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68186B1 -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186B1
KR102368186B1 KR1020200094383A KR20200094383A KR102368186B1 KR 102368186 B1 KR102368186 B1 KR 102368186B1 KR 1020200094383 A KR1020200094383 A KR 1020200094383A KR 20200094383 A KR20200094383 A KR 20200094383A KR 102368186 B1 KR102368186 B1 KR 102368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ell
surface layer
unit
mattress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935A (ko
Inventor
병 국 박
김창준
Original Assignee
박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국 filed Critical 박병국
Priority to KR1020200094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186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1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 A47C27/146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on the outside surface of the mattress or cush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8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of different resilien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매트리스는 표면층 및 연결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층은 일면이 분할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단위셀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층은 상기 표면층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단위셀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매트리스{Mattress}
본 발명은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 매트리스는 일정한 쿠션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내부에 스프링을 집어넣거나, 다양한 소재를 발포시킨 탄성체를 이용하여 제작을 하고 있다.
또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천연고무를 발포시켜 매트리스로 제조한 라텍스 제품이 소비자들에게 우수한 성능과 좋은 인식으로 많이 시판 및 구매되고 있다. 그러나 천연고무 원료의 가격 상승 등과 같은 이유로 천연고무의 단점을 극복하면서도 비슷한 물성을 제공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폼도 매트리스로 제작되는 등 다양한 원료를 기반으로 한 매트리스가 제조되고 있다.
폴리우레탄폼은 아이소사이안산염화합물과 글리콜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을 구성재료로 하고, 구성 성분인 아이소사이안산염과 다리결합제로 쓰는 물과의 반응으로 생기는 이산화탄소와 프레온과 같은 휘발성 용제를 발포제로 섞어서 만드는 발포 제품을 일컫는다.
폼의 겉보기 밀도(bulk density)를 비교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아울러 어디에서나 현장에서 간단히 발포시킬 수 있다. 사용하는 원료 글리콜의 종류에 따라 폴리에테르 폼과 폴리에스터 폼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는 유연성이 좋고, 후자는 공업용 폼으로 쓰기에 알맞도록 딱딱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만들어지는 폼은 초연질·연질·반경질·경질 등의 여러 가지 굳기를 가진다.
초연질이나 연질 폼은 쿠션성이 우수하여 이불·매트리스 따위에 이용되고, 경질 폼은 강성이 있고 단열성과 저온특성이 좋기 때문에 냉장고 단열재로 쓰이며, 반경질 폼은 충격 흡수력이 좋아 자동차 내장재로 쓰인다.
이러한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하여 매트리스를 제작하고 사용하게 되면, 매트리스의 하부에 포켓 스프링을 장착함으로써 수면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나, 장기 사용 시 스프링의 탄성 저하로 인해 매트리스 침윤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수면이 불편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체널이 없어 사람 체온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수면 시 매트리스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고, 온도가 올라가면 사용자의 신체에서 수분이 발생하여 매트리스의 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쾌적한 수면 환경을 유지하고, 환경성도 우수한 매트리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지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의 일면에 분할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단위셀을 형성하는 표면층 및 상기 단위셀의 하부에 상기 단위셀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층은, 분할홈이 형성되어 상기 단위셀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층은,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1 단위셀, 상기 제1 단위셀 사이에 형성되어 제1 단위셀보다 단면적이 작은 제2 단위셀 및 상기 제2 단위셀 사이에 형성되어 제2 단위셀보다 단면적이 작은 제3 단위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위셀은, 일면이 200mm 내지 300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위셀은, 일면이 200mm 내지 300mm이고, 타면이 50mm 내지 100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위셀은, 일면 및 타면이 50mm 내지 100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층은, 상기 분할홈의 일단부에 상기 분할홈보다 직경이 큰 표면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셀은, 테두리가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는 매트리스 하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의 침윤 현상을 개선하고 매트리스 내부에 공기 흐름을 유도하여 온도를 분산시켜 쾌적한 수면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매트리스 결합에 필요한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아 환경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는 표면층에 분할홈이 형성되어 각각의 단위셀을 나눌 수 있어, 신체가 매트리스에 접촉할 때, 각각의 단위셀이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는 내부에 단면이 작은 단위셀의 외측면에 단면이 넓은 단위셀을 배치함으로써, 단면이 작은 단위셀들이 외부 방향으로 가압되는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단위셀들의 단면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신체를 더욱 세부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는 분할홈 단부에 직경이 큰 유도홈이 형성되어, 각각의 단위셀 상부에 신체가 안착됨으로써, 유동적으로 변형되는 단위셀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는 