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056B1 - 터치 및 터치 포스를 감지하는 하이브리드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및 터치 포스를 감지하는 하이브리드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4056B1 KR102364056B1 KR1020200189922A KR20200189922A KR102364056B1 KR 102364056 B1 KR102364056 B1 KR 102364056B1 KR 1020200189922 A KR1020200189922 A KR 1020200189922A KR 20200189922 A KR20200189922 A KR 20200189922A KR 102364056 B1 KR102364056 B1 KR 1023640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ing element
- sensing
- change
- user
- electrical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6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269586 Ambystoma 'unisexual hybrid' Species 0.000 claims 1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3 groun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39 gust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97 real-time det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티브 센싱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티브 센싱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센서의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센서의 차동 공진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센서의 검출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센서의 동작 시의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센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210, 310, 410, 510: 제2 센싱 요소
212, 312: 제1 센싱 요소
420, 520, 620: 제1 공진 회로
430, 530, 630: 제2 공진 회로
440, 540, 640: 검출 회로
450, 550, 650: 하이브리드 센서
460: 컨트롤러
270, 370: 중간 부품
280, 380: 외부 전도체(사용자의 인체 일부)
Claims (15)
-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센싱 요소;
상기 제1 센싱 요소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센싱 요소;
상기 제1 센싱 요소 및 상기 제2 센싱 요소의 사이에 위치하며 변형 가능한 중간 부품;
상기 제2 센싱 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공진 회로;
상기 제1 공진 회로와 동일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제2 공진 회로; 및
상기 제1 공진 회로 및 상기 제2 센싱 요소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2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검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제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제2 공진 주파수의 차이를 검출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가 사용자 모션에 의한 상기 제1 센싱 요소의 변위에 기반하는지 여부가 판정되고,
상기 사용자 모션에 의하여 외부의 전도체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에 터치하는 경우에,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의 크기에 기반하는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의 변위에 기반하는 지 여부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모션에 의하여 상기 외부의 전도체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에 터치 힘을 입력하는지 여부가 판정되는 하이브리드 센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전도체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에 상기 터치 힘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의 전도체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에 입력하는 터치 힘의 세기(intensity)가 판정되는 하이브리드 센서. -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센싱 요소;
상기 제1 센싱 요소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센싱 요소;
상기 제1 센싱 요소 및 상기 제2 센싱 요소의 사이에 위치하며 변형 가능한 중간 부품;
상기 제2 센싱 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공진 회로;
상기 제1 공진 회로와 동일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제2 공진 회로; 및
상기 제1 공진 회로 및 상기 제2 센싱 요소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2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검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제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제2 공진 주파수의 차이를 검출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가 사용자 모션에 의한 상기 제1 센싱 요소의 변위에 기반하는지 여부가 판정되고,
상기 제1 센싱 요소는 전도성 타겟이고,
상기 제2 센싱 요소는 인덕티브 코일이고,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의 변위에 기반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전도성 타겟을 경유하는 외부의 전도체 및 상기 인덕티브 코일 간의 커패시티브 커플링에 기반하여 상기 감지 정보가 변화하고,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의 변위에 기반하는 경우는 상기 전도성 타겟 및 상기 인덕티브 코일 간의 인덕티브 커플링에 기반하여 상기 감지 정보가 변화하는 하이브리드 센서. -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센싱 요소;
상기 제1 센싱 요소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센싱 요소;
상기 제1 센싱 요소 및 상기 제2 센싱 요소의 사이에 위치하며 변형 가능한 중간 부품;
상기 제2 센싱 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공진 회로;
상기 제1 공진 회로와 동일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제2 공진 회로; 및
