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68248B1 - 내시경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248B1
KR102368248B1 KR1020210151210A KR20210151210A KR102368248B1 KR 102368248 B1 KR102368248 B1 KR 102368248B1 KR 1020210151210 A KR1020210151210 A KR 1020210151210A KR 20210151210 A KR20210151210 A KR 20210151210A KR 102368248 B1 KR102368248 B1 KR 102368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washing water
washing
outer diameter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세
Original Assignee
(주)비스코인스트루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스코인스트루먼트 filed Critical (주)비스코인스트루먼트
Priority to KR1020210151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2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 A61B1/12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using wash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 A61B1/12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using fluid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70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70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instruments
    • A61B2090/701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instruments for flexible tubular instruments, e.g. end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에 설치된 수반부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내시경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반부의 바닥면에 결합되며, 내측으로 수직 관통된 중공부의 하단에 인입관에 연결된 니플이 연결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중공부 상단에서 하향삽입되며, 내측으로 수직 관통되는 유로공이 형성된 유도부와; 상기 유도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저부에서 상부로 일정깊이의 챔버(chamber)가 형성되고, 외경에서 챔버를 향하여 분사공이 형성된 회전체와; 상기 유도부의 외경으로 삽입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이 베어링이 안착되도록 바디부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유도부는 상향으로 관통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며, 안착부에 안착된 베어링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덮개가 형성되어 바디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내시경 세척장치의 수반부와 바디부의 결합부분에서 회전작용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바디부의 내측 또는 상단에서 회전작용이 발생하게 하여 부품의 마모에 의한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세척수의 수압을 제어하여 회전체가 승하강하면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세척수의 분사범위가 수압조절에 따라 확대/축소됨으로써 보다 넓은 범위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하는 내시경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시경 세척장치{ENDOSCOPE CLEANING AND DISINFECTING DEVICE}
본 발명은 내시경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내시경의 세척 또는 소독 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공이 형성된 회전체가 공급되는 수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게 하는 내시경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은 통상 환자의 구강이나 항문 또는 복부 등의 절제부(節制部)를 통하여 환자의 몸속에 삽입하여 목적하는 환부의 상태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육안으로 관찰 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 환자를 검진하는데 있어서는 필수적인 것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의료장비다.
때문에, 환자의 몸 속에 직접 삽입되어 사용되는 기구인 만큼 사용 후에는 다른 환자의 검진을 위하여 항상 세척(소독)되어야 한다.
이러한 세척을 게을리 하는 경우에는 먼저 사용된 환자의 병원균이 내시경에 잔존하여 다른 환자에게 2차 감염을 시키게 되는 매개(媒介) 역할을 하게 되어 매우 위엄하고 치명적인 감염을 가져올 수 있다.
종래의 내시경 세척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을 세척 및 소독하기 위하여 수반부(2)에서 세척액과 세척수 및 소독액을 교번적으로 사용하여 세척한다.
상기 세척 및 소독 사이클을 제어하는 콘트롤부가 케이싱(3)의 전면패널에 형성되고, 내시경을 세척하고 소독하기 위해 수반부(2)에 세척수와 세척액 및 소독액을 공급받기 위해 세척액과 소독액을 저장하는 세척액탱크(도시하지 않음)와 소독액저장통(7)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되어 있으며, 세척수는 외부에서 인입관(X)를 통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3) 상부에 형성된 수반부(2)의 분사구(4)로 소독액을 분사하며, 회전체의 분사구(4')로 세척수(물)을 분사하고, 세척액 분사구(4")로 세척액탱크의 세척액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컨트롤부에 의하여 세척과 소독작업이 진행된 후, 세척작업 후의 세척수는 배수관(5)에 결합된 배수밸브체(6)에 의해 배수라인(A)을 통해 배수되게 하고, 소독작업 후 소독액은 배수관(5)에 결합된 배수밸브체(6)에 의해 회수라인(B)을 통해 소독액저장탱크(7)로 회수되게 한다.
