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86505B1 - 데코 필름, 데코 필름을 포함하는 커버 패널 및 데코 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데코 필름, 데코 필름을 포함하는 커버 패널 및 데코 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505B1
KR102386505B1 KR1020160164515A KR20160164515A KR102386505B1 KR 102386505 B1 KR102386505 B1 KR 102386505B1 KR 1020160164515 A KR1020160164515 A KR 1020160164515A KR 20160164515 A KR20160164515 A KR 20160164515A KR 102386505 B1 KR102386505 B1 KR 102386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sposed
convex portion
deposition layer
conca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4610A (ko
Inventor
한상우
이동호
이현희
조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4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505B1/ko
Priority to US15/831,223 priority patent/US11016612B2/en
Priority to JP2017233195A priority patent/JP7041503B2/ja
Priority to EP17205323.3A priority patent/EP3331224B1/en
Priority to CN201711268102.1A priority patent/CN108155215B/zh
Publication of KR20180064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50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788Producing optical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69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mprising a decorative sheet and a core formed by one or more resin impregnated sheet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3/00Designs characterised by outl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04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f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 C23C28/042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f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including a refractory ceramic layer, e.g. refractory metal oxides, ZrO2, rare earth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40Coatings including alternating layers following a pattern, a periodic or defined repetition
    • C23C28/42Coatings including alternating layers following a pattern, a periodic or defined repetition 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altern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일면에 배치된 제1 데코부 및 상기 제1 데코부와 중첩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 배치된 제2 데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데코부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제1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코부는 상기 제1 요철부에 대응하여 베이스 필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제2 요철부를 포함하고, 아울러, 상기 제1 요철부 상에 배치된 제1 증착층 및 상기 제2 요철부 상에 배치된 제2 증착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데코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데코 필름, 데코 필름을 포함하는 커버 패널 및 데코 필름의 제조방법{DECORATION FILM, COVER PANEL COMPRISNG THE DECORATION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ECORATION FILM}
본 발명은 데코 필름, 데코 필름을 포함하는 커버 패널 및 데코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유기발광 표시장치 또는 액정 표시장치와 같은 평판 표시장치는 복수 쌍의 전기장 생성 전극과 그 사이에 배치된 전기광학(electro-optical) 활성층을 포함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전기 광학 활성층으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고, 액정 표시장치는 전기 광학 활성층으로 액정층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표시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어 표시패널을 보호하는 커버 패널을 포함한다. 이러한 커버 패널로 영상이 표시되는 면에 배치되는 윈도우 패널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면에 배치되는 배면 패널이 있다.
최근, 표시장치 외관의 심미감 향상을 위해, 다양한 색상이나 패턴을 갖는 커버 패널이 만들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표시장치의 커버 패널에 사용될 수 있는 데코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이러한 데코 필름을 포함하는 커버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이러한 커버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일면에 배치된 제1 데코부; 및 상기 제1 데코부와 중첩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 배치된 제2 데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데코부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제1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코부는 상기 제1 요철부에 대응하여 베이스 필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제2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요철부 상에 배치된 제1 증착층 및 상기 제2 요철부 상에 배치된 제2 증착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데코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제2 데코부는 상기 제2 요철부 상에 배치된 차광 인쇄층을 더 포함하한다.
상기 제1 증착층은 금속,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증착층은 금속,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요철부 및 상기 제2 요철부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요철부는 1.7 내지 2.8의 굴절률을 갖는다.
상기 제1 데코부는 상기 제1 요철부 상에 배치된 광투과성 인쇄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데코부는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1 요철부 사이에 배치된 광투과성 인쇄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데코 필름은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1 요철부 사이에 배치된 제1 고분자 수지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요철부는 상기 제1 고분자 수지층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데코 필름은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요철부 사이에 배치된 제2 고분자 수지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요철부는 상기 제2 고분자 수지층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요철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 라인 형상의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요철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2 라인 형상의 볼록부를 갖는다.
상기 제1 라인 형상의 볼록부와 상기 제2 라인 형상의 볼록부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 형상의 볼록부와 상기 제2 라인 형상의 볼록부는 서로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제1 고분자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고분자 수지층의 적어도 일부에 제1 요철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 고분자 수지를 도포하여, 제2 고분자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고분자 수지층의 적어도 일부에 제2 요철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요철부 상에 제1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요철부 상에 제2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코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요철부 상에 제1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요철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고분자 수지층의 전면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요철부와 중첩하는 상기 증착층 상에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요철부의 상부 이외의 증착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요철부 상에 제2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요철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2 고분자 수지층의 전면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요철부와 중첩하는 상기 증착층 상에 차광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광 인쇄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2 요철부의 상부 이외의 증착층을 제거하여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제1 고분자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게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광투과성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제1 증착층 상에 광투과성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플레이트 기재; 상기 플레이트 기재 상에 배치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에 배치된 데코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데코 필름은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일면에 배치된 제1 데코부; 및 상기 제1 데코부와 중첩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 배치된 제2 데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데코부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제1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코부는 상기 제1 요철부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2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코 필름은 상기 제1 요철부 상에 배치된 제1 증착층 및 상기 제2 요철부 상에 배치된 제2 증착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커버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데코부는 상기 점착층을 향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1 요철부는 상기 점착층보다 큰 굴절률을 갖는다.
상기 제1 요철부는 상기 점착층보다 0.3 이상 더 큰 굴절률을 갖는다.
상기 제2 데코부는 상기 제2 요철부 상에 배치된 차광 인쇄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 기재는 광투과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표시부와 비표시부를 갖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커버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패널은 플레이트 기재; 상기 평판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에 배치된 데코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데코 필름은 베이스 필름; 상기 상기 베이스 필름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제1 요철부; 상기 제1 요철부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 타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제2 요철부; 및 상기 제1 요철부 상에 배치된 제1 증착층 및 상기 제2 요철부 상에 배치된 제2 증착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요철부와 상기 제2 요철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비표시부와 중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은 제1 데코부와 제2 데코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데코 필름에서 반사된 빛이 이중으로 간섭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시야각에 따라 다양한 무늬나 패턴이 관찰될 수 있고, 홀로그램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데코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수려한 외관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3의 II-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면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a 및 5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6a, 6b, 7a, 7b, 8a, 8b, 9a, 9b, 10a, 10b, 11a 및 11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m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h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화소 배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III-I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화소 배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IV-IV'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바, 특정의 실시예만이 도면에 예시되고 이를 중심으로 본 발명이 설명된다. 그렇다고 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와 그 형상 등이 간략하게 그려지거나 또는 과장되어 그려지기도 하며, 실제 제품에 있는 구성요소가 표현되지 않고 생략되기도 한다. 따라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다.
