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01551B1 - 안정성 및 용해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안정성 및 용해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551B1
KR102401551B1 KR1020210144981A KR20210144981A KR102401551B1 KR 102401551 B1 KR102401551 B1 KR 102401551B1 KR 1020210144981 A KR1020210144981 A KR 1020210144981A KR 20210144981 A KR20210144981 A KR 20210144981A KR 102401551 B1 KR102401551 B1 KR 102401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eight
cleansing
cleansing cosmetic
stabil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면수
민지혜
최봉락
장성희
심소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씨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씨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씨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144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5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안정성 및 용해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점액성 제형으로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으며, 제형 안정성, 고온 안정성, 거품 형성능, 거품 유지력, 각질제거 효과, 사용 후의 각질층 재생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안정성 및 용해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with improved stability and solubility, and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using the same}
안정성 및 용해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은 하는 것보다 지우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말이 있듯, 클렌징 화장품에 대한 관심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클렌징 화장품은 메이크업의 잔여물이 남아 있지 않도록 깨끗하게 지우면서도 피부에 남아있는 노폐물을 제거한다. 클렌징 화장품은 메이크업 또는 피부의 노폐물을 잘 제거하는 능력도 중요하지만, 피부 자극을 최대한 줄이는 것도 중요하다. 클렌징 화장품의 세정력을 갖는 성분이 피부에 자극을 줘서 피부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클렌징 화장품 중 비누는 습한 환경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제형이 무너지지 않고 잘 유지되어 장기 보관이 가능해야 한다. 다만, 수분을 이용하여 거품을 내었을 때 거품 형성능 및 거품 유지력이 모두 우수해야 우수한 세정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 자극이 적으면서도, 각질제거 등 클렌징 효과가 우수하고,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올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는 “히프로멜로오스(Hypromellose)”라고도 하며, 메틸셀룰로오스의 프로필렌글라이콜에터이다.
상기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는 폴리아크릴릭애씨드의 소듐염이다.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20 내지 70 중량%, 20 내지 65 중량%, 20 내지 60 중량%, 20 내지 55 중량%, 25 내지 70 중량%, 25 내지 65 중량%, 25 내지 60 중량%, 25 내지 55 중량%, 30 내지 70 중량%, 30 내지 65 중량%, 30 내지 60중량%, 30 내지 55 중량%, 35 내지 70 중량%, 35 내지 65 중량%, 35 내지 60 중량%, 35 내지 55 중량%, 40 내지 70 중량%, 40 내지 65 중량%, 40 내지 60 중량%, 40 내지 55 중량%, 45 내지 70 중량%, 45 내지 65 중량%, 45 내지 60 중량%, 45 내지 55 중량%, 50 내지 70 중량%, 50 내지 65 중량%, 50 내지 60 중량%, 또는 50 내지 5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일 경우 노폐물 흡착력 및 피막형성능이 감소할 수 있으며, 70 중량%을 초과할 경우 불균일하게 경화될 수 있고 조성물의 안정성 또는 용해성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5 내지 70 중량%, 15 내지 65 중량%, 15 내지 60 중량%, 15 내지 55 중량%, 15 내지 50 중량%, 15 내지 45 중량%, 15 내지 40 중량%, 15 내지 35 중량%, 15 내지 30 중량%, 15 내지 25 중량%, 20 내지 70 중량%, 20 내지 65 중량%, 20 내지 60 중량%, 20 내지 55 중량%, 20 내지 50 중량%, 20 내지 45 중량%, 20 내지 40 중량%, 20 내지 35 중량%, 20 내지 30 중량%, 또는 20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일 경우 점액성 특성이 감소되어 노폐물 흡착력이 감소할 수 있으며, 7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조성물의 안정성 또는 용해성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올린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 구체예에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올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는 하이드록시에틸 곁사슬을 갖는 변형된 셀룰로오스폴리머이다.
상기 “카올린(Kaolin)”은 천연의 함수알루미늄실리케이트이며, 분자구조식은 Al2O3·2SiO2·2H2O이다.
