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99151B1 -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151B1
KR102399151B1 KR1020210065444A KR20210065444A KR102399151B1 KR 102399151 B1 KR102399151 B1 KR 102399151B1 KR 1020210065444 A KR1020210065444 A KR 1020210065444A KR 20210065444 A KR20210065444 A KR 20210065444A KR 102399151 B1 KR102399151 B1 KR 102399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ncrete
putty
cra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한
Priority to KR1020210065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1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3Poly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07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salts or salty compositions, e.g. for salt glazing
    • C04B41/501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salts or salty compositions, e.g. for salt glazing containing carbon in the anion, e.g.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4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2Repairing or restoring existing buildings or build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은 노출 철근의 녹 정도가 심하고, 균열피막이 큰 콘크리트 외벽에 대한 방청 및 균열피막 보수효과가 뛰어나고, 각 단계별 도막 건조시간이 짧아 시공성이 뛰어나고, 개별 도막 사이의 부착성 및 도막 강도가 우수하며, 콘크리트 외벽 최종면인 상도도막을 오염시키지 않는 조성물을 채택하여 장기 내구성 및 내후성이 월등히 뛰어나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 {Repairing method of crack in concrete using putty for restoration of the cover}
본 발명은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로 인해 노출된 철근의 방청을 수행하고, 노출된 철근에 의해 형성된 균열피막을 효과적으로 보수할 수 있는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에 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철근 콘크리트는 콘크리트라는 압축재와 철근이라는 인장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가장 효율적인 건축 재료로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기온의 변화, 유해가스 및 진동 등 외부환경의 변화에 의하여 끊임없이 변형되고, 단일 시공 또는 보수를 통해 영구히 보존될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 즉,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른 콘크리트 거동 및 습기 유입 등으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에 노출되게 되며 이로 인해 수명이 단축 된다.
구체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철근의 부식과 그에 의한 외부균열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문제점은 거주의 쾌적함 및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주기적 유기 관리가 수반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유지관리를 위해 공동주택 또는 아파트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은 일정 기간을 두고 외부 균열을 보수를 시행하는데, 공지의 보수방법으로는 피막식 보수방법, 충진식 보수방법, 주입식 보수방법 또는 구조체 보강방법 등이 있다.
상기 보수방법 중 피막식 보수방법은 주로 에폭시 등 용해력이 강한 용제가 포함되어 있는 균열보수제를 사용하여 외벽 균열을 보수하여 왔으나, 이러한 균열 보수방법은 수성페인트를 외벽 도색에 사용하는 우리나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정상 바탕면인 수성페인트로부터의 박리현상을 제어할 수 없고, 철근의 부식을 가속화시킨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았다.
이에, 기존 균열 보수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 보수 및 도장을 위한 새로운 균열보수 소재와 그에 따른 보수공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31067호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로 인해 노출된 철근의 방청을 수행하고, 노출된 철근에 의해 형성된 균열피막을 효과적으로 보수할 수 있는 콘크리트 균역피막 보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균열피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외벽에 존재하는 돌출 부분 및 이물을 제거하는 균열 영역 전처리 단계; 상기 전처리된 콘크리트 외벽에 폴리우레탄 화합물 40 내지 50 중량부, 차폐 안료 10 내지 20 중량부, 방청 흡습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휘발성 유기용제 3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우레탄계 1액형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이 도포되어 경화된 콘크리트 외벽에 SiO2를 80 중량% 이상 함유하는 규사와 시멘트 혼합물을 포함하는 퍼티 성분 40 내지 60 중량부 및 수성 페인트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를 이용하여 바탕 조정하는 단계; 및 수용성 제 1 아크릴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부, 수용성 제 2 아크릴 공중합체 10 내지 20 중량부, 라임스톤 50 내지 60 중량부 및 휘발성 유기용제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균열피막 보수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균열피막을 보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에 대한 것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우레탄계 1액형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의 폴리우레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벤젠 화합물과 화학식 2 내지 4로 표현되는 히드록시기 함유 화합물의 우레탄 결합에 의해 형성된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58613606-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21058613606-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21058613606-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21058613606-pat00004
상기 화학식 4에서 n는 임의의 수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우레탄계 1액형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의 차폐 안료는 알루미늄이고, 상기 방청 흡습제는 4차 암모늄 화합물, 비스(수소산 수지 알킬) 다이메틸 및 벤토나이트와의 염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퍼티 성분은 60 내지 80 메쉬 범위 내의 입도를 가지는 제 1 인조 규사 및 80 내지 120 메쉬 범위 내의 입도를 가지는 제 2 인조 규사를 포함하는 규사 50 내지 70 중량부, 포틀랜드 시멘트 5 내지 20 중량부, 산화알루미늄을 30 내지 70 중량%의 범위 내로 포함하는 제 1 시멘트 5 내지 15 중량부 및 칼슘 설포알루미네이트를 25 내지 45 중량%의 범위 내로 포함하는 제 2 시멘트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는 하기 수식 1 내지 3을 만족할 수 있다.
