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60900B1 - 신규한 폴리펩티드 및 이를 이용한 l-류신의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폴리펩티드 및 이를 이용한 l-류신의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900B1
KR102360900B1 KR1020200060578A KR20200060578A KR102360900B1 KR 102360900 B1 KR102360900 B1 KR 102360900B1 KR 1020200060578 A KR1020200060578 A KR 1020200060578A KR 20200060578 A KR20200060578 A KR 20200060578A KR 102360900 B1 KR102360900 B1 KR 102360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
ala
amino acid
glu
g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3591A (ko
Inventor
이하윤
김주은
심지현
이지혜
이성근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20006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900B1/ko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US17/760,462 priority patent/US20230088135A1/en
Priority to MX2022014581A priority patent/MX2022014581A/es
Priority to EP21809542.0A priority patent/EP4155395A4/en
Priority to AU2021276867A priority patent/AU2021276867B2/en
Priority to CN202180027726.2A priority patent/CN115516087B/zh
Priority to PCT/KR2021/006033 priority patent/WO2021235775A1/ko
Priority to CA3172407A priority patent/CA3172407A1/en
Priority to JP2022562152A priority patent/JP7584536B2/ja
Priority to ARP210101354A priority patent/AR122115A1/es
Publication of KR20210143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900B1/ko
Priority to ZA2022/09243A priority patent/ZA202209243B/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3/00Acyltransferases (2.3)
    • C12Y203/03Acyl groups converted into alkyl on transfer (2.3.3)
    • C12Y203/030132-Isopropylmalate synthase (2.3.3.13)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12N9/1025Acyltransferases (2.3)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52Genes encoding for enzymes or pro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4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 C12N15/77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for Corynebacterium; for Brevibacte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12P13/06Alanine; Leucine; Isoleucine; Serine; Homose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3/00Acyltransferases (2.3)
    • C12Y203/03Acyl groups converted into alkyl on transfer (2.3.3)
    • C12Y203/030123-Propylmalate synthase (2.3.3.1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800/00Nucleic acids vectors
    • C12N2800/10Plasmid DNA
    • C12N2800/101Plasmid DNA for 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15Corynebacte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40COMBINATORIAL TECHNOLOGY
    • C40BCOMBINATORIAL CHEMISTRY; LIBRARIES, e.g. CHEMICAL LIBRARIES
    • C40B40/00Libraries per se, e.g. arrays, mixtures
    • C40B40/02Libraries contained in or displayed by microorganisms, e.g. bacteria or animal cells; Libraries contained in or displayed by vectors, e.g. plasmids; Libraries containing only microorganisms or v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40COMBINATORIAL TECHNOLOGY
    • C40BCOMBINATORIAL CHEMISTRY; LIBRARIES, e.g. CHEMICAL LIBRARIES
    • C40B40/00Libraries per se, e.g. arrays, mixtures
    • C40B40/04Libraries containing only organic compounds
    • C40B40/06Libraries containing nucleotides or polynucleot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40B40/08Libraries containing RNA or DNA which encodes proteins, e.g. gene libra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 활성을 갖는 신규한 변이형 폴리펩티드 및 이를 이용한 L-류신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 예에 따른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사용하면, L-류신을 고수율로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폴리펩티드 및 이를 이용한 L-류신의 생산 방법{Novel polypeptide and a method of producing L-leucine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isopropylmalate synthase) 활성을 가지는 신규한 변이형 폴리펩티드; 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벡터,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하는 미생물; 및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여 L-류신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L-아미노산은, L-아미노산 생산능을 갖는 코리네형(coryneform) 세균 또는 장내세균과(Enterobacteriaceae)에 속하는 아미노산 생산균을 사용하여 발효법에 의해 공업 생산되고 있다. 이들 아미노산 생산균으로서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연계로부터 분리된 균주 또는 당해 균주의 인공 변이주, 또는 유전자 재조합에 의해 L-아미노산 생합성 효소가 증강된 재조합체 등이 사용되고 있다.
L-아미노산 중에서 L-류신은 필수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의약, 식품, 사료 첨가물 및 공업 약품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고가의 아미노산으로서, 주로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산된다. L-류신의 발효 생산은, 주로 에스케리키아 속 미생물 또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통해 이루어지며, 피루브산으로부터 여러 단계를 거쳐 2-케토이소카프로산(2-ketoisocaproate)을 전구체로 생합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L-류신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들은 최종 산물인 L-류신 또는 이의 유도체에 의한 피드백 저해가 발생하여 공업적으로 L-류신을 대량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의 특정 위치를 변이시켜 얻어진 변이주가 효소 활성을 최적화하여 고수율 L-류신 생산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6830호
본 출원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247 번째 프롤린(proline) 아미노산 잔기가 프롤린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된,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isopropylmalate synthase) 활성을 가지는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미생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은 상기 미생물을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류신의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양상은 서열번호 1의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N-말단으로부터 247 번째 또는 이에 상응하는 위치의 아미노산 잔기가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된,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 활성을 갖는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isopropylmalate synthase, 2-isopropylmalate synthase, α-isopropylmalate synthase)"는 2-케토아이소발러레이트(2-ketoisovalerate, 3-메틸-2-옥소부타노에이트, 2-엑소이소발러레이트)와 아세틸-CoA의 아세틸기와의 축합을 촉매하여 L-류신의 전구체 중 하나인 이소프로필말레이트(2-isopropylmalate, 3-카르복시-3-히드록시-4-메틸펜타노에이트)로 전환하는 효소를 의미하고, 상기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는 상기 전환 활성을 가지는 효소이면 미생물 유래에 상관없이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 유래의 효소일 수 있다.
상기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미생물의 유래에 상관없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2% 이상, 94% 이상, 96% 이상, 98% 이상, 또는 99% 이상, 99.5% 이상 또는 99.8%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펩티드로서,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전환 활성을 갖는 효소라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일부 서열이 결실, 변형,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도 상기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로서 본 출원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특정 서열번호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또는 단백질)', '특정 서열번호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또는 단백질)'라고 기재되어 있다 하더라도, 해당 서열번호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또는 단백질)와 동일 혹은 상응하는 활성을 가지는 경우라면, 일부 서열이 결실, 변형,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또는 단백질)도 본 출원의 변이 대상이 되는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와 동일한 혹은 상응하는 활성을 가지는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에 속할 수 있다.
상기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의 아미노산 서열 및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염기 서열은 미국 생물공학정보센터(NCBI) 및 일본 DNA 데이터 뱅크(DDBJ)와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가 "특정 핵산 서열(염기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함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가 상기 특정 핵산 서열(염기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의 본래의 기능 및/또는 목적하는 기능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상기 특정 핵산 서열(염기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에 변이(결실, 치환, 변형, 및/또는 부가)가 가해진 서열을 포함하는 것(또는 상기 변이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가 "특정 핵산 서열(염기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함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가 (i) 상기 특정 핵산 서열(염기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ii) 상기 특정 핵산 서열(염기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과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1% 이상, 92% 이상, 93% 이상, 94% 이상, 95% 이상, 96% 이상, 97% 이상, 98% 이상, 98% 이상, 99.5% 이상, 또는 99.9%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핵산 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본래의 기능 및/또는 목적하는 기능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야생형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예를 들면, ATCC13032)으로부터 유래된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1에 표시하였고, 야생형 균주로부터 유래된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를 암호화하는 leuA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2에 표시하였다.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는 서열번호 1에서는 616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표시하였으나, 문헌에 따라 번역 개시코돈을 35 개 뒤로 표기하여 581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공지한 경우도 있고, 581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16에 표시하였다. 581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는 상기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로서 본 출원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247 번째 위치는 212 번째 위치로 해석되어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558 번째(또는 이에 상응하는 위치) 알지닌(arginine) 아미노산 잔기가 알지닌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561 번째(또는 이에 상응하는 위치) 글리신(glycine) 아미노산 잔기가 글리신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 또는 이들 모두에 의하여 추가로 변이된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서열번호 16의 581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의 경우 상기 558 번째 위치는 523 번째 위치로 해석되고, 상기 561번째 위치는 526 번째 위치로 해석되어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동성"은 두 개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 모이어티 사이의 동일성의 퍼센트를 의미한다. 하나의 모이어티로부터 다른 하나의 모이어티까지의 서열 간 상동성은 알려진 당해 기술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동성은 서열정보를 정렬하고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개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분자 또는 두 개의 폴리펩티드 분자간의 서열 정보, 예로는 점수(score), 동일성(identity) 및 유사도(similarity) 등의 매개 변수(parameter)를 직접 정렬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BLAST(NCBI), CLC Main Workbench(CLC bio), MegAlignTM(DNASTAR Inc) 등일 수 있다. 또한, 폴리뉴클레오티드 간 상동성은 상동 영역 간의 안정된 이중가닥을 이루는 조건하에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혼성화한 후, 단일-가닥-특이적 뉴클레아제로 분해시켜 분해된 단편의 크기를 확인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일 양상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247 번째(또는 이에 상응하는 위치) 프롤린(proline) 아미노산 잔기가 프롤린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된,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isopropylmalate synthase) 활성을 가지는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212 번째 프롤린 아미노산 잔기가 프롤린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된, 이소프로필 신타제 활성을 가지는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서열번호 ~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번째'는 '서열번호 ~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또는 이루어지는) 폴리펩티드의 N-말단에서 ~번째'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롤린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은 알지닌, 알라닌, 류신, 이소류신, 발린,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메티오닌, 글리신,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티로신, 아스파라진, 글루타민, 리신, 히스티딘,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247 번째(또는 이에 상응하는 위치) 프롤린이 시스테인(cysteine)으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과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2% 이상, 94% 이상, 96% 이상, 98% 이상, 또는 99% 이상, 99.5% 이상, 또는 99.8%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상기 247 번째 위치(서열번호 16의 경우 212번째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아미노산 잔기가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247 번째 프롤린(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212 번째 프롤린) 또는 이에 상응하는 위치의 아미노산 서열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서열번호 1(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보다 L-류신 생산 활성이 증가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과 70%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2% 이상, 94% 이상, 96% 이상, 98% 이상,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247 번째 프롤린(proline) 아미노산 잔기 또는 이에 상응하는 위치의 아미노산 잔기가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된,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른 아미노산 잔기는 치환되기 전에 상기 위치(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247 번째 또는 이에 상응하는 위치)에 존재하던 아미노산(예를 들면, 프롤린) 외의 다른 종류의 아미노산 