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15286B1 -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286B1
KR102415286B1 KR1020207025788A KR20207025788A KR102415286B1 KR 102415286 B1 KR102415286 B1 KR 102415286B1 KR 1020207025788 A KR1020207025788 A KR 1020207025788A KR 20207025788 A KR20207025788 A KR 20207025788A KR 102415286 B1 KR102415286 B1 KR 102415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signal lines
flexible base
base substrate
via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8167A (ko
Inventor
신궈 리
융다 마
쉐광 하오
신인 우
융 차오
Original Assignee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베이징 보에 테크놀로지 디벨로프먼트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베이징 보에 테크놀로지 디벨로프먼트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18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2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H01L27/1218
    • H01L27/124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411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characterised by materials, geometry or structure of th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441Interconnections, e.g. scanning lines
    • H10D86/443Interconnections, e.g. scanning lines adapted for preventing breakage, peeling or short circui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6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wherein the TFTs are in active matr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기판은 디스플레이 영역(DA) 및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주변 영역(PA)의 디스플레이 기판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상의 제1 절연 층(300),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제1 절연 층(300)의 측면 상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을 포함하는 제1 신호 라인 층(500),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제1 신호 라인 층(500)의 측면 상의 제2 절연 층(40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기판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어 제1 절연 층(300)의 제1 표면(310)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1 비아(510)를 가지며; 제2 절연 층(400)은 제1 절연 층(300)의 제1 표면(310)과 직접 접촉하도록 복수의 제1 비아(510)를 통해 연장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11월 26일자로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821951977.1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위 출원들 각각은 모든 목적들을 위해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벼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호한 충격 및 진동 내성들을 포함하는 그 다양한 이점들로 인해 널리 사용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영역 및 주변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하며, 주변 영역의 디스플레이 기판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제1 절연 층;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제1 절연 층의 측면 상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제1 신호 라인 층;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제1 신호 라인 층의 측면 상의 제2 절연 층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기판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어 제1 절연 층의 제1 표면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1 비아를 가지고; 제2 절연 층은 제1 절연 층의 제1 표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복수의 제1 비아를 통해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주변 영역의 디스플레이 기판은 제1 절연 층으로부터 먼 제2 절연 층의 측면 상의 복수의 제2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제2 신호 라인 층;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제2 신호 라인 층의 측면 상의 제3 절연 층을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기판은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어 제2 절연 층의 제2 표면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2 비아를 가지며; 제3 절연 층은 제2 절연 층의 제2 표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복수의 제2 비아를 통해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의 정사 투영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복수의 제2 신호 라인의 정사 투영들과 실질적으로 중첩하지 않고;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의 정사 투영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의 정사 투영들과 실질적으로 중첩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의 정사 투영들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복수의 제2 신호 라인의 정사 투영들은 교대로 배열된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주변 영역으로의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와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평면도에서 곡선형 구성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곡선형 구성은 파상 구성이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따른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의 제1 폭은 실질적으로 균일하고;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따른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의 제2 폭은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비아 중 각각의 하나의 중심 지점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의 폭에 걸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의 2개의 대향하는 에지들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등거리이고;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비아 중 각각의 하나의 중심 지점은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의 폭에 걸친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의 2개의 대향하는 에지들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등거리이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비아 중 각각의 하나는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측면 상의 제1 직경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에 근접한 측면 상의 제2 직경을 갖고, 제1 직경은 제2 직경보다 더 크고; 복수의 제2 비아 중 각각의 하나는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측면 상의 제3 직경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에 근접한 측면 상의 제4 직경을 갖고, 제3 직경은 제4 직경보다 더 크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비아 중 각각의 하나는 원뿔대 형상을 갖고, 복수의 제2 비아 중 각각의 하나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비아 중 각각의 하나의 측방향 측면과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사이의 제1 끼인각은 15 도 내지 85 도의 범위에 있고; 복수의 제2 비아 중 각각의 하나의 측방향 측면과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사이의 제2 끼인각은 15 도 내지 85 도의 범위에 있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비아 중 각각의 하나 내로 연장되는 제2 절연 층의 제1 부분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측면 상의 제1 직경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에 근접한 측면 상의 제2 직경을 가지며, 제1 직경은 제2 직경보다 더 크고; 복수의 제2 비아 중 각각의 하나 내로 연장되는 제3 절연 층의 제2 부분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측면 상의 제3 직경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에 근접한 측면 상의 제4 직경을 갖고, 제3 직경은 제4 직경보다 더 크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비아 중 각각의 하나 내로 연장되는 제2 절연 층의 제1 부분은 복수의 제1 비아 중 각각의 하나의 측방향 측면을 따라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와 직접 접촉하고; 복수의 제2 비아 중 각각의 하나 내로 연장되는 제3 절연 층의 제2 부분은 복수의 제2 비아 중 각각의 하나의 측방향 측면을 따라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와 직접 접촉한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기판은 디스플레이 기판의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주변 영역은 팬-아웃 영역을 포함하고; 주변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굽힐 수 있는 영역이고; 굽힐 수 있는 영역은 팬-아웃 영역 내에 있다.
선택적으로, 팬-아웃 영역은 접속 단자를 본딩하기 위한 본딩 영역과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 있다.
