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72857B1 -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857B1
KR102372857B1 KR1020170029139A KR20170029139A KR102372857B1 KR 102372857 B1 KR102372857 B1 KR 102372857B1 KR 1020170029139 A KR1020170029139 A KR 1020170029139A KR 20170029139 A KR20170029139 A KR 20170029139A KR 102372857 B1 KR102372857 B1 KR 102372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polyethylene glycol
peptide
xa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4409A (ko
Inventor
김대진
이종수
배성민
권세창
Original Assignee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약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04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85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7/00Compounds having —CHO groups
    • C07C47/02Saturated compounds having —CH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hydrogen
    • C07C47/198Saturated compounds having —CH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hydrogen containing ether groups, groups, groups, o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38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61K47/6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oxyalkylene oligomer, polymer or dendrimer, e.g. PEG, PPG, PEO or poly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01Drug-antibody or immunoglobulin conjugates defined by the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80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 A61K47/6811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the drug being a protein or peptide, e.g. transferrin or bleomy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89Conjugates wherein the antibody being the modifying agent and wherein the linker, binder or spacer confers particular properties to the conjugates, e.g. peptidic enzyme-labile linkers or acid-labile linkers, providing for an acid-labile immuno conjugate wherein the drug may be released from its antibody conjugated part in an acidic, e.g. tumoural or environ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02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nitroge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07C233/0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nitroge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with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233/05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nitroge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with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having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1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07C233/1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 C07C233/18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having the carbo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 hydrogen atom or to a carbon atom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7/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7/0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37/04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1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11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323/12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22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23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39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nitrogen atoms being part of any of the groups, X being a hetero atom, Y being any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62Oxygen or sulfur atoms
    • C07D213/70Sulfur atoms
    • C07D213/71Sulfur atoms to which a second hetero atom is attach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C08G65/323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al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C08G65/324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9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C08G65/334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C08G65/3344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9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C08G65/334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C08G65/3348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nitrogen in addition to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9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C08G65/337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ther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 the absence of monomers, e.g. block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olyethers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Polyethylene glycol derivative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PEG)은 높은 체내 반감기를 가지고 항원성을 가지지 않는 물질로, 지질이나 단백질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과 결합하여 약제학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그 자체로서의 약학적 용도도 연구되고 있는 대표적인 생체적합성 물질이다.
특히,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단백질 치료제와 결합하여 혈중 반감기를 증가시키고 단백질 치료제의 항원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단백질 치료제 측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단백질에 폴리에틸렌 글리콜 분자를 공유 결합시킨 페길화(PEGylation)는 단백질 치료제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고 보고되었다 (Cantin et al., Am. J. 27:659-665 (2002)).
한편, 이러한 약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단백질 치료제의 활성을 유지하면서 결합체 제조 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교한 제조 기술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단백질 치료제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러한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발명자들은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이용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결합체를 제조함에 있어, 두 개 이상의 반응기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링커로서 사용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18462호).
상기 기존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반응기로 알데히드기, 숙시니미딜기, 말레이미드기 (maleimide), 비닐설폰기 (vinylsulfone), 할로겐화 아세트아민기, 또는 이황화 오르토피리딜기 (Orthopyridyl disulfide, OPSS) 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기존에 사용된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이의 각각의 말단에 원하는 반응기를 포함하고도 그 구조에 따른 반응성의 차이를 갖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목적하는 물질에 결합할 수 있는 반응기를 포함하면서도, 이들 물질과 반응이 더 용이한 새로운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를 반응시켜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와 캐리어 단백질이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통하여 연결된, 결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양 말단 반응기에 각각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및 캐리어 단백질이 부착된, 결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생체 내 반감기 증가시키는 캐리어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에 연결시키기 위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또는 상기 결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생체 내 반감기 증가시키는 캐리어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에 연결시키기 위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 링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하나의 양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하나의 구체예로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22904302-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2,5-디옥소피롤리디닐, 2,5-디옥소피롤릴, 알데히드, 말레이미드, C6-C20아릴디설파이드, C5-C20헤테로아릴디설파이드, 비닐술폰, 티올, 할로겐화 아세트아미드, 석시니미드, p-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L1 내지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 C1-C6알킬렌이며,
R2는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Orthopyridyl disulfide, OPSS), 티올, 또는 할로겐이고,
n은 10 내지 2400의 자연수임.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R2는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티올, 또는 요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R1은 알데히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R1 및 R2는 서로 상이한 작용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2]
CHO-(CH2)j-O-(CH2CH2O)n-(CH2)m-NH(CO)-(CH2)k-R2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10 내지 2400의 자연수이고,
j, m 및 k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6의 자연수이며,
R2는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Orthopyridyl disulfide, OPSS), 티올, 또는 할로겐임.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 내지 1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3]
Figure 112017022904302-pat00002
[화학식 4]
Figure 112017022904302-pat00003
[화학식 5]
Figure 112017022904302-pat00004
[화학식 6]
Figure 112017022904302-pat00005
[화학식 7]
Figure 112017022904302-pat00006
[화학식 8]
Figure 112017022904302-pat00007
[화학식 9]
Figure 112017022904302-pat00008
[화학식 10]
Figure 112017022904302-pat00009
[화학식 11]
Figure 112017022904302-pat00010
상기 화학식 3 내지 11에서, n은 10 내지 2400의 자연수임.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하나의 양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를 반응시켜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제조방법이다.
하나의 구체예로서, 상기 제조방법에서 R2에 위치한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Orthopyridyl disulfide, OPSS), 티올, 또는 할로겐이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시스테인 잔기에 위치한 티올기와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제조방법은 추가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를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는 호르몬, 사이토카인, 효소, 항체, 성장인자, 전사조절인자, 혈액인자, 백신, 인슐린 분비 펩타이드, 뉴로펩타이드 (neuropeptide), 뇌하수체 호르몬, 항-비만 펩타이드, 항-바이러스 펩타이드, 생리활성을 갖는 비천연형 펩타이드 유도체, 구조단백질, 리간드 단백질 및 수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는 글루카곤, 인슐린, 소마토스타틴, PYY(peptide YY), NPY(neuropeptide Y), GLP-1(Glucagon-like peptide-1) 및 GLP-2(Glucagon-like peptide-2)와 같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엑센딘-3(Exendin-3), 엑센딘-4(Exendin-4), 옥신토모둘린(Oxyntomodulin), 글루카곤 수용체, GLP-1 수용체, 및 GIP 수용체에 대해 활성을 보유한 펩타이드, 섬유아세포성장인자 (Fibroblast growth factor), 그렐린(Ghrelin), 안지오텐신, 브래디키닌, 칼시토닌, 부신피질 자극호르몬(Corticotropin), 엘레도이신(Eledoisin), 가스트린, 렙틴, 옥시토신(Oxytocin), 바소프레신(vasopressin), 황체 형성호르몬, 황체 자극호르몬, 여포 자극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씨크레틴(secretin), 세르모레린(Sermorelin), 인간 성장호르몬(hGH), 성장호르몬 방출 펩타이드, 콜로니 자극인자(GCSF)류, 인터페론(IFN)류, 인터루킨(Interleukin)류, 프로락틴 방출 펩타이드, 오렉신(Orexin), 갑상선 방출 펩타이드, 콜레시스토키닌(Cholecystokinin), 가스트린억제 펩타이드, 칼모듈린, 가스트린 유리 펩타이드(Gastric releasing peptide), 모틸린(Motilin), 혈관활성 장관펩타이드(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심방나트륨이뇨 펩타이드(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B형 나트륨이뇨 펩타이드(B-type natriuretic peptide; BNP), C-형 나트륨이뇨 펩타이드(C-type natriuretic peptide; CNP), 뉴로키닌(Neurokinin) A, 뉴로메딘(Neuromedin), 레닌(Renin), 엔도텔린(Endothelin), 사라포톡신 펩타이드(Sarafotoxin peptide), 카르소모르핀 펩타이드(Carsomorphin peptide), 데모르핀(Dermorphin), 디노르핀(Dynorphin), 엔도르핀(Endorphin), 엔케팔린(Enkepalin), T 세포인자, 종양괴사인자, 종양괴사인자 수용체, 유로키나아제 수용체, 종양억제인자, 콜라게나제 억제제, 티모포이에틴(Thymopoietin), 티물린(Thymulin), 티모펜틴(Thymopentin), 티모신(Tymosin), 흉선 체액성 인자(Thymic humoral factor), 아드레노모둘린(Adrenomodullin), 알라토스타틴(Allatostatin), 아밀로이드 베타-프로테인 단편(Amyloid beta-protein fragment), 항균성 펩타이드, 항산화제 펩타이드, 봄베신(Bombesin),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 CART 펩타이드, E-셀렉틴(selectin), ICAM-1, VCAM-1, 류코카인(Leucokine), 크링글(Kringle)-5, 라미닌(Laminin), 인히빈(Inhibin), 갈라닌(Galanin), 피브로넥틴(Fibronectin), 판크레아스타틴(Pancreastatin) 및 푸제온(Fuzeon), 인터페론 수용체, 지프로테인 관련수용체 (Gprotein-coupled receptor), 인터루킨 수용체, 효소류, 인터루킨 결합 단백질, 사이토카인 결합 단백질, 마크로파지 활성인자, 마크로파지 펩타이드, B 세포인자, 단백질 A, 알러지 억제인자, 세포 괴사 당단백질, 면역독소, 림포독소, 종양 억제인자, 전이 성장인자, 알파-1 안티트립신, 알부민, α-락트알부민, 아포리포단백질-E, 적혈구 생성인자, 고 당쇄화 적혈구 생성인자, 안지오포에이틴류, 헤모글로빈, 트롬빈, 트롬빈 수용체 활성 펩타이드, 트롬보모듈린, 혈액인자 VII, VIIa, VIII, IX, 및 XIII, 플라즈미노젠 활성인자, 피브린-결합 펩타이드, 유로키나제, 스트렙토키나제, 히루딘, 단백질 C, C-반응성 단백질, 레닌 억제제,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상피세포 성장인자, 표피세포 성장인자, 안지오스타틴, 안지오텐신, 골 형성 성장인자, 골 형성 촉진 단백질, 아트리오펩틴, 연골 유도인자, 엘카토닌, 결합조직 활성인자, 조직인자 경로 억제제, 황체 형성 호르몬 방출 호르몬, 신경 성장인자, 릴랙신, 소마토메딘,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부신피질 호르몬, 췌장 폴리펩티드, 가스트린 방출 펩타이드, 코티코트로핀 방출인자, 갑상선 자극호르몬, 오토탁신, 락토페린, 미오스타틴, 세포표면항원, 바이러스 유래 백신 항원, 단일클론 항체, 다중클론 항체 및 항체 단편, 적혈구 증식인자, 백혈구 증식인자, 아밀린 및 그의 아날로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와 캐리어 단백질이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통하여 연결된, 결합체의 제조방법이다.
하나의 구체예로서, 상기 제조방법은
(a)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또는 캐리어 단백질 중 하나를 반응시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또는 캐리어 단백질이 한쪽 말단에 부착되고, 다른 쪽 말단에 반응기 (reactive end group)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또는 캐리어 단백질이 한쪽 말단에 부착되고, 다른 쪽 말단에 말단 반응기을 가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과 캐리어 단백질 또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중 다른 하나를 반응시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말단 반응기에 캐리어 단백질 또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를 연결시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와 캐리어 단백질이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통하여 연결된, 결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체예로서,
(a)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를 반응시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가 한쪽 말단에 부착되고, 다른 쪽 말단에 반응기 (reactive end group)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가 한쪽 말단에 부착되고, 다른 쪽 말단에 말단 반응기을 가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과 캐리어 단백질을 반응시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말단 반응기에 캐리어 단백질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는 호르몬, 사이토카인, 효소, 항체, 성장인자, 전사조절인자, 혈액인자, 백신, 인슐린 분비 펩타이드, 뉴로펩타이드 (neuropeptide), 뇌하수체 호르몬, 항-비만 펩타이드, 항-바이러스 펩타이드, 생리활성을 갖는 비천연형 펩타이드 유도체, 구조단백질, 리간드 단백질 및 수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a) 단계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방법에서 (a) 단계는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R2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시스테인 잔기에 위치한 티올 기와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체예로서, (b) 단계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말단 알데히드 기를 면역글로불린 Fc 단편의 아민기와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제조방법은 추가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와 캐리어 단백질이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통하여 연결된, 결합체를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캐리어 단백질은 알부민 및 이의 단편, 특정 아미노산 서열의 반복단위의 중합체, 항체, 항체 단편, FcRn 결합물질, 파이브로넥틴, 트랜스페린(Transferrin), 사카라이드(saccharide), 또는 엘라스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FcRn 결합물질은 면역글로불린 Fc 단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이다.
하나의 구체예로서, 상기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는 하기 화학식 15 내지 1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5]
R1-L1-O-(CH2CH2O)n-L2-NH(CO)-L3-S-S-X
[화학식 16]
R1-L1-O-(CH2CH2O)n-L2-NH(CO)-CH2-S-X
[화학식 17]
X-NHCH2-L1-O-(CH2CH2O)n-L2-NH(CO)-L3-R2
상기 화학식 15 내지 17에서,
R1은, 2,5-디옥소피롤리디닐, 2,5-디옥소피롤릴, 알데히드, 말레이미드, C6-C20아릴디설파이드, C5-C20헤테로아릴디설파이드, 비닐술폰, 티올, 할로겐화 아세트아미드, 석시니미드, p-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L1 내지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 C1-C6알킬렌이며,
n은 10 내지 2400의 자연수이고,
R2는,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Orthopyridyl disulfide, OPSS), 티올, 또는 할로겐이고,
X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모이어티임.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양 말단 반응기에 각각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및 캐리어 단백질이 부착된, 결합체이다.
