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83644B1 -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 - Google Patents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644B1
KR102383644B1 KR1020210171369A KR20210171369A KR102383644B1 KR 102383644 B1 KR102383644 B1 KR 102383644B1 KR 1020210171369 A KR1020210171369 A KR 1020210171369A KR 20210171369 A KR20210171369 A KR 20210171369A KR 102383644 B1 KR102383644 B1 KR 102383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eight
soluble
paint
uretha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형
Original Assignee
(주)리콘
(주)에스지이테크
(주)에스티특수보강
주식회사 나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콘, (주)에스지이테크, (주)에스티특수보강, 주식회사 나린테크 filed Critical (주)리콘
Priority to KR1020210171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64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44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05D2202/10Metallic substrate based on 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3/00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4/00Epoxy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은 도장 객체 표면을 정리하는 표면 정리 단계; 에폭시계 도료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아마이드계 경화제 12 ~ 15 중량부를 혼합 도포하여 하도층 형성하는 하도층 형성 단계; 에폭시계 도료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아마이드계 경화제 12 ~ 15 중량부와 물 5.5 ~ 5.8 중량부를 혼합하되 에어리스 도포하여 중도층 형성하는 중도층 형성 단계; 우레탄계 도료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우레탄계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15.5 ~ 16.5 중량부와 물 5.7 ~ 5.9 중량부를 혼합하되 에어리스 도포하여 상도층 형성하는 상도층 형성 단계; 로 구성되되, 상기 하도층과 중도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에폭시계 도료로서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는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는 물 25 ~ 35 중량%, 비스페놀 A-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중합체 25 ~ 35 중량%, 이산화티타늄 10 ~ 15 중량%, 활석 10 ~ 15 중량%, 이산화 규소 0.5 ~ 5 중량%, 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 에테르 0.5 ~ 5 중량%, 2,2,4-트라이메틸-1,3-펜탄다이올 모노아이소뷰티레이트(2,2,4-Trimethyl-1,3-pentanediol monoisobutyrate) 0.5 ~ 5 중량%, 황산바륨 0.01 ~ 5 중량%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성 폴리아마이드계 경화제는 변성 폴리아민(Modified polyamine) 40 ~ 50 중량%, 물 40 ~ 50 중량%,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POLY(OxyPropylene)DIAMINE) 5 ~ 10 중량% 및 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 에테르 0.5 ~ 5 중량%로 구성되고, 상기 상도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우레탄계 도료로서 수용성 우레탄계 주제는 물 35 ~ 45 중량%, 이산화 티타늄 15 ~ 25 중량%,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M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2-hydroxyethyl methacrylate copolymer) 18 ~ 28 중량%, 2-뷰톡시에탄올 5 ~ 10 중량%, 황산바륨 1 ~ 5 중량%, 아질산 나트륨 0.01 ~ 0.5 중량%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헥산, 1,6-디이소시아네이토-,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 에테르 블로킹(Hexane, 1,6-diisocyanato-,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 ether-blocked) 85 ~ 95 중량% 및 2-뷰톡시에탄올 5 ~ 15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Steel Surface Paint Coating Method Using Water-Soluble Epoxy And Urethane Paint Composition}
본 발명인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은 도장 객체 표면을 정리하는 표면 정리 단계; 에폭시계 도료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아마이드계 경화제 12 ~ 15 중량부를 혼합 도포하여 하도층 형성하는 하도층 형성 단계; 에폭시계 도료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아마이드계 경화제 12 ~ 15 중량부와 물 5.5 ~ 5.8 중량부를 혼합하되 에어리스 도포하여 중도층 형성하는 중도층 형성 단계; 우레탄계 도료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우레탄계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15.5 ~ 16.5 중량부와 물 5.7 ~ 5.9 중량부를 혼합하되 에어리스 도포하여 상도층 형성하는 상도층 형성 단계; 로 구성되되, 상기 하도층과 중도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에폭시계 도료로서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는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는 물 25 ~ 35 중량%, 비스페놀 A-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중합체 25 ~ 35 중량%, 이산화티타늄 10 ~ 15 중량%, 활석 10 ~ 15 중량%, 이산화 규소 0.5 ~ 5 중량%, 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 에테르 0.5 ~ 5 중량%, 2,2,4-트라이메틸-1,3-펜탄다이올 모노아이소뷰티레이트(2,2,4-Trimethyl-1,3-pentanediol monoisobutyrate) 0.5 ~ 5 중량%, 황산바륨 0.01 ~ 5 중량%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성 폴리아마이드계 경화제는 변성 폴리아민(Modified polyamine) 40 ~ 50 중량%, 물 40 ~ 50 중량%,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POLY(OxyPropylene)DIAMINE) 5 ~ 10 중량% 및 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 에테르 0.5 ~ 5 중량%로 구성되고, 상기 상도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우레탄계 도료로서 수용성 우레탄계 주제는 물 35 ~ 45 중량%, 이산화 티타늄 15 ~ 25 중량%,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M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2-hydroxyethyl methacrylate copolymer) 18 ~ 28 중량%, 2-뷰톡시에탄올 5 ~ 10 중량%, 황산바륨 1 ~ 5 중량%, 아질산 나트륨 0.01 ~ 0.5 중량%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헥산, 1,6-디이소시아네이토-,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 에테르 블로킹(Hexane, 1,6-diisocyanato-,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 ether-blocked) 85 ~ 95 중량% 및 2-뷰톡시에탄올 5 ~ 15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에 관한 것이다.
