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02183B1 -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183B1
KR102402183B1 KR1020170127085A KR20170127085A KR102402183B1 KR 102402183 B1 KR102402183 B1 KR 102402183B1 KR 1020170127085 A KR1020170127085 A KR 1020170127085A KR 20170127085 A KR20170127085 A KR 20170127085A KR 102402183 B1 KR102402183 B1 KR 102402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cover
display panel
flat
sl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7585A (ko
Inventor
전용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7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183B1/ko
Priority to US16/137,403 priority patent/US10398048B2/en
Priority to EP18196414.9A priority patent/EP3462277B1/en
Priority to CN201811121934.5A priority patent/CN109584723B/zh
Publication of KR20190037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1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 영역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백커버 구조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 전 영역을 안전하게 보호해줄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Fold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습윤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노트북, 휴대용 전자 기기,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 등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기술적인 단점의 연구개발과 더불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여 수요자들에 보다 어필할 수 있는 롤링형과 폴더형 등의 디스플레이 제품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할 때, 쉽게 휘어지거나 접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강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패널의 배면에 강성 재질의 백커버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두께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폴딩될 때, 폴딩되는 영역의 안쪽면과 바깥쪽면은 서로 다른 길이로 늘어난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의 바깥쪽면이 안쪽면에 비해 강한 인장력(Tension)을 받게 된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백커버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달리 강성 재질로 마련되어 신축성이 좋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길이변화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분리되거나 슬립(Slip)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히는 폴딩부에 힌지(Hinge)로 된 기구물이 구비된 백커버를 적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힌지 구조를 갖는 백커버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폴딩될 때 폴딩부와 힌지 구조 사이에 이격 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부를 충분하게 지지할 수 없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부가 취약해져 해당 부분이 파손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폴딩 시에도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 전 영역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해줄 수 있는 백커버 구조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동작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부와 이격 또는 슬립이 발생하지 않아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백커버 구조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커버 간의 결합 상태를 강하게 유지시켜주고 폴딩 상황에 적합한 결합 구조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백커버가 플랫 커버와 플랫 커버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폴딩 커버로 마련되되, 폴딩 커버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시 플랫 커버의 내측에서 슬라이딩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함께 폴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부를 지지할 수 있는 백커버 구조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폴딩 시에도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 전 영역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해줄 수 있는 백커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폴딩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백커버와 이격 또는 슬립이 발생하지 않아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복잡한 기구물 없이도 안정적으로 폴딩이 가능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커버 간의 결합 상태를 강하게 유지시켜주고 폴딩 상황에 적합한 결합 구조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4는 도 3을 다른 관점에서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5는 도 3의 C-C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4는 도 3을 다른 관점에서 나타낸 작동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배면을 커버하는 백커버(20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백커버(200)를 간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300)를 포함한다.
먼저,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폴딩(Folding)되는 플렉시블(Flexible) 패널로 마련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면을 전면이라고 정의할 때, 배면 측에 백커버(200)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중의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별도의 광원을 추가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자발광소자로, 경량 및 박형을 구현할 수 있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OLED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OLED로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구동 트랜지스터와 발광다이오드가 형성된 기판이 보호필름에 의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되는 구조를 갖는다. OLED로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구조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동 트랜지스터와 발광다이오드 상부의 보호필름은 다층(Multi layer)으로 구성된 면 접착 물질(Face Seal Material)을 포함하며, 면 접착 물질은 금속 물질을 포함한다. 또는 보호필름 자체가 박막의 금속층(Face Seal Metal)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기판이 폴리이미드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플렉시블한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은 패널 전체 영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패널(100)만이 구비되는 경우, 외부 충격으로 기판 상에 형성된 구성요소가 쉽게 파손될 수 있으므로, 특정 영역만을 폴딩시키고 나머지 영역은 강성을 보완하여 플랫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폴딩부(B)로, 폴딩부(B)의 양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플랫부(A)로 정의할 수 있다.
백커버(20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배면을 커버한다. 백커버(200)는 백플레이트 등의 다양한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백커버(200)는 하나의 금속 판재로 구비될 수 있으나, 후술할 슬라이드 홈(211) 등의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용이하도록 동일한 판재를 합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백커버(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플랫부(A)들 각각을 커버하는 플랫 커버(21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부(B)를 커버하는 폴딩 커버(220)로 마련될 수 있다.