선택적으로, 주변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굽힐 수 있는 영역이고; 굽힐 수 있는 영역 내의 디스플레이 기판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상기 제1 절연 층;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제1 절연 층의 측면 상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제1 신호 라인 층;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제1 신호 라인 층의 측면 상의 제2 절연 층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기판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어 제1 절연 층의 제1 표면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1 비아를 가지고; 제2 절연 층은 제1 절연 층의 제1 표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복수의 제1 비아를 통해 연장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거나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스플레이 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영역 및 주변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이는, 주변 영역에서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에 제1 절연 층을 형성하는 단계;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제1 절연 층의 측면 상에 제1 신호 라인 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1 신호 라인 층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을 포함하도록 형성됨 -;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비아를 형성하여, 제1 절연 층의 제1 표면을 노출시키는 단계;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제1 신호 라인 층의 측면 상에 제2 절연 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절연 층은 제1 절연 층의 제1 표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복수의 제1 비아를 통해 연장되도록 형성됨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방법은, 주변 영역에서, 제1 절연 층으로부터 먼 제2 절연 층의 측면 상에 제2 신호 라인 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신호 라인 층은 복수의 제2 신호 라인을 포함하도록 형성됨 -;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비아를 형성하여, 제2 절연 층의 제2 표면을 노출시키는 단계;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제2 신호 라인 층의 측면 상에 제3 절연 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3 절연 층은 제2 절연 층의 제2 표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복수의 제2 비아를 통해 연장되도록 형성됨 -를 더 포함한다.
다음의 도면들은 단지 다양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목적들을 위한 예들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는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기판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기판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기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기판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2의 긴 AA' 방향의 디스플레이 기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복수의 제2 신호 라인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기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기판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개시내용은 이제 다음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들은 단지 예시 및 설명을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이는 모든 것을 설명하거나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은 사용자에 의해 자주 굽혀진다. 일반적으로, 신호 라인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굽힐 수 있는 영역에 배치되고, 신호 라인들 및 신호 라인들과 직접 접촉하는 절연 층들은 사용자에 의한 반복적 굽힘 움직임들로 인해 분리될 수 있다. 신호 라인이 절연 층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신호 라인의 상이한 부분들에 인가되는 힘은 균등하지 않으며, 이는 신호 라인에 대한 파손들을 야기하여, 신호 라인의 전기적 단락들 및 디스플레이 기판에 대한 손상들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기판의 굽힐 수 있는 영역에서, 신호 라인들은 굽힐 수 있는 영역 내에 집중적으로 배치된다. 굽힐 수 있는 영역이 반복적으로 굽혀지는 것으로 인해 굽힐 수 있는 영역에서의 신호 라인들이 파손될 가능성이 더 크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특히, 관련 분야의 제한들 및 단점들로 인한 문제점들 중 하나 이상을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디스플레이 영역 및 주변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주변 영역의 디스플레이 기판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제1 절연 층;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제1 절연 층의 측면 상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제1 신호 라인 층;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제1 신호 라인 층의 측면 상의 제2 절연 층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기판은 제1 절연 층의 제1 표면을 노출시키기 위해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비아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제2 절연 층은 제1 절연 층의 제1 표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복수의 제1 비아를 통해 연장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기판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기판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기판은 디스플레이 영역(DA) 및 주변 영역(PA)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이라는 용어는 이미지가 실제로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디스플레이 기판(예를 들어, 대향 기판 또는 어레이 기판)의 영역을 지칭한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은 서브픽셀 영역 및 서브픽셀-간 영역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픽셀 영역은 액정 디스플레이 내의 픽셀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발광층에 대응하는 영역과 같은, 서브픽셀의 발광 영역을 지칭한다. 서브픽셀-간 영역은 액정 디스플레이 내의 블랙 매트릭스에 대응하는 영역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픽셀 정의층에 대응하는 영역과 같은, 인접한 서브픽셀 영역들 사이의 영역을 지칭한다. 선택적으로, 서브픽셀-간 영역은 동일한 픽셀 내의 인접한 서브픽셀 영역들 사이의 영역이다. 선택적으로, 서브픽셀-간 영역은 2개의 인접한 픽셀로부터의 2개의 인접한 서브픽셀 영역 사이의 영역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주변 영역"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회로들 및 와이어들이 디스플레이 기판에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디스플레이 기판(예를 들어, 대향 기판 또는 어레이 기판)의 영역을 지칭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하지 않은(non-transparent) 또는 불투명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배터리, 인쇄 회로 보드, 금속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아닌 주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영역(DA)에서, 복수의 게이트 라인(1)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2)이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의 측면 상에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게이트 라인(1)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2)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기판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의 측면 상의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20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200)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있다.
