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65570B1 -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and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and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570B1
KR102365570B1 KR1020170051888A KR20170051888A KR102365570B1 KR 102365570 B1 KR102365570 B1 KR 102365570B1 KR 1020170051888 A KR1020170051888 A KR 1020170051888A KR 20170051888 A KR20170051888 A KR 20170051888A KR 102365570 B1 KR102365570 B1 KR 102365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plug
housing
fastening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8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8486A (en
Inventor
김종석
김성호
박대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1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570B1/en
Publication of KR20180118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4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57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4Process history based detection method, e.g. whereby history implies the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data
    • G05B23/0227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 G05B23/0235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based on a comparison with predetermined threshold or range, e.g. "classical methods", carried out during normal operation; threshold adaptation or choice; when or how to compare with the threshol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용 환경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욕실 내의 온도, 습도 및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표시하는 욕실용 환경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환경 센서는 플러그가 결합되는 착탈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을 통해 온도, 습도 및 미리 설정된 화학물질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측정 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vironmental sensor for a bathroom and a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vironmental sensor for a bathroom that measures and displays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 the bathroom, and a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housing, the housing having a detachable port to which the plug is coupled, and temperature, humidity and preset chemistry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asurement module for measuring at least one of the concentration of the substance and a display modul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to display the valu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module.

Description

욕실용 환경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and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same}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and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욕실용 환경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욕실 내의 온도, 습도 및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표시하는 욕실용 환경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vironmental sensor for a bathroom and a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vironmental sensor for a bathroom that measures and displays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 the bathroom, and a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욕실은 오염물질을 씻어내거나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공간으로서, 생활 공간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이용되는 장소 중 하나이다.A bathroom is a space for washing or discharging pollutants, and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places among living spaces.

욕실은 기본적으로 물을 사용하는 공간이므로, 습하게 유지되는 경우가 많고 이에 따라 곰팡이, 세균 등이 번식할 가능성이 높다. 뿐만 아니라, 욕실이 주기적으로 청소되지 않는 경우, 악취가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욕실을 쾌적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Since the bathroom is basically a space that uses water, it is often kept moist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mold and bacteria will grow accordingly. In addition, if the bathroom is not cleaned periodically, a bad odor may be generated, which may cause discomfort to the user. For this reason, a method for comfortably managing the bathroom is required.

욕실의 관리 방법은 욕실의 온도, 습도 및 욕실 내 오염물질의 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욕실의 온도, 습도 및 오염물질의 농도를 파악하기 위해, 욕실에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화학센서를 모두 구비하는 것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The bathroom management method may vary depending on the bathroom temperature, humidity, and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 the bathroom. However, in order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 the bathroom, it is difficult to provide all of the temperature sensor, humidity sensor and chemical sensor in the bathroom.

설령 상술한 세 개의 센서를 모두 구비하였다고 하더라도, 각 센서는 욕실 내에 분리 설치되고, 통합적으로 관리되지 못해, 사용자가 욕실 내 환경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Even if all three sensor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each sensor is separately installed in the bathroom and cannot be managed integrally,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cannot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environment in the bathroom.

한편, 종래의 센서는 콘센트에 삽입되어 외부전원에 의해 구동되거나 배터리를 내장하여 배터리에 의해 구동된다. 다시 말해, 외부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종래의 센서는 설치 위치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고,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종래의 센서는 배터리가 방전됨에 따라 안정적인 구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sensor is inserted into an outlet and driven by an external power source, or has a built-in battery and is driven by a battery.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sensor driven by an external power source ha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location is limited, and the conventional sensor driven by the battery has a problem in that stable operation is impossible as the battery is discharged.

또한, 종래 욕실에 설치되는 센서는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지 않아, 물이 튀지 않는 욕실 내 구석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치 위치에 제약이 있다. 뿐만 아니라, 수분이 센서 내로 침투한 경우, 센서를 구성하는 내부 회로가 망가지고 이에 따라 센서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nsor installed in the conventional bathroom is not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prevent moisture penetration, it must be installed in a corner in the bathroom where water does not splash, so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installation location. In addition, when moisture penetrates into the sensor, the internal circuit constituting the sensor is damaged, and thus the lifespan of the sensor is shortened.

이에 더하여, 사용자는 온도, 습도 및 오염물질의 농도를 파악하기 위해 각 센서가 설치된 위치에서 센서에 표시된 측정값을 읽어야 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센서의 측정값을 원격에서 파악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욕실 내 환경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직접 센서의 측정값을 확인하지 않는 한, 사용자는 욕실 내 환경의 이상 여부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user must read the measured values displayed on the sensors at the locations where each sensor is installed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oncentration of contaminants. In other words, the user cannot remotely grasp the sensor measurement value, and accordingly, even if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bathroom environment, unless the user directly checks the sensor measurement value,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the bathroom environment is abnormal. There is an impossible problem.

한편, 종래의 센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적으로 측정 작업을 수행할 뿐, 통신을 통해 원격에서 제어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욕실 내 센서에 대한 제어의 효율성 및 편의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sensor only passively performs a measurement operation by a user's operation, and is not remotely controlled through communication. Accordingly,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controlling the sensor in the bathroom is low.

본 발명은 욕실의 온도, 습도 및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욕실용 환경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 the bathroom, and displays this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외부전원 또는 내부 배터리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욕실용 환경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ironmental sensor for a bathroom selectively driven by an external power source or an internal battery.

또한, 본 발명은 장치 내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욕실용 환경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ironmental sensor for a bathroom that prevents moisture penetration into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온도, 습도 및 오염물질의 농도가 표시되는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욕실용 환경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that can change the angle at which temperature, humidity, and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are displayed.

또한, 본 발명은 원격에서 관리 및 제어되는 욕실용 환경 센서 및 이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ironmental sensor for a bathroom that is managed and controlled remotely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온도, 습도 및 미리 설정된 화학물질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측정 모듈과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욕실의 온도, 습도 및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easurement module for measuring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and a concentration of a preset chemical substance and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the values measured in the measurement module, thereby measuring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 the bathroom, You can display this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와 결합됨으로써 외부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욕실 내부 벽면에 부착되는 부착 부재와 결합됨으로써 내부 배터리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riven by an external power source by being coupled with a plug inserted into an outlet, and can be driven by an internal battery by being coupled with an attachment member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bathroom.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을 통해 온도, 습도 및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장치 내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penetration of moisture into the device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oncentration of contaminants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후면을 향해 경사진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온도, 습도 및 오염물질의 농도가 표시되는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angle at which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the concentration of contaminants are displayed by providing the display module inclined toward the rear of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알림 신호를 송신하거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과, 제어 신호에 따라 측정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및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원격에서 관리 및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tely managed by hav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to a user terminal 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module, a display module, and a battery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controlled.

본 발명은 욕실의 온도, 습도 및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욕실 내 환경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mprehensively grasping the environment in the bathroom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 the bathroom and displaying them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외부전원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장치의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내부 배터리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설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device can be stably driven by being driven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can be variously changed by being driven by an internal battery.

또한, 본 발명은 장치 내 수분 침투를 방지함으로써, 장치를 구성하는 내부 회로를 보호할 수 있고 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protect the internal circuit constituting the device by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moisture into the device and improve the lifespan of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온도, 습도 및 오염물질의 농도가 표시되는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표시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ecuring the user's view of the displayed information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by changing the angle at which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the concentration of contaminants are displayed.

