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43914B1 - 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that can control product storage space - Google Patents

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that can control product storage sp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914B1
KR102343914B1 KR1020210163868A KR20210163868A KR102343914B1 KR 102343914 B1 KR102343914 B1 KR 102343914B1 KR 1020210163868 A KR1020210163868 A KR 1020210163868A KR 20210163868 A KR20210163868 A KR 20210163868A KR 102343914 B1 KR102343914 B1 KR 102343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module
storage space
product storage
coup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8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석진호
Original Assignee
석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호 filed Critical 석진호
Priority to KR1020210163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9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91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12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 A47F1/125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with an article-pushing devi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 보관 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상품보관모듈이 구비된 벤딩머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을 보관하는 모듈함체의 내부에 형성된 상품 보관공간을 배치되는 상품의 크기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상기 모듈함체를 포함한 상품보관모듈을 독립된 객체로 구성하되 각각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어 설치되는 위치 또는 보관하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상품보관모듈의 형태 및 개수를 변경할 수 있는 상품 보관 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상품보관모듈이 구비된 벤딩머신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동작하고, 상품 선택용 디스플레이와 상품 결제용 결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결제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 제어용 본체; 내부에 상품이 배치되는 보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보관공간의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가 각각 구비된 다수 개의 모듈함체를 포함한 상품보관모듈; 상기 모듈함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관공간에 배치되는 상품에 따라 상기 보관공간의 면적을 조절하는 가변수단; 상기 모듈함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관공간에 배치된 상품을 상기 도어측으로 이동시키는 배출수단; 상기 모듈함체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capable of adjusting the product storage space, and more particularly, the product storage space formed inside the module box for storing the produc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oduct to be placed. In addition, the product storage module including the module box is configured as an independent object, but each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so that the shape and number of the product storage module depends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r the type of product to be stored. It relates to 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capable of adjusting a product storage space that can change, and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operates by an applied power source, and includes a display for product selection, a payment unit for product payment, and the display and a control body including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payment unit; a product storage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module boxes having a storage space disposed therein and having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Variable means arranged inside the module case to adjust the area of the storage space according to the product arranged in the storage space; a discharge means disposed inside the module case to move the product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toward the do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astening means for coupling the module housing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Description

상품 보관 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상품보관모듈이 구비된 벤딩머신{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that can control product storage space}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that can control product storage space {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that can control product storage space}

본 발명은 상품 보관 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상품보관모듈이 구비된 벤딩머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을 보관하는 모듈함체의 내부에 형성된 상품 보관공간을 배치되는 상품의 크기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상기 모듈함체를 포함한 상품보관모듈을 독립된 객체로 구성하되 각각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어 설치되는 위치 또는 보관하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상품보관모듈의 형태 및 개수를 변경할 수 있는 상품 보관 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상품보관모듈이 구비된 벤딩머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capable of adjusting the product storage space, and more particularly, the product storage space formed inside the module box for storing the produc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oduct to be placed. The product storage module including the module case can be configured as an independent object, but each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so the shape and number of product storage modules depend on the location where they are installed or the type of product to be stored. It relates to 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capable of adjusting the product storage space that can change the product.

자판기라고도 불리우는 벤딩머신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물건을 판매 및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유동인구가 많은 공공시설, 휴게소, 건물의 출입구 등에 설치되는 것이다.Bending machines, also called vending machin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ell and purchase goods regardless of time, so they are installed in public facilities, rest areas, and entrances of buildings with a lot of floating population.

이러한 벤딩머신은 공간을 크게 점유하지 않고 24시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종이컵에 담겨 배출되는 커피부터 대형 인형, 전자제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물품을 판매할 수 있고, 근래에는 조리된 음식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온열장치가 배치되거나 무인 배송을 위한 택배보관함으로 활용되기도 한다.Such a bending machine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24 hours a day without occupying much space. A heating device is placed inside, or it is used as a delivery box for unmanned delivery.

일반적인 벤딩머신은 상품을 보관하는 상품보관부와, 보관된 상품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는 결제부와, 보관된 상품을 선택하는 상품선택부와, 선택된 상품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근래에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지역에 배치된 다수 개의 벤딩머신의 동작상태, 상품의 재고관리 등을 중앙관리센터에서 제어 및 통제할 수 있는 벤딩머신도 제공되고 있다.A general bending machine includes a product storage unit that stores products, a payment unit that pays for the stored product, a product selection unit that selects the stored product, and a discharge unit that discharges the selected product. Alternatively, a bending machine that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can control and control operation states of a plurality of bending machines arranged in different regions, inventory management of products, etc. from a central management center is also provided.

종래의 벤딩머신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응하여 상품을 보관하는 보관공간이 고정식으로 구성되어 보관공간에 출입 가능한 상품만을 판매할 수 있고 판매 상품이 변경되면 벤딩머신도 변경해야 했다.The conventional bending machine has a fixed storage space for storing products in response to the product to be sold, so that only products that can be entered into the storage space can be sold.

따라서 서로 다른 종류의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상품에 맞는 보관공간이 구비된 벤딩머신을 배치해야 했고, 벤딩머신의 숫자가 늘어날수록 이를 관리 및 유지 보수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sell different types of products, it was necessary to arrange 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storage space for each product, and as the number of bending machines increased, the cost of managing and maintaining them increased.