단위셀의 테두리가 만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신체가 매트리스 상부면에 접촉되어 가압할 때, 단위셀 간에 마찰 또는 충돌에 의해 단위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셀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2에서 볼 때 왼쪽 방향을 전방으로 규정하고, 오른쪽을 후방으로 규정하며, 위쪽 방향을 우측으로 규정하고, 아래쪽 방향을 좌측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3에서 볼 때 표면층(300)에서 연결층(500) 쪽을 하방으로 규정하고, 연결층(500)에서 표면층(300) 쪽을 상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매트리스(10)는 표면층(300) 및 연결층(5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층(300) 및 연결층(500)은 폴리우레탄폼으로 제작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폼은 밀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제작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쿠션감을 줄 수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폼은 일정한 쿠션감을 가질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어, 매트리스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쉽게 변형될 수 있고, 천연고무와의 물성이 비슷하여 신체에 유해한 성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층(300) 및 연결층(500)이 일체화되어 제작됨으로써, 표면층(300)과 연결층(500)을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 사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신체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접착제 성분이 신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표면층(300)은 신체가 접촉되는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면층(300)은 분할홈(310), 제1 단위셀(350), 제2 단위셀(370) 및 제3 단위셀(3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a)는 제1 단위셀(350)이고, (b)는 제2 단위셀(370)이며, (c)는 제3 단위셀(390)을 나타낸 도면이다.
분할홈(310)은 표면층(30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고, 분할홈(310)의 간격은 5mm 내지 10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할홈(310)은 제1 분할홈(311) 및 제2 분할홈(31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분할홈(311)은 표면층(300)의 전방 단부에서 후방 단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분할홈(311)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는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제1 분할홈(311)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제1 분할홈(311)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분할홈(311)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양 단부가 개구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등의 유체가 양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연장 형성될 수 있는 제1 분할홈(311)과 수직하게 제2 분할홈(313)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분할홈(313)은 표면층(300)의 좌측 단부에서 우측 단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분할홈은 좌측 단부에서 우측 단부는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제2 분할홈(313)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제2 분할홈(313)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분할홈(313)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양측 단부가 개구되어 내부로 유입된 공기 등의 유체가 양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분할홈(311)과 제2 분할홈(313)은 전, 후, 좌, 우가 개방될 수 있는 연결홈(315)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분할홈(311)과 제2 분할홈(313)을 통해 표면층(300)은 제1 단위셀(350), 제2 단위셀(370) 및 제3 단위셀(390)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제1 단위셀(350)은 매트리스(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매트리스(10)의 안쪽 방향을 향하는 면에 제2 단위셀(370)이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단위셀(370)의 상부면에 신체가 접촉하게 되었을 때, 제2 단위셀(370)이 신체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단위셀(390)은 제2 단위셀(370)보다 단면이 작게 형성되어 매트리스(10) 상부에 신체가 접촉되면, 상체, 허리, 하체 등의 신체 구조에 따라 제3 단위셀(390)이 세부적으로 신체를 지지할 수 있어, 신체를 더욱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단위셀(350)은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단위셀(350)은 표면층(3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 단면의 표면층(300)의 가장자리는 4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어 제1 단위셀(350)은 4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위셀(350)은 전, 후, 좌, 우측면이 200mm 내지 300mm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단위셀(350)의 전방, 후방, 좌측, 우측 면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단위셀(350)의 상단부는 전방, 후방, 좌측, 우측면 상부면에 테이퍼 형상의 제1 모서리부(35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모서리부(351)는 신체가 매트리스(10)의 상부에 안착되어 매트리스(10)가 신체를 지지할 때, 제1 단위셀(350)이 서로 부딪히면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 또는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신체가 매트리스(10)의 상부에 안착되면, 서로 인접한 제1 단위셀(350)이 상부에서의 압력에 의해,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접촉되는 제1 단위셀(350)의 제1 모서리부(351)가 완만한 굴곡을 가질 수 있어 제1 단위셀(350)의 제1 모서리부(35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모서리부(351)는 하방으로 기울어지며 형성될 수 있고, 제1 모서리부(351)의 굴곡반경은 R20mm일 수 있다. 또한, 제1 단위셀(350)의 하단부에는 제1 단위셀(350)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진 제1 완만부(353)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완만부(353)의 직경은 20mm일 수 있다.