또한, 본 발명은 원격에서 관리 및 제어됨으로써, 욕실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정상적인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quickly identifying and responding to abnormal situations that may occur in the bathroom by being managed and controlled remotely.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환경 센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욕실용 환경 센서의 하우징의 개략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착탈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플러그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욕실용 환경 센서의 하면에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이 하우징의 후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환경 센서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부착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욕실용 환경 센서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욕실용 환경 센서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n environmental sensor for a bath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view of the housing of the environmental sensor for the bathroom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detachable port shown in Figure 3;
Fig. 5 shows the plug shown in Fig. 2;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shown in Figure 1;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shown in FIG. 1 is inclin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of an environmental sensor for a bathroo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attachment member shown in Fig. 9;
11 is a view showing a control flow of the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12 is a view showing a control system including an environmental sensor for a bathroom.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환경 센서(1) 및 이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environmental sensor 1 for bath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환경 센서(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욕실용 환경 센서(1)의 하우징(10)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착탈구(11)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플러그(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욕실용 환경 센서(1)의 하면에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30)이 하우징(10)의 후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environmental sensor 1 for a bath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the housing 10 of the environmental sensor 1 for a bathroom shown in FIG. 1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detachable tool 11 shown in FIG. 3 , and FIG. 5 is a view showing the plug 20 shown in FIG. 2 .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nvironmental sensor 1 for bathroom shown in FIG. It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formed inclined toward the.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환경 센서(1)는 플러그(20)가 결합되는 하우징(10), 측정 모듈(미도시, 4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욕실용 환경 센서(1)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1 to 2, the bathroom environmental sens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10 to which the plug 20 is coupled, a measurement module (not shown, 40) and a display module 30 ) may be included. The environmental sensor 1 for bathroom shown in Figs. 1 and 2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its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and as necessary, some components are It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우징(10)은 플러그(20)가 결합되는 착탈구(11)를 구비할 수 있다.3 to 5 , the housing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tachable hole 11 to which the plug 20 is coupl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하우징(10)은 각 모서리가 곡면인 직육면체 형상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플러그(20)를 결합할 수 있는 착탈구(11)가 구비된 임의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은 윗면 또는 아랫면에 착탈구(11)가 구비된 원통 형상 또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0 shown in FIGS. 1 to 3 is express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which each corner is a curved surface, but may be configured in any shape provided with an attachment/detachment port 11 capable of coupling the plug 20. . For example, the housing 10 may be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or a polygonal pole shape provided with a detachable hole 11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도 4를 참조하면, 플러그(20)가 결합되는 착탈구(11)는 체결홈(11a, 11b) 및 접속홈(11c, 11d)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홈(11a, 11b)은 하우징(10)과 플러그(20)를 체결하기 위해 형성된 홈일 수 있고, 접속홈(11c, 11d)은 후술하는 측정 모듈(4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30)과 플러그(2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형성된 홈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attachment/detachment hole 11 to which the plug 20 is coupled may include fastening grooves 11a and 11b and connection grooves 11c and 11d. The fastening grooves 11a and 11b may be grooves formed for fastening the housing 10 and the plug 20, and the connecting grooves 11c and 11d are the measuring module 40 or the display module 30 and the plug ( 20) may be a groove formed to electrically connect.

여기서, 플러그(20)는 전자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배선 기구의 일종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에 접속된 플러그(20)가 콘센트에 삽입되면, 전원은 전자 디바이스로 공급될 수 있다.Here, the plug 20 may be a kind of electrical wiring mechanism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plug 20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is inserted into the outlet,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착탈구(11)는, 착탈구(11)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각각 제1 간격(L1)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체결홈(11a) 및 제2 체결홈(11b)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ure 4, the detachable orifice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fastening groove 11a and It may include a second fastening groove (11b).

각각의 체결홈(11a, 11b)은 일정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체결홈(11a, 11b)은 착탈구(11)의 중심점(C)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이 제1 간격(L1)인 일정 길이의 호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fastening grooves 11a and 11b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ccordingly, each of the fastening grooves (11a, 11b)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 of a certain length with a radius of the first interval (L1) centered on the central point (C) of the detachable hole (11).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체결홈(11a, 11b)을 구성하는 일단은 각 체결홈(11a, 11b)을 구성하는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체결홈(11a, 11b)을 구성하는 일단이 제1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체결홈(11a, 11b) 중에서 일단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 one end constituting each of the fastening grooves 11a and 11b may be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other portions constituting the respective fastening grooves 11a and 11b. In other words, when one end constituting the fastening grooves 11a and 11b is formed to have a first thickness, other portions of the fastening grooves 11a and 11b except for one end may be formed to have a second thickness thinner than the first thickness.

또한, 본 발명의 제1 체결홈(11a)과 제2 체결홈(11b)은 착탈구(11)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대칭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a)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1b)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int (C) of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hole (11).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제2 체결홈(11b)은 제1 체결홈(11a)에 대해 착탈구(11)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점대칭(point symmetry)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제1 체결홈(11a)의 일단은, 제2 체결홈(11b)의 일단에 대해 착탈구(11)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4 ,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1b may be formed with point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a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int C of the attaching and detaching tool 11 . For example, one end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a shown in FIG. 4 may be formed point-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one end of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1b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int C of the detachable opening 11. .

도 4에 도시된 체결홈(11a, 11b)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체결홈(11a, 11b)은, 일단이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중심이 착탈구(11)의 중심점(C)이고 반지름이 제1 간격(L1)인 호의 모양을 갖는 다양한 실시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grooves 11a and 11b shown in FIG. 4 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ly, the fastening grooves (11a, 11b)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formed thicker than the other parts, the center is the center point (C) of the detachable port 11, and the radius is the first interval (L1) having an arc shape It may be formed in various embodiments.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착탈구(11)는, 착탈구(11)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각각 제2 간격(L2)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접속홈(11c) 및 제2 접속홈(11d)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ure 4, the detachable port 1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on groove (11c)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by a second interval (L2), respectively, based on the center point (C) of the detachable port (11) It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groove (11d).

각각의 접속홈(11c, 11d) 또한 일정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접속홈(11c, 11d)은 착탈구(11)의 중심점(C)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이 제2 간격(L2)인 일정 길이의 호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connection grooves 11c and 11d may als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ccordingly, each of the connection grooves (11c, 11d)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 of a certain length with a radius of the second interval (L2) centered on the central point (C) of the detachable hole (11).

도 4에서는 접속홈(11c, 11d)이 착탈구(11)의 중심점(C)으로부터 이격된 제2 간격(L2)이, 체결홈(11a, 11b)이 착탈구(11)의 중심점(C)으로부터 이격된 제1 간격(L1)보다 작게 도시되어 있으나, 설계상의 변경에 따라 제2 간격(L2)은 제1 간격(L1)보다 클 수도 있다.In Figure 4, the connection groove (11c, 11d) is a second interval (L2)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point (C) of the detachable port 11, the fastening groove (11a, 11b) is the center point (C) of the detachable port 11 Although shown to be smaller than the first interval L1 spaced from the , the second interval L2 may be larger than the first interval L1 according to a design change.

각각의 접속홈(11c, 11d)은 상술한 체결홈(11a, 11b)과 달리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접속홈(11c, 11d)의 두께는 접속단자(111, 112)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Each of the connection grooves 11c and 11d may be formed to have a constant thickness unlike the aforementioned fastening grooves 11a and 11b.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grooves 11c and 11d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terminals 111 and 112 .

접속단자(111, 112)는 후술하는 측정 모듈(4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과, 후술하는 플러그(20)의 접속돌기(20c, 20d)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단자이다. 이에 따라, 접속단자(111, 112)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s 111 and 112 are terminal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measurement module 40 and the display module 3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s 20c and 20d of the plug 20 to be described later. . Accordingly, the connection terminals 111 and 112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본 발명의 제1 접속홈(11c)과 제2 접속홈(11d) 또한 착탈구(11)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대칭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제2 접속홈(11d)은 제1 접속홈(11c)에 대해 착탈구(11)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groove 11c and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11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C of the attachment/detachment hole 11 .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4 ,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11d may be formed point-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on groove 11c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int C of the detachable hole 11 .

도 4에 도시된 접속홈(11c, 11d)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접속홈(11c, 11d)은, 중심이 착탈구(11)의 중심점(C)이고 반지름이 제2 간격(L2)인 호의 모양을 갖는 다양한 실시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grooves 11c and 11d shown in FIG. 4 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ly, the connection grooves 11c and 11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various embodiments having an arc shape having a center point C of the detachable hole 11 and a radius of the second interval L2.

