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006B1 - 철도 폐기물 재활용 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폐기물 재활용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6006B1 KR102376006B1 KR1020210080681A KR20210080681A KR102376006B1 KR 102376006 B1 KR102376006 B1 KR 102376006B1 KR 1020210080681 A KR1020210080681 A KR 1020210080681A KR 20210080681 A KR20210080681 A KR 20210080681A KR 102376006 B1 KR102376006 B1 KR 1023760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way
- water
- pulley
- electric wire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폐기물 재활용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세척유닛과 차핑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트레이와 컨베이어벨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절단유닛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스테이지와 블레이드의 분리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체의 하강에 따라 스테이지의 절단홀에 삽입되어진 블레이드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8은 회수부재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10: 세척유닛 20: 차핑유닛
30: 절단유닛 40: 선별유닛
Claims (5)
- 철도용 전기부품 폐자재를 파쇄하는 전기부품파쇄부, 상기 전기부품파쇄부로부터 파쇄된 파쇄물을 전달받아 파쇄물로부터 비중차로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을 분리시키는 비중분리부, 상기 비중분리부에서 분리된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을 전달받아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부로부터 전처리 완료된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을 전달받아 파쇄하는 전선파쇄부 및 상기 전선파쇄부에 의해 파쇄된 파쇄물을 전달받아 원심탈수하는 원심탈수부를 포함하는 철도 폐기물 재활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압축수를 이용해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을 세척하는 세척유닛;
상기 세척유닛의 후단에 설치되며 세척유닛에서 세척된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을 압입하는 차핑유닛;
상기 차핑유닛의 후단에 설치되며 차핑유닛을 통과한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을 습식으로 절단하는 절단유닛; 및
상기 절단유닛을 통과한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에 포함된 철 성분의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원심탈수부는,
망사재질로 이루어지며, 파쇄물이 수납되는 원통 형태의 탈수드럼; 및
상기 탈수드럼을 회전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유닛은,
사각형 꼭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위치하는 네 개의 풀리;
망사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네 개의 풀리에 감겨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힌지대가 형성되는 컨베이어벨트;
상면이 개방되는 함체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로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을 공급받으며 전체 면이 망사 재질로 이루어지되 하면 일측 모서리 부위에 상기 힌지대에 결합되는 힌지축이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접속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며 상기 힌지축에 대응하는 상단 모서리 부위에 무게추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트레이;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이 수납된 트레이의 개방된 상면을 향해 압축수를 분사하는 제1 분사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네 개의 풀리는.
제1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동일한 높이로 제1 풀리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풀리;
상기 제2 풀리의 직하방에 배치되는 제3 풀리; 및
상기 제1 풀리의 직하방에 배치되는 제4 풀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 사이에는 수평한 직선구간인 제1 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풀리와 제3 풀리 사이에는 수직한 직선구간인 제2 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풀리와 제3 풀리 사이에는 수평한 직선구간인 제3 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3 풀리와 제4 풀리 사이에는 수직한 직선구간인 제4 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는 컨베이어벨트에 지지된 채 제1,2,3,4 구간을 순차적으로 무한궤도로 회전하되,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 사이인 제1 구간에서는 상면이 상부를 향한 상태로 제2 풀리를 향해 이동하고 제2 풀리와 제3 풀리 사이인 제2 구간으로 진입하면 무게추의 무게와 자중에 의해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면이 하부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내부에 수납된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을 하부로 배출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내부에는 상기 트레이로부터 낙하하는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을 수납하는 회수선반이 설치되며,
