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08193B1 - 조수석 에어백 도어 - Google Patents

조수석 에어백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193B1
KR102408193B1 KR1020180009025A KR20180009025A KR102408193B1 KR 102408193 B1 KR102408193 B1 KR 102408193B1 KR 1020180009025 A KR1020180009025 A KR 1020180009025A KR 20180009025 A KR20180009025 A KR 20180009025A KR 102408193 B1 KR102408193 B1 KR 102408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frame
development line
line portion
develop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0308A (ko
Inventor
이민경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9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193B1/ko
Priority to CN201920093230.5U priority patent/CN209505683U/zh
Priority to DE202019000280.4U priority patent/DE202019000280U1/de
Priority to US16/254,914 priority patent/US10933835B2/en
Publication of KR20190090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1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13/00Use of textile products or fabrics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38Air bag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19Res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조수석 에어백 도어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구비되는 프레임부; 프레임부와 마주하여 배치되는 스킨부; 프레임부와 스킨부 사이에 배치되는 발포층부; 및 프레임부에 인서트 사출되는 직물부를 포함하고, 프레임부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구비되는 프레임몸체부; 및 프레임몸체부가 전개되어 분리 가능하게 절개되는 전개라인부를 포함하고, 전개라인부는, 프레임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장공형으로 형성되며, 단부로 향할수록 폭이 좁고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수석 에어백 도어{PASSENGER AIR BAG DOOR}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도를 보강하면서 전개라인부를 따라 전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air bag)은 설정속도 이상으로 주행 중인 자동차의 충돌 시,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도록 자동차에 장착된다. 조수석 에어백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에 장착된다. 에어백의 장착 및 작동을 위한 에어백 시스템은 센서, 배터리, 진단장치를 포함한 충격 감지 모듈 및 에어백 모듈(air bag module)로 이루어진다.
에어백 모듈은 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으면 폭발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inflater), 폭발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에어백, 에어백과 인플레이터가 내장된 에어백 하우징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서 에어백 하우징은 에어백 하우징의 강성, 연선 재질간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물을 인서트하거나, 힌지의 강성을 직물로 강화하기 위하여 인서트한다.
종래 기술에서 에어백 하우징의 강성, 연선 재질간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물을 인서트하는 에어백 하우징은, 에어백 도어, 하우징 루프, 지주부로 구성된다. 하우징은 강성 소재, 연성 소재 2가지의 소재로 사출 성형되며, 강성 소재는 강성 루프, 강성 지주를 성형하고, 연성 소재는 연성 루프, 연성 지주를 성형한다. 강성 소재와 연성 소재가 만나는 지점은 경계부이다. 차량 주행중 에어백이 작동하여 도어부가 회전될 때, 경계부가 균열되며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직물을 인서트하여 두 소재의 결합력을 증대한다. 이 종래기술에는 직물의 힌지부 위치에 박리방지 홀을 적용하였으나, 이는 직물이 힌지부 강성보강에 활용되지 않고 오로지 사출 수지의 탄성에만 의존하므로 점차 전개압 증대를 요구하는 현 추세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 힌지의 강성을 직물로 강화하기 위하여 인서트한 에어백 하우징은, 직물의 강성을 활용하여 힌지 강성을 보강하였으나, 전개라인을 만들기 위해서 별도의 직물 절개 공정을 거쳐야 한다. 직물을 절개하는 스코링 공정은 사출 성형 이후 이루어지며, 기존에 사출층만을 스코링(scoring)하는 것과 달리 직물을 동시에 스코링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사출 스코링 공법 및 설비 개발 및 수정이 불가피하다. 또한 스크림(scrim)을 추가함에 따른 전개성능 확보는 이루었으나, 스크림 추가에 따른 소재비 상승, 스코링 공법 및 설비 개발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2329호(2014.04.01 등록, 발명의 명칭: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강도를 보강하면서 전개라인부를 따라 전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구비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와 마주하여 배치되는 스킨부;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스킨부 사이에 배치되는 발포층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인서트 사출되는 직물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구비되는 프레임몸체부; 및 상기 프레임몸체부가 전개되어 분리 가능하게 절개되는 전개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개라인부는,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장공형으로 형성되며, 단부로 향할수록 폭이 좁고 날카롭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개라인부의 폭은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포층부는 상기 전개라인부가 형성된 위치로 향할수록 