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55349B1 - 필기이미지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필기이미지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349B1
KR101155349B1 KR1020110012128A KR20110012128A KR101155349B1 KR 101155349 B1 KR101155349 B1 KR 101155349B1 KR 1020110012128 A KR1020110012128 A KR 1020110012128A KR 20110012128 A KR20110012128 A KR 20110012128A KR 101155349 B1 KR101155349 B1 KR 101155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handwriting
pen
image
tou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바이제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바이제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바이제로
Priority to KR1020110012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34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이미지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장치바디부와, 상기 장치바디부에 설치된 메모리와, 상기 장치바디부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동작이 일어날 때 각 터치동작에 대응하는 좌표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좌표값에 기초하여 터치필기이미지를 생성하는 터치필기이미지생성부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향하도록 상기 장치바디부에 설치되는 표시스크린과, 사용자가 필기이미지를 입력하기 위한 필기입력시작버튼이 활성조작될 때 필기입력창을 상기 표시스크린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필기이미지의 입력을 종료하기 위한 필기입력종료버튼이 활성조작될 때 상기 필기입력창에 표시된 필기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갖는 필기이미지입력장치에 있어서, 펜바디부와 상기 펜바디부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초음파발생부와 상기 펜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초음파와 같은 주기로 빛을 발생시키는 빛발생부를 갖는 전자펜과, 수신기하우징과 상기 빛발생부에서 발생하는 빛을 감지하는 한 쌍의 빛감지부와 상기 초음파발생부에서 발생한 초음파를 감지하는 초음파감지부를 가지고 상기 빛감지부에서 감지한 빛감지정보와 상기 초음파감지부에서 감지한 초음파감지정보를 출력하는 수신기와, 상기 장치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신기로부터 입력되는 빛감지정보 및 초음파감지정보에 빛과 초음파의 속도차를 반영하여 상기 전자펜의 이동위치를 나타내는 펜이동좌표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펜이동좌표값에 기초하여 펜필기이미지를 생성하는 펜필기이미지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동작을 통해 필기이미지ㄱ가 입력되는 터치입력모드와 상기 전자펜을 통해 필기이미지가 입력되는 펜입력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모드선택버튼의 조작상태에 따라 터치입력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터치필기이미지생성부에서 생성한 터치필기이미지를 상기 필기입력창에 표시하고 펜입력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펜필기이미지생성부에서 생성한 펜필기이미지를 상기 필기입력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터치동작이 자유롭지 못한 환경이나 복잡한 필기이미지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고 의도하지 않은 내용이 필기이미지로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기이미지입력장치{Writing Image Input Device}
본 발명은 필기이미지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문자, 도형 등을 필기한 형태 그대로의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갖는 대화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와 상호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대화형 장치(Interactive Device)는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수단을 갖고 있다. 여기서 대화형 장치로는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통신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 등이 있다.
대화형 장치를 구성하는 사용자입력수단의 하나로 접촉동작에 의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을 갖는 대화형 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동작한다.
먼저 사용자가 손 또는 물체를 터치스크린에 접촉시킨다.
손 또는 물체가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면 각 접촉동작에 대응하는 전자기적 접촉신호가 발생한다. 여기서 접촉신호가 발생하는 원리는 정전용량방식, 저항막방식, 표면초음파방식, 적외선방식 등이 있다.
다음에 발생한 접촉신호에 기초하여 접촉위치의 좌표값을 산출한다.
마지막으로 대화형 장치는 산출된 좌표값에 상응하는 동작(명령실행, 커서 이동 등)을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한다.
최근에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여 문자, 도형 등을 필기한 형태 그대로(필기된 문자가 어떤 문자인지를 판독하여 기계가 읽을 수 있는 문자로 변환하는 경우는 제외된다는 의미)의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하 필기한 형태 그대로의 정보를 필기이미지라고 하고, 터치스크린을 통해 필기이미지를 입력하는 기능을 갖는 대화형 장치를 필기이미지입력장치라고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필기이미지장치는 필기이미지를 입력하는 기능 이외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기능, 카메라 기능, 웹서핑 기능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5는 종래 필기이미지입력장치의 전체구성도이고, 도6은 종래 필기이미지입력장치의 기능별 블럭도이다.
