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621B1 - Plug devices for electrical appliances - Google Patents
Plug devices for electrical applianc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49621B1 KR100649621B1 KR1020050055026A KR20050055026A KR100649621B1 KR 100649621 B1 KR100649621 B1 KR 100649621B1 KR 1020050055026 A KR1020050055026 A KR 1020050055026A KR 20050055026 A KR20050055026 A KR 20050055026A KR 100649621 B1 KR100649621 B1 KR 1006496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ical appliance
- plug
- terminal
- coupling
- fit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제품으로부터 플러그를 분리시켜 전기제품의 휴대 및 운반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전기제품을 적층시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는 전기제품의 플러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기제품의 플러그 장치는 전기제품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결합공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전기제품의 내부에 설치된 피씨비에 회로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삽입단자; 및 콘센트와 결합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삽입단자에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끼움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전기제품과 별개로 구성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결합/분리 수단에 의해 상기 끼움단자와 삽입단자가 접속되도록 전기제품과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가 결합/분리 수단에 의해 전기제품의 삽입단자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Disclosed is a plug device for an electrical appliance that can be easily carried and transported by separating the plug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he electrical appliance can be stacked and stored or transported. The plug device of the present electrical appliance includes a pair of insertion terminal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a circuit in a PCB installed inside the electrical appliance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coupled to the outlet on one side, and a space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other sid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and formed to fit into the insertion terminal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space portion. And a plug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having a pair of fitting terminals to be installed, wherein the plug has a structure that is coupled with the electrical appliance such that the fitting terminal and the insertion terminal are connected by a coupling / separation means. . Thus, the plug can be selectively coupl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insertion terminal of the electrical appliance by a coupling / separation mean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2b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Figure 2a,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장치가 적용된 전기제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to which the plu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u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를 에 따른 플러그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u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 예를 에 따른 플러그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u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종래기술에 의한 전기제품의 플러그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ug device of an electrical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전기제품 12 : 하우징10: electrical appliances 12: housing
12A : 걸림편 14 : 피씨비12A: Jam Part 14: PCB
16 : 결합공 20,21 : 삽입단자 16:
22 : 걸림턱 30 : 플러그 22: jam jaw 30: plug
32 : 접속단자 34 : 공간부32: connection terminal 34: space part
36,36B : 끼움단자 36A : 단자용 걸림홈36,36B: Fitting
38 : 걸림돌기 39 : 걸림홈38: locking projection 39: locking groove
본 발명은 전기제품의 플러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센트와 결합되는 플러그가 전기제품과 별개로 구성되고, 이러한 플러그가 선택적으로 전기제품과 결합되거나 분리됨으로써, 전기제품을 적층하여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전기제품의 플러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g device for an electrical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a plug coupled to an outlet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he plug is selectively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to stack and store the electrical appliance. It relates to a plug device of an electrical appliance that can be carried out easily.
일반적으로 전기제품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를 구비한다. 이 플러그는 전기제품과 일정길이의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제품에 전원이 공급되기 위해서는 플러그가 콘센트에 결합되어야 하는 것이다. Generally, electrical appliances have a plug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outside. The plug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by a length of wire. Therefore, the plug must be coupled to the outlet in order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ical appliance.
이와 같이 플러그는 콘센트에 결합되어 전원이 전기제품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In this way, the plug is coupled to the outlet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최근에는 상기 플러그가 일체로 형성된 전기제품이 개시된다. 이 전기제품의 일측에는 플러그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배터리 충전기와 같은 전기제품의 경우에는 플러그가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전선이 불필요하게 되는 잇점이 있었다. Recently, an electrical appliance in which the plug is formed integrally is disclosed. One sid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formed so that the plug protrud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lectrical appliances such as battery chargers, since the plug was integrally formed in the body, there was an advantage that the wire was unnecessary.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배터리 충전기와 같은 전기제품(1)은 그 배면에 플러그(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전기제품(1)을 운반하거나 보관하기 위해서 적층할 경우에 적층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고, 돌출된 플러그(2)에 의해 부피가 커져 휴대가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전기제품(1)의 배면에 플러그(2)가 접속단자(2A)를 구비하여 돌출되어 있었기 때문에 전기제품(1)을 적층시킬 수 없었고, 부피가 커져 휴대가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s shown in Fig. 7, the electrical appliance 1, such as a battery charg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laminated to carry or store the electrical appliance 1 because the
본 발명은 상기와`은 종래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기제품에 사용되는 플러그를 전기제품과 별개로 구성하고 필요에 따라 전기제품과 결합되도록 하여 전기제품의 휴대성 및 운반/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prior art,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plug to be used in electrical appliances separately from electrical appliances and to be combined with electrical appliances as necessary It is to provide a means for improving the portability and transport / storage of the product.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is invention is.