어떤 층이나 구성요소가 다른 층이나 구성요소의 '상'에 있다 라고 기재되는 것은 어떤 층이나 구성요소가 다른 층이나 구성요소와 직접 접촉하여 배치된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되어 배치된 경우까지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지만, 구성요소들이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1 구성요소가 제2 또는 제3 구성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또는 제3 구성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구성요소는 "제1 A", "제2 A" 또는 "제3 A"로 표현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beneath)"에 배치된 것으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붙여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표시장치(101)는 커버 패널(201, 301), 측면 지지 부재(120) 및 표시패널(110)을 포함한다.
커버 패널(201, 301)은 영상이 표시되는 면에 배치되는 윈도우 패널(201) 과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반대쪽에 배치된 배면 패널(301)을 포함한다. 측면 지지 부재(120)는 두 개의 커버 패널(201, 301)을 연결한다.
표시패널(110)은 지지부(140)와 함께 배면패널(301)에 장착된다. 지지부(140)는 예를 들어, 쿠션부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140)에 표시패널(110)의 구동을 위한 소재들, 예를 들어, 배터리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표시패널(110)은 표시부(DA)와 비표시부(NDA)를 갖는다. 표시부(DA)는 화상이 표시되는 부분이다. 비표시부(NDA)는, 예를 들어, 표시부(DA)를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표시패널(110)로, 예를 들어, 액정 표시패널, 유기발광 표시패널 등이 있다. 표시패널(110)의 상세한 구조는 후술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10)과 윈도우 패널(201) 사이에 터치 패널(170)과 점착층(16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패널(201)의 평면도이고, 도 4a는 도 3의 II-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면 패널(301)의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커버 패널(201, 301) 중 하나인 윈도우 패널(201)은 플레이트 기재(150), 플레이트 기재(150) 상에 배치된 점착층(181) 및 점착층(181) 상에 배치된 데코 필름(501)을 포함한다.
도 4a에 도시된 플레이트 기재(150)는 광투과성을 가지며, 유리, 플라스틱 등의 광투과성 부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레이트 기재(150)는 제1면(150a)과 제2면(150b)을 갖는다. 플레이트 기재(150)의 제1면(150a)은 사용자를 향하고, 제2면(150b)은 표시패널(110)을 항한다.
또한, 윈도우 패널(201)은 베젤부(551)를 포함한다. 베젤부(551)는 표시패널(110)의 비표시부(NDA)와 중첩하도록 플레이트 기재(150) 상에 배치된다. 베젤부(551)는 불투명층으로 광을 차단한다. 그에 따라, 베젤부(551)의 하부는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110)의 표시부(DA)와 중첩하는 부분에서 윈도우 패널(201)은 광투과성을 갖는다.
데코 필름(501)은 베이스 필름(510), 베이스 필름(510)의 일면에 배치된 제1 데코부(520a) 및 제1 데코부(520a)와 중첩하여 베이스 필름(510)의 타면에 배치된 제2 데코부(520b)를 포함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510)은 투광 영역(511)과 차광 영역(520)을 가지며, 베이스 필름(510)의 투광 영역(511)은 표시 패널(110)의 표시부(DA)와 중첩하고, 차광 영역(520)은 표시 패널(110)의 비표시부(NDA)와 중첩한다. 제1 데코부(520a)와 제2 데코부(530a)는 차광 영역(520)에 배치된다.
제1 데코부(520a)는 베이스 필름(510)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제1 요철부(522)를 포함한다. 제2 데코부(530a)는 제1 요철부(522)에 대응하여 베이스 필름(510)의 적어도 일부에 제2 요철부(5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코 필름(501)은 제1 요철부(522) 상에 배치된 제1 증착층(523) 및 제2 요철부(532) 상에 배치된 제2 증착층(533)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데코부(520a)는 제1 요철부(522) 상에 배치된 제1 증착층(523)을 포함하고, 제2 데코부(530a)는 제2 요철부(532) 상에 배치된 제2 증착층(533)을 포함한다.
또한, 데코 필름(501)은 베이스 필름(510)과 제1 요철부 사이(522)에 배치된 제1 고분자 수지층(521)을 포함하고, 베이스 필름(510)과 제2 요철부(532) 사이에 배치된 제2 고분자 수지층(531)을 포함한다.
제1 요철부(522)와 제2 요철부(532)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분자 수지를 패터닝함으로써 제1 요철부(522)와 제2 요철부(532)가 형성될 수 있다. 패터닝 방법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패터닝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프린팅 방법에 의하여 제1 요철부(522)와 제2 요철부(532)가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요철부(522)는 제1 고분자 수지층(52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요철부(532)는 제2 고분자 수지층(53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요철부(522)와 제2 요철부(532)는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제1 요철부(522)는 1.7 내지 2.8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제2 요철부(532)도 1.7 내지 2.8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제2 증착층(533)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증착층(533) 형성을 위한 금속으로, 은(Ag), 금(Au), 백금(Pt), 알루미늄(Al), 티타늄(Ti), 망간(Mn), 코발트(Co), 아연(Z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증착층(533)은, 예를 들어, 금속층, 금속 산화물층 및 금속 질화물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증착층(533)은 빛을 반사한다. 제2 증착층(533)이 제2 요철부(532) 상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증착층(533)에서 빛이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요철부(522) 상에 제1 증착층(523)이 배치된다. 제1 증착층(523)은 광투과성 및 광 반사성을 모두 가진다. 제1 증착층(523) 역시 제2 증착층(533)과 마찬가지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요철부(522) 상에 형성된 제1 증착층(523)과 제2 요철부(532) 상에 형성된 제2 증착층(533)에 의해 빛이 이중으로 반사되고 간섭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시야각에 따라 다양한 무늬나 패턴이 관찰될 수 있고, 홀로그램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표시장치(101)가 수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제1 증착층(523)과 제2 증착층(533)은 서로 동일한 색을 가질 수 있고 다른 색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증착층(523)과 제2 증착층(533) 모두에서 빛이 반사되기 때문에, 깊은 색감이 표현될 수 있고, 입체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제1 증착층(523)과 제2 증착층(533)에 의해 혼색 효과가 발생될 수도 있다.