상기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40 중량% 이하, 0 내지 40 중량%, 0 내지 35 중량%, 0 내지 30 중량%, 0 내지 25 중량%, 5 내지 40 중량%, 5 내지 35 중량%, 5 내지 30 중량%, 5 내지 25 중량%, 10 내지 40 중량%, 10 내지 35 중량%, 10 내지 30 중량%, 10 내지 25 중량%, 15 내지 40 중량%, 15 내지 35 중량%, 15 내지 30 중량%, 15 내지 25 중량%, 20 내지 40 중량%, 20 내지 35 중량%, 20 내지 30 중량%, 또는 20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의 함량이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불균일하게 경화될 수 있으며 조성물의 안정성 또는 용해성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카올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 중량% 이하, 0 내지 10 중량%, 0 내지 9 중량%, 0 내지 8 중량%, 0 내지 7 중량%, 0 내지 6 중량%, 0 내지 5 중량%, 1 내지 10 중량%, 1 내지 9 중량%, 1 내지 8 중량%, 1 내지 7 중량%, 1 내지 6 중량%, 1 내지 5 중량%, 2 내지 10 중량%, 2 내지 9 중량%, 2 내지 8 중량%, 2 내지 7 중량%, 2 내지 6 중량%, 2 내지 5 중량%, 3 내지 10 중량%, 3 내지 9 중량%, 3 내지 8 중량%, 3 내지 7 중량%, 3 내지 6 중량%, 3 내지 5 중량%, 4 내지 10 중량%, 4 내지 9 중량%, 4 내지 8 중량%, 4 내지 7 중량%, 4 내지 6 중량%, 4 내지 5 중량%, 5 내지 10 중량%, 5 내지 9 중량%, 5 내지 8 중량%, 5 내지 7 중량%, 또는 5 내지 6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카올린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 조성물의 안정성 또는 용해성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안정성이 향상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상기 성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에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올린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경우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카올린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상기 성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안정성은 실온(25℃)에서 조성물 내 성분이 장기간 분리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 즉, 장기 보관 안정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실온(25℃)에서 7일 이상, 14일 이상, 또는 30일 이상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해성이 향상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상기 성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용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에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올린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경우 용해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카올린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상기 성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용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용해성은 용매, 예컨대 수성 용매에 용해되는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와 같은 수성 용매에 짧은 시간 내에 완전히 용해되므로, 기타 화장료 성분과 함께 사용하기에 용이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10 중량%, 0.001 내지 5 중량%, 0.001 내지 3 중량%, 0.001 내지 2 중량%, 0.01 내지 10 중량%, 0.01 내지 5 중량%, 0.01 내지 3 중량%, 0.01 내지 2 중량%, 0.1 내지 10 중량%, 0.1 내지 5 중량%, 0.1 내지 3 중량%, 0.1 내지 2 중량%, 0.5 내지 10 중량%, 0.5 내지 5 중량%, 0.5 내지 3 중량%, 또는 0.5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을 경우 점액성 특성, 노폐물 흡착력, 피막형성능 등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제형 안정성이 감소하거나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비누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누베이스는 비누를 제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베이스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누베이스는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TEA),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SLES), 소듐코코에이트(Sodium Cocoate), 소듐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 등의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히알루론산 등의 보습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비누베이스는 올리브오일, 코코넛오일, 수산화나트륨 및 글리세린 중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누베이스는 정제수, 올리브오일, 코코넛오일, 수산화나트륨 및 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누베이스에 포함되는 성분은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비누베이스는 정제수 5 내지 20 중량%, 올리브오일 10 내지 30 중량%, 코코넛오일 10 내지 30 중량%, 수산화나트륨 1 내지 10 중량% 및 글리세린 3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비누베이스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0 내지 99 중량%, 50 내지 95 중량%, 50 내지 90 중량%, 50 내지 85 중량%, 50 내지 80 중량%, 60 내지 99 중량%, 60 내지 95 중량%, 60 내지 90 중량%, 60 내지 85 중량%, 60 내지 80 중량%, 70 내지 99 중량%, 70 내지 95 중량%, 70 내지 90 중량%, 70 내지 85 중량%, 또는 7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식물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병풀추출물(Centella Asiatica Extract), 치자추출물(Gardenia Florida Fruit Extract), 또는 이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식물추출물의 함량은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식물추출물은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0 중량%, 0.01 내지 15 중량%, 0.01 내지 12 중량%, 0.1 내지 20 중량%, 0.1 내지 15 중량%, 0.1 내지 12 중량%, 1 내지 20 중량%, 1 내지 15 중량%, 1 내지 12 중량%, 5 내지 20 중량%, 5 내지 15 중량%, 5 내지 12 중량%, 8 내지 20 중량%, 8 내지 15 중량%, 또는 8 내지 1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병풀추출물은 각질층 재생을 도와 피부 결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병풀추출물은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10 중량%, 0.01 내지 8 중량%, 0.01 내지 6 중량%, 0.1 내지 10 중량%, 0.1 내지 8 중량%, 0.1 내지 6 중량%, 1 내지 10 중량%, 1 내지 8 중량%, 1 내지 6 중량%, 2 내지 10 중량%, 2 내지 8 중량%, 2 내지 6 중량%, 3 내지 10 중량%, 3 내지 8 중량%, 3 내지 6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치자추출물은 피부 장벽 손상을 완화시켜 피부에 활력을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치자추출물은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10 중량%, 0.01 내지 8 중량%, 0.01 내지 6 중량%, 0.1 내지 10 중량%, 0.1 내지 8 중량%, 0.1 내지 6 중량%, 1 내지 10 중량%, 1 내지 8 중량%, 1 내지 6 중량%, 2 내지 10 중량%, 2 내지 8 중량%, 2 내지 6 중량%, 3 내지 10 중량%, 3 내지 8 중량%, 3 내지 6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점액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점액성 비누 거품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점액성”이란 점성이 있는 성질을 의미한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점액성 비누 거품을 생성하므로, 노폐물 흡착력이 증가하고,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을 수 있다.
