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94776B1 - 혈관성형술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혈관성형술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776B1
KR102394776B1 KR1020200026002A KR20200026002A KR102394776B1 KR 102394776 B1 KR102394776 B1 KR 102394776B1 KR 1020200026002 A KR1020200026002 A KR 1020200026002A KR 20200026002 A KR20200026002 A KR 20200026002A KR 102394776 B1 KR102394776 B1 KR 102394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angioplasty
poly
polyglyceryl
ste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1384A (ko
Inventor
방우대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6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776B1/ko
Publication of KR20210111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77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4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folded prior to deploy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58Inflatable balloons for placing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6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3/00Antithrombogenic treatment of surgical articles, e.g. sutures, catheters, prostheses, or of articles for the manipulation or conditioning of blood; Materials for such treatment
    • A61L33/0005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33/0011Anticoagulant, e.g. heparin,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 fibrinolytic agent, other than enzymes, attached to the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61M31/002Devices for releasing a drug at a continuous and controlled rate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A61F2002/0081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directly machined on the prosthetic surface, e.g. holes,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A61F2002/009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for hindering or preventing attachment of biologic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69Sea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Anti-inflammatory agents, e.g. NS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anti-platelet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관성형술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는, 팽창가능 부재; 및 상기 팽창가능 부재 상에 형성된 약물전달 필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혈관성형술용 스텐트{STENT FOR ANGIOPLASTY}
본 발명은 혈관성형술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관상 동맥 협착은 흔히 스텐팅(stenting)으로 알려진 과정에 의해 치료되며, 이때 침범된 동맥에 의학적 장치(스텐트)를 경피적으로 이식하여 과정 이후에 폐쇄되는 것을 방지한다. 재협착과 같은 합병증은 경피적 경관 관상동맥 혈관형성(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PTCA)과 같은 의학적 과정의 형태로 동맥경화증 치료를 받은 환자에게서 시술받은 부위에 다시 협착이 발생하는 문제이다. 재협착이 발생한 부위는 추가적인 스텐트 시술 또는 약물 방출 풍선을 통해 치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텐트(stent)는 통상적으로 원통 형상이며 주로 코발트 크롬 또는 써지컬 스틸(Surgical steel)과 같은 생체적합성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대부분의 스텐트는 접을 수 있으며 경관 카테터를 통해 폐쇄된 동맥으로 전달된다. 스텐트는 카테터에 부착되고, 자가 확장하거나 또는 일단 스텐트가 적소에 놓이면 후에 카테터와 함께 제거되는 스텐트 내부의 풍선의 팽창에 의해 확장될 수 있다.
스텐트 요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은 재협착 및 혈전증을 포함한다. 이들 합병증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스텐트는 스텐트-이식 부위에서 제어된 방식으로 방출되는 항-재협착 약물의 층 또는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약물은, 예를 들어, 영구적 또는 생분해성 폴리머 담체에 함유된다. 이 방식으로 전달되도록 제안되는 종래 치료제의 예는, 항증식(항암제: taoxol 계열) 약물, 항염증제 (면역억제제: ex. sirolimus)를 포함한다. 약물이 있는 폴리머 담체는 신체로의 약물의 제어 방출을 조정하도록 기능하는 다공성 생분해성 층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보다 최근에는, "폴리머-프리", 즉 순수한 약물 형태로 방출하기 위해 항-재협착 약물이 채널, 그루브 또는 기공으로 운반되는 스텐트가 제안되었다. 순수한 약물 형태로 방출하기 위해 스텐트의 표면 상에 약물층을 고정시키도록 의도된 조면화된 표면을 갖는 스텐트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들 중 어느 것도 특정 부류의 항-재협착 화합물과 함께, 스텐트 표면 상의 특정 범위 내의 표면 조도 특징의 선택에 의해 화합물의 항-재협착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거나 제안하지 않는다.
스텐트가 정착되는 부위는 대부분 이미 혈관 내피가 손상된 부위를 포함하고 있고 또한, 기술적으로 스텐트가 혈관에 정착 (implant)되는 과정에서 혈관 내피(endothelium)를 파고 들어가게 되어있으며 이 과정에서 정상적인 혈관부위도 혈관 내피의 손상을 피할 수가 없고 이에 따른 초기 염증반응이 발생하게 되어있다.
이 과정에 발생하는 염증반응은 혈소판의 활성화를 초기 기전으로 반응하므로 일반적으로 스텐트 시술을 받는 환자는 이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초기 약 6개월~1년간 두가지의 항 혈소판제를 유지해야만하고 이후에도 평생 한가지의 항혈소판제를 유지하도록 권고되고 있으며 그렇게하지 않을 경우 혈전이나 재협착위험의 증가로 이어지는 결과가 보고되어 있다.