또한 종래의 벤딩머신은 보관공간이 고정되며 동시에 제조된 전체적인 형태가 고정되기 때문에 상품의 종류나 개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설치된 벤딩머신을 교체하는 방법 이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어 판매 상품의 확장성이 낮고, 벤딩머신의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bending machine has a fixed storage space and a fixed overall shape at the same time, even if you want to change the type or number of products, there is no other method other than replacing the installed bending machine. ,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tilization of the bending machine was low.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014841호(1998.06.25., 공개)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80755호(2021.07.16., 등록)가 있다.As prior art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1998-0014841 (published on June 25, 1998) and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280755 (registered on July 16, 2021) there is

상기 종래기술은 내부 공간을 변경할 수 있는 벤딩머신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품의 크기에 대응하여 내부 공간을 변경할 수 있는 벤딩머신을 제안하고 있다.The prior art is to provide a bending machine capable of changing the internal space, and proposes a bending machine capable of changing the internal space in response to the size of the product.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도 상품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의 면적을 변경할 수 있는 것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개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벤딩머신 자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은 있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ending machine itself needs to be replaced when the number of products to be sold is changed because the prior art is limited to that which can change the area of the internal space in which the product is disposed.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014841호(1998.06.25., 공개)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1998-0014841 (June 25, 1998, publish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80755호(2021.07.16.,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280755 (July 16, 2021, registe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상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 공간을 상품의 크기에 대응하여 변경할 수 있고, 상품을 보관하는 모듈함체의 개수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상품 보관 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상품보관모듈이 구비된 벤딩머신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storage space for storing products can be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product, and the number and location of module boxes for storing products can be adjus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that can be adjusted.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이 독립적으로 구성된 모듈함체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어 판매 상품의 크기나 종류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모듈함체를 배치할 수 있어 설치 위치의 제약이 없는 상품 보관 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상품보관모듈이 구비된 벤딩머신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dule enclosures each independently configured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module enclosure can be arranged in various shapes in response to the size or type of the product to be sold, so that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product storage spa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capable of th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인가된 전원에 의해 동작하고, 상품 선택용 디스플레이와 상품 결제용 결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결제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 제어용 본체;a control body that operates by the applied power and includes a display for product selection, a payment unit for product payment,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nd the payment unit;

내부에 상품이 배치되는 보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보관공간의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가 각각 구비된 다수 개의 모듈함체를 포함한 상품보관모듈;a product storage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module boxes having a storage space disposed therein and having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상기 모듈함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관공간에 배치되는 상품에 따라 상기 보관공간의 면적을 조절하는 가변수단;Variable means arranged inside the module case to adjust the area of the storage space according to the product arranged in the storage space;

상기 모듈함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관공간에 배치된 상품을 상기 도어측으로 이동시키는 배출수단;a discharge means disposed inside the module case to move the product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toward the door;

상기 모듈함체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astening means for coupling the module housing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가변수단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다수 개의 결합용 하부슬릿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바닥플레이트와,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테두리에서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다수 개의 결합용 하부슬릿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 개의 결합용 측부슬릿이 형성된 복수 개의 수직플레이트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용 하부슬릿과 결합용 측부슬릿에 각각 출입 하는 다수 개의 결합돌부가 형성된 가변플레이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ariable means is mad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a plurality of lower slits for coupling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re vertically disposed at the rim of the bottom plate,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ower slits for coupl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vertical plates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side slits formed on it, and a variable plate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each entering and exiting the coupling lower slit and the coupling side slit. .

이때 상기 가변플레이트에는, 하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직립 안정성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지지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variable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is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provide a plurality of support for upright stability is further formed.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모듈함체의 하단에 구비된 체결돌부와, 상기 모듈함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측에 적층되는 타 모듈함체의 상기 체결돌부가 결합되는 체결레인과, 상기 모듈함체의 측면에서 배치되어 인접한 타 모듈함체 또는 상기 제어용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astening means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odule case, a fastening lan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odule case and coupl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of another module case stacked on the upper side, and from the side of the module cas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means for separably coupling with the other adjacent module box or the control body.

또한 상기 배출수단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이동용나선이 형성된 리드스크류와, 상기 모듈함체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셔와, 상기 푸셔에 배치되며 상기 리드스크류의 이동용나선에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대응용나선이 형성된 이송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푸셔는,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며 각각이 다관절로 구성되어 상기 모듈함체의 보관공간의 면적에 따라 수평방향의 길이 또는 각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means includes a drive motor operated by the applied power and signal, a lead screw coupled to the drive motor and rotating and having a spiral for movement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pusher movably disposed inside the module housing; and a transfer block disposed on the pusher and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spiral movably engaged with the moving spiral of the lead screw, wherein the pushers are dispos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and each is composed of a multi-joint storage space of the module enclos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r ang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varies according to the area of .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모듈함체 내부에 형성된 보관공간을 상품의 크기에 대응하여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상품의 보관 및 판매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that the storage space formed inside the module case can be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product, so that it is possible to store and sell products of various sizes.

또한 본 발명은 보관공간에 배치되어 상품을 모듈함체의 도어측으로 이동시키는 배출수단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품의 크기에 따라 배출수단을 구성하는 푸셔의 길이 또는 각도 또는 이들 모두를 변경함으로써 상품의 안정적인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discharge means arranged in the storage space to move the product to the door side of the module box, and by changing the length or angle or both of the pusher constituting the discharge mean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oduct, the product is stable.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to discharge.