두께가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몸체부는 상기 전개라인부를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개라인부는,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전개라인부; 및 상기 제1전개라인부의 말단에 상기 제1전개라인부에 직교되게 배치되는 제2전개라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몸체부는, 상기 제1전개라인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1프레임몸체부; 및 상기 제1전개라인부를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몸체부와 상기 제2프레임몸체부는 상기 제1전개라인부와 상기 제2전개라인부의 파단에 의해 전개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직물부는 상기 전개라인부에 평행한 위사와, 상기 위사와 직교되는 경사가 복수개의 격자형으로 얽혀진 그물 형상을 이룬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직물부에는, 상기 전개라인부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약화홀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화홀부의 크기는 상기 경사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직물부에는 상기 전개라인부에 대해 평행하게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파단유도홀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단유도홀부는 상기 약화홀부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몸체부와 상기 전개라인부는 일체로 사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에 의하면, 직물부가 프레임부에 인서트 사출되어 장착됨으로써 에어백의 전개압에 대해 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부가 프레임부에 인서트되어 제작 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작 시간이 단축되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개라인부의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파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에서 전개라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에서 직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에서 직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에서 전개라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에서 직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에서 직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100)는 프레임부(10), 스킨부(20), 발포층부(30), 직물부(4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50)의 하측면에 구비된다. 인스트루먼트 패널(50)은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정면에 있는 부분으로, 본 발명에서 프레임부(10)는 조수석이 위치한 인스트루먼트 패널(50) 측에 구비된다. 프레임부(10)는 스킨부(20)와 발포층부(30) 아래에 설치되는 크래시패드 코어 구조로서, 프레임몸체부(11), 전개라인부(13)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는 프레임몸체부(11), 전개라인부(13)가 일체로 사출 형성된다. 프레임몸체부(11)와 전개라인부(13)는 일체로 사출 형성되어, 조립 시간이 단축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프레임부(10)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및 측벽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몸체부(11)는 인스트루먼트 패널(50)에 진동 융착 또는 열 융착 가공에 의해 융착되고, 하측에 에어백(미도시)와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가 설치된다. 전개라인부(13)는 프레임몸체부(11)에 프레임몸체부(11)의 길이방향(도 2 기준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전개라인부(13)는 프레임몸체부(11)가 전개 가능하게 절개된다. 전개라인부(13)는 프레임몸체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장공형으로 형성된다. 장공형의 전개라인부(13)는 프레임몸체부(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프레임몸체부(11)는 하측에서 팽창되는 에어백에 의해 팽창되면서 전개라인부(13)를 따라 전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개라인부(13)는 단부(14)(도 4 기준 양끝단부)로 향할수록 폭이 좁고 날카롭게 형성된다. 즉, 전개라인부(13)의 단부(14)가 뾰족하게 형성된다. 전개라인부(13)의 단부(14)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인플레이터의 전개압에 의해 파단이 전개라인부(13)의 날카로운 단부(14)를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전개라인부(13)는 제1전개라인부(13a)와, 제2전개라인부(13b)를 포함한다. 제1전개라인부(13a)는 프레임몸체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2전개라인부(13b)는 제1전개라인부(13a)의 말단에 제1전개라인부(13a)에 직교되게 배치된다.
프레임몸체부(11)는 제1프레임몸체부(11a)와, 제2프레임몸체부(11b)를 포함한다. 제1프레임몸체부(11a)와 제2프레임몸체부(11b)는 제1전개라인부(13a)를 기준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도 2 기준으로 제1프레임몸체부(11a)는 제1전개라인부(13a)의 일측(도 2 기준 상측)에 배치되고, 제2프레임몸체부(11b)는 제1전개라인부(13a)의 타측(도 2 기준 하측)에 배치된다. 제1프레임몸체부(11a)와 제2프레임몸체부(11b)는 전개라인부(13)의 제1전개라인부(13a)와 제2전개라인부(13b)의 파단에 의해 전개된다. 전개라인부(13)의 제1전개라인부(13a)와 제2전개라인부(13b) 파단시, 제1프레임몸체부(11a)와 제2프레임몸체부(11b)는 제1전개라인부(13a)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전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개라인부(13)의 폭(W)은 프레임부(10)의 프레임몸체부(11)의 두께(D1)보다 작게 형성된다. 전개라인부(13)의 폭(W)은 프레임몸체부(11)의 두께(D1)보다 작게 형성되어, 인플레이터의 전개압에 의해 전개라인부(13)가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다.
