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250B1 - 충전대상 기기, 무선 충전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충전대상 기기, 무선 충전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1250B1 KR102411250B1 KR1020207005815A KR20207005815A KR102411250B1 KR 102411250 B1 KR102411250 B1 KR 102411250B1 KR 1020207005815 A KR1020207005815 A KR 1020207005815A KR 20207005815 A KR20207005815 A KR 20207005815A KR 102411250 B1 KR102411250 B1 KR 1024112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 voltage
- charging
- wireless
- curr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 H02J7/0071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in response to charge current gradi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3—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in response to temperatur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개시의 제1 측면으로, 충전대상 기기가 제공되는 바,
배터리;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회로 - 상기 전자기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로 변환함 -;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 처리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강압 회로;
상기 배터리로 유입되는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 회로; 및
상기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상기 전자기 신호의 발송 전력 강압 회로를 조정하도록 하는 제어 회로; 를 포함한다.
제2 측면으로, 무선 충전 방법이 제공되는 바, 충전대상 기기에 응용되고, 상기 방법은,
무선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기 신호를 제1 전압과 제1 전류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압을 강압 처리하여, 상기 충전대상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로 유입되는 상기 전압 및 상기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상기 전자기 신호의 발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으로, 무선 충전 시스템이 제공되는 바, 상기 무선 충전 시스템은 무선 충전 장치와 충전대상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대상 기기는,
배터리;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기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로 변환하는 무선 수신 회로;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 처리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강압 회로;
강압 회로에 의해 출력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 회로; 및
상기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되는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통신하는 제2 제어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입력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전압 변환 회로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를 획득하는 전압 변환 회로;
상기 전압 변환 회로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에 따라 전자기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충전대상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송신 회로; 및
상기 무선 충전 과정에서 상기 충전대상 기기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충전대상 기기에 의해 피드백된 강압 회로에 의해 출력된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강압 회로에 의해 출력된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전압 변환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상기 전자기 신호의 발송 전력 강압 회로를 조정하는 제1 제어 회로; 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안에 따르면, 충전대상 기기에 의해 강압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검출되고 그것이 무선 충전 장치에 피드백되어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 발송 전력이 조정됨으로써 충전 효율이 향상된다.
본 개시의 기타의 특징과 이점은 후술하는 구체적인 구현 방식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무선 충전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무선 충전 장치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충전대상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의 충전대상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무선 충전 장치와 충전대상 기기의 개략적인 통신 흐름도이다.
도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무선 충전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무선 충전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의 무선 충전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정류 필터 회로와 DC/DC 변환 회로(307)는 선택적인 것인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기기(100)가 교류 전원인 경우, 무선 충전 장치(200)는 정류 필터 회로와 전압 변환 회로(203)를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전원 공급 기기(100)에 의해 공급 가능한 것이 안정된 직류 전기인 경우, 정류 필터 회로 및/또는 전압 변환 회로(203)를 제거할 수 있다.
무선 송신 회로(201)는 전압 변환 회로(203)에 의해 공급되는 직류 전기 또는 전원 공급 기기 등에 의해 공급되는 직류 전기를 송신 코일에 커플링될 수 있는 교류 전기로 변환하고, 송신 코일을 통해 당해 교류 전기를 전자기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도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 장치(200)는 전압 변환 회로(203)를 더 포함한다. 당해 전압 변환 회로(203)는 무선 송신 회로(201)에 공급되는 전류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무선 송신 회로(201)에 공급되는 전류의 전압을 변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무선 송신 회로(201)에 공급되는 전류는 전압 변환 회로(203)에 의해 공급되거나, 전원 공급 기기에 의해 공급되거나, 또는 상술한 에너지 저장 모듈에 의해 공급되는 등일 수 있다.
단계S71에서,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고, 전자기 신호를 제1 전압과 제1 전류로 변환한다.
단계S72에서, 상기 제1 전압을 강압 처리하여, 충전대상 기기의 배터리(305)를 충전하는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한다.
단계S73에서, 배터리로 유입되는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한다.