[수식 1]
3 N/mm2
Figure 112021058613606-pat00005
Cs
Figure 112021058613606-pat00006
10 N/mm2
[수식 2]
20 min
Figure 112021058613606-pat00007
Pf
Figure 112021058613606-pat00008
40 min
상기 수식 1에서, Cs는 KS L ISO 679법에 의해 측정한 상기 퍼티의 1일 양생 후 압축 강도(N/mm2)를 의미하고, 상기 수식 2에서 Pf는 퍼티의 가사시간(min)을 의미한다.
[수식 3]
90g
Figure 112021058613606-pat00009
G
Figure 112021058613606-pat00010
130g
상기 수식 3에서, G는 퍼티에 포함되는 퍼티 분말 100g 대비 수성 페인트의 중량(g)을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수용성 제 1 아크릴 공중합체는 탄소수 4 내지 8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50 내지 70 중량부, 아크릴산 10 내지 15 중량부, 스티렌계 단량체 10 내지 20 중량부 및 아크릴아마이드 10 내지 15 중량부의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수용성 제 2 아크릴 공중합체는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60 내지 90 중량부, 아크릴아마이드 5 내지 20 중량부 및 메타크릴산 5 내지 20 중량부의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균열피막 보수용 조성물은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 0.5 내지 1 중량부 및 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우레탄계 1액형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를 이용하여 바탕 조정하는 단계 및 균열피막 보수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균열피막을 보수하는 단계는 각각 24 내지 48시간의 간격을 두고 수행하고, 도막 두께를 0.5 내지 2mm의 범위 내로 유지하며 도막 도포량을 0.2 내지 1m2/kg의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은 노출 철근의 녹 정도가 심하고, 균열피막이 큰 콘크리트 외벽에 대한 방청 및 균열피막 보수효과가 뛰어나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은 또한, 각 단계별 도막 건조시간이 짧아 시공성이 뛰어나고, 개별 도막 사이의 부착성 및 도막 강도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은 특히, 콘크리트 외벽 최종면인 상도도막을 오염시키지 않는 조성물을 채택하여 장기 내구성 및 내후성이 월등히 뛰어나다.
물론, 본 발명의 효과가 상기 언급한 범위 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방법의 공정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발명의 주요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루어지다 혹은 이루어지는"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만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중량부"는 달리 설명하지 아니하는 한 각 성분 사이의 중량 비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중합 단위”는 단량체가 상호 중합되어 형성된 고분자,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내에 상기 단량체가 중합되어 단위를 이루고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용어로서, 예를 들면 A 공중합체가 B 및 C의 중합 단위를 포함한다는 것은 B 및 C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A 공중합체가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수방법은 아파트, 오피스텔, 다세대 주택 등 외벽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써, 건물의 노후화 및 기타 외부요인에 의해 콘크리트 외벽이 갈라져 있고 철근이 일부 노출되어 있어 보수가 필요한 구조물을 대상으로 수행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은 방청, 바탕 조정 및 균열피막 보수에 이용되는 각 조성물의 소재 특성 및 조성을 개량 내지는 개선하여 도막 부착력 및 방청력의 우수성을 확보하고, 장기 내구성 및 내후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주요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은 방청 및 하도용 소재로서 1액형 우레탄 화합물과 방청 흡습제 및 소정의 차폐 안료를 채택하여 건조 속도의 개선, 우수한 방청력 및 뛰어난 철재 부착력을 확보하는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은 바탕 조정을 위한 퍼티로서 수성 페인트를 함유하여 제품 가격 경쟁력이 뛰어남과 동시에 도막 강성 내지는 압축강도가 우수하며 건조시간이 짧아 시공성이 뛰어난 퍼티를 이용하여 바탕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은 도막 강성, 내구성 및 내후성 확보를 위한 수용성 제 1 아크릴 공중합체와 접착력, 메꿈성 및 탄성 확보를 위한 수용성 제 2 아크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균열피막 보수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균열피막을 보수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은, 더욱이 각 단계에 이용되는 조성물을 동일한 극성으로 구성하여 도막 사이의 부착력 및 도막 장기 내구성의 우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에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의 일 공정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은 균열 영역 전처리 단계(100);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 도포 단계(200); 바탕 조정 단계(300); 및 균열피막 보수 단계(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의 상기 각 단계의 시계열적 순서는 상기 언급된 공정의 순서대로 진행되어야 하며 도치되거나 생략되서는 아니된다.
