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58300B1 -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300B1
KR102358300B1 KR1020210145638A KR20210145638A KR102358300B1 KR 102358300 B1 KR102358300 B1 KR 102358300B1 KR 1020210145638 A KR1020210145638 A KR 1020210145638A KR 20210145638 A KR20210145638 A KR 20210145638A KR 102358300 B1 KR102358300 B1 KR 102358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smetic composition
aerosol
stock solution
ty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용
홍성은
김용우
탁기민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5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30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4Endothermic; Cooling; Cooling sen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유기 자외선 차단제,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Potassium Cetyl Phosphate)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원액; 및 분사제;를 포함함에 따라, 피부에 저자극이면서도 자외선 차단 효과, 피부 도포 특성, 제형 안정성, 모공 축소 효과, 크랙클링 효과 및 피부 쿨링감이 우수하여, 전반적인 사용 특성과 선호도가 향상된,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UV SCREENING WITH AEROSOL TYPE}
본 발명은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선에센스, 선로션, 선크림 등과 같은 제형으로 제조되며, 이를 손 또는 화장 도구에 덜어, 피부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사용 방법이 용이하고, 피부에 쿨링감을 부여할 수 있는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선로션, 선크림 등을 손 또는 화장 도구에 덜어 피부에 도포하였던 기존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과는 달리, 자외선 차단이 요구되는 피부 부위에 분사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다. 뿐만 아니라,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덥고, 햇빛이 강한 여름에 주로 사용되는데, 에어로졸 타입의 경우, 피부에 쿨링감을 부여하여, 일시적으로 열감을 해소시킴에 따라, 여름철에 특히 그 선호도가 높다.
이러한 이유로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4526호에서는 카보머, 아크릴레이트/C10-2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등을 포함하는 점증제 및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원액과, 비점이 낮은 에어로졸 분사제를 포함함에 따라, 쿨링감과 새로운 사용감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를 포함하는 종래의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쿨링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개발됨에 따라, 기존의 자외선 차단 제품들과 달리, 실질적인 자외선 차단 효과가 충분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부위에 분사하여 적용됨에 따라, 분사 과정에서, 피부에 적정한 양이 적정한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되는 특성 또한 중요하나, 현재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이러한 도포 특성에 대해서는 충분히 고려하고 있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피부 쿨링감 뿐 아니라 자외선 차단 효과와 도포 특성이 모두 향상된,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452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피부에 적정한 양이 적정한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되어 도포 특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분사 과정에서 형성된 거품이 자발적으로 파포하면서 크랙클링(Crackling) 효과 및 쿨링감을 구현함으로써 사용감이 향상된,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유기 자외선 차단제,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Potassium Cetyl Phosphate)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원액; 및 분사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원액은 상기 화장료 원액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0.1 ~ 3.0 중량%,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0.5 ~ 38.0 중량%, 상기 계면활성제 0.1 ~ 5.0 중량% 및 상기 알코올 10 ~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옥토크릴렌(Octocrylene),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Drometrizole trisiloxan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테인(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4-메칠벤질리덴 캄퍼(4-Methylbenzylidenecamphor) 비스-에칠헥실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벤조페논-3 (Benzophenone-3), 벤조페논-4 (Benzophenone-4), 폴리실리콘-15(Polysilicone-15),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Diethylhexyl Butamido Triazone), 프로필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Propylene glycol dicaprylate),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및 에칠헥실디메칠파바(Ethylhexyl Dimethyl PAB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Potassium Cetyl Phosphate)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를 1 ~ 5 : 1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원액은 수중유형(Oil-in-Water) 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원액은 점도가 120 ~ 160 cps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분사제는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디메틸에테르,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및 이소펜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원액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분사제를 100 ~ 30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SPF 지수가 적어도 5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효과 및 피부 도포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크랙클링 효과 및 쿨링감을 구현하여 사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여, 고온에서 장시간 방치되어도 층분리, 점도 하락, 응집 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모공 축소 효과를 구현할 수 있어,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저자극일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1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제형 형성 여부 평가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유기 자외선 차단제,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Potassium Cetyl Phosphate)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원액; 및 분사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저자극이면서 자외선 차단 효과, 피부 도포 특성, 제형 안정성, 모공 축소 효과, 크랙클링 효과 및 피부 쿨링감이 우수하여, 전반적인 사용 특성과 선호도가 우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 성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으며, 이하에서는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로 간략히 호칭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의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화장료 원액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함에 