전기제품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결합공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전기제품의 내부에 설치된 피씨비에 회로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삽입단자; 및A pair of insertion terminal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a circuit in the PC to be installed inside the electrical appliance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콘센트와 결합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삽입단자에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끼움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전기제품과 별개로 구성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coupled to the outlet is provided on one side, and a space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other sid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and is formed to be fitted to the insertion terminal so as to protrude out of the space portion. And a plug having a pair of fitting terminals, the plug being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상기 플러그는 결합/분리 수단에 의해 상기 끼움단자와 삽입단자가 접속되도록 전기제품과 결합되고, 상기 끼움단자와 삽입단자가 이격되도록 전기제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플러그 장치를 제공한다. The plug is coupl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so that the fitting terminal and the insertion terminal are connected by a coupling / separation means, and the plug devic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parated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so as to be spaced apart. .
상기 결합/분리수단은,The coupling / separation means,
상기 공간부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상기 끼움단자가 삽입단자에 끼움 결합될 때 상기 결합공의 내측 가장자리에 걸려 상기 플러그와 전기제품의 결합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let edge of the spac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locking projection to selectively hold the coupling state of the plug and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aught by the inner edge of the coupling hole when the fitting terminal is fitted to the insertion terminal.
다른 결합/분리수단은, The other joining / separating means is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걸림편; 및A locking piece formed at an edg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And
상기 플러그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단자가 삽입단자에 끼움 결합될 때 상기 걸림편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와 전기제품의 결합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lock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g and formed so that the locking piece is inserted and caught when the fitting terminal is fitted to the insertion terminal to selectively maintain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plug and the electrical appliance. do.
또다른 결합/분리수단은,Another combining / separating means is
상기 삽입단자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 걸림홈; 및At least one internal lock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terminal; And
상기 끼움단자가 삽입단자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내부 걸림홈에 걸리도록 상기 끼움단자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t least one locking jaw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terminal when the fitting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terminal so as to be caught by the internal locking groove.
본 발명은, 전기제품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결합공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전기제품의 내부에 설치된 피씨비에 회로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끼움단자; 및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fitting terminals are installed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electrical appliance to be connected to the circuit to the PCB installed inside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콘센트와 결합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끼움단자와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삽입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전기제품과 별개로 구성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coupled to an outlet is provided at one side, and a space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other sid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and is formed to be fitted with the fitting terminal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space portion. And a plug having a pair of insertion terminals configured to be separate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상기 플러그는 결합/분리 수단에 의해 상기 끼움단자와 삽입단자가 접속되도록 전기제품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플러그 장치를 더 제공한다.The plug further provides a plug device for an electrical appliance, wherein the plug is coupled with the electrical appliance such that the fitting terminal and the insertion terminal are connected by the coupling / separating means.