스킨부(20)는 프레임부(10)와 마주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널(50)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된다. 스킨부(2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50)와 동일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발포층부(30)는 프레임부(10)와 스킨부(20) 사이에 배치된다. 발포층부(30)는 프레임부(10)와 스킨부(20) 사이에 우레탄 등과 같은 발포액을 주입하여 발포 성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발포층부(30)는 전개라인부(13)가 형성된 위치로 향할수록 두께가 점점 작게 형성된다. 즉, 전개라인부(13)가 형성된 위치의 발포층부(30)의 두께(D2)는 그외 주변의 발포층부(30)의 두께(D3)보다 얇게 형성된다. 따라서 전개라인부(13)에서 발포층부(30)의 파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몸체부(11)는 전개라인부(13)를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프레임몸체부(11)의 상측에는 발포층부(30)가 배치된다. 프레임몸체부(11)가 전개라인부(13)를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프레임몸체부(11)의 상측에 배치되는 발포층부(30)은 전개라인부(13)가 형성된 위치의 발포층부(30)의 두께(D2)가 그외 주변의 발포층부(30)의 두께(D3)보다 얇게 형성된다.
전개라인부(13)가 형성된 위치의 발포층부(30)의 두께(D2)는 인플레이터의 전개압에 의해 파손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개라인부(13)가 단부(14)를 향할수록 폭이 좁고 날카롭게 형성되고, 프레임몸체부(11)가 전개라인부(13)를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전개라인부(13)가 형성된 위치의 발포층부(30)의 두께(D2)가 그외 주변의 발포층부(30)의 두께(D3)보다 얇게 형성됨으로써, 프레임부(10)와 발포층부(30)이 전개압에 의해 강도를 유지하면서 인플레이터의 작동에 의해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100)는 프레임부(10)에 스코링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직물부(40)는 프레임부(10)에 인서트 사출되어 장착되는 것으로 섬유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직물부(40)는 위사(41)와 경사(43)를 포함한다. 위사(41)는 전개라인부(13)의 제1전개라인부(13a)에 평행하게 복수개가 배치된다. 경사(43)는 위사(41)와 직교되게 복수개가 배치된다. 따라서 위사(41)와 경사(43)는 복수개의 격자형으로 얽혀져 그물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위사(41)와 경사(43)가 이루는 격자의 모양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기본 단위를 단위격자(A)라 한다. 위사(41)와 경사(43)가 이루는 격자의 모양은 사각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가로길이와 세로길이가 있는 다른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위사(41)와 경사(43)가 이루는 단위격자(A)는 전개라인부(13)의 제1전개라인부(13a)를 따라 상하측으로 배치되어, 직물부(40)의 뒤틀림을 방지한다.
직물부(40)에는 약화홀부(45)와 파단유도홀부(47)가 형성된다. 약화홀부(45)는 전개라인부(13)의 제1전개라인부(13a)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된다. 약화홀부(45)의 크기는 경사(43)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약화홀부(45)의 가로길이(B)는 단위격자(A) 간의 거리로 결정된다. 약화홀부(45)의 세로길이(C)는 전개라인부(13)의 제1전개라인부(13a)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룬다. 약화홀부(45)의 세로길이(C)는 약화홀부(45)의 가로길이(B) 보다 짧게 형성된다.
파단유도홀부(47)는 전개라인부(13)의 제1전개라인부(13a)에 대해 평행하게 복수개가 이격 배치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단유도홀부(47)는 전개라인부(13)의 제1전개라인부(13a)의 상하측에 각각 복수개가 이격 배치된다.
파단유도홀부(47)는 단위격자(A)의 위사(41)와 경사(43)를 파단하여 형성된다. 파단유도홀부(47)는 파단유도홀부(47)의 주변에서 파단이 이루어지게 경사(43)가 파단되도록 배치된다. 파단유도홀부(47)의 가로길이(F)는 적어도 파단 가능한 경사(43)의 수를 포함하는 길이로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파단유도홀부(47)의 가로길이(F)는 파단 가능한 경사(43)의 수가 적어도 2개 이상이 되도록 한다. 파단유도홀부(47)의 세로길이(G)는 파단유도홀부(47)의 가로길이(F)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한다. 파단유도홀부(47)는 약화홀부(45)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파단유도홀부(47) 주변인 약화홀부(45)에서 파단이 이루어지게 유도한다.