균열 영역 전처리 단계(100)는 균열피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외벽에 존재하는 돌출 부분 및 이물을 제거하는 단계로서 후속하는 방청, 바탕 조정 및 균열피막 보수 단계 이전에 콘크리트 외벽에 노출되어 잔여물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균열 영역 전처리 단계(100) 이후에는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 도포 단계(200)가 수행된다.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 도포 단계(200)는 전처리된 콘크리트 외벽에 우레탄계 1액형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 도포 단계(200)에 이용되는 프라이머 조성물은 우레탄계 1액형 수지를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차폐 안료 및 방청 흡습제를 기능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써 건조가 빠르고 방청력이 우수하여 강인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이용되는 프라이머 조성물은 차폐 안료가 리핑되어 있는 타입으로 녹이 잔존하는 노출 철근 상에도 우수한 부착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 도포 단계(200)에 이용되는 우레탄계 1액형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화합물 40 내지 50 중량부, 차폐 안료 10 내지 20 중량부, 방청 흡습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휘발성 유기용제 3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화합물은 우레탄계 1액형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히드록시기 또는 디올기 함유 화합물과의 우레탄 결합에 의해 형성된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폴리우레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벤젠 화합물과 화학식 2 내지 4로 표현되는 히드록시기 함유 화합물의 우레탄 결합에 의해 형성된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58613606-pat00011
[화학식 2]
Figure 112021058613606-pat00012
[화학식 3]
Figure 112021058613606-pat00013
[화학식 4]
Figure 112021058613606-pat00014
상기 화학식 4에서 n는 임의의 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은 1,1‘-메틸렌 비스[4-이소시아네이토벤젠]으로서 폴리우레탄 화합물이 건조되어 도막을 형성할 때 도막의 강성 및 내구성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화학식 2 내지 4는 각각 2-에틸-2-(하이드록시메틸), 1,3-프로판디올 및 α-하이드로-ω-하이드록시폴리[옥시(메틸-1,2,-에탄디일)로서 상기 화학식 1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여 폴리우레탄 화합물의 중합 단위를 형성하여 폴리우레탄 화합물의 점도와 도막의 접착성 향상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 한다.
상기 화학식 1 내지 4는 소정의 함량 비율로 중합되어 폴리우레탄 화합물의 중합 단위에 포함될 수 있는데, 일 예시에서, 폴리우레탄 화합물은 화학식 1에 따른 화합물 15 내지 35 중량부 및 화학식 2 내지 4에 따른 화합물 65 내지 85 중량부의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 내지 4 각각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자유롭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 도포 단계(200)에 이용되는 우레탄계 1액형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에 포함되는 차폐 안료는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의 건조 및 경화에 의해 형성된 도막 상에 산소 또는 수분 차폐층을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철근이나 철재의 부식이나 녹 형성을 물리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 안료는 알루미늄 일 수 있는데, 알루미늄을 차폐 안료로 이용하는 경우 완벽한 녹제거가 곤란한 철재에도 부착 및 방청력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 도포 단계(200)에 이용되는 우레탄계 1액형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에 포함되는 방청 흡습제는, 수분의 흡수 및 흡착 역할을 수행하여 철근의 부식이나 녹 형성을 화학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청 흡습제는 4차 암모늄 화합물, 비스(수소산 수지 알킬) 다이메틸 및 벤토나이트와의 염일 수 있는데, 상기 방청 흡습제를 채택하여 이용하는 경우 부식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콘크리트 외벽 상에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이 도포되어 경화된 후에는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를 이용한 바탕 조정 단계가 수행된다.