또한 본 발명은 모듈함체를 독립적인 형태로 제작한 후 다수 개의 모듈함체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모듈함체의 개수 및 배치 형태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판매용 상품의 개수 또는 벤딩머신이 설치되는 위치나 공간에 제약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change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module enclosures by combining a plurality of module enclosures after manufacturing the module enclosure in an independent form, and through this, the number of products for sale or the location or space where the bending machine is installed It has the advantage of not being constrained b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보관 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상품보관모듈이 구비된 벤딩머신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품보관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변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변수단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배출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배출수단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체결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capable of adjusting the product storage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duct storage modul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variable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variable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ischarge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discharge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astening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Hereinafter, 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보관 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상품보관모듈이 구비된 벤딩머신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capable of adjusting a product storage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보관 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상품보관모듈이 구비된 벤딩머신(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가된 전원에 의해 동작하고, 상품 선택용 디스플레이와 상품 결제용 결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결제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 제어용 본체(10)와, 내부에 상품이 배치되는 보관공간(22)이 형성되며, 상기 보관공간(22)의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23)가 각각 구비된 다수 개의 모듈함체(21)를 포함한 상품보관모듈(20)과, 상기 모듈함체(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관공간(22)에 배치되는 상품에 따라 상기 보관공간(22)의 면적을 조절하는 가변수단(30)과, 상기 모듈함체(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관공간(22)에 배치된 상품을 상기 도어(23)측으로 이동시키는 배출수단(40)과, 상기 모듈함체(21)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50)을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 1 , the bending machine 1 provided with the product storage module capable of adjusting the product storage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by the applied power, and includes a display for product selection and a payment for product payment. A control body 10 including a control module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nd the payment unit, a storage space 22 in which goods are disposed, is formed, and a door 23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22 ), the product storage module 20 including a plurality of module enclosures 21 each provided with, and the storage space 22 according to the product disposed inside the module box 21 and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22 . ) variable means 30 for adjusting the area, and discharging means 40 disposed inside the module case 21 to move the product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22 to the door 23 side; It includes a fastening means 50 for coupling the module housing 21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제어용 본체(10)는, 상기 상품보관모듈(20)에 보관 중인 판매용 상품의 선택, 결제 등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동시에 보관 중인 상품의 판매 현황, 재고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중앙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control body 10 performs selection and payment of products for sale stored in the product storage module 20, and provides information necessary for a user to purchase a product,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sales status, inventory, etc. of the stored product. It checks real-time and transmits it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이러한 제어용 본체(10)는 상품 선택용 디스플레이와, 상품 결제용 결제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와 결제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중앙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하도록 통신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body 10 is provided with a display for product selection and a payment unit for product payment, respectively, includes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nd the payment unit, and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to communicate with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can be

상기 디스플레이와 결제부의 구조와 종류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일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통해 구현되거나 각각의 판매 상품에 대하여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구성된 개별식 선택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ructure and type of the display and the payment unit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the display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touch screen panel or may be configured as an individual selection button configured to correspond one-to-one to each product for sale.

또한 상기 결제부는 지폐와 동전을 포함한 현금을 이용하여 결제하거나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과 같은 물리적인 카드 또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카드를 통해 결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yment unit may be configured to make payment using cash including bills and coins, or to enable payment through a physical card such as a credit card or a check card, or a software card stored in a smart phone, a smart watch,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술한 디스플레이와 결제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통신모듈의 송신 및 수신 동작을 제어하여 벤딩머신의 실시간 판매량, 재고량 등을 중앙관리서버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어모듈은 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배출수단(40)의 동작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And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nd the payment unit described above, and control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 the real-time sales volume, inventory, etc. of the bending machine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such a control module It may be composed of a computer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means 4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상품보관모듈(20)은 내부에 판매용 상품이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용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제어용 본체(10)의 외측에 배치되되 제어용 본체(10)와 통신 및 전원 연결용 케이블(도면 중 미도시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product storage module 20 has products for sale therein, and is disposed inside the control body 10 or outside the control body 10 , and a cable for communication and power connection with the control body 10 . (not shown in the drawing) may be connected.

이하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용 본체(10)의 외측에 구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 it will be described based on what is configured on the outside of the control body 10 .

상기 상품보관모듈(20)은 판매용 상품이 배치되는 보관공간(22)이 형성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관공간(22)의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23)가 구비되는 모듈함체(21)가 다수 개 배치되되 후술하는 체결수단(50)을 통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The product storage module 20 is made in the form of an enclosure in which a storage space 22 in which products for sale are placed, and a module enclosure 21 provided with a door 23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22 is provided. A plurality of pieces are arranged and coupled to each other in a separable manner through a fastening means 5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모듈함체(21)는 내부에 보관공간(22)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23)는 내부의 보관공간(22)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어용 본체(10)로부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개방되는 전자식 개폐장치(도면 중 미도시됨)이 배치되거나, 상기 제어용 본체(10)에서 상기 도어(23)를 개방할 수 있는 열쇠를 배출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배출된 열쇠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는 물리적 잠금장치(일예로 시건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The module housing 21 has a storage space 22 therein, and the door 23 preferably has a transparent window so that the storage space 22 inside can be visual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and the control body 10 ), an electronic opening/closing device (not shown in the drawing) that is opened by power and a signal applied from the In this case, a physical locking device (for example, a locking device) that is unlocked by the ejected key may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모듈함체(21)의 크기는 판매용 상품의 크기를 고려하여 제작되는데, 다양한 크기의 판매용 상품을 제공하는 경우 판매용 상품 중 최대 크기를 갖는 상품이 보관 가능한 보관공간(22)을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판매용 상품을 보관하는 경우 후술하는 가변수단(30)을 통해 내부의 보관공간(22)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And the size of the module case 21 is manufactur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product for sale, and when various sizes of products for sale are provided, the product having the largest size among the products for sale is manufactured to have a storage space 22 that can be stored. Preferably, when storing a product for sale of a relatively small size, the area of the internal storage space 22 can be adjusted through the variable means 30 to be described later.

