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80903B1 - 개선된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을 가진 재밀봉 가능한 용기 - Google Patents

개선된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을 가진 재밀봉 가능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903B1
KR102380903B1 KR1020187034828A KR20187034828A KR102380903B1 KR 102380903 B1 KR102380903 B1 KR 102380903B1 KR 1020187034828 A KR1020187034828 A KR 1020187034828A KR 20187034828 A KR20187034828 A KR 20187034828A KR 102380903 B1 KR102380903 B1 KR 102380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layer
layer
package
bottom layer
cover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2499A (ko
Inventor
필립페 부르고앙
엘케 루칭거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90022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90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12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38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combined with separate fixed tearing means, e.g.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18Container formed by a flexible material, i.e. soft-packages
    • B65D85/1027Ope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65D85/105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lid
    • B65D85/10568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lid opening of the lid opens simultaneously an inner package within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소비재용 재밀봉 가능한 용기는 접근 개구를 제공하기 위해 패키지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가능한 커버 부분을 가진 소비재의 패키지; 및 커버 부분 위에 놓여지는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을 포함한다. 라벨은 적어도 하단 층 및 상단 층을 포함한다. 하단 층은 적어도 커버 부분의 주변부 주위에 연장되는 컷아웃 부분을 포함하고 커버 부분의 주변부 주위에 연장되는 하단 층의 내부 표면의 제1 영역 상에 제공된 영구 접착제에 의해 패키지에 부착된다. 상단 층은 패키지의 힌지 영역 상에 제공된 제1 접착제에 의해 패키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힌지 영역으로부터 원위단으로 그리고 적어도 커버 부분의 구역 위에 연장되는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박리 영역 상에 제공된 제2 접착제에 의해 하단 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상단 층은 상단 층이 적어도 하단 층의 컷아웃 부분 위에 놓여지는 밀폐 위치, 및 상단 층이 하단 층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개봉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하다. 게다가, 하단 층 높이는 상단 층 높이 미만이거나 하단 층 폭은 상단 층 미만이거나 둘 다이다. 따라서,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박리 영역은 패키지 위에 놓여지기 위해 하단 층의 주변부를 지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개선된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을 가진 재밀봉 가능한 용기
본 발명은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을 포함하는 소비재용 용기에 관한. 특히, 본 발명의 용기는, 흡연 물품 같은 세장형 소비재 아이템용 용기로서의 적용예를 발견한다.
흡연 물품은 통상적으로 강성의 힌지 뚜껑 용기에 패키징된다. 박스에 수용된 흡연 물품의 번들은, 일반적으로, 금속화된 페이퍼, 금속 포일 또는 다른 가요성 시트 재료의 내부 라이너, 또는 패키지로 래핑된다. 내부 패키지의 밀봉된 조건은, 패키지 내부의 물품이 적어도 용기의 최초 개봉까지 원래의 상태로 보존된다는 증명으로서 소비자에 의해 이해된다.
용기는, 예를 들어 WO-A-2008/142540으로부터 공지되어 있고, 여기서 흡연 물품은 커버 플랩의 밑면에 적용된 비건조 접착제를 이용하여 내부 패키지에 탈착식으로 첨부되는 커버 플랩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폐쇄된 추출 개구를 갖는 내부 패키지에 둘러싸인다. 이러한 패키지는 힌지 뚜껑 용기에 수용될 수 있으며, 커버 플랩은 뚜껑의 전면 벽의 내부 표면에 영구적으로 그리고 제거 불가능하게 접착되어 뚜껑의 개폐가 커버 플랩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출 개구가 드러난다. WO2016/059077은 다른 재밀봉 가능한 용기를 개시하며, 패키지 내의 접근 개구는 라벨링 웹 물질의 적어도 2개의 층으로 덮여 있다. 제1 층은 제1 접착제에 의해 패키지 상에 직접 적용되어 있다. 제2 층은 제1 층 상으로 적용되며 여러 번 제1 층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제1 층에 재부착될 수 있는 자기-접착식 재밀폐형 스티커 접착제 라벨로서 실질적으로 구조화되고 기능한다.
처음으로 개봉되기 전에, 이러한 용기는 건조한 외부 조건 하에서 용기 내의 소비재의 수분 함량을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되며 오히려 열대성 기후에서 수분 흡수로부터 소비재를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개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커버 플랩은 저강도의 재밀봉 가능한 접착제에 의해 내부 패키지에 부착되며, 따라서 커버 플랩의 반복된 개봉 및 재폐쇄 후에, 하나의 이러한 커버 플랩의 밀봉 효율은 특히 극한 기후(예를 들어, 열대 기후 또는 사막 기후) 하에서 내부 팩 내에 원하는 수분 함유량을 유지하기 어려워질 수 있는 지점까지 감소될 수 있다.
일부 종류의 담배 제품은 그의 수분 함유량의 변화에 극도로 민감하다. 그러므로, 소비자 물품용 용기의 습기 차단 특성을 개선할 필요성이 본 기술 분야에서 느껴지고 있다. 전형적으로, ±5%의 범위, 가끔은 심지어 ±1%처럼 낮은 범위 내에서의 변동은 그러한 담배 제품의 맛이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 물품용 용기의 습기 차단 특성을 개선할 필요성이 본 기술 분야에서 느껴지고 있다.
수 개의 해결법은 그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안되었고, 또한, 상기 설명된 용기는 내부 패키지의 첫 번째 개봉 이전에 개선된 습기 차단 특성을 나타내지만, 그것은 극한의 기상 조건 하에서의 용기의 사용과 연관되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지는 않는다.