플랫 커버(2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플랫부(A)를 지지하여 플랫부(A)의 강성을 보완하는 충분한 강성을 갖는 금속 등의 재질로 마련된다. 플랫 커버(210)는 장방형의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장방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폴딩되어 폴딩부(B)가 형성되는 경우, 폴딩부(B)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플랫부(A)는 폴딩부(B)의 양 측에 위치하므로, 이 경우 플랫 커버(2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플랫부(A)를 커버하기 위해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장방형 커버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폴딩부(B)가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플랫부(A)가 폴딩부(B)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비되므로, 플랫 커버(210)는 이에 대응되는 복수 개로 마련된다.
폴딩 커버(2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부(B)를 커버하여 폴딩부(B)를 지지한다. 이러한 폴딩 커버(220)는 플랫 커버(210)와 마찬가지로 장방형의 커버로 마련될 수 있다.
플랫 커버(210)와 폴딩 커버(220)는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플랫 커버(2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플랫부(A)를 커버하는 강성이 요구되고, 폴딩 커버(2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폴딩부(B)와 함께 폴딩되므로, 폴딩부(B)를 지지할 강성이 요구됨과 동시에 다소 간의 탄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플랫 커버(210)와 폴딩 커버(220)의 두께 또는 재질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 커버(220)는 다소 간의 탄성과 강성을 동시에 지니는 스테인레스 스틸(SUS)이나 AL 합금 재질이고, 플랫 커버(210)는 폴딩 커버(220) 보다 강성이 강한 금속 합금 재질로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또는, 플랫 커버(210)와 폴딩 커버(220)가 동일한 재질을 갖되, 폴딩 커버(220)는 다소 간의 탄성을 갖도록 플랫 커버(210)보다 얇은 두께를 가져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폴딩 커버(220)는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즉, 폴딩 커버(2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부(B)를 커버하여 지지하는데, 폴딩 커버(220)의 강성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강성보다 크므로, 폴딩 커버(220)가 폴딩되지 않으면 이에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폴딩될 수 없다.
한편, 백커버(200)를 구성하는 플랫 커버(210)와 폴딩 커버(220)는 서로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은 다양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랫 커버(210)는 폴딩 커버(220)와의 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폴딩 커버(220)는 플랫 커버(210)와 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가 결합함에 따라 플랫 커버(210)와 폴딩 커버(22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는 두 부재 간의 결합 상태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에 따라 가변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첩되는 벨로우즈(Bellows) 부재로 구비되어 결합 상태가 변화되거나 힌지 부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의 결합 상태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으로 인해 변화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부(B)와 폴딩 커버(220) 사이가 밀착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폴딩되어 폴딩부(B)를 폴딩 커버(220)가 지지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가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의 슬라이드 결합은, 제1 연결부재가 슬라이드 홈(211)으로 구비되고, 제2 연결부재가 슬라이드 돌기(221)로 구비되어, 슬라이드 돌기(221)가 슬라이드 홈(211)으로 삽입되는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연결부재가 슬라이드 홈(211)으로 구비되고 제1 연결부재가 슬라이드 돌기(221)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슬라이드 돌기(221)는 폴딩 커버(220)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슬라이드 홈(211)은 폴딩 커버(220)와 연결되는 플랫 커버(210)의 측면에서 플랫 커버(2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슬라이드 돌기(221)가 슬라이드 홈(211)으로 슬라이드 되는 형태이다.
즉, 폴딩 커버(220)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제2 연결부재가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돌기(221)로 폴딩 커버(220)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플랫 커버(210)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부재는 슬라이드 홈(211)으로 플랫 커버(210)의 측면에 마련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슬라이드 홈(211)은 폴딩 커버(220)의 본체가 삽입되는 제1 슬라이드 홈(213)과 폴딩 커버(220)의 본체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제2 슬라이드 홈(215)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돌기(221)가 되며, 제2 연결부재와 결합하는 제1 연결부재가 제2 슬라이드 홈(215)이 되는 것이다.