잔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247 번째(또는 212 번째) 프롤린 또는 이에 상응하는 위치의 아미노산 잔기가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되어, 야생형 균주로부터 유래된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예를 들면,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또는 이루어진)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 보다 L-류신 생산 활성이 증가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247 번째(또는 212 번째) 프롤린 또는 이에 상응하는 위치의 아미노산 잔기가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되어, 야생형 균주로부터 유래된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예를 들면, 서열번호 1(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 보다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의 효소 활성이 증가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의 활성이 증가" 되었다는 것은 이소프로필말레이트로의 전환 활성 증가를 의미하므로, 일 구체예에 따른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의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이소프로필말레이트로의 전환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활성 증가"는 "활성 강화"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이소프로필말레이트는 L-류신의 전구체 중 하나이므로 일 구체예에 따른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이용하는 경우 서열번호 1(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의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에 비해 결과적으로 더 높은 수준으로 L-류신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이소프로필말레이트로의 전환 활성은 생성되는 이소프로필말레이트의 수준을 측정하여 직접 확인하거나, 또는 생성되는 CoA의 수준을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의 효소 활성은 공지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문헌[Kohlhaw et al. (Methods in Enzymology 166:423-9 (1988))]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으며, 생성되는 CoA를 이용한 환원에 의해 DTNB(5,5'-디티오비스-(2-니트로벤조산), 엘만(Ellman) 시약)로부터 형성된 티오니트로벤조에이트(TNB)로 인한 412nm에서의 흡광 변화를 측정하여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 효소의 활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247 번째(또는 212 번째) 프롤린 또는 이에 상응하는 위치의 아미노산 서열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야생형 균주로부터 유래된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예를 들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 보다 L-류신 및/또는 이의 유도체에 의한 피드백 억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드백 억제(feedback inhibition, 피드백 저해)"는 효소계의 종산물이 그 효소계의 초기 단계에 있는 반응을 저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피드백 저해는 L-류신 및/또는 이의 유도체가 이의 생합성 경로의 첫 번째 단계를 매개하는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의 피드백 억제를 감소(또는 해제)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L-류신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도체"는 본 발명의 최종산물인 L-류신의 생합성에 관련하여 피드백 저해를 유발하여 미생물로부터 L-류신의 생산능을 저해시킬 수 있다고 공지된 화합물들을 의미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이소류신(isoleucine), 테르류신(terleucine), 노르류신(norleucine), 및/또는 사이클로류신(cycloleuci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247 번째(또는 212 번째) 이외의 다른 위치가 추가적으로 변이되어 (1) L-류신 생산 활성 증가; (2)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의 효소 활성이 증가; 및 (3) L-류신 및/또는 이의 유도체에 의한 피드백 억제 감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효과가 상승적으로 증가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1) L-류신 생산 활성 증가; (2)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의 효소 활성 증가; 및 (3) L-류신 및/또는 이의 유도체에 의한 피드백 억제 감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변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558 번째(또는 이에 상응하는 위치) 알지닌(arginine) 아미노산 잔기가 알지닌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561 번째(또는 이에 상응하는 위치) 글리신(glycine) 아미노산 잔기가 글리신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 또는 이들 모두에 의하여 추가로 변이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523 번째(또는 이에 상응하는 위치) 알지닌(arginine) 아미노산 잔기가 알지닌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526 번째(또는 이에 상응하는 위치) 글리신(glycine) 아미노산 잔기가 글리신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 또는 이들 모두에 의하여 추가로 변이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알지닌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은 알라닌, 류신, 이소류신, 발린, 프롤린,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메티오닌, 글리신,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티로신, 아스파라진, 글루타민, 리신, 히스티딘,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글리신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은 알라닌, 류신, 이소류신, 발린, 프롤린,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메티오닌, 알지닌,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티로신, 아스파라진, 글루타민, 리신, 히스티딘,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알지닌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은 히스티딘(histidine)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글리신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은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558 번째 알지닌(arginine) 아미노산 잔기가 히스티딘(histidine)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561 번째 글리신(glycine) 아미노산 잔기가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 또는
이들 모두에 의하여 추가로 변이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라, 서열번호 1(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247 번째(또는 212 번째) 아미노산 잔기가 프롤린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된 변이형 폴리펩티드에서,
서열번호 1(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558 번째(또는 523 번째) 알지닌(arginine) 아미노산 잔기가 알지닌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 561 번째(또는 526 번째) 글리신(glycine) 아미노산 잔기가 글리신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 또는 이들 모두에 의하여 추가로 변이된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i) 야생형 균주로부터 유래된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예를 들면,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 또는 (ⅱ) 서열번호 1(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247 번째(또는 212 번째) 프롤린 아미노산 잔기가 프롤린 이외의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된 변이형 폴리펩티드 보다
하기 (1) 내지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효과가 증가한 것일 수 있다:
(1) L-류신 생산 활성 증가;
(2)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의 효소 활성이 증가; 및
(3) L-류신 및/또는 이의 유도체에 의한 피드백 억제 감소.
일 구체예에 따르면, 서열번호 1(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247 번째, 558 번째, 및/또는 561 번째(또는 212 번째, 523 번째, 및/또는 526 번째) 위치의 아미노산이 다른 종류의 아미노산으로 치환되는 변이의 조합에 따라 일 예에 따른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하기 (1) 내지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효과가 상승적으로 증가한 것일 수 있다:
(1) L-류신 생산 활성 증가;
(2)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의 효소 활성이 증가; 및
(3) L-류신 및/또는 이의 유도체에 의한 피드백 억제 감소.
상기 (1) 내지 (3)의 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다른 양상은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뉴클레오티드 단위체(monomer)가 공유결합에 의해 길게 사슬모양으로 이어진 뉴클레오티드의 중합체(polymer)로 일정한 길이 이상의 DNA 또는 RNA 가닥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변이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단편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에는 본 출원의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서열번호 1(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247 번째(또는 212 번째) 프롤린 아미노산 잔기가 프롤린 이외이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된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으며, 또는 서열번호 1(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과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2% 이상, 94% 이상, 96% 이상, 98% 이상, 또는 99% 이상, 99.5% 이상, 또는 99.8%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고 상기 서열번호 1(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247 번째(또는 212 번째)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아미노산 잔기가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된 폴리펩티드나 이의 일부 서열이 결실, 변형, 치환 또는 부가된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공지의 유전자 서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프로브, 예를 들면,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상보 서열과 엄격한 조건 하에 하이브리드화할 수 있고 서열번호 1(또는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의 247 번째(또는 212 번째) 또는 이에 상응하는 위치의 아미노산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된 단백질 변이체를 코딩하는 서열에 상응하는 서열을 포함하는 프로브라면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엄격한 조건"이란, 소위 특이적인 하이브리드가 형성되고, 비특이적 하이브리드가 형성되지 않는 조건을 말한다. 예를 들면, 상동성이 높은 유전자끼리,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2% 이상, 94% 이상, 96% 이상, 98% 이상, 또는 99% 이상, 99.5% 이상, 또는 99.8%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유전자끼리 하이브리드화하고, 그보다 상동성이 낮은 유전자끼리 하이브리드화하지 않는 조건, 또는 통상의 써던 하이브리드화의 세척 조건인 60℃, 1ХSSC, 0.1% SDS, 구체적으로는 60℃, 0.1ХSSC, 0.1% SDS, 보다 구체적으로는 68℃, 0.1ХSSC, 0.1% SDS에 상당하는 염 농도 및 온도에서, 1회, 구체적으로는 2회 내지 3회 세정하는 조건을 열거할 수 있다(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3rd Ed.,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Y. (2001)).
상기 하이브리드화에 사용된 프로브는, 염기서열의 상보 서열의 일부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브는, 공지 서열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로 하여, 이러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유전자 단편을 주형으로 하는 PCR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브로서는, 300bp 정도 길이의 유전자 단편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300bp 정도 길이의 프로브를 사용하는 경우에, 하이브리드화의 세척 조건으로서는, 50℃, 2ХSSC 및 0.1% SDS가 제시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4 또는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거나, 서열번호 4 또는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코돈 축퇴성(codon degeneracy)에 의해 일 구체예에 따른 변이형 폴리펩티드로 번역될 수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역시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벡터"는 숙주 세포로 염기의 클로닝 및/또는 전이를 위한 임의의 매개물을 말한다. 벡터는 다른 DNA 단편이 결합하여 결합된 단편의 복제를 가져올 수 있는 복제단위(replicon)일 수 있다. "복제단위"란 생체 내에서 DNA 복제의 자가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즉, 스스로의 조절에 의해 복제 가능한, 임의의 유전적 단위(예를 들면, 플라스미드, 파지, 코스미드, 염색체, 바이러스)를 말한다.
일 예에서, 벡터는 적합한 숙주 내에서 목적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도록 적합한 조절 서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목적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염기서열을 함유하는 DNA 제조물일 수 있다. 상기 조절 서열은 전사를 개시할 수 있는 프로모터, 그러한 전사를 조절하기 위한 임의의 오퍼레이터 서열, 적합한 mRNA 리보좀 결합부위를 암호화하는 서열, 및 전사 및 해독의 종결을 조절하는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벡터는 적당한 숙주세포 내로 형질전환된 후, 숙주 게놈과 무관하게 복제되거나 기능할 수 있으며, 게놈 그 자체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은 상기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전사를 개시 및 매개하도록 하는 프로모터 서열과 상기 유전자 서열이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벡터는 숙주 세포 내에서 복제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벡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벡터는 천연 상태이거나 재조합된 상태의 플라스미드, 코스미드, 바이러스 및 박테리오파지일 수 있고, 파지 벡터 또는 코스미드 벡터로서 MBL3, MBL4, IXII, ASHII, APII, t10, t11, pWE15, M13, λEMBL3, λEMBL4, λFIXII, λDASHII, λZAPII, λgt10, λgt11, Charon4A, 및/또는 Charon21A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플라스미드 벡터로서 pDZ 벡터, pBR계, pUC계, pBluescriptII계, pGEM계, pTZ계, pCL계, 및/또는 pET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CR2.1, pDC, pDZ, pACYC177, pACYC184, pCL, pECCG117, pUC19, pBR322, pMW118 및/또는 pCC1BAC 벡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미생물(또는 재조합 세포)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벡터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미생물(또는 재조합 세포)은 추가적으로 L-류신 생산이 증가되도록 하는 변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변이의 위치 및/또는 변이 대상이 되는 유전자의 종류는 L-류신 생산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이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미생물(또는 재조합 세포)은 추가적으로 L-류신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이 강화되도록 하는 변이를 포함할 수 있다. 효소의 활성이 강화된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미생물(재조합 세포)은 형질전환이 가능한 세포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또는 재조합 세포)은 L-류신 생산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또는 재조합 세포)은 재조합 전의 세포, 모균주, 및/또는 야생형 균주가 가지지 않는 L-류신 생산능을 가지게 되거나 또는 L-류신 생산능이 보다 향상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또는 재조합 세포)은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에 상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이 변이되어 그 활성이 재조합 전의 세포, 모균주, 및/또는 야생형 균주 비교하여 증가되거나, L-류신 및 이의 유도체에 대한 피드백 저해가 해제되거나, 효소의 활성 증가 및 피드백 저해의 해제가 모두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또는 재조합 세포)은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염색체 내에 통합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염색체 내의 유전자 부위에서 천연(native) leuA 유전자(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대해 교환되거나 추가의 유전자 부위에 통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L-류신 생산능을 갖는다"는 것은 자연적으로 류신 생산능을 갖는 세포 및/또는 미생물, 또는 류신 생산능이 없는 세포 및/또는 미생물에 류신 생산능이 부여된 미생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L-류신 생산능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이란 천연형 미생물 자체 또는 류신 생산 기작과 관련된 외부 유전자가 삽입되거나 내재적 유전자의 활성을 강화시키거나 불활성시켜 향상된 L-류신 생산능을 가지게 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의미한다.