한편, 착탈구(11)의 중심점(C)에 대한 체결홈(11a, 11b)의 형성 각도와, 착탈구(11)의 중심점(C)에 대한 접속홈(11c, 11d)의 형성 각도는 동일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ngle of formation of the fastening grooves (11a, 11b)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int (C) of the removable (11) and the formation angle of the connection grooves (11c, 11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int (C) of the removable (11) are the same can do.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제1 체결홈(11a)의 양단을 착탈구(11)의 중심점(C)과 잇는 두 직선 사이의 각도와, 제1 접속홈(11c)의 양단을 착탈구(11)의 중심점(C)과 잇는 두 직선 사이의 각도는 동일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ure 4, the angle between the two straight lines connecting both ends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a) with the center point (C) of the detachable port 11, and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ion groove (11c) to the detachable port The angle between the center point (C) of (11) and the two straight lines may be the same.

도 5를 참조하면, 플러그(20)는 체결돌기(20a, 20b) 및 접속돌기(20c, 20d)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돌기(20a, 20b)는 플러그(20)가 상술한 착탈구(11)와 체결되기 위해 형성된 돌기일 수 있고, 접속돌기(20c, 20d)는 플러그(20)가 상술한 접속단자(111, 1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해 형성된 돌기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plug 20 may include fastening protrusions 20a and 20b and connecting protrusions 20c and 20d. The fastening protrusions 20a and 20b may be protrusions formed so that the plug 20 is fastened to the above-described attachment and detachment hole 11,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s 20c and 20d are the connecting terminals 111 and 111 of the plug 20 described above. 112) may be a projection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플러그(20)의 체결돌기(20a, 20b)는 플러그(20)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각각 제1 간격(L1)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체결돌기(20a) 및 제2 체결돌기(2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돌기(20a, 20b)가 플러그(20)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이격된 거리인 제1 간격(L1)은 도 4에 도시된 제1 간격(L1)과 동일할 수 있다.The fastening protrusions 20a and 20b of the plug 20 are respective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first interval L1 based on the central point C' of the plug 20 and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s 20a and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20b) may be included. Here, the first interval L1, which is a distance at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s 20a and 20b are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point C' of the plug 20,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interval L1 illustrated in FIG. 4 . .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돌기(20a, 20b)의 상단부는 체결돌기(20a, 20b)의 하단부보다 두꺼울 수 있다. 다시 말해, 체결돌기(20a, 20b)의 상단부가 제1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체결돌기(20a, 20b)의 하단부는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 upper ends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20a and 20b may be thicker than lower ends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20a and 20b. In other words, when the upper ends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20a and 20b are formed to have a first thickness, the lower ends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20a and 20b may be formed to have a second thickness that is thinner than the first thickness.

이 때, 제1 두께는 도 4에 도시된 체결홈(11a, 11b)의 일단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고, 제2 두께는 도 4에 도시된 체결홈(11a, 11b) 중 일단을 제외한 다른 부분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thickness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one end of the fastening grooves 11a and 11b shown in FIG. 4 , and the second thickness is different from the one end of the fastening grooves 11a and 11b shown in FIG. It may be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part.

도 5에 도시된 체결돌기(20a, 20b)는 일 예시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체결돌기(20a, 20b)는 상단부가 하단부보다 두꺼운 다양한 실시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protrusions 20a and 20b shown in FIG. 5 are according to an example. Accordingly, the fastening protrusions 20a and 20b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various embodiments where the upper end is thicker than the lower end.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플러그(20)의 접속돌기(20c, 20d)는 플러그(20)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각각 제2 간격(L2)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접속돌기(20c) 및 제2 접속돌기(20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돌기(20c, 20d)가 착탈구(11)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이격된 거리인 제2 간격(L2)은 도 4에 도시된 제2 간격(L2)과 동일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5 , the connecting protrusions 20c and 20d of the plug 20 are first connecting protrusions ( 20c) and a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20d. Here, the second interval L2, which is a distance at which the connection protrusions 20c and 20d ar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point C of the attachment/detachment hole 11, may be the same as the second interval L2 illustrated in FIG. 4 .

각각의 접속돌기(20c, 20d)는 플러그(20)를 구성하는 각각의 핀(21a, 21b)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접속돌기(20c) 및 제2 접속돌기(20d)는, 220V 상용 전원 콘센트에 대응하는 플러그(20)의 제1 핀(21a) 및 제2 핀(22a)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Each of the connecting protrusions 20c and 20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ins 21a and 21b constituting the plug 20 .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20c and the second connecting protrusion 20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in 21a and the second pin 22a of the plug 20 corresponding to the 220V commercial power outlet. can be

이를 위해, 각각의 접속돌기(20c, 20d)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20)를 구성하는 핀(21a, 22a)이 콘센트에 삽입되면, 콘센트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이 접속돌기(20c, 20d)에 인가될 수 있다.To this end, each of the connecting protrusions 20c and 20d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ccordingly, when the pins 21a and 22a constituting the plug 20 are inserted into the outlet, the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outlet may be applied to the connection protrusions 20c and 20d.

한편, 각각의 체결돌기(20a, 20b) 및 각각의 접속돌기(20c, 20d)는 플러그(20)의 중심점(C')에 대칭일 수 있고, 플러그(20)가 착탈구(11)에 결합되는 경우 플러그(20)의 중심점(C')은 착탈구(11)의 중심점(C)과 일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20)가 착탈구(11)에 결합되는 경우, 각각의 체결돌기(20a, 20b) 및 각각의 접속돌기(20c, 20d)는 착탈구(11)의 중심점(C)에 대칭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20a, 20b and each of the connecting protrusions 20c and 20d may be symmetrical to the central point C' of the plug 20, and the plug 20 is coupled to the attachment/detachment hole 11. If the center point (C ') of the plug 20 may be coincident with the center point (C) of the removable (11). Accordingly, when the plug 20 is coupled to the detachable port 11, each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20a, 20b and each of the connecting protrusions 20c, 20d is symmetrical to the central point C of the detachable port 11. can be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플러그(20)가 착탈구(11)에 결합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plug 20 is coupled to the detachable port 1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체결돌기(20a) 및 제2 체결돌기(20b)는 각각 제1 체결홈(11a) 및 제2 체결홈(11b)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돌기(20c) 및 제2 접속돌기(20d)는 각각 제1 접속홈(11c) 및 제2 접속홈(11d)에 결합될 수 있다.4 and 5 ,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20a a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20b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a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1b, respectively. Also,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20c and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20d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groove 11c and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11d, respectively.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체결돌기(20a)의 상단부의 두께는 제1 체결홈(11a)의 일단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체결돌기(20a)를 제1 체결홈(11a)의 일단에 삽입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hickness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20a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one end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a. Accordingly, the user can insert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20a into one end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a.

각각의 체결돌기(20a, 20b) 및 각각의 체결홈(11a, 11b)은 착탈구(11)의 중심점(C)에 대칭이므로, 제1 체결돌기(20a)가 제1 체결홈(11a)의 일단에 삽입되면, 제2 체결돌기(20b) 또한 제2 체결홈(11b)의 일단에 삽입될 수 있다.Since each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20a, 20b and each of the fastening grooves 11a, 11b is symmetrical to the central point C of the attaching and detaching tool 11,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20a is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a. When inserted into one e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20b may also b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1b.

또한, 제1 체결돌기(20a)가 제1 체결홈(11a)의 일단에 삽입되면, 제1 접속돌기(20c)는 제1 접속홈(11c)의 일단에 삽입될 수 있다.Also, when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20a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a,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20c may b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groove 11c.

각각의 접속돌기(20c, 20d) 및 각각의 접속홈(11c, 11d) 또한 착탈구(11)의 중심점(C)에 대칭이므로, 제1 접속돌기(20c)가 제1 접속홈(11c)의 일단에 삽입되면, 제2 접속돌기(20d) 또한 제2 접속홈(11d)의 일단에 삽입될 수 있다.Since each of the connecting protrusions 20c and 20d and each of the connecting grooves 11c and 11d is also symmetrical to the central point C of the attaching and detaching hole 11,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20c is the first connecting groove 11c. When inserted into one end, the second connecting protrusion 20d may also b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11d.

