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91504B1 -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504B1
KR102391504B1 KR1020200110319A KR20200110319A KR102391504B1 KR 102391504 B1 KR102391504 B1 KR 102391504B1 KR 1020200110319 A KR1020200110319 A KR 1020200110319A KR 20200110319 A KR20200110319 A KR 20200110319A KR 102391504 B1 KR102391504 B1 KR 102391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mersion
water
dish
storage space
water fl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801A (ko
Inventor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주)자숨
김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숨, 김지현 filed Critical (주)자숨
Priority to KR1020200110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504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5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A47L15/007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with a plurality of fluid recirculation arrangements, e.g. with separated washing liquid and rinsing liquid recirculation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02Washing processes, i.e. machine working principles characterised by phases or operational steps
    • A47L15/0005Rinsing phases, e.g. pre-rinsing, intermediate rinsing, final rin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긴 담금 세정조 내에 담금 세정을 요하는 식기들을 담금하여 식기들의 불림 세정을 도모함에 있어, 담금 세정조의 일측에 형성된 투입공간에서 투입된 식기들이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배출공간으로 순차 이송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Dish immersion washing device having improved dish transfer structure}
본 발명은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긴 담금 세정조 내에 담금 세정을 요하는 식기들을 담금하여 식기들의 불림 세정을 도모함에 있어, 담금 세정조의 일측에 형성된 투입공간에서 투입된 식기들이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배출공간으로 순차 이송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하여, 식기들의 담금 세정과 이송이 도모되도록 하는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학교, 공공기관, 부대, 휴게소 등 단체 급식이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대량의 식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식기는 배식 후 식사를 마친 다음 일괄적으로 식기 세정기에 투입되어 세정되는 과정을 거쳐, 식기에 묻어 있는 잔반이나 음식물찌꺼기등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식기에 심하게 엉겨붙은 밥알이나 일부 잔반찌꺼기는 제거하기가 어려워 식기세정기를 거쳐도 잔유물이 남게 된다.
따라서, 당분야에서는 식기를 식기세정기에 투입하기 전에 애벌세정단계를 거쳐 음식물찌꺼기를 일차적으로 제거한 다음, 식기세정기에 투입시켜 세정과, 헹굼, 및 건조공정을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애벌세정은, 음식찌꺼기가 붙은 식기를 세제가 풀어져있는 커다란 통에 넣어서 음식찌꺼기를 불린 후, 세정자가 한손으로 브러쉬를 잡고 다른 손으로 식기를 잡은 상태에서 그 브러쉬로 식기의 상하면을 번갈가가며 닦아 식기에 붙은 음식찌꺼기를 분리함으로써 수행되어 왔다.
그런데, 상기한 방법으로는 수십개 단위의 식기를 애벌세정할 수는 있으나, 수백개 이상 되는 식기를 애벌세정할 경우 반복되는 세정동작에 의하여 세정자의 어깨나 팔다리에 많은 무리가 인가되었고, 결국 관절염 등이나 근육통의 원인이 되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공고 제 10-1612389호에서는 수조 내의 세정액을 매체로 하여 미세 진동이 부여될 수 있도록 초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미세 진동에 의한 공동 현상으로 식기에 부착된 오염물이 제거되도록 한 초음파를 이용한 식기 담금 세정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고 제 10-1288221호에서 공기 방울 식기 애벌 세정기에 있어서, 불림조 탱크 속에 있는 상부 식기 경사각 가이드와 하부 식기분리 가이드 위에 식기를 종 방향과 내면방향의 65도에서 75도로 경사지게 하는 자동분리작업 및 연속의 적충 작업이 이루어지고 세제와 온수를 불림조탱크에 담수하고, 공기방울 발생기와 공기방울 배관을 통과한 공기가 식기 분리 가이드 블록 하단부에 설치된 수개의 공기방울 발생노즐에 의하여 공기방울 형태로 변화하고 세정수가 순환되며 이때, 식기의 불림 작업과 애벌세정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구성한 공기방울 식기 애벌세정기를 제안하고 있다.
