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78369B1 - 휴대폰 매입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매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369B1
KR102378369B1 KR1020200109070A KR20200109070A KR102378369B1 KR 102378369 B1 KR102378369 B1 KR 102378369B1 KR 1020200109070 A KR1020200109070 A KR 1020200109070A KR 20200109070 A KR20200109070 A KR 20200109070A KR 102378369 B1 KR102378369 B1 KR 102378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disposed
base
support element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284A (ko
Inventor
조성락
최항석
Original Assignee
민팃(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팃(주) filed Critical 민팃(주)
Priority to KR1020200109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369B1/ko
Priority to JP2023510398A priority patent/JP7467763B2/ja
Priority to CN202180055947.0A priority patent/CN116075872A/zh
Priority to PCT/KR2021/001964 priority patent/WO2022045498A1/ko
Priority to EP21861802.3A priority patent/EP4207115A4/en
Priority to US18/018,450 priority patent/US20230230437A1/en
Publication of KR20220028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3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30Administration of product recycling or dispo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4Rotary or oscillatory memb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 G07F7/069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by box-like containers, e.g. videocassettes, boo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1Interfacing with vending machines using mobile or wearabl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 따른 휴대폰 매입 장치는, 휴대폰을 수용하고 상기 휴대폰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휴대폰이 놓이는 베이스, 상기 하우징의 상면, 하면 및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카메라 및 상기 베이스의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거울 및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어 검사가 완료된 휴대폰을 수거하는 수거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는 각각 상기 휴대폰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 개의 거울에 의해 반사되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매입 장치 {A DEVICE FOR BUYING A MOBILE PHONE}
아래의 실시예들은 휴대폰 매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및 IT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하여 매년 제조업체들에 의해 새로이 추가되고 개선된 업그레이드 제품을 수많은 소비자들이 새로이 구매하고 있으며, 따라서 매년 수많은 휴대 단말기, 노트북, PC, 태블릿, MP3 등의 전자 제품이 버려지거나 중고 제품화 되고 있다. 이들 중고 제품은 다양한 유통 방식을 통하여 매입되어 일부 중고 핸드폰 재판매 외에는 개발도상국으로 수출되거나, 국내에서 폐기물 해체 등을 통하여 재활용 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들 중고 휴대폰을 매입하는 방법은 무인 매입 키오스크(무인 장치) 및 일정한 사무 공간을 가지는 소매상(중간 도매상 포함)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다양한 소매상들을 통한 매입 시 여러 가지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특히 매장 운영 시 모든 운영자가 일관적인 기준에서 기기를 테스트하고 검증할 수가 없으며, 검증 수준에 따라 대상 기기의 가치 평가 편차가 심하게 발생 할 수가 있다. 또한 한 매장의 운영은 매장 주인(운영자) 외에도 파트타임의 인력들에 의해 운영되는 폐해가 있어 판매하고자 하는 고객에게 정확한 시제 제공을 하지 못해 상호 이견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온라인을 통해 중고전자기기의 매입, 유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익명성을 전제로 하는 인터넷 서비스의 특성상 범죄 발생율이 매우 높고, 투명한 유통구조를 확인할 길이 없어, 접수자는 온라인을 통해 중고전자기기를 판매하지 않고 보관하게 되고, 이는 자원의 재활용적인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며, 접수자에게도 중고전자기기를 재판매함에 따라 발생하는 이익을 포기한 채 새로운 중고전자기기를 구매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중고 휴대폰의 경우에는 제조사별로 종류가 다양하고 그 상태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무인 판매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892266호에는 중고전자기기의 매입시스템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다양한 종류에 맞는 데이터 케이블을 구비하고, 케이블의 커넥터에 연결된 휴대폰의 상태를 자동으로 정밀하게 검사하고 휴대폰의 매입가를 산정 후 매입 및 수거할 수 있는 휴대폰 매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검사부에 수용된 휴대폰으로부터 데이터 케이블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상기 휴대폰을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거요소 측으로 낙하시킬 수 있고, 휴대폰의 외관을 보다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휴대폰 매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 따른 휴대폰 매입 장치는, 휴대폰을 수용하고 상기 휴대폰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휴대폰이 놓이는 베이스, 상기 하우징의 상면, 하면 및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카메라 및 상기 베이스의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거울 및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어 검사가 완료된 휴대폰을 수거하는 수거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는 