단계S74에서, 검출된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와 통신하여, 무선 충전 장치가 전자기 신호의 발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검출되는, 배터리로 유입되는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는,
Claims (20)
- 충전대상 기기에 있어서,
배터리;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회로 - 상기 무선 수신 회로는 상기 전자기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로 변환함 - ;
상기 배터리와 상기 무선 수신 회로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 처리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강압 회로;
상기 강압 회로에 의해 출력된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 회로;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상기 전자기 신호의 발송 전력을 조정하도록,상기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통신하는 제어 회로; 및
정전압 정전류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압 정전류 회로는 상기 무선 수신 회로와 상기 강압 회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에 대해 정전압 제어 및 정전류 제어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정전압 정전류 회로는 상기 강압 회로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강압 회로의 출력에 대해 정전압 제어 및 정전류 제어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고,
상기 강압 회로의 강압 변환 효율은 상기 정전압 정전류 회로의 강압 변환 효율보다 높고, 상기 강압 회로의 강압 전압 차는 상기 정전압 정전류 회로의 강압 전압 차보다 큰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대상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압 회로는 차지 펌프이고, 상기 차지 펌프의 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의 비율은 1/2, 1/3, 2/3, 1/4 비율 중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대상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대상 기기는,
상기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정전압 정전류 회로의 정전압 과정 및 정전류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정전압 정전류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대상 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정전류 회로가 상기 무선 수신 회로와 상기 강압 회로 사이에 연결될 경우, 상기 강압 회로는 또한, 상기 정전압 정전류 회로의 출력 전압을 수신하고, 당해 정전압 정전류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 처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대상 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정전류 회로는 Buck 회로 또는 저드롭아웃 선형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대상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직렬접속되는 N개의 셀을 포함하고,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대상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압 회로는 Buck회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대상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전압 및 상기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조정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조정 정보는 상기 전자기 신호의 발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지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대상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대상 기기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무선 수신 회로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정전압 제어 및 정전류 제어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변환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또한, 상기 강압 회로와 상기 변환 회로 사이의 전환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대상 기기. - 충전대상 기기에 적용되는 무선 충전 방법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기 신호를 제1 전압과 제1 전류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압을 강압 처리하여 상기 충전대상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
강압 회로로부터 상기 배터리로 유입되는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상기 전자기 신호의 발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검출된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 및
강압 처리전에, 정전압 정전류 회로가 상기 제1 전압에 대해 정전압 제어 및 정전류 제어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강압 회로의 강압 변환 효율은 상기 정전압 정전류 회로의 강압 변환 효율보다 높고, 상기 강압 회로의 강압 전압 차는 상기 정전압 정전류 회로의 강압 전압 차보다 큰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방법. - 충전대상 기기에 적용되는 무선 충전 방법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기 신호를 제1 전압과 제1 전류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압을 강압 처리하여 상기 충전대상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
강압 회로로부터 상기 배터리로 유입되는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상기 전자기 신호의 발송 전력을 조정하도록, 검출된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 및
정전압 정전류 회로는 배터리에 충전될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정전압 제어 및 정전류 제어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강압 회로의 강압 변환 효율은 상기 정전압 정전류 회로의 강압 변환 효율보다 높고, 상기 강압 회로의 강압 전압 차는 상기 정전압 정전류 회로의 강압 전압 차보다 큰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방법.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 유입되는 전압과 제1 전압의 비율은 1/2, 1/3, 2/3, 1/4 비율 중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방법. - 무선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와 충전대상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대상 기기는,
배터리;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회로 - 상기 무선 수신 회로는 상기 전자기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로 변환함 - ;
상기 배터리와 상기 무선 수신 회로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을 강압 처리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강압 회로;