상기 제1 공진 회로 및 상기 제2 센싱 요소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2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검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제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제2 공진 주파수의 차이를 검출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가 사용자 모션에 의한 상기 제1 센싱 요소의 변위에 기반하는지 여부가 판정되고,
상기 제1 센싱 요소는 플로팅되는 제1 전극이고,
상기 제2 센싱 요소는 제2 전극이고,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의 변위에 기반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사용자 모션에 의하여 접근하는 외부의 전도체 및 상기 제1 전극 간의 커패시티브 커플링에 기반하여 상기 감지 정보가 변화하고,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의 변위에 기반하는 경우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간의 커패시티브 커플링에 기반하여 상기 감지 정보가 변화하는 하이브리드 센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감지 정보의 극성에 기반하여 변화하는 값을 가지면서 상기 감지 정보의 크기에 비례하는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하이브리드 센서. - 제1항에 있어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가 상기 사용자 모션에 의한 상기 제1 센싱 요소의 변위에 기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사용자 모션에 의하여 외부의 전도체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에 터치하는 경우에,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의 크기에 기반하는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의 변위에 기반하는 지 여부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모션에 의하여 상기 외부의 전도체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에 터치 힘을 입력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컨트롤러;
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센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제1 공진 회로 및 상기 제2 공진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단일 설정으로 유지하면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기 감지 정보의 크기를 검출하는 하이브리드 센서. -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센싱 요소;
상기 제1 센싱 요소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센싱 요소;
상기 제1 센싱 요소 및 상기 제2 센싱 요소의 사이에 위치하며 변형 가능한 중간 부품;
상기 제2 센싱 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공진 회로;
상기 제1 공진 회로와 동일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제2 공진 회로; 및
상기 제1 공진 회로 및 상기 제2 센싱 요소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2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검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제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제2 공진 주파수의 차이를 검출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가 사용자 모션에 의한 상기 제1 센싱 요소의 변위에 기반하는지 여부가 판정되고,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2 공진 주파수의 차이를 구하는 연산기(operator);
상기 연산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 및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 정보의 극성에 따른 크기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신호 생성기;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센서. - 하이브리드 센서;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센서는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센싱 요소;
상기 제1 센싱 요소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센싱 요소;
상기 제2 센싱 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공진 회로;
상기 제1 공진 회로와 동일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제2 공진 회로;
상기 제1 센싱 요소 및 상기 제2 센싱 요소의 사이에 위치하며 변형 가능한 중간 부품; 및
상기 제1 공진 회로 및 상기 제2 센싱 요소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2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검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제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제2 공진 주파수의 차이를 검출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가 사용자 모션에 의한 상기 제1 센싱 요소의 변위에 기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모션에 의하여 외부의 전도체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에 터치하는 경우에,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의 크기에 기반하는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의 변위에 기반하는 지 여부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모션에 의하여 상기 외부의 전도체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에 터치 힘을 입력하는지 여부를 추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추적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모션이 나타내는 제스쳐를 인식하고, 상기 제스쳐를 상기 사용자 모션이 의도하는 사용자 입력으로 해석하는(translate)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의 전도체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에 상기 터치 힘을 입력하는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의 전도체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에 입력하는 터치 힘의 세기(intensity)를 판정하고,