상기 결합/분리수단은,The coupling / separation means,
상기 공간부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상기 끼움단자가 삽입단자에 끼움 결합될 때 상기 결합공의 내측 가장자리에 걸려 상기 플러그와 전기제품의 결합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let edge of the spac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locking projection to selectively hold the coupling state of the plug and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aught by the inner edge of the coupling hole when the fitting terminal is fitted to the insertion terminal.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전기제품은 배터리 충전기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ac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features as follows. Hereinafter, the electrical appliance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battery charg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 및 도 2a,2b에 도시된 제 1실시 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플러그 장치는 전기제품(10)의 피씨비(14)에 설치되는 한 쌍의 삽입단자(20)와, 상기 삽입단자(20)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단자(36)를 구비하고 전기제품(10)과 별개로 형성된 플러그(30)와, 상기 플러그(30)와 전기제품(10)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결합/분리수단으로 구성된다. 1 and 2A, 2B, the plug devic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삽입단자(20)는 전기제품(10)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제품(10)의 하우징(12) 내부의 피씨비(14)에 설치된다. 이러한 삽입단자(20)는 피씨비(14)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삽입단자(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단자(36)가 억지 끼움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금속성으로 형성되고, 탄성을 갖도록 일부분이 절개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삽입단자(20)는 하우징(12)에 형성되는 결합공(16)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피씨비(14)에 설치된다. The
따라서, 삽입단자(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16)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즉, 삽입단자(20)가 설치된 피씨비(14)가 하우징(12)의 내부에 설치되면, 삽입단자(20)의 각 끝단부가 결합공(16)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삽입단자(20)의 돌출정도는 대략 2 - 5mm정도이다. 이와 같이 삽입단자(20)가 돌출되는 것은 플러그(30)가 결합/분리 수단에 의해 하우징(12)에 결합될 때 끼움단자(36)가 미리 삽입단자(20)와 접촉되도록 하여 끼움단자(36)과 삽입단자(20)의 접속 안정성 및 결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refore, the
이때, 상기 결합공(16) 주변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리브가 형성될수 있다. 이 지지리브는 플러그(30)의 삽입을 안내하면서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In this case, a support rib may be formed around the
플러그(30)는 결합/분리 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기제품(10)의 하우징(12)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일측에는 콘센트와 결합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32)가 형성되고, 타측 내부에는 공간부(34)가 형성된다. 공간부(34)의 내부에는 한 쌍의 끼움단자(36)가 공간부(34)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고, 이러한 끼움단자(36)는 접속단자(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끼움단자(36)는 삽 입단자(20)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끝단이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결합/분리 수단은 플러그(30)를 하우징(12)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플러그(30)의 공간부(34)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8)로 이루어진다. 이 걸림돌기(38)는 공간부(34)의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되므로 플러그(30)를 양측에서 눌렀을 때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을 갖게 된다. The coupling / separating means is for selectively coupling or detaching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lu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1 및 도 2a,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제품(10)의 내부에 한 쌍의 삽입단자(20)가 설치되고, 플러그(30)는 전기제품(10)과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단자(20)에 결합되기 위한 끼움단자(36)를 구비하며, 플러그(30)에는 결합/분리 수단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A and 2B, a pair of
이러한 상태에서 전기제품(10)과 별개로 분리 구성된 플러그(30)를 전기제품(1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걸림돌기(38)를 결합공(16) 내부로 삽입시킨다. In this state, in order to couple the
이와 같이 걸림돌기(38)가 결합공(16)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끼움단자(36)는 결합공(16)을 통하여 삽입단자(20)에 먼저 접촉되어 삽입단자(20) 내부로 끼워진다. 이는 상기 삽입단자(20)가 결합공(16) 외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As such, when the engaging
이어서, 상기 걸림돌기(38)가 결합공(16)의 내측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되면 걸림돌기(38)가 자체 탄성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결합공(16)의 내 측 가장자리에 걸리게 되는 것이고, 끼움단자(36)는 삽입단자(20)에 완전하게 끼움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콘센트의 전원은 플러그(30)를 통하여 피씨비(14)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locking
상기 끼움단자(36)가 삽입단자(20)에 끼워질 때, 상기 걸림돌기(38)가 결합공(16)의 내측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되므로 플러그(30)와 전기제품(10)의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한편, 전기제품(10)에 결합된 플러그(3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플러그(30)의 양측을 취부하여 누른 후 당긴다. 이와 같이 플러그(30)의 양측을 누르게 되면 걸림돌기(38)가 결합공(16)의 내측 가장자리 영역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당기에 되면 끼움단자(36)가 삽입단자(20)에서 빠지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30)는 전기제품(10)에서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eparate the
이와 같이 플러그(30)가 전기제품(10)에서 분리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제품(10)을 적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러그(30)가 전기제품(10)에서 제거되므로 부피가 작아져 휴대가 간편하게 된다. As such, when the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2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4 shows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장치는 결합/분리 수단이 상기 결합공(16)의 내주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걸림편(12A)과, 상기 플러그(30)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39)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 예와 같다. As shown in FIG. 4, the plu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제 2실시 예에 의하면, 전기제품(10)의 결합공(16) 내주면 가장자리에 걸림편(12A)이 형성되고, 플러그(30)의 타측 외주면에 걸림홈(39)이 형성되므로, 끼움단자(36)가 삽입단자(20)에 끼움 결합될 때 상기 걸림편(12A)이 걸림홈(39)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고, 따라서, 플러그(30)와 전기제품(10)의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5 shows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분리수단이 삽입단자(20)에 형성되는 걸림턱(22)과, 끼움단자(36)에 형성되는 단자용 걸림홈(36A)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As shown in FIG. 5, the coupling / separation means includes a locking