따라, 적정 수준의 점도와 안정한 제형을 구현하면서도 피부 도포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은 상기 화장료 원액 총 중량 기준으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0.1 ~ 3.0 중량%, 구체적으로는 0.5 ~ 2.5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0.8 ~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이 상기 화장료 원액 총 중량 기준으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0.1 ~ 3.0 중량%로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구현하면서도 적정 수준의 점도와 안정한 제형을 구현할 수 있고, 전반적으로 향상된 피부 도포 특성, 모공 축소 효과, 크랙클링 효과 및 피부 쿨링감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이 상기 화장료 원액 총 중량 기준으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0.8 ~ 1.5 중량%로 포함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효과는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이 상기 화장료 원액 총 중량 기준으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점도가 적정 수준으로 형성되지 못하여, 에멀젼 제형 자체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이 상기 화장료 원액 총 중량 기준으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3.0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점도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분사가 용이하지 못하여 사용이 어렵거나, 피부 도포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화장료 원액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옥토크릴렌(Octocrylene),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Drometrizole trisiloxan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테인(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4-메칠벤질리덴 캄퍼(4-Methylbenzylidenecamphor) 비스-에칠헥실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벤조페논-3 (Benzophenone-3), 벤조페논-4 (Benzophenone-4), 폴리실리콘-15(Polysilicone-15),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Diethylhexyl Butamido Triazone), 프로필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Propylene glycol dicaprylate),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및 에칠헥실디메칠파바(Ethylhexyl Dimethyl PAB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테인(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및 호모살레이트(Homosalat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더욱 향상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테인(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및 호모살레이트(Homosalate)를 1 : 0.5 ~ 1 : 0.1 ~ 0.5 : 1.2 ~ 1.5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현저히 향상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가장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테인(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및 호모살레이트(Homosalate)를 1 : 0.8 ~ 0.9 : 0.4 ~ 0.5 : 1.4 ~ 1.5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현저히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은 상기 화장료 원액 총 중량 기준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0.5 ~ 38.0 중량%, 구체적으로는 5.0 ~ 35.0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15.0 ~ 2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이 상기 화장료 원액 총 중량 기준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0.5 ~ 38.0 중량%로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구현하면서도 적정 수준의 점도와 안정한 제형을 구현할 수 있고, 전반적으로 향상된 피부 도포 특성, 모공 축소 효과, 크랙클링 효과 및 피부 쿨링감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이 상기 화장료 원액 총 중량 기준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15.0 ~ 23.0 중량%로 포함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효과는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이 상기 화장료 원액 총 중량 기준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0.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이 상기 화장료 원액 총 중량 기준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38.0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제형이 형성되지 못하거나, 제형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피부 자극성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화장료 원액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Potassium Cetyl Phosphate)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중에서 하나만을 포함하는 경우 보다, 더욱 향상된 자외선 차단 효과, 피부 도포 특성, 제형 안정성, 모공 축소 효과, 크랙클링 효과 및 피부 쿨링감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계면활성제는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1 ~ 5 : 1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 피부 도포 특성, 제형 안정성, 모공 축소 효과, 크랙클링 효과 및 피부 쿨링감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계면활성제는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2 ~ 4 : 1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 피부 도포 특성, 제형 안정성, 모공 축소 효과, 크랙클링 효과 및 피부 쿨링감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가장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계면활성제는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3 : 1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 피부 도포 특성, 제형 안정성, 모공 축소 효과, 크랙클링 효과 및 피부 쿨링감은 현저히 우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은 상기 화장료 원액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계면활성제를 0.1 ~ 5.0 중량%, 구체적으로는 1.0 ~ 3.0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1.5 ~ 2.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이 상기 화장료 원액 총 중량 기준으로 계면활성제를 0.1 ~ 5.0 중량%로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구현하면서도 적정 수준의 점도와 안정한 제형을 구현할 수 있고, 전반적으로 향상된 피부 도포 특성, 모공 축소 효과, 크랙클링 효과 및 피부 쿨링감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이 상기 화장료 원액 총 중량 기준으로 계면활성제를 1.5 ~ 2.5 중량%로 포함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효과는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이 총 중량 기준으로 계면활성제를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에멀젼 제형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이 총 중량 기준으로 계면활성제를 5.0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크랙클링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알코올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알코올은 변성 알코올 및 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알코올은 변성 알코올 및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변성 