일반 클렌징 제품은 화학적 방법으로 각질을 녹여 제거하거나 물리적으로 각질 세포를 벗겨낸다. 이와 달리,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유래 성분을 사용하여 노폐물을 흡착시켜 피부에 대한 자극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피부 각질 제거 및 피부 결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pH조절제, 기능성 성분,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또는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 로션, 클렌징 크림, 클렌징 젤, 클렌징 오일, 필링젤, 필링팩, 필링크림, 및 바디클렌져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비누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메이크업 제거 또는 피부 세정을 통한 노폐물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하는 부위는 피부, 예를 들어, 얼굴, 신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상기 성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제형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에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올린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경우 제형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카올린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상기 성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제형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형 안정성은 습한 환경에서 제형이 무너지지 않고 유지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비누의 경우, 화장실과 같은 습한 환경에서 사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습한 환경에서 제형이 쉽게 무너지면 사용하기에 좋지 않다. 따라서, 비누는 습한 환경에서도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므로, 다습한 환경에서도 오래 보관 가능하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고온 안정성이 향상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상기 성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고온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에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올린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경우 고온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카올린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상기 성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고온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고온 안정성은 고온에서 제형이 녹아져 나오는 양이 적어 손실률이 적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고온은 35℃ 이상, 40℃ 이상, 50℃ 이상, 60℃ 이상, 또는 70℃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70℃ 고온에서 5시간 동안 제형 손실률이 50% 이하, 또는 4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거품 형성능 및 거품 유지력이 향상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상기 성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거품 형성능 및 거품 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에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올린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경우 거품 형성능 및 거품 유지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카올린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상기 성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거품 형성능 및 거품 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거품 형성능은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과 수분을 이용하여 거품을 내었을 때 거품이 형성되는 능력을 의미한다. 상기 거품 유지력은 형성된 거품이 자연적으로 빠르게 소멸되지 않고 일정시간 유지되어 세정력을 유지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제거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상기 성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각질제거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여기에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올린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경우 각질제거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카올린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상기 성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각질제거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각질은 피부 등의 표피층에서 늙은 세포가 죽어 떨어져 나가는 과정에서 생기는 이물을 의미할 수 있다. 필요한 시기에 각질제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피부에 죽은 표피 세포가 쌓여있는 경우, 피부염, 여드름, 염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제거 효과는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이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 후의 각질층 재생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상기 성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각질층 재생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여기에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올린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경우 각질층 재생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카올린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상기 성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사용 후의 각질층 재생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각질층 재생이란 죽은 표피 세포가 탈락하고 피부 각질층이 생성 또는 재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각질층은 내부 조직의 수분 증발을 막아 보습력을 유지하고,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 후의 각질층 재생일수가 10일 이하, 또는 9일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 후의 각질층 재생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보습 및 보호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락하며,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제형 안정성 및 용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점액성 제형으로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으며, 제형 안정성, 고온 안정성, 거품 형성능, 거품 유지력, 각질제거 효과, 사용 후의 각질층 재생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실시예 4 및 비교예 5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3~4 및 비교예 5~7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고온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중량%)으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성분을 칭량한 후, 믹서를 이용해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50 55 - 45 50 60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50 20 50 - 45 20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 20 45 50 - 20
카올린 0 5 5 5 5 -
실험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 안정성 평가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의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워터배스로 정제수를 70℃로 가온 후,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의 화장료 조성물 1 중량%를 정제수에 투입하였다. 온도는 70℃로 유지시키며 균질기(homogenizer)를 이용하여 2000 rpm으로 20~50분간 교반하여 용액을 제조한 후, 실온(25℃)에 두고 30일간 관찰하여 조성물 내 성분이 분리되는지 확인하였다.