즉, 제1 슬라이드 홈(213)은 장방형의 폴딩 커버(220) 본체의 측면 일부를 삽입하도록 플랫 커버(210)의 측면 양 단부 사이에 길게 마련되는 삽입홈이고, 제2 슬라이드 홈(215)은 제1 슬라이드 홈(213)의 내부에서 추가로 구비되는 홈으로, 폴딩 커버(220)의 본체 상면에서 돌출되는 슬라이드 돌기(221) 형태의 제2 연결부재를 삽입하는 형상을 갖는 홈인 것이다. 이러한 제2 슬라이드 홈(215)은 제2 연결부재의 개수에 맞게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랫 커버(210)의 슬라이드 홈(211)으로 폴딩 커버(22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으로 인해 폴딩부(B)의 외측면 길이가 늘어나더라도, 이러한 길이 변화를 폴딩 커버(220)가 플랫 커버(210) 내측에서 슬라이딩 하면서 보상하여 폴딩부(B)와 폴딩 커버(220)가 슬립(Slip) 되거나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폴딩 커버(220)에 슬라이드 돌기(221)가 형성되어 플랫 커버(210)와 슬라이드 결합하는 경우, 폴딩 커버(220)가 슬라이드 홈(211) 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폴딩 커버(220)는 슬라이드 홈(211)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만 이탈될 수 있고,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의 이탈이 최소화된다. 또한, 슬라이드 돌기(221)가 수용되는 제2 슬라이드 홈(215)이 슬라이드 돌기(2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폴딩 커버(220)가 플랫 커버(210)로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2 슬라이드 홈(215)에 삽입된 제2 연결부재 또는 슬라이드 돌기(221)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제2 슬라이드 홈(215)에 스토퍼(218)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토퍼(218)는 제2 슬라이드 홈(215)에 볼트 결합 등으로 고정되어 슬라이드 돌기(221)의 일면과 맞닿으면서 슬라이드 돌기(221)의 제2 슬라이드 홈(215)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슬라이드 돌기(221)의 측부에는 걸림돌기(227)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는 슬라이드 홈(211) 또는 제2 슬라이드 홈(215)의 내측면에는 걸림돌기(227)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홈(217)이 포함된다.
걸림돌기(227)는 슬라이드 돌기(221)의 측부로부터 돌출되며, 슬라이드 돌기(221)의 양 측부에서 돌출되거나 어느 한 측부에서만 돌출될 수도 있다. 걸림돌기(227)는 슬라이드 돌기(221)의 제조 시 함께 형성되거나, 볼트 등의 별도의 부재가 슬라이드 돌기(221)의 내부에서 측부로 관통하면서 노출된 단부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217)은 걸림돌기(227)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으로, 슬라이드 홈(211) 또는 제2 슬라이드 홈(215)의 내측면에서 폴딩 커버(200)의 슬라이딩 방향 상에 마련된다. 이러한 걸림홈(217)에 폴딩 커버(220)의 슬라이딩에 따라 함께 슬라이딩하는 걸림돌기(227)가 걸리면서 결합하여 폴딩 커버(220)의 슬라이딩을 제한한다.
걸림홈(217)과 걸림돌기(227)로 인해 폴딩 커버(220)의 슬라이딩이 제한되면 폴딩 커버(220)의 폴딩이 제한되고, 폴딩 커버(220)의 폴딩이 제한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이 제한된다.
따라서, 걸림홈(217)이 복수 개인 경우, 걸림돌기(227)와 결합되는 걸림홈(217)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언폴딩(Unfolding) 상태에 대응하는 제1 걸림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 각도가 90°일 때에 대응하는 제2 걸림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 각도가 180°일 때에 대응하는 제3 걸림홈 등으로 걸림홈(217)이 구비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 각도를 3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걸림홈(217)에 걸려있는 상태의 걸림돌기(227)에 소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걸림돌기(227)가 걸림홈(217)을 이탈하여 폴딩 커버(220)가 다시 슬라이딩 하도록 걸림홈(217)과 걸림돌기(227)의 재질이나 탄성이 조절된다.
이러한 걸림홈(217), 걸림돌기(227)를 포함하는 폴딩 커버(220)와 플랫 커버(210)의 상대 운동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 폴딩 동작 등은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폴딩 커버(220)의 폴딩에 따른 곡률을 가이드하고 플랫 커버(210), 폴딩 커버(220)를 지지하기 위해, 폴딩 커버(220) 상에 폴딩 서포터(225)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딩 서포터(225)는 U자형을 갖는 벤딩부(225a)와, 벤딩부(225a)의 일단에서 연장된 제1 지지부(225b), 벤딩부(225a)의 타단에서 연장된 제2 지지부(225c)로 이루어진 말굽(Horse shoe) 형태의 고정부재이다.
이러한 폴딩 서포터(225)는, 벤딩부(225a)의 중앙부분이 폴딩 커버(220)의 상면에서 돌출된 돌출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한 형태로 폴딩 커버(220)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폴딩 서포터(225)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커버(220)의 상면에 회전하지 않은 상태로 위치해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 상태에서 회전하여 폴딩 서포터(225)의 제1 지지부(225b)와 제2 지지부(225c)가 폴딩 커버(220)의 양 측에 위치하는 플랫 커버(210)의 외측면을 지지하면서 폴딩 커버(220)를 지지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 시 폴딩부(B)와 함께 폴딩되는 폴딩 커버(220)를 지지하기 위해, 폴딩 서포터(225)는 폴딩 커버(220)의 강성보다는 더 큰 강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된다.