스틸 박스 등 강재 제품(교량의 거더 등 구조물)은 염해나 물의 침투 등에 강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부식되어 내구성이 떨어짐으로써 사용 수명이 감소하게 됨에 따라 내구성 저하가 일어남이 보통이며, 이러한 강재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강재 구조물의 표면을 도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대해 한국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1583731호; 발명의 명칭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 2016년01월08일 공고)은 초산비닐공중합체(Vinyl acetate copolymer) 30~50중량%와 아연(zinc) 10~20중량%와 희석재 20~40중량% 및 첨가재 10~15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방족이나 지환족 또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20~40중량%와 희석재 60~80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경화제 40~60중량부가 혼합된 프라이머 도료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시공하며,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phenol novolak epoxy resin) 10~30중량%와 비스페놀(bis phenol) A형 에폭시 수지 10~30중량%와 다관능성 반응성 희석재 5~10중량부%와 세라믹 충전재 30~60중량% 및 소광제, 침전방지제, 안료, 소포제 중 하나 이상의 첨가재 5~10 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민수지 40~60중량%와 아마이드수지 20~40중량% 및 비스페놀A형 에폭시 10~20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경화제 20~5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중도용 도료를 도포하여 중도층을 시공하고, 아크릴폴리올 50~70중량%와 희석재 15~35중량% 및 첨가제 10~20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관능기가 2개 이상이고 이소시아네이트기 함량이 10 ~ 50%이면서 고형분이 30~70중량%로 조절된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인 경화제 20~50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상도용 도료를 도포하여 상도층을 시공하는 기술이 공개된 바 있는데, 내약품성 및 강인한 내후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바, 결론적으로 강재 내구연한 증진에 대한 솔루션으로는 미흡하다고 본다.
나아가 기존의 유성 도장 조성물의 우수한 물성 즉 소지 부착성, 방청성 및 내약품성에 버금가거나 뛰어넘는 수용성 도장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며, 외부 공간 뿐만 아니라 내부공간에 대해서도 도장이 가능한 친환경성 내지 유독성을 배제한 수용성 도료에 대한 개발이 절실한 형편이다.