동시에, 개봉하기 쉬운 것으로 일반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재밀봉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통상적으로, 처음으로(개봉력이 최대일 때) 패키지의 표면의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을 박리하는데 요구되는 힘이 약 18 뉴턴 이상인 경우, 용기는 개봉하기 불편한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는 점이 관찰되었다. 다른 한편, 12 뉴턴 이하의 첫 개봉 시에 개봉력을 갖는 용기는 일반적으로 개봉하기 용이한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따라서, 내부 패키지의 첫 개봉 전과 용기의 정상적인 사용 중 모두에 용기 내의 물품의 바람직한 수분 함유량이 유지될 수 있도록 신규하고 개선된 소비재용 재밀봉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용기가 극한의 기후 조건에 노출된 경우에도 물품의 바람직한 수분 함량을 보존할 수 있는 개선된 소비재용 재밀봉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게다가, 개봉하기 쉬운 하나의 그러한 소비재용 재밀봉 가능한 용기, 및 바람직하게는 기존 장비에 임의의 주요 수정을 필요로 하는 것 없이 쉽게 제조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소비재용 재밀봉 가능한 용기가 제공되어 있다. 용기는 소비재의 패키지를 포함하며, 패키지는 약한 선에 의해 범위 설정되는 커버 부분을 포함하여 커버 부분은 소비재가 제거될 수 있는 접근 개구를 제공하기 위해 패키지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다. 또한, 용기는 커버 부분을 덮도록 놓여지고 패키지의 커버 부분의 주변부를 지나 연장되는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을 포함한다.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은 적어도 라벨 재료의 하단 층 및 상단 층을 포함하며, 하단 층은 하단 층 높이 및 하단 층 폭을 갖고, 상단 층은 상단 층 높이 및 상단 층 폭을 갖는다. 하단 층은 커버 부분의 주변부 주위에 연장되는 하단 층의 내부 표면의 제1 영역 상에 제공되는 제1 영구 접착제에 의해 패키지에 부착된다. 또한, 하단 층은 패키지의 커버 부분의 주변부 주위에 적어도 연장되는 컷아웃 부분을 포함한다. 상단 층은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후면 힌지 영역 상에 제공된 제1 영구 접착제에 의해 패키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힌지 영역으로부터 원위단으로 그리고 적어도 커버 부분의 구역 위에 연장되는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박리 영역 상에 제공된 제2 접착제에 의해 하단 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단 층은 상단 층이 적어도 하단 층의 컷아웃 부분 위에 놓여지는 밀폐 위치, 및 상단 층이 하단 층에서 들어 올려지는 개봉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하다. 게다가, 하단 층 높이는 상단 층 높이 미만이거나 하단 층 폭은 상단 층 폭 미만이거나 둘 다이어서,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박리 영역은 하단 층의 주변부를 지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패키지 위에 놓여진다.
본 명세서 내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상단", "하단" 및 "측면"은 폐쇄 위치에서 외부 하우징의 리드가 있고 용기의 후방에 힌지선이 있는 직립 위치에 용기가 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부분 및 그의 구성 요소의 상대 위치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설명할 때, 이들 용어는 설명되는 용기의 배향과 관계없이 사용된다. 힌지 뚜껑 용기 하우징의 후면 벽은 힌지선을 포함하는 벽이다. 패키지의 접근 개구는 패키지의 상부 부분에 배치되어 접근 개구는 패키지의 상단 벽을 가로질러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근 개구의 전체가 패키지의 상단 벽에 형성되는 경우, 접근 개구의 전방 에지는 패키지의 상단 벽의 전방 부분에 있다. 접근 개구가 패키지의 상단 벽과 전면 벽에 걸쳐서 연장되는 경우, 접근 개구의 전방 에지는 또한 접근 개구의 하부 에지이며 패키지의 전면 벽의 상부 부분에 위치된다.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의 상단 층은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의 하단 층보다 용기의 후면을 향해 더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힌지 영역은 상단 층의 후면에 있을 것이고, 상단 층은 상단 층이 밀폐 위치로부터 개봉 위치로 이동될 때, 소비자가 전면으로부터 용기 내의 개구 및 제품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 주위에서 피봇 가능할 것이다.
대안으로서,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의 상단 층은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의 하단 층보다 일 측면을 향해 더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힌지 영역은 상단 층의 일 측면 상에 있을 것이고, 상단 층은 상단 층이 밀폐 위치로부터 개봉 위치로 이동될 때, 소비자가 일 측면으로부터 용기 내의 개구 및 제품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 주위에서 피봇 가능할 것이다.
용어 "길이 방향"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의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을 지칭한다. 용어 "가로 방향"은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지칭한다.
용어 "폭"은 가로 방향으로 측정될 때 용기의 라벨 또는 플랩의 구성 요소의 치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용어 "높이"는 요소의 폭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될 때 용기의 라벨 또는 플랩의 요소의 치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용어 "두께는 요소의 폭 및 높이 둘 다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되는 바와 같이 용기의 라벨 또는 플랩의 요소의 치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라벨 또는 라벨의 요소를 설명할 때, 참조는 일반적으로 편평한 상태의 라벨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라벨 또는 라벨의 요소, 예컨대 다층 라벨의 층을 지칭할 때, 용어 "폭" 및 "높이"는 편평한 라벨 또는 요소가 있는 평면을 정의하는 가로 방향 및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측정되는 바와 같이 라벨 또는 요소의 치수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반면에, 용어 "두께"는 편평한 라벨 또는 요소가 있는 평면에 수직인 축을 따라 측정되는 바와 같이 라벨 또는 요소의 치수를 나타낸다.
용어 "내부 표면"은 용기의 내부를 향해, 예를 들어 용기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소비재를 향해 면하고 있는 조립된 용기의 구성 요소의 표면을 지칭하도록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사용된다. 유사하게, 용어 "외부 표면"은 용기의 외부를 향해 면하고 있는 용기의 구성 요소의 표면을 지칭하기 위해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은 일부 구현예에서, 용기의 외부 힌지 뚜껑 하우징에 면하고 있는 외부 표면 및 패키지 및 소비재의 내측에 면하고 있는 내부 표면을 포함한다. 내측 또는 외측 표면은 용기의 조립체에 사용되는 블랭크의 특정 측면과 반드시 동등할 필요는 없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블랭크가 소비재 주위로 어떻게 접히는지에 따라서, 용기의 동일한 측면에 있는 영역은 용기의 내측을 향하거나 외측을 향해 면할 수 있다.
용어 "힌지선"은 용기를 개방하기 위해서 리드가 피봇팅될 수 있는 선을 지칭한다. 힌지선은, 예를 들어 용기의 후면 벽을 형성하는 패널 내의 접힘선 또는 눈금선일 수 있다.