따라서, 폴딩 서포터(225)의 벤딩부(225a)의 벤딩 곡률은 폴딩 커버(220)의 벤딩 곡률을 결정하게 되어, 폴딩 서포터(225)가 폴딩 커버(220)의 폴딩을 가이드하고, 또한 폴딩 커버(220)의 폴딩이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여 폴딩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와 같은 폴딩 서포터(225)의 회전으로 인해 폴딩 커버(220)를 지지하는 동작은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결합부재(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백커버(200) 간의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백커버(200)의 외측면 단부 등에서 끼움 결합 등을 통해 두 부재를 결합시키는 구성일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백커버(200)의 내측면을 서로 부착시키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부재(300)가 결합시키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백커버(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폴딩부(B)와 플랫부(A)를 갖게 되므로, 소정 곡률이 형성되는 폴딩부(B)와 백커버(200)를 결합하는 구성과 플랫한 플랫부(A)와 백커버(200)를 결합하는 구성을 다르게 하여야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플랫부(A)와 플랫 커버(210)를 결합하는 제1 결합부재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부(B)와 폴딩 커버(220)를 결합하며 제1 결합부재와 다른 종류의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플랫부(A)와 플랫 커버(210)가 플랫한 면 상태이므로, 두 부재를 강하게 고정하기 위한 접착테이프(301)인 것일 수 있다. 접착테이프(301)는 두 부재의 재질을 고려해 다양한 종류로 마련되며, 양면테이프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접착테이프(301)는 플랫 커버(210)의 일면 전 영역에 구비되거나 특정 크기로 잘라진 다수의 접착테이프(301)가 일정한 패턴으로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플랫 커버(210)를 부착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결합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부(B)와 폴딩 커버(220)가 폴딩되어 곡률이 변화하여도 두 부재를 밀착하여 결합시켜야 하므로, 이를 위해 두 부재와 함께 곡률이 변화되는 구성요소로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요소의 일례로, 제2 결합부재는 탄성을 갖는 자성부재(303)일 수 있으며, 탄성을 갖는 자성부재(303)는 고무 자석(Rubber Magnet)인 것일 수 있다.
자성부재(303)가 고무 자석으로 마련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언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폴딩 커버(220)를 결합하고 있던 자성부재(303)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폴딩 커버(220)가 폴딩될 때 함께 휘어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폴딩 커버(220)를 지속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OLED인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면 접착 물질로 금속 물질을 포함하므로 폴딩 커버(220)에 부착된 자성부재(303)의 자기력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폴딩 커버(220) 방향으로 끌어당겨져 폴딩 커버(220)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폴딩 커버(220)가 플랫 커버(2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거나, 폴딩 커버(220)의 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플랫 커버(210)의 두께는 폴딩 커버(220)의 두께보다 두껍게 마련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플랫부(A)와 플랫 커버(210)가 접착테이프(301)로 고정되면 두 부재 사이에는 공간이 발생하지 않으나, 플랫 커버(210)보다 얇은 두께의 폴딩 커버(22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부(B)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격 공간이 유지된 채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폴딩되면, 폴딩부(B)를 폴딩 커버(220)가 밀착하여 지지할 수 없으므로 폴딩부(B)가 취약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부(B)와 폴딩 커버(220) 사이에는 이격 공간을 채우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부(B)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완충패드(31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완충패드(310)는 폴딩 커버(22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부(B) 사이에 구비되므로, 완충패드(310)를 두 부재를 결합하는 제2 결합부재로 정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완충패드(310)는 탄성이 있는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올레핀(Poly-olefine), 폴레에틸렌(Poly-eth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화합물로 제조되는 폼패드(Foam pad)일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완충패드(310)는 폼패드로 마련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외력 방향으로 납작하게 눌릴 수 있다. 이러한 완충패드(310)는 폴딩 커버(220)와 함께 플랫 커버(210)의 슬라이드 홈(211)에 삽입되어 있으며, 폴딩 커버(220)의 슬라이드 동작에 따라 함께 슬라이드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부(B)와 폴딩 커버(2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채워 두 부재를 밀착시킨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언폴딩 상태일 때, 완충패드(310)의 일부분은 플랫 커버(210)의 슬라이드 홈(211) 내부에 눌린 상태로 삽입되어 있으나,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폴딩되면서 폴딩 커버(220)와 함께 인출되면, 눌려있던 부분이 복원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부(B)와 폴딩 커버(220)의 이격공간을 채우게 된다.