상기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속(Corynebacterium sp.) 미생물일 수 있다.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 게네스(Corynebacterium ammoniagenes), 코리네박테리움 아세토액시도필럼(Corynebacterium acetoacidophilum), 코리네박테리움 아세토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acetoglutamicum), 코리네박테리움 알카노리티쿰(Corynebacterium alkanolyticum), 코리네박테리움 칼루내(Corynebacterium callunae), 코리네박테리움 릴리움(Corynebacterium lilium), 코리네박테리움 멜라쎄콜라(Corynebacterium melassecola), 코리네 박테리움 써모아미노게네스(Corynebacterium thermoaminogenes), 코리네박테리움 에피시엔스(Corynebacterium efficiens), 및/또는 코리네박테리움 헤르쿨리스(Corynebacterium herculis) 등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또는 재조합 세포)은 형질전환을 통해 인공적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미생물(또는 재조합 세포)은 일 구체예에 따른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를 포함하는 벡터로 형질전환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형질전환"은 유전자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숙주 세포 내에 도입하여 숙주세포 내에서 발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형질전환된 유전자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숙주 세포 내에서 발현될 수 있으면 숙주 세포의 염색체 내 삽입 또는 염색체 외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든 제한하지 않고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형질전환시키는 방법은 유전자를 세포 내로 도입하는 방법이면 제한 없이 포함되며, 숙주 세포에 따라 당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적합한 표준 기술을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 인산칼슘(CaPO4) 침전, 염화칼슘(CaCl2) 침전, 미세주입법(microinjection), 레트로바이러스 감염(retroviral infection), 폴리에틸렌글리콜(PEG)법, DEAE-덱스트란법, 양이온 리포좀법, 및/또는 초산 리튬-DMSO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미생물(또는 재조합 세포)은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염색체 내에 통합된 것일 수 있다. 상동 재조합은 일 예에 따른 벡터의 사용과 함께, 벡터에 의해 세포 내로 전달되는 일 예에 따른 폴리뉴클레오티드에 대한 염색체 상의 DNA 절편의 교환을 허용한다. 벡터의 고리형 DNA 분자 및 염색체 상의 표적 DNA 사이의 효율적인 재조합을 위해, 일 예에 따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는 교환될 DNA 영역에는 단부에 표적 부위에 상동성인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제공되고; 이들은 벡터의 통합 및 DNA의 교환 부위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염색체 내에서 천연 유전자 부위에서 천연 leuA 유전자에 대해 교환될 수 있거나 추가의 유전자 부위에 통합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미생물(또는 재조합 세포)을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류신의 생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방법은 배양된 배지 또는 미생물(또는 재조합 세포)에서 L-류신을 회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양은 당업계에 알려진 적절한 배지와 배양 조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고 적절한 방식으로 특정 균주의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배양 방법은 예를 들면, 회분식 배양(batch culture), 연속식 배양(continuous culture), 유가식 배양(fed-batch culture), 또는 이들의 조합 배양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생물(또는 재조합 세포)을 배양하기 위한 배지는 공지된 문헌(Manual of Methods for General Bacteriology. American Society for Bacteriology. Washington D.C., USA, 1981)을 참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배지에 다양한 탄소원, 질소원 및 미량원소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재조합 세포를 적당한 탄소원, 질소원, 아미노산, 비타민 등을 함유한 통상의 배지 내에서 온도 및/또는 pH 등을 조절하면서 배양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탄소원으로는 글루코스, 수크로스, 락토스, 프락토스, 말토스, 전분, 및/또는 셀룰로스와 같은 당 및 탄수화물, 대두유, 해바라기유, 피마자유, 및/또는 코코넛유 등과 같은 오일 및 지방,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및/또는 리놀레산과 같은 지방산, 글리세롤, 및/또는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이 포함된다. 이들 물질은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될 수 있는 질소원으로는 펩톤, 효모 추출물, 육즙, 맥아 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대두밀 및 요소 또는 무기 화합물, 예를 들면 황산 암모늄, 염화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질산암모늄이 포함될 수 있다. 질소원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될 수 있는 인의 공급원으로는 인산이수소칼륨 또는 인산수소이칼륨 또는 상응하는 나트륨-함유 염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배지는 성장에 필요한 황산마그네슘 또는 황산철과 같은 금속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외에, 아미노산 및 비타민과 같은 필수 성장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배지에 적절한 전구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지 또는 개별 성분은 배양과정에서 배양액에 적절한 방식에 의해 회분식으로 또는 연속식으로 첨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배양 중에 수산화암모늄, 수산화칼륨, 암모니아, 인산 및 황산과 같은 화합물을 미생물 배양액에 적절한 방식으로 첨가하여 배양액의 pH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배양 중에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와 같은 소포제를 사용하여 기포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배양액의 호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배양액 내로 산소 또는 산소-함유 기체(예,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배양액의 온도는 20℃ 내지 45℃, 25℃ 내지 40℃, 또는 30℃ 내지 37℃일 수 있다. 배양기간은 유용물질(예를 들면, L-류신)이 원하는 생산량으로 수득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0 내지 160 시간일 수 있다.
상기 배양된 미생물(또는 재조합 세포) 및/또는 배양 배지에서 L-류신을 분리 또는 회수하는 단계는 배양방법에 따라 당해 분야에 공지된 적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심분리, 여과, 추출, 분무, 건조, 증방, 침전, 결정화, 전기영동, 분별용해(예를 들면 암모늄 설페이트 침전), 및/또는 크로마토그래피(예를 들면 이온 교환, 친화성, 소수성 및 크기배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배양 배지는 미생물(또는 재조합 세포)을 배양한 배지를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L-류신을 분리 또는 회수하는 단계는 배양물을 저속 원심분리하여 바이오매스를 제거하고 얻어진 상등액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분리할 수 있다.
상기 L-류신의 생산방법은 L-류신을 정제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및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벡터를 포함하는 미생물(재조합 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류신 생산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사용하면 L-류신을 고수율로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들어 더욱 자세히 설명할 것이나, 하기 실시예로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 1. 변이된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를 암호화하는 DNA 라이브러리 제작
실시예 1-1. leuA 를 포함하는 벡터 제작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 활성을 갖는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leuA 변이 라이브러리를 제작하기 위해 우선 leuA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작하였다.
야생형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유래의 LeuA(2-isopropylmalate synthase) 단백질(서열번호 1, Uniprot accession code: P42455)을 암호화하는 leuA 유전자(서열번호 2)를 증폭하기 위하여,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13032 야생주의 염색체를 주형으로 서열번호 7 및 8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94℃에서 1분간 변성, 58℃에서 30초간 결합, 72℃에서 1분간 Pfu DNA 중합효소로 중합하는 조건을 25회 반복하는 PCR 방법을 수행하였다. 사용한 프라이머의 구체적인 서열은 표 1에 기재하였다.
증폭된 PCR 산물을 TOPO Cloning Kit(Invitrogen)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대장균 벡터 pCR2.1에 클로닝하여 'pCR-leuA'를 얻었다.
서열번호 서열(5'->3')
서열번호 7 ctaatctcga ggtcacccat gtctcctaac
서열번호 8 ggctggcggc gtttaaaacc ggttgat
실시예 1-2. leuA 변이 라이브러리 제작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작된 벡터를 기반으로 error-prone PCR kit (clontech Diversify® PCR Random Mutagenesis Kit)를 이용하여 leuA 변이 라이브러리를 제작하였다. 1000bp 당 0 내지 3개의 변이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에서, pCR-leuA 벡터를 주형으로 하여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1000bp 당 0 내지 3개의 변이가 발생하는 조건으로서, 94℃에서 30초 동안 프리-히팅(pre-heating) 후, 94℃에서 30초, 68℃에서 1분 30초의 과정을 25회(cycle) 반복하여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수득된 PCR 산물을 메가프라이머로(megaprimer)(50~125ng)로 하여 95℃에서 50초, 60℃에서 50초, 68℃에서 12분의 과정을 25회 반복하여 PCR 반응을 수행한 후 DpnI 처리하고, DpnI이 처리된 PCR 산물을 대장균 DH5α에 열 충격방법을 통해 형질전환하여 카나마이신(25mg/L)이 포함된 LB 고체배지에 도말하였다. 형질전환된 콜로니 20종을 선별한 후 플라스미드를 획득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2 mutations/kb 빈도로 서로 다른 위치에 변이가 도입된 것을 확인하였다. 약 20,000개의 형질전환된 대장균 콜로니를 취하여 플라스미드를 추출하였고, 이를 'pTOPO-leuA-라이브러리'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2. 제작한 라이브러리 평가 및 변이체 선별
실시예 2-1. L-류신 생산량이 증가된 변이 균주 선별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작된 pTOPO-leuA-라이브러리를 야생형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13032에 전기천공법으로 형질전환하고, 형질전환된 균주를 카나마이신 25mg/L를 함유한 영양배지(표 2)에 도말하여 변이 유전자가 삽입된 균주 10,000개의 콜로니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각 콜로니를 ATCC13032/pTOPO_leuA(mt) 1 내지 ATCC13032/pTOPO_leuA(mt) 10,000로 명명하였다. 확보된 10,000개의 콜로니 중 L-류신 생산량이 증가된 콜로니를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콜로니에 대해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발효 역가 평가를 진행하였다.
배지 종류 성분
생산배지 포도당 100g, (NH4)2SO4 40g, 대두 단백질(Soy Protein) 2.5g, 옥수수 침지 고형분(Corn Steep Solids) 5 g, 요소 3g, KH2PO4 1g, MgSO4·H2O 0.5g, 바이오틴 100㎍, 티아민 염산염 1,000㎍, 칼슘-판토텐산 2000㎍, 니코틴아미드 3,000㎍, CaCO3 30g; (증류수 1리터 기준), pH 7.0
영양배지 포도당 10g, 육즙 5g, 폴리펩톤 10g, 염화나트륨 2.5g, 효모엑기스 5g, 한천 20g, 유레아 2g (증류수 1리터 기준)
가압 살균한 생산배지(표 2) 25㎖에 25㎍/㎖의 카나마이신을 함유하는 250㎖ 코너-바풀 플라스크에 각 콜로니를 백금이를 이용하여 접종한 후, 30℃에서 60 시간 동안 200rpm으로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SHIMAZDU LC20A)를 이용한 방법에 의해 L-류신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확보된 10,000개의 콜로니 중 야생형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ATCC13032) 대비 L-류신 생산능이 가장 향상된 균주(ATCC13032/pTOPO_leuA(mt)5306) 1종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ATCC13032/pTOPO_leuA(mt)5306)에서 생산된 L-류신의 농도는 아래 표 3과 같다
균주명 L-류신 (g/L)
ATCC13032 0.87
ATCC13032/pTOPO_leuA(mt)5306 1.32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leuA 유전자에 변이가 있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pTOPO_leuA(mt) 5306 균주는 모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에 비해 L-류신 생산능이 약 1.5배 향상되었다.