도 2 및 도 3 둘 모두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변 영역(PA)의 적어도 일부는 굽힐 수 있는 영역(BA)이다. 선택적으로, 주변 영역(PA)은 팬-아웃 영역(FA)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굽힐 수 있는 영역(BA)은 팬-아웃 영역(FA) 내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변 영역(PA)은 본딩 영역(BDA)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팬-아웃 영역(FA)은 디스플레이 영역(DA)과 접속 단자(3)를 본딩하기 위한 본딩 영역(BDA) 사이에 있다. 선택적으로, 굽힐 수 있는 영역(BA)은 디스플레이 영역(DA)과 본딩 영역(BDA) 사이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속 단자(3)는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의 에지 상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본딩 영역(BDA)은 접속 단자(3)를 팬-아웃 영역(FA)과 본딩한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리드 와이어(4)가 본딩 영역(BDA) 내의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상에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복수의 리드 와이어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1) 중 각각의 하나를 접속 단자(3)와 접속한다. 다른 예에서, 복수의 리드 와이어(4)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2) 중 각각의 하나를 접속 단자(3)와 접속시킨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기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변 영역(PA) 내의 디스플레이 기판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상의 제1 절연 층(300),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제1 절연 층(300)의 측면 상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을 포함하는 제1 신호 라인 층(500),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제1 신호 라인 층(500)의 측면 상의 제2 절연 층(40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절연 층(300), 제1 신호 라인 층(500), 및 제2 절연 층(400)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신호 라인 층(500)은 제1 절연 층(300)과 제2 절연 층(400) 사이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기판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어 제1 절연 층(300)의 제1 표면(310)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1 비아(510)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절연 층(300)의 제1 표면(310)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제1 절연 층(300)의 측면이다. 선택적으로, 제2 절연 층(400)은 복수의 제1 비아(510)를 통해 연장되어 제1 절연 층(300)의 제1 표면(310)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제1 절연 층(300)과 제2 절연 층(400) 사이에 제1 신호 라인 층(500)을 형성하고,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비아(510)를 형성함으로써, 제2 절연 층(400)은 복수의 제1 비아(510)를 통해 제1 절연 층(300)과 직접 접촉할 수 있으며; 이는 제1 절연 층(300)과 제1 신호 라인 층(500) 사이의 접착, 및 제2 절연 층(400)과 제1 신호 라인 층(500) 사이의 접착 둘 모두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신호 라인 층(500)이 제1 절연 층(300)으로부터 분리되고, 제2 절연 층(4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어렵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기판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변 영역(PA) 내의 디스플레이 기판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상의 제1 절연 층(300),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제1 절연 층(300)의 측면 상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을 포함하는 제1 신호 라인 층(500),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제1 신호 라인 층(500)의 측면 상의 제2 절연 층(400), 제1 절연 층(300)으로부터 먼 제2 절연 층(400)의 측면 상의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을 포함하는 제2 신호 라인 층(700),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제2 신호 라인 층(700)의 측면 상의 제3 절연 층(60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절연 층(300), 제1 신호 라인 층(500), 및 제2 절연 층(400), 제2 신호 라인 층(700), 및 제3 절연 층(600)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제1 신호 라인 층(500)은 제1 절연 층(300)과 제2 절연 층(400) 사이에 있다. 제2 신호 라인 층(700)은 제2 절연 층(400)과 제3 절연 층(600) 사이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기판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어 제1 절연 층(300)의 제1 표면(310)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1 비아(510)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절연 층(300)의 제1 표면(310)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제1 절연 층(300)의 측면이다. 선택적으로, 제2 절연 층(400)은 복수의 제1 비아(510)를 통해 연장되어 제1 절연 층(300)의 제1 표면(310)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기판은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어 제2 절연 층(400)의 제2 표면(410)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2 비아(710)를 더 갖는다. 예를 들어, 제2 절연 층(400)의 제2 표면(410)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제2 절연 층(400)의 측면이다. 선택적으로, 제3 절연 층(600)은 제2 절연 층(400)의 제2 표면(410)과 직접 접촉하도록 복수의 제2 비아(710)를 통해 연장된다.
제1 절연 층(300)과 제2 절연 층(400) 사이에 제1 신호 라인 층(500)을 형성하고,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비아(510)를 형성함으로써, 제2 절연 층(400)은 복수의 제1 비아(510)를 통해 제1 절연 층(300)과 직접 접촉할 수 있으며; 이는 제1 절연 층(300)과 제1 신호 라인 층(500) 사이의 접착, 및 제2 절연 층(400)과 제1 신호 라인 층(500) 사이의 접착 둘 모두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신호 라인 층(500)이 제1 절연 층(300)으로부터 분리되고, 제2 절연 층(4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어렵다.
제2 절연 층(400)과 제3 절연 층(600) 사이에 제2 신호 라인 층(700)을 형성하고,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비아(710)를 형성함으로써, 제3 절연 층(600)은 복수의 제2 비아(710)를 통해 제2 절연 층(400)과 직접 접촉할 수 있으며, 이는 제2 절연 층(400)과 제2 신호 라인 층(700) 사이의 접착, 및 제3 절연 층(600)과 제2 신호 라인 층(700) 사이의 접착 둘 모두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신호 라인 층(700)이 제2 절연 층(400)으로부터 분리되고, 제3 절연 층(6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어렵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상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정사 투영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상의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의 정사 투영들과 실질적으로 중첩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상의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의 정사 투영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상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의 정사 투영들과 실질적으로 중첩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중첩하지 않는"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50 퍼센트(예를 들어, 적어도 60 퍼센트, 적어도 70 퍼센트, 적어도 80 퍼센트, 적어도 90 퍼센트, 적어도 95 퍼센트, 적어도 99 퍼센트 및 100 퍼센트) 중첩하지 않는 2개의 정사 투영을 지칭한다. 선택적으로,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상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정사 투영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상의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의 정사 투영들과 완전히 중첩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상의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의 정사 투영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상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의 정사 투영들과 완전히 중첩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상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의 정사 투영들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상의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의 정사 투영들은 교대로 배열되며, 이는 신호 라인들 사이의 전기적 단락을 형성할 기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신호 라인 층(500) 및 제2 신호 라인 층(700)은 상이한 층들에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 라인 층(500)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제1 절연 층(300)의 측면 상에 있다. 제2 신호 라인 층(700)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제2 절연 층(400)의 측면 상에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굽힐 수 있는 영역(BA)은 팬-아웃 영역(FA) 내에 있고, 팬-아웃 영역(FA)은 디스플레이 영역(DA)과 접속 단자(3) 사이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리드 와이어(4)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1) 중 각각의 하나를 접속 단자(3)와 접속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리드 와이어(4)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2) 중 각각의 하나를 접속 단자(3)와 접속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리드 와이어(4)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 리드 와이어,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 리드 와이어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에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 리드 와이어 중 하나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 리드 와이어 중 하나로부터 선택된 리드 와이어들의 일부이다. 다른 예에서,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 리드 와이어 중 하나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 리드 와이어 중 하나로부터 선택된 리드 와이어들의 일부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 리드 와이어 중 각각의 하나의 일부이고,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 리드 와이어 중 각각의 하나의 일부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 리드 와이어 중 각각의 하나의 일부이고,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 리드 와이어 중 각각의 하나의 일부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는 둘 모두 복수의 게이트 라인 리드 와이어 중 2개의 상이한 리드 와이어의 부분들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는 둘 모두 복수의 데이터 라인 리드 와이어의 2개의 상이한 리드 와이어의 부분들 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게이트 라인 리드 와이어 중 일부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 리드 와이어 중 일부는 동일한 층에 있다. 동일한 층에 있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 리드 와이어 중 일부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 리드 와이어 중 일부의 2개의 인접한 리드 와이어는 이격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게이트 라인 리드 와이어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 리드 와이어를 갖는 층과는 상이한 층에 있다. 선택적으로,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상의 복수의 게이트 라인 리드 와이어의 정사 투영들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상의 복수의 데이터 라인 리드 와이어의 정사 투영은 교대로 배열된다.