바탕 조정 단계(300)는 SiO2를 80 중량% 이상 함유하는 규사와 시멘트 혼합물을 포함하는 퍼티 성분 40 내지 60 중량부 및 수성 페인트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바탕 조정 단계에 이용되는 퍼티에는 수성 페인트가 포함되기 때문에 균열피막 보수에 따라 형성된 도막과의 상호 부착 내지는 접착력이 우수하다. 또한, 입도가 상이한 2종의 규사를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소정의 시멘트 성분을 포함하는 퍼티 성분을 함유하여 건조 시간이 짧고 건조 후 형성된 도막 강도가 우수하다.
구체적인 예시에서, 바탕 조정 단계(300)에 이용되는 퍼티에 포함되는 퍼티 성분은 60 내지 80 메쉬 범위 내의 입도를 가지는 제 1 인조 규사 및 80 내지 120 메쉬 범위 내의 입도를 가지는 제 2 인조 규사를 포함하는 규사 50 내지 70 중량부, 포틀랜드 시멘트 5 내지 20 중량부, 산화알루미늄을 30 내지 70 중량%의 범위 내로 포함하는 제 1 시멘트 5 내지 15 중량부 및 칼슘 설포알루미네이트를 25 내지 45 중량%의 범위 내로 포함하는 제 2 시멘트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시에서, 바탕 조정 단계(300)에 이용되는 퍼티에 포함되는 퍼티 성분은 60 내지 80 메쉬 범위 내의 입도를 가지는 제 1 인조 규사 25 내지 35 중량부; 80 내지 120 메쉬 범위 내의 입도를 가지는 제 2 인조 규사 25 내지 35 중량부; 포틀랜드 시멘트 10 내지 15 중량부; 산화 알루미늄을 30 내지 70 중량%의 범위 내로 포함하는 제 1 시멘트 5 내지 10 중량부; 및 칼슘 설포알루미네이트를 25 내지 45 중량%의 범위 내로 포함하는 제 2 시멘트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의 퍼티 성분과 수성 페인트가 혼합되어 형성된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를 이용하여 바탕 조정을 수행하는 경우, 균열피막 보수에 따라 형성된 도막과의 상호 부착 내지는 접착력이 우수하고, 건조 시간이 짧으며 건조 후 형성된 도막 강도가 우수한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는 하기 수식 1 내지 3을 만족할 수 있다.
[수식 1]
3 N/mm2
Figure 112021058613606-pat00015
Cs
Figure 112021058613606-pat00016
10 N/mm2
[수식 2]
20 min
Figure 112021058613606-pat00017
Pf
Figure 112021058613606-pat00018
40 min
상기 수식 1에서, Cs는 KS L ISO 679법에 의해 측정한 상기 퍼티의 1일 양생 후 압축 강도(N/mm2)를 의미하고, 상기 수식 2에서 Pf는 퍼티의 가사시간(min)을 의미한다.
[수식 3]
90g
Figure 112021058613606-pat00019
G
Figure 112021058613606-pat00020
130g
상기 수식 3에서, G는 퍼티에 포함되는 퍼티 분말 100g 대비 수성 페인트의 중량(g)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탕조정 단계(300)에서 이용되는 퍼티가 상기 수식 1을 만족한다는 것은, KS L ISO 679법에 의해 측정한 1일 양생 후 측정한 퍼티의 압축 강도를 3 내지 10N/mm2의 범위 내로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예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탕조정 단계(300)에서 이용되는 퍼티는 KS L ISO 679법에 의해 측정한 1일 양생 후 압축 강도가 3 내지 8N/mm2 또는 3 내지 6N/mm2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탕조정 단계(300)에서 이용되는 퍼티가 상기 수식 2를 만족한다는 것은, 퍼티의 가사시간을 20분 내지 40분의 범위 내로 조절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예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탕 조정 단계(300)에서 이용되는 퍼티는 가사 시간이 25 내지 40분 또는 30 내지 40분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탕조정 단계(300)에서 이용되는 퍼티가 상기 수식 3을 만족한다는 것은 퍼티 성분 100 중량부 기준 수성 페인트를 90 내지 130 중량부 범위 내로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탕조정 단계(300)에서 이용되는 퍼티가 수성 페인트 47.3 중량% 내지 56.5 중량% 및 퍼티 성분 43.4 중량% 내지 52.6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퍼티 성분 100g 대비 수성 페인트 함량이 90g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흙손 시공 작업성이 열악해지거나 가사시간이 지나치게 짧아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퍼티용 시멘트 조성물 100g 대비 수성 페인트 함량이 130g을 초과하는 경우 흙손 시공 작업성이 열악해지거나 압축강도가 콘크리트 균열 보수공정의 바탕 조정 단계에서 이용되는 제품의 기준 스펙을 충족하지 못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탕 조정 단계(300)에서 이용되는 퍼티는 특히, 상기 수식 3의 G가 120g일 경우, 구체적으로 퍼티 성분 100g 대비 수성 페인트 120g이 첨가 될 경우, 흙손 시공 작업성이 가장 양호할 수 있고 적정 압축 강도 및 가사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백화 현상 억제 효과 또한 유지될 수 있다.