즉, 제1 단위셀(350)은 하부에 제1 완만부(353)가 형성됨으로써, 상부에 형성된 단면적이 제1 완만부(353)가 형성된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제1 완만부(353)는 사용자가 표면층(300)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하방으로 압력이 전달되어 전, 후, 좌, 우로 기울어짐으로써, 인접한 제2 단위셀(370)에 접촉하며 압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2 단위셀(370)은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단면은 직사각형 일 수 있다. 또한, 제2 단위셀(370)은 가장자리에 형성된 4개의 제1 단위셀(350) 사이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단위셀(350)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단위셀(370)의 일면은 50mm 내지 100mm일 수 있고, 타면은 200mm 내지 300mm일 수 있다. 이때, 일면과 타면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즉, 제2 단위셀(370)의 일면은 제1 단위셀(350)과 동일선상에 형성될 수 있고, 타면은 제1 단위셀(350)과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제1 단위셀(350)의 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위셀(370)의 상단부는 전방, 후방, 좌측, 우측면 상부면에 테이퍼 형상의 제2 모서리부(37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모서리부(371)는 신체가 매트리스(10)의 상부에 안착되어 매트리스(10)가 신체를 지지할 때, 제2 단위셀(370)이 서로 부딪히거나, 제2 단위셀(370)이 제1 단위셀(350) 및 제3 단위셀(390)과 부딪히면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 또는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신체가 매트리스(10)의 상부에 안착되면, 서로 인접한 제2 단위셀(370) 또는 제2 단위셀(370)과 인접한 제1 단위셀(350) 또는 제3 단위셀(390)이 상부에서의 압력에 의해,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2 단위셀(370)의 제2 모서리부(371)가 완만한 굴곡을 가질 수 있어 제2 단위셀(370)과 인접한 제1 단위셀(350), 제2 단위셀(370) 및 제3 단위셀(390)의 제2 모서리부(37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모서리부(371)는 하방으로 기울어지며 형성될 수 있고, 제2 모서리부(371)의 굴곡반경은 R20mm일 수 있다.
또한, 제2 단위셀(370)의 하단부에는 제2 단위셀(370)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진 제2 완만부(373)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완만부(373)의 직경은 20mm일 수 있다.
즉, 제2 단위셀(370)은 하부에 제2 완만부(373)가 형성됨으로써, 상부에 형성된 단면적이 제2 완만부(373)가 형성된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제2 완만부(373)는 사용자가 표면층(300)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하방으로 압력이 전달되어 전, 후, 좌, 우로 기울어짐으로써, 서로 인접한 각각의 제2 단위셀(370)에 접촉하며 압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3 단위셀(390)은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단위셀(390)은 복수 개의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단위셀(370) 사이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단위셀(370)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단위셀(390)은 전, 후, 좌, 우측면이 50mm 내지 100mm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단위셀(390)의 전방, 후방, 좌측, 우측 면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단위셀(390)의 상단부는 전방, 후방, 좌측, 우측면 상부면에 테이퍼 형상의 제3 모서리부(391)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모서리부(391)는 신체가 매트리스(10)의 상부에 안착되어 매트리스(10)가 신체를 지지할 때, 제3 단위셀(390)이 서로 부딪히거나, 제3 단위셀(390)이 제2 단위셀(370)과 부딪히면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 또는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신체가 매트리스(10)의 상부에 안착되면, 서로 인접한 제3 단위셀(390) 또는 제2 단위셀(370)과 인접한 제2 단위셀(370)이 상부에서의 압력에 의해,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3 단위셀(390)의 제3 모서리부(391)가 완만한 굴곡을 가질 수 있어 제3 단위셀(390)과 인접한 제2 단위셀(370) 및 제3 단위셀(390)의 제2 모서리부(37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모서리부(391)는 하방으로 기울어지며 형성될 수 있고, 제3 모서리부(391)의 굴곡반경은 R20mm일 수 있다.