도 6은 도 2의 긴 AA' 방향의 디스플레이 기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은 디스플레이 영역(DA)으로부터 주변 영역(PA)으로의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은 복수의 제3 비아(800)를 통해 주변 영역(PA)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영역(DA)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게이트 라인(1)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제3 비아(800)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주변 영역(PA)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영역(DA)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와 접속된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복수의 제2 신호 라인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평면도에서 곡선형 구성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곡선형 구성은 파상 구성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은 서로 평행하다.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은 서로 평행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연장 방향(예를 들어, 제1 연장 방향(D1))에 수직인 단면을 따른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제1 폭(L1)은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균일한"이라는 용어는 신호 라인의 폭들이 신호 라인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복수의 단면을 따라 측정될 때, 복수의 단면을 따른 측정된 폭들의 평균 값과 복수의 단면을 따른 측정된 폭들 각각 사이의 편차가 평균 값의 10%를 초과하지 않는 것, 예를 들어, 평균 값의 8%를 초과하지 않는 것, 6%를 초과하지 않는 것, 4%를 초과하지 않는 것, 2%를 초과하지 않는 것, 1%를 초과하지 않는 것, 0.5%를 초과하지 않는 것, 0.1%를 초과하지 않는 것, 0.05%를 초과하지 않는 것 및 0.01%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지칭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기판의 단면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연장 방향(예를 들어, 제1 연장 방향(D1))에 수직인 단면을 따른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2개의 대향하는 에지들 사이의 제1 에지 거리(W1)는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의 중심 지점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폭(예를 들어, 제1 폭(L1))에 걸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2개의 대향하는 에지들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등거리에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의 중심 지점과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폭에 걸친 2개의 대향하는 에지들 중 하나 사이의 제1 거리(d1)와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의 중심 지점과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폭에 걸친 2개의 대향하는 에지들 중 다른 하나 사이의 제2 거리(d2)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등거리"이라는 용어는 2개의 거리 사이의 차이가 기본 값(예를 들어, 2개의 값 중 하나)의 10%를 초과하지 않는 것, 예를 들어, 기본 값의 8%를 초과하지 않는 것, 6%를 초과하지 않는 것, 4%를 초과하지 않는 것, 2%를 초과하지 않는 것, 1%를 초과하지 않는 것, 0.5%를 초과하지 않는 것, 0.1%를 초과하지 않는 것, 0.05%를 초과하지 않는 것, 및 0.01%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지칭한다. 하나의 예에서,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 사이의 차이는 제1 거리(d1)의 10%를 초과하지 않는다. 다른 예에서, 제3 거리(d3)와 제4 거리(d4) 사이의 차이는 제3 거리(d3)의 10%를 초과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이라는 용어는 2개의 값 사이의 차이가 기본 값(예를 들어, 2개의 값 중 하나)의 10%를 초과하지 않는 것, 예를 들어, 기본 값의 8%를 초과하지 않는 것, 6%를 초과하지 않는 것, 4%를 초과하지 않는 것, 2%를 초과하지 않는 것, 1%를 초과하지 않는 것, 0.5%를 초과하지 않는 것, 0.1%를 초과하지 않는 것, 0.05%를 초과하지 않는 것, 및 0.01%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지칭한다. 하나의 예에서,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 사이의 차이는 제1 거리(d1)의 10%를 초과하지 않는다. 다른 예에서, 제3 거리(d3)와 제4 거리(d4) 사이의 차이는 제3 거리(d3)의 10%를 초과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제1 연장 방향(D1)에 수직일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의 중심 지점을 가지는 각각의 하나의 단면에서, 각각의 하나의 단면에서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의 제1 폭(L1)에 걸친 그리고 중심 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른,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의 에지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에지 사이의 제5 거리(E1)와 각각의 하나의 단면에서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의 제1 폭(L1)에 걸친 그리고 중심 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른,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의 다른 에지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다른 에지 사이의 제6 거리(E2)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를 곡선형 구성, 예를 들어, 파상 구성으로 형성함으로써, 제1 절연 층(300)과 제1 신호 라인 층(500) 사이의 접착 및 제2 절연 층(400)과 제1 신호 라인 층(500) 사이의 접착이 증가된다. 따라서, 제1 신호 라인 층(500)이 제1 절연 층(300)으로부터 분리되고, 제2 절연 층(4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어렵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연장 방향(예를 들어, 제1 연장 방향(D1))에 수직인 단면을 따른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제1 폭(L1)은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의 연장 방향(예를 들어, 제2 연장 방향(D2))에 수직인 단면을 따른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의 제2 폭(L2)은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선택적으로, 제1 폭(L1) 및 제2 폭(L2)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기판의 단면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연장 방향(예를 들어, 제1 연장 방향(D1))에 수직인 단면을 따른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2개의 대향하는 에지들 사이의 제1 에지 거리(W1)는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의 연장 방향(예를 들어, 제2 연장 방향(D2))에 수직인 단면을 따른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의 2개의 대향하는 에지들 사이의 제2 에지 거리(W2)는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의 중심 지점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폭(예를 들어, 제1 폭(L1))에 걸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2개의 대향하는 에지들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등거리에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의 중심 지점과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폭(예를 들어, 제1 폭(L1))에 걸친 2개의 대향하는 에지들 중 하나 사이의 제1 거리(d1)와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의 중심 지점과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폭에 걸친 2개의 대향하는 에지들 중 다른 하나 사이의 제2 거리(d2)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비아(710) 중 각각의 하나의 중심 지점은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의 폭(예를 들어, 제2 폭(L2))에 걸친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의 2개의 대향하는 에지들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등거리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비아(710) 중 각각의 하나의 중심 지점과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의 