그리고, 완충패드(310)가 슬라이드 홈(211)에서 인출되거나, 다시 슬라이드 홈(211)으로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해, 슬라이드 홈(211)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가면서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부(219)가 마련되어 완충패드(310)의 동작이 가이드된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 과정을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도 3a와 도 4a를 참조하여 언폴딩 상태에서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살펴보면, 폴딩 커버(220)의 측면 일부가 플랫 커버(210) 측면에 마련되는 측면 홈인 슬라이드 홈(211)으로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배면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폴딩 커버(220)의 슬라이드 돌기(211)는 제2 슬라이드 홈(215)으로 삽입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돌기(211)의 단부가 제2 슬라이드 홈(215)의 내측 단부와 맞닿아 있다.
그리고, 폴딩 커버(220)의 슬라이드 돌기(211)의 측부에서 돌출된 걸림돌기(227)는 제2 슬라이드 홈(215)에 형성된 걸림홈(217)에 걸려있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폴딩 커버(220)의 일면 상에 구비된 폴딩 서포터(225)는 폴딩 커버(220)의 일면에서 돌출된 돌출부의 중공홀로 삽입된 상태로 마주보는 한 쌍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소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걸림돌기(227)가 걸림홈(217)에서 이탈하면서 폴딩 커버(220)가 폴딩되고, 폴딩 커버(220)의 폴딩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폴딩되기 시작한다.
폴딩 커버(220)가 폴딩되면서, 슬라이드 돌기(211)는 제2 슬라이드 홈(215)의 내측 단부로부터 플랫 커버(210)의 측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그러므로, 폴딩 커버(220)는 플랫 커버(210)의 측면 홈인 슬라이드 홈(211)으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동시에, 폴딩 서포터(225)는 폴딩 커버(220)의 폴딩으로 인해 폴딩 커버(220)의 휘어진 일면이 폴딩 서포터(225)의 벤딩부(225a)로 인입되면서 폴딩 서포터(225)를 밀어주게 되어 폴딩 서포터(225)의 제1 지지부(225b)와 제2 지지부(225c)가 폴딩 커버(200)를 감싸면서 회전한다. 이때, 폴딩 서포터(225)의 회전력을 보조하기 위해, 폴딩 서포터(225)의 벤딩부(225a)의 중앙부분에 토션스프링(미도시)이 추가될 수도 있다.
이러한 폴딩 서포터(225)는 폴딩 커버(220)의 일면을 감싸면서 회전하고, 회전한 폴딩 서포터(225)의 제1 지지부(225b)와 제2 지지부(225c)가 플랫 커버(210)의 외측면에 맞닿으면서 플랫 커버(210)를 지지한다.
폴딩 서포터(225)의 제1 지지부(225b)와 제2 지지부(225c)와 플랫 커버(210)가 맞닿는 부분에는 반원형의 도피부(230)가 구비되어 폴딩 서포터(225)의 회전이 가이드된다.
이후 폴딩 커버(220)의 슬라이드 돌기(211)가 스토퍼(218)에 맞닿으면 도 3b와 도 4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슬라이드 돌기(211)의 걸림돌기(227)가 걸림홈(217)에 걸리게 되어 고정되고, 폴딩 서포터(225)는 90°만큼 회전하여 플랫 커버(210)를 지지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폴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 각도는 180°또는 그 이상인 것일 수 있고, 이에 상응하도록 슬라이드 홈(211)의 길이와 스토퍼(218)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걸림홈(217)을 갖는 경우, 슬라이드 돌기(211)가 슬라이드 하면서 걸림돌기(227)가 복수의 걸림홈(217)에 걸리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폴딩 커버(220)의 폴딩 각도를 다양하게 고정될 수 있고 동시에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 각도가 다양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소정 수준 이상의 외력을 가하여 걸림돌기(227)를 걸림홈(217)에서 이탈시켜 폴딩 커버(220)를 슬라이딩 및 폴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 각도를 변경시키다가 특정한 위치의 걸림홈(217)에 걸림돌기(227)가 걸리게 되면 외력을 해제하여 해당 각도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정한 각도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고정하는 예는 이미 살펴본 바 있다.
위와 같은 폴딩 동작을 구현하는 구성요소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180°이상의 폴딩이 가능하고, 폴딩 각도를 단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폴딩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살펴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폴딩 영역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폴딩부(B)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폴딩부(B)는 복수 개가 될 수 있다.
도 7은 복수 개의 폴딩부(B)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는데, 복수 개의 폴딩부(B)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각 폴딩부(B)를 커버하는 복수 개의 폴딩 커버(220)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폴딩부(B)의 양 측에 플랫부(A)가 포함되므로, 플랫 커버(210)도 플랫부(A)를 커버하는 복수 개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폴딩부(B)와 각 폴딩부(B)의 양 측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플랫부(A) 및 이들을 커버하는 폴딩 커버(220)와 플랫 커버(210)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다수 영역이 폴딩되는 절첩식 디스플레이 장치 구현에 응용될 수 있다.