이때 상기 도어(23)는 하나의 모듈함체(21)에 1~4개가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보관공간(22)을 최대 4분할하여 각각의 분할된 공간에 판매용 상품을 보관할 수 있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At this time, one to four doors 23 can be configured in one module case 21, and the storage space 22 can be divided up to four to store products for sale in each divided space, there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can be raised

상기 가변수단(30)은 상기 모듈함체(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관공간(22)에 배치되는 판매용 상품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보관공간(22)의 면적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가변수단(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다수 개의 결합용 하부슬릿(311)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바닥플레이트(31)와, 상기 바닥플레이트(31)의 테두리에서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다수 개의 결합용 하부슬릿(3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 개의 결합용 측부슬릿(321)이 형성된 복수 개의 수직플레이트(32)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용 하부슬릿(311)과 결합용 측부슬릿(321)에 각각 출입 하는 다수 개의 결합돌부(34)가 형성된 가변플레이트(33)를 포함한다.The variable means 30 is disposed inside the module housing 21 to adjust the area of the storage space 22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oduct for sale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22, for this purpose, the variabl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means 30 is mad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includes a bottom plate 31 in which a plurality of lower slits 311 for coupling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bottom plate 31 A plurality of vertical plates 32 arranged vertically at the edg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side slits 321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lower slits 311, and a flat plate shape, It includes a variable plate 33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34 that enter and exit the lower slit 311 for coupling and the side slit 321 for coupling, respectively.

상기 바닥플레이트(31)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용 하부슬릿(311)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다수 개의 결합용 하부슬릿(311)이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The bottom plate 31 is mad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the lower slits 311 for coupling are formed through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lower slits 311 for coupling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한편 상기 바닥플레이트(31)에는 후술하는 배출수단(40)을 구성하는 이송블럭(44)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드공(312)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공(312)은 바닥플레이트(31)의 좌우 길이에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plate 31 is formed with a slide hole 312 in which the transfer block 44 constituting the discharge means 40 to be described later is movably disposed, and the slide hole 312 is the bottom plate 31 . A plurality may b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

즉 상기 슬라이드공(312)은 상기 바닥플레이트(31)가 배치되는 모듈함체(21)의 보관공간(22)을 복수 개로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된 공간에 판매용 상품을 개별적으로 배치하는 경우에 각각의 상품을 모듈함체의 도어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배출수단(40)이 분할된 각각의 공간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공(312)도 배치되는 배출수단(40)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 및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That is, the slide hole 312 divides the storage space 22 of the module housing 21 in which the bottom plate 31 is dispos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nd separates each product for sale in each divided space. Discharge means 40 for moving the product to the door side of the module case is arranged in each of the divided spaces. Accordingly, the slide holes 312 are also formed in the number an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discharging means 40 to be disposed.

그리고 상기 바닥플레이트(31)의 테두리 중 상기 모듈함체(21)의 도어(23)측에 배치되는 테두리는 하방을 향해 완만하게 경사진 형태로 절곡되어 구매자가 도어가 개방된 이후 판매용 상품을 파지하는 과정에서 구매자의 신체에 상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And among the rims of the bottom plate 31, the rims disposed on the door 23 side of the module housing 21 are bent in a downwardly inclined form so that the buyer holds the product for sale after the door is opened. Prevents damage to the buyer's body in the process.

상기 수직플레이트(32)는 상기 바닥플레이트(31)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되, 배치된 위치 중 상기 모듈함체(21)의 후방측 즉 상기 도어(23)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수직플레이트(32)에는 상기 결합용 하부슬릿(311)의 배치 위치 및 배치 개수에 상응하는 다수 개의 결합용 측부슬릿(321)이 형성된다.The vertical plate 32 is vertically disposed upwar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31 , and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module housing 21 , tha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oor 23 . At 32, a plurality of coupling side slits 321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the arrangement number of the lower slit 311 for coupling are formed.

상기 가변플레이트(33)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31)에 직립되게 배치되어 바닥플레이트(31)에 의해 형성된 보관공간(22)의 면적을 조절한다.The variable plate 33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extend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disposed upright on the bottom plate 31 to adjust the area of the storage space 22 formed by the bottom plate 31 .

이러한 가변플레이트(33)는 상기 결합용 하부슬릿(311)과 결합용 측부슬릿(321)에 각각 출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결합돌부(34)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돌부(34)는 도 3의 확대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플레이트(33)의 테두리와의 사이에 걸림공간(341)을 형성하도록 가변플레이트(33)의 테두리에서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된다.The variable plate 33 has a coupling protrusion 34 formed so as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the lower slit 311 for coupling and the side slit 321 for coupling, respectively, the coupling protrusion 34 is an enlarged original plan of FIG. As shown in, the protrusion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im of the variable plate 33 to form a locking space 341 between the rim of the variable plate 33.