삭제
이러한 식기 애벌세정장치들은 수조에 대량의 식기를 투입시켜 일괄하여 애벌 세정하므로 작업의 능률측면에서는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초음파나 공기방울을 통해서는 식기에 고착된 음식물 찌꺼기들을 안정적으로 제거하기 어렵고, 또 단일 수조 내에서 단순히 초음파를 발진하거나 공기방울을 분산시켜 식기의 표면에 잔류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므로, 다량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된 세정수에 의해 식기의 애벌세정이 이루어져, 세정수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애벌 세정 중인 식기의 오염이 야기될 수 있다.
KR 20-2010-0009904 KR 10-1189628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을 마친 식기들을 저수된 세정수에 담금하여 이송구간을 따라 순차 이동하여 식기의 이송과 식기 표면에 묻은 음식물을 담금 세정하여 불림함에 있어, 담금된 식기들의 순차적인 이송 및 배출을 도모하고, 담금된 식기들이 정속으로 이동되도록 구성하여 담금 세정에 따른 식기들의 충분한 담금 세정시간을 확보하는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는,
일측에 투입구간이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구간이 형성되며, 투입구간과 배출구간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긴 장방향의 이송구간이 형성된 장방향의 담금 저수공간를 갖는 장방향 담금 이송조와;
상기 담금 저수공간의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이송되는 컨베이어 벨트를 갖는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담금 저수공간의 타측 바닥에 형성된 집수정에 집수되는 세정수를 흡입하여 강제 토출하는 하나 이상의 순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에서 강제 토출되는 세정수를 담수 저수공간 내로 분사하여 재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수류 형성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순환 펌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안착되어, 담금 세정을 요하는 식기들을 수납하는 복수의 식기 수납 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식기들은 컨베이어 벨트에 일렬 정렬하여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식기 수납 트레이에 수납된 상태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담금 세정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환 펌프부는 담금 저수공간의 상부에 배치되어, 담금 저수공간의 상부에서 타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세정수를 토출하는 상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과; 상기 담금 저수공간의 일측내벽 하부에, 순환펌프를 통해 급수되는 세정수를 길이방향으로 토출하는 보조 수류 형성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 펌프부에는 상기 담금 저수공간의 바닥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세정수를 토출하는 하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과; 담금 저수공간의 양측 내벽에서 타측방향으로 내향 경사지게 세정수를 토출하는 내측벽측 경사수류 형성유닛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하부측 경사 수류 형성유닛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향 경사수류와, 상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향 경사수류, 그리고 내측벽측 경사수류 형성유닛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내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내향 경사수류들은 강력한 합류수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을 마친 식기들을 저수된 세정수에 담금하여 식기들을 불림 세정함에 있어, 상기 식기들을 세정수에 담금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이동 및 배출하는 선입선출 형태의 식기 이송구조를 마련하고, 특히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식기들은 정속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세정수에 담금된 식기들은 충분한 시간 동안 담금 세정이 이루어진 다음 배출이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 식기들의 안정적인 이동과 함께 불림 세정이 도모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정수가 저수된 담금 이송조의 담금 저수공간 내에 사방으로 경사지게 세정수를 고압 분사하여 경사수류를 형성하는 복수의 경사수류 형성유닛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각 경사수류와, 상기 경사수류들이 합류된 합류수류에 의해 세정수에 담금된 식기들의 보다 신속하고 원활한 담금 세정이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를 통한 식기의 이송 및 담금 세정상태를 보여주는 작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에 있어, 합류 수류의 형성상태와 이를 통한 식기의 담금 세정상태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에 있어, 수막 커튼층의 형성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에 있어, 상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과 하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의 틸팅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를 통한 식기의 이송 및 담금 세정상태를 보여주는 작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에 있어, 합류 수류의 형성상태와 이를 통한 식기의 담금 세정상태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에 있어, 수막 커튼층의 형성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에 있어, 상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과 하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의 틸팅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1)는, 사용을 마친 식판이나, 공기, 접시 등의 식기들을 회수하는 식기 회수공간과 상기 식기를 세정하는 식기 세정공간 사이의 이동거리가 멀게 형성된 조리실 등지에 배치되어, 식기 회수공간에서 회수된 식기들을 식기 세정공간으로 이동하면서 해당 식기들을 담금 세정하여서, 식기의 담금 세정과 이송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식기 담금 세정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에 투입구간(IA)이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구간(OA)이 형성되며, 투입구간(IA)과 배출구간(OA)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긴 장방향의 이송구간(MA)이 형성된 장방향의 담금 저수공간(11)를 갖는 장방향 담금 이송조(10)를 포함한다.