실시예 2-2. L-류신 생산량이 증가된 변이 균주의 변이 확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pTOPO_leuA(mt) 5306 균주의 leuA 유전자 변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표 4에 기재된 서열번호 9 와 서열번호 10 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ATCC13032/pTOPO_leuA(mt)5306 균주의 DNA를 주형으로 하여 94℃에서 5분간 변성 후, 94℃에서 30초, 55℃에서 30초, 72℃에서 1분 30초를 30회 반복한 후, 72℃에서 5분의 조건으로 PCR을 수행하고 DNA시퀀싱을 진행하였다.
서열번호 서열(5'->3')
서열번호 9 AACACGACCGGCATCCCGTCGC
서열번호 10 AAATCATTTGAGAAAACTCGAGG
시퀀싱 결과, ATCC13032/pTOPO_leuA(mt)5306 균주는 leuA 유전자의 739번째, 740번째 뉴클레오티드인 CC가 TG로 치환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LeuA 단백질의 247번째(번역 개시코돈을 35 개 뒤로 표기하여 LeuA 단백질이 581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것(서열번호 16)으로 공지한 문헌에 기초하는 경우는 212 번째; 이하 247 번째로만 표기) 아미노산인 프롤린이 시스테인으로 치환된 변이체(이하, P247C)를 암호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LeuA 변이체(P247C)의 아미노산 서열 및 이를 암호화하는 leuA 변이체의 염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와 같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변이(P247C)가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L-류신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3. 선별된 변이 균주의 L-류신 생산능 확인
실시예 3-1. leuA 변이를 포함하는 삽입 벡터 제작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지정 돌연변이 생성(Site directed mutagenesis) 방법을 사용하여 선별된 변이(P247C)를 균주 내로 도입하기 위해, 삽입용 벡터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야생형(ATCC13032)의 염색체를 주형으로 서열번호 11 및 12의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13 및 14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94℃에서 5분간 변성 후에 94℃에서 30초, 55℃에서 30초, 72℃에서 1분 30초를 30회 반복한 후, 72℃에서 5분의 조건으로 PCR을 수행하였다. 사용한 프라이머의 구체적인 서열은 표 5에 기재하였다.
서열번호 서열(5'->3')
서열번호 11 GTGAATTCGAGCTCGGTACCCAAATCATTTGAGAAAACTCGAGGC
서열번호 12 GGTGATCATCTCAACGGTGGAACACAGGTTGATGATCATTGGGTT
서열번호 13 AACCCAATGATCATCAACCTGTGTTCCACCGTTGAGATGATCACC
서열번호 14 GGTCGACTCTAGAGGATCCCCAAGAAGGCAACATCGGACAGC
그 결과 얻어진 PCR 산물을 SmaI 제한효소로 절단시킨 선상의 pDZ 벡터와 In-Fusion 효소를 이용해 DNA 단편 간의 말단 15 base의 상동서열을 fusion 시켜 클로닝하여 LeuA의 247 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Pro)을 시스테인(Cys)으로 치환하는 벡터 'pDZ-leuA(P247C)'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2. ATCC13032 균주 내 leuA 유전자 변이 도입
상기 실시예 3-1에서 제작한 pDZ-leuA(P247C) 벡터를 ATCC13032에 전기천공법으로 형질전환하고 카나마이신(kanamycin) 25mg/L를 함유한 배지에서 상동성 서열의 재조합에 의해 염색체 상에 벡터가 삽입된 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1차 균주는 다시 2차 교차(cross-over)를 거쳐, leuA 유전자에 변이가 도입된 균주를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형질전환된 균주의 leuA 유전자 변이 도입의 여부는 서열번호 9과 서열번호 15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94℃ 5분 후, 94℃ 30초/55℃ 30초/72℃ 90초 30회반복, 72℃ 5분) 수행한 후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균주 염색체 내 leuA 유전자의 739번째, 740번째 뉴클레오티드인 CC가 TG로 치환되어, 247 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Pro)이 시스테인(Cys)으로 치환된 LeuA를 암호화하는 leuA 변이가 균주 내에 도입된 것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균주는 'ATCC13032_leuA_P247C'로 명명하였다. 사용한 프라이머의 구체적인 서열은 표 4 및 표 6에 기재하였다.
서열번호 서열(5'->3')
서열번호 15 ATCCATTCAATGGAGTCTGCG
실시예 3-3. 변이 균주의 L-류신 생산능 평가
상기 실시예 3-2에서 제작된 ATCC13032_leuA_P247C 균주의 L-류신 생산능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2의 방법과 유사하게, 플라스크 발효 역가 평가를 진행하였다. 생산배지 25㎖을 함유하는 250㎖ 코너-바풀 플라스크에 모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 및 ATCC13032_leuA_P247C을 각각 1백금이씩 접종한 후, 30℃에서 60시간 동안 200rpm으로 진탕 배양하여 L-류신을 생산하였다. 배양 종료 후 HPLC로 L-류신의 생산량을 측정하여, 각 균주에 대한 배양액 중의 L-류신 농도는 하기 표 7에 기재하였다.
균주명 L-류신(g/L)
ATCC13032 0.87
ATCC13032_leuA_P247C 1.35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ATCC13032_leuA_P247C는 모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에 비해 L-류신의 수율이 약 1.55 배 향상되었다.
실시예 4. 류신 생산 변이 균주에서 류신 생산능 평가
코리네박테리움 속 야생형의 균주는 L-류신을 미량 생산하므로, ATCC13032 유래의 류신 생산 균주를 제작하고, 상기 실시예 2에서 선별한 변이(P247C)를 도입하여 L-류신 생산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실험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4-1. L-류신 생산 균주 (CJL-8100 균주) 제조
고농도의 L-류신 생산을 위한 균주로서 (1) leuA 유전자의 1673 번째 뉴클레오티드인 G가 A로 치환되어 LeuA 단백질의 558 번째 아미노산인 알지닌이 히스티딘으로 치환되는 변이(R558H)와 (2) leuA 유전자의 1682 번째, 1683 번째 뉴클레오티드인 GC가 AT로 치환되어 561 번째 아미노산인 글리신이 아스파르트산으로 치환되는 변이(G561D)를 포함하는 ATCC13032 유래의 균주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의 leuA 유전자 변이를 포함하는 pDZ-leuA(R558H, G561D) 벡터(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36244호)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에 전기천공법으로 형질전환하고 카나마이신(kanamycin) 25mg/L를 함유한 배지에서 상동성 서열의 재조합에 의해 염색체 상에 벡터가 삽입된 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1차 균주는 다시 2차 교차(cross-over)를 거쳐, leuA 유전자의 변이가 도입된 균주를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형질전환된 균주의 변이 도입 여부는 서열번호 7과 서열번호 13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94℃ 5분 후, 94℃ 30초/55℃ 30초/72℃ 90초 30회 반복, 72℃ 5분)을 수행하고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R558H, G561D 변이가 도입된 것을 확인하였다. 사용한 프라이머의 구체적인 서열은 표 1 및 표 5에 기재하였다. pDZ-leuA(R558H, G561D) 벡터로 형질전환된 ATCC13032_leuA_(R558H, G561D) 균주를 'CJL-8100'으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4-2. leuA 변이를 포함하는 삽입 벡터 제작
본 실시예에서는 LeuA에 2개의 변이(R558H, G561D)가 도입된 L-류신 생산 균주인 CJL-8100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선별된 변이(P247C)를 도입하기 위해 삽입용 벡터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CJL-8100 균주의 염색체를 주형으로 서열번호 9 및 10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1 및 12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PCR을 수행하였다. PCR은 94℃에서 5분간 변성 후, 94℃에서 30초, 55℃에서 30초, 72℃에서 1분 30초를 30회 반복한 후, 72℃에서 5분간 중합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PCR 산물을 SmaI 제한효소로 절단시킨 선상의 pDZ 벡터와 In-Fusion 효소를 이용해 DNA 단편 간의 말단 15 base의 상동서열을 fusion 시켜 클로닝하여, 야생형 균주의 LeuA 아미노산 서열에서 558 번째 아미노산인 알지닌이 히스티딘으로 치환되고, 561 번째 아미노산인 글리신이 아스파르트산으로 치환된 LeuA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leuA 변이를 포함하고, LeuA의 247 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Pro)을 시스테인(Cys)으로 치환하는 벡터 pDZ-leuA(P247C, R558H, G561D)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3. CLJ-8100 균주 내 LeuA 변이체(P247C) 도입 및 평가
L-류신 생산 균주인 CJL-8100을 상기 실시예 4-2에서 제작한 pDZ-leuA(P247C, R558H, G561D) 벡터로 형질전환하고 상동성 서열의 재조합에 의해 염색체 상에 벡터가 삽입된 균주는 카나마이신(kanamycin) 25 mg/L를 함유한 배지에서 선별하였다. 선별된 1차 균주는 다시 2차 교차(cross-over)를 거쳐, 목표 유전자의 변이가 도입된 균주를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형질전환된 균주의 leuA유전자 변이 도입의 여부는 서열번호 9과 서열번호 15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94℃ 5분 후, 94℃ 30초/55℃ 30초/72℃ 90초 30회 반복, 72℃ 5분)을 수행한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균주 염색체 내 leuA 유전자의 1673 번째 뉴클레오티드인 G가 A로 치환되고, 1682 번째, 1683 번째 뉴클레오티드인 GC가 AT로 치환되었으며, 739번째, 740번째 뉴클레오티드인 CC가 TG로 치환되어 LeuA 단백질의 558 번째 아미노산인 알지닌이 히스티딘으로 치환되고, 561 번째 아미노산인 글리신이 아스파르트산으로 치환되고, 247 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Pro)이 시스테인(Cys)으로 치환된 LeuA 변이체(P247C, R558H, G561D)를 암호화하는 leuA 변이가 균주 내에 도입된 것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CJL8100_leuA_P247C 를 'CA13-8105'로 명명하고 부다페스트 조약 하의 국제기탁기관인 한국미생물보존센터(Korean CultureCenter of Microorganisms, KCCM)에 2020년 4월 29일자로 기탁하여 기탁번호 KCCM12709P를 부여 받았다. 상기 총 3종의 변이를 포함하는 LeuA 변이체(P247C, R558H, G561D)의 아미노산 서열 및 이를 암호화하는 leuA 변이체의 염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와 같다.
