider storage space for another main shelf located on the lower side, and to greatly increase space utilization by allowing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shelf to be freely set. There is a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선반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orage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벽면에 고정되는 주선반;Main shelf fixed to the wall;
상기 주선반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는 회전암;a rotary arm having one side rotatably linked to the main shelf;
상기 회전암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는 보조선반;으로 구성되어,An auxiliary shelf rotatably link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ry arm; consists of,
상기 보조선반이 상기 주선반의 상측과 하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xiliary shelf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main shelf.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선반은, 보조선반이 주선반의 상측과 하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하측에 설치되는 또다른 보조선반의 수납공간을 확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활용성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In the storage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uxiliary shelf is rotatably installed above and below the main shelf,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storage space of another auxiliary shelf installed on the lower side, and is very advantageous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There is this.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선반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보조선반의 경사부 외측에 거울이 부착된 상태를 보인 도.
도3은 보조선반이 주선반의 하측에서 회전하여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를 보인 도.
도4는 보조선반이 주선반의 상측에서 회전하여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를 보인 도.
도5는 보조선반의 위치 이동에 의해 수납공간이 더 넓게 확보되는 상태를 보인 도.
도6은 회전암이 다관절을 갖는 형태를 보인 도.
도7은 도6의 정면 구조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irror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inclined part of the auxiliary shelf.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shelf is changed by rotat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main shelf;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shelf is changed by rotating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shelf;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space is secured more widely by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auxiliary shelf;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form of the rotary arm having a multi-joint.
Fig. 7 is a front structural view of Fig. 6;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보조선반의 경사부 외측에 거울이 부착된 상태를 보인 도이며, 도3은 보조선반이 주선반의 하측에서 회전하여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를 보인 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irror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inclined part of the auxiliary shelf, and FIG. 3 is the auxiliary shelf rotates from the lower side of the main shelf and the position is changed It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being
도4는 보조선반이 주선반의 상측에서 회전하여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를 보인 도이고, 도5는 보조선반의 위치 이동에 의해 수납공간이 더 넓게 확보되는 상태를 보인 도이며, 도6은 회전암이 다관절을 갖는 형태를 보인 도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shelf is changed by rotating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shelf.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cancer having multiple joints.
그리고, 도7은 도6의 정면 구조도이다.And, FIG. 7 is a front structural view of FIG.
본 발명은 도1에서와 같이 주선반(100), 보조선반(200), 그리고 회전암(300)으로 구성되며, 합성수지재질에 의해 사출성형되어 제조된다.1,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상기 주선반(100)은 벽면에 고정되는 판 형태로 된 고정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110)의 전방으로 일체로 형성된 수납부(120)가 구비되어 있습니다.The
상기 고정부(110)에는 벽면에 볼트 또는 못 등에 의해 고정되기 위한 복수의 고정공(111)이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120)는 양측이 막히고, 상측부위가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그 전방부위에는 수납부(120)에 수납된 물건을 쉽게 인출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진 경사부(130)가 형성되어 있습니다.A plurality of fixing
즉, 수납부(120)에 수납된 조그만한 물건을 인출할 때 상기 경사부(130)에 접촉키셔 전방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손쉽게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when taking out a small objec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상기 주선반(100)의 하측부위 양측으로는 각각 결합부(140)(140')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부(140,140')는 서로 동일한 형태이므로 결합부(140)에 대해서만 그 구조를 설명한다.The
상기 결합부(140)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편 형태로서, 회전암(300)을 링크결합하기 위하여 핀공(1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공(141)의 주변부위로는 위치고정부(142)가 형성되어 회전암(300)의 회전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The
이러한 위치고정부(142)는 스토퍼 형태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도면에서는 그 예시로서 핀공(141)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복수의 톱니가 등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결합부(140)의 외측방향으로 향하여 형성된다.The
물론, 또다른 결합부(140')도 위치고정부가 외측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결합부(140,140') 외측에 형성된 위치고정부(142)와 회전암(300,300')의 위치고정부(312,322)는 회전암(300)이 회전할 때 주선반(100)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측방향으로 약간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another coupling part 140' also has a position fixing part facing outward, and the
상기 보조선반(200)은 주선반(100)과 동일하거나 더 큰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회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그 길이가 주선반(100)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물론, 회전암(300,300')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경우에 주선반(100)과의 간섭을 회피하게 되므로, 주선반(100)과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Of course, since interference with the
상기 회전암(300)은 막대형태의 연결부(330)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각각 상부결합부(310)와 하부결합부(3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결합부(310)에는 상기 주선반(100)의 결합부(140)에 링크결합되기 위하여 상부핀공(311)이 형성되어 있다.The
또한, 상부핀공(311)을 중심으로 상기 위치고정부(142)와 동일하게 위치고정부(312)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결합부(140)의 위치고정부(142)와 상부결합부(310)의 위치고정부(312)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부핀(340)이 상부핀공(311)과 핀공(141)을 관통하여 너트(341)에 의해 가압체결되면, 위치고정부(142)와 위치고정부(312)가 서로 맞물리게 되어 회전암(300)의 위치가 고정된다.In addition, the
상기 회전암(300)의 회전각도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암(300)을 힘을 주어 강제적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합성수지재질로 되어 탄성을 갖는 위치고정부(142)와 위치고정부(312)의 맞물린 상태가 서로 어긋나면서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특정 각도에서 회전을 중지시키면, 그 위치에서 위치고정부(142)와 위치고정부(312)가 다시 맞물리면서 상부핀(340)과 너트(341)에 의한 가압체결력에 의해 회전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In the case of chang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하부결합부(320)도 상부결합부(310)와 동일하게 하부핀공(321)과 위치고정부(322)를 가지게 되며, 또다른 회전암(300')도 동일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The
따라서, 회전암(300)의 하부결합부(320)도 보조선반(200)의 결합부(220)와 링크결합되어 위치고정부(222)와 위치고정부(322)가 서로 맞물리게 되며, 하부핀(350)이 하부핀공(321)과 핀공(221)에 삽입되어 너트(351)와 체결됨으로써 하부결합부(320)와 결합부(220)가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또다른 회전암(300')도 이와 마찬가지로 결합부(220')에 링크결합된다.Another rotary arm 300' is also linked to the coupling part 220' in the same way.