상기 장방향 담금 이송조(10)는, 1m 내지 8m 길이를 갖는 담금 저수공간(11)이 형성된 장방향의 함체로 구성되며, 상기 담금 이송조(10)는 한 쌍의 분할몸체(50A, 50B)로 이루어진 장방향 본체(50)에 거치된다.
그리고, 상기 장방향 담금 저수공간(11) 내에서 설정높이로 세정수가 저수되어서, 투입구간(IA)에서 투입된 식기들은 저수된 세정수에 담금되어 담금 세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출공간(OA)이 형성된 담금 저수공간(11)의 타측에는 저수된 세정수를 집수하여 배출하거나 내부 순환하는 집수정(12)이 배치되고, 상기 집수정(12)에는 세척수를 설정온도로 가열하는 히터부재(13)와, 집수정(12) 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계측센서(14), 그리고 상기 집수정(12)으로 집수되는 세척수에 잔류된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채망(15)이 각각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상기 담금 이송조(10)를 단일몸체로 구성하지 아니하고, 좌우로 분할된 한 쌍의 분할몸체(10A, 10B)로 구성하고 상기 한 쌍의 분할몸체(10A, 10B)를 플렌지 구조로 결합하여 장방향의 담금 이송조(10)를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반 및 시공과정에 길이에 의한 제약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장방향 담금 이송조(10)에, 투입구간(IA)을 통해 담금 저수공간(11) 내에 투입된 식기들을 길이방향으로 정속 이동하여서 담금 세정을 도모하는 담금 이송구조를 마련하여서, 식기들의 안정된 담금 세정과 담금 세정을 마친 식기들의 이송 배출이 도모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담금 이송구조는, 상기 장방향 담금 저수공간(11)의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이송되는 컨베이어 벨트(23)를 갖는 이송 컨베이어(2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는 구동축(21)과 종동축(22)이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컨베이어 본체(20a)와; 상기 구동축(21)과 종동축(22) 사이에 견착되어, 구동축(21)의 회전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컨베이어 벨트(23)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기들을 수납하는 식기 수납 트레이(30)를 부가하여, 상기 투입공간(IA) 내에 회수되는 식기들은 식기 수납 트레이(30)에 수납된 상태로 컨베이어 벨트(23)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서서히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투입된 식기들은 식기 수납 트레이(30)를 통해 수납된 상태로 설정된 속도로 정속 이동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식기들이 투입구간(IA)에서 배출구간(OA)으로 순서없이 무작위로 이동함에 따라 해당 식기의 담금 세정상태가 불량해지는 현상을 예방한다.
여기서, 상기 담금 세정을 요하는 식기들을 수납하는 식기 수납 트레이(30)는, 상부에 진출입구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외측벽 및 바닥에 투수구들이 형성된 상부 개방형의 망상 함체로 구성되어, 상기 투수구를 통해 담금 저수공간(11) 내에 저수된 세척수를 유입하여 수납된 식기들이 담금 세정되도록 한다.
상기 식기 수납 트레이(30)는, 적층된 식판들이 일괄 적층하여 투입될 수도 있고, 또 밥공기나 접시, 국그릇 등의 다양한 일반 식기들이 투입되어서, 컨베이어 벨트(23)를 통해 설정된 속도로 길이방향으로 정속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식기 수납 트레이(30)에 수납된 상태로 투입구간(IA)에 투입되는 식기들은 식기 수납 트레이(30)에 수납된 상태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고, 결과적으로 투입구간(IA)에서 투입된 식기들은 투입된 순서대로 배출구간(OA)으로 이동하여 배출되는 선입선출이 이룩된다.
그리하여, 상기 투입공간(IA)을 통해 식기 수납 트레이(30)에 수납된 상태로 투입구간(IA)을 통해 담금 저수공간(11) 내에 투입된 식기들은, 이송 컨베이어(20)의 컨베이어 벨트(23)에 안착하여 배출구간(OA)으로 정속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설정된 담금 세정시간 동안 충분한 담금 세정이 이룩된다.