이때, 상기 배수밸브체(6)는 배수관(5)에 연결되며, 소독액이 소독액저장탱크(7)로 회수되게 하는 소독액밸브(8), 세척액과 세척수(물)가 배수라인(A)을 통하여 배수되게 하는 배수밸브(9), 배수밸브체(6)에 잔류한 세척액 또는 소독액을 강제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외부의 에어펌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개폐하는 에어밸브(1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반부(2)에 내시경 장비를 놓고, 개폐문을 닫은 후, 컨트롤부를 조작하여 세척작업이 이루어지게 하면, 입수관과 세척액탱크에서 물과 세척액을 펌핑하여 수반부(2)에 놓아둔 내시경 장비를 각 프로그램에 의해 세척하게 한다.
상기 컨트롤부 조작 후, 일정 시간 동안 세척작업이 이루어진 후에는 수반부(2)의 세척액과 세척수가 배수관(5)으로 배수되어 배수밸브체(6)로 인입되는 바, 이때, 배수밸브(9)는 개방되고, 소독액밸브(8)는 폐쇄되므로, 배수라인(A)을 통해 세척수가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밸브(12)가 개방되면서 에어가 배수밸브체(6)로 공급되면, 배수밸브체(6)에 잔류하는 세척수도 배수라인(A)을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세척작업은, 물(세척수)과 세정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순서를 교번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세척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작업순서를 바꿀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내시경 세척장치는 세척액, 세척수, 소독액을 다양한 분사 프로그램에 의하여 진행되는 바, 세척수를 분사할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22)로 인입관(X)의 세척수가 공급되면, 도 2에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28)가 동작하여 구동모터(28)의 구동축에 축설된 구동기어(28a)가 세척수 분사체(20) 하부에 설치된 연동기어(30)를 회전시켜 회전체(22)를 회전시키게 함으로써, 회전체(22)의 분사구(22a)가 수반부(2)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가 형성되어 수반부(2)에 고정결합되며, 외경에 공급공(24a)이 형성된 원통형 바디부(24)와, 이 바디부(24)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향 돌출되며, 상단에서 하부를 향하여 일정 깊이의 유로(26a)가 형성되고, 이 유로(26a)의 하단으로 연통되도록 외경에서 연통공(26b)이 형성된 중계부(26)와, 상기 중계부(26)의 상단 외경에 형성된 숫나사부(26c)에 체결되도록 저면에 암나사부(22b)가 형성되고, 중계부(26)의 유로(26a)와 연통되도록 챔버(chamber)(22c)가 형성되며, 이 챔버(22c)와 연통되도록 외경에서 챔버(22c)까지 분사구(22a)가 형성된 회전체(2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부(24) 하단으로 돌출되는 중계부(26)에는 연동기어(30)가 축설되어 있으며, 이 연동기어(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28)의 구동기어(28a)에 축설되어 있으므로, 구동모터(28)이 회전하면, 구동기어(28a)와 연동기어(30)가 회전하고, 이때, 중계부(26)가 회전하게 되므로, 중계부(26) 상단에 결합된 회전체(22)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관(X)으로 공급된 세척수는 바디부(24)에 형성된 공급공(24a)으로 공급되어 중공부에 삽입된 중계부(26)의 연통공(26b)와 유로(26a)를 통해 상단의 챔버(22c)로 공급되어 분사구(22a)으로 토출되어지며, 상기 분사구(22a)에는 분사노즐(28)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척수가 수반부(2)의 내시경을 세척시킬 때에는 바디부(24)에 결합된 회전체(22)가 회전하면서 분사구(22a)로 세척수가 분사되는 바, 이때, 상기 회전체(22)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반부(2)에 바디부(24)를 결합시킨 후 바디부(24) 내측에 삽입된 회전체(22)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동모터(28) 및 부설 자재 등을 결합시키기 때문에 수반부(2)와 회전하는 중계부(26)의 결합부위가 마모되면서 내시경 세척장치 내부로 심각한 누수현상이 발생하여 오염과 악취 및 부속품들의 부식현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인위적으로 회전체(22)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속자재들의 결합 및 조립공정이 증가함에 따라 자재비의 상승과 조립공수의 증가로 생산단가를 향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반부와 바디부의 결합부위를 견고하게 하면서, 수반부와 바디부가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헐거워지거나 마모되는 등의 문제점이 원천적으로 차단되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회전체의 회전유도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회전체의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세척범위가 증감되도록 하여 내시경 세척범위를 증가시키고, 개폐부의 투시창이 세척수 분사에 의해 사야확보가 불리한 점을 해소하여 수반부의 세척 및 소독상황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는 내시경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케이싱(102)에 설치된 