하나의 구체예로서, 상기 결합체는 하기 화학식 18 또는 19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는, 결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8]
Y-NHCH2-L1-O-(CH2CH2O)n-L2-NH(CO)-L3-S-S-X
[화학식 19]
Y-NHCH2-L1-O-(CH2CH2O)n-L2-NH(CO)-CH2-S-X
상기 화학식 18 및 19에서,
L1 내지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 C1-C6알킬렌이며,
n은 10 내지 2400의 자연수이고,
X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모이어티이고,
Y는, 캐리어 단백질 모이어티임.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캐리어 단백질은 알부민 및 이의 단편, 특정 아미노산 서열의 반복단위의 중합체, 항체, 항체 단편, FcRn 결합물질, 파이브로넥틴, 트랜스페린(Transferrin), 사카라이드(saccharide), 또는 엘라스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FcRn 결합물질은 면역글로불린 Fc 단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제조방법이다.
하나의 구체예로서, 상기 방법은
(a)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한쪽 말단에 2,5-디옥소피롤리디닐, 2,5-디옥소피롤릴, 알데히드, 말레이미드, C6-C20아릴디설파이드, C5-C20헤테로아릴디설파이드, 비닐술폰, 티올, 할로겐화 아세트아미드, 석시니미드, p-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R1을 도입하는 단계; 및
(b)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다른 한쪽 말단에 -NH(CO)L3-R2 구조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R2는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Orthopyridyl disulfide, OPSS), 티올, 또는 할로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체예로서,
화학식 20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준비하는 제1단계;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준비하는 제2단계; 및 화학식 2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 용액으로 처리하여 말단의 디에톡시메틸을 알데히드로 전환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20]
Figure 112017022904302-pat00011
여기서, n'은 n 또는 n+1
[화학식 21]
Figure 112017022904302-pat00012
[화학식 22]
Figure 112017022904302-pat00013
여기서, 상기 L1, L2, L3, n 및 R2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음.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제1단계의 화학식 20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23]
Figure 112017022904302-pat00014
.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제1단계는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암모니아 수용액 및 염화암모늄과 반응시킴으로써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제1단계는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히드록시알킬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에테르와 반응시켜 화학식 2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1-1단계;
화학식 2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p-톨루엔설폰산과 반응시켜 말단의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옥시기를 히드록시기로 치환하는 제1-2단계;
이전 단계로부터 수득한 화합물을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히드록시기를 메탄술폰산기로 전환하는 제1-3단계; 및
이전 단계로부터 수득한 화합물을 암모니아 수용액 및 염화암모늄과 반응시키는 제1-4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24]
Figure 112017022904302-pat00015
.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제2단계는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25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25]
Figure 112017022904302-pat00016
.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제2단계는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클로로(C2-C7 알카노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중간체로 하기 화학식 26으로 표시되는, 말단에 클로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합성한 후, 황화수소 나트륨 존재 또는 부재 하에 할로겐 금속염과 반응시켜 클로로기를 티올 또는 할로겐으로 전환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26]
Figure 112017022904302-pat00017
.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생체 내 반감기 증가시키는 캐리어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에 연결시키기 위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용도이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또는 상기 결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하나의 양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생체 내 반감기 증가시키는 캐리어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에 연결시키기 위한 링커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는 이의 말단에 원하는 반응기를 포함하면서도, 이와 연결하고자 하는 목적 물질 (예, 단백질)과의 반응성이 용이하여, 단백질 결합체 등의 결합 약물에 대한 약제의 제조 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a 및 b는 본 발명의 신규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일 예로서 1) 알데히드기와 이황화 오르토피리딜기를 가지는 화합물의 화학 구조 (링커 1, 4, 7), 2) 알데히드기와 요오드화 아세트아민기 혹은 요오드 기를 가지는 화합물의 화학 구조 (링커 2, 5, 8), 및 3) 알데히드기와 설프히드릴기를 가지는 화합물의 화학 구조 (링커 3, 6, 9)를 나타낸다. 도 1b에서 링커 10 내지 12는 비교군에 해당한다.
도 2는, 링커 1 제조 후 핵자기공명법(NMR)으로 분석,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링커 1 제조 후 역상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4는, 링커 2 제조 후 핵자기공명법(NMR)으로 분석,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링커 2 제조 후 역상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6은, 링커 3 제조 후 핵자기공명법(NMR)으로 분석,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링커 3 제조 후 역상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8은, 링커 5 제조 후 핵자기공명법(NMR)으로 분석, 확인한 결과이다.
도 9는, 링커 5 제조 후 역상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10은, 링커 5 제조 후 분자량을 MALDI-TOF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11은, 링커 7 제조 후 역상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12은, 링커 8 제조 후 핵자기공명법(NMR)으로 분석, 확인한 결과이다.
도 13는, 링커 8 제조 후 역상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14은, 링커 8 제조 후 분자량을 MALDI-TOF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15은, 링커 9 제조 후 역상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16는, 링커 11 제조 후 핵자기공명법(NMR)으로 분석, 확인한 결과이다.
도 17는, 링커 11 제조 후 역상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18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티올 반응성 기 (thiol reactive group)의 반응성 비교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9 내지 21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링커로서 사용하여 제조한 삼중활성체 - PEG - Fc 결합체의 SDS-PAGE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링커 7을, 도 20은 링커 8을, 도 21은 링커 9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SDS-PAGE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하나의 양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원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용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구조 [-(OCH2CH2)n-]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은 2개 이상의 말단 반응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에 존재하는 2개 이상의 말단 반응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상이한 종류의 말단 반응기에 작용하는 헤테로 작용성(heterofunctional) 링커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합물의 하나의 말단은 아민 기에 작용성을 가지는 반면, 다른 말단은 티올 기에 작용성을 가지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은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에 캐리어를 결합시키기 위한 링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개 이상의 말단 반응기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하나의 말단은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에 다른 말단은 캐리어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와 혼용되어 사용된다.
구체적인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은 다음과 같이 티올 반응기 (thiol reactive group)와 폴리에틸렌 글리콜 구조 사이에 -NHCO-구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22904302-pat00018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2,5-디옥소피롤리디닐, 2,5-디옥소피롤릴, 알데히드, 말레이미드, C6-C20아릴디설파이드, C5-C20헤테로아릴디설파이드, 비닐술폰, 티올, 할로겐화 아세트아미드, 석시니미드, p-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L1 내지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 C1-C6알킬렌이며,
R2는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Orthopyridyl disulfide, OPSS), 티올, 또는 할로겐이고,
n은 10 내지 2400의 자연수임.
상기 화학식에서 R2는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티올, F, Br, Cl, 또는 I일 수 있으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또는 I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알데히드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석시니미드 유도체일 수 있으며, 그 종류로 석시니미딜 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 석시니미딜, 석시니미딜 카르복시메틸 또는 석시니미딜 카보네이트를 들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서로 상이한 종류의 말단 반응기에 작용하는 헤테로 작용성(heterofunctional)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R1 및 R2는 서로 상이한 작용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R1은 알데히드이고, R2는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Orthopyridyl disulfide, OPSS), 티올, 또는 할로겐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합물에서 L1 내지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 C1-C6알킬렌, 보다 더 구체적으로 C1-C4 알킬렌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L1은 1, 2, 3, 4, 5, 또는 6의 자연수일 수 있고, L2는 1, 2, 3, 4, 5, 또는 6의 자연수일 수 있고, 상기 L3는 1, 2, 3, 4, 5, 또는 6의 자연수일 수 있다.
하나의 일례로서, L2는 2, 4, 또는 6이고, L1과 L3는 1, 2, 3, 4, 5, 또는 6일 수 있다.
상기 화합물에서 R1-L1-은 알킬 알데히드일 수 있고, 예컨대 C2-C6 알킬 알데히드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피온 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등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은 약 100 달톤 내지 약 110,000 달톤의 분자량, 구체적으로 약 400 내지 약 110,000 달톤의 분자량, 더 구체적으로 약 1000 내지 100,000 달톤의 분자량,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1000 내지 20,000 달톤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n은 10 내지 2400의 자연수일 수 있으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 20 내지 460의 자연수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CHO-(CH2)j-O-(CH2CH2O)n-(CH2)m-NH(CO)-(CH2)k-R2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10 내지 2400의 자연수이고,
j, m 및 k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6의 자연수이며,
R2는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티올, 또는 할로겐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10 내지 2400의 자연수, 더 구체적으로 20 내지 460의 자연수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 양태에서 상기 j, m 및 k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6의 자연수, 구체적으로 1 내지 4의 자연수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j는 1, 2, 3, 4, 5, 또는 6의 자연수일 수 있고, m은 1, 2, 3, 4, 5, 또는 6의 자연수일 수 있으며, k는 1, 2, 3, 4, 5, 또는 6의 자연수일 수 있다.
하나의 일례로서, j는 2, 3, 4, 5, 또는 6이고, m은 2, 4, 또는 6이고, k는 1, 2, 3, 4, 5, 또는 6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2는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티올, 또는 할로겐, 구체적으로는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티올, 또는 F, Br, Cl, 또는 I일 수 있으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또는 I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6 내지 1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112017022904302-pat00019
[화학식 7]
Figure 112017022904302-pat00020
[화학식 8]
Figure 112017022904302-pat00021
[화학식 9]
Figure 112017022904302-pat00022
[화학식 10]
Figure 112017022904302-pat00023
[화학식 11]
Figure 112017022904302-pat00024
상기 화학식 6 내지 11에서, n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음.
본원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링커 #4로, 상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링커 #5로, 상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링커 #6로, 상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링커 #7로, 상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링커 #8로,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링커 #9로 명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 속하는 화합물들이 -NHCO- 구조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화합물에 비하여 티올 기에 대해 높은 반응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바, 상기 화합물들을 티올 기를 포함하는 물질에 부착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7022904302-pat00025
[화학식 4]
Figure 112017022904302-pat00026
[화학식 5]
Figure 112017022904302-pat00027
여기서 n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음.
한편, 상기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 (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상기 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만, 개체, 예컨대 포유류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의약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과도한 독성,자극, 또는 알레르기 반응 등을 유발하지 않고 원하는 용도에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한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산, 유기산, 또는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산의 예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과염소산, 푸마르산,말레산, 인산, 글리콜산, 락트산, 살리실산,숙신산, 톨루엔-p-설폰산, 타르타르산, 아세트산,시트르산, 메탄설폰산,포름산, 벤조산, 말론산, 나프탈렌-2-설폰산, 벤젠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적합한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및 암모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동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 (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은,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가능한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용매화물"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이 용매 분자와 복합체를 형성한 것을 말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화합물이 그 치환기에 비대칭 탄소중심을 가질 경우 R 또는 S 이성질체, 라세미체,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및 개개 부분입체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모든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하나의 양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를 반응시켜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양 말단에 위치한 반응기 중 어느 하나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R1에 위치한 반응기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에 연결시키거나, R2에 위치한 반응기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에 연결시킬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R2에 위치한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티올, 또는 할로겐이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시스테인 잔기에 위치한 티올기와 반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간의 반응은 폴리에틸렌 글리콘 화합물의 반응기와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연결될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반응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구연산 완충액 또는 HEPES와 같은 적절한 완충액과 C1 내지 C6 알코올과 같은 유기용매의 존재 하에 상기 반응이 수행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은 추가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를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제에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는 생리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펩타이드 혹은 단백질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대상체 내에서 생리활성을 나타내게 하고자 하는 물질이다.
상기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는 호르몬, 사이토카인, 효소, 항체, 성장인자, 전사조절인자, 혈액인자, 백신, 인슐린 분비 펩타이드, 뉴로펩타이드 (neuropeptide), 뇌하수체 호르몬, 항-비만 펩타이드, 항-바이러스 펩타이드, 생리활성을 갖는 비천연형 펩타이드 유도체, 구조단백질, 리간드 단백질 및 수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예로, GLP-1 수용체 아고니스트, 렙틴(Leptin) 수용체 아고니스트, DPP-IV 저해제, Y5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MCH (Melanin-concentrating hormone)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Y2/3 수용체 아고니스트, MC3/4 수용체 아고니스트, 위/췌장 리파아제(gastric/pancreatic lipase) 저해제, 5HT2c 아고니스트, β3A 수용체 아고니스트, 아밀린(Amylin) 수용체 아고니스트, 그랠린 (Ghrelin) 안타고니스트, 그랠린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등이 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는 하기 서열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거나, 혹은 이로 구성된 펩타이드일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는 글루카곤 수용체, GLP-1 수용체, 및 GIP 수용체에 대해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펩타이드를 삼중 활성체로 명명한다.
Xaa1-Xaa2-Xaa3-Gly-Thr-Phe-Xaa7-Ser-Asp-Xaa10-Ser-Xaa12-Xaa13-Xaa14-Xaa15-Xaa16-Xaa17-Xaa18-Xaa19-Xaa20-Xaa21-Phe-Xaa23-Xaa24-Trp-Leu-Xaa27-Xaa28-Xaa29-Xaa30-R1 (서열번호 103)
상기 식에서,
Xaa1은 히스티딘, 4-이미다조아세틸, 또는 티로신이고,
Xaa2는 글리신, 알파-메틸-글루탐산, 또는 Aib이며,
Xaa3은 글루탐산 또는 글루타민이고,
Xaa7은 트레오닌 또는 이소류신이며,
Xaa10은 류신, 티로신, 리신, 시스테인, 또는 발린이고,
Xaa12는 리신, 세린, 또는 이소류신이며,
Xaa13은 글루타민, 티로신, 알라닌, 또는 시스테인이고,
Xaa14는 류신, 메티오닌, 또는 티로신이며,
Xaa15는 시스테인,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또는 류신이며,
Xaa16은 글리신, 글루탐산, 또는 세린이고,
Xaa17은 글루타민, 아르기닌, 이소류신, 글루탐산, 시스테인, 또는 리신이며,
Xaa18은 알라닌, 글루타민, 아르기닌, 또는 히스티딘이고,
Xaa19는 알라닌, 글루타민, 시스테인, 또는 발린이며,
Xaa20은 리신, 글루타민, 또는 아르기닌이고,
Xaa21은 글루탐산, 글루타민, 류신, 시스테인, 또는 아스파르트산이며,
Xaa23은 이소류신 또는 발린이고,
Xaa24는 알라닌, 글루타민, 시스테인, 아스파라긴,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며,
Xaa27은 발린, 류신, 리신, 또는 메티오닌이고,
Xaa28은 시스테인, 리신, 알라닌, 아스파라긴, 또는 아스파르트산이며,
Xaa29는 시스테인, 글리신, 글루타민, 트레오닌, 글루탐산, 또는 히스티딘이고,
Xaa30은 시스테인, 글리신, 리신, 또는 히스티딘이거나, 부존재하며,
R1은 시스테인, GKKNDWKHNIT (서열번호 104), m-SSGAPPPS-n (서열번호 105), 또는 m-SSGQPPPS-n (서열번호 106)이거나, 부존재하며,
여기서,
m은 -Cys-, -Pro-, 또는 -Gly-Pro-이고,
n은 -Cys-, -Gly-, -Ser-, 또는 -His-Gly-이거나, 부존재함.
