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810B1 - Hvdc 시스템의 vbe 클록 동기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Hvdc 시스템의 vbe 클록 동기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6810B1 KR102346810B1 KR1020200007522A KR20200007522A KR102346810B1 KR 102346810 B1 KR102346810 B1 KR 102346810B1 KR 1020200007522 A KR1020200007522 A KR 1020200007522A KR 20200007522 A KR20200007522 A KR 20200007522A KR 102346810 B1 KR102346810 B1 KR 1023468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ock
- board
- error
- master
- norm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12—Synchronisation of different clock signals provided by a plurality of clock generat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08—Clock generators with changeable or programmable clock frequenc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6—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via a high-tension DC link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6—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via a high-tension DC link
- H02J2003/365—Reducing harmonics or oscillations in HVD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60—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or generators via a high voltage DC link [HV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HVDC 시스템의 VBE 클록 동기화 장치는 기준 클록을 생성하는 연산보드 및 기준 클록에 동기되어, 서브 모듈의 ON/OFF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보드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연산보드가 이중화로 구성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 1 연산 보드 및 제 2 연산 보드를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인터페이스 보드를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VDC 시스템의 VBE 클록 동기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Claims (12)
- 기준 클록을 생성하는 연산보드; 및
상기 기준 클록에 동기되어, 서브 모듈의 ON/OFF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보드는,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제 1 연산 보드; 및
상기 제 1 연산 보드가 마스터일 경우 슬레이브로 동작하고 상기 제 1 연산 보드가 슬레이브일 경우 마스터로 동작하는 제 2 연산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산 보드 및 상기 제 2 연산 보드는,
타임 서버로부터 1PPS(pulse per second) 기준 신호를 입력받는 1PPS 신호 입력부;
상기 제 1 연산 보드 자체의 시스템 클록을 생성하는 시스템 클록 생성부;
상기 1PPS 신호 입력부의 출력과 상기 시스템 클록 생성부의 출력의 오차를 보상하는 오차 보상 모듈;
상기 오차를 보정한 클록을 생성하는 오차 보정 클록 생성부; 및
상기 제 2 연산 보드에서 출력하는 기준 클록과 동기를 수행하는 클록 동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클록 동기 모듈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에 상기 연산 보드의 마스터/슬레이브 동작 정보를 알리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는,
상기 제 1 연산 보드 및 상기 제 2 연산 보드의 기준 클록을 수신하는 클록 입력부;
상기 클록 입력부의 출력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기준 클록을 선택하는 기준 클록 선택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 내에서 클록을 생성하는 내부 클록 생성부; 및
상기 내부 클록 생성부의 출력과 상기 기준 클록 선택부의 출력의 오차를 보상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 내부의 기준 클록으로 공급하는 오차 보상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클록 입력부는 상기 제 1 연산 보드 및 상기 제 2 연산 보드에서 전달한 상기 마스터/슬레이브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마스터로 동작하고 있는 상기 연산 보드를 상기 기준 클록 선택부에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시스템의 VBE(valve base electronics) 클록 동기화 장치.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동기 모듈은, 상기 제 2 연산 보드에서 기준 클록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마스터로 절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시스템의 VBE 클록 동기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동기 모듈은, 상기 1PPS 기준 신호의 오차가 설정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오차 보정 클록 생성부의 클록을 반영하여 기준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시스템의 VBE 클록 동기화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는, 복수 개의 서브 모듈과 1:1 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시스템의 VBE 클록 동기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모듈의 수는, HVDC시스템 용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시스템의 VBE 클록 동기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의 수는, 상기 서브 모듈의 수 및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의 통신 포트 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시스템의 VBE 클록 동기화 장치. - 1PPS 신호 입력부에서 타임 서버로부터 1PPS(pulse per second) 신호를 입력받고 시스템 클록 생성부에서 시스템 클록을 생성하는 1PPS 신호 입력 및 시스템 클록 생성 단계;
상기 시스템 클록 생성부에서 상기 시스템 클록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시스템 클록 정상 여부 판단 단계;
상기 시스템 클록 정상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 클록이 정상으로 판정될 경우 상기 1PPS 신호 입력부에서 상기 1PPS 신호의 정상 여부를 판정하는 1PPS 신호 정상 여부 판단 단계;
상기 1PPS 신호 정상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1PPS 신호가 정상으로 판정될 경우 오차 보상 모듈에서 상기 시스템 클록과 1PPS 신호의 오차를 계산하여 상기 오차를 오차 보정 클록 생성부로 전달하는 오차 계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클록 정상 여부 판단 단계는,
상기 시스템 클록이 정상으로 판정되지 않을 경우, 시스템 클록 에러를 판정하는 시스템 클록 에러 판단 단계; 및
연산 보드의 절체를 수행하고 상기 절체의 결과를 클록 동기 모듈로 전달하는 연산보드 절체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1PPS 신호 정상 여부 판단 단계는,