프레임부(10)에서 전개라인부(13)를 따라 파단될 때, 직물부(40)에는 인장력이 작용되어, 전개라인부(13)를 기준으로 상하측의 파단유도홀부(4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한 약화홀부(45)의 경사(43)가 파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차량에 설정 조건 이상의 충격이 전달되면, 인플레이터가 작동되어 에어백을 팽창시킨다. 에어백이 팽창되면서 직물부(40)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직물부(40)는 파단유도홀부(47)에 의해 파단이 유도되고, 약화홀부(45)를 따라 파단된다.
프레임부(10)의 전개라인부(13)의 단부(14)가 폭이 좁고 날가롭게 형성되어, 전개라인부(13)의 단부(14)가 전개압에 의해 끊어지고, 프레임몸체부(11)는 전개라인부(13)를 따라 제1프레임몸체부(11a)와 제2프레임몸체부(11b)로 전개된다.
프레임몸체부(11)가 전개되고, 전개라인부(13)가 형성된 위치의 발포층부(30)의 두께(D2)가 그외 주변의 발포층부(30)의 두께(D3)보다 얇게 형성된 발포층부(30)는 전개라인부(13)를 따라 파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이때 스킨부(20)도 발포층부(30)와 같이 파단된다. 프레임부(10), 발포층부(30), 스킨부(20)의 파단에 의해 에어백은 인스트루먼트 패널(50)에서 노출되어 차량의 조수석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100)에 의하면, 직물부(40)가 프레임부(10)에 인서트 사출되어 장착됨으로써 에어백의 전개압에 대해 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부(40)가 프레임부(10)에 인서트되어 제작 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작 시간이 단축되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개라인부(13)의 단부(14)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파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부 11: 프레임몸체부
11a: 제1프레임몸체부 11b: 제2프레임몸체부
13: 전개라인부 13a: 제1전개라인부
13b: 제2전개라인부 20: 스킨부
30: 발포층부 40: 직물부
41: 위사 43: 경사
45: 약화홀부 47: 파단유도홀부
50: 인스트루먼트 패널 100: 조수석 에어백 도어

Claims (12)

  1.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구비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와 마주하여 배치되는 스킨부;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스킨부 사이에 배치되는 발포층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인서트 사출되는 직물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는 프레임몸체부; 및
    상기 프레임몸체부가 전개되어 분리 가능하게 절개되는 전개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개라인부는,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장공형으로 형성되며, 단부로 향할수록 폭이 좁고 날카롭게 형성되고,
    상기 전개라인부는,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전개라인부; 및
    상기 제1전개라인부의 말단에 상기 제1전개라인부에 직교되게 배치되는 제2전개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직물부는 상기 전개라인부에 평행한 위사와, 상기 위사와 직교되는 경사가 복수개의 격자형으로 얽혀진 그물 형상을 이루고,
    상기 직물부에는,
    상기 전개라인부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약화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약화홀부의 세로길이는 상기 제1전개라인부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고,
    상기 약화홀부의 세로길이는 상기 약화홀부의 가로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라인부의 폭은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층부는 상기 전개라인부가 형성된 위치로 향할수록 두께가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몸체부는 상기 전개라인부를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몸체부는,
    상기 제1전개라인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1프레임몸체부; 및
    상기 제1전개라인부를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몸체부와 상기 제2프레임몸체부는 상기 제1전개라인부와 상기 제2전개라인부의 파단에 의해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화홀부의 크기는 상기 경사의 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부에는
    상기 전개라인부에 대해 평행하게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파단유도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유도홀부는 상기 약화홀부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몸체부와 상기 전개라인부는 일체로 사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KR1020180009025A 2018-01-24 2018-01-24 조수석 에어백 도어 Active KR102408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025A KR102408193B1 (ko) 2018-01-24 2018-01-24 조수석 에어백 도어
CN201920093230.5U CN209505683U (zh) 2018-01-24 2019-01-21 乘客气囊门
DE202019000280.4U DE202019000280U1 (de) 2018-01-24 2019-01-22 Beifahrer-Airbag-Tür
US16/254,914 US10933835B2 (en) 2018-01-24 2019-01-23 Passenger air bag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025A KR102408193B1 (ko) 2018-01-24 2018-01-24 조수석 에어백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308A KR20190090308A (ko) 2019-08-01
KR102408193B1 true KR102408193B1 (ko) 2022-06-13

Family

ID=65441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025A Active KR102408193B1 (ko) 2018-01-24 2018-01-24 조수석 에어백 도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33835B2 (ko)
KR (1) KR102408193B1 (ko)
CN (1) CN209505683U (ko)
DE (1) DE202019000280U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585474A1 (en) * 2024-01-09 2025-07-16 Hyundai Mobis Co., Ltd. Crash pad module, mold for manufacturing crash pad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rash pad module u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71196A (zh) * 2020-01-07 2020-04-28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包含安全气囊门铰链的用于汽车内部的饰件