다시 말해, 사용자가 제1 체결돌기(20a)를 제1 체결홈(11a)의 일단에 삽입하면, 제2 체결돌기(20b), 제1 접속돌기(20c) 및 제2 접속돌기(20d)는 각각 제2 체결홈(11b), 제1 접속홈(11c) 및 제2 접속홈(11d)에 삽입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inserts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20a into one end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a,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20b,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20c and the second connecting protrusion 20d are It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1b, the first connection groove 11c, and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11d, respectively.

플러그(20)의 각 돌기(20a, 20b, 20c, 20d)가 착탈구(11)의 각 홈(11a, 11b, 11c, 11d)에 삽입되면, 사용자는 플러그(20)를 시계방향, 다시 말해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돌기(20a, 20b, 20c, 20d)는 각 홈(11a, 11b, 11c, 11d)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respective projections 20a, 20b, 20c, 20d of the plug 20 ar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grooves 11a, 11b, 11c, 11d of the detachable opening 11, the user turns the plug 20 clockwise, that is, It can b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4 . Accordingly, each of the protrusions 20a, 20b, 20c, and 20d can move from one end of each of the grooves 11a, 11b, 11c, and 11d to the other end.

각 체결돌기(20a, 20b)의 상단부는 하단부보다 두꺼우므로, 체결돌기(20a, 20b)가 체결홈(11a, 11b)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면 플러그(20)는 착탈구(11)에 의해 하우징(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체결돌기(20a, 20b)가 체결홈(11a, 11b)의 타단으로 이동하게 되면, 체결돌기(20a, 20b)를 다시 체결홈(11a, 11b)의 일단으로 이동시키기 않는 한 플러그(20)는 하우징(10)과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Since the upper end of each fastening protrusion 20a, 20b is thicker than the lower end,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 20a, 20b moves from one end of the fastening groove 11a, 11b to the other end, the plug 20 is attached and detached by the It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10 . In other words,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s 20a and 20b move to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grooves 11a and 11b, the plug ( 20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 .

체결돌기(20a, 20b)가 체결홈(11a, 11b)의 타단으로 완전히 이동하면, 플러그(20)는 접속돌기(20c, 20d)를 통해 외부전원을 측정 모듈(4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할 수 있다.When the fastening protrusions 20a and 20b completely move to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grooves 11a and 11b, the plug 20 receives external power through the connecting protrusions 20c and 20d to the measurement module 40 and the display module 30. at least one of them can be suppli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접속단자(111, 112)는 제1 접속돌기(20c) 및 제2 접속돌기(20d)와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하는 제1 접속단자(111) 및 제2 접속단자(112)로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4 , the connection terminals 111 and 112 are a first connection terminal 111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20c and the second connection projection 20d, respectively. (112).

상술한 바와 같이, 착탈구(11)의 중심점(C)에 대한 체결홈(11a, 11b)의 형성 각도와, 착탈구(11)의 중심점(C)에 대한 접속홈(11c, 11d)의 형성 각도는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돌기(20a, 20b)가 체결홈(11a, 11b)의 타단으로 완전히 이동하면, 제1 접속돌기(20c) 및 제2 접속돌기(20d)는 각각 제1 접속단자(111) 및 제2 접속단자(112)와 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ngle of formation of the fastening grooves (11a, 11b)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int (C) of the removable (11), and the formation of the connection grooves (11c, 11d) for the central point (C) of the removable (11) The angles may be the same. Accordingly,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s 20a and 20b are completely moved to the other ends of the fastening grooves 11a and 11b,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s 20c and the second connecting protrusions 20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s 111 and It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12 .

접속돌기(20c, 20d) 및 접속단자(111, 112)는 모두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접속돌기(20c, 20d)는 플러그(20)를 구성하는 각각의 핀(21a, 22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플러그(20)가 콘센트에 삽입되면 콘센트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이 핀(21a, 22a)과 접속돌기(20c, 20d)를 통해 접속단자(111, 112)에 인가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rotrusions 20c and 20d and the connecting terminals 111 and 112 are all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s 20c and 20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spective pins 21a and 22a constituting the plug 20 . Therefore, when the plug 20 is inserted into the outlet, the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outlet may be applied to the connecting terminals 111 and 112 through the pins 21a and 22a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s 20c and 20d.

이에 따라, 플러그(20)는 콘센트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후술하는 측정 모듈(4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lug 20 may supply external power supplied through the outlet to at least one of the measurement module 40 and the display module 30 to be described lat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전원에 의해 장치를 구동함으로써, 장치의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riving the device by an external power source, stable driving of the device is possible.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플러그(20)는 220V 상용 전원 콘센트에 대응하는 형태로 표현되어 있으나, 플러그(20)는 콘센트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plug 20 shown in FIGS. 1, 2 and 5 is express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a 220V commercial power outlet, the plug 2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outlet.

본 발명의 측정 모듈(4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고, 하우징(10)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을 통해 온도, 습도 및 미리 설정된 화학물질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의 측정 모듈(40)은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화학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modul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and can measure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and a preset concentration of a chemical substance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 Accordingly, the measurement modul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among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 chemical sensor.

본원 발명의 측정 모듈(40)은 하우징(10) 외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내의 특정 화학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The measurement modul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su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ir introduced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a specific chemical i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측정 모듈(40)이 화학센서일 때, 화학센서가 감지하는 미리 설정된 화학 물질은, 욕실용 환경 센서(1)가 설치된 실내(예를 들어, 욕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염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 메탄(CH4) 등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measurement module 40 is a chemical sensor, the preset chemical substance detected by the chemical sensor may include contaminants that may occur in a room (eg, a bathroom) in which the environmental sensor 1 for bathroom is installed. , for example, ammonia (NH 3 ), hydrogen sulfide (H 2 S), methane (CH 4 ), and the like.

복수개의 홀은 온도 측정을 위한 홀, 습도 측정을 위한 홀 및 화학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홀로 분리되고, 각각의 홀은 하우징(10)의 외면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oles are separated into a hole for temperature measurement, a hole for humidity measurement, and a hole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hemical substances, and each hole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

이 때,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화학센서는 각각 온도 측정을 위한 홀, 습도 측정을 위한 홀 및 화학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홀에 인접한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emperature sensor, the humidity sensor, and the chemical sensor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adjacent to the hole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the hole for measuring the humidity, and the hole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chemical, respectively.

이와 달리, 복수개의 홀은 하우징(10)의 외면에 밀집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화학센서가 밀집 형성된 복수개의 홀에 인접한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holes may be dense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sensor, the humidity sensor, and the chemical sensor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holes densely formed.

도 6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홀은 하우징(1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복수개의 홀(61, 62)은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 홀(61) 및 화학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 홀(62)로 구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 In FIG. 6 , the plurality of holes 61 and 62 may be divided into a first hole 61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ir and a second hole 62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 chemical substance.

제1 홀(61)에 인접한 하우징(10) 내부에는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홀(61)에 인접한 하우징(10) 내부에는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온습도센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홀(62)에 인접한 하우징(10) 내부에는 화학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adjacent to the first hole 61 . In addition,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capable of simultaneously measuring temperature and humidity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adjacent to the first hole 61 . Meanwhile, a chemical sensor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adjacent to the second hole 62 .

이에 따라, 온도 센서 및 습도센서는 제1 홀(61)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고, 화학센서는 제2 홀(62)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화학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humidity sensor may measu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indoor air flowing into the first hole 61 , and the chemical sensor may measu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indoor air flowing into the second hole 62 . concentration can be measur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개의 홀(61, 62)을 하우징(10)의 하면에 형성함으로써 장치 내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치를 구성하는 내부 회로를 보호할 수 있고 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holes 61 and 62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moisture penetration into the device can be prevented, and thus, the internal circuit constituting the device can be protect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lifespan of the device.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모듈(30)은 하우징(10)의 전면에 배치되어 측정 모듈(40)에서 측정된 값을 표시할 수 있다.1 and 6 , the display modul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0 to display a valu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module 40 .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30)은 하우징(10)의 전면에 장착되어, 온도, 습도 및 미리 설정된 화학물질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30)은 온도를 oC 단위로 나타낼 수 있고, 습도를 %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isplay module 30 may be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to display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and a preset concentration of a chemical substance. For example, the display module 30 may represent the temperature in units of o C and may represent the humidity in units of %.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30)은 온도 및 습도를 4 디지트 - 7 세그먼트(4 digit - 7 segment)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 , the display module 30 may express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form of 4 digits - 7 segments.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30)에는 7개의 세그먼트로 표현되는 4개의 숫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모듈(30) 상단에 도시된 두 개의 숫자는 온도를 나타낼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30) 하단에 도시된 두 개의 숫자는 습도를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display module 30 may display four numbers represented by seven segments. In this case, two numbers shown at the top of the display module 30 may represent temperature, and two numbers shown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module 30 may represent humidity.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모듈(30)은 화학물질의 농도를 % 단위로 나타낼 수 있고, 화학물질의 농도에 따른 텍스트, 색상 등을 더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display module 30 may indicate the concentration of the chemical in percent units, and may further display text, color, etc.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hemical.