각각 상기 휴대폰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 개의 거울에 의해 반사되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는 상기 휴대폰의 상면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 개의 거울에 의해 반사되는 상기 휴대폰의 측면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카메라는 상기 휴대폰의 액정의 이미지를 촬영하며,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3 카메라는 상기 휴대폰의 하면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부는,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 좌측면, 후면, 우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조명요소, 제2 조명요소, 제3 조명요소, 제4 조명요소 및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 우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5 조명요소, 제6 조명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명요소 및 제3 조명요소는 제1 색온도로 발광하고, 제2 조명요소 및 제5 조명요소는 제2 색온도로 발광하며, 제4 조명요소 및 제6 조명요소는 제3 색온도로 발광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검사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중앙에 사각형 형상의 개구가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개구의 전방 및 좌우측방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지지요소 및 상기 개구의 후방에서 이동될 수 있는 제2 지지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요소의 전방, 좌우측방에는 각각 제1 거울, 제2 거울 및 제3 거울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요소에는 제4 거울이 배치되며, 상기 제1 거울 내지 제4 거울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상에 놓인 휴대폰의 측면의 이미지가 반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지지요소 상에는 상기 휴대폰과 연결될 수 있는 데이터 케이블을 안내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휴대폰은 상기 제2 지지요소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만 상기 베이스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데이터 케이블은 상기 휴대폰과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후방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휴대폰은 중력에 의하여 상기 수거요소를 향해 낙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검사부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지지요소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요소, 상기 제2 지지요소와 상기 가이드요소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지지요소를 이동시키는 연결요소 및 상기 연결요소를 구동시키는 구동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요소는 상기 연결요소의 구동에 의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검사부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지지요소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캠요소, 상기 제2 지지요소와 상기 캠요소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지지요소를 회전시키는 링크요소 및 상기 캠요소를 구동시키는 구동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요소는 상기 캠요소 및 상기 링크요소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제2 지지요소의 상단을 관통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매입 장치는 다양한 종류에 맞는 데이터 케이블을 구비하고, 케이블의 커넥터에 연결된 휴대폰의 상태를 자동으로 정밀하게 검사하고 휴대폰의 매입가를 산정 후 매입 및 수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매입 장치는 검사부에 수용된 휴대폰으로부터 데이터 케이블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상기 휴대폰을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거요소 측으로 낙하시킬 수 있으며, 휴대폰의 외관을 보다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매입 장치를 나타낸다.
도4 및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매입 장치의 검사부를 상세히 나타낸다.
도6 및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매입 장치의 검사부의 제2 지지요소를 구동시키는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다.
도8및 도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매입 장치의 베이스의 구동 매커니즘을 상세히 나타낸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매입 장치를 나타내며, 도4 및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매입 장치의 검사부를 상세히 나타낸다. 도6 및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매입 장치의 검사부의 제2 지지요소를 구동시키는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며, 도8및 도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매입 장치의 베이스의 구동 매커니즘을 상세히 나타낸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매입 장치는, 휴대폰을 수용하고 휴대폰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부(100), 검사부의 일측면의 외부에 배치되어 휴대폰에 대한 매입 관련 기능을 선택하거나 휴대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00) 및 휴대폰을 반출시킬 수 있는 반출부(400)를 포함한다.
이 때, 검사부(100)의 내측의 상면, 하면 및 측면에는 복수 개의 카메라가 배치되어, 검사부 내에 휴대폰(H)이 수용된 경우, 휴대폰의 상태를 자동적으로 검사할 수 있으며, 검사부에 의한 검사가 완료된 경우, 검사부 내에 배치된 베이스가 이동됨에 따라 휴대폰은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된 수거요소 측을 향하여 자동적으로 낙하될 수 있다.
표시부(300)에는 터치 LCD, 프린터, 수납함 도어, 스피커, 전면도어 손잡이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성 모두가 일체형으로 한 개의 큰 전면도어에 부착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매커니즘 유닛에는 전원과 관련된 부품, 제어보드 및 LED 보드가 설치될 수 있다.