즉, 결합/분리수단이 삽입단자(20)와 끼움단자(36)에 형성된 것이다. That is, the coupling / separation means is formed in the
이와 같이 삽입단자(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22)이 형성되고, 끼움단자(36)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용 걸림홈(36A)이 형성됨으로써, 끼움단자(36)가 삽입단자(20)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단자용 걸림홈(36A)에 걸림턱(22)이 걸려 삽입단자(20)에 끼움단자(36)가 결합되고, 따라서, 플러그(30)는 전기제품(10)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As such, at least one hooking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6 shows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4실시 예에 의한 플러그 장치는 전기제품(10)의 피씨비(14)에 끼움단자(36B)가 형성되고, 플러그(30)의 공간부(34) 내부에 삽입단자(21)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하다. In the plu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제품의 플러그 장치는 전기제품에 형성된 삽입단자에 플러그가 선택적으로 결합/분리되도록 된 것으로, 전기제품으로부터 플러그를 분리시킬 수 있음으로써 전기제품의 휴대 및 운반이 간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적층시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며, 플러그가 돌출되지 않아 포장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포장시 부피가 작게 된다. Plug devic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lug is selectively coupled / disconnected to the insertion terminal formed in the electrical appliance, by being able to separate the plug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as well as easy to carry and transport the electrical appliance, The effect of laminating and storing or transporting is provided, and the plug is not protruded, thus making the packaging easier and the volume of the packaging is small.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바람직한 각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typically us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with knowledge of the world can make many variations.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5026A KR100649621B1 (en) | 2005-06-24 | 2005-06-24 | Plug devices for electrical applianc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5026A KR100649621B1 (en) | 2005-06-24 | 2005-06-24 | Plug devices for electrical applianc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49621B1 true KR100649621B1 (en) | 2006-11-27 |
Family
ID=3771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50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9621B1 (en) | 2005-06-24 | 2005-06-24 | Plug devices for electrical applianc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49621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5367B1 (en) * | 2009-11-05 | 2010-06-22 | 이재진 | The power connector |
WO2011055924A3 (en) * | 2009-11-05 | 2011-06-30 | Lee Jae-Jin | Power connector |
KR101787731B1 (en) | 2013-07-05 | 2017-10-1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Apparatus for connecting electricity source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20180118486A (en) * | 2017-04-21 | 2018-10-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and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same |
-
2005
- 2005-06-24 KR KR1020050055026A patent/KR10064962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5367B1 (en) * | 2009-11-05 | 2010-06-22 | 이재진 | The power connector |
WO2011055924A3 (en) * | 2009-11-05 | 2011-06-30 | Lee Jae-Jin | Power connector |
KR101787731B1 (en) | 2013-07-05 | 2017-10-1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Apparatus for connecting electricity source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20180118486A (en) * | 2017-04-21 | 2018-10-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and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same |
KR102365570B1 (en) | 2017-04-21 | 2022-02-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Environmental sensor for bathroom and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37022A (en) | Enclosed battery holder | |
JP5410413B2 (en) | Multiple battery polarity protection | |
US11264818B2 (en) | Battery charger for multiple battery packs | |
US20100124698A1 (en) |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20150086802A (en) | Rechargeable battery pack | |
JP4517265B2 (en) | Power conversion adapter device | |
JP2010017018A (en) | Equipment with built-in battery and charging stand | |
KR100649621B1 (en) | Plug devices for electrical appliances | |
WO2020015233A1 (en) | Charging box and charging device | |
US6807067B2 (en) | Battery-Locking mechanism | |
JP3206949U (en) | Electronic equipment with plug | |
DE50214007D1 (en) | Battery with a mechanically tensioned connection | |
TW201513472A (en) | Connector for two card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JP3197970U (en) | Table tap that can charge mobile devices | |
US20140135079A1 (en) |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replacement structure for uninterrupted power | |
CN212062568U (en) | remote control | |
AU2020102987A4 (en) | Battery charger for multiple battery packs | |
JP5102545B2 (en) | Electronics | |
JP3148091U (en) | Electronic card connector | |
KR200235536Y1 (en) | Power supply socket for mobile phone | |
KR200308232Y1 (en) | A battery case having jack connecting style | |
TWM485568U (en) | Battery box and pieces set | |
US20060122656A1 (en) | Power supply for medical apparatus | |
JP3185242U (en) | Connector parts and portable device charging connectors | |
KR20160001950U (en) | Magnetic guidance coil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510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