용어 "약한 선"은 예를 들어 주름, 스코링(scoring), 절제, 천공 또는 사전 절단에 의해 기계적으로 변형되었던 패키지를 형성하는 적층 블랭크를 따라 선을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되어, 약한 선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범위 설정되는 적층 블랭크의 일부는 사용 중에 적층 블랭크의 나머지에 부착을 유지하는 동안, 적층 블랭크의 나머지로부터 쉽게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예로서, 약한 선은 3개의 측면 상에 밀봉 커버 부재의 패키지 부분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어, 적층 블랭크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직사각형 플랩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그러한 직사각형 플랩은 측면 약한 선의 단부를 연결하는 힌지선 주위에서 피봇하기 위해 벗어난다. 밀봉 커버 부재의 패키지 부분은 다른 형상 및 크기일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영구 접착제"는 2개의 기재 사이 -예를 들어,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의 하단 층과 소비재의 패키지 사이-에 신뢰성있고 확실한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 일반적으로 높은 점착 접착제를 나타내어 용기의 정상적이고 의도된 사용 중에 2개의 기재가 실질적으로 분리될 수 없다. 실제로, 영구 접착제에 의해 서로 부착된 2개의 기재의 분리는 전형적으로 관련된 하나 또는 양 기재에 일부 바람직하지 않은 손상(예를 들어, 찢어짐)을 유발할 것이다. 용어 "재밀봉 가능한 접착제"는 2개의 기재 사이-예를 들어,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의 상단 층과 하단 층 사이-에 내습성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 일반적으로 낮은 점착성의 제거 가능한 접착제를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어 2개의 기재는 어느 하나의 기재에 임의의 손상을 야기하는 것 없이 반복적으로 분리되고 서로 재부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영구 접착제"는 또한 소위 "반영구 접착제", 즉, 처음에, 실질적으로 유사한 제거 가능한 접착제로 행동하는 그러한 접착제를 포함하도록 의미되어, 반영구 접착제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2개의 기재는 초기 기간 동안, 분리될 수 있는 반면에, "반영구 접착제"는 2개의 기재 사이에 효과적으로 영구적인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시간에 따라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패키지의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 및 커버 부분은 패키지의 상단 벽 위에만, 패키지의 상단 및 전면 벽 둘 다 위에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 또는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 및 커버 부분 둘 다는 패키지의 후면 벽 위에 더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부분은 패키지의 상단 벽 위에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될 수 있는 반면에,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은 패키지의 상단 벽 및 후면 벽 위에 연장될 수 있으며, 상단 층의 후면 힌지 영역은 패키지의 후면 벽의 외부 표면의 상단 부분 위에 놓여진다. 패키지의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 또는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의 요소 또는 커버 부분을 설명할 때, 편평한 상태에서 라벨 또는 커버 부분에 대한 참조가 일부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재밀봉 가능한 용기는 소비재의 패키지의 포함하며, 패키지는 적층 블랭크로 형성되고 약한 선에 의해 범위 설정되는 커버 부분을 포함하여, 커버 부분은 패키지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다. 따라서, 소비재가 제거될 수 있는 접근 개구는 패키지의 상단에 이용가능해진다. 또한, 용기는 커버 부분을 덮도록 놓여지고 패키지의 커버 부분의 주변부를 지나 연장되는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을 포함한다.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은 적어도 라벨 재료의 하단 층과 상단 층을 포함한다. 하단 층은 커버 부분의 주변부 주위에 연장되는 하단 층의 내부 표면의 제1 영역 상에 제공되는 제1 영구 접착제에 의해 패키지에 부착된다. 게다가, 하단 층은 패키지의 커버 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는 컷아웃 부분을 포함한다.
기존 용기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서, 상단 층은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후면 힌지 영역 상에 제공된 제1 영구 접착제에 의해 패키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힌지 영역으로부터 원위단으로 그리고 적어도 커버 부분의 구역 위에 연장되는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박리 영역 상에 제공된 제2 접착제 의해 하단 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상단 층은 상단 층이 적어도 커버 부분 위에 놓여지는 밀폐 위치, 및 상단 층이 하단 층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개봉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단 층 및 하단 층은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박리 영역이 하단 층의 주변부를 지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패키지 위에 놓여지도록 크기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밀봉 가능한 용기에서, 하단 층이 제조 공정 중에 영구 접착제에 의해 패키지에 부착되기 때문에, 하단 층은 패키지에 확고히 고정되고 용기의 규칙적인 사용 중에 패키지로 분리되지 않을 것이다. 동시에, 상단 층이 힌지 영역 상에 제공된 영구 접착제에 의해 패키지에 직접 부착되기 때문에, 안전한 접착은 상단 층과 패키지 사이에서 항상 보장된다. 따라서, 상단 층이 사용 중에 하단 층으로부터 반복적으로 분리되고, 하단 층에 재부착될 때, 상단 층과 패키지 사이의 연결은 유리하게는 충격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재밀봉 가능한 용기는 용기의 첫 개봉 전후 모두에 있어서 용기 내의 소비자 제품을 위해 수분의 흡수 또는 손실에 대해 개선된 보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밀봉 가능한 용기에서,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을 가진 패키지는 힌지 뚜껑 하우징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과 뚜껑 사이에 연결부가 제공될 수 있어, 밀폐 위치와 개봉 위치 사이에서의 뚜껑의 이동은 각각의 밀폐 위치와 개봉 위치 사이에서 재밀폐형 접착제가 또한 이동되게 한다. 따라서, 소비자가 힌지 뚜껑 용기의 뚜껑을 열 때 패키지의 접근 개구가 "자동적"으로 접근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상단 층과 패키지 사이에 고체 접착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은 심지어 더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재밀봉 가능한 용기는 제조하기 쉽고 기존 장치의 어떠한 광범위한 변형을 요구하지 않는다.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것이 발견되며,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단 층은 힌지 영역 위에 제공된 동일한 영구 접착제에 의해 하단 층에 부착되고, 이형제를 포함하는 층은 하단 층의 전체 표면 위에 제공된다.
대부분의 일반적인 용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재밀봉 가능한 용기는 소비재의 패키지를 포함하며, 패키지는 약한 선에 의해 범위 설정되는 커버 부분을 포함하여 커버 부분은 소비재가 제거될 수 있는 접근 개구를 제공하기 위해 패키지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다. 예로서, 커버 부분은 직사각형이고 절단선에 의해 3개의 측면 상에 범위 설정될 수 있어, 커버 부분은 측면 절단선의 단부를 연결하는 후면 힌지선 주위에서 피봇 가능하다. 그러나, 커버 부분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용기는 커버 부분을 덮도록 놓여지고 패키지의 커버 부분의 주변부를 지나 연장되는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을 포함한다.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은 적어도 라벨 재료의 하단 층 및 상단 층을 포함하며, 하단 층은 하단 층 높이 및 하단 층 폭을 갖고, 상단 층은 상단 층 높이 및 상단 층 폭을 갖는다. 하단 층은 커버 부분의 주변부 주위에 연장되는 하단 층의 내부 표면의 제1 영역 상에 제공된 제1 영구 접착제에 의해 패키지에 부착되며, 하단 층은 적어도 패키지의 커버 부분의 주변부 주위에 연장되는 컷아웃 부분을 포함한다. 컷아웃 부분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컷아웃 부분의 형상은 커버 부분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컷아웃 부분은 커버 부분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커버 부분이 컷아웃 부분을 통해 이동하는 것이 특히 쉽다.