상기 제1 구간을 주행하는 어느 하나의 트레이에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이 투입되고, 트레이가 제1 구간의 직상방에 위치한 제1 분사노즐을 통과할 때 제1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압축수가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으로 분사되며,
상기 차핑유닛은,
외주면에 압입돌기가 형성되는 상부드럼;
상기 상부드럼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압입돌기에 상보적인 압입홈이 함몰 형성되는 하부드럼; 및
상기 상부드럼과 하부드럼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로부터 배출되는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을 상기 상부드럼과 하부드럼 사이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구간에서 회동된 트레이로부터 배출된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은 상기 가이드부재를 타고 상부드럼과 하부드럼 사이로 안내되며,
상기 절단유닛은,
상면으로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이 안착되며 안착된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이 자중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후방이 하부를 향해 일정 각도 틸팅되며 격자 형태의 절단홀 및 복수 개의 통과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며 내부로 물이 충전되고 하면에는 충전된 물을 하부로 분사하는 제2 분사노즐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절단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격자형의 블레이드;
상기 스테이지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하는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을 수집하며 물이 저류되고 상단에는 전후 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되는 수조;
상기 수조와 본체를 연결하여 상기 수조에 저류된 물을 본체로 압송하는 펌핑부재;
상기 수조의 전방에 설치되어 수조에 저류된 물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발생부재; 및
상기 레일에 접속되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수조의 물 위로 떠오른 이물질을 회수하는 회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홀의 벽면에는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외면에는 상기 요철에 마찰되는 브러쉬가 형성되며, 상기 수조의 바닥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부로 경사지는 구배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배출구 외측 하부에는 물 배출시 물에 포함된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을 거르는 거름체가 설치되어, 배출구를 개방하여 수조에서 일정 량의 물을 배출하면 물과 함께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이 수조로부터 배출되고, 함께 배출된 물은 거름체 하부에 배치된 물통에 채워지게 되고,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의 경우 그 상부에 배치된 거름체에 걸러지게 되며,
상기 제2 분사노즐은 블레이드를 향해 물을 분사하여 브러쉬에 물이 적셔지도록 하며,
상기 와류발생부재는 수조의 내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수조의 바닥면에 침전된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을을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폭기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펌핑부재는,
수조와 본체를 연결하며 신축 가능한 자바라관 형태의 연결배관; 및
상기 연결배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충전된 물은 제2 분사노즐을 통해 블레이드의 외부로 유출되며 유출된 물은 스테이지의 절단홀과 통과홀을 통과해 수조로 낙하하며, 수조에 채워진 물은 다시 펌핑부재를 통해 본체로 공급되는 순환 구조를 가지며,
상기 회수부재는,
상기 수조의 레일에 접속하며 리니어모터를 내장한 동체; 및
상기 동체의 하부에 장착되어 수조에 채워진 물로 침지되는 망사 재질의 회수망;을 포함하며,
상기 회수부재가 레일에 가이드되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면으로 떠오른 피복이 회수망에 의해 회수되어 수조의 전방 또는 후방에 모여지며,
상기 절단유닛은,
상기 스테이지에 연결 설치되는 진동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별유닛은 자성을 띄는 한 쌍의 자성롤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자성롤 사이로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을 통과시켜 철도 전기부품용 전선에 포함된 철 성분의 이물질을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폐기물 재활용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0681A KR102376006B1 (ko) | 2021-06-22 | 2021-06-22 | 철도 폐기물 재활용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0681A KR102376006B1 (ko) | 2021-06-22 | 2021-06-22 | 철도 폐기물 재활용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76006B1 true KR102376006B1 (ko) | 2022-03-18 |
Family
ID=8093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0681A Active KR102376006B1 (ko) | 2021-06-22 | 2021-06-22 | 철도 폐기물 재활용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600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042343A (zh) * | 2022-06-13 | 2022-09-13 | 重庆市固体废物管理服务中心有限公司 | 一种环境工程固体废物回收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
KR20230151143A (ko) * | 2022-04-22 | 2023-11-01 | 주창수 | 폐기물을 이용한 건설용 자재의 제조방법 |