이때, 상기 식기들을 수납한 식기 수납 트레이(30)를 안착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컨베이어 벨트(23)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정방향 이동하는 과정에,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정지동작과,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역방향으로 이송하는 역이송 동작을 일시적으로 수행하여서, 식기 수납 트레이(30)에 수납된 식기들은 담금 저수공간(11) 내에 저수된 세정수와의 마찰방향으로 일시적으로 전환하여서, 보다 안정적인 담금 세정이 이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컨베이어 벨트(23)의 정방향 이송동작과 역방향 이송동작에 의해, 식기 수납 트레이(30)에 수납된 식기들은 담금 저수공간(11) 내에 저수된 세정수와 정방향 마찰과 역방향 마찰을 교번하여 구성하여서, 표면에 불림된 이물질의 안정적인 세정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와 식기 수납 트레이(30)를 포함하며 구성된 담금 이송구조가 형성된 담금 저수공간(11) 내에, 담금 저수공간(11) 내에 저수된 세정수를 내부 순환하여 식기 수납 트레이(30)에 수납되어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식기들의 보다 안정적인 세척을 도모하는 한편, 식기들의 수납에 의해 고하중을 형성한 식기 수납 트레이(30)를 이송 컨베이어(20)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송함에 따른 과부하 발생이 억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담금 저수공간(11) 내에 상부측과, 하부측, 그리고 내측벽측에서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세정수를 토출하는 세정수 순환 펌프부(40)를 부가하여서, 상기 담금 이송구조에 의해 식기 수납 트레이(30)에 수납된 상태로 담금 이송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각 식기들은 세정수 순환 펌프부(40)를 통해 고압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해 보다 신속한 담금 세정이 도모되도록 한다.
상기 세정수 순환 펌프부(40)는, 상기 담금 저수공간(11)의 타측 바닥에 형성된 집수정(12)에 집수되는 세정수를 흡입하여 강제 토출하는 하나 이상의 순환펌프(41)와; 상기 순환펌프(41)에서 강제 토출되는 세정수를 담수 저수공간(11) 내로 분사하여 재공급하는 복수의 수류 형성유닛(4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집수정(12)에 한 쌍의 순환펌프(41)를 배치하여, 집수정(12)에 집수되는 세정수는 한 쌍의 순환펌프(41)를 통해 분할하여 강제 토출되어서, 해당 순환펌프(41)와 연통하는 수류 형성유닛(42)들을 통해 담금 저수공간(11) 내에 길이방향으로 내향 경사지게 분사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순환 펌프부(40)는,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어도 담금 저수공간(11)의 바닥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세정수를 토출하는 하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43)과; 담금 저수공간(11)의 상부에서 타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세정수를 토출하는 상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42)과; 담금 저수공간(11)의 양측 내벽에서 타측방향으로 내향 경사지게 세정수를 토출하는 내측벽측 경사수류 형성유닛(44)을 포함하며, 이러한 경사수류 형성유닛(42, 43, 44)들은 장방향의 담금 저수공간(11)을 따라 복수 배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42)은 담금 저수공간(11) 내에 저수된 세정수 보다 높게 배치된 노출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노출형으로 배치된 상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42)을 통해서, 세정수를 하향 경사지게 토출되면 토출된 세정수는 저수된 세정수의 수표면과의 마찰에 의해 깊숙히 침투하지 못하고, 또 저수된 세정수의 표면에 다량의 거품과 물입자들이 발산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를 해소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42)을 담금 저수공간(11) 내에 저수된 세정수 보다 낮게 배치하여 저수된 세정수에 입수된 상태로 세정수를 하향 경사지게 분사하는 입수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토출된 세정수의 안정적인 침투와, 거품 및 물입자가 수표면에 다량 발생하는 현상을 억제하고 있다.