상단 층은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후면 힌지 영역 상에 제공된 제1 영구 접착제에 의해 하단 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힌지 영역으로부터 원위단으로 그리고 적어도 커버 부분의 구역 위에 연장되는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박리 영역 상에 제공된 제2 접착제에 의해 하단 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단 층은 상단 층이 적어도 접근 개구 위에 놓여지는 밀폐 위치, 및 상단 층이 하단 층에서 들어 올려지는 개봉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힌지 영역은 상단 층의 후면에 있을 수 있어, 상단 층의 전방 부분은 상단 층이 밀폐 위치로부터 개봉 위치로 이동될 때 힌지 영역 주위에서 피봇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패키지의 전면으로부터 패키지 내의 개구 및 제품에 접근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힌지 영역은 상단 층의 일 측면에 있을 수 있어, 상단 층의 반대 측면 부분은 상단 층이 밀폐 위치로부터 개봉 위치로 이동될 때 힌지 영역 주위에서 피봇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지는 패키지의 측면으로부터 패키지 내의 개구 및 제품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하단 층 높이는 상단 층 높이 미만이거나 하단 층 폭은 상단 층 폭 미만이거나 둘 다이어서,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박리 영역은 하단 층의 주변부를 지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패키지 위에 놓여진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접착제는 재밀봉 가능한 접착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접착제는 영구 접착제이고, 재밀봉 가능한 용기는 하단 층과 상단 층 사이에 제공된 이형제를 포함하는 층을 더 포함하고 있어 밀폐 위치에서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박리 영역은 이형제 층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여진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상단 층의 내부 표면 상의 영구 접착제 및 하단 층의 외부 표면 상의 이형제의 조합은 재밀봉 가능한 접착제의 작용을 모방하는 정도까지 사용된다. 이것은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이 영구 접착제로 전체적으로 코팅될 수 있고 하단 층의 외부 표면이 이형제로 전체적으로 코팅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재밀봉 가능한 접착제의 사용을 통해,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서의 사용을 위한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의 제조 중에 이점을 제공한다. 대조에 의해, 재밀봉 가능한 접착제가 사용되면,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2개의 다른 영역에는 힌지 영역 상에 다른 접착제 - 즉, 영구 접착제가 제공되고 박리 영역 상에 분리 가능한 접착제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영구 접착제의 사용은 유리하게는 안정한 접착이 하단 층의 컷아웃 부분을 가로질러 패키지의 상단 층과 커버 부분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상단 층이 하단 층에서 들어 올려질 때, 커버 부분은 또한 패키지의 상단 벽의 평면에서 떨어져서 이동(예를 들어, 피봇)되고 개구는 사용자가 패키지로부터 소비재를 추출하기 위해 접근 가능하다. 동시에, 상단 층과 하단 층 사이에 제공된 이형제는 소비자가 하단 층에서 떨어져서 상단 층을 박리하고 패키지의 나머지에서 떨어져서 커버 부분을 들어 올리는 것을 유리하게 쉽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일반적으로 개봉하기 쉬운 것으로 인지된다.
이형제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수 개의 실리콘계 이형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들은 폴리디메틸실록산, 에폭시폴리실록산 등과 같은, 고 분자량 실리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선호하는 매우 다양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한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과 같은 저마찰 재료 등의 임의의 적절한 재료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서 이형제로서의 사용을 발견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형제는 인쇄 가능한 조성물의 형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형제는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의 상단 층 또는 하단 층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하는데 적절한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형제를 포함하는 층은 하단 층의 외부 표면의 제1 영역 상에 적용되고,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박리 영역의 전면 말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단 층의 외부 표면의 제1 영역 상에 놓여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형제를 포함하는 층은 하단 층의 외부 표면의 전체를 연속적으로 실질적으로 커버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형제를 포함하는 층은 인쇄 공정에 의해 하단 층의 외부 표면의 제1 영역 상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하단 층의 표면 상의 특정 위치에서 표면 상에 정교하게 제어된 양의 이형제를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특히 이형제를 포함하는 층이 실질적으로 하단 층의 외부 표면의 전체 위에 연장되는 그러한 구현예에서, 그러한 층은 바람직하게는 코팅으로서 적용되며, 그것은 제조 공정을 단순화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하단 층의 외부 표면의 제1 영역은 적어도 제1 구역 및 제2 구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구역은 제1 구역의 후면에 있다. 제1 구역에서의 이형제 커버리지 백분율은 제2 구역에서의 이형제 커버리지 백분율보다 크다. 표현 "이형제 커버리지 백분율"은 이형제로 코팅된 또는 덮인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의 표면의 구역의 -예를 들어,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의 하단 층의- 표면적의 분율 또는 백분율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형제가 구역의 전체 표면에 걸쳐 적용되는 경우, 이형제 커버리지 백분율은 100이다. 구역 내에 이형제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 이형제의 덮힘율은 0이다.
예를 들어, 이형제는 비연속적 반복 패턴으로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의 표면 구역 상에 적용될 수 있다. 비연속적 반복 패턴은 선형 줄(row), 비선형 줄, 파형 줄, 지그재그 줄 그리고 이들의 조합과 같은 복수의 이격된 줄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규칙적으로 이격된 이형제의 도트(dots) 또는 아일랜드(islands)가 적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형제의 아일랜드는 타입 폰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현 "규칙적으로 이격된"은 각 도트와 그의 이웃하는 도트 사이의 거리가 구역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하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 향후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형제가 인쇄 작업에 의해 적용될 때 이는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0에서 100에 이르는 범위의 이형제 커버리지가 유리하게는 제1 구역과 제2 구역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절한 패턴에 따라 이형제를 적용함으로써 구역의 표면의 50%가 이형제로 덮일 수 있다.
제1 구역에서, 이형제 커버리지 백분율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65%,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70%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제1 구역에서의 이형제 커버리지 백분율은 바람직하게는 약 9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0% 미만이다.
제2 구역에서, 이형제 커버리지 백분율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60%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제2 구역에서의 이형제 커버리지 백분율은 바람직하게는 약 9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 미만이다.
일반적으로, 더 큰 이형제 커버리지 백분율을 갖는 하단 층의 영역으로부터 상단 층을 박리하는 것은 더 작은 이형제 커버리지 백분율을 갖는 하단 층의 영역으로부터 상단 층을 박리하는 것보다 용이할 것이다.
재밀봉 가능한 용기에서, 박리력은 소비자가 하부 기재로부터 라벨을 분리하기 시작할 때 가장 크며 이어서 국부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를 오간다는 점이 관찰되었다. 초기 피크 박리력은 절대 최대 값으로 관찰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이후에 발생하는 국부 최대값보다 현저하게 크다. 하단 층의 표면의 상이한 구역이 상이한 이형제 커버리지 백분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서, 내부 층의 상이한 구역으로부터 상단 층을 박리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예를 들어 소비자가 하단 층으로부터 상단 층을 분리하기 시작하는 것이 특히 쉽다. 이론에 얽매이는 것을 바라지 않지만, 이는 상술한 초기 피크 박리력의 현저한 감소에 대응하며, 이것은 소비자에게 특히 개봉하기 쉬운 용기의 바람직한 인식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리하다.
동시에, 상단 층이 계속해서 밀폐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패키지의 접근 개구를 노출시킴에 따라 박리 저항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는 밀봉과 재밀봉 목적을 위한 상단 층과 하단 층 사이의 충분한 접착의 필요성과 패키지의 개봉 용이성 간의 바람직한 균형을 제공한다.