상기 터치 힘의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모션이 나타내는 제스쳐를 인식하고, 상기 제스쳐를 상기 사용자 모션이 의도하는 사용자 입력으로 해석하는(translate)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 검출 회로가 제1 공진 회로, 및 상기 제1 공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센싱 요소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센싱 요소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출 회로가 제2 공진 회로에 형성되는 제2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출 회로가 상기 제1 전기 신호의 제1 공진 주파수 및 제2 전기 신호의 제2 공진 주파수의 차이를 검출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컨트롤러 또는 상기 검출 회로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가 사용자 모션에 의한 상기 제1 센싱 요소의 변위에 기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사용자 모션에 의하여 외부의 전도체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에 터치하는 경우에,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의 변위에 기반하는 지 여부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모션에 의하여 상기 외부의 전도체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에 터치 힘을 입력하는지 여부를 추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센서의 동작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회로가 상기 감지 정보의 극성에 기반하여 변화하는 값을 가지고 상기 감지 정보의 크기에 비례하는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추적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모션이 나타내는 제스쳐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스쳐를 상기 사용자 모션이 의도하는 사용자 입력으로 해석하는(translate)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센서의 동작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외부의 전도체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에 상기 터치 힘을 입력하는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의 전도체가 상기 제1 센싱 요소에 입력하는 터치 힘의 세기(intensity)를 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터치 힘의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는 하이브리드 센서의 동작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9922A KR102364056B1 (ko) | 2020-12-31 | 2020-12-31 | 터치 및 터치 포스를 감지하는 하이브리드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
KR1020210081389A KR20220097137A (ko) | 2020-12-31 | 2021-06-23 | 터치 및 터치 포스를 감지하는 하이브리드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
US17/566,968 US11507230B2 (en) | 2020-12-31 | 2021-12-31 | Hybrid sensor for detecting touch and touch for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9922A KR102364056B1 (ko) | 2020-12-31 | 2020-12-31 | 터치 및 터치 포스를 감지하는 하이브리드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1389A Division KR20220097137A (ko) | 2020-12-31 | 2021-06-23 | 터치 및 터치 포스를 감지하는 하이브리드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4056B1 true KR102364056B1 (ko) | 2022-02-18 |
Family
ID=804949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9922A Active KR102364056B1 (ko) | 2020-12-31 | 2020-12-31 | 터치 및 터치 포스를 감지하는 하이브리드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
KR1020210081389A Pending KR20220097137A (ko) | 2020-12-31 | 2021-06-23 | 터치 및 터치 포스를 감지하는 하이브리드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1389A Pending KR20220097137A (ko) | 2020-12-31 | 2021-06-23 | 터치 및 터치 포스를 감지하는 하이브리드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1507230B2 (ko) |
KR (2) | KR10236405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2024101077U1 (de) * | 2023-03-09 | 2024-05-16 | Azoteq Holdings Limited | Trackpad mit Krafterfassung und haptischen Merkmalen |
WO2024239126A1 (zh) * | 2023-05-19 | 2024-11-28 |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 一种传感器及可穿戴设备 |
KR102739321B1 (ko) * | 2024-03-06 | 2024-12-06 | (주)테크레인 | 전도성 표면 및 비전도성 표면에 동시 동작 가능한 터치 센서 |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68747A (ja) * | 2011-02-15 | 2012-09-06 | Nippon Soken Inc | 操作検出装置 |
KR20170007127A (ko) | 2015-07-08 | 2017-01-18 |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 자동차 도어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려는 사용자의 의도를 검출하는 디바이스 |
KR101697975B1 (ko) | 2015-03-10 | 2017-01-19 | 주식회사 트루윈 | 주파수 변조를 이용한 인덕턴스 방식의 변위센서 |
KR20170030417A (ko) * | 2015-09-08 | 2017-03-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구동 회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US20170269754A1 (en) | 2016-03-16 | 2017-09-21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Dual Touch Sensor Architecture With XY-Position And Z-Force Sensing For Touch-On-Surface Button |
US9870109B2 (en) | 2013-03-12 | 2018-01-16 | Synaptics Incorporated | Device and method for localized force and proximity sensing |
US9990121B2 (en) | 2012-05-09 | 2018-06-05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
KR20180084484A (ko) * | 2017-01-17 | 2018-07-25 | 주식회사 트루윈 | 주파수 변조를 이용한 인덕턴스방식의 변위센서 |
KR101920440B1 (ko) | 2017-08-21 | 2018-11-20 | (주)실리콘인사이드 |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