한편 상기 가변플레이트(33)의 하단부 중 상기 결합돌부(34)가 형성되지 않은 구역에는 가변플레이트(33)의 직립성을 위한 지지부(331)가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부(331)는 가변플레이트(33)의 하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거나 별도의 평판을 가변플레이트(33)의 하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 후 용접과 같은 결합방법을 통해 일체화하여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support portion 331 for uprightness of the variable plate 33 is formed in a region of the lower end of the variable plate 33 where the coupling protrusion 34 is not formed, and the support portion 331 is a variable plate 33 . Formed by b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or by arranging a separate flat pl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variable plate 33 and integrating it through a bonding method such as welding.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가변수단(30)은 모듈함체(21)에 형성된 보관공간(22)의 면적을 상품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로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갖는 상품을 하나의 모듈함체(21)에 보관할 수 있어 모듈함체의 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하나의 벤딩머신에서 다양한 상품을 판매할 수 있어 판매자 및 구매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효과가 있다.The variable means 30 made as described above adjusts the area of the storage space 22 formed in the module case 21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product, so that products having various sizes can be stored in one module box 21 . Thi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utility of the module enclosure and at the same time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sellers and buyers by being able to sell a variety of products with one bending machine.

한편 상기 보관공간(22)에 배치되는 상품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이를 모듈함체(21)의 도어(23)측으로 이송하는 배출수단(40)도 변경되어야 하는데,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수단(40)을 도 5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모터(41)와, 상기 구동모터(41)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이동용나선이 형성된 리드스크류(42)와, 상기 모듈함체(21)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셔(43)와, 상기 푸셔(43)에 배치되며 상기 리드스크류(42)의 이동용나선에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대응용나선이 형성된 이송블럭(44)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ize of the product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22 is changed, the discharge means 40 for transferring it to the door 23 side of the module case 21 should also be changed. First, the discharge mean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6, a drive motor 41 operated by the applied power and signal, and a lead screw 42 coupled to the drive motor 41 and rotating and having a spiral for movement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 a transfer block formed with a pusher 43 movably disposed inside the module housing 21 and a corresponding spiral disposed on the pusher 43 and movably engaged with the moving spiral of the lead screw 42 . (44).

상기 구동모터(41)는, 상기 모듈함체(2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용 본체(10)로부터 동작 신호를 인가받고, 별도의 배터리 또는 상기 제어용 본체(10)와 전원용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 받아 동작한다.The driving motor 41 is disposed inside the module housing 21,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control body 10, and is connected to a separate battery or the control body 10 and a power cable through a power cable. Operates with power applied.

상기 리드스크류(4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이동용나선이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구동모터(41)의 모터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위치 고정용 블록(도면 중 미도시됨)에 배치된 것으로, 구동모터(41)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면서 후술하는 이송블럭(44)을 도어(23)측으로 이동시키거나 도어(23)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The lead screw 42 is made in the form of a circular ro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moving spiral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e end is coupled to the motor shaft of the driving motor 41, and the other end is a block for position fixing (not shown in the drawing). shown), while rotat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41 , the transfer block 44 to be described later moves toward the door 23 or moves away from the door 23 .

상기 푸셔(43)는 상기 모듈함체(21)의 보관공간(22)에 배치되되, 상기 가변수단(30)의 바닥플레이트(31)의 상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The pusher 43 is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22 of the module housing 21 , and is movab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31 of the variable means 30 .

이를 위해 상기 보관공간(22)에 배치된 상품과 맞닿아 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전달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플레이트(31)의 상면과 맞닿는 다수 개의 구름바퀴(431)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To this end, a plurality of clouds are formed in the form of a bar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ransmit a force for moving the product in contact with the product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22, and abut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31 The wheels 431 ar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이송블럭(44)은 상기 푸셔(43)에 배치되며 상기 리드스크류(42)의 이동용나선에 맞물리는 대응용나선이 형성된 것으로, 리드스크류(4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푸셔(43)를 도어(23)측으로 이동시키거나 도어(2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transfer block 44 is disposed on the pusher 43 and has a corresponding spiral engaged with the moving spiral of the lead screw 42 , and the pusher 43 is mov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lead screw 42 . It moves toward the door 23 or moves away from the door 23 .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배출수단(40) 중 상기 푸셔(43)의 수평 방향 길이는 보관공간(22)에 배치되는 상품의 크기에 대응하여 길이 또는 각도가 변경되어야 하는데, 이는 배치된 상품의 크기가 푸셔(43)의 수평 방향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경우 푸셔(43)가 상품에 맞닿는 면적이 좁아진다. 푸셔(43)와 상품이 맞닿는 면적이 좁은 경우 푸셔(43)가 이동시 상품의 방향이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틀어진 상품이 모듈함체의 내벽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usher 43 among the discharging means 40 made as described above must be changed in length or angle in response to the size of the product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22, which means that the size of the placed product is the pusher. When the length of 43 is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e horizontal length, the area in which the pusher 43 contacts the product is narrowed. Whe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usher 43 and the product is narrow,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irection of the product is changed when the pusher 43 is moved, and the product is caught on the inner wall of the module case and movement is restricted.

따라서 상품의 크기가 커지고 이를 위해 보관공간(22)의 면적이 상기 가변수단(30)을 통해 확장된 경우 푸셔(43)의 수평 방향 길이 또는 각도 또는 이들 모두를 가변시켜 상품의 이동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the size of the product increases and the area of the storage space 22 is expanded through the variable means 30 for this purpose, the horizontal length or angle of the pusher 43 or both of them are changed to improve the movement stability of the product. it is preferabl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푸셔(43)는 링크를 통해 결합된 다관절 형태로 구성되는데,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이송블럭(44)과 상기 구름바퀴(431)가 결합된 메인바(432)와, 상기 메인바(432)에 절첩 가능하게 배치된 서브바(433)와, 상기 서브바(433)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가변바(434)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pusher 4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a multi-joint form coupled through a link. Looking in detail, the main bar 432 to which the transfer block 44 and the rolling wheel 431 are coupled, and the It includes a sub-bar 433 arranged to be foldable on the main bar 432 , and a variable bar 434 , which is rotatably arranged on the sub-bar 433 .