이에 대해 한국등록특허 제10-2121701호(발명의 명칭 : 강재 또는 콘크리트 표면 도료 시공 공법; 2020년06월11일 공고)는 구조물의 표면을 정리하는 표면 정리 단계; 에폭시계 도료층을 형성하는 제1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1경화제 20~24 중량부를 혼합 도포후 하도층 형성하는 하도층 형성 단계; 에폭시계 도료층을 형성하는 제1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1경화제 20~24 중량부를 혼합 도포후 중도층 형성하는 중도층 형성 단계; 우레탄계 도료층을 형성하는 제2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2경화제 15.5~17 중량부를 혼합 도포후 상도층 형성하는 상도층 형성 단계; 상기 하도층과 중도층을 형성하는 에폭시도료로서 제1주제는 탈크, 비스페놀 A-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중합체, 자일렌, 방향족 경질 나프타 용매(석유) , 황산바륨, 알루미늄, 이산화규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경화제는 캐슈넛 껍질 기름과 에틸렌디아민과 포름알데히드 중합체 , 자일렌, 1-뷰탄올, 에틸렌디아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도층을 형성하는 우레탄계 도료로서 제2주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M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2-hydroxyethyl methacrylate copolymer), 황산바륨,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트산, 자일렌, 이산화티타늄, 탄산 다이메틸, 카본 블랙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경화제는 자일렌, 폴리헥사메틸렌 디아이소시안산,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n-뷰틸 아세테이트, 아세트산에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또는 콘크리트 표면 도료 시공 공법에 관한 것인데, 본 발명에 의한 도료로 시공을 하는 경우 강재와 콘크리트 표면이라는 다른 특성을 가진 표면에 대해서 각각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고, 콘크리트 표면에 대해서는 우수한 균열 추종성을 가져, 우수한 방수효과를 가지며, 자연재료인 캐슈넛과 같은 재료를 활용하여 저장수를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우수한 탄성과 자외선에 강한 내구성 있는 도막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하나, 유성 도장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난이도가 있으며, 특히 실내도장 시공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83731호 (발명의 명칭 :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 2016년01월08일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2121701호(발명의 명칭 : 강재 또는 콘크리트 표면 도료 시공 공법; 2020년06월11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수용성 조성물로서 기존의 유성 조성물과 같은 특성 즉 우수한 소지부착성, 방청성, 내약품성을 가지되, 철재 표면에 대해서 수분에 의한 부식방지, 오존에 의한 해리 방지 등 도장 객체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여 탁월한 방청 효과를 가지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과 그 도장 공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우수한 작업성을 가지는 수용성 도료로서 내부공간에도 도장 가능하며, 광택 및 색상 보유력이 뛰어난 환경 친화적 초 내후성 도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장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인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은 도장 객체 표면을 정리하는 표면 정리 단계; 에폭시계 도료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아마이드계 경화제 12 ~ 15 중량부를 혼합 도포하여 하도층 형성하는 하도층 형성 단계; 에폭시계 도료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아마이드계 경화제 12 ~ 15 중량부와 물 5.5 ~ 5.8 중량부를 혼합하되 에어리스 도포하여 중도층 형성하는 중도층 형성 단계; 우레탄계 도료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우레탄계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15.5 ~ 16.5 중량부와 물 5.7 ~ 5.9 중량부를 혼합하되 에어리스 도포하여 상도층 형성하는 상도층 형성 단계; 로 구성된다.
상기 하도층과 중도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에폭시계 도료로서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는 물, 비스페놀 A-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중합체, 이산화티타늄, 활석, 이산화 규소, 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 에테르, 2,2,4-트라이메틸-1,3-펜탄다이올 모노아이소뷰티레이트(2,2,4-Trimethyl-1,3-pentanediol monoisobutyrate), 황산바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용성 폴리아마이드계 경화제는 변성 폴리아민(Modified polyamine), 물,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POLY(OxyPropylene)DIAMINE) 및 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 에테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도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우레탄계 도료로서 수용성 우레탄계 주제는 물, 이산화 티타늄,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M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2-hydroxyethyl methacrylate copolymer), 2-뷰톡시에탄올, 황산바륨, 아질산 나트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용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헥산, 1,6-디이소시아네이토-,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 에테르 블로킹(Hexane, 1,6-diisocyanato-,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 ether-blocked) 및 2-뷰톡시에탄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는 물 25 ~ 35 중량%, 비스페놀 A-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중합체 25 ~ 35 