수반부(104)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내시경 세척장치에 있어서, 수반부(104)의 바닥면에 결합되며, 내측으로 수직 관통된 중공부(106a)의 하단에 인입관(108)에 연결된 니플(108a)이 연결되는 바디부(106)와; 상기 바디부(106)의 중공부(106a) 상단에서 하향삽입되며, 내측으로 수직 관통되는 유로(110a)공이 형성된 유도부(110)와; 상기 유도부(110)의 상단에 결합되며, 저부에서 상부로 일정깊이의 챔버(112a)(chamber)가 형성되고, 외경에서 챔버(112a)를 향하여 분사공(112b)이 형성된 회전체(112)와; 상기 유도부(110)의 외경으로 삽입되는 베어링(114)과;상기 베어링(114)이 안착되도록 바디부(106)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부(116)와; 상기 유도부(110)는 상향으로 관통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며, 안착부(116)에 안착된 베어링(114)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덮개(118a)가 형성되어 바디부(106)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18)의 덮개(118a)는 베어링(114)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하고, 인입관(108)에 결합되어 바디부(106)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 또는 유량을 제어하는 수압조절부(1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체(112)에 결합되는 유도부(110)의 결합부위 하단 외경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일정거리까지의 외경면 양측에 'l'자 형으로 면취부(12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분사공(112b)은, 상기 회전체(112)의 일측 외경에서 챔버(112a)를 관통한 후 일정거리까지 제1공(112b-1)을 천공하고, 제1공(112b-1)의 양단 또는 양측 부근에 직교되도록 회전체(112)의 외경에서 각각 제2공(112b-2)을 천공하며, 제2공(112b-2)의 일측단에는 마감캡을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112)의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체(112)가 회전할 때 상향으로 바람이 발생하도록 하는 블레이드(12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세척수를 분사하는 회전체가 바디부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회전되게 함으로써, 회전체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모터, 외접기어 등 부속자재의 자재비를 감축시키고, 부속자재의 조립공정이 단축되어 생산단가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특히, 수반부와 바디부의 결합부분에서 회전작용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바디부의 내측 또는 상단에서 회전작용이 발생하므로, 부품의 마모에 의한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입관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유량 또는 수압을 제어하여 회전체가 승하강하면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세척수의 분사범위가 수압조절에 따라 확대/축소됨으로써 보다 넓은 범위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효과를 증대시키며, 회전체의 상단에 결합된 블레이드에 의하여 회전체가 회전하면 개폐문의 투시창에 세척수가 뭍어서 시야확보가 불편했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수반부 내부의 시야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내시경 세척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세척수를 분사하는 회전체와 바디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세척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 세척수를 분사하는 회전체와 바디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가 승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부의 면취부에 고정장비가 삽입되어 체결 또는 체결해체작업이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고정장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에 형성된 분사공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의 상부에 블레이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세척장치(100)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2)에 설치된 수반부(104)의 바닥면에는 수직으로 중공된 중공부(106a)를 가지는 바디부(106)가 결합되는 바, 상기 바디부(106)는 원통형, 다각형 등 그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바디부(106)의 중공부(106a) 하단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가 공급되는 인입관(108)에 결합된 니플(108a)이 연결되며, 이 니플(108a)의 결합구조는 체결구조일 수도 있으며, 단순하게 억지끼움식으로 삽입결합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바디부(106)의 중공부(106a)에는 상단에서 하향으로 유도부(110)가 삽입되는 바, 상기 유도부(110)는 내측으로 수직관통되는 유로(110a)가 