그리고, 도2에서와 같이 주선반(100)의 경사부(130)의 외측면 또는 보조선반(200)의 경사부(210)의 외측면에는 거울(230)이 부착되어 있게 되며, 도2에서는 보조선반(200)에 거울(230)이 부착된 상태를 보였다.And, as shown in FIG. 2 , a
이러한 본 발명은 도3에서와 같이 벽면에 주선반(100)이 고정되고, 하측에 위치한 보조선반(200)이 회전암(300)에 의해 전후방으로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특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용도에 따른 물건의 수납이 용이해지는 것이다.3, the
즉, 하측에 위치한 또다른 주선반(100)에 수납된 물건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후방으로 회전시킨 후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it is possible to fix the position after rotating it backward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object stored in another
또한, 도4에서와 같이 보조선반(200)을 주선반(100)의 상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하측에 위치한 또다른 주선반에 높이가 높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5에서와 같이 보조선반(200)이 주선반(100)의 하측에 위치한다면, 하측에 위치하는 주선반과 보조선반(200)까지의 높이가 'H1'의 높이를 갖도록 제한되지만, 보조선반(200)을 도4에서와 같이 주선반(100)의 상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주선반(100)의 하부면과 하측의 또다른 주선반과의 간격이 'H2'의 간격을 가짐으로써 높이가 높은 물건을 충분히 수납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s in FIG. 4, by rotating the
아울러, 도4에서와 같이 보조선반(200)을 주선반(100)의 상측에서 후방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경사부(210)에 의해 경사지게 부착된 거울(230)에 의해 주선반(100)에 수납된 물건들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the
즉, 주선반(100)이 높은 곳에 설치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어떤 물건이 수납되었는지를 쉽게 확인하기 어렵게 되지만, 보조선반(200)이 부착된 거울(230)에 의해 주선반(100)에 수납된 물건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또한, 보조선반(200)을 회전암(300,300')에 의해 주선반(100)의 전방부위로 회전시켜 위치시키게 되면, 작업자가 작업시 보조선반(200)에 수납된 공구 등의 물건을 손쉽게 수납하거나 인출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도6은 회전암이 복수의 회전암(410,420)이 링크결합된 다관절암(400)의 형태로서, 그 링크결합된 부위는 도1에서와 같이 위치고정부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회전은 물론 그 회전각도가 고정되도록 한다.Figure 6 is a rotary arm in the form of a
이때 다관절암(400)은 복수의 회전암(410,420)이 링크결합된 형태이므로, 도7에서와 같이 제1회전암(410,410')이 외측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제1회전암(410,410')과 제2회전암(420,420')이 링크결합되었을 때 제2회전암(420,420')이 보조선반(200)과의 간섭이 방지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since the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 specific part of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clear that this specific description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something to do.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substanti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주선반 110 : 고정부
111 : 고정공 120 : 수납부
130 : 경사부 140,140' : 결합부
141 : 핀공 142 : 위치고정부
200 : 보조선반 210 : 경사부
220,220' : 결합부 221 : 핀공
222 : 위치고정부 230 : 거울
300,300' : 회전암 310 : 상부결합부
311 : 상부핀공 312 : 위치고정부
320 : 하부결합부 321 : 하부핀공
322 : 위치고정부 330 : 연결부
340,350 : 볼트 341,351 : 너트
400 : 다관절암100: main shelf 110: fixed part
111: fixing hole 120: receiving part
130: inclined portion 140,140 ': coupling portion
141: pin ball 142: position fixing part
200: auxiliary shelf 210: inclined part
220,220': coupling part 221: pin hole
222: position fixing part 230: mirror
300,300': rotary arm 310: upper coupling part
311: upper pin hole 312: position fixing part
320: lower coupling part 321: lower pin hole
322: position fixing part 330: connection part
340,350: bolt 341,351: nut
400: multi-joint cancer
Claims (5)
상기 주선반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는 회전암;
상기 회전암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는 보조선반;
상기 주선반 또는 보조선반의 전면부위는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부를 가지며, 상기 경사부의 외측에는 거울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선반.
main shelf fixed to the wall;
a rotary arm having one side rotatably linked to the main shelf;
an auxiliary shelf rotatably link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ry arm;
The storage shelf,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shelf or the auxiliary shelf has an inclin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and a mirror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inclined portion.