  1일차 7일차 14일차 30일차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 ◎ : 매우 좋음, ○ : 좋음, □ : 분리됨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의 장기 보관 안정도는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우수하였다.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장기 보관 안정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4가지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의 장기 보관 안정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는 장기 보관 안정도가 가장 좋지 못하였다.
따라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가 조성물의 안정성 유지에 가장 중요하며, 여기에 추가적으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올린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경우 안정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4가지 성분을 모두 포함할 경우 안정성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화장료 조성물의 용해성 평가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화장료 조성물의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화장료 조성물과 정제수를 70℃로 유지한 워터배스에 투입하였다. 온도는 70℃로 유지시키며 균질기(homogenizer)를 이용하여 2000 rpm으로 교반하였다.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이 정제수에 완전히 용해되어 투명해지는 시간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용해 시간(분) 26 20 35 50 42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의 용해 시간은 비교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의 용해 시간보다 짧은 것을 확인하였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2가지 성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용해 시간이 짧았다. 특히, 4가지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의 용해 시간은 20분으로 가장 짧았다.
따라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용해성이 우수하며, 여기에 추가적으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올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경우 안정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상기 4가지 성분을 모두 포함할 경우 용해성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4 및 비교예 5~7.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4의 성분 및 함량(중량%)으로 비누베이스를 제조한 후, 하기 표 5의 성분 및 함량(중량%)으로 실시예 3~4 및 비교예 5~7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비누 형태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A상을 70℃로 유지한 워터배스에서 액상으로 용해시켰다. 완전히 용해된 A상에 B상을 투입한 후 70℃에서 20~50분간 균질기(homogenizer)를 이용하여 2000 rpm으로 교반하였다. 여기에 C상 투입 후 10분간 교반하여 고체 형태의 비누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정제수 13.2
올리브오일 20.0
코코넛오일 20.0
수산화나트륨(NaOH) 6.2
글리세린 40.6
No. 상(Phase) 성분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1 A 비누베이스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B 실시예 1 1 0 0 0 0
실시예 2 0 1 0 0 0
비교예 1 0 0 1 0 0
비교예 2 0 0 0 1 0
비교예 3 0 0 0 0 1
3 C 병풀추출물 5.0 5.0 5.0 5.0 5.0
치자추출물 5.0 5.0 5.0 5.0 5.0
실험예 3.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평가
실시예 4 및 비교예 5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4 또는 비교예 5의 비누를 젖은 티슈로 감싸 수분이 계속적으로 공급되게 하여 습한 환경을 조성하였다. 5시간 이후 관찰하여 제형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도 1은 실시예 4 및 비교예 5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5의 비누는 젖은 티슈에 묻어나는 양이 많았으나, 실시예 4의 비누는 젖은 티슈에 묻어나는 양이 확연히 적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습한 환경에서 제형이 쉽게 무너지지 않으므로, 제형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고온 안정성 평가
실시예 3~4 및 비교예 5~7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고온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3~4 및 비교예 5~7의 비누를 각각 5 g씩 취해 페트리디쉬에 올려둔 후, 70℃ 오븐에 넣어두었다. 30분부터 최대 5시간까지 관찰하였으며, 비누에서 녹아져 나온 양을 제외하고 남아있는 비누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도 2는 실시예 3~4 및 비교예 5~7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고온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5~7의 비누에 비해, 실시예 3~4의 비누는 고온에서의 손실률이 적었다. 특히, 실시예 4의 비누는 고온에서의 손실률이 가장 적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고온에서의 손실률이 적어 고온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거품 형성능 및 거품 유지력 평가
실시예 3~4 및 비교예 5~7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거품 형성능 및 거품 유지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3~4 및 비교예 5~7의 비누를 각각 동일한 크기로 준비하였다. 동일한 양의 수분을 이용해 약 10초간 비누 거품을 내어 거품 형성능 및 거품 유지력을 사용감 평가기준에 따라 점수화 하였다. 평가 인원은 20명이며, 각 평가 점수는 평가 인원 20명의 점수를 합산하여 평균을 내었고, 그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사용감 평가기준>
거품 형성능 및 거품 유지력 점수는 1에서 5까지 단계를 정하였다: 1=없음, 2=약간 있음, 3=보통, 4=좋음, 5=아주 좋음.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사용감 평가점수 5 5 2 3 1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 및 4의 비누가 거품 형성능 및 거품 유지력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거품 형성능 및 거품 유지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에 추가적으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올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더 포함, 또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올린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거품 형성능 및 거품 유지력이 더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제거 효과 검증