ATCC13032, 제작된 CJL-8100, 및 CA13-8105 균주의 L-류신의 생산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2와 같은 방식으로 플라스크 배양을 진행하였고, 배양 종료 후 HPLC를 이용하여, 모균주 및 변이 균주의 L-류신 생산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8에 기재하였다.
균주명 L-류신 (g/L)
ATCC13032 0.87
ATCC13032_leuA_(R558H, G561D) : CJL-8100 2.71
CJL8100_leuA_P247C: CA13-8105 3.52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L-류신 생산 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CJL8100은 모균주인 ATCC13032에 비해 L-류신 생산능이 약 130 % 향상되었다. CJL8100 균주 내 leuA_P247C 변이를 추가적으로 도입한 CA13-8105 균주는 모균주인 CJL8100 대비 L-류신 생산능이 약 150 % 향상되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LeuA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중 상기 247번째 위치의 아미노산이 L-류신 생산 활성에 중요한 위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4. LeuA 변이체가 도입된 균주에서의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4-3에서 제작한 L-류신 생산균주인 CJL-8100 및 CA13-8105에서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종배지(표 2의 생산배지) 25㎖을 함유하는 250㎖ 코너-바풀 플라스크에 상기 균주(CJL-8100, CA13-8105) 및 야생형 ATCC13032를 각각 1 백금이 접종한 후, 30℃에서 16 시간 동안 200rpm으로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은 버리고, 펠렛을 용균완충용액으로 세척 및 혼탁하여 구슬파쇄기로 세포를 파쇄하였다. 용균액의 단백질 정량은 브래드포드법을 따랐으며, 100㎍/㎖의 단백질이 포함된 용균액을 이용하였다. 이때, 생성되는 CoA를 이용한 환원에 의해 DTNB(5,5'-디티오비스-(2-니트로벤조산), 엘만(Ellman) 시약)로부터 형성된 티오니트로벤조에이트(TNB)로 인한 412nm에서의 흡광 변화를 측정하여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각 균주에서의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의 활성 측정 결과는 하기 표 9와 같다.
균주 상대적인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 활성 (%)
ATCC13032 100
ATCC13032_leuA_(R558H, G561D) : CJL-8100 113
CJL8100_leuA_P247C: CA13-8105 121
다음으로, 상기 효소의 류신에 대한 피드백 저해에 대한 해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류신이 2g/l 첨가된 조건에서 100㎍/㎖의 단백질이 포함된 용균액을 이용하였을 때 생성되는 CoA를 측정함으로써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각 균주에서의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의 활성측정 결과는 하기 표 10과 같다.
균주 류신 0g/l 류신 2g/l
상대적인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 활성 (%)
ATCC13032 100 36
ATCC13032_leuA_(R558H, G561D): CJL-8100 100 78
CJL8100_leuA_P247C: CA13-8105 100 88
상기 표 9 및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LeuA 변이체 발현벡터가 형질 전환된 L-류신 생산균주 CJL-8100 및 CA13-8105는 대조군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 13032에 비해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의 활성이 각각 1.13배, 1.21배로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L-류신 생산균주들은 류신이 2g/l 첨가된 조건에서도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 효소 활성을 각각 78%, 88% 로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여 류신에 의한 피드백 저해가 해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출원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출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2709P 20200429
<110> CJ CheilJedang Corporation <120> Novel polypeptide and a method of producing L-leucine using the same <130> DPP20194580KR <160> 16 <170> KoPatentIn 3.0 <210> 1 <211> 6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euA AA (616 aa) <400> 1 Met Ser Pro Asn Asp Ala Phe Ile Ser Ala Pro Ala Lys Ile Glu Thr 1 5 10 15 Pro Val Gly Pro Arg Asn Glu Gly Gln Pro Ala Trp Asn Lys Gln Arg 20 25 30 Gly Ser Ser Met Pro Val Asn Arg Tyr Met Pro Phe Glu Val Glu Val 35 40 45 Glu Asp Ile Ser Leu Pro Asp Arg Thr Trp Pro Asp Lys Lys Ile Thr 50 55 60 Val Ala Pro Gln Trp Cys Ala Val Asp Leu Arg Asp Gly Asn Gln Ala 65 70 75 80 Leu Ile Asp Pro Met Ser Pro Glu Arg Lys Arg Arg Met Phe Glu Leu 85 90 95 Leu Val Gln Met Gly Phe Lys Glu Ile Glu Val Gly Phe Pro Ser Ala 100 105 110 Ser Gln Thr Asp Phe Asp Phe Val Arg Glu Ile Ile Glu Lys Gly Met 115 120 125 Ile Pro Asp Asp Val Thr Ile Gln Val Leu Val Gln Ala Arg Glu His 130 135 140 Leu Ile Arg Arg Thr Phe Glu Ala Cys Glu Gly Ala Lys Asn Val Ile 145 150 155 160 Val His Phe Tyr Asn Ser Thr Ser Ile Leu Gln Arg Asn Val Val Phe 165 170 175 Arg Met Asp Lys Val Gln Val Lys Lys Leu Ala Thr Asp Ala Ala Glu 180 185 190 Leu Ile Lys Thr Ile Ala Gln Asp Tyr Pro Asp Thr Asn Trp Arg Trp 195 200 205 Gln Tyr Ser Pro Glu Ser Phe Thr Gly Thr Glu Val Glu Tyr Ala Lys 210 215 220 Glu Val Val Asp Ala Val Val Glu Val Met Asp Pro Thr Pro Glu Asn 225 230 235 240 Pro Met Ile Ile Asn Leu Pro Ser Thr Val Glu Met Ile Thr Pro Asn 245 250 255 Val Tyr Ala Asp Ser Ile Glu Trp Met His Arg Asn Leu Asn Arg Arg 260 265 270 Asp Ser Ile Ile Leu Ser Leu His Pro His Asn Asp Arg Gly Thr Gly 275 280 285 Val Gly Ala Ala Glu Leu Gly Tyr Met Ala Gly Ala Asp Arg Ile Glu 290 295 300 Gly Cys Leu Phe Gly Asn Gly Glu Arg Thr Gly Asn Val Cys Leu Val 305 310 315 320 Thr Leu Ala Leu Asn Met Leu Thr Gln Gly Val Asp Pro Gln Leu Asp 325 330 335 Phe Thr Asp Ile Arg Gln Ile Arg Ser Thr Val Glu Tyr Cys Asn Gln 340 345 350 Leu Arg Val Pro Glu Arg His Pro Tyr Gly Gly Asp Leu Val Phe Thr 355 360 365 Ala Phe Ser Gly Ser His Gln Asp Ala Val Asn Lys Gly Leu Asp Ala 370 375 380 Met Ala Ala Lys Val Gln Pro Gly Ala Ser Ser Thr Glu Val Ser Trp 385 390 395 400 Glu Gln Leu Arg Asp Thr Glu Trp Glu Val Pro Tyr Leu Pro Ile Asp 405 410 415 Pro Lys Asp Val Gly Arg Asp Tyr Glu Ala Val Ile Arg Val Asn Ser 420 425 430 Gln Ser Gly Lys Gly Gly Val Ala Tyr Ile Met Lys Thr Asp His Gly 435 440 445 Leu Gln Ile Pro Arg Ser Met Gln Val Glu Phe Ser Thr Val Val Gln 450 455 460 Asn Val Thr Asp Ala Glu Gly Gly Glu Val Asn Ser Lys Ala Met Trp 465 470 475 480 Asp Ile Phe Ala Thr Glu Tyr Leu Glu Arg Thr Ala Pro Val Glu Gln 485 490 495 Ile Ala Leu Arg Val Glu Asn Ala Gln Thr Glu Asn Glu Asp Ala Ser 500 505 510 Ile Thr Ala Glu Leu Ile His Asn Gly Lys Asp Val Thr Val Asp Gly 515 520 525 Arg Gly Asn Gly Pro Leu Ala Ala Tyr Ala Asn Ala Leu Glu Lys Leu 530 535 540 Gly Ile Asp Val Glu Ile Gln Glu Tyr Asn Gln His Ala Arg Thr Ser 545 550 555 560 Gly Asp Asp Ala Glu Ala Ala Ala Tyr Val Leu Ala Glu Val Asn Gly 565 570 575 Arg Lys Val Trp Gly Val Gly Ile Ala Gly Ser Ile Thr Tyr Ala Ser 580 585 590 Leu Lys Ala Val Thr Ser Ala Val Asn Arg Ala Leu Asp Val Asn His 595 600 605 Glu Ala Val Leu Ala Gly Gly Val 610 615 <210> 2 <211> 185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euA NT <400> 2 atgtctccta acgatgcatt catctccgca cctgccaaga tcgaaacccc agttgggcct 60 cgcaacgaag gccagccagc atggaataag cagcgtggct cctcaatgcc agttaaccgc 120 tacatgcctt tcgaggttga ggtagaagat atttctctgc cggaccgcac ttggccagat 180 aaaaaaatca ccgttgcacc tcagtggtgt gctgttgacc tgcgtgacgg caaccaggct 240 ctgattgatc cgatgtctcc tgagcgtaag cgccgcatgt ttgagctgct ggttcagatg 300 ggcttcaaag aaatcgaggt cggtttccct tcagcttccc agactgattt tgatttcgtt 360 cgtgagatca tcgaaaaggg catgatccct gacgatgtca ccattcaggt tctggttcag 420 gctcgtgagc acctgattcg ccgtactttt gaagcttgcg aaggcgcaaa aaacgttatc 480 gtgcacttct acaactccac ctccatcctg cagcgcaacg tggtgttccg catggacaag 540 gtgcaggtga agaagctggc taccgatgcc gctgaactaa tcaagaccat cgctcaggat 600 tacccagaca ccaactggcg ctggcagtac tcccctgagt ccttcaccgg cactgaggtt 660 gagtacgcca aggaagttgt ggacgcagtt gttgaggtca tggatccaac tcctgagaac 720 ccaatgatca tcaacctgcc ttccaccgtt gagatgatca cccctaacgt ttacgcagac 780 tccattgaat ggatgcaccg caatctaaac cgtcgtgatt ccattatcct gtccctgcac 840 ccgcacaatg accgtggcac cggcgttggc gcagctgagc tgggctacat ggctggcgct 900 gaccgcatcg aaggctgcct gttcggcaac ggcgagcgca ccggcaacgt ctgcctggtc 960 accctggcac tgaacatgct gacccagggc gttgaccctc agctggactt caccgatata 1020 cgccagatcc gcagcaccgt tgaatactgc aaccagctgc gcgttcctga gcgccaccca 