상기 1PPS 신호가 정상으로 판정되지 않을 경우, 상기 타임 서버의 기능이 상실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상기 클록 동기 모듈로 전달하는 타임 서버 기능 상실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산보드는,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제 1 연산 보드; 및
상기 제 1 연산 보드가 마스터일 경우 슬레이브로 동작하고 상기 제 1 연산 보드가 슬레이브일 경우 마스터로 동작하는 제 2 연산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클록 동기 모듈은 인터페이스 보드에 상기 연산 보드의 마스터/슬레이브 동작 정보를 알리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 내의 클록 입력부는 상기 연산 보드에서 전달한 상기 마스터/슬레이브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마스터로 동작하고 있는 상기 연산 보드를 기준 클록 선택부에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 시스템의 VBE(valve base electronics) 클록 동기화 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7522A KR102346810B1 (ko) | 2020-01-20 | 2020-01-20 | Hvdc 시스템의 vbe 클록 동기화 장치 및 방법 |
US17/622,648 US11953937B2 (en) | 2020-01-20 | 2021-01-12 |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VBE clock in HVDC system |
PCT/KR2021/000376 WO2021149957A1 (ko) | 2020-01-20 | 2021-01-12 | Hvdc 시스템의 vbe 클록 동기화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7522A KR102346810B1 (ko) | 2020-01-20 | 2020-01-20 | Hvdc 시스템의 vbe 클록 동기화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3655A KR20210093655A (ko) | 2021-07-28 |
KR102346810B1 true KR102346810B1 (ko) | 2022-01-04 |
Family
ID=76992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7522A Active KR102346810B1 (ko) | 2020-01-20 | 2020-01-20 | Hvdc 시스템의 vbe 클록 동기화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953937B2 (ko) |
KR (1) | KR102346810B1 (ko) |
WO (1) | WO2021149957A1 (ko)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5175B1 (ko) * | 2007-04-04 | 2009-05-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통신 시스템에서 gps 정보를 이용한 시간 동기화 방법및 장치 |
US8055288B2 (en) | 2007-11-02 | 2011-11-08 | Novatel Inc. |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ccurate time and frequency over a network |
KR101104094B1 (ko) | 2009-07-13 | 2012-01-12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탄산시비 효율 증진을 위한 재배기 |
KR20120020867A (ko) * | 2010-08-31 | 2012-03-08 |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 이중화 구조를 갖는 제어기 및 그 운용 방법 |
JP5654908B2 (ja) | 2011-03-09 | 2015-01-14 | 日置電機株式会社 | クロック信号生成装置およびクロック信号生成方法 |
CN103795228B (zh) | 2014-02-18 | 2016-05-11 | 成都芯源系统有限公司 | 一种用于开关变换器的控制电路及其控制方法 |
KR101704787B1 (ko) * | 2014-12-31 | 2017-02-22 | 주식회사 효성 | 제어기의 이중화 시스템 |
KR101798757B1 (ko) * | 2016-03-29 | 2017-11-16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Hvdc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
US10697243B2 (en) | 2016-07-13 | 2020-06-30 | Nabors Drilling Technologies Usa, Inc. | Coiled tubing rig |
KR20180067905A (ko) | 2016-12-13 | 2018-06-21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 및 그 제어 방법 |
-
2020
- 2020-01-20 KR KR1020200007522A patent/KR102346810B1/ko active Active
-
2021
- 2021-01-12 US US17/622,648 patent/US11953937B2/en active Active
- 2021-01-12 WO PCT/KR2021/000376 patent/WO202114995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20357764A1 (en) | 2022-11-10 |
KR20210093655A (ko) | 2021-07-28 |
WO2021149957A1 (ko) | 2021-07-29 |
US11953937B2 (en) | 2024-04-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499663B (zh) | 一种逆变器并联控制方法及逆变器 | |
US20160329716A1 (en) | Power conversion device | |
KR101249884B1 (ko) | 무정전전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병렬운전방법 | |
US11923687B2 (en) | Bipole power transmission schemes | |
JP2016015875A (ja) | 周波数制御方法、周波数制御装置、システムおよび蓄電装置 | |
KR101422960B1 (ko) | 전원 모듈 및 이를 갖는 분산 전원 공급 장치 | |
WO2016202859A1 (en) | Power inverter, control unit for power inverters and network of power inverters | |
KR102346810B1 (ko) | Hvdc 시스템의 vbe 클록 동기화 장치 및 방법 | |
EP3709492B1 (en) | Distributed control of a multiphase power converter | |
CN113904428A (zh) | 一种保供电区域内不间断供电系统及方法 | |
JP2021145437A (ja) | 電力変換装置 | |
CN111884493A (zh) | 一种多电源的主从式多机通信方法及多电源系统 | |
JP2020068544A (ja) | 電力需給システム | |
US12301052B2 (en) | Reversed power and grid support with a modular approach | |
US11495972B2 (en) | Selecting switching times of wind turbine converters | |
JPH1127877A (ja) | 無停電電源装置 | |
KR100625482B1 (ko) | 3상 무정전 전원장치의 병렬 동작에 있어서 pwm 동기화방법 및 그 장치 | |
CN110098633B (zh) | 模块化变流器的切换控制方法、装置及风电变流器 | |
JP2020058161A (ja) | 電力需給システム | |
KR20220065913A (ko) | Lvdc 배전을 위한 전력 변환 장치 및 시스템 | |
JP7320331B2 (ja) | 制御装置 | |
US5479332A (en) | System avoiding regulator detachments in quasi-steady operation of ADC power transmission line | |
JP7666770B1 (ja) | 電源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 | |
US11283289B2 (en)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having stranded power recovery | |
KR102744519B1 (ko) | 그리드포밍형 관성 출력 보조 제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