반출부(400)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열거나 닫힐 수 있는 구조이며, 장치의 하부에는 바퀴와 같은 이송요소가 설치되어 장치 전체가 이동될 수 있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검사부(100)는, 하우징(110),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휴대폰이 놓이는 베이스(120), 하우징의 상면, 하면 및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카메라(131, 132, 133) 및 베이스의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거울(134, 135, 136, 137)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카메라는 각각 휴대폰의 이미지 및 복수 개의 거울에 의해 반사되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131)는 휴대폰의 상면의 이미지 및 복수 개의 거울(134, 135, 136, 137)에 의해 반사되는 휴대폰의 측면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하우징(110)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카메라(132)는 휴대폰의 액정의 이미지를 촬영하며, 하우징(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3 카메라(133)는 휴대폰의 하면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3개의 카메라와 복수 개의 거울을 사용하여 카메라의 수를 최소화하고 촬영하는 이미지의 선명도를 최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검사부(100)는,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하우징의 전면, 좌측면, 후면, 우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조명요소(141), 제2 조명요소(142), 제3 조명요소(143), 제4 조명요소(144) 및 베이스를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되는 하우징의 좌측면, 우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5 조명요소(145), 제6 조명요소(1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조명요소(141) 및 제3 조명요소(143)는 제1 색온도로 발광하고, 제2 조명요소(142) 및 제5 조명요소(145)는 제2 색온도로 발광하며, 제4 조명요소(144) 및 제6 조명요소(146)는 제3 색온도로 발광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색온도는 3000K(캘빈)일 수 있으며, 제2 색온도는 6500K(캘빈)일 수 있고, 제3 색온도는 10000K(캘빈)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각각의 조명요소가 서로 다른 색온도로 발광하게 함으로써 입체적인 조명을 구현하여 조명 간섭 없이 휴대폰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검사부는, 베이스(1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중앙에 사각형 형상의 개구가 형성된 플레이트(150), 개구의 전방 및 좌우측방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지지요소(161) 및 개구의 후방에서 이동될 수 있는 제2 지지요소(162)를 더 포함하고, 제1 지지요소의 전방, 좌우측방에는 각각 제1 거울(134), 제2 거울(135) 및 제3 거울(136)이 배치되고, 제2 지지요소(162)에는 제4 거울(137)이 배치되며, 제1 거울 내지 제4 거울에 의하여 베이스 상에 놓인 휴대폰의 측면의 이미지가 반사될 수 있다.
이 때, 제2 지지요소(162) 상에는 휴대폰과 연결될 수 있는 데이터 케이블을 안내하는 홀(163)이 형성되고, 베이스(120)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베이스(120)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휴대폰(H)은 제2 지지요소(162)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베이스(120)만이 후방으로 이동되고, 휴대폰의 일단이 제2 지지요소(162)에 의하여 더 이상 이동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휴대폰을 받치고 있던 베이스(120)만이 후진하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 케이블만 베이스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데이터 케이블은 휴대폰과 분리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후방으로 이동되어 휴대폰이 더 이상 베이스에 의하여 지지되지 못할 경우, 휴대폰은 중력에 의하여 슬로프(210)를 향해 낙하될 수 있다.
도6의 (a) 및 (b)를 참조하면, 검사부(100)는, 플레이트(150) 상에 배치되어 제2 지지요소(162)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요소(171), 제2 지지요소(162)와 가이드요소(171)를 연결하고 제2 지지요소를 이동시키는 연결요소(172) 및 연결요소를 구동시키는 구동요소(173)를 더 포함하고, 제2 지지요소는 연결요소의 구동에 의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구동요소는 캠과 서보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서보모터 구동 시 캠이 회전되고, 회전하는 캠에 연결된 연결요소의 핀이 가이드요소의 홈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연결요소에 연결된 제2 지지요소는 하강하여 베이스의 개구의 후방을 차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베이스(120)가 후방으로 이동할 경우, 휴대폰은 상기 제2 지지요소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고, 베이스가 일정 수준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휴대폰은 자연스럽게 중력에 의해 슬로프(210)를 향해 낙하하게 된다.