하지만 항혈소판제를 초기에 강력하게 유지하고 또한 평생 한가지를 유지하는 것은 출혈의 유의한 증가와 연관되어 있으며 가장 치명적인 출혈로는 뇌출혈을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스텐트 요법과 이에 따른 항 혈소판제 사용과 연관된 합병증 관점에서, 혈관 손상의 부위에 스텐트 배치 후 염증반응을 최소화하고 장기적으로 혈관내에 외부 금속물질을 남겨놓지 않게하여 항혈소판제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혈전 합병증의 위험을 낮추는 구조 및 약물성분을 가지는 스텐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여러가지 스텐트가 개발되어왔고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 생분해성 (bioresorbable) 스텐트도 개발되어 임상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현재는 유의한 스텐트혈전의 증가로 인해 상용화가 중단된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분해성(bioresorbable) 폴리머를 이용하여 두께가 얇고 구조를 더 촘촘하게 만들어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약물을 수용(contain)하며 포유류 피실험체의 혈관 내에 밀착시켜 재발성 협착증을 방지하고, 생분해 속도를 수 일 내지 수 주로 단축시키고, 분해 분산물이 체내에서 자연적인 경로를 통해 생체 흡수되거나 배설될 수 있는 혈관성형술용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는, 팽창가능 부재; 및 상기 팽창가능 부재 상에 형성된 약물전달 필름;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부재는 그물 구조의 관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부재는 표면에 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공 크기는 20 ㎛ 내지 40 ㎛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부재는, 벌룬(balloon) 카테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부재는, 삽입되는 혈관의 반경방향으로 팽창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부재는, 상기 반경방향으로 혈관의 크기에 따라 2 mm 내지 30 mm로 팽창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부재는, 삽입되는 혈관의 반경방향, 길이방향 및 이 둘 방향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 필름은,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물질은, 천연 고분자, 합성 고분자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고분자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키토산(chitosan), 콜라겐(collagen), 알긴산(alginic acid), 알부민(albumin), 젤라틴(gelatin), 실크 피브로인(silk fibroin),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 헤파린(hparin), 알지네이트(alginate), 덱스트란(dextran), 콘드로이틴 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 덱스트란 설페이트(dextran sulfate), 아카시아 검(acacia gum), 트라가칸친(tragacanthin), 펙틴(pectin), 구아검(guar gum), 소듐카복시메틸덱스트란(Carboxymethyl dextran),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펩타이드(peptide), 올리고 펩타이드(oligopeptide), 아가(agar), 카라기난(carrageenan), 갈락토만난(Galactomannans), 잔탄(Xanthan),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Beta-Cyclodextrin), 아밀로즈(Amylose, 수용성 전분), 피브린(fibrin), 플루란(pullulan) 및 양성 전분(Tertiary amine starch ethe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합성 고분자는, 폴리락트산(PLA), 폴리글리콜산(PGA),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D,L-락트산-co-글리콜산)(poly(D,L-lactide-co-glycolide; PLGA),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발레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 발러레이트), 폴리[(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co-(3-하이드록시발러레이트)(PHBV), 폴리다이옥산온(PDO), 폴리[(L-락타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에스테르우레탄)(PEUU), 폴리[(L-락타이드)-co-(D-락타이드)], 폴리[에틸렌-co-(비닐 알코올)](PVOH), 히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HA) 및 β트리칼슘 포스페이트(βphosphate; β)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 필름은, p-이소노닐 페녹시폴리글리시돌, PEG 라우레이트, PEG 올레에이트, PEG 스테아레이트, PEG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Tween 20, Tween 40, Tween 60, PEG 글리세릴 올레에이트, PEG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 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6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6 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팔미테이트, PEG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PEG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PEG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PEG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PEG 