광차단을 위해, 제2 데코부(530a)는 제2 증착층(533) 상에 배치된 차광 인쇄층(534)를 포함한다. 제2 증착층(533)의 광 차단 기능이 우수한 경우, 차광 인쇄층(534)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제1 데코부(520a)와 제2 데코부(530a)에 의해 베젤부(551)가 형성된다. 베젤부(551)는 광을 차단하며, 윈도우 패널(201)에 컬러 및 심미감을 제공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면 패널(301)의 단면도이다.
커버 패널(201, 301) 중 하나인 배면 패널(301)은 플레이트 기재(130), 플레이트 기재(130) 상에 배치된 점착층(182) 및 점착층(182) 상에 배치된 데코 필름(601)을 포함한다.
데코 필름(601)은 베이스 필름(610), 베이스 필름(610)의 일면에 배치된 제1 데코부(620a) 및 제1 데코부(620a)와 중첩하여 베이스 필름(610)의 타면에 배치된 제2 데코부(630a)를 포함한다.
베이스 필름(610)은 광투과성을 가질 수도 있고,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데코부(620a)는 베이스 필름(610)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요철부(622)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요철부(622) 상에 제1 증착층(623)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데코부(620a)는 사용자를 향해 배치된다.
제2 데코부(630a)는 베이스 필름(610)의 타면에 배치된 제2 요철부(632) 및 제2 요철부(632) 상에 배치된 제2 증착층(633)을 포함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데코부(620a)는 베이스 필름(610) 일면의 전면에 배치되며, 제2 데코부(630a)는 베이스 필름(610) 타면의 전면에 배치된다.
또한, 데코 필름(601)은 베이스 필름(610)과 제1 요철부 사이(622)에 배치된 제1 고분자 수지층(621)을 포함하고, 베이스 필름(610)과 제2 요철부(632) 사이에 배치된 제2 고분자 수지층(631)을 포함한다.
제1 요철부(622)는 제1 고분자 수지층(62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요철부(632)는 제2 고분자 수지층(63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광차단을 위해, 제2 데코부(630a)의 제2 증착층(633) 상에 차광 인쇄층(634)이 배치된다.
제1 요철부(622) 상에 형성된 제1 증착층(623)과 제2 요철부(632) 상에 형성된 제2 증착층(633)에 의해 빛이 반사되어 이중으로 간섭되기 때문에, 시야각에 따라 다양한 무늬나 패턴이 관찰될 수 있고, 홀로그램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표시장치(101)의 배면 패널(301)이 우수한 심미감을 갖는다.
도 4c는 제1 요철부(522) 및 제2 요철부(523)에 대한 사시도이다. 제1 요철부(522)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 라인 형상의 볼록부(522a)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제2 요철부(532)는 역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 라인 형상의 볼록부(532a)를 가진다.
제1 요철부(522)를 구성하는 제1 라인 형상의 볼록부(522a)와 제2 요철부(532)를 구성하는 제2 라인 형상의 볼록부(532a)는 서로 평행할 수도 있고, 서로 평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요철부(522)와 제2 요철부(532)는 각각 기둥 형상, 각기둥 형상, 피라미드 형상, 반구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a 및 5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502, 602)의 단면도이다. 이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미 설명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a 및 5b에 도시된 데코 필름(502, 602)은, 도 4a 및 4b에 도시된 데코 필름(501, 601)과 비교하여, 제1 증착층(523, 623)을 포함하지 않는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502)의 제1 데코부(520b)는 제1 요철부(522)를 포함하고, 제2 데코부(530b)는 제2 요철부(532) 및 제2 요철부(532) 상에 배치된 제2 증착층(533)을 포함한다.
도 5a의 데코 필름(502)은 플레이트 기재(150)에 부착되어 윈도우 패널(201)을 구성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제1 데코부(520a)가 점착층(181)을 향하여 배치된다. 즉, 제1 데코부(520a)가 점착층(181)과 접촉한다.
제1 데코부(520b)를 구성하는 제1 요철부(522)는 점착층(181)보다 큰 굴절률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 요철부(522)는 점착층(181)보다 0.3 이상 더 큰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착층(181)은 1.4 내지 1.6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고, 제1 요철부(522)는 1.7 내지 2.8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요철부(522)는 점착층보다 0.3 내지 1.4만큼 더 큰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제1 요철부(522)와 점착층(181)의 굴절률 차이가 큰 경우, 제1 요철부(522)와 점착층(181)의 계면에서 빛의 반사와 굴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제1 요철부(522)와 제2 증착층(533)에서 반사된 빛이 이중으로 간섭되고, 또한 제1 요철부(522)에서 굴절된 빛이 제2 증착층(533)에서 다시 반사될 수 있다. 그 결과, 시야각에 따라 다양한 무늬나 패턴이 관찰될 수 있고, 홀로그램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제2 증착층(533)이 색상을 가지는 경우, 특정 색의 빛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602)은 제1 요철부(622)와 제2 요철부(632)를 포함하며, 제2 요철부(632) 상에 배치된 제2 증착층(633)을 포함한다.
도 5b의 데코 필름(602)은 배면 패널(301)의 플레이트 기재(130)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제1 데코부(520a)가 점착층(182)과 접촉할 수 있다.
도 6a 및 6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503, 603)의 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503)의 제1 데코부(520c)는 제1 증착층(523) 상에 배치된 광투과성 인쇄층(524)을 포함한다. 광투과성 인쇄층(524)은 광투과성을 가지며,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광투과성 인쇄층(524)은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광투과성 인쇄층(524)에 의해 데코 필름(503)의 심미감이 향상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603)의 제1 데코부(620c)는 제1 증착층(623) 상에 배치된 광투과성 인쇄층(624)을 포함한다. 광투과성 인쇄층(624)은 광투과성을 가지며,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광투과성 인쇄층(624)은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광투과성 인쇄층(624)에 의해 데코 필름(603)의 심미감이 향상된다.
도 7a 및 7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504, 604)의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504)의 제1 데코부(520d)는 제1 증착층(523)을 포함하지 않으며, 제1 요철부(522) 상에 배치된 광투과성 인쇄층(524)을 포함한다. 광투과성 인쇄층(524)은 제1 요철부(522)와 다른 굴절률을 갖는다. 광투과성 인쇄층(524)은 제1 요철부(522)보다 큰 굴절률을 가질 수도 있고 작을 굴절률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투과성 인쇄층(524)과 제1 요철부(522)는 0.3 이상의 굴절률 차이를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광투과성 인쇄층(524)과 제1 요철부(522)의 계면에서 빛이 반사 및 굴절되어 데코 필름(504)의 심미감이 향상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604)의 제1 데코부(620d)는 제1 증착층(623)을 포함하지 않고, 제1 요철부(622) 상에 배치된 광투과성 인쇄층(624)을 포함한다. 광투과성 인쇄층(624)은 제1 요철부(622)와 다른 굴절률을 갖는다.