The storage shelf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ry arm is formed of a multi-joint arm having a plurality of links.
The storage shelf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position fixing mean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rotary arm is formed in the link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4103A KR102416910B1 (en) | 2020-09-24 | 2020-09-24 | Storage shel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4103A KR102416910B1 (en) | 2020-09-24 | 2020-09-24 | Storage shel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0864A KR20220040864A (en) | 2022-03-31 |
KR102416910B1 true KR102416910B1 (en) | 2022-07-06 |
Family
ID=80935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4103A Active KR102416910B1 (en) | 2020-09-24 | 2020-09-24 | Storage shel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691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7588B1 (en) * | 2022-10-24 | 2022-12-13 | 이헌율 | Shelf module with improved space utilization and system furniture including the sam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61252A (en) | 1977-11-16 | 1979-07-17 | Recycling & Conservation, Inc. | Set of sorting-stacking bins |
JP2001104122A (en) | 1999-10-12 | 2001-04-17 | Rp Topla Ltd | Mirror |
KR100779056B1 (en) | 2007-01-11 | 2007-11-27 | 명진실업 주식회사 | Folding Shelf for Ceiling Attachment |
JP2008540945A (en) * | 2005-05-13 | 2008-11-20 | ヘファーマン,ダリル,ジェイムズ | Mounting system |
JP2010253068A (en) * | 2009-04-24 | 2010-11-11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Mirror mounting frame with storage shelf |
KR101554856B1 (en) * | 2014-10-27 | 2015-09-22 | 한민형 | A bag with an adjustable board for mobile device user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45624B2 (en) * | 1990-02-02 | 1996-10-23 | 正行 佐藤 | Storage board for taking out stored items and storage shelf |
KR101289708B1 (en) * | 2011-10-10 | 2013-07-26 | 우정민 | Tray assembly for accomodating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2020
- 2020-09-24 KR KR1020200124103A patent/KR10241691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61252A (en) | 1977-11-16 | 1979-07-17 | Recycling & Conservation, Inc. | Set of sorting-stacking bins |
JP2001104122A (en) | 1999-10-12 | 2001-04-17 | Rp Topla Ltd | Mirror |
JP2008540945A (en) * | 2005-05-13 | 2008-11-20 | ヘファーマン,ダリル,ジェイムズ | Mounting system |
KR100779056B1 (en) | 2007-01-11 | 2007-11-27 | 명진실업 주식회사 | Folding Shelf for Ceiling Attachment |
JP2010253068A (en) * | 2009-04-24 | 2010-11-11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Mirror mounting frame with storage shelf |
KR101554856B1 (en) * | 2014-10-27 | 2015-09-22 | 한민형 | A bag with an adjustable board for mobile device use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0864A (en) | 2022-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18433059U (en) | storage system | |
US4155458A (en) | Large tool security storage system | |
PT1364753E (en) | Single-stack tool rack | |
US7780017B2 (en) | Vertical tool rack storage device | |
KR102416910B1 (en) | Storage shelf | |
US7967355B2 (en) | Vertical tool storage device with a curved handle | |
CN108113528B (en) | Wine glass drying rack | |
KR102139398B1 (en) | Case for cleaner | |
US7134561B2 (en)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lothing organization | |
KR101221431B1 (en) | Fixing band of fixing means | |
KR200454206Y1 (en) | Fishing gear holder | |
JP6157943B2 (en) | Pet carry box | |
CN105965428A (en) | Storage device for tool inserts | |
KR101213686B1 (en) | A garment hanger for container. | |
KR200491471Y1 (en) | Folding type table | |
CN107687469B (en) | Rotary hanging hook system | |
CN209054847U (en) | Rack and refrigerator with the rack | |
JP2007319625A (en) | Hanging device | |
JP4897601B2 (en) | Tool holder | |
KR20090122712A (en) | Refrigerator with rotary shelf | |
JP2008195159A (en) | Container holding structure | |
KR102364216B1 (en) | Safety cabinet for dangerous material | |
KR20210036639A (en) | Furniture for Storing Clothes Having Door Interactive Cradle | |
JP3714067B2 (en) |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case with upper opening door | |
JPS62161399A (en) | Rod hanging device for dryer mainly suitable for verand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102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