올레일 에테르, PEG 라우릴 에테르, 옥토시놀, 모녹시놀, 틸록사폴, 수크로스 모노팔미테이트, 수크로스 모노라우레이트, 데칸오일-N-메틸글루카미드, n-데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n-데실-β-D-말토피라노시드, n-도데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n-도데실-β-D-말토시드, 헵탄오일-N-메틸글루카미드, n-헵틸-β-D-글루코피라노시드, n-헵틸-β-D-티오글루코시드, n-헥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노난오일-N-메틸글루카미드, n-노일-β-D-글루코피라노시드, 옥타노일-N-메틸글루카미드, n-옥틸-β-D-글루코피라노시드, 옥틸-β-D-티오글루코피라노시드; 시스틴, 티로신, 트립토판, 류신, 이소류신, 페닐알라닌, 아스파라긴,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및 메티오닌; 무수아세트산, 무수벤조산, 아스코르브산, 2-피롤리돈-5-카복실산, 피롤리돈 카복실산 나트륨,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이무수물, 무수말레산; 무수숙신산, 무수디글리콜산, 무수글루타르산, 아세티아민, 벤포티아민, 판토텐산, 세토티아민, 사이클로티아민, 덱스판테놀, 나이아신아미드, 니코틴산, 피리독살 5-포스페이트, 니코틴아미드 아스코르베이트, 리보플라빈,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티아민, 엽산, 메나디올이인산염, 메나디온중아황산나트륨, 메나독심, 비타민 B12, 비타민 K5, 비타민 K6, 비타민 K6 및 비타민 U(S-메틸메티오닌); 알부민, 면역글로불린, 카세인, 헤모글로빈, 리소자임, 면역글로빈, α-2-마크로글로불린, 파이브로넥틴, 비트로넥틴, 피브리노겐, 리파아제, 염화벤즈알코늄, 염화벤즈에토늄, 도데실 트리메틸 암모늄 브로마이드, 도데실황산나트륨, 디알킬 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설포숙신산나트륨의 디알킬에스테르; L-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염, D-글루코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염, 트로메타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메글루민, 글루카민, 아민 알콜, 글루코헵톤산, 글루콘산, 하이드록실 케톤, 하이드록실 락톤, 글루코노락톤, 글루코헵토노락톤, 글루코옥탄산 락톤, 굴론산 락톤, 만논산 락톤, 리본산 락톤, 락토비온산, 글루코사민, 글루탐산, 벤질 알콜, 벤조산, 하이드록시벤조산, 프로필-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리신 아세트산염, 겐티신산, 락토비온산, 락티톨, 시나프산, 바닐산, 바닐린,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소르비톨, 자일리톨, 사이클로덱스트린, (2-하이드록시프로필)사이클로덱스트린,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레티노산, 리신 아세테이트, 겐티신산, 카테킨, 카테킨 갈레이트, 틸레타민, 케타민, 프로포폴, 락트산, 아세트산, 임의의 유기산과 유기 아민의 염, 폴리글리시돌, 글리세롤, 다중글리세롤, 갈락티톨,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펜타(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고머,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테트라(프로필렌 글리콜), 펜타(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올리고머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 필름의 두께는 20 ㎛ 내지 50 ㎛ 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 필름은, 혈관 내피 쪽에는 항염증 약물을 포함하고, 혈관 내경방향은 혈소판 억제약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염증 약물은, 실로스타졸, 에버롤리무스, 디쿠마롤, 조타롤리무스, 카르베딜롤, 항혈전제, 헤파린, 헤파린 유도체, 우로키나아제, 및 덱스트로페닐알라닌 프롤린 아르기닌 클로로메틸케톤; 항염증제,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솔론, 코르티코스테론, 부데소니드, 에스트로겐, 설파살라진 및 메살라민, 시롤리무스 및 에버롤리무스, 항신생물성/항증식성/항유사분열 제제, 주요 탁산 도메인-결합 약물, 파클리탁셀 및 이의 유사체, 에포틸론, 디스코더몰라이드, 도세탁셀, 파클리탁셀 단백질 결합 입자, ABRAXANE?(ABRAXANE은 아브락시스 바이오사이언스, 엘엘씨(ABRAXIS BIOSCIENCE, LLC)의 등록상표임), 사이클로덱스트린(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 유사 분자)과 합성된 파클리탁셀, 라파마이신 및 이의 유사체, 사이클로덱스트린(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 유사 분자)과 합성된 라파마이신(또는 라파마이신 유사체), 17β-에스트라디올,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합성된 17β-에스트라디올, 디쿠마롤,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합성된 디쿠마롤, β-라파콘 및 이의 유사체, 5-플루오로우라실, 시스플라틴, 빈블라스틴, 클라드리빈, 빈크리스틴, 에포틸론, 엔도스타틴, 안지오스타틴, 안지오펩틴, 평활근 세포 증식을 차단할 수 있는 모노클로날 항체, 및 티미딘 키나아제 억제제; 세포용해제; 마취제, 리도카인, 부피바카인 및 로피바카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혈소판 억제약물은, P2Y1 리셉터 안타고니스트, P2Y12 억제제(inhibitor) 또는 P2Y12 리셉터 안타고니스트를 포함하는 안타고니스트(antagonists)를 포함하고, 상기 P2Y12의 안타고니스트는, 클로피도그렐(clopidogrel), 티클로피딘(ticlopidine), 프라수그렐(prasugrel), AR-C67085MX, 칸그렐러(cangrelor), C1330-7, MRS 2395 및 2-methylthioadenosine-5'-monophosph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혈관성형술용 스텐트는, 혈관 협착 또는 폐색 치료용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는, 두께가 매우 얇고 거의 필름의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혈관 내피로 파고드는 정도가 매우 적어 혈관 손상의 부위에 스텐트 배치 후 염증반응을 최소화하고 스텐트 요법과 연관된 합병증의 관점에서, 혈관 손상의 부위에 스텐트 배치 후 염증반응 및 재협착의 발생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수 일 내지 수 주에 걸쳐 서서히 녹는 약물전달 필름에 의해 약물 로딩 용량 및 치료적으로 향상된 방식으로 혈관벽에 약물을 전달하는 능력을 최대화하면서도 항혈소판제의 사용을 최소화 할 수있다. 