폭(예를 들어, 제2 폭(L2))에 걸친 2개의 대향하는 에지들 중 하나 사이의 제3 거리(d3) 및 복수의 제2 비아(710) 중 각각의 하나의 중심 지점과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의 폭(예를 들어, 제2 폭(L2))에 걸친 2개의 대향하는 에지들 중 다른 하나 사이의 제4 거리(d4)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제1 거리(d1), 제2 거리(d2), 제3 거리(d3), 및 제4 거리(d4)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제1 연장 방향(D1)에 수직일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의 중심 지점을 갖는 각각의 하나의 단면에서, 각각의 하나의 단면에서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의 제1 폭(L1)에 걸친 그리고 중심 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른,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의 에지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에지 사이의 제5 거리(E1)와 각각의 하나의 단면에서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의 제1 폭(L1)에 걸친 그리고 중심 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른,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의 다른 에지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의 다른 에지 사이의 제6 거리(E2)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의 제2 연장 방향(D2)에 수직일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제2 비아(710) 중 각각의 하나의 중심 지점을 갖는 각각의 하나의 단면에서, 각각의 하나의 단면에서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의 제2 폭(L2)에 걸친 그리고 중심 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른, 복수의 제2 비아(710) 중 각각의 하나의 에지와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의 에지 사이의 제7 거리(E3) 및 각각의 하나의 단면에서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의 제2 폭(L2)에 걸친 그리고 중심 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른, 복수의 제2 비아(710) 중 각각의 하나의 다른 에지와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의 다른 에지 사이의 제8 거리(E4)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제5 거리(E1), 제6 거리(E2), 제7 거리(E3), 및 제8 거리(E4)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을 곡선형 구성, 예를 들어, 파상 구성으로 형성함으로써, 제1 절연 층(300)과 제1 신호 라인 층(500) 사이의 접착 및 제2 절연 층(400)과 제1 신호 라인 층(500) 사이의 접착, 제2 절연 층(400)과 제2 신호 라인 층(700) 사이의 접착 및 제3 절연 층(600)과 제2 신호 라인 층(700) 사이의 접착이 증가된다. 따라서, 제1 신호 라인 층(500)이 제1 절연 층(300)으로부터 분리되고, 제2 절연 층(4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제2 신호 라인 층(700)이 제2 절연 층(400)으로부터 분리되고 제3 절연 층(6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어렵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기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는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측면 상의 제1 직경(A1)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에 근접한 측면 상의 제2 직경(A2)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제1 직경(A1)은 제2 직경(A2) 보다 더 크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의 측방향 측면과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사이의 제1 끼인각(α1)은 15 도 내지 85 도, 예를 들어, 15 도 내지 35 도, 35 도 내지 55 도, 55 도 내지 75 도 및 75 도 내지 85 도의 범위에 있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로 연장되는 제2 절연 층(400)의 제1 부분(P1)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측면 상의 제1 직경(A1)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에 근접한 측면 상의 제2 직경(A2)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제1 직경(A1)은 제2 직경(A2) 보다 더 크다. 선택적으로, 제1 부분(P1)의 단면의 직경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증가한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 내로 연장되는 제2 절연 층(400)의 제1 부분(P1)은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의 측방향 측면을 따라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와 직접 접촉한다.
선택적으로, 제2 절연 층(400)의 제1 부분(P1)의 측방향 측면과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사이의 제1 끼인각(α1)은 15 도 내지 85 도, 예를 들어, 15 도 내지 35 도, 35 도 내지 55 도, 55 도 내지 75 도, 및 75 도 내지 85 범위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기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는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측면 상의 제1 직경(A1)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에 근접한 측면 상의 제2 직경(A2)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제1 직경(A1)은 제2 직경(A2) 보다 더 크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2 비아(710) 중 각각의 하나는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측면 상의 제3 직경(A3)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에 근접한 측면 상의 제4 직경(A4)을 더 갖는다. 선택적으로, 제3 직경(A3)은 제4 직경(A4) 보다 더 크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2 비아(710) 중 각각의 하나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비아(510) 및 복수의 제2 비아(710) 모두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의 측방향 측면과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사이의 제1 끼인각(α1)은 15 도 내지 85 도, 예를 들어, 15 도 내지 35 도, 35 도 내지 55 도, 55 도 내지 75 도 및 75 도 내지 85 도의 범위에 있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2 비아(710) 중 각각의 하나의 측방향 측면과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사이의 제2 끼인각(α2)은 15 도 내지 85 도, 예를 들어, 15 도 내지 35 도, 35 도 내지 55 도, 55 도 내지 75 도 및 75 도 내지 85 도의 범위에 있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로 연장되는 제2 절연 층(400)의 제1 부분(P1)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측면 상의 제1 직경(A1)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에 근접한 측면 상의 제2 직경(A2)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제1 직경(A1)은 제2 직경(A2) 보다 더 크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2 비아(710) 중 각각의 하나 내로 연장되는 제3 절연 층(600)의 제2 부분(P2)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측면 상의 제3 직경(A3)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에 근접한 측면 상의 제4 직경(A4)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제3 직경(A3)은 제4 직경(A4) 보다 더 크다. 선택적으로, 제1 부분(P1)의 단면의 직경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증가한다. 선택적으로, 제2 부분(P2)의 단면의 직경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증가한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 내로 연장되는 제2 절연 층(400)의 제1 부분(P1)은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의 측방향 측면을 따라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와 직접 접촉한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2 비아(710) 중 각각의 하나 내로 연장되는 제3 절연 층(600)의 제2 부분(P2)은 복수의 제2 비아(710) 중 각각의 하나의 측방향 측면을 따라 복수의 제2 신호 라인(720) 중 각각의 하나와 직접 접촉한다.