중량%, 이산화티타늄 10 ~ 15 중량%, 활석 10 ~ 15 중량%, 이산화 규소 0.5 ~ 5 중량%, 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 에테르 0.5 ~ 5 중량%, 2,2,4-트라이메틸-1,3-펜탄다이올 모노아이소뷰티레이트(2,2,4-Trimethyl-1,3-pentanediol monoisobutyrate) 0.5 ~ 5 중량%, 황산바륨 0.01 ~ 5 중량%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폴리아마이드계 경화제는 변성 폴리아민(Modified polyamine) 40 ~ 50 중량%, 물 40 ~ 50 중량%,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POLY(OxyPropylene)DIAMINE) 5 ~ 10 중량% 및 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 에테르 0.5 ~ 5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성 우레탄계 주제는 물 35 ~ 45 중량%, 이산화 티타늄 15 ~ 25 중량%,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M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2-hydroxyethyl methacrylate copolymer) 18 ~ 28 중량%, 2-뷰톡시에탄올 5 ~ 10 중량%, 황산바륨 1 ~ 5 중량%, 아질산 나트륨 0.01 ~ 0.5 중량%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헥산, 1,6-디이소시아네이토-,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 에테르 블로킹(Hexane, 1,6-diisocyanato-,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 ether-blocked) 85 ~ 95 중량% 및 2-뷰톡시에탄올 5 ~ 15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M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2-hydroxyethyl methacrylate copolymer)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와 부틸 아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비율은 1 : 1~1.2 인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하도층의 도막 두께는 60 ~ 85 μm로 하고, 중도층의 도막 두께는 70 ~ 80 μm로 하고, 상도층의 도막 두께는 40 ~ 55 μm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수용성 도료 조성물로서 기존의 유성 조성물과 같은 특성 즉 우수한 소지부착성, 방청성, 내약품성을 가지되, 철재 표면에 대해서 수분에 의한 부식방지, 오존에 의한 해리 방지 등 도장 객체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여 탁월한 방청 효과를 가지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과 그 도장 공법을 제공한다.
(2) 본 발명은 우수한 작업성을 가지는 수용성 도료로서 내부공간에도 도장 가능하며, 광택 및 색상 보유력이 뛰어난 환경 친화적 초 내후성 도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장공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의 시계열적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은 도장 객체 표면을 정리하는 표면 정리 단계; 에폭시계 도료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아마이드계 경화제 12 ~ 15 중량부를 혼합 도포하여 하도층 형성하는 하도층 형성 단계; 에폭시계 도료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아마이드계 경화제 12 ~ 15 중량부와 물 5.5 ~ 5.8 중량부를 혼합하되 에어리스 도포하여 중도층 형성하는 중도층 형성 단계; 우레탄계 도료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우레탄계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15.5 ~ 16.5 중량부와 물 5.7 ~ 5.9 중량부를 혼합하되 에어리스 도포하여 상도층 형성하는 상도층 형성 단계; 로 구성된다.
하도층과 중도층
상기 하도층과 중도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에폭시계 도료로서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는 물, 비스페놀 A-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중합체, 이산화티타늄, 활석, 이산화 규소, 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 에테르, 2,2,4-트라이메틸-1,3-펜탄다이올 모노아이소뷰티레이트(2,2,4-Trimethyl-1,3-pentanediol monoisobutyrate), 황산바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용성 폴리아마이드계 경화제는 변성 폴리아민(Modified polyamine), 물,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POLY(OxyPropylene)DIAMINE) 및 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 에테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는 물 25 ~ 35 중량%, 비스페놀 A-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중합체 25 ~ 35 중량%, 이산화티타늄 10 ~ 15 중량%, 활석 10 ~ 15 중량%, 이산화 규소 0.5 ~ 5 중량%, 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 에테르 0.5 ~ 5 중량%, 2,2,4-트라이메틸-1,3-펜탄다이올 모노아이소뷰티레이트(2,2,4-Trimethyl-1,3-pentanediol monoisobutyrate) 0.5 ~ 5 중량%, 황산바륨 0.01 ~ 5 중량%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폴리아마이드계 경화제는 변성 폴리아민(Modified polyamine) 40 ~ 50 중량%, 물 40 ~ 50 중량%,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POLY(OxyPropylene)DIAMINE) 5 ~ 10 중량% 및 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 에테르 0.5 ~ 5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스페놀 A-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중합체는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가 에폭시계 도료의 특징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서, 특히 금속표면에 친화성 내지 접착성이 뛰어난 특징이 있는데, 25 ~ 35 중량 %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금속표면과의 접착성이 떨어지거나, 박리현상이 일어나는 등 시공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도막의 내구력을 높이고, 도막을 불투명하게 하는 첨가제로서 기능한다.