그리고, 종래 약물 방출 벌룬처럼 장기간 (40~80초) 벌룬을 확장해서 유지할 필요가 없기때문에 약물방출 벌룬을 사용한 시술의 관점에서 비교해서 볼 때 비교적 큰 사이즈의 혈관에도 보다 안전하게 시술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 내 팽창가능 부재의 예시적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 내 팽창가능 부재의 예시적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혈관성형술용 스텐트에 대하여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 및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는, 팽창가능 부재; 및 상기 팽창가능 부재 상에 형성된 약물전달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는, 약물, 예를 들어, 항염증 및 항혈소판 물질을 전달(delivery)하는 매개체로 사용될 수 있고, 수 일 내니 수 개월에 걸쳐서 생분해되어 호흡 또는 소변으로 배출되는 물질로 분해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텐트 본체의 표면에 형성된 기공에 의해 다공성이 증가하여 매끈한 표면에 비교하여 많은 약물을 함유하게 됨에 따라 시술 후 약물의 작용에 의한 협착부위의 재협착 및 혈전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의 개략도이고, 도 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100)는 팽창가능 부재(110)만으로 이루어져 있고,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100)는 팽창가능 부재(110) 및 주입구(12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팽창가능 부재(110)는 벌룬 카테터(112) 및 약물전달 필름(114)을 포함한다. 상기 팽창가능 부재(110)가 팽창하면 내부 공간(116)이 생긴다.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부재(110)는 그물 구조의 관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부재(110)는 표면에 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공 크기는 20 ㎛ 내지 40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팽창가능 부재(110)의 표면에 무수히 많은 기공이 형성될 수 있어 다공성이 증가하여 매끈한 표면에 비해 많은 약물을 함유하게 됨에 따라 시술 후 약물의 작용에 의한 협착부위의 재협착 및 혈전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부재(110)는, 벌룬(balloon) 카테터(11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부재(110)는, 삽입되는 혈관의 반경방향으로 팽창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혈관성형술용 스텐트(100)를 이용하여 혈관성형술을 시행할 때 벌룬을 확장하여 혈관에 밀착시키면서 혈관 내에서 수 일 내지 수 주에 걸쳐 서서히 녹는 약물전달 필름(114)을 남겨두고 생체 밖으로 나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벌룬 카테터(112)는, 예를 들어, 무정형 탄성중합체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벌룬 카테터(112)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부재(110)는, 팽창 압력 하에서 적어도 2 배 이상 팽창될 수 있고, 상기 팽창가능 부재(110)의 비팽창 직경의, 예를 들어, 5 배 만큼 큰 직경으로 신장/변형될 수 있고, 수축 시 그의 비팽창 형상의 대부분 또는 전부를 회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가능 부재의 팽창 과정으로는, 먼저 팽창가능 부재가, 평상 시 상온에서는 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다가 혈관 내부에 삽입되면 온도 변화에 의해 벌룬(112)이 자가팽창(self-expanding)하여 혈관의 내벽에 안착하거나 벌룬 안으로 주입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부재(110)는, 상기 반경방향으로 혈관의 크기에 따라 2 mm 내지 30 mm로 팽창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 내 팽창가능 부재의 예시적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 내 팽창가능 부재의 예시적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팽창가능 부재(110)를 팽창하여 혈관(200) 내강을 점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벌룬 카테터(112) 상의 약물전달 필름(114)을 혈관(200)에 밀착시켜, 약물전달 필름(114)이 혈관(200) 내에 부착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부재(110)는, 삽입되는 혈관의 반경방향, 길이방향 및 이 둘 방향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부재(110)는, 방사상으로 유연(radially compliant)하여 혈관의 반경방향, 길이방향 모두에 확장할 수 있게 허용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 필름(114)은, 상기 팽창가능 부재(110)와 분리 가능한 것일 수 있다. 