제1 구역과 제2 구역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구역과 제2 구역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단 층의 외부 표면 상에 밴드를 한정하기 위해 제1 구역과 제2 구역은 하단 층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구역과 제2 구역은 실질적으로 서로 인접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1 구역과 제2 구역은 하단 층의 폭에 직교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떨어질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구역과 제2 구역은 하단 층의 전체 폭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인접한 가로 방향 밴드를 한정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단 층의 후면 에지는 하단 층의 후면 에지를 지나 연장되어,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박리 영역의 후면 구역은 패키지 위에 놓여진다. 실제로, 상단 층의 전체 높이는 하단 층의 전체 높이보다 더 크며, 상단 층 및 하단 층의 후면 에지는 본질적으로 정렬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단 층의 후면 에지와 하단 층의 후면 에지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약 1 밀리미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단 층의 후면 에지와 하단 층의 후면 에지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약 1.5 밀리미터이다. 게다가, 또는 대안으로서, 상단 층의 후면 에지와 하단 층의 후면 에지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약 8 밀리미터 미만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단 층의 후면 에지와 하단 층의 후면 에지 사이의 거리는 약 5 밀리미터 미만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단 층의 후면 에지와 하단 층의 후면 에지 사이의 거리는 약 1 밀리미터에서 약 8 밀리미터까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밀리미터에서 약 5 밀리미터까지이다.
게다가, 또는 대안으로서, 적어도 상단 층의 측면 에지는 바람직하게는 하단 층의 측면 에지를 지나 연장되어,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박리 영역의 측면 구역은 패키지 위에 놓여진다. 실제로, 상단 층의 폭은 하단 층의 폭보다 (적어도 국부적으로) 더 크다. 대안으로서, 상단 층의 높이 및 폭 둘 다는 하단 층의 높이 및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단 층의 측면 에지와 하단 층의 측면 에지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약 1 밀리미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단 층의 측면 에지와 하단 층의 측면 에지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약 1.5 밀리미터이다. 게다가, 또는 대안으로서, 상단 층의 측면 에지와 하단 층의 측면 에지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약 8 밀리미터 미만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단 층의 측면 에지와 하단 층의 측면 에지 사이의 거리는 약 5 밀리미터 미만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단 층의 측면 에지와 하단 층의 측면 에지 사이의 거리는 약 1 밀리미터에서 약 8 밀리미터까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밀리미터에서 약 5 밀리미터까지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하단 층은 상단 층의 위에 놓여진 바디 부분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바디 부분; 및 바디 부분으로부터 원위단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단 층의 위에 놓여진 전방 부분의 폭 미만의 폭을 갖는 전방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단 층의 전방 에지의 폭은 상단 층의 전방 에지의 폭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전면 영역에는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하나의 그러한 접착제 없는 전면 영역은 이형제의 층 위에 놓여진다. 따라서, 하단 층에 효과적으로 부착되지 않고 따라서, 하단 층에서 상단 층의 나머지를 박리하기 위해 소비자에 의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상단 층의 전방 부분이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은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을 가로질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름선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주름선은 상단 층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커버 부분은 커버 부분을 가로질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름선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주름선은 커버 부분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이론에 얽매이는 것을 바라지 않지만, 접착제 라벨 또는 커버 부분 내의 주름선은 접착제 라벨 또는 커버 부분 또는 둘 다가 형성되는 재료의 구조 강도를 감소시키므로, 접착제 라벨 또는 커버 부분 또는 둘 다의 유연성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킨다는 점이 이해된다. 이는 접착제 라벨 또는 커버 부분 또는 둘 다가 개봉 "I 밀폐 동안 더 쉽게 굽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커버 부분 또는 접착제 라벨에서의 특정 배열에 관계없이, 주름선의 존재는 소비자가 패키지에 임의의 상당한 변형 또는 임의의 손상을 여기하는 것 없이 개구를 접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라벨의 하단 층으로부터 라벨의 상단 층을 점진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더 쉽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패키지가 힌지 뚜껑 용기에 수용되고 상단 층의 단부가 뚜껑의 표면에 부착되는 구현 예에서, 각각의 개봉 및 밀폐 위치 사이의 뚜껑의 이동은 각각의 개봉 및 밀폐 위치 사이의 상단 층의 대응하는 이동을 야기하도록, 주름선은 유리하게는 뚜껑이 개봉 위치로 운반될 때 상단 층이 바람직한 S-형상을 상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영구 접착제 및 제2 접착제는 동일한 접착제이다. 이는 그것이 제조 공정을 단순화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정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는 힌지 뚜껑 용기의 박스에 수용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힌지 영역은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후면 단부 영역이며, 상단 층의 단부는 뚜껑의 내부 표면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뚜껑을 개봉할 시에 상단 층은 밀폐 위치에서 개봉 위치를 향하여 이동되어 접근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드러내 보인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단 층의 단부는 뚜껑의 전면 벽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다. 대안으로서, 상단 층의 단부는 뚜껑의 상단 벽의 내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패키지는 금속 호일 또는 금속화된 종이로 형성된다. 패키지 재료는, 금속화된 폴리에틸렌 필름과 라이너 재료의 적층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라이너 재료는 수퍼캘린더드 글라신 용지(supercalendered glassine paper)일 수 있다. 또한, 패키지 재료에는 인쇄 수용성 상단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힌지 뚜껑 용기는, 판지(cardboard), 보드지(paperboard), 플라스틱, 금속,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물질들이나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랭크는 약 100 g/㎡ 내지 약 350 g/㎡의 중량을 갖는 적층 판지 블랭크이다.
힌지 뚜껑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고밀도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배향된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염화폴리비닐리덴, 셀룰로오스 필름, 또는 이들의 조합의 투명한 중합체 필름인 외부 래퍼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외부 래퍼는 종래 방식으로 적용된다. 외부 래퍼는 개봉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래퍼는 이미지, 소비자 정보 또는 다른 데이터가 인쇄될 수 있다.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 층에 적합한 물질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예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하단 층은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고, 상단 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단 층은 하단 층보다 두껍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몇 가지 재밀봉 가능하고 반영구적이며 영구적인 접착제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며 당업자에게 공지될 것이다.
외부 힌지 뚜껑 용기뿐만 아니라, 패키지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더 좁은 벽에 의해 이격되어 있는 2개의 더 넓은 벽을 포함하는 직육면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뚜껑 용기들은 직각 길이 방향 에지 및 직각 가로 방향 에지를 갖는 직육면체의 형상의 것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힌지 뚜껑 용기는 하나 이상의 둥근 길이 방향 에지, 둥근 가로 방향 에지, 경사진(bevelled) 길이 방향 에지 또는 경사진 가로 방향 에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힌지 뚜껑 외부 용기는 제한 없이 다음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전면 벽 상의 하나 또는 2개의 길이 방향 둥근 에지, 및/또는 후면 벽 상의 하나 또는 2개의 길이 방향 둥근 에지 또는 길이 방향 경사진 에지.
전면 벽 상의 하나 또는 2개의 가로 방향 둥근 에지, 및/또는 후면 벽 상의 하나 또는 2개의 가로 방향 둥글거나 경사진 에지.
