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868B1 - 전자장치 및 그래픽 오브젝트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래픽 오브젝트 표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1868B1 KR102411868B1 KR1020140168323A KR20140168323A KR102411868B1 KR 102411868 B1 KR102411868 B1 KR 102411868B1 KR 1020140168323 A KR1020140168323 A KR 1020140168323A KR 20140168323 A KR20140168323 A KR 20140168323A KR 102411868 B1 KR102411868 B1 KR 1024118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pen
- display
- graphic object
- layer
- display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 내지 도 2b는 터치펜(201)의 기울기 방향에 따라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필기 입력 레이어와 그래픽 오브젝트 표시 레이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입력필드가 포함된 컨텐츠에 터치펜(201)을 이용하여 필기를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컨텐츠가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01)의 엣지 영역을 드래그하여 메모창을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필기 이미지 인식을 통한 사용자 식별 및 펜 스타일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디스플레이부(101)에 문서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펜(201) 인터렉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터치펜(201)의 호버링 인터렉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터치펜(201)을 이용하여 서식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서식 적용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사용자 서식 설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화면의 확대 비율에 따라 터치펜(201) 서식 메뉴의 크기가 확대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 는 터치펜(201)에 의한 필기 입력 모드 및 제스처 입력 모드간의 전환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터치펜(201)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되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103: 제어부 105: 감지부
107: 통신부 201: 터치펜
Claims (20)
- 디스플레이부;
터치펜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터치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터치펜 입력에 대응되는 필기(hand writing)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필기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상기 터치펜 입력의 입력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필기 이미지의 표시 방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상기 결정된 표시 방향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회전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된 상기 터치펜 입력에 대응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펜의 기울기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터치펜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터치펜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펜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펜의 기울기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펜의 기울기 정보로부터 상기 터치펜이 기울어진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펜이 기울어진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펜이 기울어진 방향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제1 레이어에 표시하고, 상기 터치펜 입력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필기(hand writing) 이미지는 제2 레이어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레이어는 고정하고, 상기 제1 레이어는 상기 터치펜이 기울어진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전자장치에 있어서,
터치펜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제1 및 제2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이어에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상기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2 레이어에는 상기 터치펜 입력에 기초한 필기(hand writing)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필기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상기 터치펜 입력의 입력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필기 이미지의 표시 방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상기 결정된 표시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회전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된 상기 터치펜 입력에 대응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펜이 기울어진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펜이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에 표시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이어의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2 레이어의 방향은 변경하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디스플레이부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
터치펜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터치펜 입력에 대응되는 필기(hand writing)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필기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상기 터치펜 입력의 입력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필기 이미지의 표시 방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상기 결정된 표시 방향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회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그래픽 오브젝트 표시 방법. -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장치의 감지부에서 출력된 상기 터치펜 입력에 대응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펜의 기울기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그래픽 오브젝트 표시 방법. -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터치펜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펜의 기울기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그래픽 오브젝트 표시 방법. -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펜의 기울기 정보로부터 상기 터치펜이 기울어진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펜이 기울어진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그래픽 오브젝트 표시 방법. -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펜이 기울어진 방향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그래픽 오브젝트 표시 방법. -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터치펜 입력에 기초하여 필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제1 레이어에 표시하고, 상기 터치펜 입력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필기(hand writing) 이미지는 제2 레이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그래픽 오브젝트 표시 방법. -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레이어는 고정하고, 상기 제1 레이어는 상기 터치펜이 기울어진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그래픽 오브젝트 표시 방법. - 제1 레이어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
터치펜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상기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터치펜 입력에 기초하여 제2 레이어에 필기(hand writing)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필기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상기 터치펜 입력의 입력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필기 이미지의 표시 방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상기 결정된 표시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회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그래픽 오브젝트 표시 방법. -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회전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펜이 기울어진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펜이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에 표시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그래픽 오브젝트 표시 방법. -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2 레이어의 방향은 변경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그래픽 오브젝트 표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8323A KR102411868B1 (ko) | 2014-11-28 | 2014-11-28 | 전자장치 및 그래픽 오브젝트 표시 방법 |
US14/942,371 US10146341B2 (en) | 2014-11-28 | 2015-11-16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al object thereof |