예를 들어, 화학물질의 농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 농도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모듈(30)은 "정상"으로 표현되는 텍스트 또는 녹색의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화학물질의 농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 농도 이상이면 디스플레이 모듈(30)은 "나쁨"으로 표현되는 텍스트 또는 적색의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oncentration of the chemical is less than the reference concentration set by the user, the display module 30 may display text expressed as “normal” or a green color.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chemic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oncentration set by the user, the display module 30 may display text expressed as “bad” or a red colo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욕실의 온도, 습도 및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욕실 내 환경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comprehensively grasping the environment in the bathroom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 the bathroom and displaying them to the user.

본 발명의 하우징(10)의 전면은 하우징(10)의 후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모듈(30)은 경사진 하우징(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in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 , and the display module 3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clined housing 10 .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우징(10)의 전면은 그 상단부가 하우징(10)의 후면을 향해 각도 a만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전면이 경사지는 각도는 사용자가 하우징(10)의 전면을 조작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so that its upper end is inclined by an angle a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 . The angle at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is inclined may be changed by a user manipula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우징(10) 전면의 상단부를 하우징(10)의 후면을 향해 밀면 하우징(10) 전면이 경사지는 각도는 a보다 커질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하우징(10) 전면의 하단부를 하우징(10)의 후면을 향해 밀면 하우징(10) 전면이 경사지는 각도는 a보다 작아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pushes the upper end of the front of the housing 10 toward the rear of the housing 10 , the angle at which the front of the housing 10 is inclined may be greater than a.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ushes the lower end of the front of the housing 10 toward the rear of the housing 10 , the angle at which the front of the housing 10 is inclined may be smaller than a.

도 7에 도시된 바와 달리 하우징(10)의 전면은 그 하단부가 하우징(10)의 후면을 향해 각도 b만큼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Unlike FIG. 7 ,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inclined by an angle b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 .

이 경우, 사용자가 하우징(10) 전면의 하단부를 하우징(10)의 후면을 향해 밀면 하우징(10) 전면이 경사지는 각도는 b보다 커질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하우징(10) 전면의 상단부를 하우징(10)의 후면을 향해 밀면 하우징(10) 전면이 경사지는 각도는 b보다 작아질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pushes the lower end of the front of the housing 10 toward the rear of the housing 10 , the angle at which the front of the housing 10 is inclined may be greater than b.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ushes the upper end of the front of the housing 10 toward the rear of the housing 10 , the angle at which the front of the housing 10 is inclined may be smaller than b.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10)의 전면을 하우징(10)의 후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욕실용 환경 센서(1)가 설치된 위치에 관계없이 욕실용 환경 센서(1)가 표시하는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to be inclin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 regardless of the location where the environmental sensor 1 for the bathroom is installed, the There is an effect of securing the user's view of the information.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환경 센서(2) 및 이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environmental sensor 2 for bathroo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환경 센서(2)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부착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environmental sensor 2 for a bathroo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attachment member shown in FIG.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환경 센서(2)는 착탈구를 구비하는 하우징(10'),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 50) 및 측정 모듈(미도시, 40')과 디스플레이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8 and 9, the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10') having a detachable port, a battery (not shown) provided in the housing (10') , 50) and a measurement module (not shown, 40') and a display module 30'.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하우징(10')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하우징(10)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 또한 도 4에 도시된 착탈구(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10 ′ illustrated in FIGS. 8 and 9 may be the same as the housing 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Accordingly, the housing 1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clude the attachment/detachment hole 11 shown in FIG. 4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의 착탈구가 도 4에 도시된 착탈구(11)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detachable port 11 of the housing 1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etachable port 11 shown in FIG. 4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환경 센서(2)는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50)는 충방전이 가능한 충전지일 수 있다.The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ttery 50 provided in the housing 10'. Here, the battery 50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정 모듈(40')의 동작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측정 모듈(40)의 동작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정 모듈(40')은 상술한 배터리(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measurement module 4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measurement module 4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However, the measurement module 4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above-described battery 50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30')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 모듈(30)의 구성 및 동작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30')은 상술한 배터리(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isplay module 3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isplay module 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6 . However, the display module 3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above-described battery 50 .

다시 말해,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측정 모듈(4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은 플러그(20)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반면에,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측정 모듈(4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은 배터리(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ile the measurement module 40 and the display module 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6 are driven by external power supplied through the plug 20 , the measurement modul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40 ′ and the display module 30 ′ may be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50 .

측정 모듈(4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은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구동될 수 있다. 배터리(50)에 저장된 전압은 직류 전압이므로, 이 경우에는 배터리(50)에 저장된 전압이 측정 모듈(4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직접 인가될 수 있다.The measurement module 40' and the display module 30' may be driven by receiving a DC voltage. Since the voltage stored in the battery 50 is a DC voltage, in this case, the voltage stored in the battery 50 may be directly applied to the measurement module 40 ′ and the display module 30 ′.

다만, 측정 모듈(40')과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정격전압은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배터리(50)에 저장된 전압은 DC/DC 컨버터에 의해 승압 또는 강압되어 측정 모듈(4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인가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rated voltages of the measurement module 40 ′ and the display module 30 ′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voltage stored in the battery 50 is boosted or stepped down by the DC/DC converter to form the measurement module 40 ′ and the display module 40 ′. may be applied to the module 30'.

이와 달리, 측정 모듈(4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은 교류 전압을 인가받아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배터리(50)에 저장된 전압은 DC/AC 컨버터에 의해 교류 전압으로 변환되어 측정 모듈(4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인가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measurement module 40 ′ and the display module 30 ′ may be driven by receiving an AC voltage. In this case, the voltage stored in the battery 50 may be converted into an AC voltage by the DC/AC converter and applied to the measurement module 40 ′ and the display module 30 ′.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환경 센서(2) 또한 도 5에 도시된 플러그(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하우징(10')의 구조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하우징(1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구(11)에는 플러그(20)가 결합될 수 있다.However, the environmental sensor 2 for bathroo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combined with the plug 20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10 ′ shown in FIGS. 8 and 9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detachable port 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g 20 may be coupled thereto.

착탈구(11)에 플러그(20)가 결합되고 플러그(20)가 콘센트에 삽입되면, 배터리(50)는 플러그(20)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외부전원은 220V 상용 교류 전압일 수 있고, 플러그(20)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 전압은 AC/DC 컨버터에 의해 직류 전압으로 변환되어 배터리(50)를 충전시킬 수 있다.When the plug 20 is coupled to the detachable port 11 and the plug 20 is inserted into the outlet, the battery 50 may be charged by external power supplied through the plug 20 . The external power may be 220V commercial AC voltage, and the AC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plug 20 may be converted into a DC voltage by the AC/DC converter to charge the battery 50 .

이 때, 측정 모듈(4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은 플러그(20)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전원을 공급받지 않고 배터리(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measurement module 40 ′ and the display module 30 ′ can be driven by external power supplied through the plug 20 , and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50 without receiving external power. may be taken and driven.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정 모듈(4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은 하우징(10')에 결합된 플러그(20)가 콘센트에 삽입되더라도, 배터리(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measurement module 40' and the display module 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pplied from the battery 50 even when the plug 20 coupled to the housing 10' is inserted into the outlet. It can be driven by a power source.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구(11)는 부착 부재(70)와 결합될 수 있다.9 and 10 , the attachment/detachment hole 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the attachment member 70 .