형성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110a)의 하단에는 '┴'자 형식으로 유로(110a)의 구조를 확장시켜 바디부(106)의 중공부(106a)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용이하게 유로(110a)로 공급유도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 유로(110a)의 외경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114)이 삽입결합되는 바, 상기 베어링(114)의 내경면과 유로(110a)의 외경면의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접착제를 도포할 수도 있으나, 베어링(114)이 억지끼움식으로 삽입결합되며, 베어링(114)의 내경면과 유로(110a)의 외경면으로 누수되어 상부로 분출되는 미량의 세척수는 수반부(104)로 집수되는 것이며, 유로(110a)를 통하여 후술하게 될 회전체(112)로 공급되는 수압에는 크게 영향이 없으므로 제조 시 생산과정에서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도부(110)에 결합된 베어링(114)은 바디부(106) 상단에 형성된 안착부(116)에 안착되며, 상기 안착부(116)는 '┗┛'과 같이 상부개방형으로 형성되어 베어링(114)이 상부에서 하향으로 안착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안착부(116)에 베어링(114)이 안착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18)의 통공을 유도부(110)의 상단에서 하향으로 삽입시키면서 고정부재(118)가 바디부(106)의 상단에 결합되게 하는 바, 이때, 상기 고정부재(118)는 바디부(106) 상부 외경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되도록 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부재(118)와 바디부(106)의 결합구조를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18)가 바디부(106)의 상부 외경에 결합되면 고정부재(118)의 덮개(118a)가 베어링(114)을 하향가압하면서 고정시킴으로써, 유도부(110) 및 베어링(114)의 내륜이 회전할 때 고정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회전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유도부(110), 베어링(114), 고정부재(118)가 바디부(106)에 결합되면, 상기 유도부(110)의 상단은 회전체(112)의 저면에서 상향으로 일정깊이로 형성된 챔버(112a)에 결합되는 바, 상기 유도부(110)의 상부 외경과 챔버(112a)의 내경 하부가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유도부(110)와 회전체(112)의 결합구조를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구조로서 특정하지는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1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에서 상부로 일정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챔버(112a)를 향하여 회전체(112)의 외경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분사공(112b)이 관통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공(112b)의 끝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112c)이 결합될 수도 있으며, 결국, 바디부(106)의 중공부(106a)에서 유도부(110)의 유로(110a)를 통해 상단으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챔버(112a)를 경유하여 상기한 분사공(112b)으로 분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인입관(108), 바디부(106)의 중공부(106a), 유도부(110)의 유로(110a), 챔버(112a)로 공급되는 세척수에는 일정한 공급압이 발생하며, 이때, 수직방향으로 공급되던 세척수가 챔버(112a)에서 수평방향인 분사공(112b)으로 분기됨에 따라 공급방향이 변경되면서 회전체(112)에는 회전하려하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유도부(110)와 바디부(106)의 마찰력은 베어링(114)에 의해 최소화되므로, 세척수의 공급에 의해 발생된 수압(공급압)이 회전력으로 전향되면서 회전체(112)가 회전하게되므로 분사공(112b)으로 분사되는 세척수는 회전체(112)로부터 일정한 범위를 향하여 지속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112c)이 분사공(112b)에 결합되어 회전방향을 다시 한번 변경하고, 분사노즐(112c)의 구경을 조절한다면, 공급되는 세척수의 공급압(수압)을 이용하여 회전체(112)의 안정적인 회전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18)의 덮개(118a)가 베어링(114)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게 하고, 인입관(108)에는 세척수의 공급압(수압)을 조정할 수 있는 수압조절부(120)를 결합시켜 바디부(106)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공급압(수압)을 교번적으로 낮게 하거나 높게 함으로써, 공급압(수압)이 낮은 상태에서는 도 5와 같이 베어링(114), 유도부(110), 회전체(112)가 하강된 상태에서 회전체(112)가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게 하고, 공급압(수압) 높은 상태에서는 도 6과 같이 베어링(114) 유도부(110), 회전체(112)가 승강된 상태에서 회전체(112)가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게 할 수 있다.