종래의 필기이미지입력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바디부(111)와, 장치바디부(111)에 설치된 메모리(112), 터치스크린(113), 터치필기이미지생성부(114) 및 표시스크린(115)과, 장치바디부(111)에 설치된 제어부(117)를 갖고 있다.
터치스크린(113)의 구현기술은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터치필기이미지생성부(114)는 터치스크린(113)에 대한 터치동작이 일어나는 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각 터치동작에 대응하는 좌표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좌표값에 기초하여 터치필기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필기이미지생성부(114)의 구현 기술은 휴대폰이나 멀티미디어기기 분야에서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표시스크린(115)은 터치스크린(113)에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표시스크린(115)은 종래 널려 알려진 바와 같이 액정표시패널(LC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유기발광다이오드패널(OLD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anel), 플라스마표시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117)는 장치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면 터치방식의 필기입력시작버튼(121)을 갖는 초기화면을 표시스크린(115)에 표시한다. 필기입력시작버튼(121)은 사용자가 필기이미지를 입력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제어부(117)는 필기입력시작버튼(121)이 활성조작될 때 필기입력창(115a)과 필기입력종료버튼(122) 및 이미지전송버튼(123)을 표시스크린(115)에 표시한다.
필기입력종료버튼(122)은 사용자가 필기이미지의 입력을 종료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이미지전송버튼(123)은 사용자가 메모리(112)에 저장된 필기이미지를 전송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제어부(117)는 필기입력종료버튼(122)이 활성조작될 때 필기입력창(115a)에 표시된 필기이미지를 메모리(112)에 저장한다.
제어부(117)는 이미지전송버튼(123)이 활성조작될 때 메모리(112)에 저장된 필기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전송한다. 여기서 필기이미지의 전송은 통신기능을 갖는 전송부(118)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필기이미지입력장치의 동작을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필기이미지를 작성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고자 할 때에는 기동버튼(도시되지 않음)을 조작하여 장치에 동작전압을 공급한다.
다음에 표시스크린(115)에 표시된 필기입력시작버튼(121)이 활성화되도록 조작한다.
다음에 터치스크린(113)에 대한 터치동작을 통해 필기이미지를 필기입력창(115a)에 입력한다.
필기이미지의 작성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필기입력종료버튼(122)과 이미지전송버튼(123)을 순차적으로 조작한다.
그런데 종래의 필기이미지입력장치에 따르면, 터치스크린(113)에 필기이미지를 작성하는 손가락이나 터치펜 이외의 부분이 접촉하지 않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터치동작이 자유롭지 못한 환경에서 필기이미지를 입력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손가락이나 터치펜 이외의 부분이 터치스크린(113)에 접촉하는 경우 의도하지 않은 내용이 필기이미지로서 입력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터치스크린(113) 상에서 손가락이나 터치펜을 움직여서 필기이미지를 작성해야하기 때문에 복잡한 필기이미지를 입력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동작이 자유롭지 못한 환경이나 복잡한 필기이미지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고 의도하지 않은 내용이 필기이미지로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필기이미지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장치바디부와, 상기 장치바디부에 설치된 메모리와, 상기 장치바디부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동작이 일어날 때 각 터치동작에 대응하는 좌표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좌표값에 기초하여 터치필기이미지를 생성하는 터치필기이미지생성부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향하도록 상기 장치바디부에 설치되는 표시스크린과, 사용자가 필기이미지를 입력하기 위한 필기입력시작버튼이 활성조작될 때 필기입력창을 상기 표시스크린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필기이미지의 입력을 종료하기 위한 필기입력종료버튼이 활성조작될 때 상기 필기입력창에 표시된 필기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갖는 필기이미지입력장치에 있어서, 펜바디부와 상기 펜바디부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초음파발생부와 상기 펜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초음파와 같은 주기로 빛을 발생시키는 빛발생부를 갖는 전자펜과, 수신기하우징과 상기 빛발생부에서 발생하는 빛을 감지하는 한 쌍의 빛감지부와 상기 초음파발생부에서 발생한 초음파를 감지하는 초음파감지부를 가지고 상기 빛감지부에서 감지한 빛감지정보와 상기 초음파감지부에서 감지한 초음파감지정보를 출력하는 수신기와, 상기 장치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신기로부터 입력되는 빛감지정보 및 초음파감지정보에 빛과 초음파의 속도차를 반영하여 상기 전자펜의 이동위치를 나타내는 펜이동좌표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펜이동좌표값에 기초하여 펜필기이미지를 생성하는 펜필기이미지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동작을 통해 필기이미지가 입력되는 터치입력모드와 상기 전자펜을 통해 필기이미지가 입력되는 