상기 메인바(432)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고, 수평방향 중앙에 상기 이송블럭(44)이 배치되고, 수평 방향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름바퀴(431)가 배치되는 연장바(432b)가 구비된다.The main bar 432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r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transfer block 44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extends outward from both 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to the rolling wheel 431 . An extension bar 432b on which is disposed is provided.

이때 상기 메인바(432)에는 상기 서브바(433)가 접혀진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브바(433)가 수납되는 수납부(432a)가 형성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sub-bar 433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in a folded state, a receiving part 432a in which the sub-bar 433 is accommodated is formed in the main bar 432 .

상기 서브바(433)는 링크(link) 또는 경첩(hinge)과 같은 회전수단을 통해 상기 메인바(4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수납부(432a)에 슬라이드 형태로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납부(432a)에 수납되거나 메인바(432)의 외측으로 전개되어 전체 푸셔의 길이를 연장한다.The sub-bar 43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ar 432 through a rotating means such as a link or a hinge or is disposed to be in and out of the receiving part 432a in a slide form. It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432a or is deploy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ar 432 to extend the length of the entire pusher.

그리고 상기 서브바(433)에는 상기 가변바(434)를 수납하기 위한 배치부(433a)가 형성되어, 가변바(434)가 접혀진 상태에서 서브바(43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an arrangement portion 433a for accommodating the variable bar 434 is formed in the sub-bar 433 to prevent the variable bar 434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b-bar 433 in a folded state.

상기 가변바(434)는 링크 또는 경첩과 같은 회전수단을 통해 상기 서브바(433)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가변바(434)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도면 중 미도시됨)이 더 구비된다.The variable bar 434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sub-bar 433 through a rotation means such as a link or a hinge, and the rotation means is a stopper (Fig. not shown) is further provided.

상기 가변바(434)는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바(433)의 상방으로 회전하되, 회전할 수 있는 각도를 120~140°범위로 제한한다. 여기서 상기 가변바(434)의 각도를 제한하는 것은, 상품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 가변바를 회전시켜 상품과 맞닿도록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The variable bar 434 rotates upward of the sub-bar 433 as shown in the drawing, but the rotatable angle is limited to a range of 120 to 140°. Here, limiting the angle of the variable bar 434 is to rotate the variable bar when the size of the product is relatively larg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product.

즉, 상기 메인바(432) 또는 서브바(433)의 배치 방향과 일치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가변바(434)를 배치하는 경우 상품의 하단부에만 이동력이 전달되고 이로 인해 상품의 크기나 하중에 따라 상품이 푸셔를 타고 넘어가거나 푸셔로부터 전달되는 이동 압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상품의 이동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when the variable bar 434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coincide with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in bar 432 or the sub-bar 433, the moving force is transmitted only to the lower end of the product, and thus, depending on the size or load of the produc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vement stability of the product cannot be guaranteed because the product passes over the pusher or the moving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pusher is not sufficient.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변바(434)를 상기 서브바(433)의 상방에서 회전시켜 상기 메인바(432) 및 서브바(433)와 상호 다른 위치에서 이동 압력을 상품으로 전달할 수 있어 상품이 이동시 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bar 434 is rotated above the sub-bar 433 to transmit the moving pressure to the product at posi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ain bar 432 and the sub-bar 433, so that when the product is mov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hange of direction and improve movement stability.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푸셔(43)는 상품의 크기에 따라 메인바(432)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메인바(432)에 수납된 서브바(433)를 회전시켜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된 상태로 사용하거나, 서브바(433)가 메인바(432)에서 펼쳐진 상태에서 가변바(434)를 서브바(433)의 상방으로 회전시켜 메인바, 서브바 및 가변바가 상품과 맞닿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어 상품의 크기나 하중에 대응하여 푸셔(43)의 수평 방향 길이 또는 각도 또는 이들 모두를 조절할 수 있다.The pusher 43 made as described above is used alone by the main bar 432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roduct, or by rotating the sub-bar 433 accommodated in the main bar 432 to extend th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ternatively, in a state in which the sub-bar 433 is unfolded from the main bar 432, the variable bar 434 is rotated upward of the sub-bar 433 so that the main bar, the sub-bar and the variable bar are in contact with the produc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orizontal length or angle of the pusher 43 or both in response to the size or load of the product.

상기 체결수단(50)은 상기 상품보관모듈(20)을 독립적으로 형성한 후 형성된 다수 개의 상품보관모듈(20)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체결수단(50)을 통해 상품보관모듈(20)의 개수, 배치 형태를 판매용 상품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The fastening means 50 is for detachably coupling a plurality of product storage modules 20 formed after independently forming the product storage module 20 to each other, and through this fastening means 50, the product storage module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20)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and number of products for sale.

이러한 체결수단(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함체(21)의 하단에 구비된 체결돌부(51)와, 상기 모듈함체(21)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측에 적층되는 타 모듈함체(21)의 상기 체결돌부(51)가 결합되는 체결레인(52)과, 상기 모듈함체(21)의 측면에서 배치되어 인접한 타 모듈함체(21) 또는 상기 제어용 본체(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용 마그넷(53)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the fastening means 50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51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odule case 21, and another modul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odule case 21 and stacked on the upper side. The fastening lane 52 to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51 of the housing 21 is coupled, and the other module housing 21 or the control body 10 disposed on the side of the module housing 21 are separable from each other. It includes a magnet 53 for coupling to be coupled.