바탕 조정 단계(300)에서 이용되는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에는, 전술한 성분 이외에, 석고, 소포제, 산화 방지제, 섬유사, 리?f 카보네이트, 점증제, 메틸 셀룰로오즈 또는 분말 방수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탕 조정 단계(300) 이후에는 균열피막 보수용 조성물을 이용하는 균열피막 보수 단계(400)가 수행된다.
균열피막 보수 단계(400)는 수용성 제 1 아크릴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부, 수용성 제 2 아크릴 공중합체 10 내지 20 중량부, 라임스톤 50 내지 60 중량부 및 휘발성 유기용제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균열피막 보수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균열피막 보수 단계(400)에 이용되는 균열피막 보수용 조성물은 수용성 제 1 및 제 2 아크릴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도막의 메꿈성, 탄성, 내후성 및 내수성이 우수성을 확보한다. 또한, 상기 균열피막 보수용 조성물은 콘크리트 외벽 최종면인 상도도막을 오염시킬 수 있는 가소제를 포함하지 아니하여 도막 전체의 장기 내구성 및 내후성을 향상시킨다.
균열피막 보수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용성 제 1 아크릴 공중합체는 균열피막 보수용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되는 도막의 내후성, 내수성 및 내구성에 기여하는 성분으로서 직쇄의 탄소수가 적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 단위를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방향족 고리환 또는 벤젠 고리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중합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균열피막 보수 단계(400)에 이용되는 균열피막 보수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용성 제 1 아크릴 공중합체는 탄소수 4 내지 8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50 내지 70 중량부, 아크릴산 10 내지 15 중량부, 스티렌계 단량체 10 내지 20 중량부 및 아크릴아마이드 10 내지 15 중량부의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균열피막 보수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용성 제 2 아크릴 공중합체는 균열피막 보수용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되는 도막의 메꿈성 및 탄성에 기여하는 성분으로서 직쇄의 탄소수가 상기 수용성 제 1 아크릴 공중합체 대비 많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 단위를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수용성 제 2 아크릴 공중합체는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60 내지 90 중량부, 아크릴아마이드 5 내지 20 중량부 및 메타크릴산 5 내지 20 중량부의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균열피막 보수용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 이외에 시공성, 조성 안정성, 메꿈성, 탄성, 내후성 및 내수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성분, 구체적으로,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 0.5 내지 1 중량부 및 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의 각 단계는 해당 업계에서 요구하는 시공 시간, 도막 두께 범위 및 도막 도포량을 충족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우레탄계 1액형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를 이용하여 바탕 조정하는 단계 및 균열피막 보수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균열피막을 보수하는 단계는 각각, 24 내지 48시간의 간격을 두고 수행하고, 도막 두께를 0.5 내지 2mm의 범위 내로 유지하며 도막 도포량을 0.2 내지 1m2/kg의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에 대해 도면과 일 예시들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일례에 불과할 뿐, 상기 도면이나 예시들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의 주요 기술적 사상이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함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자명하다.