펜입력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모드선택버튼의 조작상태에 따라 터치입력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터치필기이미지생성부에서 생성한 터치필기이미지를 상기 필기입력창에 표시하고 펜입력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펜필기이미지생성부에서 생성한 펜필기이미지를 상기 필기입력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이미지입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필기입력창에 표시된 필기이미지를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필기이미지를 전송하기 위한 이미지전송버튼이 활성조작될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필기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동작을 통해 필기이미지를 입력하는 방법과 전자펜을 통해 필기이미지를 입력하는 방법을 마련하고 터치동작을 통한 입력방법과 전자펜을 통한 입력방법을 입력모드선택버튼을 통해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터치동작이 자유롭지 못한 환경이나 복잡한 필기이미지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고 의도하지 않은 내용이 필기이미지로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이미지입력장치의 전체구성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수신기의 상세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이미지입력장치의 기능별 블럭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이미지입력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종래 필기이미지입력장치의 전체구성도,
도6은 종래 필기이미지입력장치의 기능별 블럭도,
도7은 종래 필기이미지입력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이미지입력장치의 전체구성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수신기의 상세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이미지입력장치의 기능별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이미지입력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바디부(11)와, 장치바디부(11)에 설치된 메모리(12), 터치스크린(13), 터치필기이미지생성부(14), 표시스크린(15) 및 펜필기이미지생성부(16)와, 장치바디부(11)와 분리되어 있는 전자펜(30)과, USB케이블 등을 통해 펜필기이미지생성부(16)와 통신할 수 있도록 장치바디부(11)에 설치된 수신기(40)와, 장치바디부(11)에 설치된 제어부(17)를 갖고 있다.
터치스크린(13)의 구현기술은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터치필기이미지생성부(14)는 터치스크린(13)에 대한 터치동작이 일어나는 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각 터치동작에 대응하는 좌표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좌표값에 기초하여 터치필기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필기이미지생성부(14)의 구현 기술은 휴대폰이나 멀티미디어기기 분야에서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표시스크린(15)은 터치스크린(13)에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표시스크린(15)은 종래 널려 알려진 바와 같이 액정표시패널(LC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유기발광다이오드패널(OLD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anel), 플라스마표시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펜필기이미지생성부(16)는 수신기(40)로부터 입력되는 빛감지정보 및 초음파감지정보에 빛과 초음파의 속도차를 반영하여 전자펜(30)의 이동위치를 나타내는 펜이동좌표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펜이동좌표값에 기초하여 펜필기이미지를 생성한다.
전자펜(30)은 펜바디부(31)와, 펜바디부(31)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초음파발생부(32)와, 펜바디부(31)에 설치되어 초음파와 같은 주기로 빛을 발생시키는 빛발생부(33)를 갖고 있다.
초음파발생부(32)는 피에조필름센서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빛발생부(33)는 적외선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수신기(40)는 수신기하우징(41)과, 빛발생부(33)에서 발생하는 빛을 감지하는 빛감지부(43)와, 초음파발생부(32)에서 발생한 초음파를 감지하는 한 쌍의 초음파감지부(42)를 갖고 있다.
빛감지부(43)는 적외선광센서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초음파감지부(42)는 한 쌍의 마이크로폰수신기(Microphone Receiver)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신기(40)는 빛감지부(43)에서 감지한 빛감지정보와 초음파감지부(42)에서 감지한 초음파감지정보를 펜필기이미지생성부(16)로 출력한다.
전술한 펜필기이미지생성부(16), 전자펜(30) 및 수신기(40)의 구현 기술은 2008년 특허공개 제94779호, 실용신안등록 제444195호 등에 개시되어 있고 멀티미디어기기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7)는 장치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면 터치방식의 필기입력시작버튼(21)을 갖는 초기화면을 표시스크린(15)에 표시한다. 필기입력시작버튼(21)은 사용자가 필기이미지를 입력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필기입력시작버튼(21)은 단독으로 또는 메뉴형태로 터치스크린(13)에 표시될 수 있으며, 터치방식 이외 별도의 온오프스위치 형태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필기입력시작버튼(21)이 활성조작될 때 필기입력창(15a)과 입력모드선택버튼(24), 필기입력종료버튼(22) 및 이미지전송버튼(23)을 표시스크린(15)에 표시한다.