팽창가능 부재(110)를 팽창하여 약물전달 필름(114)을 혈관에 밀착시키고, 약물전달 필름(114)을 남겨두고 팽창가능 부재(110)는 생체 밖으로 나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 필름(114)은,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물질은 생체 내 분해시간이 짧아 생체 내에서 활용하기 좋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물질은, 천연 고분자, 합성 고분자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고분자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키토산(chitosan), 콜라겐(collagen), 알긴산(alginic acid), 알부민(albumin), 젤라틴(gelatin), 실크 피브로인(silk fibroin),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 헤파린(hparin), 알지네이트(alginate), 덱스트란(dextran), 콘드로이틴 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 덱스트란 설페이트(dextran sulfate), 아카시아 검(acacia gum), 트라가칸친(tragacanthin), 펙틴(pectin), 구아검(guar gum), 소듐카복시메틸덱스트란(Carboxymethyl dextran),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펩타이드(peptide), 올리고 펩타이드(oligopeptide), 아가(agar), 카라기난(carrageenan), 갈락토만난(Galactomannans), 잔탄(Xanthan),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Beta-Cyclodextrin), 아밀로즈(Amylose, 수용성 전분), 피브린(fibrin), 플루란(pullulan) 및 양성 전분(Tertiary amine starch ethe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합성 고분자는, 폴리락트산(PLA), 폴리글리콜산(PGA),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D,L-락트산-co-글리콜산)(poly(D,L-lactide-co-glycolide; PLGA),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발레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 발러레이트), 폴리[(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co-(3-하이드록시발러레이트)(PHBV), 폴리다이옥산온(PDO), 폴리[(L-락타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에스테르우레탄)(PEUU), 폴리[(L-락타이드)-co-(D-락타이드)], 폴리[에틸렌-co-(비닐 알코올)](PVOH), 히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HA) 및 β트리칼슘 포스페이트(βphosphate; β)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성 고분자는 폴리락트산/폴리글리콜산(PLA/PGA)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 필름(114)은, p-이소노닐 페녹시폴리글리시돌, PEG 라우레이트, PEG 올레에이트, PEG 스테아레이트, PEG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Tween 20, Tween 40, Tween 60, PEG 글리세릴 올레에이트, PEG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 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6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6 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팔미테이트, PEG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PEG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PEG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PEG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PEG 올레일 에테르, PEG 라우릴 에테르, 옥토시놀, 모녹시놀, 틸록사폴, 수크로스 모노팔미테이트, 수크로스 모노라우레이트, 데칸오일-N-메틸글루카미드, n-데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n-데실-β-D-말토피라노시드, n-도데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n-도데실-β-D-말토시드, 헵탄오일-N-메틸글루카미드, n-헵틸-β-D-글루코피라노시드, n-헵틸-β-D-티오글루코시드, n-헥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노난오일-N-메틸글루카미드, n-노일-β-D-글루코피라노시드, 옥타노일-N-메틸글루카미드, n-옥틸-β-D-글루코피라노시드, 옥틸-β-D-티오글루코피라노시드; 시스틴, 티로신, 트립토판, 류신, 이소류신, 페닐알라닌, 아스파라긴,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및 메티오닌; 무수아세트산, 무수벤조산, 아스코르브산, 2-피롤리돈-5-카복실산, 피롤리돈 카복실산 나트륨,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이무수물, 무수말레산; 무수숙신산, 무수디글리콜산, 무수글루타르산, 아세티아민, 벤포티아민, 판토텐산, 세토티아민, 사이클로티아민, 덱스판테놀, 나이아신아미드, 니코틴산, 피리독살 5-포스페이트, 니코틴아미드 아스코르베이트, 리보플라빈,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티아민, 엽산, 메나디올이인산염, 메나디온중아황산나트륨, 메나독심, 비타민 B12, 비타민 K5, 비타민 K6, 비타민 K6 및 비타민 U(S-메틸메티오닌); 알부민, 면역글로불린, 카세인, 헤모글로빈, 리소자임, 면역글로빈, α-2-마크로글로불린, 파이브로넥틴, 비트로넥틴, 피브리노겐, 리파아제, 염화벤즈알코늄, 염화벤즈에토늄, 도데실 트리메틸 암모늄 브로마이드, 도데실황산나트륨, 디알킬 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설포숙신산나트륨의 디알킬에스테르; L-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염, D-글루코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염, 트로메타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메글루민, 글루카민, 아민 알콜, 글루코헵톤산, 글루콘산, 하이드록실 케톤, 하이드록실 락톤, 글루코노락톤, 글루코헵토노락톤, 글루코옥탄산 락톤, 굴론산 락톤, 만논산 락톤, 리본산 락톤, 락토비온산, 글루코사민, 글루탐산, 벤질 알콜, 벤조산, 하이드록시벤조산, 