전면 벽 상의 하나의 길이 방향 둥근 에지 및 하나의 길이 방향 경사진 에지, 및/또는 후면 벽 상의 하나의 가로 방향 둥근 에지 및 하나의 가로 방향 경사진 에지.
전면 벽 상의 하나 또는 2개의 가로 방향 둥근 에지 또는 가로 방향 경사진 에지 및 전면 벽 상의 하나 또는 2개의 길이 방향 둥근 에지 또는 경사진 에지.
제1 측벽 상의 2개의 길이 방향 둥근 에지 또는 경사진 에지, 또는 제2 측벽면 상의 2개의 가로 방향 둥근 에지 또는 경사진 에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예를 들어 궐련, 엽궐련 또는 가는 엽궐련과 같은 세장형 흡연 물품용 용기로서의 특정한 적용예를 발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그 치수의 적합한 선택을 통하여, 상이한 수의 종래 사이즈, 킹 사이즈, 슈퍼-킹 사이즈, 슬림 또는 슈퍼-슬림 궐련용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다른 소비재가 용기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그 치수의 적절한 선택을 통하여, 상이한 총 수의 흡연 물품, 또는 흡연 물품의 상이한 배열을 유지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그 치수의 적절한 선택을 통하여, 총 10개 내지 30개의 흡연 물품을 유지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흡연 물품은 흡연 물품의 총 수에 따라서 상이한 교합(collation)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용기의 상단 부분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용기의 라벨의 하단 층의 외부 표면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용기의 라벨의 하단 층의 내부 표면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용기의 라벨의 상단 층의 외부 표면의 개략적인 상면도이고; 그리고
도 6은 도 1의 용기의 라벨의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를 도시하고 있다. 용기(10)는 직육면체인 외부 하우징(12)을 포함하며, 박스(14)와 리드(16)를 포함한다. 뚜껑(16)은 하우징(12)의 후면 벽에 걸쳐서 연장되는 힌지선을 중심으로 힌지 연결되어 있으며 개봉 위치(도 1에 도시됨)와 밀폐 위치(도시되지 않음) 사이에서 피봇 가능하다. 또한, 용기(10)는 박스(14) 내에 수용된 흡연 물품의 내부 패키지(18)를 포함한다. 내부 패키지(18)는 소비재가 제거될 수 있는 접근 개구(60)를 제공하기 위해 커버 부분(20)이 패키지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약한 선(22)에 의해 범위 설정되는 커버 부분(20)을 포함한다. 도 3의 구현예에서, 커버 부분(20)은 내부 패키지의 상단 벽 및 전면 벽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내부 패키지(18)에 포함된 흡연 물품은 뚜껑(16)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접근 개구(60)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용기(10)는 내부 패키지(18)의 커버 부분(20)의 주변부를 지나 연장되는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24)을 더 포함한다. 도 4에 더욱 상세하게 예시된 바와 같이,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24)은 적어도 하단 층(26)과 상단 층(28)을 포함한다. 하단 층(26)은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고 있으며 약 3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는다. 상단 층(28)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약 5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는다.
하단 층(26)은 내부 패키지(18)의 커버 부분(2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는 컷아웃 부분(30)을 포함하고 있으며 커버 부분(20)의 주변부 주위에 연장되는 하단 층(26)의 내부 표면의 제1 영역(32) 상에 제공되는 제1 영구 접착제에 의해 내부 패키지(18)에 부착된다(도 2 및 도 4 참조).
상단 층(28)은 상단 층(28)의 내부 표면의 후면 힌지 영역(34) 상에(도 2 및 도 6 참조) 및 적어도 커버 부분(20)의 바로 위에 놓여지는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구역(50) 위에 제공되는 제1 영구 접착제에 의해 내부 패키지(18)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게다가, 상단 층(28)은 후면 힌지 영역(34)으로부터 원위단으로 그리고 커버 부분(20)의 구역 위에 연장되는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박리 영역(36) 상에 제공된 제2 접착제에 의해 하단 층(26)에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상단 층(28)은 상단 층(28)이 적어도 컷아웃 부분(30) 위에 놓여지는 밀폐 위치와, 상단 층(28)이 하단 층(26)에서 들어 올려지는 개봉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그것은 또한 커버 부분(20)으로 하여금 내부 패키지(18)의 나머지에서 떨어져서 이동되게 하여 개구(60)가 소비자에 의해 접근 가능하게 한다.
제2 접착제는 영구 접착제이다. 상단 층(28)은 또한 상단 층(28)의 외부 표면의 전방 에지 부분(38) 상에 제공된 접착제에 의해 뚜껑(16) 의 내부 표면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도 2 및 도 5 참조), 뚜껑(16)을 개봉할 시에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24)의 상단 층(28)은 밀폐 위치에서 개봉 위치를 향하여 이동되어 커버 부분(20)을 들어 올리고 패키지 내의 개구(60)가 접근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재밀봉 가능한 용기(10)은 하단 층(26)과 상단 층(28) 사이에 제공되는 실리콘계 이형제를 포함하는 층(40)을 포함하여, 밀폐 위치에서, 상단 층(28)의 내부 표면의 박리 영역(36)의 전면 단부 부분은 이형제를 포함하는 층(40)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여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형제를 포함하는 층(40)은 하단 층(26)의 외부 표면의 제1 영역(42) 상에 인쇄하여 적용되고(도 2 및 도 3 참조), 상단 층(28)의 내부 표면의 박리 영역(36)의 전면 단부 부분은 하단 층(26)의 외부 표면의 제1 영역(42)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여진다.
하단 층(26)의 높이는 상단 층(28)의 높이보다 작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단 층의 후면 에지는 하단 층의 후면 에지를 지나 연장된다. 따라서, 상단 층(28)의 내부 표면의 박리 영역(36)의 일부는 내부 패키지(18) 위에 놓여진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층(28)은 하단 층(26) 위에 놓인다. 하단 층(26)은 폭(26W)을 갖는 본체 부분(26A)을 포함한다. 상단 층(28)은 하단 층(26) 위에 놓이는 폭(28W)을 갖는 본체 부분(28A)을 포함한다.
상기 폭(26W)은 폭(28W)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체 부분(26A)으로부터 원위단으로 연장되는 하단 층(26)의 전방 부분(32)은 상단 층(28)의 위에 놓이는 전방 에지 단부(38E)의 폭(38W)보다 작은 폭(32W)을 갖는다. 즉, 하단 층(26)의 전방 부분의 단부(32E)의 폭(32W)은 상단 층(28)의 전방 에지 단부(38E)의 폭(38W)보다 작다.