Claims (10)

  1. 균열피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외벽에 존재하는 돌출 부분 및 이물을 제거하는 균열 영역 전처리 단계;
    상기 전처리된 콘크리트 외벽에 폴리우레탄 화합물 40 내지 50 중량부, 차폐 안료 10 내지 20 중량부, 방청 흡습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휘발성 유기용제 3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우레탄계 1액형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이 도포되어 경화된 콘크리트 외벽에 SiO2를 80 중량% 이상 함유하는 규사와 시멘트 혼합물을 포함하는 퍼티 성분 40 내지 60 중량부 및 수성 페인트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를 이용하여 바탕 조정하는 단계; 및
    수용성 제 1 아크릴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부, 수용성 제 2 아크릴 공중합체 10 내지 20 중량부, 라임스톤 50 내지 60 중량부 및 휘발성 유기용제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균열피막 보수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균열피막을 보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제 1 아크릴 공중합체는,
    탄소수 4 내지 8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50 내지 70 중량부, 아크릴산 10 내지 15 중량부, 스티렌계 단량체 10 내지 20 중량부 및 아크릴아마이드 10 내지 15 중량부의 중합 단위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성 제 2 아크릴 공중합체는,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60 내지 90 중량부, 아크릴아마이드 5 내지 20 중량부 및 메타크릴산 5 내지 20 중량부의 중합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균열피막 보수용 조성물은,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 0.5 내지 1 중량부 및 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계 1액형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의 폴리우레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벤젠 화합물과 화학식 2 내지 4로 표현되는 히드록시기 함유 화합물의 우레탄 결합에 의해 형성된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22020225616-pat00021

    [화학식 2]
    Figure 112022020225616-pat00022

    [화학식 3]
    Figure 112022020225616-pat00023

    [화학식 4]
    Figure 112022020225616-pat00024

    상기 화학식 4에서 n는 임의의 수이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계 1액형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의 차폐 안료는 알루미늄이고, 상기 방청 흡습제는 4차 암모늄 화합물, 비스(수소산 수지 알킬) 다이메틸 및 벤토나이트와의 염인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퍼티 성분은,
    60 내지 80 메쉬 범위 내의 입도를 가지는 제 1 인조 규사 및 80 내지 120 메쉬 범위 내의 입도를 가지는 제 2 인조 규사를 포함하는 규사 50 내지 70 중량부, 포틀랜드 시멘트 5 내지 20 중량부, 산화알루미늄을 30 내지 70 중량%의 범위 내로 포함하는 제 1 시멘트 5 내지 15 중량부 및 칼슘 설포알루미네이트를 25 내지 45 중량%의 범위 내로 포함하는 제 2 시멘트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는 하기 수식 1 내지 3을 만족하는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
    [수식 1]
    3 N/mm2
    Figure 112021058613606-pat00025
    Cs
    Figure 112021058613606-pat00026
    10 N/mm2
    [수식 2]
    20 min
    Figure 112021058613606-pat00027
    Pf
    Figure 112021058613606-pat00028
    40 min
    상기 수식 1에서, Cs는 KS L ISO 679법에 의해 측정한 상기 퍼티의 1일 양생 후 압축 강도(N/mm2)를 의미하고, 상기 수식 2에서 Pf는 퍼티의 가사시간(min)을 의미한다.
    [수식 3]
    90g
    Figure 112021058613606-pat00029
    G
    Figure 112021058613606-pat00030
    130g
    상기 수식 3에서, G는 퍼티에 포함되는 퍼티 분말 100g 대비 수성 페인트의 중량(g)을 의미한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아크릴레이트인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계 1액형 방청 및 하도용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를 이용하여 바탕 조정하는 단계 및 균열피막 보수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균열피막을 보수하는 단계는 각각,
    24 내지 48시간의 간격을 두고 수행하고, 도막 두께를 0.5 내지 2mm의 범위 내로 유지하며 도막 도포량을 0.2 내지 1m2/kg의 범위 내로 유지하는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65444A 2021-05-21 2021-05-21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 Active KR102399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444A KR102399151B1 (ko) 2021-05-21 2021-05-21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444A KR102399151B1 (ko) 2021-05-21 2021-05-21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151B1 true KR102399151B1 (ko) 2022-05-18

Family

ID=8180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444A Active KR102399151B1 (ko) 2021-05-21 2021-05-21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1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34842B1 (ko) 2024-04-05 2024-11-27 (주)주원디엔피 부착성 및 인장강도를 개선한 외벽 균열 보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공법