또는, 도7 의 (a) 및 (b)를 참조하면, 검사부(100)는, 플레이트(150) 상에 배치되어 제2 지지요소(162)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캠요소(181), 제2 지지요소와 캠요소를 연결하고 제2 지지요소를 회전시키는 링크요소(182) 및 캠요소를 구동시키는 구동요소(183)를 더 포함하고, 제2 지지요소(162)는 캠요소 및 링크요소의 구동에 의하여 제2 지지요소의 상단을 관통하는 축(184)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동요소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모터가 캠요소를 회전시키고, 상기 캠요소의 회전에 의하여 링크요소가 구동될 경우 제2 지지요소(162)를 회전시켜 상기 베이스(120)로부터 제2 지지요소(162)가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오픈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휴대폰을 베이스에 배치시킬 수 있으며, 다시 캠요소가 구동됨에 따라 제2 지지요소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제2 지지요소는 베이스 상에 안착되어 폐쇄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그 후, 베이스(120)가 후방으로 이동할 경우, 휴대폰은 상기 제2 지지요소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고, 베이스가 일정 수준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휴대폰은 자연스럽게 중력에 의해 슬로프(210)를 향해 낙하하게 된다.
또한, 검사부(100)는 휴대폰 상에 바코드라벨을 탈부착 시킬 수 있는 구성과 휴대폰을 살균 시킬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베이스(120) 상에는 강화유리(12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강화유리는 슬라이드 레일을 통해 열고 닫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120)는 모터(122)의 의하여 구동되는 리니어 스크류(123)의 회전력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리니어 스크류의 일단에 배치되는 플라스틱 너트(124)에 의하여 소음 및 떨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도9와 같이, 베이스(120)는 플레이트(150)를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베이스(120)가 플레이트의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베이스에 의하여 지지되었던 휴대폰은 자연스럽게 중력에 의하여 수거요소 측을 향해 낙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휴대폰 매입 장치는 다양한 종류에 맞는 데이터 케이블을 구비하고, 케이블의 커넥터에 연결된 휴대폰의 상태를 자동으로 정밀하게 검사하고 휴대폰의 매입가를 산정 후 매입 및 수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폰 매입 장치는 검사부에 수용된 휴대폰으로부터 데이터 케이블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상기 휴대폰을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거요소 측으로 낙하시킬 수 있으며, 휴대폰의 외관을 보다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검사부
210 : 슬로프
300 : 표시부
400 : 반출부

Claims (7)

  1. 휴대폰을 수용하고 상기 휴대폰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휴대폰이 놓이는 베이스;
    상기 하우징의 상면, 하면 및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카메라;
    상기 베이스의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거울; 및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어 검사가 완료된 휴대폰을 수거하는 수거요소;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는 각각 상기 휴대폰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 개의 거울에 의해 반사되는 이미지를 촬영하며,
    상기 검사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중앙에 사각형 형상의 개구가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개구의 전방 및 좌우측방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지지요소;
    상기 개구의 후방에서 이동될 수 있는 제2 지지요소;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지지요소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요소;
    상기 제2 지지요소와 상기 가이드요소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지지요소를 이동시키는 연결요소; 및
    상기 연결요소를 구동시키는 구동요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요소는 상기 연결요소의 구동에 의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휴대폰 매입 장치.