결국, 상기 회전체(112)가 승하강하면서 회전하게 되면,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공(112b)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영역이 넓어졌다가 좁아졌다가 하게 되므로, 보다 넓은 범위에 세척수를 분사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한 수압조절부(120)는 인입관(108)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을 제어하는 통상의 수압조절장치를 채택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 수압조절장치 또는 수압조절부(120)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상기 수압조절부(120)에 의해서 바디부(106)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이 교번적으로 변경되어야 하므로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전자제어에 의해 수압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112)에 결합되는 유도부(110)의 결합부위 하단 외경 양측에는 하부를 향하여 일정거리까지 'l'자 형으로 면취부(122)를 형성하여 도 8에 도시된 고정장비(130)가 이 면취부(122)에 끼워지게 한 후 회전체(112)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정과 해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분사공(112b)은, 챔버(112a)로부터 외경을 향하여 직선방향으로 천공할 수도 있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112)의 일측 외경에서 챔버(112a)를 향하여 일직선으로 제1공(112b-1)을 관통시킨 후 일정거리까지 연장되게 하고, 제1공(112b-1)의 양단 또는 양측 부근에 직교되도록 회전체(112)의 외경에서 각각 제2공(112b-2)을 천공한 후 제2공(112b-2)의 일측단에는 마감캡을 결합시켜 챔버(112a)까지 수직으로 공급되던 세척수의 공급압의 방향에 더욱 강한 저항력이 발생하게 함으로써, 회전체(112)에 강한 회전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세척장치(100)는 개폐문의 투시창을 통하여 수반부(104) 내측 상황을 육안으로 식별하여 세척 및 소독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개폐문을 폐쇄시킨 후 회전체(112)가 회전하면서 분사공(112b) 또는 분사공(112b)에 결합된 분사노즐(112c)을 통해 세척수가 수반부(104)로 분사되면, 분사되는 세척수가 내시경에 튀어서 투시창까지 튀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 때, 투시창에 물맺힘 현상에 의하여 수반부(104) 내측을 육안으로 정밀하게 관찰하라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체(112)의 상단에 도 10과 같이 블레이드(124)를 결합시켜 회전체(112)가 회전할 때 상향으로 바람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개폐문의 투시창에 튄 물방울이 제거될 수 있게 하여 수반부(104) 내측의 모니터링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100 : 내시경 세척장치
102 : 케이싱 104 : 수반부
106 : 바디부 106a : 중공부
108 : 인입관 108a : 니플
110 : 유도부 110a : 유로
112 : 회전체 112a : 챔버(chamber)
112b : 분사공 112b-1 : 제1공
112b-2 : 제2공 112b-3 : 마감캡
112c : 분사노즐 114 : 베어링
116 : 안착부 118 : 고정부재
118a : 덮개 120 : 수압조절부
122 : 면취부 124 : 블레이드
130 : 고정장비

Claims (5)

  1. 케이싱(102)에 설치된 수반부(104)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내시경 세척장치에 있어서,
    수반부(104)의 바닥면에 결합되며, 내측으로 수직 관통된 중공부(106a)의 하단에 인입관(108)에 연결된 니플(108a)이 연결되는 바디부(106)와;
    상기 바디부(106)의 중공부(106a) 상단에서 하향삽입되며, 내측으로 관통되는 유로(110a)공이 형성된 유도부(110)와;
    상기 유도부(110)의 상단에 결합되며, 저부에서 상부로 일정깊이의 챔버(112a)(chamber)가 형성되고, 외경에서 챔버(112a)를 향하여 분사공(112b)이 형성된 회전체(112)와;
    상기 유도부(110)의 외경으로 삽입되는 베어링(114)과;
    상기 베어링(114)이 베어링(114)이 안착되도록 바디부(106)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부(116)와;
    상기 유도부(110)는 상향으로 관통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며, 안착부(116)에 안착된 베어링(114)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덮개(118a)가 형성되어 바디부(106)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18)의 덮개(118a)는 베어링(114)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하고, 인입관(108)에 결합되어 바디부(106)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 또는 유량을 제어하는 수압조절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12)에 결합되는 유도부(110)의 결합부위 하단 외경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일정거리까지의 외경면 양측에 'l'자 형으로 면취부(12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공(112b)은,
    상기 회전체(112)의 일측 외경에서 챔버(112a)를 관통한 후 일정거리까지 제1공(112b-1)을 천공하고, 제1공(112b-1)의 양단 또는 양측 부근에 직교되도록 회전체(112)의 외경에서 각각 제2공(112b-2)을 천공하며, 제2공(112b-2)의 일측단에는 마감캡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12)의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체(112)가 회전할 때 상향으로 바람이 발생하도록 하는 블레이드(1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장치.