입력모드선택버튼(24)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3)에 대한 터치동작을 통해 필기이미지가 입력되는 터치입력모드와 전자펜(30)을 통해 필기이미지가 입력되는 펜입력모드를 선택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필기입력종료버튼(22)은 사용자가 필기이미지의 입력을 종료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이미지전송버튼(23)은 사용자가 메모리(12)에 저장된 필기이미지를 전송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입력모드선택버튼(24), 필기입력종료버튼(22) 및 이미지전송버튼(23)은 단독으로 또는 메뉴형태로 터치스크린(13)에 표시될 수 있으며, 터치방식 이외 별도의 온오프스위치 형태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입력모드선택버튼(24)의 초기상태에서 터치입력모드로, 입력모드선택버튼(24)이 터치되어 활성화되면 펜입력모드로 인식하고, 다시 입력모드선택버튼(24)이 터치되면 터치입력모드로 인식하게 된다.
제어부(17)는 터치입력모드인 경우 터치필기이미지생성부(14)에서 생성한 터치필기이미지를 필기입력창(15a)에 표시하고, 펜입력모드인 경우 펜필기이미지생성부(16)에서 생성한 터치필기이미지를 필기입력창(15a)에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17)의 필기이미지 표시동작 제어는 터치입력모드인 경우 멀티플렉서(19)를 통해 터치필기이미지생성부(14)와 표시스크린(15)이 연결되고 펜입력모드인 경우 펜필기이미지생성부(16)와 표시스크린(15)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의 필기이미지 표시동작 제어는 터치입력모드인 경우 펜필기이미지생성부(16)에서의 필기이미지 생성을 저지하고 펜입력모드인 경우 터치필기이미지생성부(14)에서의 필기이미지 생성을 저지하는 방법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는 필기입력종료버튼(22)이 활성조작될 때 필기입력창(15a)에 표시된 필기이미지를 메모리(12)에 저장하고, 이미지전송버튼(23)이 활성조작될 때 메모리(12)에 저장된 필기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전송한다.
필기이미지의 전송은 통신기능을 갖는 전송부(18)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이미지입력장치의 동작을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필기이미지를 작성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고자 할 때에는 기동버튼(도시되지 않음)을 조작하여 장치에 동작전압을 공급한다.
다음에 표시스크린(15)에 표시된 필기입력시작버튼(21)이 활성화되도록 조작한다.
다음에 입력모드선택버튼(24)을 터치입력모드 또는 펜입력모드로 조작하여 터치스크린(13)에 대한 터치동작을 통해 필기이미지를 입력할 것인지 또는 전자펜(30)을 통해 필기이미지를 입력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다음에 터치스크린(13)에 대한 터치동작을 통해 또는 전자펜(30)을 움직여 필기이미지를 필기입력창(15a)에 입력한다.
펜입력모드인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3)에서 또는 일반 종이용지에서 전자펜(30)을 움직여 필기이미지를 작성할 수 있다.