KR20250057231A (ko) * 2023-10-19 2025-04-29 주식회사 리한 크랙 저항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크랙 단면의 복구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0347A (ja) * 1997-07-29 1999-04-13 Bridgestone Corp シュウ酸の第4級アンモニウム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KR101031067B1 (ko) 2010-09-27 2011-04-25 (주)실리칼플로어 아파트의 외벽 방수 및 도장을 위한 균열피막 보수방법
KR20140096754A (ko) * 2013-01-29 2014-08-06 에이치플러스에코 주식회사 속건경화형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
JP2016190365A (ja) * 2015-03-31 2016-11-10 大日本塗料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の断面修復及び剥落防止工法
KR20170033056A (ko) * 2015-09-16 2017-03-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가공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20170140943A (ko) * 2016-06-14 2017-1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JP2018080243A (ja) * 2016-11-15 2018-05-24 株式会社Adeka 一液型水系樹脂組成物
KR20200068407A (ko) * 2018-12-05 2020-06-15 엘림피엔씨 주식회사 콘크리트 파손 또는 균열 보수보강 방법
KR102157314B1 (ko) * 2019-09-17 2020-09-17 주식회사 리한 퍼티용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퍼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0347A (ja) * 1997-07-29 1999-04-13 Bridgestone Corp シュウ酸の第4級アンモニウム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KR101031067B1 (ko) 2010-09-27 2011-04-25 (주)실리칼플로어 아파트의 외벽 방수 및 도장을 위한 균열피막 보수방법
KR20140096754A (ko) * 2013-01-29 2014-08-06 에이치플러스에코 주식회사 속건경화형 폴리우레탄 도료 조성물
JP2016190365A (ja) * 2015-03-31 2016-11-10 大日本塗料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の断面修復及び剥落防止工法
KR20170033056A (ko) * 2015-09-16 2017-03-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가공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20170140943A (ko) * 2016-06-14 2017-1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JP2018080243A (ja) * 2016-11-15 2018-05-24 株式会社Adeka 一液型水系樹脂組成物
KR20200068407A (ko) * 2018-12-05 2020-06-15 엘림피엔씨 주식회사 콘크리트 파손 또는 균열 보수보강 방법
KR102157314B1 (ko) * 2019-09-17 2020-09-17 주식회사 리한 퍼티용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퍼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57231A (ko) * 2023-10-19 2025-04-29 주식회사 리한 크랙 저항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크랙 단면의 복구 방법
KR102817351B1 (ko) * 2023-10-19 2025-06-11 주식회사 리한 크랙 저항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크랙 단면의 복구 방법
KR102734842B1 (ko) 2024-04-05 2024-11-27 (주)주원디엔피 부착성 및 인장강도를 개선한 외벽 균열 보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9151B1 (ko) 콘크리트 피복 복구용 퍼티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피막 보수방법
JP5759898B2 (ja) 防食塗料組成物、防食塗料組成物の製造方法、鋼材の防食方法、防食塗膜、塗膜層
KR102068714B1 (ko) 내중성화 속경성 보수보강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시공법
KR101031067B1 (ko) 아파트의 외벽 방수 및 도장을 위한 균열피막 보수방법
KR102193762B1 (ko) 속건성 충진보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 보수공법
KR101451974B1 (ko) 염해 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25558B1 (ko) 폴리머 시멘트 및 아크릴 코팅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공법
KR101965224B1 (ko) 교면 방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 공법
KR102562993B1 (ko)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 표면처리공법
KR102164899B1 (ko) 강재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도장방법
JP7419619B2 (ja) 防水材組成物、防水工法及び防水皮膜
KR101806077B1 (ko) 내염성과 내해수성 ata폴리머를 이용한 철근 보호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코팅공법
KR100778232B1 (ko) 고강도 수용성 도막 방수제
KR101820729B1 (ko) 콘크리트 균열 보수 방법
KR102058879B1 (ko) 도료 조성물
JP2001342048A (ja) コンクリート用の塗布材及びコンクリート表面の補修又は保護方法
KR101964675B1 (ko) 콘크리트 벽체의 중성화 방지 및 자정효과를 극대화하는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막, 그리고 이들의 코팅조성물
KR100778230B1 (ko) 수용성 도막 방수제
JP2010143824A (ja) コンクリート用の塗布材及びコンクリート表面の補修又は保護方法
KR102481757B1 (ko) 중성화 방지 및 염해방지가 우수한 친환경 유무기복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수도료층 및 이의 도장방법
KR20160100117A (ko) 콘크리트 바닥의 친환경 표면강화 시공방법
KR102817351B1 (ko) 크랙 저항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크랙 단면의 복구 방법
KR101230290B1 (ko) 강재 도장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의 도장 방법
KR100770632B1 (ko) 고분자 세라믹스 방식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열화 및 중성화 방지공법
KR100597866B1 (ko)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되어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폴리머계 무기질 코팅재를 이용한 구조물 표면에 대한코팅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