상기 활석은 석면이 포함되지 않는 분말 형태의 것을 사용해야 하며, 하도층을 형성할 경우 흡수성과 고착성이 강해 강재의 고르지 못한 표면이나 균열에 대응하기 위한 충전제 기능 및 주제의 미끄럼조정제로서 기능을 하며 내화재로서도 기능하는데, 15 중량%를 초과하면 도막 강도가 물러져 시공성이 떨어지고, 10 중량% 미만 사용시 균열에 대한 충전제로서의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고, 표면과의 접착성능이 약화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 에테르는 독성이 낮고 극성 및 비극성 물질 모두에 강한 용해력을 가지며, 도막에 강도를 높이는 기능을 한다.
상기 2,2,4-트라이메틸-1,3-펜탄다이올 모노아이소뷰티레이트는 경화될 경우 상도층의 우레탄 도료층과 친화성 및 접착성을 가지게 되며, 0.5 중량% 미만일 경우 상도층과의 접착성이 거의 없어 도막 박리가 일어나는 주요한 요인이 되며, 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접착성에 대한 선형적인 효과가 떨어지며, 건조시간이 늘어나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
상기 황산바륨은 도료 바탕을 이루는 흰색으로서 다른 컬러의 색들과 조색성이 뛰어나고,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가 쉽게 변색되지 않도록 하는데, 0.01 중량 % 미만 사용은 조색성 및 변색성 특징에 있어서 무의미한 사용이며, 5 중량 %를 초과하여 투입하는 사용은 타 물질과의 중량 비율상 더 이상 나은 효과가 없음에도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상기 이산화규소는 활석과 결합 사용시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가 경화제에 의해 경화될 경우 단단하면서도 탄성을 가지게 하는 기능을 하는데, 0.5 중량 % 미만 사용에 있어서는 철재 표면과 친화성을 갖는 특징이 거의 발현되지 않고, 5 중량 % 를 초과하는 실시는 오히려 시공성이 나빠져 시공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수용성 폴리아마이드계 경화제의 구성중 하나인 변성 폴리아민(Modified polyamine)은 상기 경화제의 희석 내지 용매기능을 하는데, 5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경화시간이 매우 길어져 시공기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POLY(OxyPropylene)DIAMINE)은 상기 변성 폴리아민과 더불어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를 안정화하면서 경화시켜 도료층의 박리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중량비를 벗어나게 되면 역시 빠른 시간에 경화가 되지 않아 시공기가 매우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 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 에테르는 소량 사용하여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의 경화촉진제로서 경화시간을 단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하도층의 도막 두께는 60 ~ 85 μm로 하고, 중도층의 도막 두께는 70 ~ 80 μm로 함이 바람직하며, 하도층과 중도층의 건조 도막 두께합은 대략 150u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도층의 도포의 경우엔 물 5.5 ~ 5.8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에어리스로 도포하게 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데, 물의 추가는 에어리스에 의한 작업효율을 높이고, 이미 한번 작업이 된 도막층에 손상을 주지않고 정밀하게 작업할 수 있다는 작업성에 관련된 것으로 시공품질을 높이고 시공기를 더욱 앞당기는 효과가 있다.
도포율은 1리터당 약 3.7m^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된 도막은 부착성, 방청력, 내수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치밀하게 형성되며, 특히 내후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 및 2와 그 비교예
다음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중량비를 기준으로 도료조성물로서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를 혼합하고 모두 동일한 수용성 폴리아마이드계 경화제(변성 폴리아민:물: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 에테르=45:45:6:4 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를 중량비 1:0.13비율로 혼합한 것을 콘크리트와 강재표면에 1mm 두께로 분사하고, 각각 6시간 경과후의 물성(25℃ 상대습도 60%)을 시험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성분 실시예1 비교예1(A) 비교예1(B) 실시예2 비교예2(B) 비교예2(B)
33 33 33 32 32 32
비스페놀A-비스페놀A 디글리시딜에테르중합체 33 33 33 32 32 32
이산화티타늄 12 12 12 12 11 11
활석 12 12 12 11 11 10
이산화규소 3 3 3 3 3 3
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 에테르 3.4 3.5 3.6 2 2 1