상기 삼중 활성체의 예로, 서열번호: 1 내지 10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들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는 글루카곤, 인슐린, 소마토스타틴, PYY(peptide YY), NPY(neuropeptide Y), GLP-1(Glucagon-like peptide-1) 및 GLP-2(Glucagon-like peptide-2)와 같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엑센딘-3(Exendin-3), 엑센딘-4(Exendin-4), 옥신토모둘린(Oxyntomodulin), 글루카곤 수용체, GLP-1 수용체, 및 GIP 수용체에 대해 활성을 보유한 펩타이드, 섬유아세포성장인자 (Fibroblast growth factor), 그렐린(Ghrelin), 안지오텐신, 브래디키닌, 칼시토닌, 부신피질 자극호르몬(Corticotropin), 엘레도이신(Eledoisin), 가스트린, 렙틴, 옥시토신(Oxytocin), 바소프레신(vasopressin), 황체 형성호르몬, 황체 자극호르몬, 여포 자극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씨크레틴(secretin), 세르모레린(Sermorelin), 인간 성장호르몬(hGH), 성장호르몬 방출 펩타이드, 콜로니 자극인자(GCSF)류, 인터페론(IFN)류, 인터루킨(Interleukin)류, 프로락틴 방출 펩타이드, 오렉신(Orexin), 갑상선 방출 펩타이드, 콜레시스토키닌(Cholecystokinin), 가스트린억제 펩타이드, 칼모듈린, 가스트린 유리 펩타이드(Gastric releasing peptide), 모틸린(Motilin), 혈관활성 장관펩타이드(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심방나트륨이뇨 펩타이드(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B형 나트륨이뇨 펩타이드(B-type natriuretic peptide; BNP), C-형 나트륨이뇨 펩타이드(C-type natriuretic peptide; CNP), 뉴로키닌(Neurokinin) A, 뉴로메딘(Neuromedin), 레닌(Renin), 엔도텔린(Endothelin), 사라포톡신 펩타이드(Sarafotoxin peptide), 카르소모르핀 펩타이드(Carsomorphin peptide), 데모르핀(Dermorphin), 디노르핀(Dynorphin), 엔도르핀(Endorphin), 엔케팔린(Enkepalin), T 세포인자, 종양괴사인자, 종양괴사인자 수용체, 유로키나아제 수용체, 종양억제인자, 콜라게나제 억제제, 티모포이에틴(Thymopoietin), 티물린(Thymulin), 티모펜틴(Thymopentin), 티모신(Tymosin), 흉선 체액성 인자(Thymic humoral factor), 아드레노모둘린(Adrenomodullin), 알라토스타틴(Allatostatin), 아밀로이드 베타-프로테인 단편(Amyloid beta-protein fragment), 항균성 펩타이드, 항산화제 펩타이드, 봄베신(Bombesin),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 CART 펩타이드, E-셀렉틴(selectin), ICAM-1, VCAM-1, 류코카인(Leucokine), 크링글(Kringle)-5, 라미닌(Laminin), 인히빈(Inhibin), 갈라닌(Galanin), 피브로넥틴(Fibronectin), 판크레아스타틴(Pancreastatin) 및 푸제온(Fuzeon), 인터페론 수용체, 지프로테인 관련수용체 (Gprotein-coupled receptor), 인터루킨 수용체, 효소류, 인터루킨 결합 단백질, 사이토카인 결합 단백질, 마크로파지 활성인자, 마크로파지 펩타이드, B 세포인자, 단백질 A, 알러지 억제인자, 세포 괴사 당단백질, 면역독소, 림포독소, 종양 억제인자, 전이 성장인자, 알파-1 안티트립신, 알부민, α-락트알부민, 아포리포단백질-E, 적혈구 생성인자, 고 당쇄화 적혈구 생성인자, 안지오포에이틴류, 헤모글로빈, 트롬빈, 트롬빈 수용체 활성 펩타이드, 트롬보모듈린, 혈액인자 VII, VIIa, VIII, IX, 및 XIII, 플라즈미노젠 활성인자, 피브린-결합 펩타이드, 유로키나제, 스트렙토키나제, 히루딘, 단백질 C, C-반응성 단백질, 레닌 억제제,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상피세포 성장인자, 표피세포 성장인자, 안지오스타틴, 안지오텐신, 골 형성 성장인자, 골 형성 촉진 단백질, 아트리오펩틴, 연골 유도인자, 엘카토닌, 결합조직 활성인자, 조직인자 경로 억제제, 황체 형성 호르몬 방출 호르몬, 신경 성장인자, 릴랙신, 소마토메딘,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부신피질 호르몬, 췌장 폴리펩티드, 가스트린 방출 펩타이드, 코티코트로핀 방출인자, 갑상선 자극호르몬, 오토탁신, 락토페린, 미오스타틴, 세포표면항원, 바이러스 유래 백신 항원, 단일클론 항체, 다중클론 항체 및 항체 단편, 적혈구 증식인자, 백혈구 증식인자, 아밀린 및 그의 아날로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와 캐리어 단백질이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통하여 연결된, 결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a)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또는 캐리어 단백질 중 하나를 반응시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또는 캐리어 단백질이 한쪽 말단에 부착되고, 다른 쪽 말단에 반응기 (reactive end group)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또는 캐리어 단백질이 한쪽 말단에 부착되고, 다른 쪽 말단에 말단 반응기을 가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과 캐리어 단백질 또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중 다른 하나를 반응시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말단 반응기에 캐리어 단백질 또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를 연결시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와 캐리어 단백질이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통하여 연결된, 결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a)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를 반응시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가 한쪽 말단에 부착되고, 다른 쪽 말단에 반응기 (reactive end group)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가 한쪽 말단에 부착되고, 다른 쪽 말단에 말단 반응기을 가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과 캐리어 단백질을 반응시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말단 반응기에 캐리어 단백질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22904302-pat00028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알데히드 기이고,
L1 내지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 C1-C6알킬렌이며,
R2는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Orthopyridyl disulfide, OPSS), 티올, 또는 할로겐이고,
n은 10 내지 2400의 자연수임.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방법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간의 반응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R2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시스테인 잔기에 위치한 티올 기와 반응을 포함할 수 있고,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과 캐리어 단백질 간의 반응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말단 알데히드 기와 캐리어 단백질의 아민기 간의 반응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에서 (a) 단계는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R2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시스테인 잔기에 위치한 티올 기와 반응시키고, (b) 단계에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말단 알데히드 기를 캐리어 단백질의 아민기와 반응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또는 캐리어 단백질 간의 반응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반응기와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연결될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또는 캐리어 단백질의 반응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페길화 반응은 구연산 완충액 또는 HEPES와 같은 적절한 완충액과 C1 내지 C6 알코올과 같은 유기용매의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알데히드 반응기는 낮은 pH에서 아미노 말단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며, 높은 pH, 예를 들어 pH9.0 조건에서는 라이신 잔기와 공유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리어 단백질은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생체 내 반감기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통해 상기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에 연결되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캐리어 단백질은 알부민 및 이의 단편, 특정 아미노산 서열의 반복단위의 중합체, 항체, 항체 단편, FcRn 결합물질, 파이브로넥틴, 트랜스페린(Transferrin), 사카라이드(saccharide), 또는 엘라스틴일 수 있으며, 상기 FcRn 결합물질은 면역글로불린 Fc 단편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말단 알데히드기는 면역글로불린 Fc 단편의 아민기, 구체적으로 N-말단 아민기와 반응하는 것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면역글로불린의 중쇄와 경쇄 가변영역을 제외한, 중쇄 불변영역 2(CH2) 및/또는 중쇄 불변영역 3(CH3)부분을 포함하는 부위를 의미한다.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본 발명의 결합체의 모이어티를 이루는 일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중쇄 불변영역에 힌지(hinge)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천연형과 실질적으로 동등하거나 향상된 효과를 갖는 한, 면역 글로불린의 중쇄와 경쇄 가변영역만을 제외하고, 일부 또는 전체 중쇄 불변영역 1(CH1) 및/또는 경쇄불변영역 1(CL1)을 포함하는 확장된 Fc 영역일 수 있다. 또한, CH2 및/또는 CH3에 해당하는 상당히 긴 일부 아미노산 서열이 제거된 영역일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1) CH1 도메인, CH2 도메인, CH3 도메인 및 CH4 도메인, 2) CH1 도메인 및 CH2 도메인, 3) CH1 도메인 및 CH3 도메인, 4) CH2 도메인 및 CH3 도메인, 5) CH1 도메인, CH2 도메인, CH3 도메인 및 CH4 도메인 중 1개 또는 2개의 이상의 도메인과 면역글로불린 힌지 영역(또는 힌지 영역의 일부)와의 조합, 6) 중쇄 불변 영역 각 도메인과 경쇄 불변영역의 이량체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나의 구체예로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이합체 형태 (dimeric form)일 수 있으며, 이합체 형태의 하나의 Fc 영역에 X 한 분자가 공유결합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면역글로불린 Fc와 X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이합체 형태의 하나의 Fc 영역에 X 두 분자가 대칭적으로 결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때 상기 면역글로불린 Fc와 X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된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천연형 아미노산 서열뿐만 아니라 이의 서열 유도체를 포함한다. 아미노산 서열 유도체란 천연 아미노산 서열 중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 삽입, 비보전적 또는 보전적 치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상이한 서열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IgG Fc의 경우 결합에 중요하다고 알려진 214 내지 238, 297 내지 299, 318 내지 322 또는 327 내지 331번 아미노산 잔기들이 변형을 위해 적당한 부위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황화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부위가 제거되거나, 천연형 Fc에서 N-말단의 몇몇 아미노산이 제거되거나 또는 천연형 Fc의 N-말단에 메티오닌 잔기가 부가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종류의 유도체가 가능하다. 또한, 이펙터 기능을 없애기 위해 보체결합부위, 예로 C1q 결합부위가 제거될 수도 있고, ADCC (antibody dependent cell mediated cytotoxicity) 부위가 제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의 서열 유도체를 제조하는 기술은 국제특허공개 제WO 97/34631호, 국제특허공개 제96/32478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분자의 활성을 전체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단백질 및 펩타이드에서의 아미노산 교환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H.Neurath, R.L.Hill, The Proteins, Academic Press, New York, 1979). 가장 통상적으로 일어나는 교환은 아미노산 잔기 Ala/Ser, Val/Ile, Asp/Glu, Thr/Ser, Ala/Gly, Ala/Thr, Ser/Asn, Ala/Val, Ser/Gly, Thy/Phe, Ala/Pro, Lys/Arg, Asp/Asn, Leu/Ile, Leu/Val, Ala/Glu, Asp/Gly 간의 교환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인산화(phosphorylation), 황화(sulfation), 아크릴화(acrylation), 당화(glycosylation), 메틸화(methylation), 파네실화(farnesylation), 아세틸화(acetylation) 및 아미드화(amidation) 등으로 수식(modification)될 수도 있다.
상기 기술한 Fc 유도체는 본 발명의 Fc 영역과 동등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며 Fc 영역의 열, pH 등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킨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Fc 영역은 인간, 소, 염소, 돼지, 마우스, 래빗, 햄스터, 랫트 또는 기니아 픽 등의 동물의 생체 내에서 분리한 천연형으로부터 얻어질 수도 있고, 형질전환된 동물세포 또는 미생물로부터 얻어진 재조합형 또는 이의 유도체일 수 있다. 여기서, 천연형으로부터 획득하는 방법은 전체 면역글로불린을 인간 또는 동물의 생체로부터 분리한 후,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하여 획득하는 방법일 수 있다. 파파인을 처리할 경우에는 Fab 및 Fc로 절단되고, 펩신을 처리할 경우에는 pF'c 및 F(ab)2로 절단된다. 이를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등을 이용하여 Fc 또는 pF'c를 분리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인간 유래의 Fc 영역을 미생물로부터 수득한 재조합형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다.
또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천연형 당쇄, 천연형에 비해 증가된 당쇄, 천연형에 비해 감소한 당쇄 또는 당쇄가 제거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면역글로불린 Fc 당쇄의 증감 또는 제거에는 화학적 방법, 효소학적 방법 및 미생물을 이용한 유전 공학적 방법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Fc에서 당쇄가 제거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보체(c1q)와의 결합력이 현저히 저하되고, 항체-의존성 세포독성 또는 보체-의존성 세포 독성이 감소 또는 제거되므로, 생체 내에서 불필요한 면역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약물의 캐리어로서의 본래의 목적에 보다 부합하는 형태는 당쇄가 제거되거나 비당쇄화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당쇄의 제거(Deglycosylation)"는 효소로 당을 제거한 Fc 영역을 말하며, 비당쇄화(Aglycosylation)는 원핵동물, 더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대장균에서 생산하여 당쇄화되지 않은 Fc 영역을 의미한다.
한편,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인간 또는 소, 염소, 돼지, 마우스, 래빗, 햄스터, 랫트, 기니아 픽 등의 동물기원일 수 있으며, 더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인간기원이다.