또한, 제3 단위셀(390)의 하단부에는 제3 단위셀(390)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진 제3 완만부(393)가 형성될 수 있고, 제3 완만부(393)의 직경은 20mm일 수 있다.
즉, 제3 단위셀(390)은 하부에 제3 완만부(393)가 형성됨으로써, 상부에 형성된 단면적이 제3 완만부(393)가 형성된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제3 완만부(393)는 사용자가 표면층(300)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하방으로 압력이 전달되어 전, 후, 좌, 우로 기울어짐으로써, 서로 인접한 각각의 제3 단위셀(390) 간에 접촉하며 압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유도홈(330)은 원형 형상의 홈일 수 있고, 제1 단위셀(350), 제2 단위셀(370) 및 제3 단위셀(390)의 하단부에 내측 방향으로 완만한 형성된 제1, 제2 및 제3 완만부(39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도홈(330)은 서로 인접한 단위셀(350, 370, 390)의 하단부에 완만부(353, 373, 393)가 형성됨으로써, 그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유도홈(330)이 형성됨으로써, 표면층(300)의 상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단위셀(350, 370, 390)이 하방으로 가압되며 인접한 단위셀(350, 370, 390)간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단위셀(350, 370, 390) 하부에 형성된 유도홈(330)을 통해 상부에 형성될 수 있는 공기 등의 유체가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하방으로 이동된 공기 등의 유체가 분할홈(310)을 따라 사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수면시 표면층(300)에 지속적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온도가 표면층(300)으로 전달되어 표면층(300)의 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승된 온도를 유도홈(330)을 통해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쾌적한 수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단위셀(350, 370, 390)이 스프링을 대체할 수 있어 스프링에서 발생되는 침윤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더욱 안락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수면시 표면층(300)에 지속적으로 압력을 가하게 될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서 발생되는 온도를 통해 상승된 온도의 공기 등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쾌적한 수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층(500)은 표면층(3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표면층(300)보다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이때, 표면층(300)과 연결층(500)이 연결되어 형성된 높이는 200mm일 수 있다. 또한, 연결층(500)은 상부에 형성된 단위셀(350, 370, 390)의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연결층(500)과 표면층(300)은 일체형으로 제작됨으로써, 단위셀(350, 370, 390) 간에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표면층(300)의 상부에 위치하여 표면층(300)에 압력을 가했을 때 단위셀(350, 370, 390)들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중심부에 있는 복수 개의 제3 단위셀(390)은 하방으로 가압되며 제3 단위셀(390) 하단부에 형성된 유도홈(330)을 통해 공기 등의 유체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전, 후, 좌, 우측 단부에 형성된 제3 단위셀(390)과 인접하게 외측 방향에 제2 단위셀(370)이 형성되어 가압된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2 단위셀(370)의 양 단부에는 제2 단위셀(370)과 이격되어 제1 단위셀(3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단위셀(350)과 제2 단위셀(370)은 제3 단위셀(390)보다 면적이 클 수 있어, 외부로 제1 및 제2 단위셀(370)이 파손되어 외부로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매트리스
300: 표면층 310: 분할홈
311: 제1 분할홈 313: 제2 분할홈
315: 연결홈 330: 유도홈
350: 제1 단위셀 351: 제1 모서리부
353: 제1 완만부 370: 제2 단위셀
371: 제2 모서리부 373: 제2 완만부
390: 제3 단위셀 391: 제3 모서리부
393: 제3 완만부 500: 연결층

Claims (7)

  1. 매트리스는 표면층 및 연결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층은 일면이 분할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단위셀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층은 상기 표면층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단위셀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표면층은,
    4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단위셀,
    상기 제1 단위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위셀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단위셀 및
    상기 제2 단위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단위셀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3 단위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위셀은 상기 제1 단위셀보다 단면적이 작고,
    상기 제3 단위셀은 상기 제2 단위셀보다 단면적이 작으며,