Claims (15)

  1. 소비재용 힌지 뚜껑 용기로서:
    박스;
    상기 용기의 후면 벽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힌지선을 따라 상기 박스에 힌지 결합된 뚜껑; 및
    소비재를 수용하기 위한 박스 내에 위치된 재밀봉 가능한 패키지로서:
    커버 부분은 소비재가 제거될 수 있는 접근 개구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패키지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약선(lines of weakness)에 의해 범위 설정되는 커버 부분으로서, 상기 접근 개구는 상기 패키지의 상단 벽에 형성되거나 상기 패키지의 상단 벽과 전면 벽에 걸쳐서 연장되는, 커버 부분; 및
    상기 커버 부분을 덮도록 놓여지고 상기 패키지의 커버 부분의 주변부를 지나 연장되는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로서, 상기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은 적어도 라벨 재료의 하단 층 및 상단 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 층은 하단 층 높이 및 하단 층 폭을 갖고, 상기 상단 층은 상단 층 높이 및 상단 층 폭을 가지며;
    상기 하단 층은 상기 커버 부분의 주변부 주위에 연장되는 하단 층의 내부 표면의 제1 영역 상에 제공된 제1 영구 접착제에 의해 상기 패키지에 부착되며, 상기 하단 층은 적어도 상기 패키지의 커버 부분의 주변부 주위에 연장되는 컷아웃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 층은 상기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힌지 영역 상에 제공된 제1 영구 접착제에 의해 상기 패키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힌지 영역으로부터 원위단으로 그리고 적어도 상기 커버 부분의 구역 위에 연장되는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박리 영역 상에 제공되는 제2 접착제에 의해 상기 하단 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상단 층은 상기 상단 층이 적어도 상기 하단 층의 컷아웃 부분 위에 놓여지는 밀폐 위치, 및 상기 상단 층이 상기 컷아웃 부분을 드러내기 위해 상기 하단 층에서 들어 올려지는 개봉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한,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을 포함하는, 재밀봉 가능한 패키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영역은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의 후면 단부에 위치하여 힌지 영역에 가장 가까운 상단 층 및 하단 층의 에지가 각각 상단 층 및 하단 층의 후면 에지가 되도록 하며, 박리 영역의 후면 영역은 상기 힌지 영역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단 층 높이가 상기 하단 층 높이보다 크게 되어 있어서, 상기 상단 층의 후면 에지가 상기 하단 층의 후면 에지를 지나 연장되어, 상기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박리 영역의 후면 영역이 상기 패키지 바로 위에 놓여지는, 힌지 뚜껑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제는 영구 접착제이고, 상기 재밀봉 가능한 패키지는 상기 하단 층과 상기 상단 층 사이에 제공된 이형제를 포함하는 층을 더 포함하고 있어 상기 밀폐 위치에서 상기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박리 영역은 이형제의 층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여져 있는, 힌지 뚜껑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를 포함하는 층은 상기 하단 층의 외부 표면 상에 적용되고 상기 하단 층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위에 연장되는, 힌지 뚜껑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를 포함하는 층은 상기 하단 층의 외부 표면의 전체를 연속적으로 커버하는, 힌지 뚜껑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층의 전방 에지와 상기 하단 층의 전방 에지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1 밀리미터인, 힌지 뚜껑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상단 층의 측면 에지는 상기 하단 층의 측면 에지를 지나 연장되어, 상기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박리 영역의 측면 구역은 상기 패키지 위에 놓여지는, 힌지 뚜껑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층의 측면 에지와 상기 하단 층의 측면 에지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1 밀리미터인, 힌지 뚜껑 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층은, 상기 상단 층의 바디 부분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바디 부분; 및 이 바디 부분으로부터 원위단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상단 층의 전방 부분의 단부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전방 부분의 단부를 포함하는, 힌지 뚜껑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층의 전방 에지의 폭은 상기 상단 층의 전방 에지의 폭 미만인, 힌지 뚜껑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은 상기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을 가로질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름선을 포함하는, 힌지 뚜껑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분은 상기 커버 부분을 가로질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름선을 포함하는, 힌지 뚜껑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구 접착제 및 상기 제2 접착제는 동일한 접착제인, 힌지 뚜껑 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영역은 상기 상단 층의 내부 표면의 후면 단부 영역이고 상기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의 상단 층의 단부는 상기 뚜껑의 내부 표면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상기 뚜껑의 개봉시 상기 상단 층은 상기 밀폐 위치에서 상기 개봉 위치를 향하여 이동되어 상기 컷아웃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드러내는, 힌지 뚜껑 용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재는 흡연 물품인, 힌지 뚜껑 용기.
  15. 삭제
KR1020187034828A 2016-06-30 2017-06-27 개선된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을 가진 재밀봉 가능한 용기 Active KR102380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77360.1 2016-06-30
EP16177360 2016-06-30
PCT/EP2017/065875 WO2018002063A1 (en) 2016-06-30 2017-06-27 Resealable container with improved reclosable adhesive lab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499A KR20190022499A (ko) 2019-03-06
KR102380903B1 true KR102380903B1 (ko) 2022-03-31

Family

ID=5632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828A Active KR102380903B1 (ko) 2016-06-30 2017-06-27 개선된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을 가진 재밀봉 가능한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279541B2 (ko)
EP (1) EP3478598B1 (ko)
JP (1) JP6968832B2 (ko)
KR (1) KR102380903B1 (ko)
CN (1) CN109311580B (ko)
BR (1) BR112018074654B1 (ko)
RU (1) RU2735114C2 (ko)
WO (1) WO20180020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9541B2 (en) * 2016-06-30 2022-03-22 Philip Morris Products S.A. Resealable container with improved reclosable adhesive label
US10450120B1 (en) * 2018-11-16 2019-10-22 Altria Client Services Llc Re-seal label and container with re-seal label
CN111907938A (zh) * 2019-05-08 2020-11-10 上海新型烟草制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烟盒及其制作工艺
IT201900006644A1 (it) * 2019-05-08 2020-11-08 Gd Spa Pacchetto di articoli da fumo provvisto di due contenitori rigidi uno dentro l’altro e di una etichetta di chiusura riutilizzabile e metodo di realizzazione della etichetta di chiusura
EP3812300A1 (en) * 2019-10-22 2021-04-28 CCL Label AG Resealable container with a label
KR20230041018A (ko) * 2020-07-15 2023-03-23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소비재용 용기를 제작하는 방법 및 소비재용 용기
USD1057275S1 (en) * 2021-04-28 2025-01-07 Philip Morris Products S.A. Extinguisher for aerosol generators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0915A1 (en) 2012-02-15 2013-08-22 Philip Morris Products S.A. Container with adhesive label with adhesive free area
JP2013193791A (ja) 2012-03-23 2013-09-30 Fuji Seal International Inc 包装体
WO2014188357A1 (en) 2013-05-21 2014-11-27 G.D Societa' Per Azioni Packet with a reclosable sealing panel
JP2015511911A (ja) 2012-02-15 2015-04-23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容器のための補強された再シール可能な内側包装体
GB2520992A (en) 2013-12-06 2015-06-10 Essentra Packaging & Security Ltd Opening label
JP2015535515A (ja) 2012-11-30 2015-12-14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接着剤のための案内要素を持つ容器
JP2016509981A (ja) 2013-02-22 2016-04-04 アムコア フレキスィブルス シガレット包装のための容易開放再閉鎖システム
WO2016059077A1 (en) 2014-10-14 2016-04-21 Philip Morris Products S.A. Container with multilayer self-adhesive reclosable sticker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9792B2 (ja) 1998-03-24 2005-06-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包装体の開封構造
ITBO20050042A1 (it) 2005-01-27 2006-07-28 Gd Spa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 involucro sigillato attorno ad un gruppo di sigarette
US8333511B2 (en) 2005-03-04 2012-12-18 Bandfix Ag At least two-layer label for opening and closing packages and the use thereof
ITBO20070365A1 (it) 2007-05-22 2007-08-21 Gd Spa Confezione per articoli da fumo con un incarto interno provvisto di una etichetta di chiusura fissata ad un coperchio incernierato.