도 8a 및 8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505, 605)의 단면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505)의 제1 데코부(520e)는 베이스 필름(510)과 제1 요철부(522) 사이에 배치된 광투과성 인쇄층(525)을 포함한다. 광투과성 인쇄층(525)은 제1 고분자 수지층(521) 하부에 배치된다.
광투과성 인쇄층(525)은 광투과성을 가지며,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광투과성 인쇄층(525)은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광투과성 인쇄층(525)에 의해 데코 필름(505)의 심미감이 향상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605)의 제1 데코부(620c)는 베이스 필름(610)과 제1 요철부(622) 사이에 배치된 광투과성 인쇄층(625)을 포함한다. 광투과성 인쇄층(625)은 제1 고분자 수지층(621) 하부에 배치된다. 광투과성 인쇄층(625)은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a 및 9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506, 606)의 단면도이다.
도 9a 및 9b에 도시된 데코 필름(506, 606)은 도 8a 및 8b에 도시된 데코 필름(505, 605)과 비교하여 제1 증착층(523, 623)을 포함하지 않는다.
도 10a 및 10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507, 607)의 단면도이다.
도 10a 및 10b에 도시된 데코 필름(507, 607)은 도 8a 및 8b에 도시된 데코 필름(505, 605)과 비교하여 차광 인쇄층(534, 634)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 경우, 제2 증착층(633, 633)에 의하여 빛이 차단된다. 광 차단을 위하여, 제2 증착층(533, 633)은 200n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11a 및 11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508, 608)의 단면도이다.
도 11a 및 11b에 도시된 데코 필름(508, 608)은 도 4a 및 4b에 도시된 데코 필름(505, 605)과 비교하여 제2 증착층(533, 633)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 경우, 차광 인쇄층(534, 634)에 의하여 빛이 차단된다. 또한, 제2 요철부(532, 632)에서 빛의 반사가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제2 요철부(532, 632)에서 반사된 빛과 제1 증착층(523, 623)에서 반사된 빛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의 제조방법은 베이스 필름(510)의 일면에 제1 요철부(522)를 형성하는 단계, 베이스 필름(510)의 타면에 제2 요철부(532)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1 요철부(522) 제1 증착층(523)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2 요철부(532) 상에 제2 증착층(533)을 형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12a 내지 도 12m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의 제조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필름(510) 상에 제1 데코부(520a)가 먼저 형성된 후 제2 데코부(530a)가 형성될 수도 있고, 제2 데코부(530a)가 먼저 형성된 후 제1 데코부(520a)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a 내지 12m은 베이스 필름(510) 상에 제2 데코부(530a)가 먼저 형성된 후 제1 데코부(520a)가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a를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510)의 타면에 고분자 수지가 도포되어, 제2 고분자 수지층(531)이 형성된다. 제2 고분자 수지층(531)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광경화성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며, 임프린터(710)에 의해, 제2 고분자 수지층(531)이 가압된다. 임프린터(710)는 요철 패턴(711)을 가진다. 그에 따라, 제2 고분자 수지층(531)에 요철 패턴(711)에 대응되는 패턴이 형성된다.
도 12c에, 임프린터(710)을 이용한 가압에 의해 형성된 제2 요철부(532)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 제2 고분자 수지층(531) 및 제2 요철부(532)가 경화된다. 이 때, 열경화 또는 광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d를 참조하면, 제2 요철부(532)를 포함하는 제2 고분자 수지층(531)의 전면에 증착층(533, 533b)이 형성된다.
도 12e를 참조하면, 제2 요철부(532)와 중첩하는 증착층 상에 차광 인쇄층(534)이 형성된다.
도 12f를 참조하면, 차광 인쇄층(534)을 마스크로 하여, 제2 요철부(532)의 상부 이외의 증착층(533b)을 제거하여 제2 증착층(533)이 형성된다.
도 12g를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510)의 일면에 제1 고분자 수지층(521)이 형성된다. 제1 고분자 수지층(521)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광경화성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2h를 참조하며, 임프린터(720)에 의해 제1 고분자 수지층(521)이 가압된다. 임프린터(720)는 요철 패턴(721)을 가진다. 그에 따라, 제1 고분자 수지층(521)에 요철 패턴(721)에 대응되는 패턴이 형성된다.
도 12i에, 임프린터(720)을 이용한 가압에 의해 형성된 제1 요철부(522)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 제1 고분자 수지층(521) 및 제2 요철부(522)가 경화된다. 이 때, 열경화 또는 광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j를 참조하면, 제1 요철부(522)를 포함하는 제1 고분자 수지층(521)의 전면에 증착층(523, 523b)이 형성된다.
도 12k를 참조하면, 제1 요철부(522)와 중첩하는 증착층 상에 마스크(529)가 형성된다.
도 12l을 참조하면, 제1 요철부(522)의 상부 이외의 증착층(523b)이 제거되어 제1 증착층(523)이 형성된다.
도 12m을 참조하면, 마스크(529)가 제거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이 만들어진다.
또한, 제1 증착층(523) 상에 광투과성 인쇄층(524)이 형성되는 경우, 도 6a에 도시된 데코 필름(503)이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h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510)의 타면에 제2 데코부(530e)가 형성된 후, 베이스 필름(510)의 일면에 광투과성 인쇄층(525)이 형성된다.
도 13b를 참조하면, 광투과성 인쇄층(525)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510)의 일면에 제1 고분자 수지층(521)이 형성된다. 제1 고분자 수지층(521)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광경화성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3c를 참조하며, 임프린터(730)에 의해 제1 고분자 수지층(521)이 가압된다. 임프린터(730)는 요철 패턴(731)을 가진다. 그에 따라, 제1 고분자 수지층(521)에 요철 패턴(731)에 대응되는 패턴이 형성된다.
도 13d에, 임프린터(730)을 이용한 가압에 의해 형성된 제1 요철부(522)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 제1 고분사 수지층(521) 및 제2 요철부(522)가 경화된다. 이 때, 열경화 또는 광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e를 참조하면, 제1 요철부(522)를 포함하는 제1 고분자 수지층(521)의 전면에 증착층(523, 523b)이 형성된다.