강압 회로에 의해 출력된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 회로; 및
상기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전압 및 상기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통신하는 제2 제어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입력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전압 변환 회로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를 획득하는 전압 변환 회로;
상기 전압 변환 회로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에 따라 전자기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충전대상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송신 회로;
상기 무선 충전 과정에서, 상기 충전대상 기기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충전대상 기기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강압 회로에 의해 출력된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상기 강압 회로에 의해 출력된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전압 변환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상기 전자기 신호의 발송 전력을 조정하는 제1 제어 회로; 및
정전압 정전류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압 정전류 회로는 상기 무선 수신 회로와 상기 강압 회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에 대해 정전압 제어 및 정전류 제어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정전압 정전류 회로는 상기 강압 회로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강압 회로의 출력에 대해 정전압 제어 및 정전류 제어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고,
상기 강압 회로의 강압 변환 효율은 상기 정전압 정전류 회로의 강압 변환 효율보다 높고, 상기 강압 회로의 강압 전압 차는 상기 정전압 정전류 회로의 강압 전압 차보다 큰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강압 회로는 차지 펌프이고, 상기 차지 펌프의 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의 비율은 1/2, 1/3, 2/3, 1/4 비율 중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CN2018/086915 WO2019218162A1 (zh) | 2018-05-15 | 2018-05-15 | 待充电设备、无线充电方法及系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3939A KR20200033939A (ko) | 2020-03-30 |
KR102411250B1 true KR102411250B1 (ko) | 2022-06-22 |
Family
ID=6853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05815A Active KR102411250B1 (ko) | 2018-05-15 | 2018-05-15 | 충전대상 기기, 무선 충전 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387686B2 (ko) |
EP (1) | EP3719956B1 (ko) |
JP (1) | JP6942883B2 (ko) |
KR (1) | KR102411250B1 (ko) |
CN (1) | CN110603708B (ko) |
WO (1) | WO201921816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812537B2 (ja) * | 2017-04-07 | 2021-01-13 |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無線充電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充電対象機器 |
CN109417308B (zh) | 2017-04-07 | 2023-06-20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无线充电系统、装置、方法及待充电设备 |
KR102325154B1 (ko) | 2017-04-07 | 2021-11-11 |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 충전 대기 설비, 무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충전 방법 |
US11355971B2 (en) * | 2018-10-23 | 2022-06-07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
CN111157813B (zh) * | 2019-12-31 | 2022-09-09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充电电流的确定方法及装置 |
US11594892B2 (en) | 2020-06-02 | 2023-02-28 | Inventus Power, Inc. | Battery pack with series or parallel identification signal |
US11588334B2 (en) | 2020-06-02 | 2023-02-21 | Inventus Power, Inc. | Broadcast of discharge current based on state-of-health imbalance between battery packs |
US11509144B2 (en) | 2020-06-02 | 2022-11-22 | Inventus Power, Inc. | Large-format battery management system with in-rush current protection for master-slave battery packs |
EP4158718A4 (en) | 2020-06-02 | 2024-03-13 | Inventus Power, Inc. | LARGE FORMAT BATTERY MANAGEMENT SYSTEM |
US12224603B2 (en) | 2020-06-02 | 2025-02-11 | Inventus Power, Inc. | Mode-based disabling of communication bus of a battery management system |
US11552479B2 (en) | 2020-06-02 | 2023-01-10 | Inventus Power, Inc. | Battery charge balancing circuit for series connections |
US11245268B1 (en) | 2020-07-24 | 2022-02-08 | Inventus Power, Inc. | Mode-based disabling of communiction bus of a battery management system |
US11476677B2 (en) | 2020-06-02 | 2022-10-18 | Inventus Power, Inc. | Battery pack charge cell balancing |
US12301031B1 (en) | 2020-06-02 | 2025-05-13 | Inventus Power, Inc. | Large-format battery management systems with gateway PCBA |
US11489343B2 (en) | 2020-06-02 | 2022-11-01 | Inventus Power, Inc. | Hardware short circuit protection in a large battery pack |
CN114844234A (zh) * | 2021-02-02 | 2022-08-02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充电控制方法、电子设备、无线充电系统 |
KR20220125514A (ko) * | 2021-03-05 | 2022-09-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
CN113098143B (zh) | 2021-03-30 | 2025-02-11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电子设备的充电系统、无线充电端、终端及充电方法 |
CN115347624A (zh) * | 2021-05-13 | 2022-11-15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Tws耳机充电方法及装置、tws耳机及充电盒、存储介质 |
CN115705098A (zh) * | 2021-08-10 | 2023-02-17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终端设备、用于终端设备的手写笔和充电方法 |
CN113985170A (zh) * | 2021-10-26 | 2022-01-28 | 杭州电子科技大学 | 基于无线电能传输装置的传输效率自动测量系统及方法 |