프로필-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리신 아세트산염, 겐티신산, 락토비온산, 락티톨, 시나프산, 바닐산, 바닐린,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소르비톨, 자일리톨, 사이클로덱스트린, (2-하이드록시프로필)사이클로덱스트린,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레티노산, 리신 아세테이트, 겐티신산, 카테킨, 카테킨 갈레이트, 틸레타민, 케타민, 프로포폴, 락트산, 아세트산, 임의의 유기산과 유기 아민의 염, 폴리글리시돌, 글리세롤, 다중글리세롤, 갈락티톨,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펜타(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고머,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테트라(프로필렌 글리콜), 펜타(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올리고머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 필름의 두께는 20 ㎛ 내지 50 ㎛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40 ㎛ 일 수 있다. 상기 약물전달 필름의 구조는 매우 얇고 촘촘한 스텐트의 형태를 취하되 스트럿(strut) 사이의 기공(pore)의 크기는 최소 직경인 2 mm로 확장시 20 ㎛ 이상이 되도록 확보하여 적혈구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며 스텐트의 경도도 매우 낮아서 와이어(wire)가 쉽게 뚫고 지나갈 수 있도록 한다. 사용되는 약물은 스텐트에 코팅된 후 방출되는 형태를 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 필름은, 혈관 내피 쪽에는 항염증 약물(sirolimus)을 포함하고, 혈관 내경방향은 혈소판 억제약물(clopidogrel)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스텐트가 삽입된 협착부위에 재협착 및 혈전증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항염증 약물은, 실로스타졸, 에버롤리무스, 디쿠마롤, 조타롤리무스, 카르베딜롤, 항혈전제, 헤파린, 헤파린 유도체, 우로키나아제, 및 덱스트로페닐알라닌 프롤린 아르기닌 클로로메틸케톤; 항염증제,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솔론, 코르티코스테론, 부데소니드, 에스트로겐, 설파살라진 및 메살라민, 시롤리무스 및 에버롤리무스, 항신생물성/항증식성/항유사분열 제제, 주요 탁산 도메인-결합 약물, 파클리탁셀 및 이의 유사체, 에포틸론, 디스코더몰라이드, 도세탁셀, 파클리탁셀 단백질 결합 입자, ABRAXANE (ABRAXANE은 아브락시스 바이오사이언스, 엘엘씨(ABRAXIS BIOSCIENCE, LLC)의 등록상표임), 사이클로덱스트린(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 유사 분자)과 합성된 파클리탁셀, 라파마이신 및 이의 유사체, 사이클로덱스트린(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 유사 분자)과 합성된 라파마이신(또는 라파마이신 유사체), 17β-에스트라디올,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합성된 17β-에스트라디올, 디쿠마롤,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합성된 디쿠마롤, β-라파콘 및 이의 유사체, 5-플루오로우라실, 시스플라틴, 빈블라스틴, 클라드리빈, 빈크리스틴, 에포틸론, 엔도스타틴, 안지오스타틴, 안지오펩틴, 평활근 세포 증식을 차단할 수 있는 모노클로날 항체, 및 티미딘 키나아제 억제제; 세포용해제; 마취제, 리도카인, 부피바카인 및 로피바카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혈소판 억제약물은, P2Y1 리셉터 안타고니스트, P2Y12 억제제(inhibitor) 또는 P2Y12 리셉터 안타고니스트를 포함하는 안타고니스트(antagonists)를 포함하고, 상기 P2Y12의 안타고니스트는, 클로피도그렐(clopidogrel), 티클로피딘(ticlopidine), 프라수그렐(prasugrel), AR-C67085MX, 칸그렐러(cangrelor), C1330-7, MRS 2395 및 2-methylthioadenosine-5'-monophosph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 필름(114)은, 단백질-프리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약물전달 필름(114)이 단백질인 경우 혈관 내에서 흡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혈관성형술용 스텐트는, 혈관 협착 또는 폐색 치료용인 것일 수 있다. 또한, 혈전 용해 작용을 일으키도록 변형될 수 있고, 혈전 용해 반응이 필요한 조직 또는 혈관계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는, 두께가 매우 얇고 거의 필름의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혈관 내피로 파고드는 정도가 매우 적어 혈관 손상의 부위에 스텐트 배치 후 염증반응을 최소화하고 스텐트 요법과 연관된 합병증의 관점에서, 혈관 손상의 부위에 스텐트 배치 후 염증반응 및 재협착의 발생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수 일 내지 수 주에 걸쳐 서서히 녹는 약물전달 필름에 의해 약물 로딩 용량 및 치료적으로 향상된 방식으로 혈관벽에 약물을 전달하는 능력을 최대화하면서도 항혈소판제의 사용을 최소화 할 수있다. 그리고, 종래 약물 방출 벌룬처럼 장기간 (40~80초) 벌룬을 확장해서 유지할 필요가 없기때문에 비교적 큰 사이즈의 혈관에도 보다 안전하게 시술이 가능하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20 nm의 폴리락트산 혹은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PLA/PGA)를 소재로 약 20 ㎛ 크기의 기공을 가지는 촘촘하고 얇은 스텐트 형태의 필름으로 약물전달 필름 상에는 혈관 내피 쪽에 항염증 약물로서 실로스타졸을 포함하였고, 혈관 내경방향에 혈소판 억제약물로서 P2Y1 리셉터 안타고니스트를 포함하였다.
스텐트로부터 시험관 내 약물 방출
실시예의 스텐트를 사용하여 PBS pH 7.4/Tween 배지 37 ℃에서 시험관 내 약물 방출을 행하였다. 샘플링을 정기적으로 행하고 실로스타졸의 총량을 HPLC으로 측정하였다.
동물 이식 테스트
실시예로부터의 스텐트를 이계교배 미숙한 돼지에 이식하였다. 돼지의 표적 혈관은 스텐트 배치 이전에 공지된 혈관형성 기술에 의해 미리 팽창되었다.