선택적으로, 제2 절연 층(400)의 제1 부분(P1)의 측방향 측면과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사이의 제1 끼인각(α1)은 15 도 내지 85 도, 예를 들어, 15 도 내지 35 도, 35 도 내지 55 도, 55 도 내지 75 도, 및 75 도 내지 85 범위이다. 선택적으로, 제3 절연 층(600)의 제2 부분(P2)의 측방향 측면과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사이의 제2 끼인각(α2)은 15 도 내지 85 도, 예를 들어 15 도 내지 35 도, 35 도 내지 55 도, 55 도 내지 75 도 및 75 도 내지 85 도의 범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굽힐 수 있는 영역(BA)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만곡하도록 굽힐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의 측면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에 근접한 복수의 제1 비아(510) 중 각각의 하나의 측면보다 더 강하게 신장된다.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복수의 제2 비아(710) 중 각각의 하나의 측면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에 근접한 복수의 제2 비아(710) 중 각각의 하나의 측면보다 더 강하게 신장된다. 원뿔대 형상 비아를 형성함으로써, 원뿔대 형상은 굽힐 수 있는 영역이 굽혀질 때 고르지 않은 신장에 적응되고, 절연 층들과 비아들 사이의 분리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절연 층들과 비아들 사이의 접착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주변 영역(PA)의 적어도 일부는 굽힐 수 있는 영역(BA)이다. 굽힐 수 있는 영역(BA) 내의 디스플레이 기판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 상의 제1 절연 층(300); 제1 절연 층(300)의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측면 상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을 포함하는 제1 신호 라인 층(500); 및 제1 신호 라인 층(500)의 측면 상의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100)으로부터 먼 제2 절연 층(40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기판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520)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어 제1 절연 층(300)의 제1 표면(310)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1 비아(510)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제2 절연 층(400)은 복수의 제1 비아(510)를 통해 연장되어 제1 절연 층(300)의 제1 표면(310)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거나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디스플레이 기판 및 디스플레이 기판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적절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예들은 전자 종이, 모바일 폰, 태블릿 컴퓨터, 텔레비전,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앨범, GPS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디스플레이 영역 및 주변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주변 영역에서,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에 제1 절연 층을 형성하는 단계;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제1 절연 층의 측면 상에 제1 신호 라인 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1 신호 라인 층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을 포함하도록 형성됨 -;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비아를 형성하여, 제1 절연 층의 제1 표면을 노출시키는 단계;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제1 신호 라인 층의 측면 상에 제2 절연 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절연 층은 제1 절연 층의 제1 표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복수의 제1 비아를 통해 연장되도록 형성됨 -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주변 영역에서, 제1 절연 층으로부터 먼 제2 절연 층의 측면 상에 제2 신호 라인 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신호 라인 층은 복수의 제2 신호 라인을 포함하도록 형성됨 -;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비아를 형성하여, 제2 절연 층의 제2 표면을 노출시키는 단계;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제2 신호 라인 층의 측면 상에 제3 절연 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3 절연 층은 제2 절연 층의 제2 표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복수의 제2 비아를 통해 연장되도록 형성됨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의 정사 투영이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복수의 제2 신호 라인의 정사 투영들과 실질적으로 중첩하지 않고;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의 정사 투영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의 정사 투영들과 실질적으로 중첩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의 정사 투영들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복수의 제2 신호 라인의 정사 투영들이 교대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주변 영역으로의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와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평면도에서 곡선형 구성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곡선형 구성은 파상 구성이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따른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의 제1 폭이 실질적으로 균일하고;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따른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의 제2 폭은 실질적으로 균일하도록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비아 중 각각의 하나의 중심 지점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의 폭에 걸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의 2개의 대향하는 에지들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등거리이고;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비아 중 각각의 하나의 중심 지점은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의 폭에 걸친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의 2개의 대향하는 에지들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등거리이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비아 중 각각의 하나는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측면 상의 제1 직경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에 근접한 측면 상의 제2 직경을 갖고, 제1 직경은 제2 직경보다 더 크고; 복수의 제2 비아 중 각각의 하나는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측면 상의 제3 직경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에 근접한 측면 상의 제4 직경을 갖고, 제3 직경은 제4 직경보다 더 크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비아 중 각각의 하나는 원뿔대 형상을 갖고, 복수의 제2 비아 중 각각의 하나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비아 중 각각의 하나의 측방향 측면과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사이의 제1 끼인각은 15 도 내지 85 도의 범위에 있고; 복수의 제2 비아 중 각각의 하나의 측방향 측면과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사이의 제2 끼인각은 15 도 내지 85 도의 범위에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절연 층은, 복수의 제1 비아 중 각각의 하나로 연장되는 제2 절연 층의 제1 부분이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측면 상의 제1 직경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에 근접한 측면 상의 제2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1 직경은 제2 직경보다 더 크다. 선택적으로, 제2 절연 층은, 복수의 제1 비아 중 각각의 하나 내로 연장되는 제2 절연 층의 제1 부분이 복수의 제1 비아 중 각각의 하나의 측방향 측면을 따라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와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제3 절연 층은, 복수의 제2 비아 중 각각의 하나 내로 연장되는 제3 절연 층의 제2 부분이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측면 상의 제3 직경 및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에 근접한 측면 상의 제4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3 직경은 제4 직경보다 더 크다. 선택적으로, 제3 절연 층은, 복수의 제2 비아 중 각각의 하나 내로 연장되는 제3 절연 층의 제2 부분이 복수의 제2 비아 중 각각의 하나의 측방향 측면을 따라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와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설명은 모든 것을 설명하거나 본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 또는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은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분명히, 관련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많은 수정 및 변형이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 및 그 최상 모드의 실제 적용을 설명하고,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고려되는 특정한 용도 또는 구현에 적합한 바와 같은 다양한 수정들과 함께 그리고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선택 및 설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항들 및 이들의 등가물들에 의해 정의되며, 모든 용어들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가장 넓은 합리적인 의미인 것을 의도한다. 따라서, "발명(the invention)", "본 발명(the present invention)" 등의 용어가 반드시 청구항 범위를 구체적인 실시예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참조가 본 발명에 대한 제한을 암시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이러한 제한도 추론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사상 및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더욱이, 이러한 청구항들은 명사 또는 구성요소 이전에 "제1(first)", "제2(second)" 등을 사용하여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명명법으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특정 수가 주어지지 않는 한 이러한 명명법에 의해 수식되는 구성요소의 수에 대해 제한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설명된 임의의 장점들 및 이득들은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의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더욱이, 구성요소 또는 컴포넌트가 다음의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기재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본 개시내용의 어떠한 구성요소 및 컴포넌트도 일반 공중에게 공여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주변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 기판으로서,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제1 절연 층;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상기 제1 절연 층의 측면 상의 복수의 제1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제1 신호 라인 층;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상기 제1 신호 라인 층의 측면 상의 제2 절연 층;