상기 상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42)과 하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43)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담금 저수공간(11)에 상하 회동구조로 배치되어, 식기들을 수납하여 이송 컨베이어(20)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송되는 식기 수납 트레이(30), 또는 식기 수납 트레이(30)에 수납된 식기와 물리적으로 간섭되어 힌지 회전하는 간섭바(42', 43')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상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42)과 하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43)은 중립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중립상태를 탄력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42)과 하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43)은 항시 일정한 각도로 세정수를 분사하여 하향 경사수류(42a) 및 상향 경사수류(43a)를 형성하지 아니하고,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식기 수납 트레이(30)와의 간섭에 의해 상하로 회전하면서 다양한 각도의 하향 경사수류(42a)와 상향 경사수류(43a)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담금 세정공간(11)의 일측내벽 하부에, 순환펌프(41)를 통해 급수되는 세정수를 길이방향으로 토출하는 보조 수류 형성유닛(45)을 더 형성하여서, 상기 경사수류 형성유닛(42, 43, 44)들에 의해 형성되는 합류수류(F)를 보조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측 경사 수류 형성유닛(43)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향 경사수류(43a)와, 상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42)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향 경사수류(42a), 그리고 내측벽측 경사수류 형성유닛(44)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내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내향 경사수류(44a)들은 강력한 합류수류(F)를 형성하고, 상기 합류수류(F)에 의해 식기 수납 트레이(30)에 수납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식기들의 수류 담금 세정이 이룩된다.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강력한 합류수류(F)에 의해, 복수의 식기들을 수납한 식기 수납 트레이(30)를 안착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컨베이어 벨트(23)의 이송력을 보조함으로써, 식기들의 수납에 의해 고하중을 형성한 복수의 식기 수납 트레이(30)들을 길이방향으로 이송함에 따른 이송 컨베이어(20)의 과부하 발생이 예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42)을 통해 담금 저수공간(11)의 상부에 하향 경사수류(42a)를 형성하면, 담금 세척과정에 발생하는 물입자나 악취들이 조리실 등지로 확산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정수를 일자형으로 전개하여 분사하여 담금 저수공간(11)의 상부에 일자형으로 전개된 상태의 수막 커튼층(46a)을 형성하는 수막 커튼형성 유닛(46)를 더 부가하여서, 상기 각 수류 형성유닛을 통해 고압으로 세정수를 분사하여 경사수류를 형성함에 따라 저수된 세척수의 물입자나 악취 등이 대기 중으로 분산되는 현상을 억제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막 커튼형성 유닛(46)들을 근접된 간격으로 배치하여, 상기 수막 커튼형성 유닛(46)들을 통해 형성되는 수막 커튼층(46a)이 상호 교차 내지 중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담금 저수공간(11) 내에 저수된 세정수의 표면은 복수의 수막 커튼형성 유닛(46)들을 통해 중첩하여 형성되는 수막 커튼층(46a)에 의해 커버되어서, 저수된 세정수에서 발산되는 물입자나 악취 등이 수막 커튼층에 의해 차단되어 대기 중으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식기들의 담금 세정과정에 식기에서 떨어진 음식물 찌꺼기들은 상기 합류 수류(F)에 의해 일측에서 집수정(12)이 형성된 타측으로 이동하여 집수정(12)에 형성된 여과채망(15)에 여과되어서, 음식물 찌꺼지가 담금 저수공간(11) 내에 잔류함에 따라 담금 세정되는 식기들이 재오염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1.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척장치
10. 담금 이송조 10A, 10B. 분할몸체
11. 담금 저수공간 12. 집수정
13. 히터부재 14. 수위 계측센서
15. 여과채망
20. 이송 컨베이어 20a. 컨베이어 본체
21. 구동축 22. 종동축
23. 컨베이어 벨트
30. 식기 수납 트레이
40. 순환 펌프부 41. 순환펌프
42. 상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 42a. 하향 경사수류
43. 하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 43a. 상향 경사수류
44. 내측벽측 경사수류 형성유닛 44a. 내향 경사수류
45. 보조 수류 형성유닛 45a. 보조수류
F. 합류수류
S1. 식기 회수공간 S2. 식기 세척공간
IA. 투입구간 OA. 배출구간
MA. 이송구간

Claims (4)

  1. 일측에 투입구간이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구간이 형성되며, 투입구간과 배출구간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긴 장방향의 이송구간이 형성된 장방향의 담금 저수공간를 갖는 장방향 담금 이송조와;