알코올은 피부 쿨링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은 총 중량 기준으로 알코올을 10 ~ 30 중량%, 구체적으로는 20 ~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이 상기 화장료 원액 총 중량 기준으로 알코올을 10 ~ 30 중량%로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구현하면서도 적정 수준의 점도와 안정한 제형을 구현할 수 있고, 전반적으로 향상된 피부 도포 특성, 모공 축소 효과, 크랙클링 효과 및 피부 쿨링감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이 상기 화장료 원액 총 중량 기준으로 알코올을 20 ~ 30 중량%로 포함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효과는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이 총 중량 기준으로 알코올을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제형의 점도가 증가하여 에어로졸 타입으로 활용이 어렵고, 쿨링감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이 총 중량 기준으로 알코올을 30 중량%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제형 자체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은 상기된 성분 이외에 물, 보조 계면활성제, 유화제, 유화보조제, 실리콘 폴리머, 안료, 색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안정제, 유기 용매,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 소포제, 보습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보존제, 소염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제, 산성화제, 착색제, 농화제, 피부컨디셔닝제, 미백제, 항산화제, 주름 개선제 및 용해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첨가제 또는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은 수중유형(Oil-in-Water) 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중수형(Water-in-Oil) 및 가용화 제형 보다, 산뜻하면서도 가벼운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은 점도가 120 ~ 160 cps, 구체적으로는 120 ~ 150 cps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원액의 점도가 120 ~ 160 cps 일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료 원액은 에어로졸 타입에 적합한 제형으로 형성되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 피부 도포 특성, 제형 안정성, 모공 축소 효과, 크랙클링 효과 및 피부 쿨링감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분사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분사제는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디메틸에테르,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및 이소펜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분사제는 부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화장료 원액과의 상용성이 좋아, 화장료 조성물의 전반적인 성능이 유지 또는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Oil-in-Water)의 화장료 원액 및 분사제를 포함하며, 에어로졸 타입 용기 내에 상기 수중유형의 화장료 원액 및 분사제가 혼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중유형의 화장료 원액의 유상에, 액체 상태의 분사제가 유화되어 혼합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분사 과정에서 화장료 원액과 함께 배출된 가스가 기화함에 따라, 거품이 형성되고, 상기 거품이 자발적으로 파포하면서 크랙클링 효과 및 쿨링감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원액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분사제를 100 ~ 30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150 ~ 270 중량부, 더 구체적으로는 200 ~ 25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화장료 원액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분사제를 200 ~ 250 중량부로 포함할 때,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에어로졸 타입으로 용이하게 분사되어, 피부에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화장료 원액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분사제를 10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거나, 300 중량부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에어로졸 타입으로 분사되지 못하거나, 적정량이 피부에 도포되지 못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자체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되, SPF(Sun Protection Factor) 지수가 적어도 50 이상, 구체적으로 52 ~ 56 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 실시예 ]
실시예 1 내지 5
(1) 화장료 원액의 제조
표 1[단위 : 중량%]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여 화장료 원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표 1에서 계면활성제는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및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두 성분은 표 2[단위 : 중량비]에 따라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21124120209-pat00001
Figure 112021124120209-pat00002
2)에어로졸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각각의 화장료 원액 100 중량부에 대해 분사제(부탄가스)를 230 중량부로 혼합하여, 용기에 충진함으로써,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각각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
비교예 1 내지 8 : 계면활성제의 종류 변경 1
표 3[단위 : 중량%]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된 화장료 원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Figure 112021124120209-pat00003
비교예 9 내지 10 : 계면활성제의 종류 변경 2
표 4[단위 : 중량%]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된 화장료 원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Figure 112021124120209-pat00004
비교예 11 내지 13 : 점증제 종류 변경
표 5[단위 : 중량%]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된 화장료 원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Figure 112021124120209-pat00005
비교예 14 내지 15
계면활성제로, 표 6[단위 : 중량비]과 같이 두 성분이 혼합된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때, 두 성분의 총량은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화장료 원액 기준 2.0 중량%였다.
Figure 112021124120209-pat00006
[ 실험예 ]
실험예 1 : 점도 및 제형 형성 여부 평가
(1) 점도 : BH(TOKIMEC) 점도계를 사용하여 화장료 원액의 점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7[단위 : cps]에 나타내었다.
(2) 제형 형성 여부 : 화장료 원액과 분사제를 혼합한 에어로졸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분사할 때,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크랙 클링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도 1의 실시예 1 참조)에는 '○'로 표기하였으며,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지 못하고 크랙 클링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도 1의 비교예 2 참조)에는 '-'로 표기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4의 제형(크랙 클링 여부)을 도 1에 도시하였다.
Figure 112021124120209-pat00007
표 7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점도가 120 ~ 160 cps로 형성되고,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면서도 크랙 클링 효과를 구현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2, 3, 8, 14 및 15의 경우에는, 제형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크랙 클링 효과를 구현하지 못하였으며, 점도의 측정이 불가하였다.