    상기 제1 절연 층으로부터 먼 상기 제2 절연 층의 측면 상의 복수의 제2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제2 신호 라인 층; 및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상기 제2 신호 라인 층의 측면 상의 제3 절연 층
    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은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어 상기 제1 절연 층의 제1 표면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1 비아를 가지고;
    상기 제2 절연 층은 상기 제1 절연 층의 상기 제1 표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비아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은 상기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어 상기 제2 절연 층의 제2 표면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2 비아를 가지며;
    상기 제3 절연 층은 상기 제2 절연 층의 상기 제2 표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2 비아를 통해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상기 각각의 하나의 정사 투영은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상기 복수의 제2 신호 라인의 정사 투영들과 실질적으로 중첩하지 않고;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상기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상기 각각의 하나의 정사 투영은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라인의 정사 투영들과 실질적으로 중첩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기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라인의 정사 투영들 및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상기 복수의 제2 신호 라인의 정사 투영들이 교대로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기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복수의 제2 신호 라인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주변 영역으로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기판.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상기 각각의 하나 및 상기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상기 각각의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평면도에서 곡선형 구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기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형 구성은 파상 구성인, 디스플레이 기판.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상기 각각의 하나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따른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상기 각각의 하나의 제1 폭은 실질적으로 균일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상기 각각의 하나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따른 상기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상기 각각의 하나의 제2 폭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디스플레이 기판.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상기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비아 중 각각의 하나의 중심 지점은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상기 각각의 하나의 폭에 걸친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상기 각각의 하나의 2개의 대향하는 에지들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등거리이고;
    상기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상기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상기 복수의 제2 비아 중 각각의 하나의 중심 지점은 상기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상기 각각의 하나의 폭에 걸친 상기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상기 각각의 하나의 2개의 대향하는 에지들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등거리인, 디스플레이 기판.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비아 중 각각의 하나는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측면 상의 제1 직경 및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에 근접한 측면 상의 제2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직경은 상기 제2 직경보다 더 크고;
    상기 복수의 제2 비아 중 각각의 하나는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측면 상의 제3 직경 및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에 근접한 측면 상의 제4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3 직경은 상기 제4 직경보다 더 큰, 디스플레이 기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비아 중 상기 각각의 하나는 원뿔대 형상을 갖고, 상기 복수의 제2 비아 중 상기 각각의 하나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기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비아 중 상기 각각의 하나의 측방향 측면과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사이의 제1 끼인각은 15 도 내지 85 도의 범위에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비아 중 상기 각각의 하나의 측방향 측면과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사이의 제2 끼인각은 15 도 내지 85 도의 범위에 있는, 디스플레이 기판.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비아 중 각각의 하나 내로 연장되는 상기 제2 절연 층의 제1 부분은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측면 상의 제1 직경 및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에 근접한 측면 상의 제2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직경은 상기 제2 직경보다 더 크고;
    상기 복수의 제2 비아 중 각각의 하나 내로 연장되는 상기 제3 절연 층의 제2 부분은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측면 상의 제3 직경 및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에 근접한 측면 상의 제4 직경을 갖고, 상기 제3 직경은 상기 제4 직경보다 더 큰, 디스플레이 기판.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비아 중 각각의 하나 내로 연장되는 상기 제2 절연 층의 제1 부분은 상기 복수의 제1 비아 중 상기 각각의 하나의 측방향 측면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상기 각각의 하나와 직접 접촉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비아 중 각각의 하나 내로 연장되는 상기 제3 절연 층의 제2 부분은 상기 복수의 제2 비아 중 상기 각각의 하나의 측방향 측면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상기 각각의 하나와 직접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변 영역은 팬-아웃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굽힐 수 있는 영역이고;
    상기 굽힐 수 있는 영역은 상기 팬-아웃 영역 내에 있는, 디스플레이 기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팬-아웃 영역은 접속 단자를 본딩하기 위한 본딩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 있는, 디스플레이 기판.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굽힐 수 있는 영역이고;
    상기 굽힐 수 있는 영역의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은,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의 상기 제1 절연 층;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상기 제1 절연 층의 측면 상의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신호 라인 층; 및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상기 제1 신호 라인 층의 측면 상의 상기 제2 절연 층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은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어 상기 제1 절연 층의 제1 표면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1 비아를 가지고;
    상기 제2 절연 층은 상기 제1 절연 층의 상기 제1 표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비아를 통해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기판.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스플레이 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디스플레이 영역 및 주변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주변 영역에서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 상에 제1 절연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상기 제1 절연 층의 측면 상에 제1 신호 라인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 라인 층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을 포함하도록 형성됨 -;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비아를 형성하여, 상기 제1 절연 층의 제1 표면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상기 제1 신호 라인 층의 측면 상에 제2 절연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절연 층은 상기 제1 절연 층의 상기 제1 표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비아를 통해 연장되도록 형성됨 -;
    상기 제1 절연 층으로부터 먼 상기 제2 절연 층의 측면 상에 제2 신호 라인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호 라인 층은 복수의 제2 신호 라인을 포함하도록 형성됨 -;
    상기 복수의 제2 신호 라인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비아를 형성하여, 상기 제2 절연 층의 제2 표면을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먼 상기 제2 신호 라인 층의 측면 상에 제3 절연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3 절연 층은 상기 제2 절연 층의 상기 제2 표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2 비아를 통해 연장되도록 형성됨 -를 포함하는, 방법.