28일 후, 승인된 프로토콜에 따라 동물을 안락시키고, 심장 및 주변 조직을 동물로부터 제거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혈관성형술용 스텐트
110: 팽창가능 부재
112: 벌룬 카테너
114: 약물전달 필름
116: 내부 공간
200: 혈관

Claims (17)

  1. 팽창가능 부재; 및
    상기 팽창가능 부재 상에 형성된 약물전달 필름;
    을 포함하고,
    상기 팽창가능 부재는 그물 구조의 관 형태인 것이고,
    상기 팽창가능 부재는, 벌룬(balloon) 카테터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약물전달 필름은, p-이소노닐 페녹시폴리글리시돌, PEG 라우레이트, PEG 올레에이트, PEG 스테아레이트, PEG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Tween 20, Tween 40, Tween 60, PEG 글리세릴 올레에이트, PEG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 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6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6 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팔미테이트, PEG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PEG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PEG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PEG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PEG 올레일 에테르, PEG 라우릴 에테르, 옥토시놀, 모녹시놀, 틸록사폴, 수크로스 모노팔미테이트, 수크로스 모노라우레이트, 데칸오일-N-메틸글루카미드, n-데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n-데실-β-D-말토피라노시드, n-도데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n-도데실-β-D-말토시드, 헵탄오일-N-메틸글루카미드, n-헵틸-β-D-글루코피라노시드, n-헵틸-β-D-티오글루코시드, n-헥실-β-D-글루코피라노시드, 노난오일-N-메틸글루카미드, n-노일-β-D-글루코피라노시드, 옥타노일-N-메틸글루카미드, n-옥틸-β-D-글루코피라노시드, 옥틸-β-D-티오글루코피라노시드; 시스틴, 티로신, 트립토판, 류신, 이소류신, 페닐알라닌, 아스파라긴,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및 메티오닌; 무수아세트산, 무수벤조산, 아스코르브산, 2-피롤리돈-5-카복실산, 피롤리돈 카복실산 나트륨,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이무수물, 무수말레산; 무수숙신산, 무수디글리콜산, 무수글루타르산, 아세티아민, 벤포티아민, 판토텐산, 세토티아민, 사이클로티아민, 덱스판테놀, 나이아신아미드, 니코틴산, 피리독살 5-포스페이트, 니코틴아미드 아스코르베이트, 리보플라빈,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티아민, 엽산, 메나디올이인산염, 메나디온중아황산나트륨, 메나독심, 비타민 B12, 비타민 K5, 비타민 K6, 비타민 K6 및 비타민 U(S-메틸메티오닌); 알부민, 면역글로불린, 카세인, 헤모글로빈, 리소자임, 면역글로빈, α-2-마크로글로불린, 파이브로넥틴, 비트로넥틴, 피브리노겐, 리파아제, 염화벤즈알코늄, 염화벤즈에토늄, 도데실 트리메틸 암모늄 브로마이드, 도데실황산나트륨, 디알킬 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설포숙신산나트륨의 디알킬에스테르; L-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염, D-글루코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염, 트로메타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메글루민, 글루카민, 아민 알콜, 글루코헵톤산, 글루콘산, 하이드록실 케톤, 하이드록실 락톤, 글루코노락톤, 글루코헵토노락톤, 글루코옥탄산 락톤, 굴론산 락톤, 만논산 락톤, 리본산 락톤, 락토비온산, 글루코사민, 글루탐산, 벤질 알콜, 벤조산, 하이드록시벤조산, 프로필-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리신 아세트산염, 겐티신산, 락토비온산, 락티톨, 시나프산, 바닐산, 바닐린,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소르비톨, 자일리톨, 사이클로덱스트린, (2-하이드록시프로필)사이클로덱스트린,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레티노산, 리신 아세테이트, 겐티신산, 카테킨, 카테킨 갈레이트, 틸레타민, 케타민, 프로포폴, 락트산, 아세트산, 임의의 유기산과 유기 아민의 염, 폴리글리시돌, 글리세롤, 다중글리세롤, 갈락티톨,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펜타(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고머,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테트라(프로필렌 글리콜), 펜타(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올리고머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약물전달 필름은, 혈관 내피 쪽에는 항염증 약물을 포함하고, 혈관 내경방향은 혈소판 억제약물을 포함하는 것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부재는 표면에 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공 크기는 20 ㎛ 내지 40 ㎛인 것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부재는, 삽입되는 혈관의 반경방향으로 팽창하는 것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부재는, 상기 반경방향으로 2 mm 내지 30 mm로 팽창하는 것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부재는, 삽입되는 혈관의 반경방향, 길이방향 및 이 둘 방향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것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 필름은,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물질은, 천연 고분자, 합성 고분자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것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고분자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키토산(chitosan), 콜라겐(collagen), 알긴산(alginic acid), 알부민(albumin), 젤라틴(gelatin), 실크 피브로인(silk fibroin),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 헤파린(hparin), 알지네이트(alginate), 덱스트란(dextran), 콘드로이틴 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 덱스트란 설페이트(dextran sulfate), 아카시아 검(acacia gum), 트라가칸친(tragacanthin), 펙틴(pectin), 구아검(guar gum), 소듐카복시메틸덱스트란(Carboxymethyl dextran),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펩타이드(peptide), 올리고 펩타이드(oligopeptide), 아가(agar), 카라기난(carrageenan), 갈락토만난(Galactomannans), 잔탄(Xanthan),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Beta-Cyclodextrin), 아밀로즈(Amylose, 수용성 전분), 피브린(fibrin), 플루란(pullulan) 및 양성 전분(Tertiary amine starch ethe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고분자는, 폴리락트산(PLA), 