상기 체결돌부(51)는 상기 모듈함체(21)의 하단에서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되, 모듈함체(21)의 크기에 따라 배치되는 개수가 조절된다.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체결돌부(51)가 모듈함체(21)의 하단의 테두리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예로 모듈함체의 폭 방향 크기가 커지는 경우 폭 방향 양단부와 폭방향 중앙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51 are provid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lower end of the module housing 21 , and the number of arrangemen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dule housing 21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a pair of fastening protrusions 51 may be symmetrically disposed on the edge of the lower end of the module housing 21 , and as another example,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dule housing increases in size. and may be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상기 체결레인(52)은 상기 모듈함체(21)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부(51)가 슬라이딩 형태로 결합 및 분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레인(52)의 배치 위치 및 개수는 상기 체결돌부(51)의 배치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여 변경 가능하다.The fastening lane 52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odule housing 21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51 is coupled and separated in a sliding form.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number of these fastening lanes 52 can be chang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number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51 .

그리고 상기 결합용 마그넷(53)은 상기 모듈함체(21)의 측면에 배치되어 인접한 타 모듈함체 또는 제어용 본체(10)에 자력을 통해 결합하는 것이다.And the coupling magnet 53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module enclosure 21 to be coupled to the adjacent module enclosure or the control body 10 through magnetic force.

이러한 결합용 마그넷(53)은 측방향으로 맞닿는 모듈함체를 상호 결합하거나 제어용 본체(10)의 측방향에 맞닿게 배치된 모듈함체를 제어용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Such a coupling magnet 53 is for coupling the module hous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or for coupling the module housing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ntrol body 10 to the control body.

즉, 상기 체결돌부(51)와 체결레인(52)은 상하로 맞닿는 한 쌍의 모듈함체(21)를 상호 결합하기 때문에 측방향에 맞닿게 배치되는 모듈함체의 위치를 고정할 수 없기 때문에 측방향에 배치되는 모듈함체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결합용 마그넷(53)이 구비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fastening protrusion 51 and the fastening lane 52 mutually combine a pair of module enclosures 21 abutting up and down, the position of the module enclosur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lateral direction cannot be fixed. It is to be provided with a coupling magnet 53 for coupling the module housing disposed on the mutually.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체결수단(50)을 통해 모듈함체(21)의 배치 개수 및 배치 위치를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판매용 상품의 종류나 개수에 따라 모듈함체(21)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고, 벤딩머신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모듈함체의 배치 형태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Sinc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arrangement number and arrangement position of the module case 21 through the fastening means 50 made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the module case 21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r number of products for sale, and the bending machine It has the advantage of high utilization because the arrangement shape and position of the module box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la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etc.,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all those with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o the claims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1 : 상품 보관 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상품보관모듈이 구비된 벤딩머신
10 : 제어용 본체
20 : 상품보관모듈
21 : 모듈함체 22 : 보관공간
23 : 도어
30 : 가변수단
31 : 바닥플레이트 32 : 수직플레이트
33 : 가변플레이트 34 : 결합돌부
311 : 결합용 하부슬릿 312 : 슬라이드공
321 : 결합용 측부슬릿
331 : 지지부
341 : 걸림공간
40 : 배출수단
41 : 구동모터 42 : 리드스크류
43 : 푸셔 44 : 이송블럭
431 : 구름바퀴 432 : 메인바
433 : 서브바 434 : 가변바
50 : 체결수단
51 : 체결돌부 52 : 체결레인
53 : 결합용 마그넷
1: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that can control product storage space
10: main body for control
20: product storage module
21: module enclosure 22: storage space
23 : door
30: variable means
31: bottom plate 32: vertical plate
33: variable plate 34: coupling protrusion
311: lower slit for coupling 312: slide hole
321: side slit for coupling
331: support
341: hanging space
40: discharge means
41: drive motor 42: lead screw
43: pusher 44: transfer block
431: cloud wheel 432: main bar
433: sub bar 434: variable bar
50: fastening means
51: fastening protrusion 52: fastening lane
53: magnet for bonding

Claims (5)