KR101954368B1 (ko) | 2017-08-31 | 2019-03-05 | (주)실리콘인사이드 | 3d 터치 구현을 위한 뮤추얼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
KR102185046B1 (ko) | 2019-07-03 | 2020-12-01 | 삼성전기주식회사 | 터치 대상을 식별할 수 있는 스위칭 조작 센싱 장치 및 전자 기기 |
US20200400513A1 (en) * | 2019-06-24 | 2020-12-24 | Damoatech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ower-on button and inductive touch force senso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4130B1 (ko) * | 2019-11-26 | 2021-07-30 | 삼성전기주식회사 | 공통잡음 제거기능을 갖는 스위칭 조작 센싱 장치 |
KR102333090B1 (ko) * | 2019-12-17 | 2021-12-01 | 삼성전기주식회사 | 센싱 코일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스위치 조작 센싱 장치 |
-
2020
- 2020-12-31 KR KR1020200189922A patent/KR102364056B1/ko active Active
-
2021
- 2021-06-23 KR KR1020210081389A patent/KR20220097137A/ko active Pending
- 2021-12-31 US US17/566,968 patent/US11507230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68747A (ja) * | 2011-02-15 | 2012-09-06 | Nippon Soken Inc | 操作検出装置 |
US9990121B2 (en) | 2012-05-09 | 2018-06-05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
US9870109B2 (en) | 2013-03-12 | 2018-01-16 | Synaptics Incorporated | Device and method for localized force and proximity sensing |
KR101697975B1 (ko) | 2015-03-10 | 2017-01-19 | 주식회사 트루윈 | 주파수 변조를 이용한 인덕턴스 방식의 변위센서 |
US20170016255A1 (en) | 2015-07-08 | 2017-01-19 |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 Device for detecting a user's intention to lock or unlock a motor vehicle door |
KR20170007127A (ko) | 2015-07-08 | 2017-01-18 |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 자동차 도어를 로킹 또는 언로킹하려는 사용자의 의도를 검출하는 디바이스 |
KR20170030417A (ko) * | 2015-09-08 | 2017-03-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구동 회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US20170269754A1 (en) | 2016-03-16 | 2017-09-21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Dual Touch Sensor Architecture With XY-Position And Z-Force Sensing For Touch-On-Surface Button |
KR20180084484A (ko) * | 2017-01-17 | 2018-07-25 | 주식회사 트루윈 | 주파수 변조를 이용한 인덕턴스방식의 변위센서 |
KR101920440B1 (ko) | 2017-08-21 | 2018-11-20 | (주)실리콘인사이드 |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
KR101954368B1 (ko) | 2017-08-31 | 2019-03-05 | (주)실리콘인사이드 | 3d 터치 구현을 위한 뮤추얼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
US20200400513A1 (en) * | 2019-06-24 | 2020-12-24 | Damoatech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ower-on button and inductive touch force sensor |
KR102185046B1 (ko) | 2019-07-03 | 2020-12-01 | 삼성전기주식회사 | 터치 대상을 식별할 수 있는 스위칭 조작 센싱 장치 및 전자 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7137A (ko) | 2022-07-07 |
US11507230B2 (en) | 2022-11-22 |
US20220206602A1 (en) | 2022-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92236B2 (en) | Touch force sensor using inductive sensing and capacitive sensing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 |
KR102364056B1 (ko) | 터치 및 터치 포스를 감지하는 하이브리드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 |
JP6208318B2 (ja) | 身体又は物体の動きを感受する制御インタフェース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並びに、前記デバイスを組み込む制御機器 | |
JP5324440B2 (ja) | デジタイザのためのホバリングおよびタッチ検出 | |
KR102125404B1 (ko) | 터치감지시스템 및 표시장치 | |
US11460357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ower-on button and inductive touch force sensor | |
KR101453028B1 (ko) | 지문센서를 갖는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
CN208766625U (zh) | 电容传感器及用于检测接近度、触摸和压力的系统 | |
US11995262B2 (en) | Touch apparatus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 |
KR20230165742A (ko) | 터치 장치 및 이의 터치 검출 방법 | |
KR20150101723A (ko) | 필압의 감지가 가능한 터치 펜 | |
KR102378616B1 (ko) | 모션 피드백 인터페이스를 위한 다중 영역 모션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340385B1 (ko) | 전원 버튼 및 인덕티브 터치 포스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102357724B1 (ko) | 단일 채널 센싱에 기반하여 제스쳐, 터치, 및 터치 포스를 감지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제스쳐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357722B1 (ko) | 채널 스페이싱에 의하여 채널 간 간섭을 저감한 모션 피드백 인터페이스를 위한 근접 감지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 |
CN104035633A (zh) | 触控感测装置及触控感测方法 | |
KR20140124609A (ko) | 지문센서를 갖는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
JP3167328U (ja) | タッチデバイス | |
KR102496360B1 (ko) |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2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62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