또한, 도 8은 플랫 커버(210)의 제1 연결부재를 복수 개의 슬라이드 홈(211)으로 구비하고, 폴딩 커버(220)의 제2 연결부재를 복수 개의 슬라이드 돌기(221)로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슬라이드 홈(211)과 슬라이드 돌기(221)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플랫 커버(210)와 폴딩 커버(220)의 슬라이드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플랫 커버(210)와 폴딩 커버(220)의 슬라이드 구조를 적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슬라이드 홈(211)의 내측 단부가 플랫 커버(210)의 내측으로 깊게 마련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폴딩부(B)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폴딩 커버(220) 또는 폴딩 커버(220)의 슬라이드 돌기(221)의 단부가 슬라이드 홈(211) 또는 제2 슬라이드 홈(215)의 내측 단부와 맞닿지 않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경우, 폴딩 커버(220) 또는 슬라이드 돌기(221)가 슬라이드 홈(211) 또는 제2 슬라이드 홈(215)의 내측으로 더 슬라이딩 할 수 있고, 폴딩 커버(220)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플랫 커버(210)의 내측으로 더 슬라이딩하면, 폴딩 커버(220)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방향이 아닌 배면 방향으로 폴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도 역시 배면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전면 방향과 배면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폴딩되므로 양 방향 폴딩이 가능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작이 가능하여 물결 구조의 디스플레이 또는 접철식으로 접히는 디스플레이 등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폴딩 시에도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 전 영역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해줄 수 있는 백커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폴딩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백커버와 이격 또는 슬립이 발생하지 않아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복잡한 기구물 없이도 안정적으로 폴딩이 가능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커버 간의 결합 상태를 강하게 유지시켜주고 폴딩 상황에 적합한 결합 구조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00 : 디스플레이 패널
200 : 백커버 300 : 결합부재
210 : 플랫 커버 220 : 폴딩 커버
211 : 슬라이드 홈 221 : 슬라이드 돌기
213 : 제1 슬라이드 홈 215 : 제2 슬라이드 홈
217 : 걸림홈 218 : 스토퍼
219 : 경사부 225 : 폴딩 서포터
227 : 걸림돌기 301 : 접착테이프
303 : 자성부재 310 : 완충패드

Claims (22)

  1. 폴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커버하는 백커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백커버 간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폴딩 영역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폴딩부와, 상기 각 폴딩부의 양 측에 위치하는 플랫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각 폴딩부를 커버하는 폴딩 커버와 상기 플랫부들 각각을 커버하는 플랫 커버들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커버와 상기 플랫 커버들은 서로 연결되되,
    상기 폴딩 커버는 상기 플랫 커버들과 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 커버들은 상기 폴딩 커버와의 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폴딩부의 폴딩 시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간의 슬라이드 결합이 이루어지며,
    U자형을 갖는 벤딩부와, 상기 벤딩부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벤딩부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로 이루어진 폴딩 서포터가 상기 폴딩 커버 상에 구비되고,
    상기 폴딩 서포터는 상기 벤딩부의 중앙부분을 축으로 회전 가능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슬라이드 결합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연결부재는 슬라이드 돌기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돌기는 상기 폴딩 커버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은 상기 폴딩 커버와 연결되는 상기 플랫 커버의 측면에 마련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커버의 두께가 상기 폴딩 커버의 두께보다 두꺼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커버와 상기 폴딩 커버는 다른 재질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커버의 측면에는 상기 폴딩 커버의 측면 일부가 삽입 가능한 측면 홈이 마련되고,
    상기 폴딩부의 언폴딩 상태에서, 상기 폴딩 커버의 측면 일부는 상기 측면 홈으로 삽입되어 있고,
    상기 폴딩부의 폴딩 상태에서, 상기 폴딩 커버의 일부는 상기 측면 홈으로부터 인출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커버의 측면 홈은,
    상기 폴딩 커버의 본체 일부가 삽입되는 제1 슬라이드 홈과,
    상기 제1 슬라이드 홈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폴딩 커버의 본체에서 돌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연결부재는 슬라이드 돌기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슬라이드 홈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드 홈에는 삽입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연결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돌기의 측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슬라이드 홈의 내측면에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걸림돌기와 결합되는 상기 걸림홈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각도가 달라지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의 언폴딩 상태에서, 상기 폴딩 서포터는 상기 폴딩 커버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폴딩부의 폴딩 상태에서, 상기 폴딩 서포터가 회전하여 상기 폴딩 서포터의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가 상기 폴딩 커버의 양 측에 위치하는 상기 플랫 커버들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서포터는,
    상기 벤딩부의 벤딩 곡률과 동일하게 상기 폴딩 커버가 폴딩되도록 상기 폴딩 커버의 폴딩을 가이드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의 언폴딩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홈의 내측 단부가 상기 폴딩 커버의 단부와 맞닿지 않도록 상기 슬라이드 홈이 내측으로 깊게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전면 방향 또는 배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폴딩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플랫부와 상기 플랫 커버를 결합하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부와 상기 폴딩 커버를 결합하며 상기 제1 결합부재와 다른 종류의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접착테이프이고,