실시예 3~4 및 비교예 5~7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제거 효과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피험자에게 실시예 3~4 및 비교예 5~7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팔꿈치에 바르게 한 후, 사용 전과 사용 후의 팔꿈치에서 각질제거 정도를 측정하였다. Visioscan (VC98 Courage & Khazaka, Germany)을 사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하여 측정값 D.I. (Desquamation Index)를 기록하였다. 그 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사용 전 사용 후
실시예 3 3.5 0.4
실시예 4 3.5 0.2
비교예 5 3.5 1.7
비교예 6 3.4 2.5
비교예 7 3.4 2.1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5 내지 7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실시예 3 및 4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제거 효과가 더욱 우수하였다. 특히, 실시예 4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제거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제거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에 추가적으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올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더 포함, 또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올린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제거 효과가 더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7.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사용 후의 각질층 재생 효과 측정
실시예 3~4 및 비교예 5~7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후, 각질층 재생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총 20명의 피시험자 팔 상박부 안쪽 색상을 색차계(Dhroma meter, CR-200, Minolta, Japan)로 측정한 후, 가로, 세로 2 cm의 시험부위 5곳을 10% 농도의 디하이드록시아세톤(Dihydroxy acetone)으로 6시간 동안 갈색으로 착색시켰다. 이후, 실시예 3~4 및 비교예 5~7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각각을 착색된 부위에 도포하고, 동일한 힘으로 2분간 문지른 후 물을 이용하여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세척하였다. 60분 경과 후, 착색된 부위의 색상을 측정하여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과 후의 색상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후 1일 1회씩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한 후, 피부 색상을 측정하여 매일 탈색되는 정도를 색차계로 측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원래의 피부색으로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각질층 재생일수로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각질층 재생일수(day) 8.8 8.2 10.4 11.2 10.8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5 내지 7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실시예 3 및 4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였을 때 각질층 재생일수의 평균일수가 더 짧았다. 특히, 실시예 4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였을 때 각질층 재생일수의 평균일수가 가장 짧았다.
따라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후 각질층 재생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에 추가적으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올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더 포함, 또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올린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후 각질층 재생 효과가 더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1)

  1.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20 내지 70 중량%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15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올린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올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50 내지 55 중량%,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20 내지 25 중량%,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20 내지 25 중량% 및 카올린 5 내지 6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안정성 또는 용해성이 향상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9. 청구항 7에 있어서, 병풀추출물, 치자추출물, 또는 이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것인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점액성인 것인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11. 청구항 7에 있어서, 각질제거용인 것인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44981A 2021-10-27 2021-10-27 안정성 및 용해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401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981A KR102401551B1 (ko) 2021-10-27 2021-10-27 안정성 및 용해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981A KR102401551B1 (ko) 2021-10-27 2021-10-27 안정성 및 용해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551B1 true KR102401551B1 (ko) 2022-05-25

Family