1080 tacggcggtg acctggtctt caccgctttc tccggttccc accaggacgc tgtgaacaag 1140 ggtctggacg ccatggctgc caaggttcag ccaggtgcta gctccactga agtttcttgg 1200 gagcagctgc gcgacaccga atgggaggtt ccttacctgc ctatcgatcc aaaggatgtc 1260 ggtcgcgact acgaggctgt tatccgcgtg aactcccagt ccggcaaggg cggcgttgct 1320 tacatcatga agaccgatca cggtctgcag atccctcgct ccatgcaggt tgagttctcc 1380 accgttgtcc agaacgtcac cgacgctgag ggcggcgagg tcaactccaa ggcaatgtgg 1440 gatatcttcg ccaccgagta cctggagcgc accgcaccag ttgagcagat cgcgctgcgc 1500 gtcgagaacg ctcagaccga aaacgaggat gcatccatca ccgccgagct catccacaac 1560 ggcaaggacg tcaccgtcga tggccgcggc aacggcccac tggccgctta cgccaacgcg 1620 ctggagaagc tgggcatcga cgttgagatc caggaataca accagcacgc ccgcacctcg 1680 ggcgacgatg cagaagcagc cgcctacgtg ctggctgagg tcaacggccg caaggtctgg 1740 ggcgtcggca tcgctggctc catcacctac gcttcgctga aggcagtgac ctccgccgta 1800 aaccgcgcgc tggacgtcaa ccacgaggca gtcctggctg gcggcgttta a 1851 <210> 3 <211> 6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euA P247C AA (616 aa) <400> 3 Met Ser Pro Asn Asp Ala Phe Ile Ser Ala Pro Ala Lys Ile Glu Thr 1 5 10 15 Pro Val Gly Pro Arg Asn Glu Gly Gln Pro Ala Trp Asn Lys Gln Arg 20 25 30 Gly Ser Ser Met Pro Val Asn Arg Tyr Met Pro Phe Glu Val Glu Val 35 40 45 Glu Asp Ile Ser Leu Pro Asp Arg Thr Trp Pro Asp Lys Lys Ile Thr 50 55 60 Val Ala Pro Gln Trp Cys Ala Val Asp Leu Arg Asp Gly Asn Gln Ala 65 70 75 80 Leu Ile Asp Pro Met Ser Pro Glu Arg Lys Arg Arg Met Phe Glu Leu 85 90 95 Leu Val Gln Met Gly Phe Lys Glu Ile Glu Val Gly Phe Pro Ser Ala 100 105 110 Ser Gln Thr Asp Phe Asp Phe Val Arg Glu Ile Ile Glu Lys Gly Met 115 120 125 Ile Pro Asp Asp Val Thr Ile Gln Val Leu Val Gln Ala Arg Glu His 130 135 140 Leu Ile Arg Arg Thr Phe Glu Ala Cys Glu Gly Ala Lys Asn Val Ile 145 150 155 160 Val His Phe Tyr Asn Ser Thr Ser Ile Leu Gln Arg Asn Val Val Phe 165 170 175 Arg Met Asp Lys Val Gln Val Lys Lys Leu Ala Thr Asp Ala Ala Glu 180 185 190 Leu Ile Lys Thr Ile Ala Gln Asp Tyr Pro Asp Thr Asn Trp Arg Trp 195 200 205 Gln Tyr Ser Pro Glu Ser Phe Thr Gly Thr Glu Val Glu Tyr Ala Lys 210 215 220 Glu Val Val Asp Ala Val Val Glu Val Met Asp Pro Thr Pro Glu Asn 225 230 235 240 Pro Met Ile Ile Asn Leu Cys Ser Thr Val Glu Met Ile Thr Pro Asn 245 250 255 Val Tyr Ala Asp Ser Ile Glu Trp Met His Arg Asn Leu Asn Arg Arg 260 265 270 Asp Ser Ile Ile Leu Ser Leu His Pro His Asn Asp Arg Gly Thr Gly 275 280 285 Val Gly Ala Ala Glu Leu Gly Tyr Met Ala Gly Ala Asp Arg Ile Glu 290 295 300 Gly Cys Leu Phe Gly Asn Gly Glu Arg Thr Gly Asn Val Cys Leu Val 305 310 315 320 Thr Leu Ala Leu Asn Met Leu Thr Gln Gly Val Asp Pro Gln Leu Asp 325 330 335 Phe Thr Asp Ile Arg Gln Ile Arg Ser Thr Val Glu Tyr Cys Asn Gln 340 345 350 Leu Arg Val Pro Glu Arg His Pro Tyr Gly Gly Asp Leu Val Phe Thr 355 360 365 Ala Phe Ser Gly Ser His Gln Asp Ala Val Asn Lys Gly Leu Asp Ala 370 375 380 Met Ala Ala Lys Val Gln Pro Gly Ala Ser Ser Thr Glu Val Ser Trp 385 390 395 400 Glu Gln Leu Arg Asp Thr Glu Trp Glu Val Pro Tyr Leu Pro Ile Asp 405 410 415 Pro Lys Asp Val Gly Arg Asp Tyr Glu Ala Val Ile Arg Val Asn Ser 420 425 430 Gln Ser Gly Lys Gly Gly Val Ala Tyr Ile Met Lys Thr Asp His Gly 435 440 445 Leu Gln Ile Pro Arg Ser Met Gln Val Glu Phe Ser Thr Val Val Gln 450 455 460 Asn Val Thr Asp Ala Glu Gly Gly Glu Val Asn Ser Lys Ala Met Trp 465 470 475 480 Asp Ile Phe Ala Thr Glu Tyr Leu Glu Arg Thr Ala Pro Val Glu Gln 485 490 495 Ile Ala Leu Arg Val Glu Asn Ala Gln Thr Glu Asn Glu Asp Ala Ser 500 505 510 Ile Thr Ala Glu Leu Ile His Asn Gly Lys Asp Val Thr Val Asp Gly 515 520 525 Arg Gly Asn Gly Pro Leu Ala Ala Tyr Ala Asn Ala Leu Glu Lys Leu 530 535 540 Gly Ile Asp Val Glu Ile Gln Glu Tyr Asn Gln His Ala Arg Thr Ser 545 550 555 560 Gly Asp Asp Ala Glu Ala Ala Ala Tyr Val Leu Ala Glu Val Asn Gly 565 570 575 Arg Lys Val Trp Gly Val Gly Ile Ala Gly Ser Ile Thr Tyr Ala Ser 580 585 590 Leu Lys Ala Val Thr Ser Ala Val Asn Arg Ala Leu Asp Val Asn His 595 600 605 Glu Ala Val Leu Ala Gly Gly Val 610 615 <210> 4 <211> 185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euA P247C NT <400> 4 atgtctccta acgatgcatt catctccgca cctgccaaga tcgaaacccc agttgggcct 60 cgcaacgaag gccagccagc atggaataag cagcgtggct cctcaatgcc agttaaccgc 120 tacatgcctt tcgaggttga ggtagaagat atttctctgc cggaccgcac ttggccagat 180 aaaaaaatca ccgttgcacc tcagtggtgt gctgttgacc tgcgtgacgg caaccaggct 240 ctgattgatc cgatgtctcc tgagcgtaag cgccgcatgt ttgagctgct ggttcagatg 300 ggcttcaaag aaatcgaggt cggtttccct tcagcttccc agactgattt tgatttcgtt 360 cgtgagatca tcgaaaaggg catgatccct gacgatgtca ccattcaggt tctggttcag 420 gctcgtgagc acctgattcg ccgtactttt gaagcttgcg aaggcgcaaa aaacgttatc 480 gtgcacttct acaactccac ctccatcctg cagcgcaacg tggtgttccg catggacaag 540 gtgcaggtga agaagctggc taccgatgcc gctgaactaa tcaagaccat cgctcaggat 600 tacccagaca ccaactggcg ctggcagtac tcccctgagt ccttcaccgg cactgaggtt 660 gagtacgcca aggaagttgt ggacgcagtt gttgaggtca tggatccaac tcctgagaac 720 ccaatgatca tcaacctgtg ttccaccgtt gagatgatca cccctaacgt ttacgcagac 780 tccattgaat ggatgcaccg caatctaaac cgtcgtgatt ccattatcct gtccctgcac 840 ccgcacaatg accgtggcac cggcgttggc gcagctgagc tgggctacat ggctggcgct 900 gaccgcatcg aaggctgcct gttcggcaac ggcgagcgca ccggcaacgt ctgcctggtc 960 accctggcac tgaacatgct gacccagggc gttgaccctc agctggactt caccgatata 1020 cgccagatcc gcagcaccgt tgaatactgc aaccagctgc gcgttcctga gcgccaccca 1080 tacggcggtg acctggtctt caccgctttc tccggttccc accaggacgc tgtgaacaag 1140 ggtctggacg ccatggctgc caaggttcag ccaggtgcta gctccactga agtttcttgg 1200 gagcagctgc gcgacaccga atgggaggtt ccttacctgc ctatcgatcc aaaggatgtc 1260 ggtcgcgact acgaggctgt tatccgcgtg aactcccagt ccggcaaggg cggcgttgct 1320 tacatcatga agaccgatca cggtctgcag atccctcgct ccatgcaggt tgagttctcc 1380 accgttgtcc agaacgtcac cgacgctgag ggcggcgagg tcaactccaa ggcaatgtgg 1440 gatatcttcg ccaccgagta cctggagcgc accgcaccag ttgagcagat cgcgctgcgc 1500 gtcgagaacg ctcagaccga aaacgaggat gcatccatca ccgccgagct catccacaac 1560 ggcaaggacg tcaccgtcga tggccgcggc aacggcccac tggccgctta cgccaacgcg 1620 ctggagaagc tgggcatcga cgttgagatc caggaataca accagcacgc ccgcacctcg 1680 ggcgacgatg cagaagcagc cgcctacgtg ctggctgagg tcaacggccg caaggtctgg 1740 ggcgtcggca tcgctggctc catcacctac gcttcgctga aggcagtgac ctccgccgta 1800 aaccgcgcgc tggacgtcaa ccacgaggca gtcctggctg gcggcgttta a 1851 <210> 5 <211> 6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euA P247C R558H G561D AA (616 aa) <400> 5 Met Ser Pro Asn Asp Ala Phe Ile Ser Ala Pro Ala Lys Ile Glu Thr 1 5 10 15 Pro Val Gly Pro Arg Asn Glu Gly Gln Pro Ala Trp Asn Lys Gln Arg 20 25 30 Gly Ser Ser Met Pro Val Asn Arg Tyr Met Pro Phe Glu Val Glu Val 35 40 45 Glu Asp Ile Ser Leu Pro Asp Arg Thr Trp Pro Asp Lys Lys Ile Thr 50 55 60 Val Ala Pro Gln Trp Cys Ala Val Asp Leu Arg Asp Gly Asn Gln Ala 65 70 75 80 Leu Ile Asp Pro Met Ser Pro Glu Arg Lys Arg Arg Met Phe Glu Leu 85 90 95 Leu Val Gln Met Gly Phe Lys Glu Ile Glu Val Gly Phe Pro Ser Ala 100 105 110 Ser Gln Thr Asp Phe Asp Phe Val Arg Glu Ile Ile Glu Lys Gly Met 115 120 125 Ile Pro Asp Asp Val Thr Ile Gln Val Leu Val Gln Ala Arg Glu His 130 135 140 Leu Ile Arg Arg Thr Phe Glu Ala Cys Glu Gly Ala Lys Asn Val Ile 145 150 155 160 Val His Phe Tyr Asn Ser Thr Ser Ile Leu Gln Arg Asn Val Val Phe 165 170 175 Arg Met Asp Lys Val Gln Val Lys Lys Leu Ala Thr Asp Ala Ala Glu 180 185 190 Leu Ile Lys Thr Ile Ala Gln Asp Tyr Pro Asp Thr Asn Trp Arg Trp 195 200 205 Gln Tyr