  2. 휴대폰을 수용하고 상기 휴대폰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휴대폰이 놓이는 베이스;
    상기 하우징의 상면, 하면 및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카메라;
    상기 베이스의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거울; 및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어 검사가 완료된 휴대폰을 수거하는 수거요소;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는 각각 상기 휴대폰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 개의 거울에 의해 반사되는 이미지를 촬영하며,
    상기 검사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중앙에 사각형 형상의 개구가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개구의 전방 및 좌우측방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지지요소; 및
    상기 개구의 후방에서 이동될 수 있는 제2 지지요소;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지지요소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캠요소;
    상기 제2 지지요소와 상기 캠요소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지지요소를 회전시키는 링크요소; 및
    상기 캠요소를 구동시키는 구동요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요소는 상기 캠요소 및 상기 링크요소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제2 지지요소의 상단을 관통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는,
    휴대폰 매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는 상기 휴대폰의 상면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 개의 거울에 의해 반사되는 상기 휴대폰의 측면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카메라는 상기 휴대폰의 액정의 이미지를 촬영하며,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3 카메라는 상기 휴대폰의 하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휴대폰 매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 좌측면, 후면, 우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조명요소, 제2 조명요소, 제3 조명요소, 제4 조명요소; 및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 우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5 조명요소, 제6 조명요소;
    를 포함하고,
    제1 조명요소 및 제3 조명요소는 제1 색온도로 발광하고, 제2 조명요소 및 제5 조명요소는 제2 색온도로 발광하며, 제4 조명요소 및 제6 조명요소는 제3 색온도로 발광하는,
    휴대폰 매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요소의 전방, 좌우측방에는 각각 제1 거울, 제2 거울 및 제3 거울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요소에는 제4 거울이 배치되며,
    상기 제1 거울 내지 제4 거울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상에 놓인 휴대폰의 측면의 이미지가 반사될 수 있는,
    휴대폰 매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요소 상에는 상기 휴대폰과 연결될 수 있는 데이터 케이블을 안내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휴대폰은 상기 제2 지지요소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만 상기 베이스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데이터 케이블은 상기 휴대폰과 분리되고,
    상기 베이스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후방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휴대폰은 중력에 의하여 상기 수거요소를 향해 낙하될 수 있는,
    휴대폰 매입 장치.

  7. 삭제
KR1020200109070A 2020-08-28 2020-08-28 휴대폰 매입 장치 Active KR102378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070A KR102378369B1 (ko) 2020-08-28 2020-08-28 휴대폰 매입 장치
JP2023510398A JP7467763B2 (ja) 2020-08-28 2021-02-16 携帯電話購入装置
CN202180055947.0A CN116075872A (zh) 2020-08-28 2021-02-16 手机购买装置
PCT/KR2021/001964 WO2022045498A1 (ko) 2020-08-28 2021-02-16 휴대폰 매입 장치
EP21861802.3A EP4207115A4 (en) 2020-08-28 2021-02-16 DEVICE FOR PURCHASING A MOBILE PHONE
US18/018,450 US20230230437A1 (en) 2020-08-28 2021-02-16 Device For Purchasing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070A KR102378369B1 (ko) 2020-08-28 2020-08-28 휴대폰 매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284A KR20220028284A (ko) 2022-03-08
KR102378369B1 true KR102378369B1 (ko) 2022-03-24

Family

ID=80355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070A Active KR102378369B1 (ko) 2020-08-28 2020-08-28 휴대폰 매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30437A1 (ko)
EP (1) EP4207115A4 (ko)
JP (1) JP7467763B2 (ko)
KR (1) KR102378369B1 (ko)
CN (1) CN116075872A (ko)
WO (1) WO202204549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66677A1 (en) * 2008-10-02 2015-03-05 ecoATM, Inc. Pre-Acquisition Auction For Recycled Electronic Devices
JP2016035758A (ja) 2010-03-19 2016-03-17 エコエーティーエム,インク. 携帯電話機のリサイクルを行う装置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266B1 (ko) 2008-04-08 2009-04-09 (주)아이비솔루션 인터넷을 이용한 중고컴퓨터 보상판매방법