또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IgG, IgA, IgD, IgE, IgM 유래 또는 이들의 조합(combination) 또는 이들의 혼성(hybrid)에 의한 Fc 영역일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인간 혈액에 가장 풍부한 IgG 또는 IgM유래이며 보다 더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리간드 결합 단백질의 반감기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공지된 IgG 유래이다. 더욱 더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IgG4 Fc 영역이며, 가장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인간 IgG4 유래의 비-당쇄화된 Fc 영역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조합(combination)"이란 이량체 또는 다량체를 형성할 때, 동일 기원 단쇄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을 암호화하는 폴리펩티드가 상이한 기원의 단쇄 폴리펩티드와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IgG Fc, IgA Fc, IgM Fc, IgD Fc 및 IgE의 Fc 단편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2개 이상의 단편으로부터 이량체 또는 다량체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은 추가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와 캐리어 단백질이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통하여 연결된, 결합체를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제에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를 제공한다.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 및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하나의 구체예로서, 상기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는 하기 화학식 15 내지 1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5]
R1-L1-O-(CH2CH2O)n-L2-NH(CO)-L3-S-S-X
[화학식 16]
R1-L1-O-(CH2CH2O)n-L2-NH(CO)-CH2-S-X
[화학식 17]
X-NHCH2-L1-O-(CH2CH2O)n-L2-NH(CO)-L3-R2
상기 화학식 15 내지 17에서,
R1은, 2,5-디옥소피롤리디닐, 2,5-디옥소피롤릴, 알데히드, 말레이미드, C6-C20아릴디설파이드, C5-C20헤테로아릴디설파이드, 비닐술폰, 티올, 할로겐화 아세트아미드, 석시니미드, p-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L1 내지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 C1-C6알킬렌이며,
n은 10 내지 2400의 자연수이고,
R2는,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티올, 또는 할로겐이고,
X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모이어티에 해당한다.
상기 기술된 변수의 구체적인 양태 및 조합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내용이 모두 적용된다.
상기 화학식 15에서 -S-S-X는 X에 위치한 티올 기가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또는 티올 기와 반응하여 형성된 연결 구조일 수 있고, 화학식 16에서 -CH2-S-X는 X에 위치한 티올 기가 할로겐, 구체적으로 IA (iodoacetamide)와 반응하여 형성된 연결 구조일 수 있으며, 화학식 17에서 X-NHCH2-는 X에 위치한 아민 기가 알데히드기와 반응하고 환원적 알킬화를 통해 형성된 연결 구조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양 말단 반응기에 각각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및 캐리어 단백질이 부착된, 결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및 캐리어 단백질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하나의 구체예로서, 상기 결합체는 하기 화학식 18 또는 19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는, 결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8]
Y-NHCH2-L1-O-(CH2CH2O)n-L2-NH(CO)-L3-S-S-X
[화학식 19]
Y-NHCH2-L1-O-(CH2CH2O)n-L2-NH(CO)-CH2-S-X
상기 화학식 18 및 19에서,
L1 내지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 C1-C6알킬렌이며,
n은 10 내지 2400의 자연수이고,
X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모이어티이며,
Y는 캐리어 단백질 모이어티임.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a)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한쪽 말단에 2,5-디옥소피롤리디닐, 2,5-디옥소피롤릴, 알데히드, 말레이미드, C6-C20아릴디설파이드, C5-C20헤테로아릴디설파이드, 비닐술폰, 티올, 할로겐화 아세트아미드, 석시니미드, p-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R1을 도입하는 단계; 및
(b)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다른 한쪽 말단에 -NH(CO)L3-R2 구조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R2는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Orthopyridyl disulfide, OPSS), 티올, 또는 할로겐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화학식 20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준비하는 제1단계;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준비하는 제2단계; 및
화학식 2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 용액으로 처리하여 말단의 디에톡시메틸을 알데히드로 전환하는 제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0]
Figure 112017022904302-pat00029
여기서, n'은 n 또는 n+1
[화학식 21]
Figure 112017022904302-pat00030
[화학식 22]
Figure 112017022904302-pat00031
여기서, 상기 L1, L2, L3, n 및 R2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음.
링커 5 (화학식 7)와 같이 L2가 2인 폴리에틸렌글리콜 화합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n'은 n+1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제1단계의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준비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3]
Figure 112017022904302-pat00032
.
링커 5 (화학식 7)와 같이 L2가 2인 폴리에틸렌글리콜 화합물을 제조하는 경우 등에서, 상기 제1단계는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암모니아 수용액 및 염화암모늄과 반응시킴으로써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링커 7 내지 9 (화학식 9 내지 11)과 같이 L2가 3 이상인 폴리에틸렌글리콜 화합물을 제조하는 경우 등에서,
상기 제1단계는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히드록시알킬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에테르와 반응시켜 화학식 2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1-1단계;
화학식 2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p-톨루엔설폰산과 반응시켜 말단의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옥시기를 히드록시기로 치환하는 제1-2단계;
이전 단계로부터 수득한 화합물을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히드록시기를 메탄술폰산기로 전환하는 제1-3단계; 및
이전 단계로부터 수득한 화합물을 암모니아 수용액 및 염화암모늄과 반응시키는 제1-4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24]
Figure 112017022904302-pat00033
.
여기서, 상기 제1-1 단계는 포타슘 t-펜톡사이드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R2에 OPSS를 반응기로 도입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25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5]
Figure 112017022904302-pat00034
.
한편, R2에 -I 또는 -SH를 반응기로 도입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클로로(C2-C7 알카노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중간체로 하기 화학식 26으로 표시되는, 말단에 클로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합성한 후, 황화수소 나트륨 존재 또는 부재 하에 할로겐 금속염과 반응시켜 클로로기를 티올 또는 할로겐으로 전환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6]
Figure 112017022904302-pat00035
.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생체 내 반감기 증가시키는 캐리어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에 연결시키기 위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캐리어,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또는 상기 결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결합체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으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경구투여시에는 결합제, 활택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화제,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국소투여용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시에는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서,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단위 투약 앰플 또는 다수회 투약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기타, 용액, 현탁액, 정제, 환약, 캡슐, 서방형 제제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한편, 제제화에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생체 내 반감기 증가시키는 캐리어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에 연결시키기 위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 링커를 제공한다.
상기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캐리어,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으로 표시되는 일련의 반응을 통해 합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하기 반응식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예시적인 제조방법일 뿐,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거나 적절히 변경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반응식]
Figure 112017022904302-pat00036
<반응 예 1> 화합물 (2)의 제조
반응 용기에 화합물 (1)과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한다. 반응온도를 10℃ 이하로 유지하면서 트리에틸아민과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를 투입한다. 실온에서 3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 완결 후 물과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고 5분동안 교반한다. 유기층을 추출한 후 수층에 다시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여 추가 추출한다. 유기층을 모아 증류수로 세척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남은 여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2)를 얻는다.
<반응 예 2> 화합물 ( 3)의 제조
반응 용기에 톨루엔과 화합물 (10)를 투입한다. 포타슘 t-펜톡사이드를 투입한 후 약 50℃까지 승온시키고 5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activation 용액). 다른 반응 용기에 화합물 (2)와 톨루엔을 투입한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activation 용액을 상기 혼합액에 30℃에서 1시간 동안 적가한다. 30℃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반응 용액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다. 층분리 후 수용액층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추출한다. 물 층에 다시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여 추가 추출한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남은 여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3)을 얻는다.
<반응 예 3> 화합물 (4)의 제조
반응 용기에 화합물 (3)과 에탄올,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한다. p-톨루엔 설폰산 (p-TsOH)을 투입한 후 실온에서 20시간동안 교반한다. 수산화나트륨을 투입한 후 용매를 감압 농축시킨다. 디클로로메탄과 물을 투입하고 5분 동안 교반한다. 유기층을 추출한 후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남은 여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4)를 얻는다.
<반응 예 4> 화합물 (5)의 제조
반응 용기에 화합물 (4)와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한다. 반응온도를 10℃ 이하로 유지하면서 트리에틸아민과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를 투입한다. 실온에서 3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 완결 후 물과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고 5분 동안 교반한다. 유기층을 추출한 후 물층에 다시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여 추가 추출한다. 유기층을 모아 증류수 60㎖로 세척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남은 여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5) 를 얻는다.
<반응 예 5> 화합물 (6)의 제조
용기에 디메틸포름아마이드와 화합물(5)를 투입한다. 30℃까지 승온시키고 포타슘 싸이오아세테이트를 투입한 후 3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디클로로메탄과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다. 층 분리 후 물층을 디클로로메탄로 재 추출한다. 층 분리 후 추출한 유기층을 모아 20%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한다. 층 분리 후 유기층에 황산나트륨을 투입하고 30분 동안 교반한다. 상기 혼합액을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5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6)을 얻는다.
<반응 예 6> 화합물 (7)의 제조
용기에 물과 화합물 (6)을 투입한다. 반응액이 pH 14가 되도록 0.1M 수산화나트륨용액을 적가한다. 실온에서 12hr 교반 후 1N 염산용액을 사용하여 pH 6~7로 맞춘다. 중화시킨 후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고 추출한다. 층 분리 후 물층을 디클로로메탄로 재 추출한다. 층 분리 후 추출한 유기층을 모아 황산나트륨을 투입하고 30분 동안 교반한다. 상기 혼합액을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5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7)을 얻는다.
<반응 예 7> 화합물 (8)의 제조
반응 용기에 화합물 (7)과 메탄올을 투입한다. 화합물 (11)을 적가한 후 실온에서 3일동안 교반한다. 반응 용매를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8)을 얻는다.
<반응 예 8> 화합물 (9)의 제조 [링커 #1]
반응 용기에 화합물 (8)과 증류수를 투입한다. 1N HCl을 사용하여 반응용액의 pH를 1로 맞춘 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 완결 후 물 과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고 5분동안 교반한다. 5%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하여 pH 6으로 맞추어 주었다.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유기층에 황산나트륨을 투입하고 30분 동안 교반시킨다. 상기 혼합액을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 1㎖를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9) 를 얻는다.
Figure 112017022904302-pat00037
<반응 예 9> 화합물 (13)의 제조
반응 용기에 톨루엔과 화합물 (12)를 투입한다. 포타슘 t-펜톡사이드를 투입한 후 약 50℃까지 승온시키고 5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activation 용액). 다른 반응 용기에 화합물 (2)와 톨루엔을 투입한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activation 용액을 상기 혼합액에 30℃에서 1시간 동안 적가한다. 30℃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반응 용액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다. 층분리 후 수용액층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추출한다. 물층에 다시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여 추가 추출한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남은 여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13)을 얻는다.
<반응 예 10> 화합물 (14)의 제조
반응 용기에 화합물 (13)과 에탄올과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한다. p-TsOH 을 투입한 후 실온에서 20시간동안 교반한다. 수산화나트륨을 투입한 후 용매를 감압 농축시킨다. 디클로로메탄과 물을 투입하고 5분 동안 교반한다. 유기층을 추출한 후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남은 여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14)를 얻는다.
<반응 예 11> 화합물 (15)의 제조
반응 용기에 화합물 (14)와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한다. 반응온도를 10℃ 이하로 유지하면서 트리에틸아민과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를 투입한다. 실온에서 3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 완결 후 물과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고 5분동안 교반한다. 유기층을 추출한 후 물층에 다시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여 추가 추출한다. 유기층을 모아 증류수로 세척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남은 여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15)를 얻는다.
<반응 예 12> 화합물 (16)의 제조
반응 용기에 아세톤과 화합물 (15)를 투입한다. 30℃까지 승온시키고 아이오딘화 포타슘을 투입한 후 약 50℃까지 승온시키고 5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다. 상기 반응액을 감압 농축시킨 후 디클로로메탄과 물로 세척한다. 층 분리 후 유기층을 물로 한번 더 세척한다. 층 분리 후 유기층에 황산나트륨을 투입하고 30분 동안 교반시킨다. 상기 혼합액을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 30㎖를 5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16)을 얻는다.
<반응 예 13> 화합물 (17)의 제조 [링커 #2]
용기에 물과 화합물 (16)을 투입한다. 반응액이 pH1.0이 되도록 1N 염산용액을 적가한다. 실온에서 1시간 교반 후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 6~7로 맞춘다. 중화시킨 후 디클로로메탄 투입하고 추출한다. 층 분리 후 물층을 디클로로메탄로 재 추출한다. 층 분리 후 추출한 유기층을 모아 황산나트륨을 투입하고 30분 동안 교반한다. 상기 혼합액을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5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17)을 얻는다.
Figure 112017022904302-pat00038
<반응 예 14> 화합물 (18)의 제조
용기에 디메틸포름아마이드과 화합물 (15)를 투입한다. 30℃까지 승온시키고 포타슘 싸이오아세테이트를 투입한 후 3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디클로로메탄과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다. 층 분리 후 물층을 디클로로메탄로 재 추출한다. 층 분리 후 추출한 유기층을 모아 20%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한다. 층 분리 후 유기층에 황산나트륨을 투입하고 30분 동안 교반한다. 상기 혼합액을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5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18)을 얻는다.
<반응 예 15> 화합물 (19)의 제조
용기에 물과 화합물 (18)을 투입한다. 반응액이 pH14가 되도록 0.1M 수산화나트륨용액을 적가한다. 실온에서 12시간 교반 후 1N 염산용액을 사용하여 pH 6~7로 맞춘다. 중화시킨 후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고 추출한다. 층 분리 후 물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재 추출한다. 층 분리 후 추출한 유기층을 모아 황산나트륨을 투입하고 30분 동안 교반한다. 상기 혼합액을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5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19)를 얻는다.
<반응 예 16> 화합물 (20)의 제조 [링커 #3]
용기에 물과 화합물 (19)를 투입한다. 반응액이 pH1.0이 되도록 1N 염산용액을 적가한다. 실온에서 1시간 교반 후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 6~7로 맞춘다. 중화시킨 후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고 추출한다. 층 분리 후 물층을 디클로로메탄 5㎖로 재 추출한다. 층 분리 후 추출한 유기층을 모아 황산나트륨을 투입하고 30분 동안 교반한다. 상기 혼합액을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5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20)을 얻는다.
Figure 112017022904302-pat00039
<반응 예 17> 화합물 (21)의 제조
반응 용기에 암모니아 수용액과 염화암모늄을 투입한다. 화합물 (5)를 투입한 후 실온에서 4일 동안 교반한다.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고 5분 동안 교반한다. 유기층을 추출한 후 물층에 다시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여 추가 추출한다. 유기층을 모아 증류수로 세척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남은 여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21)을 얻는다.