EP15863317.2A EP3224703B1 (en) | 2014-11-28 | 2015-11-18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al object thereof |
CN201580065515.2A CN107003807B (zh) | 2014-11-28 | 2015-11-18 | 电子装置及显示它的图形对象的方法 |
PCT/KR2015/012374 WO2016085186A1 (en) | 2014-11-28 | 2015-11-18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al object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8323A KR102411868B1 (ko) | 2014-11-28 | 2014-11-28 | 전자장치 및 그래픽 오브젝트 표시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4560A KR20160064560A (ko) | 2016-06-08 |
KR102411868B1 true KR102411868B1 (ko) | 2022-06-23 |
Family
ID=56074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8323A Active KR102411868B1 (ko) | 2014-11-28 | 2014-11-28 | 전자장치 및 그래픽 오브젝트 표시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146341B2 (ko) |
EP (1) | EP3224703B1 (ko) |
KR (1) | KR102411868B1 (ko) |
CN (1) | CN107003807B (ko) |
WO (1) | WO201608518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191460B2 (en) * | 2014-06-19 | 2019-01-29 | Makino Milling Machine Co., Ltd. | Control device for machine tool |
JP6557300B2 (ja) * | 2017-08-15 | 2019-08-07 | ファナック株式会社 | タッチパネルの検査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の検査方法 |
KR102656447B1 (ko) * | 2018-02-27 | 2024-04-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컨트롤러와 접촉된 신체 부위에 따라 그래픽 객체를 다르게 표시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
CN109614178A (zh) * | 2018-09-04 | 2019-04-12 |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批注显示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
KR20220086896A (ko) * | 2020-12-17 | 2022-06-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필기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
US11797173B2 (en) * | 2020-12-28 | 2023-10-24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digital ink optimized user interface elements |
JP2023044182A (ja) * | 2021-09-17 | 2023-03-30 |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 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
US11537239B1 (en) * | 2022-01-14 | 2022-12-27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Diffusion-based handedness classification for touch-based input |
WO2024196117A1 (ko) * | 2023-03-20 | 2024-09-2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61794B2 (ja) | 1992-03-05 | 2001-04-25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ペン入力装置及びペン入力方法 |
JP2009237836A (ja) | 2008-03-27 | 2009-10-15 | Sanyo Electric Co Ltd | 手書き入力パネルを備えた車載用電子装置 |
KR20100012701A (ko) * | 2008-07-29 | 2010-02-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펜 타입 휴대용 입력 장치 및 그 궤적 보정 방법 |
EP2580645B1 (en) | 2010-06-11 | 2019-11-27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Object orientation detection with a digitizer |
KR101155349B1 (ko) | 2011-02-11 | 2012-06-15 | 주식회사바이제로 | 필기이미지입력장치 |
US8638320B2 (en) | 2011-06-22 | 2014-01-28 | Apple Inc. | Stylus orientation detection |
CN102402360A (zh) * | 2011-11-23 | 2012-04-04 | 段西京 | 手写显示屏、手写输入笔及手写输入方法 |
US20140022218A1 (en) | 2012-07-20 | 2014-01-23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Orientation sensing stylus |
KR20140014551A (ko) * | 2012-07-24 | 2014-02-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메모 기능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KR101997450B1 (ko) * | 2013-02-04 | 2019-07-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
US9075464B2 (en) * | 2013-01-30 | 2015-07-07 | Blackberry Limited | Stylus based object modification on a touch-sensitive display |
JP2014241005A (ja) * | 2013-06-11 | 2014-12-25 | 株式会社東芝 |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
JP2015043159A (ja) * | 2013-08-26 | 2015-03-05 | シャープ株式会社 | 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表示装置 |
US9400570B2 (en) * | 2014-11-14 | 2016-07-26 | Apple Inc. | Stylus with inertial sensor |
JP5939594B2 (ja) * | 2014-11-25 | 2016-06-22 |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画像の拡大又は縮小を行う装置並びに方法 |
-
2014
- 2014-11-28 KR KR1020140168323A patent/KR102411868B1/ko active Active
-
2015
- 2015-11-16 US US14/942,371 patent/US10146341B2/en active Active
- 2015-11-18 WO PCT/KR2015/012374 patent/WO201608518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11-18 EP EP15863317.2A patent/EP3224703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5-11-18 CN CN201580065515.2A patent/CN107003807B/zh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2701호(2010.02.08.) 1부* |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4551호(2014.02.06.) 1부* |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9599호(2014.08.13.)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085186A1 (en) | 2016-06-02 |
EP3224703A4 (en) | 2017-10-04 |
EP3224703A1 (en) | 2017-10-04 |
US10146341B2 (en) | 2018-12-04 |
CN107003807B (zh) | 2021-06-04 |
US20160154474A1 (en) | 2016-06-02 |
CN107003807A (zh) | 2017-08-01 |
KR20160064560A (ko) | 2016-06-08 |
EP3224703B1 (en) | 2022-0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11868B1 (ko) | 전자장치 및 그래픽 오브젝트 표시 방법 | |
CN114564113B (zh) | 电子设备上的手写输入 | |
US10409418B2 (en) | Electronic device operating according to pressure state of touch input and method thereof | |
US20230259269A1 (en) | Device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Conveying Proximity-Based and Contact-Based Input Events | |
KR102090964B1 (ko) |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 |
US10387033B2 (en) | Size reduction and utilization of software keyboards | |
US10466862B2 (en) | Input device, electronic apparatus for receiving signal from input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JP2012104095A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US9477398B2 (en) |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point input | |
EP3267303A1 (en) | Multi-touch display pane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20160033547A (ko) | 컨텐트를 스타일링하는 장치 및 방법 | |
KR102205283B1 (ko) |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20040970A (ko) | 디스플레이에서 제스쳐를 인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
US20140123036A1 (en) | Touch screen display process | |
JP2009098990A (ja) | 表示装置 | |
US9244556B2 (en) |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program | |
KR20160055552A (ko) | 메모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 |
US20140085340A1 (en)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ipulating scale or rotation of graphic on display | |
JP6327834B2 (ja) | 操作表示装置、操作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20150098366A (ko) | 가상 터치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 |
KR101692848B1 (ko) | 호버링을 이용하는 가상 터치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 |
KR20130077137A (ko) | 터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및 그 입력 방법 | |
Kitani | Menu designs for note-taking applications on tablet devices | |
KR20160107139A (ko) | 가상 터치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1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1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