CN117087043A (zh) * | 2023-08-31 | 2023-11-21 | 北京朝阳环境集团有限公司 | 一种适用于厨余泡沫垃圾的无气味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51450A (ja) * | 2000-06-02 | 2001-12-21 | Taiyo Denko Kk | シース材被覆廃電線の再生化前処理方法ならびにその装置 |
JP2002192137A (ja) * | 2000-12-25 | 2002-07-10 | Takunan Shoji Kk | 廃自動車処理方法及び電気炉用助燃材の製造方法 |
KR200294404Y1 (ko) | 2002-08-09 | 2002-11-07 | 김지환 | 폐전선 차핑시스템 |
KR20020093752A (ko) * | 2002-11-26 | 2002-12-16 | 김경두 | 젤이 도포된 통신 케이블의 세척, 분쇄 및 비중분리공정에 의한 원료회수방법 |
KR200364781Y1 (ko) * | 2004-07-16 | 2004-10-19 | 강영채 | 케이블 피피선의 재활용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KR20130118531A (ko) * | 2012-04-20 | 2013-10-30 | 현수환경주식회사 | 젤리선 가공 방법 및 가공시스템 |
KR101863592B1 (ko) * | 2017-11-17 | 2018-06-01 | 서용현 | 폐 캔 재활방법 |
JP2019147146A (ja) * | 2018-02-27 | 2019-09-05 | 金城産業株式会社 | 自動車廃棄物の再資源化方法及びその再資源化設備 |
KR102188364B1 (ko) * | 2020-07-30 | 2020-12-08 | 김호준 | 플라스틱 포장재 생활계 폐기물의 재활용 시스템 |
-
2021
- 2021-06-22 KR KR1020210080681A patent/KR10237600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51450A (ja) * | 2000-06-02 | 2001-12-21 | Taiyo Denko Kk | シース材被覆廃電線の再生化前処理方法ならびにその装置 |
JP2002192137A (ja) * | 2000-12-25 | 2002-07-10 | Takunan Shoji Kk | 廃自動車処理方法及び電気炉用助燃材の製造方法 |
KR200294404Y1 (ko) | 2002-08-09 | 2002-11-07 | 김지환 | 폐전선 차핑시스템 |
KR20020093752A (ko) * | 2002-11-26 | 2002-12-16 | 김경두 | 젤이 도포된 통신 케이블의 세척, 분쇄 및 비중분리공정에 의한 원료회수방법 |
KR200364781Y1 (ko) * | 2004-07-16 | 2004-10-19 | 강영채 | 케이블 피피선의 재활용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KR20130118531A (ko) * | 2012-04-20 | 2013-10-30 | 현수환경주식회사 | 젤리선 가공 방법 및 가공시스템 |
KR101863592B1 (ko) * | 2017-11-17 | 2018-06-01 | 서용현 | 폐 캔 재활방법 |
JP2019147146A (ja) * | 2018-02-27 | 2019-09-05 | 金城産業株式会社 | 自動車廃棄物の再資源化方法及びその再資源化設備 |
KR102188364B1 (ko) * | 2020-07-30 | 2020-12-08 | 김호준 | 플라스틱 포장재 생활계 폐기물의 재활용 시스템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51143A (ko) * | 2022-04-22 | 2023-11-01 | 주창수 | 폐기물을 이용한 건설용 자재의 제조방법 |
KR102603256B1 (ko) * | 2022-04-22 | 2023-11-16 | 주창수 | 폐기물을 이용한 건설용 자재의 제조방법 |
CN115042343A (zh) * | 2022-06-13 | 2022-09-13 | 重庆市固体废物管理服务中心有限公司 | 一种环境工程固体废物回收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
CN115042343B (zh) * | 2022-06-13 | 2024-02-23 | 重庆市固体废物管理服务中心有限公司 | 一种环境工程固体废物回收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
CN117087043A (zh) * | 2023-08-31 | 2023-11-21 | 北京朝阳环境集团有限公司 | 一种适用于厨余泡沫垃圾的无气味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
CN117087043B (zh) * | 2023-08-31 | 2024-05-17 | 北京朝阳环境集团有限公司 | 一种适用于厨余泡沫垃圾的无气味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76006B1 (ko) | 철도 폐기물 재활용 장치 | |
KR100968793B1 (ko) | 이물질처리 및 집진 기능을 갖는 재생골재 선별장치 | |
JP4003923B2 (ja) | 廃プラスチックの分別処理装置とその分別処理方法 | |
CN118179735B (zh) | 一种废旧金属回收设备 | |
KR102395318B1 (ko) | 회수된 폐어망의 세척분리장치 | |
KR102328333B1 (ko) | 폐기물에서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리사이클링 시스템 | |
CN204874220U (zh) | 一种油泥分离处理设备 | |
KR101916299B1 (ko) | 폐전선의 재활용 시스템 | |
KR101186588B1 (ko) | 리턴 벨트 세척 및 철광석 분리장치 | |
KR100722569B1 (ko) |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 |
KR100479527B1 (ko) |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 |
KR101886859B1 (ko) | 세척수단을 구비한 폐전선의 재생 시스템 | |
KR102328331B1 (ko) | 폐전선 처리 장치 | |
JPH05113499A (ja) | 害性媒体中の表面の剥落による遠隔掃除をし廃棄物回収及び処理を有する設備 | |
KR102083659B1 (ko) | 분류골재이동장치 | |
KR101256750B1 (ko) | 폐전선 선별장치 | |
EP2427310B1 (de)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erunreinigter kunststoffgebinde, insbesondere ölbehälter | |
US4458845A (en) | Pulping apparatus | |
JP2863133B2 (ja) | 水を利用した選別装置 | |
PT994746E (pt) | Aparelho portatil para reciclagem de agua | |
KR101512986B1 (ko) | 화력발전소용 이동형 습식 집진장치 | |
CN105665116A (zh) | 水洗筛分系统 | |
KR20130104081A (ko) | 폐전선의 폴리염화비닐(pvc) 피복재 재활용 시스템 | |
CN108543804A (zh) | 一种轻柔薄片物料回收设备 | |
JPS584119B2 (ja) | 故紙を選別するための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6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3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