Ser Pro Glu Ser Phe Thr Gly Thr Glu Val Glu Tyr Ala Lys 210 215 220 Glu Val Val Asp Ala Val Val Glu Val Met Asp Pro Thr Pro Glu Asn 225 230 235 240 Pro Met Ile Ile Asn Leu Cys Ser Thr Val Glu Met Ile Thr Pro Asn 245 250 255 Val Tyr Ala Asp Ser Ile Glu Trp Met His Arg Asn Leu Asn Arg Arg 260 265 270 Asp Ser Ile Ile Leu Ser Leu His Pro His Asn Asp Arg Gly Thr Gly 275 280 285 Val Gly Ala Ala Glu Leu Gly Tyr Met Ala Gly Ala Asp Arg Ile Glu 290 295 300 Gly Cys Leu Phe Gly Asn Gly Glu Arg Thr Gly Asn Val Cys Leu Val 305 310 315 320 Thr Leu Ala Leu Asn Met Leu Thr Gln Gly Val Asp Pro Gln Leu Asp 325 330 335 Phe Thr Asp Ile Arg Gln Ile Arg Ser Thr Val Glu Tyr Cys Asn Gln 340 345 350 Leu Arg Val Pro Glu Arg His Pro Tyr Gly Gly Asp Leu Val Phe Thr 355 360 365 Ala Phe Ser Gly Ser His Gln Asp Ala Val Asn Lys Gly Leu Asp Ala 370 375 380 Met Ala Ala Lys Val Gln Pro Gly Ala Ser Ser Thr Glu Val Ser Trp 385 390 395 400 Glu Gln Leu Arg Asp Thr Glu Trp Glu Val Pro Tyr Leu Pro Ile Asp 405 410 415 Pro Lys Asp Val Gly Arg Asp Tyr Glu Ala Val Ile Arg Val Asn Ser 420 425 430 Gln Ser Gly Lys Gly Gly Val Ala Tyr Ile Met Lys Thr Asp His Gly 435 440 445 Leu Gln Ile Pro Arg Ser Met Gln Val Glu Phe Ser Thr Val Val Gln 450 455 460 Asn Val Thr Asp Ala Glu Gly Gly Glu Val Asn Ser Lys Ala Met Trp 465 470 475 480 Asp Ile Phe Ala Thr Glu Tyr Leu Glu Arg Thr Ala Pro Val Glu Gln 485 490 495 Ile Ala Leu Arg Val Glu Asn Ala Gln Thr Glu Asn Glu Asp Ala Ser 500 505 510 Ile Thr Ala Glu Leu Ile His Asn Gly Lys Asp Val Thr Val Asp Gly 515 520 525 Arg Gly Asn Gly Pro Leu Ala Ala Tyr Ala Asn Ala Leu Glu Lys Leu 530 535 540 Gly Ile Asp Val Glu Ile Gln Glu Tyr Asn Gln His Ala His Thr Ser 545 550 555 560 Asp Asp Asp Ala Glu Ala Ala Ala Tyr Val Leu Ala Glu Val Asn Gly 565 570 575 Arg Lys Val Trp Gly Val Gly Ile Ala Gly Ser Ile Thr Tyr Ala Ser 580 585 590 Leu Lys Ala Val Thr Ser Ala Val Asn Arg Ala Leu Asp Val Asn His 595 600 605 Glu Ala Val Leu Ala Gly Gly Val 610 615 <210> 6 <211> 185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euA P247C R558H G561D NT <400> 6 atgtctccta acgatgcatt catctccgca cctgccaaga tcgaaacccc agttgggcct 60 cgcaacgaag gccagccagc atggaataag cagcgtggct cctcaatgcc agttaaccgc 120 tacatgcctt tcgaggttga ggtagaagat atttctctgc cggaccgcac ttggccagat 180 aaaaaaatca ccgttgcacc tcagtggtgt gctgttgacc tgcgtgacgg caaccaggct 240 ctgattgatc cgatgtctcc tgagcgtaag cgccgcatgt ttgagctgct ggttcagatg 300 ggcttcaaag aaatcgaggt cggtttccct tcagcttccc agactgattt tgatttcgtt 360 cgtgagatca tcgaaaaggg catgatccct gacgatgtca ccattcaggt tctggttcag 420 gctcgtgagc acctgattcg ccgtactttt gaagcttgcg aaggcgcaaa aaacgttatc 480 gtgcacttct acaactccac ctccatcctg cagcgcaacg tggtgttccg catggacaag 540 gtgcaggtga agaagctggc taccgatgcc gctgaactaa tcaagaccat cgctcaggat 600 tacccagaca ccaactggcg ctggcagtac tcccctgagt ccttcaccgg cactgaggtt 660 gagtacgcca aggaagttgt ggacgcagtt gttgaggtca tggatccaac tcctgagaac 720 ccaatgatca tcaacctgtg ttccaccgtt gagatgatca cccctaacgt ttacgcagac 780 tccattgaat ggatgcaccg caatctaaac cgtcgtgatt ccattatcct gtccctgcac 840 ccgcacaatg accgtggcac cggcgttggc gcagctgagc tgggctacat ggctggcgct 900 gaccgcatcg aaggctgcct gttcggcaac ggcgagcgca ccggcaacgt ctgcctggtc 960 accctggcac tgaacatgct gacccagggc gttgaccctc agctggactt caccgatata 1020 cgccagatcc gcagcaccgt tgaatactgc aaccagctgc gcgttcctga gcgccaccca 1080 tacggcggtg acctggtctt caccgctttc tccggttccc accaggacgc tgtgaacaag 1140 ggtctggacg ccatggctgc caaggttcag ccaggtgcta gctccactga agtttcttgg 1200 gagcagctgc gcgacaccga atgggaggtt ccttacctgc ctatcgatcc aaaggatgtc 1260 ggtcgcgact acgaggctgt tatccgcgtg aactcccagt ccggcaaggg cggcgttgct 1320 tacatcatga agaccgatca cggtctgcag atccctcgct ccatgcaggt tgagttctcc 1380 accgttgtcc agaacgtcac cgacgctgag ggcggcgagg tcaactccaa ggcaatgtgg 1440 gatatcttcg ccaccgagta cctggagcgc accgcaccag ttgagcagat cgcgctgcgc 1500 gtcgagaacg ctcagaccga aaacgaggat gcatccatca ccgccgagct catccacaac 1560 ggcaaggacg tcaccgtcga tggccgcggc aacggcccac tggccgctta cgccaacgcg 1620 ctggagaagc tgggcatcga cgttgagatc caggaataca accagcacgc ccacacctcg 1680 gatgacgatg cagaagcagc cgcctacgtg ctggctgagg tcaacggccg caaggtctgg 1740 ggcgtcggca tcgctggctc catcacctac gcttcgctga aggcagtgac ctccgccgta 1800 aaccgcgcgc tggacgtcaa ccacgaggca gtcctggctg gcggcgttta a 1851 <210> 7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leuA_F <400> 7 ctaatctcga ggtcacccat gtctcctaac 30 <210> 8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leuA_R <400> 8 ggctggcggc gtttaaaacc ggttgat 27 <210> 9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euA_sequencing_F <400> 9 aacacgaccg gcatcccgtc gc 22 <210> 10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euA_sequencing_R <400> 10 aaatcatttg agaaaactcg agg 23 <210> 11 <211> 4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euA_P247C_Up_F <400> 11 gtgaattcga gctcggtacc caaatcattt gagaaaactc gaggc 45 <210> 12 <211> 4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euA_P247C_Up_R <400> 12 ggtgatcatc tcaacggtgg aacacaggtt gatgatcatt gggtt 45 <210> 13 <211> 4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euA_P247C_Down_F <400> 13 aacccaatga tcatcaacct gtgttccacc gttgagatga tcacc 45 <210> 14 <211> 4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euA_P247C_Down_R <400> 14 ggtcgactct agaggatccc caagaaggca acatcggaca gc 42 <210> 1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euA_sequencing_R <400> 15 atccattcaa tggagtctgc g 21 <210> 16 <211> 58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euA AA (581 aa) <400> 16 Met Pro Val Asn Arg Tyr Met Pro Phe Glu Val Glu Val Glu Asp Ile 1 5 10 15 Ser Leu Pro Asp Arg Thr Trp Pro Asp Lys Lys Ile Thr Val Ala Pro 20 25 30 Gln Trp Cys Ala Val Asp Leu Arg Asp Gly Asn Gln Ala Leu Ile Asp 35 40 45 Pro Met Ser Pro Glu Arg Lys Arg Arg Met Phe Glu Leu Leu Val Gln 50 55 60 Met Gly Phe Lys Glu Ile Glu Val Gly Phe Pro Ser Ala Ser Gln Thr 65 70 75 80 Asp Phe Asp Phe Val Arg Glu Ile Ile Glu Lys Gly Met Ile Pro Asp 85 90 95 Asp Val Thr Ile Gln Val Leu Val Gln Ala Arg Glu His Leu Ile Arg 100 105 110 Arg Thr Phe Glu Ala Cys Glu Gly Ala Lys Asn Val Ile Val His Phe 115 120 125 Tyr Asn Ser Thr Ser Ile Leu Gln Arg Asn Val Val Phe Arg Met Asp 130 135 140 Lys Val Gln Val Lys Lys Leu Ala Thr Asp Ala Ala Glu Leu Ile Lys 145 150 155 160 Thr Ile Ala Gln Asp Tyr Pro Asp Thr Asn Trp Arg Trp Gln Tyr Ser 165 170 175 Pro Glu Ser Phe Thr Gly Thr Glu Val Glu Tyr Ala Lys Glu Val Val 180 185 190 Asp Ala Val Val Glu Val Met Asp Pro Thr Pro Glu Asn Pro Met Ile 195 200 205 Ile Asn Leu Pro Ser Thr Val Glu Met Ile Thr Pro Asn Val Tyr Ala 210 215 220 Asp Ser Ile Glu Trp Met His Arg Asn Leu Asn Arg Arg Asp Ser Ile 225 230 235 240 Ile Leu Ser Leu His Pro His Asn Asp Arg Gly Thr Gly Val Gly Ala 245 250 255 Ala Glu Leu Gly Tyr Met Ala Gly Ala Asp Arg Ile Glu Gly Cys Leu 260 265 270 Phe Gly Asn Gly Glu Arg Thr Gly Asn Val Cys Leu Val Thr Leu Ala 275 280 285 Leu Asn Met Leu Thr Gln Gly Val Asp Pro Gln Leu Asp Phe Thr Asp 290 295 300 Ile Arg Gln Ile Arg Ser Thr Val Glu Tyr Cys Asn Gln Leu Arg Val 305 310 315 320 Pro Glu Arg His Pro Tyr Gly Gly Asp Leu Val Phe Thr Ala Phe Ser 325 330 335 Gly Ser His Gln Asp Ala Val Asn Lys Gly Leu Asp Ala Met Ala Ala 340 345 350 Lys Val Gln Pro Gly Ala Ser Ser Thr Glu Val Ser Trp Glu Gln Leu 355 360 365 Arg Asp Thr Glu Trp Glu Val Pro Tyr Leu Pro Ile Asp Pro Lys Asp 370 375 380 Val Gly Arg Asp Tyr Glu Ala Val Ile Arg Val Asn Ser Gln Ser Gly 385 390 395 400 Lys Gly Gly Val Ala Tyr Ile Met Lys Thr Asp His Gly Leu Gln Ile 405 410 415 Pro Arg Ser Met Gln Val Glu Phe Ser Thr Val Val Gln Asn Val Thr 420 425 430 Asp Ala Glu Gly Gly Glu Val Asn Ser Lys Ala Met Trp Asp Ile Phe 435 440 445 Ala Thr Glu Tyr Leu Glu Arg Thr Ala Pro Val Glu Gln Ile Ala Leu 450 455 460 Arg Val Glu Asn Ala Gln Thr Glu Asn Glu Asp Ala Ser Ile Thr Ala 465 470 475 480 Glu Leu Ile His Asn Gly Lys Asp Val Thr Val Asp Gly Arg Gly Asn 485 490 495 Gly Pro Leu Ala Ala Tyr Ala Asn Ala Leu Glu Lys Leu Gly Ile Asp 500 505 510 Val Glu Ile Gln Glu Tyr Asn Gln His Ala Arg Thr Ser Gly Asp Asp 515 520 525 Ala Glu Ala Ala Ala Tyr Val Leu Ala Glu Val Asn Gly Arg Lys Val 530 535 540 Trp Gly Val Gly Ile Ala Gly Ser Ile Thr Tyr Ala Ser Leu Lys Ala 545 550 555 560 Val Thr Ser Ala Val Asn Arg Ala Leu Asp Val Asn His Glu Ala Val 565 570 575 Leu Ala Gly Gly Val 580