<반응 예 18> 화합물 (22)의 제조
반응 용기에 화합물 (21)과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한다. 트라이에틸아민과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를 적가한 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완결 후 반응액을 물로 세척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남은 여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22)를 얻는다.
<반응 예 19> 화합물 (23)의 제조
반응 용기에 화합물 (22)와 아세톤을 투입한다. KI 을 투입한 후 55℃에서 6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식힌 후 반응 용매를 감압 농축시킨다. 디클로로메탄과 물을 투입하고 5분 동안 교반한다. 유기층을 추출한 후 물층에 다시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여 추가 추출한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남은 여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23)를 얻는다.
<반응 예 20> 화합물 (24)의 제조 [링커 #5]
반응 용기에 화합물 (23)과 증류수를 투입한다. 1N HCl을 사용하여 반응용액의 pH를 1.0으로 맞춘 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 완결 후 물과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고 5분동안 교반한다. 5%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하여 pH 6으로 맞추어 주었다.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유기층에 황산나트륨을 투입하고 30분 동안 교반시킨다. 상기 혼합액을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24) 를 얻는다.
Figure 112017022904302-pat00040
<반응 예 21> 화합물 (25)의 제조
반응 용기에 화합물 (5)와 아세톤을 투입한다. KI 를 투입한 후 55℃에서 20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식힌 후 반응 용매를 감압 농축시킨다. 디클로로메탄과 물을 투입하고 5분 동안 교반한다. 유기층을 추출한 후 물층에 다시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여 추가 추출한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남은 여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25)를 얻는다.
<반응 예 22> 화합물 (26)의 제조 [링커 #11]
반응 용기에 화합물 (25)와 증류수를 투입한다. 1N HCl을 사용하여 반응용액의 pH를 1.0으로 맞춘 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 완결 후 물과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고 5분동안 교반한다. 5%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하여 pH 6으로 맞추어 주었다.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유기층에 황산나트륨을 투입하고 30분 동안 교반시킨다. 상기 혼합액을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26)을 얻는다.
Figure 112017022904302-pat00041
<반응 예 23> 화합물 (27)의 제조
반응 용기에 암모니아 수용액과 염화암모늄을 투입한다. 화합물 (5)를 투입한 후 실온에서 4일 동안 교반한다.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고 유기층을 추출한 후 물층에 다시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여 추가 추출한다. 유기층을 모아 증류수로 세척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남은 여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27)을 얻는다.
<반응 예 24> 화합물 (28)의 제조
반응 용기에 화합물 (27), 화합물 (30), EDC (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HOBt (Hydroxybenzotriazole), 트라이에틸아민, 디메틸포름아마이드를 투입한다.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다. 디클로로메탄과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다. 층 분리 후 물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재 추출한다. 층 분리 후 추출한 유기층을 모아 20%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한다. 층 분리 후 유기층에 황산나트륨을 투입하고 교반한다. 상기 혼합액을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5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28)을 얻는다.
<반응 예 25> 화합물 (29)의 제조 [링커 #7]
반응 용기에 화합물 (28)과 증류수를 투입한다. 1N HCl을 사용하여 반응용액의 pH를 1로 맞춘 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 완결 후 물과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고 교반한다. 5%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하여 pH 6으로 맞추어 준다.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유기층에 황산나트륨을 투입하고 상기 혼합액을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29)를 얻는다.
Figure 112017022904302-pat00042
<반응 예 26> 화합물 (31)의 제조
반응 용기에 화합물 (27)과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한다. 트라이에틸아민과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를 적가한 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완결 후 반응액을 물로 세척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남은 여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31)을 얻는다.
<반응 예 27> 화합물 (32)의 제조
반응 용기에 화합물 (31)과 아세톤을 투입한다. KI를 투입한 후 55℃에서 6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식힌 후 반응 용매를 감압 농축시킨다. 디클로로메탄과 물을 투입하고 유기층을 추출한 후 물층에 다시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여 추가 추출한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남은 여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32)를 얻는다.
<반응 예 28> 화합물 (33)의 제조 [링커 #8]
반응 용기에 화합물 (32)와 증류수를 투입한다. 1N HCl을 사용하여 반응용액의 pH를 1로 맞춘 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 완결 후 물과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고 5분동안 교반한다. 5%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하여 pH 6으로 맞추어 준다.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유기층에 황산나트륨을 투입하고 상기 혼합액을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33)을 얻는다.
Figure 112017022904302-pat00043
<반응 예 29> 화합물 (34)의 제조
반응 용기에 화합물 (31)과 메탄올을 투입한다. KI와 NaSH를 투입한 후 실온에서 6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식힌 후 반응 용매를 감압 농축시킨다. 디클로로메탄과 물을 투입하고 유기층을 추출한 후 물층에 다시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여 추가 추출한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남은 여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34)를 얻는다.
<실시 예 30> 화합물 (35)의 제조 [링커 #9]
반응 용기에 화합물 (34)와 증류수를 투입한다. 1N HCl을 사용하여 반응용액의 pH를 1로 맞춘 후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 완결 후 물과 디클로로메탄을 투입하고 5분동안 교반한다. 5%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하여 pH 6으로 맞추어 준다.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유기층에 황산나트륨을 투입하고 상기 혼합액을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킨다. 농축액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틸 t-부틸에테르를 20분 동안 적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 t-부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질소 건조하여 목적화합물인 화합물 (35)를 얻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 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 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제조
본 발명자는 원하는 반응기를 양 말단에 도입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를 제조하였다. 이의 제조 방법은 반응 예 1~25에 나타낸 바와 같다.
대표적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골격 (backbone)의 한쪽 말단에 프로피오닐 알데히드 기를 부가한 후 다른 한쪽 말단에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Orthopyridyl disulfide, OPSS), 요오드화 아세트아민 (Iodoacetamide, IA), 요오드기 또는 설포하이드릴 (sulfhydryl group, SH-)를 부가한 헤테로 작용성 (heterofunctional) PEG를 제조한다 [도 1].
각각의 제조된 PEG의 순도는 NMR과 RPC (reversed phase chromatography)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대표적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링커 #1: pALD-PEG-이황화 오르토피리딜 (orthopyridyl disulfide)
[화학식 3]
Figure 112017022904302-pat00044
여기서, n은 200~300임
제조된 폴리에텔린 글리콜 링커의 분자량은 약 10 KDa 이며, NMR 을 통하여 구조를 확인 하였으며, RPC 분석 결과 약 80 % 순도를 보였다.
1H-NMR(CDCl3, 400 MHz) δ 9.79(t, 1H, J= 2.0 Hz), 8.50(d, 1H, J= 5.6 Hz), 7.71-7.64(m, 2H), 7.09-6.70(m, 1H), 3.87-3.40(m, 908H), 2.82(t, 2H, J= 5.6 Hz), 2.68(t, 2H, J= 2.0Hz), 1.86-1.66(m, 4H)
(2) 링커 # 2: pALD-PEG-요오드 (iodide)
[화학식 4]
Figure 112017022904302-pat00045
여기서, n은 200~300임
제조된 폴리에텔린 글리콜 링커의 분자량은 약 10 KDa 이며, NMR 을 통하여 구조를 확인 하였으며, RPC 분석 결과 약 87 % 순도를 보였다.
1H-NMR(CDCl3, 400 MHz) δ 9.81(s, 1H), 3.84-3.47(m, 910H), 3.29(t, 2H, J= 6.8 Hz), 2.71-2.69(m, 2H), 2.10-2.06(m, 2H)
(3) 링커 #3: pALD-PEG-설프하이드릴기
[화학식 5]
Figure 112017022904302-pat00046
여기서, n은 200~300임
제조된 폴리에텔린 글리콜 링커의 분자량은 약 10 KDa 이며, NMR 을 통하여 구조를 확인 하였으며, RPC 분석 결과 약 76 % 순도를 보였다.
1H-NMR(CDCl3, 400 MHz) δ 9.79(s, 1H), 3.82-3.45(m, 910H), 2.74(t, 2H, J= 6.8 Hz), 2.69-2.67(m, 2H), 1.99-1.95(m, 2H)
(4) 링커 #5: pALD-PEG-요오드 (iodide)
[화학식 7]
Figure 112017022904302-pat00047
여기서, n은 200~300임
제조된 폴리에텔린 글리콜 링커의 분자량은 약 10 KDa 이며, NMR 을 통하여 구조를 확인 하였으며, RPC 분석 결과 약 88 % 순도를 보였다.
1H-NMR(CDCl3, 400 MHz) δ 9.78(t, 1H, J= 1.6 Hz), 3.82-3.41(m, 912H), 2.67(t, 2H, J= 2.0 Hz)
(5) 링커 #7: pALD-PEG-이황화 오르토피리딜 (orthopyridyl disulfide)
[화학식 9]
Figure 112017022904302-pat00048
여기서, n은 200~300임
제조된 폴리에텔린 글리콜 링커의 분자량은 약 10 KDa 이며, RPC 분석 결과 약 81% 순도를 보였다.
(6) 링커 # 8: pALD-PEG-요오드 (iodide)
[화학식 10]
Figure 112017022904302-pat00049
여기서, n은 200~300임
제조된 폴리에텔린 글리콜 링커의 분자량은 약 10 KDa 이며, NMR 을 통하여 구조를 확인 하였으며, RPC 분석 결과 약 78 % 순도를 보였다.
1H-NMR(CDCl3, 400 MHz) δ 9.78(s, 1H), 3.82-3.41(m, 912H), 2.70(t, 2H, J= 2.0Hz), 1.44-1.24(m, 4H)
(7) 링커 #9: pALD-PEG-설프하이드릴기
[화학식 11]
Figure 112017022904302-pat00050
여기서, n은 200~300임
제조된 폴리에텔린 글리콜 링커의 분자량은 약 10 KDa 이며, RPC 분석 결과 약 76% 순도를 보였다.
(8) 링커 #11: pALD-PEG-요오드 (iodide) - 비교예
[화학식 13]
Figure 112017022904302-pat00051
여기서, n은 200~300임
제조된 폴리에텔린 글리콜 링커의 분자량은 약 10 KDa 이며, NMR 을 통하여 구조를 확인 하였으며, RPC 분석 결과 약 89 % 순도를 보였다.
1H-NMR(CDCl3, 400 MHz) δ 9.79(t, 1H, J= 2.0 Hz), 3.82-3.41(m, 908H), 3.29-3.22(m, 2H), 2.69(t, 2H, J= 2.0Hz)
실시예 2: 신규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반응성 비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를 이용하여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연결체를 제조하고자, 생리활성 펩타이드의 대표적인 예로 GLP-1/Glucagon/GIP 삼중 활성체 (Triple Agonist)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연결체를 제조하였다. 해당 삼중 활성체 펩타이드는 3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며,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펩타이드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를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의 티올 반응기의 반응성 비교에 사용하였다.
또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로서, 약 10K (10,000Da) 분자량을 가지는 링커 #2, 3, 5, 8, 9, 및 11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링커 #3 및 #9는 10K pALD-PEG-SH (양 말단에 각각 프로피온 알데히드기와 설프하이드릴기 하나씩 지니고 있는 PEG)에 해당하나, 링커 #9는 링커 #3과 달리 티올 반응기 앞에 아마이드 구조를 포함하는 특성이 있다. 또한, 링커 #2, 5, 8, 및 11은 10K pALD-PEG-I (양 말단에 각각 프로피온 알데하이드기와 요오드기를 하나씩 지니고 있는 PEG)에 해당하나, 링커 #5 및 8은 링커 #2와 11과 달리 티올 반응기 앞에 아마이드 구조를 포함하는 특성이 있다.
펩타이드 분말을 10mM HCl에 용해시킨 후, 10K pALD-PEG-I와 10K pALD-PEG-SH를 펩타이드의 시스테인 잔기에 페길화시키기 위하여, 펩타이드 : PEG의 몰 비를 1:3~5로, 반응 농도를 3 mg/ml로 RT에서 약 2시간 반응시킨다. 이때 반응은 50mM 구연산 나트륨 (pH 5.0) 또는 50mM 헤페스(HEPES) (pH 7.5), 60% 아이소프로판올 (IPA)에서 이루어졌다. 이후 SDS-PAGE 분석을 수행 후 band integration 방법으로 각 티올 반응기의 반응 성을 비교하였다 [도 18]. 반응 성을 확인 한 결과 티올 반응기 앞에 아마이드 구조를 포함하는 특성이 있는 PEG의 경우 반응 성이 우세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실시예 3: 신규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를 이용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와 면역글로불린 Fc 결합체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를 이용하여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와 면역글로불린 Fc 결합체를 제조하고자, 실시예 2에서 언급한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결합체를 제조하였다.
먼저,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로서, 약 10K (10,000Da) 분자량을 가지는 링커 #7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링커 #7은 약 10K pALD-PEG-OPSS (양 말단에 각각 프로피온 알데하이드기(propion aldehyde)와 이황화 오르토피리딜기(orthopyridyl disulfide)를 하나씩 지니고 있는 PEG)에 해당한다. 펩타이드 분말을 10mM HCl에 용해시킨 후, 상기 10K pALD-PEG-OPSS를 펩타이드의 시스테인 잔기에 페길화시키기 위하여, 펩타이드 : PEG의 몰 비를 1:1~1:3로, 반응 농도를 1 또는 3 mg/ml로 RT에서 약 2시간 반응시켰다. 이때 반응은 50mM 구연산 나트륨 (pH 3.0~5.0) 또는 50mM 트리스 (pH 8.0), 60% 아이소프로판올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로서, 약 10K (10,000Da) 분자량을 가지는 링커 #8과 9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링커 #8은 약 10K pALD-PEG-IA (양 말단에 각각 프로피온 알데하이드기(propion aldehyde)와 IA(iodoacetamide)를 하나씩 지니고 있는 PEG)에 해당하고, 링커 #9는 약 10K pALD-PEG-SH (양 말단에 각각 프로피온 알데히드기와 설프하이드릴기 하나씩 지니고 있는 PEG)에 해당한다.