도 10을 참조하면, 부착 부재(70)에는 착탈구(11)와 체결되기 위해 형성된 한쌍의 체결돌기(70a, 70b)가 형성될 수 있다. 부착 부재(70)의 체결돌기(70a, 70b)는 부착 부재(70)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각각 제1 간격(L1)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돌기(70a, 70b)가 부착 부재(70)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이격된 거리인 제1 간격(L1)은 도 4에 도시된 제1 간격(L1)과 동일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a pair of fastening protrusions 70a and 70b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hole 11 may be formed on the attachment member 70 . The fastening protrusions 70a and 70b of the attachment member 7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first interval L1 based on the central point C'' of the attachment member 70 . Here, the first interval L1, which is the distance at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s 70a and 70b ar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point C'' of the attachment member 70, is the same as the first interval L1 shown in FIG. can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체결돌기(70a, 70b)의 상단부는 각 체결돌기(70a, 70b)의 하단부보다 두꺼울 수 있다. 다시 말해, 체결돌기(70a, 70b)의 상단부가 제1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체결돌기(70a, 70b)의 하단부는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0 , the upper end of each fastening protrusion 70a and 70b may be thicker than the lower end of each fastening protrusion 70a and 70b. In other words, when the upper ends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70a and 70b are formed to have a first thickness, the lower ends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70a and 70b may be formed to have a second thickness that is thinner than the first thickness.

이 때, 제1 두께는 도 4에 도시된 체결홈(11a, 11b)의 일단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고, 제2 두께는 도 4에 도시된 체결홈(11a, 11b) 중 일단을 제외한 다른 부분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thickness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one end of the fastening grooves 11a and 11b shown in FIG. 4 , and the second thickness is different from the one end of the fastening grooves 11a and 11b shown in FIG. It may be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part.

도 10에 도시된 체결돌기(70a, 70b)는 일 예시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체결돌기(70a, 70b)는 상단부가 하단부보다 두꺼운 다양한 실시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protrusions 70a and 70b shown in FIG. 10 are according to an example. Accordingly, the fastening protrusions 70a and 70b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various embodiments where the upper end is thicker than the lower end.

한편, 각각의 체결돌기(70a, 70b)는 부착 부재(70)의 중심점(C'')에 대칭일 수 있고, 부착 부재(70)가 착탈구(11)에 결합되는 경우 부착 부재(70)의 중심점(C'')은 착탈구(11)의 중심점(C)과 일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 부재(70)가 착탈구(11)에 결합되는 경우, 각각의 체결돌기(70a, 70b)는 착탈구(11)의 중심점(C)에 대칭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70a and 70b may be symmetrical to the central point C '' of the attachment member 70, and when the attachment member 70 is coupled to the attachment/detachment hole 11, the attachment member 70 The center point (C '') of the may coincide with the center point (C) of the removable (11). Accordingly, when the attachment member 70 is coupled to the detachable hole 11 , each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70a and 70b may be symmetrical to the central point C of the detachable hole 11 .

부착 부재(70)의 체결돌기(70a, 70b)가 착탈구(11)의 체결홈(11a, 11b)에 결합되는 과정은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process in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s 70a and 70b of the attachment member 70 are coupled to the fastening grooves 11a and 11b of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hole 11 is the same as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 배터리(50)에 의해 구동되고, 부착 부재(70)에 의해 욕실 내 벽면 임의의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장치의 구동 중에도 설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by the internal battery 50 and installed at any position on the wall in the bathroom by the attachment member 70,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can be variously changed while the device is being driven. .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부착 부재(70)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져 욕실 내 거울이나 타일에 밀착되는 부재로 도시되어 있으나, 부착 부재(70)는 본 발명의 욕실용 환경 센서(2)를 실내 임의의 위치에 부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attachment member 70 shown in FIGS. 9 and 10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and is shown as a member in close contact with the mirror or tile in the bathroom, but the attachment member 70 is the bathroom environmental sensor 2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that can be attached to any position.

도 11은 욕실용 환경 센서(2)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욕실용 환경 센서(2)의 제어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11 :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ontrol flow of the environmental sensor 2 for bathrooms.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11 , a control process of the environmental sensor 2 for a bath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욕실용 환경 센서(1) 또한 도 11에 도시된 제어 흐름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1에서는 도 8에 도시된 욕실용 환경 센서(2)를 예로 들어, 그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For reference, the environmental sensor 1 for bathroom shown in FIG. 1 may also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flow shown in FIG. 11 .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FIG. 11 , the environmental sensor 2 for the bathroom shown in FIG. 8 will be taken as an example, and the control flow thereof will be described.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 모듈(80)은 측정 모듈(40')로부터 온도, 습도 및 미리 설정된 화학물질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측정값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측정값에 기초하여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control module 8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measurement value for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and a preset concentration of a chemical substance from the measurement module 40 ′, and based on the received measurement value A notification signal can be generated.

또한, 본 발명의 통신 모듈(90)은 제어 모듈(80)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알림 신호를 외부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Also, the communication module 9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a notification signal gen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80 to an external device.

여기서 외부 장치는 욕실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조명 장치,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정화 장치, 사용자 단말(1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는 IOT(Internet Of Things)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Here, 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a lighting device installed in the bathroom to emit light, an air purification device for purifying air, the user terminal 110 ,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an Internet server or a cloud server based on Internet of Things (IOT).

제어 모듈(80)은 측정 모듈(40')로부터 제공받는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 모듈(90)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80 may compare the measurement value provided from the measurement module 40 ′ with a preset reference range, and generate a notific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provide it to the communication module 90 .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80)은 온도센서(41)로부터 실내 온도 측정값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 모듈(80)은 측정된 온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예를 들어, 0oC ~ 40oC)와 비교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control module 80 may receive an indoor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41 . The control module 80 may compare the measured temperature with a preset reference range (eg, 0 o C to 40 o C).

측정된 온도가 미리 0oC ~ 40oC 이내이면 제어 모듈(80)은 알림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측정된 온도가 0oC ~ 40oC 밖이면 제어 모듈(80)은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 모듈(90)에 제공할 수 있다.If the measured temperature is within 0 o C ~ 40 o C in advance, the control module 80 may not generate a notification signal. On the other hand,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is outside 0 o C ~ 40 o C, the control module 80 may generate a notification signal and provide it to the communication module 90 .

다른 예에서, 제어 모듈(80)은 화학센서(43)로부터 암모니아 농도 측정값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 모듈(80)은 측정된 암모니아 농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예를 들어, 0% ~ 1%)와 비교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control module 80 may receive the ammonia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from the chemical sensor 43 . The control module 80 may compare the measured ammonia concentration with a preset reference range (eg, 0% to 1%).

측정된 암모니아 농도가 0% ~ 1% 이내이면 제어 모듈(80)은 알림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측정된 암모니아 농도가 0% ~ 1% 밖이면 제어 모듈(80)은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 모듈(90)에 제공할 수 있다.If the measured ammonia concentration is within 0% to 1%, the control module 80 may not generate a notification signal. On the other hand, when the measured ammonia concentration is out of 0% to 1%, the control module 80 may generate a notification signal and provide it to the communication module 90 .

한편, 제어 모듈(80)은 배터리(50)의 전압을 측정하여 기준전압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trol module 80 may measure the voltage of the battery 50 and compare it with a reference voltage, and may generate a notification signal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구(11)에 부착 부재(70)가 결합된 경우, 조명 모듈(4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이 구동됨에 따라 욕실용 조명 장치(2)의 내부 배터리(50) 전압은 감소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when the attachment member 70 is coupled to the detachable port 11, the lighting module 40' and the display module 30' are driven as the lighting device for the bathroom (2) ) of the internal battery 50 may decrease.