도 13f를 참조하면, 제1 요철부(522)와 중첩하는 증착층 상에 마스크(529)가 형성된다.
도 13g를 참조하면, 제1 요철부(522)의 상부 이외의 증착층(523b)이 제거되어 제1 증착층(523)이 형성된다.
도 13h를 참조하면, 마스크(529)가 제거되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이 만들어진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10)의 화소 배치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III-I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4 및 15에 도시된 표시패널(110)은 유기발광 표시패널이다.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제1 기판(211), 구동 회로부(230) 및 유기 발광 소자(310)를 포함한다.
제1 기판(211)은 유리, 석영, 세라믹, 및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절연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기판(211)으로 고분자 필름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기판(211) 상에 버퍼층(220)이 배치된다. 버퍼층(220)은 다양한 무기막들 및 유기막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막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220)은 생략될 수도 있다.
구동 회로부(230)는 버퍼층(220) 상에 배치된다. 구동 회로부(230)는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들(10, 20)을 포함하며, 유기 발광 소자(310)를 구동한다. 즉, 유기 발광 소자(310)는 구동 회로부(23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 신호에 따라 빛을 방출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도 14 및 15에, 하나의 화소에 두 개의 박막트랜지스터(TFT)(10, 20)와 하나의 축전 소자(capacitor)(80)가 구비된 2Tr-1Cap 구조의 능동 구동(active matrix, AM)형 유기발광 표시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러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하나의 화소에 셋 이상의 박막트랜지스터와 둘 이상의 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복수의 화소들을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하나의 화소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10), 구동 박막트랜지스터(20), 축전 소자(80), 및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310)를 포함한다. 또한,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게이트 라인(251)과, 게이트 라인(251)과 절연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271) 및 공통 전원 라인(272)도 구동 회로부(230)에 배치된다. 하나의 화소는 게이트 라인(251), 데이터 라인(271) 및 공통 전원 라인(272)을 경계로 정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소 정의막(290) 또는 블랙 매트릭스에 의하여 화소가 정의될 수도 있다.
유기 발광 소자(310)는 제1 전극(311), 제1 전극(311)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312), 및 유기 발광층(312) 상에 배치된 제2 전극(313)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층(312)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진다. 제1 전극(311) 및 제2 전극(313)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312) 내부로 주입되고, 이와 같이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되어 형성된 엑시톤(exiton)이 여기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이 이루어진다.
축전 소자(80)는 층간 절연막(26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축전판(258, 278)을 포함한다. 여기서, 층간 절연막(260)은 유전체가 된다. 축전 소자(80)에서 축전된 전하와 양 축전판(258, 278) 사이의 전압에 의해 축전용량이 결정된다.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10)는 스위칭 반도체층(231), 스위칭 게이트 전극(252), 스위칭 소스 전극(273),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274)을 포함한다. 구동 박막트랜지스터(20)는 구동 반도체층(232), 구동 게이트 전극(255), 구동 소스 전극(2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277)을 포함한다. 반도체층(231, 232)과 게이트 전극(252, 255)은 게이트 절연막(240)에 의하여 절연된다.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10)는 발광시키고자 하는 화소를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로 사용된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252)은 게이트 라인(251)에 연결된다. 스위칭 소스 전극(273)은 데이터 라인(271)에 연결된다. 스위칭 드레인 전극(274)은 스위칭 소스 전극(273)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어느 한 축전판(258)과 연결된다.
구동 박막트랜지스터(20)는 선택된 화소 내의 유기 발광 소자(310)의 유기 발광층(312)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을 화소 전극인 제1 전극(311)에 인가한다. 구동 게이트 전극(255)은 스위칭 드레인 전극(274)과 연결된 축전판(258)과 연결된다. 구동 소스 전극(276) 및 다른 한 축전판(278)은 각각 공통 전원 라인(272)과 연결된다. 구동 드레인 전극(277)은 평탄화막(265)에 구비된 컨택홀(contact hole)을 통해 유기 발광 소자(310)의 제1 전극(311)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10)는 게이트 라인(251)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에 의해 작동되어 데이터 라인(271)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박막트랜지스터(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공통 전원 라인(272)으로부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2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과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1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전압의 차에 해당하는 전압이 축전 소자(80)에 저장되고, 축전 소자(80)에 저장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20)를 통해 유기 발광 소자(310)로 흘러 유기 발광 소자(310)가 발광한다.
제1 전극(311)은 광투과성을 갖는 투광성 전극일 수도 있으며, 광반사성을 갖는 반사 전극일 수도 있다. 제2 전극(313)은 반투과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반사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전극(311)은 반사 전극이며, 제2 전극(313)은 반투과 전극이다. 유기 발광층(312)에서 발생된 빛은 제2 전극(313)을 통과해 방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311)은 광투과성 전극이고, 제2 전극(313)은 반사 전극이며, 유기 발광층(312)에서 발생된 빛은 제1 전극(311)을 통과해 방출될 수도 있다.
제1 전극(311)과 유기 발광층(312) 사이에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및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중 적어도 하나가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유기 발광층(312)과 제2 전극(313) 사이에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중 적어도 하나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312), 정공 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전자 수송층(ETL) 및 전자 주입층(EIL)은 유기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유기층이라고도 한다.
화소 정의막(290)은 개구부를 갖는다. 화소 정의막(290)의 개구부는 제1 전극(311)의 일부를 드러낸다. 화소 정의막(290)의 개구부에서 제1 전극(311) 상에 유기 발광층(312) 및 제2 전극(313)이 차례로 적층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전극(313)은 유기 발광층(312) 뿐만 아니라 화소 정의막(290) 위에도 형성된다. 유기 발광 소자(310)는 화소 정의막(290)의 개구부 내에 위치한 유기 발광층(312)에서 빛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화소 정의막(290)은 발광 영역을 정의할 수도 있다.
외부 환경으로부터 유기 발광 소자(310)를 보호하기 위해 제2 전극(313)상에 캡핑층(미도시)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 전극(313) 상에 박막 봉지층(350)이 배치된다.