폴리글리콜산(PGA),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D,L-락트산-co-글리콜산)(poly(D,L-lactide-co-glycolide; PLGA),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발레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 발러레이트), 폴리[(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co-(3-하이드록시발러레이트)(PHBV), 폴리다이옥산온(PDO), 폴리[(L-락타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에스테르우레탄)(PEUU), 폴리[(L-락타이드)-co-(D-락타이드)], 폴리[에틸렌-co-(비닐 알코올)](PVOH), 히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HA) 및 β트리칼슘 포스페이트(βphosphate; β)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 필름의 두께는, 20 ㎛ 내지 50 ㎛인 것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증 약물은, 실로스타졸, 에버롤리무스, 디쿠마롤, 조타롤리무스, 카르베딜롤, 항혈전제, 헤파린, 헤파린 유도체, 우로키나아제, 및 덱스트로페닐알라닌 프롤린 아르기닌 클로로메틸케톤; 항염증제,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솔론, 코르티코스테론, 부데소니드, 에스트로겐, 설파살라진 및 메살라민, 시롤리무스 및 에버롤리무스, 항신생물성/항증식성/항유사분열 제제, 주요 탁산 도메인-결합 약물, 파클리탁셀 및 이의 유사체, 에포틸론, 디스코더몰라이드, 도세탁셀, 파클리탁셀 단백질 결합 입자, ABRAXANE?(ABRAXANE은 아브락시스 바이오사이언스, 엘엘씨(ABRAXIS BIOSCIENCE, LLC)의 등록상표임), 사이클로덱스트린(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 유사 분자)과 합성된 파클리탁셀, 라파마이신 및 이의 유사체, 사이클로덱스트린(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 유사 분자)과 합성된 라파마이신(또는 라파마이신 유사체), 17β-에스트라디올,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합성된 17β-에스트라디올, 디쿠마롤,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합성된 디쿠마롤, β-라파콘 및 이의 유사체, 5-플루오로우라실, 시스플라틴, 빈블라스틴, 클라드리빈, 빈크리스틴, 에포틸론, 엔도스타틴, 안지오스타틴, 안지오펩틴, 평활근 세포 증식을 차단할 수 있는 모노클로날 항체, 및 티미딘 키나아제 억제제; 세포용해제; 마취제, 리도카인, 부피바카인 및 로피바카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소판 억제약물은, P2Y1 리셉터 안타고니스트, P2Y12 억제제(inhibitor) 또는 P2Y12 리셉터 안타고니스트를 포함하는 안타고니스트(antagonists)를 포함하고,
    상기 P2Y12의 안타고니스트는, 클로피도그렐(clopidogrel), 티클로피딘(ticlopidine), 프라수그렐(prasugrel), AR-C67085MX, 칸그렐러(cangrelor), C1330-7, MRS 2395 및 2-methylthioadenosine-5'-monophosph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성형술용 스텐트는, 혈관 협착 또는 폐색 치료용인 것인,
    혈관성형술용 스텐트.
KR1020200026002A 2020-03-02 2020-03-02 혈관성형술용 스텐트 Active KR102394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002A KR102394776B1 (ko) 2020-03-02 2020-03-02 혈관성형술용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002A KR102394776B1 (ko) 2020-03-02 2020-03-02 혈관성형술용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384A KR20210111384A (ko) 2021-09-13
KR102394776B1 true KR102394776B1 (ko) 2022-05-06

Family

ID=7779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002A Active KR102394776B1 (ko) 2020-03-02 2020-03-02 혈관성형술용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7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0584B (zh) * 2021-11-09 2023-10-20 华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抑菌创面修复凝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2419A (ja) * 2003-08-05 2005-03-03 National Cardiovascular Center ステン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034B1 (ko) * 2011-11-14 2013-06-10 (주)이화바이오메딕스 생분해성 약물전달 필름을 구비하는 생분해성 스텐트
KR20140011503A (ko) * 2012-06-19 2014-01-29 썬텍 주식회사 듀얼 약물이 코팅된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의 제조 방법
US11839698B2 (en) * 2014-03-13 2023-12-12 W. L. Gore & Associates, Inc. Drug composition and coating
KR20180012885A (ko) * 2016-07-27 2018-02-07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약물 방출 풍선 카테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2419A (ja) * 2003-08-05 2005-03-03 National Cardiovascular Center ステ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384A (ko) 202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1091B2 (en) Methods of treatment of polymeric coatings for control of agent release rates
JP2020203157A (ja) 生分解性内部人工器官およびその作製方法
US9669192B2 (en) Insertable medical devices having microparticulate-associated elastic substrates and methods for drug delivery
ES2395076T3 (es) Stents y revestimientos degradables poliméricos liberadores de fármacos
CN108551759B (zh) 药物洗脱支架和使用其用于使功能性内皮细胞层恢复的方法
US9889238B2 (en) Biodegradable stent with adjustable degradation rate
US20080097580A1 (en) Morphological structures for polymeric drug delivery devices
US20110118824A1 (en) Intraluminal Prostheses and Carbon Dioxide-Assisted Methods of Impregnating Same with Pharmacological Agents
US20130018448A1 (en) Drug elution medical device
EP1119379A1 (en) Drug delivery device for stent
KR102394776B1 (ko) 혈관성형술용 스텐트
JP2007313009A (ja) ステント
JP2006262960A (ja) ステント
US20200368050A1 (en) Implantable device with enhanced drug delivery area
CN117098517A (zh) 药物洗脱支架
HK1259282B (zh) 藥物洗脫支架和使用其用於使功能性內皮細胞層恢復的方法
HK1216303B (en) Biodegradable stent with adjustable degradation rate
JP2007089917A (ja) 生体内留置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