2,2,4-트라이메틸-1,3-펜탄다이올 모노아이소뷰티레이트 0.6 0.5 0.4 5 6 8
황산바륨 3 3 3 3 3 3
성분 실시예1 비교예1(A) 비교예1(B) 실시예2 비교예2(B) 비교예2(B)
강재(육안관찰) 정상 정상 일부박리 정상 정상 정상
강재(경화시간) 경화 경화 경화 경화 비경화(+2시간 초과) 비경화(+6시간 초과)
강재(도막강도) 강함 정상 약함 강함 정상 매우약함
상기 표2의 결과로 알 수 있듯이, 도료 성분중 2,2,4-트라이메틸-1,3-펜탄다이올 모노아이소뷰티레이트의 0.5~5 중량 %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도막층이 박리되거나, 경화시간이 늘어나는 것은 물론 시공품질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도층
상기 상도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우레탄계 도료로서 수용성 우레탄계 주제는 물, 이산화 티타늄,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M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2-hydroxyethyl methacrylate copolymer), 2-뷰톡시에탄올, 황산바륨, 아질산 나트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용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헥산, 1,6-디이소시아네이토-,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 에테르 블로킹(Hexane, 1,6-diisocyanato-,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 ether-blocked) 및 2-뷰톡시에탄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성 우레탄계 주제는 물 35 ~ 45 중량%, 이산화 티타늄 15 ~ 25 중량%,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M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2-hydroxyethyl methacrylate copolymer) 18 ~ 28 중량%, 2-뷰톡시에탄올 5 ~ 10 중량%, 황산바륨 1 ~ 5 중량%, 아질산 나트륨 0.01 ~ 0.5 중량%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헥산, 1,6-디이소시아네이토-,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 에테르 블로킹(Hexane, 1,6-diisocyanato-,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 ether-blocked) 85 ~ 95 중량% 및 2-뷰톡시에탄올 5 ~ 15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M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2-hydroxyethyl methacrylate copolymer)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와 부틸 아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비율은 1 : 1~1.2 인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경화된 중도층의 도막 표면과 친화성 내지 접착성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도막의 내구력을 높이고, 도막을 불투명하게 하는 첨가제로서 기능한다.
상기 황산바륨은 도료 바탕을 이루는 흰색으로서 다른 컬러의 색들과 조색성이 뛰어나고, 제2주제가 쉽게 변색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2-뷰톡시에탄올은 본 발명에 중도층의 수용성 에폭시계 도료와 친화성을 가져 상기 중도층의 건조된 표면과 접착성을 향상시켜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는데, 10 중량% 이상을 사용하면 투입되는 만큼 비례하여 효과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5중량% 미만을 사용하면 건조된 중도층과 접착성이 떨어져 부분적인 박리현상이 나타났다.
상기 아질산나트륨은 물에 매우 잘녹아 용제로서의 기능을 가지되 소량으로 건조시 도막층의 부식방지 즉 내식성 및 내후성의 효과를 부여한다.
상기 수용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중 헥산, 1,6-디이소시아네이토-,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 에테르 블로킹(Hexane, 1,6-diisocyanato-,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 ether-blocked) 85 ~ 95 중량% 은 우레탄계 도료에 대한 경화기능 내지 경화촉진 기능을 가지며, 상기 2-뷰톡시에탄올은 상기 중도층의 건조된 표면과 접착성을 좋게 하여 박리가 일어나지 않게 하면서 용제로서도 기능을 한다.
상도층의 도포의 경우엔 중도층과 마찬가지로 물 5.7 ~ 5.9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에어리스로 도포하게 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데, 물의 추가는 에어리스에 의한 작업효율을 높이고, 이미 시공된 도막층에 손상을 주지않고 정밀하게 작업할 수 있고, 중도층의 도막과 접착성을 높여 시공품질을 높이고 시공기를 더욱 앞당기는 효과가 있다.