박막 봉지층(350)은 하나 이상의 무기막(351, 353) 및 하나 이상의 유기막(352)을 포함하며, 수분이나 산소와 같은 외기가 유기 발광 소자(31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박막 봉지층(350)은 무기막(351, 353)과 유기막(352)이 교호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도 15에 도시된 박막 봉지층(350)은 2개의 무기막(351, 353)과 1개의 유기막(352)을 포함하고 있으나, 박막 봉지층(350)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기막(351, 353)은 Al2O3, TiO2, ZrO, SiO2, AlON, AlN, SiON, Si3N4, ZnO, 및 Ta2O5 중 하나 이상의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351, 353)은 화학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법 또는 원자층 증착(atomic layer depostion, ALD)법을 통해 형성된다. 무기막(351, 353)은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유기막(352)은 고분자(polymer) 계열의 소재로 만들어진다. 여기서, 고분자 계열의 소재는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이미드, 및 폴리에틸렌 등을 포함한다. 또한, 유기막(352)은 열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유기막(352)을 형성하기 위한 열증착 공정은 유기 발광 소자(310)를 손상시키지 않는 온도 범위 내에서 진행된다. 유기막(352)은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박막의 밀도가 치밀하게 형성된 무기막(351, 353)이 주로 수분 또는 산소의 침투를 억제한다. 대부분의 수분 및 산소는 무기막(351, 353)에 의해 유기 발광 소자(310)로의 침투가 차단된다.
무기막(351, 353)을 통과한 수분 및 산소는 유기막(352)에 의해 다시 차단된다. 유기막(352)은 투습 억제 외에, 무기막(351, 353)들 사이에서 각층들 간의 응력을 줄여주는 완충층의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유기막(352)은 평탄화 특성을 가지므로, 박막 봉지층(350)의 최상부면이 평탄해질 수 있다.
박막 봉지층(350)은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유기발광 표시패널 역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박막 봉지층(350)이 적용됨으로써, 유기발광 표시패널이 플렉서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소자(310)를 보호하기 위해 제2 전극(313) 상에 제2 기판(212)이 배치된다. 제2 기판(212)은 제1 기판(211)과 함께 유기 발광 소자(310)를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제2 기판(212)은 제1 기판(211)과 마찬가지로 유리, 석영, 세라믹, 및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절연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소자(310)와 제2 기판(212) 사이에 충진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화소 배치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IV-IV'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7과 도 18은 액정 표시패널을 도시하고 있다.
도 17 및 18에 도시된 액정 표시패널은 표시기판(410), 대향기판(420) 및 표시기판(410)과 대향기판(420)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LC)을 포함한다.
표시기판(410)은 제1 기판(411), 박막트랜지스터(TFT), 화소 전극(PE), 게이트 절연막(431) 및 보호층(432)을 포함한다. 박막트랜지스터(TFT)는 반도체층(SM), 저항성 접촉층(OC),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한다.
제1 기판(411)은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다.
제1 기판(411) 상에 복수의 게이트 라인(GL) 및 게이트 전극(GE)이 배치된다. 게이트 전극(GE)은 게이트 라인(GL)과 연결된다. 게이트 라인(GL) 및 게이트 전극(GE)은 알루미늄(Al)이나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알루미늄 계열의 금속, 은(Ag)이나 은 합금과 같은 은 계열의 금속, 구리(Cu)나 구리 합금과 같은 구리 계열의 금속, 몰리브덴(Mo)이나 몰리브덴 합금과 같은 몰리브덴 계열의 금속, 크롬(Cr), 탄탈륨(Ta) 및 티타늄(Ti) 중 어느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게이트 라인(GL) 및 게이트 전극(GE) 중 적어도 하나는 물리적 성질이 다른 적어도 두 개의 도전막을 포함하는 다중막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게이트 절연막(431)은 게이트 라인(GL) 및 게이트 전극(GE)을 포함한 제1 기판(411)의 전면(全面)에 배치된다. 게이트 절연막(431)은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x)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게이트 절연막(431)은 물리적 성질이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절연층들을 포함하는 다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반도체층(SM)은 게이트 절연막(431) 상에 배치된다. 이 때, 반도체층(SM)은 게이트 절연막(431)의 하부에 위치한 게이트 전극(GE)과 중첩한다. 반도체층(SM)은 비정질 규소 또는 다결정 규소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반도체층(SM)은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저항성 접촉층(OC)은 반도체층(SM)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저항성 접촉층(OC)은 채널 부분 이외의 반도체층(SM) 상에 배치된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431) 상에 복수의 데이터 라인(DL)이 배치된다. 데이터 라인(DL)은 게이트 라인(GL)과 교차한다. 소스 전극(SE)은 데이터 라인(DL)과 연결되며, 저항성 접촉층(OC) 상에 배치된다. 드레인 전극(DE)은 소스 전극(SE)과 이격되어 저항성 접촉층(OC) 상에 배치되며, 화소 전극(PE)에 연결된다.
데이터 라인(DL),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 중 적어도 하나는 몰리브덴, 크롬, 탄탈륨 및 티타늄 등 내화성 금속(refractory metal)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데이터 라인(DL),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 중 적어도 하나는 내화성 금속막과 저저항 도전막을 포함하는 다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431), 반도체층(SM), 데이터 라인(DL),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한 제1 기판(411)의 전면에 층간 절연막(469)이 배치된다. 층간 절연막(469)은 절연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특히, 반도체층(SM)의 노출 부위인 채널 영역을 보호한다.
층간 절연막(469) 상에 보호층(432)이 배치된다. 보호층(432)은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상부를 평탄화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보호층(432)은 평탄화막이라고도 불려진다.
보호층(432)은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x)와 같은 무기 절연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보호층(432)은 유기막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보호층(432)은 하부 무기막과 상부 유기막으로 된 이중막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화소 전극(PE)은 보호층(432) 상에 배치된다. 이때, 화소 전극(PE)은 보호층(432) 및 층간 절연막(469)을 관통하여 형성된 콘택홀(CH)을 통해 드레인 전극(DE)과 연결된다. 화소 전극(PE)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의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향기판(420)은 제2 기판(421), 컬러필터층(470) 및 공통 전극(CE)을 포함한다.
제2 기판(421)은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다.
제2 기판(421) 상에 차광부(BM)가 배치된다. 차광부(BM)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갖는다. 개구부는 제1, 제2 및 제3 화소(PX1, PX2, PX3)의 각 화소 전극(PE)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차광부(BM)는 개구부들을 제외한 부분에서의 광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차광부(BM)는 박막트랜지스터(TFT),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 상에 위치하여 이들을 통과한 광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차광부(BM)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생략될 수도 있다.