ITBO20070401A1 (it) * 2007-06-05 2007-09-04 Gd Spa Stecca di pacchetti di sigarette morbidi con involucro rigido riutilizzabile.
JP2010013144A (ja) * 2008-07-02 2010-01-21 Uni Charm Corp 包装体
EP2389320A1 (en) * 2008-12-23 2011-11-30 Philip Morris Products S.A. Reclosable container
ES2553140T3 (es) * 2009-12-22 2015-12-04 Philip Morris Products S.A. Recipiente envuelto con etiqueta adhesiva
JP5732303B2 (ja) * 2011-04-07 2015-06-10 凸版印刷株式会社 密閉ラベルおよび包装容器
JP5730819B2 (ja) 2012-06-04 2015-06-10 花王株式会社 包装体
WO2015045070A1 (ja) 2013-09-26 2015-04-0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タングリッド型パッケージ
PL233529B1 (pl) 2014-03-14 2019-10-31 Gd Spa Sposób pakowania i zespół pakujący do wytwarzania uszczelnionego opakowania wewnętrznego
GB201411707D0 (en) * 2014-07-01 2014-08-13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 package
DE102014011396A1 (de) * 2014-08-06 2016-02-11 Focke & Co. (Gmbh & Co. Kg) Zigarettenpackung
HK1252360A1 (zh) 2015-05-26 2019-05-24 Philip Morris Products S.A. 具有改進的水分控制的可重複密封的消費製品容器
US10807790B2 (en) * 2015-11-30 2020-10-20 Philip Morris Products S.A. Resealable inner package for a container
RU2714786C2 (ru) * 2015-12-09 2020-02-19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Повторно заклеиваемая внутренняя упаковка для емкости
US11447320B2 (en) * 2015-12-10 2022-09-20 Focke & Co. (Gmbh & Co. Kg) Pack for cigarett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id pack
CN108367858A (zh) * 2015-12-22 2018-08-03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用于松散可抽吸材料的可重新密封包装
US11279541B2 (en) * 2016-06-30 2022-03-22 Philip Morris Products S.A. Resealable container with improved reclosable adhesive label
DE102016118581A1 (de) * 2016-09-30 2018-04-05 Focke & Co. (Gmbh & Co. Kg) Packung für Zigaretten,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rselben
US10124953B2 (en) * 2016-10-13 2018-11-13 Altria Client Services Llc Box in a box re-sealable cigarette pack
RU2752152C2 (ru) * 2016-11-18 2021-07-23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внутренняя облицовка тары для потребительских изделий
GB201701096D0 (en) * 2017-01-23 2017-03-08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Wrapper for tobacco industry products
EP3388367B1 (en) * 2017-04-10 2020-09-30 JT International SA Container for smoking articles
GB201706847D0 (en) * 2017-04-28 2017-06-14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 Pack
PL3403949T3 (pl) * 2017-05-18 2019-11-29 Jt Int Sa Pojemnik na towary konsumenckie z zamykaną klapką i sposób formowania pojemnika na towary konsumenckie
JP7284099B2 (ja) * 2017-05-18 2023-05-30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再閉鎖可能なフラップを備える、消費財用の容器
US20210032013A1 (en) * 2018-02-09 2021-02-04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 pack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0915A1 (en) 2012-02-15 2013-08-22 Philip Morris Products S.A. Container with adhesive label with adhesive free area
JP2015511911A (ja) 2012-02-15 2015-04-23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容器のための補強された再シール可能な内側包装体
JP2013193791A (ja) 2012-03-23 2013-09-30 Fuji Seal International Inc 包装体
JP2015535515A (ja) 2012-11-30 2015-12-14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接着剤のための案内要素を持つ容器
JP2016509981A (ja) 2013-02-22 2016-04-04 アムコア フレキスィブルス シガレット包装のための容易開放再閉鎖システム
WO2014188357A1 (en) 2013-05-21 2014-11-27 G.D Societa' Per Azioni Packet with a reclosable sealing panel
GB2520992A (en) 2013-12-06 2015-06-10 Essentra Packaging & Security Ltd Opening label
WO2016059077A1 (en) 2014-10-14 2016-04-21 Philip Morris Products S.A. Container with multilayer self-adhesive reclosable stic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8598B1 (en) 2021-12-15
RU2735114C2 (ru) 2020-10-28
JP2019524568A (ja) 2019-09-05
US20190144197A1 (en) 2019-05-16
US11279541B2 (en) 2022-03-22
CN109311580A (zh) 2019-02-05
JP6968832B2 (ja) 2021-11-17
RU2019102371A3 (ko) 2020-08-25
KR20190022499A (ko) 2019-03-06
WO2018002063A1 (en) 2018-01-04
EP3478598A1 (en) 2019-05-08
BR112018074654A2 (pt) 2019-03-06
RU2019102371A (ru) 2020-07-30
CN109311580B (zh) 2024-03-15
BR112018074654B1 (pt)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903B1 (ko) 개선된 재밀폐형 접착제 라벨을 가진 재밀봉 가능한 용기
US11078010B2 (en) Box-in-box container
JP5116081B2 (ja) タンパーエビデント再封かん可能クロージャ
US10377548B2 (en) Resealable container for consumer articles with improved moisture control
EP3587302A1 (en) Resealable container having tactile elements
US12060217B2 (en) Re-sealable cigarette pack
EP3251972B1 (en) Container with means for improved closure, method
US12006121B2 (en) Reseal label for box in a box re-sealable pack
JP6506859B2 (ja) 改善された閉鎖手段を有する容器
WO2018002033A1 (en) Container with embossed cover member
KR20190086665A (ko) 개선된 재밀폐가능 커버 부재를 갖는 용기
EP336842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resealable container including insert
CN114585573A (zh) 带标签的可再密封容器
HK40017670A (en) Resealable container having tactile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