필기이미지의 작성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필기입력종료버튼(22)과 이미지전송버튼(23)을 순차적으로 조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스크린(13)에 대한 터치동작을 통해 필기이미지를 입력하는 방법과 전자펜(30)을 통해 필기이미지를 입력하는 방법을 마련하고 터치동작을 통한 입력방법과 전자펜(30)을 통한 입력방법을 입력모드선택버튼(24)을 통해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터치동작이 자유롭지 못한 환경이나 복잡한 필기이미지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펜입력모드에서 전자펜(30)을 터치스크린(13)에서 움직일 때 손바닥 등이 터치스크린(13)에 터치하더라도 터치동작에 의한 필기이미지생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내용이 필기이미지로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전송버튼(23)이 활성조작될 때 메모리(12)에 저장된 필기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기입력창(15a)에 표시된 필기이미지를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11, 111 : 장치바디부 12, 112 : 메모리
13, 113 : 터치스크린 14, 114 : 터치필기이미지생성부
15, 115 : 표시스크린 16 : 펜필기이미지생성부
17, 117 : 제어부 18, 118 : 전송부
21, 121 : 필기입력시작버튼 22, 122 : 필기입력종료버튼
23, 123 : 이미지전송버튼 24 : 입력모드선택버튼
30 : 전자펜 40 : 수신기

Claims (2)

  1. 장치바디부와, 상기 장치바디부에 설치된 메모리와, 상기 장치바디부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동작이 일어날 때 각 터치동작에 대응하는 좌표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좌표값에 기초하여 터치필기이미지를 생성하는 터치필기이미지생성부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향하도록 상기 장치바디부에 설치되는 표시스크린과, 사용자가 필기이미지를 입력하기 위한 필기입력시작버튼이 활성조작될 때 필기입력창을 상기 표시스크린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필기이미지의 입력을 종료하기 위한 필기입력종료버튼이 활성조작될 때 상기 필기입력창에 표시된 필기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갖는 필기이미지입력장치에 있어서,
    펜바디부와 상기 펜바디부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초음파발생부와 상기 펜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초음파와 같은 주기로 빛을 발생시키는 빛발생부를 갖는 전자펜과, 수신기하우징과 상기 빛발생부에서 발생하는 빛을 감지하는 빛감지부와 상기 초음파발생부에서 발생한 초음파를 감지하는 초음파감지부를 가지고 상기 빛감지부에서 감지한 빛감지정보와 상기 초음파감지부에서 감지한 초음파감지정보를 출력하는 수신기와, 상기 장치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신기로부터 입력되는 빛감지정보 및 초음파감지정보에 빛과 초음파의 속도차를 반영하여 상기 전자펜의 이동위치를 나타내는 펜이동좌표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펜이동좌표값에 기초하여 펜필기이미지를 생성하는 펜필기이미지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동작을 통해 필기이미지가 입력되는 터치입력모드와 상기 전자펜을 통해 필기이미지가 입력되는 펜입력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모드선택버튼의 조작상태에 따라 터치입력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터치필기이미지생성부에서 생성한 터치필기이미지를 상기 필기입력창에 표시하고 펜입력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펜필기이미지생성부에서 생성한 펜필기이미지를 상기 필기입력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이미지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필기이미지를 전송하기 위한 이미지전송버튼이 활성조작될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필기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이미지입력장치.
KR1020110012128A 2011-02-11 2011-02-11 필기이미지입력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155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128A KR101155349B1 (ko) 2011-02-11 2011-02-11 필기이미지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128A KR101155349B1 (ko) 2011-02-11 2011-02-11 필기이미지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5349B1 true KR101155349B1 (ko) 2012-06-15

Family

ID=4660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1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5349B1 (ko) 2011-02-11 2011-02-11 필기이미지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3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9821A (ko) * 2012-08-30 201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입력선택 장치 및 방법
US10146341B2 (en) 2014-11-28 2018-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al object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9542A (ja) 2008-06-30 2010-01-14 Pentel Corp 電子ペ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9542A (ja) 2008-06-30 2010-01-14 Pentel Corp 電子ペン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9821A (ko) * 2012-08-30 201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입력선택 장치 및 방법
KR102008438B1 (ko) * 2012-08-30 201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입력선택 장치 및 방법
US10146341B2 (en) 2014-11-28 2018-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al object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82404B2 (en) Touch-sensitive button
EP2717120B1 (e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providing finger-based and hand-based gesture command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US10120446B2 (en) Haptic input device
JP5759660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式情報端末および入力方法
US9459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JP2010108071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482790A (zh) 可于两显示元件上转移对象的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N103543851A (zh) 利用笔输入设备的输入方法和装置
CN101493745A (zh) 手持式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US8947378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touch sensing method
CN103365485A (zh) 光学式触控感测装置
CN101315587B (zh) 光标控制装置
KR101155349B1 (ko) 필기이미지입력장치
TWI414980B (zh) 虛擬觸控裝置與相關方法
KR20090072347A (ko) 하이브리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I536249B (zh) Hand-held touch device and its single-hand manipulation of the full touch range method
CN102385449A (zh) 便携式电子设备和触摸控制方法
KR20080063537A (ko) 터치센서를 구비한 미디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20182231A1 (en) Virtual Multi-Touc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6406784A (zh) 影像输出装置
KR20110053014A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10018569A (ko) 멀티터치패드 겸용 마우스 및 그 제어방법
TWI556135B (zh) 可攜式電子裝置及其訊息處理方法
Kyung et al. A motion-based handheld haptic interface
WO2014082202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