이 때, 제어 모듈(80)은 배터리(50)의 전압을 측정하여 기준전압(예를 들어, 배터리 최대 충전 전압의 10%)과 비교할 수 있다. 측정된 배터리(50)의 전압이 10% 이상이면 제어 모듈(80)은 알림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측정된 배터리(50)의 전압이 10% 미만이면 제어 모듈(80)은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 모듈(90)에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module 80 may measure the voltage of the battery 50 and compare it with a reference voltage (eg, 10% of the maximum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When the measured voltage of the battery 50 is 10% or more, the control module 80 may not generate a notification signal. On the other hand, when the measured voltage of the battery 50 is less than 10%, the control module 80 may generate a notification signal and provide it to the communication module 90 .

본 발명의 통신 모듈(90)은 제어 모듈(80)의 제어에 따라 알림 신호를 외부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알림 신호는 상술한 측정값을 포함할 수 있고, 경고 메시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9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a notification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80 . The notification signal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measurement value, and may further include a warning message.

이러한 경고 메시지는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에 따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신호가 사용자 단말에 송신되면, 경고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Such a warning message may be output visually or audibly, depending on the device receiving the notification signal. For example, when the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e warning message may be visually output through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or may be output audibly through the speaker of the user terminal.

도 12는 욕실용 환경 센서(2)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100)을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system 100 including an environmental sensor 2 for a bathroom.

도 12에 도시된 욕실용 환경센서 제어 시스템(이하, 제어 시스템, 100)은 도 8에 도시된 욕실용 환경 센서(2) 외에도 도 1에 도시된 욕실용 환경 센서(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2에 도시된 제어 시스템(100)이 도 8에 도시된 욕실용 환경 센서(2)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The environmental sensor control system (hereinafter, control system, 100) for the bathroom shown in FIG. 12 may include the environmental sensor 1 for the bathroom shown in FIG. 1 in addition to the environmental sensor 2 for the bathroom shown in FIG. .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ntrol system 100 shown in FIG. 12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cluding the environmental sensor 2 for bathroom shown in FIG. 8 .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100)은 욕실용 환경 센서(2) 및 사용자 단말(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control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throom environment sensor 2 and a user terminal 110 .

제어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욕실용 환경 센서(2)는 욕실 내의 온도, 습도 및 미리 설정된 화학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표시할 수 있다.The environmental sensor 2 for bathroom constituting the control system 100 may measure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and preset chemicals in the bathroom, and may display the measured value.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2에 도시된 욕실용 환경 센서(2)는 도 8에 도시된 욕실용 환경 센서(2)와 동일한 바, 욕실용 환경 센서(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 1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욕실용 환경 센서(2)의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nvironmental sensor 2 for the bathroom shown in FIG. 12 is the same as the environmental sensor 2 for the bathroom shown in FIG. 8,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nvironmental sensor 2 for the bathroom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FIG. 12, some components of the environmental sensor 2 for the bathroom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한편,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를 욕실용 환경 센서(2)에 송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terminal 110 may receive an input from the user,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input to the bathroom environment sensor (2).

사용자 단말(110)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욕실용 환경 센서(2)에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욕실용 환경 센서(2)와 사용자 단말(110)은 IOT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 등을 공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은 인터넷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 등을 통해 욕실용 환경 센서(2)에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11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environmental sensor 2 for the bathroo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bathroom environment sensor 2 and the user terminal 110 may share an Internet server or a cloud server based on IOT, and the user terminal 110 is a bathroom environment through an Internet server or a cloud server, etc.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sensor 2 .

욕실용 환경 센서(2)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2) may be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욕실용 환경 센서(2)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통신 모듈(90) 및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30'), 측정 모듈(40') 및 배터리(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8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ure 12, the environmental sensor for the bathroom (2) accord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90 and the received control signal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110, the display module 30', the measurement module ( 40 ′) and a control module 80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battery 50 .

여기서 제1 통신 모듈(90) 및 제어 모듈(80)은 도 10에 도시된 통신 모듈(90) 및 제어 모듈(80)과 동일할 수 있다.Her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90 and the control module 80 may be the same as the communication module 90 and the control module 80 shown in FIG. 10 .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는 입력 모듈(210) 및 제공받은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를 욕실용 환경 센서(2)에 송신하는 제2 통신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10 may include an input module 210 that receives an input from the user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that transmi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input to the bathroom environment sensor 2 . .

입력 모듈(210)은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10)에서 지원하는 임의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The input module 210 may be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10 . The application may receive an input from the user through any input device supported by the user terminal 110 .

얘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의 터치패드, 음성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10 is a smart phone, the application may receive an input from the user through a touch pad of the smart phone, a voice sensor, or the like.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측정 모듈(4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을 구동하기 위한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은 배터리(50)와 측정 모듈(40') 또는 배터리(50)와 디스플레이 모듈(30')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입력일 수 있다.Here, the user input may be an input for driving the measurement module 40 ′ or the display module 30 ′. Also, the user input may be an input for cutting off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50 and the measurement module 40 ′ or the battery 50 and the display module 30 ′.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욕실용 환경 센서(2)가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는 화학센서(43)의 구동을 중지하기 위한 입력을 입력 모듈(210)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입력 모듈(210)은 제공받은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는 제2 통신 모듈(220)을 통해 욕실용 환경 센서(2)에 송신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nvironmental sensor 2 for bath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utdoors, the user may input an input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hemical sensor 43 through the input module 210 . The input module 21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input, and the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bathroom environment sensor 2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

욕실용 환경 센서(2)는 제1 통신 모듈(90)을 통해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에 따라 화학센서(43)의 구동을 중지할 수 있다.The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2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90 and stop driving of the chemical sensor 43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의 욕실용 환경 센서(2)의 배터리(50)가 방전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의 제2 통신 모듈(220)은 알람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는 배터리(50)의 전압값과 경고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when the battery 50 of the environmental sensor 2 for the bath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harge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of the user terminal 110 may receive an alarm signal, and the user uses the battery ( 50) voltage value and warning message.

이 때, 욕실용 환경 센서(2)의 측정 모듈(4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이 외부전원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는 배터리(50)와 측정 모듈(40') 및 배터리(50)와 디스플레이 모듈(30')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입력을 입력 모듈(210)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drive the measurement module 40' and the display module 30' of the environmental sensor 2 for the bathroom by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user uses the battery 50 and the measurement module 40' and the battery ( 50) and an input for cutting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display module 30 ′ may be input through the input module 210 .

입력 모듈(210)은 제공받은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를 제2 통신 모듈(220)을 통해 욕실용 환경 센서(2)에 송신할 수 있다.The input module 21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input,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bathroom environmental sensor 2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

욕실용 환경 센서(2)는 제1 통신 모듈(90)을 통해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에 따라 배터리(50)와 측정 모듈(40') 및 배터리(50)와 디스플레이 모듈(30')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 모듈(4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은 배터리(50)가 아닌 외부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The bathroom environment sensor 2 receives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90, an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 battery 50 and the measurement module 40' and the battery 50 and the display module 30' It can break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m. Accordingly, the measurement module 40 ′ and the display module 30 ′ may be driven by an external power source instead of the battery 50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격에서 관리 및 제어됨으로써, 욕실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정상적인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quickly identifying and responding to abnormal situations that may occur in the bathroom by being managed and controlled remotely.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Claims (15)