JP5997253B2 (ja) 2011-04-06 2016-09-28 エコエーティーエム,インク. 電子機器のリサイクルのための方法およびキオスク
JP2015505999A (ja) 2011-10-25 2015-02-26 エコエーティーエム,インク. 電子デバイスをリサイクルする方法および装置
CA2861423C (en) * 2012-02-01 2017-02-21 ecoAT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electronic devices
JP2016519355A (ja) 2013-03-12 2016-06-30 エコエーティーエム,インク. 古物商法を順守して電子デバイスを再利用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542562B1 (ko) * 2014-01-09 2015-08-07 크룹스(주) 지그 모델 및 캠을 이용한 휴대폰 및 태블릿pc 케이스의 버 검출 장치
US20150324761A1 (en) 2014-04-15 2015-11-12 Tu Nguyen System and Method for Recycling Electronics While Complying with Secondhand Transaction Reporting Laws
US10977700B2 (en) 2015-05-12 2021-04-13 A La Carte Medi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collection of electronic devices for value
CA2985549A1 (en) 2015-05-12 2016-11-17 A La Carte Medi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collection of electronic devices for value
WO2016196175A1 (en) * 2015-06-01 2016-12-08 ecoATM, Inc. Methods and systems for visually evaluating electronic devices
JP7430913B2 (ja) * 2017-07-14 2024-02-14 ア ラ カルト メディ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価値のある電子装置を遠隔収集するための低コストのコンピュータ化した売店
KR102175160B1 (ko) * 2018-03-12 2020-11-06 민팃(주) 다중 파장 광원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중고 단말기의 가치평가를 위한 외관 촬영 분석 시스템
KR102063560B1 (ko) * 2018-04-05 2020-01-09 지엘에스이 주식회사 휴대폰 자동 매입장치
CN109035550B (zh) 2018-06-01 2023-06-27 深圳回收宝科技有限公司 一种终端回收设备的控制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20210106493A (ko) 2018-12-19 2021-08-30 에코에이티엠, 엘엘씨 이동 전화기 및 다른 전자 디바이스의 판매 및/또는 구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A3130102A1 (en) 2019-02-12 2020-08-20 Ecoatm, Llc Kiosk for evaluating and purchasing used electronic devices
AU2020222971A1 (en) * 2019-02-12 2021-09-23 Ecoatm, Llc Connector carrier for electronic device kiosk
JP3223233U (ja) 2019-07-13 2019-09-26 広州緑怡信息科技有限公司Guangzhou Lvyi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携帯電話回収装置
CA3165098A1 (en) * 2019-12-18 2021-06-24 Ecoatm,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ending and/or purchasing mobile phone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66677A1 (en) * 2008-10-02 2015-03-05 ecoATM, Inc. Pre-Acquisition Auction For Recycled Electronic Devices
JP2016035758A (ja) 2010-03-19 2016-03-17 エコエーティーエム,インク. 携帯電話機のリサイクルを行う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284A (ko) 2022-03-08
CN116075872A (zh) 2023-05-05
US20230230437A1 (en) 2023-07-20
EP4207115A1 (en) 2023-07-05
JP7467763B2 (ja) 2024-04-15
EP4207115A4 (en) 2024-10-02
JP2023537757A (ja) 2023-09-05
WO2022045498A1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62987B2 (ja) 漏洩検知用撮影システム
US12033454B2 (en) Kiosk for evaluating and purchasing used electronic devices
US123222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nding and/or purchasing mobile phone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CN115581122A (zh) 用于贩售和/或购买移动电话和其他电子设备的系统和方法
KR200495129Y1 (ko) 휴대폰 매입 장치
JP2023159174A (ja) 電子デバイスのリサイクル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301447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Electronic Devices
WO201619617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visually evaluating electronic devices
EP2810219B1 (en) Method of analysing an electronic device
TW201418689A (zh) 光學裝置之測試
KR102378369B1 (ko) 휴대폰 매입 장치
WO2024197250A1 (en) Automated photography and inspection station
CN114155645A (zh) 用于评估和购买二手电子设备的自助服务终端
KR102798679B1 (ko) 검사기능을 구비하는 휴대폰 매입장치
KR102787187B1 (ko) 검사기능을 구비하는 휴대폰 매입장치
CN219936464U (zh) 在自助服务终端中移动电子设备的装置和自助服务终端
KR20240126997A (ko) 오프라인 단말기 무인 매입 장치
WO2024256390A1 (fr) Banc de test automatisé pour appareils/équipements électroniques reconditionnés.
WO20221445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KR20240094049A (ko) 검사기능을 구비하는 휴대폰 매입장치
FR2963680A1 (fr) Systeme de localisation d'un equipement dans une salle informatique
EP4196968A1 (en) Kiosk for evaluating and purchasing used electronic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