상기 상도층 형성단계는 상온에서 경화 내지 건조시간을 20℃ 상대습도 60%일 때 6 ~ 7 시간으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도층의 도막 두께는 40 ~ 55 μm로 하되 건조도막두께는 50um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포율은 1리터당 12m^2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도층과 상도층의 에어리스 도포는 노즐팁 구경이 0.015 ~ 0.021"이고 분사압력이 120kg/cm^2 이상인 조건에서 시행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및 4와 그 비교예
다음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중량비를 기준으로 도료조성물로서 수용성 우레탄계 도료 주제를 혼합하고 모두 동일한 수용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헥산, 1,6-디이소시아네이토-,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 에테르 블로킹:2-뷰톡시에탄= 90:10) 및 물을 1:0.16:0.058 비율로 혼합한 것을 완전히 경화된 에폭시 수지 표면에 50 μm 두께로 분사하고, 각각 6시간 경과후(20℃ 상대습도 60%)의 물성을 시험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성분 실시예3 비교예3(A) 비교예3(B) 실시예4 비교예4(B) 비교예4(B)
42 42 42 42 42 41
이산화 티타늄 23 24 25 22 22 21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 26 26 26 23 22 21
2-뷰톡시에탄올 5 4 2 10 11 15
황산바륨 3.7 3.7 4.7 2.7 2.7 1.7
아질산 나트륨 0.3 0.3 0.3 0.3 0.3 0.3
성분 실시예3 비교예3(A) 비교예3(B) 실시예4 비교예4(B) 비교예4(B)
육안관찰 정상 일부 박리 박리 심함 정상 정상 정상
경화시간 정상 경화 경화 정상 비경화(+4시간 초과) 비경화(+84시간 초과)
도막강도 매우강함 강함 약함 강함 보통 약함
상기 표4의 결과로 알 수 있듯이, 2-뷰톡시에탄올의 5~10 중량 % 범위를 벗어난 경우 도막강도가 약하거나 표면에서 박리현상이 일어나는 등 모두 시공품질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거나, 경화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수용성 도료 조성물로서 기존의 유성 조성물과 같은 특성 즉 우수한 소지부착성, 방청성, 내약품성을 가지되, 철재 표면에 대해서 수분에 의한 부식방지, 오존에 의한 해리 방지 등 도장 객체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여 탁월한 방청 효과를 가지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과 그 도장 공법을 제공한다.
(2) 본 발명은 우수한 작업성을 가지는 수용성 도료로서 내부공간에도 도장 가능하며, 광택 및 색상 보유력이 뛰어난 환경 친화적 초 내후성 도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장공법을 제공한다.

Claims (5)

  1.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에 있어서,
    상기 도료 도장 공법은
    도장 객체 표면을 정리하는 표면 정리 단계;
    에폭시계 도료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아마이드계 경화제 12 ~ 15 중량부를 혼합 도포하여 하도층 형성하는 하도층 형성 단계;
    에폭시계 도료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아마이드계 경화제 12 ~ 15 중량부와 물 5.5 ~ 5.8 중량부를 혼합하되 에어리스 도포하여 중도층 형성하는 중도층 형성 단계;
    우레탄계 도료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우레탄계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15.5 ~ 16.5 중량부와 물 5.7 ~ 5.9 중량부를 혼합하되 에어리스 도포하여 상도층 형성하는 상도층 형성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하도층과 중도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에폭시계 도료로서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는 물, 비스페놀 A-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중합체, 이산화티타늄, 활석, 이산화 규소, 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 에테르, 2,2,4-트라이메틸-1,3-펜탄다이올 모노아이소뷰티레이트(2,2,4-Trimethyl-1,3-pentanediol monoisobutyrate), 황산바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용성 폴리아마이드계 경화제는 변성 폴리아민(Modified polyamine), 물,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POLY(OxyPropylene)DIAMINE) 및 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 에테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도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우레탄계 도료로서 수용성 우레탄계 주제는 물, 이산화 티타늄,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M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2-hydroxyethyl methacrylate copolymer), 2-뷰톡시에탄올, 황산바륨, 아질산 나트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용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헥산, 1,6-디이소시아네이토-,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 에테르 블로킹(Hexane, 1,6-diisocyanato-,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 ether-blocked) 및 2-뷰톡시에탄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에폭시계 주제는 물 25 ~ 35 중량%, 비스페놀 A-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중합체 25 ~ 35 중량%, 이산화티타늄 10 ~ 15 중량%, 활석 10 ~ 15 중량%, 이산화 규소 0.5 ~ 5 중량%, 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 에테르 0.5 ~ 5 중량%, 2,2,4-트라이메틸-1,3-펜탄다이올 모노아이소뷰티레이트(2,2,4-Trimethyl-1,3-pentanediol monoisobutyrate) 0.5 ~ 5 중량%, 황산바륨 0.01 ~ 5 중량%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성 폴리아마이드계 경화제는 변성 폴리아민(Modified