CN111086476A (zh) * 2020-01-07 2020-05-01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车辆安全气囊门铰链
CN111391777B (zh) * 2020-04-23 2022-06-14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用于汽车内饰件的表皮
US11643042B2 (en) 2020-10-12 2023-05-09 Hyundai Mobis Co., Ltd. Vehicle crash pad
EP4011711B8 (en) * 2020-12-10 2025-03-26 ZF Automotive Germany GmbH Vehicle gas bag system
JP7472838B2 (ja) 2021-03-25 2024-04-23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カバ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9298A1 (en) * 2006-10-13 2010-05-06 Ferrari S.P.A. Interior trim for a motor vehicle integrating a lid for an airba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3142A (ja) * 1990-10-02 1992-05-18 Nissan Moto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用カバー
US5456490A (en) * 1992-08-13 1995-10-10 Davidson Textron Inc. Hidden door for an air bag restraint system
JP3304693B2 (ja) * 1995-06-21 2002-07-22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カバーの製造方法
EP0749872B1 (en) * 1995-06-21 2003-04-23 Toyoda Gosei Co., Ltd. Air bag co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1998036948A1 (fr) * 1997-02-19 1998-08-27 Toyo Tire & Rubber Co., Ltd. Planche de bord pour airbag
JP3430841B2 (ja) * 1997-03-05 2003-07-28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カバー
US6402189B1 (en) * 2000-02-15 2002-06-11 Textron Automotive Company, Inc Airbag door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709007B2 (en) * 2000-02-15 2004-03-23 Collins & Aikman Automotive Company Inc. Airbag door and method for making same
DE10324248A1 (de) * 2003-05-28 2005-01-0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unststoffträg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4601388B2 (ja) * 2004-10-20 2010-12-22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取付部構造
JP4820473B2 (ja) * 2005-06-21 2011-11-24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自動車用内装パネル
EP2050628B1 (en) * 2006-07-31 2011-08-31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Airbag door, method of controlling breakage of tear line, and method of expanding airbag
KR101073087B1 (ko) * 2009-07-28 2011-10-12 덕양산업 주식회사 에어백 도어 구조체
KR101382329B1 (ko) 2012-09-19 2014-04-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PL2749458T3 (pl) * 2012-12-28 2015-09-30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Element wykładzinowy z osłoną poduszki powietrznej i sposób wytwarzania elementu wykładzinowego
KR20180009025A (ko) 2016-07-15 2018-01-25 주식회사 오윈 선주문의 효과적 대응을 위한 단계적 알림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9298A1 (en) * 2006-10-13 2010-05-06 Ferrari S.P.A. Interior trim for a motor vehicle integrating a lid for an airba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585474A1 (en) * 2024-01-09 2025-07-16 Hyundai Mobis Co., Ltd. Crash pad module, mold for manufacturing crash pad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rash pad module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9505683U (zh) 2019-10-18
US10933835B2 (en) 2021-03-02
DE202019000280U1 (de) 2019-01-31
KR20190090308A (ko) 2019-08-01
US20190225182A1 (en)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193B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
KR100254728B1 (ko) 자동차용 좌석
KR101482731B1 (ko) 차량을 위한 보행자 보호 에어백
JP2017052401A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ドア
KR101453417B1 (ko) 에어백
US11643042B2 (en) Vehicle crash pad
KR101003899B1 (ko) 커튼 에어백 모듈
KR100698730B1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모듈
KR101010826B1 (ko) 커튼 에어백 장착용 브라켓
KR101003885B1 (ko) 커튼 에어백
KR102589990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20220048324A (ko) 차량용 크래쉬 패드
KR100577858B1 (ko) 에어백의 결합부 재봉방법
KR102190439B1 (ko) 행 태그가 적용된 에어백 유닛
KR102840727B1 (ko) 차량용 크래쉬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6681B1 (ko) 차량용 트림에어백
KR100999147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1047560B1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KR100778589B1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KR20090026415A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
JP5895814B2 (ja) 車両用内装パネル及び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776013B1 (ko) 사이드 에어백용 안내 플레이트
WO2020054207A1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0420468Y1 (ko) 사이드 에어백용 안내 플레이트
KR100641039B1 (ko) 차량의 커튼에어백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7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1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6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