컬러필터층(470)은 제2 기판(421) 상에 배치되며, 백라이트부(미도시)로부터 입사된 광의 파장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컬러필터층(470)은 제1 컬러필터(CF1), 제2 컬러필터(CF2) 및 제3 컬러필터(CF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컬러필터(CF1, CF2, CF3)는 차광부(BM)에 의하여 서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8 및 19를 참조하면, 제1, 제2 및 제3 컬러필터(CF1, CF2, CF3)는 각각 화소(PX1, PX2, PX3)와 중첩하여 배치된다. 제1, 제2 및 제3 컬러필터(CF1, CF2, CF3)는 각각 적색, 녹색,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표현할 수 있다. 컬러필터층(470)은 백색 컬러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적색, 녹색, 청색 이외의 다른 색을 갖는 컬러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컬러필터층(470)과 공통 전극(CE) 사이에 패시베이션막(450)이 배치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막(450)은 생략될 수 있다.
공통 전극(CE)은 패시베이션막(450)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공통 전극(CE)은 제2 기판(421)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공통 전극(CE)은 ITO 또는 IZO 등의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통 전극(CE)은 화소 전극(PE)과 함께 액정층(LC)에 전계를 인가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화소 전극(PE) 상에 하부 배향막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배향막은 수직 배향막일 수 있고, 광반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통 전극(CE) 상에 상부 배향막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배향막은 하부 배향막과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기판(411)과 제2 기판(421) 사이의 마주보는 면들을 각각 해당 기판의 상부면으로 정의하고, 그 상부면들의 반대편에 위치한 면들을 각각 해당 기판의 하부면으로 정의할 때, 제1 기판(411)의 하부면과 제2 기판(421)의 하부면에 각각 편광판이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DA: 표시부 NDA: 비표시부
GL: 게이트 라인 DL: 데이터 라인
SM: 반도체층 TFT: 박막 트랜지스터
101: 표시장치 110: 표시 패널
201, 301: 커버 패널 201: 윈도우 패널
301: 배면 패널 510, 610: 베이스 필름
511: 투광 영역 512: 차광 영역
520a, 520b, 520c, 520d, 520e, 520f, 520g, 520h, 620a, 620b, 620c, 620d, 620e, 620f, 620g, 620h: 제1 데코부
530a, 530b, 530c, 530d, 530e, 530f, 530g, 530h, 630a, 630b, 630c, 630d, 630e, 630f, 630g, 630h: 제2 데코부
521, 621: 제1 고분자 수지층 531, 631: 제2 고분자 수지층
522, 622: 제1 요철부 532, 632: 제2 요철부
523, 623: 제1 증착층 533, 633: 제2 증착층
524, 624: 광투과성 인쇄층 525, 625: 광투과성 인쇄층
534, 634: 차광 인쇄층 710, 720, 730: 임프린터
711, 721, 731: 요철 패턴

Claims (28)

  1.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일면에 배치된 제1 데코부; 및
    상기 제1 데코부와 중첩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 배치된 제2 데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데코부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제1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코부는 상기 제1 요철부에 대응하여 베이스 필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제2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요철부 상에 배치된 제1 증착층 및 상기 제2 요철부 상에 배치된 제2 증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증착층 및 상기 제2 증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베이스 필름을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반대되는 제2 면을 갖고, 상기 제1 요철부 및 상기 제2 요철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증착층 및 상기 제2 증착층은 각각 금속,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코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코부는 상기 제2 요철부 상에 배치된 차광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데코 필름.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 및 상기 제2 요철부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데코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는 1.7 내지 2.8의 굴절률을 갖는 데코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코부는 상기 제1 요철부 상에 배치된 광투과성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데코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코부는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1 요철부 사이에 배치된 광투과성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데코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1 요철부 사이에 배치된 제1 고분자 수지층을 더 포함하는 데코 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는 상기 제1 고분자 수지층과 일체로 형성된 데코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요철부 사이에 배치된 제2 고분자 수지층을 더 포함하는 데코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철부는 상기 제2 고분자 수지층과 일체로 형성된 데코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 라인 형상의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요철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2 라인 형상의 볼록부를 갖는 데코 필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 형상의 볼록부와 상기 제2 라인 형상의 볼록부는 서로 평행한 데코 필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 형상의 볼록부와 상기 제2 라인 형상의 볼록부는 서로 평행하지 않은 데코 필름.
  16.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제1 고분자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고분자 수지층의 적어도 일부에 제1 요철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 고분자 수지를 도포하여, 제2 고분자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고분자 수지층의 적어도 일부에 제2 요철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요철부 상에 제1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요철부 상에 제2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증착층 및 상기 제2 증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베이스 필름을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반대되는 제2 면을 갖고, 상기 제1 요철부 및 상기 제2 요철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증착층 및 상기 제2 증착층은 각각 금속,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코 필름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 상에 제1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요철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고분자 수지층의 전면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요철부와 중첩하는 상기 증착층 상에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요철부의 상부 이외의 증착층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코 필름의 제조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철부 상에 제2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요철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2 고분자 수지층의 전면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요철부와 중첩하는 상기 증착층 상에 차광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광 인쇄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2 요철부의 상부 이외의 증착층을 제거하여 단계;
    를 포함하는 데코 필름의 제조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제1 고분자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게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광투과성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코 필름의 제조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착층 상에 광투과성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코 필름의 제조방법.
  21. 플레이트 기재;
    상기 플레이트 기재 상에 배치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에 배치된 데코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데코 필름은,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일면에 배치된 제1 데코부; 및
    상기 제1 데코부와 중첩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 배치된 제2 데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데코부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제1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코부는 상기 제1 요철부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2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코 필름은 상기 제1 요철부 상에 배치된 제1 증착층 및 상기 제2 요철부 상에 배치된 제2 증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증착층 및 상기 제2 증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베이스 필름을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반대되는 제2 면을 갖고, 상기 제1 요철부 및 상기 제2 요철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증착층 및 상기 제2 증착층은 각각 금속,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커버 패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코부는 상기 점착층을 향하여 배치된 커버 패널.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는 상기 점착층보다 큰 굴절률을 갖는 커버 패널.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는 상기 점착층보다 0.3 이상 더 큰 굴절률을 갖는 커버 패널.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코부는 상기 제2 요철부 상에 배치된 차광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커버 패널.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기재는 광투과성을 갖는 커버 패널.
  27. 표시부와 비표시부를 갖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커버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패널은,
    플레이트 기재;
    상기 플레이트 기재 상에 배치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에 배치된 데코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데코 필름은,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제1 요철부;
    상기 제1 요철부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 타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제2 요철부; 및
    상기 제1 요철부 상에 배치된 제1 증착층 및 상기 제2 요철부 상에 배치된 제2 증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증착층 및 상기 제2 증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베이스 필름을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반대되는 제2 면을 갖고, 상기 제1 요철부 및 상기 제2 요철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증착층 및 상기 제2 증착층은 각각 금속,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와 상기 제2 요철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비표시부와 중첩하는 표시 장치.