    상기 제2 결합부재는 탄성을 갖는 자성부재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부와 상기 폴딩 커버 사이에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20. 폴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커버하는 백커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백커버 간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백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언폴딩 영역과 결합되는 플랫 커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영역과 결합되는 폴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커버의 두께는 상기 플랫 커버의 두께보다 얇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언폴딩 영역과 상기 플랫 커버를 결합하는 제1 결합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영역과 상기 폴딩 커버를 결합하는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재질 또는 구조가 서로 다르며,
    U자형을 갖는 벤딩부와, 상기 벤딩부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벤딩부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로 이루어진 폴딩 서포터가 상기 폴딩 커버 상에 구비되고,
    상기 폴딩 서포터는 상기 벤딩부의 중앙부분을 축으로 회전 가능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언폴딩 영역과 상기 플랫 커버를 결합하는 접착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영역과 상기 폴딩 커버를 결합하는 탄성을 갖는 자성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영역과 상기 폴딩 커버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폴딩 커버가 상기 플랫 커버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드 결합되며,
    상기 완충패드는 상기 폴딩 커버와 함께 상기 플랫 커버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폴딩될 때 상기 폴딩 커버와 함께 슬라이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부와 상기 폴딩 커버를 밀착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127085A 2017-09-29 2017-09-29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ctive KR102402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085A KR102402183B1 (ko) 2017-09-29 2017-09-29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6/137,403 US10398048B2 (en) 2017-09-29 2018-09-20 Foldable display device
EP18196414.9A EP3462277B1 (en) 2017-09-29 2018-09-25 Foldable display device
CN201811121934.5A CN109584723B (zh) 2017-09-29 2018-09-26 可折叠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085A KR102402183B1 (ko) 2017-09-29 2017-09-29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585A KR20190037585A (ko) 2019-04-08
KR102402183B1 true KR102402183B1 (ko) 2022-05-27

Family

ID=6589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085A Active KR102402183B1 (ko) 2017-09-29 2017-09-29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98048B2 (ko)
EP (1) EP3462277B1 (ko)
KR (1) KR102402183B1 (ko)
CN (1) CN1095847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3468B (zh) * 2018-05-09 2022-02-08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弯折模块及折叠式显示装置
KR102468068B1 (ko) * 2018-07-13 2022-1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PH12023553346A1 (en) 2019-05-31 2024-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protection structure
KR200490340Y1 (ko) * 2019-06-13 2019-10-30 김기영 승강 회동식 차량 탑재용 전광판
US11132087B2 (en) 2019-06-14 2021-09-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TWM592168U (zh) * 2019-07-03 2020-03-1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US11526196B2 (en) * 2019-07-30 2022-1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0415611B (zh) * 2019-07-31 2021-12-07 友达光电(昆山)有限公司 显示面板
KR102667687B1 (ko) 2019-08-16 2024-05-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19336B1 (ko) * 2019-09-11 2023-12-2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0610665B (zh) * 2019-10-09 2021-09-07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754838B1 (ko) 2019-10-29 2025-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56484A (ko) 2019-11-08 2021-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CN111010829B (zh) * 2019-12-26 2021-03-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WO2021133010A1 (ko) * 2019-12-27 2021-07-0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폴딩 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02507A (ko) 2020-02-10 2021-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212084549U (zh) * 2020-04-24 2020-12-04 深圳市鸿合创新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折叠显示装置
KR20210158440A (ko) 2020-06-23 2021-12-31 희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1929947B (zh) * 2020-08-11 2022-10-04 江苏毅昌科技有限公司 可折叠的直下式背光模组和液晶显示装置
EP3958092A1 (en) * 2020-08-21 2022-02-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TWI789841B (zh) * 2020-09-09 2023-01-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電子設備
US11327531B2 (en) * 2020-09-30 2022-05-10 Sharp Kabushiki Kaisha Foldable display panel with shock absorber
WO2022162933A1 (ja) * 2021-02-01 2022-08-04 シャープ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
CN113012578B (zh) * 2021-03-04 2022-12-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折叠屏及显示装置
TWI788844B (zh) * 2021-05-13 2023-01-01 達運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摺合式金屬背板
CN113539111B (zh) * 2021-07-28 2022-07-2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724598B (zh) * 2021-08-31 2023-07-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智能穿戴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55287A1 (en) * 2013-08-26 2015-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element
US20150077917A1 (en) 2013-09-16 2015-03-19 Prexco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guide member
US20150370287A1 (en) 2014-06-24 2015-1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evice and folding unit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898B1 (ko) * 2004-06-01 2006-08-25 김시환 휴대용 표시장치