일면에 제1 및 제2 핀이 구비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의 타면과 결합하는 착탈구가 후면에 구비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을 통해 온도, 습도 및 미리 설정된 화학물질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측정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착탈구에는, 상기 착탈구의 중심점에서 제1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 체결홈과, 상기 착탈구의 중심점에서 제2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 접속홈과, 상기 제1 및 제2 접속홈 내에 배치되고 상기 측정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접속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타면에는, 상기 플러그의 중심점에서 상기 제1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 체결돌기와, 상기 플러그의 중심점에서 상기 제2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핀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접속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타면과 상기 착탈구의 결합 시, 상기 제1 및 제2 체결돌기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체결홈과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속돌기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접속홈과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접속돌기와 접속되는, 욕실용 환경 센서.
a plug having first and second pins on one surface;
a housing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plug with a detachable opening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lug; and
A measuring modul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measuring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and a preset concentration of a chemical substance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In the detachable port,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detachable port at a first interval, and first and second connection groove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detachable port at a second interval, and the first and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disposed in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module and the display module ar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lug, first and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plug by the first interval, and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plug by the second interv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in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rotrusions connected to the
When the other surface of the plug is coupled to the attachment/detachment hol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rotrusions, respectively, are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A bathroom environment sensor tha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rotrusion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홈과 상기 제2 체결홈은 상기 착탈구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되고,
상기 제1 접속홈과 상기 제2 접속홈은 상기 착탈구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욕실용 환경 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hole,
The first connection groove and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is a bathroom environment sensor that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홀은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되는 욕실용 환경 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holes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은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경사진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는 욕실용 환경 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of the housing is
It is formed inclin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the display module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inclined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모듈로부터 상기 온도, 습도 및 미리 설정된 화학물질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측정값을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측정값에 기초하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생성된 알림 신호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욕실용 환경 센서.
According to claim 1,
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a measurement value for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a preset concentration of a chemical substance from the measurement module, and to generate a notification signal based on the received measurement value; and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notification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측정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모듈에 제공하는 욕실용 환경 센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module is
An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that compares the measurement value provided from the measurement module with a preset reference range, generates the notific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provides it to the communication modu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공받은 측정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 밖인 경우, 상기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욕실용 환경 센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module is
When the received measurement value is outside the preset reference range, an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to generate the notification signal.
일면에 제1 및 제2 핀이 구비되는 플러그;
일면에 밀착 부재가 구비되는 부착 부재;
상기 플러그의 타면 또는 상기 부착 부재의 타면과 결합하는 착탈구가 후면에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을 통해 온도, 습도 및 미리 설정된 화학물질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측정 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착탈구에는, 상기 착탈구의 중심점에서 제1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 체결홈과, 상기 착탈구의 중심점에서 제2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 접속홈과, 상기 제1 및 제2 접속홈 내에 배치되고 상기 측정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접속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타면에는, 상기 플러그의 중심점에서 상기 제1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 체결돌기와, 상기 플러그의 중심점에서 상기 제2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핀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접속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타면과 상기 착탈구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체결돌기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체결홈과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속돌기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접속홈과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접속돌기와 접속되는, 욕실용 환경 센서.
a plug having first and second pins on one surface;
an attachment member provided with an adhesion member on one surface;
a housing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plug with a detachable opening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lug or the other surface of the attachment member;
a battery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 measurement modul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and measuring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and a preset concentration of a chemical substance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display modul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and displaying the valu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module;
In the detachable port,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detachable port at a first interval, and first and second connection groove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detachable port at a second interval, and the first and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disposed in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module and the display module ar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lug, first and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plug by the first interval, and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plug by the second interv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ins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rotrusions connected to
When the other surface of the plug and the detachable hole are coupled to each othe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rotrusion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is inserted and coupl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rojections, a bathroom environment sens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구가 상기 플러그의 타면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는 상기 플러그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욕실용 환경 센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detachable port is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lug, the battery is an environmental sensor for a bathroom that is charged by external power supplied through the plu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의 타면에는, 상기 부착 부재의 중심점에서 상기 제1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제3 및 제4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착탈구가 상기 플러그의 타면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3 및 제4 체결돌기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체결홈과 삽입 결합되고, 상기 측정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욕실용 환경 센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On the other surface of the attachment member, third and fourth fastening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attachment member by the first interval are formed;
When the detachable hole is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lug, each of the third and fourth fastening protrusions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and the measurement module and the display modul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An environmental sensor for the bathroom, which is powered by the batter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여 기준전압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알림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생성된 알림 신호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욕실용 환경 센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a control module measuring the voltage of the battery, comparing it with a reference voltage, and generating a notification signal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nd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the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control modul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notification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삭제delete
KR1020170051888A 2017-04-21 2017-04-21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and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same Active KR1023655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888A KR102365570B1 (en) 2017-04-21 2017-04-21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and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888A KR102365570B1 (en) 2017-04-21 2017-04-21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and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486A KR20180118486A (en) 2018-10-31
KR102365570B1 true KR102365570B1 (en) 2022-02-18

Family

ID=64099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888A Active KR102365570B1 (en) 2017-04-21 2017-04-21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and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570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207B1 (en) 2001-02-06 2003-09-03 김병준 Adapter with rotary plug
KR100481402B1 (en) 2002-08-13 2005-04-07 (주)아리테크 a cellular telephone charger
KR100517670B1 (en) 2002-04-26 2005-09-28 (주)바이오텔 Ultra-easy-to-use portable meter
JP3750995B2 (en) * 2001-11-22 2006-03-01 フィガロ技研株式会社 CO alarm device for bathroom
KR100649621B1 (en) 2005-06-24 2006-11-27 김한준 Plug devices for electrical appliances
JP2007280921A (en) * 2006-04-11 2007-10-25 Modern Sense Ltd Universal charger and/or power adaptor
JP2009176699A (en) 2007-12-27 2009-08-06 Churi:Kk Plug conversion adapter, and plug conversion adapter apparatus
JP2014020980A (en) 2012-07-20 2014-02-03 Sumitomo Electric Ind Ltd Current sensor, bus bar device with sensor equipped with the same, inverter device, and connector
KR101712822B1 (en) 2010-06-11 2017-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422A (en) * 2002-09-19 200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Battery pack of mobile phone
KR20080066175A (en) * 2007-01-11 2008-07-16 신성델타테크 주식회사 Sensor combination
KR20150098727A (en) * 2014-02-21 2015-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Adaptor Plug and Charging Electr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60061475A (en) * 2014-11-21 2016-06-01 (주) 에코센스 Multi sensing apparatus for simultaneous measuring energy and environmental pollution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207B1 (en) 2001-02-06 2003-09-03 김병준 Adapter with rotary plug
JP3750995B2 (en) * 2001-11-22 2006-03-01 フィガロ技研株式会社 CO alarm device for bathroom
KR100517670B1 (en) 2002-04-26 2005-09-28 (주)바이오텔 Ultra-easy-to-use portable meter
KR100481402B1 (en) 2002-08-13 2005-04-07 (주)아리테크 a cellular telephone charger
KR100649621B1 (en) 2005-06-24 2006-11-27 김한준 Plug devices for electrical appliances
JP2007280921A (en) * 2006-04-11 2007-10-25 Modern Sense Ltd Universal charger and/or power adaptor
JP2009176699A (en) 2007-12-27 2009-08-06 Churi:Kk Plug conversion adapter, and plug conversion adapter apparatus
KR101712822B1 (en) 2010-06-11 2017-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JP2014020980A (en) 2012-07-20 2014-02-03 Sumitomo Electric Ind Ltd Current sensor, bus bar device with sensor equipped with the same, inverter device, an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486A (en) 201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041675U (en) flashlight and communication device
US12117496B2 (en) State-of-charge indicator
US20210005989A1 (en) Outlet-level electrical energy management system
JP2011113966A (en) Battery pack
US20070114969A1 (en) Magnetic electrical daisy connection for simultaneously recharging electronic devices
JP5032969B2 (en) DC outlet
US20150198670A1 (en) State-of-charge indicator
CN110940230A (en) A rechargeable sight holder and sight having the same
JP2013125643A (en) Dc outlet
US20120129028A1 (en) Battery box
KR102365570B1 (en)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and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20160197467A1 (en) Power control unit with remote sensor
US10531544B2 (en) Portable beauty light kit
KR101469075B1 (en) LED lighting apparatus and sensor module
US20140049223A1 (en) Rechargeable programmable intelligent variable output battery module
EP2973885B1 (en) Wireless connector node and system
US20140266230A1 (en) Battery Electrolyte Level Monitor
US7605360B2 (en) Power supply system for green laser indicating pen
US9709611B1 (en) Multiple electric socket power strip with power meter
US20050041447A1 (en) Power supply for battery-powered devices
KR200474052Y1 (en) Led lighting devices
US11512825B2 (en) Lighting device with battery housing
JP4910813B2 (en) Electric wire connector, lighting device
KR20150049784A (en) Electric charger comprising sound making member
CN217584132U (en) Battery auxiliary installation part and flash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4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