KR1020160164515A 2016-12-05 2016-12-05 데코 필름, 데코 필름을 포함하는 커버 패널 및 데코 필름의 제조방법 Active KR102386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515A KR102386505B1 (ko) 2016-12-05 2016-12-05 데코 필름, 데코 필름을 포함하는 커버 패널 및 데코 필름의 제조방법
US15/831,223 US11016612B2 (en) 2016-12-05 2017-12-04 Decoration film, cover panel comprising decoration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coration film
JP2017233195A JP7041503B2 (ja) 2016-12-05 2017-12-05 デコフィルム、デコフィルムを含むカバーパネル、カバーパネルを含む表示装置、及びデコフィルムの製造方法
EP17205323.3A EP3331224B1 (en) 2016-12-05 2017-12-05 Decoration film, cover panel comprising decoration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coration film
CN201711268102.1A CN108155215B (zh) 2016-12-05 2017-12-05 装饰膜、盖面板以及制造装饰膜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515A KR102386505B1 (ko) 2016-12-05 2016-12-05 데코 필름, 데코 필름을 포함하는 커버 패널 및 데코 필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610A KR20180064610A (ko) 2018-06-15
KR102386505B1 true KR102386505B1 (ko) 2022-04-15

Family

ID=60942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515A Active KR102386505B1 (ko) 2016-12-05 2016-12-05 데코 필름, 데코 필름을 포함하는 커버 패널 및 데코 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16612B2 (ko)
EP (1) EP3331224B1 (ko)
JP (1) JP7041503B2 (ko)
KR (1) KR102386505B1 (ko)
CN (1) CN1081552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9442B2 (en) * 2018-07-03 2022-07-26 Apple Inc. Colored coatings for electronic devices
CN109064882B (zh) * 2018-07-18 2021-01-29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KR102406233B1 (ko) 2018-12-19 2022-06-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N110167296B (zh) * 2019-05-09 2021-08-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盖体、电子设备及盖体的加工方法
CN110416432B (zh) 2019-07-31 2021-12-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oled面板的制备方法、oled面板及oled装置
CN111491471A (zh) * 2020-04-26 2020-08-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制备方法和电子设备
JP7559443B2 (ja) * 2020-09-07 2024-10-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加飾シート、加飾シート付き表示装置、加飾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加飾シート付き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14379066A (zh) * 2020-10-22 2022-04-22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后盖的加工方法、后盖及移动终端
KR102436008B1 (ko) 2020-11-04 2022-08-25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시인성이 향상된 장식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784995B1 (ko) 2020-12-03 2025-03-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30020243A (ko) * 2021-08-03 2023-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돌출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3643614A (zh) * 2021-08-12 2021-11-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盖板组件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30053046A (ko) * 2021-10-13 2023-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커버 패널 부착 장치, 및 커버 패널 부착 방법
KR102708070B1 (ko) 2021-12-16 2024-09-23 주식회사 중원산업 단류선 정량화 기술을 활용한 500Mpa급 수소연료전지차 크로스 멤버 체결용 가이드 볼트 냉간 포머 성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0401A2 (en) 2005-04-08 2006-10-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uctured oriented films for use in displays
KR20070066645A (ko) 2005-12-22 200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방법
KR101316525B1 (ko) 2011-04-06 2013-10-08 (주)엘지하우시스 중첩된 이중 헤어 라인 효과를 갖는 장식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5675966B2 (ja) * 2011-04-27 2015-02-25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有機el素子用の光取出し透明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el素子
JP6010882B2 (ja) * 2011-07-26 2016-10-19 凸版印刷株式会社 表面パネルの作成方法
US9996201B2 (en) 2012-02-23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having improved visi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54233B1 (ko) 2012-02-23 2019-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인성이 개선된 터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23372B1 (ko) 2012-04-17 2014-07-24 율촌화학 주식회사 Tsp용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20130280463A1 (en) * 2012-04-20 2013-10-24 Skinit, Inc. Display protector for consumer products with customizable appearance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KR20140000549A (ko) * 2012-06-25 201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우징 가공 방법 및 장치
KR102072591B1 (ko) * 2012-11-02 2020-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윈도우 부재 및 그 제작 방법
KR20140090366A (ko) 2013-01-08 2014-07-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1336936B1 (ko) 2013-03-05 2013-12-03 크루셜텍 (주) 커버글라스의 제조 방법
KR102050409B1 (ko) * 2013-03-12 2019-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그 제작 방법
WO2014204206A1 (en) * 2013-06-20 2014-12-24 Lg Electronics Inc. Conductive film and touch panel including the same
KR20150051490A (ko) * 2013-11-04 2015-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02553A (ko) 2014-02-28 2015-09-07 (주)엘지하우시스 금속 외관 효과가 우수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2185B1 (ko) * 2014-08-19 2015-04-16 덕산에스지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는 패널
KR20160028595A (ko) * 2014-09-03 2016-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89972A (ja) 2018-06-14
CN108155215A (zh) 2018-06-12
US11016612B2 (en) 2021-05-25
US20180157375A1 (en) 2018-06-07
KR20180064610A (ko) 2018-06-15
EP3331224B1 (en) 2019-10-23
EP3331224A1 (en) 2018-06-06
JP7041503B2 (ja) 2022-03-24
CN108155215B (zh)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6505B1 (ko) 데코 필름, 데코 필름을 포함하는 커버 패널 및 데코 필름의 제조방법
KR102760642B1 (ko) 윈도우 패널,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제조방법
KR102347532B1 (ko)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571381B (zh) 有机发光显示装置
CN113439349B (zh) 显示面板
KR20190086605A (ko) 표시 장치
JP7517864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779967B1 (ko) 표시 장치
KR10249691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119374A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11584545B (zh) 显示装置
CN112736114A (zh) 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US20220131111A1 (en) Display apparatus
CN113363293A (zh) 显示装置和电子设备
CN112103311A (zh) 显示设备
KR2016003974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889741B2 (en)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133285A (ko) 표시 장치
KR102687694B1 (ko)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20220140014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658429B1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171240B1 (ko) 표시장치
US20230165100A1 (en) Display apparatus
US20240049557A1 (en) Displ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wearable device, and display method
KR101698993B1 (ko)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8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2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