KR101221428B1 (ko) * 2004-07-20 2013-01-11 김시환 휴대용 표시장치
US7570483B2 (en) * 2005-06-01 2009-08-04 Kim Si-Han Portable display device
JP2007298622A (ja) * 2006-04-28 2007-11-15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JP4764293B2 (ja) * 2006-09-07 2011-08-31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CN101952788A (zh) * 2007-11-23 2011-01-19 聚合物视象有限公司 具有改进功能的电子设备
CN202435755U (zh) * 2012-01-20 2012-09-12 熊国斌 一种平板显示设备保护装置
JP5928020B2 (ja) * 2012-03-13 2016-06-0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US8971029B2 (en) * 2012-03-26 2015-03-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display hinge assembly
CN102749737B (zh) * 2012-07-10 2014-10-2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器背板以及液晶显示器
US20140029190A1 (en) * 2012-07-25 2014-01-30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device
KR101389442B1 (ko) * 2012-10-18 2014-04-30 이유구 플렉시블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
TWI643056B (zh) * 2013-07-22 2018-12-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
CN103901645B (zh) * 2014-03-27 2016-06-01 捷星显示科技(福建)有限公司 一种可折叠回流高效弹性显示器移载治具
KR102015398B1 (ko) * 2014-07-16 2019-08-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26694B1 (ko) * 2014-09-01 2021-03-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N104217650B (zh) * 2014-09-18 2019-09-27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后壳和曲率可调的电视机
KR102319835B1 (ko) * 2014-09-22 2021-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3119B1 (ko) * 2014-09-23 2021-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364083B1 (ko) * 2015-02-06 2022-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344282B1 (ko) * 2015-03-17 2021-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4836865B (zh) * 2015-04-01 2017-05-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装置
KR102366516B1 (ko) * 2015-08-31 2022-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6299B1 (ko) * 2015-08-31 2022-0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지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5225614A (zh) * 2015-10-26 2016-01-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曲面显示屏曲率调节装置及使用方法、曲面显示装置
CN105702168B (zh) * 2016-01-26 2018-03-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曲率可调节的显示装置
US9952627B2 (en) * 2016-04-27 2018-04-24 Dell Products, Lp Folding computing device with bending display
KR102628024B1 (ko) * 2016-10-07 2024-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672832B1 (ko) * 2016-12-30 2024-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369212B1 (ko) * 2017-07-28 2022-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834793B1 (ko) * 2017-07-28 2018-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16584B1 (ko) * 2017-09-18 2022-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21304B1 (ko) * 2017-09-18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지 부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55287A1 (en) * 2013-08-26 2015-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element
US20150077917A1 (en) 2013-09-16 2015-03-19 Prexco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guide member
US20150370287A1 (en) 2014-06-24 2015-1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evice and folding unit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84723B (zh) 2020-12-11
EP3462277A1 (en) 2019-04-03
US10398048B2 (en) 2019-08-27
CN109584723A (zh) 2019-04-05
EP3462277B1 (en) 2020-03-11
KR20190037585A (ko) 2019-04-08
US20190104626A1 (en)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183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387426B2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TWI615820B (zh) 可捲曲顯示裝置
US11240920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having adjustable support units retreatable into recessed portions of set frames
KR102366366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743537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81657B1 (ko) 힌지 모듈 장치
CN112185249B (zh) 显示装置
CN105551385B (zh) 可卷绕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和柔性显示装置
US9747822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US10281956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panel
US20180196300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2419883B (zh) 显示装置
US12019479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CN112396954B (zh) 显示装置
US9685100B2 (en) Rollable display
KR102276380B1 (ko) 접이식 표시 장치
US20210018962A1 (en) Hinge mechanism with integrated slider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KR102292515B1 (ko) 표시 장치
US9971380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20130342090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CN105009188A (zh) 具有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及其制造方法
US11129288B2 (en) Packing materials for display apparatus and packing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US11011726B2 (en) Bendable backplate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CN114627755B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7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