KR1020210151210A 2021-11-05 2021-11-05 내시경 세척장치 Active KR102368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210A KR102368248B1 (ko) 2021-11-05 2021-11-05 내시경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210A KR102368248B1 (ko) 2021-11-05 2021-11-05 내시경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248B1 true KR102368248B1 (ko) 2022-03-02

Family

ID=8081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210A Active KR102368248B1 (ko) 2021-11-05 2021-11-05 내시경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2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5056B1 (ko) * 2023-10-30 2024-07-15 안병문 내시경 세척시스템
CN118476884A (zh) * 2024-07-15 2024-08-13 南通大学附属医院 一种医用清洁喷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1165A (ko) * 2006-04-10 2007-10-16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을 세척 소독하는 장치 및 내시경의 관로를 세척하기위한 브러시 유닛
KR20130142037A (ko) * 2012-06-18 2013-12-27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세척기
KR101496462B1 (ko) * 2007-08-16 2015-02-26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 세정기
KR20190053445A (ko) * 2017-11-10 2019-05-20 석재일 내시경 세척 장치
KR20200069793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휴온스메디케어 내시경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1165A (ko) * 2006-04-10 2007-10-16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을 세척 소독하는 장치 및 내시경의 관로를 세척하기위한 브러시 유닛
KR101496462B1 (ko) * 2007-08-16 2015-02-26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 세정기
KR20130142037A (ko) * 2012-06-18 2013-12-27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세척기
KR20190053445A (ko) * 2017-11-10 2019-05-20 석재일 내시경 세척 장치
KR20200069793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휴온스메디케어 내시경 세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5056B1 (ko) * 2023-10-30 2024-07-15 안병문 내시경 세척시스템
CN118476884A (zh) * 2024-07-15 2024-08-13 南通大学附属医院 一种医用清洁喷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8248B1 (ko) 내시경 세척장치
KR101102668B1 (ko)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를 이용한 내시경의 세정 방법
JP6001215B2 (ja) 挿入機器の洗浄具
WO2016194456A1 (ja) 内視鏡リプロセッサ
JP5847929B2 (ja) 浴槽の空気噴射装置
JP3762680B2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KR20170031468A (ko) 내시경 세척소독기
CN111549491A (zh) 一种基于微纳米气泡的洗涤方法及洗涤设备
CN208562875U (zh) 滚筒洗衣机及其喷淋装置
JPH11137506A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KR102412605B1 (ko) 내시경 세척장치
KR102153340B1 (ko) 소독액 희석방지기능을 가지는 내시경 세척장치
JP3947730B2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CN208800469U (zh) 一种具有自动灌流系统的医用内窥镜清洗机
JP7037756B2 (ja) 食品機械用管内洗浄機
KR20180034154A (ko) 세탁기
CN113825435A (zh) 作物清洗机
JP6010273B1 (ja) 内視鏡リプロセッサ
JP3691673B2 (ja) 内視鏡洗浄装置
CN109965744A (zh) 水槽清洗机及其清洗方法
CN107900011A (zh) 一种洗消装置
KR100912229B1 (ko) 월풀욕조
JPH119541A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CN217390538U (zh) 一种新型自动清洗装置
CN217187217U (zh) 一种防堵塞儿科洗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