상기 pALD-PEG-IA 그리고 pALD-PEG-SH를 링커로 사용한 결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와 페길화 반응 동일한 조건에서 페길화 반응을 진행한 후, 반응액을 구연산 나트륨 (pH 3.0), 45% EtOH가 포함된 버퍼와 KCl 농도 구배를 이용한 SP-HP (GE Healthcare, 미국) 컬럼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다음으로, 각각의 반응기로 결합된 후 상기 정제된 모노 페길화된(mono-PEGylated) 펩타이드와 면역글로불린 Fc의 몰비가 1 : 5가 되도록 하고 전체 단백질 농도를 20 mg/ml로 하여 4°C에서 15시간 반응시켰다. 이때 반응액은 100 mM 인산화 칼륨 완충액(pH 6.0)에 20% 아이소프로판올과 환원제로서 20 mM 소디움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반응액은 비스-트리스(Bis-Tris) (pH 6.5) 버퍼에서 염화 나트륨 농도 구배를 이용하여 Source 15Q (GE Healthcare, 미국) 컬럼에 적용하고, 황산암모늄과 트리스 (pH 7.5)의 농도 구배를 이용하여 Source ISO (GE, 미국)에 적용하여, 삼중 활성체-10K PEG-면역글로불린 Fc 결합체를 정제 하였다. 제조된 결합체 시료의 순도는 SDS-PAGE 분석법으로 확인하였고, 삼중 활성체와 PEG가 결합 된 분자량을 확인 하였다. 이후 삼중 활성체-PEG 결합체와 면역글로불린 Fc가 결합된 삼중 활성체-10K PEG-면역글로불린 Fc 결합체의 분자량을 환원, 비환원 조건으로 확인 하였다. 이에 대한 실험 결과를 도 19 내지 21에 나타내었다 [도 19 내지 21].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HANMI PHARM. CO., LTD. <120> Polyethylene glycol derivatives and use thereof <130> KPA160213-KR-P1 <150> KR 10-2016-0027317 <151> 2016-03-07 <160> 106 <170> KoPatentIn 3.0 <210> 1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400> 1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Ser Tyr Leu Asp Gly 1 5 10 15 Gln Ala Ala Lys Glu Phe Ile Ala Trp Leu Val Lys Gly Cys 20 25 30 <210> 2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400> 2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Ser Tyr Leu Asp Gly 1 5 10 15 Gln Ala Gln Lys Glu Phe Ile Ala Trp Leu Val Lys Gly Cys 20 25 30 <210> 3 <211> 4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400> 3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Ser Tyr Leu Leu Gly 1 5 10 15 Gln Ala Ala Lys Gln Phe Ile Ala Trp Leu Val Lys Gly Gly Gly Pro 20 25 30 Ser Ser Gly Ala Pro Pro Pro Ser Cys 35 40 <210> 4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400> 4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Ser Tyr Leu Leu Gly 1 5 10 15 Gln Gln Gln Lys Glu Phe Ile Ala Trp Leu Val Lys Gly Cys 20 25 30 <210> 5 <211> 4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400> 5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Ser Tyr Leu Leu Gly 1 5 10 15 Gln Gln Gln Lys Glu Phe Ile Ala Trp Leu Val Lys Gly Gly Gly Pro 20 25 30 Ser Ser Gly Ala Pro Pro Pro Ser Cys 35 40 <210> 6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400> 6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Ser Tyr Leu Asp Gly 1 5 10 15 Gln Ala Ala Lys Glu Phe Val Ala Trp Leu Leu Lys Gly Cys 20 25 30 <210> 7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400> 7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Lys Tyr Leu Asp Gly 1 5 10 15 Gln Ala Ala Lys Glu Phe Val Ala Trp Leu Leu Lys Gly Cys 20 25 30 <210> 8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400> 8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Lys Tyr Leu Asp Gly 1 5 10 15 Gln Ala Ala Gln Glu Phe Val Ala Trp Leu Leu Lys Gly Cys 20 25 30 <210> 9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400> 9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Lys Tyr Leu Asp Gly 1 5 10 15 Gln Ala Ala Gln Glu Phe Val Ala Trp Leu Leu Ala Gly Cys 20 25 30 <210> 10 <211> 4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400> 10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Lys Tyr Leu Asp Gly 1 5 10 15 Gln Ala Ala Gln Glu Phe Val Ala Trp Leu Leu Ala Gly Gly Gly Pro 20 25 30 Ser Ser Gly Ala Pro Pro Pro Ser Cys 35 40 <210> 11 <211> 4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400> 11 Xaa Gly Glu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Lys Tyr Leu Asp Ser 1 5 10 15 Arg Arg Gln Gln Leu Phe Val Gln Trp Leu Lys Ala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His Gly 35 40 <210> 12 <211> 4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400> 12 Xaa Gly Glu Gly Thr Phe Ile Ser Asp Leu Ser Lys Tyr Met Asp Glu 1 5 10 15 Gln Ala Val Gln Leu Phe Val Glu Trp Leu Met Ala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His Gly 35 40 <210> 13 <211> 4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400> 13 Xaa Gly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Gln Leu Asp Glu 1 5 10 15 Ile Ala Val Gln Asp Phe Val Glu Trp Leu Leu Ala Gln Lys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His Gly 35 40 <210> 14 <211> 4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400> 14 Xaa Gly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Ile Gln Leu Asp Glu 1 5 10 15 Ile Ala Val Arg Asp Phe Val Glu Trp Leu Lys Asn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His Gly 35 40 <210> 15 <211> 4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400> 15 Xaa Gly Gln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Lys Gln Met Asp Glu 1 5 10 15 Glu Ala Val Arg Leu Phe Ile Glu Trp Leu Lys Asn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His Gly 35 40 <210> 16 <211> 4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400> 16 Xaa Gly Gln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Lys Gln Met Asp Ser 1 5 10 15 Glu Ala Gln Gln Leu Phe Ile Glu Trp Leu Lys Asn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His Gly 35 40 <210> 17 <211> 4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400> 17 Xaa Gly Gln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Lys Gln Met Asp Glu 1 5 10 15 Glu Arg Ala Arg Glu Phe Ile Glu Trp Leu Leu Ala Gln Lys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His Gly 35 40 <210> 18 <211> 4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400> 18 Xaa Gly Gln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Lys Gln Met Asp Ser 1 5 10 15 Glu Arg Ala Arg Glu Phe Ile Glu Trp Leu Lys Asn Thr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His Gly 35 40 <210> 19 <211> 4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400> 19 Xaa Gly Gln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Ile Gln Tyr Asp Ser 1 5 10 15 Glu His Gln Arg Asp Phe Ile Glu Trp Leu Lys Asp Thr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His Gly 35 40 <210> 20 <211> 4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400> 20 Xaa Gly Gln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Ile Gln Tyr Glu Glu 1 5 10 15 Glu Ala Gln Gln Asp Phe Val Glu Trp Leu Lys Asp Thr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His Gly 35 40 <210> 21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21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C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p Hi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35 <210> 22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22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Cys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p Hi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35 <210> 23 <211> 4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23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C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la Gln Lys Gly Lys 20 25 30 Lys Asn Asp Trp Lys His Asn Ile Thr 35 40 <210> 24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24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C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ys Asn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35 <210> 25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400> 25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Cys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Arg Ala Ala Gln Asp Phe Val Gln Trp Leu Leu Asp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35 <210> 26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400> 26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Cys Ser Lys Tyr Leu Asp Ser 1 5 10 15 Arg Ala Ala Gln Asp Phe Val Gln Trp Leu Leu Asp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35 <210> 27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400> 27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Arg Ala Cys Gln Asp Phe Val Gln Trp Leu Leu Asp Gln Gly Gly Pro 20 25 30 Ser Ser Gly Ala Pro Pro Pro Ser 35 40 <210> 28 <211> 4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400> 28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Ala Gln Glu Phe Val C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Lys 20 25 30 Lys Asn Asp Trp Lys His Asn Ile Thr 35 40 <210> 29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29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la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n Thr Cys 20 25 30 <210> 30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30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la Gln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p Thr Cys 20 25 30 <210> 31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31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la Cys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la Gln 20 25 <210> 32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32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la Cys Lys Asp Phe Val Gln Trp Leu Leu Asp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35 <210> 33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33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Ile Ala Met Asp Glu 1 5 10 15 Ile His Gln Lys Asp Phe Val Asn Trp Leu Leu Ala Gln Lys Cys 20 25 30 <210> 34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34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Gln Lys Glu Phe Val Asn Trp Leu Leu Ala Gln Lys Cys 20 25 30 <210> 35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35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Ile Ala Met Asp Glu 1 5 10 15 Ile His Gln Lys Asp Phe Val Asn Trp Leu Leu Asn Thr Lys Cys 20 25 30 <210> 36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36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Cys Glu 1 5 10 15 Lys Arg Gln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n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Gly 35 40 <210> 37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37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Cys Arg Gln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n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Gly 35 40 <210> 38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400> 38 Xaa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Lys Ser Ser Tyr Leu Asp Glu 1 5 10 15 Arg Ala Ala Gln Asp Phe Val Gln Trp Leu Leu Asp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Ser 35 40 <210> 39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400> 39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y 1 5 10 15 Gln His Ala Gln Cys Phe Val Ala Trp Leu Leu Ala Gly Gly Gly Pro 20 25 30 Ser Ser Gly Ala Pro Pro Pro Ser 35 40 <210> 40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400> 40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Lys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Arg Ala Cys Gln Asp Phe Val Gln Trp Leu Leu Asp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35 <210> 41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400> 41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Lys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Cys Ala Ala Gln Asp Phe Val Gln Trp Leu Leu Asp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35 <210> 42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42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p Hi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Cys 35 40 <210> 43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43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p His His Cys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35 <210> 44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400> 44 His Gly Gln Gly Thr Phe Thr Ser Asp Cys Ser Lys Gln Leu Asp Gly 1 5 10 15 Gln Ala Ala Gln Glu Phe Val Ala Trp Leu Leu Ala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35 <210> 45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400> 45 His Gly Gln Gly Thr Phe Thr Ser Asp Cys Ser Lys Tyr Met Asp Gly 1 5 10 15 Gln Ala Ala Gln Asp Phe Val Ala Trp Leu Leu Ala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35 <210> 46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400> 46 His Gly Gln Gly Thr Phe Thr Ser Asp Cys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Gln His Ala Gln Glu Phe Val Ala Trp Leu Leu Ala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35 <210> 47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400> 47 His Gly Gln Gly Thr Phe Thr Ser Asp Cys Ser Lys Tyr Leu Asp Gly 1 5 10 15 Gln Arg Ala Gln Glu Phe Val Ala Trp Leu Leu Ala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35 <210> 48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400> 48 His Gly Gln Gly Thr Phe Thr Ser Asp Cys Ser Lys Tyr Leu Asp Gly 1 5 10 15 Gln Arg Ala Gln Asp Phe Val Asn Trp Leu Leu Ala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35 <210> 49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49 Xaa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Ile Cys Met Asp Glu 1 5 10 15 Ile His Gln Lys Asp Phe Val Asn Trp Leu Leu Asn Thr Lys 20 25 30 <210> 50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50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p Hi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Cys 35 40 <210> 51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51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Gln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n Thr Cys 20 25 30 <210> 52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52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Gln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p Thr Cys 20 25 30 <210> 53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53 His Xaa Glu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Ile Ala Met Asp Glu 1 5 10 15 Ile His Gln Lys Asp Phe Val Asn Trp Leu Leu Ala Gln Cys 20 25 30 <210> 54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54 His Xaa Glu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Ile Ala Met Asp Glu 1 5 10 15 Ile His Gln Lys Asp Phe Val Asp Trp Leu Leu Ala Glu Cys 20 25 30 <210> 55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55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Ile Ala Met Asp Glu 1 5 10 15 Ile His Gln Lys Asp Phe Val Asn Trp Leu Leu Ala Gln Cys 20 25 30 <210> 56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56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Gln Lys Glu Phe Val Asn Trp Leu Leu Ala Gln Cys 20 25 30 <210> 57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57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Ile Ala Met Asp Glu 1 5 10 15 Ile His Gln Lys Asp Phe Val Asn Trp Leu Leu Asn Thr Cys 20 25 30 <210> 58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58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Gln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n Thr Lys Cys 20 25 30 <210> 59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59 Xaa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Ile Cys Met Asp Glu 1 5 10 15 Lys His Gln Lys Asp Phe Val Asn Trp Leu Leu Asn Thr Lys 20 25 30 <210> 60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60 Xaa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Ile Ala Met Asp Glu 1 5 10 15 Lys His Cys Lys Asp Phe Val Asn Trp Leu Leu Asn Thr Lys 20 25 30 <210> 61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61 Xaa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Ile Ala Met Asp Glu 1 5 10 15 Ile Ala Cys Lys Asp Phe Val Asn Trp Leu Leu Asn Thr Lys 20 25 30 <210> 62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400> 62 Xaa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Lys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Arg Ala Ala Gln Asp Phe Val Gln Trp Leu Leu Asp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35 <210> 63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400> 63 Xaa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Cys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Arg Ala Ala Gln Asp Phe Val Gln Trp Leu Leu Asp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35 <210> 64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64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Cys Ala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p Hi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35 <210> 65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65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Cys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p Hi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35 <210> 66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66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Cys Arg Ala Lys Asp Phe Val Gln Trp Leu Leu Asp Hi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35 <210> 67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67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Cys Ala Ala Lys Asp Phe Val Gln Trp Leu Leu Asp Hi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35 <210> 68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68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Cys Leu Asp Glu 1 5 10 15 Lys Ala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p Hi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35 <210> 69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69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Cys Leu Asp Glu 1 5 10 15 Arg Ala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p Hi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35 <210> 70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70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Cys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Ala Lys Asp Phe Val Gln Trp Leu Leu Asp Hi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35 <210> 71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71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Arg Ala Cys Lys Asp Phe Val Gln Trp Leu Leu Asp Hi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35 <210> 72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72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Cys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Arg Ala Ala Lys Asp Phe Val Gln Trp Leu Leu Asp Hi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35 <210> 73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73 Xaa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C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p Hi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35 <210> 74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74 Xaa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Cys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p Hi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35 <210> 75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75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la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p Hi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Cys 35 40 <210> 76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76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Ala Lys Asp Phe Val Gln Trp Leu Leu Asp Hi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Cys 35 40 <210> 77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77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la Ala Lys Asp Phe Val Gln Trp Leu Leu Asp Hi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Cys 35 40 <210> 78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78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Gln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p Thr Lys Cys 20 25 30 <210> 79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79 His Xaa Glu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Ile Ala Met Asp Glu 1 5 10 15 Ile His Gln Lys Asp Phe Val Asn Trp Leu Leu Ala Gln Lys Cys 20 25 30 <210> 80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80 His Xaa Glu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Ile Ala Met Asp Glu 1 5 10 15 Ile His Gln Lys Asp Phe Val Asp Trp Leu Leu Ala Glu Lys Cys 20 25 30 <210> 81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81 Xaa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Gln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n Thr Cys 20 25 30 <210> 82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82 Xaa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Gln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p Thr Cys 20 25 30 <210> 83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83 Xaa Xaa Glu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Ile Ala Met Asp Glu 1 5 10 15 Ile His Gln Lys Asp Phe Val Asn Trp Leu Leu Ala Gln Cys 20 25 30 <210> 84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84 Xaa Xaa Glu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Ile Ala Met Asp Glu 1 5 10 15 Ile His Gln Lys Asp Phe Val Asp Trp Leu Leu Ala Glu Cys 20 25 30 <210> 85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85 Xaa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Ile Ala Met Asp Glu 1 5 10 15 Ile His Gln Lys Asp Phe Val Asn Trp Leu Leu Ala Gln Cys 20 25 30 <210> 86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86 Xaa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Gln Lys Glu Phe Val Asn Trp Leu Leu Ala Gln Cys 20 25 30 <210> 87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87 Xaa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Ile Ala Met Asp Glu 1 5 10 15 Ile His Gln Lys Asp Phe Val Asn Trp Leu Leu Asn Thr Cys 20 25 30 <210> 88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88 Xaa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Gln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n Thr Lys Cys 20 25 30 <210> 89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89 Xaa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Gln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p Thr Lys Cys 20 25 30 <210> 90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90 Xaa Xaa Glu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Ile Ala Met Asp Glu 1 5 10 15 Ile His Gln Lys Asp Phe Val Asn Trp Leu Leu Ala Gln Lys Cys 20 25 30 <210> 91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91 Xaa Xaa Glu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Ile Ala Met Asp Glu 1 5 10 15 Ile His Gln Lys Asp Phe Val Asp Trp Leu Leu Ala Glu Lys Cys 20 25 30 <210> 92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92 Xaa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Ile Ala Met Asp Glu 1 5 10 15 Ile His Gln Lys Asp Phe Val Asn Trp Leu Leu Ala Gln Lys Cys 20 25 30 <210> 93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93 Xaa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Gln Lys Glu Phe Val Asn Trp Leu Leu Ala Gln Lys Cys 20 25 30 <210> 94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4-imidazoacetyl (CA)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94 Xaa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Ile Ala Met Asp Glu 1 5 10 15 Ile His Gln Lys Asp Phe Val Asn Trp Leu Leu Asn Thr Lys Cys 20 25 30 <210> 95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95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Cys Hi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35 <210> 96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96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p His Cy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35 <210> 97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97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p Cy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35 <210> 98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98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Ala Leu Asp Glu 1 5 10 15 Lys Ala Ala Lys Glu Phe Val Asn Trp Leu Leu Asp Hi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Cys 35 40 <210> 99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99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Ala Leu Asp Glu 1 5 10 15 Lys Ala Ala Lys Asp Phe Val Asn Trp Leu Leu Asp His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Cys 35 40 <210> 100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100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Ala Leu Asp Glu 1 5 10 15 Lys Ala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Leu Asp Gln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Cys 35 40 <210> 101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101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Ala Leu Asp Glu 1 5 10 15 Lys Ala Ala Lys Glu Phe Val Asn Trp Leu Leu Asp Gln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Cys 35 40 <210> 102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gonal agonist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aminoisobutyric acid (Aib) <220> <221> MISC_FEATURE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s 16 and 20 form a ring <400> 102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Ala Leu Asp Glu 1 5 10 15 Lys Ala Ala Lys Asp Phe Val Asn Trp Leu Leu Asp Gln His Pro Ser 20 25 30 Ser Gly Gln Pro Pro Pro Ser Cys 35 40 <210> 103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eneral Formula 1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Xaa is His (H), 4-imidazoacetyl (CA), or Tyr (Y) <220> <221> MISC_FEATURE <222> (2) <223> Xaa is Gly (G), alpha-methyl-glutamic acid, or Aib (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 <223> Xaa is Glu (E) or Gln (Q) <220> <221> MISC_FEATURE <222> (7) <223> Xaa is Thr (T) or Ile (I) <220> <221> MISC_FEATURE <222> (10) <223> Xaa is Leu (L), Tyr (Y), Lys (K), Cys (C), or Val (V) <220> <221> MISC_FEATURE <222> (12) <223> Xaa is Lys (K), Ser (S), or Ile (I) <220> <221> MISC_FEATURE <222> (13) <223> Xaa is Gln (Q), Tyr (Y), Ala (A), or Cys (C) <220> <221> MISC_FEATURE <222> (14) <223> Xaa is Leu (L), Met (M), or Tyr (Y) <220> <221> MISC_FEATURE <222> (15) <223> Xaa is Cys (C), Asp (D), Glu (E), or Leu (L) <220> <221> MISC_FEATURE <222> (16) <223> Xaa is Gly (G), Glu (E), or Ser (S) <220> <221> MISC_FEATURE <222> (17) <223> Xaa is Gln (Q), Arg (R), Ile (I), Glu (E), Cys (C), or Lys (K) <220> <221> MISC_FEATURE <222> (18) <223> Xaa is Ala (A), Gln (Q), Arg (R), or His (H) <220> <221> MISC_FEATURE <222> (19) <223> Xaa is Ala (A), Gln (Q), Cys (C), or Val (V) <220> <221> MISC_FEATURE <222> (20) <223> Xaa is Lys (K), Gln (Q), or Arg (R) <220> <221> MISC_FEATURE <222> (21) <223> Xaa is Glu (E), Gln (Q), Leu (L), Cys (C), or Asp (D) <220> <221> MISC_FEATURE <222> (23) <223> Xaa is Ile (I) or Val (V) <220> <221> MISC_FEATURE <222> (24) <223> Xaa is Ala (A), Gln (Q), Cys (C), Asn (N), Asp (D), or Glu (E) <220> <221> MISC_FEATURE <222> (27) <223> Xaa is Val (V), Leu (L), Lys (K), or Met (M) <220> <221> MISC_FEATURE <222> (28) <223> Xaa is Cys (C), Lys (K), Ala (A), Asn (N), or Asp (D) <220> <221> MISC_FEATURE <222> (29) <223> Xaa is Cys (C), Gly (G), Gln (Q), Thr (T), Glu (E), or His (H) <220> <221> MISC_FEATURE <222> (30) <223> Xaa is Cys (C), Gly (G), Lys (K), or His (H), or is absent; and Xaa can be further linked to R1, wherein R1 is Cys (C), GKKNDWKHNIT, m-SSGAPPPS-n, or m-SSGQPPPS-n, or is absent, and wherein m is -Cys-, -Pro-, or -Gly-Pro-, and n is -Cys-, -Gly-, -Ser-, or -His-Gly, or is absent <400> 103 Xaa Xaa Xaa Gly Thr Phe Xaa Ser Asp Xaa Ser Xaa Xaa Xaa Xaa Xaa 1 5 10 15 Xaa Xaa Xaa Xaa Xaa Phe Xaa Xaa Trp Leu Xaa Xaa Xaa Xaa 20 25 30 <210> 104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1 <400> 104 Gly Lys Lys Asn Asp Trp Lys His Asn Ile Thr 1 5 10 <210> 105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1 <400> 105 Ser Ser Gly Ala Pro Pro Pro Ser 1 5 <210> 106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1 <400> 106 Ser Ser Gly Gln Pro Pro Pro Ser 1 5

Claims (3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112021127937466-pat0005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2,5-디옥소피롤리디닐, 2,5-디옥소피롤릴, 알데히드, 말레이미드, C6-C20아릴디설파이드, C5-C20헤테로아릴디설파이드, 비닐술폰, 석시니미드,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L1 내지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 C1-C6알킬렌이며,
    R2는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Orthopyridyl disulfide, OPSS), 티올, 또는 할로겐이고,
    n은 10 내지 2400의 자연수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2는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티올, 또는 요오드인,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알데히드인,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및 R2는 서로 상이한 작용기를 가지는,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인,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2]
    CHO-(CH2)j-O-(CH2CH2O)n-(CH2)m-NH(CO)-(CH2)k-R2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10 내지 2400의 자연수이고,
    j, m 및 k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6의 자연수이며,
    R2는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Orthopyridyl disulfide, OPSS), 티올, 또는 할로겐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6 내지 1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6]
    Figure 112017022904302-pat00053

    [화학식 7]
    Figure 112017022904302-pat00054

    [화학식 8]
    Figure 112017022904302-pat00055

    [화학식 9]
    Figure 112017022904302-pat00056

    [화학식 10]
    Figure 112017022904302-pat00057


    [화학식 11]
    Figure 112017022904302-pat00058

    상기 화학식 6 내지 11에서, n은 10 내지 2400의 자연수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를 반응시켜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R2에 위치한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Orthopyridyl disulfide, OPSS), 티올, 또는 할로겐이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시스테인 잔기에 위치한 티올기와 반응하는 것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추가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를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는 호르몬, 사이토카인, 효소, 항체, 성장인자, 전사조절인자, 혈액인자, 백신, 인슐린 분비 펩타이드, 뉴로펩타이드 (neuropeptide), 뇌하수체 호르몬, 항-비만 펩타이드, 항-바이러스 펩타이드, 생리활성을 갖는 비천연형 펩타이드 유도체, 구조단백질, 리간드 단백질 및 수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는 글루카곤, 인슐린, 소마토스타틴, PYY(peptide YY), NPY(neuropeptide Y), GLP-1(Glucagon-like peptide-1) 및 GLP-2(Glucagon-like peptide-2)와 같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엑센딘-3(Exendin-3), 엑센딘-4(Exendin-4), 옥신토모둘린(Oxyntomodulin), 글루카곤 수용체, GLP-1 수용체, 및 GIP 수용체에 대해 활성을 보유한 펩타이드, 섬유아세포성장인자 (Fibroblast growth factor), 그렐린(Ghrelin), 안지오텐신, 브래디키닌, 칼시토닌, 부신피질 자극호르몬(Corticotropin), 엘레도이신(Eledoisin), 가스트린, 렙틴, 옥시토신(Oxytocin), 바소프레신(vasopressin), 황체 형성호르몬, 황체 자극호르몬, 여포 자극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씨크레틴(secretin), 세르모레린(Sermorelin), 인간 성장호르몬(hGH), 성장호르몬 방출 펩타이드, 콜로니 자극인자(GCSF)류, 인터페론(IFN)류, 인터루킨(Interleukin)류, 프로락틴 방출 펩타이드, 오렉신(Orexin), 갑상선 방출 펩타이드, 콜레시스토키닌(Cholecystokinin), 가스트린억제 펩타이드, 칼모듈린, 가스트린 유리 펩타이드(Gastric releasing peptide), 모틸린(Motilin), 혈관활성 장관펩타이드(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심방나트륨이뇨 펩타이드(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B형 나트륨이뇨 펩타이드(B-type natriuretic peptide; BNP), C-형 나트륨이뇨 펩타이드(C-type natriuretic peptide; CNP), 뉴로키닌(Neurokinin) A, 뉴로메딘(Neuromedin), 레닌(Renin), 엔도텔린(Endothelin), 사라포톡신 펩타이드(Sarafotoxin peptide), 카르소모르핀 펩타이드(Carsomorphin peptide), 데모르핀(Dermorphin), 디노르핀(Dynorphin), 엔도르핀(Endorphin), 엔케팔린(Enkepalin), T 세포인자, 종양괴사인자, 종양괴사인자 수용체, 유로키나아제 수용체, 종양억제인자, 콜라게나제 억제제, 티모포이에틴(Thymopoietin), 티물린(Thymulin), 티모펜틴(Thymopentin), 티모신(Tymosin), 흉선 체액성 인자(Thymic humoral factor), 아드레노모둘린(Adrenomodullin), 알라토스타틴(Allatostatin), 아밀로이드 베타-프로테인 단편(Amyloid beta-protein fragment), 항균성 펩타이드, 항산화제 펩타이드, 봄베신(Bombesin),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 CART 펩타이드, E-셀렉틴(selectin), ICAM-1, VCAM-1, 류코카인(Leucokine), 크링글(Kringle)-5, 라미닌(Laminin), 인히빈(Inhibin), 갈라닌(Galanin), 피브로넥틴(Fibronectin), 판크레아스타틴(Pancreastatin) 및 푸제온(Fuzeon), 인터페론 수용체, 지프로테인 관련수용체 (Gprotein-coupled receptor), 인터루킨 수용체, 효소류, 인터루킨 결합 단백질, 사이토카인 결합 단백질, 마크로파지 활성인자, 마크로파지 펩타이드, B 세포인자, 단백질 A, 알러지 억제인자, 세포 괴사 당단백질, 면역독소, 림포독소, 종양 억제인자, 전이 성장인자, 알파-1 안티트립신, 알부민, α-락트알부민, 아포리포단백질-E, 적혈구 생성인자, 고 당쇄화 적혈구 생성인자, 안지오포에이틴류, 헤모글로빈, 트롬빈, 트롬빈 수용체 활성 펩타이드, 트롬보모듈린, 혈액인자 VII, VIIa, VIII, IX, 및 XIII, 플라즈미노젠 활성인자, 피브린-결합 펩타이드, 유로키나제, 스트렙토키나제, 히루딘, 단백질 C, C-반응성 단백질, 레닌 억제제,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상피세포 성장인자, 표피세포 성장인자, 안지오스타틴, 안지오텐신, 골 형성 성장인자, 골 형성 촉진 단백질, 아트리오펩틴, 연골 유도인자, 엘카토닌, 결합조직 활성인자, 조직인자 경로 억제제, 황체 형성 호르몬 방출 호르몬, 신경 성장인자, 릴랙신, 소마토메딘,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부신피질 호르몬, 췌장 폴리펩티드, 가스트린 방출 펩타이드, 코티코트로핀 방출인자, 갑상선 자극호르몬, 오토탁신, 락토페린, 미오스타틴, 세포표면항원, 바이러스 유래 백신 항원, 단일클론 항체, 다중클론 항체 및 항체 단편, 적혈구 증식인자, 백혈구 증식인자, 아밀린 및 그의 아날로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제조방법.