실험예 2 : 자외선 차단 효과 평가
자외선 차단지수(SPF) 측정은, COLIPA(European Cosmetics Association)의 'Method for the in vitro determination of UVA protection provided by sunscreen products'의 시험 규격을 참고하여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polymethyl methacrylate(PMMA 'HELIO PLATE HD6) plate에 시료(화장료 원액과 분사제를 혼합한 에어로졸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를 도포하고 UV-2000S(LABSPHERE, INC. USA)를 이용하여 측정한 뒤, 하기 식 1에 따라 자외선 차단 효과(SPF)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이때, 제형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평가하지 않았으며, '-'로 표기해두었다.
[식 1]
Figure 112021124120209-pat00008
Figure 112021124120209-pat00009
표 8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제형 안정성 평가
화장료 원액의 제형 안정성 (45°C, 1개월 방치)을 하기 조건 (○, ◐, ●)에 따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 : 층분리, 점도 하락 없음
◐ : 층분리, 점도 하락이 발생되었으나, 진탕을 1~3회 반복할 경우에는 안정한 제형으로 회복됨
● : 층분리, 점도 하락이 발생되었으며, 진탕을 1~3회 반복하여도 안정한 제형으로 회복되지 않음
Figure 112021124120209-pat00010
표 9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제형이 안정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2, 3, 8, 14 및 15 의 경우, 안정적인 제형을 형성하지 못하여, 제형 안정성 평가의 실시가 불가능 하였다.
실험예 4 : 도포 특성 및 사용감 평가
화장료 조성물(화장료 원액과 분사제를 혼합한 에어로졸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피부에 분사하여 도포할 경우의 도포 용이성, 균일도, 사용 편의성을 평가하였고, 크랙클링(거품 형성 후 자발적으로 파포)의 폼이 잘 형성되는지 확인하고,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성은, 평가 대상자 10명을 대상으로 도포 시, 도포 후 사용감에 대한 차이를 10점 척도로 판단하도록 했으며, 그 결과의 평균을 표 10에 나타내었다. 이때, 표 10에서 점수가 높을수록 도표 용이성, 도표 균일도, 사용 편의성, 폼형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Figure 112021124120209-pat00011
표 10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도포 용이성, 도포 균일도, 사용 편의성 및 크랙클링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 쿨링감 평가
피부냉각 효과에 대한 검사를 측정하기 위하여, 건강한 10 ~ 30대 피험자 30 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피험자에게,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화장료 원액과 분사제를 혼합한 에어로졸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얼굴 피부에 고르게 분사하여 도포하고, 약 15 분 경과 후, 온도계(Thermometer,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온도 냉감효과를 측정하하고, 사용전과 후의 온도를 표 11[단위 : ℃]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15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험을 동일하게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1124120209-pat00012
표 11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쿨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실험예 6 : 모공 수축 평가
보빈(bovine) 헤모글로빈 단백질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화장료 원액과 분사제를 혼합한 에어로졸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모공수축 효과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4)를 헤모글로빈과 1 : 1로 혼합한 용액(1 mg/ml)을 제조하고, 이 용액과 시료를 농도별로 완충용액에 희석한, 두 액을 1 : 1 로 30 초간 진탕 혼합한 후, 30 분 동안 방치하였으며, 상등액을 채취하여 407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시료의 최종농도는 0.1 %, 1 %, 2 %, 5 % 로 조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시료 대신 시료 용매를 사용하였다.
상기에 따라, 헤모글로빈의 침전율을 측정하여 수축효과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2[단위 : %]에 나타내었고, 표 12에서 탁도(시료의 최종농도)가 높을수록, 헤모글로빈의 침전율(%)이 높을수록 모공수축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Figure 112021124120209-pat00013
표 12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모공 수축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7 : 피부 자극성 평가
화장품 신원료 평가 가이드라인에 따른 인체 첩포 시험을 실시하고, 피부자극지수를 표 13에 나타내었다.
본 인체적용시험 참여에 동의하고, 선정기준 및 제외기준을 만족하는 평균 나이 41 ± 10 인, 총 33 명의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IQ Chamber를 이용하여 피부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IQ Chamber에 시험물질을 각 20 ㎕씩 적하 하였다. 첩포는 24 시간 동안 부착하였고, 패치 제거 1 시간, 패치 제거 24 시간 후, 2명의 전문가에 의하여,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의 판정기준에 따라 자극 정도를 관찰하였다.