polyamine) 40 ~ 50 중량%, 물 40 ~ 50 중량%,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POLY(OxyPropylene)DIAMINE) 5 ~ 10 중량% 및 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 에테르 0.5 ~ 5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우레탄계 주제는 물 35 ~ 45 중량%, 이산화 티타늄 15 ~ 25 중량%,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M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2-hydroxyethyl methacrylate copolymer) 18 ~ 28 중량%, 2-뷰톡시에탄올 5 ~ 10 중량%, 황산바륨 1 ~ 5 중량%, 아질산 나트륨 0.01 ~ 0.5 중량%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헥산, 1,6-디이소시아네이토-,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 에테르 블로킹(Hexane, 1,6-diisocyanato-,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 ether-blocked) 85 ~ 95 중량% 및 2-뷰톡시에탄올 5 ~ 15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M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2-hydroxyethyl methacrylate copolymer)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와 부틸 아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비율은 1 : 1~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도층의 도막 두께는 60 ~ 85 μm로 하고,
    중도층의 도막 두께는 70 ~ 80 μm로 하고,
    상도층의 도막 두께는 40 ~ 55 μm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
KR1020210171369A 2021-12-02 2021-12-02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 Active KR102383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369A KR102383644B1 (ko) 2021-12-02 2021-12-02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369A KR102383644B1 (ko) 2021-12-02 2021-12-02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644B1 true KR102383644B1 (ko) 2022-04-11

Family

ID=8121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369A Active KR102383644B1 (ko) 2021-12-02 2021-12-02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6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731B1 (ko) 2015-08-31 2016-01-08 피엔에이건설 주식회사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
KR102121701B1 (ko) 2019-11-28 2020-06-11 (주)리콘 강재 또는 콘크리트 표면 도료 시공 공법
KR102331925B1 (ko) * 2021-02-19 2021-12-01 (주)삼화피앤씨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를 이용한 강재 표면 도료 시공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731B1 (ko) 2015-08-31 2016-01-08 피엔에이건설 주식회사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
KR102121701B1 (ko) 2019-11-28 2020-06-11 (주)리콘 강재 또는 콘크리트 표면 도료 시공 공법
KR102331925B1 (ko) * 2021-02-19 2021-12-01 (주)삼화피앤씨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를 이용한 강재 표면 도료 시공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701B1 (ko) 강재 또는 콘크리트 표면 도료 시공 공법
KR101715825B1 (ko) 무용제형 하도용 고방식 도료와 실란 함유 중상도용 고방식 도료 및 이를 이용한 이중도막 초내후성 강구조물 도장방법
KR101488657B1 (ko) 중방식 도장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10983B1 (ko) 철재 및 강구조물의 친환경 방식도장 공법
KR102364256B1 (ko) 수성 에폭시 하이빌드 방청프라이머와 하이브리드 수지 세라믹 방식코팅재를 이용한 강구조물의 친환경 도장 보수 공법
KR102331925B1 (ko)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를 이용한 강재 표면 도료 시공 공법
RU2378307C2 (ru) Состав для защитного покрытия
JP5993799B2 (ja) Snイオンを利用した高耐食性塗料組成物
KR102383644B1 (ko)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
KR100778232B1 (ko) 고강도 수용성 도막 방수제
KR20130075231A (ko) 에폭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방청 도막
KR101752385B1 (ko) 습윤면용 경화성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
KR100778230B1 (ko) 수용성 도막 방수제
KR102325973B1 (ko) 친환경 세라믹계 도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구조물 도장방법
JP5775800B2 (ja) 1液常温架橋型水性被覆組成物
KR101551746B1 (ko) 속건성 수성 에어로졸 스프레이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434199B1 (ko) 옻 성분을 함유하는 방식성 에폭시 도료 조성물
KR102103226B1 (ko) 해안 강구조물 방식 도장 방법
KR20240061538A (ko) 부착성이 향상된 에폭시 프라이머 조성물
JP2001131468A (ja) 補修用塗料組成物及び設備補修方法
KR102103223B1 (ko) 강구조물 방식 도장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4076008A (ja) 下塗材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塗装方法
JPS58137471A (ja) 旧塗膜上の補修塗装仕上げ方法
JP2004143423A (ja) 下塗材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塗装方法
KR102583913B1 (ko) 작업 공기 단축이 가능한 지하 주차장 바닥 에폭시 재시공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