    상기 담금 저수공간의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이송되는 컨베이어 벨트를 갖는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담금 저수공간의 타측 바닥에 형성된 집수정에 집수되는 세정수를 흡입하여 강제 토출하는 하나 이상의 순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에서 강제 토출되는 세정수를 담수 저수공간 내로 분사하여 재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수류 형성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순환 펌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 펌프부는 담금 저수공간의 상부에 배치되어, 담금 저수공간의 상부에서 타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세정수를 토출하는 상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 및, 담금 저수공간의 바닥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세정수를 토출하는 하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과 하부측 경사수류 형성유닛은 담금 저수공간에 상하 회동구조로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식기 수납 트레이와의 간섭에 의해 상하로 회전하면서 다양한 각도의 하향 경사수류와 상향 경사수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세정수를 일자형으로 전개하여 분사하여 담금 저수공간의 상부에 일자형으로 전개된 상태의 수막 커튼층을 형성하는 복수의 수막 커튼형성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막 커튼형성 유닛들을 근접된 간격으로 배치하여, 상기 수막 커튼형성 유닛들을 통해 형성되는 수막 커튼층이 상호 교차 내지 중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안착되어, 담금 세정을 요하는 식기들을 수납하는 복수의 식기 수납 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식기들은 컨베이어 벨트에 일렬 정렬하여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식기 수납 트레이에 수납된 상태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담금 세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금 저수공간의 일측내벽 하부에, 순환펌프를 통해 급수되는 세정수를 길이방향으로 토출하는 보조 수류 형성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
KR1020200110319A 2020-08-31 2020-08-31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 Active KR102391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319A KR102391504B1 (ko) 2020-08-31 2020-08-31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319A KR102391504B1 (ko) 2020-08-31 2020-08-31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801A KR20220028801A (ko) 2022-03-08
KR102391504B1 true KR102391504B1 (ko) 2022-04-27

Family

ID=8081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319A Active KR102391504B1 (ko) 2020-08-31 2020-08-31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5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031B1 (ko) 2022-09-26 2023-11-03 김지현 부상 세정구조를 갖는 식판의 불림 이송장치
KR20240006259A (ko) 2022-07-06 2024-01-15 김지현 식기 불림 이송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853B1 (ko) * 2018-04-24 2019-09-19 김지현 식기 자동 배출구조를 갖는 식기 세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7988A (ja) * 1996-10-25 1998-05-12 Aiho:Kk 食器洗浄装置
KR200463654Y1 (ko) 2009-03-31 2012-11-20 명순승 식기세척기의 식판이송 컨베이어
KR101189628B1 (ko) 2012-03-21 2012-10-12 (주)한일오닉스 이송수단을 구비한 식기 불림용 담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853B1 (ko) * 2018-04-24 2019-09-19 김지현 식기 자동 배출구조를 갖는 식기 세정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259A (ko) 2022-07-06 2024-01-15 김지현 식기 불림 이송장치
KR102599031B1 (ko) 2022-09-26 2023-11-03 김지현 부상 세정구조를 갖는 식판의 불림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801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213B1 (ko) 식판 담금형 애벌 세척장치
RU2434570C1 (ru) Способ самоочищения посудомоечной машины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KR101833765B1 (ko) 식기세척시스템
KR101289333B1 (ko) 이물질 자동배출이 가능한 야채 자동세척기
KR102391504B1 (ko)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
JPH06503498A (ja) 超音波式食器洗い装置
US20150327748A1 (en) Warewasher with automated scrapping system
KR20120047699A (ko) 수저 세척장치
WO2010132022A2 (en) An industrial dishwasher
WO2016111648A1 (en) Compact dishwasher
CN101322576A (zh) 蔬菜洗净方法及蔬菜洗净装置
KR101923481B1 (ko) 압착 세정구조를 갖는 식판 세정장치
JP7536350B2 (ja) 洗浄機
KR101853457B1 (ko) 순환 와류 형성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형 애벌 세정장치
EP2825086B1 (en) Unloading system for conveyor warewashers
KR102290543B1 (ko) 식판 담금형 애벌세척기
JP2023003001A (ja) 洗浄前処理システム
JPH09299310A (ja) 食器洗浄機
KR102022853B1 (ko) 식기 자동 배출구조를 갖는 식기 세정 시스템
JP5553658B2 (ja) 洗浄方法
JP4556222B2 (ja) 洗浄方法
JP4556223B2 (ja) 洗浄方法
EP3773119B1 (en) Warewash machine with submersible cutlery basket
KR102720823B1 (ko) 식판 담금트레이와, 이를 구비한 식판 담금 세정장치
KR102369577B1 (ko) 개량된 구간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4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