CN114394004B (zh) * | 2021-12-31 | 2023-08-22 | 南京信息工程大学 | 一种电瓶车共享无线充电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504116A (ja) * | 2005-07-29 | 2009-01-29 | エルエス ケーブル リミテッド | 無接点充電バッテリー及び充電器、これらを含むバッテリー充電セット、並びに充電制御方法 |
JP2009106136A (ja) * | 2007-10-25 | 2009-05-14 | Toyota Motor Corp | 電動車両および車両用給電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390249B2 (en) * | 2009-11-30 | 2013-03-05 | Broadcom Corporation | Battery with integrated wireless power receiver and/or RFID |
JP2013211932A (ja) * | 2012-03-30 | 2013-10-10 | Equos Research Co Ltd | 電力伝送システム |
JP5872373B2 (ja) * | 2012-04-25 | 2016-03-01 | 三洋電機株式会社 | 無接点給電方法 |
KR102139841B1 (ko) * | 2012-10-29 | 2020-07-31 | 애플 인크. | 유도 전력 전송 시스템용 수신기 및 유도 전력 전송 시스템용 수신기를 제어하는 방법 |
CN203135541U (zh) * | 2013-02-01 | 2013-08-14 | 深圳市京泉华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具有无线移动充电功能的装置 |
JP6181614B2 (ja) * | 2014-08-04 | 2017-08-16 | 株式会社Soken | 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
CN104253468A (zh) * | 2014-09-18 | 2014-12-31 | 青岛众海汇智能源科技有限责任公司 | 一种移动式无线充电系统及控制方法 |
CN105529801B (zh) * | 2014-09-29 | 2020-01-31 |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 充电系统及其充电方法 |
TWI591952B (zh) * | 2015-05-15 | 2017-07-11 | 立錡科技股份有限公司 | 諧振式無線電源接收電路及其控制電路與無線電源轉換方法 |
JP6526507B2 (ja) * | 2015-07-15 | 2019-06-05 |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 降圧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降圧充電回路 |
KR102487237B1 (ko) * | 2015-08-07 | 2023-01-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배터리 전압 트래킹을 이용한 충전 제어 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장치 |
KR102445714B1 (ko) * | 2015-08-28 | 2022-09-2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
CN105245025B (zh) * | 2015-10-12 | 2018-07-13 | 华中科技大学 | 一种用于实现动态无线恒定功率充电的系统及其控制方法 |
JP6671920B2 (ja) * | 2015-10-26 | 2020-03-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送電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KR102399275B1 (ko) * | 2015-12-01 | 2022-05-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
JP6421253B2 (ja) * | 2016-02-05 | 2018-11-07 | クワントン オーピーピーオー モバイル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コーポレイション リミテッド | アダプター及び充電制御方法 |
CN209488195U (zh) * | 2016-10-12 | 2019-10-11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移动终端 |
CN107959358B (zh) * | 2016-10-17 | 2020-05-05 | 宁波微鹅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无线充电装置的控制方法及无线充电装置 |
CN106560974B (zh) * | 2016-10-28 | 2024-01-05 | 中兴新能源汽车有限责任公司 | 无线充电系统及汽车无线充电装置 |
CN107472055A (zh) * | 2017-07-10 | 2017-12-15 | 昆明理工大学 | 一种电动滑板车的无线充电装置及其自动充断电的控制方法 |
CN107248769B (zh) * | 2017-07-31 | 2019-04-12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无线充电电路、无线充电方法、无线充电系统及移动终端 |
CN207251274U (zh) * | 2017-09-27 | 2018-04-17 | 中国矿业大学 | 一种无线充电磁感应式传感节点装置及系统 |
CN107947305A (zh) * | 2017-12-01 | 2018-04-20 |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 一种无线充电电路、系统、方法及终端设备 |
CN107947306B (zh) * | 2017-12-05 | 2020-03-27 |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 一种无线快速充电系统与方法 |
-
2018
- 2018-05-15 JP JP2020509498A patent/JP6942883B2/ja active Active
- 2018-05-15 KR KR1020207005815A patent/KR102411250B1/ko active Active
- 2018-05-15 CN CN201880028579.9A patent/CN110603708B/zh active Active
- 2018-05-15 EP EP18918928.5A patent/EP3719956B1/en active Active
- 2018-05-15 WO PCT/CN2018/086915 patent/WO2019218162A1/zh unknown
-
2020
- 2020-01-08 US US16/737,700 patent/US11387686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504116A (ja) * | 2005-07-29 | 2009-01-29 | エルエス ケーブル リミテッド | 無接点充電バッテリー及び充電器、これらを含むバッテリー充電セット、並びに充電制御方法 |
JP2009106136A (ja) * | 2007-10-25 | 2009-05-14 | Toyota Motor Corp | 電動車両および車両用給電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387686B2 (en) | 2022-07-12 |
US20200144871A1 (en) | 2020-05-07 |
CN110603708B (zh) | 2023-12-19 |
KR20200033939A (ko) | 2020-03-30 |
EP3719956A4 (en) | 2020-11-11 |
WO2019218162A1 (zh) | 2019-11-21 |
EP3719956A1 (en) | 2020-10-07 |
CN110603708A (zh) | 2019-12-20 |
EP3719956B1 (en) | 2022-11-02 |
JP2020532259A (ja) | 2020-11-05 |
JP6942883B2 (ja) | 2021-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11250B1 (ko) | 충전대상 기기, 무선 충전 방법 및 시스템 | |
JP6842566B2 (ja) | 被充電機器、無線充電装置及び無線充電方法 | |
CN110867937B (zh) | 一种无线电池充电方法、装置及相关设备 | |
CN112640249B (zh) | 无线电池充电期间的带内通信 | |
EP4024663B1 (en) | Wireless charging apparatus, device to be charged, charging system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 |
CN112803610A (zh) | 待充电设备、系统以及无线充电方法、存储介质 | |
HK40017793A (en) | Device to be charged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system | |
HK40012287A (en) | Device to be charge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system | |
HK40011268A (en) | Device to be charge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system | |
HK40011739A (en) | Device to be charge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2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