  12. (a) 제1항에 따른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또는 캐리어 단백질 중 하나를 반응시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또는 캐리어 단백질이 한쪽 말단에 부착되고, 다른 쪽 말단에 반응기 (reactive end group)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또는 캐리어 단백질이 한쪽 말단에 부착되고, 다른 쪽 말단에 말단 반응기을 가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과 캐리어 단백질 또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중 다른 하나를 반응시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말단 반응기에 캐리어 단백질 또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를 연결시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와 캐리어 단백질이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통하여 연결된, 결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와 캐리어 단백질이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통하여 연결된, 결합체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는 호르몬, 사이토카인, 효소, 항체, 성장인자, 전사조절인자, 혈액인자, 백신, 인슐린 분비 펩타이드, 뉴로펩타이드 (neuropeptide), 뇌하수체 호르몬, 항-비만 펩타이드, 항-바이러스 펩타이드, 생리활성을 갖는 비천연형 펩타이드 유도체, 구조단백질, 리간드 단백질 및 수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와 캐리어 단백질이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통하여 연결된, 결합체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와 캐리어 단백질이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통하여 연결된, 결합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7022904302-pat00059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알데히드 기이고,
    L1 내지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 C1-C6알킬렌이며,
    R2는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Orthopyridyl disulfide, OPSS), 티올, 또는 할로겐이고,
    n은 10 내지 2400의 자연수임.
  15. 제14항에 있어서,
    (a) 단계는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R2를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의 시스테인 잔기에 위치한 티올 기와 반응시키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와 캐리어 단백질이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통하여 연결된, 결합체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b) 단계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의 말단 알데히드 기를 캐리어 단백질 의 아민기와 반응시키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와 캐리어 단백질이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통하여 연결된, 결합체의 제조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추가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와 캐리어 단백질이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통하여 연결된, 결합체를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와 캐리어 단백질이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통하여 연결된, 결합체의 제조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단백질은 알부민 및 이의 단편, 특정 아미노산 서열의 반복단위의 중합체, 항체, 항체 단편, FcRn 결합물질, 파이브로넥틴, 트랜스페린(Transferrin), 사카라이드(saccharide), 또는 엘라스틴인,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와 캐리어 단백질이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통하여 연결된, 결합체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FcRn 결합물질은 면역글로불린 Fc 단편인,
    생리활성 폴리펩티드와 캐리어 단백질이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을 통하여 연결된, 결합체의 제조방법.
  2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21. 제1항 또는 제2항의 화합물이 부착된 생리활성 폴리펩티드로서, 하기 화학식 15 내지 1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화학식 15]
    R1-L1-O-(CH2CH2O)n-L2-NH(CO)-L3-S-S-X
    [화학식 16]
    R1-L1-O-(CH2CH2O)n-L2-NH(CO)-CH2-S-X
    [화학식 17]
    X-NHCH2-L1-O-(CH2CH2O)n-L2-NH(CO)-L3-R2
    상기 화학식 15 내지 17에서,
    R1은, 2,5-디옥소피롤리디닐, 2,5-디옥소피롤릴, 알데히드, 말레이미드, C6-C20아릴디설파이드, C5-C20헤테로아릴디설파이드, 비닐술폰, 석시니미드,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L1 내지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 C1-C6알킬렌이며,
    n은 10 내지 2400의 자연수이고,
    R2는,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Orthopyridyl disulfide, OPSS), 티올, 또는 할로겐이고,
    X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모이어티.
  2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의 양 말단 반응기에 각각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및 캐리어 단백질이 부착된, 결합체.
  23.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의 양 말단 반응기에 각각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및 캐리어 단백질이 부착된 결합체로서, 상기 결합체는 하기 화학식 18 또는 19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는, 결합체:
    [화학식 18]
    Y-NHCH2-L1-O-(CH2CH2O)n-L2-NH(CO)-L3-S-S-X
    [화학식 19]
    Y-NHCH2-L1-O-(CH2CH2O)n-L2-NH(CO)-CH2-S-X
    상기 화학식 18 및 19에서,
    L1 내지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 C1-C6알킬렌이며,
    n은 10 내지 2400의 자연수이고,
    X는, 생리활성 폴리펩티드 모이어티이고,
    Y는, 캐리어 단백질 모이어티임.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단백질은 알부민 및 이의 단편, 특정 아미노산 서열의 반복단위의 중합체, 항체, 항체 단편, FcRn 결합물질, 파이브로넥틴, 트랜스페린(Transferrin), 사카라이드(saccharide), 또는 엘라스틴인, 결합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FcRn 결합물질은 면역글로불린 Fc 단편인, 결합체.
  26. (a)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한쪽 말단에 2,5-디옥소피롤리디닐, 2,5-디옥소피롤릴, 알데히드, 말레이미드, C6-C20아릴디설파이드, C5-C20헤테로아릴디설파이드, 비닐술폰, 석시니미드,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R1을 도입하는 단계; 및
    (b)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다른 한쪽 말단에 -NH(CO)L3-R2 구조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R2는 이황화 오르토피리딜 (Orthopyridyl disulfide, OPSS), 티올, 또는 할로겐인,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27. 화학식 20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준비하는 제1단계;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준비하는 제2단계; 및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 용액으로 처리하여 말단의 디에톡시메틸을 알데히드로 전환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화학식 1]에서 R1이 알데히드인 화학식으로 표기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20]
    Figure 112021127937466-pat00060

    여기서, n'은 n 또는 n+1
    [화학식 21]
    Figure 112021127937466-pat00061

    [화학식 22]
    Figure 112021127937466-pat00062

    여기서, 상기 L1, L2, L3, n 및 R2에 대해서는 제1항에 기술된 바와 같음.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준비하는 것인 제조방법:
    [화학식 23]
    .
    Figure 112021127937466-pat00089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암모니아 수용액 및 염화암모늄과 반응시킴으로써 수행하는 것인 제조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히드록시알킬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에테르와 반응시켜 화학식 2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1-1단계;
    화학식 2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p-톨루엔설폰산과 반응시켜 말단의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옥시기를 히드록시기로 치환하는 제1-2단계;
    이전 단계로부터 수득한 화합물을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히드록시기를 메탄술폰산기로 전환하는 제1-3단계; 및
    이전 단계로부터 수득한 화합물을 암모니아 수용액 및 염화암모늄과 반응시키는 제1-4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인 제조방법:
    [화학식 24]
    Figure 112017022904302-pat00064
    .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25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수행하는 것인 제조방법:
    [화학식 25]
    Figure 112017022904302-pat00065
    .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클로로(C2-C7 알카노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중간체로 하기 화학식 26으로 표시되는, 말단에 클로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합성한 후, 황화수소 나트륨 존재 또는 부재 하에 할로겐 금속염과 반응시켜 클로로기를 티올 또는 할로겐으로 전환하여 수행하는 것인 제조방법:
    [화학식 26]
    Figure 112017022904302-pat00066
    .
KR1020170029139A 2016-03-07 2017-03-07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Active KR102372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317 2016-03-07
KR20160027317 2016-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409A KR20170104409A (ko) 2017-09-15
KR102372857B1 true KR102372857B1 (ko) 2022-03-11

Family

ID=59789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139A Active KR102372857B1 (ko) 2016-03-07 2017-03-07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603346B2 (ko)
EP (1) EP3428147A4 (ko)
JP (1) JP6937773B2 (ko)
KR (1) KR102372857B1 (ko)
CN (2) CN109071419A (ko)
AR (1) AR107823A1 (ko)
TW (1) TWI770010B (ko)
WO (1) WO20171552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7861B2 (en) 2017-09-29 2022-06-14 Hanmi Pharm. Co., Ltd Protein complex comprising non-peptidyl polymer-coupled fatty acid derivative compound as link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BR112020008540A2 (pt) * 2017-11-06 2020-10-06 Hanmi Fine Chemical Co., Ltd. derivado de polietilenoglicol e método de preparação deste
JP7111917B2 (ja) * 2019-06-28 2022-08-02 ハンミ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グルカゴン、glp-1及びgip受容体の全てに対して活性を有する三重活性体又はその結合体の肝疾患に対する治療的使用
CA3147883C (en) * 2019-07-18 2024-01-02 Hanmi Pharm. Co., Ltd. Novel method for preparing long-acting drug conjugate through preparation of intermediate
US20220273808A1 (en) * 2019-07-18 2022-09-01 Hanmi Pharm. Co., Ltd Novel method of preparing protein conjugate
CN116789771B (zh) * 2023-08-28 2023-11-14 南京杰肽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多肽修饰的蛋白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9930790A (zh) * 2023-11-06 2025-05-06 成都奥达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双激动剂化合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7497A2 (en) * 2001-04-26 2002-11-07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Therapeutic agent/ligand conjugate compositions, their methods of synthesis and use
WO2010021720A1 (en) * 2008-08-19 2010-02-25 Nektar Therapeutics Conjugates of small-interfering nucleic acid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6871A (en) 1995-04-14 2000-08-01 Genentech, Inc. Polypeptides altered to contain an epitope from the Fc region of an IgG molecule for increased half-life
EP0904107B1 (en) 1996-03-18 2004-10-20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Immunoglobin-like domains with increased half lives
JO2291B1 (en) * 1999-07-02 2005-09-12 اف . هوفمان لاروش ايه جي Erythropoietin derivatives
CN1671769B (zh) * 2002-07-24 2010-05-12 弗·哈夫曼-拉罗切有限公司 聚乙二醇醛衍生物
AU2009243009B2 (en) * 2008-04-30 2014-09-11 Immunogen, Inc Potent conjugates and hydrophilic linkers
WO2010138343A1 (en) * 2009-05-27 2010-12-02 Merck Sharp & Dohme Corp. Neuromedin u receptor agonists
KR101042965B1 (ko) * 2009-10-29 2011-06-20 한국과학기술원 카테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와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의 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A2792942A1 (en) * 2010-04-09 2011-10-13 Merck Sharp & Dohme Corp. Novel single chemical entitie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oligonucleotides
CN102971329B (zh) * 2010-04-15 2016-06-29 麦迪穆有限责任公司 用于治疗增殖性疾病的吡咯并苯并二氮杂卓
FR2988608B1 (fr) * 2012-03-30 2014-09-0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Materiau,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es utilisations
KR101968344B1 (ko) * 2012-07-25 2019-04-12 한미약품 주식회사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용 조성물
CA2949017A1 (en) * 2014-05-14 2015-11-19 Alex Levitzki Management And Holdings Ltd. Improved polyethyleneimine polyethyleneglycol vectors
AR100695A1 (es) 2014-05-30 2016-10-26 Hanmi Pharm Ind Co Ltd Composición para el tratamiento de diabetes mellitus que comprende insulina y un agonista dual glp-1 / glucagó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7497A2 (en) * 2001-04-26 2002-11-07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Therapeutic agent/ligand conjugate compositions, their methods of synthesis and use
WO2010021720A1 (en) * 2008-08-19 2010-02-25 Nektar Therapeutics Conjugates of small-interfering nucleic acid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TN Cas. No. 1294505-04-6 (2011.05.13.)*
논문 Bioconjugate Chem., Vol. 18, pp. 1415-1423 (2007.06.27.)*
논문 Biomacromolecules, Vol. 8, pp. 2883-2889 (2007.08.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5288A1 (ko) 2017-09-14
JP2019515972A (ja) 2019-06-13
US20230212103A1 (en) 2023-07-06
CN109071419A (zh) 2018-12-21
AR107823A1 (es) 2018-06-06
TW201808344A (zh) 2018-03-16
TWI770010B (zh) 2022-07-11
US20190071379A1 (en) 2019-03-07
EP3428147A1 (en) 2019-01-16
US11603346B2 (en) 2023-03-14
EP3428147A4 (en) 2019-08-28
CN119264413A (zh) 2025-01-07
JP6937773B2 (ja) 2021-09-22
US12139455B2 (en) 2024-11-12
KR20170104409A (ko) 2017-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2857B1 (ko)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TWI784914B (zh) 包含長效胰島素類似物接合物及長效促胰島素肽接合物之治療糖尿病組成物
TWI413528B (zh) 使用免疫球蛋白片段的促胰島素複合物
JP2022025098A (ja) 脂肪酸誘導体を用いたタンパク質結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71863B1 (ko) 비펩티드성 중합체 링커 화합물, 그 링커 화합물을 포함하는 결합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
ES2985999T3 (es) Conjugados de proteínas
US20120039843A1 (en) Conjugates of a polypeptide and an oligosaccharide
CN105934257B (zh) 用于含氮和羟基的药物的生物可逆引入基团
CN110339369B (zh) 制备生理活性多肽复合物的改进方法
TWI617569B (zh) 製備生理活性多肽複合物之方法
JP6987741B2 (ja) 生理活性ポリペプチド結合体の製造方法
ES2743612T3 (es) Procedimiento de preparación mejorado para producción de alto rendimiento de un conjugado de polipéptido fisiológicamente activo
US20210393745A1 (en) Oligomer extended insulin-fc conjugates and their medical use
KR102612576B1 (ko) 링커로서 비펩타이드성 중합체 결합 지방산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단백질 결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3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3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