ID=81797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981A Active KR102401551B1 (ko) 2021-10-27 2021-10-27 안정성 및 용해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551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750A (ko) * 2010-06-23 2010-07-19 김권 이산화탄소 발포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20130055129A (ko) * 2011-11-18 2013-05-28 (주)아모레퍼시픽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재생 촉진제
KR101464914B1 (ko) * 2014-02-28 2014-11-25 김인숙 피부 장벽 강화와 세포 재생으로 여드름을 치료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15038071A (ja) * 2007-11-06 2015-02-26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ヒドロキシプロピルメチルセルロースおよびアルキルポリグリコシドを含むパーソナルケア洗浄組成物
KR20160091166A (ko) * 2015-01-23 2016-08-02 헤내스 주식회사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
JP2017110139A (ja) * 2015-12-17 2017-06-22 資生堂ホネケーキ工業株式会社 枠練り透明固形石鹸
KR20170103172A (ko) * 2016-03-03 2017-09-13 주식회사 한솔교육 병풀추출물, 세라마이드 및 자작나무수액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의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1897A (ko) * 2017-06-01 2018-12-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불용성 셀룰로오스로 안정성이 개선된 클레이 함유 화장료 조성물
JP2019014709A (ja) * 2017-07-07 2019-01-31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皮膚外用組成物
JP2019069921A (ja) * 2017-10-11 2019-05-0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洗浄料用組成物
KR20210063533A (ko) * 2019-11-22 2021-06-02 황기철 천연 기능성 비누 조성물
KR102281086B1 (ko) * 2020-12-29 2021-07-23 주식회사 르제 점액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피부를 세정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8071A (ja) * 2007-11-06 2015-02-26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ヒドロキシプロピルメチルセルロースおよびアルキルポリグリコシドを含むパーソナルケア洗浄組成物
KR20100082750A (ko) * 2010-06-23 2010-07-19 김권 이산화탄소 발포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20130055129A (ko) * 2011-11-18 2013-05-28 (주)아모레퍼시픽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재생 촉진제
KR101464914B1 (ko) * 2014-02-28 2014-11-25 김인숙 피부 장벽 강화와 세포 재생으로 여드름을 치료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91166A (ko) * 2015-01-23 2016-08-02 헤내스 주식회사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
JP2017110139A (ja) * 2015-12-17 2017-06-22 資生堂ホネケーキ工業株式会社 枠練り透明固形石鹸
KR20170103172A (ko) * 2016-03-03 2017-09-13 주식회사 한솔교육 병풀추출물, 세라마이드 및 자작나무수액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의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1897A (ko) * 2017-06-01 2018-12-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불용성 셀룰로오스로 안정성이 개선된 클레이 함유 화장료 조성물
JP2019014709A (ja) * 2017-07-07 2019-01-31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皮膚外用組成物
JP2019069921A (ja) * 2017-10-11 2019-05-0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洗浄料用組成物
KR20210063533A (ko) * 2019-11-22 2021-06-02 황기철 천연 기능성 비누 조성물
KR102281086B1 (ko) * 2020-12-29 2021-07-23 주식회사 르제 점액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피부를 세정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096B1 (ko) 과색소침착 피부용 피부 미백 조성물
CN112089647A (zh) 一种集卸妆、清洁洗净、护肤三效合一的按摩卸妆膏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916145A (zh) 一种新型洗涤用品
KR20180133170A (ko) 오일 고함유 세정제의 거품력을 향상시킨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CN100581533C (zh) 一种润肤霜及其制备方法
KR20210049609A (ko) 고마쥬 타입 각질제거용 수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20130077091A (ko) 발 세정제 조성물
JP4067073B2 (ja) 皮膚化粧料
KR100849100B1 (ko)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01551B1 (ko) 안정성 및 용해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0846292B1 (ko) 비수계 분산형 클렌징밤 조성물
CN101524317A (zh) 一种含有壬二酸的祛斑护肤化妆品
US20210038492A1 (en) Composition of freeze-dried formulation, cosmetic kit for external use on skin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skin moisturizing including applying the same onto the skin
CN108938464B (zh) 一种深层清洁温和卸妆油
KR20220001161A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101062156B1 (ko) 황기종자 스크럽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753354A (zh) 一种含干细胞生长因子的抗衰老保湿护肤品及其应用
CN110664687B (zh) 护肤型净颜卸妆膏及其制备方法
KR101504907B1 (ko) 알파리포산을 함유하는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JP5290562B2 (ja) 抗シワ剤およびシワ形成防止用皮膚外用剤
KR101947062B1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7215842A (ja) 洗顔用組成物
CN108888574A (zh) 一种纸巾用卸妆液及其制备方法
KR100564222B1 (ko) 복합 비누 조성물
KR101280089B1 (ko)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203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