이때, 피부자극지수는 0.00 - 0.25 비 자극성, 0.3 - 1.0 약한 자극성, 1.0 - 2.5 중증도 자극성, 2.5 - 4.0 강한 자극성으로 평가되며, 하기 [식 2]에 따라 계산되었다.
[식 2]
Figure 112021124120209-pat00014
Figure 112021124120209-pat00015
표 13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피부에 저자극임을 알 수 있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여 볼 때,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에어로졸 타입으로 안정적으로 형성되며, 피부에 저자극이면서도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 제형 안정성, 피부 도포 특성, 피부 쿨링감, 모공 축소 효과를 구현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유기 자외선 차단제,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Potassium Cetyl Phosphate)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원액; 및
    분사제;를 포함하되,
    상기 계면활성제는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Potassium Cetyl Phosphate)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를 1 ~ 5 : 1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원액은
    상기 화장료 원액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0.1 ~ 3.0 중량%,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0.5 ~ 38.0 중량%, 상기 계면활성제 0.1 ~ 5.0 중량% 및 상기 알코올 10 ~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옥토크릴렌(Octocrylene),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Drometrizole trisiloxan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테인(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4-메칠벤질리덴 캄퍼(4-Methylbenzylidenecamphor) 비스-에칠헥실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벤조페논-3 (Benzophenone-3), 벤조페논-4 (Benzophenone-4), 폴리실리콘-15(Polysilicone-15),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Diethylhexyl Butamido Triazone), 프로필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Propylene glycol dicaprylate),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및 에칠헥실디메칠파바(Ethylhexyl Dimethyl PAB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원액은
    수중유형(Oil-in-Wate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원액은
    점도가 120 ~ 160 cp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제는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디메틸에테르,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및 이소펜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원액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분사제를 100 ~ 30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SPF 지수가 적어도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45638A 2021-10-28 2021-10-28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358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638A KR102358300B1 (ko) 2021-10-28 2021-10-28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638A KR102358300B1 (ko) 2021-10-28 2021-10-28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300B1 true KR102358300B1 (ko) 2022-02-08

Family

ID=80251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638A Active KR102358300B1 (ko) 2021-10-28 2021-10-28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3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552A (ko) * 2006-05-25 2007-11-29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쿨링에 효과적인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US20080112897A1 (en) * 2005-06-20 2008-05-15 Hartmut Schiemann Product release system to atomize cosmetic hair or skin compositions containing UV filters
KR20160110760A (ko) * 2015-03-11 2016-09-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고분자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70141709A (ko) * 2015-04-29 2017-12-26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국소 자외선 차단 유화액
KR20200092705A (ko) * 2019-01-25 2020-08-04 코스맥스 주식회사 쿨링감을 부여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2897A1 (en) * 2005-06-20 2008-05-15 Hartmut Schiemann Product release system to atomize cosmetic hair or skin compositions containing UV filters
KR20070113552A (ko) * 2006-05-25 2007-11-29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쿨링에 효과적인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0760A (ko) * 2015-03-11 2016-09-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고분자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70141709A (ko) * 2015-04-29 2017-12-26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국소 자외선 차단 유화액
KR20200092705A (ko) * 2019-01-25 2020-08-04 코스맥스 주식회사 쿨링감을 부여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4526B1 (ko) 2019-01-25 2020-11-05 코스맥스 주식회사 쿨링감을 부여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6914B1 (en) Sprayable cosmetic sunscreen composition
Azeem et al. Emerging role of microemulsions in cosmetics
CN107233220B (zh) 一种醇基防晒油及其制备方法
KR102026658B1 (ko)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7800B1 (ko) 무스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1894B1 (ko) 수용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9908004B (zh) 一种多重乳液防晒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20190038028A (ko) 수중유형 매크로에멀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4749B1 (ko) 스프레이형 무스 타입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KR102638453B1 (ko) 계면활성제 프리 액상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9023B1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2543B1 (ko) 지속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0989B1 (ko) 마크로 유화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U2014389566B2 (en) Non-irritating, non-whitening photoprotective compositions
KR102354352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3574A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358300B1 (ko)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3519B1 (ko) 열과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상승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24612A (ko) 자외선 차단 화장료 함침 시트
KR102432885B1 (ko)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KR102537397B1 (ko)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89534B1 (ko) 내수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85240B1 (ko) 백탁 현상이 없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JP2012136453A (ja) 紫外線防止用皮膚化粧料
US20170189294A1 (en) Non-Irritating, Non-Whitening Photoprotective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