    상기 제1 단위셀은 각 변이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위셀은 일변이 상기 제1 단위셀의 각 변의 크기에 대응하고, 타변이 상기 일변보다 작으며, 상기 일변과 타변이 서로 수직이고,
    상기 제3 단위셀은 각 변이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단위셀의 타변의 크기에 대응하고,
    상기 각 단위셀의 상단부는 각 변에 테이퍼 형상의 모서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표면층은,
    상기 각각의 단위셀 사이에는 분할홈이 형성되어 상기 단위셀이 분리되고,
    상기 분할홈의 일단부에 상기 분할홈보다 직경이 큰 유도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 단위셀은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단위셀의 하단부의 둘레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굴곡진 완만부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표면층에 압력이 가하게 되면 상기 각 단위셀의 하방으로 압력이 전달되어 상기 완만부가 전, 후, 좌, 우로 기울어져 압력을 완화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도홈은 상기 각 완만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표면층의 상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유도홈을 통해 공기가 상기 각 단위셀의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하방으로 이동된 공기가 상기 분할홈을 따라 사방으로 배출되도록 서로 인접한 단위 셀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완만부 사이에 형성되는 매트리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셀은,
    일변이 200mm 내지 300mm이거나
    상기 제2 단위셀은,
    일변이 200mm 내지 300mm이고, 타변이 50mm 내지 100mm인 매트리스.
  6. 삭제
  7. 삭제
KR1020200094383A 2020-07-29 2020-07-29 매트리스 Active KR102368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383A KR102368186B1 (ko) 2020-07-29 2020-07-29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383A KR102368186B1 (ko) 2020-07-29 2020-07-29 매트리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935A KR20220014935A (ko) 2022-02-08
KR102368186B1 true KR102368186B1 (ko) 2022-02-28

Family

ID=80251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383A Active KR102368186B1 (ko) 2020-07-29 2020-07-29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1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6285A (ja) * 2001-04-16 2002-10-22 Nishikawa Sangyo Kk クッション体
JP2016067754A (ja) * 2014-09-30 2016-05-09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マットレス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8289Y2 (ja) * 1992-11-17 1996-08-21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マットレス装置
KR20190028159A (ko) * 2017-09-08 2019-03-18 최소연 스폰지를 이용한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6285A (ja) * 2001-04-16 2002-10-22 Nishikawa Sangyo Kk クッション体
JP2016067754A (ja) * 2014-09-30 2016-05-09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マットレ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935A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2871B1 (en) Support cushion
US20170224126A1 (en) Customized sleep system
US20220252124A1 (en) Void cells with outwardly curved surfaces
US20140059776A1 (en) Adjustable mattress topper
US20150305515A1 (en) Enhanced mobility mattress
US9049944B2 (en) Solid gel cushion system
US20230363548A1 (en) Lightweight gel sleeve
US2542781A (en) Inflatable mattress unit
CN104433501A (zh) 固态凝胶软垫
KR102368186B1 (ko) 매트리스
EP3320886B1 (en) Patient support structure, pressure relief module and non-powered pressure regulation method
KR102358021B1 (ko) 기능성 쿠션재
WO2017023870A1 (en) Void cells with outwardly curved surfaces
KR102453559B1 (ko) 통풍 매트
CN101411571A (zh) 海绵结构
KR102262525B1 (ko) 삼차원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리스
KR200475735Y1 (ko) 매트리스용 굴곡지지대
KR102093516B1 (ko) 어깨 눌림이 방지되는 매트리스
JP2022073448A (ja)
JPH114740A (ja)
CN217959456U (zh) 一种床垫及床
CN221179905U (zh) 一种床垫
CN215226555U (zh) 一种具有稳定斜壁的弹性体网格枕
CN212489273U (zh) 一种棕榈床垫
JP2003111644A (ja) クッ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4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5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10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7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5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