  19. 삭제
  20. 삭제
KR1020207025788A 2018-11-26 2019-06-25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 Active KR102415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1951977.1 2018-11-26
CN201821951977.1U CN208938550U (zh) 2018-11-26 2018-11-26 显示面板及显示装置
PCT/CN2019/092745 WO2020107880A1 (en) 2018-11-26 2019-06-25 Display substrat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display substr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167A KR20200118167A (ko) 2020-10-14
KR102415286B1 true KR102415286B1 (ko) 2022-07-01

Family

ID=6672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788A Active KR102415286B1 (ko) 2018-11-26 2019-06-25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239303B2 (ko)
EP (1) EP3888075A4 (ko)
JP (1) JP7372931B2 (ko)
KR (1) KR102415286B1 (ko)
CN (1) CN208938550U (ko)
AU (1) AU2019385925B2 (ko)
BR (1) BR112020019332B1 (ko)
MX (1) MX2020010100A (ko)
RU (1) RU2745003C1 (ko)
TW (1) TWI707492B (ko)
WO (1) WO20201078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077535U (zh) * 2018-04-28 2018-11-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装置
CN208938550U (zh) * 2018-11-26 2019-06-04 北京京东方技术开发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2254157B2 (en) * 2022-07-12 2025-03-18 Boe Technology Group Co., Ltd. Touch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196B1 (ko) 2005-02-16 2012-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5254450B2 (ja) * 2009-09-02 2013-08-07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バイス基板
JP2013105950A (ja) 2011-11-15 2013-05-30 Sony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611499B1 (ko) * 2015-12-15 2023-1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505879B1 (ko) 2016-03-24 2023-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79508B1 (ko) * 2016-03-31 2022-1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10025B1 (ko) 2016-06-02 2023-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7092400B (zh) 2017-06-27 2019-10-0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及包含其的触控显示装置
CN107342299A (zh) * 2017-08-30 2017-11-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08649035B (zh) * 2018-04-26 2019-08-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208077535U (zh) 2018-04-28 2018-11-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装置
CN108831909B (zh) * 2018-06-07 2021-07-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208938550U (zh) * 2018-11-26 2019-06-04 北京京东方技术开发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45003C1 (ru) 2021-03-18
TW202021170A (zh) 2020-06-01
BR112020019332A8 (pt) 2021-02-02
AU2019385925A1 (en) 2020-10-01
EP3888075A1 (en) 2021-10-06
BR112020019332A2 (pt) 2021-01-05
CN208938550U (zh) 2019-06-04
JP2022509895A (ja) 2022-01-25
TWI707492B (zh) 2020-10-11
US11239303B2 (en) 2022-02-01
AU2019385925B2 (en) 2021-12-02
WO2020107880A1 (en) 2020-06-04
JP7372931B2 (ja) 2023-11-01
US20210074791A1 (en) 2021-03-11
KR20200118167A (ko) 2020-10-14
MX2020010100A (es) 2020-10-28
BR112020019332B1 (pt) 2024-01-02
EP3888075A4 (en) 202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91317B2 (en) Display device
KR10249282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244385B1 (en) Displ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8388054B (zh) 显示面板与显示装置
CN108695369B (zh) 具有微盖层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3926774B (zh) 阵列基板、柔性显示器件及电子设备
US9811169B2 (en) Flexible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keyboard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9459895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415286B1 (ko)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
US9715298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sensor layer
CN104835416A (zh) 显示装置
KR102159747B1 (ko) 표시장치
US9078362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0088724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ing device
CN107742477B (zh) 一种柔性显示基板、柔性显示面板和柔性显示装置
CN107037922A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TWI512582B (zh) 觸控面板與觸控顯示面板
CN107204346B (zh)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3064223A (zh) 一种阵列基板和一种显示面板
US11372499B2 (en)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JP5516048B2 (ja) デバイス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CN110738936A (zh) 元件基板及拼接电子装置
JP2013050472A (ja) 液晶表示装置
US20240284729A1 (en) Array substrat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array substrate
CN106873267B (zh) 显示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