인가된 전원에 의해 동작하고, 상품 선택용 디스플레이와 상품 결제용 결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결제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 제어용 본체(10);
내부에 상품이 배치되는 보관공간(22)이 형성되며, 상기 보관공간(22)의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23)가 각각 구비된 다수 개의 모듈함체(21)를 포함한 상품보관모듈(20);
상기 모듈함체(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관공간(22)에 배치되는 상품에 따라 상기 보관공간(22)의 면적을 조절하는 가변수단(30);
상기 모듈함체(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관공간(22)에 배치된 상품을 상기 도어(23)측으로 이동시키는 배출수단(40);
상기 모듈함체(21)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50);을 포함하되,
상기 가변수단(30)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다수 개의 결합용 하부슬릿(311)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바닥플레이트(31)와,
상기 바닥플레이트(31)의 테두리에서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다수 개의 결합용 하부슬릿(3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 개의 결합용 측부슬릿(321)이 형성된 복수 개의 수직플레이트(32)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용 하부슬릿(311)과 결합용 측부슬릿(321)에 각각 출입 하는 다수 개의 결합돌부(34)가 형성된 가변플레이트(33)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플레이트(33)에는,
하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직립 안정성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지지부(331)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보관 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상품보관모듈이 구비된 벤딩머신.
a control body 10 that operates by the applied power and includes a display for product selection, a payment unit for product payment,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nd the payment unit;
a product storage module 20 including a plurality of module enclosures 21 each having a storage space 22 in which products are disposed and a door 23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22;
Variable means (30) disposed inside the module case (21) to adjust the area of the storage space (22) according to the product placed in the storage space (22);
Discharge means 40 disposed inside the module case 21 to move the product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22 toward the door 23;
A fastening means (50) for removably coupling the module housing (21) to each other; including,
The variable means 30,
A bottom plate 31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lower slits for coupling 3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vertical plates 32 disposed vertically at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31 and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side slits 321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lower slits 311,
It is mad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includes a variable plate 33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34 that enter and exit the lower slit 311 for coupling and the side slit 321 for coupling, respectively,
In the variable plate 33,
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capable of adjusting product storage sp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331 are further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by being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provide upright stability.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50)은,
상기 모듈함체(21)의 하단에 구비된 체결돌부(51)와,
상기 모듈함체(21)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측에 적층되는 타 모듈함체(21)의 상기 체결돌부(51)가 결합되는 체결레인(52)과,
상기 모듈함체(21)의 측면에서 배치되어 인접한 타 모듈함체(21) 또는 상기 제어용 본체(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용 마그넷(53)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보관 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상품보관모듈이 구비된 벤딩머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astening means (50),
A fastening protrusion 51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odule housing 21,
A fastening lane 52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odule case 21 and to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s 51 of the other module case 21 stacked on the upper side are coupl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roduct storage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module case 21 and includes a coupling magnet 53 that is detachably coupled with another adjacent module case 21 or the control body 10 . 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40)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모터(41)와,
상기 구동모터(41)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이동용나선이 형성된 리드스크류(42)와,
상기 모듈함체(21)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셔(43)와,
상기 푸셔(43)에 배치되며 상기 리드스크류(42)의 이동용나선에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대응용나선이 형성된 이송블럭(44)을 포함하고,
상기 푸셔(43)는,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며 각각이 다관절로 구성되어 상기 모듈함체(21)의 보관공간(22)의 면적에 따라 수평 방향의 길이 또는 각도 또는 이들 모두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보관 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상품보관모듈이 구비된 벤딩머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means (40),
A driving motor 41 operated by the applied power and signal;
A lead screw 42 coupled to the driving motor 41 and rotating and having a moving spiral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pusher 43 that is movably disposed inside the module housing 21,
It is disposed on the pusher (43) and includes a transfer block (44) having a corresponding spiral that is movably engaged with the moving spiral of the lead screw (42),
The pusher 43 is arrang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and each is composed of multiple joints so that the length or ang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both of them are variable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storage space 22 of the module housing 21 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that can control the product storage space.
KR1020210163868A 2021-11-25 2021-11-25 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that can control product storage space Active KR1023439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868A KR102343914B1 (en) 2021-11-25 2021-11-25 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that can control product storage sp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868A KR102343914B1 (en) 2021-11-25 2021-11-25 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that can control product storage sp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914B1 true KR102343914B1 (en) 2021-12-24

Family

ID=7917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868A Active KR102343914B1 (en) 2021-11-25 2021-11-25 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that can control product storage sp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91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841U (en) 1996-09-03 1998-06-25 최진호 Variable racks for assay racks for vending machines
KR20130114495A (en) * 2012-04-09 2013-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dynamic allocation unmanned postal delivery machine and method for allocation thereof
KR20190114280A (en) * 2018-03-29 2019-10-10 중앙제어시스콘(주) Assembly type parcel storage box
KR102280755B1 (en) 2020-01-21 2021-07-22 (주)가우비즈 Smart Vend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841U (en) 1996-09-03 1998-06-25 최진호 Variable racks for assay racks for vending machines
KR20130114495A (en) * 2012-04-09 2013-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dynamic allocation unmanned postal delivery machine and method for allocation thereof
KR20190114280A (en) * 2018-03-29 2019-10-10 중앙제어시스콘(주) Assembly type parcel storage box
KR102280755B1 (en) 2020-01-21 2021-07-22 (주)가우비즈 Smart Vend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3372B2 (en) Inventory storage and dispensing mechanism
CN104616396B (en) Vend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JP7490650B2 (en) Modular Vending Machine
CN102834851A (en) Vendor
CN105913566A (en) High-capacity automatic vending machine capable of avoiding damage to goods
CN208722308U (en) A kind of theft-proof goods rack and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using the theft-proof goods rack
KR20090078284A (en) Secondary case used for book rental / return device, book rental / return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200004976A (en) Card-only kiosk vending machine with cartridge supply
CN106327689A (en) Automatic egg selling cabinet and automatic vending machine
CN107527433A (en) A kind of self-service sale device
KR102562110B1 (en) Unmanned automatic cigarette vending machine for external ejection
KR102343914B1 (en) A b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product storage module that can control product storage space
CN206907143U (en) A kind of modularization separate type Vending Machine
CN105869285A (en) Data cable vending machine
KR102554009B1 (en) Compact Vending Machine
KR101124553B1 (en) Assembly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CN207895600U (en) Rotary type intelligent sales counter
CN110751781A (en) Machine discharging device is selld to energy-conserving formula
CN110459016A (en) A kind of sliding type shelf and drug automatic vending machine
CN207817855U (en) A kind of small-sized automatic vending case
CN208861381U (en) Pickup Containers and Vending Machines
JPH06509434A (en) vending machine
KR101806458B1 (en) Vending machine
JP3234897U (en) vending machine
CN213024581U (en) Selling device for boxed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