Claims (13)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247 번째 프롤린(proline) 아미노산 잔기가 시스테인(cysteine)으로 치환된,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isopropylmalate synthase) 활성을 가지는 변이형 폴리펩티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변이형 폴리펩티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558 번째 알지닌(arginine) 아미노산 잔기가 히스티딘(histidine)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561 번째 글리신(glycine) 아미노산 잔기가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 또는
    이들 모두에 의하여 추가로 변이된 것인, 변이형 폴리펩티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변이형 폴리펩티드.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7. 제6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8.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변이형 폴리펩티드, 상기 변이형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미생물로서,
    상기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인, 미생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L-류신 생산능을 갖는 것인, 미생물.
  10. 삭제
  11. 삭제
  12. 제8항의 미생물을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류신의 생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배양된 배지 또는 미생물에서 L-류신을 회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L-류신의 생산 방법.
KR1020200060578A 2020-05-20 2020-05-20 신규한 폴리펩티드 및 이를 이용한 l-류신의 생산 방법 Active KR102360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578A KR102360900B1 (ko) 2020-05-20 2020-05-20 신규한 폴리펩티드 및 이를 이용한 l-류신의 생산 방법
JP2022562152A JP7584536B2 (ja) 2020-05-20 2021-05-13 新規なポリペプチド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l-ロイシンの生産方法
EP21809542.0A EP4155395A4 (en) 2020-05-20 2021-05-13 NEW POLYPEPTIDE AND METHOD FOR PRODUCING L-LEUCINE THEREOF
AU2021276867A AU2021276867B2 (en) 2020-05-20 2021-05-13 Novel polypeptide and method for producing L-leucine using same
CN202180027726.2A CN115516087B (zh) 2020-05-20 2021-05-13 新多肽和使用该多肽生产l-亮氨酸的方法
PCT/KR2021/006033 WO2021235775A1 (ko) 2020-05-20 2021-05-13 신규한 폴리펩티드 및 이를 이용한 l-류신의 생산 방법
US17/760,462 US20230088135A1 (en) 2020-05-20 2021-05-13 Novel polypeptide and method for producing l-leucine using same
MX2022014581A MX2022014581A (es) 2020-05-20 2021-05-13 Polipeptido novedoso y metodo para producir l-leucina usando el mismo.
CA3172407A CA3172407A1 (en) 2020-05-20 2021-05-13 Novel polypeptide and method for producing l-leucine using same
ARP210101354A AR122115A1 (es) 2020-05-20 2021-05-17 Polipéptido novedoso y un método para producir l-leucina que utiliza el mismo
ZA2022/09243A ZA202209243B (en) 2020-05-20 2022-08-17 Novel polypeptide and method for producing l-leucine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578A KR102360900B1 (ko) 2020-05-20 2020-05-20 신규한 폴리펩티드 및 이를 이용한 l-류신의 생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591A KR20210143591A (ko) 2021-11-29
KR102360900B1 true KR102360900B1 (ko) 2022-02-09

Family

ID=78698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578A Active KR102360900B1 (ko) 2020-05-20 2020-05-20 신규한 폴리펩티드 및 이를 이용한 l-류신의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30088135A1 (ko)
EP (1) EP4155395A4 (ko)
JP (1) JP7584536B2 (ko)
KR (1) KR102360900B1 (ko)
CN (1) CN115516087B (ko)
AR (1) AR122115A1 (ko)
AU (1) AU2021276867B2 (ko)
CA (1) CA3172407A1 (ko)
MX (1) MX2022014581A (ko)
WO (1) WO2021235775A1 (ko)
ZA (1) ZA202209243B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01454C2 (ru) * 1999-07-09 2003-03-27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Аджиномото-Генетика" Мутантная альфа-изопропилмалат синтаза (ipms), днк, кодирующая мутантную ipms,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штамма escherichia coli,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l-лейцина
JP4623825B2 (ja) * 1999-12-16 2011-02-02 協和発酵バイオ株式会社 新規ポリヌクレオチド
WO2010141468A1 (en) * 2009-06-01 2010-12-09 Way Jeffrey C Methods and molecules for yield improvement involving metabolic engineering
PL2841568T3 (pl) * 2012-04-27 2018-07-31 Evonik Technochemie Gmbh Odporne na sprzężenie zwrotne syntazy alfa-izopropylojabłczanowe
KR101796830B1 (ko) * 2015-08-25 2017-11-13 씨제이제일제당 (주) L-류신 생산능을 가지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류신의 제조방법
CN108884449B (zh) * 2016-12-28 2022-01-25 Cj第一制糖株式会社 新型异丙基苹果酸合酶变异体及使用其生产l-亮氨酸的方法
CN106754807B (zh) * 2016-12-29 2020-10-30 廊坊梅花生物技术开发有限公司 生产l-亮氨酸菌株和生产l-亮氨酸的方法
CN109456987B (zh) * 2018-10-26 2021-05-25 天津科技大学 高产l-亮氨酸的相关基因及工程菌构建方法与应用
CN110551670B (zh) * 2019-09-19 2020-09-25 天津科技大学 一种生产l-亮氨酸的基因工程菌及其应用
CN110540976B (zh) * 2019-08-29 2020-07-24 天津科技大学 一种异丙基苹果酸合成酶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16087B (zh) 2025-04-15
EP4155395A4 (en) 2024-05-15
AU2021276867B2 (en) 2024-07-11
US20230088135A1 (en) 2023-03-23
JP7584536B2 (ja) 2024-11-15
JP2023521189A (ja) 2023-05-23
KR20210143591A (ko) 2021-11-29
ZA202209243B (en) 2023-12-20
WO2021235775A1 (ko) 2021-11-25
AR122115A1 (es) 2022-08-17
EP4155395A1 (en) 2023-03-29
CN115516087A (zh) 2022-12-23
AU2021276867A1 (en) 2022-09-15
MX2022014581A (es) 2023-01-16
CA3172407A1 (en)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875B1 (ko) 신규한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류신의 생산 방법
KR102434925B1 (ko) 3-메틸-2-옥소뷰타노에이트 하이드록시 메틸트랜스퍼라아제의 활성이 강화된 미생물, 및 이의 용도
KR20240017394A (ko) L-시트룰린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l-시트룰린의 생산 방법
KR102589135B1 (ko) 3-메틸-2-옥소뷰타노에이트 하이드록시 메틸트랜스퍼라아제의 활성이 강화된 미생물, 및 이의 용도
KR102360900B1 (ko) 신규한 폴리펩티드 및 이를 이용한 l-류신의 생산 방법
CN115044521B (zh) L-赖氨酸生产能力得到提高的谷氨酸棒状杆菌突变株及利用其的l-赖氨酸的生产方法
KR102527895B1 (ko) GlxR 단백질 변이체 또는 이를 이용한 쓰레오닌 생산방법
RU2811433C1 (ru) Новый полипептид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l-лейцина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JP7683040B2 (ja) L-リシン生産能が向上したコリネバクテリウム・グルタミカム変異株及びそれを用いたl-リシンの生産方法
KR102685495B1 (ko)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
JP7683041B2 (ja) L-リシン生産能が向上したコリネバクテリウム・グルタミカム変異株及びそれを用いたl-リシンの生産方法
KR102527102B1 (ko)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류신의 생산 방법
KR102668767B1 (ko)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
KR102616694B1 (ko) 쉬와넬라 아틀란티카 유래 단백질을 발현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아미노산 생산 방법
KR20230053351A (ko)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
JP2024014656A (ja) L-アルギニンまたはl-シトルリン生産能が向上したコリネバクテリウム属微生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l-アルギニンまたはl-シトルリンの生産方法
CN111676205A (zh) L-赖氨酸生产力提高的微生物和利用其生产l-赖氨酸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